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3237B1 - 복수의 미디어 포맷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관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미디어 포맷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관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237B1
KR100833237B1 KR1020060057053A KR20060057053A KR100833237B1 KR 100833237 B1 KR100833237 B1 KR 100833237B1 KR 1020060057053 A KR1020060057053 A KR 1020060057053A KR 20060057053 A KR20060057053 A KR 20060057053A KR 100833237 B1 KR100833237 B1 KR 100833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media
streaming
media formats
streaming ser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2061A (ko
Inventor
문세훈
배대규
홍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7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237B1/ko
Publication of KR20070122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2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23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하여 서로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디바이스들이 자신의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타 디바이스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디바이스가 자신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반드시 지원해야 하는 미디어 포맷의 조합에 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게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포맷의 미디어들을 이용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자신의 서비스를 의도대로 구성할 수 있으며, 타 디바이스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디바이스는 자신이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만을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메뉴에 표시함으로써 무분별한 서비스 요청에 의한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미디어 포맷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description of streaming service involving plural media formats}
도 1은 일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에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이용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일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스트리밍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서비스에 관한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스트리밍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스트리밍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하여 서로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디바이스들이 자신의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타 디바이스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 및 저장 매체의 발달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로컬 컨텐츠 뿐 아니라 원격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액세스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일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에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이용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무선랜, 이더넷 등의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른 디바이스에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자신의 방에 있는 PC를 이용하여 거실에 있는 PC로부터 동영상 파일을 가져와 재생할 수 있으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지털 카메라에 있는 이미지들을 자신의 방에 있는 PC에서 감상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들은 원격의 미디어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디바이스들이 능동적으로 어떠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스토리지의 역할만을 할 뿐이다. 따라서, 미디어 파일을 제공하는 디바이스에서는 미리 설정된 값에 따라 자신이 보유한 컨텐츠를 타 디바이스가 액세스 하는 것을 거부할 뿐, 타 디바이스가 가진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적응적으로 컨텐츠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서로에게 미디어 파일을 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디바이스가 자신이 지원할 수 있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인지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다면, 디바이 스들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신이 지원할 수 없는 미디어 포맷을 포함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무분별하게 요청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복수의 미디어 포맷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모든 디바이스가 제약 없이 이용하는 경우, 디바이스별로 특정 미디어 포맷만이 포함된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어 디바이스별로 스트리밍 서비스의 일관성이 없어지는 문제도 발생한다.
따라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자신의 서비스를 서비스의 일관성을 해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원할 수 있어야 하는 미디어 포맷들의 조합에 관한 정보를 타 디바이스들에게 알려야 할 필요가 있으나, 현재에는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는 명시적인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가 자신의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디바이스에게 서비스 이용을 위해 지원해야 하는 미디어 포맷들의 조합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트리밍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지원해야 하는 미디어 포맷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서비스 기술 문서(service description)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서비스 기술 문서를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포맷들의 조합은 적어도 하나 의 필수 미디어 포맷 및, 상기 필수 미디어 포맷과 다른 적어도 하나의 필수 미디어 포맷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 미디어 포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서비스 기술 문서는 합집합(or) 및/또는 교집합(and)을 나타내는 기호 및/또는 문자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포맷들의 조합을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리밍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지원해야 하는 미디어 포맷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서비스 기술 문서(service description)를 추출하는 서비스기술문서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서비스 기술 문서를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포맷들의 조합은 적어도 하나의 필수 미디어 포맷 및, 상기 필수 미디어 포맷과 다른 적어도 하나의 필수 미디어 포맷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 미디어 포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환경에서 다수의 디바이스들은 타 디바이스들이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한다. 이하에서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서비스 서버라고 칭하고,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디바이스를 서비스 클라이언트라고 칭하기로 한다.
도 2의 환경에서, 각 디바이스는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기술 문서(service description)을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제공하고, 타 디바이스의 기술 문서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자신이 지원할 수 있는(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예를 들어, 캠코더가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MPEG-4 포맷의 동영상을 빠른 속도로 재생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할 때, 사용자가 디지털TV를 이용하여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려 하는 경우, 만약 디지털TV가 MPEG-4 포맷의 동영상을 처리할 수 없으면, 디지털TV는 사용자에게 처음부터 해당 서비스를 나타내는 메뉴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서는, 디바이스들이 제공하는 기술 문서에서 해당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서비스들 각각을 이용하기 위해 지원해야 하는 미디어 포맷에 관한 정보를 명시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스트리밍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310에서, 서비스 서버는 서비스 클라이언트로부터 기술 문서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받는다.
단계 320에서, 서비스 서버는 서비스 기술 문서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한다. 즉, 서비스 기술 문서는 서비스 서버의 운영자에 의해 미리 정해져서 메모리에 저장되며, 서비스 서버는 메모리로부터 이를 추출하여 서비스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 는 것이다. 물론, 운영자는 자유롭게 서비스 기술 문서를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기술 문서는 서비스 서버가 자신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지원해야 할 미디어 포맷들의 조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미디어 포맷들의 조합은 크게 필수적인 미디어 포맷과 선택적인 미디어 포맷으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며, 이들은 합집합(or) 및/또는 교집합(and)의 개념을 나타내는 기호나 문자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JPG & MP3 | TXT"와 같이 미디어 포맷의 조합을 표현하는 경우, JPG 및 MP3 포맷의 미디어 파일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디바이스만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규정할 수 있다. 이 때, "|"는 선택적 미디어 포맷을 나타내기 위한 기호이며, 따라서 TXT 포맷은 해당 서비스에 이용되기는 하지만, 서비스 서버는 이러한 포맷을 지원하지 않는 서비스 클라이언트에게도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물론, 이 때의 서비스 클라이언트는 해당 서비스에서 TXT포맷의 미디어가 구성하는 부분을 재생할 수 없을 것이다.
단계 330에서, 서비스 서버는 서비스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 기술 문서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서버가 서비스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기술 문서를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구현예에 따라 네트워크에 새로이 접속한 디바이스는 자신의 서비스 기술 문서를 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에 새로운 디바이스가 접속되었음을 인지한 기존의 디바이스들이 새로운 디바이스에게 자신들의 서비스 기술 문서를 전송하도록 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사용자에게 서비스에 관한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410에서, 서비스 클라이언트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서비스 기술 문서를 수신한다.
단계 420에서, 서비스 클라이언트는 서비스 기술 문서를 참조하여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필수 미디어 포맷들을 자신이 지원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만약 필수 미디어 포맷들 중 하나라도 지원할 수 없다면, 해당 서비스에 대한 메뉴를 표시하지 않는다.
단계 430에서는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모든 필수 미디어 포맷들을 지원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스트리밍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510)는 서비스기술문서추출부(511), 전송부(512) 및 스트리밍부(513)를 포함한다.
서비스기술문서추출부(511)는 서비스 서버(510)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기술 문서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며, 전송부(512)는 추출된 서비스 기술 문서를 서비스 클라이언트(520)에게 전송한다. 스트리밍부(513)는 서비스 기술 문서에 명시된 필수 미디어 포맷들을 모두 지원하는 서비스 클라이언트(520)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클라이언트(520)에게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 A 및 디바이스 B는 모두 "슬라이드 쇼"라는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디바이스 A는 사용자가 배경 음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하며, 디바이스 B는 특정 배경음악이 재생되기를 원하는 경우, 디바이스 A의 서비스 기술 문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Service Text="슬라이드 쇼" media="JPG & mp3">
<Param Text="배경음악" type=file(media="mp3") />
......
</Service>
또한, 디바이스 B의 서비스 기술 문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Service Text="슬라이드 쇼" media="JPG & mp3 />
즉,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디바이스 A 또는 디바이스 B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JPG 포맷의 미디어와 MP3 포맷의 미디어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어야 하며, 디바이스 A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서비스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표시된 "배경 음악"메뉴를 통해 사용자는 배경 음악으로 사용할 MP3파일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디바이스 B의 서비스에서는 사용자가 음악 파일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서버가 전송하는 파일을 재생하게 된다. 어쨌든, 디바이스 A와 디바이스 B의 서비스는 양자 모두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JPG와 mp3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을 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슬라이드 쇼" 서비스에서 mp3포맷의 미디어에 의한 배경 음악이 선택적인 것으로 설정되면 서비스 기술 문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Service Text="슬라이드 쇼" media="JPG | mp3">
<Param Text="배경음악" type=file (media=mp3) />
</Service>
이와 같은 경우, JPG는 가장 처음에 나오기 때문에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필수적으로 지원해야 하는 미디어 포맷이 되나, mp3의 경우는 "|"로 연결되었으므로 선택적인 미디어 포맷이 된다. 즉, JPG만을 지원하고 MP3를 지원하지 않는 서비스 클라이언트도 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클라이언트인 디바이스 B 및 디바이스 C는 서비스 서버인 디바이스 A의 서비스를 이용하려고 하며, 디바이스 A의 서비스 기술 문서는 다음과 같은 부분을 포함한다.
<Service Text="그림 편지" media="JPG & mp3 | txt"> ..... </Service>
<Service Text="토익 모의고사" media="JPG & mp3 & (txt | doc)"> .... </Service>
<Service Text="디지털 앨범" media="JPG | mp3"> .... </Service>
즉, 디바이스 A는 "그림 편지", "토익 모의고사", "디지털 앨범"의 세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디바이스 B는 JPG 또는 PNG 포맷의 미디어를 지원하므로, "디지털 앨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 B가 비록 JPG와 PNG를 동시에 지원할 수 없더라도, "디지털 앨범"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JPG나 mp3 둘 중 하나만 지원해도 되기 때문이다.
한편, 디바이스 C는 JPG를 지원하는 동시에 mp3 또는 mp4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 C는 "디지털 앨범" 뿐 아니라 "그림 편지"의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토익 모의고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JPG와 mp3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어야 하며, 이와 함께 txt 및/또는 doc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하므로, 디바이스 B와 디바이스 C 모두 "토익 모의고사" 서비스는 이용할 수 없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포맷의 미디어들을 이용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자신의 서비스를 의도대로 구성할 수 있으며, 타 디바이스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디바이스는 자신이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만을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메뉴에 표시함으로써 무분별한 서비스 요청에 의한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Claims (5)

  1. 복수의 미디어 포맷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구성하는 미디어 포맷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서비스 기술 문서(service description)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서비스 기술 문서를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포맷들의 조합은 적어도 하나의 필수 미디어 포맷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수 미디어 포맷을 지원하지 않는 디바이스는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요청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기술 문서는 합집합(or) 및/또는 교집합(and)을 나타내는 기호 및/또는 문자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포맷들의 조합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복수의 미디어 포맷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구성하는 미디어 포맷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서비스 기술 문서(service description)를 추출하는 서비스기술문서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서비스 기술 문서를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포맷들의 조합은 적어도 하나의 필수 미디어 포맷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수 미디어 포맷을 지원하지 않는 디바이스는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요청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기술 문서는 합집합(or) 및/또는 교집합(and)을 나타내는 기호 및/또는 문자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포맷들의 조합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의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60057053A 2006-06-23 2006-06-23 복수의 미디어 포맷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관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33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053A KR100833237B1 (ko) 2006-06-23 2006-06-23 복수의 미디어 포맷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관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053A KR100833237B1 (ko) 2006-06-23 2006-06-23 복수의 미디어 포맷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관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2061A KR20070122061A (ko) 2007-12-28
KR100833237B1 true KR100833237B1 (ko) 2008-05-28

Family

ID=3913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053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3237B1 (ko) 2006-06-23 2006-06-23 복수의 미디어 포맷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관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2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216A (ko) * 2002-09-11 2004-03-18 주식회사 쇼테크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정보 전송방법
KR20060063633A (ko) * 2004-12-06 2006-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미디어 변환 장치, 미디어 재생기및 지능형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216A (ko) * 2002-09-11 2004-03-18 주식회사 쇼테크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정보 전송방법
KR20060063633A (ko) * 2004-12-06 2006-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미디어 변환 장치, 미디어 재생기및 지능형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2061A (ko) 200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85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JP5090046B2 (ja) コンテンツ管理方法及び装置
CN101312523B (zh) 搜索与内容数据有关的补充数据的方法及其设备
US201400527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edia content using a dynamic playlist
US8373723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plot data of contents
JP4687691B2 (ja) 機器間操作インターフェース、機器制御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101771437B1 (ko) 컨텐츠의 속성을 기초로 컨텐츠를 제공할 기기를 결정하는 컨텐츠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CN110149539A (zh) 多媒体文件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2173111B1 (ko)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컨텐츠 수신 방법 및 장치
JP2007511829A (ja) コンテンツベースの部分ダウンロード
JP2007158414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仲介サーバ
CN102460414B (zh) 用于提供远程用户界面的方法和装置
CN106101206A (zh) 提供内容的方法和系统
JP477142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977585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情報表示方法
KR100833237B1 (ko) 복수의 미디어 포맷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관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5049770A (ja) 端末推薦装置、端末推薦方法および端末推薦プログラム
JP5028013B2 (ja) コンテンツ出力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出力方法
JP2008060945A (ja) 配信システムおよび配信方法
KR100905657B1 (ko) 미디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JP2010226523A (ja) コンテンツサーバ装置、コンテンツ送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送信プログラム
JP5028454B2 (ja) コンテンツ送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送信方法
JP2012135042A (ja) コンテンツ送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伝送方法
JP487693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211744A (ja) コンテンツ受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