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1710B1 - 카메라 모듈의 조립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의 조립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710B1
KR100831710B1 KR1020060077674A KR20060077674A KR100831710B1 KR 100831710 B1 KR100831710 B1 KR 100831710B1 KR 1020060077674 A KR1020060077674 A KR 1020060077674A KR 20060077674 A KR20060077674 A KR 20060077674A KR 100831710 B1 KR100831710 B1 KR 100831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jig
camera module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7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6071A (ko
Inventor
김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7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710B1/ko
Priority to JP2007205751A priority patent/JP4990716B2/ja
Priority to US11/889,497 priority patent/US7707712B2/en
Priority to CNA2007101436658A priority patent/CN101127312A/zh
Publication of KR20080016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71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2Optical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adjusting optical elements during the assembly of opt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wo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68Multiple-tool ho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68Multiple-tool holder
    • Y10T29/5171Axial tool and transversely movable slide re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087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signal, scale, illuminator, or optical viewer
    • Y10T29/53091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signal, scale, illuminator, or optical viewer for work-holder for assembly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52Means to simultaneously fasten three or more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61Means to align and advance work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313Means to interrelatedly feed plural work parts from plural sources without manual intervention
    • Y10T29/53383Means to interrelatedly feed plural work parts from plural sources without manual intervention and means to fasten work parts together
    • Y10T29/53387Means to interrelatedly feed plural work parts from plural sources without manual intervention and means to fasten work parts together by deform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럴 일체형 하우징을 이용한 카메라 모듈 및 모듈의 초점 조정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는, 사각틀 형태로 구성되어 상단부에 지그가 수평 연결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내부에 수직으로 다단을 이루어 설치되며, 인쇄회로기판을 3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복수의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의 일단부측에서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고, 그 연장 단부측에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는 기판 홀더; 및 상기 지그의 개구 부위에 안착되며, 중앙부에 배럴 일체형 하우징이 장착되는 지그 조립체;를 포함하며, 카메라 모듈의 양산성을 향상되는 이점이 있으며,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고, 작업 시간의 단축에 의해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배럴 일체형 하우징, 인쇄회로기판, 지그, x-y 스테이지, z 스테이지, 고니어 스테이지, 기판 홀더, 지그조립체, 누름 고정판,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의 조립 장치 및 그 조립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camera module}
도 1은 종래 COF 방식의 카메라 모듈 조립 상태를 보인 조립 사시도.
도 2는 종래 COF 방식의 카메라 모듈을 일부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종래 COB 방식의 카메라 모듈 분해 사시도.
도 4는 종래 COB 방식의 카메라 모듈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의 제1 실시예 구성도.
도 9는 도 8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한 구성도.
도 11은 도 10의 "B"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의 제2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
도 13은 도 12의 "C"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배럴 일체형 하우징 111. 인쇄회로기판
112. 이미지센서 120. IR 필터
202. 지그 210. x-y 스테이지
220. z 스테이지 230. 고니어(gonio) 스테이지
240. 기판 홀더 241. 조정핀
250. 지그 조립체 251. 안착 돌기
260. 누름 고정판 270. 판스프링
본 발명은 배럴 일체형 하우징을 이용한 카메라 모듈 및 모듈의 초점 조정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지그 내에 안착된 배럴 일체형 하우징의 하부측에 밀착 결합되는 이미지센서 모듈의 3축 조정으로 초점 조정이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과 배럴 일체형 하우징을 이용한 카메라 모듈 제작을 제작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의 조립 장치 및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 및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최근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한 전화기능 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TV, 게임 등으로 멀티 컨버전스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멀티 컨버전스로의 전개를 이끌어 가는 것 중의 하나로서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이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기존의 30만 화소(VGA급)에서 현재 800만 화소 이상의 고화소 중심으로 변화됨과 동시에 오토포커싱(AF), 광학 줌(optical zoom)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의 구현으로 변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CCM:Compact Camera Module)은 소형으로써 카메라폰이나 PDA,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 등의 다양한 IT 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바, 최근에 이르러서는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에 맞추어 소형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기기의 출시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은, CCD나 CMOS 등의 이미지센서를 주요 부품으로 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상기 이미지센서를 통하여 사물의 이미지를 집광시켜 기기내의 메모리상에 데이터로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기기내의 LCD 또는 PC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매체를 통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통상의 카메라 모듈은 대표적으로 COB(Chip On Board), COF(Chip On Flexible) 등의 방식으로 제작되는 바, 아래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간략한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COF 방식의 카메라 모듈 조립 상태를 보인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COF 방식의 카메라 모듈을 일부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카메라 모듈(1)은 렌즈를 통해 들어온 영상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3)가 저면에 지지되는 하우징(2)과, 상기 이미지센서(3)에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모아주는 렌즈군(4)과, 상기 렌즈군(4)이 내부에 다단 적층되는 배럴(5)의 순차적인 결합에 의해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2)의 하부에는 CCD 또는 CMOS로 이루어진 이미지센서(3)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부품인 콘덴서(condensor)와 저항(resistance)의 칩 부품이 부착된 실장용 기판(FPCB)(6)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카메라 모듈(1)은, 실장용 기판(FPCB, 6)에 다수의 회로 부품이 실장된 상태에서 기판(6)과 이미지센서(3) 사이에 이방전도성필름(ACF:Anisotropic Conductive Flim)(8)을 삽입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통전되도록 접착 고정하고, 그 반대면에 IR 필터(7)를 부착한다.
또한, 다수의 렌즈군(4)이 내장된 배럴(5)과 하우징(2)이 나사 결합에 의해서 가결합시킨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같이, 기 조립된 실장용 기판(6)이 하우징의 저면에 별도의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 고정된다.
한편, 상기 이미지센서(3)가 부착된 실장용 기판(6)과 배럴(5)이 결합된 하우징(2)의 접착 고정 후에 상기 배럴(5)의 전방에 피사체(해상도 챠트)를 일정한 거리로 하여 초점 조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데, 상기 카메라 모듈(1)의 초점 조정은 하우징(2)에 나사 결합된 배럴(5)의 회전에 의한 수직 이송량이 조절됨에 따라 렌 즈군(4)과 이미지센서(3)간의 초점 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피사체의 거리는 대략 50㎝에서 무한대의 거리를 두고 초점 조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최종적인 초점이 조정된 후에는 하우징(2)과 배럴(5)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하여 초점이 맞춰진 상태로 접착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렌즈군(4)이 장착된 배럴(5)을 하우징(2)과 조립 후 이미지센서(3)에 맺히는 상의 초점을 조정하기 위하여 하우징(2)에 나사 결합된 배럴(5)을 좌, 우 회전시켜 수직 이송시킬 때, 상기 하우징(2)과 배럴(5)의 나사 결합 부위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파티클 등의 이물이 IR 필터(7) 또는 이미지센서(3)의 상면으로 떨어져 상기 이미지센서(3)의 수광 영역 상에 노출됨에 따른 이물 불량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실장용 기판(6)과 하우징(2)의 조립 기준은 IR 필터(7)에 의해서 결정되는 바, 상기 IR 필터(7)는 이미지센서(3)와 렌즈군(4)의 중심을 맞추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IR 필터(7)의 장착 위치에 따라 이물에 큰 영향이 미치게 된다.
즉, IR 필터(7)의 장착 위치가 이미지센서(3)에 가까울수록 IR 필터(7)의 상면에 떨어진 이물이 쉽게 인식되고 이와 반대로 IR 필터(7)이 이미지센서(3)에서 멀어질수록 이물에 대한 영향이 둔감해짐에 따라 상기 IR 필터(7)와 이미지센서(3)의 거리를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모듈 설계가 필요하다.
한편, 도 3과 도 4는 COB 방식으로 제작되는 카메라 모듈이 도시된 도면으로 써, 도 3은 종래 COB 방식의 카메라 모듈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 COB 방식의 카메라 모듈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로서, 종래 카메라 모듈(10)은 CCD나 CMOS의 이미지센서(12)가 와이어 본딩 방식에 의해서 장착된 프린트기판(11)이 플라스틱 재질의 하우징(13)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3) 상부로 연장된 경통(14)에 하부로 원통형 몸체(15)가 연장된 렌즈배럴(16)이 결합됨에 의해서 제작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경통(14)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4a)와 원통형 몸체(15)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15a)의 나사 결합으로 하우징(13)과 렌즈배럴(16)이 상호 결합된다.
이때, 상기 프린트기판(11)의 상면, 즉 렌즈배럴(16)의 하단부에 장착된 렌즈(L)와 상기 프린트기판(11)의 하면에 부착된 이미지센서(12) 사이에는 IR 필터(18)가 결합됨으로써, 이미지센서(12)로 유입되는 과도한 장파장의 적외선을 차단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카메라 모듈은, 특정한 사물로부터 유입되는 빛이 렌즈(L)를 통과하면서 상이 반전되어 이미지센서(12)의 표면에 초점을 맞추게 되는 데, 이때 나사 결합에 의해서 하우징(13) 상단에 체결된 렌즈배럴(16)를 회전시키면서 최적의 초점이 맞춰진 지점에서 하우징(13)과 렌즈배럴(16)의 유격 사이로 접착제를 주입하여 하우징(13)과 렌즈배럴(16)를 접착 고정시켜 최종적인 카메라 모듈 제품이 생산된다.
이와 같이, 두 가지 타입(COB, COF)의 카메라 모듈 조립 방식은 공통적으로 하우징(2)(13)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배럴(5)(16)이 삽입되어 각 부재의 내, 외주면에 형성된 암, 수나사부를 이용한 나사 결합으로 밀착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2)(13) 상단에서 배럴(5)(16)의 회전에 의한 높이 조정에 의해서 상기 배럴(5)(16) 내의 렌즈(L)와 인쇄회로기판(6)(11)에 실장된 이미지센서(3)(12) 간의 초점 조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술한 조립 방식으로 제작되는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상기 하우징(2)(13)과 배럴(5)(16)이 수직 결합될 때 암,수 나사부가 틀어진 각도로 맞물리게 되면 나사산이 뭉개지거나 암,수 나사부의 마찰에 의해 그 결합 부위가 마모되면서 미세한 파티클이 발생됨에 따른 이물 불량이 발생하는 등의 조립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하우징(2)(13)과 렌즈배럴(5)(16) 사이에서 발생되는 파티클은 하우징(2)(13)의 상부에 장착된 렌즈배럴(5)(16)을 회전시켜 초점 조정시나 하우징(2)(13)이 좌, 우 흔들림에 따라 하우징(2)(13)과 렌즈배럴(5)(16)의 결합 부위에서 발생된 파티클이 IR 필터(7)(18)의 상면 또는 이미지센서(3)(12)의 수광 영역으로 유입될 수 밖에 없어 이미지센서(12)를 통한 이미지 재현시의 결함으로 작용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3)과 배럴(5)(16)이 나사 결합됨에 따라 나선의 접촉면을 따라 배럴(5)(16)을 회전시킬 때 배럴(5)(16)에 형성된 나선 각도에 따라 렌즈의 기울어짐(tilt)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카메라 모듈 및 그 조립 과정에서 제기되고 있는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모듈 조립용 지그 내에 안착된 배럴 일체형 하우징의 하부에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가접착된 상태에서 지그를 이용한 3축의 위치 조정에 의해서 초점이 조정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제작하기 위한 배럴 일체형 하우징이 지그 내에 안착되고, 상기 지그에 안착된 하우징의 개구부에 핀 또는 흡입 노즐을 통해 흡착 고정된 인쇄회로기판이 밀착되며, 다수의 조정 스테이지에 의해서 x-y 평면 또는 수직의 z축 및 기울어짐 각도 조정에 의한 초점 조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양산성을 향상시키고 부품 갯수를 줄여 모듈의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및 조립 방법이 제공됨에 또 다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모듈 조립용 지그에 안착된 상태로 내부에 다수의 렌즈를 비롯한 IR 필터가 순차적으로 적층 결합되는 배럴 일체형 하우징과, 중앙부에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밀착 결합되어 좌, 우 평면과 수직 거리 및 각도 등의 3축이 조정되는 이미지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 듈 구조가 제공됨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 하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부로 원통형의 배럴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배럴의 내부에 압입링에 의해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와 IR 필터가 순차적으로 적층 결합되고, 하단 개구부에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밀착 결합된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배럴 일체형 하우징의 하부에 밀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좌, 우 이동과 밀착 결합 정도에 따른 이미지센서와 하우징에서 연장된 배럴 내의 렌즈와의 간격 조정에 의해서 초점 조정이 수행됨으로써, 상기 배럴 내의 렌즈와 항상 수평 상태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하고 용이한 초점 조정이 가능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압입링은 그 외주면이 밀착되는 배럴 내벽면과의 공간에 접착제가 주입 경화됨에 의해서 상기 렌즈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렌즈의 하부에 장착 가능한 IR 필름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상의 지그에 장착되며 중앙부에 배럴 일체형 하우징이 안착되는 지그 조립체와, 상기 지지프레임 내에 상호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x-y 스테이지, z 스테이지 및 고니어(gonio) 스테이지와, 상기 고니어 스테이지의 일단에서 돌출되어 연장 형성된 기판 홀더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각 스테이지는 각각 인쇄회로기판의 평면이동과 광축 방향의 수직 이동 및 기판 자체의 기울기를 조정하게 되며, 상기 고니어 스테이지에서 연장된 기판 홀더와 개별적으로 연동됨으로써, 각 스테이지에 구비된 조정 노브를 이용하여 기판 홀더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기판 홀더는 홀더 전방으로 한 쌍의 조정핀이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조정핀에 의한 기판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한 쌍의 흡입 노즐이 연장되어 그 단부에 밀착된 인쇄회로기판의 저면이 흡착됨에 의해서 기판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럴 일체형 하우징을 지그 조립체에 안착시켜 상기 지그 조립체가 지지프레임 상의 지그에 장착되는 단계와, 상기 하우징 내에 다수의 렌즈 및 IR 필터를 내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지프레임 내에 설치된 고니어 스테이지로부터 연장된 기판 홀더에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는 단계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하우징 저면에 밀착시키고 각 스테이지의 작동에 의한 3축 조정에 의하여 최적의 초점이 조정되는 단계와, 상기 하우징과 인쇄회로기판을 본딩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방법이 제공됨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과 이의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의 상기 목적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과 그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 모듈의 구조
먼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원통형의 배럴(102)이 일체로 연장된 하우징(101)의 하부에 이미지센서 모듈(110)이 접착제(104)를 통해 밀착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이미지센서 모듈(110)은 연성인쇄회로기판(FPCB)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111)의 중앙부에 이미지센서(112)가 실장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의 테두리부에 하우징(101)의 하단부가 접착제(104)가 도포된 상태로 밀착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101)은 일체로 연장된 원통형의 배럴(102) 내부로 다수의 렌즈(L)가 적층 결합되고, 상기 렌즈(L)의 하부측 하우징 내에는 상기 렌즈(L)를 통해 입사되는 입사광 중에 과도한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IR 필터(120)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렌즈(L)는 압입링(121)을 통해 배럴(102) 내에 고정되며, 상기 압입링(121)에 형성된 단차부(121a)에 접착제가 주입, 경화됨에 의해서 상기 렌즈(L)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101)의 하부에 밀착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111)은 중앙부에 이미지센서(112)가 와이어 본딩 등의 방식으로 실장되고, 그 저면 양측부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 고정용 홀(111a)이 구비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은 하우징(101)의 하단부에 수평 상태로 UV 접착제에 의해 가결합된 상태에서 후술될 별도의 지그를 이용한 평면 이송과 상, 하 이동에 의해 렌즈(L)와의 간격 조정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경사(tilt) 각도가 조정된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의 저면에 형성된 홀(111a)을 통해 후술된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의 조정핀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의 고정과 유동 가능한 각 방향으로 상기 조정핀의 움직임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1)의 배럴(102) 내에 적층 결합된 렌즈(L)와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의 중앙부에 실장된 이미지센서(112) 간의 초점이 초점이 조정되고, 상기 하우징(101) 하단부와 인쇄회로기판(111) 사이에 주입된 접착제(104)가 UV 조사에 의해 경화되어 하우징(101)과 기판(111)이 밀착 고정됨으로써 카메라 모듈(100)의 제작이 완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은 그 저면이 홀(111a)이 가공되지 않은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그 저면에 에어의 흡입을 이용한 홀더(도면 미도시)의 진공 흡착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이 홀더 단부에 고정되어 초점 조정을 위한 기판(111)의 유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1)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된 배럴(102)의 내부에 다단으로 렌즈(L)가 적층 결합되고, 상기 렌즈(L)의 하부에 배럴(102)의 내주면과 렌즈(L)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환형의 제1 압입링(121)이 결합되며, 상기 제1 압입링(121) 하면에 압착되는 환형의 제2 압입링(122)을 통해 IR 필름(130)이 고정된다.
상기 제1 압입링(121)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럴(102) 내의 최하부측 렌즈(L)를 포함한 렌즈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밀착 고정됨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입링(121)의 외주면에 단차부(121a)가 형성되어 상기 단차부(121a)를 통해 접착제가 주입, 경화됨으로써, 상기 렌즈(L)를 배럴(102) 내에 압착된 상태로 고정시켜 상기 배럴(102) 내부에서 렌즈(L)의 이탈 및 유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압입링(121)의 하부에는 원판형의 IR 필름(130)과 제2 압입링(122)이 순차적으로 적층 결합된다. 즉, 상기 IR 필름(130)은 한 쌍의 압입링(121)(122) 사이에서 그 상, 하 주연부가 압착됨으로 인하여 상기 배럴(102)의 하부측에 상기 렌즈(L)와 수평을 이루도록 장착된다.
상기 제2 압입링(122)은 IR 필름(130)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그 외주면 측으로 접착제가 주입, 경화되는 데, 상기 제2 압입링(122)의 접합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배럴(102)의 내주면측으로 단턱부(122a)가 형성되어 상기 단턱부(122a)에 주입된 접착제의 경화에 의해서 상기 배럴(102) 내부에 제2 압입링(122)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압입링(121)과 제2 압입링(122)을 고정시키기 위한 상기 접착제는 에폭시 또는 UV의 조사에 의해서 경화되는 UV 접착제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압입링(121)과 제2 압입링(122) 사이에 압착 결합된 IR 필름(130)은 폴리머(polymer) 계열의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고, 그 외주면이 배럴(102) 내주면에 밀착 가능한 크기로 재단되어 상기 배럴(102) 내에 복개됨으로써, 상기 렌즈(L)를 관통하는 입사광 중에 포함된 적외선의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IR 필름(130)은 중앙부의 처짐이 발생되지 않을 정도의 90㎛ 내지 100㎛ 정도의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도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이 하우징(101)의 하단부에 수평 상태로 밀착된 상태에서 별도의 지그를 이용한 평면 이송과 상, 하 이동에 의해 렌즈(L)와의 간격 조정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경사(tilt) 각도가 조정됨에 따라 렌즈(L)와 이미지센서(112)간의 초점 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제1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의 제1 실시예 구성도이고, 도 9는 도 8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200)는 사각틀 형태로 유지되는 지지프레임(201)과, 상기 지지프레임(201) 내부에 설치되고 각각 조정 노브(211,212,221,231)가 구비된 x-y 스테이지(210), z 스테이지(220) 및 고니어 스테이지(230)와, 상기 고니어 스테이지(23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단부측에 인쇄회로기판(111)이 고정되는 기판 홀더(240)와, 상기 지지프레임(201) 상의 지그(202)에 안착되는 지그 조립체(2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그 조립체(250)는 중앙부에 배럴 일체형 하우징(101)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지그(202)의 개구된 부위로 안착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1)은 상단부에 수평 연결되는 지그(202)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지지됨과 동시에 내부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각 스테이지(210,220,230)의 수직의 상태로 지지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1)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지그(202) 상에는 카메라 모듈(100)을 조립하기 위한 배럴 일체형 하우징(101)이 장착된 지그 조립체(250)가 안착되는 바, 상기 지그 조립체(250)는 양측 하부에 형성된 안착 돌기(251)에 의해서 지그(202) 상에서의 장착 위치가 안내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01)의 내측에는 각각 x축 조정 노브(211)와 y축 조정 노브(212)가 구비된 x-y 스테이지(210)와, z축 조정 노브(221)가 구비된 z 스테이지(220) 및 각도 조정 노브(231)가 구비된 고니어 스테이지(230)가 광축 방향으로 다단을 이루어 수직 설치된다.
상기 각 스테이지(210,220,230)는 다수의 조정 노브(211,212,221,231)의 조정에 의해 유동되는 축(도면 미도시)이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축의 일단부에서 상기 고니어 스테이지(230)의 외측으로 기판 홀더(240)가 연장 형성되어 상 기 축의 움직임을 따라 유동된다.
상기 기판 홀더(240)는 그 연장 단부측으로 한 쌍의 조정핀(241)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조정핀(241)의 단부가 앞서 설명된 카메라 모듈(100)을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111)의 저면에 형성된 홀(111a)에 삽입됨에 의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이 기판 홀더(240)에 고정된다.
상기 기판 홀더(24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이 상기 지그(202)에 안착되는 지그 조립체(250)에 장착된 배럴 일체형 하우징(101) 하부에 인쇄회로기판(111)이 밀착 결합되기 전에 위치 조정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기판 홀더(240)의 위치 조정은 x축 및 y축 조정 노브(211)(212)의 조작으로 평면상으로 이송되고, z축 조정 노브(221)의 조작으로 수직의 위치가 조정된다.
즉, 상기 x-y 스테이지(210)와 z 스테이지(220)에 구비된 각 조정 노브(211,212)(221)의 조작으로 유동되는 축에서 연장된 기판 홀더(240)의 x-y축 평면 이송과 z축 수직 이송에 의해서 인쇄회로기판(111)의 위치 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니어 스테이지(230)에 구비된 경사 조정 노브(231)를 통해 인쇄회로기판(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x축, y축의 경사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기울기(tilt) 조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이 하우징(101) 하단부에 밀착되게 결합될 때 기판 홀더(240)의 조정핀(241) 단부측에 고정된 인쇄회로기판(111)은 상기 하우징(101) 내의 장착된 렌즈(L)를 경유하는 광축과 그 중심이 일치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그 조립체(250)는 하단부에 인쇄회로기판(111)이 UV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UV 접착제(104)가 개재되어 하부에 가결합된 배럴 일체형 하우징(101)이 중앙부에 장착되며, 상기 지그 조립체(250)의 중앙부에 하우징(101) 상부로 연장된 배럴(102)의 외주면이 압착 결합된 상태로 지그(202) 상에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1)을 지그 조립체(250)에 견고하게 장착하기 위해서 상기 배럴(102)의 양측부 내지는 외주면 상에는 결착홈(102a)이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배럴(102)의 외주면이 압착되는 지그 조립체(250)의 내측면 상에 상기 결착홈(102a)에 대응 결합되는 결착 돌기(251)가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그 조립체(250)는 중앙부에 압착 고정된 배럴(102)의 양측부에 한 쌍의 스프링(252)이 장착됨으로써, 상기 배럴(102)의 외주면이 탄성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101)의 하부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111)의 z축 이송을 위하여 z 스테이지(230)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하우징(101)의 탈락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의 각 방향 이송과 각도 조정은 하우징(101) 하단부와 인쇄회로기판(111) 사이의 접착제의 도포 후 상기 접착제가 가경화된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111)의 유동에 의한 초점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200)는 지지프레임(201)의 상단에 구비된 지그(202)에 배럴 일체형 하우징(101)이 장착된 지그 조립체(250)가 안착되고, 상기 하우징(101)의 직하부에 기판 홀더(240)에 고정된 인쇄회로기판(111)을 위치시켜 상기 하우징(101)과 인쇄회로기판(111)의 상호 접합되도록 하 며, 상기 배럴(102) 내의 렌즈(L) 광축과 이미지센서(112) 중심의 일치와 간격 조정에 의한 초점이 조정되도록 함에 의해서 배럴 일체형 하우징(101)을 이용한 카메라 모듈이 구성되는 바, 구체적인 조립 방법은 하기에서 좀 더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의 변형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여기서, 상기 변형예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제1 실시예와 상이한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며,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200)는 지지프레임(201)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지그(202)에 배럴 일체형 하우징(101)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101)의 상부와 지그(202)의 일부분이 복개되도록 누름 고정판(260)이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의 배럴 양측부에는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이 방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럴(102)의 양측부에 걸림 돌기(102b)가 돌출되고, 이는 지그(202)의 하우징 장착 부위 내주면에 형성된 단차부(202a)에 걸림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1)의 하부에는 지지프레임(201) 내의 고니어 스테이지(230)로부터 연장된 기판 홀더(240)에 장착되어 상기 기판 홀더(240)의 움직임을 따라 유동되는 인쇄회로기판(111)이 밀착 결합되며, 상기 기판 홀더(24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프레임(201) 내에 다단으로 설치된 x-y 스테이지(210), z 스테이지(220) 및 고니어 스테이지(230)에 구비된 각 조정 노브(211,212,221,231)의 작동으로 구동된다.
한편, 상기 지그(202)에 안착된 배럴 일체형 하우징(101) 상부를 덮고 있는 누름 고정판(260)은 한 쌍의 판스프링(270)에 의해서 고정되고, 그 중앙부에 외부의 광이 상기 하우징(101)의 배럴(102) 내에 장착된 렌즈(L)를 통해 입사될 수 있도록 통공(26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270)은 일단부측이 지그(202)의 상면에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되고, 그 내측으로 연장된 탄성 지지체(271)가 누름 고정판(260)의 상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우징(101)의 하부에 초점 조정을 위한 인쇄회로기판(111)의 z축 유동 시 상기 기판 홀더(240)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대하여 하우징(101)이 탄성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배럴 일체형 하우징(101)의 하단부에 기판 홀더(240)에 고정된 인쇄회로기판(111)이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의 위치 및 각도 조정에 의한 초점 조정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2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의 제2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C"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지지프레임(301)과, 상기 지지프레임(301)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지그(302)에 안착된 지그 조립체(350)와, 상기 상기 지지프레임(301) 내부에 설치되고 각각 조정노브(311,312,321,331)가 구비된 x-y 스테이지(310), z 스테이지(320) 및 고니어 스테이지(330)와, 상기 고니어 스테이지(330) 외부로 연장 형성되어 단부측에 인쇄회로기판(111)이 고정되는 에어 홀더(340)로 구성된다.
상기 지그 조립체(350)는 중앙부에 배럴 일체형 하우징(101)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지그(302)의 개구된 부위로 안착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02)의 내측에는 x축 조정 노브(311)와 y축 조정 노브(312)가 구비된 x-y 스테이지(310)와, z축 조정 노브(321)가 구비된 z 스테이지(320) 및 각도 조정 노브(331)가 구비된 고니어 스테이지(330)가 하우징(101) 내에 장착된 렌즈(L)의 광축 방향으로 다단을 이루어 수직 설치된다.
상기 각 스테이지(310,320,330)는 다수의 조정 노브(311,312,321,331)의 조정에 의해 유동되는 축(도면 미도시)이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축의 일단부에서 상기 고니어 스테이지(330)의 하부측으로 에어 홀더(340)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축의 움직임을 따라 유동된다.
상기 에어 홀더(340)는 그 연장 단부측으로 한 쌍의 흡입 노즐(341)이 연장되며, 상기 흡입 노즐(341)의 단부가 인쇄회로기판(111)의 저면에 흡착됨에 의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이 에어 홀더(34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배럴 일체형 하우징(101)은 지그(302)에 안착된 지그 조립 체(350)에 하단 개구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장착되고, 그 개구부의 상부에서 인쇄회로기판(111)이 밀착 결합된다.
상기 에어 홀더(35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이 상기 지그 조립체(350)에 뒤집힌 상태로 장착된 배럴 일체형 하우징(101)의 하단 개구부에 초점이 조정되도록 위치 조정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에어 홀더(350)의 위치 조정은 x축 및 y축 조정 노브(311)(312)의 조작으로 평면 이송되고, z축 조정 노브(321)의 조작으로 수직의 위치가 조정된다.
즉, 상기 x-y 스테이지(310)와 z 스테이지(320)에 구비된 각 조정 노브(311,312)(321)의 조작으로 유동되는 축에서 연장된 기판 홀더(350)의 x-y축 평면 이송과 z축 수직 이송에 의해서 인쇄회로기판(111)의 위치 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니어 스테이지(330)에 구비된 경사 조정 노브(331)를 통해 인쇄회로기판(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x축, y축의 경사 각도가 조정된다.
한편, 상기 고니어 스테이지(330)를 비롯한 x-y 스테이지(310) 및 z 스테이지(320) 중의 어느 하나에는 상기 에어 홀더(340)의 흡입 노즐(341)과 연결되어 흡입 압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압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흡입 모터(도면 미도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모듈 조립 방법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을 조립하는 방법을 상기에서 설명된 제1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먼저, 배럴 일체형 하우징(101)을 지그 조립체(250)에 안착시켜 지그(202)에 장착되거나, 지그(202) 상에 직접 결합되어 누름 고정판(260)과 판스프링(270)을 이용한 탄성 결합을 이룬다.
이때, 상기 배럴 일체형 하우징(101)은 지그 조립체(250)의 장착 위치, 즉 지지프레임(201)의 상단과 하단이 연결된 지그(202)와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의 위치 조정을 위한 각 스테이지(210,220,230)의 설치 위치를 고려하여 장착 방향이 결정된다.
다음, 상기 하우징(101) 내에 다수의 렌즈(L) 및 IR 필터(13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내입되며, 상기 렌즈(L)는 환형의 압입링(121)에 의해서 배럴(102) 내부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된다. 또한, 상기 IR 필터(130)는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렌즈(L)의 직하부에서 렌즈(L)와 동시에 압입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01) 내에 설치된 고니어 스테이지(230)의 외측으로 연장된 기판 홀더(240)에 이미지센서(112)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111)이 장착되는 바,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은 저면에 핀 고정용 홀(111a)이 구비되어 상기 기판 홀더(240)의 전방으로 연장된 조정핀(241)의 단부가 삽입됨에 의해서 고정되거나,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의 저면이 흡입 노즐(341)이 구비된 에어 홀더(340)에 흡착 고정되어 상기 홀더(240,340)의 움직임에 따라 각 방향의 유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기판 홀더(240)에 장착된 인쇄회로기판(111)을 상기 하우징(101)의 하단 개구부 상에 접착제(104)가 개재된 상태로 밀착시키고, 상기 지지 프레임(102) 내에 설치된 x-y 스테이지(210), z 스테이지(220) 및 고니어 스테이지(230)를 구동시켜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의 중심으로 기준으로 한 3축(x축, y축, z축) 조정과 기울기(tilt) 각도 조정에 의해서 상기 렌즈(L)와 이미지센서(112) 간의 최적 초점이 조정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렌즈(L)와 이미지센서(112) 간의 초점 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하우징(101)과 인쇄회로기판(111)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를 UV 등을 이용하여 경화시켜 하우징(101)과 인쇄회로기판(111)이 본딩 결합됨에 의해서 카메라 모듈의 제작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치환,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지그 내에 안착된 배럴 일체형 하우징의 하부에 인쇄회로기판이 가접착된 상태에서 지그를 이용한 3축의 위치 조정에 의해서 렌즈와 이미지센서간 초점이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여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인쇄회로기판의 위치 조정만으 로 손쉽고 용이하게 초점 조정이 완료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는 지그에 안착된 하우징의 개구부에 핀 또는 흡입 노즐을 통해 흡착 고정된 인쇄회로기판이 밀착되며, 다수의 조정 스테이지에 의해서 x-y 평면 또는 수직의 z축 및 기울어짐 각도 조정에 의한 초점 조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양산성을 향상되는 이점이 있으며,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고, 작업 시간의 단축에 의해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19)

  1. 사각틀 형태로 구성되어 상단부에 지그가 수평 연결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내부에 수직으로 다단을 이루어 설치되며, 인쇄회로기판을 3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복수의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의 일단부측에서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고, 그 연장 단부측에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는 기판 홀더; 및
    상기 지그의 개구 부위에 안착되며, 중앙부에 배럴 일체형 하우징이 장착되는 지그 조립체;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는, 상기 기판 홀더에 고정된 인쇄회로기판을 평면 이송시키기 위한 x-y 스테이지와, 수직 이송을 위한 z 스테이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기울기 각도를 조정하는 고니어 스테이지로 구성되어 광축 방향으로 수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x-y 스테이지, z 스테이지 및 고니어 스테이지는, 각각 x축 조정 노브, y축 조정 노브와 z축 조정 노브 및 각도 조정 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상에 안착되는 지그 조립체는, 그 양측 하부에 안착 돌기가 형성되어 지그 상에서의 장착 위치가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홀더는, 그 연장 단부측으로 한 쌍의 조정핀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조정핀의 단부가 인쇄회로기판의 저면에 형성된 핀 고정용 홀에 삽입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조립체에 안착되는 하우징은, 일체로 연장된 배럴의 외주면 상에 결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럴의 외주면이 압착되는 지그 조립체의 내측면 상에 상 기 결착홈에 대응 결합되는 결착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조립체는, 중앙부에 안착된 배럴의 양측부로 한 쌍의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배럴 외주면이 탄성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8. 사각틀 형태로 구성되어 상단부에 지그가 수평 연결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내부에 수직으로 다단을 이루어 설치되며, 인쇄회로기판을 3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복수의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의 일단부측에서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고, 그 연장 단부측에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는 기판 홀더;
    상기 지그의 개구 부위에 배럴 일체형 하우징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상기 지그의 일부분이 복개되는 누름 고정판; 및
    상기 누름 고정판의 상면이 탄성 지지되는 한 쌍의 판스프링;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는, 상기 기판 홀더에 고정된 인쇄회로기판을 평면 이송시키기 위한 x-y 스테이지와, 수직 이송을 위한 z 스테이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기울기 각도를 조정하는 고니어 스테이지로 구성되어 광축 방향으로 수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x-y 스테이지, z 스테이지 및 고니어 스테이지는, 각각 x축 조정 노브, y축 조정 노브와 z축 조정 노브 및 각도 조정 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홀더는, 그 연장 단부측으로 한 쌍의 조정핀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조정핀의 단부가 인쇄회로기판의 저면에 형성된 핀 고정용 홀에 삽입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체로 연장된 배럴의 양측부에 걸림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그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차부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고정판은, 중앙부에 외부의 광이 상기 하우징의 배럴 내에 장착된 렌즈를 통해 입사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일단부측이 지그의 상면에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되고, 그 내측으로 연장된 탄성 지지체에 의해서 누름 고정판의 상면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15. 사각틀 형태로 구성되어 하단부에 지그가 수평 연결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내부에 수직으로 다단을 이루어 설치되며, 인쇄회로기판을 3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복수의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의 일단부측에서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고, 그 연장 단부측에 인쇄회로기판이 흡착 고정되는 에어 홀더; 및
    상기 지그의 개구 부위에 안착되며, 중앙부에 배럴 일체형 하우징이 장착되는 지그 조립체;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는, 상기 기판 홀더에 고정된 인쇄회로기판을 평면 이송시키기 위한 x-y 스테이지와, 수직 이송을 위한 z 스테이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기울기 각도를 조정하는 고니어 스테이지로 구성되어 광축 방향으로 수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x-y 스테이지, z 스테이지 및 고니어 스테이지는, 각각 x축 조정 노브, y축 조정 노브와 z축 조정 노브 및 각도 조정 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홀더는, 그 연장 단부측으로 한 쌍의 흡입 노즐이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19. 배럴 일체형 하우징을 지그 조립체에 안착시키고, 상기 지그 조립체가 지지프레임의 지그 상에 장착되는 단계;
    상기 하우징 내에 다수의 렌즈 및 IR 필터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내입시키는 단계;
    상기 지지프레임 내에 설치된 고니어(gonio) 스테이지의 외측으로 연장된 기판 홀더에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는 단계;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하우징의 하단 개구부 상에 밀착시키고, x-y 스테이지, z 스테이지 및 고니어 스테이지에 구비된 각 조정 노브의 작동에 의한 인쇄회로기판의 3축 조정에 의하여 상기 렌즈와 이미지센서 간의 최적 초점이 조정되는 단계; 및
    상기 하우징과 인쇄회로기판이 본딩 접합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조립 방법.
KR1020060077674A 2006-08-17 2006-08-17 카메라 모듈의 조립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31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674A KR100831710B1 (ko) 2006-08-17 2006-08-17 카메라 모듈의 조립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JP2007205751A JP4990716B2 (ja) 2006-08-17 2007-08-07 カメラモジュールの組立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US11/889,497 US7707712B2 (en) 2006-08-17 2007-08-14 Apparatus for assembling camera module
CNA2007101436658A CN101127312A (zh) 2006-08-17 2007-08-16 用于装配摄像模块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674A KR100831710B1 (ko) 2006-08-17 2006-08-17 카메라 모듈의 조립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071A KR20080016071A (ko) 2008-02-21
KR100831710B1 true KR100831710B1 (ko) 2008-05-22

Family

ID=39095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76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1710B1 (ko) 2006-08-17 2006-08-17 카메라 모듈의 조립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07712B2 (ko)
JP (1) JP4990716B2 (ko)
KR (1) KR100831710B1 (ko)
CN (1) CN10112731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212B1 (ko) * 2009-09-14 2011-05-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카메라 모듈의 초점 조절 방법 및 카메라 모듈의 초점 조절 장치
KR101122502B1 (ko) * 2011-11-14 2012-03-16 주식회사 엠피에스 하우징 커버 어태칭 장치
KR101128642B1 (ko) * 2010-07-06 2012-03-2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제조를 위한 핫바 공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핫바 공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93562A (zh) * 2008-01-21 2009-07-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筒旋入装置及镜筒定位方法
JP2009194543A (ja) * 2008-02-13 2009-08-27 Panasonic Corp 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44391B1 (ko) * 2008-06-16 2010-02-26 아엠아이테크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얼라인먼트 장치 및 그 방법
CN101630054A (zh) * 2008-07-15 2010-01-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相机模组及其制造方法
KR100949537B1 (ko) * 2008-08-06 2010-03-25 (주)에이에스티 카메라 모듈 하우징과 fpcb를 자동으로 본딩하는 장치
JP4862024B2 (ja) * 2008-08-29 2012-01-25 東芝テリー株式会社 カメラマウント組立装置およびカメラマウントの組立方法
US7965458B2 (en) * 2009-06-25 2011-06-2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lutching jig
TWM382505U (en) * 2010-01-15 2010-06-11 Cheng Uei Prec Ind Co Ltd Video device
JP5601000B2 (ja) * 2010-03-31 2014-10-08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
US20120057016A1 (en) * 2010-09-04 2012-03-08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Multifunctional working platform for the process of an image sensor module
KR101445223B1 (ko) * 2010-10-25 2014-09-29 삼성전기주식회사 하우징, 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CN102608723A (zh) * 2011-01-20 2012-07-25 奇景光电股份有限公司 晶片级镜头模块
CN102170531B (zh) * 2011-03-23 2013-02-06 上海威乾视频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拍摄设备的图像传感器模块及其装配方法
US9009952B2 (en) * 2011-08-29 2015-04-21 Asm Technology Singapore Pte. Ltd. Apparatus for assembling a lens module and an image sensor to form a camera module,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1387295B1 (ko) 2012-05-14 2014-04-1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 및 방법
US9016352B2 (en) 2012-05-21 2015-04-28 Calvary Applied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oling rejected heat from server racks
KR101332082B1 (ko) 2012-06-18 2013-11-2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제조장치
US8436246B1 (en) 2012-10-19 2013-05-07 Calvary Applied Technologies, LLC Refrigerant line electrical ground isolation device for data center cooling applications
CN102881968A (zh) * 2012-10-19 2013-01-16 上海理工大学 金属平板波导谐振腔结构的双通道可调谐太赫兹滤波器
CN103731607B (zh) * 2013-12-24 2016-09-28 惠州市桑莱士光电有限公司 一种手机摄像头模组组装方法
KR20150144077A (ko) * 2014-06-16 2015-12-2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초점 조정 및 본딩 장치와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의 초점 조정 및 본딩 방법
CN105262936A (zh) * 2014-07-17 2016-01-20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一种摄像模组的制造方法及其模组半成品
EP3226050A4 (en) * 2014-11-27 2017-12-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maging apparatus
DE102015201998A1 (de) * 2015-02-05 2016-08-11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Kameramodu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CN104635316A (zh) * 2015-02-06 2015-05-20 上海索广映像有限公司 一种四棱镜接着治具及其工作原理
EP3745196B1 (en) 2015-06-08 2022-11-16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KR102344460B1 (ko) * 2015-06-08 2021-12-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581393B1 (ko) * 2015-06-15 2015-12-31 박형진 카메라 모듈용 배럴 고정구
CN106425212B (zh) * 2016-09-19 2018-05-08 武汉锐泽科技发展有限公司 摄像头焊接载条及载具
WO2018146985A1 (ja) * 2017-02-08 2018-08-16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調整機構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JP2019012161A (ja) * 2017-06-30 2019-01-24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位置調整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110445959B (zh) * 2018-05-04 2021-05-07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摄像模块的组装方法
DE102018216951A1 (de) * 2018-10-02 2020-04-02 Leica Microsystems Cms Gmbh Verstellbarer mechanischer Halter zur Feinjustage der Position eines Elements wie einer Linse
CN109536882B (zh) * 2018-12-29 2023-09-15 安庆帝伯粉末冶金有限公司 一种气门座圈铜环叠放防错装置及方法
CN110336933B (zh) * 2019-07-10 2020-11-10 慧眼自动化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感光芯片镜头组装设备及组装方法
CN112526692B (zh) * 2019-11-07 2022-08-19 江西联益光学有限公司 双镜筒镜头、镜头模组及组装方法
US11711601B2 (en) 2019-11-07 2023-07-25 Jiangxi Lianyi Optics Co., Ltd. Double barrels lens, lens modu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CN110933270B (zh) * 2019-11-25 2021-08-06 天津津航技术物理研究所 一种六自由度精密调整成像芯片组件结构
KR200491352Y1 (ko) * 2019-12-09 2020-03-25 주식회사 리얼마이크로시스템 고정수단이 구비된 위치결정 스테이지
CN112040758B (zh) * 2020-09-09 2024-11-01 珠海广浩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摄像头热压模组
CN112630922B (zh) * 2020-11-30 2022-11-11 江西联创电子有限公司 镜头模组及其装配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860B1 (ko) 2003-09-09 2004-02-14 주식회사 엔알티 카메라 모듈의 조립 장치
KR20070080083A (ko) * 2006-02-06 2007-08-09 삼성전기주식회사 내마모성이 향상된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3928A (ja) 1986-11-22 1988-06-06 松永 是 藍藻の海水での培養法
JPH0618747Y2 (ja) * 1987-02-25 1994-05-18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自動装着機
JP2692955B2 (ja) 1989-05-30 1997-12-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並列型a/d変換器
JPH0637860Y2 (ja) * 1989-05-31 1994-10-05 株式会社カイジョー ワーククランプ機構
JP2002170288A (ja) * 2000-11-29 2002-06-14 ▲らい▼徳科技股▲ふん▼有限公司 締付タイプの光ディスク搬送装置
US6798031B2 (en) * 2001-02-28 2004-09-28 Fujitsu Limite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TW548843B (en) 2001-02-28 2003-08-21 Fujitsu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3961797B2 (ja) * 2001-08-28 2007-08-22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レンズ光軸調整装置
JP3995521B2 (ja) * 2002-04-26 2007-10-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ユニット組立装置
JP4075563B2 (ja) * 2002-10-11 2008-04-16 株式会社デンソー ワークのクランプ機構
JP4140491B2 (ja) * 2003-09-10 2008-08-27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生産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た組立装置
JP2005198103A (ja) * 2004-01-08 2005-07-21 Inter Action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の組立装置および組立方法
KR100607078B1 (ko) 2004-08-17 2006-08-03 (주)엠텍코리아 소형 카메라 모듈의 포커싱 및 본딩을 위한 장치, 소형카메라 모듈 지지용 지그조립체 및 이들을 이용한 소형카메라 모듈의 포커싱 및 본딩 방법
JP2006154319A (ja) * 2004-11-30 2006-06-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ユニット、撮像ユニットを有する撮像装置、および撮像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7227236B1 (en) * 2005-04-26 2007-06-05 Amkor Technology, Inc. Image sensor packag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860B1 (ko) 2003-09-09 2004-02-14 주식회사 엔알티 카메라 모듈의 조립 장치
KR20070080083A (ko) * 2006-02-06 2007-08-09 삼성전기주식회사 내마모성이 향상된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212B1 (ko) * 2009-09-14 2011-05-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카메라 모듈의 초점 조절 방법 및 카메라 모듈의 초점 조절 장치
KR101128642B1 (ko) * 2010-07-06 2012-03-2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제조를 위한 핫바 공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핫바 공정 방법
KR101122502B1 (ko) * 2011-11-14 2012-03-16 주식회사 엠피에스 하우징 커버 어태칭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27312A (zh) 2008-02-20
JP2008046630A (ja) 2008-02-28
KR20080016071A (ko) 2008-02-21
US7707712B2 (en) 2010-05-04
JP4990716B2 (ja) 2012-08-01
US20080042333A1 (en)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710B1 (ko) 카메라 모듈의 조립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KR101349524B1 (ko) 카메라 모듈
KR100832072B1 (ko) 카메라 모듈
KR100816844B1 (ko) 이미지센서 모듈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KR101262597B1 (ko) 카메라 모듈
US11740429B2 (en)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US9726847B2 (en) Camera module having a connector connecting a lens assembly and a lens barrel of the camera module
KR20090047307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0845547B1 (ko) 카메라 모듈과 이의 조립 장치
KR100808017B1 (ko) 카메라모듈
KR100863797B1 (ko) 카메라 모듈
KR20080028588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조립방법
KR100885505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78475A (ko) 카메라 모듈
KR100769713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0845548B1 (ko) 카메라 모듈과 이의 조립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0904182B1 (ko) 초점 무조정 타입 카메라 모듈
KR100838754B1 (ko) 카메라 모듈의 리테이너 고정 구조
KR100834030B1 (ko) 카메라 모듈
KR100769723B1 (ko) 카메라 모듈
KR100972435B1 (ko) 카메라 모듈
KR100661615B1 (ko) 카메라 모듈
KR100793919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49405A (ko) 카메라모듈
KR20090051902A (ko) 초점 무조정 타입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5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