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59804B1 - 실장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실장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804B1
KR100859804B1 KR1020010068285A KR20010068285A KR100859804B1 KR 100859804 B1 KR100859804 B1 KR 100859804B1 KR 1020010068285 A KR1020010068285 A KR 1020010068285A KR 20010068285 A KR20010068285 A KR 20010068285A KR 100859804 B1 KR100859804 B1 KR 100859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quid crystal
base film
cof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7168A (ko
Inventor
이무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8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804B1/ko
Publication of KR20030037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80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회로를 실장시키는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칩 온 필름(COF)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 구조에서는 신호 배선이 필름의 일면에만 형성되어 있어, 구동회로와 인쇄회로기판이 같은 면에 부착되어야 하므로, 부착 위치가 제한되고 액정 표시 장치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COF나 TCP를 상부와 하부의 이중 배선으로 형성하고, 이를 액정 표시 장치의 하부 기판에 부착함으로써, 구동회로와 인쇄회로기판의 부착 위치 선택 폭을 넓힐 수 있으며, 액정 표시 장치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장 구조, COF, TCP, 드라이브 IC

Description

실장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packaging structur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에 대한 확대 평면도.
도 4는 도 3에서 Ⅳ-Ⅳ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COF에 대한 평면도.
도 6은 도 5에서 Ⅵ-Ⅵ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COF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COF에 대한 평면도.
도 9는 도 8에서 Ⅸ-Ⅸ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COF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COF에 대한 평면도.
도 12는 도 11에서 ⅩⅡ-Ⅹ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COF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베이스 필름 111 : 제 1 콘택홀
112 : 제 2 콘택홀 121 : 제 1 신호 배선
122 : 제 2 신호 배선 123 : 제 3 신호 배선
124 : 제 4 신호 배선 131 : 제 1 솔더 레지스트
132 : 제 2 솔더 레지스트 133 : 제 3 솔더 레지스트
141, 142 : 범프 150 : 레진
160 : 드라이브 IC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회로를 실장시키는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사회로 시대가 급발전함에 따라 박형화, 경량화, 저 소비전력화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이 중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가 해상도, 컬러표시, 화 질 등에서 우수하여 노트북이나 데스크탑 모니터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두 기판을 두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마주 대하도록 배치하고 두 기판 사이에 액정 물질을 주입한 다음,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액정 분자를 움직이게 함으로써, 이에 따라 달라지는 빛의 투과율에 의해 화상을 표현하는 장치이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 구동 등의 특징과 함께 액정 재료의 개량 및 미세화소 가공기술의 개발에 의해 화질이 가속도 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며, 또한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의 응용범위는 시계, 전자식 탁상 계산기, 계측기기 등 점진적으로 투사형 표시 장치(project display) 등의 소형 고정밀표시에 관한 응용장치 및 노트북 컴퓨터(note book personal computer)나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텔레비전(television) 등의 대형, 다화소 표시 응용장치 등으로 광범위한 응용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장치에 액정 표시 장치를 채용할 경우 사용자가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이동형(portable type)으로 제작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액정 표시 장치가 슬림형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두 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되어 있는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 하부에 배치되고 광원으로 이용되는 백라이트, 그리고 액정 패널 외곽에 위치하며 액정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액정 패널은 두 장의 유리 기판 사이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화소(pixel)들과 이들 화소에 각각 공급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 즉, 박막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다.
한편, 구동부는 여러 가지 제어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생성하는 부품들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과, 액정 패널 및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고 액정 패널의 배선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구동회로(이하 드라이브 IC(drive integrated circuit)라고 함)를 포함하는데, 드라이브 IC를 액정 패널에 실장(packaging)시키는 방법에 따라, 칩 온 글래스(COG : chip on glass),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 : tape carrier package), 칩 온 필름(COF : chip on film) 등으로 나누어진다.
COG는 액정 패널의 어레이 기판 상에 드라이브 IC를 실장하므로 액정 표시 장치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반면, TCP나 COF는 별도의 필름을 이용하여 드라이브 IC를 실장하기 때문에, 드라이브 IC가 내장된 필름을 액정 패널의 배면으로 구부릴 수 있어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TCP나 COF가 주로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TCP나 COF는 드라이브 IC가 내장된 필름 자체를 일컫기도 한다.
TCP 또는 COF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에 대하여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10)은 어레이 기판(11)과 컬러필터 기판(12)으로 이루어지고, 두 기판(11, 12) 사이에는 액정층(도시하지 않음)이 주입되어 있다. 여기서, 어레이 기판(11)은 컬러필터 기판(12)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므로, 컬러필터 기판(12)으로 덮이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는데, 이 부분에는 액정 패널(10)의 배선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패드(도시하지 않음)가 위치한다.
어레이 기판(11)의 패드는 TCP(또는 COF)(30)와 연결되어 있으며, TCP(또는 COF)(30)는 액정 패널(10)을 구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브 IC(31)를 포함한다. 또한, TCP(또는 COF)(30)는 PCB(20)와도 연결되어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10)의 하부에는 광원으로 이용되는 백라이트(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액정 패널과 TCP(또는 COF)를 연결하거나, TCP(또는 COF)와 PCB를 연결할 때에는 이방성 도전 필름(ACF :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사용한다. ACF는 일종의 열경화성 수지 필름에 작은 도전성 입자가 들어 있는 것으로, 도전성 접착을 하려는 액정 패널의 패드 위에 ACF를 붙이고, TCP(또는 COF)를 패널의 패드와 맞추어 부착한 후 열압착하면 수직 방향으로 전기적 접촉이 된다. 이때, TCP 및 ACF의 재질을 고려하여 적절한 열과 압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CP(또는 COF)와 PCB도 같은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TCP나 COF는 둘 다 필름을 이용하므로 구부릴 수 있어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는데, 이러한 구조를 도 2에 도시하였다. 여기서, COF의 금속 배선 두께가 TCP의 금속 배선 두께보다 작아 패터닝하기에 유리하기 때문에, COF가 TCP에 비해 더욱 미세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COF를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기판(41, 42)이 마주 대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기판(41, 42)의 바깥쪽에는 제 1 및 제 2 편광판(43, 44)이 각각 위치한다. 여기서, 제 2 기판(42) 및 제 2 편광판(44)은 제 1 기판(41)보다 면적이 작기 때문에 제 1 기판(41)의 일끝을 드러낸다. 다음, 제 1 편광판(43) 의 하부에는 백라이트(45)가 배치되어 있고, 제 1 기판(41)의 드러난 일끝에는 COF(47)의 일끝이 연결되어 있는데, 백라이트(45)는 일끝에서 타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달라지는 구조를 가져, 도시한 것처럼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게 된다. 한편, COF(47)는 제 1 기판(41)과 접촉하는 일면에 드라이브 IC(46)를 포함하며, COF(47)의 타끝은 PCB(48)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도 2의 A 부분 즉, 드라이브 IC(46)가 형성되어 있는 COF(47) 부분을 도 3 및 도 4에 확대 도시하였는데, 도 3은 도 2의 A 부분에 대한 확대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Ⅳ-Ⅳ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51) 위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대일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52a, 52b)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52a, 52b) 위에는 솔더 레지스트(solder resist)(53a, 53b)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솔더 레지스트(53a, 53b)는 각각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52a, 52b)의 일부를 드러낸다.
다음, 드러난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52a, 52b) 위에는 각각 범프(54a, 54b)가 형성되어 있으며, 범프(54a, 54b) 위에 드라이브 IC(56)가 배치되어 있어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52a, 52b)과 드라이브 IC(56)는 범프(54a, 54b)를 통해 연결된다.
다음, 드라이브 IC(56)의 양측에는 레진(resin)(55)이 형성되어, 레진(55)은 솔더 레지스트(53a, 53b)와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52a, 52b), 그리고 범프(54a, 54b)를 덮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COF에서는 베이스 필름(51)의 한쪽 면에만 신호 배선(54a, 54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서와 같이 PCB(48) 및 드라이브 IC(46)는 제 1 기판(도 2의 41)과 접촉하는 COF(도 2의 47)의 일면에 부착되어야 한다. 따라서, PCB(48) 및 드라이브 IC(46)가 부착되는 위치와 면적이 제한되어 드라이브 IC(46) 및 PCB(48)는 백라이트(45)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제 2 편광판(44)과 제 2 기판(42)에 의해 드러나는 제 1 기판(41) 상부의 공간(B)을 이용할 수 없으므로, 액정 표시 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 배선을 양면에 형성한 실장 구조를 이용하여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실장 구조에서는 제 1 콘택홀을 가지는 베이스 필름 상부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제 1 신호 배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신호 배선과 나란하며 일대일 대응하는 제 2 신호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 상부에는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회로가 배치되어 있고, 베이스 필름 하부에는 제 1 콘택홀을 통해 제 1 신호 배선과 연결되어 있는 제 3 신호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베이스 필름은 제 2 신호 배선 하부에 제 2 콘택홀을 더 포함하며, 베이스 필름 하부에 제 2 콘택홀을 통해 제 2 신호 배선과 연결되는 제 4 신호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장 구조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제 1 기판 하부에 제 1 편광판이 배치되어 있고, 그 하부에 백라이트가 위치한다. 제 1 기판 상부에는 제 1 기판의 일측을 드러내는 제 2 기판이 배치되어 있고, 제 2 기판 상부에는 제 2 편광판이 배치되어 있다. 다음, 제 1 기판의 드러난 일측에는 실장 구조가 연결되어 있는데, 실장 구조는 제 1 면이 제 1 기판의 드러난 일측과 연결되고 제 2 면에 구동회로가 부착되는 일단과,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쇄회로기판이 연결되는 타단을 가진다.
여기서, 실장 구조는 ㄱ) 제 1 콘택홀을 가지는 베이스 필름과; ㄴ) 베이스 필름 상부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제 1 신호 배선과; ㄷ) 베이스 필름 상부에 형성되고 제 1 신호 배선과 나란하며 일대일 대응하는 제 2 신호 배선과; ㄹ) 베이스 필름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콘택홀을 통해 제 1 신호 배선과 연결되어 있는 제 3 신호 배선을 포함한다.
이때, 인쇄회로기판은 실장 구조의 타단의 제 2 면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는데, 실장 구조의 타단은 백라이트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또는 백라이트의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 필름은 제 2 신호 배선 하부에 제 2 콘택홀을 더 포함하며, 베이스 필름 하부에 제 2 콘택홀을 통해 제 2 신호 배선과 연결되는 제 4 신 호 배선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인쇄회로기판은 실장 구조의 타단의 제 1 면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실장 구조의 타단은 백라이트의 하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백라이트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장 구조를 이용한 다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제 1 기판하부에 제 1 편광판이 배치되어 있고, 제 1 편광판 하부에 백라이트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기판 상부에는 제 1 기판의 일측을 드러내는 제 2 기판이 배치되어 있으며, 그 위에 제 2 편광판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기판의 드러난 일측에는 실장 구조가 연결되어 있는데, 실장 구조는 제 1 면에 제 1 기판의 드러난 일측이 연결되는 일단과, 제 2 면에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쇄회로기판이 연결되는 타단을 가지며, 백라이트의 측면과 대응하는 제 1 면에는 구동회로가 연결된다.
여기서, 실장 구조는 ㄱ) 콘택홀을 가지는 베이스 필름과; ㄴ) 베이스 필름 상부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제 1 신호 배선과; ㄷ) 베이스 필름 상부에 형성되고 제 1 신호 배선과 나란하며 일대일 대응하는 제 2 신호 배선과; ㄹ) 베이스 필름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콘택홀을 통해 제 2 신호 배선과 연결되어 있는 제 3 신호 배선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의 실장 구조를 상부와 하부의 이중 배선으로 형성하고, 이를 액정 표시 장치의 하부 기판에 부착함으로써, 구동회로와 인쇄회로기판의 부착 위치 선택 폭을 넓힐 수 있으며, 액정 표시 장치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장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COF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는 COF 구조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Ⅵ-Ⅵ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콘택홀(111, 112)을 가지는 베이스 필름(110) 위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대일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121, 122)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121, 122) 위에는 제 1 및 제 2 솔더 레지스트(131, 1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솔더 레지스트(131, 132)는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121, 122)의 일부를 각각 드러낸다.
다음, 드러난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121, 122) 위에는 각각 범프(141, 14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드라이브 IC(160)가 배치되어 있어,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121, 122)과 드라이브 IC(160)는 범프(141, 142)를 통해 연결된다.
다음, 드라이브 IC(160)의 양측에는 레진(150)이 형성되어 있어, 제 1 및 제 2 솔더 레지스트(131, 132)와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121, 122)의 일부, 그리고 범프(141, 142)를 덮고 있다.
이어, 베이스 필름(110)의 하부에는 제 3 및 제 4 신호 배선(123, 124)이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121, 122)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제 3 및 제 4 신호 배선(123, 124)은 제 1 및 제 2 콘택홀(111, 112)을 통해 각각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121, 122)과 연결되어 있고, 제 3 및 제 4 신호 배선(123, 124) 하부에는 제 3 솔더 레지스트(13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COF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를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였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주 대하도록 배치되고 사이에 액정층(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기판(171, 172)이 있고, 제 1 및 제 2 기판(171, 172)의 바깥쪽에는 제 1 및 제 2 편광판(173, 174)이 각각 위치한다. 여기서, 제 2 기판(172) 및 제 2 편광판(174)은 제 1 기판(171)보다 면적이 작기 때문에 제 1 기판(171)의 일부를 드러낸다.
다음, 제 1 편광판(173)의 하부에는 백라이트(175)가 배치되어 있는데, 백라이트(175)는 드러난 제 1 기판(171)의 아래쪽 부분 즉, 도면의 우측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드러난 제 1 기판(171)의 일끝에는 COF(177a)가 부착되어 있다. COF(177a)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의 상부와 하부 모두에 신호 배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COF(177a) 일끝의 제 1 면이 제 1 기판(171)과 접촉되어 있고, COF(177a) 일끝의 제 2 면 즉, 제 1 기판(171)과 접촉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드라이브 IC(176a)가 연결되어 있다. 다음, COF(177a)의 타끝은 구부러져 백라이트(175) 하부에 위치하는데, COF(177a) 타끝의 제 1 면에는 PCB(178a)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COF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베이스 필름의 양면에 신호 배선을 형성하여, 드라이브 IC를 제 2 기판 및 제 2 편광판에 의해 드러난 제 1 기판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PCB를 백라이트의 두께가 얇은 부분 하부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COF를 이용함으로써 PCB를 제 1 기판과 제 1 편광판 및 백라이트의 측면에 배치할 수도 있다.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러난 제 1 기판(171)의 일끝에 COF(177b)가 부착되어 있는데, COF(177b)는 베이스 필름의 상부와 하부 모두에 신호 배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COF(177b) 일끝의 제 1 면이 제 1 기판(171)과 접촉되어 있고, COF(177b) 일끝의 제 2 면 즉, 제 1 기판(171)과 접촉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드라이브 IC(176b)가 연결되어 있다. COF(177b)의 타끝은 구부러져 제 1 기판(171)과 제 1 편광판(173) 및 백라이트(175)의 우측 측면에 위치하는데, COF(177b) 타끝의 제 1 면에는 PCB(178b)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의 부피를 감소시켜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신호 배선을 드라이브 IC의 좌우 양측 모두 상하 이중 배선으로 형성하였으나, 드라이브 IC의 일측 부분에만 이중 배선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COF를 도 8 및 도 9에 도시하였는데,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COF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Ⅸ-Ⅸ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택홀(211)을 가지는 베이스 필름(210) 위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대일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221, 222)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221, 222) 위에는 제 1 및 제 2 솔더 레지스트(231, 2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신호 배선(221)은 콘택홀(211) 상부에 위치하고, 제 1 및 제 2 솔더 레지스트(231, 232)는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221, 222)의 일부를 각각 드러낸다.
다음, 드러난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221, 222) 위에는 각각 범프(241, 24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드라이브 IC(260)가 배치되어 있어,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221, 222)과 드라이브 IC(260)는 범프(241, 242)를 통해 연결된다.
다음, 드라이브 IC(260)의 양측에는 레진(250)이 형성되어 있어, 제 1 및 제 2 솔더 레지스트(231, 232)와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221, 222)의 일부, 그리고 범프(241, 242)를 덮고 있다.
이어, 베이스 필름(210)의 하부에는 제 3 신호 배선(223)이 제 1 신호 배선(221)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 3 신호 배선(223)은 콘택홀(211)을 통해 제 1 신호 배선(221)과 연결되어 있고, 제 3 신호 배선(223) 하부에는 제 3 솔더 레지스트(23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COF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를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였는데, 이때의 액정 표시 장치는 COF와 PCB 부분을 제외하고 앞선 도 7a 및 도 7b의 액정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기판(272) 및 제 2 편광판(274)에 의 해 드러난 제 1 기판(271)의 일끝에는 COF(277a)가 부착되어 있는데, COF(277a)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라이브 IC(276a)의 일측 부분, 즉 좌측 부분에서 베이스 필름의 상부와 하부 모두에 신호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드라이브 IC(276a)의 우측 부분에서는 드라이브 IC(276a)가 연결되어 있는 면에만 신호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COF(277a) 일끝의 제 1 면이 제 1 기판(271)과 접촉되어 있으며, COF(277a) 일끝의 제 2 면, 즉 제 1 기판(271)과 접촉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드라이브 IC(276a)가 연결되어 있다. COF(277a)의 타끝은 구부러져 백라이트(275) 하부에 위치하는데, COF(277a) 타끝의 제 2 면에는 PCB(278a)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COF를 이용함으로써 PCB를 제 1 기판과 제 1 편광판 및 백라이트의 측면에 배치할 수도 있다.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러난 제 1 기판(271)의 일끝에 COF(277b)가 부착되어 있는데, COF(277b) 일끝의 제 1 면이 제 1 기판(271)과 접촉되어 있고, COF(277b) 일끝의 제 2 면, 즉 제 1 기판(271)과 접촉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드라이브 IC(276b)가 연결되어 있다. COF(277b)의 타끝은 구부러져 제 1 기판(271)과 제 1 편광판(273) 및 백라이트(275)의 우측 측면에 위치하는데, COF(277b) 타끝의 제 2 면에는 PCB(278b)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COF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드라이브 IC를 제 2 기판 및 제 2 편광판에 의해 드러난 제 1 기판 상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부피를 감소시켜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COF에서는 드라이브 IC의 우측 부분에 이중 배선을 형성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COF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ⅩⅡ-Ⅹ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택홀(312)을 가지는 베이스 필름(310) 위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대일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321, 322)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321, 322) 위에는 제 1 및 제 2 솔더 레지스트(331, 3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신호 배선(322)은 콘택홀(312) 상부에 위치하고, 제 1 및 제 2 솔더 레지스트(331, 332)는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321, 322)의 일부를 각각 드러낸다.
다음, 드러난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321, 322) 위에는 각각 범프(341, 34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드라이브 IC(360)가 배치되어 있어,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321, 322)과 드라이브 IC(360)는 범프(341, 342)를 통해 연결된다.
다음, 드라이브 IC(360)의 양측에는 레진(350)이 형성되어 있어, 제 1 및 제 2 솔더 레지스트(331, 332)와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321, 322)의 일부, 그리고 범프(341, 342)를 덮고 있다. 여기서, 콘택홀(312)은 드라이브 IC(360)의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 베이스 필름(310)의 하부에는 제 3 신호 배선(323)이 제 2 신호 배선(322)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 3 신호 배선(323)은 콘택홀(312)을 통해 제 2 신호 배선(322)과 연결되어 있고, 제 3 신호 배선(323) 하부에는 제 3 솔더 레지스트(33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COF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기판(372) 및 제 2 편광판(374)에 의해 드러난 제 1 기판(371)의 일끝에는 COF(377)가 부착되어 있으며, COF(377)의 타끝은 구부러져 백라이트(375) 하부에 위치한다. 여기서, COF(377)는 드라이브 IC(376)의 일측 부분, 즉 도 12를 참조하면 드라이브 IC(도 12의 360)의 우측 부분에서만 베이스 필름의 상부와 하부 모두에 신호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드라이브 IC(도 12의 360)의 좌측 부분에서는 드라이브 IC(376)가 연결되어 있는 면에만 신호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COF(377) 일끝의 제 1 면은 제 1 기판(371)과 접촉되어 있고, COF(377)의 구부러진 부분, 즉 제 1 기판(371)과 제 1 편광판(373) 및 백라이트(375)의 우측 부분에 위치하는 부분의 제 1 면에는 드라이브 IC(376)가 연결되어 있으며, COF(377) 타끝의 제 2 면에는 PCB(378)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COF 또는 TCP를 상하부 이중 배선으로 형성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부피를 감소시켜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이상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실장 구조에서는 COF 또는 TCP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COF 또는 TCP를 상부와 하부의 이중 배선으로 형성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하부 기판에 부착함으로써, 드라이브 IC와 PCB의 부착 위치 선택 폭을 넓힐 수 있으며, 액정 표시 장치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3)

  1. 제 1 콘택홀을 가지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부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제 1 신호 배선;
    상기 베이스 필름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신호 배선과 나란하며 일대일 대응하는 제 2 신호 배선;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 상부에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회로;
    상기 베이스 필름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 1 신호 배선과 연결되어 있는 제 3 신호 배선
    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실장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상기 제 2 신호 배선 하부에 제 2 콘택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필름 하부에 상기 제 2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 2 신호 배선과 연결되는 제 4 신호 배선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실장 구조.
  3.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하부에 배치되는 제 1 편광판과;
    상기 제 1 편광판 하부의 백라이트와;
    상기 제 1 기판 상부에 상기 제 1 기판의 일측을 드러내어 배치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편광판과;
    제 1 콘택홀을 가지는 베이스 필름;
    구동회로가 부착되고, 상기 제 1 기판 및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며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가지는 실장구조에 있어서,
    제 1 콘택홀을 가지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부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제 1 신호 배선;
    상기 베이스 필름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신호 배선과 나란하며 일대일 대응하는 제 2 신호 배선;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 상부에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 배선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구동회로;
    상기 베이스 필름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 1 신호 배선과 연결되어 있는 제 3 신호 배선
    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실장구조의 상기 제 2 면의 상기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구조에서 상기 제 2 면의 상기 타단은 상기 백라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구조에서 상기 제 2 면의 상기 타단은 상기 백라이트의 측면에 위치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상기 제 2 신호 배선 하부에 제 2 콘택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필름 하부에 상기 제 2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 2 신호 배선과 연결되는 제 4 신호 배선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실장구조의 상기 제 1 면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구조에서 상기 제 1 면의 상기 타단은 상기 백라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구조에서 상기 제 1 면의 상기 타단은 상기 백라이트의 측면에 위치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하부에 배치되는 제 1 편광판과;
    상기 제 1 편광판 하부의 백라이트와;
    상기 제 1 기판 상부에 상기 제 1 기판의 일측을 드러내어 배치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편광판과;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쇄회로기판과;
    제 1 면에 상기 제 1 기판의 드러난 일측이 연결되는 일단과, 제 2 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연결되는 타단을 가지며, 상기 백라이트의 측면과 대응하는 제 1 면에 구동회로가 연결되는 실장 구조에 있어서,
    콘택홀을 가지는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 상부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제 1 신호 배선과;
    상기 베이스 필름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신호 배선과 나란하며 일대일 대응하는 제 2 신호 배선과;
    상기 베이스 필름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 2 신호 배선과 연결되어 있는 제 3 신호 배선
    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삭제
KR1020010068285A 2001-11-02 2001-11-02 실장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59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285A KR100859804B1 (ko) 2001-11-02 2001-11-02 실장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285A KR100859804B1 (ko) 2001-11-02 2001-11-02 실장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168A KR20030037168A (ko) 2003-05-12
KR100859804B1 true KR100859804B1 (ko) 2008-09-23

Family

ID=29567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28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59804B1 (ko) 2001-11-02 2001-11-02 실장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8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1115A (ko) * 2013-09-13 2015-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Cof 패키지, 이를 포함하는 cof 패키지 어레이, 및 표시 장치
US9280182B2 (en) 2013-03-04 2016-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ip on film packag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276086B2 (en) 2015-08-26 2019-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ip on film circuit board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032B1 (ko) * 2003-12-03 200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이프 배선 기판, 그를 이용한 반도체 칩 패키지 및 그를이용한 디스플레이패널 어셈블리
KR100652519B1 (ko) 2005-07-18 2006-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금속층을 갖는 테이프 배선기판 및 그를 이용한 칩 온필름 패키지
KR101535223B1 (ko) 2008-08-18 2015-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이프 배선 기판, 칩-온-필름 패키지 및 장치 어셈블리
CN107748457B (zh) * 2017-11-03 2024-05-28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5472A (ja) * 1997-08-26 1999-03-05 Toshiba Corp 平面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5472A (ja) * 1997-08-26 1999-03-05 Toshiba Corp 平面表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0182B2 (en) 2013-03-04 2016-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ip on film packag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50031115A (ko) * 2013-09-13 2015-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Cof 패키지, 이를 포함하는 cof 패키지 어레이, 및 표시 장치
KR102254761B1 (ko) * 2013-09-13 2021-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Cof 패키지, 이를 포함하는 cof 패키지 어레이, 및 표시 장치
US10276086B2 (en) 2015-08-26 2019-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ip on film circuit board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168A (ko) 200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69913B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0454792B1 (ko) 가요성 기판,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US6542374B1 (en) Circuit boar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employing the circuit board
US7518691B2 (en) Electrooptical device, moun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wiring formed on and protruding from a base material to directly under an input bump on a semiconductor device
JP2003273476A (ja) 実装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CN100354730C (zh) 柔性基板、电光装置和电子装置
KR101147990B1 (ko) 드라이버칩 패드가 형성된 기판
KR100859804B1 (ko) 실장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1292569B1 (ko) 액정표시소자
CN1312521C (zh) 电光装置及其制造方法和具备该电光装置的电子设备
KR20030037167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266213B1 (ko) 패드마진을줄인cog형액정패널
JP2004087940A (ja) 電子部品の実装基板、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3222898A (ja) 液晶表示装置
JP2003273486A (ja) 実装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2004087938A (ja) 電子部品の実装基板、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4152984A (ja) 配線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924494B1 (ko) 피씨비 상에서의 출력테스트가 가능한 티씨피 구조
US20040174488A1 (en) Symmetrical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20070047014A (ko) 드라이브아이씨를 내장한 구동필름 및 그 필름을 구비한액정표시장치
JPH0274922A (ja) 液晶表示装置
KR100529490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JP2004087939A (ja)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20050019562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H08136945A (ja) 液晶表示パネルに駆動素子を接続する方法及び駆動素子を備える液晶表示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11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11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9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9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