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528B1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와 그를이용한 채널선택필터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와 그를이용한 채널선택필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1528B1 KR100851528B1 KR1020070074497A KR20070074497A KR100851528B1 KR 100851528 B1 KR100851528 B1 KR 100851528B1 KR 1020070074497 A KR1020070074497 A KR 1020070074497A KR 20070074497 A KR20070074497 A KR 20070074497A KR 100851528 B1 KR100851528 B1 KR 1008515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generation
- nmos transistor
- driving
- circuit
- volt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0000007850 degene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2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2
- 230000003831 deregulation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101100112673 Rattus norvegicus Ccnd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01000772461 Arabidopsis thaliana Thioredoxin reductase 1, mitochondrial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000017921 NTSR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1100138677 Arabidopsis thaliana NPF8.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031674 Arabidopsis thaliana NPF8.3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772460 Arabidopsis thaliana Thioredoxin reductase 2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591392 Leishmania infantum Probable flavin mononucleotide-dependent alkene reduct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7938 NTSR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150059273 PTR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262635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ATCC 204508 / S288c) UBR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235787 Schizosaccharomyces pombe (strain 972 / ATCC 24843) pim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2889 Sorti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1150114015 ptr-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4657 sorti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179—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MOSFET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183—Long tailed pai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7/00—Networks using digital techniques
- H03H17/02—Frequency selective networks
- H03H17/0248—Filter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requency response or filtering metho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9)
- 튜닝 회로의 제어를 받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에 있어서,입력 전압의 레벨에 비례하거나 반비례하는 레벨의 출력 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트랜스컨덕턴스 구동부;상기 튜닝 회로로부터의 아날로그 제어전압과 디지털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트랜스컨덕턴스 구동부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기 위한 디제너레이션 튜닝부; 및상기 트랜스컨덕턴스 구동부의 출력단에 걸리는 전압을 센싱하여 안정화시키기 위한 공통모드 피드백부;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컨덕턴스 구동부는,상기 입력 전압의 양전압에 의해 구동되어 출력 전류의 음전류를 출력시키는 제 1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 및상기 입력 전압의 음전압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출력 전류의 양전류를 출력시키는 제 2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는,상기 입력 전압의 양전압을 인가받는 게이트, 상기 출력 전류의 음전류가 출력되는 제 1 출력노드와 상기 공통모드 피드백부에 공통 접속된 드레인, 상기 디제너레이션 튜닝부에 접속된 소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는,상기 입력 전압의 음전압을 인가받는 게이트, 상기 출력 전류의 양전류가 출력되는 제 2 출력노드와 상기 공통모드 피드백부에 공통 접속된 드레인, 상기 디제너레이션 튜닝부에 접속된 소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는,병렬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는,상기 입력 전압의 레벨에 비례하거나 반비례하는 레벨의 상기 출력 전류를 상기 제 1 및 제 2 출력 노드를 통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제너레이션 튜닝부는,상기 아날로그 제어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 1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는 디제너레이션 저항용 제 1 N모스 트랜지스터;상기 디지털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디제너레이션 저항용 제 1 N모스 트랜지스터와 함께 상기 제 1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는 제 1 가변 저항;상기 아날로그 제어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 2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는 디제너레이션 저항용 제 2 N모스 트랜지스터; 및상기 디지털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디제너레이션 저항용 제 2 N모스 트랜지스터와 함께 상기 제 2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는 제 2 가변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가변 저항과 상기 디제너레이션 저항용 제 1 N모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접지 사이에 직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가변 저항과 상기 디제너레이션 저항용 제 2 N모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2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접지 사이에 직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가변 저항과 상기 디제어레이션 저항용 제 1 N모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2 가변 저항 및 상기 디제너레이션 저항용 제 2 N모스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공통모드 피드백부는 다수의 N모스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며,상기 N모스 트랜지스터들의 소스들의 디제너레이션 양은 상기 아날로그 제어전압과 상기 디지털 제어신호에 의해 튜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
- 튜닝 회로에 의해 제어되며, 양입력단과 음입력단을 갖고, 양출력단과 음출력단을 갖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바이쿼드 회로에 있어서,제 1 양출력단과 제 1 음출력단을 공유하는 일체형 제 1 및 제 2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 및상기 양출력단에 접속된 제 2 양출력단과 상기 음출력단에 접속된 제 2 음출력단을 공유하는 일체형 제 3 및 제 4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를 구비하되,상기 제 4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의 양입력단과 음입력단은 각각 상기 제 1 양출력단과 상기 제 1 음출력단에 접속되며,상기 일체형 제 1 및 제 2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의 디제너레이션 양과 상기 일체형 제 3 및 제 4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의 디제너레이션 양은 상기 튜닝 회로로부터의 아날로그 제어전압과 디지털 제어신호에 의해 튜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바이쿼드 회로.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일체형 제 1 및 제 2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의 제 1 양출력단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양출력단에 걸리는 전압을 차징하기 위한 제 1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바이쿼드 회로.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일체형 제 1 및 제 2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의 제 1 음출력단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음출력단에 걸리는 전압을 차징하기 위한 제 2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바이쿼드 회로.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일체형 제 3 및 제 4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의 제 2 양출력단에 접속되며, 상기 제 2 양출력단에 걸리는 전압을 차징하기 위한 제 3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바이쿼드 회로.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일체형 제 3 및 제 4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의 제 2 음출력단에 접속되며, 상기 제 2 음출력단에 걸리는 전압을 차징하기 위한 제 4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바이쿼드 회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제 1 및 제 2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는,입력 전압의 레벨에 비례하거나 반비례하는 레벨의 출력 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트랜스컨덕턴스 구동부;상기 아날로그 제어전압과 상기 디지털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트랜스컨덕턴스 구동부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기 위한 제 1 디제너레이션 튜닝부;상기 아날로그 제어전압과 상기 디지털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트랜스컨덕턴스 구동부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기 위한 제 2 디제너레이션 튜닝부; 및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스컨덕턴스 구동부의 출력단에 걸리는 전압을 센싱하여 안정화시키기 위한 공통모드 피드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바이쿼드 회로.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스컨덕턴스 구동부는,입력 양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 및입력 음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 2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바이쿼드 회로.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랜스컨덕턴스 구동부는,입력 양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 3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 및입력 음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 4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바이쿼드 회로.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제너레이션 튜닝부는,상기 아날로그 제어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 1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는 디제너레이션 저항용 제 1 N모스 트랜지스터;상기 디지털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디제너레이션 저항용 제 1 N모스 트랜지스터와 함께 상기 제 1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 을 튜닝시키는 제 1 가변 저항;상기 아날로그 제어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 2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는 디제너레이션 저항용 제 2 N모스 트랜지스터; 및상기 디지털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디제너레이션 저항용 제 2 N모스 트랜지스터와 함께 상기 제 2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는 제 2 가변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바이쿼드 회로.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제너레이션 튜닝부는,상기 아날로그 제어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 3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는 디제너레이션 저항용 제 3 N모스 트랜지스터;상기 디지털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디제너레이션 저항용 제 3 N모스 트랜지스터와 함께 상기 제 3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는 제 3 가변 저항;상기 아날로그 제어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 4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는 디제너레이션 저항용 제 4 N모스 트랜지스터; 및상기 디지털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디제어레이션 저항용 제 4 N모 스 트랜지스터와 함께 상기 제 4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는 제 4 가변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바이쿼드 회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제 3 및 제 4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는,입력 전압의 레벨에 비례하거나 반비례하는 레벨의 출력 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제 3 및 제 4 트랜스컨덕턴스 구동부;상기 아날로그 제어전압과 상기 디지털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3 트랜스컨덕턴스 구동부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기 위한 제 3 디제너레이션 튜닝부;상기 아날로그 제어전압과 상기 디지털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4 트랜스컨덕턴스 구동부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기 위한 제 4 디제너레이션 튜닝부; 및상기 제 3 및 제 4 트랜스컨덕턴스 구동부의 출력단에 걸리는 전압을 센싱하여 안정화시키기 위한 공통모드 피드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바이쿼드 회로.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트랜스컨덕턴스 구동부는,입력 양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 5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 및입력 음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 6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바이쿼드 회로.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트랜스컨덕턴스 구동부는,입력 양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 7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 및입력 음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 8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바이쿼드 회로.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디제너레이션 튜닝부는,상기 아날로그 제어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 5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는 디제너레이션 저항용 제 5 N모스 트랜지스터;상기 디지털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디제너레이션 저항용 제 5 N모스 트랜지스터와 함께 상기 제 5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는 제 5 가변 저항;상기 아날로그 제어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 6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는 디제너레이션 저항용 제 6 N모스 트랜지스터; 및상기 디지털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디제너레이션 저항용 제 6 N모스 트랜지스터와 함께 상기 제 6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는 제 6 가변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서의 차동 바이쿼드 회로.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디제너레이션 튜닝부는,상기 아날로그 제어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 7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는 디제너레이션 저항용 제 7 N모스 트랜지스터;상기 디지털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디제너레이션 저항용 제 7 N모스 트랜지스터와 함께 상기 제 7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는 제 7 가변 저항;상기 아날로그 제어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 8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는 디제너레이션 저항용 제 8 N모스 트랜지스터; 및상기 디지털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디제너레이션 저항용 제 8 N모스 트랜지스터와 함께 상기 제 8 구동 N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는 제 8 가변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바이쿼드 회로.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선택필터에 있어서,디제너레이션 양의 튜닝 조절에 이용되는 아날로그 제어전압과 디지털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튜닝 회로; 및입력 전압의 레벨에 비례하거나 반비례하는 레벨의 출력 전류를 발생하되, 상기 아날로그 제어전압과 상기 디지털 제어신호에 의해 튜닝되는 디제너레이션 양에 비례하여 상기 출력 전류의 레벨을 변화시키는 차동 바이쿼드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선택필터.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바이쿼드 회로는,제 1 양출력단과 제 1 음출력단을 공유하는 일체형 제 1 및 제 2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 및상기 양출력단에 접속된 제 2 양출력단과 상기 음출력단에 접속된 제 2 음출력단을 공유하는 일체형 제 3 및 제 4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를 구비하되,상기 제 4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의 양입력단과 음입력단은 각각 상기 제 1 양출력단과 상기 제 1 음출력단에 접속되며,상기 일체형 제 1 및 제 2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의 디제너레이션 양과 상기 일체형 제 3 및 제 4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의 디제너레이션 양은 상기 튜닝 회로로부터의 아날로그 제어전압과 디지털 제어신호에 의해 튜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선택필터.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차동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는 각각,입력 전압의 레벨에 비례하거나 반비례하는 레벨의 출력 전류를 출력하기 위 한 트랜스컨덕턴스 구동부;상기 아날로그 제어전압과 상기 디지털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트랜스컨덕턴스 구동부의 소스의 디제너레이션 양을 튜닝시키기 위한 디제너레이션 튜닝부; 및상기 트랜스컨덕턴스 구동부의 출력단에 걸리는 전압을 센싱하여 안정화시키기 위한 공통모드 피드백부;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선택필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4497A KR100851528B1 (ko) | 2007-07-25 | 2007-07-25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와 그를이용한 채널선택필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4497A KR100851528B1 (ko) | 2007-07-25 | 2007-07-25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와 그를이용한 채널선택필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51528B1 true KR100851528B1 (ko) | 2008-08-11 |
Family
ID=3988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4497A Active KR100851528B1 (ko) | 2007-07-25 | 2007-07-25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와 그를이용한 채널선택필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51528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17987A (ko) * | 2000-08-31 | 2002-03-07 | 포만 제프리 엘 | Gm-C 필터용 고 선형성 고속 트랜스컨덕턴스 증폭기 |
JP2002280877A (ja) | 2001-03-14 | 2002-09-27 | Sony Corp | トランスコンダクタ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タ回路 |
KR20060043939A (ko) * | 2004-11-11 | 2006-05-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통모드 피드백 회로를 구비한 상보형 트랜스컨덕턴스증폭기 및 트랜스컨덕턴스 증폭방법 |
-
2007
- 2007-07-25 KR KR1020070074497A patent/KR10085152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17987A (ko) * | 2000-08-31 | 2002-03-07 | 포만 제프리 엘 | Gm-C 필터용 고 선형성 고속 트랜스컨덕턴스 증폭기 |
JP2002280877A (ja) | 2001-03-14 | 2002-09-27 | Sony Corp | トランスコンダクタ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タ回路 |
KR20060043939A (ko) * | 2004-11-11 | 2006-05-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통모드 피드백 회로를 구비한 상보형 트랜스컨덕턴스증폭기 및 트랜스컨덕턴스 증폭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69313B1 (ko) | 무선통신장치 및 부호분할 다원접속 시스템 | |
JP3628334B2 (ja) | 同調増幅器 | |
US7405632B2 (en) |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transmitter, and receiver | |
US7352241B2 (en) | Variable gain amplifier | |
US20080030279A1 (en) | Circuit with Q-enhancement cell having feedback loop | |
US20080032661A1 (en) | Circuit with Q-enhancement cell having programmable bias current slope | |
WO2009119042A1 (ja) | 電圧制御発振器、並びにそれを用いたpll回路及び無線通信機器 | |
US7733167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ommon mode bias for high frequency buffers | |
JP2019041155A (ja) | Ota回路及びフィルタ | |
US7061279B1 (en) | System and method for high frequency, high output swing buffers | |
US8107574B2 (en) | Filter tuning circu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20060045501A (ko) | 자동이득제어 회로 | |
KR100851528B1 (ko)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차동 트랜스컨덕턴스 회로와 그를이용한 채널선택필터 | |
US8588721B2 (en) | Dual mode receiver channel select filter | |
KR102069956B1 (ko) | 짝수 고조파 신호를 포획하는 무메모리 능동 디바이스 | |
US20060202752A1 (en) | Controllable amplifier and its use | |
KR100986985B1 (ko) | 무선통신 시스템용 필터 튜닝 회로 | |
EP0663723A1 (en) | Filter circuit | |
US7852967B2 (en) | Automatic power output control circuit | |
WO2013094416A1 (ja) | 高周波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 | |
US8594593B2 (en) | Frequency converter and transmitter | |
JP3628402B2 (ja) | 同調増幅器 | |
KR100694065B1 (ko) | 가변 이득 증폭기 | |
JP3766472B2 (ja) | 同調回路 | |
JP3628407B2 (ja) | 同調増幅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8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8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0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