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47902B1 -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902B1
KR100847902B1 KR1020070099443A KR20070099443A KR100847902B1 KR 100847902 B1 KR100847902 B1 KR 100847902B1 KR 1020070099443 A KR1020070099443 A KR 1020070099443A KR 20070099443 A KR20070099443 A KR 20070099443A KR 100847902 B1 KR100847902 B1 KR 100847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hump
pin
adhesive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정티.알.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82507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4790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정티.알.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정티.알.비.
Priority to KR1020070099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79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3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3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 B65G15/4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08Prot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어벨트에 주름혹과 핀혹을 부착 시 일부 공정을 자동화시켜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부착하기 위한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컨베어벨트(2)의 상부 양측으로 주름혹(3)을 부착 고정하고, 컨베어벨트(2)의 상부 중간에 등간격으로 수개의 핀혹(4)을 부착 고정한 주름혹컨베어벨트(1)를 제조할 시 컨베어벨트(2)와 주름혹(3)과 핀혹(4)의 부착면을 표면처리하는 버핑 후 세정 및 건조단계를 거친 다음, 컨베어벨트(2)에 주름혹(3)과 핀혹(4)을 부착할 시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거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되 부착면 사이에 양면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보강용 시트를 내입하여 부착하거나, 컨베어벨트(2)와 동일한 재질의 고무풀을 도포한 후 부착면 사이에 접착용 미가류고무를 내입하여 부착하는 3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채택하여 컨베어벨트(2)에 주름혹(3)과 핀혹(4)을 1차로 부착하는 단계와, 주름혹(3) 및 핀혹(4) 각각의 부착부위를 주름혹(3)과 핀혹(4)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1, 제2지그(5a)(6a)가 단부에 장착된 제1, 제2프레스(5)(6)로 가압하여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제2프레스(5)(6) 하부에는 열선이 각각 내입되어 가압과 동시에 부착부위를 가온시켜 컨베어벨트(2)에 부착되는 주름혹(3)과 핀혹(4)의 접착력을 극대화시킨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어벨트(2)에 주름혹(3)과 핀혹(4)이 전체적으로 균일하면서도 견고하게 접착이 이루어지고, 주름 혹(3)과 핀혹(4)을 컨베어벨트(2)에 부착 시 작업시간의 단축, 작업의 단순화로 인하여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주름혹컨베어벨트(1)를 제조할 수 있어서 전체적인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주름혹컨베어벨트, 주름혹, 핀혹, 버핑, 접착제, 고무풀, 프레스, 지그, 압착

Description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rrugated sidewall conveyor belt}
본 발명은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제조방법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컨베어벨트에 주름혹과 핀혹을 부착 시 일부 공정을 자동화시켜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부착하기 위한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주름혹컨베어벨트는 평판형 컨베어벨트의 상면 양측에 지그재그형태의 주름혹(corrugated side wall)을 부착 구성하고, 컨베어벨트의 상면 가운데. 즉 양측의 주름혹 내측에 등간격으로 핀혹(cleat)을 부착 구성하여 미립자 내지 덩어리형태의 각종 산업폐기물이나 광석, 토사, 골재, 철광, 시멘트원료 등의 운반물을 급경사 및 수직으로 운반 가능토록 하여 설비의 면적을 현저하게 줄이고, 운반능력을 향상시키며, 운반물의 낙하를 방지시키며, 설비비를 절감토록 한 것이다.
종래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제조방법은 컨베어벨트의 상부에 주름혹과 핀혹을 부착 고정하되, 도 1에서와 같이 주름혹과 핀혹의 하면에 버핑(buffing)작업을 행하고, 주름혹과 핀혹이 부착되는 컨베어벨트의 상면 부착면에 버핑작업을 각각 행 한 후, 먼저 컨베어벨트의 상부에 주름혹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한 다음 상온에서 작업자가 해머드릴을 가지고 접착부위를 수작업으로 타격하면 컨베어벨트와 주름혹의 접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며, 이후 주름혹 내측의 컨베어벨트 상부에 핀혹을 역시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한 다음 작업자가 해머드릴을 가지고 접착부위를 수작업으로 타격하면 컨베어벨트와 핀혹의 접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며, 이러한 과정(=방법)을 거쳐 완성된 주름혹컨베어벨트 완제품은 적재대에 적재하고, 필요로 하는 곳으로 차량 운반하여 컨베어의 작업조건에 따라 경사지게 또는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제조방법은 컨베어벨트에 주름혹과 핀혹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타격하여 접착하므로 균일하게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고, 그로 인하여 컨베어벨트에 부착되는 주름혹 내지 핀혹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이송 및 설치 시에나 컨베어 작업 시 컨베어벨트로부터 주름혹이나 핀혹이 쉽게 떨어져나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수작업에 의해서 주름혹과 핀혹을 컨베어벨트에 부착 시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며 작업이 번거로워서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컨베어벨트에 주름혹과 핀혹을 부착할 시 프레스로 부착부위를 균일하고 강하게 가온, 압착하여 주름혹컨베어벨트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작업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며, 보다 견고하게 주름혹과 핀혹을 컨베어벨트에 부착 고정토록 한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제조방법을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컨베어벨트의 상부 양측으로 주름혹을 부착 고정하고, 컨베어벨트의 상부 중간에 등간격으로 수개의 핀혹을 부착 고정한 주름혹컨베어벨트를 제조하되, 컨베어벨트의 주름혹과 핀혹 부착면을 표면처리하는 버핑 후 세정 및 건조단계와, 주름혹의 하부 부착면을 버핑 후 세정 및 건조하는 단계와, 핀혹의 하부 부착면을 버핑 후 세정 및 건조하는 단계를 거친 다음, 컨베어벨트에 주름혹과 핀혹을 부착할 시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거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되 부착면 사이에 양면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보강용 시트를 내입하여 부착하거나, 컨베어벨트와 동일한 재질의 고무풀을 도포한 후 부착면 사이에 접착용 미가류고무를 내입하여 부착하는 3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채택하여 컨베어벨트에 주름혹과 핀혹을 1차로 부착하는 단계와, 주름혹 및 핀혹 각각의 부착부위를 주름혹과 핀혹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1, 제2 지그가 단부에 장착된 제1, 제2프레스로 가압하여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제2프레스에는 열선이 각각 내입되어 가압과 동시에 부착부위를 가온시켜 상기 접착제의 접착속도 향상과 접착보강용 시트 및 접착용 미가류고무의 신속한 가류가 가능토록 하여 컨베어벨트에 부착되는 주름혹과 핀혹의 접착력을 극대화시켜 주름혹컨베어벨트를 완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어벨트에 주름혹과 핀혹이 전체적으로 균일하면서도 견고하게 접착이 이루어지고, 그로 인하여 컨베어벨트에 부착되는 주름혹 내지 핀혹의 접착력이 향상되어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이송 및 설치 시에나 컨베어 작업 시 컨베어벨트로부터 주름혹이나 핀혹이 쉽게 떨어져나가지 않는 향상된 부착의 견고함을 제공하며, 주름혹과 핀혹을 컨베어벨트에 부착 시 작업시간의 단축, 작업의 단순화로 인하여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주름혹컨베어벨트를 제조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전체적인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주름혹컨베어벨트(1)의 전체 및 전체를 이루는 각부 구성을 보인 도 3과 같이 컨베어벨트(2)의 상부 양측에 지그재그의 주름형태를 갖는 주름혹(3)을 각각 부착 구성하고, 컨베어벨트(2)의 상부에 길이방향의 등간격으로 핀혹(4)을 부착 구성하여 미립자 내지 덩어리형태의 각종 산업폐기물이나 광석, 토사, 골재, 철광, 시멘트원료 등의 운반물을 급경사 혹은 수직으로 운반 가능토록 하여 설비의 설치면적을 현저하게 줄이고, 운반능력을 향상시키며, 운반물의 낙하를 방지시키며, 설비비를 절감토록 한 주름혹컨베어벨트(1)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 2와 도 7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컨베어벨트(2)의 주름혹(3)과 핀혹(4) 부착면을 그라인딩 전용기계나 핸드그라인더에 의해서 버핑하고, 이와 더불어 컨베어벨트(2)에 부착되는 주름혹(3)과 핀혹(4)의 부착면을 핸드그라인더에 의해서 버핑한다.
상기 컨베어벨트(2)와 주름혹(3) 및 핀혹(4)의 표면을 버핑하고 난 후, 버핑 시에 발생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고, 버핑한 부위에 고무계 프라이머(=전처리제) 내지 세척용 톨루엔 용제를 도포하여 부착면을 세정하며, 상온에서 15분 이상 건조시킨다.
이후 컨베어벨트(2)에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주름혹(3)을 부착한 후 제1지그(5a)가 단부에 장착된 제1프레스(5)로 가압하여 압착 고정시키고, 핀혹(4)을 부착한 후 제2지그(6a)가 단부에 장착된 제2프레스(6)로 가압하여 압착 고정시키되, 컨베어벨트(2)에 주름혹(3) 및 핀혹(4)을 부착할 시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거나(도 2 참조),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되 컨베어벨트(2)와 주름혹(3) 내지 컨베어벨트(2)와 핀혹(4) 사이에 양면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보강용 시트를 내입하여 부착하거나(도 7 참조), 컨베어밸트(2)와 주름혹(3)과 핀혹(4)의 접착면에 컨베어벨트(2)와 동일한 재질의 고무풀을 도포한 후 컨베어밸트(2)와 주름혹(3) 내지 컨베어밸트(2)와 핀혹(4)의 사이에 접착용 미가류고무를 내입하여 부착하는(도 8 참조) 3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채택하여 컨베어 벨트(2)에 주름혹(3)과 핀혹(4)을 1차로 부착하게 되고, 주름혹(3) 및 핀혹(4) 각각의 부착부위를 주름혹(3)과 핀혹(4)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1, 제2지그(5a)(6a)가 단부에 장착된 제1, 제2프레스(5)(6)로 가압하여 압착 고정하게 되며, 상기 제1, 제2프레스(5)(6)의 하부 베이스에는 열선(본 발명은 구조 및 구성을 보호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므로 일반적인 전기배선에 의한 열선구조로 이루어진 열선을 구체적으로 도시치 아니함)이 각각 내입되어 가압과 동시에 부착부위를 가온시켜 상기 접착제의 접착속도 향상과 접착보강용 시트 및 접착용 미가류고무의 신속한 가류가 가능토록 하여 컨베어벨트(2)에 부착되는 주름혹(3)과 핀혹(4)의 접착력을 극대화시키도록 한다. 이때 주름혹(3)을 컨베어벨트(2)에 먼저 1차 부착 후 부착부위를 제1프레스(5)의 제1지그(5a)로 가압하여 압착 고정하고, 차후에 핀혹(4)을 컨베어벨트(2)에 1차 부착 후 부착부위를 제2프레스(6)의 제2지그(6a)로 가압하여 압착 고정시켜서 컨베어벨트(2) 상부에 주름혹(3)과 핀혹(4)이 보다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핀혹(4)은 일체로 구성되지만 경우에 따라서 도 5a와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컨베어벨트(2)에 직교되며 단부가 일측으로 경사진 격판 내지 버킷 역할을 하는 주핀혹(4a)과 주핀혹(4a)을 컨베어벨트(2)에 부착하기 위한 보조핀혹(4b)으로 이루어지고, 보조핀혹(4b)을 상기한 방법에 의해 컨베어벨트(2)에 부착 고정한 다음, 주핀혹(4a)을 보조핀혹(4b)에 볼트, 너트를 사용하여 결합한 후, 주핀혹(4a)을 컨베어벨트(2) 상부 양측에 부착 구성된 주름혹(3)에 볼트, 너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하여 주름혹컨베어벨트(1)로 운반물을 이송할 시 주름혹(3)이나 핀혹(4)의 강도를 높임과 동시에 운반물이 주름혹(3)과 핀혹(4) 사이로 흘러내리지 않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접착제는 CR(Chloroprene Rubber)계 자연가류형 접착제를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CR계 자연가류형 접착제는 가류가 되면서 접착이 이루어지며, 접착력이 우수하여 특히 컨베어벨트(2)나 주름혹(3) 및 핀혹(4) 등의 고무재질의 부착에 유용하고, 상기 접착제를 컨베어벨트(2)와 주름혹(3)과 핀혹(4)의 각 부착면에 도포 시 짧은 식모형 솔을 이용하여 접착제가 부착면에 충분히 침투되도록 도포한다.
상기 접착보강용 시트는 두께가 1.0㎜~3.0㎜의 자연가류형 미가류 시트이고, 상기 접착용 미가류고무는 컨베어벨트(2)와 동일한 재질로 두께가 0.5㎜~1.0㎜인 시팅고무이며, 상기 접착보강용 시트와 접착용 미가류고무는 가류가 완전하게 일어나면 컨베어벨트(2)에 주름혹(3)과 핀혹(4)을 보다 견고하게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부착면 사이에 내입한 것이다.
상기 제1, 제2프레스(5)(6)는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에 열선이 내입된 것으로 CR계 자연가류형 접착제를 사용하여 컨베어벨트(2)에 주름혹(3)과 핀혹(4)을 부착하거나, 접착제와 더불어 접착보강용 시트를 내입하여 컨베어벨트(2)에 주름혹(3)과 핀혹(4)을 부착할 시에는 온도를 40℃~60℃로 가온하고 압력은 1.5~2.5㎏f/㎠으로 가압하여 5분~10분 동안 프레싱을 행하고, 컨베어벨트(2)와 동일한 재질의 고무풀과 접착용 미가류고무를 사용하여 컨베어벨트(2)에 주름혹(3)과 핀혹(4)을 부착할 시에는 온도를 150℃~190℃로 가온하고 압력은 2.5~3.5㎏f/㎠으로 가압하여 30분~60분 동안 프레싱을 행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가온, 가압하는 온도와 압력 및 시간이 상이한 것은 CR계 자연가류형 접착제나 접착보강용 시트는 자연가류 타입으로 비교적 그다지 높지 않은 온도에서 작은 압력으로 짧은 시간 동안만 프레싱해도 가류가 일어나지만, 접착용 미가류고무는 CR계 자연가류형 접착제나 접착보강용 시트에 비해 두께는 동일하거나 얇아도 가류되는데 비교적 높은 온도와 압력 및 시간을 요하기 때문이며, 특히 압력이 너무 과도하게 높아지면 주름혹(3) 및 핀혹(4)이 변형되기 쉽고, 압력이 약하면 주름혹(3)과 핀혹(4)을 컨베어벨트(2)에 강하게 압착할 수 없어 프레싱의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며, 가압시간 역시 주름혹(3)과 핀혹(4)의 변형과 부착력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제2지그(5a)(6a)는 도 6a 내지 6b에서와 같이 주름혹(3)과 핀혹(4)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제2프레스(5)(6)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가압 시 컨베어벨트(2)와 주름혹(3) 내지 컨베어벨트(2)와 핀혹(4)의 부착되는 면 전체를 고르게 압착시키므로 부착력을 향상시키며, 주름혹(3)의 경우 부착부위의 형상에 일치되게 형성된 가압용 금형(5b;도 6a 참조)을 부착부위에 얹어놓은 상태에서 제1프레스(5) 가압에 의해 제1지그(5a)로 압착하여 보다 견고하게 주름혹컨베어벨트(1)를 제조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주름혹컨베어벨트(1)는 적재대에 적재하고, 필요로 하는 곳으로 차량 운반하여 컨베어의 작업조건에 따라 경사지게 또는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상기한 주름혹컨베어벨트(1) 제조공정의 다양한 제조방법을 시계열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실시예1)
도 2는 본 발명인 주름혹컨베어벨트(1)의 제조공정을 보인 제1실시예로서, 컨베어벨트(2)의 주름혹(3) 및 핀혹(4) 부착면을 그라이딩 전용기계로 버핑하는 버핑단계와, 버핑한 후에 이물질을 제거하고 고무계 프라이머를 도포한 다음 상온에서 15분간 건조하는 세정 및 건조단계와, 세정 및 건조 후에 CR계 자연가류형 접착제를 2회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를 거치고,
컨베어벨트(2)와 별도로 주름혹(3)은 컨베어벨트(2)에 부착되는 부착면을 버핑하는 버핑단계와, 버핑 후 이물질 제거 및 고무계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상온에서 15분간 건조하는 세정 및 건조단계와, 이 역시 부착면에 접착제를 2회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를 거치며,
또한 별도로 핀혹(4)의 부착면을 버핑하는 버핑단계와, 버핑 후 이물질 제거 및 고무계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상온에서 15분간 건조하는 세정 및 건조단계와, 부착면에 접착제를 2회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를 거친 후,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를 거친 컨베어벨트(2)에 재차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가 부착면에 미리 2회 도포된 주름혹(3)을 부착하는 주름혹(3) 부착단계와, 컨베어벨트(2)에 부착된 주름혹(3)을 단부에 주름혹(3)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 제1지그(5a)가 장착된 제1프레스(5)의 하부에서 50℃로 가온하고 1.85㎏f/㎠의 압력으로 8분 동안 가압하는 가온 및 압착단계와, 접착제가 2회 도포된 핀혹(4)을 재차 접착제로 도포하여 컨베어벨트(2)에 부착하는 핀혹(4) 부착단계와, 컨베어벨트(2)에 부착된 핀혹(4)을 단부에 핀혹(4)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 제2지그(6a)가 장 착된 제2프레스(6)의 하부에서 50℃로 가온하고 1.85㎏f/㎠의 압력으로 8분 동안 가압하는 가온 및 압착단계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완제품인 주름혹컨베어벨트(1)를 완성한다.
(실시예2)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실시예1과 같이 컨베어벨트(2)는 주름혹(3) 및 핀혹(4) 부착면을 버핑하고, 버핑 후 세정 및 건조하여 접착제를 2회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를 거치고, 주름혹(3)은 버핑과 세정 및 건조를 행한 다음 접착제를 2회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를 거치며, 핀혹(4)은 주핀혹(4a)과 보조핀혹(4b)으로 분할 구성하여 상기 보조핀혹(4b)의 부착면을 버핑 후 세정 및 건조를 행한 다음 접착제를 2회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를 거쳐서 컨베어벨트(2)와 주름혹(3) 사이에 두께가 1.5㎜의 접착보강용 시트를 내입하여 부착하는 단계와, 실시예1과 동일한 조건으로 주름혹(3)을 제1프레스(5)로 가온, 압착하는 단계를 거쳐 컨베어벨트(2)와 보조핀혹(4b) 사이에 상기 접착보강용 시트를 내입하여 부착하는 단계를 부가하고, 보조핀혹(4b)을 제2프레스(6)로 가온 및 압착하는 단계와, 보조핀혹(4b)에 볼트, 너트로 주핀혹(4a)을 결합하는 단계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완제품인 주름혹컨베어벨트(1)를 완성한다.
(실시예3)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실시예1과 같이 컨베어벨트(2)는 주름혹(3) 및 핀혹(4) 부착면을 버핑하고, 주름혹(3)의 부착면을 버핑하며, 핀혹(4)의 부착면을 버핑하는 단계를 거친 후, 컨베어벨트(2)와 주름혹(3)과 핀혹(4)에 버핑 으로 인해 발생된 이물질 제거와 이물질 제거 후 세척용 톨루엔 용제를 도포한 다음 15분간 건조하는 세정 및 건조단계와, 건조가 이루어진 컨베어벨트(2)와 주름혹(3)과 핀혹(4)의 부착면에 각각 컨베어벨트(2)와 동일한 재질의 고무풀을 도포하는 단계와, 컨베어벨트(2)와 주름혹(3)의 사이에 컨베어벨트(2)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두께 1.0㎜의 접착용 미가류고무를 내입하여 주름혹(3)을 부착하는 단계와, 컨베어벨트(2)에 부착된 주름혹(3)을 단부에 주름혹(3)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 제1지그(5a)가 장착된 제1프레스(5) 하부에서 180℃로 가온하고 3㎏f/㎠의 압력으로 12분 동안 가압하는 가온 및 압착단계와, 컨베어벨트(2)와 핀혹(4)의 사이에 컨베어벨트(2)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두께 1.0㎜의 접착용 미가류고무를 내입하여 핀혹(4)을 부착하는 단계와, 컨베어벨트(2)에 부착된 핀혹(4)을 단부에 핀혹(4)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 제2지그(6a)가 장착된 제2프레스(6) 하부에서 180℃로 가온하고 3㎏f/㎠의 압력으로 12분 동안 가압하는 가온 및 압착단계를 거쳐서 주름혹컨베어벨트(1)를 완성한다.
도 1은 종래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제조공정을 보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주름혹컨베어벨트 제조공정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주름혹컨베어벨트의 구성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4a 내지 4e는 각 제조공정상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a, 5b는 제조공정 중 핀혹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a는 제1프레스의 제1지그 및 가압용 금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b는 제2프레스의 제2지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주름혹컨베어벨트 제조공정의 제2실례를 보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주름혹컨베어벨트 제조공정의 제3실례를 보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주름혹컨베어벨트 2:컨베어벨트
3:주름혹 4:핀혹
4a:주핀혹 4b:보조핀혹
5:제1프레스 5a:제1지그
6:제2프레스 6a:제2지그

Claims (7)

  1. 컨베어벨트(2)와 주름혹(3)과 핀혹(4)의 부착면을 각각 버핑하고, 버핑된 각 부착면을 세정 및 건조한 다음, 컨베어벨트(2)와 주름혹(3)과 핀혹(4)의 부착면에 접착제를 각각 2회씩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와, 컨베어벨트(2)와 주름혹(3) 사이에 재차 접착제를 도포하여 컨베어벨트(2) 상부 양측에 주름혹(3)을 부착하는 주름혹(3) 부착단계, 및 컨베어벨트(2)와 핀혹(4) 사이에 재차 접착제를 도포하여 컨베어벨트(2)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의 핀혹(4) 수개를 부착하는 핀혹(4) 부착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는 주름혹컨베어벨트(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름혹(3) 부착단계를 거친 후 제1프레스(5)로 주름혹(3) 부착부위를 가압하여 압착 고정하는 주름혹(3) 압착단계와,
    상기 핀혹(4) 부착단계를 거친 후 제2프레스(6)로 핀혹(4) 부착부위를 가압하여 압착 고정하는 핀혹(4) 압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를 거친 컨베어벨트(2)와 주름혹(3) 사이에 양면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두께 1.0㎜~3.0㎜의 접착보강용 시트를 내입하여 컨베어벨트(2)와 주름혹(3)을 부착하는 단계와,
    접착제 도포단계를 거친 컨베어벨트(2)와 핀혹(4) 사이에 양면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두께 1.0㎜~3.0㎜의 접착보강용 시트를 내입하여 컨베어벨트(2)와 핀혹(4)을 부착하는 단계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스(5)와 제2프레스(6)의 하부 베이스에는 각각 열선을 내입하여 가압과 동시에 각 부착부위를 40~60℃로 가온시켜 컨베어벨트(2)에 부착되는 주름혹(3)과 핀혹(4)의 접착력이 배가되도록 하고,
    제1프레스(5)와 제2프레스(6)로 각각 주름혹(3)과 핀혹(4)을 가압할 시 1.5~2.5㎏f/㎠의 압력으로 5~10분 동안 가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스(5)와 제2프레스(6)의 단부에 주름혹(3)과 핀혹(4)의 형상에 각각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1지그(5a)와 제2지그(6a)를 설치하여 상기 제1프레스(5)와 제2프레스(6)에 의한 주름혹(3) 압착단계와 핀혹(4) 압착단계에서 각각 컨베어벨트(2)에 주름혹(3)과 핀혹(4)의 부착되는 면 전체를 고르게 압착시켜 부착력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제조방법.
  5. 컨베어벨트(2)와 주름혹(3)과 핀혹(4)의 부착면을 각각 버핑하고, 버핑된 각 부착면을 세정 및 건조한 다음, 컨베어벨트(2)의 상부 양측에 주름혹(3)을 각각 부 착하고, 양측 주름혹(3) 내측으로 컨베어벨트(2) 상부에 핀혹(4)을 부착하는 주름혹컨베어벨트(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세정 및 건조가 이루어진 컨베어벨트(2)와 주름혹(3)과 핀혹(4)의 부착면에 각각 컨베어벨트(2)와 동일한 재질의 고무풀을 도포하는 고무풀 도포단계와,
    고무풀 도포단계를 거친 컨베어벨트(2)와 주름혹(3) 사이에 컨베어벨트(2)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두께 0.5㎜~1.0㎜의 접착용 미가류고무를 내입하여 컨베어벨트(2) 상부 양측에 주름혹(3)을 부착하는 주름혹(3) 부착단계와,
    주름혹(3)을 부착한 후 주름혹(3)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 제1지그(5a)가 단부에 장착된 제1프레스(5)로 주름혹(3) 부착부위를 가압하여 압착 고정하는 주름혹(3) 압착단계와,
    고무풀 도포단계를 거친 컨베어벨트(2)와 핀혹(4) 사이에 컨베어벨트(2)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두께 0.5㎜~1.0㎜의 접착용 미가류고무를 내입하여 컨베어벨트(2)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의 핀혹(4) 수개를 부착하는 핀혹(4) 부착단계와,
    핀혹(4)을 부착한 후 핀혹(4)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 제2지그(6a)가 단부에 수개 장착된 제2프레스(6)로 핀혹(4) 부착부위를 가압하여 압착 고정하는 핀혹(4) 압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스(5)와 제2프레스(6)의 하부 베이스에는 각각 열선을 내입하여 가압과 동시에 각 부착부위를 150~190℃로 가온시켜 컨베어벨트(2)에 부착되는 주름혹(3)과 핀혹(4)의 접착력이 배가되도록 하고,
    제1프레스(5)와 제2프레스(6)로 각각 주름혹(3)과 핀혹(4)을 가압할 시 2.5~3.5㎏f/㎠의 압력으로 30~60분 동안 가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제조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스(5)와 제2프레스(6)의 단부에 주름혹(3)과 핀혹(4)의 형상에 각각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1지그(5a)와 제2지그(6a)를 설치하여 제1프레스(5)와 제2프레스(6)에 의한 상기 주름혹(3) 압착단계와 핀혹(4) 압착단계에서 각각 컨베어벨트(2)에 주름혹(3)과 핀혹(4)이 부착되는 면 전체를 고르게 압착시켜 부착력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제조방법.
KR1020070099443A 2007-10-02 2007-10-02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제조방법 KR100847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443A KR100847902B1 (ko) 2007-10-02 2007-10-02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443A KR100847902B1 (ko) 2007-10-02 2007-10-02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7902B1 true KR100847902B1 (ko) 2008-07-23

Family

ID=39825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443A KR100847902B1 (ko) 2007-10-02 2007-10-02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79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015B1 (ko) 2013-05-29 2014-07-02 주식회사 우정티.알.비. 주름혹 컨베어 벨트 제작을 위한 버핑 형성 장치
CN114348541A (zh) * 2022-01-06 2022-04-15 湖南时代阳光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药品生产用输送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122A (ja) 1997-07-18 1999-02-09 Bando Chem Ind Ltd ガイド付き搬送ベル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4238156A (ja) 2003-02-06 2004-08-26 Bando Chem Ind Ltd コンベヤベル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91298A (ja) 2006-01-23 2007-08-02 Bridgestone Corp 傾斜コンベヤ用ベル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122A (ja) 1997-07-18 1999-02-09 Bando Chem Ind Ltd ガイド付き搬送ベル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4238156A (ja) 2003-02-06 2004-08-26 Bando Chem Ind Ltd コンベヤベル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91298A (ja) 2006-01-23 2007-08-02 Bridgestone Corp 傾斜コンベヤ用ベル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015B1 (ko) 2013-05-29 2014-07-02 주식회사 우정티.알.비. 주름혹 컨베어 벨트 제작을 위한 버핑 형성 장치
CN114348541A (zh) * 2022-01-06 2022-04-15 湖南时代阳光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药品生产用输送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6388B (zh) 一种橡胶中镶嵌陶瓷的耐磨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A1165216A (en) Tire repair patch and method of manufacture
JPH08323889A (ja) タイヤの再生方法及びその再生タイヤ組立体
KR100847902B1 (ko) 주름혹컨베어벨트의 제조방법
CN103821672B (zh) 用于加强风力涡轮机叶片变弱区域的系统和方法
CN105690814A (zh) 输送带破损修补方法
JPH0237292B2 (ko)
KR20090078159A (ko) 컨베이어용 풀리드럼의 논스립을 위한 래깅 고무패드
JP3992711B2 (ja) 急傾斜コンベヤの熱加硫接着方法
US20050194077A1 (en) Process for retreading worn tires and the tires obtained therefrom
KR101398302B1 (ko) 컨베이어 풀리의 피복시트 및 피복방법
CN106239955A (zh) 一种轮胎翻新工艺
CN109311244B (zh) 轮胎的修补方法
JP4346119B2 (ja) 撚鋼線材を補強材としたコンベアベルトの接合方法
CN113683797A (zh) 一种小阻力垫板生产方法
JPH0485431A (ja) 止水板の接合方法および装置
JPS6198529A (ja) 加硫加圧装置
KR20040052647A (ko) 신발 압착 및 냉각장치
CN207156294U (zh) 输送带硫化机压力袋
KR101188056B1 (ko) 폐타이어의 비드부 재생방법
CN217250134U (zh) 一种生产加工用塑料管刷漆装置
CN113246496B (zh) 一种复合材料褶皱消除工装及其制造装置、方法
KR101046628B1 (ko) 절곡구조를 가지는 건식형 메시 보강 미끄럼방지 시트와 이의 제조 및 시공방법
CN216115089U (zh) 一种颗粒料清洗后振动干燥装置
CN213617852U (zh) 一种安全防护效果好的制鞋用模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7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7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72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080716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60726

Appeal identifier: 201610000223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223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726

Effective date: 20180202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180202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60726

Decision date: 20180202

Appeal identifier: 2016100002234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18090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1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