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03370B1 -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장치 - Google Patents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3370B1
KR100403370B1 KR10-2001-0061000A KR20010061000A KR100403370B1 KR 100403370 B1 KR100403370 B1 KR 100403370B1 KR 20010061000 A KR20010061000 A KR 20010061000A KR 100403370 B1 KR100403370 B1 KR 100403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cd
window
speaker
m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7631A (ko
Inventor
오경호
박전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1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3370B1/ko
Priority to US10/154,575 priority patent/US6865400B2/en
Publication of KR20030027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37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인터페이싱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무선 단말기의 인터페이싱 장치는 메인 엘씨디와 다수 개의 키들이 제공된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에서 개폐되는 스피커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과 스피커 하우징을 연결하는 힌지 수단; 및 상기 힌지 수단에 연결되고, 소정 형상의 창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 하우징과 스피커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개폐되며, 다 수개의 키들의 배열을 포함하는 키 탑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보조 엘씨디를 구비하여 상기 키패드 하우징이 열린 경우, 상기 창을 통하여 상기 보조 엘씨디를 인터페이싱할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장치{USER'S INTERFACING UNIT FOR PDA/TELEPHONE COMBINATION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디에이와 셀룰러 무선 단말기를 겸용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셀룰러 단말기는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면서 사용자에게 상대방과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국을 의미한다. 이러한 셀룰러 단말기는 외관상으로 바형, 플립형 또는 폴더형 단말기 등으로 구분하기도 하고, 착용위치에 따라서 손목착용형 또는 목걸이 착용형 단말기 등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또한, 사용 기능에 따라서 음성 통신용, 영상 통신용 또는 인터넷 통신용 단말기 등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그러나, 향후에는 착용 편리성과 사용 편리성을 추구한 보다 다양한 단말기가 주류를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한 셀룰러 단말기는 데이터 입출력부, 송수화부, 안테나 장치 등을 필수적으로 구비하게 된다. 데이터 입력부로 다수 개의 키들로 구성된 공지의 키패드가 주로 사용되고, 데이터 출력부로 엘씨디가 사용된다. 또한 송화부로 마이크장치가 사용되고, 수화부로 스피커가 사용된다. 한편, 데이터 입력수단으로 터치 스크린이나 음성인식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현재 보편화되 무선 단말기는 경량화 및 소형화되어지는 추세이지만, 본체가 소형화되면 동시적으로 엘씨디와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패드가 소형화되어져야 하며, 엘씨디가 소형화되면, 표시된 데이터의 확인이 쉽지 않고, 키패드가 소형화되면 손가락 누름동작으로 데이터 입력이 쉽지 않은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문제로 인하여 무선 단말기의 소형화에 제약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두 가지 목적, 즉 휴대용 단말기를 소형화함과 아울러 엘씨디와 키패드를 크게 하는 과제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보다 다양한 인터넷 환경에 따라서 다양한 기능이 무선 단말기에 요구되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보다 많은 키들과, 넓어진 엘씨디기 요구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무선 단말기 사용 시, 셀룰러 전화기로 사용하는 단순한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피디에이로 사용되는 이메일 전송 또는 채팅이나 그 밖의 부가 서비스를 위하여 보다 많은 키들과 넓어진 엘씨디가 필요한게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셀룰러 전화기와 피디에이 기능을 겸할 수 있는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디에이로 사용될 시, 스피커 하우징에 보조 엘씨디가 제공되어 표시된 데이터가 보여지는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성 애플리케이션을 보조 엘씨디에 표시하고, 한 번의 클리킹으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킬 수 있는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 엘씨디와 다수 개의 키들이 제공된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에서 개폐되는 스피커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과 스피커 하우징을 연결하는 힌지 수단; 및 상기 힌지 수단에 연결되고, 소정 형상의 창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 하우징과 스피커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개폐되며, 다 수개의 키들의 배열을 포함하는 키 탑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보조 엘씨디를 구비하여 상기 키패드 하우징이 열린 경우, 상기 창을 통하여 상기 보조 엘씨디를 인터페이싱할 수 있게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스피커 하우징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스피커 하우징이 완전히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셀룰러 전화기로 사용될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키패드 하우징이 열리는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키패드 하우징이 완전히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피디에이로 사용될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투명창이 제공된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기와 피디에이를 겸용으로 사용가능한 무선 단말기이다. 도 1은 휴대 상태의 무선 단말기이다. 도 2는 셀룰러 전화기 모드로 사용될 시의 무선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피디에이 모드로 사용될 시의 무선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는 키패드 하우징(30)의 개폐여부에 따라서 셀룰러 전화기 모드나 피디에이 모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드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무선 단말기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는 한 개의 힌지 수단(H)(hinge means)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3개의 하우징(10,20,30)과, 상기 3개의 하우징 중, 선택된 두 개의 하우징에 각각 제공된 엘씨디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세 개의 하우징은 상기 한 개의 힌지 수단(H)에 연결된 메인 하우징(10)(main housing)과, 스피커 하우징(20)(speaker housing)과, 상기 메인 하우징(10)과 스피커 하우징(20) 사이에 배치되는 키 탑 하우징(30)(key top housing)으로 구성된다.
상기 두 개의 엘씨디는 상기 메인 하우징(10)에 제공된 메인 엘씨디(110)와, 상기 스피커 하우징(20)에 제공된 보조 엘씨디(21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엘씨디(110)는 메인 하우징(10)의 상면에 소정위치에 와이드 엘씨디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 엘씨디(210)는 스피커 하우징(20)의 저면(20a) 소정 위치에 장착된다. 상기 보조 엘씨디(210)가 장착된 소정 위치는 힌지 축(A)에 근접하게 장착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메인 하우징(10)과, 스피커 하우징(20) 및 키 탑 하우징(30)은 한 개의 힌지 축(A)을 중심으로 통화 각도까지 개폐 동작을 한다. 상기 통화 각도는 메인 하우징(10)을 중심으로 스피커 하우징(20)이나 양 방향 키 탑 하우징(30)의 회전 각도량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 하우징(20)이나 키 탑 하우징(30)의 통화 각도는 약 135°에서 160°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단말기는 사용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스피커 하우징(20)이나 키 탑 하우징(30)이 메인 하우징(10)에서 닫힌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는 힌지축(A)을 중심으로 연결된 메인 하우징(10), 상기 메인 하우징(10) 상에 위치하는 키 탑 하우징(30), 상기 키 탑 하우징(30) 상에 위치하는 스피커 하우징(20)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 단말기는 키 탑 하우징(30)이 열리는 경우에 동시적으로 상기 스피커 하우징(20)도 함께 열리는 구조이다. 참조번호211은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개폐동작이 쉽도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피커 하우징(20)은 상면(20b)(top surface)과 저면(20a)(bottom surface)을 구비하며, 상기 저면(20a) 소정 위치에 스피커(220)와 보조 엘씨디(210)가 장착된다. 상기 스피커(220) 하측에 보조 엘씨디(210)가 장착된다. 즉, 상기 스피커(220)는 힌지 축(A)에서 원거리에 위치하고, 상기 보조 엘씨디(210)는 힌지 축(A)에 근접한 곳에 위치한다.
상기 키 탑 하우징(30)은 양면 즉, 상면(30a)과 저면(30b)을 구비하며, 상기 상면(30a)에 다수 개의 키(311)들의 배열로 구성된 키패드와 창(310)이 장착된다. 상기 키패드는 주로 음성 통신, 즉 셀룰러 전화기 기능을 위하여 숫자 키(311)들의 배열 및 센드 키 및 파워 키 등을 포함하는 키들 배열로 이루어진다. 상기 키 탑 하우징(30)의 저면(30b)에는 선택된 키(311)를 눌렀을 경우, 상기 대형 엘씨디(110)에 터치되도록 접점용 돌기(311a)가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창(310)은 개구 또는 투명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단말기가 셀룰러 전화기로 사용되는 모드인 경우, 상기 창(310)은 메인 하우징(10)에 구비된 대형 엘씨디(110)에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를 키 탑 하우징(30)을 열지 않고 확인하기 위함이며, 상기 무선 단말기가 피디에이로 사용되는 모드인 경우, 상기 창(310)은 보조 엘씨디(210)에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를 키 패드 하우징을 열지 않고 확인하기 위함이다.
상기 날짜, 시간, 안테나 수신감도, 배터리 잔여량 등을 표시하는 아이콘은 상기 대형 엘씨디(110)의 상부쪽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셀룰러 전화기 모드에서 창(310)을 통해 표시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엘씨디(210)는 론처(launcher)로서 사용된다. 즉, 일반적인 사용자는 론처 사용 목적으로 자주 이용하는 몇몇 응용 툴(tool)을 미리 몇개의 아이콘으로 지정해 둔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할 때, 손가락이나 펜으로 한 번 클릭함으로써 동작시키게 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보조 엘씨디의 사용 목적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몇 번의 입력방법을 거치지 않고, 마우스를 클리킹하는 동작과 유사하게 단 한 번의 클리킹 동작으로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보조 엘씨디(210)는 필기체 입력 프로그램(handwriting)의 입력창으로 사용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대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하우징(10)은 상면(101) 대부분을 차지하는 대형 엘씨디(110)가 장착된다. 상기 대형 엘씨디(110)는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대체될 수 있다. 만약에 상기 대형 엘씨디(110)가 터치 스크린으로 대체된다면, 공지의 터치 센시티브 패널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대형 엘씨디(110)를 통하여 사용자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스피커 하우징(20)이 열린 상태이고, 상기 키패드 하우징(30)이 메인 하우징(10)에서 닫힌 상태, 즉 셀룰러 전화기 모드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 키 누름 동작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된 데이터는 대형 엘씨디(110)의 상부쪽에 표시되며, 상기 창(310)을 통해서 사용자는 표시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키패드 하우징(30)에 미 도시된 센서를 설치하여 자동개폐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상기 스피커 하우징(20)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보조 엘씨디(210)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론처로 사용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피커 하우징(20)과 키패드 하우징(30)이 메인 하우징(10)에서 열린 경우, 사용자는 피디에이 모드로 사용한다. 동시적으로, 상기 창(310)을 통해서 보조 엘씨디(210)를 인터페이싱을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 패드 하우징에 제공된 창은 투명창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스피커 하우징에 론처로서 사용되기 위한 보조 엘씨디를 장착하게 구성함으로써, 한번의클릭으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해 지는 이점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보조 엘씨디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한 번의 클릭으로 동작시킬수 있게 됨으로서, 기존보다 더욱 넓어진 대형 엘씨디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Claims (7)

  1. 메인 엘씨디와 다수 개의 키들이 제공된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에서 개폐되는 스피커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과 스피커 하우징을 연결하는 힌지 수단; 및 상기 힌지 수단에 연결되고, 소정 형상의 창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 하우징과 스피커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개폐되며, 다 수개의 키들의 배열을 포함하는 키 탑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보조 엘씨디를 구비하여 상기 키패드 하우징이 열린 경우, 상기 창을 통하여 상기 보조 엘씨디를 인터페이싱할 수 있게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인터페이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엘씨디는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저면에서 힌지축에 근접하게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인터페이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은 상기 키패드 하우징의 상면에서 힌지축에 근접하게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인터페이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은 개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인터페이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은 투명창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인터페이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엘씨디에는 자주 사용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되며, 표시된 데이터는 한 번의 클리킹으로 동작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인터페이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엘씨디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
KR10-2001-0061000A 2001-09-29 2001-09-29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03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000A KR100403370B1 (ko) 2001-09-29 2001-09-29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장치
US10/154,575 US6865400B2 (en) 2001-09-29 2002-05-24 User interfacing device for PDA/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000A KR100403370B1 (ko) 2001-09-29 2001-09-29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631A KR20030027631A (ko) 2003-04-07
KR100403370B1 true KR100403370B1 (ko) 2003-11-01

Family

ID=19714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000A Expired - Fee Related KR100403370B1 (ko) 2001-09-29 2001-09-29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865400B2 (ko)
KR (1) KR1004033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4962B1 (en) 1997-10-03 2007-05-29 Karen Jeanne Kite Remote operational screener
US6776546B2 (en) * 2002-06-21 2004-08-17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keyboard overlay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screen
AU2002335996A1 (en) * 2002-09-11 2004-04-30 Nokia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utomated synchronization between terminals
US20040198419A1 (en) * 2002-10-07 2004-10-07 Sarcos Investments 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single hand use
US7565182B2 (en) * 2002-10-22 2009-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ell phone
JP4125653B2 (ja) 2002-10-30 2008-07-3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型情報端末装置
CN1236644C (zh) * 2002-11-12 2006-01-11 三星电子株式会社 能够提供立体声的便携式终端
US7353051B2 (en) * 2003-05-13 2008-04-01 Symbol Technologies, Inc. Torque cell
US7688311B2 (en) * 2003-05-14 2010-03-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device with rotatable keyboard
KR100754681B1 (ko) * 2003-07-23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 및 촬영 모드 감지 방법
US20130097302A9 (en) 2003-10-01 2013-04-18 Robert Khedouri Audio visual player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of content distribution using the same
US20060008256A1 (en) * 2003-10-01 2006-01-12 Khedouri Robert K Audio visual player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of content distribution using the same
US20050091431A1 (en) * 2003-10-23 2005-04-28 Robert Olodort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20050125570A1 (en) * 2003-10-23 2005-06-09 Robert Olodort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7212844B2 (en) * 2003-10-24 2007-05-01 Motorola Inc. Cellular telephone with improved mechanical design
KR20050073163A (ko) * 2004-01-09 2005-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식 표시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
US7330547B2 (en) * 2004-02-26 2008-02-12 Nokia Corporation Dual keypad phone
US7103432B2 (en) * 2004-06-02 2006-09-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Auto-configuration of hardware on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20060253770A1 (en) * 2005-05-05 2006-11-09 Qi Bi Point-to-talk service
KR100724116B1 (ko) * 2005-08-24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20070078857A1 (en) * 2005-09-30 2007-04-0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 device for browsing information feeds
US7493151B2 (en) * 2006-03-14 2009-02-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ousing arrangement for a portable device with a display
US8738103B2 (en) 2006-07-18 2014-05-27 Fractus, S.A. Multiple-body-configuration multimedia and smartphone multifunction wireless devices
WO2008047177A1 (en) * 2006-10-16 2008-04-24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two input devices
WO2008117098A1 (en) * 2007-03-27 2008-10-02 Gert Frederik Meyer A mobile telephone comprising a projector and a separable handset
KR20100030091A (ko) * 2008-09-09 2010-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
USD696665S1 (en) * 2009-12-25 2013-12-31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S8358395B1 (en) 2010-03-09 2013-01-22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Electronic display assembly comprising a display mount and a flex circuit wrapped around and adhered to the display mou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4054A (en) * 1994-07-18 1996-12-10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movable front cover for expos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KR970031466A (ko) * 1995-11-02 1997-06-26 구자홍 휴대형 개인 정보 통신 단말기
KR19990010399A (ko) * 1997-07-16 1999-02-18 윤종용 복합입력방식의 플립형 이동 단말기
KR200193403Y1 (ko) * 2000-03-14 2000-08-16 주식회사디스플레이테크 키패드 부착형 이동통신 단말장치
WO2000069151A1 (en) * 1999-05-06 2000-11-16 Qualcomm Incorporated Flip phone with pda and mode selec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8373A (ja) * 1999-03-29 2000-10-06 Ricoh Co Ltd 携帯型電子機器
US6349225B1 (en) * 1999-04-01 2002-02-19 Ericsson Inc. Hearing protec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U767415B2 (en) * 1999-05-06 2003-11-06 Qualcomm Incorporated Detection of flip closure state of a flip phone
US6642977B2 (en) * 2001-06-20 2003-11-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quid crystal displays with repositionable front polarizers
USD496655S1 (en) * 2002-12-30 2004-09-28 Sierra Wireless, Inc. Keyboard of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4054A (en) * 1994-07-18 1996-12-10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movable front cover for expos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KR970031466A (ko) * 1995-11-02 1997-06-26 구자홍 휴대형 개인 정보 통신 단말기
KR19990010399A (ko) * 1997-07-16 1999-02-18 윤종용 복합입력방식의 플립형 이동 단말기
WO2000069151A1 (en) * 1999-05-06 2000-11-16 Qualcomm Incorporated Flip phone with pda and mode selection
KR200193403Y1 (ko) * 2000-03-14 2000-08-16 주식회사디스플레이테크 키패드 부착형 이동통신 단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64750A1 (en) 2003-04-03
US6865400B2 (en) 2005-03-08
KR20030027631A (ko) 200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3370B1 (ko)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장치
KR100842516B1 (ko) 휴대 단말기
KR100516622B1 (ko)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
KR20040021366A (ko) 확장 데이터 입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
EP1806909B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ames and user interfacing device thereof
KR20030046891A (ko) 상폴더 외부에 터치스크린과 기능키를 구비하는 폴더형이동통신단말기
FI118621B (fi) Kannettava, avatun ja suljetun käyttöasennon käsittävä, taitettava elektroninen laite sekä sen kahvajärjestely
KR100800827B1 (ko) 플립 업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EP1739931A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slidable and foldable housings
US7899504B2 (en) 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display area widening mechanism
US7561686B2 (en) Mobile terminal
KR100640452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30035305A (ko) 외장형 카메라 렌즈 모듈이 장착된 스타일러스 및 이를채용한 무선 단말기
KR100849319B1 (ko) 피디에이 겸용 휴대용 단말기
KR20030068684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JP2005534237A (ja) 電子デバイス用の自動開放機構
KR100426268B1 (ko) 확장 액정화면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658207B1 (ko) 개인휴대단말기
KR100487192B1 (ko) 복합입력방식의플립형이동단말기
KR101161695B1 (ko) 회전 메커니즘을 통해 각 기능 인터페이스 요소에 대한액세스를 제공하는, 셀룰러 폰, 디지털 카메라 및 pda를통합한 디바이스
KR100754600B1 (ko) 휴대 단말기의 표시 장치용 결합장치
KR100381140B1 (ko)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양방향 키패드 어셈블리
JP2004357117A (ja) 携帯情報端末
KR100396522B1 (ko) 폴더형 통신 장치
KR100557095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9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0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0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