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084B1 - Connector for confirming terminal mating - Google Patents
Connector for confirming terminal mat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66084B1 KR100866084B1 KR1020070022795A KR20070022795A KR100866084B1 KR 100866084 B1 KR100866084 B1 KR 100866084B1 KR 1020070022795 A KR1020070022795 A KR 1020070022795A KR 20070022795 A KR20070022795 A KR 20070022795A KR 100866084 B1 KR100866084 B1 KR 1008660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s
- terminal
- housing
- holder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자(1)들이 횡방향으로 열을 형성하며 수용되는 단자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단자들을 수용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을 측면에서 관통하며 상기 단자들의 위치를 고정하며 단자들의 위치를 보증하는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20)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들을 수용하는 공간에 상기 단자들이 결합될 수 있는 랜스(11)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내부를 관통하는 제1 관통공(12)과 제2 관통공(13)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20)는 단자들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길게 연장된 홀더부(21)와, 단자들의 결합위치를 보증하는 위치보증부(22)와, 상기 홀더부와 위치보증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23)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부는 상기 제1관통공을, 상기 위치보증부는 상기 제2 관통공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과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가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capable of confirming a terminal coupling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terminals (1) are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received therein, comprising a housing (10) for accommodating the terminals, and a side penetrating through the housing and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side holder 20 which fixes the position of the terminals and guarantees the position of the terminals, the housing comprising a lance 11 to which the terminals can be coupled in a space accommodating the terminals; A first through hole 12 and a second through hole 13 penetrating from the side to the inside thereof, and the terminal position assurance side holder 20 has a holder portion 21 extend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terminals; And a position guarantee portion 22 for assuring a coupling position of the terminals, and a connection portion 23 for connecting the holder portion and the position assurance portion, wherein the holder portion has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position assurance portion has the second pipe portion. Passing through the respective holes, the housing and the terminal position guarantee side holder is configured to be mutually coupled.
커넥터, 단자, 위치보증. Connector, terminal, position guarante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사시도.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position guarantee sid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 측면 단면도.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단자들이 횡방향으로 열을 형성하며 수용되는 단자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capable of ascertaining a terminal coupling in which at least two terminals are formed in a row in a transverse direction.
전기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커넥터와 커넥터, 또는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접속장치들을 결합시켜 통전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내부에 단자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나아가 다수개의 단자들을 한개의 커넥터에 수용하기도 한다.An electrical connector generally refers to a connector and a connector, or a device that connects and connects a connector to a connector to enable energization. Such a connector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terminals therein, and also accommodates a plurality of terminals in one connector.
이러한 커넥터는 전기적인 접속을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접속장치와의 확실한 전기적, 기계적 결합을 필수적인 사항으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확실한 결합을 보증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수단이 사용된다.Since these connectors are intended for electrical connections, certain electrical and mechanical couplings with other connectors are essential. Thus, various means are used to ensure this secure coupling.
TPA(terminal position assurance)는 단자가 커넥터에 수용되어 확실하게 커넥터와 결합되었는지를 검증하고 보증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되며, 홀더(holder)는 단자가 커넥터에 결합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시켜 주어 단자의 위치를 보증하는 장치로 사용된다.Terminal position assurance (TPA) is used as a device to verify and assure that the terminal has been received in the connector and is securely coupled to the connector.The holder keeps the terminal securely coupled to the connector. Used as a device to guarantee position.
상기 TPA는 통상적으로 커넥터의 전면에서 삽입되어 단자가 커넥터에 삽입되면 단자를 고정하는 랜스와 접촉가능하게 하여, 단자가 제자리에 결합되지 않으면 랜스가 TPA와 접촉되도록 하여 더 이상 TPA가 삽입되지 못하게 하여 단자의 결합불량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The TPA is typically inserted from the front of the connector to enable contact with the lance that holds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so that the lance contacts the TPA if the terminal is not in place, so that no further TPA can be inserted. Check the coupling failure of the terminal.
홀더는 커넥터의 측면이나 상면에서 삽입되어 단자의 일부와 겹쳐지도록 하여 단자의 커넥터에서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빠짐을 방지한다. 특히 커넥터의 측면에서 삽입되는 것을 사이드홀더(side holder)라고 한다.The holder is inserted at the side or top of the connector so that it overlaps with a portion of the terminal, preventing movement of the terminal in the connector and preventing it from being pulled out. In particular, the insert from the side of the connector is called a side holder (side holder).
하지만 상기와 같은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TPA와 사이드홀더가 별개의 부품으로 되어 있어서, 각자 제조되어 커넥터에 결합된다. 이런 경우 부품수가 증가하여 조립시간이 증가하고, 부품수 증가에 의한 작업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a connector generally has a separate part of the TPA and the side holder, so that they are manufactured and coupled to the connecto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increases the assembly time, a work defect caused by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TPA와 사이드홀더를 일체로 형성하여 조립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조립시간을 단축하며 작업불량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connector 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to form the TPA and the side holder integrally to improve the ease of assembly, to shorten the assembly time and to prevent work defec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인 구성을 가지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have the following technical configuration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자들이 횡방향으로 열을 형성하며 수용되는 단자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capable of confirming a terminal coupling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terminals form a row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are accommodated.
상기 단자(1)들을 수용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을 측면에서 관통하며 상기 단자들의 위치를 고정하며 단자들의 위치를 보증하는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20)를 포함하며,A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단자들을 수용하는 공간에 상기 단자들이 결합될 수 있는 랜스(11)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내부를 관통하는 제1 관통공(12)과 제2 관통공(13)을 포함하고,The
상기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20)는 단자들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길게 연장된 홀더부(21)와, 단자들의 결합위치를 보증하는 위치보증부(22)와, 상기 홀더부와 위치보증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23)를 포함하며,The terminal position
상기 홀더부(21)는 상기 제1관통공(12)을, 상기 위치보증부(22)는 상기 제2 관통공(13)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과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가 상호 결합되는 구성을 가진다. The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자들이 횡방향으로 열을 형성하며 수용되는 단자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에 사용되며, 상기 커넥터의 단자들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관통하여 단자들의 위치를 고정하며 단자들의 위치를 보증하는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에 관한 것으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connector capable of confirming the terminal coupling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terminals are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accommodated, through which the terminals of the connector are accommodat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terminals an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terminals. As for the guarantee of terminal position guarantee side holder,
상기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20)는 단자들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길게 연장된 홀더부(21)와, 단자들의 결합위치를 보증하는 위치보증부(22)와, 상기 홀더부와 위치보증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23)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terminal position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단자와 와이어에는 공지의 형상이기 때문에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o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terminal and the wire have a known shape, they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에 도시되었듯이,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단자들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측면에서 관통하며 상기 단자들의 위치를 고정하며 단자들의 위치를 보증하는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terminals, and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side holder for penetrating the housing from the side and fixing the positions of the terminals and ensuring the positions of the terminals. .
상기 하우징(10)은 단자가 수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은 양측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단자가 수용될 수 있으며 타 단자와 접속이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은 단자의 결합 공간을 제공할 뿐 아니라, 단 자의 파손이나 안전사고 등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The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들을 수용하는 공간에 상기 단자들이 결합될 수 있는 랜스(11)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내부를 관통하는 제1 관통공(12)과 제2 관통공(13)을 포함하려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CPA(connector position assurance)(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The housing is intended to include a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랜스(11)는 탄성을 가지며 단자가 수용되면 단자가 걸려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랜스는 일반적인 커넥터에 사용되는 구조로 공지의 기술이다.As can be seen in Figure 4, the
도 1에서 상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은 단자위치사이드홀더가 관통하여 하우징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In FIG. 1,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re configured to allow the terminal position side holder to penetrate and engage with the housing.
상기 CPA(connector position assurance)는 도 1에 도시되었듯이, 커넥터위치보증수단으로 커넥터간의 결합시에 레버(14)가 임의로 작동하지 않도록 보증한다.The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PA), as shown in Fig. 1, ensures that the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20)는 단자들의 위치를 하우징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길게 연장된 홀더부와, 단자들의 결합위치를 보증하는 위치보증부와, 상기 홀더부와 위치보증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can be seen in Figure 3, the terminal position
상기 홀더부(21)는 길게 연장된 막대형의 구성으로, 상기 하우징의 제1 관통공으로 관통되어, 하우징내에서 상기 단자들을 고정한다. 일반적인 단자들은 단자의 일측면에 걸림홈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단자들이 일렬로 나열되면 상기 막대형의 홀더부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며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그에 따라 도 4와 같이 상기 단자들은 상기 홀더부에 의해 하우징내에서 고정되어 위치가 변하지 않게 된다.The
상기 위치보증부(22)는 하우징내에 수용된 단자들이 제대로 랜스와 결합이 되었는지를 확일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우징내에서 단자들의 위치를 보증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상기 위치보증부(22)는 상기 단자들이 타 커넥터의 단자들과 결합되는 관통로가 상기 단자들의 배열에 맞게 형성된 결합통로부(24)와, 상기 결합통로부의 상기 렌스와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단자측으로 돌출연장되되 단부에 이르러 경사를 가지며 단면이 줄어들도록 형성된 랜스접촉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결합통로부(24)는 도 3에 도시되었듯이, 상기 위치보증부의 전면에 다수개의 관통로가 배열된 형태로 있으며, 단자가 통과가능하여 접속이 되게 한다.As shown in FIG. 3, the
상기 랜스접촉부(25)는 렌스와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단자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단부로 갈수록 경사를 가지며 단면이 줄어들도록 되어 있다. 단자가 랜스에 미결합되는 경우, 랜스가 탄성변형되어 돌출되어 있게 되므로, 상기 위치보증부가 상기 제2 관통공을 통해 진입할때 상기 랜스접촉부가 상기 랜스와 필연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상기 위치보증부의 진입을 방해하게 된다. The
상기 연결부(23)는 상기 위치보증부와 상기 홀더부를 연결하는 구성이다.The connecting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부와 상기 위치보증부와 상기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구조적으로나 비용적으로 효율적이다. More preferably, the holder portion, the position assurance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and structurally and cost-effectively.
한편 상기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로, 상기 하우징과의 결합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었듯이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가 진입하는 측면으로 상기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측으로 돌출된 고정부(15)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정부가 관통할 수 있는 제3 관통공(26)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Meanwhile, as another possible embodiment of the terminal position assurance side holder, the coupling with the housing can be more stably maintained. As shown in FIG. 5, the housing is configured to include a
상기 고정부(15)는 도 5와 같이 상부가 일정간격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갈라져 탄성을 유지하며 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되, 단부가 외측에서부터 내측으로 경사져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3 관통공을 통과한 후에 상단이 벌어져 상기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우선적으로 하우징에 단자들을 결합시킨다. 단자는 하우징내에서 상기 랜스에 의해 일차적으로 고정된다. 하지만, 상기 단자들이 상기 하우징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으면, 상기 랜스는 제 위치에 있지 못하고 돌출되어 위치한다.Priority couples the terminals to the housing. The terminal is first fixed in the housing by the lance. However, if the terminals are not fully coupled to the housing, the lance is not in place and is protrudingly positioned.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가 상기 하우징내로 도 2와 같이 진입하게 되면, 도 4와 같이 상기 홀더부가 상기 단자들의 위치를 확고히 고정시키게 된다. 하지만, 상기 단자들이 상기 하우징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으면, 상기 홀더부는 상기 단자에 걸려서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위치보증부는 상기 랜스접촉부가 상 기 하우징의 랜스에 걸려서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단자가 하우징에 완전히 결합되지 못하였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고, 단자의 위치를 보증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terminal position guarantee side holder enters into the housing as shown in FIG. 2, the holder part firmly fixes the positions of the terminals as shown in FIG. 4. However, if the terminals are not completely coupled to the housing, the holder part is caught by the terminal and cannot penetrate the housing, and the position assurance part prevents the lance contact part from being caught by the lance of the housing so as not to penetrate the housing. Thus, the operator knows that the terminal is not ful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can guarantee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짐을 밝혀 둔다.The above embodiment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claims.
본 발명은 상기 일체로 형성된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에 의해 부품수가 감소되고, 조립시간을 단축시키고 조립편의성을 증가시켜 작업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umber of parts by the terminal position assurance side holder formed integrally, shorten the assembly time and increase the ease of assembly can prevent work failur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2795A KR100866084B1 (en) | 2007-03-08 | 2007-03-08 | Connector for confirming terminal mat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2795A KR100866084B1 (en) | 2007-03-08 | 2007-03-08 | Connector for confirming terminal mat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2232A KR20080082232A (en) | 2008-09-11 |
KR100866084B1 true KR100866084B1 (en) | 2008-10-30 |
Family
ID=40021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2795A KR100866084B1 (en) | 2007-03-08 | 2007-03-08 | Connector for confirming terminal mat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6608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0705B1 (en) * | 2016-12-08 | 2024-03-25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using half fitting detection apparatus |
EP3766139B1 (en) * | 2018-03-12 | 2023-12-27 | J.S.T. Corporation | Electric connector with cpa |
KR102520973B1 (en) * | 2021-02-09 | 2023-04-13 | 몰렉스 엘엘씨 |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46965A (en) * | 2002-05-31 | 2003-12-05 | Sumitomo Wiring Syst Ltd | Connector |
-
2007
- 2007-03-08 KR KR1020070022795A patent/KR10086608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46965A (en) * | 2002-05-31 | 2003-12-05 | Sumitomo Wiring Syst Ltd |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2232A (en) | 2008-09-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97427B2 (en) | Connector housing equipped with an improved cable terminal position assurance (TPA) device | |
CN102282732B (en) | Grounding connector and wiring harness including the grounding connector | |
EP4358320A2 (en) |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connecto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onnector system | |
TWI709281B (en) | Plug contact set and method for checking a latching of the plug contact set | |
US7014511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CN101359785A (en) | connector terminal | |
CN107210560B (en) | Intermediate housing with CPA receiving member and plug-type connector system including the same | |
US9985380B2 (en) | Connector and position assurance member received therein | |
KR102039749B1 (en) | Joint connector assembly | |
US8308501B2 (en) | Solid state lighting assembly having a strain relief member | |
US5586917A (en) | Connector having an ascertainment hole for visually checking engagement | |
KR100866084B1 (en) | Connector for confirming terminal mating | |
KR101532053B1 (en) | Connector | |
CN114122757B (en) | Connector with position assurance element having contact receptacle | |
JP2007311346A (en) | Contact housing for electric plug-in connection | |
CA3021384C (en) | Plug contact set and method for checking an engagement of the plug contact set | |
KR200442919Y1 (en) | connector | |
KR20160007320A (en) | A connector assembly | |
US20240413561A1 (en) | Terminal Positioning Device | |
KR101352637B1 (en) | Dust-cap having tester | |
KR100731253B1 (en) | Female connector assembly | |
EP4451480A1 (en) | Housing assembly, plug connector and connection device | |
KR102385903B1 (en) | Connector | |
KR20240155126A (en) | Housing assembly, connector and connection device | |
CN118017267A (en) | Connector and continuity test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4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