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40727B1 - 아데노신 a1, a2a 및 a3 수용체 특이 화합물 및 그의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아데노신 a1, a2a 및 a3 수용체 특이 화합물 및 그의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727B1
KR100840727B1 KR1020027007039A KR20027007039A KR100840727B1 KR 100840727 B1 KR100840727 B1 KR 100840727B1 KR 1020027007039 A KR1020027007039 A KR 1020027007039A KR 20027007039 A KR20027007039 A KR 20027007039A KR 100840727 B1 KR100840727 B1 KR 100840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formula
compounds
substituted
pheny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4327A (ko
Inventor
알린도 엘. 카스텔하노
브라이언 맥키벤
데이비드 제이. 위터
Original Assignee
오에스아이 파마슈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454,074 external-priority patent/US6878716B1/en
Priority claimed from US09/454,075 external-priority patent/US6686366B1/en
Application filed by 오에스아이 파마슈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오에스아이 파마슈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64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72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for throat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10Antioedematous agents; Diur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6Antiarrhyth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8Vasodilators for multiple ind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abet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Immu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Obesit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아데노신 A1, A2A, 및 A3 수용체를 억제하는 화합물 및 A1, A2A, 및 A3 아데노신 수용체와 관련된 대상체의 질병을 치료하되, 대상체에게 화합물의 치료학적 유효량만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들 화합물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데노신 수용체, 화합물, 사용방법

Description

아데노신 A1, A2A 및 A3 수용체 특이 화합물 및 그의 사용방법{COMPOUNDS SPECIFIC TO ADENOSINE A1, A2A AND A3 RECEPTOR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미국출원 09/454,074 (1999년 12월 2일자 출원), 09/454,254 (동일자 출원), 및 09/454,075 (동일자 출원)을 우선권으로 하는 연속 출원으로서, (i) 아데노신 A1 수용체 (특히 4-76페이지, 130-175페이지 및 257-287페이지에 언급된) (ii) 아데노신 A2a 수용체 (특히 176-201페이지에 언급된) 및 아데노신 A3 수용체 (특히 202-256페이지 및 294-300페이지에 언급된)에 특이결합하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아데노신은 다수 생리적 활성 특히 심장혈관 및 신경계 내에서의 활성을 조절하는 도처에 존재하는 모듈레이터이다. 아데노신의 영향은 특이 세포면 수용체 단백질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아데노신을 진정작용의 유발, 혈관확장, 심장박동의 억제 및 수축, 혈소판 응집의 저해, 당생성의 자극 및 지방분해의 저해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생리적 기능을 조절한다. 아데닐산 시클라제 (아데닐산염 고리화 효소: adenylate cyclase)에 대한 영향 이외에도, 아데노신은 칼륨 채널을 개 방하고, 칼슘 채널을 통한 플럭스를 감소시키며, 수용체-조절 메카니즘을 통한 포스포이노시타이드(PI) 전환의 저해 또는 자극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C.E. Muller and B. Stein "Adenosine Receptor Antagonists: Structures and Potential Therapeutic Applications,"Currrent Pharmaceutical Design, 2:501 (1996) 및 C.E. Muller "A1-Adenosine Receptor Antagonists," Exp.Opin.Ther. Patents 7(5): 419 (1997) 참조).
아데노신 수용체는 현재 P1 (아데노신) 및 P2 (ATP, ADP 및 기타 뉴클레오티드) 수용체로 하위구분되는 상과의 퓨린 수용체에 속한다. 뉴클레오시드 아데노신 관련의 4개의 수용체 서브종은 인간을 포함한 다양한 종으로부터 클론화되었다. 2개의 수용체 서브종 (A1 및 A2a)은 나노몰 범위로 아데노신에 대한 친화성을 나타내며 다른 두개의 공지된 서브종 A2a 및 A3은 저친화성 수용체로서 저-마이크로몰 범위의 아데노신 친화력을 갖는다. A1 및 A3 아데노신 수용체 활성화는 아데닐산 시클라제 활성의 억를 유도할 수 있는 반면 A2a 및 A2a의 활성화는 아데닐산 시클라제의 자극을 야기한다.
A1 길항물질 중 소수는 인식 관련 질환, 신장손상 및 심장부정맥 등의 치료를 위해 개발되었다. A2a 길항물질은 홍역 파킨슨 (파킨슨병) 환자에게 유익한 것으로 제안되었다. 특히, 국부전달력 측면에서,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물질은 알러지성 감염증 및 천식의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 실효적인 정보 (예, Nayce & Metzger "DNA antisense Therapy for Asthma in an Animal Model" Msture (1997) 385: 721-5)에 따르면 병리학적 측면에 관련하여 A1 길항물질이 연근육 아래의 호흡기 상피조직의 수축을 막을 수 있고 반면 A2b 또는 A3 수용체 길항물질은 히스타민 및 기타 감염성 조절제의 방출을 감소시키는 마스트셀의 응집분해 현상을 막을 수 있다고 지적되었다. A2b 수용체는 위장관 특히 결장부와 장내 상피조직에서 발견되었다. A2b 수용체가 cAMP 응답을 조정한다는 사실이 제기되었다 (Strohmeier et al., J.Bio.Chem. (1995) 270:2387-94 참조).
아데노신 수용체는 또한 각종 포유류 즉 소, 돼지, 원숭이, 래트, 기니아픽, 생쥐, 토끼 및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망막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Blazynski et al., Discrete Distributions of Adenosine Receptors in Mammalian Retina, Journal of Neurochemistry, volume 54, pages 648-655 (1990): Woods et al., Characterization of Adenosine A-Receptor Binding Sites in Bovine Retinal Membrane, Experimental Eye Research, volume 54, pages 325-332 (1991); 및 Braas et al., Endogenous adenosine and adenosine receptors localized to ganglion cells of the retin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volume 84, pages 3906-3910 (1987) 참조). 최근에는, 윌리엄의 보고서에서 배양된 인체 망막세포주 내 아데노신 전달위치를 관찰했다 (Williams, et al., Nucleoside Transport Sites in a Cultured Human Retinal Cell Line Established by SV-40 T Antigen Gene, Current Eye Research, volume 13, pages 109-118 (1994) 참조).
아데노신 흡수량을 조절하는 화합물은 과거에 망막 및 시신경 두부손상의 치료에 관련된 잠재의 치료학적 작용제로서 이미 제안되었다. 미국특허 5,780,450 에서 Shade는 눈질환 치료를 위한 아데노신 흡수 저해제의 사용을 연구하였으나 특이성 A3 수용체 저해제의 용도에 대해서는 발표하지 않았다. 미국특허 5,780,450의 내용을 참조한다.
별도의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물질이 약제학적으로 도구로써 필요하며 상기 질환 및/또는 상태를 치료할 약제로서 연구할 대상이다.
본 발명은 아데노신 A1 수용체에 선별결합하는 화합물에 기초하며, 따라서 대상에게 약제학적으로 유효량의 화합물을 투여하여 A3 아데노신 수용체 관련 질환을 치료한느 것이다. 치료 대상 질환은 인지력 질환, 신장손상, 심장부정맥, 호흡기 상피조직, 전달방출, 진정작용, 혈관수축, 서맥, 음성 심근수축 및 심변조 감소, 기관지수축, 뉴트로필 주화성(chemotaxis), 환류조건, 또는 궤양성 조건 등에 관계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부로서, 하기 설명된 임의의 N-6 치환된 된 7-디아자푸린으로 N-6 치환된 된 7-디아자푸린 대응 상태를 치료할 수 있다는 발견을 토대로 한다. 이러한 상태의 예로서는 아데노신 수용체의 활성이 증가하는 경우 즉, 기관지염, 위장병 또는 천식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태는 아세노신 수용체 활성화가 아데닐산 시클라제 활성의 저해나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은 에난시오머 또는 디아스테레오머형 순수 N-6 치환된 된 7-디아자푸린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은 아세타미드, 카르복사미드, 치환된 된 시클로헥실 즉 시클로헥사놀이나 또는 알킬렌 사슬을 통해 N-6 질소에 부착된 요소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아데노신 수용체의 활성 조정이 일어나는 방식에 따라, 포유동물에게 치료학적 유효량의 N-6 치환된 된 7-디아자푸린을 투여하여 포유동물 내에서의 아데노신 수용체를 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적절한 아데노신 수용체는 A1, A2 또는 A3 종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은 아데노식 수용체 질항제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천식, 기관지염, 알러지성 비염, 만성 장애형 폐질환, 망막증, 위장병 및 안질환 등의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 질환을 치료하는 것으로, 포유류에 대해 치료학적 유효량의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적절한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은 일반식(I)으로 도시된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01
(식I)
R1 및 R2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치환된 이나 비치환된 된 알킬, 아릴 또는 알킬아릴 성분이거나 함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헤테로고리를 형성한다. R3 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 아릴 또는 알킬아릴 성분이다. R4 은 수소원자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 아릴 또는 알킬아릴 성분이다. R5 및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즉, 염소, 불소 또는 브롬이거나 수소원자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 아릴 또는 알킬아릴 성분이거나, 또는 R5 는 카르복실,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또는 카르복사미드이거나, 또는 R4 이나 R5 및 R6 이 함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헤테로고리나 카르보고리를 형성한다.
어떤 실시태양에서, R1 및 R2 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시클로알킬이나 헤테로아릴알킬 성분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R3 은 수소원자나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헤테로아릴 성분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R4, R5 및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헤테로아릴 성분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태양에서, R1 는 수소원자이고, R2 는 시클로헥사놀 즉, 트랜스-시클로헥사놀이고, R3 은 페닐이고, R4 은 수소원자이고, R5 는 메틸기이고 R6 은 메틸기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R1은 수소원자이고, R2 은 다음 식으로 표현되며, R3 은 페닐기이고, R4 는 수소원자이 고 R5 및 R6 은 메틸기이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02
본 발명은 또한 포유류의 N-6 치환된 N-다아자푸린 응답 상태 즉, 천식, 기관지염, 알러지성 비염, 만성 장애형 폐질환, 신장질환, 위장병 및 안질환 등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을 제공한다.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량의 N-6 치환된 N-7 디아자푸린 및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포유류의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 응답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으로 조성물 완제품을 제공하는 것도 포함한다. 완제품에는 약제학적으로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N-6 치환된 N-디아자푸린을 함유하는 용기 및 포유류의 N-6 치환된 7-디아자린 응답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N-6 치환된 N-디아자푸린 사용 처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식(I)의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R1 은 수소;
R2 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시클로알킬,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 또는 R1 및 R2 이 함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헤테로고리를 형성하고;
R3 은 비치환된 또는 치환된 된 아릴;
R4 은 수소; 및
R5 및 R6 은 각각 수소나 알킬,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이다. 이 실시태양의 디아자푸린은 유리하게 선택되는 A3 수용체 길항물질이어도 좋다. 이들 화합물은 다수 치료학적 용도 예를 들어, 천식, 심장손상에 관련된 신장손상 및 녹내장 의 치료에 유용하다. 특별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디아자푸린은 예컨대 에스테르화 효소 촉매반응된 가수분해 등에 의해 체내 대사되어 활성약물로 변할 수 있는 수용성 프로약물(prodrug)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세포를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 (예, 바람직하게는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물질)과 접촉시키므로써 세포내의 아데노신 수용체 (가령, A3 )의 활성을 저해하는 방법에 관계한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동물 (예, 인간)에 유효량의 식(I)의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을 투여함으로써 동물의 눈손상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이 동물세포 내의 A3 아데노신 수용체의 길항물질이다. 손상은 망막 또는 시신경 두부손상이고 급성 또는 만성일 수 있다. 손상은 예컨대 녹내장, 부종, 빈혈, 저산소증 또는 외상의 결과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또한 식(I)의 N-6 치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약제학적으로 제조물은 안과용 제형 (가령, 눈주변, 안구뒤 또는 안구내 주사제형, 계통적 제형 또는 외과 관주액 등)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II)의 화합물을 특징으로 한 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03
(식 Ⅱ)
여기서 X는 N 또는 CR6; R1 및 R2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치환된 이나 비치환된 된 알콕시, 아미노알킬, 알킬, 아릴 또는 알킬아릴이거나 또는 함께 치환된 이나 비치환된 된 헤테로고리를 형성하고, 단 R1 및 R2 의 양쪽이 모두 수소가 아닌 것을 조건으로 하고; R3 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 아릴알킬 또는 아릴이고; R4 은 수소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C1-C6 알킬이고; L은 수소,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이거나 또는, R4 및 L 이 함께 치환된 이나 비치환된 된 헤테로고리 또는 카르보고리를 형성하고; R6 은 수소, 치환된 이나 비치환된 된 알킬 또는 할로겐이고; Q 는 CH2, O, S 또는 NR7 이고 이때의 R7은 수소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C1-C6 알킬이고; W는 비치환된 또는 치환된 된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아릴알킬, 비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된 카르보닐, 치환된 된 티오카르보닐 또는 치환된 된 술포닐이고, 단 R3 이 피롤리디노인 경우 R4 은 메틸이 아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X 는 CR6 이고 Q는 식(II)에서 CH2, O, S 또는 NH이고 이때의 R6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식(II)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X는 N이다.
본 발명은 세포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접촉시켜 세포내의 아데노신 수용체 (즉, A2a 아데노신 수용체)의 활성을 저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이 화합물은 수용체의 길항물질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식(II)의 화합물 (예, A2b의 길항물질)을 유효량으로써 동물에 투여하여 동물의 위장질환 (예, 설사)나 호흡기 질환(예, 알러지성 비염, 만성 장애형 폐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투여대상 동물이 사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식(IV)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5070403968-pct00390
삭제
(식 IV)
여기서, R1 은 트랜스-4-히드록시 시클로헥실, 2-메틸아미노 카르보닐아미노 시클로헥실, 2-메틸아미노 카르보닐아미노 시클로헥실, 아데타미도 에틸 또는 메틸아미노 카르보닐아미노 에틸이고, R3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4원 내지 6원 고리이고; R5 은 H, 알킬, 치환된 된 알킬, 아릴, 아릴알킬, 아미노, 치환된 된 아릴이고 이때의 치환된 된 알킬은 -C(R7)(R8)XR9 이고, 여기서 X는 O, S 또는 NR10 이고;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고, R9 및 R10 은 각각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거나 또는, R9, R10 및 질소가 함께 4 내지 7원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고리를 형성하고; 또한 R6 은 H, 알킬, 치환된 된 알킬, 시클로알킬이며 이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 또는 프로약물 유도체나 또는 생물학적 활성대사물을 포함하고 단; R1 이 아세틸아미노 에틸이고 R3 이 4-피리딜이 아님을 조건으로 한다.
화합물의 일 실시태양에서, R3은 페닐, 피롤, 티오펜, 푸란, 티아졸, 이미다졸, 피라졸, 1,2,4-트리아졸, 피라딘, 2(1H)-피리돈, 피라진, 피리미딘, 피리다진, 이소티아졸, 이속사졸, 옥사졸, 테트라졸, 나프탈렌, 테트랄린, 나프티리딘, 벤조푸란, 벤조티아펜, 인돌, 2,3-디히드로인돌, 1H-인돌, 인돌린, 벤조피라졸, 1,3-벤조디옥솔, 벤족사졸, 푸린, 쿠마린, 크롬, 퀴놀린, 퀴나졸린, 피리도[2,3-비]피라진, 피리도[3,4-b]-피리딘, 1H-피라졸[3,4-d]피리미딘, 프타리딘, 2(1H)-퀴놀론, 1(2H)-이소퀴놀론, 1,4-벤즈이속사진, 벤조티아졸, 퀴녹살린, 퀴놀린-N-옥사이드, 이소퀴놀린-N-옥사이드, 퀴녹살린-N-옥사이드, 퀴나졸린-N-옥사이드, 벤즈옥사진, 프탈라진, 시놀린 또는 다음 화학식을 갖는 것이고;
Figure 112002017298878-pct00005
여기서 Y는 탄소 또는 질소이고;
상기의 R2및 R2' 은 독립적으로 H,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알킬,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아릴, 할로겐, 메톡시, 메틸아미노 또는 메틸티오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 식(V)의 화합물에 관계한다.
Figure 112005070403968-pct00391
(식 V)
삭제
여기서 R3 은 아릴,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R6 은 H, 알킬, 치환된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고; R5 은 H,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아릴알킬, 아미노, 치환된 아릴이고 여기서의 치환된 알킬은 -C(R7)(R8)R9R10 이며 이 때의 R7 및 R8 은 각각 H 또는 알킬이고, R9 및 R10 은 각각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거나 R9, R10 및 질소는 함께 4원 내지 7원의 고리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세포내의 A 아데노신 수용체의 활성을 저해하는 방법으로서 상술한 화합물과 상기 세포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계한다.
본 발명의 특징과 기타 상세한 내용은 청구범위에서 구체화된다. 특별한 본 발명의 실시태양은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기본적인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다양일 실시태양에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물의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 응답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계한다. 이 방법은 하기와 같이 포유동물의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 응답 상태가 치료되는 방식으로 치료학적 유효량의 N-6 치환된 7-다아자푸린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 응답 상태" 라는 의미는 하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으로 치료하는 것에 대한 응답성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상태 또는 조건을 포함하며 이 치료란 N-6 치환된 7-디아자푸란을 통해 달성된 것으로, 상태의 적어도 한가지 증세 또는 영향을 크게 경감하는 것을 포함한다. 통상 이러한 상태는 숙주가 생리적 증세,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독소물의 방출, 감염, 혼수상태, 수분유지력, 중량이득 또는 체중손실, 췌장염, 기종,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복합 기관손상, 소아 및 성인 호흡기 통증, 알러지성 비염, 만성 장애형 폐질환, 안질환, 위장질환, 피부종양 악화, 면역결핍증 및 천식 등을 포함한다. (예, C.E. Muller and B. Stein "Adenosine Receptor Antagonists: Structures and Potential Therapeutic Applications," Current Pharmaceutical Design, 2:501 (1996); C.E. Muller "A1-Adenosine Receptor Antagonists," Exp. Opin. Ther. Patents 7(5): 419(1997); I.Biaggioni "Adenosine A2b receptors: a novel therapeutic target in asthma?" TiPS 19: 148(1998) 참조). 이러한 증상에 관련된 영향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발열, 호흡단속, 구토, 설사, 허약, 두통, 심지어는 죽음에 이르기도 한다.일 실시태양에서, N-6 치환된 7-디아자린 응답 상태는 즉, 세포내의 칼슘 농도 및/또는 PLC (포스포리파제 C) 활성화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아데노신 수용체 즉 A1, A2a, A2b, A3 등의 자극에 의해 조정되는 질병상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태양에서, N-6 치환된 7-디아자린 응답 상태는 아데노신 수용체에 연계되며 즉, N-6 치환된 7-디아자린이 길항물질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즉 생물학적 작용을 조절하는 아데노신 수용체 하위종으로 치료할 수 있는 적절한 응답 상태의 예는 중추신경계(CNS) 작용, 심혈관 작용, 신장작용, 호흡기 작용, 면역학적 작용, 위장작용 및 대사작용 등을 포함한다. 대상 내의 상대적 아데노신량은 하기의 작용에 연계될 수 있으며; 즉 불요의 생리학적 반응 즉 천식발작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정도의 아데노신량의 증가레벨을 말한다.
CNS 작용은 전달방출(A1)의 감소, 진정작용(A1), 전위체 활성(A2a), 항전간제 활성, 화학수용체 자극(A2) 및 통각증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 화합물의 치료학적 응용분야는 노인성 치매 및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및 기억증진을 포함한다.
심혈관 작용으로는 혈관확장(A2a), (A2b) 및 (A3), 혈관수축(A1), 서맥(A1), 혈소판 저해(A2a), 심장수축 및 심변조감소(A1), 부정맥, 빈맥 및 신혈관 생성억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 화합물의 치료학적 응용분야는 예를 들어, 허혈증 유발성 심장허약 및 강심제, 심근조직 보호 및 심장기능의 회복 등을 포함한다.
신장 작용은 GFR 감소(A1), 혈관사이세포 수축(A1), 항이뇨(A1) 및 레진 방출의 저해(A1) 등을 포함한다. 적절한 본 발명 화합물의 치료학적 응용분야는 이뇨작용, 나트륨 이뇨작용, 칼륨분배, 급성 신장손상으로부터의 신장 보호/예방, 혈압강하작용, 항수종증 및 항신장염 작용제 등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호흡기 작용은 기관지이완(A2), 기관지수축(A1), 만성 장애형 폐질환, 알러지성 비염, 콧물 및 호흡기 약화(A2)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 화합물의 적절한 응용분야는 항천식 응용, 이식 및 호흡기 질환 발생 후의 폐질환의 치료를 포함한다.
면역학적 작용은 면역억제(A2), 뉴트로필 화학주성(A1), 뉴트로필 초산화물 발생(A2b) 및 마스트셀의 응집분해(A2b 및 A3) 등을 포함한다. 길항물질의 치료학적 응용분야는 알러지성 및 비알러지성 감염, 즉 히스타민 및 기타 염증형 조절제의 방출을 포함한다.
위장 작용은 산 분비(A1)의 억제를 포함하고 치료학적 응용분야는 환류 및 궤양환경에 관계한다. 또한 위장 작용은 결장질환, 장내 질환 및 설사 득 장내감염(A2b) 에 따른 설사증도 포함한다.
안질환은 망막 및 시신경 두부손상 및 외상 관련의 질병들(A2)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태양에서, 안질환으로 녹내장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의 또다른 치료 응용분야는 비만증(지질화 특성) 및 고혈압의 치료, 허약증, 진정작용 및 불안증의 치료제, 항나병 치료제 및 설사없이 장내 운 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완화제 등을 포함한다.
"질병 상태" 란 부적절한 레벨의 아데노신, 아데닐 시클라제 활성, 아데노신 수용체의 미입(aberrant) 자극 및/또는 cAMP 증가에 관련된 생리학적 활성의 증가 등에 의하거나 이에 연계된 상태를 말한다. 한 예에서, 질병 상태는 예컨대, 천식, 만성 장애형 폐질환, 알러지성 비염, 기관지염, 신장질환, 위장질한 또는 안질환 등이다. 또다른 예로서는 기관저염 및 낭포성 섬유증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감염성 질환으로는 비-임파구성 백혈병, 심근육 허혈증, 중이염, 경색증, 중추혈관계 허혈증, 간헐성 파행증, 급성 사지 허혈증, 정맥성 고혈압, 노장정맥, 정맥성 궤양 및 동맥경화증 등을 포함한다. 손상된 재관류 상태는 수술후 외상 즉 성형외과적 수술, 혈전용해 또는 혈관형성술 등을 포함한다.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 응답 상태의 치료" 또는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 응답 상태를 치료하는" 이란 포유류 내의 생리학적 증상을 크게 감소시키거나 최소화 하는 방식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질병상태 또는 조건을 변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 용어는 또한 아데노신 미입략에 관련된 생리학적 증세 또는 작용을 억제하거나 예방 또는 조절하는 것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질병상태나 조건의 제어는 질병상태나 조건이 소멸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제어란 아데노신 수용체 활성의 미입레벨을 제어하는 한편 다른 생리학적 시스템과 변수들은 무변한 상태로 유지하는 방식으로 선택성을 갖는 것이다.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 은 공지되었으며 다음의 식(I)으로 표현되는 화 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07
(식I)
"N 치환된 7-디아자푸린" 은 이의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또한 임의의 N-6 치환된 푸린을 포함하는 것도 한 예이다.
어떤 실시태양에서,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은 N-6 벤질 또는 N-6 페닐에틸 치환된 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R4 는 벤질 또는 페닐에틸 치환된 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R1 및 R2 은 양쪽이 함께 수소 원자가 아니다. 한 예에서, R3 은 수소원자가 아닐 수도 있다.
"치료학적 유효량" 의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 이라 함은 하기 설명과 같이, 포유류 내의 기능을 실행하거나,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 응답 상태나 질병상태를 치료하기에 충분하거나 필수의 약제학적으로 화합물의 양을 말한다. 치료 화합물의 유효량은 동물에 이미 함유된 병인성 작용제의 양, 동물의 연령, 성별 및 무게와 또한 동물에서의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 응답 상태에 영향을 미칠 본 발명의 치료학적 화합물의 성능 등과 같은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당해 분야의 숙련가라면 특별한 실험 없이도 상술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치료 화합물의 유효량에 관한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체내 또는 체외 분석을 이용하여 하기 설명과 같이 치료 화합물의 "유효량"을 결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분석 또는 치료에서 사용할 적절한 양의 치료 화합물을 선택한다.
치료학적 유효량을 이용하면 바람직하게는 N-6 치환된 7-디아자푸란 응답 상태 또는 조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증세 또는 작용을, 미치료된 대상과 비교하여, 적어도 약 2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이상 치료할 수 있다. 상기 증세 및/또는 작용의 감소량을 측정하기 위한 분석을 계획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변수의 측정을 위한 공지의 방법도 본 발명의 일부로서 포함시킨다. 예를 들어, 천식이 치료 대상인 경우 통상의 기술에 따라 부피 증가의 측정을 위해 치료전후의 폐로부터 확장되는 공기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감염증이 치료 대상이라면 감염된 지역을 치료전후로 측정하여 통상의 기술로서 감염지역의 감소를 측정할 수 있다.
"세포"는 원핵 및 진핵 세포를 모두 포함한다.
"동물"은 아데노신 수용체 함유 유기체 또는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 응답 상태에 감염되기 쉬운 유기체를 말한다. 동물의 예로는 이스트, 포유류, 파충류 및 조류가 있다. 또한 형질전환 동물도 포함한다.
"포유류"는 공지에 따르며 동물, 더 바람직하게는 온혈동물, 구체적으로는 소, 양, 돼지, 말, 개, 고양이, 쥐, 생쥐 및 인간 등을 포함한다.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 응답 상태, 감염, 기종, 천식, 중추신경계 환경 또는 금성 호흡기 허약증 등에 감염되기 쉬운 포유류가 본 발명에 수반된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포유류에 치료학적 유효량의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을 포유류 내의 아데노신 수용체 조정이 일어나는 방식으로 투여하여 조정하는 방법에 관계한다. 적절한 아데노신 수용체는 A1, A2 또는 A3 종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은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물질이다.
"아데노신 수용체를 조정하는" 이란 화합물이 아데노신 수용체와 상호작용하는 경우, 아데노신 수용체에 연계된 비정상적인 생리학적 활성의 증가나 감소 또는 아데노신 수용체의 조정 결과로 인한 후속의 캐스캐이스 효과를 야기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데노신 수용체 연계의 생리학적 활성은 진정작용의 유도, 혈관확장, 심박수의 억제 및 수축성, 혈소판응집의 저해, 당생성 촉진, 지질분해 억제, 칼륨채널의 개방, 칼슘 채널의 플럭스 감소 등을 포함한다.
"조절하다", "조절하는" 및 "조정" 은 예컨대, 본 발명의 치료방법 측면에서, 비정상적인 아데노신 수용체 자극에 연계된 부적절한 생리학적 활성을 예방, 소멸 또는 억제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이 용어는 또한 아데노신 수용체의 과자극으로 인한 알러지 및 알러지성 감염증의 조절체의 활성 또는 생성을 감소시키는 길항작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치료학적 디아자푸린은 예컨대 아데닐산 시클라제의 활성을 저해하기 위하여 아데노신 수용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미입량의 아데노신 수용체 활성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 (혹은 환경)이라 함은 아데노신 수용체의 미입자극에 연계되는 질환, 질병 또는 조건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수용체의 자극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질환, 질병 또는 조건과 관련되 는 사건들의 생화학적 또는 생리학적 사슬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아데노신 수용체의 자극은 질환, 질병 또는 그 조건의 단독적인 원인성 작용체일 필요는 없으며 단순히 상기 질환, 질병 또는 그 조건에 전형적인 연계 증상 중 일부를 야기하는 것에 응답할 수 있으면 된다. 수용체의 미입 자극이 단독의 변수이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작용체가 상기 치료 대상 상태에 수반될 수 있다. 이 조건의 예는 상기 열거된 질병 상태 즉, 감염증, 위장질환 및 기타 아데노신 수용체 활성의 증가에 의해 확인되는 증상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예는 천식, 알러지성 비염, 만성 장애형 폐질환, 기종, 기관지염, 위장병 및 녹내장 등이 있다.
"미입량의 아데노신 수용체 활성을 특징으로 한 조건의 치료" 란 상기 조건에 전형으로서 연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증세를 경감 또는 완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 치료는 또한 하나 이상의 증세를 경감 또는 완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 치료는 실질적으로 상기 조건에 연계된 증세를 제거한다.
본 발명은 다음 식(I)으로 표시되는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 화합물에 관계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08
(식 I)
여기서, R1 및 R2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치환된 이나 비치환된 된 알킬, 아릴 또는 알킬아릴 성분이거나 함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헤테로고리를 형성하고; R3 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 아릴 또는 알킬아릴 성분이고; R4 은 수소원자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 아릴 또는 알킬아릴 성분이고; R5 및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즉, 염소, 불소 또는 브롬이거나 수소원자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 아릴 또는 알킬아릴 성분이거나, 또는 R4 및 R5 또는 R5 및 R6 이 함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헤테로고리나 카르보고리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의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도 포함한다.
어떤 실시태양에서, R1 및 R2 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시클로알킬이나 헤테로아릴알킬 성분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R3 은 수소원자나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헤테로아릴 성분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R4, R5 및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헤테로아릴 성분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R1 는 수소원자이고, R2 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시클로헥산, 시클로펜틸, 시클로부틸 또는 시클로프로판 성분이고, R3 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페닐이고, R4 은 수소원자이고, 또한 R 및 R6 은 메틸기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R2 는 시클로헥사놀, 시클로헥산디올, 시클로헥실술폰 아미드, 시클로헥산아미드, 시클로헥실에스테르, 시클로헥센, 시클로펜타놀 또는 시클로펜탄디올이고 또한 R3 은 페닐 성분이다.
그 밖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R1 은 수소원자, R2 는 시클로헥사놀, R3 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페닐, 피리딘, 푸란, 시클로펜탄 또는 티오펜탄 성분이고, R4 은 수소원자, 치환된 알킬, 아릴 또는 아릴알킬 성분이고, R5 및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 아릴 또는 알킬아릴 성분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R1 은 수소원자, R2 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아민, 아릴아민 또는 알킬아릴아민,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아미드, 아릴아미드 또는 알킬아릴아미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술폰아미드, 아릴술폰아미드 또는 알킬아릴술폰아미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우레아, 아릴우레아 또는 알킬아릴우레아,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카르바메이트, 아릴카르바메이트 또는 알킬아릴카르바메이트,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카르복시알킬, 카르복시아릴 또는 카르복시알킬아릴이고, R3 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페닐성분이고, R4 은 수소원자이고 R5 및 R6 은 메틸기이다.
그 밖의 또 일 실시태양에서, R2 은 구아니딘, 변성 구아니딘, 시아노구아니딘, 티오우레아, 티오아미드 또는 아미딘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R2 은 다음 식으로 표현될 수 있고;
Figure 112002017298878-pct00009
여기서, R2a - R2c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아릴 또는 알킬아릴 성분이고 R2d 는 수소원자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아릴 또는 알킬아릴 성분 또는 NR2eR2f 이나 OR2g 이고, 이 때의 R2e - R2g 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포화나 불포화 알킬, 아릴 또는 알킬아릴 성분이다. 또는, R2a 및 R2c 이 함께 약 3 내지 8원의 고리크기를 갖는 카르보고리 또는 헤테로고리 즉, 시클로프로필,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기 등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R5 및 R6 양측 모두 메틸기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R5 및 R6 중 하나가 알킬기 즉 메틸기이고 다른 하나가 수소원자이다.
또다른 측면에서, R4 가 l-페닐에틸이고 R1이 수소원자인 경우 R3 은 페닐, 2-클로로페닐, 3-클로로페닐, 4-클로로페닐, 3,4-디클로로페닐, 3-메톡시페닐 또는 4-메톡시페닐이거나 또는 R4 과 R1 이 1-페닐에틸인 경우, R3 은 수소원자가 아니거나 또는 R4 이 수소원자이고 R3 이 페닐인 경우, R1 은 페닐에틸이다.
또다른 본 발명의 측면에서, R5 및 R6 이 함께 다음 식의 카르보고리를 형성 하는 경우;
Figure 112002017298878-pct00010
혹은 피리미도[4,5,6] 인돌인 경우, R4 가 1-(4-메틸페닐)에틸, 페닐이소프로필, 페닐 또는 1-페닐에틸일 때 R3 는 페닐이 아니고 또는, R4 가 1-페닐에틸인 경우 R3 는 수소원자가 아니다. R5 및 R6 에 의해 형성된 카르보고리는 방향족 또는 지방족 고리일 수 있고 또한 예컨대, 나프틸, 페닐시클로헥실 등과 같이 4 내지 12개 탄소원자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펜틸 또는 시클로헥실 같이 5 내지 7 카르보 원자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별도로, R5 및 R6 는 함께 하기 설명과 같이 헤테로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전형의 헤테로고리는 4 내지 12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며 방향족이거나 지방족일 수 있다. 헤테로고리는 또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로 고리에 있는 하나 이상의 탄소원자를 치환된 하는 것을 포함하여 추후 치환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서, R1 및 R2 은 함께 헤테로고리를 형성한다. 대표적인 실시예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하기의 헤테로고리, 예컨대 모르폴리노, 피페라진 및 유사물로서, 4-히드록시피페리딘, 4-아미노피페리딘을 포함한다. R1 및 R2 는 함께 다음 식의 피페라지노기를 형성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11
여기서, R7 은 수소원자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 아릴 또는 알킬아릴 성분일 수 있다.
또다른 본 발명의 측면에서, R4 및 R5 는 함께 다음과 같은 헤테로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12
여기서 헤테로고리는 방향족 또는 지방족일 수 있고 약 4 내지 12 탄소원자를 갖는 고리 즉, 나프틸, 페닐시클로헥실 등을 형성하고 또한 시클로헥실이나 시클로펜틸 등의 방향족 또는 지방족 고리일 수 있다.
헤테로고리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로 고리구조의 탄소원자를 치환된 하는 것을 포함하여 추후 치환된 될 수 있다. 또는, R4 및 R5 가 함께 하기 기술되는 바와 같은 헤테로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어떤 실시태양에서,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은 N-6 벤질 또는 N-6 페닐에틸 치환된 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R4 은 벤질 또는 페닐에틸 치환된 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R1 및 R2 은 양쪽 모두 수소원자가 아니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R3 은 H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WO 99/33815 국제출원 PCT/US98/04595 (1998년 3월 9일 출원 및 1999년 7월 8일 공고) 에서 설명한 수용성 프로약물이어도 좋다. WO 99/33815의 내용을 참조한다. 수용성 프로약물은 에스테르화 효소 촉매화 가수분해에 의해 체내 대사되어 활성약물로 된다. 잠재의 프로약물의 예는 예컨대, R2 이 -OC(O)(Z)NH2 로 치환된 되는 시클로알킬이고 이때의 Z는 자연 또는 비자연발생의 아미노산 측쇄 또는 그의 동종체, α, β, γ, 또는 ω 아미노산이나 디펩티드이다. 바람직한 아미노산 측쇄는 글리신, 알라닌,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리신, α-메틸알라닌, 아미노시클로프로핀 카르복실산, 아제티딘-2-카르복실산, β-알라닌, γ-아미노부틸산, 알라닌-알라닌 또는 글리신-알라닌 등을 포함한다.
별도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식(I)의 디아자푸린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에 관계하며, 여기서 R1 은 수소; R2 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시클로알킬,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 또는 R1 및 R2 이 함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헤테로고리를 형성하고; R3 은 비치환된 또는 치환된 된 아릴이고; R4 은 수소이고; 및 R5 및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다. 이 실시태양의 디아 자푸린은 잠재적으로 선택성 A1 수용체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R2 은 치환된 (예, 히드록시 치환된 ) 또는 비치환된 된 시클로알킬이다. 유리한 하위실시태양에서, R1 및 R4 은 수소이고, R3 은 비치환된 된 또는 치환된 된 페닐이고, R5 및 R6 은 각각 알킬이다. 바람직하게는, R2 이 모노-히드록시시클로펜틸 또는 모노-히드록시시클로헥실이다. R2 은 또한 -NH-C(=O)E 로 치환된 될 수 있고 이때의 E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C1-C4 알킬 (즉, 에틸아민 같은 알킬아민이다).
R1 및 R2 은 함께 아민 또는 아세타미도기로 치환된 될 수 있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를 형성한다.
또다른 측면에서, R2 은 -A-NHC(=O)B 이고 여기서 A는 비치환된 된 C1-C4 알킬 (즉, 에틸, 프로필, 부틸) 이며 또한 B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C1-C4 알킬 (즉, 메틸, 아미노알킬 예컨대, 아미노메틸이나 아미노에틸, 알킬아미노, 예컨대,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이고, 바람직하게는, R1 및 R4 이 수소인 경우 R3 은 비치환된 또는 치환된 된 페닐이고, 또한 R5 및 R6 은 각각 알킬이다. B 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시클로알킬 즉, 시클로프로필이나 1-아미노-시클로프로필이다.
또다른 측면에서, R3 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페닐이고 바람직하게는, R5 및 R6 이 각각 알킬이다. 바람직하게, R3 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환된 물을 가 지기도 한다 (즉, o-, m- 또는 p-클로로페닐, o-, m- 또는 p-플로로페닐).
유리하게, R3 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헤테로아릴이고 바람직하게는 R5 및 R6 이 각각 알킬이다. 헤테로아릴기의 예로서 피리딜, 피리미딜, 피리다지닐, 피라지닐, 피롤릴, 트리아졸릴, 티오아졸릴, 옥사졸릴, 옥사디아졸릴, 푸라닐, 메틸렌디옥시페닐 및 티아페닐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R3 은 2-피리딜, 3-피리딜, 4-피리딜, 2-피리미딜 또는 3-피리미딜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태양에서, R 및 R은 각각 수소이다. 또다른 예에서, R5 및 R5은 각각 메틸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디아자푸린은 예컨대, 에스테르 효소 촉매화 가수분해 등에 의해 체내 대사되어 활성 약물로 될 수 있는 수용성 프로약물이다. 바람직하게, 프로약물은 -OC(O)(Z)NH2 로 치환된 된 시클로알킬인 R2 기를 포함하며 여기서의 Z은 자연 또는 비자연발생의 아미노산 측쇄 및 그의 동종체, α, β, γ, 또는 ω 아미노산이나 디펩티드이다. 바람직한 아미노산 측쇄는 글리신, 알라닌,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리신, α-메틸알라닌, 아미노시클로프로핀 카르복실산, 아제티딘-2-카르복실산, β-알라닌, γ-아미노부틸산, 알라닌-알라닌 또는 글리신-알라닌 등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Z는 글리신의 측쇄이고, R2 은 시클로헥실이고, R3 은 페닐이고 또한 R5 및 R6은 메틸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디아자푸린은 4-(시스-3-히드록시시클로펜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피리미딘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디아자푸린은 4-(시스-3-(2-아미노아세톡시) 시클로펜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트리플로로아세트산 염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디아자푸린은 4-(3-아세타미도)피페리디닐-5, 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디아자푸린은 4-(2-N'-메틸우레아프로필)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디아자푸린은 4-(2-아세트아미도부틸)아미노-5,6-디메틸 -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디아자푸린은 4-(2-N'-메틸우레아부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디아자푸린은 4-(2-아미노시클로프로필아세트아미도에틸)아미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디아자푸린은 4-(트랜스-4-히드록시시클로헥실) 아미도-2-(3-클로로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디아자푸린은 4-(트랜스-4-히드록시시클로헥실) 아미도-2-(3-플로로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디아자푸린은 4-(트랜스-4-히드록시시클로헥실) 아미 노-2-(4-피리딜)-7H-피롤로 [2,3d] 피리미딘 이다.
그 밖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또한 세포를 N-6 치환된 7-디아자푸란 (예, 바람직하게는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물질)와 접촉시켜 세포내의 아데노신 수용체 (예, A1, A2a, A2b 또는 바람직하게는 A1)의 활성을 저해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동물에 대해 유효량의 N-6 치환된 7-디아자푸란을 투여하여 동물(예, 인간)의 눈에 가해진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은 동물 세포내의 A1 아데노신 수용체의 길항물질이다. 손상은 망막 또는 시신경 두부에 일어난 것으로 급성 또는 만성일 수 있다. 손상은 예컨대, 녹내장, 수종, 기종, 저산소증 또는 외상 등으로 생길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식(II)의 디아자푸란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의 X 는 N 또는 CR 이고; R1 및 R2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치환된 이나 비치환된 된 알콕시, 아미노알킬, 알킬, 아릴 또는 알킬아릴이거나 또는 함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헤테로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단 이경우 R1 및 R2 이 동시에 수소가 아니어야 하고; R3 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 아릴알킬 또는 아릴이고; R4 는 수소 또는 치환된 이나 비치환된 된 C1-C6 알킬이고; L 은 수소,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이거나 또는 R4 및 L 이 함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헤테로고리 또는 카르보고리를 형성하고; R 은 수소,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 또는 할로겐이고; Q 는 CH2, O, S 또는 NR7 이고 이 때의 R7 은 수소 또는 치환된 이나 비치환된 된 C1-C6 알킬이고; W는 비치환된 또는 치환된 된 알킬, 시클로알킬, 알키닐, 아릴, 아릴알킬, 비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카르보닐, 치환된 티오카르보닐 또는 치환된 술포닐이고 단 R3 이 티롤리디노 인 경우 R4 는 메틸이 아니어야 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식(II)의 화합물의 X는 CR6 이고 Q는 CH2, O, S 또는 NH 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X 는 N 이다.
식(II)의 화합물의 다른 실시태양에서, W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아릴,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 또는 비아릴이다. W는 하나 이상의 치환된 물로 치환된 되기도 한다. 치환된 물의 예는; 할로겐, 히드록시, 알콕시, 아미노, 아미노알킬, 아미노카르복시아미드, CN, CF3, CO2R8, CONHR8, CONR8R 9, SOR8, SO2R8 및 SO2NR8R9 이고 이 때의 R8 및 R9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또는 아릴알킬이다. 바람직하게, W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페닐 즉 메틸렌디옥시페닐이다. W은 또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5원 헤테로아릴 고리 즉 피롤, 피라졸, 옥사졸, 이미다졸, 트리아졸, 테트라졸, 푸란, 티오펜. 티아졸 및 옥사디아졸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W 는 6원 헤테로아릴 고리 즉, 피리딜, 피리미딜, 피리다지닐, 피라지날 및 티오페닐이 되기도 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W는 2-피리딜, 3-피리딜, 4-피리딜, 2-피리미딜, 4- 피리미딜 또는 5-피리미딜 이 다.
식(II)의 화합물의 유리일 실시태양에서, Q는 NH 이고 W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또는 아릴알킬에 의해 N-치환된 되거나 치환된 되지 않는 3-피라졸로 고리이다.
식(II)의 화합물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Q 는 산소이고 W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또는 아릴알킬에 의해 치환된 되거나 치환된 되지 않는 2-티아졸로 고리이다.
식(II)의 화합물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W 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 시클로알킬 예컨대, 시클로펜틸이나 아릴알킬이다. 치환된 체의 실시예는 할로겐, 히드록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아릴알킬 또는 NHR10 이고 이 때의 R10 은 수소,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또는 아릴알킬이다.
이 외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식(II)의 디아자푸린을 제공하며 여기서 W 는 -(CH2)a-C(=O)Y 또는 -(CH2)a-C(=S)Y 이고, a는 0 내지 3의 정수이고, Y는 아릴, 알킬, 아릴알킬, 시클로알킬, 헤테로아릴, 알키닐, NHR11R12 혹은, Q가 NH일 때의 OR13 이고, R11, R12 및 R1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비치환된 또는 치환된 된 알킬, 아릴, 아릴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다. 바람직하게, Y는 5원 또는 6원 헤테로아릴 고리이다.
더욱더, W는 -(CH2)b -S(=O)jY 일 수 있고 여기서의 j는 0, 1, 2 또는 3 이 고, Y는 아릴, 알킬, 아릴알킬, 시클로알킬, 알키닐, 헤테로아릴, NHR11R12 혹은, b 가 1 일 때 Q가 CH2 이고, R14, R15 및 R1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비치환된 또는 치환된 된 알킬, 아릴, 아릴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R3 은 치환된 및 비치환된 된 페닐, 피리딜, 피리미딜, 피리다지닐, 피라지날, 피롤릴, 트리아졸릴, 티오아졸릴, 옥사졸릴, 옥사디아졸릴, 피라졸릴, 푸라닐, 메틸렌디옥시페닐 및 티오페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R3 이 페닐이면, 이것은 히드록시, 알콕시 (예, 메톡시), 알킬(예, 톨릴) 및 할로겐 (예, o-, m- 또는 p-클로로페닐)로 치환된 되기도 한다. 유리하게, R3은 2-, 3- 또는 4-피리딜 또는 2- 또는 3-피리미딜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R6 이 수소 또는 C1-C3 알킬인 디아자푸린에 관계한다. R6 은 수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R1 이 수소이고, R2 이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 또는 알콕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민, 아릴아민 또는 알킬아릴아민,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아미노알킬, 아미노아릴 또는 아미노알킬아릴,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아미드, 아릴아미드 또는 알킬아릴아미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술폰아미드, 아릴술폰아미드 또는 알킬아릴술폰아미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카르바메이트, 아릴카르바메이트 또는 카르복시알킬, 카르복시아릴 또는 카르복시알킬아릴 등인 디아자푸린에 관계한다.
바람직하게, R2 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시클로알킬 즉, 모노- 또는 디히드록시-치환된 된 시클로헥실이나 시클로펜틸 (바람직하게, 모노히드록시-치환된 시클로헥실 또는 모노히드록시-치환된 시클로펜틸) 이다.
유리하게, R 는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13
여기서, A는 C1-C6 알킬, C3-C7 시클로알킬, 1 내지 7개 원자로 된 사슬 또는 임의로 C1-C6 알킬, 할로겐, 히드록실, 카르복실, 티올 또는 아미노기로 치환된 되는 3 내지 7개 원자로 된 고리이고; B는 메틸, N(Me)2, N(Et)2, NHMe, NHEt, (CH2)rNH+, NH(CH2)rCH3, (CH2)r NH, (CH2)rCHCH3NH2, (CH2)rNHMe, (CH2)rOH, CH2CN, (CH2)mCO2H, CHR18R19 또는 CHMeOH 이고; r은 0 내지 2의 정수, m은 1 또는 2, R18 은 알킬, R19 은 NH3+ 또는 CO2H 또는 R18 및 R19 은 함께 다음의 식으로 표현되고;
Figure 112002017298878-pct00014
여기서, p 는 2 또는 3이고; R17 은 C1-C6 알킬, C3-C7 시클로알킬, 1 내지 7 원자의 사슬 또는 임의로, C1-C6 알킬, 할로겐, 히드록실, 카르복실, 티올 또는 아미노기에 의해 치횐되는 3 내지 8개 원자로 된 고리이다.
유리하게는, A 가 비치환된 또는 치환된 된 C1-C6 알킬이고 B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C1-C6 알킬이다.
바람직한 예에서, R2 은 식 -A-NHC(=O)B 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은 A 가 -CH2CH2- 이고 B가 메틸인 경우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에스테르 효소 촉매화 가수분해 등에 의해 체내 대사되어 활성 약물로 될 수 있는 수용성 프로약물이다. 잠재의 프로약물의 예로서, -OC(O)(Z)NH2 로 치환된 된 시클로알킬인 R2 기를 갖는 디아자푸린을 포함하며 여기서의 Z은 자연 또는 비자연발생의 아미노산 측쇄 및 그의 동종체, α, β, γ, 또는 ω 아미노산이나 디펩티드이다. 바람직한 아미노산 측쇄는 글리신, 알라닌,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리신, α-메틸알라닌, 아미노시클로프로핀 카르복실산, 아제티딘-2-카르복실산, β-알라닌, γ-아미노부틸산, 알라닌-알라닌 또는 글리신-알라닌 등을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R1 및 R2은 함께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15
여기서 n 은 1 또는 2이고, 고리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아미노, 티올, 카르복실, 할로겐, CH2OH, CH2NHC(=O)알킬, 또는 CH2NHC(=O)NH알킬기로 치 환된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n 은 1 또는 2 이고 상기 고리는 -NHC(=O)알킬에 의해 치환된 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태양에서, R1 은 수소이고, R2 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C1-C6 알킬이고, R3 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페닐이고, R4 은 수소이고, L 은 수소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C1-C6 알킬이고, Q 는 O, S, 또는 NR7 이고 이때의 R7 은 수소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C1-C6 알킬이고, W 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아릴이다. 바람직하게, R2 은 -A-NHC(=O)B 이고 이 때의 A 및 B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C1-C4 알킬이다. 예를 들어, A 는 CH2CH2 일 수 있고 B 는 알킬(예, 메틸) 또는 아미노알킬(예, 아미노메틸)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R3 은 비치환된 된 페닐이고 L은 수소이다. R6 은 메틸 또는 바람직하게는 수소이다. 바람직하게, Q 는 O, S 또는 NR7 이고 이 때의 R7 은 수소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C1-C6 알킬 특히, 메틸이다. W은 비치환된 또는 치환된 된 페닐(예, 알콕시, 할로겐 치환된 된)이다. 바람직하게 W 는 p-플로로페닐, p-클로로페닐 또는 p-메톡시페닐 이다. 또한 헤테로아릴로서 2-피리딜이어도 된다.
특별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예서, 디아자푸린은 4-(2-아세틸아미노에틸) 아미노-6-페녹시메틸-2-페닐-7H-피롤로 [2,3d]피리미딘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디아자푸린은 4-(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6-(4-플 로로페녹시)메틸-2-페닐-7H-피롤로 [2,3d]피리미딘 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디아자푸린은 4-(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6-(4-클로로페녹시)메틸-2-페닐-7H-피롤로 [2,3d]피리미딘 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디아자푸린은 4-(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6-(4-메톡시페녹시)메틸-2-페닐-7H-피롤로 [2,3d]피리미딘 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디아자푸린은 4-(2-아세트아미노에틸)아미노-6-(2-피리딜옥시)메틸 -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디아자푸린은 4-(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6-(N-페닐아미노)메틸-2-페닐-7H-피롤로 [2,3d]피리미딘 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디아자푸린은 4-(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6-(N-메틸 -N-페닐아미노)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디아자푸린은 4-(2-N'-메틸우레아에틸)아미노-6-페녹시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과 세포를 접촉시켜 세포내의 아데노신 수용체 (예, A2r 아데노신 수용체)의 활성을 저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화합물은 수용체의 길항물질이다.
본 발명은 또한 동물에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예, A2r 의 길항물질)을 투여하여 동물의 위장질환(예, 설사)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이 동물은 인간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에 관계한다.
본 발명은 또한 동물에 대해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 응답 상태의 치료가 수행되는 방식으로 동물에 치료학적 유효량의 디아자푸린을 투여하여 동물의 N-6 치환된 7 디아자푸린 응답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질병 상태는 아데노신에 의해 조절되는 질환이다. 그 예로서, 중추신경계 질환, 심혈관 질환, 신장질환, 감염성 질환, 알러지성 질환, 위장질환, 안질환 및 호흡기 질환이 포함된다.
"알킬" 은 여기서 직쇄 알킬기, 측쇄 알킬기, 시클로알킬 (지방족 고리)기, 알킬 치환된 된 시클로알킬기, 시클로알킬 치환된 된 알킬기 등을 포함하는 포화 지방족기의 라디칼을 말한다. 이 알킬은 또한 탄화수소 골격의 하나 이상의 탄소를 대체하는 산소, 질소, 황 또는 인 원자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알킬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은 30 이하의 탄소원자를 골격내에 가질 수 있거나(예, C1-C30 직쇄, C3-C30 측쇄)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20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바람직한 시클로알킬은 4-10 탄소원자를 고리구조 내에 가지며 더 바람직하게는 5, 6 또는 7 탄소를 고리구조 내에 가질 수 있다.
더욱더, 알킬은 여기서 "비치환된 된 알킬" 및 "치환된 된 알킬"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후자는 탄화수소 골격의 하나 이상의 탄소를 대체하는 치환된 물을 갖는 알킬 성분이다. 상기 치환된 물은 예컨대, 할로겐, 히드록실, 알킬카르보닐옥시, 카르복실레이트, 알킬카르보닐, 알콕시카르보닐, 아미노카르보닐, 알킬티오카 르보닐, 알콕실, 인산염, 포스포나토, 시아노, 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디아릴아미노 및 알킬아릴아미노 포함), 아실아미노 (알킬카르보닐아미노, 아릴카르보닐아미노, 카르바모일 및 우레이도 포함), 아미디노, 이미노, 술프히드릴, 알킬티오, 아릴티오, 티오카르복실산염, 황산염, 술포나토, 술파모일, 술포나미도, 니트로, 트리플로로메틸, 시아노, 아지도, 헤테로시클일, 알킬아릴, 또는 방향족이나 헤테로방향족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당해 분야의 숙련가라면 탄화수소 사슬 상에 치환된 된 성분 자체가 치환된 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시클로알킬은 그 후 예컨대 상술한 치환된 체로 치환된 이능하다. "알킬아릴" 성분은 아릴로 치환된 되는 알킬 (예, 페닐메틸(벤질))이다. "알킬"은 또한 유사 길이의 불포화 지방족 기를 포함하며 상술한 알킬로 치환된 이능하나 적어도 하나의 2중 또는 3중결합을 각각 구비해야한다.
"아릴"은 여기서 0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기도 하는 5원 및 6원 단일고리 지방족 기를 포함한 아릴기의 라디칼로서, 예를 들어 벤젠, 피롤, 푸란, 티오펜, 이미다졸, 벤족사졸, 벤조티아졸, 트리아졸, 테트라졸, 피라졸, 피리딘, 피라진, 피리다진 및 피리미딘과 기타 유사기를 포함한다. 아릴기는 또한 나프틸, 퀴놀릴, 인돌릴 등의 다중고리형 접합 지방족 기를 포함한다. 고리구조에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아릴기 역시 "아릴 헤테로고리",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방향족" 등으로 부른다. 방향족 고리는 상술한 바와 같은 치환된 물에 의해 하나 이상의 고리위치에서 치횐될 수 있으며 예컨대, 할로겐, 히드록실, 알콕시, 알킬카르보닐옥시, 아릴카르보닐옥시, 알콕시카르보닐옥시, 아릴옥시카르보닐옥시, 카르복실산염, 알킬카르보닐, 알콕시카르보닐, 아미노카르보닐, 알킬티오카르보닐, 인산염, 포스포나토, 포스피나토, 시아노, 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디아릴아미노 및 알킬아릴아미노를 포함), 아미디노, 이미노, 술프히드릴, 알킬티오, 아릴티오, 티오카르복실산염, 황산염, 술포나토, 술파모일, 술포나미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아지도, 헤테로시클일, 알킬아릴 또는 방향족이나 헤테로방향족 성분을 포함한다. 아릴기는 또한 방향족이 아닌 지방족고리 또는 헤테로고리와 접합 또는 가교되어 다중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예. 테트랄린).
"알케닐" 및 "알키닐"은 상술한 알킬과 유사길이로 되고 치환된 이능하나, 적어도 하나의 2중 또는 3중결합을 각각 함유하는 불포화 지방족 기를 말한다.
탄소수에 대한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저급알킬"은 상기의 정의에 따라 골격구조 내에 1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기,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기이다. 마찬가지로 "저급 알케닐" 및 "저급 알키닐"도 유사한 사슬길이로 된 것이다.
"알콕시알킬" "폴리아미노알킬" 및 "티오알콕시알킬" 은 상술한 바와 같으나, 탄화수소 골격의 하나 이상의 탄소를 대체할 산소, 질소 또는 황원자를 더 포함하는 알킬기를 말한다.
"폴리시클일" 또는 "다중고리형 라디칼"은 2개 이상의 탄소가 2개의 인접 고리에서 공유되는 2개 이상의 고리 (예,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시클로알키닐, 아릴 및/또는 헤테로시클일)의 라디칼을 말하며 이 고리를 "접합고리" 라고 한다. 인접 원자를 통해 연결되는 고리들을 "가교"고리 라고 한다. 다중고리 각각은 상술 한 바와 같은 치환된 물로서 예컨대, 할로겐, 히드록실, 알킬카르보닐옥시, 아릴카르보닐옥시, 알콕시카르보닐옥시, 아릴옥시카르보닐옥시, 카르복실한염, 알킬카르보닐, 알콕시카르보닐, 아미노카르보닐, 알킬티오카르보닐, 알콕실, 인산염, 포스포나토, 포스피나토, 시아노, 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디아릴아미노 및 알킬아릴아미노 포함), 아실아미노 (알킬카르보닐아미노, 아릴카르보닐아미노, 카르바모일 및 우레이도 포함), 아미디노, 이미노, 술프히드릴, 알킬티오, 아릴티오, 티오카르복실산염, 황산염, 술포나토, 술파모일, 술포나미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아지도, 헤테로시클일, 알킬, 알킬아릴 또는 방향족이나 헤테로방향족 성분 등의 치환된 물에의해 치환된 될 수 있다.
"헤테로원자"는 탄소 또는 수소 이외의 원소의 원자를 말한다. 바람직한 헤테로원자는 질소, 산소, 황 및 인 이다.
"아미노산"은 글리신, 알라닌,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세린, 트레오닌, 메티오닌, 글루탐산, 아스파트산,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리신, 아르기닌, 프롤린,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및 트립토판 등과 같이 단백질에서 발견된 자연 및 비자연적 발생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아미노산 동종체는 연장 또는 단축된 측쇄 또는 적절한 관능기 함유 변형 측쇄의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아미노산은 또한 아미노산 구조가 입체이성질형이 될 때 아미노산의 D 및 L 입체이성체를 포함한다. "디펩티드"는 2개 이상의 서로 결합된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디펩티드는 펩티드 결합을 통해 결합된 2개의 아미노산이다. 특히 바람직한 디펩티드는 예컨대 알라닌-알라닌 및 글리신-알라닌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중 일부의 구조는 비대창 탄소원자를 포함하고 따라서 라세미체 또는 라세미 혼합물, 단일 에난시오머, 디아스테레오머 혼합물 및 각각의 디아스테레오머로 생성된다. 이러한 이성질형 화합물은 모두 본 발명에 표현방식으로 포함된다. 각 입체형 탄소는 R 또는 S 구성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비대칭성에 의한 이성체 (예, 에난시오머 및 디아스테레오머)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이러한 이성체는 전형적인 분리기술에 의해 및 입체화학적 제어된 합성방식에 따라 실질적으로 순수물 형태로써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유류의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 응답 상태로서 즉, 호흡기 질환(예, 천식, 기관지염, 만성 장애형 폐질환 및 알러지성 비염), 신장질환, 위장질환 및 안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에 관계한다.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은 상술한 치료학적 유효량의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 및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디아자푸린은 모두 치료용도로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디아자푸린은 단독 또는 다른 디아자푸린이나 또는 다른 치료학적 화합물 즉 항생제, 항감염제 또는 항암제 등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항생제"는 공지의 것으로서 미생물 및 이의 합성 유도체를 증식하여 생성된 물질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병원균 증식을 저해하고, 또한 병원균에 선별적으로 독성을 갖고 감염된 숙주체에 대하여 최소 또는 유해하지 않은 정도의 영향을 미친다. 적절한 항생제의 예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클로람페니콜, 후시딘산, 마크로리드, 페니실린, 폴리믹신, 테트라사이클린 및 스트렙토마이신 등을 포함한다.
"항감염제"는 공지의 것으로서 염증유발제제 즉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아스피 린, 이부프로펜, NAIDS 등과 같은 염증 유발에 대하여 직접적인 길항작용없이 신체 메카니즘에 작용하는 작용제를 포함한다.
"항암제" 는 공지의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다른 생리학적 기능에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암세포의 성장을 감소, 약화 또는 방지하는 작용제를 포함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시스플라틴 및 시클로포스파미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약제물로서 인체 및 포유류에 투여할 때 자체 또는 예컨대, 0.1 내지 99.5%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90%)의 활성성분을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에 함유시켜서된 약제학적으로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란 액상 또는 고상 충전제, 희석제, 부형제, 용제 또는 캡슐화제 등과 같은 조성물 또는 매개체를 의미하며 기능 수행할 수 있는 방식으로 대상체에 화합물을 제공 또는 전달할 때 수반되는 물질이다. 전형으로, 이러한 화합물은 하나의 기관 또는 신체 일부에서 다른 기관 또는 다른 일부로 전달 또는 이동한다. 각 담체는 제형의 다른 성분들과 조화될 수 있고 환자에게 유해하지 않은 측면에서 "수용가능"이라 한다.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 역할을 할 수 있는 재료의 예를 들면, 젖당, 포도당 또는 자당 같은 당; 콘스타치 및 감자전분 같은 전분류; 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시메틸 나트륨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같은 셀룰로오스의 유도체; 분체형 트래거칸스; 맥아, 젤라틴, 활석; 코코아버터 및 좌약 왁스 같은 부형제; 피넛오일, 면실유, 잇꽃오일, 참기름, 올리브유, 옥수수유 및 콩기름 같은 오일류; 프로필렌글리콜 같은 글리콜류; 글리세린, 소르비톨, 만니톨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같은 폴리올류; 올레 인산에틸 및 라우릴산에틸 같은 에스테르류; 한천;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 같은 완충제; 알긴산; 피로겐 무함유수; 등장성 염수; 링거액; 에틸알코올; 인산염 완충액; 및 기타 약제학적으로 제형에 이용되는 무독성 조합물질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서 아미노 또는 알킬아미노 등의 염기성 관능기를 함유할 수 있고 또한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산과 함께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이란 본 발명 화합물의 비교적 무독성, 무기 및 유기산 부가염을 말한다. 이들 염은 화합물의 최종분리 정제 단계에서 자연 제조되거나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정제화합물을 유리염기 형태로 적절한 유기 또는 무기산과 반응시키고 이에 의해 형성된 염을 분리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대표적인 염의 예는 히드로브로마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황산염, 중황산염, 인산염, 질산염, 아세테이트, 발린산염, 올레산염, 팔미트산염, 스테아르산염, 라우릴산염, 벤조산염, 젖산염, 인산염, 토실레이트, 시트르산염, 말레산염, 푸마르산염, 숙신산염, 타타르산염, 나프틸산염, 메실레이트, 글루코헵토네이트, 락토바이오네이트 및 라우릴술폰산염 등을 포함한다 (예, Berge et al. (1977) "Pharmaceutical Salts", J.Pharm.Sci. 66:1-19 참조).
다른 경우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산성 관능기를 함유하기도 하며 따라서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기와 함께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 이란 본 발명의 비교적 무독성, 무기 및 유기염기 부가염을 말한다. 이들 염은 마찬가지로 화합물의 분리정제 단계에 서 그대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별도록 정제 화합물을 유리산 형태로서 적절한 염기 즉,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금속양이온의 수산화물,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과 반응시키거나, 암모니아와 또는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유기 1차, 2차 또는 3차아민과 반응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대표적인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의 염은 리튬,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및 알루미늄염 등이다. 염기 부가염의 형성에 유리한 대표적인 유기아민류는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에틸렌디아민,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피페라진 등을 포함한다.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에스테르"는 본 발명 화합물의 비교적 무독성인 에스테르화 화합물을 말한다. 이 에스테르는 화합물의 최종 분리 정제 단계에서 그대로 제조되거나 또는 별도로 상기 정제 화합물을 이의 유리산 또는 히드록실 형태로서 적절한 에스테르화 작용제와 반응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카르복실산은 촉매의 존재하에 알코올로 처리하여 에스테르로 전한시킬 수 있다. 히드록실 함유 유도체를 알카노일 할로겐화물 같은 에스테르화 작용제로 처리하여 에스테르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 용어는 생리학적 조건 하에서 해결될 수 있는 저급 탄화수소기 즉, 알킬에스테르, 메틸, 에틸 및 프로필에스테르 등을 포함한다 (예, Berge et al., 상기참조).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치료학적 화합물로 체내 전환되는 프로약물의 용도에도 관계한다 (예, R.B. Silverman, 1992 "The Organic Chemistry of Drug Design and Drug Action," Academic Press, Chapter 8 참조). 이러한 프로약물은 생체분포 또는 치료화합물의 약동학적 성질을 변화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기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이용하여 에스테르화시켜 에스테르를 수득할 수 있다. 에스테르를 대상체에 투여할 경우 에스테르는 효소적 또는 비효소적으로, 환원 또는 가수분해적으로 분해되어 음이온기를 방출할 수 있다. 음이온기는 분해되어 추후 다시 분해하여 활성화합물을 제공할 중간화합물을 노출시킬 성분들 (즉, 아실옥시메틸 에스테르)에 의해 에스테르 분해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프로약물은 황산염 또는 술폰산염의 환원형 즉, 체내 산화되어 치료화합물로 될 티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음이온 성분은 체내 능동적으로 전달되거나 또는 타겟 기관이 선별적으로 흡수할 기로 에스테르 분해될 수 있다. 에스테르는 담체성분에 대해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특별한 작용위치에 치료학적 성분을 특이목표화 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습윤제, 유화제 및 윤활제 즉 황산라우릴 나트륨 및 스테아르산 마그네슘과 착색제, 이형제, 피복제, 감미제, 향료, 보존제 및 항산화제 등도 조성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항산화제의 예는 수용성 항산화제로서 아스코르빈산, 염화수소 시스테인, 중황산나트륨, 메타중아황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등; 지용성 항산화제로서 팔미트산 아스코르빌, 부티레이티드 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티레이티드 히드록시톨루엔(BHT), 레시틴, 프로필 갈레이트, 알파토코페롤 등; 및 금속 킬레이트제로서 시트르산,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EDTA), 소르비톨, 타르타르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은 경구, 비강, 비경구적, 또는 피부투과적, 구강, 혀밑, 직 장내, 질내 및/또는 복강내 투여 등의 적절한 방법에 이용된다. 이 제형은 단위복용 형태를 갖고 또한 임의의 공지방법대로 제조할 수 있다. 단일 복용형태로 제조하기 위해 담체 재료와 조합될 수 있는 활성성분의 양은 일반적으로 치료효과를 가져올 화합물의 양이다. 일반적으로, 100퍼센트 기준하여 이 양은 1 내지 99퍼센트까지의 활성성분을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정도이다.
이들 제형 또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담체 및, 필요시, 하나 이상의 보조성분을 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형으로서, 이 제형은 이 제형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액상 담체 또는 미립분쇄된 고상 담체, 또는 양쪽 모두와 조합하고 그 후 필요시 제품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경구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제형은 캡슐, 캣쉬, 필, 태블릿, 정제형 (향 부가 기제를 당 및 아카시아 또는 트래거캔스 를 이용한), 파우더, 과립물 또는 수성이나 비수성액 내의 용액 또는 현탁액 형태, 또는 수중유적 또는 유중수적 액상 에멀젼 형태, 엘릭시르형이나 시럽형, 또는 알약 (불활성 기제로서 젤라틴 및 글리세린, 당과 아카시아 등을 사용한) 및/또는 구강세정제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은 예정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큰 정제, 연약 또는 페이스트 형태로도 투여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본 발명의 고상 투약형태에서 (캡슐, 태블릿, 필, 당의정, 분말, 과립형 등), 활성성분은 시트르산나트륨 또는 인산디칼슘, 및/또는 다음과 같이; 전분, 젖당, 자당, 포도당, 만니톨 및/또는 살리실산 등의 충전제나 확장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염, 젤라틴, 폴리비닐 피롤리돈, 당 및/또는 아카시아 같은 결합제; 글리세롤 같은 습윤제; 한천-한천, 탄산칼슘, 감자 또는 타피오카 전분, 알긴산, 임의의 규산염 및 탄산나트륨 같은 붕해제; 파라핀 같은 내용해제; 4급 암모늄 화합물 같은 흡수가속제; 세틸알코올 및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같은 습윤제; 카올린 및 벤토나이트 점토 같은 흡수제; 활석,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고형 폴리에틸렌 글리세롤, 황산라우릴나트륨 및 그 혼합물 같은 윤활제; 및 착색제 등을 포함하기도 한다. 유사한 형태의 고형 조성물을 락토스나 유당 같은 부형제를 고분자량 폴리에틸렌글리콜 등과 함께 이용하여 연성 및 경화충전 젤라틴 캡슐 형태의 충전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태블릿은 필요시 하나 이상의 보조 성분과 함께 압축 또는 성형법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압축태블릿은 결합제 (예, 젤라틴 또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윤활제, 불활성 희석제, 보존제, 붕해제 (예, 글리콜산 전분 나트륨이나 가교된 카르복시메틸 나트륨 셀룰로오스), 계면활성제나 분산제 등을 이용하여 제조하기도 한다. 성형된 태블릿은 적절한 장치내에서 불활성 액상 희석제에 의해 습윤처리된 분체형 화합물의 혼합물을 성형하여 제조하기도 한다.
태블릿 및 기타 고형 투약형태의 본 발명의 약제학적으로 조성물, 특히 당의정, 캡슐, 필 및 과립제 등은 필요시 장용성 코팅물 및 기타 약제학적으로 제형 관련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코팅물 등과 같은 코팅물 및 쉘제로 피복하거나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소요의 (약물) 방출 프로파일, 기타의 고분자 구조, 리포좀 및/또는 마이크로구형체 등을 얻기 위해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다양한 비율로 사용하여 제조한 활성성분 저속 또는 조절방출 기능을 제공하도록 제형화 하기도 한다. 이들은 세균-제한 필터를 통과하는 여과법 또는 멸균수나 기타 멸균형 주사매질에 사용직전 용해시킬 수 있는 멸균성 고형 조성물 형태의 멸균화제를 도입하여 멸균하기도 한다. 이 조성물은 또한 필요시 불투명화제를 포함하고 및 활성성분만 일정비율로 위장관 내에 선호적으로 지연방출 할 수도 있다. 사용가능한 조성물의 실시태양로는 고분자물질 및 왁스가 있다. 활성성분은 또한 하나 이상의 상술한 부형제를 함유한 마이크로-캡슐화 형태를 취하기도 한다.
본 발명 화합물의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투약형태는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에멀젼, 마이크로에멀젼, 용액, 현탁액, 시럽 및 엘릭시르 등을 포함한다. 활성 성분 이외에도, 액상 투약형태는 공지공용의 불활성 희석제 예컨대, 물이나 다른 용매로서 가용화제 및 에멀젼화제인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탄산에틸, 아세트산에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오일(특히, 면실유, 땅콩기름, 옥수수기름, 검, 올리브유, 캐스터유 및 참기름), 글리세롤, 테트라히드로푸릴 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그의 혼합물 등을 포함한다.
불활성 희석제 이외에도, 경구조성물은 또한 습윤제, 유화제 및 현탁제, 감미제, 향료, 착색제, 보존제 등의 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활성 화합물 이외에 현탁물은 또한 예컨대,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및 소르비탄 에스테르, 마이크로결정형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한천-한천 및 트래거캔스 및 이들의 혼합물 같 은 현탁제를 포함하기도 한다.
직장 또는 질내 투여를 위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의 제형은 좌약 형태이다. 즉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하나 이상의 적절한 무자극성 부형제 또는 담체와 혼합하여 제조하기도 하며 이 부형제 또는 담체의 예로서, 코코아버터, 폴리에틸렌글리콜, 좌약왁스 또는 살리실산염 등을 포함하고 이 좌약은 실온에서는 고형이나 체온하에서는 액상이 되므로 직장 또는 질의 강내에서 녹아 활성 화합물을 방출한다.
질내 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제형은 또한 상술한 담체를 함유하는 것으로 당해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파세리, 탐폰, 크림, 젤, 페이스트, 발포체 또는 분무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 화합물의 비경구적 또는 피부전달 경로의 투약 형태로는 분말, 분무액, 연고, 페이스트, 크림, 로션, 젤, 용액, 패치 및 흡입제 등을 포함한다. 활성 화합물은 멸균조건 하에서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 또한 기타 보존제, 완충제 또는 추진제와 혼합할 수 있다.
연고, 페이스트, 크림 및 겔은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 이외에도, 동물성 및 식물성 지방, 오일, 왁스, 파라핀, 전분, 트래거캔스,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규산, 활석 및 산화아연 또는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기도 한다.
분말 및 스프레이는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 이외에도, 젖당, 활석, 규산, 수산화알루미늄, 규산칼슘 및 폴리아미드 분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 다. 스프레이는 추가로 통상의 추진제 즉 클로로플로로 탄화수소 및 휘발성 비치환된 탄화수소 즉 부탄과 프로판을 함유하기도 한다.
피부전달 패치는 본 발명 화합물을 신체에 조절전달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투약형태는 화합물을 적절한 매질에 용해하거나 분산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흡수 개선제는 피부를 투과하는 화합물의 플럭스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플럭스 속도는 속도조절막을 제공하거나 또는 활성 화합물을 고분자 매트릭스 또는 겔에 분산시켜 제어할 수 있다.
안약형 제형, 연고, 파우더, 용액 등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으로 조제물이 안약형 제형 (예, 눈주변, 안구뒤 또는 눈속에 투여하는 주사제형, 계통적 제형 또는 외과수술 관주액 등)이다.
본 발명의 안약형 제형은 하나 이상의 디아자푸린 및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보형제를 포함하기도 한다. 다양한 종류의 보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보형제는 통상 수성의 성질을 갖고 있으며, 환자가 한두방울의 용액을 감염된 눈에 점적하여 조성물을 투여하기 쉽다는 점 때문에 수성 용액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디아자푸린은 또한 다른 종류의 조성물 즉, 현탁물, 점성 또는 반점성 겔이나 기타의 고형 또는 반고형 조성물 등에 도입하기도 쉽다. 본 발명의 안약형 조성물은 또한 완충제, 보존제, 공용매 및 점조성제 등의 다른 성분들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완충시스템 (예, 인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또는 붕산나트륨)을 첨가하여 보관조건 하에서 pH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안약 제품은 통상 다중투약형태로 포장된다. 보존제는 따라서 사용시 세균오 염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적절한 보존제로는; 염화벤즈알코늄, 티메로잘, 클로로부탄올,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페닐에틸알코올, 에데테이트 디소듐, 소르빅산, 폴리쿼터늄-1 또는 기타 공지의 작용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는 통상 0.001 내지 1.0 중량%/부피(% w/v) 정도의 범위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디아자푸린을 눈수술시 안구 후위 또는 안구주변에 주사하고 눈안으로 주입하는 경우 평형염 관주액을 보형제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BSS 멸균관주액 및 BSS 플러스 멸균 내안 관주액 (Alcon Laboratories, Inc., Fort Worth, Texas, USA)는 생리학적 평형 내안 관주액의 예이다. 후자의 예는 미국특허 4,550,022 (Garabedian, et al.)의 내용을 참조한다. 안구후위 및 눈주변으로의 주입방식은 공지의 것이며 다수의 문헌상에 나와있다. 예를 들어, Principles of Practice, Ed. G. L. Spaeth. W.B. Sanders Co., Philadelphia, Pa., U.S.A., pages 85-87 (1990) 참조).
상기 지적과 같이, 망막 및 시신경 두부조직의 손상을 예방 또는 감소를 위해 세포수준으로 디아자푸린을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있어서 중요한 측면이다. 치료가 필요한 눈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망막병변, 흑점변성, 눈의 빈혈, 녹내장 및 주입손상, 광화학적 상처 및 광이나 수술기구에 노출되어 망막 또는 시신경 두부에 생긴 상처 같은 눈 조직의 상처에 따른 손상 등이 포함된다. 화합물은 안과수술후 예컨대, 안과수술후 유리체 또는 결막 주입액 같은 부가물로 사용되기도 한다. 화합물은 일시적 상태를 집중치료 할 때 이용되거나 또는 만성적으로 특히 퇴행성 질환의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화합물은 또한 피임용 도 특히 안과수술이나 비침입성 안과치료나 기타 다른 종류의 수술을 시행하기 전 피임치료를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비경구적 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은 한가지 이상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역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멸균성 등장수용액 또는 비수성 용액, 분산액, 현탁액 또는 에멀젼, 또는 사용 직전 멸균 주사용액이나 분산액으로 재구성할 멸균성 분말과 조합하여 함유할 수도 있다. 여기에는 항산화제, 완충제, 제균제, 또는 혈액과 등장성이 되도록 수용체나 현탁 또는 농후제를 제형에 제공될 용질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에 사용될 수성 및 비수성 담체의 예는 물, 에탄올, 폴리올 (예,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및 적절한 이의 혼합물, 올리브유 같은 식물성 오일, 또한 주입형 유기에스테르인 올레인산에틸 등을 포함한다. 적절한 유동성은 예컨대 에시틴 같은 코팅물질을 사용하거나 소요의 입자크기를 유지하는 분산물에 의해, 및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또한 보존제, 유화제 및 분산제 같은 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균활동을 예방하는 것은 다양한 항세균제 및 항진균제의 사용으로 가능하다. 예컨대,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소르빈산페놀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또한 당, 염화나트륨 등의 등장화제를 조성물에 포함시키는 것도 좋다. 또한, 주입약제형 물질의 흡수시간을 지연하는 것은 모노스테아르산 알루미늄 및 젤라틴 등의 흡수속도를 지연제를 사용하여 해결한다.
경우에 따라, 약물의 효과를 지연시키기 위해 피하 또는 근육내 주사시 약물의 흡수속도를 지연시킬 필요가 있다. 이것은 수용해력이 떨어지는 결정형 또는 비정질형 물질의 액상 현탁물을 사용하면 성취된다. 약물의 흡수율은 용해율 및 따라서 결정크기 및 결정형태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혹은, 비경구적 투여형 약물의 지연흡수는 약물을 오일보형제에 용해 또는 현탁시키면 된다.
주사형 약제는 폴리락티드-폴리글리콜리드 같은 생분해적 고분자 내에 대상 화합물의 마이크로캡슐 구조를 형성하여 제조한다. 고분자에 대한 약물의 비율에 따라, 약물방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생분해적 고분자의 예는 폴리(오르토에스테르) 및 폴리(무수물)을 포함한다. 축적 주사제형은 또한 체조직과 조화성을 가진 리포좀 또는 마이크로에멀젼에 포집시켜 제조한다.
본 발명의 제형은 경구, 비경구적 또는 경로적이나 직장내 투여 용도로 제조된다. 물론 각 투여경로에 적합한 형태를 취해도 좋다. 예를 들어, 태블릿이나 캡슐형 또는 주사형이나 흡입형, 눈로션, 연고, 좌약 등의 형태로 투여한다. 주사 또는 주입이나 흡입 방법으로 투여하는 것, 로션이나 연고 등의 경로적 투여; 및 좌약을 통한 직장투여도 있다. 경구투여가 바람직하다.
"비경구적 투여" 및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다" 라는 것은 장내 및 경로적 투여 이외의 투여방식을 말하며 통상 주사법을 의미한다. 제한없이 정맥주사, 근육주사, 동맥주사, 내막주사, 캡슐내주사, 안와주사, 심장주사, 피내주사, 복강주사, 기관내주사, 피하주사, 상피내주사, 관절주사, 서브캡슐내주사, 서브망막주사, 척수내주사 및 흉부골주사 및 주입법을 포함한다.
"계통적 투여" 및 "계통적으로 투여한다" 와 "말단투여" 및 "말단에 투여한다" 는 뜻은 화합물, 약물 호은 기타 재료를 중추신경계에 직접 투여하는 것 이외의 방식으로 투여하는 것을 말하며 예를 들어 환자의 계통에 도입되고 따라서 대사작용 및 유사한 과정을 거치는 피하투여 등의 방식이다.
이들 화합물은 인간 및 다른 동물에 적절한 투여경로를 통해 투여되기도 하며 예를 들어 경구, 비강 등에 스프레이, 직장내, 질내, 비경구적 주사, 조내 및 경로적으로 분말체, 연고나 점적물 형태로 비강내 및 혀밑샘 등에 투여된다.
선택된 투여경로에 관계없이, 적절한 수화물 형태로 이용될 본 발명의 화합물 및/또는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은 종래의 공지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약량 형태로 제형화한다.
본 발명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에 함유된 활성성분의 실제 약량범위는 특정 환자, 환자에 독성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 및 투여방식 등에 대한 소요의 치료응답을 달성하는데 효과적인 활성성분의 양을 수득하기 위해 변경할 수 있다.
선별된 약량범위는 다양한 변수들 즉,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 그의 에스테르, 염 또는 아미드의 활성도, 투여경로, 투여시간, 사용된 화합물의 배출속도. 치료기간, 사용되는 특정화합물과 조합하여 하용될 기타의 약물, 화합물 및/또는 재료, 치료대상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 치료조건, 일반 건강상태 및 병력 등이 이에 포함된다.
의사 또는 수의사의 경우 소요의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의 유효량을 결정 또는 예측할 수 있 있다. 예를 들어, 의사 또는 수의사의 경우 약제조성물에 사용될 본 발명의 화합물 투약량을 소요량보더 적게 시작하여 원하는 정도의 치료효과를 달성하고 또한 원하는 효과를 얻을 때까지 그 약량을 증대시킨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적정 일일약량이 치료효과를 얻기에 유효한 최저투약량에 해당하는 양이다. 이러한 유효량은 대체로 상술한 바와 같은 변수들에 의존한다. 통상, 진통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 환자에 대한 정맥 및 피하주사량은 약 0.0001 내지 200mg/kg체중/일, 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50mg/kg/일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40mg/kg/일 정도이다.
필요시, 일일유효량의 활성 화합물을 2회, 3회, 4회, 5회, 6회 또는 그 이상의 횟수로 하루를 적정 시간간격으로 나누어, 필요하다면 단위투약 형식으로 투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약제학적으로 조서물 형태로 투약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N-6 치환된 7-디아자푸린 응답 상태, 즉, 불요하게 증가된 동물의 아데노신 수용체 활성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으로 조성물 완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약제학적으로 조성물 완제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디아자푸린의 치료학적 유효량 및 동물의 디아자푸린 응답 상태 치료에 관한 디아자푸린 사용설명서를 담은 용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아자푸린은 유기 합성 표준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디아자푸린은 역상 HPLC, 크로마토그래피, 재결정법 등으로 정제할 수 있다. 이들의 구조는 질량 스펙트럼분석법, 원소분석법, IR 및/또는 NMR 분광측정법 등을 이용해 확인한다.
전형으로서, 중간물 및 본 발명의 디아자푸린을 합성하는 방법이 용액 내에서 실행된다. 하나 이상의 보호기의 첨가 또는 제거 역시 전형의 실행절차이며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디아자푸린 중간물 제조의 전형의 합성도식을 다음의 도식(I)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 식(IV)의 화합물과 이의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 프로약물 유도체 또는 생물학적 활성대사물질을 제공한다.
Figure 112005070403968-pct00392
(식IV)
삭제
여기서, R1은 트랜스-4-히드록시 시클로헥실, 2-메틸아미노 카르보닐아미노, 시클로헥실, 아세틸아미노에틸 또는 메틸아미노 카르보닐아미노에틸이고;
R3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4원 내지 6원 고리, 페닐, 피롤, 티오펜, 푸란, 티아졸, 이미다졸, 피라졸, 1,2,4-트리아졸, 피리딘, 2(1H)-피리딘, 4(1H)-피리돈, 피라진, 피리미딘, 피리다진, 이소티아졸, 이속사졸, 옥사졸, 테트라졸, 나프탈렌, 테트랄린, 나프티리딘, 벤조푸란, 벤조티오펜, 인돌, 2,3-디히드로인돌, 1H-인돌, 인돌린,벤조피라졸, 1,3-벤조디옥솔, 벤족사졸, 테트라히드로퀴놀린, 이소퀴놀린, 벤지이미다졸, 퀴나졸린, 피리도[2,3-b]피라진, 피리도[3,4-b]피라진, 피리도[3,2-c]피리다진, 푸리도[3,4-b]피리딘, 1H-피라졸[3,4-d]피리미딘, 프테리딘, 2(1H)-퀴놀론, 1(2H)-이소퀴놀론, 1,4-벤즈이속사진, 벤조티아졸, 퀴녹살린, 퀴놀린-N-옥사이드, 이소퀴놀린-N-옥사이드, 퀴녹살린-N-옥사이드, 퀴나졸린-N-옥사이드, 벤족사진, 프탈라진, 시놀린 또는 다음의 식을 가진 화합물;
Figure 112002017298878-pct00017
여기서 Y는 탄소 또는 질소이고;
R2 및 R2'은 서로 독립적이고 H,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알킬,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아릴, 할로겐, 메톡시, 메틸아미노 또는 메틸티오이고; R5 은 H,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아릴알킬, 아미노, 치환된 아릴이고 여기서의 상기 치환된 된 알킬은 -C(R7)(R8)XR9 이고 이때의 X 는 O, S 또는 NR10 이고, R7 및 R8 은 서로 독립적으로 H 이나 알킬이고, R9 및 R10 은 서로 독립적으로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고, 또는 NR9R10 은 4원 내지 7원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고리이고;
R6은 H, 알킬, 치환된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 또는 프로약물 유도체나 또는 생물학적 활성대사물을 포함하고 단; R1 이 아세틸아미노 에틸이고 R3 이 4-피리딜이 아님을 조건으로 한다.
상기 식(IV)의 화합물의 일 실시태양에서, NR9R10 은 다음 식으로 된 그룹 중 선택되는 4원 내지 7원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고리이고;
Figure 112002017298878-pct00018
Figure 112002017298878-pct00019
여기서 m 은 0, 1 또는 2 이고,
Figure 112005070403968-pct00393
여기서 n은 0, 1, 2 또는 3 이고; R8′은 수소, -OH, -CH2OH, -C(=O)NR9R10, NHR11 이고; R11 은 -C(=O)CH3 또는 -SO2Me 이거나 또는 다음 식과 같고;
삭제
Figure 112002017298878-pct00021
여기서, R은 H, 알킬 또는 아릴이다.
식(IV)의 화합물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R3은 다음 식으로 되고;
Figure 112002017298878-pct00022
여기서 Y는 탄소나 질소; R2 은 수소 또는 할로겐, -O-알킬기, 아미노기 또는 설파이드기이고;
R5은 H,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아릴알킬, 아미노, 치환된 아릴이고 상기 치환된 된 알킬은 -C(R7)(R8)NR9R10 이고,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고,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고, 또는 R9, R10 및 질소가 함께 4원 내지 7원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고리를 형성한다.
화합물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Y는 탄소이다.
또다른 화합물의 예에서 R2은 수소이다.
또다른 화합물의 예에서 R6은 수소이다.
또다른 화합물의 예에서 R5은 수소이다.
또다른 화합물의 예에서 R5 및 R6은 각각 메틸이다.
화합물의 또다른 예에서, R5은 -C(R7)(R8)NR9R10 이고 여기서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고,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고, 또는 R9, R10 및 질소가 함께 4원 내지 7원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고리를 형성한다.
또다른 화합물의 예에서 R2은 할로겐이다.
또다른 화합물의 예에서 Y는 질소이다.
또다른 화합물의 예에서 R2은 수소이다.
또다른 화합물의 예에서 R5 및 R6은 각각 수소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 식(V)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5070403968-pct00394
(식 V)
여기서, R3은 아릴,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R6 은 H, 알킬, 치환된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고; R5은 H,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아릴알킬, 아미노, 치환된 아릴이고 상기 치환된 된 알킬은 -C(R7)(R8)NR9R10 이고,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고,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고, 또는 R9, R10 및 질소가 함께 4원 내지 7원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고리를 형성한다.
식(V)의 화합물의 일 실시태양에서, R7 및 R8 은 각각 H이고, R9은 H이고 R10는 -R12C(=O)R13 이다.
식(V)의 화합물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R7 및 R8 은 각각 H이고; 여기서의 고리계는 모르폴리노, 티오모르폴리노, N-4-치환된 피페라지노, 2-치환된 피페라진, 또는 R8′ 치환된 피롤리디노, 피페라딘이고 이 때의 R8′은 H, OH, CH2OH, -C(=O)NR9R10, NR11이고 R11은 -C(=O)CH3, -SO2Me 이다.
이 화합물의 또다른 실시태양은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24
[화합물 706]
이 화합물의 또다른 실시태양은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25
이 화합물의 또다른 실시태양은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26
[화합물 1318-a]
이 화합물의 또다른 실시태양은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27
[화합물 1318-b]
또다른 화합물은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28
[화합물 1319]
또다른 화합물은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29
[화합물 1320]
또다른 화합물은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30
[화합물 1321]
다음의 식(VI)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에서;
Figure 112005070403968-pct00395
삭제
(식 VI)
R3 은 5원 또는 6원 방향족 고리이고; R5 및 R6 은 서로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다.
이 화합물의 또다른 실시태양은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32
[화합물 1500]
이 화합물의 또다른 실시태양은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33
이 화합물의 또다른 실시태양은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34
화합물 1500 의 또다른 실시태양은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35
또다른 화합물의 실시태양은 다음의 식으로 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36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식(VII)으로 된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5070403968-pct00396
(식 VII)
여기서, R3 은 5원 또는 6원 방향족 고리이고; R5 및 R6 은 서로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고; 단 R3 이 4-피리딜일 경우 알킬이다.
이 화합물의 일 실시태양은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38
[화합물 1501]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식(VIII)으로 된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5070403968-pct00397
(식 VIII)
여기서, R3 은 치환된 된 5원 또는 6원 방향족 고리이고; R5 및 R6 은 서로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다.
이 화합물의 일 실시태양은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40
[화합물 1520]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식(IX)으로 된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5070403968-pct00398
(식 IX)
여기서, R3 은 5원 또는 6원 방향족 고리이고; X는 산소 또는 황이다.
이 화합물의 일 실시태양은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42
[화합물 1503]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식(X)으로 된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5070403968-pct00399
(식 X)
여기서, R3 은 5원 또는 6원 방향족 고리이고; X은 산소 또는 황이다.
이 화합물의 일 실시태양은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44
[화합물 1504]
본 발명은 또한 대상체에 대한 A1 아데노신 수용체 관련 질환의 치료방법으로서 대상에게 상술한 식IV, V, VI, VII, VIII, IX 또는 X으로 된 화합물을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체는 포유동물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이 포유동물은 사람이다.
이 방법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A1 아데노신 수용체는 인지형 질환, 신장손상, 심장부정맥, 호흡기 상피, 전달방출, 진정작용, 혈관수축, 서맥, 심근수축 및 심변조감소, 기관지수축, 뉴트로필 화학주성, 환류조건 또는 궤양성 조건 등에 연루된다.
본 발명은 또한 천식 치료 조합물로서, 화합물IV 및 V, 스테로이드, β2 길항근, 글루코코티코이드, 루코트리엔 길항물질, 또는 항콜린작용 길항근 등을 포함하는 조합물도 제공한다. 아데노신 A1, A1a, A2b 및 A3 에 관련된 질병은 WO99/06053 및 WO-09822465, WO-09705138, WO-09511681, WO-09733879, JP-09201089, PCT/US98/16053 및 미국특허 5,516,894 등의 공지문헌에 발표되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구조식 IV, V, VI, VII, VIII, IX 또는 X을 갖는 화합물의 수용성 프로약물로서, 체내 대사를 거쳐 선별적으로 A1 아데노신 수용체를 저해하는 활성약물로 되는 프로약물을 제공한다.
프로약물의 일 실시태양은 에스테르화 효소의 촉매화 가수분해에 의해 체내 대사된다.
이 발명은 또한 프로약물 및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으로 조성물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세포내 상기 A1 아데노신 수용체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조식 IV,V,VI,VII,VIII,IX 또는 X을 갖는 화합물과 세포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저해방법도 제공한다.
이 방법의 일 실시태양에서, 이 화합물은 상기 A1 아데노신수용체의 길항물질이다.
본 발명은 또한 대상내 위장질환을 치료하는 것으로, 구조식IV, V, VI, VII, VIII, IX 또는 X을 갖는 유효량의 화합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헌 실시태양에서, 상기 질환은 설사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대상은 인간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A1 아데노신 수용체의 길항물질이다.
본 발명은 또한 대상내 호흡기 질환을 치료하는 것으로, 구조식IV, V, VI, VII, VIII, IX 또는 X을 갖는 유효량의 화합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질환은 천식, 만성장애형 폐질환, 알러지성 비염 또는 상부 호흡기 질환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대상은 인간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A1 아데노신 수용체의 길항물질이다.
본 발명은 또한 대상의 눈 손상을 치료하는 것으로, 구조식IV, V, VI, VII, VIII, IX 또는 X을 갖는 유효량의 화합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손상은 망막 또는 시신경 두부 손상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대상은 인간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A1 아데노신 수용체의 길항물질이다.
본 발명은 또한 구조식IV, V, VI, VII, VIII, IX 또는 X을 갖는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관계한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치료학적 유효량은 호흡기질환 또는 위장질환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양을 말한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위장질환은 설사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호흡기질환은 천식, 알러지성 비염, 또는 만성장애형 폐질환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A1 아데노신 수용체의 길항물질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은 안과제형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은 눈주위, 안구후위 또는 눈속에 넣는 주입제형이다.
그 밖의 또다른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의 실시태양은 계통적 제형이다.
약제학적으로 조제물의 한 예에서, 상기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은 외과용 관주액이다.
본 발명은 또한 대상의 A1 아데노신 수용체에 연관된 질환을 치료할 약제학적으로 조성물 완제품으로서, (a) 치료학적 유효량의 아데노신 A1 특이화합물 함유 용기; 및 (b) 이 화합물을 대상의 질병 치료에 이용하는 것에 관한 사용설명서를 포함한다.
상술한 "화합물은 A1 선택성이고" 란 이 화합물이 아데노신 A2a, A2b 또는 A3에 대해 적어도 10배 이상의 아데노신 A1 수용체에 대한 결합강도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또한 식IV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 프로약물 유도체 또는 생물학적 활성 대사물질을 다음의 단계에 따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
Figure 112005070403968-pct00400
Figure 112005070403968-pct00401
을 반응시켜
Figure 112005070403968-pct00402
을 수득하는 단계 (여기서 P는 분리가능한 보호기이다);
(b) 상기 (a) 단계의 생성물을 환화(cyclization)조건 하에서 처리하여
Figure 112005070403968-pct00403
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생성물을 적합한 조건 하에서 처리하여
Figure 112005070403968-pct00404
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염소화 생성물을 NH2R1 로 처리하여
Figure 112005070403968-pct00405
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여기서, R1 은 트랜스-4-히드록시 시클로헥실, 2-메틸아미노 카르보닐아미노 시클로헥실, 아세틸아미노에틸 또는 메틸아미노 카르보닐아미노에틸이고;
R3 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4원 내지 6원 고리이고; R5 은 H,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아릴알킬, 아미노, 치환된 아릴이고 여기서의 상기 치환된 된 알킬은 -C(R7)(R8)XR9 이고 이때의 X 는 O, S 또는 NR10 이고, R7 및 R8 은 서로 독립적으로 H 이나 알킬이고, R9 및 R10 은 서로 독립적으로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고, 또는 NR9R10 은 4원 내지 7원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고리이고;
R6은 H, 알킬, 치환된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 또는 프로약물 유도체나, 또는 생물학적 활성대사물을 포함하고 단; R1 이 아세틸아미노 에틸이고 R3 이 4-피리딜이 아님을 조건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식(V)을 갖는 화합물을 다음의 단계에 따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a)
Figure 112005070403968-pct00406
Figure 112005070403968-pct00407
을 반응시켜
Figure 112005070403968-pct00408
을 수득하는 단계 (여기서 P는 분리가능한 보호기이다);
(b) 상기 (a) 단계의 생성물을 환화 조건 하에서 처리하여
Figure 112005070403968-pct00409
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생성물을 적합한 조건 하에서 처리하여
Figure 112005070403968-pct00410
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염소화 생성물을 다음 구조식의 화합물
Figure 112002017298878-pct00056
로 처리하여
Figure 112005070403968-pct00411
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여기서, R3 은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이고;
R6 은 H, 알킬, 치환된 알킬, 시클로알킬이고; R5 은 H,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아릴알킬, 아미노, 치환된 아릴이고 이때의 치환된 알킬은 -C(R7)(R8)NR9R10 이고 R7 및 R8은 각각 H 또는 알킬이고; R9 및 R10 은 각각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고, 또는 NR9R10 이 4원 내지 7원의 고리계이다.
식VI, VII 및 VIII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화학도식I-VIII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식 IX 및 X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화학도식IX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비제한적인 다음의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예시된다. 여기에서 언급한 모든 문헌, 계류중이거나 공개된 특허출원을 모두 참고로 한다. 실시예에서의 모델들은 모두 예시를 위한 것이며 이들 모델에서 확인된 효능들은 인체에서도 효능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을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나, 당해 분야의 지식을 가진 경우 여기에서 사용된 특정의 방법들 및 검토결과 등은 본 발명의 예시를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따른 본 발명의 특징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디아자푸린은 유기합성 분야의 표준방법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디아자푸린은 역상 HPLC, 크로마토그래피법, 재결정법 등에 의해 정제될 수 있고 이들의 구조는 또한 질량스펙트럼 분석, 원소분석법, IR 및/또는 NMR 분광측정법 등을 통해 확인된다.
전형으로, 중간물 및 본 발명의 디아자푸린 합성은 액상에서 진행된다. 하나 이상의 보호기를 첨가 및 제거하는 것도 일반적인 실행방법이며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디아자푸린 중간체의 제조를 위한 전형의 합성도식은 하기의 도식I과 같이 표현된다.
(도식 I)
Figure 112002017298878-pct00058
여기서 R3, R5 및 R6 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보호된 2-아미노-3-시아노-피롤은 할로겐화아실로 처리하여 카르복시아미도-3-시아노피롤을 형성할 수 있고 이것은 고리를 폐쇄시켜 피롤[2,3d]피리미딘-4(3H)-온 을 형성하도록 산성 메탄올로 처리될 수 있다 (Muller, C.E. et al., J.Med.Cehm. 40:4396 (1997) 참조). 피롤 보호기의 제거 및 후속의 염소화 시약을 이용한 처리 즉, 인산 옥시클로라이드로 처리하여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4-클로로-7H-피롤로[2,3d] 피리미딘을 제조하였다. 이 클로로피리미딘을 아민으로 처리하여 7-디아자푸린을 수득했다.
예를 들어, 도식(I)에서 보는 바와 같이, N-(1-dl-페닐에틸)-2-아미노-3-시아노피롤을 피리딘 및 디클로로메탄 내에서 할로겐화아실로 처리했다. 결과로 나온 N-(1-dl-페닐에틸)-2-페닐카르복시아미도-3-시아노-피롤을 10:1 메탄올/황산 혼합물로 처리하여 고리폐쇄 작용하고 결과로써 dl-7H-7-(1-페닐에틸)피롤로[2,3d] 피리미딘-4(3H)-온 을 얻었다. 피리미딘을 폴리인산(PPA)으로 처리한 후 다시 POCl로 처리하여 페닐에틸기를 제거하면 목적하는 중간물 즉 4-클로로-7H-피롤로 [2,3d] 피리미딘을 얻게되었다. 후속의 4-클로로-7H-피롤로 [2,3d] 피리미딘을 다음의 표 1에 열거된 각종 아민류로 처리하면 화학식(I) 및 (II)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표 1
Figure 112002017298878-pct00059
Figure 112002017298878-pct00060
Figure 112002017298878-pct00061
6-치환된 피롤 제조에 관한 일반적 접근을 다음의 도식(II)에서 나타내었다.
(도식 II)
Figure 112002017298878-pct00062
여기서 R 내지 R은 상술한 정의와 같다.
α-할로케톤을 이용한 시아노아세트산에틸의 에스테르 전달반응 및 알킬반응으로 케토메틸에스테르를 제공한다. 케톤보호 및 아미딘 (예, 알킬, 아릴 또는 알킬아릴) 히드로클로라이드을 이용한 처리로 케탈보호된 피리미딘을 수득했다. 보호기 제거후 환화반응 및 인산 옥시클로라이드를 이용한 처리 결과 추후 다시 아민으로 처리하여 아민 6-치환된 피롤을 제공하기 위한 염화물 중간체를 수득하였다. 별도로, 피롤 질소의 알킬화반응은 공지의 방식대로 성취될 수 있다.
5-치환된 피롤 제조를 위한 일반적 접근은 다음의 도식III에서와 같이 표현 된다.
(도식 III)
Figure 112002017298878-pct00063
여기서, R1 내지 R6 은 상술한 정의와 같고 R은 제거가능한 보호기이다.
말로노니트릴 및 과량의 케톤을 축합하고 그 생성물을 브롬화 반응시키면 출발물질인, 모노브롬화 및 디브롬화 생성물을 수득할 수 있었고 이것은 알킬아민, 아릴아민 또는 알킬아릴아민에 의해 처리되었다. 결과로 나온 아민 생성물은 산염화물로 아실화처리했고 모노아실화 피롤은 산의 존재하에 환화반응을 거쳐 상응하는 피리미딘을 제공하였다. 피롤 보호기는 폴리인산에 의해 제거되고 및 인산 옥시클로라이드로 처리하여 염소화 생성물을 형성하였다. 염소화 피롤은 후속으로 아민 처리되어 아미노 5-치환된 피롤을 제조할 수 있다. 피롤 질소의 알킬화 반응은 공지의 조건 하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식IV 및 V은 본 발명의 하기 1, 2의 디아자푸린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64
(식 1) (식 2)
여기서 R5 및 R6 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CH3 이다.
6-메틸 피롤로피리미딘의 제조;
6-메틸피롤로피리미딘(1)으로의 핵심반응 (R5 = CH3)은 벤즈아미딘을 이용한 시아노아세테이트의 피리미딘 생성을 위한 환화반응이었다. 시아노아세트 메틸은 종래의 에틸에스테르보다 벤즈아미딘을 이용할 때 더 효과적으로 피리미딘으로 고리화 반응한다. 따라서, NaOMe 및 과량의 α-할로아세틸 성분 즉, 클로로아세톤의 존재하에서 시아노아세트산에틸의 에스테르효소 전달반응 및 알킬화반응은 79% 수율로 원하는 메틸에스테르(3)를 제공하였다 (도식 IV). 케토에스테르(3)는 아세탈(4)의 수율이 81%로서 보호되었다. 피리미딘(5)을 형성하는 새로운 환화반응법은 아미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예로서, 벤즈아미딘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2 당량 DBU 를 이용하여 달성하였으며 상기 화합물(5)을 54%의 분리수율로 수득하였다. 이 방법은 구아니딘을 이용한 환화반응시 NaOMe를 활용하는 공지의 조건 하에서 수율 을 20% 이상 향상시킬 수 있다. 피롤-피리미딘(6)으로의 환화반응은 수성 HCl 내의 아세탈의 탈보호처리를 통해 달성되며 78% 의 수율로 얻어진다. 환류시 인산 옥시클로라이드를 이용한 (6)의 반응으로 상응하는 4-클로로 유도체(7)을 수득하였다. 디메틸 술폭시드 내에서 135℃ 의 온도하에 시행되는 트랜스-4-아미노시클로헥사놀과의 결합반응으로 (7)로부터 (1)을 57%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당해분야의 기술자라면 소요의 치환된 물 R5 에 대한 선택유연성이 큰 시약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식(IV)
Figure 112002017298878-pct00065
5-메틸 피롤로피리미딘의 제조;
환류벤젠 내에서 말로노니트릴 및 과량의 케톤 즉 아세톤의 크노에벤겔(Knoevengel) 축합반응을 통해 증류후 생성물(8)을 5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클로로포름에 용해된 과산화벤조일의 존재하에서, N-브로모숙신이미드를 이용한 생성물(8)의 브롬화반응을 통해 출발물질 즉, 모노-(9), 및 디-브롬화 생성물의 혼합물 (5/90/5)을 증류후 수득했다 (70%). 이 혼합물은 α-메틸알킬아민 또는 α-메틸아릴아민, 예로서 α-메틸벤질아민과 반응하여 아미노피롤(10)을 전달하였다. 짧은 실리카겔 컬럼을 통과시킨 후, 부분정제된 아민 (31% 수율)을 산염화물 즉, 염화벤조일로 아실화반응시켜 모노-(11) 및 디아실화(12) 피롤을 전달하였고 이것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중복치환된 된 피롤(12)의 산 가수분해로 아실피롤(11)이 29%의 조합수율로 얻어졌다. 농축황산 및 DMF 존재하의 환화반응으로 생성물(13)이 수득되었고 (수율 23%), 이를 폴리인산으로 탈보호처리하여 생성물(14)을 수득했다. 생성물(14)은 환류시 인산 옥시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상응하는 4-클로로 유도체(15)를 제공하였다.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된 트랜스-4-아미노시클로헥사놀과 135℃ 에서 결합시켜 상기 생성물(14)로부터 생성물(2) (R6= CH3)를 30% 수율로 수득하였다 (도식 V). 당해분야의 기술자라면 소요의 치환된 물 R5 에 대한 선택유연성이 큰 시약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식(V)
Figure 112002017298878-pct00066
R 6 -치환된 피롤, 즉 5-메틸 피롤로피리미딘에 대한 별도의 합성경로:
R6-치환된 피롤 즉, 5-메틸피롤로피리미딘으로의 별도 합성경로는 생성물(16)을 제조하기 위한 시아노아세트산에틸의 에스테르효소 전달반응 및 알킬화반응을 수반한다 (도식 VI). 생성물(16)을 2당량 DBU의 벤즈아미딘 히드로클로라 이드와 함께 축합반응시켜 피리미딘(17)을 제공한다. 피롤-피리미딘(14)으로의 환화반응은 수성 HCl 내의 아세탈 탈보호반응을 통해 달성된다. 환류하의 생성물(14)과 인산 옥시클로아이드의 반응으로 상응하는 4-클로로 유도체(15)를 수득했다. 디메틸 술폭시드 내에서 트랜스-4-아미노시클로헥사놀과 135℃ 온도 하에 결합반응시켜 생성물(2)를 수득한다. 이 절차는 목표화합물(2)을 얻기위한 합성반응의 횟수를 9단계에서 4단계로 줄일 수 있다. 더욱더, 수득율이 현저히 증가한다. 다시, 당해분야의 기술자라면 소요의 치환된 물 R5 에 대한 선택유연성이 큰 시약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식 VI)
Figure 112002017298878-pct00067
des-메틸피롤의 제조를 위한 일반적 접근은 다음의 도식VII에서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68
(도식 VII)
Figure 112002017298878-pct00069
여기서 R1 내지 R3 은 상술한 바와 같다.
염기의 존재하에 시아노아세트산 알킬과 디에틸 아세틸의 알킬화반응은 메틸 피롤로피리미딘 선구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아미딘염으로 처리된 시아노 디에틸아세 탈을 제공하였다. 선구체는 염소화처리 및 아민으로 처리하여 des-메틸 피롤로피리미딘 타겟을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예를 들어, 도식VIII은 화합물(18)의 합성과정을 도시한다.
(도식 VIII)
Figure 112002017298878-pct00070
상용화된 시아노아세트산 메틸은 탄산칼륨의 존재하에서 브로모아세트알데히드 디에틸아세탈로 알킬화 반응시켜 생성물(19)을 수득하였다. 피리미딘(20)으로의 환화반응은 2단계에 거쳐 달성되었다. 먼저, 피리미딘-아세탈은 생성물(19)과 2당량 DBU의 벤즈아미딘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형성하였다. 결과로 나온 피리 미딘-아세탈을 정제없이 수성 1N HCl로 탈보호처리하고 그 결과인 알데히드를 고리화시켜 피롤로-피리미딘(20)으로 만들었고 이것을 여과분리하였다. 생성물(20)과 인산 옥시클로라이드를 환류하에서 반응시켜 상응하는 4-클로로 유도체(21)를 제공하였다. 클로로 유도체 및 DMSO 에 용해된 트랜스-4-아미노시클로헥사놀을 135℃ 에서 결합반응시켜 화합물(21)로부터 화합물(18)을 수득하였다.
도식 (II)-(VIII)은 피롤로피리미딘 고리의 5- 및 6-위치를 관능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른 출발시약 및 상기 반응도식의 소폭 변화를 통해 다양한 관능기를 구조식(I) 및 (II)의 5- 및 6-위치에 도입할 수 있다. 표 2는 그 몇가지 예를 도시한다.
표 2. 5- 및 6-치환된 피롤로피리미딘의 선별목록
Figure 112002017298878-pct00071
당해 분야의 기술자라면 대상 내의 화합물 대사반응이 약물로써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생물학적 활성대사물을 생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다음의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예시된다. 여기에서 언급한 모든 문헌, 계류중이거나 공개된 특허출원을 모두 참고로 한다. 실시예에서의 모델들은 모두 예시를 위한 것이며 이들 모델에서 확인된 효능들은 인체에서도 효능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예
제조물 1:
Seela 및 Lupke 알킬화 방법의 변형예를 사용하였다.1 MeOH(20㎖)에 용해된 시아노아세트산 에틸의 얼음냉각(0℃)용액 (6.58g, 58.1밀리몰)을 NaOMe (25% w/v; 58.1밀리몰)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10분후, 용매를 제거하였다. 갈색오일을 EtOAc (100㎖)에 희석하고 H2O (100㎖)로 세척하였다. 유기성분을 건조, 여과 및 농축하여 갈색오일 (7.79g; 79%)을 수득했다. 오일(3)(도식 IV)은 메틸/에틸에스테르 생성물(9/1)의 혼합물이고 별도의 정제처리없이 사용되었다. 1H NMR (200MHz, CDCl3)δ_4.24 (q. J=7.2Hz, OCH2), 3.91(dd, 1H, J=7.2, 7.0Hz, CH), 3.62(s, 3H, OCH3), 3.42(dd, 1H, J=15.0, 7,1Hz, 1xCH2); 3.02(dd, 1H, J=15.0, 7.0Hz, 1xCH2 ); 2.44(s, 3H, CH3), 1.26(t, J=7.1Hz, 에스테르-CH3).
1Seela, F.; Lupke; U.Chem.Ber. 1977, 110, 1462-1469.
제조물 2:
Seela 및 Lupke 방법을 사용하였다.1 따라서, 케톤(3) (도식 IV; 5.0g, 32.2밀리몰)을 TsOH(100mg) 존재하에서 에틸렌글리콜(4㎖, 64.4밀리몰)로 보호처리하면 섬광(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iO2; 3/7 EtOAc/Hex, R f 0.35)처리후 생성물(4)이 오일형태로 수득되었다. (도식 IV; 5.2g, 81.0). 아직까지 ~5% 에틸에스테르가 함유되어 있다: 1H NMR (200MHz, CDCl3)δ_4.24 (q. J=7.2Hz, OCH2), 3.98(s, 4H, 2x아세텔-CH2), 3.79(s, 3H, OCH3), 3.62(dd, 1H, J=7.2 7.0Hz, CH), 2.48(dd, 1H, J=15.0, 7.1Hz, 1xCH2), 2.32(dd, 1H, J=15.0, 7.0Hz, 1xCH2); 1.35(s, 3H, CH3 ), 1.26(t, J=7.1Hz, 에스테르-CH3); MS(ES): 200.1(M'+1).
1Seela, F.; Lupke; U.Chem.Ber. 1977, 1462-1469.
제조물 3:
아세탈(4) (도식 IV; 1g, 5.02밀리몰), 벤즈아미딘(786mg, 5.02밀리몰), 및 DBU(1.5㎖, 10.04밀리몰)을 무수DMF(15㎖)에 용해한 용액을 85℃ 까지 15시간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HCl3(30㎖) 에 희석하고 0.5N NaOH(10㎖) 및 H2O (20㎖)로 세척하였다. 유기성분을 건조, 여과 및 농축하여 갈색 오일을 얻었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iO2; 1/9 EtOAc/CH2Cl2, R f 0.35)처리 했으나 물질은 컬럼상에 결정화되었다. 실리카겔을 MeOH로 세척하였다. 생성물(5) 함유 성분 (도식 IV)을 농축하여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783mg, 54.3%). 1H NMR (200MHz, CDCl3)δ8.24 (m. 2H, Ar-H), 7.45(m, 3H, Ar-H), 5.24(br s, 2H, NH2), 3.98(s, 4H, 2x아세탈-CH2), 3.60-3.15(m, 2H, CH2), 1.38(s, 3H, CH3); MS(ES): 288.1(M'+1).
화합물(20)의 제조(도식 VIII): 아세탈(19)(4.43g, 20.6밀리몰)1, 벤즈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3.22g. 20.6밀리몰); 및 DBU(6.15㎖, 41.2밀리몰)을 무수 DMF (20㎖)에 용해한 용액을 85℃ 까지 15시간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CHCl3 에 희석하고 H2O (2 x 50㎖)로 세척하였다. 유기성분을 건조, 여과 및 농축하여 흑갈색 오일을 얻었다. 흑갈색 오일을 1N HCl (100㎖)에서 2시간동안 실온하에 교반하였다. 결과로 얻은 슬러리를 여과하여 생성물(20)의 HCl염을 갈색 고형물 (3.60g, 70.6%)로서 수득한다; 1H NMR (200MHz, DMSO-d6) 11.92 (s 1H), 8.05(m, 2H, Ar-H), 7.45(m, 3H, Ar-H), 7.05(s, 1H, 피롤-H); MS(ES): 212.1(M'+1).
제조물 4:
아세탈(5)(700mg, 2.44밀리몰)을 1N HCl (40㎖)에 용해한 용액을 2시간동안 RT에서 교반하였다. 결과로 나온 슬러리를 여과하여 2-페닐-6-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3H)-온의 HCl염을 갈색 고형물 (498mg, 78.0%)로서 수득한다; 1H NMR (200MHz, DMSO-d6) δ 11.78 (s 1H), 8.05(m, 2H, Ar- H), 7.45(m, 3H, Ar-H), 6.17(s, 1H, 피롤-H); 2.25(s, 3H, CH3); MS(ES): 226.1(M'+1).
제조물 5:
Chen et al. 환화반응 방법의 변형예를 사용하였다.1 이소프로필 알코올(60㎖)에 용해된 브롬화물의 얼음냉각(0℃)용액 (도식 V; 20.0g, 108밀리몰; 90% 순도)을 α-메틸벤질아민(12.5㎖, 97.3밀리몰)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흑색용액을 실온(RT)까지 가온하고 15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200㎖)에 희석하고 0.5N NaOH(50㎖)로 세척하였다. 유기성분을 건조, 여과 및 농축하여 흑색 타르(19.2g; 94%)을 수득했다. 잔류물은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iO2; 4/96 MeOH/CH2Cl2, R f 0.35) 처리하여 흑색 고형물(6.38g, 31%) 형태의 화합물 dl-1-(1-페닐에틸)-2-아미노-3-시아노-4-메틸피롤을 수득하였다.; MS(ES):226.1(M'+1).
1Chen, Y.L.; Mansbach, R.S.; Winter, S.M.; Brooks, E.; Colloins, J.; Corman. M.L.; Dunaiskis, A.R.; Faraci, W.S.; Gallaschun, R.J.; Schmidt, A.; Schulz, D.W.J.Med.Chem. 1997, 40, 1749-1754.
제조물 6:
dl-1-(1-페닐에틸)-2-아미노-3-시아노-4,5-디메틸피롤1(14.9g, 62.5밀리몰) 및 피리딘(10.0㎖)을 디클로로메탄(50.0㎖)에 용해한 용액에 염화벤조일(9.37g, 66.7밀리몰)을 0℃ 에서 첨가하였다.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헥산(10.0㎖) 을 첨가하여 생성물의 침전을 도왔다. 용매를 감압제거하고 얻은 고형물을 EtOH/H2O 로부터 재결정화 하여 13.9g(65%)의 dl-1-(1-페닐에틸)-2-페닐카르보닐아미노-3-시아노-4,5-디메틸피롤을 얻었다. mp 218-221℃; 1H NMR (200MHz, CDCl3) δ_1.72(s 3H), 1.76(d, J=7.3Hz, 3H), 1.98(s, 3H), 5.52(q, J=7.3Hz, 1H), 7.14-7.54(m, 9H), 7.68-7.72(dd, J=1.4Hz, 6.9Hz, 2H), 10.73(s, 1H); MS(ES): 344.4(M'+1).
1Liebigs Ann. Chem. 1986, 1485-1505.
다음의 화합물을 유사한 방식으로 수득했다.
제조물 6A:
dl-1-(1-페닐에틸)-2-(3-피리딜)카르보닐아미노-3-시아노-4,5-디메틸피롤. 1H NMR (200MHz, CDCl3) δ_1.83(d, J=6.8Hz, 3H), 2.02(s, 3H), 2.12(s, 3H), 5.50(q, J=6.8Hz, 1H), 7.14-7.42(m, 5H), 8.08(m, 2H), 8.75(m, 3H); MS(ES): 345.2(M'+1).
dl-1-(1-페닐에틸)-2-(2-푸릴)카르보닐아미노-3-시아노-4,5-디메틸피롤. 1H NMR (200MHz, CDCl3) δ1.84(d, J=7.4Hz, 3H), 1.92(s, 3H), 2.09(s, 3H), 5.49(q, J=7.4Hz, 1H), 6.54(dd, J=1.8Hz, 3.6Hz, 1H), 7.12-7.47(m, 7H); MS(ES): 334.2(M'+1), 230.1.
dl-1-(1-페닐에틸)-2-(3-푸릴)카르보닐아미노-3-시아노-4,5-디메틸피롤. 1H NMR (200MHz, CDCl3) δ1.80(d, J=7Hz, 3H), 1.89(s, 3H), 2.05(s, 3H), 5.48(q, J=7Hz, 1H), 6.59(s, 1H), 7.12-7.40(m, 6H); 7.93(s, 1H), MS(ES): 334.1(M'+1), 230.0.
dl-1-(1-페닐에틸)-2-시클로펜틸카르보닐아미노-3-시아노-4,5-디메틸피롤. 1H NMR (200MHz, CDCl3) δ1.82(d, J=7.4Hz, 3H), 1.88(s, 3H), 2.05(s, 3H), 1.63-1.85(m, 8H), 2.63(m, 1H), 5.43(q, J=7.4Hz, 1H), 6.52(s, 1H), 7.05-7.20(m, 5H); MS(ES): 336.3(M'+1).
dl-1-(1-페닐에틸)-2-(2-티에닐)카르보닐아미노-3-시아노-4,5-디메틸피롤. 1H NMR (200MHz, CDCl3) δ1.82(d, J=6.8Hz, 3H), 1.96(s, 3H), 2.09(s, 3H), 5.49(q, J=6.8Hz, 1H), 7.05-7.55(m, 8H); MS(ES): 350.1(M'+1), 246.0.
dl-1-(1-페닐에틸)-2-(3-티에닐)카르보닐아미노-3-시아노-4,5-디메틸피롤. 1H NMR (200MHz, CDCl3) δ1.83(d, J=7.0Hz, 3H), 1.99(s, 3H), 2.12(s, 3H), 5.49(q, J=7.0Hz, 1H), 6.90(m, 1H), 7.18-7.36(m, 6H); 7.79(m, 1H); MS(ES): 350.2(M'+1), 246.1.
dl-1-(1-페닐에틸)-2-(4-플로로페닐)카르보닐아미노-3-시아노-4,5-디메틸피롤. 1H NMR (200MHz, CDCl3) δ1.83(d, J=7.4Hz, 3H), 1.96(s, 3H), 2.08(s, 3H), 5.51(q, J=7.4Hz, 1H), 7.16-7.55(m, 9H); MS(ES): 362.2(M'+1), 258.1.
dl-1-(1-페닐에틸)-2-(3-플로로페닐)카르보닐아미노-3-시아노-4,5-디메틸피롤. 1H NMR (200MHz, CDCl3) δ1.83(d, J=7.4Hz, 3H), 1.97(s, 3H), 2.10(s, 3H), 5.50(q, J=7.4Hz, 1H), 7.05-7.38(m, 7H); 7.67-7.74(m, 2H); MS(ES): 362.2(M'+1), 258.1.
dl-1-(1-페닐에틸)-2-(2-플로로페닐)카르보닐아미노-3-시아노-4,5-디메틸피롤. 1H NMR (200MHz, CDCl3) δ1.85(d, J=7.2Hz, 3H), 1.94(s, 3H), 2.11(s, 3H), 5.50(q, J=7.2Hz, 1H), 7.12-7.35(m, 6H); 7.53(m, 1H), 7.77(m, 1H), 8.13(m, 1H); MS(ES): 362.2(M'+1), 258.0.
dl-1-(1-페닐에틸)-2-이소프로필카르보닐아미노-3-시아노-4,5-디메틸피롤. 1H NMR (200MHz, CDCl3) δ1.19(d, J=7.0Hz, 6H), 1.82(d, J=7.2Hz, 3H), 1.88(s, 3H), 2.06(s, 3H), 2.46(m, 1H), 5.39(m, J=7.2Hz, 1H), 6.64(s,1H), 7.11-7.36(m, 5H); MS(ES): 310.2(M'+1), 206.1.
dl-1-(1-페닐에틸)-2-아미노-3-시아노-4-메틸피롤의 아실화반응의 경우, 모노아크릴산 dl-1-(1-페닐에틸)-2-벤조일아미노-3-시아노-4-디메틸피롤 및 디아실산 피롤 dl-1-(1-페닐에틸)-2-디벤조일아미노-3-시아노-4-메틸피롤이 수득되었다. 모노아크릴산 피롤: 1H NMR (200MHz, CDCl3) δ_7.69(d, 2H, J=7.8Hz, Ar-H), 7.8-7.12(m, 8H, Ar-H), 6.18(s, 1H, 피롤-H), 5.52(q, 1H, J=7.2Hz, CH-CH3), 2.05(s, 3H, 피롤-CH3), 1.85(d, 3H, J=7.2Hz, CH-CH3); MS(ES): 330.2(M'+1); 디아실산 피롤: 1H NMR (200MHz, CDCl3) δ_7.85(d, 2H, J=7.7Hz, Ar-H), 7.74(d, 2H, J=7.8Hz, Ar-H), 7.52-7.20(m, 9H, Ar-H), 7.04(m, 2H, Ar-H), 6.21(s, 1H, 피롤-H), 5.52(q, 1H, J=7.2Hz, CH-CH3), 1.77(d, 3H, J=7.2Hz, CH-CH3); 1.74(s, 3H, 피롤-CH3); MS(ES): 434.1(M'+1).
제조물 7:
dl-1-(1-페닐에틸)-2-페닐카르복시아미도-3-시아노-4,5-디메틸피롤1(1.0g, 2.92밀리몰)을 메탄올(10.0㎖)에 용해한 용액에 농축황산(1.0㎖)을 0℃ 에서 첨가하였다. 결과로 나온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환류처리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면 0.48g(48%)의 dl-5,6-디메틸-2-페닐-7H-7-(1-페닐에틸)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을 수득할 수 있다. 1H NMR (200MHz, CDCl3) δ_2.02(d, J=7.4Hz, 3H), 2.04(s, 3H), 2.41(s, 3H), 6.25(q, J=7.4Hz, 1H), 7.22-7.50 (m, 9H), 8.07-8.12(dd, J=3.4Hz, 6.8Hz, 2H), 10.51(s, 1H); MS(ES): 344.2(M'+1).
다음의 화합물을 제조물 7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득했다:
dl-5,6-디메틸-2-(3-피리딜)-7H-7-(1-페닐에틸)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 1H NMR (200MHz, CDCl3) δ_2.03(d, J=7.2Hz, 3H), 2.08(s, 3H), 2.42(s, 3H), 6.24(q, J=7.2Hz, 1H), 7.09-7.42(m, 5H), 8.48(m, 2H), 8.70(m, 3H); MS(ES): 345.1(M'+1).
dl-5,6-디메틸-2-(2-푸릴)-7H-7-(1-페닐에틸)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 1H NMR (200MHz, CDCl3) δ1.98(d, J=7.8Hz, 3H), 1.99(s, 3H), 2.37(s, 3H), 6.12(q, J=7.8Hz, 1H), 6.48(dd, J=1.8Hz, 3.6Hz, 1H), 7.17-7.55(m, 7H), 9.6(s, 1H); MS(ES): 334.2(M'+1).
dl-5,6-디메틸-2-(3-푸릴)-7H-7-(1-페닐에틸)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 1H NMR (200MHz, CDCl3) δ1.99(d, J=7Hz, 3H), 2.02(s, 3H), 2.42(s, 3H), 6.24(q, J=7Hz, 1H), 7.09(s, 1H), 7.18-7.32(m, 5H), 7.48(s, 1H), 8.51(s, 1H); MS(ES): 334.2(M'+1).
dl-5,6-디메틸-2-시클로펜틸-7H-7-(1-페닐에틸)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 1H NMR (200MHz, CDCl3) δ1.95(d, J=7.4Hz, 3H), 2.00(s, 3H), 2.33(s, 3H), 1.68-1.88(m, 8H), 2.97(m, 1H), 6.10(q, J=7.4Hz, 1H), 7.16-7.30(m, 5H), 9.29(s, 1H); MS(ES): 336.3(M'+1).
dl-5,6-디메틸-2-(2-티에닐)-7H-7-(1-페닐에틸)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 1H NMR (200MHz, CDCl3) δ2.02(d, J=7.2Hz, 3H), 2.06(s, 3H), 2.41(s, 3H), 6.13(q, J=7.2Hz, 1H), 7.12(dd, J=4.8, 2.8Hz, 1H), 7.26-7.32(m, 5H), 7.44(d, J=4.8Hz, 1H), 8.01(d, J=2.8Hz, 1H), 11.25(s, 1H); MS(ES): 350.2(M'+1).
dl-5,6-디메틸-2-(4-플루오로페닐)-7H-7-(1-페닐에틸)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 1H NMR (200MHz, CDCl3) δ2.01(d, J=6.8Hz, 3H), 2.05(s, 3H), 2.42(s, 3H), 6.26(q, J=6.8Hz, 1H), 7.12-7.36(m, 7H), 8.23-8.30(m, 2H), 11.82(s, 1H); MS(ES): 362.3(M'+1).
dl-5,6-디메틸-2-(3-플루오로페닐)-7H-7-(1-페닐에틸)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 1H NMR (200MHz, CDCl3) δ2.02(d, J=7.4Hz, 3H), 2.06(s, 3H), 2.44(s, 3H), 6.29(q, J=7.4Hz, 1H), 7.13-7.51(m, 7H), 8.00-8.04(m, 2H), 11.72(s, 1H); MS(ES): 362.2(M'+1).
dl-5,6-디메틸-2-(2-플루오로페닐)-7H-7-(1-페닐에틸)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 1H NMR (200MHz, CDCl3) δ2.00(d, J=7.2Hz, 3H), 2.05(s, 3H), 2.38(s, 3H), 6.24(q, J=7.2Hz, 1H), 7.18-7.45(m, 8H), 8.21(m, 1H), 9.54(s, 1H); MS(ES): 362.2(M'+1).
dl-5,6-디메틸-2-이소프로필-7H-7-(1-페닐에틸)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 1H NMR (200MHz, CDCl3) δ1.30(d, J=6.8Hz, 3H), 1.32(d, J=7.0Hz, 3H), 2.01(s, 3H), 2.34(s, 3H), 2.90(m, 1H), 6.13(m, 1H),7.17-7.34(m, 5H), 10.16(s, 2H); MS(ES): 310.2(M'+1).
제조물 8:
dl-1-(1-페닐에틸)-2-벤조일아미노-3-시아노-4-디메틸피롤(785mg,2.38밀리몰)및 DMF(13㎖) 내에 용해된 농축황산(1㎖)로 된 용액을 130℃ 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흑색용액을 CHCl3 (100㎖)로 희석한 후 1N NaOH(30㎖)와 계속해서 염수(30㎖)로 세척했다. 유기성분을 건조, 여과, 농축 및 플래스 크로마토그래피 (SiO2; 8/2 EtOAc/Hex, Rf 0.35)로 정제하면 갈색 고형물(184mg, 24%)인 dl-5-메틸-2-페닐-7H-7-(1-페닐에틸)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을 수득할 수 있다. 1H NMR (200MHz, CDCl3) δ_8.18(m, 2H, Ar-H), 7.62-7.44(m, 3H, Ar-H), 7.40-7.18(m, 5H, Ar-H), 6.48(s, 1H, 피롤-H), 6.28(q, 1H, J=7,2Hz, CH-CH3), 2.18(s, 3H, 피롤-CH3), 2.07(d, 3H, J=7.2Hz, CH-CH3); MS(ES): 330.2(M'+1).
제조물 9:
dl-1-(1-페닐에틸)-2-아미노-3-시아노-4,5-디메틸피롤(9.60g, 40.0밀리몰) 및 포름산(50,0㎖, 98%)의 혼합물을 5시간동안 환류시켰다. 실온으로 냉각 및 플라스크 측면에 흠집을 낸 후, 수득된 침전물을 여과했다. 수득 물질을 세척물이 중성 pH를 보일 때까지 물로 세척하여 dl-5,6-디메틸-7H-7-(1-페닐에틸)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을 수득할 수 있다. 1H NMR (200MHz, CDCl3) δ1.96(d, J=7.4Hz, 3H), 2.00(s, 3H), 2.38(s, 3H), 6.21(q, J=7.4Hz, 1H), 7.11-7.35(m, 5H), 7.81(s, 1H), 11.71(s, 1H); MS(ES): 268.2(M'+1).
제조물 10:
dl-5,6-디메틸-2-페닐-7H-7-(1-페닐에틸) 피롤 [2,3d] 피리미딘-4(3H)-온 (1.0g, 2.91밀리몰)을 폴리인산+(30.0㎖)에 현탁시켰다. 혼합물을 100℃ 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고온 현탁액을 얼음물에 붓고 강하게 교반하여 분산현탁액이 되게하고, 다시 고형 KOH를 첨가하여 pH6 정도의 염기성 물질로 만들었다. 결과로 나온 고형물을 여과하여 수거하면 0.49g(69%)의 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4(3H)-온을 수득할 수 있다. 1H NMR (200MHz, DMSO-d6) δ_2.17(s, 3H), 2.22(s, 3H), 7.45(br, 3H), 8.07(br, 2H), 11.49(s, 1H), 11.82(s, 1H); MS(ES): 344.2(M'+1).
다음의 화합물을 제조물 10의 유사 방식으로 수득하였다;
5-메틸-2-페닐-7H-피롤 [2,3d] 피리미딘-4(3H)-온. MS(ES): 226.0(M'+1)
5,6-디메틸-2-(3-피리딜)-7H-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 MS(ES): 241.1(M'+1).
5,6-디메틸-2-(2-푸릴)-7H-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 1H NMR (200MHz, DMSO-d6) δ2.13(s, 3H), 2.18(s, 3H), 6.39(dd, J=1.8, 3.6Hz, 1H), 6.65(dd, J=1.8Hz, 3.6Hz, 1H), 7.85(dd, J=1.8, 3.6Hz, 1H), 11.45(s, 1H), 11.60(s, 1H); MS(ES): 230.1(M'+1).
5,6-디메틸-2-(3-푸릴)-7H-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 1H NMR (200MHz, DMSO-d6) δ2.14(s, 3H), 2.19(s, 3H), 6.66(s, 1H). 7.78(s, 1H), 8.35(s, 1H), 11.3(s, 1H), 11.4(s, 1H); MS(ES): 230.1(M'+1).
5,6-디메틸-2-시클로펜틸-7H-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 1H NMR (200MHz, DMSO-d6) δ1.57-1.91(m, 8H), 2.12(s, 3H), 2.16(s, 3H), 2.99(m, 1H), 11.24(s, 1H), 11.38(s, 1H); MS(ES): 232.2(M'+1).
5,6-디메틸-2-(2-티에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 1H NMR (200MHz, DMSO-d6) δ2.14(s, 3H), 2.19(s, 3H), 7.14(dd, J=3.0, 5.2Hz, 1H), 7.70(d, J=5.2Hz, 1H), 8.10(d, J=3.0Hz, 1H), 11.50(s, 1H); MS(ES): 246.1(M'+1).
5,6-디메틸-2-(3-티에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 1H NMR (200MHz, DMSO-d6) δ2.17(s, 3H), 2.21(s, 3H), 7.66(m, 1H), 7.75(m, 1H), 8,43(m, 1H), 11.47(s, 1H), 11.69(s, 1H); MS(ES): 246.1(M'+1).
5,6-디메틸-2-(4-플루오로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 1H NMR (200MHz, DMSO-d6) δ2.17(s, 3H), 2.21(s, 3H), 7.31(m, 2H), 8.12(m, 2H), 11.47(s, 1H); MS(ES): 258.2(M'+1).
5,6-디메틸-2-(3-플루오로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 1H NMR (200MHz, DMSO-d6) δ2.18(s, 3H), 2.21(s, 3H), 7.33(m, 1H), 7.52(m, 1H), 7.85-7.95(m, 2H), 11.56(s, 1H); 11.80(s, 1H); MS(ES): 258.1(M'+1).
5,6-디메틸-2-(2-플루오로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 1H NMR (200MHz, DMSO-d6) δ2.18(s, 3H), 2.22(s, 3H), 7.27-7.37(m, 2H), 7.53(m, 1H), 7.68(m, 1H), 11.54(s, 1H); 11.78(s, 1H); MS(ES): 258.1(M'+1).
5,6-디메틸-2-이소프로필-7H-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 1H NMR (200MHz, DMSO-d6) δ1.17(d, J=6.6Hz, 6H), 2.11(s, 3H), 2.15(s, 3H), 2.81(m, 1H), 11.20(s, 1H); 11.39(s, 1H); MS(ES): 206.1(M'+1).
5,6-디메틸-7H-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 1H NMR (200MHz, DMSO-d6) δ2.13(s, 3H), 2.17(s, 3H), 7.65(s, 1H); MS(ES): 164.0(M'+1).
제조물 11:
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4(3H)-온 (1.0g, 4.2밀리몰)을 인 염화옥살인 (25.0㎖)에서 6시간동안 환류시킨 후 감압농축하여 건조시켰다. 물을 잔류물에 첨가하여 결정화를 유도하고 그 결과로 나온 고형물을 여과 및 수거하여 0.90g(83%) 의 4-클로로-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을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_2.33(s, 3H), 2.33(s, 3H), 7.46-7.49(m, 3H), 8.30-8.35(m, 2H), 12.20(s, 1H); MS(ES): 258.1(M'+1).
다음의 화합물을 상기 제조물 11 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득했다.
4-클로로-5-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MS(ES): 244.0(M'+1)
4-클로로-6-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MS(ES): 244.0(M'+1)
4-클로로-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1H NMR (200MHz, DMSO-d6) 8.35(2, 2H), 7.63(br s, 1H), 7.45(m, 3H), 6.47(br s, 1H); MS(ES): 230.0(M'+1)
4-클로로-5,6-디메틸-2-(3-피리딜)-7H-피롤로[2,3d] 피리미딘. MS(ES): 259.0(M'+1)
4-클로로-5,6-디메틸-2-(2-푸릴)-7H-피롤로[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DMSO-d6)δ2.35(s, 3H), 2.35(s, 3H), 6.68(dd, J=1.8, 3.6Hz, 1H), 7.34(dd, J=1.8Hz, 3.6Hz, 1H), 7.89(dd, J=1.8, 3.6Hz, 1H); MS(ES): 248.0(M'+1)
4-클로로-5,6-디메틸-2-(3-푸릴)-7H-피롤로[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DMSO-d6)δ2.31(s, 3H), 2.31(s, 3H), 6.62(s, 1H), 7.78(s, 1H), 8.18(s, 1H), 12.02(s, 1H); MS(ES): 248.1(M'+1)
4-클로로-5,6-디메틸-2-시클로펜틸-7H-피롤로[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DMSO-d6)δ1.61-1.96(m, 8H), 2.27(s, 3H), 2.27(s, 3H), 3.22(m, 1H), 11,97(s, 1H); MS(ES): 250.1(M'+1)
4-클로로-5,6-디메틸-2-(2-티에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DMSO-d6)δ2.29(s, 3H), 2.31(s, 3H), 7.14(dd, J=3.1Hz, 4.0Hz, 1H), 7.33(d, J=4.9Hz, 1H), 7.82(d, J=3.1Hz, 1H); 12.19(s, 1H); MS(ES): 264.1(M'+1)
4-클로로-5,6-디메틸-2-(3-티에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DMSO-d6)δ2.32(s, 3H), 2.32(s, 3H), 7.62(dd, J=3.0Hz, 5.2Hz, 1H), 7.75(d, J=5.2Hz, 1H), 8.20(d, J=3.0Hz, 1H); MS(ES): 264.0(M'+1)
4-클로로-5,6-디메틸-2-(4-플루오로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DMSO-d6)δ2.33(s, 3H), 2.33(s, 3H), 7.30(m, 2H), 8.34(m, 2H), 12.11(s, 1H); MS(ES): 276.1(M'+1)
4-클로로-5,6-디메틸-2-(3-플루오로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DMSO-d6)δ2.31(s, 3H), 2.33(s, 3H), 7.29(m, 1H), 7.52(m, 1H), 7.96(m, 1H), 8.14(m, 1H), 11.57(s, 1H); MS(ES): 276.1(M'+1)
4-클로로-5,6-디메틸-2-(2-플루오로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DMSO-d6)δ2.34(s, 3H), 2.34(s, 3H), 7.33(m, 2H), 7.44(m, 1H), 7.99(m, 1H), 12.23(s, 1H); MS(ES): 276.1(M'+1)
4-클로로-5,6-디메틸-2-이소프로필-7H-피롤로[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DMSO-d6)δ1.24(d, J=6.6Hz, 6H), 2.28(s, 3H), 2.28(s, 3H), 3.08(q, J=6.6Hz, 1H), 11.95(s, 1H); MS(ES): 224.0(M'+1)
4-클로로-5,6-디메틸-7H-피롤로[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DMSO-d6)δ2.31(s, 3H), 2.32(s, 3H), 8.40(s, 1H); MS(ES): 182.0(M'+1)
dl-4-클로로-5,6-디메틸-2-페닐-7H-7-(1-페닐에틸)피롤로 [2,3d] 피리미딘.
제조물 12:
dl-1,2-디아미노프로판 (1.48g, 20.0밀리몰) 및 탄산나트륨(2.73g, 22.0밀리몰)을 디옥산(100.0㎖) 및 물(100.0㎖)에 용해한 용액에 디-tert-디카보네이트(4.80g, 22.0밀리몰)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결과로 나온 혼합물을 14시간 동안 교반했다. 디옥산을 감압제거했다. 침전물을 여과제거하고 남은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건조했다. 잔류물은 EtOAc로 녹여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건조시키면 정규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는 분리되지 않았던 dl-1-아미노-2-(1,1-디메틸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판 및 dl-2-아미노-1-(1,1-디메틸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판의 혼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혼합물은 실시예 8의 방법에 이용하였다.
제조물 13:
Fmoc-β-Ala-OH(1.0g, 3.212밀리몰) 및 염화옥살일(0.428g, 0.29㎖, 3.373밀리몰)을 디클로로메탄(20.0㎖)에 용해한 용액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수방울을 0℃에서 점적첨가하였다. 결과로 나온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기에 시클로프로필메틸아민(0.229g, 0.28㎖, 3.212밀리몰) 및 트리에틸아민(0.65g, 0.90㎖, 6.424밀리몰)을 첨가했다. 10분후, 혼합물을 1M 염화수소(10.0㎖)로 처리했고 수성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3x30.0㎖)로 추출했다. 유기용액을 감압제거하여 건조했다. 잔류물은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된 20% 피페리딘 용액(20㎖) 으로 0.5시간 동안 처리했다. 용매를 감압제거한 후, 잔류물을 1M 염화수소 (20.0㎖) 및 에틸아세테이트(20.0㎖)로 처리했다. 혼합물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수산화나트륨 고형물로 염기화하여 pH8 로 조정했다. 침전물을 여과제거하고 수성액을 20% 피리딘으로 용리하는 이온교환컬럼에 통과시켜 0.262g(57%)의 N-시클로프로필메틸 β-알라닌아미드를 얻는다. 1H NMR (200MHz, CD3OD)δ_0.22(m, 2H), 0.49(m, 2H), 0.96(m, 2H), 2.40(t, 2H), 2.92(t, 2H), 3.05(d, 2H); MS(ES): 143.0(M'+1).
제조물 14:
N-tert-부톡시카르보닐-트랜스-1,4-시클로헥실디아민.
트랜스-1,4-시클론엑실디아민(6.08g, 53.2밀리몰)을 디클로로메탄(100㎖)에 용해하였다. 디-t-부틸디카르보네이트(2.32g, 10.65밀리몰; 40㎖ 디클로메탄에 용해됨)을 캐뉼라를 통해 첨가했다. 20시간후, 반응물이 CHCl3 및 물층로 분리했다. 층분리하고 수성층은 CHCl3 로 추출했다.(3x) 혼합유기층은 MgSO4 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하여 1.20g의 백색고형물을 수득했다 (53%). 1H NMR (200MHz, CDCl3)δ1.0-1.3(m, 4H), 1.44(s, 9H), 1.8-2.1(m, 4H), 2.62(brm, 1H), 3.40(brs, 1H), 4.37(brs, 1H); MS(ES): 215.2(M'+1).
4-(N-아세틸)-N-tert-부톡시카르보닐-트랜스-1,4-시클로헥실디아민.
N-tert-부톡시카르보닐-트랜스-1,4-시클론엑실디아민(530mg, 2.47밀리몰)을 디클로로메탄(20㎖)에 용해하였다. 아세트산 무수물(250mg, 2.60밀리몰)을 점적첨가했다. 16시간후, 반응물을 CHCl3 및 물로 희석했다. 층분리하고 수성층은 CHCl3 로 추출했다.(3x) 혼합유기층은 MgSO4 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하여 190mg의 백색결정물을 수득했다 (30%). 1H NMR (200MHz, CDCl3)δ0.9-1.3(m, 4H), 1.43(s, 9H), 1.96-2.10(m, 7H), 3.40(brs, 1H), 3.70(brs, 1H), 4.40(brs, 1H); 4.40(brs, 1H), MS(ES): 257.2(M'+1), 242.1(M- -15), 201.1(M- -56)
4-(4-트랜스-아세트아미도데실헥실)아미노-5,6-디메틸-2-페닐-7H-(1-페닐에틸)피롤로 [2,3d]피리미딘.
4-(N-아세틸)-N-tert-부톡시카르보닐-트랜스-1,4-시클로헥실디아민(190mg, 0.74밀리몰)을 디클로로메탄(5㎖)에 용해 및 TFA(6㎖)로 희석하였다. 16시간후, 반응물을 농축했다. 원료고형물, DMSO(2㎖), NaHCO3(200mg, 2.2밀리몰) 및 4-클로로-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35mg, 0.14밀리몰)을 하나의 플라스크에서 혼합 및 130℃ 로 가열하였다. 4.5시간 후,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 및 EtOAc 및 물에 희석했다. 층분리하고 수성층은 EtOAc로 추출했다.(3x) 혼합유기층은 MgSO4 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제작판; 20:1 CHCl3:EtOH) 처리하여 0.3mg의 갈색고형물을 수득했다 (1% 수율). MS(ES): 378.2(M-+1)
4-(N-메탄술포닐)-N-tert-부톡시카르보닐-트랜스-1,4-시클로헥실디아민.
트랜스-1,4-시클로헥실디아민(530mg, 2.47밀리몰)을 디클로로메탄(20㎖)에 용해 및 피리딘(233mg, 3밀리몰)에 희석하였다.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300mg, 2.60밀리몰)을 점적첨가했다. 16시간후, 반응물을 물 및 CHCl3 로 희석했다. 층분리하고 수성층은 CHCl3 로 추출했다.(3x) 혼합유기층은 MgSO4 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하였다. 재결정화(EtOH/H2O) 처리하여 206mg의 백색결정물을 수득했다 (29% 수율). 1H NMR (200MHz, CDCl3)δ1.10-1.40(m, 4H), 1.45(s, 9H), 2.00-2.20(m, 4H), 2.98(s, 3H), 3.20-3.50(brs, 2H), 4.37(brs, 1H); MS(ES) 293.1(M'+1), 278.1(M- -15), 237.1(M- -56)
4-(4-트랜스-메탄술프아미도시클로헥실)아미노-5,6-디메틸-2-페닐-7H-(1-페닐에틸)피롤로 [2,3d] 피리미딘.
4-(N-술포닐)-N-tert-부톡시카르보닐-트랜스-1,4-시클로헥실디아민(206mg, 0.71밀리몰)을 디클로로메탄(5㎖)에 용해 및 TFA(6㎖)에 희석하였다. 16시간후, 반응물을 농축했다. 원료 반응혼합물, DMSO(2㎖), NaHCO3(100mg, 1.1밀리몰) 및 1-클로로-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을 하나의 플라스크에서 혼합 및 130℃ 로 가열하였다. 15시간 후,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 및 EtOAc 및 물에 희석했다.(3x) 혼합유기층은 MgSO4 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제작판; 20:1 CHCl3:EtOH) 처리하여 2.6mg의 갈색고형물을 수득했다 (5% 수율). MS(ES): 414.2(M-+1)
실시예 1:
4-클로로-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0.50g, 1.94밀리몰) 및 4-트랜스-히드록시 시클로헥실아민 (2.23g, 19.4밀리몰)을 메틸술폭시드(10.0㎖)에 용해하여 얻은 용액을 130℃ 로 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물(10.0㎖)을 첨가 및 결과로 나온 수성용액을 EtOAc (3x10.0㎖)로 추출했다. 혼합 EtOAc 용액을 MgSO4 로 건조 및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건조시킨 후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 처리하여 0.49g(75%)의 4-피롤로 [2,3d] 피리미딘을 수득했다. mp 197-199℃. 1H NMR (200MHz, CDCl3)δ_1.25-1.59(m, 8H), 2.08(s, 3H), 2.29(s, 3H), 3.68-3.79(m, 1H), 4.32-4.38(m, 1H), 4.88(d, J=8Hz, 1H); 7.26-7.49(m, 3H); 8.40-8.44(dd, J=2.2, 8Hz, 2H), 10.60(s, 1H); MS(ES): 337.2(M- +1).
다음의 화합물을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득했다;
4-(4-트랜스-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6-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 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_11.37(s, 1H, 피롤-H), 8.45(m, 2H, Ar-H), 7.55(m, 3H, Ar-H), 6.17(s, 1H, 피롤-H), 4.90(br d, 1H, NH), 4.18(m, 1H, CH-O), 3.69(m, 1H, CH-N), 2.40-2.20 (m, 2H), 2.19-1.98(m, 2H), 2.25(s, 3H, CH3), 1.68-1.20 (m, 4H); MS(ES): 323.1(M- +1).
4-(4-트랜스-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5-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_11.37(s, 1H, 피롤-H), 8.40(m, 2H, Ar-H), 7.45(m, 3H, Ar-H), 5.96(s, 1H, 피롤-H), 4.90(br d, 1H, NH), 4.18(m, 1H, CH-O), 3.69(m, 1H, CH-N), 2.38-2.20 (m, 2H), 2.18-1.98(m, 2H), 2.00(s, 3H, CH3), 1.68-1.20 (m, 4H); MS(ES): 323.2(M- +1).
4-(4-트랜스-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mp 245.5-246.5℃; 1H NMR (200MHz, CD3OD)δ8.33(m, 2H, Ar-H), 7.42(m, 3H, Ar-H), 7.02(d, 1H, J=3.6Hz, 피롤-H), 6.53(d, 1H, J=3.6Hz, 피롤-H), 4.26(m, 1H, CH-O), 3.62(m, 1H, CH-N), 2.30-2.12(m, 2H), 2.12-1.96(m, 2H), 1.64-1.34(m, 4H); MS, M+1=309.3; 분석 (C18H20N4O)(ES); C, H, N.
4-(4-트랜스-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5,6-디메틸-2-(3-피리딜)-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_1.21-1.54(m, 8H), 2.28(s, 3H); 2.33(s 3H), 3.70(m, 1H), 4.31(m, 1H), 4.89(d, 1H), 7.40(m, 1H), 8.61(m, 2H), 9.64(m, 1H); MS(ES): 338.2 (M-+1).
4-(4-트랜스-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5,6-디메틸-2-(2-푸릴)-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1.26-1.64(m, 8H), 2.22(s, 3H); 2.30(s 3H), 3.72(m, 1H), 4.23(m, 1H), 4.85(d, 1H), 6.52(m, 1H), 7.12(m, 1H), 7.53(m, 1H), 9.28(m, 1H) MS(ES): 327.2 (M-+1).
4-(4-트랜스-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5,6-디메틸-2-(3-푸릴)-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1.25-1.63(m, 8H), 2.11(s, 3H); 2.27(s 3H), 3.71(m, 1H), 4.20(m, 1H), 4.84(d, 1H), 7.03(m, 1H), 7.45(m, 1H), 8.13(m, 1H), 10.38(m, 1H) MS(ES): 327.2 (M-+1).
4-(4-트랜스-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5,6-디메틸-2-시클로펜틸-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1.26-2.04(m, 16H), 2.26(s, 3H); 2.27(s 3H), 3.15(m, 1H), 3.70(m, 1H), 4.12(m, 1H), 4.75(d, 1H); MS(ES): 329.2 (M-+1).
4-(4-트랜스-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5,6-디메틸-2-(2-티에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4-아민. 1H NMR (200MHz, CDCl3)δ1.28-1.59(m, 8H), 2.19(s, 3H); 2.29(s 3H), 3.74(m, 1H), 4.19(m, 1H), 4.84(d, 1H), 7.09(m, 1H), 7.34(m, 1H), 7.85(m, 1H), 9.02(s, 1H); MS(ES): 343.2 (M-+1).
4-(4-트랜스-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5,6-디메틸-2-(3-티에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1.21-1.60(m, 8H), 1.98(s, 3H); 2.23(s, 3H), 3.66(m, 1H), 4.22(m, 1H), 7.27(m, 1H), 7.86(m, 1H), 8.09(m, 1H), 11.23(s, 1H); MS(ES): 343.2 (M-+1).
4-(4-트랜스-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5,6-디메틸-2-(4-플루오로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1.26-1.66(m, 8H), 1.94(s, 3H); 2.28(s, 3H), 3.73(m, 1H), 4.33(m, 1H), 4.92(d, 1H), 7.13(m, 2H), 8.41(m, 2H), 11.14(s, 1H); MS(ES): 355.2 (M-+1).
4-(4-트랜스-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5,6-디메틸-2-(3-플루오로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1.26-1.71(m, 8H), 2.06(s, 3H); 2.30(s, 3H), 3.72(m, 1H), 4.30(m, 1H), 4.90(d, 1H), 7.09(m, 1H), 7.39(m, 2H), 8.05(m, 1H), 8.20(m, 1H), 10.04(s, 1H); MS(ES): 355.2 (M-+1).
4-(4-트랜스-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5,6-디메틸-2-(2-플루오로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1.30-1.64(m, 8H), 2.17(s, 3H); 2.31(s, 3H), 3.73(m, 1H), 4.24(m, 1H), 4.82(d, 1H), 7.28(m, 2H), 8.18(m, 1H), 9.02(m, 1H); 12.20(s, 1H); MS(ES): 355.3 (M-+1).
4-(4-트랜스-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5,6-디메틸-2-이소프로필-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1.31(d, J=7.0Hz, 6H), 1.30-1.65(m, 8H), 2.27(s, 3H); 2.28(s, 3H), 3.01(m, J=7.0Hz, 1H), 3.71(m, 1H), 4.14(m, 1H), 4.78(d, 1H); MS(ES): 303.2
dl-4-(2-트랜스-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5,6-디메틸-2-이소프로필-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1.31-1.42(br, 4H), 1.75-1.82(br, 4H), 2.02(s, 3H); 2.29(s, 3H), 3.53(m, 1H), 4.02(m, 1H), 5.08(d, 1H), 7.41-7.48(m, 3H), 8.30(m, 2H), 10.08(s, 1H); MS(ES): 337.2(M-+1)
4-(3,4-트랜스-디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피리미딘. MS(ES): 353.2 (M++1)
4-(3,4-시스-디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피리미딘. MS(ES): 353.2 (M++1)
4-(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피리미딘.
mp 196-199℃. 1H NMR (200MHz, CDCl3)δ_1.72(s, 3H), 1.97(s, 3H), 2.31(s, 3H), 3.59(m, 2H), 3.96(m, 2H), 5.63(br, 1H), 7.44-7.47(m, 3H), 8.36-8.43(dd, J=1Hz, 7Hz, 2H), 10.76(s, 1H); MS(ES): 324.5(M- +1).
dl-4-(2-트랜스-히드록시시클로펜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_1.62(m, 2H), 1.79(br, 4H), 1.92(s, 3H), 2.29(s, 3H), 4.11(m, 1H), 4.23(m, 1H), 5.28(d, 1H), 7.41-7.49(m, 3H), 8.22(m, 2H), 10.51(s, 1H); MS(ES): 323.2(M- +1).
: 2-트랜스-히드록시시클로펜틸아민의 제조에 관하여는 PCT 9417090 의 내용을 참조한다.
dl-4-(3-트랜스-히드록시시클로펜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_1.58-1.90(br, 6H), 2.05(s, 3H), 2.29(s, 3H), 4.48-4.57(m, 1H), 4.91-5.01(m, 2H), 7.35-7.46(m, 3H), 8.42-8.47(m, 2H), 10.11(s, 1H); MS(ES): 323.2(M- +1).
: 3-트랜스-히드록시시클로펜틸아민의 제조에 관하여는 EP-A-322242 의 내용을 참조한다.
dl-4-(3-시스-히드록시시클로펜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_1.82-2.28(br, 6H), 2.02(s, 3H), 2.30(s, 3H), 4.53-4.60(m, 1H), 4.95-5.08(m, 1H), 5.85-5.93(d, 1H), 7.35-7.47(m, 3H), 8.42-8.46(m, 2H), 10.05(s, 1H); MS(ES): 323.2(M- +1).
: 3-시스-히드록시시클로펜틸아민의 제조에 관하여는 EP-A-322242 의 내용을 참조한다.
4-(3,4-트랜스-히드록시시클로펜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_1.92-1.99(br, 2H), 2.14(s, 3H), 2.20(br, 2H), 2.30(s, 3H), 2.41-2.52(br, 2H), 4.35(m, 2H), 4.98(m, 2H), 7.38-7.47(m, 3H), 8.38-8.42(m, 2H), 9.53(s, 1H); MS(ES): 339.2(M- +1).
: 3,4-트랜스-히드록시시클로펜틸아민의 제조에 관하여는 PCT 9417090 의 내용을 참조한다.
4-(3-아미노-3-옥소프로필)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_2.02(s, 3H), 2.29(s, 3H), 2.71(t, 2H), 4.18(m, 2H), 5.75-5.95(m, 3H), 7.38-7.48(m, 3H), 8.37-8.41(m, 2H), 10.42(s, 1H); MS(ES): 310.1(M- +1).
4-(3-N-시클로프로필메틸아미노-3-옥소프로필)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3OD)δ_0.51(q, 2H), 0.40(q, 2H), 1.79-1.95(br, 2H), 2.36(s, 3H), 2.40(s, 3H), 2.72(t, 2H), 2.99(d, 2H), 4.04(t, 2H), 7.58-7.62(m, 3H), 8.22-8.29(m, 2H); MS(ES): 364.2(M- +1).
4-(2-아미노-2-옥소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3OD)δ 2.31(s, 3H), 2.38(s, 3H), 4.26(s, 2H), 7.36(m, 3H), 8.33(m, 2H); MS(ES): 396.1(M- +1).
4-(2-N-메틸-아미노-2-옥소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_1.99(s, 3H), 2.17(s, 3H), 2.82(d, 3H), 4.39(d, 2H), 5.76(t, 1H), 6.71(br, 1H), 7.41-7.48(m, 3H), 8.40(m, 2H), 10.66(s, 1H); MS(ES): 310.1(M- +1).
4-(3-tert-부틸옥실-3-옥소프로필)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_1.45(s, 9H), 1.96(s, 3H), 2.29(s, 3H), 2.71(t, 2H), 4.01(q, 2H), 5.78(t, 1H), 7.41-7.48(m, 3H), 8.22-8.29(m, 2H); MS(ES): 367.2(M- +1).
4-(2-히드록시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1.92(s, 3H), 2.29(s, 3H), 3.81-3.98(br, 4H), 5.59(t, 1H), 7.39-7.48(m, 3H), 8.37(m, 2H); 10.72(s, 1H); MS(ES): 283.1(M- +1).
4-(3-히드록시프로필)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1.84(m, 2H), 1.99(s, 3H), 2.32(s, 3H), 3.62(t, 2H), 3.96(m, 2H), 3.35(t, 1H), 7.39-7.48(m, 3H), 8.36(m, 2H); 10.27(s, 1H); MS(ES): 297.2(M- +1).
4-(4-히드록시프로필)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1.71-1.82(m, 4H), 1.99(s, 3H), 2.31(s, 3H), 3.68-3.80(m, 4H), 5.20(t, 1H), 7.41-7.49(m, 3H), 8.41(m, 2H); 10.37(s, 1H); MS(ES): 311.2(M- +1).
4-(4-트랜스-아세틸아미노시클로헥실)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4-(4-트랜스-메틸술포닐아미노시클로헥실)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4-(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7-(1-페닐에틸)피롤로 [2,3d] 피리미딘.
4-(4-트랜스-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5,6-디메틸-2-페닐-7H-(1-페닐에틸) 피롤로 [2,3d] 피리미딘.
4-(3-피리딜메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7-(1-페닐에틸)피롤로 [2,3d] 피리미딘.
4-(2-메틸프로필)아미노-5,6-디메틸-2-페닐-7H-7-(1-페닐에틸)피롤로 [2,3d] 피리미딘.
실시예 2:
0℃ 로 냉각된 THF(1.0㎖)에 용해된 트리페닐포스핀(0.047g, 0.179밀리몰) 및 벤조산(0.022g, 0.179밀리몰)의 교반 현탁액에 4-(4-트랜스-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 (0.05g, 0.149밀리몰)을 0℃ 에서 첨가하였다. 디에틸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0.028㎖, 0.179밀리몰)을 여기에 10분간 점적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까지 가온하였다. TLC 로 반응을 종료시킨 후, 그 혼합물을 수성 중탄산나트륨(3.0㎖)으로 냉각했다. 수성상을 분리 및 에테르로 추출했다 (2 x 5.0㎖). 유기추출물을 혼합 건조 및 감압농축하여 건조시켰다. 잔류물에 에테르(2.0㎖) 및 헥산(5.0㎖)을 첨가하고 트리페닐포스핀 산화물을 여과제거했다. 여액을 농축하면 점성 오일이 얻어지며 이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4:1)로 정제하여 5.0mg (7.6%) 의 4-(4-시스-벤조일옥시시클로헥실) 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을 수득했다. MS(ES): 441.3 (M-+1). 반응결과 50.0mg (84%)의 4-(3-시클로헥세닐)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이 생성되었다. MS(ES): 319.2 (M-+1).
실시예 3:
4-(4-시스-벤조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5.0mg, 0.0114밀리몰)을 에탄올(1.0㎖)에 용해하여 얻은 용액에 2M 수산화나트륨 10방울을 점적첨가했다. 1시간후, 반응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 (3x5.0㎖)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감압건조, 여과 및 농축하였다. 잔류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4:1) 처리하여 3.6mg (94%)의 4-(4-시스-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을 수득했다. MS(ES):337.2 (M-+1).
다음의 화합물을 실시예 3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득했다:
4-(3-N,N-디메틸-3-옥소프로필)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2.01(s, 3H), 2.31(s, 3H), 2.73(t, 2H), 2.97(s, 6H), 4.08(m, 2H), 6.09(t, 1H), 7.41-7.48(m, 3H); 8.43(m, 2H), 10.46(s, 1H); MS(ES): 338.2(M- +1).
4-(2-포밀아미노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2.26(s, 3H), 2.37(s, 3H), 3.59-3.78(m, 2H), 3.88-4.01(m, 2H), 5.48-5.60(m, 1H), 7.38-7.57(m, 3H); 8.09(s, 1H), 8.30-8.45(m, 2H), 8.82(s, 1H); MS(ES): 310.1(M- +1).
4-(3-아세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MS(ES):338.2(M-+1)
실시예 4:
4-(3-tert-부틸옥시-3-옥소프로필)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70.0mg, 0.191밀리몰)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디클로로메탄 (1:1, 5.0㎖) 용매에 용해하였다. 결과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2시간동안 환류시켰다. 실온까지 냉각한 후, 혼합물을 감압농축하여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박막 프로마토그래피(EtOAc:헥산:AcOH = 7:2.5:0.5)로 처리하여 40.0mg (68%)의 4-(3-히드록시-3-옥소프로필)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을 수득했다. 1H NMR (200MHz, CD3OD)δ2.32(s, 3H), 2.38(s, 3H), 2.81(t, 2H), 4.01(t, 2H), 7.55(m, 3H), 8.24(m, 2H); MS(ES): 311.1(M- +1).
다음의 화합물을 실시예 4와 유사한 방식으로 수득했다;
4-(3-아미노프로필)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MS(ES):296.1(M-+1), 279.1(M--NH3)
실시예 5:
4-(3-히드록시-3-옥소프로필)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50.0mg, 0.161밀리몰)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0.50㎖), 디옥산(0.50㎖) 및 물(0.25㎖)의 혼합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메틸아민(0.02㎖, 수중 40wt.% , 0.242밀리몰), 트리에틸아민(0.085㎖) 및 N,N,N',N'-테트라메틸 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61.2mg, 0.203밀리몰)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0분간 교반한 뒤, 용액을 농축 및 잔류물을 박막 프로마토그래피(EtOAc) 처리하여 35.0mg (67%)의 4-(3-N-메틸-3-옥소프로필)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을 수득했다. 1H NMR (200MHz, CDCl3)δ1.92(s, 3H), 2.30(s, 3H), 2.65(t, 2H), 4.08(t, 2H), 5.90(t, 1H), 6.12(m, 1H), 7.45(m, 3H), 8.41(m, 2H), 10.68(s, 1H); MS(ES): 311.1(M- +1).
다음의 화합물을 실시예 5와 유사한 방식으로 수득했다;
4-(2-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MS(ES):350.2(M-+1).
4-(2-이소부티릴아미노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MS(ES):352.2(M-+1).
4-(3-프로피오닐아미노프로필)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1.00-1.08(t, 3H), 1.71-2.03(m, 4H), 2.08(s, 3H), 2.37(s, 3H), 3.26-3.40(m, 2H), 3.79-3.96(m, 2H), 5.53-5.62(m, 1H), 6.17-6.33(m, 1H), 7.33-7.57(m, 3H), 8.31-8.39(m, 2H), 9.69(s, 1H); MS(ES): 352.2(M- +1).
4-(2-메틸술포닐아미노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2.18(s, 3H), 2.27(s, 3H), 2.92(s, 3H), 3.39-3.53(m, 2H), 3.71-3.88(m, 2H), 5.31-5.39(m, 1H), 6.17-6.33(m, 1H), 7.36-7.43(m, 3H), 8.20-8.25(m, 2H), 9.52(s, 1H); MS(ES): 360.2(M- +1).
실시예 6:
4-클로로-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0.70g, 2.72밀리몰) 및 1,2-디아미노에탄 (10.0㎖, 150밀리몰)의 혼합물을 불활성 분위기에서 6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과량의 아민을 감압제거하고, 잔류물은 에테르 및 헥산으로 순서대로 세척하여 0.75g (98%)의 4-(2-아미노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을 수득했다. MS(ES): 282.2(M- +1), 265.1(M--NH3).
실시예 7:
4-(2-아미노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70.0mg, 0.249밀리몰) 및 트리에틸아민(50.4mg, 0.498밀리몰)을 디클로로메탄(2.0㎖)에 용해한 용액에 대해 염화프로피오닐(25.6mg, 0.024㎖, 0.274밀리몰)을 0℃ 에서 첨가하였다. 1시간 후, 혼합물을 감압농축하고 잔류물은 박막 크로마토그래피(EtOAc)로 처리하여 22.0mg(26%)의 4-(2-프로피오닐아미노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을 수득했다. MS(ES): 338.2(M- +1).
다음의 화합물을 실시예 7과 유사한 방식에 따라 수득했다.
4-(2-N'-메틸우레아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2.13(s, 3H), 2.32(s, 3H), 3.53(d, 3H), 3.55(m, 2H), 3.88(m, 2H), 4.29(m, 1H), 5.68(t, 1H), 5.84(m, 1H), 7.42(m, 3H), 8.36(dd, 2H), 9.52(s, 1H); MS(ES): 339.3(M- +1).
4-(2-N'-에틸우레아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MS(ES):353.2(M-+1).
실시예 8: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41.1mg, 0.215밀리몰), 디메틸아미노피리딘 (2.4mg, 0.020밀리몰) 및 피루브산(18.9mg, 0.015㎖, 0.215밀리몰)의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2.0㎖)에 용해한 용액에 대해 4-(2-아미노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55.0mg, 0.196밀리몰)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통상의 처리 및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법에 따라 10.0mg(15%)의 4-(2'-피루빌아미도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을 수득했다. MS(ES): 352.2(M- +1).
실시예 9:
4-(2-아미노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60.0mg, 0.213밀리몰)을 디클로로메탄(2.0㎖)에 용해한 용액에 대해 N-트리메틸실릴 이소시아네이트(43.3mg, 0.051㎖, 0.320밀리몰)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동안 교반한 후 수성 중탄산나트륨을 첨가하였다. 소량의 실리카겔에 통과하여 여과시킨 후,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9.8mg(14%)의 4-(2-우레아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을 수득했다. MS(ES): 325.2(M- +1).
다음의 화합물을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득했다;
dl-4-(2-아세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1.28-1.32(d, J=8Hz, 3H), 1.66(s, 3H), 1.96(s, 3H), 2.30(s, 3H), 3.76-3.83(m, 2H), 4.10-4.30(m, 1H), 5.60-5.66(t, J=6Hz, 1H), 7.40-7.51(m, 3H), 8.36-8.43(m, 2H), 10.83(s, 1H); MS(ES): 338.2(M- +1).
(R)-4-(2-아세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1.31(d, 3H), 1.66(s, 3H), 1.99(s, 3H), 2.31(s, 3H), 3.78-3.83(m, 2H), 4.17-4.22(m, 1H), 5.67(t, 1H), 7.38-7.5(m, 3H), 8.39(m, 2H), 10.81(s, 1H); MS(ES): 338.2(M- +1).
(R)-4-(1-메틸-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1.41(d, 3H), 1.68(s, 3H), 2.21(s, 3H), 2.34(s, 3H), 3.46-3.52(br, m, 2H), 4.73(m, 1H), 5.22(d, 1H), 7.41-7.46(m, 3H), 8.36-8.40(m, 2H), 8.93(s, 1H); MS(ES): 338.2(M- +1).
(S)-4-(2-아세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1.31(d, 3H), 1.66(s, 3H), 2,26(s, 3H), 2.35(s, 3H), 3.78-3.83(m, 2H), 4.17-4.22(m, 1H), 5.67(t, 1H), 7.38-7.5(m, 3H), 8.39(m, 2H), 8.67(s, 1H); MS(ES): 338.2(M- +1).
(S)-4-(1-메틸-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1.41(d, 3H), 1.68(s, 3H), 2.05(s, 3H), 2.32(s, 3H), 3.46-3.52(m, 2H), 4.73(m, 1H), 5.22(d, 1H), 7.41-7.46(m, 3H), 8.36-8.40(m, 2H), 10.13(s, 1H); MS(ES): 338.2(M- +1)
실시예 10:
4-클로로-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과 dl-1-아미노-2-(1,1-디메틸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판 및 dl-2-아미노-1-(1,1-디메틸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판의 혼합물을 실시예 1과 유사한 방식으로 반응시켰다. 반응 결과 dl-4-(1-메틸-2-(1,1-디메틸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과 또한 dl-4-(2-메틸-2-(1,1-디메틸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의 혼합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들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헥산 = 1:3)으로 분리했다. 1차 분별 성분은 dl-4-(1-메틸-2-(1,1-디메틸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이었다: 1H NMR (200MHz, CDCl3)δ1.29-1.38(m, 12H), 1.95(s, 3H), 2.31(s, 3H), 3.34-3.43(m, 2H), 4.62-4.70(m, 1H), 5.36-5.40(d, J=8Hz, 1H), 5.53(br, 1H), 7.37-7.49(m, 3H), 8.37-8.44(m, 2H), 10.75(s, 1H); MS 396.3(M- +1). 2차 분별성분은 dl-4-(2-(1,1-디메틸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필)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이었다: 1H NMR (200MHz, CDCl3)δ1.26-1.40(m, 12H), 2.00(s, 3H), 2.31(s, 3H), 3.60-3.90(m, 2H), 3.95-4.10(m, 1H), 5.41-5.44(d, J=6.0Hz, 1H), 5.65(br, 1H), 7.40-7.46(m, 3H), 8.37-8.44(m, 2H), 10.89(s, 1H); MS 396.2(M- +1).
다음의 화합물은 실시예 10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득했다;
(S,S)-4-(2-아세틸아미노시클로헥실)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_1.43(m, 4H), 1.60(s, 3H), 1.83(m, 2H), 2.18(s, 3H), 2.30(m, 2H), 2.32(s, 3H), 3.73(br, 1H), 4.25(br, 1H), 5.29(d, 1H), 7.43-7.48(m, 3H), 8.35-8.40(m, 2H), 9.05(s, 1H).
4-(2-메틸-2-아세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1H NMR (200MHz, CDCl3)δ_1.51(s, 6H), 1.56(s, 3H), 2,07(s, 3H), 2.36(s, 3H), 3.76(d, 2H), 5.78(t, 1H), 7.41-7.48(m, 3H), 7.93(s, 1H), 8.39(m, 2H), 10.07(s, 1H); MS(ES): 352.3(M- +1).
실시예 11:
dl-4-(1-메틸-2-(1,1-디메틸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60.6mg, 0.153밀리몰)을 디클로로메탄(2.0㎖) 내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0.5㎖)로 14시간 동안 처리했다. 유기용매를 감압제거하여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2.0㎖) 및 트리에틸아민(2.0㎖)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아세트산 무수물(17.2mg, 0.016, 0.169밀리몰)를 0℃ 에서 첨가하였다. 결과로 나온 혼합물을 실온에서 48시간 교반한 후 감압농축하여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박막 크로마토그래피(EtOAc) 처리하여 27.0mg(52%)의 dl-4-(1-메틸-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을 수득했다. 1H NMR (200MHz, CDCl3)δ1.38-1.42(d, J=8Hz, 3H), 1.69(s, 3H), 2,01(s, 3H), 2.32(s, 3H), 3.38-3.60(m, 2H), 4.65-4.80(m, 1H), 5.23-5.26(d, J=6Hz, 1H), 7.40-7.51(m, 3H), 8.37-8.43(m, 2H), 10.44(s, 1H); MS(ES): 338.2(M- +1).
실시예 12:
실시예 1의 방식과 유사하게 4-클로로-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0.15g, 0.583밀리몰) 및 (1R, 2R)-(-)-1,2-디아미노시클로헥산(0.63g, 5,517밀리몰)로부터 제조한 (R,R)-4-(2-아미노시클로헥실)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10.0㎖) 내의 트리에틸아민(0.726g, 7.125밀리몰) 및 아세트산 무수물(0.325g, 3.18밀리몰)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10.0㎖) 및 물(10.0㎖)을 잔류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분리한 후 수성상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0㎖)로 추출하였다. 혼합된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을 건조(MgSO4) 및 여과하였다.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건조하고 잔류물은 박막 크로마토그래피(EtOAc:헥산 = 1:1) 처리하여 57.0mg(26%)의 (R,R)-4-(2-아세틸아미노시클로헥실)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을 수득했다. 1H NMR (200MHz, CDCl3)δ_1.43(m, 4H), 1.60(s, 3H), 1.84(m, 2H), 2.22(s, 3H), 2.30(m, 2H), 2.33(s, 3H), 3.72(br, 1H), 4.24(br, 1H), 5.29(d, 1H), 7.43-7.48(m, 3H), 8.35-8.39(m, 2H), 8.83(s, 1H); MS(ES): 378.3(M- +1).
실시예 13:
4-(2-히드록시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40.0mg, 0.141밀리몰)을 피리딘(1.0㎖)에 용해한 용액에 대해 아세트산 무수물(0.108g, 1.06밀리몰)을 0℃ 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동안 교반한 후 용매를 감압제거하였다. 잔류물은 박막 크로마토그래피(EtOAc:헥산 = 1:1) 처리하여 32.3mg(71%)의 4-(2-아세틸옥시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 피롤로[2,3d] 피리미딘을 수득했다. 1H NMR (200MHz, CDCl3)δ_1.90(s, 3H), 2.08(s, 3H), 2.31(s, 3H), 4.05(m, 2H), 4.45(t, 2H), 5.42(m, 1H), 7.41-7.49(m, 3H), 8.42(m, 2H), 11.23(s, 1H).
실시예 14:
Fmoc-β-Ala-OH(97.4mg, 0.313밀리몰) 및 염화옥살일(39.7mg,27.3㎕, 0.313밀리몰)을 디클로로메탄(4.0㎖)에 용해한 용액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1방울을 0℃에서 점적첨가한 후 1시간 동안 0℃ 에서 교반하였다. 그후 4-(2-아미노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80.0mg, 0.285밀리몰) 및 트리에틸아민(57.6mg, 79.4㎕, 0.570밀리몰)을 역시 0℃ 에서 첨가했다. 3시간 후, 혼합물을 감압여과한 뒤 잔류물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2.0㎖) 내에 용해된 20% 피페 리딘 용액으로 0.5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한 후, 잔류물을 디에틸에테르:헥산(1:5)으로 세척하여 3.0mg(3%)의 4-(6-아미노-3-아자-4-옥소헥실)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을 수득했다. MS(ES): 353.2(M-+1).
실시예 15:
4-(2-아미노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70.0mg, 0.249밀리몰) 및 숙신산 무수물(27.0mg, 0.274밀리몰)을 디클로로에탄(4.0㎖)에 용해한 용액에 대해 N,N-디메틸포름아미드 1방울을 점적하고 이 용액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 수산화나트륨으 로 추출하고(3 x 5.0㎖), 수성상을 3M 염화수소로 산성화하여 pH7.0 으로 조정하였다. 전체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 (3x10㎖)로 추출하였다. 혼합 유기용액을 건조(MgSO4) 시킨 후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15.0mg (16%)의 4-(7-히드록시-3-아자-4,7-디옥소헵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을 수득했다. MS(ES): 382.2(M- +1).
실시예 16:
10㎖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에 대해 실온에서 700mg 4-시스-(3-히드록시시클로펜틸)아미노-2-페닐-5,6-디메틸-7H-피롤로[2,3d] 피리미딘을,계속해서 455mg N-Boc 글리신과 20mg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 293mg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HOBT) 및 622mg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EDCl)을 차례대로 첨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은 하룻밤동안 교반하였다. DMF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나머지 반응혼합물을 20㎖ 에틸아세테이트 및 50㎖ 물층으로분리하였다. 수성분은 2 x 20㎖ 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했고 나머지 복합 유기성분들은 브린으로 세척, 무수황산나트륨에 통과시켜 건조, 및 여과와 농축을 행했다.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용출시키는 실리카겔 상에서의 정제작업으로 410mg 의 소요 생성물을 수득했다: 4-(시스-3-(N-t-부톡시카르보닐-2-아미노아세톡시)시클로펜틸)아미노-2-페닐-5,6-디메틸-7H-피롤로[2,3d] 피리미딘, MS(ES) (M-+1)=480.2. 그 후 에스테르를 디클로로메탄 내에 용해한 5㎖의 20%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으로 실온에서 처리하고 하룻밤동안 둔 후 농축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적정처리시 300mg의 백 색고형물이 수득되었다. 4-(시스-3-(2-아미노아세톡시)시클로펜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트리프루오르아세트산 염, MS(ES) (M-+1)=380.1
당해분야의 숙련가라면 상술한 방법들을 통해 다음의 화합물들을 합성할 수 있을 것임을 알 수 있다.
4-(시스-3-히드록시시클로펜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MS(ES) (M-+1)=323.1
4-(시스-3-(2-아미노아세톡시)시클로펜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 MS(ES) (M-+1)=380.1
4-(3-아세타미도)피페리디닐-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MS(ES) (M-+1)=364.2
4-(2-N'-메틸우레아프로필)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MS(ES) (M-+1)=353.4
4-(2-아세타미도부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MS(ES) (M-+1)=352.4
4-(2-N'-메틸우레아부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MS(ES) (M-+1)=367.5
4-(2-아미노시클로프로필아세타미도에틸)아미노-5,6-디메틸-2-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MS(ES) (M-+1)=309.1
4-(트랜스-4-히드록시시클로펜틸)아미노-2-(3-클로로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MS(ES) (M-+1)=342.8
4-(트랜스-4-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2-(3-플루오로페닐)-7H-피롤로[2,3d] 피리미딘. MS(ES) (M-+1)=327.2
4-(트랜스-4-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2-(4-피리딜)-7H-피롤로[2,3d] 피리미딘. MS(ES) (M-+1)=310.2
실시예 17
도식(IX)
Figure 112002017298878-pct00072
화합물(7) (도식 IX)의 피롤 질소는 염기성 조건 하에서 디-t-부틸디카르보네이트에 의해 보호되어 이에 상응하는 카르바메이트(22)를 수득한다. 화합물(22) 의 라디칼 브롬화반응은 브롬화물(23)을 수득하기 위해 국소선별적으로 실행되었다. 통상, 화합물(23)은 각종 친핵성 결합 상대자에 있어서 핵심적인 친전자성 중간체 역할을 한다. 브롬화알킬 및 페놀산나트륨 3수화물의 변위에 의해 화합물(24)가 수득된다. 염화아릴의 후속변위 및 t-부틸 카르바메이트 보호기의 탈락이 동일단계에서 일어나며 그 결과 원하는 생성물(25)이 수득된다.
도식(IX)에 따른 화합물(22)-(25) 합성에 대한 상세설명
Figure 112002017298878-pct00073
디-t-부틸 디카보네이트(5.37g, 24.6밀리몰) 및 디메틸 아미노피리딘(1.13g, 9.2밀리몰)을 화합물(7)(1.50g, 6.15밀리몰) 및 피리딘(30㎖) 함유 용액에 첨가하였다. 20시간 후, 반응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은 CH2Cl2 및 물층으로 분리하였다. CH2Cl2 층을 분리 및 MgSO4 에 통과시켜 건조하고, 다시 여과 및 농축하여 흑색고형물을 수득했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iO2: 1/9 EtOAc/헥산, Rf 0.40) 처리후 1.70g (80%)의 백색고형물(22)이 수득되었다. 1H NMR (200MHz, CDCl3)δ_8.50(m, 2H, Ar-H), 7.45(m, 3H, Ar-H), 6.39(s, 1H, 피롤-H), 2.66(s, 3H, 피롤-CH3), 1.76 (s, 9H, 카르바메이트-CH3); MS, M+1 = 344.1; Mpt=175-177℃.
Figure 112002017298878-pct00074
N-브로모숙신이미드(508mg, 2.86밀리몰) 및 AIBN(112mg, 0.68밀리몰)을 화합물(22)(935mg, 2.71밀리몰) 및 CCl4(50㎖) 을 함유하는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가열 환류하였다. 2시간 후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 및 감압농축하여 백색 고형물을 수득했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iO2: 1/1 CH2Cl2/헥산, Rf 0.30) 처리후 960mg(84%)의 백색고형물(23)이 수득되었다. 1H NMR (200MHz, CDCl3)δ_8.52(m, 2H, Ar-H), 7.48(m, 3H, Ar-H), 6.76(s, 1H, 피롤-H), 4.93(s, 2H, 피롤-CH2Br), 1.76 (s, 9H, 카르바메이트-CH3); MS, M+1 = 423.9; Mpt=155-157℃.
Figure 112002017298878-pct00075
소듐 페녹시드 트리히드레이트(173mg, 1.02밀리몰)을 CH2Cl2(5㎖) 및 DMF(10 ㎖)에 용해된 브롬화물(23) (410mg, 0.97밀리몰)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2시간 후 반응용액이 CH2Cl2 층 및 수층속으로 분리되었다. 혼합 CH2Cl2 층을 물로 세척 및 MgSO4 에 통과시켜 건조, 여과 및 농축하여 황색 고형물을 수득했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iO2: 1/6 EtOAc/헥산, Rf 0.30) 처리후 210mg (50%)의 백색고형물(24)이 수득되었다. 1H NMR (200MHz, CDCl3)δ_8.53(m, 2H, Ar-H), 7.48(m, 3H, Ar-H), 7.34(m, 2H, Ar-H), 7.03(m, 3H, Ar-H), 6.83(s, 1H, 피롤-H), 5.45(s, 2H, ArCH2O), 1.76 (s, 9H, 카르바메이트-CH3); MS, M-= 436.2.
Figure 112002017298878-pct00076
화합물(24) (85mg, 0.20밀리몰), N-아세틸에틸렌디아민 (201mg, 1.95밀리몰) 및 DMSO(3㎖)의 혼합용액을 100℃로 가열하였다. 1시간 후 온도를 다시 130℃로 승온시켰다. 3시간 후 반응물을 실온까지 냉각하여 EtOAc층 및 수층속으로 분리시켰다. 수층은 EtOAc로 추출하였다 (2x). 혼합 EtOAc 층은 물로 세척한 후 MgSO4 에 통과시켜 건조, 여과 및 농축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iO2: 1/10 EtOH/CHCl3, Rf 0.25) 처리후 73mg (93%)의 백색 발포성 고형물(25)이 수득되었다. 1H NMR (200MHz, DMSO-d6)δ11.81(br s, 1H, N-H), 8.39(m, 2H, Ar-H), 8.03(br t, 1H, N-H), 7.57 (br t, 1H, N-H), 7.20-7.50(m, 5H, Ar-H), 6.89-7.09(m, 3H, Ar-H), 6.59(s, 1H, 피롤-H), 5.12(s, 2H, ArCH2O), 3.61(m, 2H, NCH2), 3.36(m, 2H, NCH2), 1.79 (s, 3H, COCH3); MS, M+1= 402.6.
다음의 화합물은 상기의 실시예 17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득되었다;
4-(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6-페녹시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mp 196-197℃; MS(ES): 401.6(M-+1).
4-(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6-(4-플루오로페녹시)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MS(ES): 420.1(M-+1).
4-(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6-(4-클로로페녹시)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MS(ES): 436.1(M-+1).
4-(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6-(4-메톡시페녹시)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MS(ES): 432.1(M-+1).
4-(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6-(N-피리딘-2-온)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MS(ES): 420.1(M-+1).
4-(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6-(N-페닐아미노)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MS(ES): 400.9(M-+1).
4-(2-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6-(N-메틸-N-페닐아미노)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MS(ES): 414.8(M-+1).
4-(2-N'-아세틸아미노에틸)아미노-6-페녹시메틸-2-페닐-7H-피롤로 [2,3d] 피리미딘. MS(ES): 416.9(M-+1).
실시예 18: 아데노신 A 1 길항물질의 합성
화합물 1319와 화합물 1320 (하기 표 13 참조)은 다음의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 합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77
화합물 26 X=F 화합물 1319
화합물 27 X=Cl 화합물 1320
화합물 1319 (81%) 1H NMR (d6-DMSO) d 1.37(m, 4H), 1.93(m, 2H), 2.01(m, 2H), 4.11(brs, 1H), 4.61(d, 1H, J=4.4Hz), 6.59(m, 1H), 7.09(m, 1H), 7.21(m, 2H), 7.49(dd, 1H, J=8Hz, 14Hz), 8.03(m, 1H), 8.18(d, 1H, J=8Hz), 11.55(brs, 1H).MS(ES): 327.0 (M-+1)
화합물 1320 (31%) MS(ES): 343.1(M-+1)
실시예 19: 아데노신 A 1 길항물질의 합성
화합물 1321 (하기 표 13 참조)는 다음의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 합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78
[화합물 1321]
화합물(28) (10.93g, 50.76밀리몰)을 DMF(67㎖)에 용해하였다. 4-아미디노피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8.0g, 50.76밀리몰) 및 DBU(15.4g, 101.5밀리몰)을 연속 첨가한 후 반응물을 85℃ 로 가열하였다. 22시간후,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DMF를 감압제거했다. 수득한 흑색 오일을 2M HCl (80㎖)에 희석하였다. 반응물을 그대로 두고 2시간 후, 용액을 다시 10℃로 냉각한 후 여과했다. 고형물을 냉각수로 세척 및 건조하면 7.40g 의 황색고형물이 화합물(29)로서 수득되었다.(69%). 1H NMR (200MHz, d6-DMSO) d 6.58(s, 1H), 7.27(s, 1H), 8.53(d, 2H, J=5.6), 9.00(d, 2H, J=5.2Hz), 12.35(brs, 1H) MS(ES): 212.8 (M-+1)
화합물(29) (7.4밀리몰, 29.8밀리몰)을 POCl2에 희석 및 105℃ 로 가열하였다. 18시간후,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 및 POCl2 은 감압제거하였다. 수득된 농후하고 진한 오일을 MeOH (75㎖)에 희석한 후 다시 에테르(120㎖)로 희석하였다. 비정질 적색 고형물이 여과되었으며 이를 에테르로 세척하면 3.82g 의 적색고형물을 수득할 수 있었다. 초기 고형물은 약 80% 의 순도를 갖고 추후의 반응에서 별도의 정제없이 사용되었다. MS(ES): 230.7 (M-+1)
화합물 1321 (15%) 1H NMR (200MHz, d6-DMSO) d 1.38(m, 4H), 1.92(brs, 2H), 2.02(brs, 2H), 3.44(brs, 1H), 4.14(brs, 1H), 4.56(d, 1H, J=4Hz), 6.63(m, 1H), 7.15(m, 1H), 7.32(d, 1H, J=6.2Hz), 8.20(d, 2H, J=4.4Hz), 8.65(d, 2H, J=4.4Hz), 11.67(brs, 1H).MS(ES): 310.2 (M-+1)
화합물 1501 (하기 표 15 참조) 1H NMR (70%)(200MHz, CD3OD) d 1.84(s, 3H), 3.52(t, 2H, J=6.0Hz), 3.83 (t, 2H, J=6.0Hz), 6.51(d, 1H, J=3.4Hz), 7.06(d, 1H, J=4.8Hz), 7.42(m, 3H), 8.36(m, 2H), MS(ES): 296.0 (M-+1)
화합물 1502 (하기 표 15 참조) MS(ES): 345.0 (M-+1)
화합물 1500 (하기 표 15 참조) 1H NMR (200MHz, CDCl2) d 1.40-1.80(m, 6H), 1.85-2.10(m, 2H), 2.18(s, 3H), 2.33(s, 3H), 2.50(d, 3H), 3.90-4.10(m, 2H), 4.76(m, 1H), 5.50(d, 1H), 6.03(m, 1H), 7.40(m, 3H), 8.37(m, 2H), 9.15(brs, 1H). MS(ES): 393.3 (M-+1)
실시예 20: 아데노신 A 1 길항물질의 합성
화합물 1504 (하기 표 15 참조)는 다음의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 합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79
[화합물 1504]
화합물(31) (200mg, 0.47밀리몰)을 DCM(4㎖)에 용해하였다. 트리에틸아민(51mg, 0.5밀리몰) 및 티오모르폴린(52mg, 0.5밀리몰)을 연속 첨가하였다. 용액을 수분간 혼합한 뒤 72시간 동안 그대로 두었다. 반응물을 다시 DCM 및 H2O 로 희석한 후 층을 분리했다. 수성층은 DCM으로 추출했다. 혼합 DCM층은 MgSO4 에 통과시켜 건조, 여과 및 농축했다. 에틸에테르를 시료에 첨가하고 결과로 나온 고형물을 여과하면 100mg 의 백색 고형물(32)을 수득할 수 있었다 (62%). 1H NMR (200MHz, CDCl2) d 1.76(s, 9H), 2.66(brs, 2H), 2.79(brs, 2H), 3.86(s, 2H), 7.4(m, 3H), 8.50(m, 2H)
화합물(32)은 DMSO(3㎖) 및 트랜스-4-아미노시클로헥사논(144mg, 1.25밀리 몰)과 배합하여 4시간동안 130℃ 로 가열하였다. 그후,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 및 EtOAc 및 H2O 에 희석하였다. 층이 분리되었고 수성층은 EtOAc 로 추출하였다. (2x). 혼합 유기층은 H2O 및 염수로 세척한 후 MgSO4 에 통과시켜 건조하였다. 이어서 여과 및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8:1 CHCl3/EtOAc) 처리후 32mg 의 갈색오일이 수득되엇다. 에틸에테르를 첨가한 후 얻은 고형물을 여과하면 5mg 의 백색 고형물을 수득할 수 있었다 (9%). OSIC:148265: 1H NMR (200MHz, CD3OD) d 1.44(brm, 4H), 2.03(brm, 2H), 2.21(brm, 2H), 2.70(brm, 8H), 3.63(m, 4H), 3.92(m, 1H), 4.26(brs, 1H), 6.42(s, 1H), 7.42(m, 3H), 8.33(m, 2H).
실시예 21: 아데노신 A 1 길항물질의 합성
화합물 1503 (하기 표 15 참조)는 다음의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 합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080
[화합물 1503]
브롬화물(31)(220mg, 0.47밀리몰)을 1:1 DMF:디클로로메탄(5㎖)에 용해하였다. 여기에 K2CO3(71mg, 0.52밀리몰) 및 모르폴린(0.047㎖, 0.47밀리몰)을 첨가하였 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동안 교반했다. 용매의 감압제거 뒤 잔류물은 H2O 및 디클로로메탄층 속으로 분리되었다. 유기층을 MgSO4 에 통과시켜 건조, 여과 및 농축한 후 백색고형물을 수득했다. 이 고형물을 에테르/헥산으로 분쇄하면 175mg의 백색고형물(33)을 수득할 수 있었다. (84%). 1H NMR (200MHz, CDCl3) d 1.9(9H, s), 2.54(4H, s), 3.65(4H, s), 3.85(1H, s), 6.59(1H, s), 7.45(3H,m), 8.5(2H, m).
화합물(33)(50mg, 0.11밀리몰) 및 트랜스-4-아미노시클로헥사논(105mg, 0.91밀리몰)을 DMSO(2㎖)에 넣어 혼합했다. 결과로 나온 용액에 N2을 살포한 후 유조 내에서 100℃ 로 가열하고 하룻밤동안 교반하였다. 수득된 반응 혼합물을 물속에 붓고 에틸아세테이트(50㎖)로 2회 추출했다. 혼합 유기층을 H2O 로 세척하였다. MgSO4 에 통과시켜 건조 및 여과한 후의 유기층을 감압농축시키면 오렌지색 고형물을 수득할 수 있었다.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CH2Cl2 에 용해한 10% CH2OH) 처리후 15mg 의 갈색오일이 수득되었다 (33%). 1H NMR (200MHz, CDCl3) : (1.24-1.62 (4H, m), 1.85(2H, m), 2.10(2H, m), 2.26(4H, m), 3.53(4H, m), 4.22(1H, m), 4.73(1H, m), 5.85(1H, d), 6.15(1H, s), 7.25(3H, m), 8.42(2H, m), 10.0(1H, s). MS(ES): 408.(M-+1).
화합물 1500, 1501 및 1502 는 화합물(32)를 적절한 치환된 아민으로 처리하면 실시예 20과 유사한 방식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
인간 아데노신A 1 및 A 2a 수용체의 이스트 β-갈락토시다제 리포터 유전자 분석:
이스트 균주(S. 세레비시아에)가 인간 아데노신 A1(A1R: 카두스(CADUS) 균주 CY12660) 또는 인간 A2a (A2a; 카두스 균주 CY8362) 및 기능성 해석체인 lacZ(β-갈락토시다제) 리포터 유전자에 의해 변형되었다. 변형물에 대한 상세설명은 하기 열거부분을 참조한다 (이스트 균주 참조). NECA (5'-N-에틸카르복사미도아데노신), 및 유사한 A1 및 A2a 수용체 친화력을 가진 잠재 아제노신 수용체 길항근을 모든 분석에서 리간드로 사용하였다. 시험화합물은 농도 8(0.1-10,000nM)에서 NECA-유발 β-갈락토시다제 활성도의 억제력을 CY12660 또는 CY8362로 시험하였다.
이스트 배양액의 제조: 각 이스트균주 CY12660 및 CY8362를 LT 한천판에 줄무늬 처리하여 30℃ 에서 군집물을 얻을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 군집물로부터 이스트를 LT액(pH6.8)에 첨가 및 30℃ 에서 하룻밤동안 배양하였다. 각 이스트 균주는 희석하여 분광광도 측정시 (분자장치 VMAX) OD600 =1.0-2.0 (약 1-2 x 107 셀/㎖) 가 되게 하였다. 6㎖ 의 이스트 액상 배양물 마다 4㎖의 40% 글리세롤 (1:1.5 부피:부피)를 첨가하였다 ("이스트/글리세롤 원액"). 이 이스트/글리세롤 원액으로부터 10개의 1㎖ 분취물을 준비 및 추후 사용시까지 -80℃ 에서 보관했다.
이스트 A1R 및 A2aR 분석: 각각 CY8362 및 CY12660 이스트/글리세롤 원액을 담은 유리병 1개를 해동 및 보충 LT액 배지, pH6.8 (92㎖ LT액: 5㎖ 의 40% 글루코 스, 0.45㎖의 1M KOH 및 2.5㎖ 의 피페스, pH6.8을 첨가함) 접종에 사용했다. 하룻밤 배양한 분취물을 4U/㎖ 아데노신 디아미나제 (소의 장점막에서 취한 VI 또는 VII종)를 함유한 LT 배지에 희석하여 CY8362(A2aR)에 대해 OD600=0.15 (1.5x106 세포/㎖)이고 또한 CY12660(A1R)에 대하여 OD600=0.50 (5x106 세포/㎖)가 되도록 하였다.
96-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 넣은 최종 100 ul의 부피에 대해 모든 웰에서 최종농도 2% DMSO 를 달성하는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1차 스크리닝은 시험 화합물 중 1-2 개의 농축물을 사용하였다 (10uM, 1μM). 화합물 프로파일화 처리시, 8개의 농축물을 시험했다. (10000, 1000, 500, 100, 50, 10, 1 및 0.1nM). 각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 대해, 10ul 의 20% DMSO를 "대조군" 및 "전체" 웰에 첨가하고 한편 10ul 의 시험화합물 (20% DMSO 에 용해된)을 "알수없는" 웰에 첨가했다. 그 후, 10uL 의 NECA ( A1R 에 대하여 5uM, A2aR에 대하여 1uM)을 "전체" 및 "알수없는" 웰에 첨가하고; 10ul의 PBS를 "대조군" 웰에 첨가했다. 마지막으로, 80ul의 이스트 균주 CY8362 또는 CY12660 을 모든 웰에 첨가했다. 플레이트는 모두 살짝 교반하여 (LabLine 오비탈쉐이커에서 2-3분간) 4시간 동안 30℃ 의 건조오븐에 넣어 배양하였다.
β-갈락토시다제 활성은 색도계 기재 (예, ONPG, CPRG), 발광계 기재 (예, 갈락톤스타) 또는 형광계 기재 (예, FDG, 레조루핀) 등을 이용하여 정량측정하였 다. 현재는, 형광도 검출이 탁월한 신호:소음 비율, 간섭으로부터의 상대자유도 및 저비용 측면에 근거하여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형광체 디갈락토피라노시드(FDG, 분자탐침자 또는 표식자 유전자기술)를 형광성 -갈락토시다제 기재로서 모든 웰에 20ul/웰 (최종농도 = 80uM)의 비율로 첨가했다. 플레이트를 5-6초간 흔들고 (LabLine 오비탈 쉐이커) 그후 37℃ 에서 90분간 (95% O2/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90분간의 배양 종료후, 20ul/웰의 1M Na2CO3 를 사용하여 β-갈락토시다제 활성을 중단시켰고 플레이트 전부를 5-6초간 흔들었다. 플레이트를 다시 6초간 교반한 후 형광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상대형광강도를 측정했다. (Tecan Spectrafluor; 여기파장=485nm, 방출파장=535nm).
계산: "대조군" 웰의 상대형광값을 배경값으로 해석하고 이것을 "전체" 및 "알려지지 않은" 웰의 값으로부터 감산한다. 화합물 프로파일은 로그변환 (x-축: 화합물 농도)으로 분석했고 1차 집합곡선 적용으로 IC50 값 (GraphPad 프리즘)을 계산하였다.
이스트 균주: 사카로마이스 세레비시에 균주 CY12660 [farl*1442 tbtl-l fusl-HIS3 canl stel4::trp1::LYS2 ste3*1156 gpal(41)-Gαi3 lys2 ura3 leu2 trpl: his3: LEU2 PGKp-MfαlLeader-hAIR-PHO5term 2mu-orig REP3 Ampr] 및 CY8362 [gpalp-rGαsE10K farl*1442 tbtl-1 fusl-HIS3 canl stel4::trp1:LYS2 ste3*1156 lys2 ura3 leu2 trp1 his3: LEU2 PGKp-hA2aR 2mu-ori REP3 Ampr] 을 개발하였다.
LT 배지: LT (Leu-Trp 보충) 배지는 100g DIFCO 이스트 질소 염기로 구성되 고, 다음의 물질을 보충한다: 1.0g 발린, 1.0g 아스파탐산, 0.75g 페닐알라닌, 0.9g 리신, 0.45g 티로신, 0.45g 이소로이신, 0.3g 메티오닌, 0.6g 아데닌, 0.4g 우라실, 0.3g 세린, 0.3g 프롤린, 0.3g 시스테인, 0.3g 아르기닌, 0.9g 히스티딘 및 1.0g 트레오닌.
인간 A 1 아데노신 수용체 발현 이스트 균주의 구성
이 실시예에서, 이스트 페로몬계 경로에 기능적으로 집중된 인간 A1 아데노신 수용체를 발현하는 이스트 균주의 구성을 기술한다.
I. 발현벡터 구성
인간 A1 아데노신 수용체를 위한 이스트 발현벡터를 구성하기 위해 A1 아데노신 수용체 cDNA를 인간 A1 아데노신 수용체의 공개된 서열 및 표준기술에 기초하여 설계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인간 해마상 융기 mRNA의 역전사 PCR에 의해 수득하였다. PCR 생성물을 이스트 발현 플라스미드 pMP15의 NcoI 및 XbaI 위치로 서브클로닝 하였다.
pMP15 플라스미드는 pLXt 로부터 다음과 같이 생성되었다: YEP51의 XbaI 위치 (Broach, J.R. et al. (1983) "Vectors for high-level, inducible expression of cloned gene in yeast" p.83-117, M. Inouye (ed.), Experimental Manipulation of Gene Expression. Academic Press, New York 참조)는 소화, 엔드필 및 재결찰처리로 제거하여 Yep51NcoDXba 를 생성하였다. 또다른 XbaI 위치는 BamHI 소화, 엔드필, 링커(New England Biolabs, #1081)결찰, XbaI 소화 및 재결찰처리에 의해 생성 되어 YEP51NcoXt를 발생하였다. 이 플라스미드는 Esp31 및 NcoI에 의해 소화되고 PCR에 의해 발생하는 Leu2 및 PGKp 분절편에 결찰되었다. 2kb Leu2 PCR 생성물은 Esp31 및 BglII 위치를 함유하는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UEP51Nco 으로부터 증폭에 의해 생성되었다. 660 염기쌍 PGKp PCR 생성물은 BglII 및 NcoI 위치를 함유하는 PCR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PGKαs로부터 증폭에 의해 발생하였다 (Kang, Y.-S. et al. (1990) Mol. Cell. Biol. 10:2582-2590 참조). 결과로 얻은 플라스미드를 pLPXt 라고 한다. pLPXt는 a-팩터 프리-프로 리더의 코드영역을 NcoI 위치에 삽입하여 변형시켰다. 프리프로 리더는 NcoI 클로닝 위치를 리더의 3' 말단에서 유지하고 단 5' 말단에서는 재생하지 않도록 삽입하였다. 이 방식에 의해 수용체는 NcoI 및 XbaI 를 이용한 플라스미드의 소화작용에 의해 클론화 될 수 있다. 결과로 나온 플라스미드를 pMP15 라고 한다.
인간 A1 아데노신 수용체 cDNA가 삽입된 pMP15 플라스미드를 p5095 라고 정의했다. 이 벡터에서, 수용체 cDNA는 이스트 a-팩터 프리프로 리더의 3' 말단에 웁합된다. 단백질 성장 중 프리프로 펩티드 서열은 분할하여 성장한 완전길이의 수용체를 생성한다. 이 반응은 이스트 분비경로를 통과하면서 수용체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한다. 플라스미드는 Leu 선별에 의해 유지된다 (즉, 로이신 결핍 배지에서의 성장). 클론화된 코딩영역의 서열은 공지문헌에서 발표된 바와 같았다 (GenBank 접근번호 S45235 및 S56143).
II. 이스트 균주 구성
인간 A1 아데노신 수용체를 발현하는 이스트 벡터를 생성하기 위해, 이스트균주 CY7967를 출발 모체균주로 사용했다. CY7967의 유전자형은 다음과 같다:
MATα gpaD1163 gpa1(41)Gαi3 far1D1442 tbt-1 FUS1-HIS3 can1 ste14::trpl::LYS2 ste3D1156 lys2 ura3 leu2 trpl his3
유전자 표식자는 다음과 같다:
MATa ...........교배형 a
..........
gpa1D1163 ..........내인성 이스트 G-단백질 GPA1 이 이탈됨.
gpa1(41)Gαi3 ..... gpal(41)-Gai3 은 이스트 게놈에 통합됨.
이 //chimeric//Ga 단백질은 동족의 N-말단 아미노산이 이탈되었던 포유류 G-단백질 Gai3 에 융해된 내인성 이스트 Ga 서브유닛 GPA1의 처음 41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다.
far1D1442 ..........FAR1 유전자 (세포주기 정지에 응답하는)가 이탈됨 (따라서 페로몬 응답경로의 활성화시 세포주기 정지 작용을 저해함).
tbt-1 ..............전기영동법에 의한 고변환효율을 갖는 균주.
FUS1-HIS3 ..........FUS1 프로모터 및 HIS3 코딩영역 간의 융합 (따라서 페로몬 유도형 HIS3 유전자가 생성됨).
can 1 ............. 아르기닌/카나비닌 페르미아제
stel4::trp1::LYS2 ..STE14, C-파르네실 메틸전달효소의 유전자 붕괴 (따라서 페로몬 경로를 통한 기저 신호발생이 저하됨).
ste3D1156 ..........내인성 이스트 STR, a 팩터 페로몬 수용체(STE3)가 붕괴됨.
lys2................2-아미노아피데이트 환원효소의 손상, 이스트는 리신 증식이 필요함.
ura3 ...............오르티딘-5'-포스페이트 탈탄산효소의 손상, 이스트는 우라실 증식이 필요함.
leu2 ...............b-이소프로필말레이트 탈수소효소의 손상, 이스트는 로이신 증식이 필요함.
trp1 ...............포스포리보실안트라닐레이트의 손상, 이스트는 트립토판 증식이 필요함.
his3 ...............이미다졸글리세롤포스페이트 탈수소효소의 손상, 이스트는 히스티딘 증식이 필요함.
2개의 플라스미드가 전기영동에 의해 균주 CY7967로 변환되었다.: 플라스미드 p5095 (인간 A1 아데노신 수용체를 코드화 하기 위하여; 상기 참조) 및 FUS1-β-갈락토시다제 수용체 유전자 플리스미드인 플라스미드 p1584. 플라스미드 p1584 는 플라스미드 pRS426 으로부터 유도되었다 (Christianson, T.W. et al. (1992) Gene 110:119-1122 참조). 플라스미드 pRS426 은 뉴클레오티드 2004-2016 에서 폴리링커 위치를 함유한다. FUS1 프로모터 및 β-갈락토시다제 유전자의 융합물이 제한위치 EagI 및 XhoI 에 삽입되어 플라스미드 p1584를 생성하였다. p1584 플라스미드는 Trp 선별로 유지된다. (예, 로이신 결핍 배지 상의 성장).
결과로 나온 p5095 및 p1584 함유 균주를 CY12660 라고 하며 이는 인간 A1 아데노신 수용체를 발현한다. 이 균주를 액상내 또는 한천 플레이트 상에서 증식하기 위해서 최소의 로이신 및 트립토판 결핍 배지를 사용했다. 플레이트 상의 증식을 분석하기 위해 (FUS1-HIS3 분석), 플레이트는 pH6.8 로 유지하고 0.5-2.5mM 3-아미노-1,2,4-트리아졸을 함유시켰으며 단 로이신, 트립토판 및 히스티딘은 결핍된 상태로 하였다. 특이성 비교를 위한 대조군으로서, 1개 이상의 다른 이스트류의 7개의 전달막 수용체 스크린에 대한 비교를 각 실험에 포함시켰다.
인간 A 2a 아데노신 수용체 발현 이스트 균주의 구성
이 실시예에서, 이스트 페로몬계 경로에 기능적으로 집중된 인간 A2a 아데노신 수용체를 발현하는 이스트 균주의 구성을 기술한다.
I. 발현벡터 구성
인간 A2a 아데노신 수용체를 위한 이스트 발현벡터를 구성하기 위해 A2a 아데노신 수용체 cDNA를 Dr. Phil Murphy (NIH) 로부터 얻었다. 이 클론을 구하면, A2a 수용체 삽입물을 서열화 했으며 이는 공개된 서열(GenBank 접근번호 #46950)의 것과 사실상 동일한 것으로 밝혀졌다. 수용체 cDNA 는 VENT 중합효소를 이용한 PCR 에 의해 플라스미드로부터 절제하고 및 플라스미드 pLPBX 로 클로닝 처리하였으며 이는 이스트 내의 구성 포스포글리세라이트 키나제(PGK) 프로모터에 의해 수용체발현을 유도한다. 전체 삽입물의 서열은 재차 서열화 되었고 이것이 역시 공개의 서열과 동일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여기서 사용된 클로닝 방식에 있어서, 3개 의 아미노산 GlySerVal 이 수용체의 카르복시-말단에 달리게 되었다.
II. 이스트 균주 구성
인간 A2a 아데노신 수용체를 발현하는 이스트 벡터를 생성하기 위해, 이스트균주 CY8342를 출발 모체균주로 사용했다. CY8342의 유전자형은 다음과 같다:
MATα farlD1442 tbtl-l lys2 ura3 leu2 trp1 his3 fus1-HIS3 can1 ste3D1156 gpaD1163 ste14::trp1::LYS2 gpa1p-rGαSE10K (혹은 gpa1p-rGαSD229S 또는 gpalp-rGαSE10K+D229S)
유전자 표식자는 G-단백질 변형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다. 인간 A2a 아데노신 수용체 발현에 있어서, 이스트 균주는 내인성 이스트 G 단백질 GPA1 이 분리 및 포유류 GαS 로 대체하는 데에 이용되었다. 3개의 래트 GαS 돌연변이물을 활용했다. 이들 변형물은 이스트 βγ에 효율적으로 결합하는 단백질로 변환될 1개 또는 2개의 점 돌연변이물을 함유한다. 이들을 GαS E10K (10번 위치의 글루탐산이 리신으로 대체됨), GαS D229S (229번 위치의 아스파탐산이 세린의 대체됨) 및 GαS E10K+D229S (점돌연변이물을 함유함) 등으로 분류한다.
균주 CY8342 (3개의 돌연변이 래트 GαS 단백질 중 하나를 수용하는)는 모벡터 pLPBX (수용체-) 또는 pLPBX-A2a (수용체-)에 의해 전환되었다. β-갈락토시다제 코딩서열에 융합된 FUS1 프로모터를 가진 플라스미드 (상기 참조)를 첨가하여 페로 몬 응답경로의 강도를 평가했다.
인간 A 1 아데노신 수용체를 발현하는 이스트 균주를 이용한 기능분석
이 실시예에서 인간 A1 아데노신 수용체 조절자에 대한 이스트의 기능적 스크리닝 분석법의 개발에 대해 기술한다.
I. 분석에 이용되는 리간드
아데노신은 이 수용체의 자연길항근이며 다른 두가지 합성 길항근이 본 분석법 개발에 이용되었다. 약 75nM의 EC50 를 가진 것으로 보고된 아데노신 및 dir 50nM 의 친화력을 가진 (-)-N6-(2-페닐이소프로필)-아데노신(PIA)을 하위실험군에서 사용하였다. 5'-N-에틸카르복사미도-아데노신(NECA) 은 성장 분석법 모두에서 사용하였다. 성장배지 내의 아데노신의 존재로 인한 신호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아데노신 디아미나제(4U/㎖)을 분석법 모두에서 첨가하였다.
II. 이스트의 생물학적 응답
이종구조형 이스트계통 내에서 기능적 결합하는 A1 아데노신 수용체의 성능은 A1 수용체 발현 벡터(p5095, 상기 참조)를 다른 G 단백질 서브유닛을 발현한 이스트균주열에 도입하여 평가했다. 대부분의 이들 변환물은 Gαi 또는 Gαo 서브종의 G α 서브유닛을 발현했다. 또다른 Gα 단백질도 무작위적 수용체-Gα 단백질 결합의 확인을 위해 시험하였다. 각종 균주에서, STEl8 또는 복합 STE18-Gγ2 구성물이 이스트의 게놈 속에 합체되었다. 이스트 균주는 손상형 HIS3 유전자 및 합체된 FUS1-HIS3 복제물을 감추었고 따라서 3-아미노-1,2,4-트리아졸 함유 선별배지에서 (0.2, 0.5 및 1.0mM 에서 시험됨) 선택할 수 있게 해주며 히스티딘이 결핍된다. 변형물을 분리하고 복수의 단층들을 3-아미노-1,2,4-트리아졸, 4U/㎖ 아데노신 디아미나제를 함유하고 히스티딘은 결핍된 배지 상에서 제조하였다. 5㎕의 다른 농축물 (예, NECA 0, 0.1, 1.0 및 10mM 에서 측정)의 리간드를 가하였다. 2일간 성장상태를 관측했다. 리간드-종속 성장응답을 다앙한 이스트균주에 대해 이 방식으로 시험했다. 그 결과는 하기의 표 1에 열거되어 있다. 기호 (-)는 리간드 종속 수용체의 활성화가 검출되지 않았고 반면 (+)는 리간드-종속 응답을 가리켰다. "LIRMA" 란 리간드 종속 수용체 조정 활성화를 가리킨다.
표 3
Figure 112002017298878-pct00081
상기 표 3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가장 강한 신호발생은 GPA1(41)-Gαi3 복합체에서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III. fus1-LacZ 분석
페로몬 응답경로의 활성화를 더욱 완벽하게 특성화 하기 위하여, 길항근 자극에 응답하여 fuslLacZ 를 통한 β-갈락토시다제 합성과정을 분석하였다. β-갈락토시다제 분석을 실행하기 위하여, 고농도 리간드를 Stel8-Gγ2 복합체 및 GPA1(41)-Gαi3 복합체를 공동발현하는 이스트균주 내에서 발현된 인간 A1 아데노신 수용체의 중간구조 배양물에 첨가하였다. 변형체를 분리 및 히스티딘과 4U/㎖ 아데노신 디아미나제의 존재하에서 하룻밤동안 배양하였다. 4U/㎖ 아데노신 디아미나제 및 리간드로 배양 5시간 후 β-갈락토시다제의 유발량을 β-갈락토시다제 기질인 CPRG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1회 분석시 5 x 105 셀을 이용했다.
NECA 자극으로 얻은 결과에서 NECA 농도 10-8 M 일 때 대체로 2 배의 β-갈락토시다제 활성을 달성하였다. 또한, 10-5 M 의 NECA 농도에서는 10 배의 자극지수가 관찰되었다.
이 분석법을 상기 균주의 길항물질 활성도의 평가에 대하여 그 활용범위를 확장시켰다. 2개의 공지된 아데노신 길항물질 XAC 및 DPCPX를 β-갈락토시다제 분석에 있어서 NECA (5mM)에 경쟁관계인 이들의 능력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이 분석법에서, β-갈락토시다제 유발량은 기질인 FDG 및 매 분석시 1.6 x 105 셀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그 결과에서 XAC 및 DPCPX는 이스트-발현 A1 아데노신 수용체의 점길항물질 역할을 하며 각각의 IC50 값은 44nM 및 49nM 이었다.
A1 서브종에 특이적인 저해효과를 갖는지 판단하기 위해, 이스트류 A2a 수용체 분석법을 이용해 일련의 보조실험을 수행했다. (실시예 4 참조). A2a 이스트류 분석법의 결과는 XAC가 A2a 수용체 길항물질에 비교적 효과적이었다는 사실이며 이는 공지문헌에서 발표된 것과 마찬가지다. 대조적으로, DPCPX 는 이 수용체에 상대 적으로 비활성적이었으며 역시 공지기술에서 예측했던 것과 같았다.
IV. 방사성리간드 결합
A1 아데노신 수용체 분석법은 또한 수용체의 방사성리간드 결합 변수들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개의 아데노신 수용체 기준 화합물 즉, XAC, DPCPX 및 CGS의 [3H] CPX 변위결합은 인간 A1 아데노신 수용체를 발현하는 이스트로 제조한 막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인간 A1 아데노신 수용체를 발현하는 이스트막을 이용한 결과를 인간 A2a 아데노신 수용체 또는 인간 A3 수용체를 발현하는 이스트막의 결과를 비교하여 결합특이성을 시험했다. 분석 시행을 위해, 50mg의 막을 0.4nM [3H] CPX 및 고농도 아데노신 수용체 리간드를 이용해 배양했다. 배양은 50mM 트리스-HCl, pH7.4, 1nM EDPA, 10mM MgCl2, 0.25% BSA 및 2U/㎖ 아데노신 디아미나제 내에서 및 프로테아제 저해제의 존재하에서 60분간 실온조건으로 배양하였다. 결합반응은 냉각된 50mM 트리스-HCl, pH 7.4 + 10Mm MgCl2 를 첨가하여 중단시키고 계속해서, 패커드 96-웰 하비스터를 이용하여, 0.5% 폴리에틸렌이민으로 사전세척해둔 GF/B 필터 하에서 신속여과했다. 데이타를 프리즘 2.01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비선형 최소면적곡선법으로 분석했다. 이 실험에서 구한 IC50 값을 다음의 표 4와 같이 요약했다.
표 4
IC50 [nM]
화합물 hAlR hA2aR hA3R
XAC 6.6 11.7 53.1
DPCPX 8.5 326.4 1307.0
CGS-15943 13.1 15.8 55.5
NECA 215.5 294.9 34.9
R-PIA 67.6 678.1 23.6
IB-MECA 727.7 859.4 3.1
알록소진 1072.0 1934.0 8216.0
이 데이타에서 기준 화합물들은 문헌상에 공지된 것과 마찬가지의 친화력을 가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스트류 분석법이 수용체 서브종 특이성을 판별하는데 충분한 감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인간 A2a 아데노신 수용체를 발현하는 수용체를 이용한 기능분석
이 실시예에서는 인간 A2 아데노신 수용체의 조절체에 관한 이스트내의 기능적 스크리닝 분석법의 개발에 대해 기술한다.
I. 분석에 이용된 리간드
자연 리간드 아데노신, 기타의 특성화 및 상용성의 리간드를 이스트에서 기능발현된 인간 A2a 수용체의 연구에 이용하였다. 3개의 리간드를 이 분석에서 사용했다. 즉:
리간드 공지 Ki 기능
아데노신 500 nM 길항근
5'-N-에틸카르복사미도아데노신 10-15nM 길항근
(NECA) (-)-N6-(2-페닐이소프로필)-
아데노신(PIA) 100-125nM 길항근
성장배지 내의 아데노신 존재로 인한 신호화 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아데노신 디아미나제(4U/㎖)를 분석법 전체에 첨가했다.
II. 이스트 내의 생물학적 응답
A2a 수용체 길항근을 A2A 수용체 발현 플라스미드에 의해 변환되고 및 GαSE10K, GDαS229S 또는 GαSE10K + D229S를 발현할 이스트 내의 페로몬 응답경로 자극력에 대해 시험하였다. 수용체 의존방식의 리간드의 페로몬 응답경로 자극력은 이스트 페노형 변경으로 확인하였다. 수용체 활성화는 히스티딘 영양요구체를 히드티딘 원형체로 페노형을 변화시켰다 (fus1-HIS3의 활성화). 3개의 독립된 변형체를 분리 및 히스티딘의 존재하에서 하룻밤동안 증식하였다. 세포를 세척하여 히스티딘을 제거하고 다시 2 x 106 셀/㎖ 로 희석되었다. 5㎕ 의 각 변형체를 무선별 배지(히스티딘 함유) 또는 선별배지 (1mM AT)에 4U/㎖ 아데노신 디아미나제의 결핍 또는 존재하에서 스폿공급했다. 플레이트는 24시간 동안 30℃ 에서 성장했다. 히스티딘의 존재하에서 수용체+(R+) 및 수용체-(R-) 균주가 성장하였다. 그러나, 히스티딘이 결핍된 경우 R+ 셀만 성장하였다. 리간드를 이 플레이트에 첨가하지 않았으므로 이 결과를 다음의 두가지 이유로 설명할 수 있다. 하나는, 수용체함유 이스트가 리간드 독립 수용체 조정활성(LIPMA)에 따른 성장잇점을 갖는다는 해석이다. 또하나는 이스트가 리간드 아데노신을 합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들 두가지 가능성을 확인하려면, 리간드 분해 효소 즉 아데노신 디아미나제(ADA) 를 성장 이스트 및 플레이 트에 첨가했다. 아데노신 디아미나제 R+ 셀의 존재하에서, 히스티딘이 결핍된 경우 더이상의 성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이스트가 사실상 리간드를 합성하였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해석은 액상내 A2a 성장 분석으로 확인했다. 이 실험에서 R+ 이스트 (A2a 수용체를 발현하는 GαSE10K 균주)는 아데노신 디아미나제(4U/㎖) 존재 또는 이의 결핍하에서 3가지 밀도(1x106 셀/㎖; 3x105 셀/㎖; 또는 1x105 셀/㎖)로 접종했다. 분석의 신빙성은 이미다졸글리세롤-P 탈수소효소의 경쟁성 길항물질, 즉 HIS3 유전자의 단백질 생성물인 3-아미노-1,2,4-트리아졸(AT)이 고농도일 때 (0, 0.1, 0.2 또는 0.4 mM) 향상되었다. 아데노신 디아미나제 및 3-아미노-1,2,4-트리아졸의 존재하에서 이스트는 크게 성장하지 않았다. 그러나, 3-아미노-1,2,4-트리아졸의 결핍하에서 아데노신 디아미나제는 거의 영향이 없었다. 따라서, 아데노신 디아미나제 자체는 페로몬 응답경로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었다.
성장 측정을 측정하고 및 고스크리닝에 관하여 규모축소할 수 있는 또다른 접근법은 A2a 수용체 리간드 스폿분석법이다. A2a 수용체(A2aR+) 발현 또는 수용체 (R-)가 부족한 GαSE10K 균주는 히스티딘 및 4U/㎖ 아데노신 디아미나제의 존재하에서 하룻밤동안 성장하였다. 셀을 세척하여 히스티딘을 제거하고 5x106 셀/㎖ 으로 희석했다. 1x106 셀을 4U/㎖ 아데노신 디아미나제 및 0.5 또는 1.0mM 3-아미노- 1,2,4-트리아졸 (AT)이 함유된 선별 플레이트 상에 도포하고 1시간동안 건조하였다. 5㎕ 의 다음 시약을 단일층에 가하였다; 10mM 아데노신, 38.7mM 히스티딘, 디메틸술폭시드(DMSO), 10mM PIA 또는 10mM NECA. 셀은 30℃ 에서 24시간동안 성장하였다. 결과로부터, 수용체 무함유 셀은 히스티딘을 배지에 첨가한 경우에만 성장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적으로, R+ 셀은 A2a 수용체 리간드 PIA 및 NECA가 스폿공급되는 부위에서만 성장하였다. 플레이트에 아데노신 디아미나제가 함유되었으므로, 아데노신이 스폿공급된 경우의 성장결핍은 아데노신 디아미나제가 활성화 하였음이 확인되었다.
III. fus1 LacZ 분석
이스트 맷 경로의 활성화를 정량분석하기 위하여, fusLacZ을 통한 β-갈락토시다제의 합성을 측정했다. GαSE10K, GαSD229S 또는 GαSE10K+GαS D229S 를 발현하는 이스트 균주는 인간 A2a 수용체 (R+) 코드화 플라스미드 또는 수용체 (R-) 결핍 플라스미드로 변환시켰다. 변형체를 분리 및 히스티딘 및 4U/㎖ 아데노신 디아미나제의 존재하에서 하룻밤동안 증식했다. 1x107 세포를 1x106세포/㎖ 로 희석하고 고농도 NECA 에 대해 4시간 동안 노출한 뒤 세포내 β-갈락토시다제 활성도를 측정했다. 결과로서 본질적으로 R- 균주내에서 β-갈락토시다제 활성도는 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β-갈락토시다제 활성도의 양은 NECA 농도의 증가시 GαSE10K, GαSD229S 또는 GαSE10K+D229S를 발현하는 R+ 균주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이는 β-갈락토시다제 단위로 약량 의존성 증가가 리간드 농도 증가에 노출되는 것에 대응하여 검출되었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 약량 의존성은 A2a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내에서만 관측되었다. 또한, A2a 수용체에 대한 가장 우수한 효능의 GαS 구조는 GαSE10K 이었다. GαSD229S 구조는 두번째 우수한 효능의 GαS이고 반면에 GαSE10K+D229S 구조는 3가지 중 가장 저기능의 GαS으로서, GαSE10K+D229S 구조는 β-갈락토시다제 활성도 검출량을 쉽게 자극하였다.
분석에 관한 상세 설명은 미국특허 출원 09/088985 "Functional Expression of Adenosine Receptors in Yeast" (1998년 6월 2일; Attorney Docket No. CPI-093) 의 내용을 참조한다.
인간 아데노신 수용체 서브종의 약리학적 특성화
재료와 방법
재료. [3H]-DPCPX [시클로펜틸-1,3-디프로필크산틴, 8-[디프로필-2,3-3H(N)] (120.0 Ci/밀리몰); [3H]-CGS 21680, [카르복시에틸-2,3-3H(N)] (30 Ci/밀리몰); 및 [125I]-AB-MECA ([125I]-4-아미노벤질-5'-N-메틸카르복사미데오아데노신)(2,200 Ci/밀리몰) 을 뉴잉글랜드 누클레어 (Boston, MA)사에서 구입했다. XAC (크산틴 아민 유사종류); NECA (5'-N-에틸카르보가미도아데노신); 및 리서치 바이오케이칼스 인터내셔날 (RBI, Natick, Ma)사로부터 IB-MECA를 구입했다. 아데노신 디아미나제 및 프로테아제 저해제 복합태블릿 정을 보링거 만하임사 (Indianapolis, IN)로부터 구입했다. 인간 아데노신 2a [RB-HA2a]; 아데노신 2b [RB-HA2b] 또는 아데노신 3 [RB-HA3] 수용체 서브종을 각각 발현하는 HEK-293 세포에서 얻은 막은 리셉터 바이올로지 (Beltsville, MD)사에서 구입했다. 세포배양 시약은 하이클론 (Logan, UT)사의 혈청을 제외하고 라이프 테크놀로지스 (Grand Island, NY)사의 것을 구입했다.
이스트 균주: 사카로마이스 세레비시에 균주 CY 12660 [farl*1442 tbt1-1 fus1-HIS3 can1 stel4::trp1::LYS2 ste3*1156 gpal(41)-Gαi3 lys2 ura3 leu2 trp1: his3; LEU2 PGKp-Mfα1Leader-hA1R-PHO5term 2mu-orig REP3 Ampr] 및 CY8362 [gpalp-rGαsE10K far1*1442 tbt1-1 fus1-HIS3 can1 stel4::trp1:LYS2 ste3*1156 lys2 ura3 leu2 trp1 his3; LEU2 PGKp-hA2aR 2mu-ori REP3 Ampr]을 상술한 바와 같이 개발했다.
이스트 배양: 변형된 이스트를 2% 글루코스 보충된 Leu-Trp [LT]배지 (pH5.4) 내에서 증식했다. 막제조에서, 250㎖ 의 LT 배지를 하룻밤 배양하고 및 30℃ 온도 및 회전에 따른 영구적 산소발생 조건에서 배양된 30㎖ 의 배양액으로부터 1-2x106 세포/㎖ 만큼 개시용 타이터로 취하여 접종했다. 16시간 증식후 세포를 원심분리하여 수득하고 하기와 같이 막을 제조했다.
막조직 배양: 인간 아데노신 2a 수용체 서브종 (카두스 클론 #5)를 안정하게 발현한 HEK-293 세포는 10% 태아소 혈청 및 1X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보충한 둘베코사의 최소유효 배지(DMEM) 내에서 선별압력하에 500mg/㎖ G418 항생제를 이용하여 37℃ 온도 및 5% 습도의 CO2 대기 중에서 성장시켰다.
이스트 세포막 제조: 250㎖ 배양물은 하룻밤 배양 후 소르발 RT6000 원심분리기에서 2,000xg 로 원심분리하여 수득했다. 세포를 얼음물수로 세척한 후 4℃ 에서 원심분리하고 펠릿은 프로테아제 저해 복합 태블릿정을 보충한 (25㎖ 완충액 당 1태블릿) 10㎖ 얼음 용리완충액 [5mM 트리스-HCl, pH7.5; 5mM EDTA; 및 5mM EGTA] 에 재현탁했다. 유리비이드(17g; 400-600매쉬; Sigma)를 현탁액에 첨가하고 세포를 4℃ 에서 5분간 강한 소용돌이 교반으로 파쇄했다. 균질화물을 별도의 30㎖ 용리완충액 및 프로테아제 저해제를 첨가하여 희석하고 다시 3,000xg 에서 5분간 원심분리했다. 후속으로, 막을 36,000xg (소르발 RC5B, SS34형 로터)에서 45분간 펠릿화했다. 결과로 나온 막펠릿을 프로테아제 저해제 복합 태블릿 (50㎖ 완충액 당 1태블릿) 5㎖ 막완충액 [50mM 트리스-HCl, pH7.5; 0.6mM EDTA; 및 5mM MgCl2]에 재현탁했고 추후 실험에 사용할 때까지 -80℃ 에서 보관했다.
포유동물 세포막 제조: HEK-293 세포막을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했다 [Duzic E et al.: J. Biol. Chem., 267, 9844-9851, 1992]. 요약하면,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고무 폴리스맨으로 수득했다. 세포를 소르발 RT6000 원심분리기 내에서 4℃ 및 200xg 으로 펠릿화했다. 펠릿은 4℃ 에서 (5mM 트리스-HCl, pH7.5; 5mM EDTA; 5mM EGTA; 0.1mM 페닐메틸술포닐 플로라이드, 10mg/㎖ 펩스타틴 A; 및 10mg/㎖ 아프로티닌) 5㎖/접시량의 용리완충액 내에 재현탁하고 다운스 균질화기 내에서 균질화 처리했다. 세포 용리물은 다시 36,000xg (소르발 RC5B, SS34형 로터)에서 45분간 원심분리하고 펠릿을 5㎖ 막완충액 (50mM 트리스-HCl, pH 7.5; 0.6mM EDTA; 5mM MgCl2; 0.1mM 페닐메틸술포닐 플로라이드, 10mg/㎖ 펩스타틴A; 및 10mg/㎖ 아프로티닌)에 재현탁한 후 추후 사용전까지 -80℃ 에서 저장하였다.
바이오-라드 단백질 분석키트는 브래드포드 염색-결합법 (Bradford, M.: Anal. Biochem. 72:238 (1976) 참조)을 이용하여 이스트 및 포유동물막 내의 총 단백질 농도를 결정하였다.
아데노신 1 수용체 서브종 포화 및 경쟁 방사성리간드 결합: 인간 A1 수용체 서브종으로 변형시킨 이스트 세포로부터 나온 막 상의 포화 및 경쟁 결합은 길항물질 [1H] DPCPX 를 방사성 리간드로서 이용하여 실행하였다. 막을 결합완충액 [50mM 트리스-HCl, pH7.4; 10mM MgCl2 함유; 1.0mM EDTA; 0.25% BSA; 2U/㎖ 아데노신 디아미나제 및 1 프로테아제 저해제 복합태블릿/50㎖] 내에서 1.0mg/㎖의 농도로 희석했다.
포화결합막(50㎍/웰)은 최종부피 100㎕ 의 결합완충액 내의 고농도 [3H] DPCPX (0.05-25nM)를 이용하여 25℃ 온도 및 96-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내의 무라벨의 10μM XAC의 존재 및 부재하에서 1시간동안 배양했다.
경쟁 결합시 막(50㎍/웰)은 최종부피 100㎕ 의 결합완충액 내의 [3H] DPCPX (1.0nM)를 이용하여 25℃ 온도 및 96-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내의 무라벨의 10μM XAC 또는 고농도 경쟁 화합물의 존재 및 부재하에서 1시간동안 배양했다.
아데노신 2a 수용체 서브종 경쟁 방사성리간드 결합: 인간 A2a 수용체 서브종 을 안정하게 발현하는 HEK293 세포로부터 나온 막 상에서의 경쟁 결합은 길항물질 [3H] CGS-21680 을 방사성 리간드로서 이용하여 실행하였다. 막을 결합완충액 [50mM 트리스-HCl, pH7.4; 10mM MgCl2 함유; 1.0mM EDTA; 0.25% BSA; 2U/㎖ 아데노신 디아미나제 및 1 프로테아제 저해제 복합태블릿/50㎖] 내에서 0.2mg/㎖의 농도로 희석했다. 막(50㎍/웰)은 최종부피 100㎖ 의 결합완충액 내의 [3H] CGS-21680 (100nM)를 이용하여 25℃ 온도 및 96-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내의 무라벨의 50μM NECA 또는 고농도 경쟁 화합물의 존재 및 부재하에서 1시간동안 배양했다.
아데노신 3 수용체 경쟁 방사성리간드 결합: 인간 A3 수용체 서브종을 안정하게 발현하는 HEK293 세포로부터 나온 막 상에서의 경쟁 결합은 길항근 [125I] AB-MECA 을 방사성 리간드로서 이용하여 실행하였다. 막을 결합완충액 [50mM 트리스-HCl, pH7.4; 10mM MgCl2 함유; 1.0mM EDTA; 0.25% BSA; 2U/㎖ 아데노신 디아미나제 및 1 프로테아제 저해제 복합태블릿/50㎖] 내에서 0.2mg/㎖의 농도로 희석했다. 막(10㎍/웰)은 최종부피 100㎕ 의 결합완충액 내의 [125I] AB-MECA (0.75nM)를 이용하여 25℃ 온도 및 96-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내의 무라벨의 10μM IB-MECA 또는 고농도 경쟁 화합물의 존재 및 부재하에서 1시간동안 배양했다.
배양종료시, A1, A2a 및 A3 수용체 서브종 방사성 리간드 결합분석은 10mM MgCl2 을 보충한 50mM 트리스-HCl (pH7.4) 냉각 완충액을 첨가하여 종료했고 그 뒤 필터메이트 196웰 하비스터(Packard사)내의 0.5% 폴리에틸렌이민에 사전침지했던 유리섬유 필터 (96-웰 GF/B UniFilters, Packard)에 통과시켜 신속여과하였다. 필터 플레이트를 50㎕/웰 분출액(마이크로신트-20, Packard사)으로 무수피복한 후 탑카운트 (Packard사)로 계수하였다. 분석은 3회 중복 실행했다. 비특이적 결합은 A1R, A2aR, A3R 결합분석시 각각 총 결합량의 5.6±0.5%, 10.8±1.4% 및 15.1±2.6% 정도였다.
아데노신 2b 수용체 서브종 경쟁 방사성리간드 결합: 인간 A2b 수용체 서브종을 안정하게 발현하는 HEK293 세포로부터 나온 막 상에서의 경쟁 결합은 A1 수용체 길항물질 [3H] DPCPX을 방사성 리간드로서 이용하여 실행하였다. 막을 결합완충액 [10mM 헤페스-KOH, pH7.4; 10mM EDTA 함유; 1.0mM 벤즈아미딘 및 2U/㎖ 아데노신 디아미나제] 내에서 0.3mg/㎖의 농도로 희석했다. 막(15㎍/웰)은 최종부피 100㎕ 의 결합완충액 내의 [3H] DPCPX (15nM)를 이용하여 25℃ 온도 및 96-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내의 무라벨의 10μM XAC 또는 고농도 경쟁 화합물의 존재 및 부재하에서 1시간동안 배양했다. 배양종료시, 분석은 10mM 헤페스-KOH (pH7.4) 냉각 완충액을 첨가하여 종료했고 그 뒤 필터메이트 196웰 하비스터(Packard사)내의 0.5% 폴리에틸렌이민에 사전침지했던 유리섬유 필터 (96-웰 GF/C UniFilters, Packard)에 통과시켜 신속여과하였다. 필터 플레이트를 50㎕/웰 분출액(마이크로신트-20, Packard사)으로 무수피복한 후 탑카운트 (Packard사)로 계수하였다. 분석은 3회 중복 실행했다. 비특이적 결합은 총 결합량의 14.3±2.3% 정도였다.
[3H] DPCPX; [3H] CGS-21680 및 [125I] AB-MECA에 대한 특이결합은 총결합량 및 비특이적 결합량의 차이값으로 정의된다. 화합물의 저해율을 총 결합량에 대하여 백분율 단위로 계산하였다. 경쟁 데이타는 한 위치모델에 대한 반복곡선법에 의해 분석하였고, KI 값은 그래프패드 프리즘 2.01 소프트웨어를 이용 IC50 값(Cheng and Prusof, Biochem. Pharmacol. 22, 3099-3109, 1973)으로부터 계산되었다.
결과
임의의 세포면 수용체의 1차기능은 적절한 리간드를 인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스트 내에 발현된 아데노신 1의 기능집중력을 달성할 리간드 결합 친화성을 결정하였다. 인간 아데노신 1 수용체 서브종 구조로 변형시킨 사카로마이스 세레비시아에 로 제조한 초기막은 KD 4.0±0.19nM 을 가진 [3H] DPCPX의 특이적 포화결합량을 나타냈다. K 및 B 값은 모두 포화등온선으로부터 계산했고 데이타의 스캣처드(Scatchard) 변환에서 단일범주의 결합위치를 나타내었다. 이스트막 제조물 내의 아데노신 결합위치의 밀도는 막단백질 mg 당 716.8±43.4 fmol/mg 정도로 추정되었다.
인간 A1 수용체 서브종에 의해 변형된 재조합 이스트세포의 약리학적 서브종 특성을 예상 랭크순서에서 [3H]DPCPX과 경쟁한 서브종 선택 아데노신 리간드 (XAC, DPCPX; CGS-15943; 화합물 600; 화합물 1002; NECA, (R)-PIA; IB-MECA 및 알록사진)으로 분석했다. 이들 화합물에 의해 기록된 변위곡선에서 모든 리간드에 대해 전형적인 급경사도를 나타내었고, 또한 각 리간드의 데이타를 하나의 단일위치 고정으로 모델화 할 수 있다. 곡선(표 5)로부터 각 화합물의 분리상수값은 다른 제공원에서 수득한 수용체에 대해 공지된 값과 동일하다.
표 5
인간 A1 수용체 서브종에 의해 변형된 이스트세포로부터 얻은 막의 Ki
리간드 KI (nM)
XAC 5.5
DPCPX 7.1
CGS-1594 10.8
NECA 179.6
(R)- PIA 56.3
IB-MECA 606.5
알록사진 894.1
화합물 600 13.9
화합물 1002 9.8
표 6 내지 12는 본 발명의 디아자푸린의 효능 및 구조 활성을 나타낸다. 표 13 및 14는 디아자푸린 구조에 관한 기능성 모델화에 따른 인간 아데노신 수용체 위치에 대한 선택성을 달성할 수 있음을 증명한다. 표 14는 또한 상기 화합물들이 서브나노몰 단위의 활성도를 갖고 또한 표 13의 화합물과 비교할 때 A2a 수용체에 대한 더 높은 선택성을 갖고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입증한다.
표 6
N6-치환된 물의 효과
Figure 112002017298878-pct00082
Figure 112002017298878-pct00083
Figure 112002017298878-pct00084
Figure 112002017298878-pct00085
표 7
C2-치환된 물의 효과
Figure 112002017298878-pct00086
Figure 112002017298878-pct00087
Figure 112002017298878-pct00088
표 8
피롤 고리 치환된 물의 효과
Figure 112002017298878-pct00089
Figure 112002017298878-pct00090
Figure 112002017298878-pct00091
표 9
Figure 112002017298878-pct00092
Figure 112002017298878-pct00093
표 10
N6-치환된 물의 효과
Figure 112002017298878-pct00094
Figure 112002017298878-pct00095
Figure 112002017298878-pct00096
표 11
N6-치환된 물의 효과
Figure 112002017298878-pct00097
Figure 112002017298878-pct00098
Figure 112002017298878-pct00099
표 12
"레트로-아미드" 동종체
Figure 112002017298878-pct00100
Figure 112002017298878-pct00101
Figure 112002017298878-pct00102
표 13
선택적 아데노신 길항체의 프로파일
Figure 112002017298878-pct00103
Figure 112002017298878-pct00104
Figure 112002017298878-pct00105
Figure 112002017298878-pct00106
12-티에닐-2-일; 2C5-H; 3수용성; 4R5 및 R6 은 수소; 5R3 은 3-플루오로페닐; 6R3은 3-클로로페닐; 7R3 은 4-피리딜; 810μM 에서의 활성도 %
표 14
선택성 A2b 길항체의 프로파일
Figure 112002017298878-pct00107
화합물 XR1 R2 결합데이타 Ki(nM)
A1 A2a A2b A3
1400 -O-Ph Me 41.7 21 10.3 14.6
1401 -O-Ph(p)F Me 33 58 8.8 18
1402 -O-Ph(p)Cl Me 82 591 22 60
1403 N-피리딘 Me 60 41 18 48
1404 2-온-NH-Ph Me 49 31 4.6 57
표 15. 아데노신 A1 수용체 선택성 화합물
* 다른 3개의 서브종보다 적어도 10배 이상 더 큰 선택성을 가짐
Figure 112002017298878-pct00108
Figure 112002017298878-pct00109
Figure 112002017298878-pct00110
A 2a 수용체에 대한 특이성을 가진 화합물
요약
본 발명은 또한 아데노신 A2a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화합물에 관계하며 이에 의해 A2a 아데노신 수용체 관련 질환자에게 치료학적 유효량의 상기 화합물을 투여하여 치료하는 것에도 관계한다. 치료 대상 질환은 예컨대, 중추신경계 질환, 심혈관 질환, 신장질환, 감염성 질환, 위장질환, 안질환, 알러지성 질환 또는 호흡기질환 등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5070403968-pct00412
(식 VI)
여기서 NR1R2 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4원 내지 8원 고리이고;
R3 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4원 내지 6원 고리이고;
R5 은 H, 알킬, 치환된 된 알킬, 아릴, 아릴알킬, 아미노, 치환된 아릴이고 이때의 치환된 알킬은 -C(R7)(R8)XR9이고 X는 O, S 또는 NR10 이고 여기서의 R7 및 R8 은 서로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고, R9 및 R10 은 서로 독립적으로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거나 또는 R9, R10 및 질소가 함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4원 내지 7원 고리를 형성하고;
R6 은 H, 알킬, 치환된 알킬 또는 시클로 알킬이나, 단,
NR1R2 이 3-아세타미도 피페라디노, 3-히드록시 피롤리디노, 3-메틸옥시 카르보닐메틸 피롤리디노, 3-아미노카르보닐메틸 또는 피롤리디노가 아니고; 및 R3 이 4-피리딜일 경우만 NR1R2 이 3-히드록시메틸 피페리디노인 것을 조건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세포 내에 A2a 아데노신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5070403968-pct00413
(식 VI)
여기서 NR1R2 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4원 내지 8원 고리이고;
R3 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4원 내지 6원 고리이고;
R5 은 H,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아릴알킬, 아미노, 치환된 아릴이고 이때의 치환된 알킬은 -C(R7)(R8)XR9이고 X는 O, S 또는 NR10 이고 여기서의 R7 및 R8 은 서로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고, R9 및 R10 은 서로 독립적으로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거나 또는 R9, R10 및 질소가 함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4원 내지 7원 고리를 형성하고;
R6 은 H, 알킬, 치환된 알킬 또는 시클로 알킬이나, 단,
NR1R2 이 3-아세타미도 피페라디노, 3-히드록시 피롤리디노, 3-메틸옥시 카르보닐메틸 피롤리디노, 3-아미노카르보닐메틸 또는 피롤리디노가 아니고; 및 R3 이 4-피리딜일 경우만 NR1R2 이 히드록시메틸 피페리디노인 것을 조건으로 한다.
화합물의 일 실시태양에서, R3 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4원 내지 6원 고리, 페닐, 피롤, 티오펜, 푸란, 티아졸, 이미다졸, 피라졸, 1,2,4-트리아졸, 피리딘, 2(1H)-피리돈, 피라진, 피리미딘, 피리다진, 이소티아졸, 이속사졸, 옥사졸, 테트라졸, 나프탈렌, 테트랄린, 나프티리딘, 벤조푸란, 벤조티오펜, 인돌, 2,3-디히드로인돌, 1H-인돌, 인돌린, 벤조피라졸, 1,3-벤조디옥소졸, 벤족사졸, 푸린, 쿠마린, 크로몬, 퀴놀린, 테트라히드로퀴놀린, 이소퀴놀린, 벤즈이미다졸, 퀴나졸린, 피리도[2,3-b]피라진, 피리도[3,4-b]피라진, 피리도[3,2-c]피리다진, 푸리도[3,4-b]-피리딘, 1H-피라졸 [3,4-d] 피리미딘, 프테리딘, 2(1H)-퀴놀론, 1(2H)-이소퀴놀론, 1,4-벤즈이속사진, 벤조티아졸, 퀴녹살린, 퀴놀린-N-옥사이드, 이소퀴놀린-N-옥사이드, 퀴녹살린-N-옥사이드, 퀴나졸린-N-옥사이드, 벤족사진, 프탈라진, 시놀린, 또는 다음의 구조식을 가진 화합물;
Figure 112005070403968-pct00414
여기서 Y는 탄소나 질소이고
R3′은 H,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알킬,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아릴, 할로겐, 메톡시, 메틸아미노, 메틸티오이다.
상기 화합물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이 화합물은 다음 구조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5070403968-pct00415
m 은 1 또는 2이고; RA 및 RB 은 각각 독립적으로 H, -OH, -CH2OH, -CH2CH2OH, -C(=O)NH2, 헤테로원자 또는 -(C)(=O)NR11R11′이고; 이때의 R11 은 아릴,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R11′은 알킬 또는 XR11˝ 이고 여기의 X는 산소 또는 N이고, 및 R11˝이 치환된 알킬 또는 아릴이다.
이 화합물의 다른 실시태양에서, R1R2N 은 (D)-2-아미노카르보닐 피롤리디노, (D)-2-히드록시메틸 피롤리디노, (D)-2-히드록시메틸-트랜스-4-히드록시 피롤리디노, 피페라지노 또는 3-히드록시메틸 피페라디노이다.
화합물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이 화합물은 다음 구조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5070403968-pct00416
여기서, m 은 0, 1, 2, 또는 3이고; Y는 O, S 또는 NR 이고; R 은 RA 또는 RB 이고; 이때의 RA 및 RB은 각각 독립적으로 H, -OH, -CH2OH, -CH2CH2OH, -C(=O)NH2, 헤테로원자 또는 -C(=O)NR11R11′이고; 여기서 R11 은 아릴,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R11′ 은 알킬 또는 XR11˝ 이고 여기서의 X는 O 또는 N 및 R11˝이 치환된 아릴 또는 알킬이다.
이 화합물의 또다른 실시태양은 다음 구조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16
(화합물 1600)
또다른 화합물의 실시태양은 다음 구조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17
(화합물 1601)
또다른 화합물의 실시태양은 다음 구조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18
(화합물 1602)
또다른 화합물의 실시태양은 다음 구조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19
(화합물 1603)
또다른 화합물의 실시태양은 다음 구조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20
(화합물 1604)
또다른 화합물의 실시태양은 다음 구조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21
(화합물 1605)
또다른 화합물의 실시태양은 다음 구조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22
(화합물 1606)
또다른 화합물의 실시태양은 다음 구조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23
(화합물 1607)
그 밖의 또다른 화합물의 실시태양은 다음 구조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24
또한 또다른 화합물의 실시태양은 다음 구조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25
본 발명은 또한 다음 식(V)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5070403968-pct00417
(식 V)
여기서 R5은 H 또는 메틸이다.
상기 식(V)의 화합물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 구조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27
(화합물 1608)
또다른 상기 식(V)의 화합물의 실시태양은 다음 구조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28
본 발명은 또한 A2a 아데노신 수용체와 연계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계하고 이는 대상체에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합물 (IV) 및 (V)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의 일 실시태양에서, 이 화합물은 상기 질병을 아데노산염 시클라제를 자극하여 상기 질병을 치료한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대상은 포유동물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포유동물은 인간이다.
상기 방법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A2a 아데노신 수용체는 파킨슨병, 전위활동 관련질병, 혈관확장성, 혈소판 억제, 뉴트로필 초산화물 발생, 인식질환 또는 노인성 치매 등을 포함한다.
아데노신 A1, A2a, A2b 및 A3 수용체 관련 질병은 WO99/06053 및 WO-09822465, WO-O9705138, WO-O9511681, WO09733879, JP-09291089, PCT/US98/16053 및 미국특허 제5,516,89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전체 내용을 참고로써 여기에서 충분히 인용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합물IV 또는 V의 수용성 프로약물을 제공하며; 활성약물을 생성하는 체내 대사성인 상기 수용성 프로약물은 A2a 아데노신 수용체를 선별적으로 억제한다.
프로약물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프로약물은 에스테라제 촉매화 가수분해에 의해 체내 대사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프로약물 및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세포내 A2a 아데노신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세포와 화합물IV 또는 V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억제방법을 제공한다.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의 또다른 실시태양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안과용 제형이다.
또다른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의 실시태양으로서, 상기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은 눈주위, 안구후위 및 안내용 주입제형이다.
상기 조성물의 또다른 실시태양으로서,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은 계통적 제형이다.
본 발명은 또한 대상에게 유효량의 화합물IV 또는 V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위장질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질환은 설사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대상은 인간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A2a 아데노신 수용체의 길항물질이다.
본 발명은 또한 대상에게 유효량의 화합물IV 또는 V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질환은 천식, 만성 폐색성 폐 질환, 알레르기성 비염 또는 상부 호흡기 질환이다.
상기 방법의 일 실시태양에, 상기 대상은 인간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A2a 아데노신 수용체의 길항물질이다.
본 발명은 또한 대상에게 유효량의 화합물IV 또는 V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눈의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손상은 망막 또는 시신경 두부의 손상을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손상은 급성 또는 만성이다.
이 방법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손상은 녹내장, 부종, 빈혈, 저산소증 또는 외상의 결과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대상은 인간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A2a 아데노신 수용체의 길항물질이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합물IV 또는 V 및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치료학적 유효량의 양이란 파킨슨병, 전위활동 관련질병, 혈관확장성, 혈소판 억제, 뉴트로필 초산화물 발생, 인식질환 또는 노인성 치매를 치료하는데 유효한 양을 말한다.
상기 조성물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약제학적으로 조성물은 안과용 제형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조성물은 눈주위, 안구후위 또는 안내 주입 제형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조성물은 외과용 관주액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합물IV 또는 V 및 임의의 도파민 개선제를 포함하는 파킨슨병 복합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합물IV 또는 V 및 임의의 세포독성제를 포함하는 암 복합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합물IV 또는 V 및 프로스파글랜딘 길항물질, 머스크리닉 길항물질 또는 β-2 길항물질을 포함하는 녹내장 복합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2a 아데노신 수용체 관련 질병을 치료하는 약제학적으로 조성물 완제품으로서, (a)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합물IV 또는 V 함유 용기; 및 (b) 질병치료에 관련한 상기 화합물의 사용설명서를 포함하는 완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식(IV)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 프로약물 유도체 또는 생물학적 활성 대사물질을 다음의 단계에 따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
Figure 112005070403968-pct00418
Figure 112005070403968-pct00419
을 반응시켜
Figure 112005070403968-pct00420
을 수득하는 단계 (여기서 P는 분리가능한 보호기이다);
(b) 상기 (a) 단계의 생성물을 환화 조건 하에서 처리하여
Figure 112005070403968-pct00421
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생성물을 적합한 조건 하에서 처리하여
Figure 112005070403968-pct00422
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염소화 생성물을 NH2R1R2 로 처리하여
Figure 112005070403968-pct00423
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여기서 NR1R2 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4원 내지 8원 고리이고;
R3 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4원 내지 6원 고리이고;
R5 은 H, 알킬, 치환된 된 알킬, 아릴, 아릴알킬, 아미노, 치환된 아릴이고 이때의 치환된 알킬은 -C(R7)(R8)XR9이고 X는 O, S 또는 NR10 이고 여기서의 R7 및 R8 은 서로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고, R9 및 R10 은 서로 독립적으로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거나 또는 R9, R10 및 질소가 함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된 4원 내지 7원 고리를 형성하고;
R6 은 H, 알킬, 치환된 알킬 또는 시클로 알킬이나, 단,
NR1R2 이 3-아세타미도 피페라디노, 3-히드록시 피롤리디노, 3-메틸옥시 카르보닐메틸 피롤리디노, 3-아미노카르보닐메틸 또는 피롤리디노가 아니고; 및 R3 이 4-피리딜일 경우만 NR1R2 이 3-히드록시메틸 피페리디노인 것을 조건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V을 갖는 화합물,
한 식(V)을 갖는 화합물을 다음의 단계에 따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
Figure 112005070403968-pct00424
Figure 112005070403968-pct00425
을 반응시켜
Figure 112005070403968-pct00426
을 수득하는 단계 (여기서 P는 분리가능한 보호기이다);
(b) 상기 (a) 단계의 생성물을 환화 조건 하에서 처리하여
Figure 112005070403968-pct00427
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생성물을 적합한 조건 하에서 처리하여
Figure 112005070403968-pct00428
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염소화 생성물을 1차로 디메틸아민 및 포름알데히드와 반응시킨 후 다시 N-메틸 벤질아민 및 최종으로 NH2R1 과 반응시켜 다음 구조식의 화합물
Figure 112005070403968-pct00429
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여기서, R1 은 아세타미도 에틸이고; R3 은 4-피리딜이고; R5은 H 또는 메틸이고; R6은 N-메틸-N-벤질 아미노메틸이다.
여기서, "화합물은 A2a 선택성이다" 는 화합물이 아데노신 A1, A2a 또는 A3 에 대한 것보다 적어도 5배 이상 높은 아데노신 A2a 수용체에 대한 결합상수값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로 추가로 예시하며, 이들 실시예를 추가의 제한으로서 해석해서는 안된다. 배경 기술에 인용된 출원을 포함하여, 본 출원 전체를 통해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 계류중인 특허 출원 및 공개된 특허들의 내용은 본 발명에 참고로 인용된다. 실시예 전체를 통해 사용된 모델들은 이들 모델에서의 효능 입증이 인간에서의 효능을 예견하는 것으로 인정된 모델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험 세부내용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당해 분야의 당업자는 논의된 특정 방법 및 결과가 단지 이후의 청구의 범위에서 보다 충분히 개시되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임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실시예 22: 아데노신 A 2 , 길항물질, 화합물 1601, 1602 및 1603의 합성
Figure 112005070403968-pct00141
화합물 26 화합물 27 화합물 28 화합물 1601
화합물 26(10.93g, 50.76밀리몰)을 DMF(67㎖)에 용해시키고, 4-아미노피리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8.0g, 50.76밀리몰) 및 DBU(15.4g, 101.5밀리몰)를 연속적으로 가하고 반응물을 85℃로 가열하였다. 22 시간 후에,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상기 DMA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였다. 어두운 색 오일을 2M HCl(80㎖)로 희석하였다. 반응을 정지시켰다. 2 시간 후에, 상기 용액을 10℃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고체를 냉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황색 고체로서 화합물 27 7.40g(69%)을 수득하였다. 1H-NMR(200 MHz, d6-DMSO) d 6.58(s, 1H), 7.27(s, 1H), 8.53(d, 2H, J=5.6), 9.00(d, 2H, J=5.2 Hz), 12.35(brs, 1H), MS(ES): 212.8(M++1).
화합물 27(7.4밀리몰, 29.8밀리몰)을 POCl3로 희석하고 105℃로 가열하였다. 18 시간 후에,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POCl3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였다. 농후한 어두운 색 오일을 MeOH(75㎖)에 이어서 에테르(120㎖)로 희석한다. 비결정성 적색 고체를 여과하고 에테르로 세척하여 적색 고체 3.82g을 수득한다. 조 고체인 화합물 28은 대략 80% 순수하며 다음 반응에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한다. 1H- NMR(200 MHz, d6-DMSO) d 6.58(s, 1H), 7.27(s, 1H), 8.53(d, 2H, J=5.6), 9.00(d, 2H, J=5.2 Hz), 12.35(brs, 1H). MS(ES): 212.8(M++1).
화합물 1601: DMSO(5㎖) 및 D-프로리놀(500㎎, 4.94밀리몰)을 화합물 28(500㎎, 2.17밀리몰)에 가하였다. 반응물을 120℃로 가열하였다. 18 시간 후에,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 및 H2O로 희석하였다. 층들을 분리시키고 수성 층을 EtOAc(2x)로 추출하였다. 혼합된 유기 층들을 H2O(2x),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갈색 고체 200㎎을 수득하였다. 고체를 EtOAc로부터 재결정시켜 갈색 고체 82㎎(13%)을 수득하였다. 1H-NMR (200MHz, d6-DMSO) d 2.05(m, 4H), 3.43(m, 1H), 3.70-4.00(m,3H), 4.50(brs, 1H), 4.92(brs, 1H), 6.62(m, 1H), 7.22(m, 1H), 8.22(d, 2H, J=6.0Hz), 6.64(d, 2H, J=6.2Hz), MS(ES) : 296.0(M++1), mp=210-220℃
화합물 1602: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9:1 CHCl3/MeOH)시켜 갈색 고체 10㎎(2%)을 수득하였다. 1H-NMR (d6-DMSO) d 2.00-2.05(m, 4H), 4.05(m, 1H), 4.21(m, 1H), 6.71(d, 1H, J=3.2Hz), 7.18(d, 1H, J=3.2Hz), 8.37(d, 2H, J=4.8Hz), 8.56(d, 2H, J=5.0Hz), MS(ES) : 309.1(M++1)
화합물 1603: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20:1 헥산/EtOAc)시켜 갈색 고체 135 ㎎(53%)을 수득하였다. 1H-NMR (d6-DMSO) d 2.00(m, 4H), 3.43(brs, 1H), 3.74(brs, 2H), 3.87(brs, 1H), 4.49(brs, 1H), 4.93(m, 1H), 6.56(m, 1H), 7.12(m, 1H), 7.40(m, 3H), 8.34(m, 2H), 11.62(brs, 1H). MS(ES) : 295.1(M++1).
화합물 1605: 50㎖ RBF에서 2-(4'-피리딜)-4-클로로피리미디노피롤 HCl 염 60㎎을 무수 DMSO 2㎖에 용해시켰다. 3-(R)-하이드로-(D)-프로리놀 TFA 염(380㎎) 및 중탄산 나트륨 500㎎을 상기에 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질소 기체로 5 분간 플래시시키고 130℃로 가열하였다. 2 시간 후에,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DMSO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였다. 잔사를 EtOAc(15㎖)와 중탄산 나트륨 포화 수용액(15㎖)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 층을 분리시키고 염수(15㎖)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제거한 후에, 미정제 생성물을 예비 TLC(CH2Cl2/MeOH=95/5)에 의해 정제시켜 35㎎(50%)을 수득하였다. 1H-NMR(200 MHz, CDCl3) 2.3-2.5(1H), 3.4-3.8(3H), 4.4-4.6(2H), 6.4(1H); 7.1(1H); 8.2(d, 2H); 8.7(d, 2H); 11.0(1H). MS(ES): 312.8(M++1).
실시예 23: 아데노신 A 2 , 길항물질, 화합물 1606의 합성
Figure 112002017298878-pct00142
화합물 28 화합물 29 화합물 1606
화합물 28(200㎎)을 DMF(30㎖), 디메틸글리신 메틸 에스테르(수 2㎖ 중의 HCl 염 73㎎) 및 중탄산 나트륨 500㎎으로 처리하였다. 18 시간 후에, DMF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였다. 반사를 EtOAc(30㎖)와 중탄산 나트륨 포화 수용액(15㎖)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 층을 염수(15㎖)로 세척하고,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켰다.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10:4 헥산/EtOAc)시켜 순수한 생성물인 화합물 29 150㎎(69%)을 수득하였다. 1H-NMR(200 MHz, CDCl3) 1.4(s, 6H), 3.8(s, 3H); 3.9(s, 2H); 6.4(s, 1H); 7.4-7.5(m, 3H); 8.4(m, 2H); 9.8(s, 1H).
화합물 1606: 과정은 화합물 1605와 동일하다(72%). 1H-NMR(200 MHz, CDCl3) 1.3(s, 6H), 1.7-1.9(m, 2H); 2.05-2.30(m, 2H); 3.6-4.1(m, 11H); 4.80-4.95(m, 1H); 6.4(s, 1H); 7.4-7.6(m, 3H); 8.3-8.4(d, J=8.5Hz, 2H), 10(s, 1H). MS(ES): 424.0(M++1).
하기의 화합물들을 동일한 방식으로 합성할 수 있다.
화합물 1600: (51%), MS(ES): 326.0(M++1).
화합물 1607: 1H-NMR(200 MHz, CDCl3) 1.40-1.80(m, 5H), 2.80-3.50(m, 3H), 4.60-4.80(m, 3H), 6.66(d, 1H, J=6.2Hz), 7.26(m, 1H), 8.21(d, 2H, J=6.3Hz), 8.65(d, 2H, J=5.8Hz), 11.90(s, 1H). MS(ES): 310.1(M++1).
화합물 1608: 1H-NMR(200 MHz, d6-DMSO) 1.75(s, 3H), 2.11(s, 3H), 2.29(s, 3H), 3.56(m, 6H), 7.23-7.41(m, 5H), 8.00(brs, 1H), 8.23(d, 2H, J=6.0Hz), 8.63(d, 2H, J=5.4Hz), 8.82(brs, 1H), 11.56(brs, 1H). MS(ES): 444.0(M++1).
화합물 1604: 1H-NMR(200 MHz, CD3OD) 3.40(m, 4H), 4.29(m, 4H), 6.99(s, 1H), 7.5-7.2(m, 3H), 7.90(d, 2H), 8.39(d, 2H), 8.61(d, 2H). MS(ES): 357.0(M++1).
[표 16]
아데노신 A2, 수용체 선택성 화합물(* 다른 3 가지 서브유형들보다 5 배 이상 더 선택성임)
Figure 112002017298878-pct00143


Figure 112002017298878-pct00144

Figure 112002017298878-pct00145






Figure 112002017298878-pct00146

이하 표 17까지는 A 3 수용체에 특이적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또한 아데노신 A3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화합물을 기본으로 하며, 이에 의해 A3 아데노신 수용체와 관련된 질병에 걸린 환자에게 치료 유효량의 상기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써 상기 환자에서 상기 질병을 치료한다. 치료하려는 질병은 예를 들어 천식, 과민증, 비염, 고초열, 혈청병, 알레르기성 혈관염, 아토피성 피부염, 피부염, 건선, 습진, 특발성 폐 섬유증, 호산구성 방광염, 만성 기도 염증, 호산구증가 증후군, 호산구성 위장염, 부종, 두드러기, 호산구성 심근 질환, 호산구 증가성 발작적 혈관부종, 염증성 장 질환, 궤양성 대장염, 알레르기성 육아종증, 암종증, 호산구성 육아종, 가족성 세포 조직구증, 고혈압, 비만세포 탈과립, 종양, 심장 저산소증, 대뇌 허혈증, 이뇨증, 신부전, 신경성 질환, 정신 질환, 인지성 질환, 심근 허혈증, 기관지 수축, 관절염, 자가면역 질환, 크론병, 그레이브병, 당뇨병, 다발성 경화증, 빈혈, 건선, 수정 질환, 홍반성 루푸스, 재관류 손상, 뇌 소동맥 직경, 알레르기 전달인자의 방출, 경피증, 발작, 전반적인 허혈증, 중추 신경계 질환, 심근 질환, 신장 질환, 염증성 질환, 위장 질환, 눈 질환, 알레르기성 질환, 호흡기 질환 또는 면역 질환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5070403968-pct00430
상기 식에서,
R1은 H이고,
R2는 사이클로프로필 메틸아미노 카보닐에틸, 시스-3-히드록시 사이클로펜틸, 아세트아미도 부틸, 메틸아미노 카보닐아미노 부틸, 에틸아미노 카보닐아미노 프로필, 메틸아미노 카보닐아미노 프로필, 2-아세틸 아미노-3-메틸 부틸, N,N-디에틸아미노 카보닐아미노 에틸, 티오아세트아미도 에틸, 3-아미노 아세틸옥시 사이클로펜틸, 3-히드록시 사이클로펜틸, 2-피롤릴 카보닐 아미노에틸, 2-이미다졸리디논 에틸, 1-아미노카보닐-2-메틸 프로필, 1-아미노카보닐-2-페닐 에틸, 3-히드록시 아제티디노, 2-이미다졸릴 에틸, 아세트아미도 에틸, 1-(R)-페닐-2-히드록시에틸, N-메틸아미노카보닐 피리딜-2-메틸이거나, 또는
R1, R2 및 질소가 함께 3-아세트아미도 피페라디노, 3-히드록시 피롤리디노, 3-메틸옥시 카보닐메틸 피롤리디노, 3-아미노카보닐메틸 피롤리디노 또는 3-히드록시메틸 피페라디노이고,
R3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4 내지 6원 고리, 피롤, 티오펜, 푸란, 티아졸, 이미다졸, 피라졸, 1,2,4-트리아졸, 피리딘, 2(1H)-피리돈, 4(1H)-피리돈, 피라진, 피리미딘, 피리다진, 이소티아졸, 이속사졸, 옥사졸, 테트라졸, 나프탈렌, 테트랄린, 나프티리딘, 벤조푸란, 벤조티오펜, 인돌, 2,3-디하이드로인돌, 1H 인돌, 인돌린, 벤조피라졸, 1,3-벤조디옥솔, 벤즈옥사졸, 푸린, 쿠마린, 크로몬, 퀴놀린,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 이소퀴놀린, 벤즈이미다졸, 퀴나졸린, 피리도[2,3-b]피라진, 피리도[3,4-b]피라진, 피리도[3,2-c]피리다진, 푸리도[3,4-b]-피리딘, 1H-피라졸[3,4-d]피리미딘, 프테리딘, 2(1H)-퀴놀론, 1(2H)-이소퀴놀론, 1,4-벤즈이속사진, 벤조티아졸, 퀴녹살린, 퀴놀린-N-옥사이드, 이소퀴놀린-N-옥사이드, 퀴녹살린-N-옥사이드, 퀴나졸린-N-옥사이드, 벤즈옥사진, 프탈라진 또는 신놀린이고,
R6는 H, 알킬, 치환된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이고,
R5는 H,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세포를 상기 화합물과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상기 세포에서 A3 아데노신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전형적인 실시는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데아자푸린 중간체의 제조에 대한 전형적인 합성 도식을 하기 반응식 I에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a)
Figure 112005070403968-pct00431
Figure 112005070403968-pct00149
를 반응시켜
Figure 112005070403968-pct00432
(여기에서 P는 제거 가능한 보호 그룹이다)를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생성물을 환화(cyclization) 조건 하에서 처리하여
Figure 112005070403968-pct00433
를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생성물을 적합한 조건 하에서 처리하여
Figure 112005070403968-pct00434
를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의 염소화된 생성물을 NHR1R2로 처리하여
Figure 112005070403968-pct00435
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합물 IV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식들에서,
R1은 H이고,
R2는 사이클로프로필 메틸아미노 카보닐에틸, 시스-3-히드록시 사이클로펜틸, 아세트아미도 부틸, 메틸아미노 카보닐아미노 부틸, 에틸아미노 카보닐아미노 프로필, 메틸아미노 카보닐아미노 프로필, 2-아세틸 아미노-3-메틸 부틸, N,N-디에틸아미노 카보닐아미노 에틸, 티오아세트아미도 에틸, 3-아미노 아세틸옥시 사이클로펜틸, 3-히드록시 사이클로펜틸, 2-피롤릴 카보닐 아미노에틸, 2-이미다졸리디논 에틸, 1-아미노카보닐-2-메틸 프로필, 1-아미노카보닐-2-페닐 에틸, 3-히드록시 아제티디노, 2-이미다졸릴 에틸, 아세트아미도 에틸, 1-(R)-페닐-2-히드록시에틸, N-메틸아미노카보닐 피리딜-2-메틸이거나, 또는
R1, R2 및 질소가 함께 3-아세트아미도 피페라디노, 3-히드록시 피롤리디노, 3-메틸옥시 카보닐메틸 피롤리디노, 3-아미노카보닐메틸 피롤리디노 또는 3-히드록시메틸 피페라디노이고,
R3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4 내지 6원 고리이고,
R5는 H,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이고,
R6는 H, 알킬, 치환된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이다.
본 발명은 또한
a)
Figure 112005070403968-pct00436
Figure 112005070403968-pct00437
를 반응시켜
Figure 112005070403968-pct00438
(여기에서 P는 제거 가능한 보호 그룹이다)를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생성물을 환화 조건 하에서 처리하여
Figure 112005070403968-pct00439
를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생성물을 적합한 조건 하에서 처리하여
Figure 112005070403968-pct00440
를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의 염소화된 생성물을 NH2CH2(CH2)mCH2NHC(=O)R1로 처리하여
Figure 112005070403968-pct00441
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합물 V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식들에서,
m은 0, 1 또는 2이고,
R1은 사이클로프로필 메틸, 메틸, 메틸아미노 또는 아미노메틸이고,
R3는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이고,
R5는 H,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아릴알킬, 아미노, 치환된 아릴이고, 이때 상기 치환된 알킬은 -C(R7)(R8)NR9R10(여기에서 R7 및 R8은 각각 H 또는 알킬이고, R9 및 R10 은 각각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이거나, 또는 R9, R10 및 질소가 함께 4 내지 7 원의 고리 시스템을 형성한다)이고,
R6는 H, 알킬, 치환된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이다.
삭제
본 발명은 또한
a)
Figure 112005070403968-pct00442
Figure 112005070403968-pct00443
를 반응시켜
Figure 112005070403968-pct00444
(여기에서 P는 제거 가능한 보호 그룹이다)를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생성물을 환화 조건 하에서 처리하여
Figure 112005070403968-pct00445
를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생성물을 적합한 조건 하에서 처리하여
Figure 112005070403968-pct00446
를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의 염소화된 생성물을
Figure 112005070403968-pct00165
로 처리하여
Figure 112005070403968-pct00447

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합물 VI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식들에서,
R3는 비치환된 아릴이고,
R5는 H,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아릴알킬, 아미노, 치환된 아릴이고, 이때 상기 치환된 알킬은 -C(R7)(R8)NR9R10(여기에서 R7 및 R8은 각각 H 또는 알킬이고, R9 및 R10은 각각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이거나, 또는 R9, R10 및 질소가 함께 4 내지 7 원의 고리 시스템을 형성한다)이고,
R6는 H, 알킬, 치환된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이다.
삭제
본 발명은 또한 하기 식 IV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5070403968-pct00448
(식 IV)
상기 식에서,
R1은 H이고,
R2는 사이클로프로필 메틸아미노 카보닐에틸, 시스-3-히드록시 사이클로펜틸, 아세트아미도 부틸, 메틸아미노 카보닐아미노 부틸, 에틸아미노 카보닐아미노 프로필, 메틸아미노 카보닐아미노 프로필, 2-아세틸 아미노-3-메틸 부틸, N,N-디에틸아미노 카보닐아미노 에틸, 티오아세트아미도 에틸, 3-아미노 아세틸옥시 사이클로펜틸, 3-히드록시 사이클로펜틸, 2-피롤릴 카보닐 아미노에틸, 2-이미다졸리디논 에틸, 1-아미노카보닐-2-메틸 프로필, 1-아미노카보닐-2-페닐 에틸, 3-히드록시 아제티디노, 2-이미다졸릴 에틸, 아세트아미도 에틸, 1-(R)-페닐-2-히드록시에틸, N-메틸아미노카보닐 피리딜-2-메틸이거나, 또는
R1, R2 및 질소가 함께 3-아세트아미도 피페라디노, 3-히드록시 피롤리디노, 3-메틸옥시 카보닐메틸 피롤리디노, 3-아미노카보닐메틸 피롤리디노 또는 3-히드록시메틸 피페라디노이고,
R3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벤젠, 피롤, 티오펜, 푸란, 티아졸, 이미다졸, 피라졸, 1,2,4-트리아졸, 피리딘, 2(1H)-피리돈, 4(1H)-피리돈, 피라진, 피리미딘, 피리다진, 이소티아졸, 이속사졸, 옥사졸, 테트라졸, 나프탈렌, 테트랄린, 나프티리딘, 벤조푸란, 벤조티오펜, 인돌, 2,3-디하이드로인돌, 1H 인돌, 인돌린, 벤조피라졸, 1,3-벤조디옥솔, 벤즈옥사졸, 푸린, 쿠마린, 크로몬, 퀴놀린,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 이소퀴놀린, 벤즈이미다졸, 퀴나졸린, 피리도[2,3-b]피라진, 피리도[3,4-b]피라진, 피리도[3,2-c]피리다진, 푸리도[3,4-b]-피리딘, 1H-피라졸[3,4-d]피리미딘, 프테리딘, 2(1H)-퀴놀론, 1(2H)-이소퀴놀론, 1,4-벤즈이속사진, 벤조티아졸, 퀴녹살린, 퀴놀린-N-옥사이드, 이소퀴놀린-N-옥사이드, 퀴녹살린-N-옥사이드, 퀴나졸린-N-옥사이드, 벤즈옥사진, 프탈라진 또는 신놀린이고,
R5는 H,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이고;
R6는 H, 알킬, 치환된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이다.
상기 화합물의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을 갖는다:
삭제
삭제
Figure 112002017298878-pct00168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R3는 페닐이다.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R6는 수소 또는 메틸이다.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R5는 수소, 메틸, 페닐, 3-클로로페닐옥시 메틸 또는 트랜스-2-페닐아미노 메틸 피롤리디노 메틸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식 V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5070403968-pct00449
(식 V)
상기 식에서,
m은 0, 1 또는 2이고,
R1은 사이클로프로필 메틸, 메틸, 메틸아미노 또는 아미노메틸이고,
R3는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이고,
R5는 H,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아릴알킬, 아미노, 치환된 아릴이고, 이때 상기 치환된 알킬은 -C(R7)(R8)NR9R10(여기에서 R7 및 R8은 각각 H 또는 알킬이고, R9 및 R10은 각각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이거나, 또는 R9, R10 및 질소가 함께 4 내지 7 원의 고리 시스템을 형성한다)이고;
R6는 H, 알킬, 치환된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이다.
상기 화합물 V의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m은 0이고 R3는 페닐이다.
삭제
상기 화합물 V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m은 1이고 R3는 페닐이다.
상기 화합물 V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m은 2이고 R3는 페닐이다.
상기 화합물 V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R5 및 R6는 메틸이다.
상기 화합물 V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R5 및 R6는 메틸이다.
상기 화합물 V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R5 및 R6는 메틸이다.
상기 화합물 V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70
(화합물 1316)
상기 화합물 V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 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71
(화합물 1311)
상기 화합물 V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72
(화합물 1202)
상기 화합물 V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 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73
(화합물 1310)
상기 화합물 V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74
(화합물 1312)
본 발명은 또한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75
(화합물 609)
본 발명은 또한 하기 식 VI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5070403968-pct00450
(식 IV)
상기 식에서,
R3는 비치환된 아릴이고,
R6는 H, 알킬, 치환된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이고,
R5는 H,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아릴알킬, 아미노, 치환된 아릴이고, 이때 상기 치환된 알킬은 -C(R7)(R8)NR9R10(여기에서 R7 및 R8은 각각 H 또는 알킬이고, R9 및 R10은 각각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이거나, 또는 R9, R10 및 질소가 함께 4 내지 7 원의 고리 시스템을 형성한다)이다.
화합물 VI의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77
(화합물 1309)
화합물 1309의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78
화합물 1309의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79
본 발명은 또한 하기 식 VI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5070403968-pct00451
(식 VII)
상기 식에서,
R1은 3-히드록시 사이클로펜틸, 에틸아미노 카보닐아미노 프로필, N,N-디에틸아미노 카보닐아미노 에틸, 티오아세트아미도 에틸, 3-아미노 아세틸옥시 사이클로펜틸, 3-히드록시 사이클로펜틸, 2-피롤릴 카보닐 아미노에틸, 2-이미다졸리디논 에틸, 1-아미노카보닐-2-메틸 프로필, 1-아미노카보닐-2-페닐 에틸, 3-히드록시 아제티디노, 2-이미다졸릴 에틸, 아세트아미도 에틸, 1-(R)-페닐-2-히드록시에틸 또는 N-메틸아미노카보닐 피리딜-2-메틸이고,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H,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 또는 아릴이다.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81
(화합물 1700)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82
(화합물 1701)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83
(화합물 1702)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84
(화합물 1704)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85
(화합물 1705)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86
(화합물 1706)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87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88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89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90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91
(1707)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92
(1708)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93
(1709)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94
(1710)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95
(1712)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96
(1713)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97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98
(1714)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199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00
(1715)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01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02
본 발명은 또한 하기 식 VII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5070403968-pct00452
(식 VIII)
상기 식에서,
R1, R2 및 질소가 함께 3-히드록시 피롤리디노, 3-메틸옥시 카보닐메틸 피롤리디노, 3-아미노카보닐메틸 피롤리디노 또는 3-히드록시메틸 피페라디노이고,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H,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 또는 아릴이다.
상기 화합물의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04
(화합물 1711)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05
(화합물 1703)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06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07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08
(화합물 1716)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09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10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11
(화합물 1717)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12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13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14
(화합물 1718)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15
상기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16
본 발명은 또한 A3 아데노신 수용체와 관련된 질병에 걸린 환자에게 치료 유효량의 화합물 IV, V, VI, VI 및 Ⅷ 중 어느 하나를 투여함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에서 상기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의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환자는 포유동물이다.
상기 방법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포유동물은 인간이다.
상기 방법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A3 아데노신 수용체는 중추 신경계 질환, 심근 질환, 천식, 과민증, 비염, 고초열, 혈청병, 알레르기성 혈관염, 아토피성 피부염, 피부염, 건선, 습진, 특발성 폐 섬유증, 호산구성 방광염, 만성 기도 염증, 호산구증가 증후군, 호산구성 위장염, 부종, 두드러기, 호산구성 심근 질환, 호산구 증가성 발작적 혈관부종, 염증성 장 질환, 궤양성 대장염, 알레르기성 육아종증, 암종증, 호산구성 육아종, 가족성 세포 조직구증, 고혈압, 비만세포 탈과립, 종양, 심장 저산소증, 대뇌 허혈증, 이뇨증, 신부전, 신경성 질환, 정신 질환, 인지성 질환, 심근 허혈증, 기관지 수축, 관절염, 자가면역 질환, 크론병, 그레이브병, 당뇨병, 다발성 경화증, 빈혈, 건선, 수정 질환, 홍반성 루푸스, 재관류 손상, 뇌 소동맥 직경, 알레르기 전달인자의 방출, 경피증, 발작, 전반적인 허혈증, 중추 신경계 질환, 심근 질환, 신장 질환, 염증성 질환, 위장 질환, 눈 질환, 알레르기성 질환, 호흡기 질환 또는 면역 질환과 관련된다.
아데노신 A1, A2a, A2b 및 A3 수용체와 관련된 질병들이 본 발명에 참고로 인용된 WO 99/06053 및 WO-09822465, WO-09705138, WO-09511681, WO-09733879, JP-09291089, PCT/US98/16053 및 미국 특허 제 5,516,894 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생체 내에서 A3 아데노신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활성 약물로 대사되는, 화합물 IV, V, VI, VII 및 VIII 중 임의의 화합물의 수용성 전구약물을 제공한다.
상기 전구약물의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전구약물은 생체 내에서 에스테라제 촉매화된 가수분해에 의해 대사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구약물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세포를 화합물 IV, V, VI, VII 및 VIII 중 임의의 화합물과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상기 세포에서 A3 아데노신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의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상기 A3 아데노신 수용체의 길항물질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안약 제형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안구 주위, 안구 뒤 또는 안구 내 주입 제형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전신 제형이다.
본 발명은 또한 위장 장애 환자에게 유효량의 화합물 IV, V, VI, VII 및 VIII 중 임의의 화합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의 상기 장애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의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장애는 설사이다.
상기 방법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환자는 인간이다.
상기 방법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A3 아데노신 수용체의 길 항물질이다.
본 발명은 또한 호흡기 질환 환자에게 유효량의 화합물 IV, V, VI, VII 및 VIII 중 임의의 화합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의 상기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의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질환은 천식, 만성 폐색성 폐 질환, 알레르기성 비염 또는 상부 호흡기 질환이다.
상기 방법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환자는 인간이다.
상기 방법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A3 아데노신 수용체의 길항물질이다.
본 발명은 또한 눈 손상 환자에게 유효량의 화합물 IV, V, VI, VII 및 VIII 중 임의의 화합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의 상기 손상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의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손상은 망막 또는 시 신경 유두 손상이다.
상기 방법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손상은 급성 또는 만성이다.
상기 방법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손상은 녹내장, 부종, 허혈증, 저산소증 또는 외상의 결과이다.
상기 방법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환자는 인간이다.
상기 방법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A3 아데노신 수용체의 길 항물질이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 유효량의 화합물 IV, V, VI, VII 및 VIII 중 임의의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치료 유효량은 호흡기 질환 또는 위장 장애를 치료하기에 효과적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위장 장애는 설사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또는 만성 폐색성 폐 질환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안약 제형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안구 주위, 안구 뒤 또는 안구 내 주입 제형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전신 제형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외과용 관주액이다.
본 발명은 또한 (a) 치료 유효량의 화합물 IV, V, VI, VII 및 VIII 중 임의의 화합물을 보유하는 용기; 및 (b) 환자에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상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설명서를 포함하는, 환자에서 A3 아데노신 수용체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를 위한 포장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V, V, VI, VII 및 VIII의 화합물들을 반응식 I 내지 IX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화합물이 A3 선택성이다"란 화합물이 아데노신 A1, A 2a 또는 A2b에 비해 10 배 이상의 아데노신 A3 수용체에 대한 결합 상수를 가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로 추가로 예시하며, 이들 실시예를 추가의 제한으로서 해석해서는 안된다. 배경 기술에 인용된 출원을 포함하여, 본 출원 전체를 통해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 계류중인 특허 출원 및 공개된 특허들의 내용은 본 발명에 참고로 인용된다. 실시예 전체를 통해 사용된 모델들은 이들 모델에서의 효능 입증이 인간에서의 효능을 예견하는 것으로 인정된 모델임은 물론이다.
당해 분야의 숙련가는 환자에서의 본 원에 개시된 화합물들의 대사가 약물로서 작용할 수 있는 특정한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대사산물을 생산함을 알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험 세부내용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당해 분야의 숙련가는 논의된 특정 방법 및 결과가 단지 이후의 청구의 범위에서 보다 충분히 개시되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임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실시예 24: 아데노신 A 3 , 길항물질 실험
화합물 1700(하기 표 17): MS(ES); 366.1(M++1).
화합물 1710(하기 표 17): MS(ES); 381.1(M++1).
화합물 1316(하기 표 17): MS(ES); 353.2(M++1).
화합물 1703(하기 표 17): MS(ES); 357.1(M++1).
화합물 1719(하기 표 17): 1H-NMR(200 MHz, d6-DMSO) 1.75(m, 2H), 3.11(m, 2H), 3.35(s, 3H), 3.59(m, 2H), 5.72(m, 1H), 5.96(m, 1H), 6.55(s, 1H), 7.15(s, 1H), 7.49(m, 2H), 8.32(m, 2H).
화합물 1704(하기 표 17): MS(ES); 367.0(M++1).
화합물 1706(하기 표 17): 1H-NMR(200 MHz, CDCl3) d 1.22(m, 2H), 1.60-2.40(m, 4H), 4.53(m, 1H), 4.94(m, 1H), 5.70(d, 1H, J=8.2Hz), 6.35(d, 1H, J=2.8Hz), 6.97(d, 1H, J=2.0Hz), 7.50(m, 3H), 8.40(m, 2H), 10.83(brs, 1H).
화합물 1707(하기 표 17): MS(ES); 347.0(M++1).
화합물 1708(하기 표 17): MS(ES); 399.0(M++1).
화합물 1709(하기 표 17): MS(ES); 385.9(M++1).
화합물 1710(하기 표 17): MS(ES); 434.0(M++1).
화합물 1711(하기 표 17): 1H-NMR(200 MHz, CD3OD) d 3.95(d, 2H, J=5.8Hz), 4.23-4.31(m, 2H), 4.53(t, 2H, J=8.8Hz), 6.30(d, 1H, J=3.0Hz), 6.98(d, 1H, J=3.0Hz), 7.45-7.48(m, 3H), 7.83-8.42(m, 2H), 9.70(brs, 1H). MS(ES): 281.1 (M++1).
화합물 1712(하기 표 17): 1H-NMR(200 MHz, CD3OD) d 3.02(m, 2H), 3.92(m, 2H), 5.09(2, 2H), 6.53(s, 1H), 6.90-7.04(brs, 1H), 6.92(m, 2H), 7.02(m, 1H), 7.21(dd, 1H, J=8.2Hz), 7.40(m, 3H), 7.50-7.80(brs, 1H), 8.33(m, 2H). MS(ES): 445.1(M++1).
화합물 1713(하기 표 17): 1H-NMR(200 MHz, CDCl3) d 1.65-1.80(m, 7H), 1.88-2.00(m, 1H), 2.10-2.40(m, 1H), 2.70-3.05(m, 3H), 3.09-3.14(m, 2H), 3.16-3.38(m, 1H), 3.45(d, 1H, J=14Hz), 5.55(t, 1H, J=5.8Hz), 6.17(s, 1H), 6.55-6.59(m, 2H), 6.64-6.71(m, 1H), 7.11-7.19(m, 2H), 7.43-7.46(m, 3H), 8.38-8.42(m, 2H), MS(ES): 484.0 (M++1).
화합물 1714(하기 표 17): MS(ES); 471.0(M++1).
화합물 1715(하기 표 17): MS(ES); 505.0(M++1).
화합물 1716(하기 표 17): 1H-NMR(200 MHz, CD3OD) d 1.65(m, 1H), 2.18(m, 1H), 2.49(br d, 2H, J=6.2Hz), 2.64(m, 1H), 3.38(m, 1H), 3.69(s, 3H), 3.72(m, 1H), 3.93(m, 1H), 4.10(m, 1H), 5.06(2, 2H), 6.58(s, 1H), 6.92(m, 2H), 7.02(m, 1H), 7.23(dd, 1H, J=8.1Hz), 7.39(m, 3H), 8.32(m, 2H). MS(ES): 477.1 (M++1).
화합물 1717(하기 표 17): 1H-NMR(200 MHz, CD3OD) d 1.69(m, 1H), 2.26(m, 1H), 2.42(d, 2H, J=7.4Hz), 2.72(m, 1H), 3.53(m, 1H), 3.83(m, 1H), 4.02(m, 1H), 4.14(dd, 1H, J=10.6, 7.0Hz), 5.14(2, 2H), 6.69(s, 1H), 6.96(m, 2H), 7.06(m, 1H), 7.25(dd, 1H, J=8.0Hz), 7.39(m, 3H), 8.35(m, 2H). MS(ES): 462.2 (M++1).
화합물 1718(하기 표 17): 1H-NMR(200 MHz, CD3OD) d 1.40-2.00(m, 5H), 3.52(d, 2H, 7.6Hz), 3.80-4.00(m, 1H), 4.00-4.20(m, 3H), 4.50(m, 2H), 6.36-6.50(m, 2H), 6.54(s, 1H), 6.84-6.92(m, 1H), 7.05(t, 1H, J=8.2Hz), 7.30-7.45(m, 3H), 8.24(d, 2H, J=9.8Hz). MS(ES): 449.0 (M++1).
[표 17]
아데노신 A3 수용체 선택성 화합물(* 다른 3 가지 서브유형들보다 10 배 이상 더 선 택성임)
Figure 112002017298878-pct00217

Figure 112002017298878-pct00218







Figure 112002017298878-pct00219




Figure 112002017298878-pct00220




Figure 112002017298878-pct00221








Figure 112002017298878-pct00222







Figure 112002017298878-pct00223








Figure 112002017298878-pct00224







Figure 112002017298878-pct00225



Figure 112002017298878-pct00226




Figure 112002017298878-pct00227



Figure 112002017298878-pct00228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29
(식 1505)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30
(식 1506)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31
]
(식 1507)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32
(식 1508)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33
(식 1509)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34
(식 1510)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35
(식 1511)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36
(식 1512)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37
(식 1513)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38
(식 1514)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39
(식 1515)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40
(식 1516)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41
(식 1517)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42
(식 1518)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43
(식 1519)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44
(식 1520)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또한 A3 아데노신 수용체와 관련된 질병에 걸린 환자에게 치료 유효량의 화합물 1505, 1506, 1507, 1508, 1509, 1510, 1511, 1512, 1513, 1514, 1516, 1517, 1518, 1519 또는 1520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에서 상기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환자가 포유동물인 상기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포유동물이 인간인 상기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상기 A3 아데노신 수용체가 인식 질환, 신부전, 심부정맥, 호흡기 상피, 전달물질 방출, 진정, 혈관수축, 서맥, 심 수축력 및 변조 감소, 기관지 수축, 호중구 화학주성, 역류 상태 또는 궤양성 상태와 관련된 상기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생체 내에서 대사되어 A1 아데노신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활성 약물을 생산하는, 화합물 1505, 1506, 1507, 1508, 1509, 1510, 1511, 1512, 1513, 1514, 1516, 1517, 1518, 1519 또는 1520의 수용성 전구약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전구약물은 에스테라제 촉매화된 가수분해에 의해 생체 내에서 대사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은 상기 프로드러그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캐리어를 포함하는 약학적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세포를 화합물 1505, 1506, 1507, 1508, 1509, 1510, 1511, 1512, 1513, 1514, 1516, 1517, 1518, 1519 또는 1520와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상기 세포에서 A1 아데노신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이 A1 아데노신 수용체의 길항물질인, 세포에서 상기 A1 아데노신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하는 상기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상기 세포가 인간 세포인, 상기 세포에서 A1 아데노신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하는 상기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이 A1 아데노신 수용체의 길항물질인, 인간 세포에서 상기 A1 아데노신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하는 상기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질병이 천식, 만성 폐색성 폐 질환, 알레르기성 비염 또는 상부 호흡기 질환인, 환자에서 상기 A1 아데노신 수용체와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질병이 천식, 만성 폐색성 폐 질환, 알레르기성 비염 또는 상부 호흡기 질환이고 환자가 인간인, 상기 환자에서 상기 A1 아데노신 수용체와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이 A1 아데노신 수용체의 길항물질인, 상기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화합물 1505, 1506, 1507, 1508, 1509, 1510, 1511, 1512, 1513, 1514, 1516, 1517, 1518, 1519 또는 1520, 및 스테로이드, β2 작용물질,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류코트리엔 길항물질, 또는 콜린생성 억제성 작용물질을 포함하는, 천식용 복합 요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치료 유효량의 화합물 1505, 1506, 1507, 1508, 1509, 1510, 1511, 1512, 1513, 1514, 1516, 1517, 1518, 1519 또는 1520,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호흡기 질환을 화합물 1505, 1506, 1507, 1508, 1509, 1510, 1511, 1512, 1513, 1514, 1516, 1517, 1518, 1519 또는 1520로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때 상기 호흡기 질환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또는 만성 폐색성 폐 질환이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안구 주위, 안구 뒤 또는 안구 내 주입 제형인 상기 약학 조성물(들)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전진 제형인 상기 약학 조성물(들)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외과용 관주액인 상기 약학 조성물(들)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a) 치료 유효량의 화합물 1505, 1506, 1507, 1508, 1509, 1510, 1511, 1512, 1513, 1514, 1516, 1517, 1518, 1519 또는 1520을 보유하는 용기; 및
(b) 환자에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상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설명서를 포함하는, 상기 환자에서 A3 아데노신 수용체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를 위한 포장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화합물 1505, 1506, 1507, 1508, 1509, 1510, 1511, 1512, 1513, 1514, 1516, 1517, 1518, 1519 또는 1520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화합물 1509, 1511, 1515, 1518 또는 1519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나트륨, 칼슘 및 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양이온을 함유하는,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더욱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A1 아데노신 수용체가 울혈성 심부전 과 관련되는, 환자에서 A1 아데노신 수용체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 21: 1-[6-(4-히드록시-4-페닐-피페리딘-1-일-메틸)-2-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롤리딘-2-카복실산 아미드(1505)의 합성
화합물 1505를 L-프롤린아미드 및 4-페닐-피페리딘-4-올과 함께 합성 반응식 IX를 사용하여 실시예 17과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여 수득하였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45
(식 1505)
1H-NMR (d6-DMSO) d 1.53(s, 1H), 1.60(s, 1H), 1.84-2.30(m,6H), 2.66(m, 2H), 3.60(s, 2H), 3.88(m, 1H), 4.02(m, 1H), 4.66(d, 1H, J=6.8Hz), 4.73(s, 1H), 6.44(s, 1H), 6.94(s, 1H), 7.12-7.50(m, 10H), 8.35(m, 2H), 11.6(brs, 1H); MS(ES) : 305.1(M++1), mp=234-235℃
실시예 22: (N-(2-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L)-프롤린아미드(1506)의 합성
화합물 1506을 L-프롤린아미드와 함께 합성 반응식 VII를 사용하여 합성하여 수득하였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46
(식 1506)
1H-NMR (DMSO-d6) d 2.05(m, 4H), 3.85(m, 1H), 4.05(m, 1H), 4.70(d, 1H, J=8.0Hz), 6.58(brs, 1H), 6.95(brs, 1H), 7.15(d, 1H, J=3.4Hz), 7.40(m, 3Hz), 7.50(brs, 1H), 8.40(m, 2H), 11.6(brs, 1H); MS(ES) : 308.3(M++1), mp=236-238℃
실시예 23: [N-(2-페닐-6-메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L)-프롤린아미드(1507)의 합성
화합물 1507을 합성 반응식 IX의 전구체 화합물 23을 사용하여 합성하여 수득하였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47
(식 23) (식 4)
브로마이드 23(4.23g, 10밀리몰)을 무수 메탄올(60㎖) 및 DCM(120㎖)에 용해 시키고 N2 하에 실온에서 AgO2CCF3로 1 시간 동안 처리한다. 고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DCM(2x20㎖)으로 세척한다. 여액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킨다. 잔사를 DCM(80㎖)에 재 용해시킨다. 이어서 생성된 용액을 NaHCO3 포화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켜 회색 고체 3.71g(4, 99%)을 수득한다. 1H-NMR(CDCl3) d 1.75(s, 9H), 3.51(s, 3H), 4.83(s, 2H), 6.70(s, 1H), 7.47(m, 3H), 8.52(m, 2H).
Figure 112002017298878-pct00248
(식 4) (식 1507)
아릴 클로라이드 4(2.448g, 6.55밀리몰), DMSO(15㎖), L-프롤린아미드(4.0g, 35.0밀리몰) 및 NaHCO3(2.9g)를 합하고 질소 하에서 120℃로 가열한다. 4 시간 후에,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60㎖)로 희석한다. 생성된 슬러리를 DCM(10x)으로 추출한다. 합한 유기 층들을 NaHCO3 포화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켜 갈색 고체 2.48g을 수득한다. 순수한 생성물(1.86g, 81%)을 플래시 컬럼 후에 백색 고체로서 수득한다. 백색 결정을 THF/헥산으로부터 얻는다. 융점=213-215℃. 1H-NMR(200 MHz, CDCl3) d 2.15(m, 3H), 2.52(m, 1H), 3.26(s, 3H), 3.92(m, 1H), 4.10(m, 1H), 4.42(s, 2H), 5.08(d, 1H, J=8.2Hz), 5,49(brs, 1H), 6.48(s, 1H), 7.08(brs, 1H), 7.42(m, 3H), 8.38(m, 2H), 9.78(brs, 1H); MS(ES): 352.2(M++1).
실시예 24: 4-히드록시-1-(2-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롤리딘-2-카복실산 아미드(1508)의 합성
화합물 1508을 시스-히드록시 프롤린아미드를 사용하여 합성 반응식 VII에 의해 수득하였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49
(식 1508)
1H-NMR(d6-DMSO) d 1.90(m, 1H), 3.85(d, 1H, J=9.2Hz), 4.08(m, 1H), 4.37(s, 1H), 4.67(dd, 1H, J=8.8, 4.0Hz), 5.30(s, 1H), 6.55(s, 1H), 7.15(s, 2H), 7.37(m, 3H), 7.64(s, 1H), 8.37(m, 2H), 11.65(brs, 1H); MS(ES): 324.2(M++1); mp=268-271℃.
실시예 25: 3-[4-((S)-2-카바모일-피롤로딘-1-일)-2-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6-일]프로피온산(1509)의 합성
화합물 1509를 합성 반응식 IX의 전구체 화합물 23을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50
3급-부톡시카보닐 보호된 아릴 브로마이드 23(4.0g, 9.5밀리몰), 무수 DMSO(25㎖), NaH2PO4(454㎎, 3.79밀리몰) 및 Na2HPO4(1.62g, 11.4밀리몰)를 합하고 아르곤 하에서 대략 3.5 시간 동안 50℃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물(200㎖)에 붓고 3 회 100㎖ 분취량의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들을 물, 염수로 철저히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켜 황색 고체를 수득하고 이를 에탄올로 연마하여 정제시켜 담황색 고체(7) 1.55g을 수득하였다. 모액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10% EtOAc)에 의해 정제시켜 추가로 454㎎(60%)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 d 1.77(s, 9H), 7.25(s, 1H), 7.48(m, 3H), 8.52(m, 2H), 10.39(s, 1H); 융점=156℃(분해).
Figure 112002017298878-pct00251
알데히드 7(600㎎, 1.7밀리몰)을 무수 THF(20㎖)에 용해시키고 아르곤 하에서 0℃로 냉각시켰다. 여기에 무수 THF 10㎖ 중의 (3급-부톡시카보닐메틸렌)트리페닐포스포란(694㎎, 1.8밀리몰) 0℃ 용액을 캐뉼라를 통해 적가하였다. 3 시간 후에,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에탄올로 연마하여 정제시켜 백색 고체(8) 565㎎(73%)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 d 1.58(s, 9H), 1.79(s, 9H), 6.46(d, 1H), 6.95(s, 1H), 7.48(m, 3H), 8.09(d, 1H), 8.56(m, 2H).
Figure 112002017298878-pct00252
(식 8) (식 9)
THF 5㎖ 중의 화합물 8(565㎎, 1.2밀리몰) 용액을 EtOAc 100㎖로 희석하였다. 촉매(5 중량% Pd, 50% H2O) 600㎎을 가하고 아르곤으로 퍼징시킨 후에, 혼합물을 대기압 하에서 수소화시켰다. 8 시간 후에,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10% EtOAc)로 정제시켜 무색 오일(정치 시 결정화됨)로서 9 200㎎(35%)을 단리하였다. 1HNMR(CDCl3) d 1.42(s, 9H), 1.75(s, 9H), 2.65(t, 2H), 3.32(t, 2H), 6.41(s, 1H), 7.45(m, 3H), 8.51(m, 2H).
Figure 112002017298878-pct00253
(식 9) (식 10)
아릴 클로라이드 9(200㎎, 0.44밀리몰), DMSO(10㎖) 및 L-프롤린아미드(440㎎, 4.4밀리몰)를 합하고 아르곤 하에서 85℃로 가열하였다. 14 시간 후에, 혼합 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 사이에 분배시켰다. 층들을 분리시키고 수성 층을 EtOAc(3x)로 세척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3x), 염수로 철저히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켜 황색 필름으로서 10을 수득하고 이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CH2Cl2 중의 2.5% MeOH)에 의해 정제시켜 185㎎(97%)을 수득하였다. MS(ES): 435.8(M++1).
Figure 112002017298878-pct00254
(식 10) (식 11)
디옥산 5㎖ 중의 에스테르 10(30㎎,밀리몰)을 농 HCl 0.5㎖을 가하여 가수분해시켰다. 3 시간 후에,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EtOH/EtOAc에서 재 결정시켜 백색 고체로서 1509(20㎎, 61%)를 수득하였다. MS(ES): 380(M++1).
실시예 26: [N-(2-페닐-6-아미노카보닐메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L)-프롤린아미드(1510)의 합성
화합물 1510을 합성 반응식 IX의 전구체 화합물 23을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55
(식 23) (식 12)
브로마이드 23(1.27g, 3밀리몰) 및 분자체(5g)를 무수 메틸 글리콜레이트(5.8g, 60밀리몰) 및 DCM(40㎖) 중에서 교반한다. 상기 용액을 N2 하에서 AgOTf로 처리하고 3 시간 동안 교반한다. 고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DCM(2 x 20㎖)으로 세척한다. 여액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킨다. 잔사를 DCM(80㎖)에 재 용해시킨다. 이어서 생성된 용액을 물로 세척하고, NaHCO3 용액 및 염수로 포화시키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켜 회색 고체(12) 1.35g(99%)을 수득한다. 1HNMR(CDCl3) d 1.75(s, 9H), 3.80(s, 3H), 5.0(s, 2H), 6.78(s, 1H), 7.47(m, 3H), 8.52(m, 2H).
Figure 112002017298878-pct00256
아릴 클로라이드 12(177㎎, 0.41밀리몰), DMSO(10㎖), L-프롤린아미드(466㎎, 4밀리몰) 및 NaHCO3(500㎎)를 합하고 질소 하에서 120℃로 가열한다. 4 시간 후에,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60㎖)로 희석한다. 생성된 슬러리를 DCM(5 x 30㎖)으로 추출한다. 합한 유기 층들을 NaHCO3 포화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켜 갈색 고체를 수득한다. 순수한 생성물(154㎎, 92%)을 플래시 컬럼 후에 백색 고체(13)(154㎎, 92%)로서 수득한다. 1HNMR(CDCl3) d 2.15(m, 3H), 2.52(m, 1H), 3.55(s, 3H), 4.58(s, 2H), 5.08(s, 1H), 5.85(brs, 1H), 6.48(s, 1H), 7.08(brs, 1H), 7.42(m, 3H), 8.40(m, 2H), 10.58(brs, 1H); MS(ES) : 410.1 (M++1).
Figure 112002017298878-pct00257
메틸 에스테르(124㎎, 0.3밀리몰)를 HOCH3(15㎖)에 용해시킨다. 암모니아를 상기 용액에 0.5 시간 동안 발포시킨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추가로 3 시간 동안 교반한다. 용매를 제거한 후에 백색 고체(1510, 93%) 111㎎을 수득한다. 1HNMR(CDCl3) d 1.82(m, 3H), 2.20(m, 1H), 2.80(m, 1H), 3.10(m, 1H), 3.63(dd, 2H, J1=13.8Hz, J2=19.4Hz), 3.87(m, 1H), 4.07(m, 1H), 4.97(m, 1H), 5.96(m, 2H), 6.35(s, 1H), 6.86(brs, 1H), 7.11(brs, 1H), 7.37(m, 3H), 8.28(m, 2H), 11.46(brs, 1H); MS(ES) : 394.8 (M++1).
실시예27: [4-(2-카바모일피롤리딘-1-일)-2-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복실산](1511)의 합성
화합물 1511을 합성 반응식 VII의 전구체 화합물 15를 사용하여 합성하여 수 득하였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58
(식 15) (식 16)
빙/수 욕에 의해 냉각시킨 무수 DMF(20㎖) 중의 수소화 나트륨(60% 오일 현탁액 중의 780㎎, 19.5밀리몰)의 현탁액에 질소 하에서 DMF(10㎖) 중의 피롤로피리미딘 15(2.00g, 7.52밀리몰) 용액을 5 분에 걸쳐 가한다. 15 분 후에, 벤질설포닐 클로라이드(1.2㎖, 9.40밀리몰)를 가하고, 이어서 냉각 욕을 제거한다. 4 시간 후에, 반응 혼합물을 얼음과 NaHCO3 포화 용액의 혼합물에 붓고, 침전된 고체를 여과하고 아세톤(3) 및 메탄올(2)로 연마시켜 베이지색 고체 2.37g을 수득한다. 상기 고체(16)는 대략 10 몰%의 DMF(83% 수율을 기준으로)를 함유하며 다음 단계에 사용될 수 있다; 순수한 샘플을 용출제로서 아세톤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1HNMR(CDCl3) d 6.70(d, J=4.2Hz, 1H), 7.47-7.68(m, 6H), 7.76(d, J=4.2Hz, 1H), 8.24-8.32(m, 2H), 8.48-8.56(m, 2H); IR (고체) :n=3140cm-1, 1585, 1539, 1506, 1450, 1417, 1386, 1186, 1176, 1154, 1111, 1015, 919, 726, 683, 616, 607; MS(ES) : 372/370 (MH+); mp=226-227℃.
Figure 112002017298878-pct00259
(식 16) (식 17)
드라이 아이스/아세톤에 의해 냉각시킨 무수 THF(34㎖) 중의 N-설포닐 화합물 16(337㎎, 0.911밀리몰) 용액에 LDA·THF(1.0㎖, 사이클로헥산 중의 1.5 M 용액, 1.5밀리몰)를 가한다. 45 분 후에, 이산화 탄소를 상기 용액에 5 분간 발포시키고, 이어서 냉각 욕을 제거한다. 상기 용액이 주변 온도에 도달하면, 용매를 증발시켜 황색 고체로서 염 17(0.5 당량의 (iPr)2NCO2Li 함유) 398㎎을 수득한다. 상기 염을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한다. 1HNMR(d6-DMSO) d=6.44(s, 1H), 7.50-7.75(m, 6H), 8.33-8.40(m, 2H), 8.53(dd, J=8.0, 1.6Hz, 2H).
Figure 112002017298878-pct00260
(식 17) (식 18)
DMSO(1.5㎖) 중의 리튬 염 17(50㎎) 및 L-프롤린아미드(122㎎, 1.07밀리몰) 용액을 질소 하에서 80℃로 15.5 시간 동안 가열한다. 4% 수성 아세트산(10㎖)을 냉각된 용액에 가하고, 혼합물을 EtOAc(5' 10㎖)로 추출한다. 합한 유기 층들을 4% 수성 아세트산(10㎖), 물(10㎖) 및 염수(10㎖)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킨다. 여과 및 농축시켜 황색을 띤 고체로서 18 40㎎을 수득하고, 이를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한다. 1HNMR(CD3OD) : d=1.95-2.36(m, 4H), 3.85-3.95(m, 1H), 3.95-4.17(m, 1H), 4.72(brs, 1H), 7.14(s, 1H), 7.35-7.45(m, 3H), 7.45-7.70(m, 3H), 8.30-8.50(m, 4H).
Figure 112002017298878-pct00261
(식 18) (식 19)
메탄올 중의 수산화 나트륨 용액(1.5㎖, 5M, 7.5밀리몰)을 메탄올(2㎖) 중의 피롤로피리미딘 18(40㎎, 0.081밀리몰) 용액에 가한다. 2 시간 후에, pH를 5로 조절하고, 대부분의 메탄올을 증발시키고, 혼합물을 EtOAc(5 10㎖)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들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킨다. 여과 및 농축시켜 담황색 고체 24㎎을 수득하고, 이를 톨루엔/EtOAc/MeOH로 연마시켜 약간의 황색을 땐 고체로서 산 1511 15.6㎎(55%)을 수득한다. 1HNMR(CD3OD) d=2.05-2.20(m, 4H), 3.95-4.10(m, 1H), 4.15-4.25(m, 1H), 4.85(brs, 1H), 7.14(s, 1H), 7.35-7.42(m, 3H), 8.38-8.45(m, 2H); IR (고체) :n=3192cm-1, 2964, 2923, 2877, 1682, 1614, 1567, 1531, 1454, 1374, 1352, 1295, 1262, 1190, 974, 754, 700; MS(ES) : 352 (M++1); mp=220℃.
실시예 28: 1-(6-메틸-2-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S)-피롤리딘-2-카복실산 아미드(1512)의 합성
화합물 1512를 하기 단계들에 의해 합성하였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62
(식 20) (식 1512)
아릴 클로라이드 20(3g, 10.7밀리몰), DMSO(50㎖) 및 (S)-프롤린아미드를 합하고 아르곤 하에서 85℃로 가열하였다. 밤새 교반(14 시간)한 후에,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 800㎖에 부었다. 상기를 3 회 200㎖ 분취량의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들을 물(3 x 300㎖), 염수로 철저히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켜 짙은 갈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고체를 EtOAc로부터 2 회 재결정시켜 갈색 고체(1512) 1.95g(57%)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d 1.8-2.2 (m, 4H), 2.3 (s, 3H), 3.8 (m, 1H), 4.0 (m, 1H), 4.6 (d, 1H) 6.2 (s, 1H), 6.9 (s, 1H), 7.2 (m, 3H), 7.3 (s, 1H), 8.4 (m, 2H), 11.5 (s, 1H); MS (ES): 322 (M+ + 1)
실시예 29: 1-[6-(2-히드록시-에톡시메틸)-2-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롤리딘-2-카복실산 아미드(1513)의 합성
화합물 1513을 L-프롤린아미드 및 에탄-1,2-디올과 함께 합성 반응식 IX를 사용하여 실시예 17과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여 수득하였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63
(식 1513)
MS (ES): 382 (M+ + 1)
실시예 30: 4-(6-이미다졸-1-일메틸)-2-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사이클로헥산올(1514)의 합성
화합물 1514를 N-6 아미노 사이클로헥산올 및 이미다졸과 함께 합성 반응식 IX를 사용하여 실시예 17과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여 수득하였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64
(식 1514)
MS (ES): 389 (M++1)
실시예 31: 4-(4-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아미노)-2-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복실산(1515)의 합성
화합물 1515를 N-6 아미노 사이클로헥산올과 함께 합성 반응식 IX를 사용하여 실시예 17과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여 수득하였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65
(식 1515)
MS (ES): 353 (M+ + 1)
실시예 32: 4-[6-(2-히드록시-에톡시메틸)-2-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사이클로헥산올(1516)의 합성
화합물 1516을 N-6 아미노 사이클로헥산올과 함께 합성 반응식 IX를 사용하 여 화합물 1513과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여 수득하였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66
(식 1516)
MS (ES): 383 (M++1)
실시예 33: 4-(4-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아미노)-2-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1517)의 합성
Figure 112002017298878-pct00267
(식 17) (식 22)
무수 DMF(4㎖) 중의 리튬 염 17(0.13밀리몰) 용액을 요오드화 메틸(0.1㎖, 1.6밀리몰)과 함께 아르곤 하에 20℃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한다. DMF를 증발시키고 염화 암모늄 수용액(15㎖)을 가한다. 혼합물을 EtOAc(3' 15㎖)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들을 물(2' 10㎖) 및 염수(10㎖)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킨 다. 여과 및 농축시켜 메틸 에스테르 22, 21㎎(38%)을 수득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68
(식 22) (식 1517)
DMSO(1.5㎖) 중의 메틸 에스테르 22(24.5㎎, 0.057밀리몰) 및 4-트랜스-아미노사이클로헥산올(66㎎, 0.57밀리몰) 용액을 질소 하에서 5 시간 동안 80℃로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가열을 멈추고, 20℃에서 13.5 시간 동안 계속해서 교반한다. 4% 수성 아세트산(10㎖)을 상기 냉각된 용액에 가하고, 혼합물을 EtOAc(3' 10㎖)로 추출한다. 합한 유기 층들을 4% 수성 아세트산(10㎖), 물(10㎖), 2N NaOH(10㎖), 물(10㎖) 및 염수(10㎖)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킨다. 여과 및 농축시킨 후에 수득된 THF(2㎖)중의 조 물질(1H NMR은 벤젠설포닐 그룹의 약 50%가 제거되었음을 가리킨다) 용액에 주변 온도에서 MeOH 중의 NaOH 용액(5M 용액 0.5㎖, 2.5밀리몰)을 가한다. 20 분 후에, 물과 NaHCO3 포화 용액(각각 5㎖)을 가하고, 혼합물을 EtOAc(4' 15㎖)로 추출한다. 합한 유기 층들을 2N NaOH(10㎖), 물(10㎖) 및 염수(10㎖)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킨다. 여과 및 농축 후에 수득된 조 물질을 헥산/EtOAc(1:1 1:2)으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시켜 백색 고체로서 1517 8.6㎎(41%)을 수득한다. 1H-NMR (CD3OD): d = 1.38-1.62 (m, 4H), 1.95-2.10 (m, 2H), 2.10-2.25 (m, 2H), 3.55-3.70 (m, 1H), 3.91 (s, 3H), 4.20-4.35 (m, 1H), 7.32 (s, 1H), 7.35-7.47 (m, 3H), 8.35-8.42(m, 2H); IR(고체) : n=3352cm-1, 3064, 2935, 2860, 1701, 1605, 1588, 1574, 1534, 1447, 1386, 1333, 1263, 1206, 1164, 074, 938, 756, 705; MS(ES):367(MH+)
실시예 34: [4-(2-카바모일-피롤리딘-1-일)-2-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6-일메톡시]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1518)의 합성
화합물 1518을 전구체 화합물 12를 사용하여 실시예 26과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하여 수득하였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69
(식 1518)
MS(ES) : 410(M++1)
실시예 35: [4-(2-카바모일-피롤리딘-1-일)-2-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6-일메톡시]아세트산(1519)의 합성
화합물 1519를 화합물 1518과 유사한 방식(이때 메틸 에스테르 그룹을 염기 로 가수분해시켰다)으로 합성하여 수득하였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70
(식 1519)
MS(ES) : 396(M++1)
실시예 40: 4-(4-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아미노)-2-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복실산 아미드(1520)의 합성
Figure 112002017298878-pct00271
(식 23) (식 1520)
기상 암모니아를 드라이 아이스/아세톤에 의해 냉각시킨, 메탄올(6㎖) 중의 피롤로피리미딘 23(7.8㎎, 0.021밀리몰) 용액에 총 부피가 12㎖에 달할 때 까지 응축시킨다. 20℃에서 10일간 교반한 후에,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사를 CH2Cl2 중의 5% MeOH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겔 상에서 예비 TLC에 의해 정제시킨다. 수득된 물질을 에테르로 연마시켜 백색 고체로서 mp. 210-220℃(decomp.)에서 아미드 1520 6.5㎎(88%)을 수득한다. 1H-NMR (CD3OD): d = 1.40-1.60 (m, 4H), 2.00-2.15 (m, 2H), 2.15-2.25 (m, 2H), 3.55-3.70 (m, 1H), 4.20-4.35 (m, 1H), 7.16 (s, 1H), 7.35-7.47 (m, 3H), 8.34-8.40(m, 2H); IR(고체) : n=3358cm-1, 3064, 3025, 2964, 2924, 2853, 1652, 1593, 1537, 1493, 1452, 1374, 1326, 1251, 1197, 1113, 1074, 1028, 751, 699; MS(ES) : 352(MH+)
화합물의 활성
아데노신 1(A1) 수용체 서브유형 포화 및 경쟁 방사성 리간드 결합을 본 원에 개시된, 특히 본 원 명세서의 152 내지 153 페이지에 개시된 바와 같이 화합물 1505, 1506, 1507, 1508, 1509, 1510, 1511, 1512, 1513, 1514, 1516, 1517, 1518, 1519 및 1520에 대해 수행하였다. 상기 언급한 화합물들은 모두 본 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특히 본 원 명세서 171 페이지의 표 13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준 화합물 1318 또는 1319의 A1 수용체 결합 친화성과 동일하거나 이를 능가하였다.
표 18에 열거된 상기 화합물들의 수 용해도는 cLogP 값[캠브리지소프트 코포레이션(CambridgeSoft Corporation, 100 Cambridge Park Drive, Cambridge, MA 02140)에 의해 제공된 컴퓨터 프로그램 CS ChemDraw(ChemDraw Ultras ver. 6.0 ⓒ1999)을 사용하여 계산되었음]으로 인해 기준 화합물 1318 또는 1319보다 양호한 것으로 예상된다.
표 18에 열거한 A2 수용체에 대해 특이적인 화합물들은 약 3.8의 cLogP 값을 갖는 기준 화합물 1318 또는 1319에 비해, 약 1.5 내지 약 3.4의 낮은 cLogP 값을 가졌다. 기준 화합물 1318 또는 1319보다 낮은 cLogP 값을 갖는 표 18에 열거된 보다 극성인 A1 수용체 화합물들이 상기 기준 화합물들에 비해 여전히 효능 및 A1 수용체 결합 선택성을 보유함은 예견되지 않았다.
[표 18]
Figure 112002017298878-pct00272
A 2a 수용체에 특이적인 추가의 화합물에 대한 부분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73
(식 1609)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74
(1610)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A2a 아데노신 수용체와 관련된 질병에 걸린 환자에게 치료 유효량의 화합물 1609 또는 1610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에서 상기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환자가 포유동물인 상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포유동물이 인간인 상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A2a 아데노신 수용체가 운동 활성, 혈관확장, 혈소판 억제, 호중구 과산화물 생성, 인식 질환, 노인성 치매 도는 파킨슨병과 관련된 질병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이 상기 질병을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를 자극함으로써 치료하는 상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생체 내에서 A2a 아데노신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활성 약물로 대사되는, 화합물 1609 또는 1610의 수용성 전구약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구약물이 에스테라제 촉매화된 가수분해에 의해 생체 내에서 대사되는 화합물 1609 또는 1610의 수용성 전구약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합물 1609 또는 1610의 수용성 전구약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세포를 화합물 1609 또는 1610과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상기 세포에서 A2a 아데노신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세포를 A2a 아데노신 수용체의 길항물질인 화합물 1609 또는 1610과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상기 세포에서 상기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세포가 인간 세포인 상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세포가 인간 세포이고 상기 화합물이 A2a 아데노신 수용체의 길항물질인 상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 유효량의 화합물 1609 또는 1610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 유효량이 파킨슨병, 및 운동 활성, 혈관확장, 혈소판 억제, 호중구 과산화물 생성, 인식 질환 또는 노인성 치매와 관련된 질병의 치료에 효과적인 상기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안약 제형인 상기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안구 주위, 안구 뒤 또는 안구 내 주입 제형인 상기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신 제형인 상기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외과용 관주액인 상기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합물 1609 또는 1610 및 임의의 도파민 향상제를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복합 요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합물 1609 또는 1610 및 임의의 세포독성제를 포함하는 복합 암 요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합물 1609 또는 1610, 및 프로스타글란딘 작용물질, 무스크린 작용물질 또는 β-2 길항물질을 포함하는 녹내장의 복합 요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치료 유효량의 화합물 1609 또는 1610을 보유하는 용기; 및
(b) 환자에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상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설명서를 포함하는, 상기 환자에서 A2a 아데노신 수용체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를 위한 포장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실시예 41: 1-(6-페닐-2-피리딘-4-일-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롤리딘-2-카복실산 아미드(1609)의 합성
화합물 1609를 82 페이지의 합성 반응식 II에 개시된 적합한 클로라이드 중간체와 L-프롤린아미드를 반응시킴으로써 합성하여 수득하였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75
(식 1609)
1H-NMR (d6-DMSO): d 1.95-2.15 (m, 4H), 4.00(brs, 1H), 4.15 (brs, 1H), 4.72 (brs, 1H), 6,90 (brs, 1H), 7.19 (brs, 1H), 7.30 (t, 1H, J=7.0Hz), 7.44(t, 2H, J=7.0Hz), 7.59(s, 1H), 7.92(brs, 1H), 8.26(d, 2H, J=6.2Hz), 8.65(d, 2H, J=6.2Hz); MS(ES) : 384.9(M++1); Mpt=280-316℃
실시예 42: 1-[6-(3-메톡시-페닐)-2-피리딘-4-일-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피롤리딘-2-카복실산 아미드(1610)의 합성
화합물 1610을 82 페이지의 합성 반응식 II에 개시된 적합한 클로라이드 중간체와 L-프롤린아미드를 반응시킴으로써 합성하여 수득하였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76
(식 1610)
1H-NMR (d6-DMSO) d 2.07 (m, 4H), 3.85(s, 3H), 4.02 (m, 1H), 4.17 (m, 1H), 4.75 (m, 1H), 6.89 (m, 1H), 7.00 (s, 1H), 7.23(s, 1H), 7.35(t, 1H, J=8.2Hz), 7.53(s, 2H), 7.60(s, 1H), 8.28(d, 2H, J=5.8Hz), 8.67(d, 2H, J=5.8Hz), 12.37(s, 1H); MS(ES) : 415.0(M++1)
화합물의 활성
아데노신 2a(A2a) 수용체 서브유형 경쟁 방사성 리간드 결합을 본 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특히 본 원 명세서의 153 페이지에 개시된 바와 같이 화합물 1609 및 1610에 대해 수행하였다. 화합물 1609 및 1610은 A2a 수용체 결합 친화성과 선택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A 3 수용체에 특이적인 추가의 화합물에 대한 부분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77
(식 1720)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세포를 화합물 1720과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상기 세포에서 A3 아데노신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이 상기 A3 아데노신 수용체의 길항물질인, 상기 세포에서 A3 아데노신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세포가 인간 세포인, 상기 세포에서 A3 아 데노신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세포가 인간 세포이고 화합물이 A3 아데노신 수용체의 길항물질인, 상기 세포에서 A3 아데노신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눈 손상 환자에게 치료 유효량의 화합물 1720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의 상기 손상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상기 손상이 망막 또는 시신경 유두 손상인, 상기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녹내장 환자에게 치료 유효량의 화합물 1720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녹내장 요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물질, 바람직하게는 아데노신 수용체 A3 길항물질(바람직하게는 N-6 치환된 7-데아자푸린, 가장 바람직하게는 [2-(3H-이미다졸-4-일)-에틸]-(2-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민)을 포함하는 녹내장 요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아데노신 수용체 A3 길항물질(바람직하게는 N-6 치환된 7-데아자푸린, 가장 바람직하게는 [2-(3H-이미다졸-4-일)-에틸]-(2-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민), 및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물질(즉, 베타 아드레날린성 길항물질 또는 b-차단제)(예를 들어, 티몰올 말리에이트, 베탁솔올, 카르테오롤, 레보부놀올, 메티프라놀올, L-653328(L-652698의 아세테이트 에스테르), 베타 1 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물질), 알파-2 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물질(예를 들어, 아플라클로니딘, 브리모니딘, AGN-195795, AGN-190837(Bay-a-6781의 동족체)), 탄소 안하이드라제 억제제(브린졸아미드, 도르졸아미드, MK-927(인간 탄소 안하이드라제 II 이소엔자임의 억제제), 탄소 안하이드라제 IV 이소엔자임의 억제제, 콜린성 작용물질(예를 들어, 무스카린 콜린성 작용물질, 카르바콜, 필로카르핀 HCl, 필로카르핀 니트레이트, 필로카르핀, 필로카르핀 전구약물(예를 들어, DD-22A)), 프로스타글란딘 및 프로스타글란딘 수용체 작용물질(예를 들어 라타노프로스트, 우노프로스톤 이소프로필, PGF2 알파 작용물질, 프로스타노이드-선택성 FP 수용체 작용물질, PG 작용물질, 예를 들어 저혈압성 프로스트아미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 억제제(예를 들어 스피라프릴, 스피라프릴라트), AMPA 수용체 길항물질, 5-HT 작용물질(예를 들어, 선택성 5-HT 1A 수용체 작용물질, 예를 들어 MKC-242(5-3-[((2S)-1,4-벤조디옥산-2-일메틸)아미노]프로폭시-1,3-벤조디옥솔 HCl), 혈관형성 억제제(예를 들어 스테로이드 아네코르타브), NMDA 길항물질(예를 들어, HU-211, 메만틴, 칸나비노이드 NMDA-수용체 작용물질 덱사나비놀, 덱사나비놀의 전구약물 및 동족체, NR2B-선택성 길항물질(예를 들어, 엘리프로딜(SL-82.0715)), 레닌 억제제(예를 들어 CGP-38560, SR-43845), 칸나비노이드 수용체 작용물질(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및 THC 동족체, 선택성 CB2 칸나비노이드 수용체 작용물질(예를 들어 L-768242, L-759787), 뇌-특이적인 CB1 수용체 및 말초 CB2 수용체 모두에 결합하는 아난드아미드와 같은 화합물), 안지오텐신 수용체 길항물질(예를 들어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물질(예를 들어 CS-088), 선택성 안지오텐신 II AT-I 수용체 길항물질, 예를 들어 로사르탄 칼륨),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HCTZ), 소마토스타틴 작용물질(예를 들어 비 펩티드 소마토스타틴 작용물질 NNC-26-9100), 글루코코르티코이드 길항물질, 비만 세포 탈과립 억제제(예를 들어 네도크로밀), 알파-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차단제(예를 들어 다피프라졸, 알파-2 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물질, 알파 1 아드레날린수용체 길항물질(예를 들어 부나조신)), 알파-2 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물질, 트롬복산 A2 유사물질,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예를 들어 H7), 프로스타글란딘 F 유도체(예를 들어 S-1033), 프로트사글란딘-2 알파 길항물질(예를 들어 PhXA-34), 도파민 D1 및 5-HT2 작용물질(페놀도팜), 산화질소-방출제(예를 들어 NCX-904 또는 NCX-905, 티몰올의 산화질소 방출 유도체), 5-HT 2 길항물질(예를 들어 사르포그렐레이트), NMDA 길항물질(예를 들어 덱사나비놀의 전구약물 및 동족체), 알파 1 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물질(예를 들어 부나조신), 사이클로옥시게나제 억제제(예를 들어 디클로페낙 또는 비 스테로이드성 화합물 네파페낙), 이노신, 도파민 D2 수용체 및 알파 2 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물질(예를 들어 탈리펙솔), 도파민 D1 수용체 길항물질 및 D2 수용체 작용물질(예를 들어 SDZ-GLC-756), 바소프레신 수용체 길항물질(예를 들어 바소프레신 V2 수용체 길항물질(예를 들어 SR-121463)), 엔도텔린 길항물질(예를 들어 TBC-2576), 1-(3-히드록시-2-포스포닐메톡시프로필)시토신(HPMPC) 및 관련된 동족체 및 전구약물, 타이로이드 호르몬 수용체 리간드(예를 들어 KB-130015), 무스카린 M1 작용물질, NMDA-수용체 길항물질(예를 들어 칸나비노이드 NMDA-수용체 길항물질 덱사나비놀), PG 작용물질, 예를 들어 저혈압 지질, 프로스타미드, 나트 륨 채널 차단제, NMDA 길항물질, 혼합 작용 이온 채널 차단제,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물질 및 PGF2 알파 작용물질 조합(예를 들어 라타노프로스트 및 티몰올), 구아닐레이트 사이클라제 활성화제(예를 들어 심방 나트륨 이뇨펩티드(ANP) 또는 비 펩티드 유사물질, ANP 중립 엔도펩티다제의 억제제, 니트로혈관확장제(예를 들어 니트로글리세린, 하이드라라진, 나트륨 니트로프루사이드), 엔도텔린 수용체 조절제(예를 들어 ET-1 또는 비 펩티드 유사물질, 사라포톡신-S6c), 에타크린산, 다른 페녹시아세트산 동족체(예를 들어 인다크리논, 티크리나펜), 액틴 붕괴제(예를 들어 라트런쿨린), 칼슘 채널 차단제(예를 들어 베라파밀, 니페디핀, 브로빈카민, 니발디핀) 및 신경보호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다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녹내장의 복합 요법을 제공한다.
1702 화합물, 및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물질, 알파-2 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물질, 탄소 안하이드라제 억제제, 콜린생성 작용물질 및 프로스타글란딘 수용체 작용물질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녹내장의 복합요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치료 유효량의 화합물 1720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a) 치료 유효량의 화합물 1720을 보유하는 용기; 및
(b) 환자에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상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설명서를 포함하는, 상기 환자에서 A3 아데노신 수용체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를 위한 포장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화합물 1720을 적합한 담체와 혼합함을 포함하는, 상기 화합물 1720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말레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아세테이트, 포스페이트 및 메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음이온을 함유하는, 화합물 1720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실시예
실시예 43:
[2-(3H-이미다졸-4-일)-에틸]-(2-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드(1720)의 합성
화합물 1720을 합성 반응식 VII의 전구체 화합물 1을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Figure 112002017298878-pct00278
(식 1) (식 1720)
아릴 클로라이드 1(400㎎, 1.50밀리몰), DMSO(10㎖) 및 히스타민(1.67g, 15.0밀리몰)을 합하고 질소 하에서 120℃로 가열한다. 6.5 시간 후에,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시킨다. 층들을 분리시키고 수성층을 EtOAc(3x)로 추출한다. 합한 유기 층들을 염수(2x)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 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켜 갈색 고체 494㎎을 수득한다. 상기 고체를 냉 MeOH로 세척하고 MeOH로부터 재결정시켜 회색 고체(1720) 197㎎(43%)을 수득한다.
1H-NMR (CD3OD) d 3.05 (t, 2H, J=7.0Hz), 3.94(t, 2H, J=7.0Hz), 6.5 (d, 1H, J=3.5Hz), 6.88 (brs, 1H), 7.04 (d, 1H, J=3.5Hz), 7.42 (m, 3H), 7.57 (s, 1H), 8.34(m, 2H); MS(ES) : 305.1(M++1); Mpt=234-235℃
화합물의 활성
아데노신 3(A3) 수용체 경쟁 방사성 리간드 결합을 본 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특히 본 원 명세서 153 내지 154 페이지에 개시된 바와 같이 화합물 1720에 대해서 수행하였다. 화합물 1720은 본 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특히 본 원 명세서 169 페이지의 표 13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준 화합물 1308의 A3 수용체 결합 친화성보다 10 배 이상의 친화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참고문헌의 인용
본 원에 개시된 모든 특허, 공개된 특허 출원 및 기타의 참고문헌들은 본 발명에 참고로 인용된다.
등가물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은 본 원에 구체적으로 개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태양들에 대한 다수의 등가물들을 단지 통상적인 실험을 사용하여 인지하거나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등가물들을 하기 청구의 범위 내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Claims (234)

  1.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Figure 112007072807331-pct00489
    여기서, R1
    Figure 112007072807331-pct00490
    Figure 112007072807331-pct00491
    및 R2는 H; 또는,
    NR1R2는 함께
    Figure 112007072807331-pct00492
    이고,
    R3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 피롤, 티오펜, 푸란, 티아졸, 이미다졸, 트리아졸, 피라졸, 피리딘, 2(1H)-피리돈, 4(1H)-피리돈, 피라진, 피리미딘, 피리다진, 이소티아졸, 이속사졸, 옥사졸, 테트라졸, 나프틸, 테트랄린, 벤조푸란, 벤조티오펜, 2,3-디히드로인돌, 1H-인돌, 인돌릴, 벤조피라졸, 1,3-벤조디옥솔, 벤족사졸, 푸린, 쿠마린, 크로몬, 퀴놀릴,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릴, 이소퀴놀릴, 벤지미다졸, 퀴나졸린, 프테리딘, 2(1H)-퀴놀론, 1(2H)-이소퀴놀론, 1,4-벤즈이속사진, 벤조티아졸, 퀴녹살린, 퀴놀린-N-옥사이드, 이소퀴놀린-N-옥사이드, 퀴녹살린-N-옥사이드, 퀴나졸린-N-옥사이드, 벤조옥사진, 프탈라진, 또는 시놀린이고;
    R5 H, CH3,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알킬, 아릴 또는 페닐
    Figure 112007072807331-pct00493
    이고,
    R6는 H, CH3,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알킬, 시클로알킬이며,
    여기서, 치환체는, 존재하는 경우, 할로겐, 히드록실, 알콕시, 알킬카보닐옥시, 아릴카보닐옥시, 알콕시카보닐옥시, 아릴옥시카보닐옥시, 카복실레이트, 알킬카보닐, 알콕시카보닐, 아미노카보닐, 알킬티오카보닐,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토(phosphonato), 포스피나토(phospinato), 시아노 아미노, 아실아미노, 아미디노, 이미노, 설프히드릴, 알킬티오, 아릴티오, 티오카복실레이트, 설페이트, 설포나토, 설프아모일, 설폰아미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아지도, 헤테로시클릴, 또는 알킬아릴이다.
    단, R1
    Figure 112007072807331-pct00494
    이면, R3는 페닐; R5
    Figure 112007072807331-pct00495
    ; R6는 H이고(여기서, X는 O 또는 S);
    R1
    Figure 112007072807331-pct00496
    이면, R3는 페닐; R5는 페닐; R6는 H이고,
    R1
    Figure 112007072807331-pct00497
    이면, R3는 4-클로로페닐; R5 R6는 각각 H이고,
    R1
    Figure 112007072807331-pct00498
    이면, R5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고,
    R1
    Figure 112007072807331-pct00499
    이면, R3는 페닐; R5 및 R6는 모두 H이거나, 또는
    R3가 페닐; R5
    Figure 112007072807331-pct00500
    및 R6는 H이거나 또는,
    R3는 4-피리딜; R5 는 CH3 R6
    Figure 112007072807331-pct00501
    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112007072807331-pct00453
    (식 VI)
    여기서 R3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고; R5 및 R6 은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112007072807331-pct00280
  4. 제3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112007072807331-pct00281
  5. 제3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112007072807331-pct00282
  6. 제3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112007072807331-pct00283
  7. 제3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112007072807331-pct00284
  8.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112007072807331-pct00454
    (식 VII)
    여기서 R3은 비치환된 또는 할로겐-치환된 5-6원 아릴이고; R5 및 R6 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1-C5 알킬이다.
  9.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112007072807331-pct00286
  10.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112007072807331-pct00455
    여기서 R3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고; R5 및 R6 은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다.
  11. 제8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112007072807331-pct00288
  12.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112007072807331-pct00456
    (식 IX)
    여기서 R3은 비치환된 또는 할로겐-치환된 5-6원 아릴이고; X 는 산소 또는 황이다.
  13. 제12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112007072807331-pct00290
  14.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112007072807331-pct00457
    여기서 R3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고; X 는 산소 또는 황이다.
  15. 제14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112007072807331-pct00292
  16. 제1항에 있어서, 다음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464
    (식 VI)
    NR1R2 은 (D)-2-아미노카르보닐 피롤리디닐, (D)-2-히드록시메틸 피롤리디닐, (D)-2-히드록시메틸-트랜스-4-히드록시 피롤리디닐, 또는 피페라지닐이다;
    R3 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고;
    R5 은 H, 페닐 또는
    Figure 712008000870867-pct00502
    ;
    R6 은 H, 알킬, 또는 시클로 알킬이다.
  17.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465
    NR1R2 은 3-히드록시메틸 피페라디닐;
    R3은 4-피리딜;
    R5 은 H 또는 알킬이고;
    R6 은 H 또는 알킬이다.
  18. 제16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02
  19. 제16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03
  20. 제16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04
  21. 제16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05
  22. 제16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06
  23. 제16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07
  24.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08
  25. 제17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09
  26. 제25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10
  27. 제25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11
  28.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468
    (식 V)
    여기서, R5 은 H 또는 메틸이다.
  29. 제28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13
  30. 제28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14
  31. 제16항 또는 제17항에 따른 화합물을 제조하되,
    (a)
    Figure 712008000870867-pct00469
    Figure 712008000870867-pct00470
    을 반응시켜
    Figure 712008000870867-pct00471
    을 수득하는 단계 (여기서 P는 분리가능한 보호기이다);
    (b) 상기 (a) 단계의 생성물을 환화 조건 하에서 처리하여
    Figure 712008000870867-pct00472
    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생성물을 적합한 조건 하에서 처리하여
    Figure 712008000870867-pct00473
    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염소화 생성물을 NHR1R2 로 처리하여
    Figure 712008000870867-pct00474
    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여기서, R1은 아세트아미도 에틸; R3은 4-피리딜; R5는 H 또는 메틸; R6은 N-메틸-N-벤질 아미노메틸이다.
  32.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가지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503
    여기서, R1
    Figure 712008000870867-pct00504
    Figure 712008000870867-pct00505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H,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 또는 아릴이며,
    여기서 치환체는, 존재하는 경우,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단, R1
    Figure 712008000870867-pct00506
    이면, R5
    Figure 712008000870867-pct00507
    이고, R6는 H이다.
  33. 제32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28
  34. 제32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29
  35. 제32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30
  36. 제32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31
  37. 제32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32
  38. 제32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33
  39. 제38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34
  40. 제38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35
  41. 제38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36
  42. 제38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37
  43. 제32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38
  44. 제32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39
  45. 제32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40
  46. 제32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41
  47. 제32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42
  48. 제32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43
  49. 제48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44
  50. 제32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45
  51. 제50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46
  52. 제32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47
  53. 제52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48
  54. 제52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49
  55.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482
    여기서, R1, R2 및 질소가 함께
    Figure 712008000870867-pct00508
    R5 및 R6 은 독립적으로 H,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또는 아릴이고,
    여기서 치환체는, 존재하는 경우,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고,
    R1, R2 및 질소가 함께
    Figure 712008000870867-pct00509
    인 경우, R5는 페닐, R6은 H이고;
    R1, R2 및 질소가 함께
    Figure 712008000870867-pct00510
    인 경우,
    R5
    Figure 712008000870867-pct00511
    , R6은 H이고,
    R1, R2 및 질소가 함께
    Figure 712008000870867-pct00512
    인 경우, R5 및 R6은 모두 H이다.
  56. 제55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51
  57. 제56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52
  58. 제56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53
  59. 제55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54
  60. 제55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55
  61. 제60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56
  62. 제60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57
  63. 제55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58
  64. 제63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59
  65. 제63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60
  66. 제55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61
  67. 제66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62
  68. 제66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63
  69.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712008000870867-pct00364
  70. 제1항에 따른 화합물을 제조하되,
    (a)
    Figure 712008000870867-pct00483
    Figure 712008000870867-pct00484
    을 반응시켜
    Figure 712008000870867-pct00485
    을 수득하는 단계 (여기서 P는 분리가능한 보호기이다);
    (b) 상기 (a) 단계의 생성물을 환화 조건 하에서 처리하여
    Figure 712008000870867-pct00486
    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생성물을 적합한 조건 하에서 처리하여
    Figure 712008000870867-pct00487
    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염소화 생성물을 NH2R1 로 처리하여
    Figure 712008000870867-pct00488
    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여기서, R1
    Figure 712008000870867-pct00513
    Figure 712008000870867-pct00514
    및, R2는 H; 또는
    NR1R2 함께
    Figure 712008000870867-pct00515
    R3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고;
    R5는 H, CH3,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아릴 또는 페닐이며,
    치환체는, 존재하는 경우, 제1항에 정의된 것,
    Figure 712008000870867-pct00516
    이며(여기서, X는 O 또는 S; 및
    R6은 H, CH3,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Figure 712008000870867-pct00517
    이다.
    단, R1
    Figure 712008000870867-pct00518
    이면, R3은 페닐, R5
    Figure 712008000870867-pct00519
    및 R6은 H; 여기서, X는 O 또는 S이며;
    R1
    Figure 712008000870867-pct00520
    이면, R3는 페닐; R5는 페닐; R6은 H이며;
    R1
    Figure 712008000870867-pct00521
    이면, R3는 4-클로로페닐; R5는 및 R6은 각각 H이며;
    R1
    Figure 712008000870867-pct00522
    이면,
    R5는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며;
    R1
    Figure 712008000870867-pct00523
    이면, R3는 페닐; R5는 및 R6은 모두 H이거나, 또는
    R3는 페닐; R5
    Figure 712008000870867-pct00524
    , R6은 H이거나 또는
    R3는 4-피리딜; R5는 CH3 및 R6
    Figure 712008000870867-pct00525
    이다.
  71. 제16항에 있어서, NR1R2가 함께 2-아미노카보닐-피롤리딘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 R3은 치환된 페닐 또는 비치환된 피리딘이고, 치환체는, 존재하는 경우, 할로겐, 히드록실, 알콕시, 알킬카보닐옥시, 아릴카보닐옥시, 알콕시카보닐옥시, 아릴옥시카보닐옥시, 카복실레이트, 알킬카보닐, 알콕시카보닐, 아미노카보닐, 알킬티오카보닐,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토(phosphonato), 포스피나토(phospinato), 시아노 아미노, 알킬 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디아릴아미노, 알킬아릴아미노, 아실아미노, 알킬카보닐아미노, 아릴카보닐아미노, 카바모일, 우레이도, 아미디노, 이니이오노, 설프히드릴, 알킬티오, 아릴티오, 티오카복실레이트, 설페이트, 설포나토, 설프아모일, 설폰아미드,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아지도, 헤테로시클릴, 또는 알킬아릴인 화합물.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삭제
  99. 삭제
  100. 삭제
  101. 삭제
  102. 삭제
  103. 삭제
  104. 삭제
  105. 삭제
  106. 삭제
  107. 삭제
  108. 삭제
  109. 삭제
  110. 삭제
  111. 삭제
  112. 삭제
  113. 삭제
  114. 삭제
  115. 삭제
  116. 삭제
  117. 삭제
  118. 삭제
  119. 삭제
  120. 삭제
  121. 삭제
  122. 삭제
  123. 삭제
  124. 삭제
  125. 삭제
  126. 삭제
  127. 삭제
  128. 삭제
  129. 삭제
  130. 삭제
  131. 삭제
  132. 삭제
  133. 삭제
  134. 삭제
  135. 삭제
  136. 삭제
  137. 삭제
  138. 삭제
  139. 삭제
  140. 삭제
  141. 삭제
  142. 삭제
  143. 삭제
  144. 삭제
  145. 삭제
  146. 삭제
  147. 삭제
  148. 삭제
  149. 삭제
  150. 삭제
  151. 삭제
  152. 삭제
  153. 삭제
  154. 삭제
  155. 삭제
  156. 삭제
  157. 삭제
  158. 삭제
  159. 삭제
  160. 삭제
  161. 삭제
  162. 삭제
  163. 삭제
  164. 삭제
  165. 삭제
  166. 삭제
  167. 삭제
  168. 삭제
  169. 삭제
  170. 삭제
  171. 삭제
  172. 삭제
  173. 삭제
  174. 삭제
  175. 삭제
  176. 삭제
  177. 삭제
  178. 삭제
  179. 삭제
  180. 삭제
  181. 삭제
  182. 삭제
  183. 삭제
  184. 삭제
  185. 삭제
  186. 삭제
  187. 삭제
  188. 삭제
  189. 삭제
  190. 삭제
  191. 삭제
  192. 삭제
  193. 삭제
  194. 삭제
  195. 삭제
  196. 삭제
  197. 삭제
  198. 삭제
  199. 삭제
  200. 삭제
  201. 삭제
  202. 삭제
  203. 삭제
  204. 삭제
  205. 삭제
  206. 삭제
  207. 삭제
  208. 삭제
  209. 삭제
  210. 삭제
  211. 삭제
  212. 삭제
  213. 삭제
  214. 삭제
  215. 삭제
  216. 삭제
  217. 삭제
  218. 삭제
  219. 삭제
  220. 삭제
  221. 삭제
  222. 삭제
  223. 삭제
  224. 삭제
  225. 삭제
  226. 삭제
  227. 삭제
  228. 삭제
  229. 삭제
  230. 삭제
  231. 삭제
  232. 삭제
  233. 삭제
  234. 삭제
KR1020027007039A 1999-12-02 2000-12-01 아데노신 a1, a2a 및 a3 수용체 특이 화합물 및 그의 사용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40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5425499A 1999-12-02 1999-12-02
US09/454,074 1999-12-02
US09/454,074 US6878716B1 (en) 1998-06-02 1999-12-02 Compounds specific to adenosine A1 receptor and uses thereof
US09/454,254 1999-12-02
US09/454,075 US6686366B1 (en) 1998-06-02 1999-12-02 Compounds specific to adenosine A3 receptor and uses thereof
US09/454,075 1999-12-02
PCT/US2000/032702 WO2001039777A1 (en) 1999-12-02 2000-12-01 Compounds specific to adenosine a1 a2a, and a3 receptors and use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327A KR20020064327A (ko) 2002-08-07
KR100840727B1 true KR100840727B1 (ko) 2008-06-23

Family

ID=27412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039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0727B1 (ko) 1999-12-02 2000-12-01 아데노신 a1, a2a 및 a3 수용체 특이 화합물 및 그의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2) EP1246623B1 (ko)
JP (1) JP2003519102A (ko)
KR (1) KR100840727B1 (ko)
AT (1) ATE335489T1 (ko)
AU (1) AU784878B2 (ko)
CA (1) CA2393179A1 (ko)
CY (1) CY1107653T1 (ko)
DE (1) DE60030002T2 (ko)
DK (1) DK1246623T3 (ko)
ES (1) ES2269217T3 (ko)
HK (1) HK1050319B (ko)
IL (2) IL149935A0 (ko)
MX (1) MXPA02005357A (ko)
PT (1) PT1246623E (ko)
WO (1) WO20010397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020590A1 (es) 1998-06-02 2002-05-22 Cadus Pharmaceutical Corp 7-diazapurina-n-6 sustituida, un metodo para su preparacion, composiciones farmaceuticas que la comprenden
US6660731B2 (en) 2000-09-15 2003-12-09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Pyrazole compounds useful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US7473691B2 (en) 2000-09-15 2009-01-06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Pyrazole compounds useful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JP4105947B2 (ja) 2000-09-15 2008-06-25 バーテック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プロテインキナーゼインヒビターとして有用なトリアゾール化合物
US6680324B2 (en) 2000-12-01 2004-01-20 Osi Pharmaceuticals, Inc. Compounds specific to adenosine A1 receptors and uses thereof
UA74228C2 (uk) * 2000-12-01 2005-11-15 Осі Фармасьютікалз, Інк. ПОХІДНІ ПІРОЛО[2,3-d]ПІРИМІДИНУ, СПЕЦИФІЧНІ ДО АДЕНОЗИНОВОГО A<sub>1</sub>, A<sub>2А</sub> І A<sub>3</sub> РЕЦЕПТОРА, СПОСІБ ЇХ ОДЕРЖАННЯ ТА ФАРМАЦЕВТИЧНА КОМПОЗИЦІЯ
MXPA03004717A (es) * 2000-12-01 2004-06-30 Osi Pharm Inc Compuestos especificos para el receptor a1, a2 y a3 de adenosina y usos de los mismos.
MXPA03005609A (es) 2000-12-21 2003-10-06 Vertex Pharma Compuestos de pirazol utiles como inhibidores de la proteina cinasa.
UA80258C2 (en) * 2001-09-06 2007-09-10 Biogen Inc Methods of treating pulmonary disease
DE10148883A1 (de) 2001-10-04 2003-04-10 Merck Patent Gmbh Pyrimidinderivate
US7504407B2 (en) 2001-11-30 2009-03-17 Osi Pharmaceuticals, Inc. Compounds specific to adenosine A1 and A3 receptors and uses thereof
AU2002356962C1 (en) 2001-12-12 2008-05-01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Methods for using extracellular adenosine inhibitors and adenosine receptor inhibitors to enhance immune response and inflammation
EA011809B1 (ru) 2001-12-20 2009-06-30 Оси Фармасьютикалз, Инк. Пиримидиновые соединения,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a-селективных антагонистов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DE60236458D1 (de) 2001-12-20 2010-07-01 Osi Pharm Inc Pyrrolopyrimidin a2b selektive antagonistische verbindungen, deren synthese und verwendung
AU2002366801B8 (en) * 2001-12-20 2009-05-21 Osi Pharmaceuticals, Inc. Pyrrolopyrimidine A2b selective antagonist compounds, their synthesis and use
MXPA04008901A (es) 2002-03-13 2004-11-26 Euro Celtique Sa Pirimidinas arilo sustituidas y el uso de las mismas.
MY141867A (en) 2002-06-20 2010-07-16 Vertex Pharma Substituted pyrimidines useful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WO2004013140A1 (en) 2002-08-02 2004-02-12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Pyrazole compositions useful as inhibitors of gsk-3
CA2520323C (en) * 2003-04-09 2013-07-09 Exelixis, Inc. Tie-2 modulators and methods of use
AR043880A1 (es) * 2003-04-22 2005-08-17 Solvay Pharm Gmbh Mesilato acido de 4-(4.trans-hidroxiciclohexil) amino-2-fenil-7h-pirrolo (2,3-d) pirimidina y sus formas polimorfas
WO2005004875A1 (ja) * 2003-07-14 2005-01-20 Sankyo Company, Limited 経肺投与用医薬組成物
ES2435081T3 (es) 2005-11-03 2013-12-18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Aminopirimidinas útiles como inhibidores de las cinasas
PT2000473E (pt) 2006-03-27 2011-07-01 Otsuka Chemical Co Ltd Composto de trealose e preparação farmacêutica que contém esse composto
CA2647543A1 (en) * 2006-03-29 2007-11-08 Foldrx Pharmaceuticals, Inc. Inhibition of alpha-synuclein toxicity
TW200808819A (en) * 2006-06-19 2008-02-16 Solvay Pharm Gmbh Use of adenosine A1 antagonists in radiocontrast media induced nephrophaty
CN101678006A (zh) * 2007-05-11 2010-03-24 参天制药株式会社 含有非麦角类的选择性d2受体激动剂作为有效成分的后眼部疾病的预防或治疗剂
US8101371B2 (en) 2007-10-18 2012-01-24 Musc Foundation For Research Development Methods for the diagnosis of genitourinary cancer
AR070127A1 (es) 2008-01-11 2010-03-17 Novartis Ag Pirrolo - pirimidinas y pirrolo -piridinas
ES2617339T3 (es) 2010-12-16 2017-06-16 Calchan Limited Derivados de pirrolopirimidina inhibidores de ASK1
EP2858995A1 (en) * 2012-06-07 2015-04-15 F. Hoffmann-La Roche AG Pyrrolopyrimidone and pyrrolopyridone inhibitors of tankyrase
GB201711234D0 (en) 2017-07-12 2017-08-23 Galapagos Nv Pyrrolopyrimidine and pyrrolopyridine derivatives
KR20240018000A (ko) * 2022-08-01 2024-02-13 주식회사 넥스트젠바이오사이언스 A3 아데노신 수용체 작용제로서의 신규한 퓨린 유도체 화합물
WO2024233605A1 (en) * 2023-05-08 2024-11-14 Tango Therapeutics, Inc. Compounds and their use against canc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0913A (en) * 1969-11-04 1975-10-07 American Home Prod 4,5-Diamino-7H-pyrrolo{8 2,3-d{9 pyrimidine derivatives
US5516894A (en) 1992-03-11 1996-05-14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A2b -adenosine receptors
DK0633886T3 (da) * 1992-04-03 2000-12-18 Upjohn Co Farmaceutisk aktive bicyclisk-heterocycliske aminer
WO1995011681A1 (en) 1993-10-29 1995-05-04 Merck & Co., Inc. Human adenosine receptor antagonists
IT1277392B1 (it) 1995-07-28 1997-11-10 Schering Plough S P A Analoghi eterociclici di 1,2,4-triazolo(1,5-c]pirimidine ad attivita' antagonista per il recettore a2a dell'adenosina
US5780450A (en) 1995-11-21 1998-07-14 Alcon Laboratories, Inc. Use of adenosine uptake inhibitors for treating retinal or optic nerve head damage
WO1997033879A1 (en) 1996-03-15 1997-09-18 Merck & Co., Inc. Compound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inhibiting activation of the human a3 adenosine receptor
JPH09291089A (ja) 1996-04-26 1997-11-11 Yamanouchi Pharmaceut Co Ltd 新規な5−チアゾリルウラシル誘導体又はその塩
US5786360A (en) 1996-11-19 1998-07-28 Link Technology Incorporated A1 adenosine receptor antagonists
CA2296485A1 (en) 1997-07-29 1999-02-11 Medco Research, Inc. N6-substituted-adenosine-5'-uronamides as adenosine receptor modulators
AR020590A1 (es) * 1998-06-02 2002-05-22 Cadus Pharmaceutical Corp 7-diazapurina-n-6 sustituida, un metodo para su preparacion, composiciones farmaceuticas que la comprenden
US9816053B2 (en) 2015-03-26 2017-11-14 Melynda S DelCotto Candle having a wooden wick with figured grai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용발명: J. Med. Chem. 39, 2482-2491(199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1246623E (pt) 2006-12-29
AU2427001A (en) 2001-06-12
IL199869A0 (en) 2011-08-01
EP1246623B1 (en) 2006-08-09
WO2001039777A1 (en) 2001-06-07
DE60030002D1 (de) 2006-09-21
ATE335489T1 (de) 2006-09-15
KR20020064327A (ko) 2002-08-07
MXPA02005357A (es) 2003-05-19
HK1050319B (en) 2007-04-04
WO2001039777A8 (en) 2001-11-08
DK1246623T3 (da) 2006-11-13
EP1246623A4 (en) 2003-05-14
DE60030002T2 (de) 2007-03-08
CA2393179A1 (en) 2001-06-07
JP2003519102A (ja) 2003-06-17
CY1107653T1 (el) 2013-04-18
ES2269217T3 (es) 2007-04-01
EP1246623A1 (en) 2002-10-09
IL149935A0 (en) 2002-11-10
EP1731520A1 (en) 2006-12-13
HK1050319A1 (en) 2003-06-20
AU784878B2 (en)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727B1 (ko) 아데노신 a1, a2a 및 a3 수용체 특이 화합물 및 그의 사용방법
US6680324B2 (en) Compounds specific to adenosine A1 receptors and uses thereof
JP4579497B2 (ja) アデノシンa1、a2a、およびa3受容体に特異的な化合物、ならびにそれらの使用
KR100722194B1 (ko) 피롤로[2,3디]피리미딘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6673802B2 (en) Compounds specific to adenosine A3 receptor and uses thereof
US6680322B2 (en) Compounds specific to adenosine A1 receptors and uses thereof
US6664252B2 (en) 4-aminopyrrolo[2,3-d]pyrimidine compounds specific to adenosine A2a receptor and uses thereof
US20020094974A1 (en) Compounds specific to adenosine A3 receptor and uses thereof
AU2002248151A1 (en) Compounds specific to adenosine A1, A2A, and A3 receptor and uses thereof
US6686366B1 (en) Compounds specific to adenosine A3 receptor and uses thereof
KR100897430B1 (ko) 아데노신 a₁, a₂a 및 a₃ 수용체에 특이적인 화합물및 그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53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2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2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11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8030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2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80408

Appeal identifier: 2008101001836

Request date: 20080304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30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04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101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12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804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404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