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47697B1 -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697B1
KR100847697B1 KR1020060039027A KR20060039027A KR100847697B1 KR 100847697 B1 KR100847697 B1 KR 100847697B1 KR 1020060039027 A KR1020060039027 A KR 1020060039027A KR 20060039027 A KR20060039027 A KR 20060039027A KR 100847697 B1 KR100847697 B1 KR 100847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head unit
polarizing plate
unit
film pee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0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06313A (en
Inventor
함민수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060039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7697B1/en
Priority to TW96114741A priority patent/TWI386690B/en
Priority to CNB2007100976733A priority patent/CN100573203C/en
Priority to CN2009101515841A priority patent/CN101604044B/en
Publication of KR20070106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3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697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25Removing or cutting binding material, e.g. straps or ban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 및 그를 구비한 편광판 부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편광판 부착장치는, 적어도 어느 일면에 보호필름이 붙어 있는 편광판을 보호필름이 박리되는 소정의 작업위치로 공급하는 편광판 공급부; 및 편광판 공급부와 함께 작업위치로 이동가능하도록 편광판 공급부의 어느 일측에 결합되어 작업위치에서 편광판으로부터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부분을 편광판 공급부에 결합시켜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반적으로 장치의 구조가 간소화되어 풋프린트(Foot print)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택트타임(Tack Time) 역시 종래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A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a polarizing plate attaching device having the same are disclosed. The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for supplying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rotective film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to a predetermined working position where the protective film is peeled off; And a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coupled to any one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so as to be movable to the working position together with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to peel the protective film from the polarizing plate at the work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device can be simplified by reducing the footprint of the overall device by coupling the part peeling off the protective film to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and moving together, as well as the tack time. It can be remarkably reduced than before.

편광판, 보호필름, 편광판 부착장치, 박리헤드 유닛, 박리장치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er attachment device, peeling head unit, peeling device

Description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 및 그를 구비한 편광판 부착장치{Protecting Film Attaching Unit and Apparatus For Attaching Polarizer To LCD Panel Having the Same}Protective Film Attaching Unit and Apparatus For Attaching Polarizer To LCD Panel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larizer at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polarizer at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편광판 부착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3 is a schematic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olarizer attaching device of FIG. 2.

도 4는 도 3의 A 영역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rea A of FIG. 3.

도 5는 도 4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하되 점착성 테이프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dhesive tape is removed while FIG. 4 is shown in another direction.

도 6은 점착성 테이프가 결합된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to which an adhesive tape is bonded.

도 7 및 도 8은 각각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의 틸팅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7 and 8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tilting process o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respectively.

도 9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의 클램프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the clamp device o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도 10은 보호필름이 척킹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film is chucked.

도 11 내지 도 13은 각각 보호필름이 박리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11 to 13 are diagrams showing the step of peeling the protective film, respectively.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P : 편광판 F : 보호필름P: Polarizer F: Protective Film

T : 점착성 테이프 1 : 편광판 부착장치T: Adhesive Tape 1: Polarizer Attaching Device

10 :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 11 : 유닛본체10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1 unit body

12 : 공급롤러 13 : 회수롤러12: supply roller 13: recovery roller

14 : 접촉롤러 14a : 완충부14 contact roller 14a buffer part

15 : 가이드바아 16 : 스페이서15: guide bar 16: spacer

18 : 절취슬롯 20 : 편광판 공급부18: cutting slot 20: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1 : 헤드유닛 지지부 25 : 바아삽입부21: head unit support portion 25: bar insertion portion

28 : 체결보스 30 : 틸팅부28: tightening boss 30: tilting part

35 : 클램프 40 : 척킹부35 clamp 40 chucking part

50 : 작업라인 70 : 편광판 부착부50: working line 70: polarizing plate attachment portion

75 : 편광판 흡착다이 80 : 보호필름 회수부75: polarizing plate adsorption die 80: protective film recovery unit

본 발명은,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 및 그를 구비한 편광판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반적으로 장치의 구조가 간소화되고 풋프린트(Foot print)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택트타임(Tack Time) 역시 종래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 및 그를 구비한 편광판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a polarizing plate attac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he structure of the apparatus can be simplified and the footprint can be reduced. Time) also relates to a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a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having the sam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an conventional.

최근 들어 반도체 산업 중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평면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Recently, the flat panel display (FPD) has begun to emerge as the electronic display industry is rapidly developing among the semiconductor industry.

평면디스플레이(FPD)는, TV나 컴퓨터 모니터 등에 디스플레이(Display)로 주로 사용된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운 영상표시장치로서, 이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이 있다.A flat panel display (FPD) is an image display device that is thinner and lighter than a cathode ray tube (CRT), which is mainly used as a display for a TV or a computer monitor, and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 And a plasma display panel (PDP).

이러한 평면디스플레이(FPD) 중 하나인 박막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 액정표시장치(TFT-LCD)는, 2장의 얇은 상하 유리기판 사이에 고체와 액체의 중간물질인 액정을 주입하고, 상하 유리기판의 전극 전압차로 액정분자의 배열을 변화시킴으로써 명암을 발생시켜 숫자나 영상을 표시하는 일종의 광스위치 현상을 이용한 소자이다.One of such flat display (FPD) thin film transistor (TFT-LCD) liquid crystal displays (TFT-LCDs) injects a liquid crystal, which is an intermediate material between a solid and a liquid, between two thin upper and lower glass substrates. It is a device using a kind of optical switch phenomenon that displays the number or the image by generating the contrast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by the electrode voltage difference of the substrate.

액정표시장치(LCD)는,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으로 인하여 빠른 속도로 기존의 음극선관(CRT)을 대체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시계를 비롯하여 전자계산기, TV, 노트북 PC 등 전자제품에서 자동차, 항공기의 속도표시판 및 운행시스템 등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Liquid crystal display (LCD) is replacing the existing cathode ray tube (CRT) at a high speed due to the excellent performance of thin, light weight, low power consumption. Therefore, it is widely used in electronic products such as electronic clocks, electronic calculators, TVs, notebook PCs, speed displays and driving systems of automobiles and aircrafts.

이러한 액정표시장치(LCD)는 크게 TFT 공정, Cell 공정 및 Module 공정을 통해 제품으로 출시된다.Such liquid crystal display (LCD) is largely released as a product through a TFT process, a cell process, and a module process.

TFT 공정은 반도체 제조 공정과 매우 유사한데, 증착(Deposition), 사진식각(Photo lithography), 식각(Etching)을 반복하여 유리기판 위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배열하는 공정이다.The TFT process is very similar to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in which thin film transistors are arranged on a glass substrate by repeating deposition, photolithography, and etching.

Cell 공정은 TFT 공정에 의해 제조된 TFT 하판과 칼라 필터(Colore Filter)인 상판에 액정이 잘 정렬될 수 있도록 배향막을 형성하고, 스페이서(Spacer)를 산호하고 실(Seal) 인쇄를 하여 상하판을 합착하는 공정이다.The Cell process forms an alignment layer on the TFT bottom plate manufactured by the TFT process and the top plate of the color filter so that the liquid crystals can be aligned well. The top and bottom plates are formed by corals and seal printing. It is a process of bonding.

그리고 모듈(Module)공정은 완성된 LCD패널에 편광판을 부착하고 집적 회로(Drive-IC)를 실장한 후, PCB(Printed Circuit Board)와 조립한 다음, 그 배면으로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과 기구물을 조립하는 일련의 단계를 가리킨다.The module process attaches a polarizing plate to a completed LCD panel, mounts an integrated circuit (Drive-IC), assembles it with a PCB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n back-lights a unit and a fixture. Point to a series of steps to assemble.

한편, 이러한 모듈 공정에 사용되는 편광판은, LCD패널의 양면에 부착되어 액정을 투과한 빛 중 특정 방향으로 강하게 진동하는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larizing plate used in the module process, and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LCD panel serves to selectively transmit only the light vibrating strongly in a specific direction of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liquid crystal.

이러한 편광판은 제작공장에서부터 편광판의 양면에 보호필름이 부착되어 생산된다. 이에 따라, LCD패널 조립공장에서는 편광판을 LCD패널에 부착시키기 전에 편광판의 보호필름을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제거하거나 또는 점착성 테이프를 이용하여 보호필름을 제거하여 왔다. 하지만 이러한 수작업은 생산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보호필름을 박리시키고 박리된 편광판을 LCD패널에 부착시킬 수 있는 편광판 부착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Such a polarizing plate is produced by attaching a protective film on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plate from the manufacturing plant. Accordingly, in the LCD panel assembly plant, the worker has to manually remove the protective film of the polarizing plate by hand or attach the polarizing plate to the LCD panel or by using the adhesive tape. However, since such manual work reduces productivity, a polarizing plate attaching device capable of peeling the protective film and attaching the peeled polarizing plate to the LCD panel has been disclosed in consideration of such a problem.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larizer at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편광판 부착장치는 크게 상호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편광판 부착부(170), 편광판 공급부(120) 및 보호필름 박리부(110)를 구비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ventional polarizing plate attaching device includes a polarizing plate attaching unit 170, a polarizing plate supplying unit 120, and a protective film peeling unit 110 that are largely independently disposed.

편광판 부착부(170)는, 보호필름이 박리된 편광판을 LCD패널에 직접 부착시키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이며, 또한 편광판 부착부(170)에서는 도시 않은 편광판에 붙어있는 보호필름이 보호필름 박리부(110)에 의하여 박리된다.The polarizing plate attaching unit 170 is a device that performs a series of operations to directly attach the polarizing plate peeled off the protective film to the LCD panel, and in the polarizing plate attaching unit 170, the protective film attached to the polarizing plate (not shown) peels off the protective film. It is peeled off by the part 110.

편광판 공급부(120)는, 편광판 부착부(170)로 보호필름이 박리되지 않은 편광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편광판 부착부(170)와 독립된 장치로 마련되어 편광판 부착부(170)에 대해 일정거리(L) 이격되어 있다.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120 is a device for supplying a polarizing plate on which the protective film is not peeled to the polarizing plate attaching unit 170. The polarizing plate supplying unit 120 is provided as a device independent of the polarizing plate attaching unit 170 and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L) from the polarizing plate attaching unit 170. ) Are spaced apart.

그리고 보호필름 박리부(110)는, 편광판 부착부(170)로 이동하여 편광판 부착부(170)로 공급된 편광판에 붙어 있는 보호필름을 박리시키는 장치로서, 이 역시, 편광판 공급부(120)와 마찬가지로 독립된 장치로 마련되어 편광판 부착부(170)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일정 거리(L) 이격되어 설치된다.The protective film peeling unit 110 moves to the polarizing plate attaching unit 170 to peel off the protective film attached to the polarizing plate supplied to the polarizing plate attaching unit 170, which is also similar to the polarizing plate supplying unit 120. It is provided as a separate device is installed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L) to be accessible and spaced apart with respect to the polarizing plate attachment portion 170.

자세하게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보호필름 박리부(110)는 점착성 테이프를 보호필름에 점착시킨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편광판에 붙어 있는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구성을 갖는다.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protective film peeling unit 11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otective film attached to the polarizing plate is peeled off while moving in one direction while the adhesive tape is attached to the protective film.

따라서 보호필름 박리부(110)는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롤러와, 보호필름에 대한 박리 과정이 완료되어 점착력이 소진된 폐 테이프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롤러, 그리고 이들을 지지하는 주변 부속물들을 구비한다. 이들은 각각 보호필름 박리부(1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에 개별적으로 분해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데, 이에 의하여 만약 점착성 테이프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분해 조립 과정을 거쳐야 한다.Accordingly, the protective film peeling unit 110 includes a supply roller for supplying the adhesive tape, a recovery roller for recovering the waste tape from which the adhesive force is exhausted after the peeling process for the protective film is completed, and peripheral accessories supporting them. . They each have a structure that is separately disassembled to the main body to form the appearance o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unit 110, whereby if you want to replace the adhesive tape must go through a complicated disassembly assembly process.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편광판 부착장치의 동작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briefly as follows.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 공급부(120)는 보호필름이 붙어 있는 편광판을 L 만큼의 거리를 이동하여 편광판 부착부(170)로 공급한다(①). 그리고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한다(②).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공급된 편광판은 편광판 부착부(170)의 편광판 흡착 다이에 올려진 상태에서 고정된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120 supplies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rotective film to the polarizing plate attachment unit 170 by moving a distance by L (①). Then it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again (②). Although not shown, the supplied polarizing plate is fixed while being mounted on the polarizing plate adsorption die of the polarizing plate attachment portion 170.

다음, 편광판 공급부(120)와 다른 위치에 독립적으로 마련된 보호필름 박리부(110)가 L 만큼의 거리를 이동하여 편광판 부착부(170)에 접근한다(③). 그런 다음, 보호필름 박리부(110)에 마련된 점착성 테이프가 보호필름에 점착될 수 있도록 하강하고, 점착성 테이프가 보호필름에 점착되면 다시, ④ 방향으로 복귀한다. 이 때, 편광판은 편광판 부착부(170)에 구비된 편광판 흡착 다이(미도시)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보호필름 박리부(110)가 ④ 방향으로 이동하면 편광판에 붙어 있는 보호필름은 보호필름 박리부(110)를 따라서 박리될 수 있게 된다.Next, the protective film peeling unit 110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120 at a different position moves the distance by L to approach the polarizing plate attachment unit 170 (③). Then, the adhesive tape provided on the protective film peeling unit 110 is lowered to be adhered to the protective film, and when the adhesive tape is adhered to the protective film, the adhesive tape returns to the direction ④. At this time, since the polarizing plate is fixed by a polarizing plate adsorption die (not shown) provided in the polarizing plate attachment unit 170, when the protective film peeling unit 110 moves in the ④ direction, the protective film attached to the polarizing plate is peeled off the protective film. It can be peeled off along the part 110.

편광판 부착부(170)가 위치한 작업위치 내에서 편광판에 붙어 있는 보호필름이 박리되고 나면, 편광판 부착부(170)가 LCD패널을 이동시켜 LCD패널의 일면에 편광판을 부착시킴으로써 편광판 부착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LCD패널 마다 반복적으로 동일하게 수행된다.After the protective film attached to the polarizing plate is peeled off within the working position where the polarizing plate attaching unit 170 is located, the polarizing plate attaching unit 170 moves the LCD panel to attach the polarizing plate to one surface of the LCD panel to proceed with the polarizing plate attaching process. do. This series of processes is repeatedly performed the same for each LCD panel.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편광판 부착장치에 있어서는, 보호필름 박리부(110)가 편광판 공급부(120)와는 별개의 독립된 장치로 마련되어 있어 전반적으로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짐은 물론 풋프린트(Foot print)가 증가하고, 보호필름 박리부(110) 및 편광판 공급부(120)가 각각 편광판 부착부(170)를 향해 독립적으로 이 동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이들의 이동 거리가 필요 이상으로 길어져 택트타임(Tack Time)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since the protective film peeling unit 110 is provided as a separate device separate from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120,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device is complicated and the footprint (foot print) is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protective film peeling unit 110 and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120 each have a structure that independently moves toward the polarizing plate attaching unit 170, their moving distances are longer than necessary, so that the tack time is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becomes longer.

또한, 종래의 편광판 부착장치에 있어서는, 보호필름 박리부(110)에 갖춰진 공급 및 회수 롤러 등이 해당 위치에 개별적으로 조립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만약 점착성 테이프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분해 조립 과정을 거쳐야 하고 따라서 작업 공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으며, 특히 이러한 유지보수 시간 동안에는 편광판 부착을 위한 일련의 공정이 중지(stop)될 수밖에 없어 장치의 가동률이 감소하는데 따른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polarizing plate attaching device, since the supply and recovery rollers and the like provided in the protective film peeling unit 110 has a structure to be assembled separately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f the adhesive tape is to be replaced, a complicated disassembly process must be performed. Therefore, not only does the work man-hours increase, but also the maintenance time becomes long, and in particular, during this maintenance time, a series of processes for attaching the polarizer are forced to stop, which leads to a significant decrease in productivity due to a decrease in the operation rate of the device. There is this.

또한, 종래의 편광판 부착장치에 있어서는, 기계 가공 등의 오차에 의해 보호필름 박리부(110)에 마련된 점착성 테이프가 보호필름에 완전하게 면접촉되지 못함으로써 편광판으로부터 보호필름이 원활히 박리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는 바, 이에 의하여 보호필름 박리의 수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polarizing plate attaching device, the adhesive tape provided on the protective film peeling unit 110 may not be completely in surface contact with the protective film due to an error such as machining, so that the protective film may not be peeled smoothly from the polarizing plate.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yield of the protective film peeled off.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부분을 편광판 공급부에 결합시켜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반적으로 장치의 구조가 간소화되어 풋프린트(Foot print)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택트타임(Tack Time) 역시 종래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 및 그를 구비한 편광판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the portion peeling off the protective film to be coupled to the polarizing plate supply to move together,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device can be simplified to reduce the foot print (Tack Time) of course It is also to provide a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a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having the sam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an the conventio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착성 테이프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점착성 테이프 교체에 따른 작업 공수를 줄이고 유지보수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의 가동률이 높아져 종래보다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 및 그를 구비한 편광판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tape can be easily replaced to reduce the labor and maintenance time due to the replacement of the adhesive tape, thereby increasing the operating rate of the devic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than the conventional protection It is to provide a film peeling head unit and a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호필름 박리부에 마련된 점착성 테이프가 보호필름에 점착되지 못하여 보호필름이 박리되지 못하는 빈도를 줄여 보호필름 박리에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 및 그를 구비한 편광판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that can improve the yield of the protective film by reducing the frequency of the adhesive film provided on the protective film peeling portion is not adhered to the protective film can not be peeled off the protective film and its It is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provide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어느 일면에 보호필름이 붙어 있는 편광판을 상기 보호필름이 박리되는 소정의 작업위치로 공급하는 편광판 공급부; 및 상기 편광판 공급부와 함께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편광판 공급부의 어느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작업위치에서 상기 편광판으로부터 상기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for supplying a polarizing plate with a protective film on at least one surface to a predetermined working position where the protective film is peeled off; And a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coupled to any one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supply part to move to the working position together with the polarizing plate supply part to peel the protective film from the polarizing plate at the working position. Is achieved by.

여기서,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은 상기 보호필름의 박리를 위해 상기 보호필름에 점착되는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 및 회수하며,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이 결합된 상기 편광판 공급부와, 상기 편광판 흡착 다이는, 상기 작업위치를 향해 상호 접근 및 이격가능하도록 소정의 작업라인 상에 상기 작업위치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supplies and recovers the adhesive tape adhered to the protective film for peeling the protective film,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and the polarizing plate adsorption die is coupled to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It may be arranged on both sides with the working position interposed on a predetermined work line so as to be accessibl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ward the working position.

상기 편광판 공급부의 전면 상부 영역에는 헤드유닛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으 며,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은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에 각각 일체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head unit support part is provided in an upper front region of the polarizing plate supply part, and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f the head unit support parts.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은, 상호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구비한 유닛본체;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 중 어느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하는 공급롤러; 상기 공급롤러와는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사용 완료된 점착성 테이프를 회수하는 회수롤러; 및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점착성 테이프가 상기 공급롤러에서 상기 회수롤러로 향하는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상기 보호필름에 접촉시키는 접촉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may include: a unit body having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coupled to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supply roller coupled to any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o supply the adhesive tape; A recovery roller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pply roller to recover the used adhesive tape; And a contact roller provided at end portions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o form a path from the supply roller to the recovery roller, and to contact the adhesive tape to the protective film.

여기서, 상기 유닛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을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에 일체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it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unit body to integrally couple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to the head unit support.

이때,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유닛본체에 결합되는 축부; 상기 축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에 마련된 체결보스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가 상기 체결보스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축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유닛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손잡이용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upling member, the shaft portion coupled to the unit body; A screw par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haft part and screwed to a fastening boss provided in the head unit support part; And a handle operating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shaft part so as to be fitted to the fastening boss and disposed outside the unit body.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의 축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소정 길이 절취된 절취슬롯에 끼워질 수 있다.Here, the shaft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may be fitted to the cutting slot cut in a predetermined length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any on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또한,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과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에 마련되어,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이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에 결합될 때, 결합위치를 안내하는 결합위치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the head unit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hen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is coupled to the head unit support por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oupling position guide for guiding the coupling position.

상기 결합위치 가이드는,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과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바아; 및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과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아가 삽입되는 바아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position guide may include: a guide bar protruding toward the other from any one o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the head unit support; And a bar insertion part formed at another one o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the head unit support part to insert the guide bar.

이때, 상기 가이드바아에는 상기 바아삽입부에 대한 상기 가이드바아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uide bar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stopper for limi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guide bar to the bar insertion portion.

상기 접촉롤러를 상기 보호필름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점착성 테이프가 상기 보호필름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편광판 공급부에 대해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을 소정 각도 틸팅시키는 틸팅부를 포함하면 박리 효율이 좋아진다.When the contact roller is pressed toward the protective film, the peeling efficiency is improved by including a tilting part for tilting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polarizing plate supply so that the adhesive tape can be substantially completely adhered to the protective film. .

여기서, 상기 틸팅부는, 상기 편광판 공급부에 결합된 제1브래킷;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에 결합된 제2브래킷; 상기 제1브래킷과 상기 제2브래킷을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브래킷에 힌지결합되는 힌지핀; 및 양단이 상기 제1브래킷과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에 결합된 제3브래킷에 각각 결합되어 틸팅된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ilting unit, the first bracket coupled to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A second bracket coupled to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 hinge pin hinged to the first bracket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And an elastic member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and the third bracket coupled to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to return the tilted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to its original position.

이때,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와 맞닿는 상기 접촉롤러의 양단에는 상기 보호필름에 가압되는 상기 접촉롤러에 대한 완충력을 배가시키는 완충부가 더 개재되어 있는 것이 틸팅효과를 높일 수 있다.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contact roller in contact with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s further provided with a buffer for doubling the buffering force for the contact roller pressed by the protective film may increase the tilting effect.

상기 완충부는 탄성재질의 오링(O-Ring)일 수 있다.The buffer part may be an O-ring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유닛본체의 어느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보호필름의 박리 시 상기 점착성 테이프로부터 상기 보호필름의 이탈을 방지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s coupled to any one side of the unit body, may further include a clamp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protective film from the adhesive tape when the protective film is peeled off.

그리고 상기 작업라인 상에는 박리 완료된 보호필름이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의 점착성 테이프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박리된 보호필름의 일 영역을 척킹하는 척킹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The chucking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work line to chuck a region of the peeled protective film so that the peeled protective film may be separated from the adhesive tape o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상기 척킹부는 상기 보호필름이 박리되는 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상기 작업라인 상에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hucking unit is preferably provided in a pair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work line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ective film is peeled off.

상기 척킹부는, 척킹본체; 및 상기 척킹본체의 양측에서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호필름을 척킹하는 한 쌍의 척킹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ucking unit, the chucking body; And a pair of chucking bars rotatably coupled in at least one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chucking body to chuck the protective film.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척킹바아는 일부분이 절곡된 한글 "ㄱ"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척킹본체에서 상기 편광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보호필름을 척킹할 수 있다.Here, the pair of chucking bar has a Hangul "b" shape of a portion bent, it can be chucking the protective film while rotating along the plate surface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in the chucking body.

이때, 상기 한 쌍의 척킹바아 중 상기 작업라인의 외측에 위치한 척킹바아는 다른 척킹바아에 비해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척킹에 용이하다.At this time, the chucking bar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work line of the pair of chucking bar is easier to chuck the length of the chucking bar is formed relatively longer than the other chucking bar.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유닛본체; 상기 유닛본체에 결합되어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하는 공급롤러; 상기 공급롤러와는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사용 완료된 점착성 테이프를 회수하는 회수롤러; 및 상기 유닛본체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점착성 테이프가 상기 공급롤러에서 상기 회수롤러로 향하는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상기 보호필름에 접촉시키는 접촉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롤러, 상기 회수롤러, 상기 접촉롤러가 결합된 상기 유닛본체 상에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설치한 상태에서 소정의 헤드유닛 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에 의해서도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 unit body; A supply roller coupled to the unit body to supply an adhesive tape; A recovery roller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pply roller to recover the used adhesive tape; And a contact roller provided at an end of the unit body to form a path from the supply roller to the recovery roller, the contact roller contacting the adhesive tape to the protective film, wherein the supply roller, the recovery roller, It is also achieved by a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roller is detachably coupled to a predetermined head unit support in a state in which the adhesive tape is installed on the unit body to which the contact roller is coupled.

상기 유닛본체는 상호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공급롤러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 중 어느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접촉롤러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The unit body has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coupled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upply roller is coupled to any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he contact roller is the first It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plate and the second plate.

여기서, 상기 유닛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을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에 일체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it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unit body to integrally couple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to the head unit support.

이때,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유닛본체에 결합되는 축부; 상기 축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에 마련된 체결보스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가 상기 체결보스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축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유닛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손잡이용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upling member, the shaft portion coupled to the unit body; A screw par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haft part and screwed to a fastening boss provided in the head unit support part; And a handle operating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shaft part so as to be fitted to the fastening boss and disposed outside the unit body.

상기 결합부재의 축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소정 길이 절취된 절취슬롯에 끼워질 수 있다.The shaft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may be fitted into a cutting slot cut in a predetermined length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any on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과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에 마련되어,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이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에 결합될 때, 결합위치를 안내하는 결합위치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the head unit support is provided, when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is coupled to the head unit support,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osition guide for guiding the coupling position.

상기 결합위치 가이드는,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과 상기 헤드유닛 지 지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바아; 및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과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아가 삽입되는 바아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position guide may include a guide bar protruding toward the other from any one o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the head unit supporting portion; And a bar insertion part formed at another one o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the head unit support part to insert the guide bar.

이때, 상기 가이드바아에는 상기 바아삽입부에 대한 상기 가이드바아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uide bar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stopper for limi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guide bar to the bar insertion portion.

상기 접촉롤러를 상기 보호필름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점착성 테이프가 상기 보호필름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편광판 공급부에 대해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을 소정 각도 틸팅시키는 틸팅부를 더 포함하면 박리 효율이 좋아진다.When the contact roller is pressed toward the protective film side, the adhesive tape further includes a tilting part for tilting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polarizing plate supply so that the adhesive tape can be substantially completely adhered to the protective film. Lose.

여기서, 상기 틸팅부는, 상기 편광판 공급부에 결합된 제1브래킷;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에 결합된 제2브래킷; 상기 제1브래킷과 상기 제2브래킷을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브래킷에 힌지결합되는 힌지핀; 및 양단이 상기 제1브래킷과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에 결합된 제3브래킷에 각각 결합되어 틸팅된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tilting unit, the first bracket coupled to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A second bracket coupled to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 hinge pin hinged to the first bracket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And an elastic member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and the third bracket coupled to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to return the tilted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와 맞닿는 상기 접촉롤러의 양단에는 상기 보호필름에 가압되는 상기 접촉롤러에 대한 완충력을 배가시키는 완충부가 더 개재되어 있는 것이 틸팅효과를 높일 수 있다.Both ends of the contact roller in contact with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unit for doubling the buffer force against the contact roller pressed by the protective film, thereby increasing the tilting effect.

상기 완충부는 탄성재질의 오링(O-Ring)일 수 있다.The buffer part may be an O-ring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유닛본체의 어느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보호필름의 박리 시 상기 점착 성 테이프로부터 상기 보호필름의 이탈을 방지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s coupled to any one side of the unit body, it may further include a clamp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protective film from the adhesive tape when the protective film is peeled off.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편광판 부착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larizer attach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partial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olarizer attachment device of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1)는 크게, 이동 가능한 편광판 흡착다이(75)가 결합된 편광판 부착부(70)와,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편광판 공급부(20)를 구비한다. 이들은 편광판(P, 도 7 참조)에 대해 보호필름(F, 도 7 참조)이 박리되는 작업위치(60)를 갖는 작업라인(50) 상에 마련되어 있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a polarizing plate attachment portion 70 is coupled to the movable polarizing plate adsorption die 75, and a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 10) is provided with a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is integrally coupled. These are provided on the work line 50 which has the work position 60 with which the protective film F (refer FIG. 7) is peeled with respect to the polarizing plate P (refer FIG. 7).

편광판 부착부(70)는, 보호필름(F)이 박리된 편광판(P)을 LCD패널(미도시)의 일면에 부착시키는 부분이다. 따라서 편광판 부착부(70)에는 LCD패널을 파지하는 구성, 편광판(P)을 지지하는 구성 및 LCD패널에 편광판(P)을 부착하는 구성들이 갖추어져 있다.The polarizing plate attaching part 70 is a part which attaches the polarizing plate P from which the protective film F was peeled off to one surface of an LCD panel (not shown). Therefore, the polarizing plate attaching part 70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for holding the LCD panel,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polarizing plate P, and a structure for attaching the polarizing plate P to the LCD panel.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편광판(P)의 일면에 붙어 있는 보호필름(F)을 박리하는 과정에 그 핵심이 맞추어져 있으므로, 편광판 부착부(70)내에서 편광판(P)을 지지하는 구성인 편광판 흡착다이(75)를 위주로 설명하되 편광판 부착부(70)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필요시,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되어 공개된 기술을 인용토록 한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ore is aligned in the process of peeling off the protective film F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P, the polarizing plate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polarizing plate P in the polarizing plate attaching part 70. The adsorption die 75 will be described mainly, but the detailed structure and description of the polarizing plate attachment portion 70 will be omitted. If necessary, reference is made to a technique previously filed and published by the present applicant.

편광판 공급부(20)는, 작업위치(60)로 보호필름(F)이 박리되지 않은 편광판(P)을 공급하는 부분이다. 편광판 공급부(20)는 소정의 진공 흡착 등의 방식에 의해 편광판(P)을 파지한 상태에서 작업라인(50)을 따라 편광판(P)을 이송하여 작업위치(60)상의 편광판 흡착 다이(75)에 편광판(P)을 공급한다.The polarizing plate supply part 20 is a part which supplies the polarizing plate P in which the protective film F was not peeled to the working position 60. FIG.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transfers the polarizing plate P along the work line 50 in a state in which the polarizing plate P is held by a predetermined vacuum adsorption method or the like, and thus the polarizing plate adsorption die 75 on the working position 60. The polarizing plate P is supplied to it.

이러한 편광판 공급부(20)에는 보호필름(F)을 박리하기 위해 보호필름(F)에 점착되는 점착성 테이프(T)를 공급 및 회수하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이 편광판 공급부(20)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편광판 공급부(20)가 작업위치(60)로 이동하거나 원위치로 복귀할 때,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도 함께 이동한다.In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a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for supplying and recovering the adhesive tape T adhered to the protective film F to peel off the protective film F is integrated with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Are combined. Therefore, when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moves to the working position 60 or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also moves together.

한편, 편광판(P) 공급시, 본 실시 예에서는 작업위치(60)를 향해 편광판 부착부(70)의 편광판 흡착 다이(75)와,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이 결합된 편광판 공급부(20)가 상호 접근 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편광판 흡착 다이(75)와 편광판 공급부(20)의 이동을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미도시)로 제어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supplying the polarizing plate (P), in the present embodiment toward the working position 60, the polarizing plate adsorption die 75 of the polarizing plate attachment portion 70 and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is coupled to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 Moves in a mutually approaching direction, and the movement of the polarizing plate adsorption die 75 and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is controlled by a linear motor (not shown).

즉, 리니어 모터가 편광판(P)을 공급하기 위해서 편광판 흡착 다이(75)와 편광판 공급부(20)를 작업위치(60)로 상호 접근시키며, 보호필름(F)의 박리를 위해서 다시 편광판 흡착 다이(75)와 편광판 공급부(20)를 작업위치(60)로부터 상호 이격시킨다.That is, the linear motor approaches the polarizing plate adsorption die 75 and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to the working position 60 in order to supply the polarizing plate P, and in order to peel off the protective film F, the polarizing plate adsorption die ( 75) and the polarizing plate supply portion 20 are spaced apart from the working position (6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편광판 공급부(20)는 편광판 부착부(70)와 편광판 공급부(20)의 처음위치의 중간위치로 이동하고(0.5L), 이와 전후 또는 동시에 편광판 부착부(70)의 편광판 흡착 다이(75) 역시 중간위치로 이동한다. 그런 다음에 편광판 공급부(20)는 편광판 공급부(20)의 처음위치 방향으로 후퇴하여, 편광판 공급부(20) 전면 상부에 마련된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이 편광판 흡착 다이(75)에 위치한 편광판(P)의 끝단과 일치하도록 이동한다. 그 다음에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이 편광판(P) 상부의 보호필름(F)과 접촉한 상태에서 편광판 공급부(20)가 원 위치로 이동하고(0.5L), 이와 전후 또는 동시에 편광판 흡착 다이(75) 역시 원 위치로 이동(0.5L)함으로써 편광판 상부의 보호필름(F)을 박리할 수 있게 된다.In more detail,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moves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initial position of the polarizing plate attaching unit 70 and the polarizing plate supplying unit 20 (0.5L), and at the same time before and after or simultaneously with the polarizing plate adsorption of the polarizing plate attaching unit 70. Die 75 also moves to an intermediate position. Then,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retreats to the initial position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so that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is positioned on the polarizing plate adsorption die 75 ( Move to match the end of P). Then, while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is in contact with the protective film F on the upper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P,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moves to its original position (0.5L), and at the same time before and after or simultaneously with the polarizing plate adsorption. The die 75 is also able to peel off the protective film F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olarizer by moving to the original position (0.5L).

이처럼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을 독립적인 장치로 마련하지 않고, 편광판 공급부(20)에 일체로 결합시켜 편광판 공급부(2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반적으로 장치의 구조가 간소화되어 종래의 독립된 장치로 인한 풋프린트(Foot print)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apparatus is simplified by combining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with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so as to move together with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without providing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as an independent device. This can reduce the footprint caused by the device.

즉, 작업위치(60)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인접하게 이격 배치된 편광판 부착부(70)와 편광판 공급부(20)에서, 편광판 부착부(70)의 편광판 흡착 다이(75)와 편광판 공급부(20)의 일측에 마련된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이 각각 작업위치(60)에 대해 작업라인(50)을 통해 상호 접근 및 이격하면서 편광판(P)을 공급하고 보호필름(F)을 박리하도록 함으로써 종래보다 그 이동 거리(0.5L)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로써 택트타임(Tact Time)이 현격하게 줄어들게 되는 이점이 있다.That is, the polarizing plate adsorption die 75 and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of the polarizing plate attachment unit 70 in the polarizing plate attachment unit 70 and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working position 60 therebetween.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rior art by supplying the polarizing plate (P) and peeling the protective film (F) while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rough the work line (50) with respect to the working position (60), respective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ovement distance (0.5L) can be further reduced. This has the advantage that the tact time is significantly reduced.

도 3은 도2의 편광판 부착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 영역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하되 점착성 테이프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점착성 테이프가 결합된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의 사시도이다.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olarizer attaching apparatus of FIG. 2,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region A of FIG. 3, and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FIG. 4 from another direction, but in which the adhesive tape is removed.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to which an adhesive tape is bonded.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 공급부(20)의 전면 상부 영역에는 거의 편광판(P)의 폭만큼 이격된 한 쌍의 헤드유닛 지지부(21)가 마련되어 있으며, 헤드유닛 지지부(21)들에는 각각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As shown in these figures, a pair of head unit supports 21 are provided in the upper front region of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spaced by the width of the polarizing plate P, and the head unit supporting portions 21 are respectively provided.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is detachably coupled.

이 때, 한 쌍의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은 각각 헤드유닛 지지부(21)들의 내측에 결합된다. 따라서 한 쌍의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은 상호 대칭적인 구조를 갖는다. 물론, 그 내부의 구조와 그에 따른 동작 및 기능은 모두 동일하다.At this time, the pair of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ead unit support (21). Therefore, the pair of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s 10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Of course, the internal structure and the operations and functions thereof are the same.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은, 유닛본체(11)와, 공급롤러(12), 회수롤러(13) 및 접촉롤러(14)를 구비한다. 공급롤러(12), 회수롤러(13) 및 접촉롤러(14)에는 점착성 테이프(T)가 권취되어 있다.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includes a unit body 11, a supply roller 12, a recovery roller 13, and a contact roller 14. The adhesive tape T is wound around the supply roller 12, the collection roller 13, and the contact roller 14. As shown in FIG.

이처럼 공급롤러(12), 회수롤러(13) 및 접촉롤러(14)들을 구비하며 점착성 테이프(T)가 권취된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이 일체형으로 헤드유닛 지지부(2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제작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복잡한 분해조립 과정을 통해 공급롤러(12)에 새로운 점착성 테이프(T)를 설치하고 회수롤러(13)에는 사용이 완료된 점착성 테이프(T)를 제거하는 교체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As such,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having the supply roller 12, the recovery roller 13, and the contact rollers 14 and the adhesive tape T is wound thereon is integrally detachable to the head unit support 21. By manufacturing, a new adhesive tape T is installed on the supply roller 12 through a complicated disassembly and assembly process as in the prior art, and a replacement operation for removing the used adhesive tape T from the recovery roller 13 is unnecessary. .

즉,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의 사용이 완료되거나 보수의 필요가 있을 경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을 헤드유닛 지지부(21)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제작된 새로운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으로 교환하여 결합시키면 된다.That is, when the use o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is completed or needs to be repaired,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head unit support 21 so that a new protective film is separately prepared. The head unit 10 may be exchanged and combined.

따라서 점착성 테이프(T) 교체에 따른 작업 공수가 종래보다 현저히 줄어들게 되어 유지보수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 시간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장치의 가동률이 높아져 종래보다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man-hours due to the replacement of the adhesive tape (T)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an reduce the maintenance time. In addition, since the working time is shortened, the operation rate of the device is increased,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유닛본체(11)는, 상호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11a) 및 제2플레이트(11b)로 이루어져 있다. 제1플레이트(11a)에는 공급롤러(12), 회수롤러(13) 및 결합위치를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바아(15)가 결합되어 있고, 후술할 결합부재(38)가 끼워지기 때문에 제2플레이트(11b) 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는다.The unit body 11 is composed of a first plate 11a and a second plate 11b which are coup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each other. The first plate 11a is coupled to the feed roller 12, the recovery roller 13, and a pair of guide bars 15 for guiding the engagement position, and the coupling member 3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itted. It has a relatively larger area than the plate 11b.

공급롤러(12)는, 제1플레이트(11a)의 판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아직 사용되지 않은 점착성 테이프(T)가 권취되어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새로운 점착성 테이프(T)는 최초 공급롤러(12)를 통해서 풀리면서 접촉롤러(14)를 경유하고, 최종적으로 회수롤러(13)에 회수된다. The supply roller 12 is a part which is bonded to the plate surface of the 1st plate 11a, and the adhesive tape T which is not used is wound up. Therefore, the new adhesive tape T passes through the contact roller 14 while being unwound through the first feed roller 12 and finally recovered to the recovery roller 13.

이를 위해, 공급롤러(12)는 일방향으로 일정시각 동안 회전을 제어할 필요가 있는데, 공급롤러(12)가 헤드유닛 지지부(21) 내측의 공급롤러용 모터연결부(22)에 결합됨으로써 이에 연결된 공급롤러용 구동모터(32)가 공급롤러(12)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도 3 참조).To this end, the supply roller 12 needs to control the rot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in one direction. The supply roller 12 is coupled to the supply roller motor connection part 22 inside the head unit support 21 so that the supply is connected thereto. The drive motor 32 for rollers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feed roller 12 (refer FIG. 3).

회수롤러(13)는, 제1플레이트(11a)의 판면 중앙영역에 설치되어 있으며 보호 필름(F)에 점착되어 보호필름(F)을 박리함으로써 그 점착력이 소진되어 사용 완료된 점착성 테이프(T)가 회수되는 부분이다. The recovery roller 13 is install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plate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a, and adheres to the protective film F to peel off the protective film F, so that the adhesive force T is exhausted. It is the part to be recovered.

회수롤러(13) 역시 공급롤러(12)와 마찬가지로, 회수롤러(13)가 헤드유닛 지지부(21) 내측의 회수롤러용 모터연결부(23)에 결합됨으로써 이에 연결된 회수롤러용 구동모터(33)에 의해 회전이 제어된다(도 3 참조). 이 때, 공급롤러(12)와 회수롤러(13)는 상호 동일한 방향과 속도로 회전한다.The recovery roller 13 is also connected to the recovery roller drive motor 33 connected to the recovery roller 13 by being coupled to the recovery roller motor connecting portion 23 inside the head unit support 21, similarly to the supply roller 12. Rotation is controlled (see FIG. 3). At this time, the supply roller 12 and the recovery roller 13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nd speed.

접촉롤러(14)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의 최하단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1플레이트(11a) 및 제2플레이트(11b)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롤러(14)는 점착성 테이프(T)가 공급롤러(12)에서 회수롤러(13)로 향하는 경로를 형성하는데, 접촉롤러(14)의 외면에 위치하는 점착성 테이프(T)는 보호필름(F) 박리 시에 보호필름(F)에 접촉된다.The contact roller 14 is provided at the ends of the first plate 11a and the second plate 11b so as to be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The contact roller 14 forms a path in which the adhesive tape T is directed from the supply roller 12 to the recovery roller 13, and the adhesive tape T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ct roller 14 is a protective film ( F)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protective film F at the time of peeling.

접촉롤러(14)의 외면에 위치하는 점착성 테이프(T)가 보호필름(F)에 완전히 면접촉하기 위해서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이 하강하여 접촉롤러(14)를 보호필름(F)에 대해 가압해야 한다.In order for the adhesive tape T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ct roller 14 to be completely in surface contact with the protective film 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is lowered to bring the contact roller 14 to the protective film F. Should be pressurized.

접촉롤러(14)의 외면에 위치하는 점착성 테이프(T)가 보호필름(F)에 완전히 면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은 일정하게 틸팅(tilting) 되어야 하며 이러한 차원에서, 접촉롤러(14)가 완충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for the adhesive tape T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ct roller 14 to be completely in surface contact with the protective film 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must be constantly til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roller 14 has a buffering force.

이를 위해, 제1플레이트(11a) 및 제2플레이트(11b)와 맞닿는 접촉롤러(14)의 양단(도 4의 확대부분 참조)에는 보호필름(F)에 가압되는 접촉롤러(14)에 대한 완 충력을 배가시키는 완충부(14a)가 더 개재되어 있다. 완충부(14a)로는 어떠한 것이 적용되어도 좋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일정한 탄성력을 보유한 탄성재질의 오링(14a,O-Ring)이 접촉롤러축(14b)에 결합된다.To this end, both ends of the contact roller 14 (see an enlarged portion of FIG. 4) in contact with the first plate 11a and the second plate 11b are loosened for the contact roller 14 pressed against the protective film F. The buffer part 14a which doubles an impulse is further interposed. As the shock absorbing portion 14a, any one may be applied, but in this embodiment, an O-ring made of elastic material having a constant elastic force is coupled to the contact roller shaft 14b.

접촉롤러(14), 회수롤러(13) 및 공급롤러(12) 주변에는 복수개의 스페이서(16)가 더 마련되어 있다. 스페이서(16)들은 제1플레이트(11a) 및 제2플레이트(11b) 사이에 마련되어 양단이 제1플레이트(11a) 및 제2플레이트(11b)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제1플레이트(11a) 및 제2플레이트(11b)를 상호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A plurality of spacers 16 are further provided around the contact roller 14, the recovery roller 13, and the supply roller 12. Spacers 16 a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plate 11a and the second plate 11b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fixed to the first plate 11a and the second plate 11b,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plate 11a and the second plate 11b are fixed. Serve to separate (11b) from each other.

또한, 스페이서(16)들은 공급롤러(12), 접착롤러 및 회수롤러(13)로 권취되는 점착성 테이프(T)가 처지지 않도록 상기 점착성 테이프(T)에 텐션을 부여하는 용도로 더 활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쉽게 나타나듯이, 점착성 테이프(T)는 공급롤러(12), 접착롤러 및 회수롤러(13) 외에도 스페이서(16)들에 지지되어 팽팽한 상태로 권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pacers 16 are further utilized for applying tension to the adhesive tape T so that the adhesive tape T wound around the supply roller 12, the adhesive roller, and the recovery roller 13 does not sag. 6, the adhesive tape T is supported by the spacers 16 in addition to the supply roller 12, the adhesive roller, and the recovery roller 13, and wound up in a taut state.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의 구성을 갖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을 헤드유닛 지지부(21)에 착탈시키기 위해 결합부재(38)가 더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and 5, the coupling member 38 is further used to detach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o the head unit support 21.

결합부재(38)는, 제1플레이트(11a)의 외면 일측에서 내측으로 소정 길이 절취된 절취슬롯(18)에 끼워지는 축부(38b)와, 축부(38b)의 외면에 형성되어 헤드유닛 지지부(21)에 마련된 체결보스(28)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38a)와, 나사부(38a)가 체결보스(28)에 끼워질 수 있도록 축부(38b)의 일단에 형성되고 제1플레이 트(11a)의 외측에 배치되는 손잡이용 조작부(38d)를 포함한다.Coupling member 38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haft portion 38b, which is fitted to the cutting slot 18 cut in a predetermined length inward from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a), the head unit support ( The screw portion 38a which is screwed to the fastening boss 28 provided at 21 and the screw portion 38a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shaft portion 38b so that the screw portion 38a can be fitted to the fastening boss 28, and the first plate 11a. The handle operation part 38d arrange | positioned at the outer side of this is included.

축부(38b)의 길이방향을 따라 손잡이용 조작부(38d)의 주변에는 축부(38b)의 반경보다 큰 확경부(38c)가 더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38)의 축부(38b)는 확경부(38c)와 손잡이용 조작부(38d) 사이의 영역이 절취슬롯(18)에 끼워짐으로써 축부(38b)의 위치가 고정된다.An enlarged diameter portion 38c larger than the radius of the shaft portion 38b is further formed around the handle operation portion 38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38b.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shaft portion 38b of the coupling member 38 is fixed by inserting an area between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38c and the handle operation portion 38d into the cutting slot 18.

이에, 축부(38b)를 절취슬롯(18)에 끼운 후, 제1플레이트(11a)의 외측에서 손잡이용 조작부(38d)를 회전시켜 축부(38b)에 형성된 나사부(38a)가 체결보스(28)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을 헤드유닛 지지부(21)에 결합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fter the shaft portion 38b is inserted into the cutting slot 18, the threaded portion 38a formed on the shaft portion 38b is rotated by rotating the handle operation portion 38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plate 11a to fasten the boss 28. By being coupled to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head unit support 21.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결합위치를 안내하는 결합위치 가이드(5)를 더 마련였는데, 이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을 헤드유닛 지지부(21)에 결합시키고자 할 경우, 결합부재(38)의 축부(38b)를 체결보스(28)에 맞추기 위한 번거로움과 시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position guide 5 for guiding the coupling position was further provided, which is to be coupled to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to the head unit support 21, the coupling member 38. This is because the hassle and time for fitting the shaft portion 38b to the fastening boss 28 can be reduced.

결합위치 가이드(5)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의 제1플레이트(11a)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바아(15)와, 반대편인 헤드유닛 지지부(21)에 형성되어 가이드바아(15)가 삽입되는 한 쌍의 바아삽입부(25)를 구비한다. 가이드바아(15)에는 바아삽입부(25)에 대한 가이드바아(15)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15a)가 더 형성되어 있다.The engaging position guide 5 is formed on the pair of guide bars 15 protruding from the first plate 11a o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and the head unit support 21 opposite to the guide bars ( And a pair of bar inserts 25 into which 15 is inserted. The guide bar 15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opper 15a for limi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guide bar 15 to the bar insertion portion 25.

따라서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을 헤드유닛 지지부(21)에 결합시키고자 할 경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바아(15)가 헤드유 닛 지지부(21)에 형성된 바아삽입부(25)에 삽입되도록 한 다음, 결합부재(38)를 이용하여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과 헤드유닛 지지부(21)를 결합시키면 매우 간편하다.Therefore, when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is to be coupled to the head unit support part 21, a pair of guide bars 15 formed on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are attached to the head unit support part 21. It is then very easy to combine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and the head unit support 21 using the coupling member 38, and then inserted into the formed bar insertion portion 25.

본 실시 예에서와 달리, 결합위치 가이드(5)는 헤드유닛 지지부(21)에 형성되고 바아삽입부(25)가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에 형성될 수도 있다.Un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position guide 5 may be formed in the head unit support 21 and the bar insertion portion 25 may be formed in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점착성 테이프(T)가 보호필름(F)에 점착되지 못하면 보호필름(F)을 박리하는데 따른 수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점착성 테이프(T)가 보호필름(F)에 완전하게 점착될 수 있도록,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을 보호필름(F)을 향해 가압하여 접촉롤러(14)가 보호필름(F)에 완전히 점착되도록 해야 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f the adhesive tape (T) is not adhered to the protective film (F), the yield due to peeling off the protective film (F) falls. Therefore, in order that the adhesive tape T may be completely adhered to the protective film 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is pressed toward the protective film F so that the contact roller 14 is applied to the protective film F. It must be fully adhered.

본 실시 예에서는, 이를 위해 편광판 공급부(20)에 대해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을 소정 각도 틸팅시키는 틸팅부(30)를 더 마련함으로써, 접촉롤러(14)에 있는 점착성 테이프(T)가 보호필름(F)에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for this purpose, by further providing a tilting part 30 for tilting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with respect to the polarizing plate supply part 20, the adhesive tape T in the contact roller 14 is provided. It can be adhered to the protective film (F) substantially completely.

도 7 및 도 8은 각각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의 틸팅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7 and 8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tilting process o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respectively.

틸팅부(30)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 공급부(20)에 결합된 제1브래킷(30c)과,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에 결합된 제2브래킷(30d)과, 일단은 제1브래킷(30c)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힌지축(30b)을 형성하고 타단은 제2브래킷(30d)에 결합되는 연결부(30a)와, 양단이 제1브래킷(30c)과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에 결합된 제3브래킷(30e)에 각각 결합되어 틸팅된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30f)를 구비한다. 탄성부재(30f)는 인장스프링(30f)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tilting unit 30 includes a first bracket 30c coupled to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a second bracket 30d coupled to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and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30c to form the hinge shaft 30b,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bracket 30d, 30a, and both ends of the first bracket 30c and the protective film. And an elastic member 30f coupled to each of the third brackets 30e coupled to the peeling head unit 10 to return the tilted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elastic member 30f is a tension spring 30f.

이러한 구성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 공급부(20)에 마련된 별도의 액추에이터(미도시)가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을 편광판(P)에 부착된 보호필름(F)의 전면상부로 하강시킨다. 보호필름(F)의 전면상부에 위치한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은, 보호필름(F)의 박리작업을 이행하기 전 단계로 접촉롤러(14)가 보호필름(F)의 끝단으로 이동하여 보호필름(F)이 끝단부터 박리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In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7, a separate actuator (not shown) provided in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has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attached to the polarizing plate P in front of the protective film F. FIG. Lower to the top. In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F, the contact roller 14 moves to the end of the protective film F before the peeling operation of the protective film F is performed. The protective film F should be peeled off from the end.

이 경우, 접촉롤러(14)는 화살표 방향처럼 보호필름(F)의 끝단 아래 위치까지 내려가게 되고, 이에 의해 박리작업이 시작될 보호필름(F)의 끝단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contact roller 14 is lowered to a position below the end of the protective film F a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whereby the end of the protective film F to start the peeling operation can be confirmed.

그런 다음에 박리작업이 시작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박리헤드 유닛(10)의 접촉롤러(14)가 이동하게 되면, 힌지축(30b)을 기점으로 하여 제1브래킷(30c)에 대해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이 벌어지면서 전면으로 틸팅된다. 이러한 틸팅으로 접촉롤러(14)와 보호필름(F)의 끝단이 완전한 면접촉을 도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접촉롤러(14)가 경사지는 등의 이유로 완전한 면접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에는 접촉롤러(14)를 하방으로 좀 더 가압하여 접촉롤러(14) 양단에 마련된 완충제(14a)인 오링(14a)이 수축되도록 함으로써 점착성 테이프(T)와 보호필름(F)의 끝단이 완전한 면접촉을 이루도록 한다.Then, when the peeling operation is started, when the contact roller 14 of the peeling head unit 1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8, the first bracket 30c starting from the hinge shaft 30b.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is tilted to the front side while being opened. With this tilting, the ends of the contact roller 14 and the protective film F achieve complete surface contact. Nevertheless, if the contact roller 14 is not in perfect surface contact due to inclination or the like, the contact roller 14 is pushed further downward so that the O-ring which is a buffer 14a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ntact roller 14 ( 14a) is contracted so that the ends of the adhesive tape T and the protective film F have complete surface contact.

도 9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의 클램프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the clamp device o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35)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 일측에 결합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접촉롤러(14)와 인접한 유닛본체(11)에 일측에 마련된다. 따라서 클램프(35)는, 보호필름(F)이 접촉롤러(14)의 점착성 테이프(T)에 부착되어 보호필름(F)의 박리가 진행될 때, 보호필름(F)의 일측면을 유닛본체(11)측으로 가압하여 박리된 보호필름(F)이 접촉롤러(1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this, the clamp 35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i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on one side in the unit body 11 adjacent to the contact roller (14). Therefore, the clamp 35 has one side of the protective film F when the protective film F is attached to the adhesive tape T of the contact roller 14 and the peeling of the protective film F proceeds. 1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tact roller 14 by the protective film (F) peeled off by pressing to the side.

보호필름(F)이 모두 박리되면, 후술할 척킹부(40)에 의해 박리된 보호필름(F)이 척킹된다. 이때 보호필름(F)의 일측면을 유닛본체(11)측으로 가압하던 클램프(35)는 원위치로 복귀되어, 척킹부(40)가 보호필름(F)을 원활하게 척킹하여 회수하도록 한다.When all the protective film F is peeled off, the protective film F peeled off by the chucking part 40 mentioned later is chucked. At this time, the clamp 35 that presses one side of the protective film F toward the unit body 11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so that the chucking part 40 smoothly chucks the protective film F and recovers it.

도 10은 보호필름이 척킹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이하에서는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film is chucked, an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3 again.

한편,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라인(50) 상에는 박리 완료된 보호필름(F)이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의 점착성 테이프(T)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박리된 보호필름(F)의 일 영역을 척킹하는 척킹부(40)가 더 마련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protective film F is peeled off on the work line 50 so that the protective film F can be separated from the adhesive tape T o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The chucking part 40 which chucks one area | region of the further is provided.

척킹부(40)는, 보호필름(F)이 박리되는 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을 따라 작업라인(50) 상에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어 박리된 보호필름(F)의 일 영역을 척킹한다. 척킹부(40)가 보호필름(F)을 척킹하게 됨으로써, 점착성 테이프(T)에 의해 점착되어 딸려 가던 보호필름(F)은 점착성 테이프(T)로부터 분리된 후, 폐기될 수 있게 된다.The chucking part 40 is provided in a pai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work line 50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ective film F is peeled off to chuck one region of the protective film F peeled off. As the chucking unit 40 chucks the protective film F, the protective film F, which has been adhered and adhered by the adhesive tape T, may be discarded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adhesive tape T.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필름(F)의 일측면을 유닛본체(11)측으로 가압하던 클램프(35)는 원치위로 복귀되어, 척킹부(40)가 보호필름(F)을 원활하게 척킹하여 회수하도록 한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clamp 35 pressurizing one side of the protective film (F) toward the unit body 11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 chucking unit 40 smoothly chucks the protective film (F). Do it.

이러한 척킹부(40)는, 척킹본체(41)와 척킹본체(41)의 양측에서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보호필름(F)을 척킹하는 제1척킹바아(42) 및 제2척킹바아(43)를 구비한다.The chucking unit 40 is rotatably coupled in at least one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chucking main body 41 and the chucking main body 41 and the first chucking bar 42 and the second chucking bar chucking the protective film F. FIG. 43 is provided.

제1척킹바아(42) 및 제2척킹바아(43) 각각은 일부분이 절곡된 한글 "ㄱ"자 형상을 가지며, 척킹본체(41)에서 편광판(P)의 판면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보호필름(F)을 척킹하게 된다. 바깥쪽에 위치한 제1척킹바아(42)는 제2척킹바아(43)에 비해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데, 이는 보호필름(F)의 효율적인 척킹을 위한 것이다.Each of the first chucking bar 42 and the second chucking bar 43 has a bent Korean “a” shape with a portion bent, and rotates along the plate surface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P in the chucking body 41. Chucking F). The first chucking bar 42 located on the outside is formed relatively longer than the second chucking bar 43, which is for efficient chucking of the protective film (F).

이러한 구성을 갖는 편광판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편광판으로부터 보호필름(F)을 박리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a series of processes for peeling the protective film (F) from the polarizing plate using a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도 11 내지 도 13은 각각 보호필름이 박리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며, 11 to 13 are views showing the step of peeling the protective film, respectively, step by step,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보호필름(F)이 붙어 있는 편광판(P)을 진공 흡착한 편광판 공급부(20)는 처음위치인 (B)에, 편광판 부착부(70)내의 편광판 흡착 다이(75)는 처음위치인 (A)에 자리한다.As shown in FIG. 11, the polarizing plate supply part 20 which vacuum-adsorbed the polarizing plate P with the protective film F once is the initial position (B), and the polarizing plate adsorption die in the polarizing plate attachment part 70 ( 75) is located at the initial position (A).

먼저, 이러한 편광판 공급부(20)가 작업라인(50)을 따라 작업위치(60)의 점 선으로 표시된 영역으로 수평 이동하며 편광판(P)을 공급한다. 이 때 편광판 공급부(20) 상단에 위치한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 역시, 편광판 공급부(20)와 함께 작업라인(50)을 따라 작업위치(60)로 이동된다.First,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horizontally moves along the working line 50 to the area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of the working position 60 and supplies the polarizing plate P. FIG. At this time,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is also moved to the working position 60 along the working line 50 together with the polarizing plate supplying unit 20.

이와 동시 또는 전후에, 편광판 부착부(70)내의 편광판 흡착 다이(75)도 작업라인(50)을 따라 작업위치(60)의 점선으로 표시된 영역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or before and after, the polarizing plate adsorption die 75 in the polarizing plate attachment portion 70 also moves horizontally along the working line 50 to the area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of the working position 60.

그 다음으로, 편광판 공급부(20)와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이 작업위치(60)에 이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 공급부(20)의 편광판(P)에 진공이 해제되어 수직하단에 위치한 편광판 흡착 다이(75)로 편광판(P)이 놓이게 된다.Next, when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and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reach the working position 60, as shown in FIG. 12, the vacuum is released to the polarizing plate P of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The polarizing plate P is placed on the polarizing plate adsorption die 75 positioned at the vertical bottom.

다음으로 편광판 흡착 다이(75)가 편광판(P)의 하면을 진공 흡착을 통해 잡고, 이에 공급된 편광판(P)이 편광판 흡착 다이(75)에 고정 지지되면,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이 하강한다. 이때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의 접촉롤러(14)가 편광판 흡착 다이(75)에 놓여진 편광판(P)의 끝단과 일치하도록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이 약간 후퇴하며 초기 편광판 공급부(20) 위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Next, when the polarizing plate adsorption die 75 holds the lower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P through vacuum adsorption, and the polarizing plate P supplied thereto is fixedly supported by the polarizing plate adsorption die 75,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is Descend. At this time,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retreats slightly so that the contact roller 14 o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coincides with the end of the polarizing plate P placed on the polarizing plate adsorption die 75 and the initial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 Can be moved in the position direction.

접촉롤러(14)가 보호필름(F)에 접촉한 상태에서,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은 좀 더 하강하여 접촉롤러(14)와 보호필름(F)의 끝단이 완전한 면접촉을 이루도록 한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에 결합된 틸팅부(30)가 작동하거나(도 8 참조), 또는 이와 함께 접촉롤러(14) 양단에 마련된 완충제(14a)인 오링(14a) 중 한 쪽 오링(14a)이 수축됨으로써 점착성 테이프(T)와 보호필름(F)의 끝단이 완전한 면접촉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With the contact roller 14 in contact with the protective film 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is further lowered so that the ends of the contact roller 14 and the protective film F have complete surface contact. . 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ilting unit 30 coupled to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is operated (see FIG. 8), or at the same time, an O-ring (buffer 14a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ntact roller 14). As the O-ring 14a of one side 14a is contracted, the end of the adhesive tape T and the protective film F are in complete surface contact.

점착성 테이프(T)가 보호필름(F)에 완전히 면접촉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위치(60)에서 각 반대방향으로 편광판 흡착 다이(75)와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이 결합된 편광판 공급부(20)가 상호 이격되어 각각의 처음위치인 (A), (B)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adhesive tape T is completely in surface contact with the protective film F, as shown in FIG. 13, the polarizing plate adsorption die 75 and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in opposite directions at the working position 60, respectively. The coupled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move to the initial position (A), (B).

이때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격되어 이동하는 과정에서 보호필름(F)은 점점 박리되기 시작하며, 클램프(35)가 접촉롤러(14) 상단에 박리된 보호필름(F)의 일측면을 유닛본체(11)측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보호필름(F)이 접촉롤러(14)의 점착성 테이프(T)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박리작업이 진행된다. 보호필름(F)의 박리가 끝나면 보호필름(F)의 끝단은 양 접촉롤러(14)에 의해 접촉되어 끌려가는 상태에 이른다.At this time, the protective film (F) begins to peel off gradually in the process of moving away from each other in the opposite direction, one side of the protective film (F) peeled on the upper contact roller 14, the clamp 35 unit unit 11 Press to the side. Accordingly, the peeling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preventing the protective film F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dhesive tape T of the contact roller 14. When the peeling of the protective film (F) is finished, the end of the protective film (F)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wo contact rollers 14 to be dragged.

이때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은 보호필름(F)을 점착한 상태에서 편광판 공급부(20)의 최초위치로 계속 이동하게 되며 척킹부(40) 상단을 지나가게 된다(도 10 참조).At this time,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continues to move to the initial position of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in the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film F is adhered, and passes the top of the chucking unit 40 (see FIG. 10).

이러한 진행과정 중에, 도 10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에서 척킹부(40)가 동작하여 보호필름(F)의 양단을 척킹한다. 이와 동시에 클램프(35)는 원위치로 이동한다. 척킹부(40)에 의해 척킹된 보호필름(F)은 그 자리에서 이동을 저지당하게 되므로 접촉롤러(14)에 점착된 상태에 놓였던 보호필름(F)의 끝단이 분리되어 보호필름(F)은 척킹부(40)에 의존되게 된다.During this process, as shown in FIGS. 10 and 13, the chucking unit 40 operates at regular intervals to chuck both ends of the protective film F. FIG. At the same time, the clamp 35 moves to its original position. Since the protective film F chucked by the chucking part 40 is prevented from being moved in place, the end of the protective film F which is in the state adhered to the contact roller 14 is separated and the protective film F is separated. It will be dependent on the chucking portion (40).

이때 척킹부(40)가 원래위치로 이동하면, 보호필름(F)은 자체의 하중으로 척킹부(40) 하단에 마련된 공간인 보호필름 회수부(80)로 하강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chucking unit 40 moves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protective film F is lowered to the protective film recovery unit 80 which is a spac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hucking unit 40 by its own load.

이와 같이 보호필름(F)을 박리하는 부분을 편광판 공급부(20)에 결합시켜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반적으로 장치의 구조가 간소화되어 풋프린트(Foot print)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택트타임(Tack Time) 역시 종래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As such, the part of peeling the protective film F is coupled to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to be moved together, thereby simplify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device and reducing the footprint, as well as the tact time. Time can also be significantly reduced than before.

또한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을 통해 점착성 테이프(T)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점착성 테이프 교체(T)에 따른 작업 공수를 줄이고 유지보수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의 가동률이 높아져 종래보다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film (T) can be easily replaced through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thereby reducing the labor time and maintenance time due to the adhesive tape replacement (T), thereby increasing the operation rate of the device. It becomes high and can improve productivity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그리고 틸팅부(30) 및 완충부(14a)를 구비함으로써 종래 점착성 테이프(T)가 보호필름(F)에 점착되지 못하여 보호필름(F)이 박리되지 못하는 빈도를 줄여 보호필름(F) 박리에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nd by providing the tilting portion 30 and the buffer portion (14a) to reduce the frequency of the conventional adhesive tape (T) is not adhered to the protective film (F) to prevent the protective film (F) from peeling off the protective film (F). The yield can be improved.

또한 별도의 척킹부(40)를 통해 종래의 회수롤러(13)에 점착성 테이프(T)와 함께 권취되었던 보호필름(F)이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회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film (F), which was wound together with the adhesive tape (T) to the conventional recovery roller 13 through the separate chucking unit 40 can be separated and recovered separately.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틸팅부(30)로 편광판 공급부(20)에 결합된 제1브래킷(30c)과,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10)에 결합된 제2브래킷(30d)과 힌지축(30b), 스프링(30f) 등을 사용한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틸팅부(30)로 유압 실린더가 내재된 유압틸팅부 일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bracket 30c coupled to 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20 by the tilting unit 30, the second bracket 30d coupled to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10, and the hinge shaft 30b. Although the use of the spring 30f or the like has been described above, it may be a hydraulic tilting part in which a hydraulic cylinder is embedded as the tilting part 30.

또한,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척킹부(40)의 일부분이 절곡된 한글"ㄱ"자 형상을 가지는 제1척킹바아(42) 및 제2척킹바아(43)가 편광판(P)의 판면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그 형상이 집게 또는 갈쿠리 모양으로서 판면 방향을 따라 기립하거나 스냅(Snap)운동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chucking bar 42 and the second chucking bar 43 having a Hangul “a” shape having a portion of the chucking part 40 bent along the plate surface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P may be used.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the shape may be manufactured to stand or snap along the plate direction as the shape of a forceps or a claw.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부분을 편광판 공급부에 결합시켜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반적으로 장치의 구조가 간소화되어 풋프린트(Foot print)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택트타임(Tack Time) 역시 종래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the portion peeling off the protective film to be moved together by the polarizing plate supply portion,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device can be simplified to reduce the foot print, as well as tact time (Tack Time) can also be significantly reduced than conventional.

또한 점착성 테이프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점착성 테이프 교체에 따른 작업 공수를 줄이고 유지보수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의 가동률이 높아져 종래보다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tape can be easily replaced to reduce the labor and maintenance time due to the replacement of the adhesive tape, thereby increasing the operation rate of the device to improve productivity than the conventional.

그리고 점착성 테이프가 보호필름에 점착되지 못하여 보호필름이 박리되지 못하는 빈도를 줄여 보호필름 박리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tape may not be adhered to the protective film, thereby reducing the frequency of the protective film not peeling, thereby improving the yield o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Claims (33)

적어도 어느 일면에 보호필름이 붙어 있는 편광판을 상기 보호필름이 박리되는 작업위치로 공급하는 편광판 공급부; 및A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for supplying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rotective film on at least one surface to a work position where the protective film is peeled off; And 상기 편광판 공급부와 함께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편광판 공급부의 어느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작업위치에서 상기 편광판으로부터 상기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And a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coupled to any one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supply part to move to the working position together with the polarizing plate supply part to peel the protective film from the polarizing plate at the working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은 상기 보호필름의 박리를 위해 상기 보호필름에 점착되는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 및 회수하며,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supplies and recovers an adhesive tape adhered to the protective film for peeling the protective film.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이 결합된 상기 편광판 공급부와, 편광판 흡착 다이는, 상기 작업위치를 향해 상호 접근 및 이격가능하도록 작업라인 상에 상기 작업위치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The polarizing plate supply unit and the polarizing plate adsorption die, to which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is coupled,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working position on the work line so as to be accessibl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ward the working position. Attachment devic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편광판 공급부의 전면 상부 영역에는 헤드유닛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으며,The head unit support part is provided in the upper front region of the polarizing plate supply part,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은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에 각각 일체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is a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ach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d unit suppor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은,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상호 이격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구비한 유닛본체;A unit body having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coup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 중 어느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하는 공급롤러;A supply roller coupled to any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o supply the adhesive tape; 상기 공급롤러와는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사용 완료된 점착성 테이프를 회수하는 회수롤러; 및A recovery roller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pply roller to recover the used adhesive tape; And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점착성 테이프가 상기 공급롤러에서 상기 회수롤러로 향하는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상기 보호필름에 접촉시키는 접촉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And a contact roller provided at end portions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o form a path from the supply roller to the recovery roller, and to contact the adhesive tape to the protective film. Polarizer Attachment Devic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유닛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을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에 일체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And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unit body to integrally couple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to the head unit suppor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결합부재는,The coupling member, 상기 유닛본체에 결합되는 축부;A shaft coupled to the unit body; 상기 축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에 마련된 체결보스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 및A screw par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haft part and screwed to a fastening boss provided in the head unit support part; And 상기 나사부가 상기 체결보스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축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유닛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손잡이용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And a handle manipulation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shaft part so as to be fitted to the fastening boss, and disposed at an outer side of the unit body.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결합부재의 축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절취된 절취슬롯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And a shaft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is fitted into a cutting slot cut inward from an outer surface of any on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과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에 마련되어,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이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에 결합될 때, 결합위치를 안내하는 결합위치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And a coupling position guide provided at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the head unit supporting portion to guide the coupling position when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is coupled to the head unit supporting portion.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결합위치 가이드는,The coupling position guide,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과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바아; 및A guide bar protruding from one o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the head unit support to the other; And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과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아가 삽입되는 바아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And a bar inserting portion formed on the other o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the head unit supporting portion, into which the guide bar is inserted.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가이드바아에는 상기 바아삽입부에 대한 상기 가이드바아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The guide bar is a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is further formed to limit the insertion depth of the guide bar to the bar insertion portion.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접촉롤러를 상기 보호필름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점착성 테이프가 상기 보호필름에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편광판 공급부에 대해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을 틸팅시키는 틸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And a tilting part for pressing the contact roller toward the protective film to tilt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with respect to the polarizing plate supply part so that the adhesive tape is adhered to the protective film.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틸팅부는, The tilting unit, 상기 편광판 공급부에 결합된 제1브래킷; A first bracket coupled to the polarizer supply unit;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에 결합된 제2브래킷; A second bracket coupled to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상기 제1브래킷과 상기 제2브래킷을 연결하는 연결부;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브래킷에 힌지결합되는 힌지핀; 및A hinge pin hinged to the first bracket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And 양단이 상기 제1브래킷과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에 결합된 제3브래킷에 각각 결합되어 틸팅된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And a resilient member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and the third bracket coupled to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to return the tilted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to its original position.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와 맞닿는 상기 접촉롤러의 양단에는 상기 보호필름에 가압되는 상기 접촉롤러에 대한 완충력을 배가시키는 완충부가 더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Both ends of the contact roller in contact with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s a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uffer portion for doubling the buffering force for the contact roller pressed by the protective film.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완충부는 탄성재질의 오링(O-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The buffer unit is a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ring (O-Ring) of the elastic material.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유닛본체의 어느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보호필름의 박리 시 상기 점착성 테이프로부터 상기 보호필름의 이탈을 방지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Is coupled to any one side of the unit body, the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further comprises a clamp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protective film from the adhesive tape when the protective film is peeled off.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작업라인 상에는 박리 완료된 보호필름이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의 점착성 테이프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박리된 보호필름의 일 영역을 척킹하는 척킹부가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And a chucking part for chucking a region of the peeled protective film so that the peeled protective film can be separated from the adhesive tape o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on the work line.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척킹부는 상기 보호필름이 박리되는 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상기 작업라인 상에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The chucking unit is provided with a pair of polarizing pl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work line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ective film is peeled off.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척킹부는,The chucking unit, 척킹본체; 및Chucking body; And 상기 척킹본체의 양측에서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호필름을 척킹하는 한 쌍의 척킹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And a pair of chucking bars rotatably coupled in at least one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chucking body to chuck the protective film.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한 쌍의 척킹바아는 일부분이 절곡된 한글 "ㄱ"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척킹본체에서 상기 편광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보호필름을 척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The pair of chucking bar has a Hangul "b" shape of the bent portion, the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ucking body while rotating along the plate surface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chucking.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한 쌍의 척킹바아 중 상기 작업라인의 외측에 위치한 척킹바아는 다른 척킹바아보다 길이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The chucking bar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work line of the pair of chucking bar is longer than the other chucking bar,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유닛본체;Unit body; 상기 유닛본체에 결합되어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하는 공급롤러;A supply roller coupled to the unit body to supply an adhesive tape; 상기 공급롤러와는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사용 완료된 점착성 테이프를 회수하는 회수롤러; 및A recovery roller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pply roller to recover the used adhesive tape; And 상기 유닛본체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점착성 테이프가 상기 공급롤러에서 상기 회수롤러로 향하는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보호필름에 접촉시키는 접촉롤러를 포함하며,A contact roller provided at an end of the unit body to form a path from the supply roller to the recovery roller, and to contact the adhesive tape to a protective film; 상기 공급롤러, 상기 회수롤러, 상기 접촉롤러가 결합된 상기 유닛본체 상에 상기 점착성 테이프가 설치된 상태에서 헤드유닛 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ly roller, the recovery roller, the contact roll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d unit support unit in the state where the adhesive tape is installed on the unit body coupled.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유닛본체는 상호 이격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구비하며,The unit body has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coup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공급롤러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 중 어느 일면에 결합되며,The feed roller is coupled to any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상기 접촉롤러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 단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The contact roller is a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end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유닛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을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에 일체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And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unit body to integrally couple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to the head unit support. 제2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결합부재는,The coupling member, 상기 유닛본체에 결합되는 축부;A shaft coupled to the unit body; 상기 축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에 마련된 체결보스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 및A screw par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haft part and screwed to a fastening boss provided in the head unit support part; And 상기 나사부가 상기 체결보스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축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유닛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손잡이용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dle for the handle portion formed on one end of the shaft portion to be fitted to the fastening boss and disposed outside the unit body. 제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결합부재의 축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절취된 절취슬롯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The shaft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is a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the cutting slot cut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any on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과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에 마련되어,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이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에 결합될 때, 결합위치를 안내하는 결합위치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is provided on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the head unit support portion, and when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is coupled to the head unit support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position guide for guiding a coupling position. unit. 제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결합위치 가이드는,The coupling position guide,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과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바아; 및A guide bar protruding from one o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the head unit support to the other; And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과 상기 헤드유닛 지지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아가 삽입되는 바아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is formed on the other one of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the head unit support portion comprising a bar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bar. 제2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가이드바아에는 상기 바아삽입부에 대한 상기 가이드바아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The guide bar is a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is further formed to limit the insertion depth of the guide bar to the bar insertion portion.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접촉롤러를 상기 보호필름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점착성 테이프가 상기 보호필름에 접착될 수 있도록 편광판 공급부에 대해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을 틸팅시키는 틸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And a tilting part configured to press the contact roller toward the protective film to tilt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with respect to the polarizing plate supply part so that the adhesive tape is adhered to the protective film. 제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틸팅부는, The tilting unit, 상기 편광판 공급부에 결합된 제1브래킷; A first bracket coupled to the polarizer supply unit;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에 결합된 제2브래킷; A second bracket coupled to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상기 제1브래킷과 상기 제2브래킷을 연결하는 연결부;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브래킷에 힌지결합되는 힌지핀; 및A hinge pin hinged to the first bracket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And 양단이 상기 제1브래킷과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에 결합된 제3브래킷에 각각 결합되어 틸팅된 상기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A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and a third bracket coupled to 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to return the tilted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to its original position. .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와 맞닿는 상기 접촉롤러의 양단에는 상기 보호필름에 가압되는 상기 접촉롤러에 대한 완충력을 배가시키는 완충부가 더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The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buffer portion for doubling the buffering force for the contact roller pressed to the protective film on both ends of the contact roller in contact with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완충부는 탄성재질의 오링(O-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The buffer unit is a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O-ring (O-Ring) of the elastic material.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유닛본체의 어느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보호필름의 박리 시 상기 점착성 테이프로부터 상기 보호필름의 이탈을 방지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A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coupled to any one side of the unit body, further comprising a clamp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protective film from the adhesive tape when the protective film is peeled off.
KR1020060039027A 2006-04-28 2006-04-28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Expired - Fee Related KR1008476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027A KR100847697B1 (en) 2006-04-28 2006-04-28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TW96114741A TWI386690B (en) 2006-04-28 2007-04-26 Protecting film separating head unit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for attaching polarizer to lcd panel
CNB2007100976733A CN100573203C (en) 2006-04-28 2007-04-27 Diaphragm separation head unit and equipment with diaphragm separation head unit
CN2009101515841A CN101604044B (en) 2006-04-28 2007-04-27 Polarizer attach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027A KR100847697B1 (en) 2006-04-28 2006-04-28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313A KR20070106313A (en) 2007-11-01
KR100847697B1 true KR100847697B1 (en) 2008-07-23

Family

ID=38964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02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7697B1 (en) 2006-04-28 2006-04-28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47697B1 (en)
CN (2) CN100573203C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584B1 (en) * 2012-07-09 2017-03-0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tape
KR101456222B1 (en) * 2013-04-15 2014-11-03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moving film of a glass substrate
CN109484699B (en) * 2019-01-08 2023-08-29 重庆康世德源科技实业有限公司 Film sticking device
CN110955073B (en) * 2019-12-23 2024-10-29 苏州朗坤自动化设备股份有限公司 Efficient anti-sticking polaroid tearing equipment
CN112394556B (en) * 2020-12-17 2022-07-22 江西富益特显示技术有限公司 Attached equipment of full-automatic polaro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873A (en) * 2003-11-04 2003-12-03 이강일 Apparatus for removing a protect film from lcm board and method thereof
JP2004325539A (en) 2003-04-22 2004-11-18 Sharp Corp Method and device for sticking polarizing plate to substrate
KR20050111448A (en) * 2004-05-21 2005-11-25 주식회사 휘닉스 디지탈테크 Tft-lcd module assembly assembing apparatus and tft-lcd module assembly assemb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60033887A (en) * 2006-03-24 2006-04-20 (주)와이티에스 Polarizer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1991B1 (en) * 1998-06-16 2001-04-03 Photon Dynamics, Inc. Modulator manufacturing process and device
KR100329466B1 (en) * 2000-05-03 2002-03-23 윤종용 Polarizers attaching and reworking apparatus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ttaching and reworking the polarizers using the same
KR100589044B1 (en) * 2004-03-10 2006-06-19 한동희 Polarizing Film Bonding Device for Flat Panel Display
KR100648646B1 (en) * 2004-06-14 2006-11-24 박웅기 Polarizer Attachment Method and Device
CN1721935A (en) * 2004-07-13 2006-01-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Coat peeling unit, polaroid adhering device and dyestripping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5539A (en) 2003-04-22 2004-11-18 Sharp Corp Method and device for sticking polarizing plate to substrate
KR20030091873A (en) * 2003-11-04 2003-12-03 이강일 Apparatus for removing a protect film from lcm board and method thereof
KR20050111448A (en) * 2004-05-21 2005-11-25 주식회사 휘닉스 디지탈테크 Tft-lcd module assembly assembing apparatus and tft-lcd module assembly assemb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60033887A (en) * 2006-03-24 2006-04-20 (주)와이티에스 Polarizer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04044B (en) 2012-11-07
KR20070106313A (en) 2007-11-01
CN101604044A (en) 2009-12-16
CN100573203C (en) 2009-12-23
CN101063727A (en) 200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697B1 (en)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US6741320B2 (en) Method for cutt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100882210B1 (en) Polarizer Attachment Device
JPH11194337A (en) System for peeling polarizing film and method therefor
KR101095511B1 (en) Polarizer Attachment Device
KR100832774B1 (en) Protective film peeling head unit and polarizing plate attachment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KR101835511B1 (en) Apparatus for attaching optical plate
KR102010247B1 (en) Protective film peeling device and system for attaching film to panel having the same
KR102092017B1 (en) System for attaching functional film
KR101972341B1 (en) Film attaching system
CN101344664B (en) Apparatus for removing protective film attached to polarizer of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100795436B1 (en) Polarizer Attachment Device
KR100720856B1 (en) Peeling device
KR102400550B1 (en) Breaking system for attached substrate
JPH1114827A (en) Polarizing plate sticking device
JP2004191576A (en) Film peeling device, film peeling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optical device
JPH106195A (en) Glass substrate chamfering device
TWI386704B (en) Apparatus for attaching polarizer to lcd panel
KR100840985B1 (en) Polarizer Attachment Device
KR20120052763A (en) Automatic taping apparatus
KR100733789B1 (en) Polarizer attachment device
CN110329783A (en) A kind of transport mechanism
JP2007250453A (en) Static electricity eliminator
TW473621B (en) A disassembly apparatus for LCD polarizer
KR20070071554A (en) Display manufactur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7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7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