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126B1 - Steel Sleeve Width Feeder - Google Patents
Steel Sleeve Width Fee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8126B1 KR100858126B1 KR1020020040836A KR20020040836A KR100858126B1 KR 100858126 B1 KR100858126 B1 KR 100858126B1 KR 1020020040836 A KR1020020040836 A KR 1020020040836A KR 20020040836 A KR20020040836 A KR 20020040836A KR 100858126 B1 KR100858126 B1 KR 1008581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ve
- plate
- cylinder
- supply
-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51/00—Measuring, gauging, indicating, counting, or mar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production or manipulation of material in accordance with subclasses B21B - B21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57—Coiling the roll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께가 얇은 냉연 제품을 코일형으로 권취 할 때 내경부위의 좌굴(찌그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일을 권취하는 권취릴에 삽입되는 스틸 슬리브를 폭에 따라서 분리 및 공급할 수 있는 스틸 슬리브 폭별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슬리브(S)를 공급하는 공급부(10)와, 공급부(10)에 안착된 슬리브(S)의 위치를 보정하는 센터링부(20)와, 센터링 완료된 슬리브(S)를 적치하는 적치부(30)와, 상기 적치부(30)에 적치된 슬리브(S)를 인출하는 배출부(40)와, 상기 배출부(40)에 의해서 배출된 슬리브(S)를 목적지로 이송하는 이송부(50)와, 슬리브 감지센서(18,48)로 이루어진 것이다.
슬리브, 공급장치, 적치대, 컨베이어, 슬리브카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l sleeve width-specific supply capable of separating and supplying a steel sleeve inserted into a winding reel for winding a coil to prevent buckling of the inner diameter part when winding a cold-rolled thin product into a coil shape. Th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ly portion 10 for supplying the sleeve (S), the centering portion 20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sleeve (S) seated in the supply portion 10, and the centered sleeve ( The storage part 30 which accumulates S), the discharge part 40 which draws out the sleeve S accumulate | stored in the said loading part 30, and the sleeve S discharged by the said discharge part 40 Consists of a conveying unit 50 and a sleeve detecting sensor (18, 48) to transfer to the destination.
Sleeve, feeder, loading rack, conveyor, sleeve car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스틸 슬리브 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teel sleeve supply devic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틸 슬리브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eel sleev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틸 슬리브 공급장치의 슬리브 공급부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eeve supply of the steel sleev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틸 슬리브 공급장치의 슬리브 센터링부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eeve centering portion of the steel sleev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틸 슬리브 공급장치의 슬리브 배출부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eeve outlet of the steel sleev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about main part of drawing ※
S : 슬리브 1 : 베이스S: Sleeve 1: Base
10 : 공급부 11 : 공급실린더10: supply part 11: supply cylinder
14 : 제1승강판 15 : 제1지지암14: first lifting plate 15: the first support arm
16 : 제1회동판 17 : 제1실린더16: first copper plate 17: the first cylinder
17a : 제1센서홀 18, 48 : 슬리브 감지센서17a:
20 : 센터링부 21 : 지지로드 20: centering portion 21: support rod
22 : 지지판 23 : 센터링 실린더22: support plate 23: centering cylinder
23 : 스탭핑모터 24 : 이동부재23: stepping motor 24: moving member
25 : 슬리브 파지편 27 : 피니언기어25: sleeve gripping piece 27: pinion gear
28 : 랙기어 30 : 적치부28: rack gear 30: storage unit
31 : 지지빔 32 : 적치 컨베이어31: support beam 32: accumulating conveyor
32a : 안착홈 40 : 배출부32a: seating groove 40: discharge part
41 : 배출실린더 44 : 제2승강판41: discharge cylinder 44: the second lifting plate
45 : 제2지지암 46 : 제2회동판45: second support arm 46: the second copper plate
47 : 제2실린더 47a : 제2센서홀47:
50 : 이송부 51 : 슬리브카50: transfer unit 51: sleeve car
52 : 레일52: rail
본 발명은 스틸 슬리브 폭별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께가 얇은(통상 0.6MM이하) 냉연 제품을 코일형으로 권취 할 때 내경부위의 좌굴(찌그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일을 권취하는 권취릴에 삽입되는 스틸 슬리브를 폭에 따라서 분리 및 공급할 수 있는 스틸 슬리브 폭별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sleeve width feed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wound coils to prevent buckling of inner diameters when winding cold rolled products having a thin thickness (usually 0.6 mm or less) into coi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sleeve widthwise feeding device capable of separating and supplying a steel sleeve inserted into a reel along a width.
일반적으로 코일형태로 권취된 냉연 제품의 중심부에는 코일 내경부위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틸 슬리브가 끼워져 있으며, 코일의 권취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회수 또는 신규로 제작된 슬리브는 별도의 공급장치에 복수개가 적재되어 있다.In general, a steel sleeve is fitted in the center of the coiled cold rolled product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coil, and a sleeve that is recovered or newly manufactured so as to smooth the coiling operation may be provided in a separate supply device. Plural pieces are stacked.
상기 슬리브가 적재되는 공급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00)의 상부에 적치대(101)가 설치되어 있되, 그 적치대(101)는 슬리브(S)가 자중에 의해서 하부로 굴러 내릴 수 있도록 소정의 경사각이 유지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적치대(101)의 일측에는 슬리브(S)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리브 스토퍼(102)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슬리브 스토퍼(102)는 스톱실린더(103)에 의해서 힌지(104)를 중심으로 회전가능 하게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eeding device on which the sleeve is mounted is provided with a
한편, 슬리브 스토퍼(10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 일측에는 슬리브(S)를 안내하는 슬리브 가이드(105)가 설치되어 있고, 그 슬리브 가이드(105)는 베이스(100)의 상면에 설치된 안내실린더(106)에 의해서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에는 슬리브카(107)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108)이 설치되어 있다.Meanwhile, a
따라서, 회수 또는 신규로 제작된 슬리브는 작업자가 측정도구(줄자 등)를 이용하여 폭별로 선별하고 코일의 압연순서에 맞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송장치(지게차, 트레인 등)(109)를 이용하여 적치대(101)에 올려놓으면, 상기 적치대(101)에 올려진 슬리브(S)는 적치대(101)의 경사각을 따라서 굴러 내려와 상기 슬리브 스토퍼(102)에 의해서 걸려지게 된다. Therefore, the recovered or newly produced sleeve is sorted by the width using a measuring tool (such as a tape measure) by the operator, and using a transport device (forklift, train, etc.) 109 as shown in FIG. 1 in accordance with the rolling order of the coil. When placed on the
따라서 상기 슬리브(S)는 적치대(101)에 올려놓은 순서대로 인출하는 것이다. 즉, 슬리브카(107)가 레일(108)을 따라서 이동되어 베이스(100)의 일측에 위치된 후 스톱실린더(103)를 작동시키면 슬리브 스토퍼(102)가 힌지(104)를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슬리브(S)는 하부로 낙하되어 슬리브 가이드(105)에 안착된다.Therefore, the sleeve (S) is withdrawn in the order placed on the
그리고 상기 안내실린더(106)를 작동시키면 슬리브 가이드(105)가 회동되어 그 슬리브 가이드(105)의 상면에 안착된 슬리브(S)는 슬리브카(107)에 안착되므로 상기 슬리브(S)가 안착된 슬리브카(107)는 목적지로 이동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슬리브 공급장치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슬리브의 크기를 측정하여 압연순서에 따라서 슬리브를 적치하여야 하므로 작업자의 업무부하가 증가되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sleeve supplying device has increased the work load of the operator because the operator has to manually measure the size of the sleeve and lay the sleeve in accordance with the rolling order.
또한 수송장치를 이용하여 적치대의 상부에 슬리브를 안착시키게 되므로 별도의 장비가 반드시 필요하였음은 물론, 적치대에 올려진 슬리브의 센터링이 맞지 않게 되어, 적치대의 경사각을 따라서 슬리브가 굴러서 이동될 때 적치대의 측면에 슬리브가 걸려 슬리브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게되었다.In addition, since the sleeve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ading rack using a transport device, a separate equipment is not necessarily required, and the centering of the sleeve mounted on the loading rack does not fit, and when the sleeve is rolled and moved alo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oading rack, The sleeve is caught on the side of the stand, and the sleeve is not supplied smoothly.
상기 슬리브가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작업자가 적치대에 올라가서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슬리브를 공급하였으며, 적치대에 걸리지 않고 진행되었더라도 슬리브의 센터링 교정이 불량하면 슬리브 스토퍼에서 슬리브가이드로 낙하될 때 슬리브 가이드에서 이탈되거나 슬리브카에서 낙하되어 주변 설비를 파손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When the sleeve is not supplied, the worker climbs onto the loading rack and supplies the sleeve using a separate equipment. Even if the loading is not caught on the loading rack, if the centering correction of the sleeve is poor, the sleeve guide falls from the sleeve stopper to the sleeve guide. There was a problem such as to break away from or fall from the sleeve car to damage the surrounding equipmen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슬리브를 공급하는 공급부에서 센터링을 맞추어 폭을 측정한 후 그 폭에 따라서 다단으 로 설치된 콘베이어 타입의 적치대에 적치하고 폭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슬리브카에 안착시킬 수 있는 스틸 슬리브 폭별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is to measure the width in accordance with the centering in the supply for supplying the sleeve and then placed on the conveyor stand of the conveyor type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the width and selective depending on the width It is to provide a steel sleeve width supply device that can be drawn out and seated on the sleeve ca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스틸 슬리브 폭별 공급장치는 베이스의 일측 하부에 설치된 공급실린더에 의해서 승강되는 제1승강판이 마련되고, 그 제1승강판의 상부에 설치된 제1지지암에 의해서 일측은 제1힌지를 매개로 설치되고 타측은 제1실린더에 연결된 제1회동판이 마련된 공급부; 상기 공급부의 일측에 지지로드를 매개로 설치된 지지판이 마련되고, 그 지지판의 배면에는 지지판을 이동시키는 센터링 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의 전면 상/하부에는 구동수단에 의해서 슬리브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며 양단부에는 슬리브를 파지하는 슬리브 파지편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이동부재가 마련된 센터링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지지빔을 매개로 적치 컨베이어가 마련되고, 그 적치 컨베이어에는 슬리브가 안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안착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적치부; 상기 베이스의 타측 하부에 설치된 배출실린더에 의해서 승강되는 제2승강판이 마련되고, 그 제2승강판의 상부에 설치된 제2지지암에 의해서 일측은 제2힌지를 매개로 설치되고 타측은 제2실린더에 연결된 제2회동판이 마련된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슬리브가 안착되는 슬리브카가 마련되고, 그 슬리브카의 하부에는 슬리브카를 안내하는 한 쌍의 레일이 설치된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동판 및 제2회동판의 중앙에는 제1센서홀 및 제2센서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센서홀에는 슬리브를 감지하도록 슬리브 감지센서가 각각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Steel sleeve width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elevating plate which is elevated by a supply cylinder installed on one side lower portion of the base, one side is mediated by the first support arm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elevating plate A supply part provided with a first pivot plate connected to the first cylinder and installed at the other side; A support plat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ly unit via a support rod, and a centering cylinder for moving the support plate is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is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leeve by a driving means on the front and bottom of the support plate. A centering part provided with a pair of moving members each having a sleeve gripping piece for holding a sleeve at both ends; An accumulator conveyor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via a support beam, and the accumulator conveyor includes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formed at equal intervals so that a sleeve may be seated thereon; The second elevating plate is provided by the discharge cylinder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the second support arm provided on the upper of the second elevating plate is installed on one side via the second hinge and the other side is the second cylinder A discharge part provided with a second rotating plate connected to the sleeve and a sleeve car to which the sleev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art is provid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sleeve car includes a transfer part provided with a pair of rails for guiding the sleeve car, A first sensor hole and a second sensor hole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pper plate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and each of the sensor holes has a sleeve detecting sensor inserted therein to detect the sleeve.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characteristics in detail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틸 슬리브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틸 슬리브 공급장치의 슬리브 공급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틸 슬리브 공급장치의 슬리브 센터링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틸 슬리브 공급장치의 슬리브 배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eel sleev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eeve supply of the steel sleev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 sleeve centering portion of the steel sleev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eeve outlet of the steel sleev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슬리브(S)를 공급하는 공급부(10)와, 공급부(10)에 안착된 슬리브(S)의 위치를 보정하는 센터링부(20)와, 센터링 완료된 슬리브(S)를 적치하는 적치부(30)와, 상기 적치부(30)에 적치된 슬리브(S)를 인출하는 배출부(40)와, 상기 배출부(40)에 의해서 배출된 슬리브(S)를 목적지로 이송하는 이송부(50)로 이루어진다. As referred to here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먼저, 상기 공급부(10)는 도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의 일측 하부에 공급실린더(11)가 설치되어 있고, 그 공급실린더(11)의 상측에는 제1지지판(12)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제1지지판(12)의 일측에는 이후에 설명할 제1승강판(14)을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센서(19)가 설치되어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그리고 상기 공급실린더(11)의 로드에는 제1승강판(14)이 설치되어 있고 그 제1승강판(14)의 저면에는 제1승강판(14)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제1안내봉(13)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od of the
한편, 상기 제1승강판(14)의 상면 일측에는 제1지지암(15)이 설치되어 있고, 그 제1지지암(15)의 상단부에는 제1회동판(16)의 저면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 합되어 있으며, 그 제1회동판(16)의 저면 타측에는 제1승강판(14)에 설치된 제1실린더(17)의 로드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회동판(16)의 중앙에는 제1센서홀(17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제1센서홀(17a)에는 슬리브(S)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슬리브 감지센서(18)가 삽입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센터링부(2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0)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로드(21)가 설치되어 있고, 그 지지로드(21)의 상부에는 지지판(22)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지지판(22)의 전면에는 한쌍의 가이드(22a)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배면에는 센터링 실린더(23)가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centering
그리고 상기 지지판(22)의 전면 상/하부에는 이동부재(24)가 설치되어 있되, 그 이동부재(24)의 배면에는 가이드(22a)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4a)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슬리브(S)의 양측면에 접촉되는 슬리브 파지편(25)이 형성되어 있다.And the moving
또한, 상기 지지판(22)의 중앙에는 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있되, 그 구동수단은 회전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스태핑모터(26)가 설치되어 있고, 그 스태핑모터(26)의 회전축은 지지판(22)을 관통하여 전면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스태핑모터(26)의 회전축에는 피니언(27)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재(24)에는 그 피니언(27)과 기어 결합되는 랙기어(2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판(22)의 상면 중앙에는 슬리브(S)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센터링 센서(29)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driving means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상기 적치부(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의 상면에 복수개의 지지빔(31)이 설치되어 있고 그 지지빔(31)에는 슬리브(S)를 적치하는 적치 컨베이 어(32)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적치 컨베이어(32)는 슬리브(S)의 종류(폭 및 직경)에 따라서 분류하여 각각 적치할 수 있도록 복수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the placing
한편, 상기 적치 컨베이어(32)에는 슬리브(S)가 안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안착홈(32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적치 컨베이어(32)의 하부 양측에는 승강판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승강판 감지센서(33a, 33b, 33c, 33d)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상기 배출부(40)는 도 2 및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의 일측 하부에 배출실린더가 설치되어 있고, 그 배출실린더의 상측에는 제2지지판(42)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제2지지판(42)의 일측에는 이후에 설명할 제2승강판(44)을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센서(49)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5, the
그리고 상기 배출실린더의 로드에는 제2승강판(44)이 설치되어 있고 그 제2승강판(44)의 저면에는 제2승강판(44)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제2안내봉(43)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한편, 상기 제2승강판(44)의 상면 일측에는 제2지지암(45)이 설치되어 있고, 그 제2지지암(45)의 상단부에는 제2회동판(46)의 저면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그 제2회동판(46)의 저면 타측에는 제2승강판(44)에 설치된 제2실린더(47)의 로드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회동판(46)의 중앙에는 제2센서홀(47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제2센서홀(47a)에는 슬리브(S)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슬리브 감지센서(48)가 삽입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상기 이송부(50)는 배출부(40)에서 배출되는 슬리브(S)를 공급받아 목적지로 이송시키기 위한 슬리브카(51)가 설치되어 있되, 그 슬리브카(51)는 레일(52)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회수 또는 제작된 슬리브(S)가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안착판(2)의 상부면에 안착되면 그 슬리브(S)는 안착판(2)의 경사각을 따라서 굴러내리게되어 공급부(10)의 제1회동판(16)의 상부로 이동된다.First, when the recovered or manufactured sleeve S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슬리브(S)가 제1회동판(16)의 상부로 이동되면 그 제1회동판(16)에 설치된 슬리브 감지센서(18)가 슬리브(S)를 감지하게 되어 센터링부(20)의 센터링 실린더(23)를 작동시키게 되며, 그 센터링 실린더(23)는 지지판(22)의 상부에 설치된 센터링 센서(29)가 슬리브(S)를 감지하면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sleeve S i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이러한 상태에서 스태핑모터(26)가 작동되어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서 피니언(27)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피니언(27)이 회전하게 되면 그 피니언(27)에 기어 결합된 랙기어(28)가 이동되므로, 지지판(22)의 전면에 설치된 이동부재(24)가 이동하게 되어, 상기 이동부재(24)에 형성된 슬리브 파지편(25)은 슬리브(S)의 양측면을 가압하면서 슬리브(S)를 중앙으로 이동시키면서 센터링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the
이때 스태핑모터(26)는 그 회전량에 따라서 이동부재(24)의 이동거리를 환산할 수 있는 신호가 발생되는 것으로서,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슬리브(S)의 폭을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stepping
상기와 같이 슬리브(S)의 센터링 작업 및 폭 선별이 완료되면 공급실린더(11)가 작동되어 슬리브(S)의 폭에 따라서 슬리브(S)를 적재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승강판 감지센서가 제1승강판(14)을 감지하도록 그 제1승강판(14)을 상승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entering operation and the selection of the width of the sleeve (S) is completed, the
이러한 상태에서 제1승강판(14)에 설치된 제1실린더(17)가 작동되면 제1회동판(16)은 제1지지암(15)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제1회동판(16)에 안착된 슬리브(S)는 적재 컨베이어(32)에 형성된 적재홈(32a)의 내부로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슬리브(S)의 공급이 완료되면 적치 컨베이어(32)는 또 다른 슬리브(S)를 수용할 수 있도록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슬리브(S)를 폭에 따라서 적치 컨베이어(32)에 적치하게 된다.While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sleeve (S) is placed on the stacking
이상에서와 같이 적치된 슬리브(S)를 목적지로 공급할 때에는 배출 실린더를 작동시켜 공급하고자 하는 슬리브(S)의 폭과 일치하는 슬리브(S)가 적치된 적치 컨베이어(32)의 일측에 제2승강판(44)을 이동시킨다.As described above, when supplying the stacked sleeve S to the destination, the second cylinder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stacked
이러한 상태에서 적치 컨베이어(32)에 적치된 슬리브(S)가 제2회동판(46)의 상부로 안착될 수 있도록 적치 컨베이어(32)를 구동시키는 것이며, 상기 슬리브(S)가 제2회동판(46)에 안착되어 슬리브 감지센서(48)가 감지하면 적치 컨베이어(32)는 정지됨과 동시에 배출실린더가 작동되어 제2승강판(44)을 하부로 이동시킨다.In this state, the sleeve S loaded on the stacking
상기 제2승강판(44)이 하부로 이동된 후 제2실린더(47)가 작동되면 제2회동판(46)은 제2지지암(45)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제2회동판(46) 에 안착된 슬리브(S)는 슬리브카(51)의 상부로 안착되는 것이며, 상기 슬리브카(51)에 설치된 감지센서(53)가 슬리브(S)를 감지하면 슬리브카(51)는 레일(52)을 따라서 목적지로 이동되는 것이다.Wh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수 및 제작된 스틸 슬리브의 폭을 자동으로 측정하고 센터링을 한 후 슬리브의 폭에 따라서 분류되도록 적치 컨베이어에 각각 적치하고 필요한 폭과 일치하는 슬리브를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목적지로 공급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업무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measures the width of the recovered and manufactured steel sleeves, centers them, and then places them on the loading conveyors so as to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widths of the sleeves. Therefore, there is a unique effect that can minimize the work load of the worker.
또한 본 발명은 슬리브의 센터링 불량으로 인한 슬리브의 추락을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지연 및 주변 설비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nique effect that can prevent the fall of the sleeve due to the poor centering of the sleeve in advance to prevent work delay and damage to the surrounding equipment.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0836A KR100858126B1 (en) | 2002-07-12 | 2002-07-12 | Steel Sleeve Width Fee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0836A KR100858126B1 (en) | 2002-07-12 | 2002-07-12 | Steel Sleeve Width Feed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06536A KR20040006536A (en) | 2004-01-24 |
KR100858126B1 true KR100858126B1 (en) | 2008-09-10 |
Family
ID=37316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408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858126B1 (en) | 2002-07-12 | 2002-07-12 | Steel Sleeve Width Fee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5812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5958B1 (en) * | 2007-04-24 | 2007-10-10 |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 Automatic loading device for rolling roll |
KR100935105B1 (en) * | 2009-06-01 | 2010-01-06 |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 Apparatus piling up automatic for rolling roll |
KR101591349B1 (en) * | 2014-08-04 | 2016-02-03 | 주식회사 유진엠에스 | Sleeve automatic insert system |
KR200497961Y1 (en) * | 2021-12-15 | 2024-04-25 |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 Air compressor cooler transfer device |
CN118122798B (en) * | 2024-05-07 | 2024-08-02 | 常州市予源金属材料有限公司 | Seamless steel tube rolling mill with outlet guide structure and rolling method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12212A (en) * | 1993-10-14 | 1995-05-02 | Mitsubishi Heavy Ind Ltd | Sleeve feeder |
KR19980042476U (en) * | 1996-12-24 | 1998-09-25 | 김종진 | Centering device in steel sleeve |
JPH11290944A (en) * | 1998-04-10 | 1999-10-26 | Nippon Steel Corp | Sleeve feeder |
KR20010001802U (en) * | 1999-06-30 | 2001-01-26 | 이구택 | Sleeve introducing machine for a strip recoiler |
KR20010017375A (en) * | 1999-08-11 | 2001-03-05 | 고학봉 | Apparatus for auto-charging the sleeve |
-
2002
- 2002-07-12 KR KR1020020040836A patent/KR10085812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12212A (en) * | 1993-10-14 | 1995-05-02 | Mitsubishi Heavy Ind Ltd | Sleeve feeder |
KR19980042476U (en) * | 1996-12-24 | 1998-09-25 | 김종진 | Centering device in steel sleeve |
JPH11290944A (en) * | 1998-04-10 | 1999-10-26 | Nippon Steel Corp | Sleeve feeder |
KR20010001802U (en) * | 1999-06-30 | 2001-01-26 | 이구택 | Sleeve introducing machine for a strip recoiler |
KR20010017375A (en) * | 1999-08-11 | 2001-03-05 | 고학봉 | Apparatus for auto-charging the sleev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06536A (en) | 2004-0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82929A (en) | Device for taking out sheet rolls and mounting sheet roll cores | |
US846524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tacking sheet materials | |
US5332351A (en) | Coil unloading and transportation apparatus and method | |
EP0410628A2 (en) | Belt-shaped member taking-out and transfer apparatus | |
KR100858126B1 (en) | Steel Sleeve Width Feeder | |
GB2276874A (en) | System for storage,retrieval and supply of steel plates | |
KR102096176B1 (en) | Apparatus for loading paper pipe | |
JPH0815953B2 (en) | Sheet feeder | |
JP4844811B2 (en) | Storage equipment for roll-shaped articles | |
JP2000280117A (en) | Cutting device for metal tube | |
JP3294122B2 (en) | Article processing equipment | |
JP3130816B2 (en) | Device for collecting residual core of rolled sheet material | |
JP3612790B2 (en) | Vertical roll-up palletizer | |
JPH0679950B2 (en) | Automatic winding core insertion device for winder | |
US7650690B2 (en) | Pallet stacker apparatus | |
JP3807147B2 (en) | Transport equipment | |
KR200186060Y1 (en) | Device for transporting paper coil | |
JP2973817B2 (en) | Automatic warehouse loading / unloading device | |
KR100792742B1 (en) | Coil drum feeder | |
CN220641890U (en) | Packaging material extracting and loading device | |
KR100276956B1 (en) | Transport and storage device of winding | |
KR102719058B1 (en) | Electrode reel ejection device | |
KR200178766Y1 (en) | Automatic strip bending device | |
JPH10120187A (en) | Article pickup device | |
KR20010064199A (en) | Device for treatmenting top and tail of strip in annealing pickling l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7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07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