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42516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516B1
KR100842516B1 KR1020070002506A KR20070002506A KR100842516B1 KR 100842516 B1 KR100842516 B1 KR 100842516B1 KR 1020070002506 A KR1020070002506 A KR 1020070002506A KR 20070002506 A KR20070002506 A KR 20070002506A KR 100842516 B1 KR100842516 B1 KR 100842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key
keypads
keypad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병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2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516B1/ko
Priority to US11/843,993 priority patent/US20080167097A1/en
Priority to EP07023892A priority patent/EP194494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1Including a rotatable keypad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하여 개폐되는 다수개의 키패드를 구성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액정표시장치가 구비되는 제 1 하우징과, 제 1 키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로 상기 제 1 하우징을 제 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 2 하우징과, 제 2, 3 키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의 하부에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 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2, 3 키패드를 서로 나란하게 배열시키는 제 3 하우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다수개의 키들과 대형 액정표시장치의 구비하여 단말기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인해 키패드들에 제공된 키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뿐만아니라, 다수개의 키들을 쿼티(QWERTY) 키배열로 제공하여 양손으로 문자 입력 및 게임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 1, 2 하우징, 제 1, 2, 3 키패드.

Description

휴대 단말기{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중 제 3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중 제 3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 후 회전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중 제 3 하우징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중 제 1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중 제 2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중 제 2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 후 회전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중 제 1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중 제 2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중 제 2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 후 회전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중 제 2 하우징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중 제 2 하우징을 제 1 하우징의 액정표시장치의 양측면에 배열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단말기에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하여 개폐되는 다수개의 키패드를 구성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로는 HHP, CT-2 셀룰라 폰, 디지털 폰, PCS 폰 및 PDA등를 칭하며, 외형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 바-타입(bar-type), 플립-타입(flip-type) 또는 폴더-타입(folder-type) 무선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타입 무선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타입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타입 휴대 단말기는 바-타입의 하우징에 힌지 장치에 의해 플립이나 커버가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타입 휴대 단말기는 단일의 바-타입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신체 착용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타입(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타입(wrist wearable-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타입 휴대 단말기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타입 휴대 단말기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타입(rotation-type), 슬라이딩-타입(sliding-type) 및 슬라이딩/회전(sliding swimg)타입 무선 단말기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타입 휴대 단말기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타입 휴대 단말기는 두 개의 하우징 중, 하나의 하우징이 길이방향 슬라이딩이동으로 대면한 상태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슬라이딩/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는 두개의 하우징 중 하나의 하우징을 길이방향 슬라이딩 이동 한후 그 상태에서 또 다른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휴대 단말기는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열거한 종래의 휴대 단말기들은 필수적으로 안테나 장치, 데이터 입출력 장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구비하 게 된다. 물론,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는 주로 손가락 누름 동작으로 데이터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터치 패드나 터치 스크린이 사용되기도 한다.
아울러, 데이터 출력장치에 따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기능은 액정표시장치를 보편적으로 사용한다.
아울러 화상통화를 위하여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촬영 수단이 카메라 렌즈를 구비하며, 이를 통하여 상대방과 화상 통화를 하거나,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는 두개의 하우징이 대면한 상태에서 하우징이 한쪽방향으로만 슬라이딩 되어 고정된 하우징 길이의 1/2정도까지 개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단말기의 전체 면적을 사용할 수 없어 키들과 액정표시장치의 설치을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말기의 제한된 면적에 제공된 적은 수의 키들로 인해 문자 입력이나 게임기능으로 사용시 키조작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단말기에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하여 개폐되는 다수개의 키패드를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하부에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하여 개폐되는 다 수개의 키패드를 구성함으로써, 키패드들에 제공된 키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하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키패드를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하여 서로 나란하게 배열시킴으로써, 다수개의 키들을 쿼티(QWERTY) 키배열로 제공하여 양손으로 문자 입력 및 게임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이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액정표시장치가 구비되는 제 1 하우징;
제 1 키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로 상기 제 1 하우징을 제 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 2 하우징; 및
제 2, 3 키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의 하부에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 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2, 3 키패드를 서로 나란하게 배열시키는 제 3 하우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제 1 키패드가 구비되는 본체 하우징;
액정표시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에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 딩 이동하고, 제 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 및
제 2, 3 키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면에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 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2, 3 키패드를 서로 나란하게 배열시키는 제 2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제 1 키패드와 액정표시장치가 구비되는 제 1 하우징; 및
제 2, 3 키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하우징의 하부에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 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2, 3 키패드를 서로 나란하게 배열시키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휴대 단말기(10)는 제 1, 2, 3 하우징(20)(30)(40)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하우징(20)은 액정표시장치(21) 및 스피커 장치(2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하우징(30)은 마이크 장치(32)가 구비되고, 제 1 키패드(31)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하우징(20)과 대면한 상태로 상기 제 1 하우징(20)을 제 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하우징(20) 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 3 하우징(40)은 제 2, 3 키패드(41)(42)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하우징(30)의 하부에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 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2, 3 키패드(31)(41)(42)를 서로 나란하게 배열하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제 1 키패드(31)는 5x4 키배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키패드(31)는 제 1, 2 키영역(31a)(31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 1 키영역(31a)은 3x4키배열로 이루어지고, 제 2 키영역(31b)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키(3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 2 키영역(31b)은 상기 제 1 키영역(31a)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제 3 하우징(40)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 3 하우징(40)을 슬라이딩 이동 후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하우징(30)의 후면과 결합되도록 결합홈(43)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제 2, 3 키패드(41)(42)는 3x4 키배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1, 2, 3 키패드(31)(41)(42)는 상기 제 3 하우징(40)을 슬라이딩 이동 후 회전시 상기 제 3 하우징(40)의 결합홈(43)이 상기 제 2 하우징(30)의 후면과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3 키패드(41)(42)도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 1 키패드(31)의 양측면에 상기 제 2, 3 키패드(41)(42)를 위치시켜 상기 제 1, 2, 3, 키패드(31)(41)(42)들을 서로 나란하게 배치하도록 상기 제 2, 3 하우징(30)(40)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다.
도 1과 같이, 상기 제 1 키패드(31)는 단말기(10)를 통화모드 기능으로 사용 시 제 1 키패드(31)의 키를 번호 키 및 문자 키로 사용하도록 상기 제 2 하우징(30)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다.
도 4와 같이, 상기 제 2, 3 키패드(41)(42)는 상기 제 1 키패드(31)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단말기(10)를 쿼티(QWERTY) 키배열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 3 하우징(40)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다.
도 4와 같이, 상기 제 1, 2 하우징(30)(40)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힌지축(A1)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하우징(20)을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제 1 힌지 장치(미도시 됨)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2, 3 하우징(30)(40)의 사이에는 상기 제 3 하우징(40)을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제 2 힌지 장치(미도시 됨)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 1 하우징(20)에는 액정표시장치(21)와, 스피커 장치(22)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하우징(30)의 상면에는 상기 제 1 하우징(20)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2 하우징(30)(40)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하우징(20)을 상기 제 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 1 힌지 장치(미도시 됨)가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하우징(30)의 하부에는 제 3 하우징(40)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3 하우징(30)(40)의 사이에는 상기 제 3 하우징(40)을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 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 2 힌지 장치(미도시 됨)가 구비된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10)를 쿼티(QWERTY) 및 게임용 키로 사용할 경우 상기 제 3 하우징(40)을 상기 제 2 하우징(30)의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 3 하우징(40)의 제 2 키패드(41)가 개방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 3 하우징(40)을 상기 제 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도 4와 같이, 상기 제 3 하우징(40)에 형성된 결합홈(43)이 상기 제 2 하우징(3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3 하우징(40)이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3 키패드(41)(42)도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 2 하우징(30)의 제 1 키패드(31)의 양측면에 서로 나란하게 배열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보조키(33)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20)을 상기 제 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4와 같이, 상기 제 1, 2, 3 키패드(31)(41)(42)는 서로 나란하게 배열됨과 아울러 쿼티(QWERTY) 키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단말기를 게임모드로 사용시 게임용 키로도 사용가능하다.
도 1과 같이, 상기 제 1 키패드(31)는 5x4 키배열로 이루어지고, 제 1, 2 키영역(31a)(31b)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제 1 키영역(31a)은 3x4 키배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키영역(31b)은 상기 제 1 키영역(31a)의 양측을 따라서 배열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키(33)로 이루어진다..
도 4와 같이, 상기 제 2, 3 키패드(41)(42)는 3x4 키배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1과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를 폰모드 기능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제 3 하우징(40)을 제 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원위치 시키고, 상기 제 1 하우징(20)도 상기 제 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원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하우징(30)에 구비된 제 1 키패드(31)를 이용하여 번호 키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키패드(31)의 제 1 키영역(31a)은 3x4 키배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키영역(31a)에는 번호 키로 사용할 수 있게 숫자가 인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는 본체 하우징(110)과, 제 1, 2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120)(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120)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130)이 구비된다.
도 8 및 도 9와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는 제 1 키패드(111) 및 마이크 장치(113)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120)에는 대형 액정표시장치(121)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 장치(122)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130)에는 제 2, 3 키패드(131)(132)가 구비된다.
도 10과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110)과 상기 제 1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120)의 사이에는 제 1 힌지축(A1)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120)을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제 1 슬라이딩 회전 힌지 장치(미도시 됨)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 하우징(110)과 상기 제 2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130)의 사이에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130)을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제 2 슬라이딩 회전 힌지 장지(미도시 됨)가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단말기(100)를 폰모드 기능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제 1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120)을 상기 본체 하우징(110)으로 부터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이때, 상기 제 1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120)의 상면에 구비된 제 1 키패드(111)가 개방된다. 상기 제 1 키패드(111)는 제 1, 2 키영역(111a)(11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키영역(111a)은 3x4키배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번호키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키영역(111a)은 숫자가 인쇄되어 있다.
여기서, 도 7 내지 도 10과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쿼티(QWERTY) 및 게임용 키로 사용할 경우 상기 제 2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130)을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130)의 제 2 키패드(131)가 개방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130)을 상기 제 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도 8 및 도 9와 같이, 상기 제 2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130)에 형성된 결합홈(133)이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2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130)이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3 키패드(131)(132)도 함께 회전하여 개방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제 1 키패드(111)의 양측면에 서로 나란하게 배열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키(112)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도 10과 같이, 상기 제 1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120)을 상기 제 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 1, 2, 3 키패드(111)(131)(132)는 서로 나란하게 배열됨과 아울러 쿼티(QWERTY) 키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단말기(100)를 게임모드로 사용시 게임용 키로도 사용가능하다.
도 10과 같이, 상기 제 1 키패드(111)는 5x4 키배열로 이루어지고, 제 1, 2 키영역(111a)(111b)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제 1 키영역(111a)은 3x4 키배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키영역(111b)은 상기 제 1 키영역(111a)의 양측을 따라서 배열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키(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3 키패드(131)(132)는 3x4 키배열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 내지 도 14와 같이, 휴대 단말기(200)는 제 1 키패드(211)와, 액정표시장치(212)와, 스피커 장치(213) 및 마이크 장치(214)가 구비된 제 1 하우징(210)과. 제 2, 3 키패드(221)(222)가 구비된 제 2 하우징(220)으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210)의 하부에는 제 2 하우징(220)을 구비된다. 상기 제 1, 2 하우징(210(220)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하우징(210)을 상기 제 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회전 힌지 장치(미도시 됨)가 구비된다.
여기서,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를 쿼티(QWERTY) 및 게임용 키로 사용할 경우 상기 제 2 하우징(220)을 상기 제 1 하우징(210)의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하우징(220)의 제 2 키패드(221)가 개방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하우징(220)을 상기 제 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 하우징(220)에 형성된 결합홈(223)이 상기 제 1 하우징(2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2 하우징(220)이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3 키패드(221)(222)도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 1 하우징(210)의 제 1 키패드(211)의 양측면에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도 14와 같이, 상기 제 1, 2, 3 키패드(211)(221)(222)는 서로 나란하게 배열됨과 아울러 쿼티(QWERTY) 키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단말기(200)를 게임모드로 사용시 게임용 키로도 사용가능하다. 상기 제 1 키패드(211)는 5x4 키배열로 이루어지고, 제 1, 2 키영역(211a)(211b)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제 1 키영역(211a)은 3x4 키배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키영역(211b)은 상기 제 1 키영역(211a)의 양측을 따라서 배열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키(2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3 키패드(221)(222)는 3x4 키배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1과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200)를 폰모드 기능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제 2 하우징(220)을 제 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원위치 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210)에 구비된 제 1 키패드(211)를 이용하여 번호 키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키패드(211)의 제 1 키영역(211a)은 3x4 키배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키영역(211a)에는 번호 키로 사용할 수 있게 숫자가 인쇄되어 있다.
또한, 도 15와 같이, 상기 제 2, 3 키패드(221)(222)는 상기 제 2 하우징(220)과 상기 제 1 하우징(210)을 서로 대면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 하우징(220)을 바로 회전시켜 상기 제 1 하우징(210)의 액정표시부(212)의 양측면에 배치한다.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에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하여 개폐되는 다수개의 키패드를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인해 키패드들에 제공된 키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에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하여 개폐되는 다수개의 키패드를 구성함으로써, 다수개의 키들과 대형 액정표시장치의 구비하여 단말기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인해 키패드들에 제공된 키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뿐만아니라, 단말기의 하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키패드를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하여 서로 나란하게 배열시킴으로써, 다수개의 키들을 쿼티(QWERTY) 키배열로 제공하여 양손으로 문자 입력 및 게임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액정표시장치가 구비되는 제 1 하우징;
    제 1 키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로 상기 제 1 하우징을 제 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 2 하우징; 및
    제 2, 3 키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의 하부에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 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2, 3 키패드를 서로 나란하게 배열시키는 제 3 하우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패드는 5x4 키배열로 이루어지고, 제 1, 2 키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키영역은 3x4 키배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키영역은 상기 제 1 키영역의 양측을 따라서 배열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하우징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 3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 후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하우징의 후면과 결합되는 결합홈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3 키패드는 3x4 키배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1, 2, 3 키패드는 상기 제 3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 후 회전시 상기 제 3 하우징의 결합홈이 상기 제 2 하우징의 후면과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3 키패드도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 1 키패드의 양측면에 상기 제 2, 3 키패드를 위치시켜 상기 제 1, 2, 3 키패드들을 서로 나란하게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2, 3 키패드는 쿼티(QWERTY) 키배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하우징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힌지축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하우징을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 1 힌지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3 하우징의 사이에는 상기 제 3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 2 힌지 장치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제 1 키패드가 구비되는 본체 하우징;
    대형 액정표시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에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 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 및
    제 2, 3 키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면에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 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2, 3 키패드를 서로 나란하게 배열시키는 제 2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패드는 5x4 키배열로 이루어지고, 제 1, 2 키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키영역은 3x4 키배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키영역은 상기 제 1 키영역의 양측을 따라서 배열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 후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 면과 결합되는 결합홈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3 키패드는 3x4 키배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키패드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 후 회전시 상기 제 2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의 결합홈이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면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3 키패드도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 1 키패드의 양측면에 상기 제 2, 3 키패드를 위치시켜 상기 제 1, 2, 3 키패드들을 서로 나란하게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1, 2, 3 키패드는 쿼티(QWERTY) 키 배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과 제 1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힌지축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 동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 1 슬라이딩 회전 힌지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제 2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의 사이에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회전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 2 슬라이딩 회전 힌지 장치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제 1 키패드와 액정표시장치가 구비되는 제 1 하우징; 및
    제 2, 3 키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하우징의 하부에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 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2, 3 키패드를 서로 나란하게 배열시키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패드는 5x4 키배열로 이루어지고, 제 1, 2 키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키영역은 3x4 키배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키영역은 상기 제 1 키영역의 양측을 따라서 배열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 3 하우징을 슬 라이딩 이동 후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하우징의 후면과 결합되는 결합홈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3 키패드는 3x4 키배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1, 2, 3 키패드는 상기 제 2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 후 회전시 상기 제 2 하우징의 결합홈이 상기 제 1 하우징의 후면과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3 키패드도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 1 키패드의 양측면에 상기 제 2, 3 키패드를 위치시켜 상기 제 1, 2, 3 키패드들을 서로 나란하게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1, 2, 3 키패드는 쿼티(QWERTY) 키배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하우징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힌지축을 제 공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회전 힌지 장치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3 키패드는 상기 제 2 하우징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1 하우징의 액정표시부의 양측면에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3.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제 2, 3 키패드가 구비되고, 제 1 하우징의 하부에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하여 상기 제 1 하우징에 제공된 제 1 키패드와 상기 제 2, 3 키패드를 서로 나란하게 배열시키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002506A 2007-01-09 2007-01-09 휴대 단말기 KR100842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506A KR100842516B1 (ko) 2007-01-09 2007-01-09 휴대 단말기
US11/843,993 US20080167097A1 (en) 2007-01-09 2007-08-23 Mobile phone
EP07023892A EP1944949A1 (en) 2007-01-09 2007-12-10 Mobile phone having a plurality of keypa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506A KR100842516B1 (ko) 2007-01-09 2007-01-09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2516B1 true KR100842516B1 (ko) 2008-07-01

Family

ID=39284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506A KR100842516B1 (ko) 2007-01-09 2007-01-09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167097A1 (ko)
EP (1) EP1944949A1 (ko)
KR (1) KR1008425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468B1 (ko) * 2005-06-27 2007-06-1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0713479B1 (ko) * 2006-06-08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스윙 거치 장치
TW200917929A (en) * 2007-10-05 2009-04-16 Qisda Corp Bilateral sliding module and the electronic device for using the same
JP2009111878A (ja) * 2007-10-31 2009-05-21 Fujifilm Corp 携帯機器及び撮像装置
TWI420890B (zh) * 2007-12-26 2013-12-21 Htc Corp 手持電子裝置及其使用者介面之切換方法
USD601994S1 (en) * 2008-06-11 2009-10-13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8103322B2 (en) 2009-02-27 2012-01-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two device members slidable relative to a bridge
ATE531188T1 (de) * 2009-02-27 2011-11-15 Research In Motion Ltd Tragbare elektronische vorrichtung mit zwei vorrichtungselementen, die in bezug auf eine brücke verschiebbar sind
US20100277415A1 (en) * 2009-04-30 2010-11-0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ultimedia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5363890B2 (ja) * 2009-06-26 2013-12-1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EP2312811B1 (en) 2009-10-13 2015-02-18 BlackBerry Limited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slide-and-twist mechanism
US8332000B2 (en) 2009-10-13 2012-12-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slide-and-twist mechanism
US9154592B2 (en) * 2010-02-05 2015-10-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veable housing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EP2387212B1 (en) 2010-05-10 2013-01-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liding display
US8532721B2 (en) 2010-12-23 2013-09-10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liding display providing event notification
US8723890B2 (en) 2010-12-23 2014-05-13 Blackberry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sliding display and position configurable camera
US8514179B2 (en) 2010-12-23 2013-08-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age compensating display
US20120224301A1 (en) * 2011-03-04 2012-09-06 Albert Murray Pegg Slidable and rotat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aligning the surfaces of the keypad and display portions
US20120224302A1 (en) * 2011-03-04 2012-09-06 Albert Murray Pegg Slidable and rotat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aligning the surfaces of the keypad and display portions
TWI462683B (zh) * 2012-02-01 2014-11-21 Wistron Corp 可攜式電子裝置
CN104460827B (zh) * 2013-09-12 2017-11-07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USD821345S1 (en) * 2015-11-26 2018-06-26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5760A (ja) 2000-08-08 2002-02-20 Alps Electric Co Ltd 携帯型情報端末
US20040185922A1 (en) 2003-02-06 2004-09-23 Thomas Sutton Smartphone with novel opening mechanism
US20060046797A1 (en) * 2004-08-31 2006-03-02 Hsiao-Wu Chen Slidable and automatic rotatable apparatus
KR20060097291A (ko) * 2005-03-05 2006-09-14 주식회사 팬택 엘씨디 모듈의 자동 회전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57050U (en) * 2002-08-12 2003-10-01 Lite On Technology Corp Two-part keyboard
JP4650997B2 (ja) * 2003-11-14 2011-03-16 ユーエムイー・インシュアランス・インク 多機能携帯電話機
KR100631670B1 (ko) * 2003-12-09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EP1594293A3 (en) * 2004-05-06 2006-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swing-type portable apparatus having self-retaining function
DE102004047030A1 (de) * 2004-09-28 2006-04-13 Siemens Ag Mobiltelefon oder mobiles Handteil eines Schnurlostelefons
US7512427B2 (en) * 2005-09-02 2009-03-31 Nokia Corporation Multi-function electronic device with nested sliding panels
JP2007179525A (ja) * 2005-11-30 2007-07-12 Casio Comput Co Ltd 携帯型電子機器
KR100743093B1 (ko) * 2005-12-21 2007-07-27 주식회사 팬택 디스플레이 파트 및 키 패드 파트를 포함하는개인휴대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5760A (ja) 2000-08-08 2002-02-20 Alps Electric Co Ltd 携帯型情報端末
US20040185922A1 (en) 2003-02-06 2004-09-23 Thomas Sutton Smartphone with novel opening mechanism
US20060046797A1 (en) * 2004-08-31 2006-03-02 Hsiao-Wu Chen Slidable and automatic rotatable apparatus
KR20060097291A (ko) * 2005-03-05 2006-09-14 주식회사 팬택 엘씨디 모듈의 자동 회전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44949A1 (en) 2008-07-16
US20080167097A1 (en) 200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516B1 (ko) 휴대 단말기
KR100640388B1 (ko) 터치 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663573B1 (ko) 3축 회전 폴더 타입 휴대 장치
KR100703418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장치
US7395100B2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keys moved up/down by rotation
KR100630067B1 (ko) 피디에이 겸용 이축 힌지 타입 휴대 통신 장치
KR100403370B1 (ko)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장치
KR20070075243A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40018169A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US20070004477A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slidable and foldable housings
KR20050038982A (ko)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20040021366A (ko) 확장 데이터 입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
KR20050050334A (ko) 스틱 기능을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장치
US20070010301A1 (en) Portable terminal with slide keypad for convenient data input
KR10090954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장치
KR100469855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1058737B1 (ko)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557095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40056780A (ko) 이축 회전방식 휴대용 단말기
KR20050027669A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381140B1 (ko)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양방향 키패드 어셈블리
KR100929076B1 (ko) 액정표시장치를 중심에 위치시키는 슬라이딩/회전 타입휴대 단말기
KR20070007538A (ko) 슬라이딩/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KR20070007546A (ko) 터치 입력용 보조 장치를 가진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
KR20040044212A (ko) 보조 폴더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