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749B1 - Joint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Joint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9749B1 KR102039749B1 KR1020130044162A KR20130044162A KR102039749B1 KR 102039749 B1 KR102039749 B1 KR 102039749B1 KR 1020130044162 A KR1020130044162 A KR 1020130044162A KR 20130044162 A KR20130044162 A KR 20130044162A KR 102039749 B1 KR102039749 B1 KR 1020397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er
- housing
- terminal
- receptacle
- connector assemb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1071861 Lethrinus genivittat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기 단자와 하우징의 결합과,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간의 결합을 견고히 하고 부품수와 조립 공정을 줄일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는,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 상기 리셉터클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리셉터클 단자들의 신호를 연결하는 다수의 탭 단자, 상기 리셉터클 단자와 상기 탭 단자가 수용되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가 삽입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DETAILED DESCRIPTION A joint connector assembly is disclosed that can secure the coupling of an electrical terminal and a housing and the coupling between a joint connector assembly and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the assembly process. The joint connector assembly includes a plurality of receptacle terminals, a plurality of tab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eptacle terminals and connecting signals of the receptacle terminals, in which the receptacle terminal and the tab terminal are accommodated and the receptacle terminals are inserted. It comprises a housing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and a retainer slide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of the hous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접속을 위한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리셉터클 단자의 정상 결합 여부를 검출 가능하며,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작업공정을 축소시킨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t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ion, and to a joint connector assembly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or not a receptacle terminal is normally coupled and simplifying a structure and reducing a work process.
전기 커넥터는 전자 기기에서 다수의 전기선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어느 한 커넥터에는 전기선과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전기 단자가 배열되고, 이와 대응되는 타 커넥터에도 전기 단자가 배열되어, 커넥터의 하우징끼리 결합되면서 각 단자가 서로 통전되도록 접촉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어느 한 커넥터를 구성하는 전기 단자와 하우징의 결합은 전기 단자에 연결된 전기선이 당겨질 때 전기 단자가 하우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전기 단자에 형성된 홈에 하우징에서 돌출된 리테이너 지지부인 랜스가 끼워짐으로써 이탈을 방지하거나, 전기 단자와 하우징을 일측에 홈을 형성하여 외부에서 전기 단자와 하우징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걸림부재가 결합되어 전기 단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이 있다.An electrical connector is used to connect a plurality of electrical wires to each other in an electronic device. In one connector, a plurality of electrical terminal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wires are arranged, and electrical terminals are also arranged in other corresponding connectors, and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The terminals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terminal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coupling between the electrical terminal constituting the connector and the housing is such that the lance, which is a retainer support projecting from the housing, is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electrical terminal so that the electrical terminal does not leave the housing when the electrical wir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terminal is pulled. There is a configuration to prevent the separation, or to form a groove on one side of the electrical terminal and the housing is coupled to the engaging member fitted to the groove formed in the electrical terminal and the housing from the outside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electrical terminal.
한편, 커넥터와 커넥터의 결합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방식인 끼워지는 커넥터의 단면적이 점차 커지게 구성하거나, 타 커넥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커넥터의 내면 공간을 점차 작게 형성하여 강제끼움 시 꽉 끼워져 빠지지 않게 하는 구성을 가지거나, 어느 한 커넥터에 홈을 형성하고, 타 커넥터에는 이 홈에 걸리는 탄성 있는 고리를 형성하여, 홈과 고리의 결합에 의하여 커넥터간 결속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모두 커넥터의 결속을 견고하게 하는 측면에서는 유용하지만, 랜스(lance)를 이용한 전기 단자의 구속은 자동차와 같이 진동이 빈번한 환경에서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 랜스의 탄성이 진동에 의한 피로로 인하여 점차 감소되고, 랜스가 전기 단자의 홈을 지지할 수 없게 되어 결국 전기 단자가 커넥터에서 이탈됨으로써 전기 접속이 끊어지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upling of the connecto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nector, which is generally widely used, is gradually increased, or the inner space of the connector that accommodates the other connector is gradually made smaller to be tightly fitted during forced fitting. It was to have a constitution to prevent the fall, or to form a groove in one connector, the other connector to form an elastic ring to be caught in the groove,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 is made by the combination of the groove and the ring. While all of these conventional techniques are useful in terms of solidifying the binding of the connector, the restraint of electrical terminals using a lance is a fatigue caused by vibration of the lance elasticity when used for a long time in an environment where vibration is frequent such as a car. Due to this gradually decrease, the lance can not support the groove of the electrical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disconnected because the electrical terminal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이를 보완하는 걸림부재는 전기 단자와 하우징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지만, 각 커넥터마다 적어도 하나씩 별도의 부재로 준비하여야 하므로, 대량 생산에서 하우징과 걸림부재의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된다. 이는, 커넥터가 비교적 소형 부재이며, 전자 기기가 복잡할수록 사용 빈도가 증가함을 고려할 때, 생산성을 매우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커넥터와 커넥터 간의 결합시 각 커넥터마다 별도의 걸림부재가 필요하고, 커넥터의 형상에 따라 각 걸림부재도 서로 다르게 준비하여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 작업이 번거롭다.Complementary locking member can securely fix the electrical terminal and the housing, but should be prepared as a separate member at least for each connector, the productivity is reduced due to the time required for assembly of the housing and the locking member in mass production. This is a factor that significantly lowers the productivity, considering that the connector is a relatively small member and the frequency of use increases as the electronic device becomes more complicated. In addition, when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requires a separate locking member for each connector, an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nnector, each locking member must be prepared and assembled differently, which is cumbersome to assemble.
한편, 기존의 커넥터는 단자가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커넥터의 불량을 방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커넥터의 단자가 정위치에 삽입되지 않았을 때를 이를 조정하기 위한 리워크(rework) 작업이 번거롭고, 리테이너와 리어 홀더의 제작공정이 복잡한 문제 등 많은 불편함이 있어서, 이를 개선하는 제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하겠다.
On the other hand, the existing connector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terminal is inserted,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failure of the connector. In addition, there is a lot of inconveniences such as troublesome rework to adjust when the terminal of the connector is not inserted into the correct position, and complicate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retainer and the rear holder. This is an urgent situ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에 삽입된 리셉터클 단자의 정상 위치 결합 여부를 검출하고, 리워크(rework) 작업성을 증대시키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oint connector assembly that detects whether the receptacle terminal inserted in the joint connector assembly is properly coupled, and increases the rework workability.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는,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 상기 리셉터클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리셉터클 단자들의 신호를 연결하는 다수의 탭 단자, 상기 리셉터클 단자와 상기 탭 단자가 수용되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가 삽입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joint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a plurality of receptacle terminals, a plurality of tab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eptacle terminals and connecting signals of the receptacle terminals, and the receptacle terminal and the tab terminal are accommodated. And a housing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eptacle terminal is inserted, and a retainer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of the housing.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를 노출시키고, 상기 리테이너의 결합을 안내하는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 및 후면을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삽입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밀폐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xample, the guide portion may have a slit shape to expose the receptacle terminal, and guide the coupling of the retainer. For example, the retainer may have a shape surrounding side and rear surfaces of the housing. The retainer may have a first insert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In addition, the first insertion part may be formed to seal the guide part.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의 위치를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리워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워크부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홀 또는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리워크부에 삽입되어 상기 리워크부를 밀폐시키는 제2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the housing may have a rework portio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receptacle terminal from the outside, and the rework portion may have a hole or slit shape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receptacle terminal is exposed to the outside. Here, the retainer may be inserted into the rework portion to form a second insertion portion for sealing the rework portion.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일면 또는 양쪽면에는 상기 리테이너의 고정을 위한 제1 록킹부가 구비되고, 상기 리테이너에는 상기 제1 록킹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록킹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록킹부는 서로 걸림 결합되는 구조를 갖고, 한 쪽이 돌기로 구성되고, 다른 한 쪽은 상기 돌기가 삽입 및 걸림 결합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록킹부는 상기 리테이너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서 상기 리테이너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xample, any one or both of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first locking portion for fixing the retainer, the retainer is provided with a second locking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cking portion Can be. Her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engaged with each other, one side is composed of a projection, the other side may have a form in which the projection is inserted and engaged.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may be formed to prevent the retainer from being detached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tainer is inserted.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리테이너를 설치 대상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립이 구비되고,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에는 상기 클립이 결합되는 클립 홀더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립 홀더부는 상기 리테이너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일면 또는 양쪽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 홀더부는 상기 클립이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a clip may be provided to fix the retainer to an installation object, and a clip holder part to which the clip is coupled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retainer. For example, the clip holder part may be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retainer. And the clip holder portion may be formed so that the clip is inserted into the slide slide.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리테이너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리셉터클 단자가 정상 위치에 결합되었는지 여부와, 불량 결합된 리셉터클 단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어서, 조립 시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or not the receptacle terminal is coupled to the normal position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retainer and the position of the defectively coupled receptacle terminal can be detected, thereby preventing occurrence of defects during assembly. You can prevent it.
또한, 단자의 리워크(rework) 작업성을 증대시키고, 리테이너와 리어 홀더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작업공정을 축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work process by increasing the rework workability of the terminal and integrally forming the retainer and the rear hold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도 1에서 I-I 선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도 1에서 I-I 선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joint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joint connector assembly of FIG. 1. FIG.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joint connector assembly along line II in FIG. 1.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joint connector assembly along line II in FIG. 1.
5 is a front view of a joint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도 1에서 I-I 선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의 단면도들이고, 도 4는 도 1에서 I-I 선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의 부분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정면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하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는 14핀(pin) 커넥터 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핀(pin)의 수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도면을 참조하면,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는 리셉터클 단자(13)와 탭 단자(14)가 수용되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외측에 결합되는 리테이너(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는 전기 부품간 또는 특정 부품 내에서 전기적으로 공통되는 신호 또는 전기출력을 동시에 연결시키기 위한 부품이다.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는 리셉터클 단자(13)에 의해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 외부로부터 신호를 받거나 보내고, 탭 단자(14)는 특정 리셉터클 단자(13)들을 연결시켜 회로를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단자(13) 중 일부는 자동차의 배터리와 연결되고, 나머지 리셉터클 단자(13)는 램프 등 전원이 요구되는 타 장치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탭 단자(14)에 의해서 모든 리셉터클 단자(13)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리셉터클 단자(13)는 하우징(11) 내부에 삽입되고, 전도성 판재로 형성되어서 타 전자 전기 장치와 연결되는 전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탭 단자(14)는 하나의 하우징(11)에 다수개가 구비되고, 각각의 탭 단자(14)에 리셉터클 단자(13)들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리셉터클 단자(13)들은 결합된 탭 단자(14)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공통으로 가지게 되어, 하나의 커넥터에서 탭 단자(14)의 수만큼 공통의 신호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탭 단자(14)에 의해 구성되는 회로는 탭 단자(14)가 어느 리셉터클 단자(13)를 연결시키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하우징(11)은 내부에 리셉터클 단자(13)와 탭 단자(14)가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일측에서 리셉터클 단자(13)가 삽입되고, 다른 쪽에서 탭 단자(14)가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1) 내부에서 리셉터클 단자(13)와 탭 단자(14)가 접촉 및 결합된다.The
하우징(11)의 일측에는 내부에 구비된 리셉터클 단자(13)가 정상 위치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가이드부(11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우징(11)에 리테이너(12)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리테이너(12)와 리셉터클 단자(13)의 간섭 여부를 통해서 리셉터클 단자(13)의 정상 결합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하우징(11)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여 리셉터클 단자(13)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가이드부(112)가 형성되고, 가이드부(112)는 하우징(11)에서 리셉터클 단자(13)가 삽입된 위치의 일부가 관통되어서 리셉터클 단자(13)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홀 또는 슬릿 형태를 가진다. 리테이너(12)는 가이드부(112)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는 제1 삽입부(122)가 형성되어서, 가이드부(112) 내부에 제1 삽입부(122)가 삽입 및 슬라이드 되면서 결합된다. 또한, 리셉터클 단자(13)의 정상 결합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서, 가이드부(112)는 리셉터클 단자(13)가 삽입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부(112)는 리테이너(12)가 삽입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도록 연속된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One side of the
리셉터클 단자(13)가 정위치에 결합되지 않으면, 도 3b에서 "A"로 표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단자(13)의 검출단부(131)가 가이드부(112)에서 돌출되므로, 해당 부분에서 제1 삽입부(122)와 간섭이 발생하여 리테이너(12)가 삽입될 수 없다. 작업자는 하우징(11)에 리테이너(12)를 결합 시 리테이너(12)가 삽입되지 못하면, 리셉터클 단자(13)가 정위치에 결합되지 않았음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12)가 간섭이 발생하는 위치에 결합된 리셉터클 단자(13)가 정위치에 결합되지 못한 것이므로, 리셉터클 단자(13)의 정상 결합 여부뿐만 아니라 정상 결합되지 못한 리셉터클 단자(13)의 위치 역시 검출할 수 있다.If the
리테이너(12)는 하우징(11)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서, 하우징(11)의 일 측면에서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내측면에는 가이드부(112)에 삽입 결합되는 제1 삽입부(122)가 형성된다. 제1 삽입부(122)는 가이드부(112) 내부에 삽입되어 리테이너(12)가 슬라이드 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과, 가이드부(112) 내부에서 리셉터클 단자(13)와의 간섭 여부에 따라서 리셉터클 단자(13)의 정상 결합 여부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제1 삽입부(122)는 가이드부(112)에 삽입되어 가이드부(112)를 밀폐시켜서 가이드부(112)를 통해서 이물질이 하우징(11)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한편, 리셉터클 단자(13)의 리워크(rework)를 위해서, 하우징(11) 일측에는 리워크부(113)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리워크부(113)는 하우징(11)에서 리셉터클 단자(13)의 일부, 예를 들어, 랜서(133)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홀 또는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리워크부(113)는 가이드부(112)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워크부(113)의 형상 및 위치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리테이너(12)에는 리워크부(113)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부(123)는 상술한 제1 삽입부(122)와 같이, 리워크부(113)에 삽입되어 리테이너(12)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과 리워크부(113)를 밀폐시켜서 이물질이 하우징(11)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는 리테이너(12)를 하우징(11)에 고정시키기 위한 록킹부(111, 121)가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하우징(11)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 면이나 양쪽면에는 리테이너(12)가 고정되는 제1 록킹부(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리테이너(12)에는 상기 제1 록킹부(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록킹부(121)가 형성된다. 또한, 제1 록킹부(111)와 제2 록킹부(121)는 서로 걸림 결합이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록킹부(111)와 제2 록킹부(121)는 리테이너(12)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서 리테이너(12)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향에 형성된다.The
예를 들어, 제1 록킹부(111)는 하우징(11)의 하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돌기 형태를 갖고, 제2 록킹부(121)는 제1 록킹부(111)가 삽입 및 걸림 결합되는 홈 또는 슬릿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록킹부(121)는 리테이너(12)가 슬라이드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제1 록킹부(1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긴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록킹부(121)의 형상과 위치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록킹부(111)가 하우징(11)의 하면에만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제1 록킹부(111)는 하우징(11)의 상면에 형성되거나, 상면 및 하면 모두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the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1)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 면이나 양쪽면에 구비되어서 하우징(11)을 설치 대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15)이 구비된다. 그리고, 리테이너(12)에는 클립(15)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클립 홀더부(125)가 형성되고, 예를 들어, 클립(15)은 하우징(11)에 슬라이드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리테이너(12)의 일측에는 클립(15)이 삽입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ㄱ'자 형상의 돌출부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된 플랜지 형태의 클립 홀더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클립(15)의 형상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클립(15)의 형상과 크기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결합된 리셉터클 단자(13)가 있으면, 리테이너(12)를 하우징(11)에 삽입할 때 해당 리셉터클 단자(13)와 리테이너(12)가 간섭되면서 리테이너(12)이 삽입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으므로, 리셉터클 단자(13)가 정위치에 결합되었는지 여부와 어느 위치에서 미결합이 발생했는지를 쉽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에 리워크부(113)가 형성되어 있어서, 리워크(rework)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12)와 커버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의 부품수를 줄이고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 제작 공정을 절감하여, 조립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12)는 리셉터클 단자(13)가 하우징(11) 내부에 정위치에 결합되었는지 여부 및 리셉터클 단자(13)가 불량으로 결합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서, 조립 시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f there is an
리셉터클 단자(13)와 탭 단자(14)가 하우징(11)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 후, 하우징(11)의 외측에 리테이너(12)를 슬라이드 삽입하면 제조가 완료된다. 여기서, 리테이너(12)를 하우징(11)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리테이너(12)가 간섭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리셉터클 단자(13)가 정상 결합되었는지 여부와, 어느 위치에서 비정상 결합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리테이너(12)를 하우징(11)에 끝까지 삽입하면, 제2 록킹부(121)가 제1 록킹부(111)에 삽입 및 체결되면서, 리테이너(12)가 하우징(11)에 록킹되어 조립이 완료된다.After the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 / 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even if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at follow.
10: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11: 하우징
111: 제1 록킹부
112: 가이드부
113: 리워크부
12: 리테이너
121: 제2 록킹부
122, 123: 삽입부
125: 클립 홀더부
13: 리셉터클 단자
131: 검출단부
14: 탭 단자
15: 클립10: joint connector assembly
11: housing
111: first locking part
112: guide part
113: rework part
12: retainer
121: second locking part
122, 123: insertion section
125: clip holder
13: receptacle terminal
131: detection end
14: tab terminal
15: Clip
Claims (13)
상기 리셉터클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리셉터클 단자들의 신호를 연결하는 다수의 탭 단자;
상기 리셉터클 단자와 상기 탭 단자가 수용되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가 삽입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서 평행하게 형성된 리워크부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외측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리워크부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2 삽입부가 형성된 리테이너;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의 검출단부의 인접한 부분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리워크부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의 랜서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상기 리셉터클 단자의 리워크를 가능하도록 하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A plurality of receptacle terminals;
A plurality of tab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eptacle terminals and connecting signals of the receptacle terminals;
A housing in which the receptacle terminal and the tab terminal are accommodated, a guide portion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receptacle terminal is inserted, and a rework portion formed parallel to the guide portion; And
A retainer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coupled to the guide part of the housing and having a first insertion part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part of the housing and a second insertion part slidably coupled to the rework part;
Including,
The guide portion is formed to expose an adjacent portion of the detection end of the receptacle terminal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the rework portion is configured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lancer of the receptacle terminal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o enable rework of the receptacle terminal outside the housing.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리테이너의 결합을 안내하는 슬릿 형상을 갖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guide portion has a slit shape to guide the engagement of the retainer.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 및 후면을 둘러싸는 형상을 갖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retainer has a shape surrounding a side and a back of the housing.
상기 제1 삽입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밀폐시키도록 형성된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insertion portion is configured to seal the guide portion.
상기 리워크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평행한 홀 또는 슬릿 형상을 갖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rework portion has a hole or slit shape parallel to the guide portion.
상기 하우징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일면 또는 양쪽면에는 상기 리테이너의 고정을 위한 제1 록킹부가 구비되고,
상기 리테이너에는 상기 제1 록킹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록킹부가 구비되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One or both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first locking part for fixing the retainer,
And the retainer has a second locking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cking portion.
상기 제1 및 제2 록킹부는 서로 걸림 결합되는 구조를 갖고,
한 쪽이 돌기로 구성되고, 다른 한 쪽은 상기 돌기가 삽입 및 걸림 결합되는 형태를 갖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 has a structure that is engaged with each other,
A joint connector assembly having one side having a protrusion and the other side having a shape in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and engaged.
상기 제1 및 제2 록킹부는 상기 리테이너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서 상기 리테이너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are formed to prevent the retainer from being detached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tainer is inserted.
상기 리테이너를 설치 대상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립이 구비되고,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에는 상기 클립이 결합되는 클립 홀더부가 형성된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Is provided with a clip for fixing the retainer to the installation target,
One side of the retainer is a joint connector assembly formed with a clip holder coupled to the clip.
상기 클립 홀더부는 상기 리테이너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일면 또는 양쪽면에 형성되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clip holder portion is formed on one or both sides of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retainer.
상기 클립 홀더부는 상기 클립이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The method of claim 11,
The clip holder portion is a joint connector assembly is formed such that the clip is inserted into the slide sli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420085445.XU CN203871528U (en) | 2013-02-27 | 2014-02-27 | Joint connector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1199 | 2013-02-27 | ||
KR20130021199 | 2013-02-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7070A KR20140107070A (en) | 2014-09-04 |
KR102039749B1 true KR102039749B1 (en) | 2019-11-01 |
Family
ID=51755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44162A Active KR102039749B1 (en) | 2013-02-27 | 2013-04-22 | Joint connector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974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5856B1 (en) | 2015-10-06 | 2017-07-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ulti earth Connector For Vehicle |
KR101786334B1 (en) | 2016-04-21 | 2017-10-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Joint Connector |
KR102648813B1 (en) | 2016-12-20 | 2024-03-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Joint Connector Assembly |
KR102554878B1 (en) | 2017-11-08 | 2023-07-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onnector |
KR20190068215A (en) | 2017-12-08 | 2019-06-1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onnector |
KR102530933B1 (en) | 2017-12-08 | 2023-05-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onnector |
KR102635922B1 (en) | 2018-10-10 | 2024-02-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onnecter and decking structure between vehicle body and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CN117222167B (en) * | 2023-11-09 | 2024-07-09 | 长沙科拓电气有限公司 | Liquid cooling type driv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85857A (en) * | 1997-12-22 | 1999-07-09 | Sumitomo Wiring Syst Ltd | Disassembling method of connector and connector |
KR100659184B1 (en) * | 2005-03-30 | 2006-12-20 |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 Joint connector |
KR20080004986U (en) * | 2007-04-24 | 2008-10-29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clip |
KR200467964Y1 (en) * | 2009-01-13 | 2013-07-19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assembly |
-
2013
- 2013-04-22 KR KR1020130044162A patent/KR102039749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7070A (en) | 2014-09-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39749B1 (en) | Joint connector assembly | |
US9147971B2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squib connection device | |
CN104362450B (en) | Plug connector with bidirectional plugging function | |
US9209582B2 (en) | Connector | |
EP2930791B1 (en) | Surface mount connector | |
US7182641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 case | |
KR102591645B1 (en) | Connector assembly | |
US20160315416A1 (en) | Connector | |
KR20170103675A (en) | Connector | |
KR101648720B1 (en) | Half fitting detection apparatus of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ing the same | |
TW201731179A (en) | Connector | |
JP6409717B2 (en) | connector | |
US20160204539A1 (en) | Connector | |
US9065198B2 (en) | Connector with foreign substance entrance preventing portion | |
US9419381B2 (en) | Shield case | |
US9698517B2 (en) | Connector with a wire cover having an opening for arranging wires pulled out from a housing of the connector | |
CN203871528U (en) | Joint connector assembly | |
US7172459B2 (en) |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KR101110426B1 (en) | Assembly of female connector | |
JP2015022968A (en) | connector | |
JP2009259553A (en) | Connector | |
KR20150042019A (en) | High voltage connector | |
KR102198382B1 (en) | A connector assembly | |
JP6969995B2 (en) | Wire harness continuity inspection device | |
CN106229760A (en) | Non-water-proof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4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4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