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456B1 - Female urine aid - Google Patents
Female urine ai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60456B1 KR100860456B1 KR1020070024898A KR20070024898A KR100860456B1 KR 100860456 B1 KR100860456 B1 KR 100860456B1 KR 1020070024898 A KR1020070024898 A KR 1020070024898A KR 20070024898 A KR20070024898 A KR 20070024898A KR 100860456 B1 KR100860456 B1 KR 1008604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rine
- discharge
- female
- induction part
- indu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41001313288 Labi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10000003708 urethra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8
- 210000001215 vagina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1635 urinary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485 urin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029 clitori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1001313282 Labia mino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86660 Lactobac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36 an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3146 cys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92 genitali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9696 lactobacillus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50 repro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26 uret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143 ure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905 vul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5—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8—Means for securing receptacles or bags to the body otherwise than by adhesives, e.g. belts, straps or harnes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6—Urin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2005/4402—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disposab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10—Type of patient
- A61G2200/12—Wom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여성용 소변보조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보조기구는 소변의 배출 통로가 되는 배출부(10), 배출부(10)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배출부(10)로 소변의 배출을 유도하는 유도부(12), 유도부(12)의 말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유도부(12)를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부(14)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소변보조기구는 유도부(12)가 여성의 소음순을 둘러싸도록 되어 있고, 유도부(12)의 두 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은 여성의 질 입구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emale urine assist device is disclosed. Urine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ortion 10, the discharge portion 10 which is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urine induction portion 12, induction portion 12 to induce the discharge of urine to the discharge portion 10 A separation portion 14 separating the induction portion 12 into two spaces from the end of the to a predetermined depth. In particular, the urine aid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uction part 12 is to surround the labia minora of women, any one of the two spaces of the induction part 12 corresponds to the vaginal inlet of the woman.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질, 소음순 Urine aid for women, vagina, labyrinth
Description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기립식 여성용 소변보조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nding female urine aid devic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emale urine aid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emale urine aid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emale urine aid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3의 여성용 소변보조기구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female urine aid of Figure 3;
도 6은 도 3의 여성용 소변보조기구가 실제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emale urine aid of Figure 3 is actually us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배출부 11: 배출통로10: discharge section 11: discharge passage
12: 유도부 13: 볼록부12: guide portion 13: convex portion
14: 분리부 15: 날개14: separator 15: wings
16: 바닥부 17: 지지부16: bottom 17: support
본 발명은 여성들이 앉은 자세에서 위생적으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한 여성용 소변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male urine aid device for allowing women to urinate urine in a sitting position.
여성의 신체구조는 요도가 음부의 소음순 속에 감추어져 있는 특성 때문에 소변을 볼 때에 소변이 요도 주위나 엉덩이 쪽으로 흘러내린다. 이로 인하여 질 입구뿐만 아니라 여성의 외음부 전체 및 항문 등의 전반적인 위생관리가 어렵고 여성에게는 불쾌감을 주기 마련이다.The urine flows down around the urethra or toward the hips when urinating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urethra hidden in the labia minora.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manage hygiene of the entire vulva and the anus, as well as the vaginal entrance, and it is unpleasant for wome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대 여성들은 대부분 소변을 볼 때 휴지로 요도 주위에 묻은 소변을 닦아내어 청결을 유지하지만 그리 만족할 만한 해결책이 아니다. To solve this problem, most modern women use urine to wipe urine around the urethra with a tissue to keep it clean, but this is not a satisfactory solution.
또한, 비데의 보급이 급증함에 따라 소변을 보고 난 후에 바로 성기를 세척할 수 있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지만, 비데를 사용할 경우에 여성의 몸에 유익한 균인 락토바실러스가 씻겨 나가게 되므로 질염에 걸릴 뿐만 아니라 방광염이나 요도염이 걸릴 확률도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다. In addition, as the spread of bidet increases rapidly, the genitals can be washed immediately after urinating. However, when using bidet, lactobacillus, which is beneficial to a woman's body, is washed away. It is also known that the risk of getting urethritis increases.
이에, 미국특허 제6,434,757호(상표명 Magic Con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9231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5730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90802호 등에는 산이나 야외 등의 화장실이 없는 공공 장소에서 소변을 보아야 하는 경우, 또는 공중 화장실의 청결하지 못한 변기에의 접촉을 피해서 소변을 보아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여성이 서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사각뿔 내지 나팔 형상의 여성용 소변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Therefore, U.S. Patent No. 6,434,757 (trade name Magic Con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192313, Republic of Korea Patent No. 25730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490802 should urinate in a public place without a toilet such as mountains or outdoors. In this case, or when urine is to be avoided by avoiding contact with an unclean toilet in a public toilet, a female urine device having a quadrangular pyramid or trumpet shape is provided.
도 1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90802호에 개시된 여성용 소변보조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emale urine aid device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490802.
도시된 바와 같이, 여성들이 선 자세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요도에 밀착 지지되는 유입구(1)와 관통되도록 유출구(3)를 형성하고 유입구(1)의 외측에 커버체(2)를 형성하며, 좌우 길이가 긴 배출부(9)을 유출구(3)에 결합하여 구성된 소변보조기구에 있어서, 커버체(2)의 입구측이 볼록한 형상의 밀착면(8)을 형성하고 밀착면(8)의 중앙부에 유입구(1)를 형성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order to allow women to urinate in a standing position, the
그런데, 이러한 소변보조기구는 유입공(4)의 외주부에 있는 원형의 밀착돌기(5)를 직접 요도에 밀착함으로 인하여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However, this urine assist mechanism is a problem due to the close contact with the
우선, 여성들 스스로 요도구(즉, 요도 입구)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소변보조기구의 유입공을 정확하게 요도에 맞추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신체 구조상 여성의 요도는 질 입구에 비해 소음순 상단의 안쪽에 감추어져 있고 요도의 크기가 작으며 신경 분포가 적기 때문이다. 참고로 여성의 요도구는 음핵에서 약 2.5cm 아래 부분에 있으며, 요도구 하부에는 생식기관으로 통하는 질 입구가 위치해 있다. First of all, it is virtually impossible for women to accuratel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urinary device (ie, the urethra inlet), so that the inlet of the urine assist device is accurately aligned with the urethra. This is because the female urethra is concealed in the upper part of the labia minora compared to the entrance to the vagina, and the urethra is small in size and the nerve distribution is small. For reference, the woman's urinary tract is about 2.5 cm below the clitoris, and the lower part of the ureter is located in the vaginal opening to the reproductive organs.
따라서, 도 1의 소변보조기구는 기본적으로 소변이 다른 신체 부위로 샐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Therefore, the urine assisting device of Figure 1 has a structure in which urine can only leak to other body parts.
또한, 소변보조기구를 운 좋게 요도구에 맞추었다고 하더라도 소변의 압력으로 인하여 요도가 다소 팽창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소변이 밀착돌기(5) 밖으로 새어 질 입구뿐만 아니라 소음순 둘레에 묻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소변보조 기구와 요도가 이루는 각도가 최적화되지 않으면 새는 소변의 양이 많아진다. In addition, even though the urine aid is fortunately fit to the urinary tract, the urethra is somewhat expanded due to the pressure of the urine, in this case, the urine is leaked out of the contact protrusions (5) as well as the problem around the labia minor. In particular, if the angle between the urine aid and the urethra is not optimized, the amount of leaked urine increases.
그리고, 기구를 요도구에 직접 조준함으로써 압착한다는 것은 여성에게 심한 불쾌감과 방광염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And compressing the instrument by aiming it directly at the urinary tract may result in severe discomfort and cystitis in women.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변보조기구를 여성의 질 입구에 맞춤으로써 소변이 새지 않고 이에 따라 위생적인 처리가 가능한 여성용 소변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providing a urine aid for women that can be sanitary treatment according to the urine leaks by fitting the urine aid to the female vaginal inlet accordingly There is th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는 소변의 배출 통로가 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출부로 소변의 배출을 유도하는 유도부 및 상기 유도부의 말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상기 유도부를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도부는 여성의 소음순을 둘러싸도록 되어 있고, 상기 유도부의 두 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은 여성의 질 입구에 대응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rine assisting device for wom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charge part that becomes a discharge passage of urine, an induction part extending to an upper end of the discharge part to induce discharge of urine to the discharge part, and a predetermined end of the induction part. And a separating part separating the induction part into two spaces up to a depth of the induction part, and the induction part surrounding the labia minora, and one of the two spaces of the induction part corresponds to the female vaginal inlet.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는
소변의 배출 통로가 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소음순을 둘러싸도록 하면서 상기 배출부로 소변의 배출을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도부 내에는 질 입구에 밀착되어 상기 유도부가 질 입구에 대하여 정렬되도록 하는 지지부 및 소변으로부터 질 입구를 보호하기 위한 분리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유도부가 질 입구에 대하여 정렬될 때 상기 유도부가 요도구에 대하여 정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emale urine ai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an induction part extending to an upper end of the discharge part and enclosing the labia minora while inducing the discharge of urine to the discharge part, wherein the induction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aginal inlet. A support is arranged to protect the vaginal inlet from urine and a support to be aligned with respect to the urinary tract when the guide is aligned with the vaginal inlet by the support.
삭제delete
상기 유도부와 상기 배출부의 연결 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부가 여성의 신체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날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wing installed near the outlet to allow the guide portio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emale body.
상기 유도부의 말단은 여성의 신체를 보호하도록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The end of the induction part may be rounded to protect the female body.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유도부의 말단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The support may protrude further than the distal end of the induction part.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DETAILED DESCRIP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도면에 있어서 그 구조 내지는 실시예는 여성이 앉아서 소변을 보는 데 도움을 주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지만, 본 발명의 적용범위가 굳이 여성들이 앉아서 소변을 보는 데에 한정할 필요는 없음을 유의해야 한다. Although the structure or the embodiment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focused on helping women sit and urinate, it is not necessary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omen sitting and urinate. Be careful.
즉, 공공장소에서 소변기의 불청결함으로 인하여 여성들이 서서 소변을 봐야 하는 경우, 병원에서 여성 환자들이 소변을 봐야 하는 경우, 장거리 교통수단 이용시 소변을 봐야 하는 경우 등 다양한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it may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when women need to stand and urinate due to the cleanness of urinals in public places, when women patients need to urinate in hospitals, or when they need to urinate when using long distance transportation.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크기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함한다.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size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rang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emale urine ai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emale urine aid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는 소변의 배출 통로가 되는 배출부(10), 배출부(10)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배출부(10)로 소변의 배출을 유도하는 유도부(12) 및 유도부(12)의 말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유도부(12)를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부(1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the urine aid for wom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extended to the upper end of the
도 2에서 분리부(14)를 기준으로 오른쪽은 요도구(19)에 대응하여 소변이 배출되는 공간이고 왼쪽은 질 입구(20)에 대응하여 소변으로부터 질 입구(20)를 보호하는 공간이다. In FIG. 2, the right side is a space where urine is discharged in response to th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분리부(14)로 공간이 양분화된 유도부(12)의 말단이 소음순(18)을 둘러싸고 있으며, 두 개의 공간 중 하나의 공간은 질 입구(20)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s of the
여기서, 소음순은 좌우 대음순의 안쪽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털이 없는 얇은 피부주름으로서, 앞쪽은 음핵을 덮는 모양으로 시작되어 요도구와 질 입구를 감싸고 있는 부분이다. Here, the labia minora is a thin skinless wrinkle that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left and right labia, and the front part begins to cover the clitoris and surrounds the urinary tract and the vaginal inlet.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소변보조기구를 직접 요도에 삽입하는 방식과는 큰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하여, 질 입구가 요도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훨씬 크고 신경 분포가 많은 관계로 여성은 자신의 질 입구를 인식하는 것은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유도부의 일부 공간을 질 입구에 맞추면 나머지 공간은 자연스럽게 요도에 맞추어지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 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of directly inserting the urine assist device into the urethra. In other words, because the vaginal inlet is much larger in size and has a greater nerve distribution than the yodogu, it is very easy for a woman to recognize her vaginal inlet. Since it is adapted to the urethra, it can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t a glance.
한편, 분리부(14)는 유도부(12)의 공간을 양분하여 그 중 하나의 공간으로 소변의 직접적인 배출을 유도함과 아울러 소변이 질 입구(20)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설령 분리부(14)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질 입구(20) 쪽으로 새어 나왔다고 하더라도 유도부(12)의 양분된 공간의 한쪽 말단은 모두 배출부(1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Even if the
그리고, 유도부(12)와 배출부(10)의 교차지점 부근에는 날개(15)가 부착되어 있다. 이는 상기 날개(15) 부위를 손으로 잡고 유도부(12)가 여성의 신체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즉, 여성이 소변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소변을 볼 때에 날개를 잡은 상태에서 자신의 신체를 소변보조기구에 밀착시키게 된다.The
유도부(12)와 분리부(14)의 말단은 라운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유도부(12)와 분리부(14)의 말단에 원형의 볼록부(13)를 부가할 수 있다. The ends of the
이는 소변보조기구를 사용할 때 여성의 예민한 부분이라 할 수 있는 소음순에 직접 접촉해야 하기 때문에 두툼하고 둥글며 매끄럽게 처리하여 여성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유도부(12)가 여성의 신체에 확실히 밀착되게 함으로써 소변이 소음순(18) 밖으로 새나가거나 질 입구(20) 쪽으로 새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도 있다.This is to protect the female body by processing thick, round and smooth because the urine aid should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labia minora, a sensitive part of women. In addition, there is also an object to prevent the urine from leaking out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emale urine aid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는 소변의 배출 통로가 되는 배출부(10), 배출부(10)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배출부(10)로 소변의 배출을 유도하는 유도부(12), 소변으로부터 질 입구(20)를 보호하기 위한 분리부(14), 질 입구(20)에 밀착되어 유도부(12)가 질 입구(20)에 대하여 정렬되도록 하는 바닥부(16) 상에 설치되는 지지부(1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the female urine assis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extended to the upper end of the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분리부(14)를 기준으로 오른쪽은 요도구(19)에 대응하여 소변이 배출되는 공간이고 왼쪽은 질 입구(20)에 대응하여 소변으로부터 질 입구(20)를 보호하는 공간이다.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the right side is the space where urine is discharged in response to th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분리부(14)로 공간이 양분화된 유도부(12)의 말단이 소음순(18)을 둘러싸고 있으며, 두 개의 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 설치된 지지부(17)가 질 입구(20)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s of th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비하여 지지부(17)를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을 좀 더 수월하게 실시할 수 있다. 즉, 지지부(17)를 질 입구(20)에 조준하여 밀착시킴으로써 지지부가 없는 경우보다 더 용이하게 소변보조기구를 요도구에 맞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또한, 지지부(17)가 질 입구(20)를 봉쇄하고 있기 때문에 소변이 질 입구(20)로 흘러가는 것을 2중 3중으로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그 외에 제2 실시예에서 볼록부(13), 분리부(14) 및 날개(15)의 역할은 재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since the roles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의 구성을 나타내 는 도면이다.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emale urine aid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부(12)의 표면 상에 지지부(17)가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3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 및 이로부터 도출되는 효과는 제2 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다만, 제3 실시예의 경우 제2 실시예의 경우보다 신체 친화적이라는 장점은 있다.As shown, except that the
도 5는 도 3의 여성용 소변보조기구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여성용 소변보조기구가 실제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emale urine aid of Figure 3,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emale urine aid of Figure 3 is actually used.
먼저,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부(12)의 일측이 타측보다 경사가 완만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요도구(19)로부터 소변이 나오는 통로 쪽의 유도부(12)의 경사를 반대쪽보다 더 급하게 함으로써 여성의 신체 구조에 맞게 소변이 잘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First, as shown, 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 of the
분리부(14)의 길이는 바닥부(16)나 지지부(17)의 존재 여부나 바닥부(16)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서는 질 입구에 대응하는 부분에 별도의 지지부(17)가 없기 때문에 분리부(14)는 배출부(10)의 방향으로 적절한 소정의 길이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이에 반하여 제2 실시예의 경우는 질 입구에 대응하는 부분에 바닥부(16)와 지지부(17)가 있기 때문에 분리부(14)는 바닥부(16)에서 끝나는 것이 비용 절감 차원에서 바람직하다(도 3 참조). 한편, 제3 실시예에서는 분리부가 반드시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된다(도 4 참조).The length of the
또한, 지지부(17)는 유도부(12)의 말단보다 더 돌출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지부가 질 입구에 더 용이하게 조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아울러, 지지부(17)의 재질은 압축휴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소변을 다 본 후에 요도구(19)에 묻어 있는 소변을 압축휴지로 눌러줌으로써 위생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휴지는 수분 흡수력과 부피 확장력이 탁월한 화장지의 일종이다.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본 소변보조기구의 재질은 일회용으로 사용될 경우에 비용 절감 차원에서 종이라든가 합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병원 등에서 장기적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견고한 재질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When the material of the urine aid is used for single use, it is preferable to use paper or synthetic resin for cost reduction. However, if it is used for a long time in a hospital, etc., the overall solid material should be used.
배출부(10)의 최하단부는 소변 수집통(미도시됨)이 탈착될 수 있도록 적절히 가공될 수 있다. 소변 수집통은 본 소변보조기구가 화장실 이외의 장소에서 사용될 때 필요하다.The bottom end of the
또한, 신체접촉 부위인 볼록부(13)의 재질은 두툼하고 둥글며 매끄럽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볼록부(13)의 재질만 실리콘 처리를 함으로써 좀더 신체 친화적인 소변기구를 만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변보조기구의 사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날개(15) 부위를 손으로 쥐고 지지부(17)를 질 입구(20)에 조준한 다음 가볍게 신체를 향해 밀어올림으로써 유도부(12)의 말단부 또는 볼록부(13)가 소음순(18)을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소변을 보면 된다. 요도부(19)에서 배출된 소변은 유도부(12)를 경유하여 배출부(10)의 배출통로(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소변은 본 소변보조기구의 구조상 요도구(19) 부근 이외의 다른 신체 부위로 새지 않게 된다.Finally, the use of the urine assist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By holding the
본 발명에 따른 여성용 소변보조기구는 소변 배출이 용이하고 소변이 요도구 부근 이외의 다른 신체 부위로 새지 않기 때문에 여성의 위생과 건강 증진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The female urine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ect on promoting hygiene and health of women because urine is easy to discharge and urine does not leak to other parts of the body other than the urinary tract.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4898A KR100860456B1 (en) | 2007-03-14 | 2007-03-14 | Female urine ai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4898A KR100860456B1 (en) | 2007-03-14 | 2007-03-14 | Female urine ai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3964A KR20080083964A (en) | 2008-09-19 |
KR100860456B1 true KR100860456B1 (en) | 2008-09-25 |
Family
ID=40024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4898A Active KR100860456B1 (en) | 2007-03-14 | 2007-03-14 | Female urine ai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6045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6246A (en) | 2019-05-27 | 2020-12-07 | 금희자 | Urine utensil for wom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26005A1 (en) * | 2022-01-01 | 2023-07-06 | 罗小波 | External urination guide device for women |
CN115475043A (en) * | 2022-08-31 | 2022-12-16 | 中国人民解放军西部战区总医院 | Supporting and stabilizing device adapted to perineum and scrotum edema and improving incontinence dermatitis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46901A (en) * | 1978-05-30 | 1981-01-27 | Nasa | Urine collection device |
US4531245A (en) | 1984-03-07 | 1985-07-30 | Lowd David L | Personal urinal device |
US4815151A (en) | 1987-04-17 | 1989-03-28 | Ball Dianne M | Urinary guide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US6505355B1 (en) | 1998-11-06 | 2003-01-14 | Hans Guido Mutke | Female urinal and method of using and making same |
US6716181B2 (en) * | 2002-05-24 | 2004-04-06 | Denco, Inc. | Female urinary device |
-
2007
- 2007-03-14 KR KR1020070024898A patent/KR10086045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46901A (en) * | 1978-05-30 | 1981-01-27 | Nasa | Urine collection device |
US4531245A (en) | 1984-03-07 | 1985-07-30 | Lowd David L | Personal urinal device |
US4815151A (en) | 1987-04-17 | 1989-03-28 | Ball Dianne M | Urinary guide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US6505355B1 (en) | 1998-11-06 | 2003-01-14 | Hans Guido Mutke | Female urinal and method of using and making same |
US6716181B2 (en) * | 2002-05-24 | 2004-04-06 | Denco, Inc. | Female urinary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6246A (en) | 2019-05-27 | 2020-12-07 | 금희자 | Urine utensil for women |
KR102309321B1 (en) * | 2019-05-27 | 2021-10-07 | 금희자 | Urine utensil for wome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3964A (en) | 2008-09-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NL1040294C2 (en) | Non-invasive urinary aid for women in a supine position. | |
KR20030009413A (en) | Urination apparatus | |
KR20160117410A (en) | Bedpan diaper | |
KR100860456B1 (en) | Female urine aid | |
JP4304380B1 (en) | Male instrument substitute | |
RU197838U1 (en) | UNIVERSAL PORTABLE DEVICE FOR MECHANICAL DRAIN OF URINE IN WOMEN | |
CN206675626U (en) | Man's catheter | |
US20010041882A1 (en) | Female urinary device | |
CN212756804U (en) | A urology catheter | |
KR200461172Y1 (en) | Male patients urine collection device | |
JPH101994A (en) | Urination helper for man in sitting stool | |
WO2016182297A1 (en) | Urine-guiding discharge port for men | |
JP3020005B2 (en) | Excrement disposal system | |
KR200191065Y1 (en) | A urine discharging apparatus for patients | |
KR200177867Y1 (en) | Piss vessel for sufferer | |
CN220404321U (en) | A kind of bed urinal for women | |
RU213978U1 (en) | PORTABLE DEVICE FOR MECHANICAL URINE DIRECTION IN WOMEN WITH LEAF-SHAPED URINARY FUNNEL | |
WO2010043079A1 (en) | Micturate pants configuration | |
KR102422475B1 (en) | Free body urinal for female | |
KR20210022892A (en) | Free body urinal for female | |
RU207535U1 (en) | PORTABLE DEVICE FOR MECHANICAL DIVERSION OF URINE IN WOMEN WITH DEEPENED URINAL DEPARTMENT | |
CN209347470U (en) | A wearable toilet and a nursing bed provided with the toilet | |
TWM576862U (en) | Urine guiding collector and urine collection assembly with the same | |
JPH08150166A (en) | Urinating device for patient | |
CN111053641B (en) | Urine collecting assembly, urine guiding collector and short tube guide for the coll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9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9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