[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67598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598B1
KR100867598B1 KR1020060023730A KR20060023730A KR100867598B1 KR 100867598 B1 KR100867598 B1 KR 100867598B1 KR 1020060023730 A KR1020060023730 A KR 1020060023730A KR 20060023730 A KR20060023730 A KR 20060023730A KR 100867598 B1 KR100867598 B1 KR 100867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period
sustain
electrod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3645A (ko
Inventor
황두용
김경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3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598B1/ko
Priority to US11/634,258 priority patent/US20070216606A1/en
Priority to EP06256298A priority patent/EP1835482A3/en
Priority to CNB2006101622591A priority patent/CN100492470C/zh
Publication of KR20070093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address dischar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reset discharge, priming discharge or erase discharge occurring in a phase other than addres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reset discharge, priming discharge or erase discharge occurring in a phase other than addressing
    • G09G3/2927Details of initiali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8Dielectric or insulating 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6Waveforms comprising a gently increasing or decreasing portion, e.g. ram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09G3/2965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using inductors for energy recov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01J2211/245Shape, e.g. cross section or patter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2Light reflecting means; Anti-refl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 방법(Plasma Display Panel and Diving Method thereof)에 관한 것으로, 어드레스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3 펄스의 전압이 점진적으로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노이즈(Noise) 및 전자파 장애(EMI :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은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이 형성되는 전면 기판과, 상기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에 교차하는 어드레스 전극이 형성되는 후면 기판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한 프레임(Frame) 동안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리셋 기간 동안 제 1 전압에 도달하기 전까지 전압이 변하는 제 1 펄스가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단계와, 상기 리셋 기간 동안 제 1 펄스가 공급된 이후 제 2 전압에 도달하기 전까지 전압이 변하며, 상기 제 1 펄스와 반대인 극성을 갖는 제 2 펄스가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단계와, 상기 리셋 기간 이후의 어드레스 기간 동안 인덕터(Inductor)를 갖는 회로를 통한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제 3 펄스가 어드레스 전극에 공급되며, 상기 제 3 펄스는 상승 기간, 유지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상승 기간은 대략 75ns(나노초)이상 300ns(나노초)이하인 단계와, 상기 어드레스 기간 동안 제 4 펄스가 스캔 전극에 공급되며, 상기 제 4 펄스의 일부는 제 3 펄스의 일부와 중첩되고, 상기 제 4 펄스의 최저 전압 레벨은 제 2 펄스의 최저 전압 레벨보다 더 낮고, 상기 제 4 펄스와 제 2 펄스의 최저 전압 레벨 간의 차이는 대략 5V이상 50V이하의 크기를 갖는 단계와, 광을 발산하기 위한 서스테인 기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덕터를 갖는 회로를 통한 복수의 펄스가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단계 및 상기 서스테인 기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덕터를 갖는 다른 회로를 통한 복수의 펄스가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 방법{Plasma Display Panel and Diving Method thereof}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에 따른 데이터 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에서 영상의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프레임(Frame)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에 따른 한 프레임에서의 구동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b는 제 5 펄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제 3 펄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제 4 펄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방법이 적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의 또 다른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버스 전극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버스 전극만으로 이루어지는 스캔 전극 또는 서스테인 전극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a 내지 도 12b는 버스 전극에 의한 반사광을 방지하는 블랙 층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a 내지 도 13c는 블랙 층의 또 다른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방법에 적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기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차등적인 두께를 갖는 전면 기판을 이용한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함몰부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방법이 적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기판 상에 필름 필터가 형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에너지 리커버리 기능을 갖는 인덕터를 갖는 회로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a 내지 도 19e는 도 18의 인덕터를 갖는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방법이 적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피디피 텔레비전 세트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0 : 전면 패널 701 : 전면 기판
702 : 스캔 전극 703 : 서스테인 전극
704 : 상부 유전체 층 705 : 보호 층
710 : 후면 패널 711 : 후면 기판
712 : 격벽 713 : 어드레스 전극
714 : 형광체 층 715 : 하부 유전체 층
702a, 703a : 투명 전극 702b, 703b : 버스 전극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 방법(Plasma Display Panel and Diving Method thereof)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격벽으로 구획된 방전 셀(Cell) 내에 형광체 층이 형성되고, 아울러 복수의 전극(Electrode), 예를 들면 스캔 전극(Y), 서스테인 전극(Z), 어드레스 전극(X)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극을 통해 방전 셀로 구동 신호가 공급된다.
그러면, 방전 셀 내에서는 공급되는 구동 전압에 의해 방전이 발생한다. 여기서, 방전 셀 내에서 구동 전압에 의해 방전이 될 때, 방전 셀 내에 충진 되어 있는 방전 가스가 진공자외선(Vacuum Ultraviolet rays)을 발생하고, 이러한 진공 자외선이 방전 셀 내에 형성된 형광체를 발광시켜 가시 광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가 시 광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상에 영상이 표시된다.
여기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 셀 내에서 발생하는 방전은 리셋 방전, 어드레스 방전, 서스테인 방전 등이 있다.
리셋 방전은 모든 방전 셀을 초기화하기 위한 방전이고, 어드레스 방전은 표시 방전인 서스테인 방전이 발생될 방전 셀을 선택하기 위한 방전이고, 서스테인 방전은 영상을 화면상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방전이다.
여기서 어드레스 방전은 어드레스 전극(X)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펄스와 스캔 전극(Y)으로 공급되는 스캔 펄스에 의해 발생한다.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에 따른 데이터 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a를 살펴보면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에 따른 데이터 펄스는 기저 전압(GND)으로부터 데이터 전압(Vd)까지 급격히 상승하고, 아울러 데이터 전압(Vd)부터 기저 전압(GND)까지 급격히 하강하는 형태를 갖는다.
다음, 도 1b를 살펴보면 앞선 도 1a와 같이 종래의 데이터 펄스는 그 전압이 급격히 상승 및 하강함으로써, 데이터 펄스의 전압이 상승하는 시점 및 하강 하는 시점에서 인접하는 어드레스 전극(X)간의 데이터 펄스의 커플링(Coupling) 효과로 인해 노이즈(Noise) 및 전자파 장애(EMI :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데이터 펄스의 전압 상승 시간 및 /또는 전압 하강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노이즈 및 전자파의 발생이 저감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은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이 형성되는 전면 기판과, 상기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에 교차하는 어드레스 전극이 형성되는 후면 기판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한 프레임(Frame) 동안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리셋 기간 동안 제 1 전압에 도달하기 전까지 전압이 변하는 제 1 펄스가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단계와, 상기 리셋 기간 동안 제 1 펄스가 공급된 이후 제 2 전압에 도달하기 전까지 전압이 변하며, 상기 제 1 펄스와 반대인 극성을 갖는 제 2 펄스가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단계와, 상기 리셋 기간 이후의 어드레스 기간 동안 인덕터(Inductor)를 갖는 회로를 통한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제 3 펄스가 어드레스 전극에 공급되며, 상기 제 3 펄스는 상승 기간, 유지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상승 기간은 대략 75ns(나노초)이상 300ns(나노초)이하인 단계와, 상기 어드레스 기간 동안 제 4 펄스가 스캔 전극에 공급되며, 상기 제 4 펄스의 일부는 제 3 펄스의 일부와 중첩되고, 상기 제 4 펄스의 최저 전압 레벨은 제 2 펄스의 최저 전압 레벨보다 더 낮고, 상기 제 4 펄스와 제 2 펄스의 최저 전압 레벨 간의 차이는 대략 5V이상 50V이하의 크기를 갖는 단계와, 광을 발산하기 위한 서스테인 기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덕터를 갖는 회로를 통한 복수의 펄스가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단계 및 상기 서스테인 기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덕터를 갖는 다른 회로를 통한 복수의 펄스가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셋 기간에서 제 1 펄스가 적용되는 동안 서스테인 전극에 제 5 펄스가 더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5 펄스는 음(Negative) 전압 레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5 펄스는 가변되는 전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5 펄스는 일정한 전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스테인 기간 동안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복수의 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펄스는 상기 서스테인 기간 동안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복수의 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펄스와 실질적으로 동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캔 전극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보다 가로 방향의 폭이 더 넓은 제 2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보다 가로방향의 폭이 더 넓은 3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부분 또는 제 2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방전 셀의 중심 방향으로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부분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캔 전극은 버스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 기판의 내면에는 다른 두께를 갖는 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 기판의 외면에는 필름 필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캔 전극들 사이 또는 서스테인 전극들 사이 또는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의 사이 영역에 블랙 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 소정의 부분이 실질적으로 블랙 층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 기판의 내면에는 다른 두께를 갖는 지점을 포함하는 유전체 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덕터를 갖는 회로는 에너지 리커버리(Recovery)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는 레코딩 장치를 구비한 피디피 텔레비전 세트(SET)에 포함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리셋 기간 동안 제 1 전압에 도달하기 전까지 전압이 변하는 상기 제 1 펄스가 공급되고, 상기 제 1 펄스가 공급된 이후 제 2 전압에 도달하기 전까지 전압이 변하며 상기 제 1 펄스와 반대인 극성을 갖는 제 2 펄스가 공급되고, 상기 리셋 기간 이후의 어드레스 기간 동안 제 4 펄스가 공급되고, 광을 발산하기 위한 서스테인 기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덕터를 갖는 회로를 통한 복수의 펄스가 공급되는 스캔 전극과, 상기 어드레스 기간 동안 인덕터(Inductor)를 갖는 회로를 통한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며, 상승 기간, 유지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상승 기간은 대략 75ns(나노초)이상 300ns(나노초)이하인 제 3 펄스가 공급되는 어드레스 전극 및 상기 서스테인 기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 덕터를 갖는 다른 회로를 통한 복수의 펄스가 공급되는 서스테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펄스의 일부는 제 3 펄스의 일부와 중첩되고, 상기 제 4 펄스의 최저 전압 레벨은 제 2 펄스의 최저 전압 레벨보다 더 낮고, 상기 제 4 펄스와 제 2 펄스의 최저 전압 레벨 간의 차이는 대략 5V이상 50V이하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캔 전극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보다 가로 방향의 폭이 더 넓은 제 2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보다 가로방향의 폭이 더 넓은 3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캔 전극은 버스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에서 영상의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프레임(Frame)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에서 영상의 계조(Gray Level)를 구현하기 위한 프레임은 발광횟수가 다른 여러 서브필드로 나누어진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서브필드는 다시 모든 방전 셀을 초기화시키기 위한 리셋 기간(Reset Period), 방전될 방전 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간(Address Period) 및 방전횟수에 따라 계조를 구현하는 서스테인 기간(Sustain Period)으로 나누어진다.
예를 들어, 256 계조로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1/60 초에 해당하는 프레임기간(16.67ms)은 예컨대, 도 2와 같이 8개의 서브필드들(SF1 내지 SF8)로 나누어지고, 8개의 서브 필드들(SF1 내지 SF8) 각각은 리셋 기간, 어드레스 기간 및 서스테인 기간으로 다시 나누어지게 된다.
여기서, 각 서브필드의 리셋 기간 및 어드레스 기간은 각 서브필드마다 동일하다.
한편, 서스테인 기간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펄스의 개수를 조절하여 해당 서브필드의 계조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서스테인 기간을 이용하여 각각의 서브필드에 소정의 계조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서브필드의 계조 가중치를 20 으로 설정하고, 제 2 서브필드의 계조 가중치를 21 으로 설정하는 방법으로 각 서브필드의 계조 가중치가 2n(단, n = 0, 1, 2, 3, 4, 5, 6, 7)의 비율로 증가되도록 각 서브필드의 계조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서브필드에서 계조 가중치에 따라 각 서브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에서 공급되는 서스테인 펄스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영상의 계조를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1초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복수의 프레임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1초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60개의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 도 2에서는 하나의 프레임이 8개의 서브필드로 이루어진 경우만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다르게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는 서브필드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서브필드부터 제 12 서브필드까지의 12 개의 서브필드로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고, 10개의 서브필드로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프레임으로 영상의 계조를 구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하는 영상의 화질은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필드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필드가 12개인 경우는 212 가지의 영상의 계조를 표현할 수 있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필드가 8개인 경우는 28 가지의 영상의 계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여기 도 2에서는 하나의 프레임에서 계조 가중치의 크기가 증가하는 순서에 따라 서브필드들이 배열되었지만, 이와는 다르게 하나의 프레임에서 서브필드들이 계조 가중치가 감소하는 순서에 따라 배열될 수도 있고, 또는 계조 가중치에 관계없이 서브필드들이 배열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 도 3은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에 따른 한 프레임에서의 구동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리셋 기간 동안 제 1 전압(V1)에 도달하기 전까지 전압이 변하는 제 1 펄스가 스캔 전극(Y)에 공급된다. 예를 들면, 리셋 기간의 셋업(Setup) 기간 동안 제 1 전압(V1)까지 전압이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상승 램프(Ramp-Up) 형태의 제 1 펄스가 스캔 전극(Y)에 공급된다.
이러한, 상승 램프 형태의 제 1 펄스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약한 암방전(Dark Discharge), 즉 셋업 방전이 일어난다. 이 셋업 방전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어느 정도의 벽 전하(Wall Charge)가 쌓이게 된다.
이러한 리셋 기간에서 제 1 펄스가 적용되는 동안, 즉 제 1 펄스가 스캔 전극(Y)으로 공급되는 동안에 서스테인 전극(Z)에 제 5 펄스가 더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5 펄스에 대해 첨부된 도 4a 내지 도 4b를 결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b는 제 5 펄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a를 살펴보면 스캔 전극(Y)에 제 1 펄스가 공급되는 동안 서스테인 전극(Z)에 공급되는 제 5 펄스는 음(Negative) 전압 레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5 펄스가 음 전압 레벨을 갖게 되면, 스캔 전극(Y)으로 공급되는 제 1 펄스의 전압 레벨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더라도 전술한 셋업 방전을 충분히 강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 도 4b를 살펴보면 제 5 펄스는 가변되는 전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 5 펄스는 스캔 전극(Y)에 제 1 펄스가 공급되는 동안 제 3 전압(V3)과 제 4 전압(V4)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 5 펄스는 여기 도 4a와는 다르게 도 3과 같이 일정한 전압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리셋 기간 동안 제 1 펄스가 공급된 이후에는 제 2 전압(V2)에 도달하기 전까지 전압이 변하며, 전술한 제 1 전압(V1)과 반대인 극성을 갖는 제 2 펄스 가 스캔 전극(Y)에 공급된다. 예를 들면, 리셋 기간의 셋업 기간 이후의 셋다운(Setdown) 기간에서 상승 램프 형태의 제 1 펄스의 피크전압, 즉 제 1 전압(V1)보다 낮은 소정의 전압, 바람직하게는 그라운드(GND) 레벨의 전압에서부터 전압이 점진적으로 제 2 전압(V2)까지 하강하는 하강 램프(Ramp-Down) 형태의 제 2 펄스가 스캔 전극(Y)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방전 셀 내에서 미약한 소거 방전(Erase Discharge), 즉 셋다운 방전이 발생한다. 이 셋다운 방전에 의해 이전의 셋업 방전에 의해 방전 셀 내에 쌓여있던 벽 전하의 일부가 소거되어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이 안정되게 일어날 수 있을 정도의 벽전하가 균일하게 잔류된다.
이러한, 셋업 기간과 셋다운 기간을 포함하는 리셋 기간 이후의 어드레스 기간에서는 인덕터(Inductor)를 갖는 회로를 통한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제 3 펄스가 어드레스 전극(X)에 공급된다.
이러한 제 3 펄스에 대해 첨부된 도 5를 결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제 3 펄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살펴보면, 어드레스 기간에서 어드레스 전극(X)으로 공급되는 제 3 펄스는 상승 기간(d1), 유지 기간(d2), 하강 기간(d3)을 포함한다.
상승 기간(d1)에서는 데이터 펄스의 전압이 그라운드(GND) 레벨의 전압에서부터 데이터 전압(Vd)까지 상승한다. 이러한 상승 기간(d1)은 대략 75ns(나노초)이상 300ns(나노초)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데이터 펄스의 전압이 상승하는 상승 기간(d1)을 대략 75ns(나노 초)이상 300ns(나노초)이하로 하게 되면, 이러한 상승 기간(d1)에서의 인접하는 어드레스 전극(X)간의 커플링(Coupling) 효과가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노이즈(Noise) 및 전자파 장애(EMI :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의 발생이 저감된다.
유지 기간(d2)에서는 데이터 펄스의 전압이 데이터 전압(Vd)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한다.
하강 기간(d3)에서는 데이터 펄스의 전압이 데이터 전압(Vd)으로부터 그라운드(GND) 레벨이 전압까지 하강한다.
이러한 제 3 펄스가 대응되는 데이터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덕터(Inductor)를 갖는 회로에 대해서는 도 18의 이후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 3 펄스가 어드레스 전극(X)에 공급되는 어드레스 기간 동안 제 4 펄스가 스캔 전극(Y)에 공급된다. 예를 들면, 스캔 기준 전압(Vsc) 으로부터 부극성 스캔 전압(-Vy)까지 하강하는 제 4 펄스가 전술한 제 3 펄스에 대응되어 공급된다.
이러한 제 4 펄스에 대해 첨부된 도 6을 결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제 4 펄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살펴보면, 제 4 펄스의 최저 전압 레벨, 즉 부극성 스캔 전압(-Vy)은 제 2 펄스의 최저 전압 레벨, 즉 제 2 전압(V2)보다 더 낮다.
아울러, 제 4 펄스와 제 2 펄스의 최저 전압 레벨 간의 차이(ΔV)는 대략 5V 이상 50V이하의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제 4 펄스의 일부는 제 3 펄스의 일부와 중첩(Overlap)된다.
이에 따라, 어드레스 기간에서는 제 4 펄스의 부극성 스캔 전압(-Vy)과 제 3 펄스의 데이터 전압(Vd) 간의 전압 차와 리셋 기간에 생성된 벽 전하들에 의한 벽 전압이 더해지면서 제 3 펄스가 인가되는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된다.
이러한, 어드레스 방전에 의해 선택된 방전 셀 내에는 서스테인 펄스의 서스테인 전압(Vs)이 인가될 때 방전이 일어날 수 있게 하는 정도의 벽 전하가 형성된다.
아울러, 이러한 어드레스 기간에서는 서스테인 전극(Z)의 간섭으로 인한 오방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서스테인 전극(Z)에 서스테인 바이어스 전압(Vzb)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어드레스 기간 이후에 광을 발산하기 위한 서스테인 기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덕터를 갖는 회로를 통한 복수의 펄스가 스캔 전극(Y)에 공급된다. 예를 들면, 서스테인 전압(Vs)을 갖는 서스테인 펄스(SUS) 형태의 복수의 펄스가 스캔 전극(Y)에 공급된다.
아울러, 서스테인 기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덕터를 갖는 다른 회로를 통한 복수의 펄스가 서스테인 전극(Z)에 공급된다. 예를 들면, 서스테인 전압(Vs)을 갖는 서스테인 펄스(SUS) 형태의 복수의 펄스가 서스테인 전극(Z)에 공급된다.
여기서, 서스테인 기간 동안 서스테인 전극(Z)에 공급되는 복수의 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서스테인 기간 동안 스캔 전극(Y)에 공급되는 복수의 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실질적으로 동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어드레스 방전에 의해 선택된 방전 셀은 방전 셀 내의 벽 전압과 복수의 펄스의 서스테인 전압(Vs)이 더해지면서 스캔 전극(Y)과 서스테인 전극(Z) 사이에 서스테인 방전 즉, 표시방전이 일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소정의 영상이 구현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방법이 적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방법이 적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방법이 적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극(Electrode), 바람직하게는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이 형성되는 전면 기판(701)을 포함하는 전면 패널(700)과, 전술한 스캔 전극(702, Y) 및 서스테인 전극(703, Z)과 교차하는 전극, 바람직하게는 어드레스 전극(713, X)이 형성되는 후면 기판(711)을 포함하는 후면 패널(710)이 합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면 기판(701) 상에 형성되는 전극, 바람직하게는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은 방전 공간, 즉 방전 셀(Cell)에서 방전을 발생시키고 아울러 방전 셀의 방전을 유지한다.
이러한,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은 복수의 층(Layer)으 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광 투과율 및 전기 전도도를 고려하면 방전 셀 내에서 발생한 광을 외부로 방출시키며 아울러 구동 효율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은 불투명한 은(Ag) 재질의 버스 전극(702b, 703b)과 투명한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 ITO) 재질의 투명 전극(702a, 703a)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이 투명 전극(702a, 703a)을 포함하도록 하는 이유는, 방전 셀 내에서 발생한 가시 광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부로 방출될 때 효과적으로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아울러,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이 버스 전극(702b, 703b)을 포함하도록 하는 이유는,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이 투명 전극(702a, 703a)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투명 전극(702a, 703a)의 전기 전도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구동 효율이 감소할 수 있어서, 이러한 구동 효율의 감소를 야기할 수 있는 투명 전극(702a, 703a)의 낮은 전기 전도도를 보상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이 형성된 전면 기판(701)의 상부에는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을 덮도록 유전체 층, 바람직하게는 상부 유전체 층(704)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유전체 층(704)은 스캔 전극(702, Y) 및 서스테인 전극(703, Z)의 방전 전류를 제한하며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 간을 절연 시킨다.
이러한, 상부 유전체 층(704) 상면에는 방전 조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호 층(705)이 형성된다. 이러한 보호 층(705)은 산화마그네슘(MgO) 등의 재료를 상부 유전체 층(704) 상부에 증착하는 방법 등을 통해 형성된다.
한편, 후면 기판(711) 상에 형성되는 전극, 바람직하게는 어드레스 전극(713, X)은 방전 셀에 데이터(Data)를 공급한다.
이러한 어드레스 전극(713, X)이 형성된 후면 기판(711)의 상부에는 어드레스 전극(713, X)을 덮도록 유전체 층, 바람직하게는 하부 유전체 층(715)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유전체 층(715)은 어드레스 전극(713, X)을 절연시킨다.
이러한 하부 유전체 층(715)의 상부에는 방전 공간 즉, 방전 셀을 구획하기 위한 스트라이프 타입(Stripe Type) 또는 웰 타입(Well Type) 등의 격벽(71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면 기판(701)과 후면 기판(711)의 사이에서 적색(Red : R), 녹색(Green : G), 청색(Blue : B) 등의 방전 셀이 형성된다.
여기서, 격벽(7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소정의 방전 가스가 채워진다.
아울러, 격벽(7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 시 화상표시를 위한 가시 광을 방출하는 형광체 층(714)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적색(Red : R), 녹색(Green : G), 청색(Blue : B) 형광체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스캔 전극(702, Y), 서스테인 전극(703, Z) 또는 어드레스 전극(713, X)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으로 구동 전압이 공급되면, 격벽(7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서 방전이 발생한다.
그러면, 방전 셀 내에 채워진 방전 가스에서 진공 자외선이 발생하고, 이러한 진공 자외선이 방전 셀 내에 형성된 형광체 층(714)에 가해진다. 그러면, 형광체 층(714)에서 소정의 가시광선이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된 가시광선이 상부 유전체 층(704)이 형성된 전면 기판(701)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고, 이에 따라 전면 기판(701)의 외부 면에 소정의 영상이 표시된다.
다음,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살펴보면, 스캔 전극(702, Y)은 방전 셀(840) 내에서 방전 셀(84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캔 전극(702, Y)은 버스 전극(702b)과 투명 전극(702a)을 포함하고, 아울러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방전 셀(840) 내에서 스캔 전극(702, Y)의 투명 전극(702a)은 버스 전극(702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투명 전극(702a)은 방전 셀(840)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다.
아울러 투명 전극(702a)은 버스 전극(702b)에 인접하고 그 가로 방향의 평균 폭이 제 2 폭(W2)인 제 1 부분(810)과, 제 1 부분(810)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그 가 로 방향의 평균 폭이 제 1 폭(W1)인 제 2 부분(80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2 부분(800)의 제 1 폭(W1)은 제 1 부분(810)의 제 2 폭(W2)보다 더 넓다.
여기서 제 1 부분(810)은 방전 셀(840)의 중심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가로 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제 2 부분(800)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폭을 갖는다.
또한,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방전 셀(840) 내에서 서스테인 전극(703, Z)의 투명 전극(703a)도 버스 전극(703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투명 전극(703a)은 방전 셀(840)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서스테인 전극(703, Z)의 투명 전극(703a)은 버스 전극(703b)에 인접하고 그 가로 방향의 폭이 제 2′ 폭(W2′)인 제 3 부분(830)과, 제 3 부분(830)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그 가로 방향의 폭이 제 1′ 폭(W1′)인 제 4 부분(8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4 부분(820)의 제 1′ 폭(W1′)은 제 3 부분(830)의 제 2′ 폭(W2′)보다 더 넓다.
여기서 제 3 부분(830)은 방전 셀(840)의 중심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가로 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제 4 부분(820)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폭을 갖는다.
이와 같이, 스캔 전극(702)의 폭을 방전 셀(840)의 중심부분에서 상대적으로 더 넓게 하게 되면 방전 셀(840) 내에서 스캔 전극(702)과 서스테인 전극(703)이 마주보는 영역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스캔 전극(702)과 서스테인 전극(703)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방전의 효율이 향상된다.
특히, 여기 도 8과 같이 스캔 전극(702, Y)의 폭을 방전 셀(840)의 중심부분에서 상대적으로 더 넓게 하면서, 이와 함께 서스테인 전극(703, Z)의 폭을 방전 셀(840)의 중심부분에서 상대적으로 더 넓게 하면 스캔 전극(702)과 서스테인 전극(703)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방전의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다음, 도 9a 내지 도 9c는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의 또 다른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9a를 살펴보면 스캔 전극(702, Y)의 투명 전극(702a)은 버스 전극(702b)에 인접하고 그 가로 방향의 폭이 제 4 폭(W4)인 제 1 부분(910)과, 제 1 부분(910)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그 가로 방향의 폭이 제 3 폭(W3)인 제 2 부분(90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2 부분(900)의 제 3 폭(W3)은 제 1 부분(910)의 제 4 폭(W4)보다 더 넓다.
여기서 제 1 부분(910)은 가로 방향의 폭이 제 4 폭(W4)으로 실질적으로 균일하고, 제 2 부분(900)도 가로 방향의 폭이 제 3 폭(W3)으로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또한, 서스테인 전극(703, Z)의 투명 전극(703a)은 버스 전극(703b)에 인접하고 그 가로 방향의 폭이 제 4′ 폭(W4′)인 제 3 부분(930)과, 제 3 부분(930)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그 가로 방향의 폭이 제 3′ 폭(W3′)인 제 4 부분(920)을 포함 한다.
이러한 제 4 부분(920)의 제 3′ 폭(W3′)은 제 3 부분(930)의 제 4′ 폭(W4′)보다 더 넓다.
여기서 제 3 부분(930)은 가로 방향의 폭이 제 4′ 폭(W4′)으로 실질적으로 균일하고, 제 4 부분(920)도 가로 방향의 폭이 제 3′ 폭(W3′)으로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이와 같이, 스캔 전극(702, Y) 또는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을 'T' 자 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 도 9b를 살펴보면 스캔 전극(702, Y)은 제 7 폭(W7)을 갖는 제 1 부분(950c)과, 제 1 부분(950c)의 제 7 폭(W7)보다는 넓은 제 6 폭(W6)을 갖는 제 2 부분(950b)과, 제 2 부분(950b)의 제 6 폭(W6)보다는 넓은 제 5 폭(W5)을 갖는 제 3 부분(950a)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캔 전극(702, Y)의 투명 전극(702a)은 버스 전극(702b)에 인접하고 그 가로 방향의 평균 폭이 제 7 폭(W7)인 제 1 부분(950c)과, 전술한 제 7 폭(W7)보다는 넓은 제 6 폭(W6)인 제 2 부분(950b)과, 제 2 부분(950b)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그 가로 방향의 폭이 전술한 제 6 폭(W6)보다는 넓은 제 5 폭(W5)인 제 3 부분(950a)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부분(950c)과 제 2 부분(95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가로 방향의 폭이 방전 셀(990)의 중심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점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3 부분(950a)은 그 폭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예를 들면, 여기 도 9b와 같이 제 1 부분(950c)은 가로 방향의 폭이 방전 셀(990)의 중심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제 2 부분(950b)은 가로 방향의 폭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다시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제 3 부분(950a)은 가로 방향의 폭이 제 5 폭(W5)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아울러, 서스테인 전극(703, Z)도 제 7′ 폭(W7′)을 갖는 제 4 부분(960c)과, 제 4 부분(940c)의 제 7′ 폭(W7′)보다는 넓은 제 6′ 폭(W6′)을 갖는 제 5 부분(960b)과, 제 5 부분(960b)의 제 6′ 폭(W6′)보다는 넓은 제 5′ 폭(W5′)을 갖는 제 6 부분(960a)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서스테인 전극(703, Z)의 투명 전극(703a)은 버스 전극(703b)에 인접하고 그 가로 방향의 평균 폭이 제 7′ 폭(W7′)인 제 4 부분(960c)과, 전술한 제 7′ 폭(W7′)보다는 넓은 제 6′ 폭(W6′)인 제 5 부분(960b)과, 제 5 부분(960b)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그 가로 방향의 폭이 전술한 제 6′ 폭(W6′)보다는 넓은 제 5′ 폭(W5′)인 제 6 부분(960a)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3 부분(960c)과 제 4 부분(96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가로 방향의 폭이 방전 셀(990)의 중심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점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6 부분(960a)은 그 폭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여기 도 9b와 같이 제 4 부분(960c)은 가로 방향의 폭이 방전 셀(990)의 중심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제 5 부분(960b)은 가로 방향의 폭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다시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제 6 부분(950a)은 가로 방향의 폭이 제 5′ 폭(W5′)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다음, 도 9c를 살펴보면 스캔 전극(702, Y)은 제 40 폭(W40)을 갖는 제 1 부분(970d)과, 제 1 부분(970d)의 제 40 폭(W40)보다는 넓은 제 30 폭(W30)을 갖는 제 2 부분(970c)과, 제 2 부분(970c)의 제 30 폭(W30)보다는 넓은 제 20 폭(W20)을 갖는 제 3 부분(970b)과, 제 3 부분(970b)의 제 20 폭(W20)보다는 넓은 제 10 폭(W10)을 갖는 제 4 부분(970a)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캔 전극(702, Y)의 투명 전극(702a)은 버스 전극(702b)에 인접하고 그 가로 방향의 평균 폭이 제 40 폭(W40)인 제 1 부분(970d)과, 제 1 부분(970d)과 연속되게 형성되고 그 가로 방향의 평균 폭이 전술한 제 40 폭(W40)보다는 더 넓은 제 30 폭(W30)인 제 2 부분(970c)과, 제 2 부분(970c)과 연속되게 형성되고 그 가로 방향의 평균 폭이 전술한 제 30 폭(W30)보다는 넓은 제 20 폭(W20)인 제 3 부분(970b)과, 제 3 부분(970b)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그 가로 방향의 폭이 전술한 제 20 폭(W20)보다는 넓은 제 10 폭(W10)인 제 4 부분(970a)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부분(970d), 제 2 부분(970c) 또는 제 3 부분(97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가로 방향의 폭이 방전 셀(990)의 중심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점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4 부분(970a)은 그 폭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여기 도 9c와 같이 제 1 부분(970d)은 그 가로 방향의 폭이 제 40 폭(W40)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제 2 부분(970c)은 가로 방향의 폭이 방전 셀(990)의 중심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제 3 부분(970b)은 가로 방향의 폭이 제 20 폭(W20)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제 4 부분(970a)은 가로 방향의 폭이 제 10 폭(W10)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아울러, 서스테인 전극(703, Z)도 전술한 스캔 전극(702, Y)과 유사하게 제 40′ 폭(W40′)을 갖는 제 5 부분(980d)과, 제 5 부분(980d)의 제 40′ 폭(W40′)보다는 넓은 제 30′ 폭(W30′)을 갖는 제 6 부분(980c)과, 제 6 부분(980c)의 제 30′ 폭(W30′)보다는 넓은 제 20′ 폭(W20′)을 갖는 제 7 부분(980b)과, 제 7 부분(980b)의 제 20′ 폭(W20′)보다는 넓은 제 10′ 폭(W10′)을 갖는 제 8 부분(980a)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캔 전극(702, Y)의 투명 전극(702a)은 버스 전극(702b)에 인접하고 그 가로 방향의 평균 폭이 제 40′ 폭(W40′)인 제 5 부분(980d)과, 제 5 부분(980d)과 연속되게 형성되고 그 가로 방향의 평균 폭이 전술한 제 40′ 폭(W40′)보다는 더 넓은 제 30′ 폭(W30′)인 제 6 부분(980c)과, 제 6 부분(980c)과 연속되게 형성되고 그 가로 방향의 평균 폭이 전술한 제 30′ 폭(W30′)보다는 넓은 제 20′ 폭(W20′)인 제 7 부분(980b)과, 제 7 부분(980b)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그 가로 방향의 폭이 전술한 제 20′ 폭(W20′)보다는 넓은 제 10′ 폭(W10′)인 제 8 부분(980a)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5 부분(980d), 제 6 부분(980c) 또는 제 7 부분(98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가로 방향의 폭이 방전 셀(990)의 중심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점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8 부분(980a)은 그 폭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여기 도 9c와 같이 제 5 부분(980d)은 그 가로 방향의 폭이 제 40′ 폭(W40′)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제 6 부분(980c)은 가로 방향의 폭이 방전 셀(990)의 중심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제 7 부분(980b)은 가로 방향의 폭이 제 20′ 폭(W20′)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제 8 부분(980a)은 가로 방향의 폭이 제 10′ 폭(W10′)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스캔 전극(702, Y) 또는 서스테인 전극(703, Z)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 도 10은 버스 전극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살펴보면,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은 투명 전극(702a, 703a)과 버스 전극(702b, 703b)을 포함한다.
여기서, 버스 전극(702b, 703b)은 소정의 패턴(Pattern)을 갖는다. 예를 들면,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들이 형성되는 패턴을 갖는다.
이러한 버스 전극(702b, 703b)은 방전 셀의 크기, 방전 셀 내의 방전 가스의 조성 등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도 11은 버스 전극만으로 이루어지는 스캔 전극 또는 서스테인 전극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살펴보면, 앞선 도 7과는 다르게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이 하나의 층(Layer)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불투명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에서는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은 각각 투명 전극(702a, 703a)과 버스 전극(702b, 703b)으로 이루어지는데, 여기 도 11에서는 도 7의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에서 투명 전극(702a, 703a)을 생략하고, 버스 전극(702b, 703b)만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스캔 전극(702, Y) 또는 서스테인 전극(703, Z)을 버스 전극만으로 형성하게 되면, 스캔 전극(702, Y) 또는 서스테인 전극(703, Z)의 전기 전도도가 향상되어, 방전 효율이 더욱 증가한다.
한편, 스캔 전극(702, Y) 또는 서스테인 전극(703, Z)이 버스 전극을 포함하는 경우에, 이러한 버스 전극에 의한 반사광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블랙 층(Black Layer)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버스 전극에 의한 반사광을 방지하는 블랙 층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2a를 살펴보면 앞선 도 11에서와 같이 스캔 전극(702, Y) 또는 서스테인 전극(703, Z)이 버스 전극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이러한 버스 전극은 은(Ag) 등의 전기 전도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이 스 캔 전극(702, Y) 또는 서스테인 전극(703, Z)에 반사됨으로써 시청자의 눈에 눈부심을 유발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면 기판(701)과 스캔 전극(702, Y) 또는 서스테인 전극(703, Z)의 사이에 블랙 층(1200)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스캔 전극(702, Y) 또는 서스테인 전극(703, Z)의 일부는 실질적으로 블랙 층(1200)과 중첩(Overlap) 된다.
그러면,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12b를 살펴보면 앞선 도 7과 같이 스캔 전극(702, Y) 또는 서스테인 전극(703, Z)이 투명 전극(702a, 703a)과 버스 전극(702b, 703b)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투명 전극(702a, 703a)과 버스 전극(702b, 703b)의 사이에 블랙 층(1210)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버스 전극(702b, 703b)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반사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 도 13a 내지 도 13c는 블랙 층의 또 다른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3a를 살펴보면 방전 셀(1300)내에는 스캔 전극(702, Y) 또는 서스테인 전극(703, Z)이 형성되고, 인접하는 다른 방전 셀 간에는 각각의 방전 셀을 구획하는 격벽(712)이 위치된다.
이러한 격벽(712)은 보통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반사한다.
따라서 이러한 격벽(712)에 의한 반사광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인접하는 방전 셀을 구획하는 격벽(712)의 상부에 대응되는 지점에 블랙 층(1310)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면 기판(미도시)과 후면 기판(712)의 사이에서 방전 셀(1300)을 구획하는 격벽(712)의 상부에 대응되도록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의 사이에 블랙 층(1310)이 형성된다.
여기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캔 전극(702, Y)의 투명 전극(702a)과 버스 전극(702b)의 사이에 형성되는 블랙 층과 서스테인 전극(703, Z)의 투명 전극(702a)과 버스 전극(703b)의 사이에 형성되는 블랙 층을 하나의 블랙 층(1310)으로 통합하여 형성한다. 그러면 이러한 통합된 블랙 층(1310)이 서스테인 전극(703, Z)의 버스 전극(703b), 스캔 전극(702, Y)의 버스 전극(702b) 및 격벽(712)을 한꺼번에 가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블랙 층(1310)의 제조 공정 수, 제조 공정 시간 및 제조 단가가 저감된다.
이러한 도 13a의 경우는 스캔 전극(702, Y), 서스테인 전극(703, Z), 스캔 전극(702, Y), 서스테인 전극(703, Z)의 순서로 전극들이 배치되는 경우이다.
다음, 도 13b를 살펴보면 전면 기판(미도시)의 상에서 스캔 전극(702, Y), 스캔 전극(702, Y), 서스테인 전극(703, Z), 서스테인 전극(703, Z)의 순서로 전극들이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에 도 13a의 경우와 같이 블랙 층을 통합하기 위해서는 전면 기판(미도시)과 후면 기판(712)의 사이에서 방전 셀(1320)을 구획하는 격벽(712)의 상부에 대응되도록 스캔 전극(702, Y)과 스캔 전극(702, Y)의 사이 및 서스테인 전 극(703, Z)과 서스테인 전극(703, Z)의 사이에 각각 블랙 층(1330a, 1330b)을 형성한다.
다음. 도 13c를 살펴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정전 용량(C)을 저감시키기 위해 격벽(712)의 사이에 채널(Channel : 1340a, 1340b)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앞선 도 13a에서와 같이 격벽(712)의 상부에 대응되도록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의 사이에 블랙 층(1310)을 형성하게 되면, 채널(1340a, 1340b)까지도 가릴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방법에 적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기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살펴보면, 전면 기판(701)의 내면에는 다른 두께를 갖는 지점(B, C, D)이 포함된다.
예컨대, 전면 기판(701)의 B, C, D 지점의 두께는 t2이고, 다른 지점의 두께는 t1이다. 이와 같이, 전면 기판(701)의 두께를 차등적으로 형성하게 되면, 전면 기판(701) 상에 형성되는 상부 유전체 층, 보호 층 등의 두께를 차등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음, 도 15는 차등적인 두께를 갖는 전면 기판을 이용한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살펴보면, 앞선 도 14와 같이 두께가 차등적인 전면 기판(701)의 내면에 (a)와 같이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면 기판(701) 상에서 두께가 t1로 상대적으로 얇은 B, C, D 지점의 양쪽에 각각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이 형성된다.
이후, (b)에서와 같이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이 형성된 전면 기판(712)의 상부에 상부 유전체 층(704)이 형성된다.
그러면, 전면 기판(701)의 B, C, D 지점에 대응되는 상부 유전체 층(704)의 B′, C′, D′ 지점에는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함몰부는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 간의 방전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16을 결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6은 함몰부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살펴보면, 스캔 전극(702, Y)에 음(-)의 구동 전압이 공급되고, 서스테인 전극(703, Z)에 양(+)의 구동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에, 스캔 전극(702, Y)에 대응되는 지점의 상부 유전체 층(704)은 음의 구동 전압에 의해 양의 전압을 띄도록 분극이 발생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 유전체 층(704)이 양의 전압을 띄도록 분극이 발생되는 것을 양의 전하들이 모이는 것으로 대체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서스테인 전극(703, Z)에 대응되는 지점의 상부 유전체 층(704)은 양의 구동 전압에 의해 음의 전압을 띄도록 분극이 발생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 유전체 층(704)이 음의 전압을 띄도록 분극이 발생되는 것을 음의 전하들이 모이는 것으로 대체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부 유전체 층(704)에 소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함몰부의 주위로 양 전하와 음 전하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양으로 모이게 된 다.
이에 따라,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의 사이에서 보다 용이하게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결국 상부 유전체 층(704)에 함몰부가 형성됨으로써, 스캔 전극(702, Y)과 서스테인 전극(703, Z) 간에 발생하는 방전의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방법이 적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기판의 외면에는 필름 필터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1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방법이 적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기판 상에 필름 필터(Film Filter)가 형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살펴보면, 앞선 도 7과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기판(701)의 외면에 필름 필터(1700)가 형성된다. 즉, 전면 기판(701)의 외면에 필름 필터(1700)의 형태의 영상 필터가 형성된다.
이러한 필름 필터(17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구동 시 발생하는 전자파 장애(EMI)를 저감하기 위해 전자파 차폐층, 근적외선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근적외선 차폐층, 컬러층 등의 다양한 기능성 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앞선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셋업 기간과 셋다운 기간을 포함하는 리셋 기간 이후의 어드레스 기간에서는 인덕터(Inductor)를 갖는 회로를 통한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제 3 펄스가 어드레스 전극(X)에 공급되는데, 이러한 인덕터를 갖는 회로는 에너지 리커버리(Recovery)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에너지 리커버리 기능을 갖는 인덕터를 갖는 회로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8은 에너지 리커버리 기능을 갖는 인덕터를 갖는 회로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살펴보면, 에너지 리커버리 기능을 갖는 인덕터를 갖는 회로는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 소자부(Data Drive Integrated Circuit, 1800)와, 데이터 전압 공급 제어부(1810) 및 에너지 회수 회로부(1820)를 포함한다.
데이터 전압 공급 제어부(1810)는 데이터 전압 공급 제어 스위치부(Q1)를 포함하고, 이러한, 데이터 전압 공급 제어 스위치부(Q1)의 스위칭(Switching) 동작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전압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Vd)을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 소자부(1800)로 공급한다.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 소자부(180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 전극(X)에 접속되고, 자신에게 공급되는 전압을 미리 정해진 스위칭(Switching) 동작을 통해 어드레스 전극(X)에 공급한다.
이러한,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 소자부(1800)는 데이터 전압 공급 제어부(1810) 및 에너지 회수 회로부(1820)로부터 독립되어 하나의 모듈(Module)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TCP(Tape Carrier Package) 상에 하나의 칩(Chip)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러한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 소자부(1800)는 탑(Top) 스위치부(Qt) 와 바텀(Bottom) 스위치부(Q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탑 스위치부(Qt)의 일단은 데이터 전압 공급 제어부(1810) 및 에너지 회수 회로부(1820)와 공통 연결되고, 타단은 바텀 스위치부(Qb)의 일단과 연결된다.
또한, 바텀 스위치부(Qb)의 타단은 접지(GND)되고, 탑 스위치부(Qt)의 타단과 바텀 스위치부(Qb)의 일단의 사이, 즉 제 2 노드(n2)는 어드레스 전극(X)과 접속된다.
에너지 회수 회로부(1820)는 에너지 저장부(1821), 에너지 공급 제어부(1822), 에너지 회수 제어부(1823) 및 인덕터부(1824)를 포함한다.
에너지 저장부(1821)는 에너지 저장용 캐패시터부(C)를 포함하고, 이러한 에너지 저장용 캐패시터부(C)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 전극(X)에 공급할 에너지를 저장하며, 아울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 전극(X)으로부터 회수된 무효 에너지를 저장한다.
에너지 공급 제어부(1822)는 에너지 공급 제어 스위치부(Q2)를 포함하고, 이러한 에너지 공급 제어 스위치부(Q2)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용 캐패시터부(C)로부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 전극(X)으로 공급되는 에너지의 공급 경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에너지 공급 제어부(1822)는 그 일단이 전술한 에너지 저장용 캐패시터부(C)와 연결된다.
이러한, 에너지 공급 제어부(1822)에는 에너지 공급 제어 스위치부(Q2)를 통 해 에너지 저장부(1821)로 역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부(D3)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너지 회수 제어부(1823)는 에너지 회수 제어 스위치부(Q3)를 포함하고, 이러한 에너지 회수 제어 스위치부(Q3)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 전극(X)으로부터 에너지 저장용 캐패시터부(C)로 회수되는 에너지의 회수 경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에너지 회수 제어부(1823)는 그 일단이 전술한 에너지 저장용 캐패시터부(C) 및 에너지 공급 제어부(1822)와 공통 연결된다.
이러한, 에너지 회수 제어부(1823)에는 에너지 저장부(1821)로부터 에너지 회수 제어 스위치부(Q3)로 역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부(D4)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덕터부(1824)는 공진용 인덕터(L)를 포함하고, 이러한 공진용 인덕터(L)를 이용하여 전술한 에너지 저장부(1821)에 저장된 에너지가 LC공진을 통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 전극(X)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아울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무효 에너지가 LC공진을 통해 에너지 저장부(1821)로 회수되도록 한다.
이러한, 도 18의 회로의 동작을 첨부된 도 19a 내지 도 19e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9a 내지 도 19e는 도 18의 인덕터를 갖는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9a를 살펴보면 앞선 도 5에서와 같이 상승 기간, 유지 기간, 상승 기간을 갖는 제 3 펄스를 어드레스 전극(X)에 공급하기 위한 도 18의 인덕터를 갖는 회로의 스위칭 타이밍(Timing)이 나타나 있다.
상승 기간, 즉 d1기간에서는 에너지 회수 회로부(1820)의 에너지 공급 제어부(1822)의 에너지 공급 제어 스위치부(Q2)가 온 되고, 또한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 소자부(1800)의 탑 스위치부(Qt)가 온 된다.
아울러, 에너지 회수 회로부(1820)의 에너지 회수 제어 스위치부(Q3), 데이터 전압 공급 제어부(1810)의 데이터 전압 공급 제어 스위치부(Q1) 및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 소자부(1800)의 바텀 스위치부(Qb)는 각각 오프(Off) 된다.
그러면, 도 19b에서와 같이 에너지 저장부(1821)의 에너지 저장용 캐패시터부(C)에 저장된 에너지가 에너지 공급 제어부(1822), 인덕터부(1824) 및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 소자부(1800)의 탑 스위치부(Qt)를 통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 전극(X)으로 공급된다.
이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 전극(X)으로 공급되는 에너지의 전압은 인덕터부(1824)에서 LC공진이 발생함으로써 상승 기간, 즉 d1기간에서와 같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점진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즉, 제 3 펄스의 전압이 그라운드(GND)) 레벨의 전압으로부터 데이터 전압(Vd)까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것이다.
이러한 d1기간에서와 같이 어드레스 전극(X)으로 데이터 전압(Vd)이 공급된 이후에는 유지 기간 즉, d2에서와 같이, 어드레스 전극(X)으로 데이터 전압(Vd)의 전압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어드레스 전극(X)으로 데이터 전압(Vd)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전압 공급 제어부(1810)의 데이터 전압 공급 제어 스위치부(Q1)와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 소자부(1800)의 탑 스위치부(Qt)가 온(On) 되고, 에너지 회수 회로부(1820)의 에너지 공급 제어 스위치부(Q2), 에너지 회수 제어 스위치부(Q3) 및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 소자부(1800)의 바텀 스위치부(Qb)는 각각 오프(Off) 된다.
그러면, 도 19c에서와 같이 데이터 전압(Vd)이 데이터 전압 공급 제어부(1810)의 데이터 전압 공급 제어 스위치부(Q1)를 통해, 제 1 노드(n1)을 거쳐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 소자부(1800)의 탑 스위치부(Qt)를 지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 전극(X)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 3 펄스의 전압이 데이터 전압(Vd)을 d2기간 즉, 유지 기간 동안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d2기간에서와 같이 어드레스 전극(X)으로 데이터 전압(Vd)이 공급된 이후에는 하강 기간 즉, d3기간에서와 같이, 어드레스 전극(X)으로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전압이 공급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 전극(X)에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전압이 공급되는 d3기간에서는 에너지 회수 회로부(1820)의 에너지 회수 제어부(1823)의 에너지 회수 제어 스위치부(Q3)가 온 되고, 또한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 소자부(1800)의 탑 스위치부(Qt)가 온 된다.
아울러, 에너지 회수 회로부(1820)의 에너지 공급 제어 스위치부(Q2), 데이 터 전압 공급 제어부(1810)의 데이터 전압 공급 제어 스위치부(Q1) 및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 소자부(1800)의 바텀 스위치부(Qb)는 각각 오프(Off) 된다.
그러면, 도 19d에서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무효 에너지가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 소자부(1800)의 탑 스위치부(Qt), 인덕터부(1824) 및 에너지 회수 제어부(1823)를 에너지 저장부(1821)의 에너지 저장용 캐패시터부(C)로 회수된다.
이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 전극(X)으로부터 회수되는 에너지의 전압은 인덕터부(1824)에서 LC공진이 발생함으로써 d3기간에서와 같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점진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3 펄스의 전압이 데이터 전압(Vd)으로부터 그라운드(GND) 레벨의 전압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 19d에서와 같이 어드레스 전극(X)으로 데이터 전압(Vd)이 공급된 이후에는 도 19e에서와 같이, 어드레스 전극(X)으로 그라운드 레벨(GND)의 전압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어드레스 전극(X)으로 그라운드(GND)의 전압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 소자부(1800)의 바텀 스위치부(Qb)가 온(On) 되고, 데이터 전압 공급 제어부(1810)의 데이터 전압 공급 제어 스위치부(Q1), 에너지 회수 회로부(1820)의 에너지 공급 제어 스위치부(Q2), 에너지 회수 제어 스위치부(Q3) 및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 소자부(1800)의 탑 스위치부(Qt)는 각각 오프(Off) 된다.
그러면, 도 19e에서와 같이 그라운드(GND) 레벨의 전압이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 소자부(1800)의 바텀 스위치부(Qb)를 지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 레스 전극(X)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에너지 리커버리 동작이 수행되고, 이러한 에너지 리커버리 동작을 통해 어드레스 전극(X)으로 제 3 펄스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에너지 리커버리에 동작에 의해 어드레스 전극(X)으로 제 3 펄스를 공급함으로써 소비되는 에너지를 저감시켜 구동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방법이 적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는 레코딩 장치를 구비한 피디피 텔레비전 세트(SET)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방법이 적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피디피 텔레비전 세트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살펴보면, 피디피 텔레비전 세트는 안테나부(2000), 튜너/복조부(2010), 디멀티플렉서부(2020), 영상 처리부(2030), 영상 출력부(2040), 음성 처리부(2050), 음성 출력부(2060), 제어부(2070), PVR부(2080)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90)을 포함한다.
튜너/복조부(2010)는 안테나부(2000)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채널 선택에 따른 방송신호를 선국한다.
디멀티플렉서부(2020)는 튜너/복조부(2010)에서 선국한 방송신호를 신호의 속성에 따라 분리한다.
영상 처리부(2030)는 디멀티플렉서부(2020)에서 분리한 소정의 영상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영상 처리한다.
영상 출력부(2040)는 영상 처리부(2030)가 처리한 영상 정보를 구동 신호의 형태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90)로 공급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90)은 영상 출력부(2040)로부터 공급받은 구동 신호에 따라 소정의 영상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90)은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음성 처리부(2050)는 디멀티플렉서부(2020)에서 분리한 소정의 음성정보를 사용자가 청취 가능하도록 음성 처리한다.
음성 출력부(2060)는 음성 처리부(2050)에서 음성 처리한 신호를 출력한다.
PVR부(Personal Video Recorder, 2080)는 하드 디스크(HDD : Hard Disk Drive)등의 음성 및 영상 정보의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이러한 저장 수단을 이용하여 전술한 디멀티플렉서부(2020)가 분리한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저장한다.
또는 PVR부(2080)는 영상 처리부(2030)가 영상 처리한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처리부(2050)가 음성 처리한 음성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2070)는 영상의 표시, 음성의 출력,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의 저장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피디피 텔레비전 세트는 방송 신호가 안테나부(2000)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 튜너/복조부(2010)는 수신된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방송신호를 제어부(20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국한다.
여기서, 디멀티플렉서부(2020)는 튜너/복조부(2010)에서 선국된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의 속성에 따라 분리한다. 이러한 디멀티플렉서부(2020)에서 소정의 영상정보, 음성정보, 부가정보로 분리된 정보는 영상 처리부(2030), 음성 처리부(2050)에 각각 공급된다.
그러면, 영상 처리부(2030)는 공급된 영상 정보를 시청 가능하도록 처리하고, 이러한 영상 처리부(2030)가 처리한 영상 정보는 영상 출력부(2040)를 거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90)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90)의 화면상에 영상이 표시된다.
또한, 음성 처리부(2050)는 공급되는 음성 정보를 청취 가능하도록 처리하고, 이러한 음성 처리부(2050)가 처리한 음성 정보는 음성 출력부(2060)를 통해 시청자가 청취가능 하도록 출력된다.
한편, 소정이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가 제어부(2070)의 제어에 따라 PVR부(2080)에 저장된다.
그러면, 시청자는 원하는 시간에 PVR부(2080)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또는 영상 정보를 시청 또는 청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 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 방법은 어드레스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3 펄스의 전압이 점진적으로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노이즈(Noise) 및 전자파 장애(EMI :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이 형성되는 전면 기판과, 상기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에 교차하는 어드레스 전극이 형성되는 후면 기판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한 프레임(Frame) 동안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리셋 기간 동안 제 1 전압에 도달하기 전까지 전압이 변하는 제 1 펄스가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단계;
    상기 리셋 기간 동안 제 1 펄스가 공급된 이후 제 2 전압에 도달하기 전까지 전압이 변하며, 상기 제 1 펄스와 반대인 극성을 갖는 제 2 펄스가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단계;
    상기 리셋 기간 이후의 어드레스 기간 동안 인덕터(Inductor)를 갖는 회로를 통한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제 3 펄스가 어드레스 전극에 공급되며, 상기 제 3 펄스는 상승 기간, 유지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상승 기간은 75ns(나노초)이상 300ns(나노초)이하인 단계;
    상기 어드레스 기간 동안 제 4 펄스가 스캔 전극에 공급되며, 상기 제 4 펄스의 일부는 제 3 펄스의 일부와 중첩되고, 상기 제 4 펄스의 최저 전압 레벨은 제 2 펄스의 최저 전압 레벨보다 더 낮고, 상기 제 4 펄스와 제 2 펄스의 최저 전압 레벨 간의 차이는 5V이상 50V이하의 크기를 갖는 단계;
    광을 발산하기 위한 서스테인 기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덕터를 갖는 회로를 통한 복수의 펄스가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단계; 및
    상기 서스테인 기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덕터를 갖는 다른 회로를 통한 복수의 펄스가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기간에서 제 1 펄스가 적용되는 동안 서스테인 전극에 제 5 펄스가 더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펄스는 음(Negative) 전압 레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펄스는 가변되는 전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펄스는 일정한 전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테인 기간 동안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복수의 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펄스는 상기 서스테인 기간 동안 스캔 전극에 공급되는 복수의 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펄스와 동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전극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보다 가로 방향의 폭이 더 넓은 제 2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보다 가로방향의 폭이 더 넓은 제 3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또는 제 2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방전 셀의 중심 방향으로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부분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전극은 버스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기판의 내면에는 다른 두께를 갖는 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기판의 외면에는 필름 필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전극들 사이 또는 서스테인 전극들 사이 또는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의 사이 영역에 블랙 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 소정의 부분이 실질적으로 블랙 층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를 갖는 회로는 에너지 리커버리(Recovery)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16.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는 레코딩 장치를 구비한 피디피 텔레비전 세트(SET)에 포함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리셋 기간 동안 제 1 전압에 도달하기 전까지 전압이 변하는 제 1 펄스가 공급되고, 상기 제 1 펄스가 공급된 이후 제 2 전압에 도달하기 전까지 전압이 변하며 상기 제 1 펄스와 반대인 극성을 갖는 제 2 펄스가 공급되고, 상기 리셋 기간 이후의 어드레스 기간 동안 제 4 펄스가 공급되고, 광을 발산하기 위한 서스테인 기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덕터를 갖는 회로를 통한 복수의 펄스가 공급되는 스캔 전극;
    상기 어드레스 기간 동안 인덕터(Inductor)를 갖는 회로를 통한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며, 상승 기간, 유지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상승 기간은 75ns(나노초)이상 300ns(나노초)이하인 제 3 펄스가 공급되는 어드레스 전극; 및
    상기 서스테인 기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덕터를 갖는 다른 회로를 통한 복수의 펄스가 공급되는 서스테인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펄스의 일부는 제 3 펄스의 일부와 중첩되고, 상기 제 4 펄스의 최저 전압 레벨은 제 2 펄스의 최저 전압 레벨보다 더 낮고, 상기 제 4 펄스와 제 2 펄스의 최저 전압 레벨 간의 차이는 5V이상 50V이하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전극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보다 가로 방향의 폭이 더 넓은 제 2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보다 가로방향의 폭이 더 넓은 제 3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전극은 버스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60023730A 2006-03-14 2006-03-1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867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730A KR100867598B1 (ko) 2006-03-14 2006-03-1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 방법
US11/634,258 US20070216606A1 (en) 2006-03-14 2006-12-06 Plasma display panel driving
EP06256298A EP1835482A3 (en) 2006-03-14 2006-12-11 Plasma display panel driving
CNB2006101622591A CN100492470C (zh) 2006-03-14 2006-12-13 等离子显示板驱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730A KR100867598B1 (ko) 2006-03-14 2006-03-1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645A KR20070093645A (ko) 2007-09-19
KR100867598B1 true KR100867598B1 (ko) 2008-11-10

Family

ID=38169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730A KR100867598B1 (ko) 2006-03-14 2006-03-1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216606A1 (ko)
EP (1) EP1835482A3 (ko)
KR (1) KR100867598B1 (ko)
CN (1) CN10049247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749A (ko) * 2007-04-13 2008-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7093A (ja) 1996-12-27 1998-07-14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トリクス表示装置の駆動回路およびマトリクス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01051648A (ja) 1999-08-13 2001-02-23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駆動方法及び駆動装置
KR20030001769A (ko) * 2001-06-27 2003-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20060001684A (ko) * 2004-06-30 2006-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4433B1 (en) * 1999-04-26 2002-07-02 Chad Byron Moore Plasma displays containing fibers
TW423006B (en) * 1998-03-31 2001-02-21 Toshiba Corp Discharge type flat display device
JP3600470B2 (ja) * 1998-06-22 2004-12-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511475B2 (ja) * 1999-01-14 2004-03-29 富士通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集積回路デバイス
JP2001189132A (ja) * 2000-01-05 2001-07-10 Sony Corp 交流駆動型のプラズマ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069583B2 (ja) * 2000-03-28 2008-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2298742A (ja) * 2001-04-03 2002-10-11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その製造方法及びプラズマ表示装置
JP4269133B2 (ja) * 2001-06-29 2009-05-27 株式会社日立プラズマパテントライセンシング Ac型pdpの駆動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6838828B2 (en) * 2001-11-05 2005-01-04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897564B2 (en) * 2002-01-14 2005-05-24 Plasmion Displays, Llc. Plasma display panel having trench discharge cells with one or more electrodes formed therein and extended to outside of the trench
CN1653509A (zh) * 2002-05-16 2005-08-1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对等离子显示板内垂直串扰的抑制
JP2004047333A (ja) * 2002-07-12 2004-02-12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装置及び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KR20040085699A (ko) * 2003-04-0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필터
JP4137013B2 (ja) * 2003-06-19 2008-08-20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60022602A (ko) * 2004-09-07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KR100590112B1 (ko) * 2004-11-16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647657B1 (ko) * 2004-11-18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방법
KR100607252B1 (ko) * 2005-02-23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 패널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JP4674106B2 (ja) * 2005-03-29 2011-04-20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692867B1 (ko) * 2005-05-10 2007-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7093A (ja) 1996-12-27 1998-07-14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トリクス表示装置の駆動回路およびマトリクス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01051648A (ja) 1999-08-13 2001-02-23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駆動方法及び駆動装置
KR20030001769A (ko) * 2001-06-27 2003-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20060001684A (ko) * 2004-06-30 2006-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38722A (zh) 2007-09-19
CN100492470C (zh) 2009-05-27
EP1835482A2 (en) 2007-09-19
KR20070093645A (ko) 2007-09-19
US20070216606A1 (en) 2007-09-20
EP1835482A3 (en) 201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1173C (zh) 驱动等离子体显示面板的方法和设备
US6677714B2 (en) Method for driving an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 and circuit therefor
KR10077486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6759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79303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50057174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and apparatus of driving the same
US7023404B2 (en) Method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with a priming electrode and structure therefor
KR10036367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2007011075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0576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080049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7965260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79416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2064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N101105900B (zh) 等离子体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KR10076550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1179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078475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0891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1154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8451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0187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1836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0153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11795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