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51089B1 -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1089B1
KR100851089B1 KR1020077004811A KR20077004811A KR100851089B1 KR 100851089 B1 KR100851089 B1 KR 100851089B1 KR 1020077004811 A KR1020077004811 A KR 1020077004811A KR 20077004811 A KR20077004811 A KR 20077004811A KR 100851089 B1 KR100851089 B1 KR 100851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nduction
radio
communication transmitter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4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3738A (ko
Inventor
데이브 왕
Original Assignee
빅토리온 테크놀러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96715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5108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CN 200410101471 external-priority patent/CN1791283B/zh
Priority claimed from CN 200410101472 external-priority patent/CN1791284A/zh
Application filed by 빅토리온 테크놀러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빅토리온 테크놀러지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70073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08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3/00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3/00 - H04B11/00
    • H04B13/005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medium consis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46Special adaptations for use as contact microphones, e.g. on musical instrument, on stethosco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4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 H04R25/606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acting directly on the eardrum, the ossicles or the skull, e.g. mastoid, tooth, maxillary or mandibular bone, or mechanically stimulating the cochlea, e.g. at the oval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5Prevention of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 H04R25/453Prevention of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electroni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골전도 입력장치; 골전도 입력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통신 전송장치; 제2오실레이터를 갖는 골전도 출력장치; 및 상술한 장치들을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캐리어장치가 코 위에 제공되는 캐리어로서, 그것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골전도 출력장치 및 상기 골전도 입력장치가 비골의 피부에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골전도 출력장치의 진동파가 비강 내의 공명 후에 비골 전도를 통해 귀로 보내지도록 하고; 또한 상기 골전도 입력장치에 의해 공명을 통해 제공된 음향을 전파로 변환하고, 이어서 그것을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에 전송하여 신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7004811
골전도, 비골, 무선통신, 안경, 보청기, 비골 전도, 비골피부전도

Description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THE NASAL BONE CONDUCTION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SSION EQUIPMENT}
본 발명은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oscillation)을 이용하고 무선통신 장치의 송수신과 관련된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향은 공기를 통해 전달되지만, 공기를 통해 귀 속에 음향을 전달하는 통상적인 이어폰이나 보청기는 종종 외부 잡음원(external background audio source)을 제거하지 못한다. 따라서 골격전도나 피부전도를 이용하는 오실레이터가 개발되었다.
대만특허 제 463517호는 구동회로용 수신부, 마이크로폰부 및 확성기부(loud skeaker part)에 기반한 골격전도(skeleton conduction)를 제공하며 전화나 무선송수신기에 연결될 수 있는 장치인 확성기에 기반한 골격전도를 이용하는 송수신장치를 개시한다. 확성기부에 기반한 상기의 골격전도는 상술한 마이크부가 입 주변에 위치될 때, 안면의 어떤 부위에라도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안면의 여하한 부위에 부착되는 구성이 반드시 골격전도 효과를 갖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종래의 일반적 접촉형인, 목(neck)에 위치되는 간접 음파 골전도 장 치는 잡음(배경음)을 다소간 제거할 수 있으나, 인후를 접촉하기 때문에 이로부터 전송된 음향품질은 깨끗하지 않다. 그것은 클립으로 목에 부착되기 때문에 미끌어지기 쉬운 한편, 불편하고 미관상으로도 만족스럽지 못하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 접촉형인, 목에 부착되는 간접골격전도장치의 음향신호는 쇠감되며 시내통화보다도 깨끗하지 않을 것이다.
또 다른 종래의 안경 형태의 골전도(bone conduction) 보청기는 안경테의 귀 후미단(ear tail)에 오실레이터를 위치시킨다. 이는 배경음을 제거할 수 있으나, 단지 청취에만 사용되고 음향을 생성할 수는 없다. 또한 장시간의 사용으로 지주(brace)가 헐거워지고 귀뼈에 밀착할 수 없게 되어, 보청기의 효과가 현저히 감소하고 만다. 최근에, 휴대전화와 같은 휴대용 장치가 대중화되고, 무선 블루투스 통신장치가 상당히 유행하는데, 이들 휴대용 장치의 사용시 청취와 말하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 단점들은, 외부 배경음이 제거될 수 없으며, 장기간 귀에 위치시키는 것은 매우 불편하고, 안경의 무거운 지주는 미관상 만족스럽지 않고, 귀 뒤쪽 부분에 땀이 나며 보청기의 기능을 상실하고, 또한 운동시 쉽게 빠져버릴 것이라는데 있다. 한편, 이러한 안경 형태의 골전도 보청기가 좌우의 안경용 지주를 사용하면서, 전지, 마이크 등과 같은 요소들이 공유될 수 없다면,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2배 정도의 비용을 더 지출하게 하여 경제적으로도 유익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골(nasal bone) 전도 경유의 오실레이터를 사용하며, 무선통신 전송장치의 송수신과 관련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캐리어장치(carrier device)를 무선통신 전송장치의 송수신 단(sides)에 연결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전송장치와 연결되어 토커(talker)에 의한 보청기 기능을 갖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전송장치와 연결된 전송장치에 의해 무선양방향라디오(wireless two way radio), 인터콤의 기능을 갖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전송장치와 연결된 오실레이터에 의해 스피커폰의 기능을 갖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청기, 인터콤, 무선양방향라디오, 이어폰 및 스피커폰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오실레이터를 가지며, 출력되는 음향을 전파로 변환하는 골전도 입력장치;
골전도 입력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파신호를 수신하고 전송하며 그리고/또는 외부 전파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전송장치;
제2오실레이터를 가지며, 무선통신에 의해 보내진 외부 전파신호를 수신하고, 전파신호를 진동파로 변환하고, 또한 진동파를 비골 전도를 통해 귀 안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및
상술한 장치들을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장치;를 포함하고,
캐리어장치는 코 위에 제공되는 캐리어로서, 그것에 의하여 지지되는 골전도 출력장치 및 골전도 입력장치가 비골의 피부에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하고, 골전도 출력장치의 진동파가 비강 내의 공명 후에 비골 전도를 통해 귀로 보내지도록 하고; 또한 골전도 입력장치에 의해 비강 내의 공명을 통해 제공된 음향을 전파로 변환하고, 이어서 그것을 무선통신 전송장치에 전송하여 신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골전도 입력장치는 사용자 토킹장치이다.
상술한 골전도 출력장치는 사용자 수신장치이다.
상술한 캐리어장치는 안경(glasses), 수중투시경(hydroscopes), 고글(goggles), 보호안경(eyeprotection glasses), 코마스크(nose masks), 입마스크(mouth masks), 안면마스크(face masks), 머리마스크(head masks), 헬멧(helmet), 스키드리드(skidlid), 패치(patches), 노즈클립(nose clips), 또는 상기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가 코의 피부 상에 부착되도록 하는 기타 캐리어장치이다.
상술한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신호송수신유닛, 신호처리유닛, 토커, 기능선택기, 음원스위치 및 음량튜너를 갖는다.
상술한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토커를 더 제공하며, 토커는 음향을 수집하고 수집된 신호를 골피부전도출력장치로 전송하는데 사용되어, 본 발명의 장치가 보청기 기능을 갖도록 한다.
상술한 무선통신 전송장치의 신호송수신유닛은 무선전기신호의 송수신 처리용으로 사용되고, 신호송수신유닛은 안테나, 주파수매칭모듈, 무선주파수신호수신모듈, 무선주파수신호송신모듈, 무선주파수신호증폭기 및 전자필터를 갖는다.
상술한 무선통신 전송장치의 신호처리유닛은 신호 처리용으로 사용되고, 신호처리유닛은 신호처리기, 디폴트 파라미터값 저장소, 파라미터변환레지스터, 기능모듈 및 피드백제거처리모듈을 갖는다.
상술한 디폴트 파라미터 저장소는 무선통신 전송장치의 다양한 디폴트 파라미터의 저장용으로 사용된다.
상술한 피드백제거처리모듈은 무선통신 전송장치의 피드백음향 저감용으로 사용된다.
상술한 기능선택기는 다양한 기능모듈의 스위칭용으로 사용된다.
상술한 음량튜너는 음량 조정용으로 사용된다.
상술한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음원스위치를 포함하고, 토커 또는 골전도 입력장치의 음원 스위칭용으로 사용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전송장치; 및
전송장치를 무선연결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를 포함하며,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제1오실레이터를 가지며, 출력되는 음향을 전파로 변환하는 골전도 입력장치;
골전도 입력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파신호를 수신하고 전송하며 그리고/또는 외부 전파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전송장치;
제2오실레이터를 가지며, 무선통신에 의해 보내진 외부 전파신호를 수신하고, 전파신호를 진동파로 변환하고, 또한 진동파를 비골 전도를 통해 귀 안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및
상술한 장치들을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장치;를 포함하고,
캐리어장치는 코 위에 제공되는 캐리어로서, 그것에 의하여 지지되는 골전도 출력장치 및 골전도 입력장치가 비골의 피부에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하고, 골전도 출력장치의 진동파가 비강 내의 공명 후에 비골 전도를 통해 귀로 보내지도록 하고; 또한 골전도 입력장치에 의해 비강 내의 공명을 통해 제공된 음향을 전파로 변환하고, 이어서 그것을 무선통신 전송장치에 전송하여 신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골 전도무선통신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전송장치와의 무선연결을 확립할 것이며, 전송장치는 링크, 전송 및 주파수 매칭의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전송제품이다.
상술한 무선통신 전송장치와 전송장치 간의 무선연결은 블루투스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의거하여 확립된다.
상술한 전송장치는 신호송수신기와 인터페이싱하는(interfacing) 무선통신기에 의하여 형성되며, 무선통신기는 신호송수신기를 통해 무선통신송신장치와의 무선 연결을 확립할 것이다.
상술한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블루투스 무선통신 프로토콜 또는 마이크로파 또는 적외선 또는 RF 또는 RFID 센서에 기초한 무선신호를 수신 또는 전송할 것이다.
상술한 무선통신기는 휴대전화, PDA 또는 유사한 무선통신전송제품이다.
상술한 신호송수신기는 신호처리기, 무선주파수신호수신모듈, 무선주파수신호전송모듈 및 주파수매칭모듈을 갖는다. 또한 그것은 무선조정기(wireless adjuster)를 더 포함한다.
무선통신 전송장치 내에 제공된 파라미터 변경, 기능모듈, 및 음량 크기 등의 기능을 무선조정하기 위하여 상술한 무선조정기를 사용하는 것이 사용자로서는 편리하다.
상술한 무선조정기는 전송장치 내에 제공되며, 파라미터 변경, 기능모듈 및 음량 크기 등을 독립적으로 무선 조작하도록 셋업될 것이다.
상술한 무선통신기 및 신호송수신기는 커넥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커넥터는 무선통신기 및 신호송수신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커넥터는 이어폰잭, PCMCIA 카드 또는 USB 포트의 형태로 디자인될 것이다.
상술한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전송장치의, MP3 플레이어, 워크맨, 컴퓨터, 레코더, 하이파이 장비 또는 텔레비전과 같은 오디오 기능과 작동하여 무선 연결을 만들고, 이로 인해 이어폰의 기능을 갖는 본 발명의 장치가 무선 전송과 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전송장치의 신호송수신기의 주파수매칭모듈은 무선통신 전송장치의 신호송수신유닛의 주파수매칭모듈과 연계하여 주파수를 튜닝할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장치를 무선양방향라디오의 기능을 갖도록 한다.
골경유의 음향전도효율 및 장치휴대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 위에 위치된 캐리어(예를 들면 안경) 내에 내장되는 비골 전도 보청기, 또는 코 위에 위치된 캐리어(예를 들면 안경)에 끼움/부착되는 비골 전도 보청기, 또는 코에 직접 끼움/부착되는 비골 전도 보청기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골오실레이터를 통해 귀 안에 외부 음향을 보낼 수 있는 비골 전도 보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비골 전도 보청기는,
외부환경으로부터 보내져온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조정장치;
조정장치에 의해 처리된 신호를 수신하는, 오실레이터를 갖는 골피부전도진동장치; 및
조정장치 및 골피부전도진동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장치;를 포함하고,
캐리어장치는 코 위에 제공되어 골피부전도진동장치가 비골의 피부를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하며, 오실레이터는 골피부전도진동장치에 의해 수신된 전파를 진동파로 변환하고 코에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이로 인해 진동파가 비골피부전도를 통해 귀에 보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캐리어장치는 안경, 수중투시경, 고글, 보호안경, 코마스크, 패치, 보호마스크, 또는 코 피부에 부착될 수 있는 기타 캐리어이다.
상술한 조정장치는 전원공급장치, 알람, 토커, 전파증폭기, 주파수제어처리모듈, 신호처리모듈 및 피드백제거처리모듈을 포함한다.
상술한 토커는 외부 음향을 수집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술한 전파증폭기는 토커의 신호 강도를 강화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술한 주파수제어처리모듈은 토커 및 증폭기의 신호의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술한 신호처리기는 주파수 선택 후에 신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그리고 사용자의 청취 요구를 더욱 만족하는 음향을 출력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술한 피드백제거처리모듈은 보청기의 피드백 음향을 감소 또는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술한 조정장치는 전원공급장치 및 음량튜너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음량튜너는 음량 크기를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술한 전원공급장치는 다양한 장치의 작동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술한 전원공급장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지 또는 관련 제품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시스템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시스템의 실험 음향주파수신호도이다.
도 3은 시내 전화의 음향주파수신호도이다.
도 4는 목에 위치된 간접전도 마이크로폰의 종래 일반적인 접촉형의 음향주파수신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안경과 같은 캐리어 내에 내장된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안경과 같은 캐리어에 이동가능하게 끼움/부착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골 전도 보청기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안경과 같은 캐리어에 이동가능하게 끼움/부착되는 비골 전도 보청기의 삼차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안경과 같은 캐리어 내에 내장된 비골 전도 보청기의 삼차원도이다.
도 1을 참고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시스템의 회로구성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100)는: 오실레이터(10)를 갖는 골전도 출력장치(1); 오실레이터(20)를 갖는 골전도 입력장치(2); 신호처리유닛(30), 신호송수신유닛(31), 음량튜너(32), 토커(33), 음원스위치(34), 기능선택기(35) 및 안테나(53)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전송장치(3); 및 상술한 장치의 지지용이고 코 위에 제공되는 캐리어장치(도 5 및 도 6 참고)를 포함하 며, 여기서 무선통신 전송장치(3)는 전송장치(5)와 무선연결을 확립한다. 전송장치(5)는 링크, 전송 및 주파수 매칭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제품이며, 전송장치(5)는 신호송수신기(51)와 인터페이싱하는 무선통신기(50)에 의하여 형성된다. 무선통신기(50) 및 신호송수신기(51)는 커넥터(5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통신 전송장치(3)는 전원스위치(47), 전원공급기(48) 및 경보기(49)가 더 제공된다. 전원스위치(47)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를 작동 또는 정지를 위하여 사용된다. 전원공급기(48)는 본 장치의 필요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고, 전원공급기(48)는 일반 전지, 연료 전기, 또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여하한 장치이다. 경보기(49)는 전원이 낮은 공급 수준에 도달하였을 때 전지를 교환하도록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알람신호를 발생시킬 것이다. 무선통신기(50)는 모바일폰, 통신기능이 있는 PDA 또는 유사한 무선통신전송제품이다. 커넥터(52)는 이어폰잭, PCMCIA 카드 또는 USB 포트의 형태로 디자인될 것이다.
도 1을 계속하여 참조하면, 골전도 출력장치(1)를 사용자의 코 위에 위치시키면, 골전도 출력장치(1)는 코의 피부에 밀접하게 접촉할 것이다. 골전도 출력장치(1)의 오실레이터(10)는 무선통신 전송장치(3)로부터 오는 전파를 진동파로 변환하고, 비강(nasal cavity) 내에서 진동파를 공명하도록 하고, 이어서 수신 및 청취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골격전도를 통해 진동파를 귀 안으로 보낸다. 골전도 입력장치(2)도 사용자의 코 위에 위치시키면, 골전도 입력장치(2)는 코의 피부에 밀접하게 접촉할 것이다. 골전도 입력장치(2)의 오실레이터(20)는 말하기(talking) 기 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비강 내에서의 공명을 통해 생성된 음향(sound)에 의하여 생성된 진동파로부터 변환된 전파를 변환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전송장치(5)는 무선통신 전송장치(3)를 통해 골전도 출력장치(1)에 전자 메시지를 보내고/보내거나 골전도 입력장치(2)로부터 전자 메시지를 수신할 것이다. 전송장치(5)의 무선통신기(50)는 커넥터(52)를 통해 신호송수신기(51)를 링크할 것이다. 그리고 무선통신 전송장치(3)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골전도 입력장치(2) 및 골전도 출력장치(1)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100)는 무선통신전송스피커폰, 무선인터콤, 보청기 및 이어폰의 기능 모드를 갖는다. 전송장치(5)의 신호송수신기(51)는 신호처리기(54), 무선주파수신호수신모듈(55), 무선주파수신호전송모듈(56), 안테나(53) 및 주파수매칭모듈(57)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송장치(5)의 신호송수신기(51)는 무선조정기를 더 가지며, 그 무선조정기는 파라미터 수정 레지스터(38)의 파라미터의 값, 기능모듈(40)의 기능 및 음량튜너(32)의 음량 크기를 조정 또는 변경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또한 신호송수신기(51)는 블루투스 무선 통신 프로토콜 또는 마이크로파 또는 적외선 또는 RF 또는 RFID 센서에 기초한 무선통신 전송장치(3)와의 무선 연결을 확립할 것이다. 무선통신 전송장치(3)의 신호처리유닛(30)은 신호 처리를 위하여 사용되고, 그 신호처리유닛(30)은 전원공급기(48), 전원스위치(47), 경보기(49), 신호처리기(36), 디폴트 파라미터값 저장소(37), 파라미터 수정 레지스터(38), 피드백제거처리모듈(39) 및 기능모듈(40)을 갖는다. 여기서 신호처리기(36)은 다양한 기능 모드 하에서 다수의 주파 수의 세팅을 저장할테고, 송수신된 전자 신호를 처리할 것이다. 또한 디폴트 파라미터값 저장소(37)는 무선통신 전송장치(3)의 다양한 파라미터의 저장과 IC 칩에의 기록을 위해 사용된다. 파라미터 수정 레지스터(38)는 사용자에 따른 사용 환경하에서의 약간의 기능들과 파라미터값들을 무선조정기를 통해 직접 조정 또는 수정하고, 최종 수정된 파라미터값을 자동 저장할 것이다. 피드백제거처리모듈(39)은 신호처리기(36)의 신호 내에 생성된 피드백 노이즈를 상쇄시키기 위하여 역(reverse) 전자신호들의 세트를 자동 생성하여 피드백 제거의 목적을 달성하며 간섭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무선통신 전송장치(3)의 피드백 음향을 감소시키고 음향 품질의 안정성을 유지한다. 기능모듈(40)은 무선스피커폰, 무선양방향라디오, 보청기 또는 이어폰의 모드를 세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위하여 기능 선택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조정기는, 전송장치(5) 또는 신호송수신기(51) 내에 제공되기보다는, 무선주파수(RF)와 같은 무선 오퍼레이션을 사용하여 파라미터 수정, 기능모듈 및 음량 크기 등의 기능을 조작하는 독립형 유닛일 것이다.
무선통신 전송장치(3)의 신호송수신유닛(31)은 안테나(58), 주파수매칭모듈(41), 무선주파수신호수신모듈(42), 무선주파수신호송신모듈(43), 무선주파수신호증폭기(44) 및 전자필터모듈(45)을 갖는다. 주파수매칭모듈(41)은 서로 무선 메시지를 통신하기 위하여 무선전기신호들 간의 주파수 매칭용으로 사용된다. 무선주파수수신모듈(42)은 무선전기신호용 수신기이다. 무선주파수신호전송모듈(43)은 무선전기신호용 전송기이다. 무선주파수신호증폭기(44)는 무선전기신호를 증폭하고 이어서 이들 신호를 내보내고, 따라서 신호가 감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전기필터모듈(45)은 필터를 통해 음향 신호에서 노이즈를 필터링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전파신호의 안정성을 강화한다. 무선통신 전송장치(3)의 기능선택기(35)는 다양한 기능모듈의 스위칭을 위하여 사용된다. 무선통신 전송장치(3)의 음량튜너(32)는 음량 크기를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또한 사용자는 편의상 무선조정기로 조정할 수 있다. 무선통신 전송장치(3)의 토커(33)는 음향을 수집하고 수집된 음향을 골피부전도출력장치(1)에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이로 인해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100)가 보청기 기능을 갖도록 한다.
이어서 재차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100)가 무선통신전송 스피커폰 모드에 있을 때, 이하의 사항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무선통신전송 스피커폰의 기능 모드로 진입할 것이다. 전송장치(5)의 무선통신기(50) 및 신호송수신기(51)를 링크하여 음향 신호를 무선통신 전송장치(3)에 보낸다. 신호가 안테나(53) 및 무선주파수신호수신모듈(42)을 통해 무선통신 전송장치(3)에 의해 수신되고 무선주파수신호증폭기(44)에 의하여 증폭되고, 이어서 전기필터모듈(45)을 통해 신호로부터 노이즈가 필터링되어 전파 신호의 안정성이 강화될 것이다. 이어서 신호처리유닛(30)의 신호처리기(36)는 전송된 신호가 무선통신전송용 통신 신호임을 판단할 것이고 따라서 스피커폰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어서 신호는 피드백제거처리모듈(39)을 통과하여 음량튜너(32)로 보내져 적절한 음량 크기를 만들 것이다. 이어서 신호는 전송선(transmitting line)(46)을 통과하여 골전도 출력장치(1)로 보내지고 골전도 출력장치(1)의 오실레이터(10)에 의해 진동파로 변환되고 코의 비골에 의해 귀 안으로 이동되어 수신 및 청취 기능을 달성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말할 때, 사용자의 진동파는 골전도 입력장치(2)의 오실레이터(20)에 의해 전파로 변환될 것이고, 전송선(46)을 통과하여 무선통신 전송장치(3)의 음원스위치(34)로 보내질 것이다. 신호는 신호처리 유닛(30)의 신호처리기(36)에 의해 처리되고 신호송수신유닛(31)의 무선주파수신호증폭기(44)에 의해 증폭될 것이다. 이어서 무선신호는 안테나(58)(53)를 통해 무선주파수전송모듈(43)에 의해 수신될 것이며, 그리고 전송장치(5)의 신호송수신기(51)로 보내지고, 커넥터(52)를 통해 무선통신기(50)로 보내져서 말하기 기능이 완성된다.
본 발명의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100)가 무선양방향라디오 기능 모드에 있을 때, 신호는 무선통신 전송장치(3)의 기능선택기(35)로부터 신호처리유닛(30)의 기능모듈(40)로 보내져 무선양방향라디오 기능 모드로 스위칭하게 된다. 무선통신 전송장치(3)의 주파수매칭모듈(41)의 주파수를 조정하여 전송장치(5)의 주파수매칭모듈(57)의 주파수를 매칭시킨 후에, 이어서 무선양방향라디오의 모드 세팅의 조작이 완료되고, 상술한 무선통신기(50)는 무선양방향라디오 기능 모드로 진입할 것이다. 다른 구성은 유사하며 이의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100)가 보청기 기능 모드에 있을 때, 신호는 무선통신 전송장치(3)의 기능선택기(35)로부터 신호처리유닛(30)의 기능모듈(40)로 보내져 '보청기 사용 모드'로 스위칭하게 된다. 무선통신 전송장치(3)의 토커(33)는 음원스위치(34)의 세팅을 통해서 말하기 기능으로 스위칭할 것이며, 전송장치(5)의 음향 신호가 진입하는 것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고, 토커(33) 만을 사용하여 음향을 수집한다. 그러나, 만일 무선통신 전기 신호가 전송장치(5)로 보내지는 경우에는, 음원스위치가 토커(33)의 음원을 자동적으로 차단할 것이며, 또한 동시에 자동적으로 상기 스피커폰 기능 모드가 될 것이다. 수집된 음향신호는 신호 처리유닛(30)에 의해 처리될 것이고 이어서 골전도 출력장치(1)로 보내지고 골전도 출력장치(1)의 오실레이터(10)에 의해 진동파로 변환되고 코의 비골에 의해 귀 안으로 전해져 수신 및 청취의 기능이 달성되며, 이로 인해 수신 및 청취 기능을 갖는 보청기의 모드를 완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100)가 이어폰 기능 모드에 있을 때, 이하의 사항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발명 장치가 이어폰의 기능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전송장치(5)를 MP3플레이어, 워크맨, 컴퓨터, 레코더, 하이파이 장비 또는 텔레비젼과 같은, 사용할 오디오 제품에 연결한 후, 오디오 신호가 신호송수신기(51)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신호는 무선통신 전송장치(3)의 기능선택기(35)로부터 신호처리유닛(30)의 기능모듈(40)로 보내져서, 이어폰의 사용 모드로 스위칭될 것이다. 따라서 발명 장치는 무선 수신 및 청취 기능을 갖는 이어폰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기능모듈(40)의 스위칭은 무선조정기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캐리어장치는 안경, 수중투시경, 고글, 보호안경, 코마스크, 입마스크, 안면마스크, 머리마스크, 헬멧, 스키드리드, 패치, 노즈클립, 또는 상기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가 코의 피부 상에 부착되도록 하 는 기타 캐리어장치이다. 전송장치(5)의 무선통신기(50)는 모바일폰, PDA, 컴퓨터, 무선 인터콤, 또는 RF, 마이크로파, 적외선 전송기와 같은 무선통신제품이다. 신호처리기(54)는 집적회로제품과 같이 집적될 수 있다. 전송장치(5)의 신호송수신기(51)는 커넥터를 통해 무선통신기(50)에 링크되지 않고 무선통신기(50) 내에 내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100)는 신호송수신기(51)와 결합되어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시스템의 실험 음향주파수신호도, 도 3은 시내전화의 실험 음향주파수신호도, 도 4는 목에 위치된 간접전도 마이크로폰의 일반적인 접촉형의 실험 음향주파수신호도를 나타낸다. 음향 주파수 신호도의 수직축은 대역폭이고, 수평축은 주파수이다. 도 2의 음향주파수신호도에서, 주파수 500㎐ 내지 1㎑에서 대역폭은 -20㏈ 내지 -30㏈이며, 주파수 1㎑ 내지 2㎑에서 대역폭은 -10㏈ 내지 -20㏈이며, 주파수 2㎑ 내지 5㎑에서 대역폭은 -10㏈ 내지 -30㏈이다. 도 3의 음향주파수신호도에서, 주파수 500㎐ 내지 1㎑에서 대역폭은 -10㏈ 내지 -20㏈이며, 주파수 1㎑ 내지 5㎑에서 대역폭은 -10㏈ 내지 -20㏈이다. 도 4의 음향주파수신호도에서, 주파수 500㎐ 내지 1㎑에서 대역폭은 -10㏈ 내지 -20㏈이며, 주파수 1㎑ 내지 2㎑에서 대역폭은 -20㏈ 내지 -30㏈이며, 주파수 2㎑ 내지 5㎑에서 대역폭은 -30㏈ 이하로 감쇠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골격전도에 의해 음향을 생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시스템의 음향주파수신호도는 목 위에 위치되는 간접 전도의 종래의 일반적 인 접촉형에 비하여 시내통화의 음향주파수신호에 더 근접하며, 보다 양호한 음향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안경과 같은 캐리어 내에 내장된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의 삼차원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안경에 적용된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100)는: 프레임 브릿지(frame bridge)(60)와 한 쌍의 패드 홀더(61)를 포함하는 안경(6); 임베디드 메인하우징(embedded main housing)(7)이 안경(6) 안에 내장되며, 무선통신 전송장치(3)가 상기 임베디드 메인하우징(7) 안에 제공되며, 무선통신 전송장치(3)의 기능 선택에 대응하여 전원 스위치(47), 기능선택기(35), 음원스위치(34), 주파수매칭모듈(41), 음량튜너(32) 및 토커(33)가 메인하우징의 패널 상에 제공되는, 안경(6) 내에 내장된 임베디드 메인하우징(7); 및 모바일폰과 같은 무선통신기(50)와 외부 신호송수신기(51)를 포함하는 전송장치(5)를 포함한다.
계속하여 도 5를 참조하면, 한 쌍의 패드 홀더(61)는 하나의 패드 홀더(61) 내에 하나의 골전도 출력장치(1)를 제공하고, 다른 하나 내에 골전도 입력장치(2)를 제공한다. 한 쌍의 패드 홀더(61) 내의 골전도 출력장치(1) 및 골전도 입력장치(2)는 신호전송선(46)과 임베디드 메인하우징(7) 내에 제공된 무선통신 전송장치(3)를 통해 서로 통신할 것이다. 전송장치(5)의 모바일폰은 신호송수신기(51)와 연결함으로써, 무선연결을 통해 임베디드 메인하우징(7) 내에 제공된 무선통신 전송장치(3)에 접속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100)가 얻어진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안경과 같은 캐리어에 이동가능하게 끼움/부착된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의 삼차원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안경에 적용된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100)는: 프레임 브릿지(frame bridge)(60)와 한 쌍의 패드 홀더(61)를 포함하는 안경(6); 배면에 프레임 브릿지(60)에 부착하기 위한 끼움/부착 장치(9)가 제공되고, 무선통신 전송장치(3)가 가동형 메인하우징(movable main housing)(8) 내에 제공되고, 또한 전원스위치(47), 기능선택기(function selector)(35), 음원스위치(34), 주파수매칭모듈(41), 음량튜너(32) 및 토커(33)가 무선통신 전송장치(3)의 기능 선택에 대응하는 메인하우징의 패널 상에 제공되는 것인 가동형 메인하우징(8); 모바일폰과 같은 무선통신기(50)와 외부 신호송수신기(51)를 포함하는 전송장치(5)를 포함한다.
계속하여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패드 홀더(61)는 하나의 패드 홀더(61) 내에 하나의 골전도 출력장치(1)를 제공하고, 다른 하나 내에 골전도 입력장치(2)를 제공한다. 한 쌍의 패드 홀더(61) 내의 골전도 출력장치(1) 및 골전도 입력장치(2)는 신호전송선(46)과 가동형 메인하우징(8) 내에 제공된 무선통신 전송장치(3)를 통해 서로 통신할 것이다. 전송장치(5)의 모바일폰은 신호송수신기(51)와 연결함으로써 무선연결을 통해 가동형 메인하우징(8) 내에 제공된 무선통신 전송장치(3)에 접속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100)가 얻어진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골 전도 보청기의 블록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비골 전도 보청기(200)는: 전원공급장치(110), 토커(111), 전파 증폭기(112), 주파수제어처리모듈(113), 경보기(114), 신호처리모듈(115), 피드백제거처리모듈(116), 음량튜너(117) 및 신호전달선(105)을 포함하는 조정장치(101); 오실레이터를 갖는 골피부전도진동장치(102); 조정장치(101)와 골피부전도진동장치(102)를 지지하고 코 위에 위치되는 캐리어장치(도 8 및 도 9 참조)를 포함한다.
계속하여 도 7을 참조하면, 골피부전도진동장치(102)는 사용자의 비골의 피부에 밀접하게 접촉할 것이다. 골피부전도진동장치(102)의 오실레이터(120)는 수신된 전파를 진동파로 변환하고 비골의 피부를 통해 귀로 보내어 수신 및 청취의 기능을 갖는다. 조정장치(101)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전해진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할 것이며, 조장장치(101)의 전원공급장치(110)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골 전도 보청기(200)에 필요한 모든 전원을 공급할 것이다. 전원공급장치는 전지 또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관련 제품일 것이다. 토커(111)는 음향을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이며, 전파증폭기(112)는 토커(111)에 의해 수집된 음향의 신호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주파수제어처리모듈(113)은 토커(111)와 전파증폭기(112)의 신호 주파수들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경보기(114)는 전원이 낮은 공급 수준에 도달했을 때 전지를 교환하도록 사용자에게 자동적으로 알람 신호를 발생시킬 것이다. 신호처리모듈(115)은 주파수를 선택한 후 신호를 재처리하고, 사용자의 청취 요구를 더욱 만족하는 음향을 출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피드백제거처리모듈(116)은 역(reverse) 전자신호의 세트를 자동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어 신호처리모듈(115)의 전자신호 내에 생성된 피드백 노이즈를 제거하여 비골 전도 보청기(200)의 피드백 음향을 감소시키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피드백 제거 및 간섭의 감소 목적을 달성 하여 음향 품질의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음량튜너(117)는 음량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골 전도 보청기(200)의 작동에 있어서, 전원공급장치(110)는 비골 전도 보청기(200)에 필요한 모든 전원을 공급할 것이다. 경보기(114)는 전원이 낮은 공급 수준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할 것이며, 만약 그렇다면, 음량튜너(117)를 직접 통하여 골피부전도진동장치(102)에 알람 신호를 보내어 사용자가 알람 신호를 듣고 적절한 시점에 새로운 전지로 교환하도록 하고; 만약 그렇지 않다면, 토커(111)는 음향을 수집할 것이고, 전파증폭기(112)는 토커(111)에 의해 수집된 음향의 강도를 강화할 것이고, 주파수제어처리모듈(113)은 주파수 선택의 처리를 수행하여 주파수를 위한 최적 환경을 얻을 것이다. 또한 신호처리모듈(115)은 신호를 처리하여 외부환경으로부터의 음향 품질을 사용자에게 더욱 적합하게 만들 것이다. 만약 피드백 음향이 사용 과정 중에 생성되었다면, 피드백제거처리모듈(116)이 역 전자신호의 세트를 자동 생성하여 피드백 노이즈를 제거하여 비골 전도 보청기(200)의 피드백 음향을 감소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피드백에 인한 노이즈가 제거될 것이다. 이어서 음향 신호는 음량튜너(117)에 의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량 크기로 조정되고, 마침내 신호전송선(105)을 통해 골피부전도장치(2)로 보내질 것이다. 최종적으로, 골피부전도진동장치(102)의 오실레이터(120)는 전파를 진동파로 변환하고 비골피부전도의 피부를 통해 귀로 보내질 것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은 비골 전도를 통한 보청기의 성능이 종래 기술의 그것에 비해 양호하다는 특성을 갖는다.
도 8을 도 7과 함께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라, 안경과 같은 캐리어에 이동가능하게 끼움/부착된 비골 전도 보청기의 삼차원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골 전도 보청기(200)는: 프레임 브릿지(130) 및 한 쌍의 패드 홀더(131)를 포함하는 안경(103); 배면에 프레임 브릿지(130)에 부착하기 위한 끼움/부착 장치(107)가 제공되고, 조정장치(101)는 가동형 메인하우징(106) 내에 제공되고, 또한 토커(111)와 음량튜너(117)는 조정장치(101)의 기능 선택에 대응하는 가동형 메인하우징(106)의 패널 상에 제공되는 것인 가동형 메인하우징(106)을 포함한다.
골피부전도진동장치(102)는 한 쌍의 패드 홀더(131) 내에 제공되고, 한 쌍의 패드 홀더(131)의 골피부전도진동장치(102)는 신호전송선(5)을 통해 가동형 메인하우징(106)의 조정장치(101)와 통신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시 가동형 메인하우징(106)의 토커(111)는 음향 신호를 수신할 것이고, 조정장치(101)의 전파증폭기(112)는 토커(111)의 신호 강도를 강화할 것이고, 주파수제어처리모듈(113)은 주파수 선택의 처리를 수행할 것이다. 그리고 이어서 신호처리모듈(115)은 신호를 처리할 것이다. 피드백제거처리모듈(116)은 비골 전도 보청기(200)의 피드백 음향을 감소 또는 제거할 것이다. 이어서 음량튜너(117)는 음량 크기를 조정할 것이고, 마침내 신호는 신호전송선(5)을 통해 한 쌍의 패드 홀더(131) 내의 골피부전도장치(102)로 보내질 것이다. 최종적으로, 골피부전도진동장치(102)의 오실레이터(120)는 전파를 진동파로 변환하고 비골피부전도의 피부를 통한 수신 및 청취를 위해 귀로 보낼 것이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라 안경에 적용된 비골 전도 보청기(200)가 달성된다.
도 9를 도 7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안경과 같은 캐리어 내에 내장된 비골 전도 보청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안경에 적용된 비골 전도 보청기(200)는, 프레임 브릿지(130) 및 한 쌍의 패드 홀더(131)를 포함하는 안경(103); 조정장치(101)가 임베디드 메인하우징(104) 내에 제공되고, 또한 토커(111)와 음량튜너(117)는 조정장치(101)의 기능 선택에 대응하는 임베디드 메인하우징(104)의 패널 상에 제공되는 것인, 안경(103) 내에 내장된 임베디드 메인하우징(104)을 포함한다.
계속하여 도 9를 참조하면, 골피부전도진동장치(102)는 한 쌍의 패드 홀더(131) 내에 제공되고, 한 쌍의 패드 홀더(131)의 골피부전도진동장치(102)는 신호전송선(105)을 통해 임베디드 메인하우징(104)의 조정장치(101)와 통신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시 메인하우징(104)의 토커(111)는 외부 음향 신호를 수신할 것이고, 조정장치(101)의 전파증폭기(112)는 토커(111)의 신호 강도를 강화할 것이고, 주파수제어처리모듈(113)은 주파수 선택의 처리를 수행할 것이다. 이어서 신호처리모듈(115)은 신호를 처리할 것이다. 피드백제거처리모듈(116)은 비골 전도 보청기(200)의 피드백 음향을 감소 또는 제거할 것이다. 이어서 음량튜너(117)는 음량 크기를 조정할 것이고, 마침내 신호는 신호전송선(105)을 통해 한 쌍의 패드 홀더(131) 내의 골피부전도장치(102)로 보내질 것이다. 최종적으로, 골피부전도진동장치(102)의 오실레이터(120)는 전파를 진동파로 변환하고 비골피부전도의 피부를 통한 수신 및 청취를 위해 귀로 보낼 것이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라 안경에 적용된 비골 전도 보청기(200)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이해함에 있어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후술하는 청구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남 없이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만들어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며, 본 발명은 본 명세서 내의 이들 실시예의 수단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35)

  1. 제1오실레이터를 가지며, 음향을 전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골전도 입력장치;
    상기 골전도 입력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파를 상기 골전도 입력장치로부터 수신하고 골전도 출력장치로 전송하며, 그리고/또는 외부 전파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전송장치;
    제2오실레이터를 가지며,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에 의해 보내진 외부 전파신호를 수신하고, 그 전파신호를 진동파로 변환하고, 또한 진동파를 비골 전도를 통해 귀 안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및
    상술한 장치들을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장치는 코 위에 제공되는 캐리어로서, 그것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골전도 출력장치 및 상기 골전도 입력장치가 비골의 피부에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골전도 출력장치의 진동파가 비강 내의 공명 후에 비골 전도를 통해 귀로 보내지도록 하고; 또한 비강 내의 공명을 통하여 상기 골전도 입력장치에 의해 제공된 음향을 전파로 변환하고, 이어서 변환된 전파를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에 전송하여 신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블루투스 무선통신 프로토콜 또는 마이크로파 또는 적외선 또는 RF 또는 RFID 센서에 기초하여 무선신호를 수신 또는 전송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적어도: 안테나, 신호송수신유닛 및 신호처리유닛을 포함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적어도: 기능선택기, 음원스위치 및 음량튜너를 포함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무선조정기를 무선으로 링크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토커(talker)를 더 제공하며, 상기 토커는 음향을 수집하고 수집된 음향 신호를 상기 골전도출력장치로 전송하는데 사용되어, 상기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가 보청기 기능을 갖도록 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7. 오실레이터를 가지며, 음향을 전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골전도 입력장치;
    상기 골전도 입력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파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전송장치;
    상술한 장치들을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장치는 코 위에 제공되는 캐리어로서, 그것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골전도 입력장치가 비골의 피부에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하고, 또한 비강 내 공명을 통하여 상기 골전도 입력장치에 의해 제공된 음향을 전파로 변환하고, 이어서 변환된 전파를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에 전송하여 신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장치는 안경, 수중투시경, 고글, 보호안경, 코마스크, 입마스크, 안면마스크, 머리마스크, 헬멧, 스키드리드, 패치, 노즈클립, 또는 상기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가 코의 피부 상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는 캐리어장치인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블루투스 무선통신 프로토콜 또는 마이크로파 또는 적외선 또는 RF 또는 RFID 센서에 기초하여 무선신호를 수신 또는 전송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적어도: 안테나, 신호송수신유닛 및 신호처리유닛을 포함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적어도: 기능선택기, 음원스위치 및 음량튜너를 포함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무선조정기를 무선으로 링크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13. 전파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전송장치;
    오실레이터를 가지며,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에 의하여 보내진 외부 전파신호를 수신하고, 전파신호를 진동파로 변환하고, 진동파를 비골 전도를 통해 귀 안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및
    상술한 장치들을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장치는 코 위에 제공되는 캐리어로서, 그것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골전도 출력장치가 비골의 피부에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골전도 출력장치의 진동파가 비강 내의 공명 후에 비골 전도를 통해 귀로 보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장치는 안경, 수중투시경, 고글, 보호안경, 코마스크, 입마스크, 안면마스크, 머리마스크, 헬멧, 스키드리드, 패치, 노즈클립, 또는 상기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가 코의 피부 상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는 캐리어장치인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블루투스 무선통신 프로토콜 또는 마이크로파 또는 적외선 또는 RF 또는 RFID 센서에 기초하여 무선신호를 수신 또는 전송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적어도: 안테나, 신호송수신유닛 및 신호처리유닛을 포함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적어도: 기능선택기, 음원스위치 및 음량튜너를 포함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무선조정기를 무선으로 링크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토커를 더 제공하며, 상기 토커는 음향을 수집하고 수집된 음향 신호를 상기 골전도 출력장치로 전송하는데 사용되어, 상기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가 보청기 기능을 갖도록 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20. 전송장치; 및
    상기 전송장치와 무선연결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제1오실레이터를 가지며, 음향을 전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골전도 입력장치;
    상기 골전도 입력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파를 상기 골전도 입력장치로부터 수신하고 골전도 출력장치로 전송하며, 그리고/또는 외부 전파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전송장치;
    제2오실레이터를 가지며,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에 의하여 보내진 외부 전파신호를 수신하고, 전파신호를 진동파로 변환하고, 진동파를 비골 전도를 통해 귀 안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및
    상술한 장치들을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장치는 코 위에 제공되는 캐리어로서, 그것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골전도 출력장치 및 상기 골전도 입력장치가 비골의 피부에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골전도 출력장치의 진동파가 비강 내의 공명 후에 비골 전도를 통해 귀로 보내지도록 하고; 또한 비강 내의 공명을 통하여 상기 골전도 입력장치에 의해 제공된 음향을 전파로 변환하고, 이어서 변환된 전파를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에 전송하여 신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장치는 안경, 수중투시경, 고글, 보호안경, 코마스크, 입마스크, 안면마스크, 머리마스크, 헬멧, 스키드리드, 패치, 노즈클립, 또는 상기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가 코의 피부 상에 부착되도록 하는 캐리어장치인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시스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상기 전송장치와 무선통신을 확 립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시스템.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장치는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와 무선 연결되기 위한 신호송수신기와의 링크, 음향 신호 전송 및 무선통신 전송장치의 주파수와 주파수 매칭의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제품인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시스템.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장치는 신호송수신기와 인터페이싱하는 무선통신기에 의해 형성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기는 모바일폰, PDA, 컴퓨터 또는 무선 인터콤인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시스템.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기는 추가로 적외선, RF(무선주파수), 또는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전송 기능을 갖는 무선전송기인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시스템.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기 및 상기 신호송수신기는 커넥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가 이어폰 잭, PCMCIA 카드 또는 USB 포트의 형태로 디자인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시스템.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송수신기는 MP3 플레이어, 워크맨, 컴퓨터, 레코 더, 하이파이 장비 또는 텔레비전과 같은 오디오 제품과 연결하여 작동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를 상기 골전도 입력장치와 결합하여 전송과 수신이 가능한 이어폰의 기능을 제공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시스템.
  2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적어도: 안테나, 신호송수신 유닛 및 신호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시스템.
  30.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적어도: 기능선택기, 음원스위치 및 음량튜너를 포함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시스템.
  3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무선조정기를 무선으로 링크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시스템.
  3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토커를 더 제공하며, 상기 토커는 음향을 수집하고 수집된 음향 신호를 상기 골전도출력장치로 전송하는데 사용되어, 상기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가 보청기 기능을 갖도록 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시스템.
  3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전송장치는 블루투스 무선통신 프로토콜 또는 마이크로파 또는 적외선 또는 RF 또는 RFID 센서에 기초하여 무선신호를 수신 또는 전송하는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시스템.
  34. 외부환경으로부터 보내져온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조정장치;
    상기 조정장치에 의해 처리된 신호를 수신하는, 오실레이터를 갖는 골피부전도진동장치; 및
    상기 조정장치 및 상기 골피부전도진동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장치는 코 위에 제공되어 상기 골피부전도진동장치가 비골의 피부에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하며, 상기 오실레이터는 상기 골피부전도진동장치에 의해 수신된 전파를 진동파로 변환하고 코에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이로 인해 진동파가 비골피부전도를 통해 귀에 보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골 전도 보청기.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장치는 토커, 전파증폭기, 주파수제어처리모듈, 신호처리모듈, 피드백제거처리모듈, 전원공급장치 및 신호전송선을 포함하는 비골 전도 보청기.
KR1020077004811A 2004-08-27 2005-06-07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51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410057190.7 2004-08-27
CN200410057190 2004-08-27
CN 200410101471 CN1791283B (zh) 2004-12-16 2004-12-16 鼻骨传导助听装置
CN 200410101472 CN1791284A (zh) 2004-12-16 2004-12-16 鼻骨传导无线通讯传输装置
CN200410101471.8 2004-12-16
CN200410101472.2 2004-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738A KR20070073738A (ko) 2007-07-10
KR100851089B1 true KR100851089B1 (ko) 2008-08-08

Family

ID=3596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811A Expired - Fee Related KR100851089B1 (ko) 2004-08-27 2005-06-07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783919B1 (ko)
JP (1) JP2008511217A (ko)
KR (1) KR100851089B1 (ko)
AU (1) AU2005276865B2 (ko)
BR (1) BRPI0514159A2 (ko)
CA (1) CA2578083C (ko)
WO (1) WO20060211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42869B (zh) * 2006-03-24 2011-07-13 致胜科技股份有限公司 鼻骨传导活体声纹辨识装置
US7844070B2 (en) 2006-05-30 2010-11-30 Sonitus Medic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udio signals
US8291912B2 (en) 2006-08-22 2012-10-23 Sonitus Medical, Inc. Systems for manufacturing oral-based hearing aid appliances
US8270638B2 (en) 2007-05-29 2012-09-18 Sonitus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communication, positioning and monitoring of user status
US8433080B2 (en) 2007-08-22 2013-04-30 Sonitus Medical, Inc. Bone conduction hearing device with open-ear microphone
US8224013B2 (en) 2007-08-27 2012-07-17 Sonitus Medical, Inc. Headset systems and methods
US7682303B2 (en) 2007-10-02 2010-03-23 Sonitus Medic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vibrations
US8795172B2 (en) 2007-12-07 2014-08-05 Sonitus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two-way communications
US7974845B2 (en) 2008-02-15 2011-07-05 Sonitus Medical, Inc. Stuttering treatment methods and apparatus
US8270637B2 (en) 2008-02-15 2012-09-18 Sonitus Medical, Inc. Headset systems and methods
US8023676B2 (en) 2008-03-03 2011-09-20 Sonitus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of user status
US8150075B2 (en) 2008-03-04 2012-04-03 Sonitus Medical, Inc. Dental bone conduction hearing appliance
US20090226020A1 (en) 2008-03-04 2009-09-10 Sonitus Medical, Inc. Dental bone conduction hearing appliance
EP2484125B1 (en) 2009-10-02 2015-03-11 Sonitus Medical, Inc. Intraoral appliance for sound transmission via bone conduction
US8521239B2 (en) 2010-12-27 2013-08-27 Rohm Co., Ltd. Mobile telephone
JP5932228B2 (ja) * 2011-03-07 2016-06-08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受話ユニット
US9313306B2 (en) 2010-12-27 2016-04-12 Rohm Co., Ltd. Mobile telephone cartilage conduction unit for making contact with the ear cartilage
US8918149B2 (en) 2010-12-27 2014-12-23 Rohm Co., Ltd. Mobile telephone
CN109039391B (zh) 2010-12-27 2021-08-10 株式会社精好 移动电话
JP5783352B2 (ja) 2011-02-25 2015-09-24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会話システム、会話システム用指輪、携帯電話用指輪、指輪型携帯電話、及び、音声聴取方法
WO2013108426A1 (ja) 2012-01-20 2013-07-25 ローム株式会社 軟骨伝導部を有する携帯電話
EP3407621B1 (en) 2012-06-29 2021-12-22 FINEWELL Co., Ltd. Stereo earphone
US8989410B2 (en) * 2012-10-22 2015-03-24 Google Inc. Compact bone conduction audio transducer
EP3694191A1 (en) 2013-08-23 2020-08-12 FINEWELL Co., Ltd. Mobile telephone
KR102079893B1 (ko) 2013-10-24 2020-02-20 파인웰 씨오., 엘티디 팔찌형 송수화 장치, 팔찌형 통지 장치
JP6551919B2 (ja) 2014-08-20 2019-07-31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検知装置および見守り通報装置
CN107113481B (zh) 2014-12-18 2019-06-28 株式会社精好 利用电磁型振动单元的软骨传导接听装置及电磁型振动单元
WO2017010547A1 (ja) 2015-07-15 2017-01-19 ローム株式会社 ロボット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
JP6551929B2 (ja) 2015-09-16 2019-07-31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受話機能を有する腕時計
CN108351524A (zh) * 2015-12-10 2018-07-31 英特尔公司 用于经由鼻振动进行声音捕捉和生成的系统
WO2017126406A1 (ja) 2016-01-19 2017-07-27 ローム株式会社 ペン型送受話装置
US11315114B2 (en) 2016-12-28 2022-04-26 Capital One Services, Llc Dynamic transaction card protected by multi-factor authentication
US10546444B2 (en) 2018-06-21 2020-01-28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read-only authentication
US11216806B2 (en) 2018-09-19 2022-01-04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ard interactions
JP2020053948A (ja) 2018-09-28 2020-04-02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聴取装置
US10685350B2 (en) 2018-10-02 2020-06-16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WO2020072537A1 (en) 2018-10-02 2020-04-09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US10581611B1 (en) 2018-10-02 2020-03-03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US10579998B1 (en) 2018-10-02 2020-03-03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JP7595001B2 (ja) 2018-10-02 2024-12-05 キャピタル・ワン・サービシー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非接触カードの暗号化認証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210066798A (ko) 2018-10-02 2021-06-07 캐피탈 원 서비시즈, 엘엘씨 비접촉식 카드의 암호화 인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489781B1 (en) 2018-10-02 2019-11-26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US10582386B1 (en) 2018-10-02 2020-03-03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US10554411B1 (en) 2018-10-02 2020-02-04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US10511443B1 (en) 2018-10-02 2019-12-17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CA3115084A1 (en) 2018-10-02 2020-04-09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US10592710B1 (en) 2018-10-02 2020-03-17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AU2019351825A1 (en) 2018-10-02 2021-04-15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US10542036B1 (en) 2018-10-02 2020-01-21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ignaling an attack on contactless cards
CA3115064A1 (en) 2018-10-02 2020-04-09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US10771254B2 (en) 2018-10-02 2020-09-08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mail-based card activation
AU2019355110A1 (en) 2018-10-02 2021-04-08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US11210664B2 (en) 2018-10-02 2021-12-28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mplifying the strength of cryptographic algorithms
US10607214B1 (en) 2018-10-02 2020-03-31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US10771253B2 (en) 2018-10-02 2020-09-08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US10783519B2 (en) 2018-10-02 2020-09-22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CA3115252A1 (en) 2018-10-02 2020-04-09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US10505738B1 (en) 2018-10-02 2019-12-10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US10949520B2 (en) 2018-10-02 2021-03-16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oss coupling risk analytics and one-time-passcodes
CA3115107A1 (en) 2018-10-02 2020-04-09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US10565587B1 (en) 2018-10-02 2020-02-18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BR112021005150A2 (pt) 2018-10-02 2021-06-15 Capital One Services, Llc sistema de transmissão de dados, método para guiar um dispositivo de transmissão, e, aplicação de recepção
US10909527B2 (en) 2018-10-02 2021-02-02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 reissue of a contactless card
JP2022501861A (ja) 2018-10-02 2022-01-06 キャピタル・ワン・サービシー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Capital One Services, LLC 非接触カードの暗号化認証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733645B2 (en) 2018-10-02 2020-08-04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identity for order pick up
US10664830B1 (en) 2018-12-18 2020-05-26 Capital One Services, Llc Devices and methods for selective contactless communication
US20200226581A1 (en) 2019-01-11 2020-07-16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ouch screen interface interaction using a card overlay
US11037136B2 (en) 2019-01-24 2021-06-15 Capital One Services, Llc Tap to autofill card data
US10510074B1 (en) 2019-02-01 2019-12-17 Capital One Services, Llc One-tap payment using a contactless card
US10467622B1 (en) 2019-02-01 2019-11-05 Capital One Services, Llc Using on-demand applications to generate virtual numbers for a contactless card to securely autofill forms
US11120453B2 (en) 2019-02-01 2021-09-14 Capital One Services, Llc Tap card to securely generate card data to copy to clipboard
US10425129B1 (en) 2019-02-27 2019-09-24 Capital One Services, Llc Technique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in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s
US10523708B1 (en) 2019-03-18 2019-12-31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 and method for second factor authentication of customer support calls
US10535062B1 (en) 2019-03-20 2020-01-14 Capital One Services, Llc Using a contactless card to securely share personal data stored in a blockchain
US10984416B2 (en) 2019-03-20 2021-04-20 Capital One Services, Llc NFC mobile currency transfer
US10438437B1 (en) 2019-03-20 2019-10-08 Capital One Services, Llc Tap to copy data to clipboard via NFC
US10643420B1 (en) 2019-03-20 2020-05-05 Capital One Services, Llc Contextual tapping engine
US10970712B2 (en) 2019-03-21 2021-04-06 Capital One Services, Llc Delegated administration of permissions using a contactless card
US10467445B1 (en) 2019-03-28 2019-11-05 Capital One Services, Ll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actless card alignment with a foldable mobile device
US11521262B2 (en) 2019-05-28 2022-12-06 Capital One Services, Llc NFC enhanced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overlays
US10516447B1 (en) 2019-06-17 2019-12-24 Capital One Services, Llc Dynamic power levels in NFC card communications
US11392933B2 (en) 2019-07-03 2022-07-19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online and hybridcard interactions
US11694187B2 (en) 2019-07-03 2023-07-04 Capital One Services, Llc Constraining transactional capabilities for contactless cards
US10871958B1 (en) 2019-07-03 2020-12-22 Capital One Services, Llc Techniques to perform applet programming
US12086852B2 (en) 2019-07-08 2024-09-10 Capital One Services, Llc Authenticating voice transactions with payment card
US10713649B1 (en) 2019-07-09 2020-07-14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 and method enabling mobile near-field communication to update display on a payment card
US10498401B1 (en) 2019-07-15 2019-12-03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card positioning using phone sensors
US10885514B1 (en) 2019-07-15 2021-01-05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image data to trigger contactless card transactions
US11182771B2 (en) 2019-07-17 2021-11-23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 for value loading onto in-vehicle device
US10733601B1 (en) 2019-07-17 2020-08-04 Capital One Services, Llc Body area network facilitated authentication or payment authorization
US10832271B1 (en) 2019-07-17 2020-11-10 Capital One Services, Llc Verified reviews using a contactless card
US11521213B2 (en) 2019-07-18 2022-12-06 Capital One Services, Llc Continuous authentication for digital services based on contactless card positioning
US10506426B1 (en) 2019-07-19 2019-12-10 Capital One Services, Llc Techniques for call authentication
US10541995B1 (en) 2019-07-23 2020-01-21 Capital One Services, Llc First factor contactless card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EP4038587A4 (en) 2019-10-02 2023-06-07 Capital One Services, LLC CUSTOMER DEVICE AUTHENTICATION USING EXISTING CONTACTLESS MAGNETIC STRIP DATA
EP4047950A1 (en) * 2019-10-02 2022-08-24 Mobilus Labs Limited Method of operation for a communication system
US10885410B1 (en) 2019-12-23 2021-01-05 Capital One Services, Llc Generating barcodes utilizing cryptographic techniques
US11615395B2 (en) 2019-12-23 2023-03-28 Capital One Services, Llc Authentication for third party digital wallet provisioning
US11651361B2 (en) 2019-12-23 2023-05-16 Capital One Services, Llc Secure authentication based on passport data stored in a contactless card
US10657754B1 (en) 2019-12-23 2020-05-19 Capital One Services, Llc Contactless card and personal identification system
US10862540B1 (en) 2019-12-23 2020-12-08 Capital One Services, Llc Method for mapping NFC field strength and location on mobile devices
US10733283B1 (en) 2019-12-23 2020-08-04 Capital One Services, Llc Secure password generation and management using NFC and contactless smart cards
US11113685B2 (en) 2019-12-23 2021-09-07 Capital One Services, Llc Card issuing with restricted virtual numbers
US11200563B2 (en) 2019-12-24 2021-12-14 Capital One Services, Llc Account registration using a contactless card
US10664941B1 (en) 2019-12-24 2020-05-26 Capital One Services, Llc Steganographic image encoding of biometric template information on a card
US10853795B1 (en) 2019-12-24 2020-12-01 Capital One Services, Llc Secure authentication based on identity data stored in a contactless card
US10909544B1 (en) 2019-12-26 2021-02-02 Capital One Services, Llc Accessing and utilizing multiple loyalty point accounts
US10757574B1 (en) 2019-12-26 2020-08-25 Capital One Services, Llc Multi-factor authentication providing a credential via a contactless card for secure messaging
US11038688B1 (en) 2019-12-30 2021-06-15 Capital One Services, Llc Techniques to control applets for contactless cards
US11455620B2 (en) 2019-12-31 2022-09-27 Capital One Services, Llc Tapping a contactless card to a computing device to provision a virtual number
US10860914B1 (en) 2019-12-31 2020-12-08 Capital One Services, Llc Contactless card and method of assembly
US11210656B2 (en) 2020-04-13 2021-12-28 Capital One Services, Llc Determining specific terms for contactless card activation
US11823175B2 (en) 2020-04-30 2023-11-21 Capital One Services, Llc Intelligent card unlock
US11030339B1 (en) 2020-04-30 2021-06-08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access control of personal user data using a short-range transceiver
US11222342B2 (en) 2020-04-30 2022-01-11 Capital One Services, Llc Accurate images in graphical user interfaces to enable data transfer
US10861006B1 (en) 2020-04-30 2020-12-08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access control using a short-range transceiver
US10915888B1 (en) 2020-04-30 2021-02-09 Capital One Services, Llc Contactless card with multiple rotating security keys
US10963865B1 (en) 2020-05-12 2021-03-30 Capital One Services, Llc Augmented reality card activation experience
US11063979B1 (en) 2020-05-18 2021-07-13 Capital One Services, Llc Enabling communications between applications in a mobile operating system
US11100511B1 (en) 2020-05-18 2021-08-24 Capital One Services, Llc Application-based point of sale system in mobile operating systems
US11062098B1 (en) 2020-08-11 2021-07-13 Capital One Services, Llc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display and interaction via NFC based authentication
US12165149B2 (en) 2020-08-12 2024-12-10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verification via short-range transceiver
US11482312B2 (en) 2020-10-30 2022-10-25 Capital One Services, Llc Secure verification of medical status using a contactless card
US11165586B1 (en) 2020-10-30 2021-11-02 Capital One Services, Llc Call center web-based authentication using a contactless card
US11373169B2 (en) 2020-11-03 2022-06-28 Capital One Services, Llc Web-based activation of contactless cards
US11216799B1 (en) 2021-01-04 2022-01-04 Capital One Services, Llc Secure generation of one-time passcodes using a contactless card
US11682012B2 (en) 2021-01-27 2023-06-20 Capital One Services, Llc Contactless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US11562358B2 (en) 2021-01-28 2023-01-24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near field contactless card communication and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US11792001B2 (en) 2021-01-28 2023-10-17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reprovisioning
US11687930B2 (en) 2021-01-28 2023-06-27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on of access tokens
US11438329B2 (en) 2021-01-29 2022-09-06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ed peer-to-peer data transfer using resource locators
US11777933B2 (en) 2021-02-03 2023-10-03 Capital One Services, Llc URL-based authentication for payment cards
US11637826B2 (en) 2021-02-24 2023-04-25 Capital One Services, Llc Establishing authentication persistence
US11245438B1 (en) 2021-03-26 2022-02-08 Capital One Services, Llc Network-enabled smart apparatu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activating and provisioning same
US12143515B2 (en) 2021-03-26 2024-11-12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action card-based authentication
US12160419B2 (en) 2021-04-15 2024-12-03 Capital One Services, Llc Authenticated messaging session with contactless card authentication
US11961089B2 (en) 2021-04-20 2024-04-16 Capital One Services, Llc On-demand applications to extend web services
US11935035B2 (en) 2021-04-20 2024-03-19 Capital One Services, Llc Techniques to utilize resource locators by a contactless card to perform a sequence of operations
US11902442B2 (en) 2021-04-22 2024-02-13 Capital One Services, Llc Secure management of accounts on display devices using a contactless card
US11354555B1 (en) 2021-05-04 2022-06-07 Capital One Services, Llc Methods, mediums, and systems for applying a display to a transaction card
US12301735B2 (en) 2021-06-18 2025-05-13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actless card communication and multi-device key pai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US12335412B2 (en) 2021-06-21 2025-06-17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calable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US12041172B2 (en) 2021-06-25 2024-07-16 Capital One Services, Llc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to control access to storage devices
US12061682B2 (en) 2021-07-19 2024-08-13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 and method to perform digital authentication using multiple channels of communication
US12062258B2 (en) 2021-09-16 2024-08-13 Capital One Services, Llc Use of a payment card to unlock a lock
US12069173B2 (en) 2021-12-15 2024-08-20 Capital One Services, Llc Key recovery based on contactless card authentication
US12166750B2 (en) 2022-02-08 2024-12-10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access of storage
US12354077B2 (en) 2022-06-23 2025-07-08 Capital One Services, Llc Mobile web browser authentication and checkout using a contactless card
US12354104B2 (en) 2022-08-09 2025-07-08 Capital One Services, Llc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proof of purchase
US12289396B2 (en) 2022-08-18 2025-04-29 Capital One Services, Llc Parallel secret salt generation and authentication for encrypted communication
US12147983B2 (en) 2023-01-13 2024-11-19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factor authentication using device tracking and identity verification
US12248832B2 (en) 2023-03-07 2025-03-11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teganographic image encoding and identity verification using same
US12335256B2 (en) 2023-03-08 2025-06-17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vice binding authentication
US12248928B2 (en) 2023-03-13 2025-03-11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of secure merchant payment over messaging platform using a contactless card
US12124903B2 (en) 2023-03-16 2024-10-22 Capital One Services, Llc Card with a time-sensitive element and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the same
US12299672B2 (en) 2023-03-30 2025-05-13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with transaction cards
US12200135B2 (en) 2023-06-13 2025-01-14 Capital One Services, Llc Contactless card-based authentication via web-brows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19053U (zh) 1992-04-21 1992-10-14 周颖平 对讲机的麦克/耳机声控器
WO2001028195A1 (en) 1999-10-11 2001-04-19 Boesen Peter V Cellular tele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pager unit with capability of short range radio frequency transmissions
CN1512490A (zh) 2002-12-30 2004-07-14 吕小麟 一种输入控制信号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35932A (en) * 1932-03-01 1933-11-21 William G G Benway Telephonic device for assisting or enabling partially deaf persons to hear
JPS5843086U (ja) * 1981-09-14 1983-03-23 リオン株式会社 高騒音下送話装置
EP0109646A1 (en) * 1982-11-16 1984-05-30 Pilot Man-Nen-Hitsu Kabushiki Kaisha Pickup device for picking up vibration transmitted through bones
FR2650948A1 (fr) * 1989-08-17 1991-02-22 Issalene Robert Dispositif d'aide a l'audition par conduction osseuse
JPH07319379A (ja) * 1994-05-24 1995-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鼻振動検出装置
JPH08298694A (ja) * 1995-04-25 1996-1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ハンズフリー通話ユニット
US5721783A (en) * 1995-06-07 1998-02-24 Anderson; James C. Hearing aid with wireless remote processor
US6885753B2 (en) * 2000-01-27 2005-04-26 New Transducers Limited Communication device using bone conduction
US6631197B1 (en) * 2000-07-24 2003-10-07 Gn Resound North America Corporation Wide audio bandwidth transduction method and device
JP3532544B2 (ja) * 2001-10-30 2004-05-31 株式会社テムコジャパン 面体又は帽体のストラップ装着用送受話装置
JP2003299198A (ja) * 2002-04-02 2003-10-17 Sanyo Electric Co Ltd 補聴器
JP2004173018A (ja) * 2002-11-20 2004-06-17 Toshiba Life Engineering Kk ヘルメット用通信装置
US7512448B2 (en) * 2003-01-10 2009-03-31 Phonak Ag Electrode placement for wireless intrabody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of a hear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19053U (zh) 1992-04-21 1992-10-14 周颖平 对讲机的麦克/耳机声控器
WO2001028195A1 (en) 1999-10-11 2001-04-19 Boesen Peter V Cellular tele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pager unit with capability of short range radio frequency transmissions
CN1512490A (zh) 2002-12-30 2004-07-14 吕小麟 一种输入控制信号的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11217A (ja) 2008-04-10
KR20070073738A (ko) 2007-07-10
EP1783919A1 (en) 2007-05-09
EP1783919A4 (en) 2014-08-06
WO2006021133A1 (en) 2006-03-02
AU2005276865B2 (en) 2009-12-03
AU2005276865A1 (en) 2006-03-02
EP1783919B1 (en) 2017-12-20
CA2578083A1 (en) 2006-03-02
CA2578083C (en) 2013-12-31
BRPI0514159A2 (pt) 200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1089B1 (ko) 비골 전도 무선통신 전송장치
US7555136B2 (en) Nasal bone conduction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tting device
US6363139B1 (en) Omnidirectional ultrasonic communication system
US10410654B2 (en) Active noise control headphones
US4334315A (en)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s including ear microphones
CN101605293B (zh) 在助听器和电话之间具有低功率无线链路的助听器系统
EP2387252A1 (en) Spheno-temporal bone conduction communication and/or hearing aid equipment
US20110014957A1 (en) Headset
JP2002084361A (ja) ワイヤレス型送受話器セット
CN104853282A (zh) 带骨传导功能的智能穿戴设备及音频输出处理方法
JPWO2007058281A1 (ja) 送受話装置
CN102792713A (zh) 个人音频设备
US20040204163A1 (en) Modular Modification of cellular phone handfree kit and the applications thereof
CN206728239U (zh) 一种多功能降噪通讯耳机
CN214154791U (zh) 基于单麦克风蓝牙耳机的主动降噪控制系统及蓝牙耳机
CN2760888Y (zh) 鼻骨传导无线通讯传输装置
HK1106629A (en) The nasal bone conduction wireless communication transimssion equipment
JPH08298694A (ja) ハンズフリー通話ユニット
CN2901757Y (zh) 鼻骨传导通讯传输及周边装置
CN1791284A (zh) 鼻骨传导无线通讯传输装置
HK1090502A (en) Nasal bone conduction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tting device
TWI255611B (en) Nasal bone conduction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tter
CN2850179Y (zh) 鼻骨传导无线通讯传输简易装置
JP3093162U (ja) 車両用携帯電話ハンズフリーキットモジュール
KR200257656Y1 (ko) 귀속형 무선 핸즈프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5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