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44505B1 - 질화-산화알루미늄 박막 내의 음성 고정전하를 이용한 박판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질화-산화알루미늄 박막 내의 음성 고정전하를 이용한 박판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505B1
KR100844505B1 KR1020060112749A KR20060112749A KR100844505B1 KR 100844505 B1 KR100844505 B1 KR 100844505B1 KR 1020060112749 A KR1020060112749 A KR 1020060112749A KR 20060112749 A KR20060112749 A KR 20060112749A KR 100844505 B1 KR100844505 B1 KR 100844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silicon substrate
solar cell
type silicon
aluminum nit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4000A (ko
Inventor
준 신 이
Original Assignee
준 신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준 신 이 filed Critical 준 신 이
Priority to KR1020060112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505B1/ko
Publication of KR20080044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1/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1/121The active layers comprising only Group IV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10/00Individual photovoltaic cells, e.g. solar cells
    • H10F10/10Individual photovoltaic cells, e.g. solar cell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F10/14Photovoltaic cells having only PN homojunction potential barriers
    • H10F10/146Back-junction photovoltaic cells, e.g. having interdigitated base-emitter regions on the back s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7Monocrystalline silicon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p-형 실리콘 기판의 후면에 질화-산화알루미늄(AlON) 절연박막을 증착 형성함으로써, p-형 실리콘 기판의 두께를 200㎛ 이하의 박형으로 제조하면서 휨 발생 및 파손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질화-산화알루미늄 박막 내의 음성 고정전하를 이용한 박판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p-형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식각 처리하여 p-형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조직화 하는 단계(S1); p-형 실리콘 기판의 전면 상부에 n-형 도핑층을 형성하는 단계(S2); n-형 도핑층의 전면 상부에 반사방지막층을 형성하는 단계(S3); p-형 실리콘 기판 후면 하부에 음성 고정전하를 가지는 질화-산화알루미늄(AlON) 절연박막층을 증착하는 단계(S4); p-형 실리콘 기판의 후면 하부에 국부적으로 후면전계층을 형성함과 아울러 후면전계층을 따라 후면금속전극을 형성 하는 단계(S5); 및 반사방지막층 전면 상부에 전면금속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열처리 소성을 거쳐 완성하는 단계(S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질화-산화알루미늄 박막 내의 음성 고정전하를 이용한 박판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SOLAR CELL FABRICATION METHOD OF THIN SILICON WAFER USING THE NEGATIVE FIXED CHARGES IN ALUMINUM OXY-NITRIDE ON THIN FILMS}
도 1은 종래 후면 이산화 규소 절연막과 국부적인 금속 접촉방법에 의해 제조된 태양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종래 스크린인쇄 금속전극 태양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실리콘 웨이퍼의 휨 발생을 보인 개략도이며,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실리콘 웨이퍼의 두께에 따른 웨이퍼 구부러짐 및 휨의 변화를 나타낸 표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질화-산화알루미늄 박막 내의 음성 고정전하를 이용한 박판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순서를 보인 도면이며,
도 5a 내지 도 5d는 열처리 조건에 따른 X-선 회절 패턴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 흡수 스펙트럼을 통한 AlN 박막의 화학적 조성성분과 화학적결합 확인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절연박막층의 고정 전하형태에 따른 에너지 벤드 변화 도이며, 그리고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절연박막층에 음의 고정 전하량에 따른 후면 재결합 속도 변화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태양전지 110 : p-형 실리콘 기판
120 : n-형 도핑층 130 : 반사방지막층
140 : 절연박막층 150 : 후면전계층
160 : 후면금속전극 170 : 전면금속전극
180 : 전면전극 버스바 190 : 그리드전극
본 발명은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p-형 실리콘 기판의 후면에 질화-산화알루미늄(AlON) 절연박막을 증착 형성함으로써, p-형 실리콘 기판의 두께를 200㎛ 이하의 박형으로 제조하면서 휨 발생 및 파손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질화-산화알루미늄 박막 내의 음성 고정전하를 이용한 박판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래 에너지원의 개발 필요성이 심각하게 대두됨에 따라 그 대체 에너지로서 무한정, 무공해의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기술에 관한 연구가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태양의 광 에너지를 흡수하여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 화시키는 태양전지(solar cell)는 화석연료, 원자력, 수력 등을 이용한 기존의 발전이 야기하는 공해, 에너지원의 제한 등이 없어 다양한 산업분야에 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태양전지는 현재 산업분야에 95% 이상이 실리콘 반도체에 pn접합으로 태양전지를 제작하고 있다. 실리콘 반도체의 금지대폭보다 큰 에너지를 가진 태양광이 입사되면 전자-정공 쌍이 생성되는데, 이러한 전자-정공이 pn 접합부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전자는 n층으로, 정공은 p층으로 모이게 됨에 따라 pn간에 기전력(광기전력:photovoltaic power)이 발생하게 된다. 현재 시장점율의 90%를 차지하는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는 두께 300㎛ 내외의 원부자재를 사용하여 50매 단위 또는 100매 단위의 batch-type으로 양산되고 있다.
전술한 태양전지 관련기술은 광에너지의 효과적인 흡수를 위한 표면 조직화(texturing), 광 생성전하의 효과적인 분리를 위한 pn 접합 형성기술(doping), 분리된 전하를 손실을 최소화한 상태로 수집하는 기술로 금속전극 형성기술(metallization), 입사된 빛을 전기로 변화하는데 저가, 대면적, 고효율화, 대량생산 기법과 연관된다.
도 1은 종래 후면 이산화 규소 절연막과 국부적인 금속 접촉방법에 의해 제조된 태양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태양전지 후면에 이산화 규소박막을 형성하고 국부적으로 산화막을 제거하여 후면에 도포된 알루미늄 전극이 국부적으로 실리콘과 접촉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후면 재결합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전변환 효율을 높게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후면 전면에 고진공에서 알루미늄 순수금속을 2㎛ 이하로 형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종래 스크린인쇄 금속전극 태양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실리콘 웨이퍼의 휨 발생을 보인 개략도이며,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실리콘 웨이퍼의 두께에 따른 웨이퍼 구부러짐 및 휨의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도 2 내지 3b를 참조하면, 스크린인쇄 금속전극 태양전지는 현재 산업분야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태양전지이다. 이러한 태양전지는 기존 250㎛ 이상의 실리콘 기판의 후면 전체에 알루미늄을 15㎛ 이상 스크린 인쇄한 후, 700℃ 이상에서 고온 열처리 소성하여 제작되는데, 열처리 공정에서 알루미늄 금속은 고온에서 열팽창이 많고, 실리콘은 고온에서 열팽창이 작기 때문에 고온 열처리 후 냉각과정에서 열팽창 계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실리콘 웨이퍼에 휨(bow)이 발생하게 된다(도 3a 참조).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의 두께가 200㎛에서 구부러져 휘는 정도가 1㎜까지 상승함을 볼 수 있는데, 휨이 0.5㎜ 이상이 발생하면 제조공정에서 파손이 증가하여 양산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p-형 실리콘 기판의 후면에 질화-산화알루미늄(AlON) 절연박막을 증착 형성함으로써, p-형 실리콘 기판의 두께를 200㎛ 이하의 박형으로 제조하면서 휨 발생 및 파손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질화-산 화알루미늄 박막 내의 음성 고정전하를 이용한 박판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200㎛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p-형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한 쪽 면당 5㎛ 이내로 식각 처리가 가능한 질산과 불산 초순수물을 7:1:5로 혼합한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상기 p-형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조직화 하는 단계(S1);
p-형 실리콘 기판의 전면 상부에 n-형 도핑층을 형성하는 단계(S2);
n-형 도핑층의 전면 상부에 반사방지막층을 형성하는 단계(S3);
p-형 실리콘 기판 후면 하부에 음성 고정전하를 가지는 질화-산화알루미늄(AlON) 절연박막층을 증착하는 단계(S4);
p-형 실리콘 기판의 후면 하부에 국부적으로 후면전계층을 형성함과 아울러 후면전계층을 따라 후면금속전극을 형성 하는 단계(S5); 및
반사방지막층 전면 상부에 전면금속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열처리 소성을 거쳐 완성하는 단계(S6)를 포함하는 하는 질화-산화알루미늄 박막 내의 음성 고정전하를 이용한 박판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절연박막층은 AlN 타켓에 100 Watt의 RF를 인가하면서 99.9%의 아르곤 가스를 주입하여 15분 동안 전처리 스퍼터링 및 50분 동안 스퍼터링을 하여 증착한 후, 산소 분위기에서 30분 동안 600℃, 700℃ 그리고 800℃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p-형 실리콘 기판에 증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p-형 실리콘 기판의 후면에 질화-산화알루미늄(AlON) 절연박막을 증착 형성함으로써, p-형 실리콘 기판의 두께를 200㎛ 이하의 박형으로 제조하면서 휨 발생 및 파손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화-산화알루미늄 박막 내의 음성 고정전하를 이용한 박판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질화-산화알루미늄 박막 내의 음성 고정전하를 이용한 박판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순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10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두께 200㎛의 p-형 실리콘 기판(110)의 표면을 식각 처리하여 p-형 실리콘 기판(110)의 표면을 조직화 한다(단계 S1). 여기서 식각 용액으로는 질산(HNO3)과 불산(HF) 그리고 초순수 물(H2O; DI water)의 혼합용액이 사용되며, 상기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한 쪽 면당 5㎛이내로 식각 처리한다. 바람직하는 식각 용액은 질산(HNO3), 불산(HF), 초순수 물(H2O; DI water)이 7:1:5 비율로 혼합되는데, 상기 혼합비율로 제조된 식각 용액의 질산(HNO3)은 원활하게 실리콘 표면을 산화시키고, 불산(HF)은 원활하게 산화막을 제거하며, 그리고 초순수 물(H2O; DI water)은 원활한 희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p-형 실리콘 기판(110)이 준비되면, p-형 실리콘 기판(110)의 전면 상부에 n-형 도핑층(120)을 형성한 후(단계 S2), n-형 도핑층(120)의 전면 상부에 다시 반사방지막층(130)을 형성한다(단계 S3).
n-형 도핑층(120)은 인산을 포함한 용액(H3PO4+초순수 물)을 p-형 실리콘 기판(110)의 전면 상부에 도포한 후, 벨트 퍼니스를 사용해 850~900℃의 온도에서 15~25분 동안 열처리하여 면 저항값이 45~80Ω/sq 사이 값을 가지도록 형성하는데, 상기 온도 및 상기 시간이 상기 한정된 수치 내에서만 표면재결합 손실을 최소하면서도 도핑층의 접촉저항을 작게하여 고효율의 태양전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질화막을 사용하여 반사방지막층(130)은 플라즈마 화학증착법(PECVD), 또는 스퍼터링법(sputtering), 또는 상압 화학 증착법(APCVD) 방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반사손실을 최적하면서도 반사방지막층(130)의 자체 흡수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해 굴절율은 n=2~2.3 사이 값을 가지고 두께는 55~80㎚ 사이 값을 가지도록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p-형 실리콘 기판(110)의 전면 상부에 n-형 도핑층(120) 및 반사방지막층(130)이 형성되면, p-형 실리콘 기판(110)의 후면 하부에 음성 고정전하를 가지는 질화-산화알루미늄(AlON) 절연박막층(140)을 증착 형성한다(단계 S4). 절연박막층(140)을 p-형 실리콘 기판(110)에 증착하기 위해서는 AlN 박막에 100 Watt의 RF를 인가하면서 99.9%의 아르곤 가스를 주입하여 15분동안 전처리 스퍼터링 및 50분동안 스퍼터링을 하여 증착한 후, 최적의 소성온도를 얻기 위해 산소 분위기에서 30분 동안 600℃, 700℃ 그리고 800℃의 온도로 열처리한다. 바람직 하게는 플라즈마에 이온에 의한 기판의 열, 격자, 손상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100 Watt의 낮은 RF 전력을 사용하였으며, AlN 박막은 6.7×10-3㎩의 기본 압력과 0.267㎩의 작동압력을 맞추기 위해 순도 99.9%의 아르곤 가스를 사용하였다.
하기에는 AlON 특성을 살펴본다. 실험장비로는 1㎒ 고주파 정전용량-전압 특성은 MDC 소프트웨어 및 Keithely 617, HP impedance 분석기로 HF/LF 4192 분석 시스템을 이용해 측정되었고, 결정 면 및 성장 방향은 40kV 및 100mA에서 작동된 Cu Kα를 갖는 X선 회절기(Rigaku, Japan)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음성 고정전하를 가지는 절연박막의 화학적 특성은 적외선 스펙트럼을 분석하기 위해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기(Bruker, Germany)를 이용하였다.
표 1.은 열처리 조건에 따른 평탄 대역 전압 및 평탄 대역 전압 변화량을 나타낸 것이다.
표 1.을 참조하면, 증착 후 열처리 하지 않은 AlN 박막에서 -18.5V의 매우 커다란 음의 평탄 대역 전압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열처리 온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열처리한 AlON 박막에서 최소 3.5V의 양의 값을 가짐을 볼 수 있다. 열처리 온도가 700℃일 때 AlON 박막 평탄 대역 전압은 6.5V 만큼 높은 양의 값을 가짐을 알 수 있고, 이때 평탄 대역 전압은 증착 후 열처리 하지 않은 AlN와 비교해서 25V 만큼의 증가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처리 온도가 평탄 대역 전압의 증가에 있어서 순수한 AlN 박막이 결정화 과정과 산화작용을 통해서 AlON 박막으로 변환되어 음성 고정전하형성에 주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emperature(℃) VFB ΔVFB
As deposited -18.5V (양의 고정전하) 0V
600 +4.5V (음의 고정전하) +23V
700 +6.5V (음의 고정전하) +25V
800 +3.5V (음의 고정전하) +22V
표 1. 열처리 조건에 따른 평탄 대역 전압 및 평탄 대역 전압 변화량
음의 고정전하(negative fixed charge) 밀도 Qfc는 다음의 공식을 통해 구해진다.
Figure 112006083537613-pat00001
Figure 112006083537613-pat00002
=
Figure 112006083537613-pat00003
-
Figure 112006083537613-pat00004
여기서,
Figure 112006083537613-pat00005
는 평탄 대역 전압,
Figure 112006083537613-pat00006
는 게이트 일 함수,
Figure 112006083537613-pat00007
는 고정 전하,
Figure 112006083537613-pat00008
는 산화막에서의 정전 용량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퍼터링법을 통해 AlN 박막을 성장하고 후속 열처리 과정에서 절연박막의 결정화 과정과 산화작용을 통해 AlON 박막을 형성하면 6.5V의 양의 값을 가지면서 평탄 대역 전압 및 1×1013-2의 음의 고정전하량을 가지는 AlON 박막을 증착시킴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X-선 회절 패턴을 통해서 AlN 박막에 열처리 온도의 영향에 따른 결정의 방향성을 알 수 있다. 600℃, 700℃ 그리고 800℃ 각각이 열처리 온도에 따라 X-선 회절 패턴은 다른 피크 값을 나타낸다. 도 5a는 열처리 온도에 따른 X-선 회절 곡선을 나타낸 것이며, 도 5b는 증착 후 열처리 하지 않은 AlN 박막에서만 오직 33.1°에 위치한 AlN 피크를 볼 수 있다. 도 5c에서는 61.6°에 위치한 Al2O3 피크를 볼 수 있으며, 도 5b에서는 65.8°에 위치한 AlN 피크와 66.4°에 위치한 Al2O3 피크를 볼 수 있다. 여기서 평탄 대역 압이 높은 양 의 값을 가지는 온도일 때 오직 33.1°에 위치한 AlN 피크 값을 제외한 다른 각도에서의 피크 값 역시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순수한 AlN 박막은 열처리 조건에 따라서 AlO와 AlN이 혼합된 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변화가 음성 고정전하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6은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기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668㎝-1에서의 알루미늄-질소 결합의 강한 흡수 피크는 AlN의 광학적 포논 모드에 의해 생긴 것이며, 또한 613㎝-1에서 알루미늄-산소 결합 흡수 피크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기의 결과는 정전용량-전압 곡선 결과와 X-선 회절 패턴결과와 같이 AlN 박막이 열처리 온도에 의존적임을 보인다. 순수한 AlN 박막은 대기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열처리에 따라서 산화가 진행되고 음성 고정전하를 가지는 AlO와 AlN이 혼합된 AlON 상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AlON 특성을 살펴 본 결과, 높은 온도에서 평탄 대역 전압의 최고치는 AlON 박막의 전기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었으며, 게다가 Al/AlON/Si의 금속/절연체/실리콘 구조의 음의 고정전하 밀도의 값이 정전용량-전압 측정을 통해 1×1013-2의 값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AlN 박막을 back surface field를 위해 사용함으로써 결정 실리콘 태양전지의 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p-형 실리콘 기판(110)의 후면 하부에 질화-산화알루미늄(AlON) 절연박막층(140)이 형성되면(단계 S4), p-형 실리콘 기판(110)의 후면 하 부에 국부적으로 후면전계층(150)을 형성함과 아울러 후면전계층(150)을 따라 후면금속전극(160)을 형성한다(단계 S5). 후면금속전극(160)은 AgAl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국부적으로 스크린 인쇄된 후, 페이스트 내에 포함된 유기물 및 binding agent가 충분히 휘발 될 수 있도록 250℃의 온도에서 20초 동안 건조를 실시한다. 바람직하게는 AgAl 페이스트는 재료비손실과 소성이후 박형 기판의 실리콘 웨이퍼가 휨으로 인한 파손을 막기 위해 알루미늄 3%이하의 은 금속 페이스트를 채택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금속전극(160)의 간격과 폭은 태양전지 면적에 대하여 30%이하에서 0.5%까지의 후면금속전극(160)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후면금속전극(160)이 형성되면(단계 S5), 반사방지막층(130) 전면 상부에 전면금속전극(170)을 형성함과 동시에 열처리 소성을 거쳐 태양전지(100)를 완성하는데(단계 S6), 스크린 인쇄를 통해서 반사방지막층(130)의 전면 상부에 전면전극 버스바(180) 및 그리드(grid) 전극(190)을 Ag 페이스트로 인쇄한 후, 금속 페이스트 내에 포함된 유기물 및 binding agent가 충분히 휘발될 수 있도록 250℃에서 20초 동안 건조하고, 절연박막층(140) 형성 시 음의 고정전하가 가장 크게 발생한 온도, 즉 700℃에서 30분 동안 벨트 퍼니스를 이용하여 열처리 소성하여 태양전지(100)를 완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절연박막층의 고정 전하형태에 따른 에너지 벤드 변화도이며, 그리고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절연박막층에 음의 고정 전하량에 따른 후면 재결합 속도 변화 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태양전지(100)는 p-형 실리콘 기판(110)의 두께를 200㎛ 이하로 제조하더라고 p-형 실리콘 기판(110)의 후면 하부에 음의 고정 전하를 이용한 질화-산화알루미늄(AlON)으로 이루어진 절연박막층(140)을 형성함으로써, 태양전지(100) 제조과정에서 휨을 방지하면서 보다 개선된 표면 재결합 손실감소를 통해 에너지 변환효율 16% 이상의 태양전지(100)를 양산화가 가능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p-형 실리콘 기판(110)의 후면 절연박막층(140)에 음의 고정 전하가 존재하면 p-형 실리콘 기판(110)의 표면에 홀(정공)을 축적하여 후면에 p-p+형 후면전계(back surface field)효과로 개방전압을 향상하고 효율향상을 한다. 따라서 전기적으로 후면에 전계를 형성하여 전자가 후면 전극 표면쪽으로 재결합 손실하는 작용을 방지하여 태양전지 변환 손실을 축소하고 변환효율 향상이 달성된다. 그리고 도 9에 음의 고정전하량 3×1012-2 이상의 음의 고정전하량에서 후면 재결합 손실이 축소되고 8×1012-2 이상의 음의 고정전하량에서는 후면 재결합 속도가 10㎝/sec 이하로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태양전지(100)는 p-형 실리콘 기판(110)의 후면에 음성 고정전하를 가지는 질화-산화알루미늄(AlON)으로 이루어진 절연박막층(140)을 형성함으로써, p-형 실리콘 기판(110)의 두께가 200㎛ 이하여도 태양전지(100)의 제조과정에서 휨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변환효율 16% 이상의 태양전지(100)를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p-형 실리콘 기판(110)의 두께를 200㎛ 이하로 감축함으로써, 원료비용을 1/3이상 감축할 수 있으면서 높은 전력을 얻을 수 있어 와트당 단가를 하락시켜 태양전지(100)를 저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200㎛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p-형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한 쪽 면당 5㎛ 이내로 식각 처리가 가능한 질산과 불산 초순수물을 7:1:5로 혼합한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상기 p-형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조직화 하는 단계(S1);
    상기 p-형 실리콘 기판의 전면 상부에 n-형 도핑층을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n-형 도핑층의 전면 상부에 반사방지막층을 형성하는 단계(S3);
    상기 p-형 실리콘 기판 후면 하부에 음성 고정전하를 가지는 질화-산화알루미늄(AlON) 절연박막층을 증착하는 단계(S4);
    상기 p-형 실리콘 기판의 후면 하부에 국부적으로 후면전계층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후면전계층을 따라 후면금속전극을 형성 하는 단계(S5); 및
    상기 반사방지막층 전면 상부에 전면금속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열처리 소성을 거쳐 완성하는 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산화알루미늄 박막 내의 음성 고정전하를 이용한 박판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에서의 상기 n-형 도핑층은 인산을 포함한 용액(H3PO4+초순수 물)을 상기 p-형 실리콘 기판의 전면 상부에 도포한 후, 벨트 퍼니스를 사용해 850~900℃의 온도에서 15~25분 동안 열처리하여 면 저항값이 45~80Ω/sq 사이 값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산화알루미늄 박막 내의 음성 고정전하를 이용한 박판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3)에서의 상기 반사방지막층은 플라즈마 화학증착법(PECVD), 또는 스퍼터링법(sputtering), 또는 상압 화학 증착법(APCVD) 방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굴절율은 n=2~2.3 사이 값을 가지고 두께는 55~80㎚ 사이 값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산화알루미늄 박막 내의 음성 고정전하를 이용한 박판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4)에서의 상기 절연박막층은 AlN 박막에 100 Watt의 RF를 인가하면서 99.9%의 아르곤 가스를 주입하여 15분동안 전처리 스퍼터링 및 50분동안 스퍼터링을 하여 증착한 후, 산소 분위기에서 30분 동안 600℃, 700℃ 그리고 800℃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상기 p-형 실리콘 기판에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산화알루미늄 박막 내의 음성 고정전하를 이용한 박판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5)에서의 상기 후면금속전극은 AgAl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국부적으로 스크린 인쇄된 후, 250℃의 온도에서 20초 동안 건조를 거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산화알루미늄 박막 내의 음성 고정전하를 이용한 박판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금속전극의 간격과 폭은 태양전지 면적에 대하여 30%이하에서 0.5%까지의 면적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산화알루미늄 박막 내의 음성 고정전하를 이용한 박판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6)에서의 상기 열처리 소성은 벨트 퍼니스를 이용하여 700℃에서 30분 동안 열처리 소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산화알루미늄 박막 내의 음성 고정전하를 이용한 박판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20060112749A 2006-11-15 2006-11-15 질화-산화알루미늄 박막 내의 음성 고정전하를 이용한 박판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0844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749A KR100844505B1 (ko) 2006-11-15 2006-11-15 질화-산화알루미늄 박막 내의 음성 고정전하를 이용한 박판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749A KR100844505B1 (ko) 2006-11-15 2006-11-15 질화-산화알루미늄 박막 내의 음성 고정전하를 이용한 박판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000A KR20080044000A (ko) 2008-05-20
KR100844505B1 true KR100844505B1 (ko) 2008-07-08

Family

ID=39662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749A KR100844505B1 (ko) 2006-11-15 2006-11-15 질화-산화알루미늄 박막 내의 음성 고정전하를 이용한 박판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5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97528A (zh) * 2009-11-04 2011-06-15 三星电子株式会社 太阳能电池及其制造方法
CN102576765A (zh) * 2009-08-27 2012-07-11 三洋电机株式会社 太阳能电池串和使用它的太阳能电池模块
KR101172619B1 (ko) * 2010-12-08 2012-08-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Ain 패시베이션막을 구비하는 실리콘 태양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861A (ko) * 2009-10-30 2011-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764119B (zh) * 2021-09-07 2024-11-08 南通天盛新能源股份有限公司 高方阻n型太阳能电池正面电极用银铝浆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739B1 (ko) * 1997-01-31 2004-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20050045047A (ko) * 2003-11-10 2005-05-17 준 신 이 친산화성 금속박막을 이용한 낮은 접촉저항과 반사방지막실리콘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739B1 (ko) * 1997-01-31 2004-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20050045047A (ko) * 2003-11-10 2005-05-17 준 신 이 친산화성 금속박막을 이용한 낮은 접촉저항과 반사방지막실리콘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562789B1 (ko) 2003-11-10 2006-03-21 준 신 이 친산화성 금속박막을 이용한 낮은 접촉저항과 반사방지막실리콘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76765A (zh) * 2009-08-27 2012-07-11 三洋电机株式会社 太阳能电池串和使用它的太阳能电池模块
CN102097528A (zh) * 2009-11-04 2011-06-15 三星电子株式会社 太阳能电池及其制造方法
KR101172619B1 (ko) * 2010-12-08 2012-08-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Ain 패시베이션막을 구비하는 실리콘 태양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000A (ko) 200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2924B2 (en) Method for preparing an N+PP+ or P+NN+ structure on silicon wafers
JP5863391B2 (ja) 結晶シリコン系太陽電池の製造方法
JP6285545B2 (ja) 太陽電池素子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6350279B2 (ja) 塗布型材料、太陽電池素子及び電界効果パッシベーション膜付シリコン基板
RU2456709C2 (ru) Солнечный элемент и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 для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160134814A (ko) 태양 전지의 후면에 전도성 고분자/Si 계면
KR102120147B1 (ko)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및 태양 전지
CN104851931B (zh) 具有梯度结构的碲化镉薄膜太阳能电池及其制造方法
CN110444611A (zh) 一种氧化物钝化接触的太阳能电池及其制备方法
KR100844505B1 (ko) 질화-산화알루미늄 박막 내의 음성 고정전하를 이용한 박판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US2011013628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acked film and solar cell
JP2014011246A (ja) 太陽電池素子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477220B2 (ja) 太陽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5744202B2 (ja) アルミナ膜の形成方法
TWI650872B (zh) 太陽能電池及其製造方法、太陽能電池模組及太陽能電池發電系統
JP5623131B2 (ja) 太陽電池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118231516A (zh) 一种双面poly选择性钝化接触电池制备方法
JP2001250968A (ja) 結晶シリコン薄膜半導体装置、結晶シリコン薄膜光起電力素子、および結晶シリコン薄膜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5173370B2 (ja) 光電変換素子の製造方法
JP6434310B2 (ja) パッシベーション膜、塗布型材料、太陽電池素子及びパッシベーション膜付シリコン基板
KR20130100432A (ko)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시스템
KR102212042B1 (ko) 원자층 증착법으로 형성된 버퍼층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4296599A (ja) 薄膜多結晶シリコン太陽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N118630073B (zh) 一种电池
CN216563157U (zh) 太阳能电池背面结构及tbc背接触太阳能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