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45936B1 - 액체 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936B1
KR100845936B1 KR1020070041493A KR20070041493A KR100845936B1 KR 100845936 B1 KR100845936 B1 KR 100845936B1 KR 1020070041493 A KR1020070041493 A KR 1020070041493A KR 20070041493 A KR20070041493 A KR 20070041493A KR 100845936 B1 KR100845936 B1 KR 100845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upled
liquid container
length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70041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93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63Additional discharg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액체 용기의 취액부재 길이를 가변형으로 개선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취액부재의 길이를 가변시켜 액체 용기의 내부에 있는 액체의 잔량까지 사용할 수 있는 액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액체 용기는 그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는 중공형 몸체, 및 개구부를 통해 몸체에 결합되고, 몸체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취액하도록 적용되며, 그 길이가 가변되는 취액부재를 포함한다.
용기, 취액부재, 취액부, 길이, 가변

Description

액체 용기{LIQUID VESS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용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액부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선 Ⅴ-Ⅴ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취액부재의 길이가 길어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20 ; 취액부재
200 ; 캡부 202 ; 눌림부
204 ; 삽입부 206 ; 길이 가변부
208 ; 플랜지부 210 ; 취액부
220 ; 연결부재
본 발명은 액체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 용기의 취액부재 를 개선하여 잔량까지 사용할 수 있는 액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다양한 액체를 담을 수 있는 액체 용기는 액체의 성질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화장품 용기는 입구가 좁게 형성되어 내용물이 소량만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점성이 큰 액체를 사용하거나, 액체를 미량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액체 용기는 이들 액체를 외부로 빼내는 취액 수단을 구비한다.
그런데,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때 취액 수단의 길이가 고정됨에 따라 취액 수단과 액체 용기의 결합시 상호 간섭에 의해 취액부재의 파손이 발생되거나, 액체 용기 내의 액체를 잔량까지 취액하는데 불편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액체 용기 내의 액체를 잔량까지 취액하는 경우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액체 용기 내의 액체를 잔량까지 취액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액체를 제대로 취액하지 못하여 액체가 액체 용기 밖으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액체 용기의 취액부재 길이를 가변형으로 개선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취액부재의 길이를 가변시켜 액체 용기의 내부에 있는 액체의 잔량까지 사용할 수 있는 액체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는 중공형 몸체, 및 개구부를 통해 몸체에 결합되고, 몸체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취액하도록 적용되며, 그 길이가 가 변되는 취액부재를 포함한다.
취액부재는 개구부를 덮는 캡부를 포함하고, 캡부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다. 캡부는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그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 가변부를 포함하며, 길이 가변부는 탄성 소재로 제조할 수 있다. 캡부를 몸체에 고정 결합시키고, 캡부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취액부재는 캡부에 결합되어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취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를 개구부 위에 걸친 경우, 취액부의 단부와 몸체 내부 바닥면의 이격거리는 3mm 이내로 할 수 있다. 몸체는 개구부가 형성된 목부를 포함하고, 연결부재가 목부의 외주에 결합되는 경우, 길이 가변부의 길이가 축소되어 개구부에 삽입할 수 있다. 취액부의 단부가 몸체 내부 바닥면에 닿으면 길이 가변부의 길이를 축소할 수 있다.
취액부재의 외주면에는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제1 홈이 형성되며, 연결부재는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할 수 있다. 몸체의 목부 외주면에는 연결부재의 암나사에 대응되는 수나사를 형성할 수 있다.
캡부는 외력에 따른 눌림 동작으로 흡입력을 발생하는 눌림부, 외주면이 몸체의 개구부 내측에 삽입되며, 내주면에 취액부의 일단이 결합되는 삽입부, 눌림부와 삽입부 사이에 형성되어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플랜지(flange)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은 눌림부와 플랜지부 사이에 형성되며, 길이 가변부는 플랜지부와 삽입부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취액부는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의 관으로 형성되며, 취액부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구멍은 삽입부에 결합되는 일단에 형성되는 제1 구멍, 몸체 내부의 바닥면에 근접하는 타단의 제2 구멍으로 구분되며, 제1 구멍은 제2 구멍보다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취액부의 일단에는 원주방향으로 테두리가 형성되며, 삽입부의 내주면에는 제2 홈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는 제2 홈에 결합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용기는 몸체(10), 취액부재(20)를 포함한다.
몸체(10)는 일단에 개구부(12)를 갖는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취액부재(20)는 개구부(12)를 통해 몸체(10)에 결합되며, 몸체(10) 내부의 액체를 취액한다. 취액부재(20)는 캡부(200), 취액부(210)를 포함하며,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 가변부(206)를 갖는다.
캡부(200)는 개구부(12)를 덮는 형상을 갖는다. 캡부(200)는 일단에 개구부를 갖는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캡부(200)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캡부(200)는 고무(rubber) 또는 실리콘(silicone)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실리콘이라 함은 실리콘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용기는 몸체(10)와 취액부재(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20)를 포함한다.
연결부재(220)는 원통형의 일면이 개구되고 타면이 일부 개구된(222)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취액부재(20)의 캡부(200)는 연결부재(220)의 타면에서 일부 개구된 부분에 결합되며, 연결부재(220)의 타면을 밀폐시킨다. 취액부재(20)와 연결부재(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에 결합된다. 연결부재(220)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다. 몸체(10)의 개구부(12)가 형성된 목부 외주면에는 연결부재(220)의 암나사에 대응되는 수나사(14)가 형성된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캡부(200)는 눌림부(202), 삽입부(204), 플랜지(flange)부(208)를 포함한다.
눌림부(202)는 외력에 따른 눌림 동작으로 몸체(10) 내의 액체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발생한다.
삽입부(204)는 외주면이 몸체(10)의 개구부(12) 내측에 삽입되며, 내주면에 취액부(210)의 일단이 결합된다.
플랜지부(208)는 눌림부(202)와 삽입부(204) 사이에 형성되어 연결부재(220)와 결합된다.
캡부(200) 외주면에는 연결부재(220)의 타면에 개구된 부분이 결합되는 제1 홈(209)이 형성된다. 캡부(200)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홈(209)은 눌림부(202)와 플랜지부(208) 사이에 형성된다.
길이 가변부(206)는 캡부(200)에 형성되는데, 플랜지부(208)와 삽입부(20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길이 가변부(206)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주름진 주름관(자바라)으로 형성된다. 길이 가변부(206)는 압축된 상태로 몸체(10)의 개구부(12) 내측에서 밀봉 수납된다.
취액부(210)는 일단이 캡부(200)의 일측에 결합되며, 타단이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신장된다. 취액부(210)는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의 관으로 형성된다.
취액부(2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구멍은 삽입부(204)에 결합되는 일단에 형성되는 제1 구멍(214), 몸체(10) 내부의 바닥면에 근접하는 타단의 제2 구멍(216)으로 구분되며, 제1 구멍(214)은 제2 구멍(216)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취액부(210)의 일단에는 원주방향으로 테두리(212)가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삽입부(204)의 내주면에는 제2 홈(205)이 형성되는데, 테두리(212)는 제2 홈(205)에 결합된다.
연결부재(220)가 캡부(200)의 제1 홈(209)에 결합되고, 취액부(210)의 테두리(212)가 삽입부(204)의 제2 홈(205)에 결합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액부재(20)와 연결부재(22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취액부재(20)의 길이는 연결부재(220)가 몸체(10)의 개구부(12)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에 관계없이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20)와 취액부재(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눌림부(202)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취액부(210)를 잡아 취액부재(2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나사 결합된 연결부재(220)를 몸체(10)로부터 분리한 후 취액부재(20)의 길이를 가변시키고자 할 때 길이 가변부(206)를 필요한 만큼 길게하여 취액부재(20)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몸체(10)의 내부 바닥면에 있는 액체의 잔량까지도 사용할 수 있다.
몸체(10)에 취액부재(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취액부(210)의 타단이 몸체(10)의 내부 바닥면에 닿지 않는 경우를 가정하면, 몸체(10)의 내부 바닥면과 취액부(210) 타단이 닿지 않아 취액부(210)와 몸체(10)의 내부 바닥면이 접촉됨에 따른 충격으로부터 취액부(210)를 보호할 수 있으며 취액부(210)가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취액부(210) 타단과 몸체(10)의 내부 바닥면의 간격이 큰 경우 몸체(10)의 내부에 있는 액체를 취액부(210)의 길이에 맞게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몸체(10)의 내부에 액체의 잔량이 적은 경우 취액부(210)의 길이가 액체의 잔량에 미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특히, 몸체(10)와 취액부재(2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캡부(200) 및 연결부재(220)의 간섭에 따라 취액부(210)와 용기 내 액체의 거리는 더욱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몸체(10)를 기울이거나 취액부(210)를 몸체(10) 내부에 삽입한 후 적절히 움직여 액체의 잔량을 흡입하게 된다. 이런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로 액체가 몸체(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취액부(210)와 몸체(10)의 내부벽면의 잦은 부딪힘이 발생하여 취액부(210)가 파손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몸체(10)에 취액부(2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취액부(210) 타단이 몸체(10)의 내부 바닥면에 닿는 경우 몸체(10)의 내부 바닥면과 취액부(210) 타 단이 닿게되어 취액부(210)와 몸체(10)의 내부 바닥면이 접촉됨에 따른 충격에 의해 취액부(210)가 깨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취액부(210) 타단과 몸체(10)의 내부 바닥면의 간격이 거의 없게 되어 몸체(10)의 내부에 있는 액체를 취액부(210)의 길이에 맞게 거의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0)의 내부에 액체의 잔량이 적은 경우라 하더라도 취액부(210)의 길이가 액체의 잔량에 미치게 된다. 몸체(10)와 취액부재(2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캡부(200) 및 연결부재(220)의 간섭에 따라 취액부(210)와 몸체(10) 내 액체의 거리는 다소 멀어지게 되지만, 이러한 경우라도 취액부(210)의 길이가 짧은 것에 비해 사용자는 더 많은 액체의 잔량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런 경우라 하더라도 몸체(10)와 취액부재(2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취액부(210) 길이의 한정으로 인해 취액부(210)의 타단이 몸체(10)의 내부 바닥면에 닿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액체가 몸체(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취액부(210)와 몸체(10)의 내부벽면의 잦은 부딪힘이 발생하여 취액부(210)가 파손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액부재(20)의 길이는 연결부재(220)가 몸체(10)의 개구부(12)에 결합되는 경우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20)와 취액부재(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취액부재(20)의 길이가 길어진 경우 취액부재(20)의 길이를 짧게하지 않고 몸체(10)에 결합할 수 있다. 취액부재(20)의 전체 길이가 길어진 상태에서 취액부재(20)를 몸체(10)에 삽입하게 되면 취액부재(20)의 취액부(210) 타단은 몸체(10)의 내부 바닥면에 닿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몸체(10)에 나사 결합되는 연결부재(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에 결합될 때 길이 가변부(206)를 압축하게 된다. 따라서, 취액부(210)의 타단이 몸체(10)의 내부 바닥면에 닿은 상태에서 연결부재(220)를 체결하더라도 취액부(2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길이 가변부(206)가 없다면 연결부재(220)의 체결력은 취액부(210)로 전달되어 취액부(210)가 파손될 수 있다. 참고로, 연결부재(220)를 개구부(12) 위에 걸친 경우, 취액부(210)의 단부와 몸체(10) 내부 바닥면의 이격거리는 3mm 이내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취액부재의 길이를 가변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몸체의 내부 형상을 개선하여 액체의 잔량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몸체의 바닥면을 편평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몸체의 내부 바닥면을 중심으로 갈수록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중심면은 취액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편평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액체의 잔량은 거의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체 용기는 취액부재에 길이 가변부를 형성하여 몸체에 취액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취액부의 타단이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닿는 경우에도 취액부와 몸체의 내부 바닥면이 접촉됨에 따른 충격으로부터 취액부를 보호할 수 있으며 취액부가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의 내부에 액체의 잔량이 적은 경우에도 취액부재의 길이를 가변시켜 취액부 타단과 몸체의 내부 바닥면의 간격이 거의 없게 되어 몸체의 내부에 있는 액체를 취액부의 길이에 맞게 거의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액체가 몸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취액부와 몸체의 내부 벽면의 잦은 부딪힘이 발생하여 취액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0)

  1.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는 중공형 몸체,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취액하도록 적용되며, 그 길이가 가변되는 취액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취액부재는
    상기 개구부를 덮는 캡부, 및
    상기 캡부에 결합되는 취액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를 상기 몸체에 고정 결합시키고, 상기 캡부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개구부 위에 걸친 경우, 상기 취액부의 단부와 상기 몸체 내부 바닥면의 이격거리는 3mm 이내인 액체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길이가 가변되는 액체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그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 가변부를 포함하는 액체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가변부는 탄성 소재로 제조된 액체 용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액부는 상기 캡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액체 용기.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목부의 외주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길이 가변부의 길이가 축소되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액체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취액부의 단부가 상기 몸체 내부 바닥면에 닿으면 상기 길이 가변부의 길이가 축소되는 액체 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취액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제1 홈이 형성되는 액체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액체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목부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암나사에 대응되는 수나사가 형성되는 액체 용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외력에 따른 눌림 동작으로 흡입력을 발생하는 눌림부;
    외주면이 상기 몸체의 개구부 내측에 삽입되며, 내주면에 상기 취액부의 일단이 결합되는 삽입부;
    상기 눌림부와 상기 삽입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플랜지(flange)부를 포함하는 액체 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은 상기 눌림부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액체 용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가변부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삽입부 사이에 형성되는 액체 용기.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취액부는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의 관으로 형성되는 액체 용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취액부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구멍은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는 일단에 형성되는 제1 구멍;
    상기 몸체 내부의 바닥면에 근접하는 타단의 제2 구멍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구멍은 상기 제2 구멍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액체 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취액부의 일단에는 원주방향으로 테두리가 형성되는 액체 용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에는 제2 홈이 형성되는 액체 용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는 상기 제2 홈에 결합되는 액체 용기.
KR1020070041493A 2007-04-27 2007-04-27 액체 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845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493A KR100845936B1 (ko) 2007-04-27 2007-04-27 액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493A KR100845936B1 (ko) 2007-04-27 2007-04-27 액체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5936B1 true KR100845936B1 (ko) 2008-07-11

Family

ID=39824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4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5936B1 (ko) 2007-04-27 2007-04-27 액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32486A1 (ko) * 2023-05-08 2024-11-14 주식회사 신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포이트관을 갖는 화장품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557U (ko) * 1986-08-07 1988-02-22
JP2005187028A (ja) * 2003-12-26 2005-07-14 Nippon Shizen Shokuhin Kk スポイト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557U (ko) * 1986-08-07 1988-02-22
JP2005187028A (ja) * 2003-12-26 2005-07-14 Nippon Shizen Shokuhin Kk スポイト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32486A1 (ko) * 2023-05-08 2024-11-14 주식회사 신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포이트관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20240162233A (ko) * 2023-05-08 2024-11-15 주식회사 신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포이트관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799393B1 (ko) 2023-05-08 2025-04-29 주식회사 신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포이트관을 갖는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596B1 (ko) 스포이트 용기
US9480625B2 (en) Infant feeding system
CN101687210B (zh) 定量给料装置
US11530078B2 (en) Contents container
KR20090008046U (ko) 수동식 드롭퍼
JP2008290745A (ja) ポンプ式液体吐出容器
KR100845936B1 (ko) 액체 용기
KR100856728B1 (ko) 펌프식 액체 절약 용기
JP2006111335A (ja) 二重構造スクイズ容器
JP6639921B2 (ja) キャップ
JP5424151B2 (ja) ポンプのノズルヘッド
KR200493356Y1 (ko) 스포이드형 앰플용기
KR101662326B1 (ko) 음료 용기
CN110366527B (zh) 带狭缝阀的盖
WO2017023850A1 (en) Bottle system and method
KR100992113B1 (ko) 화장품 용기
CN101287658A (zh) 用于填充有医疗液体的容器的盖子
CN211282089U (zh) 一种大包装饮用水按压式瓶盖
CN104781158B (zh) 吸嘴、带吸嘴的包装体、以及该包装体的制造方法
JP2003212261A (ja) 液体吐出装置
KR200375757Y1 (ko) 빨대를 내장한 음료 저장용 팩.
KR200296136Y1 (ko) 껌 포장용기
JP3552969B2 (ja) エアゾール容器のキャップ
KR20120003343U (ko)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JP2006008247A (ja) 合成樹脂製ブロー成形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7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