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44800B1 - 제철소 부생가스 연소용 버너 - Google Patents

제철소 부생가스 연소용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800B1
KR100844800B1 KR1020010068883A KR20010068883A KR100844800B1 KR 100844800 B1 KR100844800 B1 KR 100844800B1 KR 1020010068883 A KR1020010068883 A KR 1020010068883A KR 20010068883 A KR20010068883 A KR 20010068883A KR 100844800 B1 KR100844800 B1 KR 100844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outer housing
combustion
chamber
bur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7809A (ko
Inventor
황용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68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800B1/ko
Publication of KR20030037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80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30Arrangements for extraction or collection of waste gases; Hoods therefor
    • F27D17/302Constructional details of ancillary components, e.g. waste gas conduits or 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01Heating elements or systems
    • F27D99/0033Heating elements or systems using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01Heating elements or systems
    • F27D99/0033Heating elements or systems using burners
    • F27D2099/0051Burning waste as a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Of Fluid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실의 측벽을 관통하여 고정설치되고 제철소에서 생성되는 고로가스, 전로가스 및 코크스 가스와, 중유를 연소시키기 위한 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부가 폐쇄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연소실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고 측벽에 복수개의 공기 소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외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코크스 가스가 유입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제1챔버가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단부 내측에 부착되고 상기 제1챔버에 유입된 코크스 가스를 상기 연소실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노즐이 유체소통이 가능하게 일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원통부재와, 상기 원통부재의 외부에 상기 고로가스가 유입될 수 있는 소정크기의 제2챔버가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기 제2챔버에 유입된 전로가스를 상기 연소실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노즐이 유체소통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격리벽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외부 하우징과 동축을 이루도록 상기 격리벽으로부터 상기 외부 하우징의 타단부를 향해서 설치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고로가스가 유입되어 상기 연소실로 분사될 수 있는 소정크기의 제3챔버를 한정하는 내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과 동축을 이루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1챔버를 관통하여 상기 외부 하우징의 타단부를 향해서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을 향해서 중유를 분사할 수 있는 중유 하우징과, 상기 중유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분사되는 중유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기로 이루어지 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측벽에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공기 소통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의 외주면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를 활주시키기 위한 활주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하나의 버너몸체에 여러 종류의 연료의 연소가 가능하고 부생가스 회수상태에 따라서 각 버너마다 연료를 선택적으로 연소하도록 함으로써 가스발생 상황에 따른 버너작동에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산되는 것을 억제하고 또한 운전휴지중인 보일러 연소구를 배제하여 연소실에 고른 열 분포로 인한 연소효율 증대와 보일러 수관의 국부적인 가열에 의한 수관 팽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저 칼로리의 연료인 고로가스의 안정적인 연소제어에 의해 고로가스의 점화시 착화 불량에 따른 가스역화현상 또는 폭발 등의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Figure R1020010068883
고로가스, 전로가스, 코크스 가스, 중유, 챔버

Description

제철소 부생가스 연소용 버너{Burner for burning the by-product gas in the ironworks}
도 1은 종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생가스 연소용 버너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부생가스 연소용 버너의 단면도 및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용 버너의 연소공기 공급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1 : 코크스 가스용 챔버
13-2 : 코크스 가스용 노즐
14-1 : 고로가스용 챔버
14-2 : 고로가스용 노즐
15-1 : 전로가스용 챔버
15-2 : 전로가스용 노즐
16 : 중유 연소용 건하우징
17 : 점화기
18 : 격리벽
19 : 내부관
20 : 공기 소통구
21 : 연소공기 공급댐퍼
22 : 레일
23 : 롤러
26 : 피니언 기어
27 : 래크
본 발명은 제철소 조업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성(이하, '부생'이라 칭함)되는 여러 종류의 가스를 혼합연소할 수 있는 복합버너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버너에서 여러 종류의 부생가스를 혼합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는 제철소 부생가스 연소용 복합버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부생가스는 고로에서 부생되는 고로가스(BFG: blast furnace gas), 제강취련 과정에서 발생되는 전로가스(LDG: Linz-Donawitz gas)와, 코크스 제조과정에서 부생되는 코크스 가스(COG; Coke oven gas) 등이 있다. 이러한 부생가스는 제철소 조업조건에 따라서 상이한 조성의 연료로 이루어지므로 그들 각각의 발열량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그들 각각의 생성량이 상이하다.
한편, 제철소의 자가화력 발전보일러는 이러한 부생가스를 이용하여 가동되므로, 각각의 부생가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버너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버너 각각에는 연료공급장치와, 연소용 공기공급장치와, 점화장치 등의 부대설비가 필수적으로 제공되므로, 보일러의 전체크기는 이러한 부대설비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증가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보일러(101)의 버너실(110)에는 부생가스의 공급라인에 따라서 복수개의 버너가 하나의 단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 단의 버너가 제공된다. 즉, BFG 공급라인(103), COG 공급라인(104), LDG 공급라인(105) 각각에는 3개의 버너가 설치된다. 그리고, 부생가스의 공급량 부족에 따른 열량을 보충하기 위해 중유를 공급하기 위한 중유공급라인(106)에도 3개의 버너가 설치된다. 그리고, 송풍기(107)의 작동에 의해 유입된 연소용 공기는 분기부(111)에서 분기되어 연소실(102)로 공급된다. 공급라인을 따라서 유입된 부생가스는 공급된 공기와 함께 연소되고, 폐가스는 연도(112)을 따라서 외부로 배출된다.
보일러의 원활한 가동을 위해서, 연소실에서 연소되는 부생가스 연소량과 제철소에서 생성되어 공급되는 부생가스 공급량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철소 조업조건에 따라서 부생가스 공급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해당 부생가스용 버너는 운전대기상태로 유지된다. 그 결과 연소실(102) 내부에 균일한 열분포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저열량 연료인 BFG 버너 점화시에는 착화불량 및 지연현상으로 화염이 역화되거나 또는 연소중에 화염이 상실되어 가스가 폭발하는 등의 안전상에 위험요인이 발생되었다.
또한, 제철소용 보일러는 부생가스의 공급상태에 따라서 가동효율이 결정되므로, 부생가스의 공급이 양호한 버너에서만 연소작용이 발생되며, 그 결과 보일러 내부에서 국부 과열에 의한 수관 팽출사고가 발생된다.
또, 부생가스의 공급량이 편중되어 있는 경우에 다른 가스버너 연소구가 운전 정지중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버너가 단일 부생가스만을 연소하게 되며, 그 결과 버너용량의 한계에 의해서 과잉 공급된 부생가스는 미연소되어 대기중으로 방산하므로 에너지 낭비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철소에서 생성되는 부생가스와 구입 연료인 중유를 연소하는 보일러 각 버너에 특성을 유기적으로 융합하여 하나의 몸체로 구성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연료를 연소할 수 있고 또한 개별적인 부생가스 공급량에 따라서 연소연료를 신축적으로 선택하여 연소시킬 수 있는 제철소 부생가스 연소용 버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소실의 측벽을 관통하여 고정설치되고 제철소에서 생성되는 고로가스, 전로가스 및 코크스 가스와, 중유를 연소시키기 위한 버너는 일단부가 폐쇄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연소실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고 측벽에 복수개의 공기 소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외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코크스 가스가 유입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제1챔버가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단부 내측에 부착되고 상기 제1챔버에 유입된 코크스 가스를 상기 연소실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노즐이 유체소통이 가능하게 일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원통부재와, 상기 원통부재의 외부에 상기 고로가스가 유입될 수 있는 소정크기의 제2챔버가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기 제2챔버에 유입된 전로가스를 상기 연소실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노즐이 유체소통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격리벽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외부 하우징과 동축을 이루도록 상기 격리벽으로부터 상기 외부 하우징의 타단부를 향해서 설치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고로가스가 유입되어 상기 연소실로 분사될 수 있는 소정크기의 제3챔버를 한정하는 내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과 동축을 이루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1챔버를 관통하여 상기 외부 하우징의 타단부를 향해서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을 향해서 중유를 분사할 수 있는 중유 하우징과, 상기 중유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분사되는 중유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측벽에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공기 소통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의 외주면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를 활주시키기 위한 활주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철소용 발전 보일러는 제철소 부생가스를 연소할 수 있는 버너를 갖는다. 버너는 연소실의 측벽을 관통하여 고정설치되고 하나의 연소구를 통해서 제철소에서 생성되는 고로가스, 전로가스 및 코크스 가스와, 중유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버너의 몸체는 일단부가 폐쇄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연소실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외부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 하우징에는 제철소에서 생성되는 각각의 부생가스가 분배되어 저장되는 복수개의 챔버(13-1, 14-1, 15-1)와 챔버로부터 연소실로 각각의 부생가스를 공급 분사할 수 있는 복수개의 노즐(13-2, 14-2,15-2)이 제공된다. 그리고, 부생가스의 공급량이 부족할 때 야기되는 열량부족을 보충할 수 있는 대체 연료, 예를 들어 중유를 공급할 수 있는 중유 연소용 건하우징(gun housing; 16)이 제공된다.
또한, 외부 하우징에는 부생가스 및 중유의 연소에 요구되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의 공기 소통구(20)가 형성된다. 공기 소통구(20)는 외부 하우징의 외부면을 따라서 활주 이동하는 연소공기 조절댐퍼(21)에 의해서 개폐되어 공기 공급량을 조절한다. 버너에는 착화용 불씨를 형성해 주는 점화기(17)와, 상기 부생가스를 연소함에 있어 안정적인 화염상태를 상시 유지할 수 있도록 버너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미도시)가 제공된다.
즉, 버너 몸체부(도 2 참조)는 원통형의 구조로 버너외관을 형성하고 연소실 입구로부터 돌출하는 충분한 길이를 구비한 외부 하우징을 갖는다. 외부 하우징의 중앙부에는 상하좌우 총 4개의 연소용 공기 소통구(20)가 형성된다. 외부 하우징 의 외측에는 고로가스 공급배관, 코크스 가스 공급배관, 전로가스 공급배관에 각각 플랜지 결합될 수 있는 유입구(13, 14, 15)가 제공된다.
그리고,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챔버는 외부 하우징의 내부를 양분하도록 설치되는 격리벽(18)에 의해서 한정된 전로가스용 챔버(15-1)와, 전로가스용 챔버(15-1)의 내부에 제공되는 코크스 가스용 챔버(13-1)와, 격리벽(18)으로부터 연소실측을 향하여 외부 하우징보다 작은 직경의 내부관(19)이 설치되고 이러한 내부관(19)에 의해서 한정된 고로가스용 챔버(14-1)로 구성된다. 고로가스용 챔버(14-1)는 외부 하우징의 내측면과 내부관(19)의 외측면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외부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공기 소통구(20)는 내부관(19)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그 결과 연소용 공기는 내부관(19)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연소실로 공급된다.
코크스 가스용 챔버(13-1)에 연결된 복수개의 노즐(13-2)은 전로가스용 챔버(15-1)를 한정하는 격리벽(18)을 관통하여 내부관(19)의 내부에 원주상의 등간격으로 안착된다. 또한, 전로가스용 노즐(15-2)은 격리벽(18)에 안착되는 일단부가 노즐 입구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코크스 가스용 노즐(13-1)과 함께 원주상의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때, 전로가스용 챔버(15-1)의 가장자리 좌우측에 연결된 2개의 노즐(15-4a)은 고로가스용 챔버(14-1)의 내부를 관통하여 고로가스용 노즐영역(15-4b)으로 연장한다.
고로가스용 노즐(14-2)은 저 칼로리의 연료, 즉 고로가스를 다량으로 연소하기 위해 외부 하우징의 내경과 내부관(19)의 외경 사이에 형성된 고로가스용 챔버(14-1)에 원주상으로 선회하여 연소실 입구부에 설치되고, 연소용 2차공기 공급구멍(14b)은 원주상의 노즐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원주상의 내경으로 버너 타일(14d)이 설치되어 버너 중앙부에서 고열량의 연료연소에 의한 고열로부터 노즐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부생가스 대체연료인 중유를 공급하기 위한 건하우징(16)은 버너 중앙부에 설치되어 코크스 가스용 챔버(13-1)와 전로가스용 챔버(15-1)를 관통하여 인입되고, 상기 부생가스용 노즐의 선단부와 동일 선상에 안착된다. 건하우징(16)의 외경에는 연소공기 선회기(16-2)가 설치된다. 그리고, 불씨 형성용 점화기(17)도 같은 방식으로 설치된다.
연소용 공기 공급장치인 연소공기 조절댐퍼(21)는 외부 하우징의 외경에 내접하여 원통으로 감싸며 좌우측에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하도록 레일과 롤러(22, 23)가 설치된다. 이때, 버너 외부에서 조절댐퍼(21)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래크와 피니언 기어(26, 27)가 조합되어 감속기(28)와 모터(29)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는 버너에 유입되는 각각의 연소연료, 즉 부생가스와 중유를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는 버너 밸브와 버너 점화시 불씨를 형성시키는 점화기와, 연료공급 상태에 따라 연소용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연소공기 조절댐퍼(21)의 개폐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각각의 리미트 스위치(미도시)의 신호에 따라서 자동제어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생가스 연소용 버너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가스 부생상태에 따른 버너 점화에 의하여 코크스 가스 공급밸브(미도시)가 열리면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코크스 가스용 챔버(13-1)에 코크스 가스가 유입되고, 이러한 코크스 가스는 코크스 가스용 노즐(13-2)을 통해 연소실로 분사된다. 이때, 버너의 연소구에서 다른 연소연료가 연소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먼저 점화기(17)가 작동하여 불씨를 소정시간, 예를 들어 30초 동안 형성시킴과 동시에 연료공급밸브가 개방된다.
한편, 연료밸브 개방신호에 의해 래크와 피니언 기어에 연결된 모터(29)가 구동되어 연소실 쪽으로 조절댐퍼(21)를 전진시킴으로써 개방되는 외부 하우징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소통구(20)를 통해서 연소용 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1차 연소공기는 내부관(19)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2차 연소공기는 덕트(20e)를 통하여 고로가스용 노즐의 일측으로 선회하여 공급됨으로써 화염 분산을 방지함과 동시에 저 칼로리의 고로가스의 연소시에는 연소공기의 유속을 증대시켜 화염을 집중시키게 된다.
그리고, 버너에 추가로 다른 연소연료를 점화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술된 바와 같은 점화기(17)의 동작과정없이 해당 가스의 공급밸브가 개방되어 각각의 챔버와 노즐을 통해 연소연료가 분사됨으로써 연소실에서의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점화기(17)는 연소연료를 최초 점화시키는 경우에만 불씨형성을 위하여 동작하게 된다.
또한, 전로가스용 공급밸브의 개방에 의해, 전로가스는 전로가스용 챔버(15-1)와 노즐(15-2)을 통해 내부관(19) 내측에서 분사되어 연소된다. 한편, 전로가스 용 챔버(15-1)의 가장자리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2개의 노즐(15-4a)을 통해 분사되는 전로가스는 고로가스용 노즐영역에서 고로가스와 함께 분사되어 저 칼로리인 고로가스의 연소시 화염의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철소 부생가스 중단시에는 공급되는 중유가 연소될 수 있도록 점화기(17)는 중유 연료공급용 건하우징(16)의 내부에 불씨를 형성한다. 이때, 버너 타일(14d)은 고 칼로리의 연료가 확산 연소됨으로써 발생되는 고열로부터 고로가스용 노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저 칼로리 연료인 고로가스용 유입구(14)는 다른 부생가스와의 열용량을 유량으로 만회하기 위하여 큰 원주상의 몸체내경과 내부관 외경으로 다량의 고로가스가 유입되도록 하며, 고로가스의 점화시에는 안정적인 착화 유도와 화염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어기에서는 데이타를 수집 분석하여 복합버너에 공급되는 연소가스의 공급압력이 200㎜H2O 이상인 경우에만 점화되도록 하여 연료공급밸브의 개방시 순간 압력의 강하에 의하여 화염이 버너측으로 역화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보일러의 노내 압력이 항상 마이너스(-)의 부압으로 유지된 상태에서만 연료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 화염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복합버너에 고로가스가 단독으로 연소되는 경우에도 고로가스의 점화개시에 의하여 고 칼로리의 연료인 코크스 가스나 중유를 강제적으로 공급하여 연소시킨 후 고로가스용 공급밸브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착화가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점화가 완료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고 칼로리의 연료의 연소는 수동으로 소화되도록 하여 각각 버너 작동에 있어서 불씨 형성과 공기 조절댐퍼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철소 부생가스 연소용 버너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버너몸체에 여러 종류의 연료의 연소가 가능하고 부생가스 회수상태에 따라서 각 버너마다 연료를 선택적으로 연소하도록 함으로써 가스발생 상황에 따른 버너작동에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산되는 것을 억제하고 또한 운전휴지중인 보일러 연소구를 배제하여 연소실에 고른 열 분포로 인한 연소효율 증대와 보일러 수관의 국부적인 가열에 의한 수관 팽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저 칼로리의 연료인 고로가스의 안정적인 연소제어에 의해 고로가스의 점화시 착화 불량에 따른 가스역화현상 또는 폭발 등의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합버너 구성에 의한 연소공기 공급장치와 불씨형성 장치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변 부속설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Claims (2)

  1. 연소실의 측벽을 관통하여 고정설치되고 제철소에서 생성되는 고로가스, 전로가스 및 코크스 가스와, 중유를 연소시키기 위한 버너에 있어서,
    일단부가 폐쇄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연소실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고 측벽에 복수개의 공기 소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외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코크스 가스가 유입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코크스 가스용 챔버가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단부 내측에 부착되고 상기 코크스 가스용 챔버에 유입된 코크스 가스를 상기 연소실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코크스 가스용 노즐이 유체소통이 가능하게 일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원통부재와,
    상기 원통부재의 외부에 상기 전로가스가 유입될 수 있는 소정크기의 전로 가스용 챔버가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기 전로 가스용 챔버에 유입된 전로가스를 상기 연소실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전로 가스용 노즐이 유체소통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격리벽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외부 하우징과 동축을 이루도록 상기 격리벽으로부터 상기 외부 하우징의 타단부를 향해서 설치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고로가스가 유입되어 상기 연소실로 분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로가스용 노즐이 유체소통이 가능하게 일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고로 가스용 챔버를 한정하는 내부관과,
    상기 외부 하우징과 동축을 이루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코크스 가스용 챔버를 관통하여 상기 외부 하우징의 타단부를 향해서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을 향해서 중유를 분사할 수 있는 중유 연소용 건하우징과,
    상기 중유 연소용 건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분사되는 중유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측벽에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공기 소통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의 외주면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댐퍼와,
    상기 조절댐퍼를 활주시키기 위한 활주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소 부생가스 연소용 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구동수단은 상기 외부 하우징의 외벽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서 구동하도록 상기 조절댐퍼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롤러와, 상기 조절댐퍼의 일측에 연결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소 부생가스 연소용 버너.
KR1020010068883A 2001-11-06 2001-11-06 제철소 부생가스 연소용 버너 Expired - Fee Related KR100844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883A KR100844800B1 (ko) 2001-11-06 2001-11-06 제철소 부생가스 연소용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883A KR100844800B1 (ko) 2001-11-06 2001-11-06 제철소 부생가스 연소용 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809A KR20030037809A (ko) 2003-05-16
KR100844800B1 true KR100844800B1 (ko) 2008-07-07

Family

ID=2956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883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4800B1 (ko) 2001-11-06 2001-11-06 제철소 부생가스 연소용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8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047B1 (ko) * 2018-10-23 2019-06-27 김은희 정비가 용이한 제철소 부생가스 연소용 버너
KR102053648B1 (ko) * 2019-06-20 2019-12-09 김은희 정비가 용이한 제철소 부생가스 연소용 버너
KR20200127327A (ko) * 2019-05-02 2020-11-11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분사 장치 및 방법
KR102178641B1 (ko) * 2019-07-19 2020-11-13 국방과학연구소 가변형 연소 공간을 갖는 추진기관 모의 공압 시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압 시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274B1 (ko) * 2006-10-24 2007-12-04 주식회사 포스코 복합버너의 공기유입조절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9511U (ko) * 1988-02-23 1989-09-04
KR20000012330U (ko) * 1998-12-16 2000-07-05 이구택 부생가스 혼합장치
JP2001108225A (ja) * 1999-10-12 2001-04-20 Osaka Gas Co Ltd 混焼バー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排ガス処理装置
JP2001280604A (ja) * 2000-03-31 2001-10-10 Osaka Gas Co Ltd 混焼バー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排ガス処理装置
KR100445236B1 (ko) * 1996-04-23 2004-11-12 보루카노 가부시키가이샤 저칼로리가스의연소방법및연소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9511U (ko) * 1988-02-23 1989-09-04
KR100445236B1 (ko) * 1996-04-23 2004-11-12 보루카노 가부시키가이샤 저칼로리가스의연소방법및연소장치
KR20000012330U (ko) * 1998-12-16 2000-07-05 이구택 부생가스 혼합장치
JP2001108225A (ja) * 1999-10-12 2001-04-20 Osaka Gas Co Ltd 混焼バー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排ガス処理装置
JP2001280604A (ja) * 2000-03-31 2001-10-10 Osaka Gas Co Ltd 混焼バー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排ガス処理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047B1 (ko) * 2018-10-23 2019-06-27 김은희 정비가 용이한 제철소 부생가스 연소용 버너
KR20200127327A (ko) * 2019-05-02 2020-11-11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분사 장치 및 방법
KR102239239B1 (ko) * 2019-05-02 2021-04-12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분사 장치 및 방법
KR102053648B1 (ko) * 2019-06-20 2019-12-09 김은희 정비가 용이한 제철소 부생가스 연소용 버너
KR102178641B1 (ko) * 2019-07-19 2020-11-13 국방과학연구소 가변형 연소 공간을 갖는 추진기관 모의 공압 시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압 시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809A (ko) 200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11458B1 (en) Low NOx premix burner apparatus and methods
TWI292463B (en) Tubular flame burner, combustion controlling apparatus thereof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bustion thereby
JPH05126316A (ja) 火室内での燃料燃焼法及び装置
EP2078896A2 (en) Three stage low nox burner system with controlled stage air separation
KR101770595B1 (ko)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
CN201050790Y (zh) 硫磺回收装置尾气焚烧炉燃烧器
US20080081301A1 (en) Low NOx combustion
KR100844800B1 (ko) 제철소 부생가스 연소용 버너
TW200928234A (en) Burner pilot with virtual spinner
TWI551824B (zh) 燃燒裝置的燃燒控制方法
CN202938299U (zh) 气化炉燃烧器
KR100860320B1 (ko) 제철소의 부생가스 연소용 버너장치
RU2206824C2 (ru) Топка
JP5537298B2 (ja) 廃棄物処理設備の燃焼室の燃焼バーナ
KR20180138243A (ko) 악조건하에서 안정적인 연소가 가능한 공기와 가스 사전 혼합형 버너
JP6041662B2 (ja) 粉体燃焼装置
KR100761888B1 (ko) 고온 용융로용 버너
JP5537299B2 (ja) 廃棄物処理設備の燃焼室
DE4329726C2 (de) Kachelgrundofen
KR20030062166A (ko) 브라운가스 물기름 연소기
RU2294484C1 (ru) Топка
KR0125646Y1 (ko) 폐기가스 연소장치
KR102354371B1 (ko) 연소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 연소를 위한 소각용 버너구조
JP5930249B1 (ja) 廃油ストーブ
CN114183758B (zh) 一种低热值煤气焚烧废弃物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11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1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