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4959B1 -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959B1
KR100834959B1 KR1020060075952A KR20060075952A KR100834959B1 KR 100834959 B1 KR100834959 B1 KR 100834959B1 KR 1020060075952 A KR1020060075952 A KR 1020060075952A KR 20060075952 A KR20060075952 A KR 20060075952A KR 100834959 B1 KR100834959 B1 KR 100834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content
event signal
playback
control information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4362A (ko
Inventor
조현욱
박대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5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959B1/ko
Priority to US11/702,645 priority patent/US8316404B2/en
Priority to CN200710078784XA priority patent/CN101123716B/zh
Priority to EP07004013.4A priority patent/EP1887800A3/en
Publication of KR20080014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95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36Handling of requests in head-e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입력되는 고속감기(FF) 또는 다시감기(REW)의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부분 검색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고속감기(Fast Forward) 또는 다시감기(Rewind)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 신호 입력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 신호 입력이 종료되면, 상기 종료시점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재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FF, REW, 콘텐츠 서버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CONTENTS PLAY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콘텐츠 서버와의 신호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시의 화면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방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단말기(Portable Device)에서 고속감기(Fast Forward, 이하 'FF'라 칭하기로 한다)/다시감기(Rewind, 이하 'REW'라 칭하기로 한다)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서비스는 음성통화 서비스에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로 그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휴대 단말기의 진화, 데이터 전송 속도의 향상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따라 텍스트 위주의 서비스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기반하여 휴대 단말기는 콘텐츠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자신이 희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다운로드받거나,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문형 영상(Video On Demand, 이하 'VOD'라 칭하기로 한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VOD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각종 동영상 클립 다운로드 서비스, 실시간 중계 서비스, 메시징 서비스와의 연계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VOD의 전송 방식은 다운로드 방식과 스트리밍 방식이 있다.
다운로드 방식은 소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후 재생하는 방식으로,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원본과 동일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 및 반복재생 등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트리밍 방식은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소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버퍼링한 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방식이다. 즉, 스트리밍 방식은, 인터넷 상에서 오디오/비디오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운로드가 아닌 실시간으로 주고받는 기술을 의미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서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충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패킷 단위(예를 들면, 0.5Mb)로 조금씩 지속적으로 받아 처리한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운로드 방식 또는 스트리밍 방식에 의거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고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방식들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FF(Fast Forward) 또는 REW(Rewind)를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FF/REW 등을 실행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에서는 상기 FF/REW가 실행되는 해당 시점의 재생시간만 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다운로드 방식 또는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시 FF/REW를 실행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사용자로부터 FF/REW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내부 타이머(timer)를 이용하여 FF/REW의 해당 배속만큼 프로그래스 바(progress bar)만 이동한 후 사용자가 키를 릴리즈(release)하는 순간의 시간정보를 획득하여 표시한다.
즉, 기존 방법에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FF/REW 실행 동안에는 상기 FF/REW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의 영상 데이터로 고정 표시하거나 블랭크 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FF/REW에 의거하여 이동되는 위치에서의 재생 시간만 변경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제 지나가는 시간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들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 자신이 희망하는 영상 데이터 또는 위치로의 이동에 많은 어려움과 번거로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시, FF/REW에 따른 검색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FF/REW의 배속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추출하여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FF/REW에 따른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위치 이동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고속감기(Fast Forward) 또는 다시감기(Rewind)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 신호 입력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 신호 입력이 종료되면, 상기 종료시점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재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콘텐츠 서버로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 및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지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재생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재생제어정보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지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해당 배속정보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배속정보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는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사용자로부터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재생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제1 재생제어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재생제어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프레임을 추출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특정 프레임을 수신하면 그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이벤트 신호의 입력이 종료되면 그에 대응하는 제2 재생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제2 재생제어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재생제어정보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장치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신호,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이벤트 신호 및 키 릴리즈 신호를 입력받는 키입력부와, 콘텐츠 서버에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특정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는 재생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주파수부와,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정지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신호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입력되는 상기 이벤트 신호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 츠 제공 중에 휴대 단말기로부터 재생제어정보를 수신하면 그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추출하여 전송하는 콘텐츠 서버와,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이벤트 신호가 발생하면 재생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재생제어정보에 상응하는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프레임에 대응하는 정지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기가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재생하는 경우의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는 주문형 영상(Video On Demand, 이하 'VOD'라 칭하기로 한다) 등과 같은 스트리밍 데이터를 비롯하여,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데이터 및 콘텐츠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제어 시에도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고, 그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소정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재생 가능한 모든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콘텐츠'라 명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콘텐츠 서버 간의 신호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크게 휴대 단말기(100)와, 이동통신 시스템(200) 및 콘텐츠 서버(3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130)을 통해 음성 통신 및 다양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콘텐츠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130)을 통해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실시간 재생한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운로드 방식 또는 스트리밍 방식에 의거한 재생을 수행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시 고속감기(Fast Forward, 이하 'FF'라 칭하기로 한다)/다시감기(Rewind, 이하 'REW'라 칭하기로 한다) 입력신호를 감지하면, 그에 대응하는 재생제어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버(300)로 전송하고, 상기 재생제어정보 전송에 상응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특정 프레임(frame)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재생제어정보 및 특정 프레임에 대해서는 후술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다운로드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시 FF/REW 입력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FF/REW 입력신호의 배속을 판단한다. 이어서, 상 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배속에 상응하는 특정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추출하고, 그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130)은 기지국(BS, Base Station),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Packet Data Serving No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200)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상기 콘텐츠 서버(300)간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200)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 및 상기 콘텐츠 서버(300)와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음성 및 데이터 등의 송수신을 처리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200)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상기 콘텐츠 서버(300)간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수신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채널은 다양한 통식 방식에 의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시간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 Access),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 Access), 휴대 인터넷(Portable Internet) 예컨대, 무선 광대역 인터넷(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등의 다양한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서버(300)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집 및 관리하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요구하는 휴대 단말기들 예컨대,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운로드 방식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한다.
상기 콘텐츠 서버(3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스트리밍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서버(300)는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재생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하는 재생제어정보에 의거하여 그에 해당하는 특정 프레임을 추출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방식에 의거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제어 절차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휴대 단말기(100)와 콘텐츠 서버(300)는 세션 설정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세션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 요청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를 개시한다(S201).
상기 S201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는 이동통신 시스템(200)을 통해 상기 콘텐츠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콘텐츠 서버(3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의 리스트를 제공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의 리스트에서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가 소정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 및 콘텐츠 서버(300)는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개시한다.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어하는 프로토콜(protocol)로는, 실시간으로 음성이나 동영상을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규약인 RTP(Real time Transmission Protocol)와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S201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상기 콘텐츠 서버(300)는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개시하기 이전에 세션 설정(Session Setup)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휴대 단말기(100)의 응용 프로그램 실행 등을 통해 스트리밍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콘텐츠 서버(300)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세션(session)으로 연결된다. 그러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세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콘텐츠 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콘텐츠 서버(300)는 상기 세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준비를 수행하고 상기 세션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해당 세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하는 세션 정보에 의거하여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채널 설정을 위해 상기 콘텐츠 서버(300)에 세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콘텐츠 서버(300)는 상기 세션 설정 요청 메시지에 의거하여 채널을 설정하고,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콘텐 츠 서버(300)에 대한 세션 설정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세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는 상기 콘텐츠 서버(300)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바로 재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스트리밍 서비스가 개시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지정된 크기만큼 데이터 버퍼링(buffering) 후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게 된다(S203).
상기 S203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콘텐츠 서버(300)에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상기 콘텐츠 서버(300)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서버(300)는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절차에 의거하여 사용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통해 자신이 희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한 절차에 의거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사용자로부터 이벤트 신호(event signal)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205).
상기 S205단계에서, 상기 이벤트 신호는 일시정지, FF, REW, 정지 및 녹화 등의 요청신호를 포함하며, 다운로드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오프라인 상에서 재생 하는 경우에는 반복 재생 요청신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상기 이벤트 신호가 FF 또는 REW의 요청신호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S205단계에서 FF 또는 REW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대응하는 재생제어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버(300)로 전송한다(S207).
상기 S207단계에서, 상기 재생제어정보는 재생(PLAY) 요청,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레인지(Range) 정보 및 이벤트에 따른 모드(mode)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레인지 정보는, 상술한 이벤트 신호에 대한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FF 또는 REW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배속정보(예컨대, Range:npt=xxx)를 포함한다. 상기 모드 정보는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이 FF(예컨대, mode:fast)인지 REW(예컨대, mode:rewind)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인지 정보 및/또는 모드 정보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에 특정 필드 형태로 추가되어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FF 또는 REW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FF 또는 REW의 해당 배속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하는 FF 또는 REW의 배속정보를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의 레인지 필드를 이용하여 상기 배속정보에 해당하는 재생 명령(Play Command)을 전송하게 된다.
상기 재생제어정보의 예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PLAY rtsp://203.236.43.45:651/
00528_82776.skm RTSP/1.0
Range: npt=10.000000-
mode: fast
다음으로, 상기 콘텐츠 서버(3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재생제어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재생제어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프레임을 추출한다(S209).
상기 S209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서버(3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재생제어정보에 포함되는 레인지 정보 및 모드 정보를 판별한다. 이후, 상기 콘텐츠 서버(300)는 상기 모드 정보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로부터의 요청이 FF인지 REW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레인지 정보를 통해 상기 FF 또는 REW에 따른 배속정보를 획득한다. 이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300)는 상기 획득하는 배속정보에 대응하는 재생 시간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의 특정 프레임을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프레임은 영상 코딩 타입(picture coding type)의 I, P, B 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화질 및 전송 용량 등을 고려하여, 상기 프레임의 영상 코딩 타입 중 I 프레임을 추출하고, 이를 송수신하는 경우를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와 같이 프레임의 영상 코딩 타입의 I, P, B 프레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영상 코딩 타입은 I 프레임(Infra frame), P 프레임(Previous frame 또는 Predicted frame), B 프레임(Bidirectional frame)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I 프 레임은 키 프레임(key frame)으로, JPEG과 같은 방식으로 소스(source)로부터 직접 압축되어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며, I, P, B 프레임 중 가장 화질이 좋으며, 그에 비례하여 용량도 가장 크다. 상기 P 프레임은 이전에 나온 키 프레임의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프레임을 나타내며, 화질 및 용량 모두 중간급에 속한다. B 프레임은 전후의 I/P 프레임의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나타내며, 화질 및 용량 모두 최하급에 속한다.
다음으로, 상기 콘텐츠 서버(300)는 상기 추출하는 I 프레임을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11).
상기 S211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서버(300)는 상기 I 프레임을 RTP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I 프레임을 수신하고, 이를 디코딩(decoding)하여 출력한다(S213).
상기 S213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상기 S207단계에서 전송한 재생제어정보에 대응하는 I 프레임을 수신한다. 이후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하는 I 프레임에 대하여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되는 I 프레임의 정지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한다.
다음으로, 상기 S207단계 내지 S213단계 즉,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S215단계는 사용자가 FF 또는 REW에 대한 키 입력을 릴리즈(Release)할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키 릴리즈(key release)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S215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FF 또는 REW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S215단계를 반복하며, 상기 반복되는 동안 상기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는 서로 다른 I 프레임들에 대응하는 해당 영상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S215단계를 수행하는 동안 키 릴리즈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별한다(S217).
상기 S217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FF 또는 REW에 따른 키 입력을 릴리즈 하였는지 판단한다. 이때, 사용자가 FF 또는 REW에 대한 키 입력을 중단하면,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키 릴리즈 신호를 입력받으면, 재생제어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버(300)로 전송한다(S219).
상기 S217단계 및 S219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한 S215단계 수행 중에 사용자가 FF 또는 REW에 따른 키 입력을 릴리즈 하면 이를 감지하고, 상기 키 릴리즈가 발생하면 그에 따른 재생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재생제어정보는 사용자로부터 FF 또는 REW에 대한 키 입력이 릴리지 됨에 따라, 그에 대응하게 변경된 레인지 정보 및 모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된다.
다음으로, 상기 콘텐츠 서버(3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재생제어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재생제어정보에 대응하는 응답을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21).
상기 S221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서버(3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재생제어정보에 포함되는 레인지 정보 및 모드 정보를 판별한다. 이후, 상기 콘텐츠 서버(300)는 상기 모드 정보를 통해 FF 또는 REW에 따른 키 입력이 릴리즈되어 일반 모드(normal mode)로 변경됨을 확인하고, 상기 레인지 정보를 통해 일반 모드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배속정보를 획득한다. 이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300)는 상기 재생제어정보에 대응하는 응답을 전송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서버(300)는 상기 응답 전송과 아울러 상기 재생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시점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재개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키 입력을 릴리즈하는 시점의 재생시간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위치에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가 종료되면, 상기 콘텐츠 서버(300)와 세션 종료 메시지 등의 송수신 절차를 통해 상기에서 설정한 세션을 종료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블록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키입력부(110),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이하 'RF'라 칭하기로 한다)부(120), 제어부(130), 표시부(150) 및 메모리(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입력신호 판별부(131), 콘텐츠 처리부(133) 및 이벤트 처리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키입력부(11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1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상기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특히, 상기 키입력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과 관련한 일련의 제어신호(Con_Signal)를 입력받아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입력부(11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위한 제어신호와,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제어 이벤트 신호 예컨대, 재생의 일시정지, 정지, FF, REW 및 녹화 등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상기 RF부(120)는 사용자 데이터를 외부 다른 휴대 단말기 등으로 무선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웹 서버(Web Server)와의 연동을 통한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관련된 제어신호 등의 송수신 등과 관련한 일련의 통신을 담당한다. 상기 RF부(12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RF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소정 콘텐츠 서버 예컨대, 상기 도 1의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C_data)와 특정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30)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재생제어정보(C_Info)를 상기 콘텐츠 서버(30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특정 프레임은 프레임의 영상 코딩 타입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I 프레임(I frame)을 대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과 관련한 기능을 제어하며, 이를 위하여 입력신호 판별부(131), 콘텐츠 처리부(133) 및 이벤트 처리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신호 판별부(131)는 상기 키입력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Con_Signal)를 감지한다. 특히 상기 입력신호 판별부(131)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신호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입력되는 일시정지, 정지, FF, REW 및 녹화 등의 이벤트 신호 및 키 릴리즈 신호 등과 같은 제어신호(Con_Signal)를 감지한다.
상기 콘텐츠 처리부(133)는 상기 입력신호 판별부(131)에서 감지하는 제어신호(Con_Signal)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과 관련한 일련의 처리를 담당한다. 특히 상기 콘텐츠 처리부(133)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신호에 의거하여 휴대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소정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기능을 처리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부(133)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발생되는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일시중지, 정지, FF, REW 및 녹화 등의 기능을 처리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부(133)는 상기 키 릴리즈 신호에 대응하여 재생 위치가 변경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처리한다.
상기 이벤트 처리부(135)는 상기 콘텐츠 처리부(133)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상기 입력신호 판별부(131)에서 이벤트 신호를 감지하면,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방식이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인지를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이벤트 처리부(135)는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중인 경우에는 재생제어정보(Con_Info)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처리부(135)는 다운로드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중인 경우에는 상기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에서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해당 프레임을 추출한다.
상기 표시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상기 표시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다운로드 방식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스트리밍 방식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게 수신하는 프레임들에 대한 정지 영상 데이터들 또는 다운로드 방식에 의해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에서 추출하는 프레임들에 대한 정지 영상 데이터들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5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하기로 한다)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LCD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50)는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 로그램을 비롯하여, 다운로드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70)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따라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하여 지정된 크기만큼 버퍼링한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휴대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콘텐츠 서버(100) 등을 통해 다운로드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상기 기타 다양한 옵션 기능과 관련한 사용자 데이터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카메라 기능에 의한 촬영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폰 북 데이터와 및 오디오 데이터재 등을 저장하며, 또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 작 설명에 필요한 블록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카메라부 및/또는 디지털 방송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에 따른 표시부의 화면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및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요청되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401)을 실행하여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401) 실행과 아울러,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명령이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재생 명령인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150) 상에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명령이 다운로드 방식에 의한 재생 명령인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메모리(170)로부터 로딩하여 상기 표시부(150) 상에 표시한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401) 상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제어 메뉴로는, 볼륨조절(403), 재생/일시정지(405), FF(407), REW(409), 정지(411), 녹화(413), 프로그래스 바(415) 및 재생시간(417) 등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제어 메뉴 중, 상기 FF(407) 또는 REW(409)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동작을 기존 방법과 비교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기존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FF(407) 또는 REW(409)에 의거한 재생동안, 상기 프로그래스 바(415) 및/또는 재생시간(417)을 통해 FF(407)/REW(409) 입력에 상응하는 해당 시점의 시간 정보만을 제공하며, 그에 대응하여 전환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영상은 변경되지 않는다. 즉, 기존 방법에서는 FF(407)/REW(409)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FF(407)/REW(409) 입력 시점의 고정된 영상을 계속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블랭크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영상을 검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제안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FF(407) 또는 REW(409)에 의거한 재생동안, 상기 프로그래스 바(415) 및/또는 재생시간(417)을 통한 FF(407)/REW(409) 입력에 상응하는 해당 시점의 시간 정보를 비롯하여, 상기 시점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해당 영상들을 추출/수신하여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다운로드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중인 경우 상기 FF(407) 또는 REW(409)의 입력이 발생하는 동안, 해당 영상들을 추출하여 순차적으로 제공한다.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는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중인 경우, 상기 FF(407) 또는 REW(409)의 입력이 발생하는 동안, 해당 영상들을 콘텐츠로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순차적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은, 상기 FF(407) 또는 REW(409)에 대한 입력이 릴리즈될 때까지 변화하는 시점들에 각각 대응하는 영상들을 상기 FF(407) 또는 REW(409)의 해당 배속정보에 따 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희망하는 영상을 보다 수월하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제어 방법과 관련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하기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상기 도 5에서는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스트리밍 서비스 요청이 있는지 판단한다(S501).
상기 S501단계에서, 사용자는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소정의 키 입력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명령을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키입력부를 통해 스트리밍 서비스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요청신호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S503).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정 콘텐츠 서버로 접속한다(S505).
상기 S505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를 나타낸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서버로의 접속 시, 상기 콘텐츠 서버와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세션 설 정(session setup)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요청하는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한다(S507).
상기 S507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접속되면,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지정된 크기만큼 데이터 버퍼링한 후,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에 의거하여 실시간 재생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지 감지한다(S509).
상기 S509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스트리밍 방식에 의거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사용자로부터 키입력부를 통한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벤트 신호를 판단한다. 상기 이벤트 신호는 일시정지, FF, REW, 정지 및 녹화 등의 요청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 5의 예에서는 상기한 이벤트 신호 중 FF 또는 REW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를 대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S509단계에서 FF 또는 REW의 신호가 입력됨을 감지하면, 재생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한다(S511).
상기 S511단계에서 상기 재생제어정보는 재생 요청 정보, URL 정보, 레인지 정보 및 FF 또는 REW의 신호 입력에 따른 모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레인지 정보는 상기 FF 또는 REW의 신호 입력에 대응하는 배속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모드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신호가 FF인지 REW인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S511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특정 프레임(예컨태, I 프레임)을 수신한다(S513단계). 이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수신하는 특정 프레임을 디코딩하여 표시부를 통해 출력한다(S515).
상기 S513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상기 재생제어정보에 상응하여 전송하는 특정 프레임을 수신한다. 상기 S515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수신하는 특정 프레임을 디코딩하여 상기 특정 프레임에 대응하는 해당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S511단계 내지 S515단계는 상기 FF 또는 REW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프레임은 상기 FF 또는 REW 신호의 배속정보에 상응하여 상이한 특정 프레임들이 순차적으로 수신된다. 이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수신하는 특정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디코딩하고, 그에 따른 영상 데이터들을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키 릴리즈가 발생하는지 체크한다(S517).
상기 S517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S511단계 내지 S515단계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FF 또는 REW에 따른 신호 입력이 중단되는지 즉, 키 릴리즈 되는지를 체크한다.
상기 S517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키 릴리즈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S511단계 내지 S515단계를 키 릴리즈가 발생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한다. 상기 S517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키 릴리즈가 발생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한다(S519).
상기 S519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키 릴리즈가 발생하는 시점에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지정된 크기만큼 버퍼링한 후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에 의거하여 실시간 재생한다.
이러한 절차들을 통해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도, FF 또는 REW의 배속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들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체 멀티미디어 콘텐츠에서 자신이 희망하는 위치를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검색 및 이동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상기 도 6에서는 다운로드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요청이 있는지 판단한다(S601).
상기 S601단계에서,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위하여 소정의 키 입력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요청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요청신호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S603).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가 요청하는 해당 멀티미디어 콘 텐츠를 재생한다(S605). 이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지 감지한다(S607).
상기 S607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다운로드 방식에 의거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사용자로부터 키입력부를 통한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벤트 신호를 판단한다. 상기 이벤트 신호는 일시정지, FF, REW, 정지 및 녹화 등의 요청신호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이벤트 신호는 상기 다운로드 방식인 경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반복 재생 요청신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도 6의 예에서는 상기한 이벤트 신호 중 FF 또는 REW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를 대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S607단계에서 FF 또는 REW의 신호가 입력됨을 감지하면, 상기 FF 또는 REW의 신호에 대응하는 해당 배속정보를 판단한다(S609). 이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배속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프레임을 추출한다(S611). 상기 S611단계에서, 상기 프레임은 영상 코딩 타입의 I, P, B 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특정 프레임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I 프레임을 추출하는 경우를 예로 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S611단계에서 추출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한다(S613).
상기 S609단계 내지 S613단계는 상기 FF 또는 REW의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S611단계에서와 같이 추출하는 프레임은 상기 FF 또는 REW 신호의 배속정보에 상응하여 상이한 프레임들이 순차적으로 추출된다. 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는 추출하는 해당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디코딩하 고, 그에 따른 영상 데이터들을 표시부를 통해 순차적으로 출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키 릴리즈가 발생하는지 체크한다(S615).
상기 S615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S609단계 내지 S613단계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FF 또는 REW에 따른 신호 입력이 중단되는지 즉, 키 릴리즈 되는지를 체크한다.
상기 S615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키 릴리즈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S609단계 내지 S613단계를 키 릴리즈가 발생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한다. 상기 S615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키 릴리즈가 발생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한다(S617).
상기 S617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키 릴리즈가 발생하는 시점에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운로드 방식에 의거하여 재생한다.
이러한 절차들을 통해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도, FF 또는 REW의 배속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들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체 멀티미디어 콘텐츠에서 자신이 희망하는 위치를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검색 및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체 재생 구간에서, 사용자가 희망하는 재생 구간으로의 검색 및 이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시, FF/REW 입력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구간 검색 및 이동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중에 FF 또는 REW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FF/REW의 배속정보에 상응하게 추출되는 해당 영상을 순차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부분 검색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FF/REW 입력에 따른 해당 프레임을 디코딩함에 있어서, 영상 코딩 타입의 I , P, B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만을 디코딩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디코딩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지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해당 배속정보를 판단하는 과정과,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배속정보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영상 코딩 타입(picture coding type) 중 특정 영상 코딩 타입 또는 둘 이상의 영상 코딩 타입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10.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는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사용자로부터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배속정보 및 상기 이벤트 신호의 해당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재생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제1 재생제어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재생제어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프레임을 추출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특정 프레임을 수신하면 그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이벤트 신호의 입력이 종료되면 그에 대응하는 제2 재생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제2 재생제어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재생제어정보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신호는 고속감기(Fast Forward) 또는 다시감기(Rewind) 기능을 위한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생제어정보는 상기 이벤트 신호 입력 종료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프레임은 영상 코딩 타입(picture coding type)의 I, P, B 프레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제1 재생제어정보에 포함되는 레인지 정보 및 모드 정보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모드 정보를 통해 휴대 단말기에서 요청되는 이벤트 신호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레인지 정보를 통해 상기 이벤트 신호에 따른 배속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하는 배속정보에 대응하는 재생시간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의 특정 프레임을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재생제어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프레임을 수신하면 상기 특정 프레임을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되는 특정 프레임의 정지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제2 재생제어정보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재생제어정보를 통해 이벤트 신호 입력이 종료되어 일반 모드로 변경됨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재생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시점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하는 위치에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재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18.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장치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신호,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이벤트 신호 및 키 릴리즈 신호를 입력받는 키입력부와,
    콘텐츠 서버에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특정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는 재생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주파수부와,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정지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신호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입력되는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배속정보 및 상기 이벤트 신호의 해당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제어정보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프레임은 영상 코딩 타입(picture coding type)의 I, P, B 프레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신호,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입력되는 이벤트 신호 및 키 릴리즈 신호를 감지하는 입력신호 판별부와,
    상기 재생 신호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상기 이벤트 신호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및 상기 키 릴리즈 신호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처리하는 콘텐츠 처리부와,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해당 프레임의 추출 또는 재생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이벤트 처리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장치.
  21.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중에 휴대 단말기로부터 재생제어정보를 수신하면 그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추출하여 전송하는 콘텐츠 서버와,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이벤트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배속정보 및 상기 이벤트 신호의 해당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재생제어정보에 상응하는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프레임에 대응하는 정지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영상 코딩 타입(picture coding type)의 I, P, B 프레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 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신호,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이벤트 신호 및 키 릴리즈 신호를 입력받는 키입력부와,
    콘텐츠 서버에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특정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는 재생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주파수부와,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정지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며,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하여 지정된 크기만큼 버퍼링하는 메모리와,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에 이벤트 신호 발생 시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배속정보 및 상기 이벤트 신호의 해당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재생제어정보에 상응하여 수신되는 프레임들에 대한 정지 영상 데이터의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060075952A 2006-08-11 2006-08-11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34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952A KR100834959B1 (ko) 2006-08-11 2006-08-11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US11/702,645 US8316404B2 (en) 2006-08-11 2007-02-06 Multimedia playback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N200710078784XA CN101123716B (zh) 2006-08-11 2007-02-27 多媒体播放控制装置及方法
EP07004013.4A EP1887800A3 (en) 2006-08-11 2007-02-27 Multimedia playback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952A KR100834959B1 (ko) 2006-08-11 2006-08-11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362A KR20080014362A (ko) 2008-02-14
KR100834959B1 true KR100834959B1 (ko) 2008-06-03

Family

ID=3846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952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4959B1 (ko) 2006-08-11 2006-08-11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16404B2 (ko)
EP (1) EP1887800A3 (ko)
KR (1) KR100834959B1 (ko)
CN (1) CN1011237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8456B2 (en) 2005-12-23 2011-06-07 Apple Inc. Scrolling list with floating adjacent index symbols
US11991416B2 (en) * 2007-04-13 2024-05-21 Tailstream Technologies, Llc Authenticated stream manipulation
KR101478173B1 (ko) 2007-08-29 2014-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기기 연결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CN101668172B (zh) * 2008-09-03 2012-06-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业务内容的播放方法、系统和装置
KR101019634B1 (ko) * 2008-09-04 2011-03-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미디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10705701B2 (en) 2009-03-16 2020-07-0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rent position in content at a variable scrubbing rate
US8624933B2 (en) 2009-09-25 2014-01-0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a multi-section document
CN101668180A (zh) * 2009-10-09 2010-03-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移动流媒体节目播放的方法及装置
US8891936B2 (en) * 2010-05-07 2014-11-18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device for optimal playback positioning in digital content
US8234411B2 (en) * 2010-09-02 2012-07-3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roviding enhanced content
US8930977B1 (en) 2012-12-10 2015-01-06 Amazon Technologies, Inc. Tracking user affinity through interactions with media files
US8750239B1 (en) 2013-04-18 2014-06-10 iboss Inc. Allocating a pool of shared bandwidth
WO2016036510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Music user interface
US11431836B2 (en) 2017-05-02 2022-08-30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initiating media playback
US10992795B2 (en) 2017-05-16 2021-04-27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US10928980B2 (en) 2017-05-12 2021-02-2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playing and managing audio items
US20220279063A1 (en) 2017-05-16 2022-09-01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CN111343060B (zh) 2017-05-16 2022-02-11 苹果公司 用于家庭媒体控制的方法和界面
US10327026B1 (en) 2017-08-03 2019-06-18 Amazon Technologies, Inc. Presenting content-specific video advertisements upon request
KR102112050B1 (ko) * 2018-01-05 2020-05-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멀티미디어 청크(chunk)를 수신하는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8650407B (zh) * 2018-04-10 2019-04-26 新昌县智创机械有限公司 手机播放故障自查平台
US11010121B2 (en) 2019-05-31 2021-05-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media control
KR20220027295A (ko) 2019-05-31 2022-03-07 애플 인크. 오디오 미디어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CN112135187B (zh) * 2020-07-30 2023-07-28 广州方硅信息技术有限公司 多媒体数据生成方法、截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392291B2 (en) 2020-09-25 2022-07-19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media control with dynamic feedbac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017A (ko) * 1999-08-17 2001-03-05 구자홍 주문형 비디오 시스템(vod)의 서버 데이터 구조와 빨리 보기/빨리 되감아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60065064A (ko) * 2004-12-09 2006-06-14 주식회사 팬택 숫자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지점 이동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8683B2 (ja) * 1992-10-21 1998-02-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ディジタル動画ファイルの特殊再生制御処理方法
JP3367268B2 (ja) * 1995-04-21 2003-01-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のダイジェスト作成装置及び方法
FI105634B (fi) * 1998-04-30 2000-09-15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videokuvien siirtämiseksi, tiedonsiirtojärjestelmä ja multimediapäätelaite
US6496980B1 (en) * 1998-12-07 2002-12-17 Intel Corporation Method of providing replay on demand for streaming digital multimedia
US7493644B1 (en) 1999-12-28 2009-02-17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video fast forward functionality in a mobile phone
JP4543513B2 (ja) 2000-07-17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双方向通信システム、表示装置、ベース装置および双方向通信方法
US20090282444A1 (en) * 2001-12-04 2009-11-12 Vixs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presentation of vide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017A (ko) * 1999-08-17 2001-03-05 구자홍 주문형 비디오 시스템(vod)의 서버 데이터 구조와 빨리 보기/빨리 되감아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60065064A (ko) * 2004-12-09 2006-06-14 주식회사 팬택 숫자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지점 이동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16404B2 (en) 2012-11-20
CN101123716A (zh) 2008-02-13
CN101123716B (zh) 2010-05-26
EP1887800A2 (en) 2008-02-13
KR20080014362A (ko) 2008-02-14
US20080037951A1 (en) 2008-02-14
EP1887800A3 (en)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4959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EP27441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streaming media files
US20010013128A1 (en) Data reception/playback method, data reception/playback apparatus,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ata transmission apparatus
CN100553380C (zh) 用于提供无线数据通讯业务的方法和系统
WO20070867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multimedia contents in communication network
RU2673560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мультимедийной информации, стандартизированный сервер и терминал прямой трансляции
WO2008047647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7017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1242876A (ja) データ受信再生方法、データ受信再生装置、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データ送信装置
CN1835506B (zh) 移动通信终端流媒体服务的提供方法及其流媒体服务系统
KR2011010151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80133655A1 (en) Network system
WO2015052559A1 (en) Multimedia playing control method, apparatus for the same and system
KR100727173B1 (ko) 스트리밍 중 임의 위치 북마크/점프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7706783B2 (en) Channel switching in a mobile station
CN115086295A (zh) 文件传输方法、文件传输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20100072849A (ko) 통화 연결 수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JP675208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501169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US200501357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moving picture in a portable terminal
KR101191460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기능 실행 방법
KR100654550B1 (ko) 비트 레이트를 이용한 데이터의 전송 및 다운로드 방법 및이를 위한 웹 서버 및 이동통신단말기
JP2008072601A (ja) 情報提示方法及び通信端末装置
KR100700599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서비스방법
KR10167225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5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