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1364B1 - Cockroach trap - Google Patents

Cockroach tr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364B1
KR100831364B1 KR1020070046777A KR20070046777A KR100831364B1 KR 100831364 B1 KR100831364 B1 KR 100831364B1 KR 1020070046777 A KR1020070046777 A KR 1020070046777A KR 20070046777 A KR20070046777 A KR 20070046777A KR 100831364 B1 KR100831364 B1 KR 100831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ckroach
capture
light emitting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7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1020070046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3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36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05Poisoning insects using bait stations
    • A01M1/2011Poisoning insects using bait stations for craw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3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craw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바퀴벌레의 습성을 고려하여 능동적으로 바퀴벌레를 포획할 수 있는 바퀴벌레 트랩이 개시된다. 상기 바퀴벌레 트랩은 바퀴벌레가 출입하는 입구부를 포함하는 포획케이스와 상기 포획케이스로 침입한 상기 바퀴벌레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와 연동하여 발광하는 발광 유닛, 상기 포획케이스의 하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된 차광부재 및 상기 차광부재 하부에 제공되는 포획 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바퀴벌레의 음성주광성을 이용하여, 상기 바퀴벌레 트랩으로 침입한 상기 바퀴벌레를 상기 포획유닛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퀴벌레 트랩으로 유인된 바퀴벌레를 상기 포획 유닛으로 유도하여 능동적으로 상기 바퀴벌레의 포획을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consideration of the behavior of cockroaches, a cockroach trap capable of actively catching cockroaches is disclosed. The cockroach trap is provided with a capture case including an entrance portion into which the cockroach enters and a sensor for detecting the cockroach invaded into the capture case,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in association with the sensor, and spaced apart from a lower surface of the capture case. Including a light shielding member and a catching unit provided below the light shielding member, the roach penetrates into the cockroach trap by using the negative daylighting of the cockroach.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ckroach attracted to the cockroach trap can be induced to the capture unit to actively induce the capture of the cockroach.

Description

바퀴벌레 트랩{COCKROACH TRAP}Cockroach Trap {COCKROACH TRAP}

도 1은 종래의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사시도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ockroach trap.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ckroach tra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I-I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1변형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를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ckroach trap according to a first modified embodimen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2변형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ckroach trap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3변형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ckroach trap according to a third modified embodimen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4변형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ckroach trap according to a fourth modified embodimen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ockroach tra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ockroach tra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II부분을 1차 변형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modified portion II of FIG. 9.

도 11은 도 9의 II부분을 2차 변형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modified portion II of FIG. 9.

도 12는 도 9의 II부분을 3차 변형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modified part II of FIG. 9.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ockroach trap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는 상기 포획접착면의 제 1패턴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14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pattern shape of the capture bonding surface.

도 15는 상기 포획접착면의 제 2패턴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15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pattern shape of the capture bonding surface.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ckroach trap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포획케이스 110:발광 유닛100: capture case 110: light emitting unit

120:차광부재 125:조사 유도 갓120: shading member 125: irradiation induction lamp

126:가이드 유닛 124:변형가이드유닛126: guide unit 124: deformation guide unit

130:포획 유닛 140:센서130: capture unit 140: sensor

141:투광부 142:수광부141: light emitting part 142: light receiving part

150:입구부 170:카메라150: entrance 170: camera

180:전열유닛 185:전원공급부180: heat transfer unit 185: power supply

190:유인제 210:반사부190: lure 210: reflection part

본 발명은 바퀴벌레 트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빛에 대해 음성주 광성을 지니는 바퀴벌레를 포함한 보행 해충이 출입하는 하나 이상의 입구부를 구비한 포획케이스와 상기 보행해충의 침입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센서와 연동하여 발광되는 발광 유닛, 상기 포획케이스의 내부에 지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발광 유닛의 빛에 의해 그림자를 형성하는 차광 부재 및 상기 차광 부재 하부에 제공되는 포획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포획케이스에 유인된 상기 보행해충이 상기 발광 유닛의 발광에 의해 강제적으로 상기 포획유닛으로 유도되어 포획율을 높일 수 있는 바퀴벌레 트랩의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ckroach trap,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pture case having at least one inlet portion through which a walking pest including a cockroach having a negative luminosity of light enters and to at least one sensor for detecting an invasion of the walking pest. And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in association with the sensor, a light blocking membe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in the capture case, and forming a shadow by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a capture unit provided below the light blocking member. It includes, and the walking pest attracted to the capture case relates to a cockroach trap that can be forcibly led to the capture unit by the light emiss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to increase the capture rate.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생활수준이 점점 향상되면서, 과거 무심코 지나쳤던 해충들은 이제 모든 사람들에게 있어서 강한 경계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산업화 또는 공업화로 인해 많은 양의 쓰레기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충은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As the economy develops, living standards are gradually improving, and pests that have been overlooked in the past are now becoming a vigilant point for everyone. However, due to industrialization or industrialization, a large amount of waste is generated, and accordingly, pests are increasing.

이러한 해충을 방제하는 기구나 방법이 무수히 개발되었으나, 개발 단계에서부터 방제하고자 하는 해충의 특성에 따라 설계된 방제 방법과 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먼저, 방제하고자 하는 해충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에 따라, 방제 기구와 방법의 설계에 응용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제에 도움이 될 것은 자명할 것이다.Although a number of mechanis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uch pests have been developed, there are not many methods and controls desig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sts to be controlled from the development stage. First,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sts to be controlled will be examined, and accordingly, the application of them to the design of the control mechanism and method will be effective for the effective control.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바퀴벌레의 습성에 대해 먼저 상술하고 이에 따른 방제 기구의 설계 및 활용에 도입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behavior of cockroaches will be described first,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design and utilization of the control mechanism accordingly.

바퀴벌레는 3억 5천만년 전(고생대 석탄기)에 지구상에 나타난 후 현재까지 환경에 적응하면서 많은 종(種)으로 분화(分化)되어 왔으며,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약 4천 여종이 알려져 있으며 30여종이 인가(人家)에 침입하고, 우리나라에는 7 종류가 있는데 그 중 4종이 인가에 침입한다.The cockroach appeared on the earth 350 million years ago (paleozoic coal age) and has been differentiated into many species by adapting to the environment.To date, about 4,000 species are known around the world. There are seven kinds in Korea, four of them intrude.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퀴벌레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대표적으로 독일바퀴, 미국바퀴(이질바퀴), 먹바퀴, 일본바퀴(집바퀴)가 있다. 여기서, 상기 미국바퀴의 크기가 대략 4센티미터로 가장 크고, 독일 바퀴가 1 ~ 1.5센티미터로 가장 작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A brief review of cockroaches known to inhabit Korea includes German wheels, American wheels, alien wheels, and Japanese wheels. Here, it is known that the size of the American wheel is the largest, approximately 4 centimeters, and that the German wheel is the smallest, 1-1.5 centimeters.

그리고, 각각의 습성을 알려진 대로 살펴보면, 우선, 우리나라에 가장 많이 서식하고 있는 독일 바퀴는 고온, 건조한 환경을 좋아하여 집과 건물 등에 서식하고, 물을 구하기 쉬운 곳에 서식하며, 가장 많은 개체수를 가지고 있고, 국내 바퀴벌레의80퍼센트 이상의 분포율을 보이며 날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nd, if you look at each habit as it is known, first of all, the German wheels inhabit most of the country, like the high temperature and dry environment, inhabit the houses and buildings, the place where water is easy to get, and has the most population It is known to fly more than 80 percent of domestic cockroaches.

다음, 미국바퀴는 고온, 다습한 환경을 좋아하며, 날 수는 있으나, 거의 날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의 남부에서는 건물 밖 또는 하수도에 서식하기도 하나 대부분 건물 내부 특히 정화조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ext, the American wheels are known for thei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They can fly, but rarely fly. In the south of Korea, they live outside of buildings or sewers, but most of them live inside buildings, especially septic tanks.

다음, 일본바퀴는 저온, 다습한 환경을 선호하며, 반가주성으로 집이나 정원에 서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크기는 3센티미터 정도며, 상대적으로 저온지방에 서식하여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 서식한다.Next, Japanese wheels prefer low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nd it is common to live in a house or garden on a semi-universal basis. It is about 3 centimeters in size, and inhabits relatively low temperature areas in the north of central Korea.

먹바퀴는 상대적으로 고온, 다습한 환경을 좋아하여 대전 이남 지방에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uck wheels are known to live mainly in suburbs of Daejeon due to their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이러한 바퀴벌레의 일반적인 습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general habits of these cockroaches are as follows.

먼저, 바퀴벌레는 야행성 해충이며 보통 장판 밑, 싱크대, 냉장고 뒤, 정수기 속 등 보이지 않는 곳에 숨어있으며, 특히 틈새를 좋아한다. 즉, 바퀴벌레는 빛에 대해 회피 습성을 가지는 음성주광성을 지닌다.First of all, cockroaches are nocturnal pests and usually hide invisible places such as under floorboards, sinks, behind refrigerators, and inside water purifiers, especially niches. That is, the cockroach has negative daylight having an avoidance habit against light.

또한, 바퀴벌레는 잡식성으로 종이, 가죽, 전선, 머리카락, 가래침, 굳은 피, 오물 또는 동물의 시체 등도 먹으며 사람이 먹는 음식을 오가면서 먹기 때문에 병균과 병을 전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addition, cockroaches are omnivorous and are known to transmit germs and diseases because they eat paper, leather, wires, hair, spit, callus, filth, or animal carcasses while eating and eating.

그리고, 번식력이 좋아 1년에 10만 마리까지 증식할 수 있으며, 자체의 소화효소가 부족하여 동료나 타 동물의 배설물을 통해 소화효소를 섭취하기 위해 배설물을 먹는 식분증(食糞症) 벌레이다.In addition, because of its good fertility, it can grow up to 100,000 animals a year, and its lack of its own digestive enzymes is a food bug that eats excreta to ingest digestive enzymes through the excretion of colleagues and other animals. .

또한, 본래 열대 지방의 곤충이므로 따뜻한 곳을 좋아한다.It is also a tropical insect, so I like warm places.

종합하면, 바퀴벌레는 먹이, 온도, 습도 및 차광의 조건을 만족하면, 서식하는 데 문제가 없다.Overall, cockroaches have no problem inhabiting once they meet the conditions of food, temperature, humidity and shading.

따라서, 상기 조건을 만족하도록 유인 수단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바퀴벌레를 포획 및 살충하도록 방제 수단을 설계하는 것이 유용하다.Therefore, it is useful to provide a attracting means to satisfy the above conditions, and to design the control means to capture and kill the cockroach accordingly.

본 명세서에서 바퀴벌레라 함은 인간 및 가축에게 해를 주는 보행해충 중 음성주광성을 지닌 해충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이런 해충들은 음식이나 직물들을 갉아 먹어 생활에 적잖은 피해를 주고 있으며, 또한 배설물들로 인해 인체에 해로운 병원균을 옮기기도 한다. 근래에는 이러한 해충이 오염된 환경으로 인하여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서, 해충 제거가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집, 회사 혹은 지역 사회에서는 갖가지 방법으로 해충을 제거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ckroach is a generic term for a pest having negative daylight among walking pests that harm humans and livestock. These pests eat up food and textiles, causing considerable damage to life, and also excretion carry harmful pathogens to the human body. In recent years, such pests are increasing due to the polluted environment, the pest removal is a big problem. Therefore, homes, businesses or communities are trying to get rid of pests in various ways.

종래에는 바퀴벌레를 제거하는 기구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 대체적으로 일반 가정에서 많이 통용되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Conventionally, there are a number of mechanisms for removing cockroaches, but the most commonly used among them are as follows.

일반 가정에서 바퀴벌레를 제거하기 위해 사람들은 약에 음식물을 섞은 접시 혹은 밀봉된 박스에 넣어 바퀴벌레들이 많이 모여드는 장소나, 통로 등에 배치하거나, 또는 바퀴벌레 등의 이동 경로상에 바퀴벌레 트랩을 배치하되, 바퀴벌레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제를 배치하기도 한다. 또는 스프레이 등을 바퀴벌레 등의 해충에 직접 분사하거나, 공기 중에 포화시켜 해충이 흡입 또는 몸에 묻혀서 죽이는 방법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To get rid of cockroaches at home, people put them in a dish or sealed box of medicine and place them in a place or aisle where a lot of cockroaches are gathered, or place a cockroach trap on a path such as cockroaches. It may also be arranged to attract people. Alternatively, sprays may be sprayed directly onto pests such as cockroaches, or saturated in the air to inhal or kill the pests.

상기에 서술한 방법 중 대체적으로 밀폐된 상자에 끈끈이 배치하여 상기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으며, 여기서 이러한 종래의 바퀴벌레 트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capturing the cockroaches by sticking a sticky box in a generally closed box among the above-described methods is the most commonly used. Here, the conventional cockroach trap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1은 종래의 바퀴벌레 트랩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다.1 is a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 conventional cockroach trap.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벌레 트랩(10)은 일반적으로 바퀴벌레를 포획하기 위한 공간을 구성하는 본체부(11) 및 상기 본체부(11)를 덮는 커버부(12), 상기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끈끈이(13) 및 상기 바퀴벌레가 출입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출입구(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rein, the cockroach trap 10 generally includes a body portion 11 constituting a space for capturing the cockroach, a cover portion 12 covering the body portion 11, and a sticky substance for capturing the cockroach. 13 and a plurality of entrances and exits 14 provided to enter and exit the cockroach.

종래의 바퀴벌레 트랩(10)의 작동을 간략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바퀴벌레 트랩(10)으로 유인된 바퀴벌레가 상기 끈끈이(13)에서 접착되어 포획된다.Looking briefly at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cockroach trap 10, first, the cockroach attracted to the cockroach trap 10 is bonded and captured in the sticky (13).

그러나, 종래의 바퀴벌레 트랩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ckroach trap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 번째로, 종래의 바퀴벌레 트랩은 바퀴벌레의 습성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포획을 유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First, the conventional cockroach trap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behavior of the cockroach has a problem that can not induce capture.

두 번째로, 유인된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포획율을 높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 다.Secon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increase the capture rate to capture the attracted cockroach.

세 번째로, 바퀴벌레가 선호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ir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provide a preferred environment for cockroaches.

네 번째로, 바퀴벌레의 능동적인 포획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Fourth, active capture of cockroaches is not easy.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바퀴벌레의 습성을 고려하여 바퀴벌레 트랩으로 유인된 바퀴벌레의 포획을 유도할 수 있는 바퀴벌레 트랩을 제공함에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cockroach trap that can induce the capture of cockroaches attracted to the cockroach trap in consideration of the behavior of the cockroach.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인된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포획율을 높일 수 있는 바퀴벌레 트랩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ckroach trap that can increase the catch rate for capturing the attracted cockroach.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퀴벌레의 습성에 따라 상기 바퀴벌레가 선호하는 환경을 구비할 수 있는 바퀴벌레 트랩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ckroach trap that can have a preferred environment for the cockroach according to the behavior of the cockroach.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인된 바퀴벌레를 능동적으로 포획할 수 있는 바퀴벌레 트랩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ckroach trap that can actively capture a manned cockroach.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퀴벌레 트랩은 바퀴벌레를 포함한 보행 해충이 출입하는 하나 이상의 입구부를 구비한 포획케이스와 상기 보행해충의 침입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센서와 연동하여 발광되는 발광 유닛, 상기 포획케이스의 내부에 지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발광 유닛의 빛에 의해 그림자를 형성하는 차광 부재 및 상기 차광 부재 하부에 제공되는 포획 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ckroach trap is a capture case having at least one inlet portion through which a walking pest including a cockroach enters and at least one detecting the invasion of the walking pest A sensor, a light emitting unit which emits light in association with the sensor, a light shielding member which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in the capture case, and forms a shadow by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a capture unit provided below the light shielding member. It includes.

여기서, 상기 발광 유닛은 발광다이오드(LED), 자외선등, 형광등 또는 백열등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바퀴벌레의 침입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정전용량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light emitt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 ultraviolet light, a fluorescent light, or an incandescent light, and the sens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essure sensor, an infrared sensor, or a capacitiv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n invasion of the cockroach. More preferably.

또한, 상기 센서의 위치는 상기 센서는 상기 발광 유닛이 발광되면, 상기 보행해충의 위치에서 상기 입구부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발광 유닛의 빛에 의해 나타나는 상기 차광부재의 그림자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가깝도록 상기 포획케이스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sensor is that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emits light,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walking pest to the entrance portion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of the shadow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represented by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in the capture case so as to be close.

여기서, 상기 센서는 상기 입구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 유닛이 상기 센서가 상기 보행해충의 침입을 감지하면 일정시간 지체 후 발광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nsor may be installed at the inle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may emit light after a certain time delay when the sensor detects an invasion of the walking pest.

또한, 상기 발광 유닛은 발광된 후 일정 시간동안 지속되어 발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light emission is maintained.

그리고, 상기 바퀴벌레 트랩은 상기 보행해충이 상기 포획 유닛에서 포집되는 포획신호를 감지하는 포집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발광 유닛은 상기 포집센서에서 상기 포획신호가 감지되면 소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cockroach trap may further include a capture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capture signal from which the walking pest is captured by the capture unit. Accordingly, 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turned off when the capture signal is detected by the capture sensor. More preferred.

여기서, 상기 바퀴벌레 트랩은 상기 발광 유닛의 불빛이 상기 입구부와 근접한 구역을 조사하도록 빛을 반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ckroach trap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reflector for reflecting light so that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irradiates an area adjacent to the inlet.

더불어, 상기 바퀴벌레 트랩은 상기 보행해충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카메라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보행해충의 침입이 감지되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카메라에서 감지된 상기 보행해충이 기설정된 일정 범위 내로 침입하면 상기 발광 유닛이 발광되고 상기 카메라는 구동이 정지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ckroach trap further comprises a camera unit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walking pest, the camera is preferably driven when the invasion of the walking pest, the walking pest detected by the camera is a predetermined schedule More preferably, the light emitting unit emits light and the camera stops driving when invading the range.

또한, 상기 포획케이스는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열유닛은 상기 포획 유닛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포획유닛의 주위가 다른 구역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pture case further comprises a heat transfer unit for generating heat, the heat transfer unit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pture unit is provided to maintain a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 than the surrounding area of the capture unit. .

그리고, 상기 전열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포획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열 유닛은 전열선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포획케이스의 하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which supplies power to the heat transfer unit and is detachably provided in the capture case, wherein the heat transfer un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heating wire and i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apture case. It is also possible.

상기 포획 유닛은 일정한 패턴의 모양으로 상기 보행해충을 포획하는 포획접착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턴은 상기 입구부 방향으로 오목하고 볼록한 면이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형상 또는 미로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capture unit is preferably a capture adhesive surface for trapping the walking pest in the shape of a predetermined pattern, more preferably, the pattern is a shape or maze shape in which the concave and convex surfaces appear sequentially in the inlet direction It is formed in at least one shape.

그리고, 상기 바퀴벌레 트랩은 상기 보행해충을 유인하는 유인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인제는 상기 포획 유닛 상에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ckroach trap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n attractant for attracting the walking pest, and the attractant is more preferably provided on the capture unit.

상기 발광 유닛은 복수 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은 상기 발광 유닛이 발광할 경우에 생성되는 상기 차광 부재의 그림자가 입구부에서 점차적으로 멀어지도록 순차적으로 발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arranged in plural, and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may emit light sequentially so that the shadow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generated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emits light gradually moves away from the entrance. Do.

또한,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은 기 설정된 범위에만 빛을 조사(照射)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기 설정된 범위는 상기 포획케이스의 하부를 상기 입구부에서 상기 차광부재의 단부까지의 구간을 기설정된 간격으로 나누어 구획되며,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은 상기 입구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기 설정 범위를 순차적으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are provided so as to irradiate light only in a predetermined range, wherein the preset range is a section from the inlet to the end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light emitting units are divided and divided, and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preferably irradiate the predetermined range sequentiall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그리고,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이 각각 기 설정된 범위에 빛을 조사하도록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포획케이스의 내부 상면에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기 설정된 범위와 평행하도록 복수 개 구비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may further include a guide unit to irradiate light in a predetermined range, respectively, wherein the guide unit is provided extending to the lower side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apture cas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so as to be parallel to the preset range.

여기서, 상기 포획케이스는 상기 입구부를 구비하는 출입부 및 상기 출입부의 반대 방향에 구비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부의 평면은 상기 입구부와 인접하는 일 측변이 타측변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Here, the capture case includes an entrance portion provided with the inlet portion and an installation portion provi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entrance portion, wherein the plane of the installation portion is formed such that one side adjacent to the entrance portion is perpendicular to the other side. More preferr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이하 설명에서는 구성 및 기능이 거의 동일하여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특정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For referen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elements that can be treated identically in terms of configuration and function are almost the same and can be specifi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y 1실시예Example 1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 2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의 사시도 고, 도 3은 도 2의 I-I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The cockroach tra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ckroach tra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in the I-I direction of FIG.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벌레 트랩(20)은 입구부(150)를 포함하는 포획케이스(100), 발광 유닛(110), 차광 부재(120), 포획유닛(130) 및 센서(1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ckroach trap 20 includes a capture case 100 including an inlet 150, a light emitting unit 110, a light blocking member 120, a capture unit 130, and a sensor 140. Include.

상기 포획케이스(100)는 외부의 빛이 투과하지 못하는 소재로 구비되며, 플라스틱 또는 종이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철 성분이 들어간 판재, 또는 목재를 사용하여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apture case 100 is provided with a material that does not transmit light from the outside, and is formed of at least one of plastic or pap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plate containing stainless steel or iron, or It is also possible to use wood.

상기 입구부(150)는 상술한 상기 바퀴벌레의 습성을 고려하여, 횡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넓고, 종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좁은 틈새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퀴벌레가 출입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포획하고자 하는 바퀴벌레의 종류에 따라 높이(151)를 달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inlet 15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latively wide gap in the transverse direction, relatively narr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behavior of the cockroach described above, is provided so that the cockroach can enter and exit, capture It is also possible to be provided to vary the height 151 according to the type of cockroach to be.

또한, 상기 입구부(150)의 바닥면을 이루는 상기 포획케이스(100)의 하면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θ)는 일반적으로 상기 바퀴벌레가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바퀴벌레의 전면에 방해물로 인식되는 각도, 즉 대략 90도 미만의 각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도 이하의 각도로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 angle θ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ture case 100 and the ground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inlet 150 is generally an angle recognized as an obstacle in front of the cockroach when the cockroach moves. That is, it is preferably provided at an angle of less than about 90 degrees, more preferably more preferably provided at an angle of 30 degrees or less.

상기 발광 유닛(110)은 전력의 소모가 상대적으로 적은 발광다이오드(LED)로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자외선등, 형광등 또는 백열등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바퀴벌레가 기피하는 빛을 발광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형태이든 가능하다.The light emitting unit 110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diode (LED) which consumes relatively little pow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unit 11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n ultraviolet light, a fluorescent light, or an incandescent light. Any form can be used as long as the cockroach can emit light to avoid.

상기 차광부재(120)는 상기 포획케이스(100)의 하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차광부재(120)의 하부에는 상기 포획유닛(130)이 구비된다.The light blocking member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apture case 1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capture unit 130 is provided below the light blocking member 120.

상기 포획유닛(130)은 상면에 상기 바퀴벌레를 포획할 수 있는 접착제가 도포된 포획접착면이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바퀴벌레를 포획할 수 있는 겔(GEL) 형태로 구비되거나, 전격 충격을 통해 상기 바퀴벌레를 살충하거나, 살충액을 상기 바퀴벌레가 경유하도록 하여 살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포획유닛(130)의 상면은 상기 포획케이스(100)로 유인된 바퀴벌레가 포획되도록, 상기 포획케이스의 하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The capture unit 130 is provided with a capture adhesive surface coated with an adhesive capable of capturing the cockroach on the upper surf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gel (GEL) that can capture the cockroach It is also possible to kill the cockroach through the electric shock, or to pass through the cockroach insecticide via insecticide.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ture unit 130 is provided so as to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lower surface of the capture case so that the cockroach attracted to the capture case 100.

여기서, 상기 포획유닛(130)의 형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4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He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hape of the capture unit 1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4.

상기 센서(140)는 상기 입구부(150)에서 근접한 상기 포획케이스(100)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입구부(150)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전자의 경우에는 상기 센서(140)는 정전용량센서 또는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고, 후자의 경우에는 적외선센서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140)를 정전용량센서, 압력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바퀴벌레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광센서, 근접센서 또는 전기저항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nsor 140 is provided to be loca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apture case 100 adjacent to the inlet 150, but is not limited thereto or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inlet 150. Do. In the former case, the sensor 14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capacitive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and in the latter case, an infrared sensor is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nsor 140 is presented as a capacitive sensor, a pressure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or may be provided as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cockroach.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t least one of an optical sensor, a proximity sensor or an electrical resistance sensor.

상기 센서(140)의 위치는 상기 발광유닛(110)이 발광 시에 상기 발광 유닛(110)에 의해 빛이 조사되는 조광구역(L)과 상기 차광부재에 의해 생성되는 그림자구역(D)을 고려하여 결정된다.The position of the sensor 140 takes into account the illumination area L through which light is radia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110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110 emits light, and the shadow area D generated by the light blocking member. Is determined.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센서(140)는 상기 입구부(150)로부터 상기센서까지의 거리(d1)가 상기 그림자구역(D)에서의 거리(d2)가 상대적으로 길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바퀴벌레 트랩(20)으로 침입한 상기 바퀴벌레가 상기 발광 유닛(110)이 발광되면, 음성주광성에 따라, 상기 차광부재(120)에 의해 형성된 상기 그림자구역(D) 방향으로 도주하여 상기 포획 유닛(130)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위치에 상기 센서(140)가 구비된다.More specifically, the sensor 140 is a distance (d 2) at the distance (d 1), the shadow zone (D) to the sensor from the inlet section 150 is provided to a relative way. That is, when the roach penetrates into the cockroach trap 20, the light emitting unit 110 emits light, and escapes in the direction of the shadow area D formed by the light blocking member 120 according to the voice dioptricity. The sensor 140 is provided at a position to guide the unit 130.

상기 바퀴벌레 트랩(2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cockroach trap 20 as follows.

먼저, 상기 바퀴벌레 트랩(20)으로 상기 바퀴벌레가 침입하면, 상기 센서(140)에서 상기 바퀴벌레의 침입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발광 유닛(110)이 즉시, 또는 기 설정된 일정 기간 지체 후 점등되면, 상기 조광구역(L)에 있던 상기 바퀴벌레는 음성 주광성에 따라, 상기 그림자 구역(D)으로 도주한다.First, when the cockroach intrudes into the cockroach trap 20, the sensor 140 detects an invasion of the cockroach, and accordingly,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110 is turned on immediately 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delay, The cockroach in the light control zone (L) escapes to the shadow zone (D) according to the voice dimming.

이 때, 상기 발광유닛(110)은 일정 기간동안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조광구역(L)은 상기 입구부(150)와 상기 바퀴벌레 사이의 일종의 차단막을 생성하게 되고, 상기 바퀴벌레는 상기 그림자구역(D)에서 체류하다 상기 포획유닛(130)에서 포획된다.At this time, the light emitting unit 110 maintains a lighted sta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 that the light control area (L) generates a kind of blocking film between the inlet 150 and the cockroach, the cockroach Is captured in the capture unit 130 while staying in the shadow zone (D).

여기서, 상기 바퀴벌레는 일반적으로 빛이 조광되면, 어두운 곳으로 도주하 는 습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상기 그림자 구역(D)방향으로 도주하는 경우에 그 즉시 상기 포획유닛(130)으로 유도되어 포획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Here, since the cockroach generally has a habit of escaping to a dark place when the light is dimmed, when the cockroach escapes toward the shadow zone D, the cockroach is immediately induced and captured by the capture unit 130. You can expect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1변형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를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ckroach trap according to a first modified embodimen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벌레 트랩(25)은 포획케이스(100), 발광유닛(110), 차광부재(120), 포획유닛(130), 두 개의 입구부(150) 및 두 개의 센서(140)를 포함한다. 참고로,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shown therein, the cockroach trap 25 includes a capture case 100, a light emitting unit 110, a light shielding member 120, a capture unit 130, two inlets 150, and two sensors 140. ). For reference, a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상기 포획케이스(100)의 양 측면에는 상기 입구부(15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퀴벌레가 침입하는 동선이 두 곳으로 나뉘므로, 각각 상기 입구부(150)로 침입하는 상기 바퀴벌레를 감지하기 위하여 각기 상기 입구부(150)에 인접하여 상기 센서(140)가 구비된다.The inlet 150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apture case 100. Accordingly, since the copper wire invading the cockroach is divided into two places, the sensor 14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inlet 150, respectively, to detect the cockroach invading into the inlet 150. .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상기 바퀴벌레 트랩(25)을 작동하여 상기 바퀴벌레를 포획하며, 상기 발광 유닛(110)은 상기 복수의 센서(140)에 연동하여 발광하도록 구비된다.Accordingly, the cockroach trap 25 is operated to capture the cockroaches 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ght emitting unit 110 interlocks with the plurality of sensors 140 to emit light. It is provid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광유닛(110)을 하나 구비하는 것을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복수의 입구부(150)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각각 상기 입구부(150)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상기 입구부(150)에 인접한 각각의 센서(140)에 의해 각각의 상기 발광유닛(110)이 발광하도록 구비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unit 110 is provided with on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ight emitting unit 110 is provided. It is also possible to be provided, in this case, each of the light emitting unit 110 by the respective sensor 140 adjacent to the inlet 150 is provided to emit light.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발광유닛(110)은 일정시간동안 발광 상태를 지속하여, 상기 발광유닛(110)의 빛에 의해 구획되는 그림자구역(D)과 조광구역(L)을 일정 기간동안 유지하여, 일측에 위치한 상기 입구부(150)로 침입한 바퀴벌레가 타측에 위치한 상기 입구부(150)으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일종의 차단막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Here,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unit 110 maintains the light emitting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shadow area D and the dimming area L partitioned by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110. To maintain for a period of time, so that the cockroach intruded into the inlet 150 located on one side does not escape to the inlet 150 located on the other side, it is provided to form a kind of blocking film.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2변형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ckroach trap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벌레 트랩(30)은 포획케이스(100), 발광 유닛(110), 차광부재(120), 포획 유닛(130), 센서(140) 및 입구부(15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또는 제 1변형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shown therein, the cockroach trap 30 includes a capture case 100, a light emitting unit 110, a light blocking member 120, a capture unit 130, a sensor 140, and an inlet 150. . For reference,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any one of the first embodiment or the first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상기 포획케이스(100)는 평면이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차광부재(120)가 설치된 면을 제외한 삼 면 방향으로 각각 입구부(150)를 형성한다.The capture case 100 has a planar shape having a quadrangular shape, and forms the inlet portions 150 in three surface directions except for the surface on which the light blocking member 120 is installed.

상기 센서(140)는 적외선 센서로 구비되며, 상기 입구부(150)의 일측에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투광부(141, emitter)를 설치하고, 타측에는 상기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142, receiver)를 설치하여, 상기 바퀴벌레가 침입하면, 상기 수광되던 상기 적외선이 단절되어 상기 침입을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140)를 수광부(142)와 투광부(141)를 구비하는 적외선 센서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입구부(150)의 일측에 상기 투광부(141)와 수광부(142)를 설치하고, 타측에는 상기 적외선을 반사시 키는 거울(미도시)을 구비하여 상기 투광부(141)에서 조사된 적외선이 상기 거울에 반사되어 상기 수광부(142)에서 감지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nsor 140 is provided as an infrared sensor, one side of the inlet 150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er (141, emitter) for irradiating the infrared, the other side is a light receiving unit (142, receiver) for receiving the infrared light By installing, when the cockroach intrudes, the infrared rays received by the cockroach is disconnected to detect the intrus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nsor 140 is provided as an infrared sensor including a light receiving unit 142 and a light transmitting unit 141, but is not limited thereto or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ensor 140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inlet 150.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41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42 are provided,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mirror (not shown) that reflects the infrared rays so that the infrared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41 is reflected to the light receiving unit It is also possible to be provided to be detected at 142.

여기서, 상기 센서(140)는 상기 입구부(150)에 구비되므로, 상기 발광 유닛(110)이 상기 센서(140)에 상기 바퀴벌레의 침입이 감지되는 즉시 발광되면, 상기 바퀴벌레가 외부로 탈출하게 되는 가능성이 높으므로, 상기 센서(140)에 상기 바퀴벌레의 침입이 감지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발광 유닛(110)이 발광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since the sensor 140 is provided in the inlet 150,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110 emits light as soon as the invasion of the cockroach is detected by the sensor 140, the cockroach escapes to the outside. Since the possibility is high,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110 emits light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intrusion of the cockroach is detected by the sensor 140.

상기 차광부재(120)는 타원 형상을 상기 타원의 단축을 따라 절단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에 따라, 상기 발광유닛(110)의 빛에 의해 그림자구역(D)과 조광구역(L)을 상기 차광부재(120)의 형상대로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차광부재(120)는 상기 복수의 입구부(150)에서 상기 그림자 구역(D)까지의 거리가 유사하도록 구비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입구부(150) 중 어느 한곳으로 상기 바퀴벌레가 침입하더라도, 상기 발광 유닛(110)이 발광하여 상기 그림자구역(D)과 상기 조광 구역(L)이 형성되면, 상기 그림자구역(D)으로 상기 바퀴벌레가 상기 빛을 회피하도록 구비된다.The light blocking member 120 is formed in an arc shape in which an ellipse shape is cut along a short axis of the ellipse, whereby the shadow area D and the dimming area L are formed by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110. It is provided to form in the shape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120. Here, the light blocking member 120 is provided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plurality of inlets 150 to the shadow area (D) is similar, and thus, the cockroach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lets 150 Although the light emitting unit 110 emits light when the shadow area D and the light control area L are formed, the cockroach is provided to avoid the light.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3변형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ckroach trap according to a third modified embodimen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벌레 트랩(35)은 포획케이스(100), 발광 유닛(110), 차광부재(120), 포획 유닛(130), 센서(140) 및 입구부(15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shown therein, the cockroach trap 35 includes a capture case 100, a light emitting unit 110, a light blocking member 120, a capture unit 130, a sensor 140, and an inlet 150. For reference, the description of the similar or identical configuration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상기 포획케이스(100)는 제 1설치부(101), 제 2설치부(102) 및 출입부(103)를 포함한다.The capture case 100 includes a first installation unit 101, a second installation unit 102, and an access unit 103.

상기 출입부(103)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출입부(103)에는 상기 바퀴벌레가 출입하도록 각 방향 별로 세 개의 상기 입구부(15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입구부(150)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 상기 입구부(150)의 개수는 가변적이며 네 개 또는 두 개의 상기 입구부(150)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entrance part 103 is formed in an arc shape, and the entrance part 103 is formed with three entrance parts 150 in each direction to allow the cockroach to enter and exi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inlets 150 are provid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r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inlets 150 may vary depending on necessity, and four or two inlets may be provide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150).

상기 출입부(103)의 반대편에는 상기 설치부(101, 102)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설치부(101) 및 상기 제 2설치부(102)는 상기 출입부(103)와 인접하지 않은 일단에서 대략 수직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다.The installation parts 101 and 102 ar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ccess part 103, and the first installation part 101 and the second installation part 102 are not adjacent to the access part 103. Are formed to be coupled approximately vertically.

즉, 상기 포획케이스(100)의 평면은 원을 사 등분한 사분 원의 형상, 즉, 내각이 90도인 부채꼴의 형상을 형성한다.That is, the plane of the capture case 100 forms the shape of a quadrant that is divided into four quarters, that is, a fan shape having an internal angle of 90 degrees.

이 경우에, 상기 바퀴벌레 트랩(35)은 벽과 벽 사이, 또는 수직으로 형성된 코너에 설치되는 것이 용이하며, 상기 바퀴벌레는 그 습성이 구석과 벽면에서 코너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선호하므로, 상기 바퀴벌레 트랩(35)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여 상기 바퀴벌레의 포획율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cockroach trap 35 is easily installed at a corner between the wall and the wall, or vertically formed, and the cockroach trap is preferred because the cockroach prefers to move along corners at corners and walls. There is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capture rate of the cockroach by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of the (35).

상기 차광부재(120)는 상기 포획케이스(100)의 평면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에 따라, 상기 제 2변형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발광유닛(110)의 빛에 의해 그림자구역(D)과 조광구역(L)을 상기 차광부재(120)의 형상대로 형성하도록 구 비된다. 또한, 유사한 형상으로, 상기 차광부재(120)는 상기 복수의 입구부(150)에서 상기 그림자 구역(D)까지의 거리가 유사하도록 구비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입구부(150) 중 어느 한곳으로 상기 바퀴벌레가 침입하더라도, 상기 발광 유닛(110)이 발광하여 상기 그림자구역(D)과 상기 조광 구역(L)이 형성되면, 상기 그림자구역(D)으로 상기 바퀴벌레가 상기 빛을 회피하도록 구비된다.The light blocking member 120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plane of the capture case 100, and accordingly, similar to the second modified embodiment, the shadow area D is formed by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110. It is provided to form a light control region (L) in the shape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120. In addition, in a similar shape, the light blocking member 120 is provided such that the distance from the plurality of inlets 150 to the shadow area (D) is similar, accordingly, any of the plurality of inlets 150 Even if the cockroach intrudes in one place,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110 emits light to form the shadow area D and the light control area L, the cockroach is provided to avoid the light. do.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4변형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ckroach trap according to a fourth modified embodimen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벌레 트랩(40)은 포획케이스(100), 발광유닛(110), 차광부재(120), 포획유닛(130), 두 개의 입구부(150), 두 개의 센서(140) 및 반사부(210)를 포함한다. 참고로, 상기 반사부(210)를 제외한 기타 구성은 상기 제 1변형실시예와 유사하게 구비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ckroach trap 40 includes a capture case 100, a light emitting unit 110, a light blocking member 120, a capture unit 130, two inlets 150, and two sensors 140. ) And a reflector 210. For reference, other configurations except for the reflector 210 are provided similarly to the first modified embodiment,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반사부(210)는 상기 발광 유닛(110)의 불빛이 상기 입구부와 근접한 구역을 조사하도록 빛을 반사하도록 구비되며, 빛을 전반사하는 평면 거울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사부(210)를 평면 거울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거울의 형상은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이 한 곳으로 빛을 집중할 수 있는 오목한 형상 또는 빛을 분산시키는 볼록한 형상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reflector 210 is provided to reflect light so that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110 irradiates an area adjacent to the inlet, and is provided as a planar mirror that totally reflects the ligh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flector 210 is presented as a planar mirr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or limited thereto. If necessary, the mirror may have a concave shape in which a reflective surface that reflects light may concentrate light. It is also possible to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shape or a convex shape for dispersing light.

상기 발광 유닛(110)에서 발광된 빛의 궤적(PL)은 상기 반사부(210)에서 반사되어 상기 입구부(150)에 인접한 구역을 조사하도록 안내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반사부(210)에서 반사된 빛은 상기 차단부재(120)와 상기 입구부(150)의 사이를 조사하여 조광 구역(L)과 상기 차단부재(120)에 의해 생성되는 그림자 구역(D)으로 상기 포획케이스(100)의 하면을 구획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바퀴벌레 트랩(40)으로 침입한 상기 바퀴벌레는 상기 조광 구역(L)에서 도주하기 위하여 상기 차단부재(120)의 하부에 제공된 상기 포획유닛(130)으로 유도된다.The trace P L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10 is reflected by the reflector 210 and guided to irradiate an area adjacent to the inlet 150. In more detail,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or 210 is irradiated between the blocking member 120 and the inlet 150 by the dimming zone (L) and the blocking member 120 The lower surface of the capture case 100 is partitioned into the generated shadow zone D. Accordingly, the cockroach invading into the cockroach trap 40 escapes from the light control zone L so that the blocking member 120 may escape. Guided to the capture unit 130 provided at the bottom of).

여기서, 상기 그림자 구역(D)은 상기 발광 유닛(110)에서 직접 조사되는 빛보다는 상기 반사부(210)에서 반사된 빛에 의해 상기 차단부재(120)의 하부가 상대적으로 조도가 낮게 되거나, 또는 상기 차단부재(120)의 그림자가 형성되어 구획된다.Here, the shadow area (D) is relatively low illuminan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locking member 120 by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reflector 210 than the light directly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10, or A shadow of the blocking member 120 is formed and partitioned.

일반적으로, 상기 바퀴벌레 트랩(40)은 횡방향 길이(W)보다 종방향 높이(H)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발광 유닛(110)에서 조사되는 빛은 도 7에 도시된 것보다 실제로는 더욱 상기 포획케이스(100)의 측면 방향으로 조사되게 되고, 상기 반사부(210)를 구비하여 상기 빛을 반사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바퀴벌레의 상기 포획유닛(130)으로의 유도를 가능하게 한다.In general, the cockroach trap 40 has a longitudinal height (H) is formed relatively smaller than the transverse length (W), accordingly,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10 is shown in Figure 7 More specifically, the light is irradiated toward the side of the capture case 100, and the reflector 210 is provided to reflect the light, thereby enabling more efficient induction of the cockroach into the capture unit 130. do.

 My 2실시예2 Example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필요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the cockroach tra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ockroach tra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ference, a description of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and described as necessary.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벌레 트랩(50)은 입구부(150)를포함하는 포획케이스(100), 발광 유닛(110), 차광 부재(120), 포획유닛(130) 및 센서(140)를 포함한다.As shown therein, the cockroach trap 50 may include a capture case 100 including an inlet 150, a light emitting unit 110, a light blocking member 120, a capture unit 130, and a sensor 140. Include.

상기 발광 유닛(110)은 제 1전등(113), 제 2전등(112) 및 제 3전등(111)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제 2 및 제 3전등(113, 112 및 111)이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경우에 상기 차광부재(120)에 의해 생성되는 그림자 구역(Di)이 점차적으로 짧아지고, 조광구역(Li)은 점차적으로 길어지도록 구비된다.The light emitting unit 110 includes a first lamp 113, a second lamp 112, and a third lamp 111. In the case where the first, second and third lamps 113, 112, and 111 emit light sequentially, the shadow area D i generated by the light blocking member 120 is gradually shortened, and the illumination area L i ) is provided to gradually lengthen.

즉, 상기 제 1전등(113)이 발광되면 제 1그림자구역(D1) 및 제 1조광 구역(L1)이 생성되고, 다음, 상기 제 2전등(112)이 발광되면, 제 2그림자구역(D2) 및 제 2조광 구역(L2)이 생성되며, 상기 제 3전등(111)이 발광되면, 제 3그림자구역(D3) 및 제 3조광 구역(L3)이 생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그림자구역(D1)이 가장 길고, 그 다음이 상기 제 2그림자구역(D2), 그리고, 제 3그림자구역(D3)이 가장 짧도록 구비된다.That is, when the first lamp 113 emits light, a first shadow zone D 1 and a first dimming zone L 1 are generated. Then, when the second lamp 112 emits light, a second shadow zone is generated. (D 2 ) and the second dimming zone L 2 are generated, and when the third lamp 111 emits light, a third shadow zone D 3 and a third dimming zone L 3 are generated. The first shadow zone D 1 is the longest, followed by the second shadow zone D 2 , and the third shadow zone D 3 is the shortest.

여기서, 상기 바퀴벌레 트랩(40)의 작동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바퀴벌레 트랩(40)에 상기 바퀴벌레가 침입하면, 상기 센서(140)에서 상기 침입을 감지한다.Here,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cockroach trap 40,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ckroach intrudes into the cockroach trap 40, the sensor 140 detects the intrusion.

다음, 이에 따라, 먼저, 상기 제 1전등(113)이 발광된다. 이 때, 상기 제 1조광 구역(L1)에 있던 상기 바퀴벌레는 상기 제 1그림자구역(D1)으로 도주하고, 이 에 따라, 상기 제 2전등(112)이 발광되면, 상기 제 2조광구역(L2)에 있던 상기 바퀴벌레는 상기 제 2그림자구역(D2)으로 도주하고, 마지막으로, 상기 제 3전등(111)이 발광되면, 상기 제 3조광구역(L3)에 있던 상기 바퀴벌레는 상기 제 3그림자구역(D3)으로 도주하여 상기 포획 유닛(130)에 포획된다.Next, accordingly, first, the first lamp 113 is emitted. At this time, the cockroach in the first dimming zone (L 1 ) escapes to the first shadow zone (D 1 ), accordingly, when the second lamp 112 is emitted, the second dimming zone The cockroach in L 2 escapes to the second shadow zone D 2 , and finally, when the third lamp 111 emits light, the cockroach in the third light zone L 3 is It escapes to the third shadow zone D 3 and is captured by the capture unit 130.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전등(113, 112 및 111)은 순차적으로 발광되며, 다음 전등이 발광되더라도 일정 기간 발광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바퀴벌레가 상기 입구부(150) 방향으로 도주하지 못하도록 일종의 차단막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second, and third lamps 113, 112, and 111 emit light sequentially, and maintain the light emitting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even when the next lamp emits light so that the cockroach escapes toward the inlet 150. It is desirable to maintain some kind of barrier to prevent it.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광유닛(110)을 세 개가 구비되는 것을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발광 유닛(110)을 세 개 이상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발광다이오드(LED)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순차적으로 발광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에 따라, 상기 조광구역(Li)도 일정한 구역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light emitting units 110 are provid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r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ree or more light emitting units 110 may be provided.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a diode (LED) continuously, and to be provided to emit light sequentially. 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the dimming zone (L i ) may also be provided in a form of continuously widening, not a constant zone.

My 3실시예3 Example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Referring to the cockroach tra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ockroach tra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벌레 트랩(55)은 입구부(150)를포함하는 포획케이스(100), 발광 유닛(110), 차광 부재(120), 포획유닛(130) 및 센서(140)를 포함한다.As shown therein, the cockroach trap 55 may include a capture case 100, an emission unit 110, a light blocking member 120, a capture unit 130, and a sensor 140 including an inlet 150. Include.

상기 포획케이스(100)의 하면부는 상기 입구부(150)에서 상기 차광부재(120)의 일단의 하부까지 일정간격으로 제 1조사구역(A1), 제 2조사구역(A2) 및 제 3조사구역(A3)으로 구획된다.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capture case 100 from the inlet portion 150 to the lower portion of one end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1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irst irradiation zone (A 1 ), the second irradiation zone (A 2 ) and the third It is divided into irradiation zone A 3 .

상기 발광 유닛(110)은 제 4전등(114), 제 5전등(115) 및 제 6전등(116)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제 5 및 제 6전등(114, 115 및 116)은 각각 제 1조사구역(A1), 제 2조사구역(A2) 및 제 3조사구역(A3)을 조사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4, 제 5 및 제 6전등(114, 115 및 116)은 빛을 일정 방향으로 향하도록 조사유도 갓(125)을 구비한다.The light emitting unit 110 includes a fourth lamp 114, a fifth lamp 115, and a sixth lamp 116, and the fourth, fifth, and sixth lamps 114, 115, and 116, respectively. It is provided to survey the first irradiation zone A 1 , the second irradiation zone A 2 and the third irradiation zone A 3 . To this end, the fourth, fifth and sixth lamps 114, 115 and 116 are provided with an irradiation induction shade 125 to direct ligh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여기서, 상기 제 4, 제 5 및 제 6전등(114, 115 및 116)이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경우에 상기 제 1조사구역(A1), 제 2조사구역(A2) 및 제 3조사구역(A3)이 차례대로 조광구역(L, 도3 참조)이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바퀴벌레 트랩(55)으로 침입한 바퀴벌레가 상기 포획유닛(130)으로 유도된다.Here, when the fourth, fifth and sixth lamps 114, 115, and 116 emit light sequentially, the first irradiation zone A 1 , the second irradiation zone A 2 , and the third irradiation zone ( A 3 ) becomes a dimming zone (L, see FIG. 3 ) in turn, whereby the cockroach invading into the cockroach trap 55 is guided to the capture unit 130.

여기서, 상기 조사유도 갓(125)에 의해 상기 조광구역(L)과 상기 발광유닛(110)에 의한 빛이 조사되지 않는 그림자구역(D, 도 3참조)이 구획되므로, 상기 차광부재(120)의 역할을 대신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차광부재(120)는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shadow area (D, see FIG. 3) in which the light is not irradiated by the light control area L and the light emitting unit 110 is partitioned by the irradiation guide shade 125, so that the light blocking member 120 is provided. Instead of the role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120 may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광유닛(110)을 세 개가 구비되는 것을 제시하였지 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발광 유닛(110)을 세 개 이상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에 따라, 상기 제 1조사구역(A1), 제 2조사구역(A2) 및 제 3조사구역(A3) 또한 상기 발광유닛(110)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제 1조사구역(A1), 제 2조사구역(A2) 및 제 3조사구역(A3)은 서로 겹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light emitting units 110 are provid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r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ree or more light emitting units 110 may be provid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the first irradiation zone A 1 , the second irradiation zone A 2 , and the third irradiation zone A 3 may also be ad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light emitting units 110. The first irradiation zone A 1 , the second irradiation zone A 2 and the third irradiation zone A 3 may be provided to overlap each other.

도 10은 도 9의 II부분을 1차 변형하여 도시한 단면도로, 상기 조사유도 갓(125)을 변형한 가이드 유닛(126)을 나타낸 것이다.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modified part II of FIG. 9 and illustrates the guide unit 126 modified from the irradiation guide shade 125.

상기 가이드 유닛(126)은 상기 포획케이스(100)의 판의 형상으로 내부 상면에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각각의 상기 가이드 유닛(126)사이에 상기 발광유닛(110)을 수용하며, 각각 상기 제 1조사구역(A1), 제 2조사구역(A2) 및 제 3조사구역(A3)과 평행하도록 구비되어, 도 9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상기 제 4, 제 5 및 제 6전등(114, 115 및 116)이 각각 상기 제 1조사구역(A1), 제 2조사구역(A2) 및 제 3조사구역(A3)을 조사하도록 빛을 유도할 수 있게 형성된다.The guide unit 126 is provided in the shape of the plate of the capture case 100 is extended to the lower side on the inner upper surfac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guide unit 126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110 And parallel to the first irradiation zone A 1 , the second irradiation zone A 2 and the third irradiation zone A 3, respectively, similar to those shown in FIG. 9. The fifth and sixth lamps 114, 115 and 116 are capable of directing light to irradiate the first irradiation zone A 1 , the second irradiation zone A 2 and the third irradiation zone A 3, respectively. Is formed.

도 11은 도 9의 II부분을 2차 변형하여 도시한 단면도로, 상기 조사유도 갓(125)을 대체하는 변형 가이드 유닛(124)을 나타낸 것이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modified part II of FIG. 9 and illustrates a deformation guide unit 124 replacing the irradiation guide shade 125.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 가이드 유닛(124)은 차광막(123), 구동부(122) 및 지지대(121)를 포함한다.As shown therein, the deformation guide unit 124 includes a light blocking film 123, a driver 122, and a support 121.

상기 구동부(122)는 상기 차광막(123)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차광막(123)이 좌우로 구동하도록 원형의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driving unit 122 is formed in a circular sawtooth shape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to the light blocking film 123 so that the light blocking film 123 is driven left and right.

상기 차광막(123)은 상기 구동부(122)에 구비된 상기 스크류 형상과 상호 대응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기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부(122)의 구동력을 전달받는다.The light blocking film 123 includes a gear part protruding upward to correspond to the screw shape provided in the driving part 122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part 122.

상기 지지대(121)는 상기 차광막(123)이 좌우로 구동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구비된다.The support 121 is provided to serve as a guide for driving the light shielding film 123 from side to side.

여기서, 상기 변형 가이드 유닛(124)의 구동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발광 유닛(110)이 발광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122)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차광막(122)이 상기 차단부재(120, 도 9참조) 방향으로 구동되고, 이에 따라, 점차적으로, 상기 제 1조사구역(A1)을 조사하고, 그 다음, 순차적으로 제 2조사구역(A2) 및 제 3조사구역(A3)을 조사하도록 빛을 유도하게 된다. 즉, 연속적으로 상기 조광구역(L, 도 3참조)이 넓어지게 되며, 정밀한 조광 구역의 조정이 가능하다.Here, referring to the driving of the deformation guide unit 124, first, the driving unit 122 is operated while the light emitting unit 110 emits light, and accordingly, the light blocking film 122 is connected to the blocking member ( 120, see Fig. 9), and accordingly, gradually, the first irradiation zone A 1 is irradiated, and then the second irradiation zone A 2 and the third irradiation zone A are sequentially 3 ) to induce light to irradiate. That is, the dimming zone L (see FIG. 3) is continuously widened, and precise dimming zones can be adjusted.

상기에서 상술한 상기 조사유도 갓(125, 도 9참조)과 유사하게 상기 변형 가이드 유닛(124)에 의해 상기 조광구역(L, 도 3참조)과 상기 발광유닛(110)에 의한 빛이 조사되지 않는 그림자구역(D, 도 3참조)이 구획되므로, 상기 차광부재(120, 도 9참조)의 역할을 대신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차광부재(120)는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Similar to the irradiation guide shade 125 (see FIG. 9) described above, light is not irradiated by the dimming zone L (see FIG. 3) and the light emitting unit 110 by the deformation guide unit 124. Since the shadow area D (see FIG. 3) is not defined, the light shielding member 120 (see FIG. 9) is substituted, and thus, the light blocking member 120 may be omitted.

도 12는 도 9의 II부분을 3차 변형하여 도시한 단면도로, 상기 조사유도 갓(125)을 대체하는 변형 가이드 유닛(129)을 나타낸 것이다.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ary part II of FIG. 9 and illustrates a deformation guide unit 129 replacing the irradiation guide shade 125.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 가이드 유닛(129)은 회동부(127) 및 회전 유도갓(128)을 포함한다.As shown therein, the deformation guide unit 129 includes a rotating part 127 and a rotation guide shade 128.

상기 회전 유도갓(128)은 상기 조사유도 갓(125, 도 9참조)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상기 발광 유닛(110)의 빛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외부에 기어형상으로 돌출부재를 형성한다.The rotating guide shade 128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irradiation guide shade 125 (see FIG. 9), but is rotatably provided to selectively irradiat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10, and protrudes in a gear shape to the outside. Forms a member.

상기 회동부(127)는 도 11에 도시된 상기 구동부(122)와 유사하게 상기 회전 유도갓(128)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 유도갓(128)이 기 설정된 범위내에서 회전 하도록 상기 회전 유도갓(128)의 외부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재와 상호 대응하는 형상의 원형의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rotating part 127 transmits a driving force to the rotating guide shade 128 similarly to the driving portion 122 shown in FIG. 11 so that the rotating guide shade 128 rotates within a preset range. It is formed in a circular sawtooth shap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member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여기서, 상기 변형 가이드 유닛(129)의 구동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발광 유닛(110)이 발광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127)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작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 유도갓(128)이 시계방향으로 점차 회전하여, 상기 발광 유닛(110)의 빛이 점차적으로, 상기 제 1조사구역(A1)을 조사하고, 그 다음, 순차적으로 제 2조사구역(A2) 및 제 3조사구역(A3)을 조사하도록 빛을 유도하며 연속적으로 상기 조광구역(L, 도 3참조)이 넓어지게 된다.Here, referring to the driving of the deformation guide unit 129, first, in the stat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unit 110 emits light, the rotating unit 127 is oper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us, the rotation guide shade 128 ) Gradually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110 gradually irradiates the first irradiation zone A 1 , and then sequentially the second irradiation zone A 2 and the third Light is guided to irradiate the irradiation zone A 3 and the dimming zone L (see FIG. 3) is continuously widened.

참고로, 상기 변형 가이드 유닛(129)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회동부(127)를 시계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회전 유도갓(128)이 초기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동한다.For reference, when the operation of the deformation guide unit 129 is completed, the rotation guide 127 is driven clockwise to drive the rotation guide shade 128 to the initial stat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부(127) 및 상기 회전 유도갓(128)의 구동을 기어의 형태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유압 또는 수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 유도갓(128)이 회동하도록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방향 또한 상기 차광부재(120, 도 9참조) 방향으로 상기 조광구역(L, 도 3참조)을 확장하여 상기 바퀴벌레를 유도하도록 구비되는 방향이면 어떤 방향이라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e of the rotating unit 127 and the rotary guide shade 128 is presented in the form of a gear,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rotary guide shade using at least one of hydraulic or hydraulic pressure.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the 128 to rotate, and in any direction, the direction is also provided to guide the cockroach by extending the dimming zone L (see FIG. 3) in the direction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120 (see FIG. 9). It is possible even.

My 4실시예4 Examples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Referring to the cockroach trap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ockroach trap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벌레 트랩(60)은 입구부(150)를포함하는 포획케이스(100), 발광 유닛(110), 차광 부재(120), 포획유닛(130), 센서(140), 포획센서(145) 및 카메라(170)를 포함한다.As shown therein, the cockroach trap 60 includes a capture case 100 including an inlet 150, a light emitting unit 110, a light blocking member 120, a capture unit 130, a sensor 140, The capture sensor 145 and the camera 170 are included.

상기 카메라(170)는 상기 포획케이스(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입구부(150)에서 상기 차광 부재(120)의 일단 하부까지의 상기 포획케이스(100)의 하부 면에서의 상기 바퀴벌레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바퀴벌레가 일정 구역 안으로 침입한 경우에는 상기 발광 유닛(110)으로 발광 신호를 보내도록 구비된다.The camera 170 is mounted inside the capture case 100, so that the roach of the cockroach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pture case 100 from the inlet 150 to the lower end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120. It is provided to detect a movement, and when the cockroach intrudes into a predetermined area, it is provided to send a light emission signal to the light emitting unit 110.

상기 포획센서(145)는 상기 포획유닛(130)에 바퀴벌레가 포획되는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포획신호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전등으로 발광 정지 신 호를 보내도록 구비된다.The capture sensor 145 is provided to detect a signal that the cockroach is captured to the capture unit 130, and when the capture signal is detected, it is provided to send a light emission stop signal to the light.

여기서, 상기 발광유닛(110)은 상기 발광 신호에 따라 발광되고, 상기 발광 정지 신호에 따라 소등되도록 구비된다.The light emitting unit 110 may emit light according to the light emission signal and may be turned off according to the light emission stop signal.

이에 따라, 상기 바퀴벌레 트랩(6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cockroach trap 60 is as follows.

먼저, 상기 바퀴벌레 트랩(60)으로 바퀴벌레가 침입하면, 상기 센서(140)에서 상기 침입을 감지하고, 상기 카메라(170)에 구동신호를 보낸다.First, when a cockroach intrudes into the cockroach trap 60, the sensor 140 detects the intrusion and sends a driving signal to the camera 170.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170)가 작동되며, 상기 카메라(170)는 상기 침입한 바퀴벌레를 감지하고, 상기 바퀴벌레가 일정 구역, 즉 상기 발광 유닛(110)이 발광 되었을 때, 상기 바퀴벌레가 상기 차단부재에 의해 생성되는 그림자 구역(D, 도 3참조)으로 도주할 수 있도록 유도가 가능한 구역에 침입한 경우에 상기 발광 유닛(110)이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 유닛(110)으로 발광 신호를 보낸다.Accordingly, the camera 170 is operated, the camera 170 detects the invasive cockroach, and when the cockroach is a predetermined area, that is, the light emitting unit 110 is emitted, the cockroach is the blocking member The light emitting unit 110 transmits a light emission signal to the light emitting unit 110 so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110 emits light when it enters a region that can be guided to escape to the shadow area D (see FIG. 3).

다음, 상기 발광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 유닛(110)이 발광되고, 상기 바퀴벌레는 이에 따라, 상기 발광 유닛(110)의 빛을 회피할 수 있는 상기 차단부재(120)의 하부로 피신하게 되고, 상기 포획유닛(130)으로 유도된다.Next, the light emitting unit 110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signal, and the cockroach escap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locking member 120 that can avoid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110. Guided to the capture unit 130.

이 때, 상기 바퀴벌레가 상기 포획유닛(130)에 포획되면, 상기 포획센서(145)에서 포획신호를 감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발광 유닛(110)으로 발광 정지 신호를 보내, 상기 발광 유닛(110)이 소등되도록 한다.At this time, when the cockroach is captured by the capture unit 130, the capture sensor 145 detects the capture signal, and accordingly sends a light emission stop signal to the light emitting unit 110, the light emitting unit ( 110) is turned off.

그러나, 상기 바퀴벌레가 상기 포획유닛(130)에 포획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포획센서(145)는 아무런 신호도 보내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발광 유닛(110)은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바퀴벌레와 상기 입구부(150)간에 빛으로 일종의 차단막을 형성하게 되어, 상기 바퀴벌레가 외부로 도주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However, when the cockroach is not captured by the capture unit 130, the capture sensor 145 does not send any signal, and accordingly, the light emitting unit 110 is maintained in the lit state, the cockroach Forming a kind of blocking film with light between the and the inlet 150, serves to prevent the cockroach to escape to the outside.

도 14 는 상기 포획접착면의 제 1패턴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고,도 15는 상기 포획접착면의 제 2패턴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14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pattern shape of the capture bonding surface, and FIG. 15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pattern shape of the capture bonding surface.

먼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패턴 형상은 상기 포획접착면(135)이 오목하고 볼록한 형상이 순차적으로 교차되는 모양으로 형성된 것이다.First, as shown in FIG. 14, the first pattern has a shape in which the capture adhesive surface 135 is concave and convex in shape.

상기 포획접착면(135)의 모양, 즉, 바퀴벌레 접촉 가능 면적(C1)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었을 경우에 나타나는 바퀴벌레 접촉면적(Ci)보다 더 넓도록 형성된다.The shape of the capture adhesive surface 135, that is, the cockroach contactable area (C 1 )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cockroach contact area (C i ) that appears when formed in a square shape.

이 경우, 사각형 형상의 포획접착면보다 상기 포획접착면(135)에 포획 가능한 바퀴벌레의 개체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number of cockroaches that can be captured on the capture adhesive surface 135 can be increased rather than the rectangular capture adhesive surface.

다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패턴 형상은 상기 포획접착면(137)의 중앙부에 상기 바퀴벌레가 경유할 수 있도록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통로부(139)를 미로 형태로 배치하고, 상기 통로부(139)의 주위를 접착제를 도포한 상기 포획접착면이 감싸도록 배치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통로부(139)로 진입한 상기 바퀴벌레가 상기 포획접착면(137)에 용이하게 접착되어 포획되도록 유도한다.Next, as shown in FIG. 15, the second pattern shape includes a passage part 139 not coated with an adhesive so as to pass through the cockroach in the center of the capture adhesive surface 137 in a maze form. It is arranged so as to surround the capture adhesive surface coated with an adhesive around the passage portion 139. Here, the cockroach entering the passage portion 139 is easily bonded to the capture adhesive surface 137 to guide the capture.

My 5실시예5 Example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Referring to the cockroach trap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ckroach trap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벌레 트랩(70)은 입구부(150)를포함하는 포획케이스(100), 발광 유닛(110), 차광 부재(120), 포획유닛(130), 센서(140), 유인제(190) 및 전열 유닛(180)을 포함한다.As shown therein, the cockroach trap 70 includes a catch case 100 including an inlet 150, a light emitting unit 110, a light blocking member 120, a catch unit 130, a sensor 140, Attracting agent 190 and the heat transfer unit 180.

상기 유인제(190)는 상기 포획 유닛(130)상에 배치된다. 상기 유인제(190)는 상기 바퀴벌레가 선호하는 먹이, 페로몬, 상기 바퀴벌레의 분변, 설탕 또는 음식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ttractant 190 is disposed on the capture unit 130. The attractant 190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food, pheromones, feces of the cockroach, sugar or food preferred by the cockroach.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인제(190)를 상기 포획 유닛(130) 상에 배치하는 것으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차광 부재(120)에 매달아 놓아 상기 포획 유닛(130)으로 상기 바퀴벌레가 유인되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포획케이스(100)의 내부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포획케이스(100)로 상기 바퀴벌레가 유인되도록 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attractant 190 is disposed on the capture unit 13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r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attracting agent 190 may be suspended from the light blocking member 120. 130 is provided to attract the cockroach, or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capture case 100,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only the role of attracting the cockroach to the capture case (100).

상기 전열 유닛(180)은 상기 포획케이스(100)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포획케이스(100)의 내부로 열을 공급하여, 상기 포획케이스(100) 내부의 온도가 외부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전열 유닛(180)은 전열선의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포획케이스(100)는 상기 전열 유닛(180)에 전원을 공급하며,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전원 공급부(185)를 포함한다.The heat transfer unit 180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pture case 100 and supplies heat to the inside of the capture case 100, so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pture case 100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outside temperature. It is provided to be high. Here, the heat transfer unit 18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eating wire, the capture case 1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85 is provided to supply power to the heat transfer unit 180, it is detachabl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열 유닛(180)을 전열선의 형태로 제시하였지만, 이 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전열판의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물을 일정 온도 이상 가열하여 온도를 높이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 transfer unit 180 is presented in the form of a heating wi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or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heat transfer unit 18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heat transfer plate, or may be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to increase the temperature. It is also possible to be provided with.

상기 전원공급부(185)는 건전지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 유닛(110) 및 상기 전열 유닛(1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가정 또는 건물에서 사용하는 교류 전원에 직접 전원을 연결하거나, 또는 충전용 전원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ower supply unit 185 is provided to supply power to the light emitting unit 110 and the heat transfer unit 110 by using a batter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hereto. If necessary, the power supply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an AC power source used in a home or a building, or a charging power supply device may be used.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바퀴벌레의 습성 중 빛을 회피하는 음성주광성을 고려하여 상기 바퀴벌레 트랩으로 유인된 바퀴벌레를 상기 포획 유닛으로 유도하여 상기 바퀴벌레의 포획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negative daylighting to avoid light in the behavior of cockroaches, there is an effect of inducing the capture of the cockroaches induced by the cockroach trapped by the cockroach trap to the capture unit. .

또한, 상기 바퀴벌레 트랩으로 유인되어, 상기 포획 유닛으로 유도된 상기 바퀴벌레가 외부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상기 발광 유닛을 지속적으로 발광시켜 상기 바퀴벌레와 상기 입구부 사이를 빛으로 차단함으로써 포획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otatable trap is attrac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continuously to prevent the cockroaches guided to the trapping unit to escape to the outside to increase the capture rate by blocking the light between the cockroach and the inlet portion There is this.

또한, 전열기를 구비하여 상기 바퀴벌레가 서식하기 좋은 온도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상기 바퀴벌레가 선호하는 환경을 구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vided with a preferred environment for the cockroach by providing a heater to maintain a good temperature for the cockroach habitat.

또한, 상기 바퀴벌레가 상기 바퀴벌레 트랩으로 유인되면, 상기 센서로 상기 바퀴벌레의 침입을 감지하고 최적의 위치에서 상기 발광 유닛을 발광시켜 상기 바퀴벌레를 포획 유닛으로 강제로 유도함으로써 능동적으로 상기 바퀴벌레를 포획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ckroach is attracted to the cockroach trap, the sensor can detect the intrusion of the cockroach and emit the light emitting unit at an optimal position to force the cockroach to the capture unit to actively capture the cockroach. There is an advantage to that.

또한, 반사부를 구비하여, 빛을 반사하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바퀴벌레 트랩의 설계 및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having a reflector to reflect light, there is an effect that enables the design and manufacture of a relatively low height cockroach trap.

또한, 상기 바퀴벌레 트랩의 형상을 설치하는 위치에 따라 변경시킴으로써, 적재 적소에 배치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바퀴벌레 트랩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cockroach trap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ovide a cockroach trap that can expect the same effect even if placed in the right pla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29)

바퀴벌레를 포함한 보행 해충이 출입하는 하나 이상의 입구부를 구비한 포획케이스;A capture case having one or more inlets to allow walking pests, including cockroaches, to enter and exit; 상기 보행해충의 침입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At least one sensor for detecting an invasion of the walking pest; 상기 센서와 연동하여 발광되는 발광 유닛;A light emitting unit which emits light in association with the sensor; 상기 포획케이스의 내부에 지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발광 유닛의 빛에 의해 그림자를 형성하는 차광 부재; 및A light block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capture cas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and forming a shadow by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상기 차광 부재 하부에 제공되는 포획 유닛;A capture unit provided below the light blocking member; 을 포함하는 바퀴벌레 트랩.Cockroach traps containing.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발광 유닛은 상기 센서가 상기 보행해충의 침입을 감지하면 일정 시간 지체 후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The light emitting unit is a cockroach trap,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is emitted after a delay when the sensor detects the invasion of the walking pes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발광 유닛은 발광다이오드(LED), 자외선등, 형광등 또는 백열등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The light emitting unit is a cockroach trap,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ultraviolet light, fluorescent light or incandescent ligh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센서는 압력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정전용량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The sensor is a cockroach trap,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pressure sensor, infrared sensor or capacitive senso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센서는 상기 발광 유닛이 발광되면, 상기 보행해충의 위치에서 상기 입구부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발광 유닛의 빛에 의해 나타나는 상기 차광부재의 그림자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가깝도록 상기 포획케이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When the light emitting unit emits light, the sensor is installed in the capture case such that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walking pest to the entrance portion is relatively closer to the shadow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represented by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Cockroach trap,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발광 유닛은 발광된 후 일정 시간동안 지속되어 발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The light emitting unit is a cockroach trap, characterized in that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light emitting to maintain a light emitting stat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바퀴벌레 트랩은 상기 보행해충이 상기 포획 유닛에서 포집되는 포획신호를 감지하는 포집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The cockroach trap is a cockroach trap,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ap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capture signal that the walking pest is captured by the capture unit.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발광 유닛은 상기 포획신호가 감지되면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And the light emitting unit is turned off when the capture signal is detect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바퀴벌레 트랩은 상기 발광 유닛의 불빛이 상기 입구부와 근접한 구역을 조사하도록 빛을 반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The cockroach trap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reflector for reflecting light so that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irradiates the area proximate to the inle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바퀴벌레 트랩은 상기 보행해충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카메라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The cockroach trap further comprises a camera unit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walking pest cockroach trap.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카메라는 상기 보행해충의 침입이 감지되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The camera is a cockroach trap, characterized in that driven when the invasion of the walking pest is detected.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카메라에서 감지된 상기 보행해충이 기설정된 일정 범위 내로 침입하면 상기 발광 유닛이 발광되고 상기 카메라는 구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When the walking pests detected by the camera intrude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light emitting unit emits light and the camera stops driving.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포획케이스는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The capture case is a cockroach trap,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eat transfer unit for generating heat.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전열유닛은 상기 포획 유닛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포획유닛의 주위가 다른 구역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The heat transfer unit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pture unit is a cockroach trap,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roundings of the capture unit is provided to maintain a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 than other zones.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전열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포획케이스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Supplying power to the heat transfer unit, cockroach trap,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wer supply provided in the capture case.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전열 유닛은 전열선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포획케이스의 하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The heat transfer un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heating wire, the cockroach trap,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pture cas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포획 유닛은 일정한 패턴의 모양으로 상기 보행해충을 포획하는 포획접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The trap unit is a cockroach trap,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ture adhesive surface is formed to capture the walking pest in a predetermined pattern shape. 제 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패턴은 상기 입구부 방향으로 오목하고 볼록한 면이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형상 또는 미로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The pattern is a cockroach trap,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and convex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portion at least one of the shape or maze shape sequentially appea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바퀴벌레 트랩은 상기 보행해충을 유인하는 유인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The cockroach trap further comprises a attractant attracting the walking pest. 제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유인제는 상기 포획 유닛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And the attractant is provided on the capture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발광 유닛은 복수 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Cockroach trap,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light emitting unit is disposed. 제 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은 상기 발광 유닛이 발광할 경우에 생성되는 상기 차광 부재의 그림자가 입구부에서 점차적으로 멀어지도록 순차적으로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And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emit light sequentially so that the shadow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generated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emits light gradually moves away from the entrance. 제 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은 기 설정된 범위에만 빛을 조사(照射)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 is a cockroach trap,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irradiate light only in a predetermined range. 제 2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기 설정된 범위는 상기 포획케이스의 하부를 상기 입구부에서 상기 차광부재의 일단의 하부까지의 구간을 기설정된 간격으로 나누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The predetermined range is divided into a cockroach trap, characterized in that divid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divided the section from the inlet portion to the lower end of the end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제 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은 상기 입구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기 설정 범위를 순차적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And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sequentially irradiate the predetermined rang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제 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이 각각 기 설정된 범위에 빛을 조사하도록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The cockroach trap,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 further comprises a guide unit to irradiate light in a predetermined range, respectively. 제 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포획케이스의 내부 상면에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기 설정된 범위와 평행하도록 복수 개 구 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The guide unit is provid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apture case extending to the lower side, a plurality of cockroach tra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o be parallel to the preset rang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포획케이스는,The capture case, 상기 입구부를 구비하는 출입부; 및An entrance having the entrance; And 상기 출입부의 반대 방향에 구비되는 설치부;An installation unit provided in an opposite direction of the access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Cockroach traps comprising a. 제 2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설치부의 평면은 상기 입구부와 인접하는 일 측변이 타측변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The installation plane is a cockroach trap,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adjacent to the inlet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other side.
KR1020070046777A 2007-05-14 2007-05-14 Cockroach trap Active KR1008313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777A KR100831364B1 (en) 2007-05-14 2007-05-14 Cockroach tr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777A KR100831364B1 (en) 2007-05-14 2007-05-14 Cockroach tra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1364B1 true KR100831364B1 (en) 2008-05-22

Family

ID=39664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777A Active KR100831364B1 (en) 2007-05-14 2007-05-14 Cockroach tr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1364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1804A (en) * 2020-02-07 2021-08-11 Spotta Ltd System for detecting pests
US20210267187A1 (en) * 2017-03-02 2021-09-02 Woodstream Corporation Remote Monitoring Of Live Catch Rodent Traps
US20210392866A1 (en) * 2018-10-22 2021-12-23 Brandenburg Connect Limited Intelligent trap and consumables
KR102828769B1 (en) 2023-06-22 2025-07-04 대한민국 Pest remote monitoring trap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9502A (en) 1985-09-13 1987-12-01 Albert Bierman Electric roach trap
KR940009426A (en) * 1992-10-20 1994-05-20 사토 후미오 washer
US5513465A (en) 1993-12-17 1996-05-07 S. C. Johnson & 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tching insects
KR19990008943A (en) * 1997-07-04 1999-02-05 염윤섭 Pest exterminator
KR20010024667A (en) * 1997-11-26 2001-03-26 메이어 시니츠키 Insect trap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9502A (en) 1985-09-13 1987-12-01 Albert Bierman Electric roach trap
KR940009426A (en) * 1992-10-20 1994-05-20 사토 후미오 washer
US5513465A (en) 1993-12-17 1996-05-07 S. C. Johnson & 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tching insects
KR19990008943A (en) * 1997-07-04 1999-02-05 염윤섭 Pest exterminator
KR20010024667A (en) * 1997-11-26 2001-03-26 메이어 시니츠키 Insect trap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67187A1 (en) * 2017-03-02 2021-09-02 Woodstream Corporation Remote Monitoring Of Live Catch Rodent Traps
US20210392866A1 (en) * 2018-10-22 2021-12-23 Brandenburg Connect Limited Intelligent trap and consumables
US11974561B2 (en) * 2018-10-22 2024-05-07 Caucus Connect Limited Intelligent trap and consumables
GB2591804A (en) * 2020-02-07 2021-08-11 Spotta Ltd System for detecting pests
GB2591804B (en) * 2020-02-07 2024-02-28 Spotta Ltd System for detecting pests
US12167728B2 (en) 2020-02-07 2024-12-17 Spotta Limited Systems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pests
KR102828769B1 (en) 2023-06-22 2025-07-04 대한민국 Pest remote monitoring tra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13765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racting and trapping flying insects
US200901903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elling Pests
US5915948A (en) Insect attractant device
KR100871428B1 (en) Cockroach trap with control of temperature or humidity
US6502347B1 (en) Lighted insect trap
KR100949765B1 (en) Cockroach trap with sensor and electric shock
EP2079299A1 (en) Vermin exterminating apparatus
WO2009099278A2 (en) Insect trapping and killing device
KR100831364B1 (en) Cockroach trap
KR20150124766A (en) Apparatus of insect trap
GR20180100511A (en) Insect tramp
KR20170037741A (en) An UV LED Applied Insect Trap
KR102545507B1 (en) An UV LED Applied Insect Trap
JPH11346629A (en) Mosquito trap or mosquito trap
KR200431848Y1 (en) Eco-friendly Pest Capture
JP6073760B2 (en) Insect trapping device
KR20080107920A (en) Pest trapping device
KR102020717B1 (en) Flies catcher with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sheet
KR20090095083A (en) Cockroach tracking apparatus and cockroach cont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JP4483186B2 (en) Intrusion pest control method and intrusion pest control apparatus
JP5114445B2 (en) Insect attracting system
KR101041708B1 (en) Pest trapping device
KR20100007493A (en) Apparatus for capturing vermin
KR101608345B1 (en) Apparatus for capturing vermin
JP7109073B2 (en) Insect trapping device and insect trapping method using the insect trapp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16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