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29043B1 -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043B1
KR100829043B1 KR1020060132732A KR20060132732A KR100829043B1 KR 100829043 B1 KR100829043 B1 KR 100829043B1 KR 1020060132732 A KR1020060132732 A KR 1020060132732A KR 20060132732 A KR20060132732 A KR 20060132732A KR 100829043 B1 KR100829043 B1 KR 100829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polishing
conveyor belt
grinding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찬
Original Assignee
박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찬 filed Critical 박종찬
Priority to KR1020060132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04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onveyor belts, a sequence of travelling work-t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76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grinding machines comprising two or more grind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4Protective covers for the grind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1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7/1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end-faces, e.g. of gauges, rollers, nuts, piston rings
    • B24B7/162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end-faces, e.g. of gauges, rollers, nuts, piston rings for mass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1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7/1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end-faces, e.g. of gauges, rollers, nuts, piston rings
    • B24B7/17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end-faces, e.g. of gauges, rollers, nuts, piston rings for simultaneously grinding opposite and parallel end faces, e.g. double disc gr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 등 금형으로 생산된 가공물을 자동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단시간에 많은 양의 가공물의 측면을 연마할 수 있도록 한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하부에 다수개의 다리가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공물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가공물의 양측면을 연마하는 연마수단과, 상기 연마수단을 동작하도록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이동수단과 동력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공물, 연마, 컨베이어벨트, 숫돌, 베어링

Description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A apparatus for grinding the surface of workpie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수단과 지지수단을 보인 확대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마수단을 보인 측면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간격조절수단을 보인 확대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벨트에 가공물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마장치 100 : 베이스
200 : 이동수단 202, 202a : 제1,2풀리
204, 204a, 302, 324, 408, 421 :브라켓
208 : 컨베이어벨트 300 : 연마수단
301 : 연마부 304, 412 : 풀리
306 : 숫돌 308 : 보조풀리
310 : 슬라이드판 312, 316 : 제1,2레일
314 : 고정판 320 : 간격조절수단
322 : 나사축 326 : 핸들
328 : 탄성부재 400 : 동력발생부
402 : 지지대 404 : 덮개판
406 : 모터 410 : 회전축
420 : 지지수단 424 :안내부재
426 : 베어링 500 : 분진수거수단
502 : 분진수거부재 504 : 흡입구
506 : 배출구 600 : 제어부
W : 가공물
본 발명은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스 등 금형으로 생산된 가공물을 자동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단시간에 많은 양의 가공물 측면을 연마할 수 있도록 한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용 부품 및 휴대용 전화기 케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는 부품 등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직접 가공(예를 들어 절단, 절삭, 연마 등)을 하거나 그 모양을 만들어 주는 금형을 기계적으로 가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부품의 정밀도는 가공기계 또는 금형 가공시의 정밀도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나, 아무리 정밀하게 가공을 한다고 하여도 가공물의 절단면이 날카롭고 거칠게 형성되게 되어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금형에 의해 생산된 부품들은 절단면이 날카롭게 되어 정밀도를 요하는 기계 등의 부품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단계를 거친 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마장치는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구비되고, 모터의 회전축에 원형의 숫돌이 장착되어 회전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작업자가 가공물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가공물을 숫돌의 원주면에 접하게 하여 연마를 실시하였다.
이처럼 작업자가 직접 가공물을 연마 숫돌에 접촉시켜 연마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정밀한 연마 작업이 어려우며,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연마 작업은 1회의 연마작업에 의해 가공물의 양측면을 동시에 연마 작업이 불가능하여 가공물의 양측면을 번갈아 돌려가면서 연마 작업을 해야 하므로 연마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가공물의 양측면이 불균일하게 연마되어 품질저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가공물을 파지하여 양측면의 연마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가공물의 연마작업 중 숫돌과의 마찰에 의해 표면온도가 급격히 상승되어 작업자가 화상을 입게 되고, 또한 가공물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연마작업을 하였을 때 가공물의 양측면이 서로 균일하지 않아 상당한 편차가 발생되어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공물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컨베이어의 양측으로 다수개의 연마용 숫돌을 구비하여 가공물을 컨베이어에 안착시킨 후 이동시키면서 연마용 숫돌에 의해 가공물의 양측면이 균일하게 연마되도록 하여 양측이 균일하고 편차를 최소로 함으로써 가공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가공물의 양측면을 컨베이어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연마되도록 연마공정을 자동화하여 단시간에 많은 양의 가공물을 연마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고품질의 정밀한 가공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판이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공물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가공물의 양측면을 연마하는 연마수단과, 상기 연마수단을 동작 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이동수단과 동력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수단은 서로 대향되도록 제1,2풀리가 구비되고, 상기 제1,2풀리 중 어느 하나에 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제1,2풀리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컨베이어벨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컨베이어벨트에는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돌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마수단은 상기 이동수단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부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라켓의 외측으로 피동풀리가 구비되고 내측으로 상기 이동수단의 컨베이어벨트와 근접하는 숫돌이 마련된 연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마부는 가공물의 양측에 대향되게 다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고정부라켓이 상부에 안착되되 하부에는 제1레일이 구비된 슬라이드판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판에 안착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드판의 제1레일이 결합되는 제2레일이 구비된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판을 이동시켜 서로 대향되는 숫돌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슬라이드판이 결합되는 나사축이 구비되고, 상기 나사축을 고정지지하는 고정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나사축의 외측 끝단부에 핸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나사축에 결합되어 구비되되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슬라이드판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판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판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판이 구비되며, 상기 덮개판의 상부로 안착 고정되는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와 이격되게 구비되어 회전축에 의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풀리가 구비되되 일측의 풀리는 상기 모터와 벨트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으로 이동되는 가공물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동력발생부의 지지대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안착 결합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로 이동되는 가공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내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부재의 상부에 구비되어 가공물의 상부를 지지해주는 베어링이 구비되어 상기 덮개판의 저면부에 구비된 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베어링은 서로 대향되게 양측에 다수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마수단에 의해 가공물을 연마할 때 발생하는 분진을 처리하는 분지집진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진 집진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상판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 기 관통공을 감싸도록 하부에 구비된 호퍼가 구비되며, 상기 호퍼를 통해 수집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구비된 분진수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의 양측면에 상기 연마수단의 숫돌을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수단과 지지수단을 보인 확대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연마수단을 보인 측면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간격조절수단을 보인 확대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연마장치(10)는 크게 베이스(100)와 이동수단(200)과 연마수단(300)과 동력발생부(400) 및 제어부(600)로 구성된다.
그리고, 분진을 수거하여 배출시키는 분진수거수단(500)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00)는 상판(102)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102)의 하부 각 모서리부 및 중앙측면에 다수개의 다리(104)가 구비되어 상기 상판(102)의 상부에 각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100)는 상판(102)이 구비된 사각함체 형상으로 구성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수단(200)은 상기 베이스(100)에 구비된 상판(102)의 길이 방향 양측면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대향 설치되는 제1풀리(202) 및 제2풀리(202a)가 구비되고, 상기 제1,2풀리(202)(202a)를 각각 지지하는 고정브라켓(204)(204a)이 구비되며, 상기 제1,2풀리(202)(202a) 중 어느 하나의 풀리(202)에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06)가 구비되고, 상기 제1,2풀리(202)(202a)를 서로 연결시켜 줌과 동시에 가공물(W)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벨트(208)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벨트(208)의 상부에는 가공물(W)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공물(W)을 잡아주는 돌기(210)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8)의 상부에 형성되는 돌기(21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가공물(W)의 형상에 따라 원통형상 이외의 직사각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마수단(300)은 상기 이동수단(200)의 컨베이어벨트(208)에 의해 이동되는 가공물(W)의 양측면을 연마하도록 상기 이동수단(200)의 컨베이어벨트(208) 양측부에 위치하는 고정브라켓(302)이 구비되고, 양측에 구비된 상기 고정브라켓(302)의 외측으로 피동풀리(304)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브라켓(302)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컨베이어벨트(208)에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숫돌(306)이 구비된 연마부(30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연마부(301)는 가공물(W)의 양측에 마주보도록 여러쌍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숫돌(306)과 피동풀리(304)를 각각 구비 된 3쌍을 서로 대향되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 3쌍의 연마부(301), 즉 중앙부에 위치한 한쌍의 연마부(301)에는 보조풀리(308)가 더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연마부(301)의 숫돌(306)은 상기 컨베이어벨트(208)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전면부에서부터 후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컨베이어벨트(208)에 의해 이동되는 가공물(W)의 측면을 연마할 때 상기 숫돌(306)의 후방부에서 연마되도록 하여 가공물(W)의 연마중에 가공물(W)이 이탈 또는 진행을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302)이 안착 고정되는 슬라이드판(310)이 구비되되 상기 슬라이드판(310)의 하부에는 서로 대향되는 한쌍의 제1레일(31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0)의 상판(102)에 안착 고정되고, 상부에 서로 대향되는 한쌍의 제2레일(316)이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판(310)의 제1레일(312)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판(314)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연마부(301)의 숫돌(306)로 상기 가공물(W)을 연마시 상기 숫돌(306)의 마모 또는 가공물(W)의 연마 규격에 맞도록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연마부(301)가 구비된 상기 슬라이드판(310)을 이동시키는 간격조절수단(320)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수단(320)은 상기 슬라이드판(310)에 결합되는 나사축(322)이 구비되고, 상기 나사축(322)을 고정 지지하도록 상기 상판(102)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324)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판(310)에 결합된 나사축(322)의 단부에는 상기 나사축(322)을 회전시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핸 들(326)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나사축(322)에 결합되되 상기 슬라이드판(310)과 고정브라켓(324)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슬라이드판(310)을 탄성에 의해 일방향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328)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발생부(400)는 상기 연마수단(300)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동작하도록 하되 상기 베이스(100)의 상판(102)에 상부로 돌출되게 다수개의 지지대(402)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402)의 상부에는 덮개판(404)이 구비되며, 상기 덮개판(404)의 상부에 안착 고정되는 제2모터(406)가 구비되고, 상기 제2모터(406)와 이격되게 구비되어 서로 대향되는 한쌍의 고정브라켓(408)이 구비되고, 한쌍의 고정브라켓(408)을 관통하는 회전축(410)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410)의 양측에는 한쌍의 풀리(412)가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410)의 양측에 구비된 한쌍의 풀리(412)는 상기 연마수단(300)의 양측에 대향되게 구비된 연마부(301)의 피동풀리(304)에 각각 벨트(414)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410)의 양측에 구비된 한쌍의 풀리(412)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2모터(406)와 벨트(416)로 연결된다.
나아가, 상기 회전축(410)에 구비된 한쌍의 풀리(412)는 상기 연마부(301)의 피동풀리(304)에 벨트(414)를 연결시킬 때 상기 벨트(414)를 상기 회전축(410)의 풀리(412)에 결합시킨 후 상기 연마부(301)의 가장 전방과 중앙부에 구비된 피동풀리(304)에 연결시킨 후 다시 상기 보조풀리(308)에 벨트(414)를 연결한 후 가장 후방에 구비된 피동풀리(304)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하여 벨트(414)가 체결되어 다수 개의 숫돌(306)이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200)에 의해 이동되는 가공물(W)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420)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수단(420)은 상기 동력발생부(400)의 지지대(402)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지지부재(422)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422)의 상부에 안착 고정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208)로 이동되는 가공물(W)의 안내역할을 하는 안내부재(424)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부재(424)의 상부에 구비되어 가공물(W)의 상부를 지지해주는 베어링(426)이 구비되어 상기 덮개판(404)의 저면부에 체결되는 브라켓(421)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베어링(426)은 상기 안내부재(424)의 상부면으로 이격되게 즉, 상기 안내부재(424)의 상부면으로부터 가공물(W)의 두께만큼 이격되게 하여 상기 안내부재(424)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브라켓(421)의 양측부에 대향되도록 다수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마수단(300)의 숫돌(306)에 의해 가공물(W)이 연마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처리하는 분진수거수단(500)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분진수거수단(500)은 상기 베이스(100)의 상판(102)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상판(102)에 관통공(10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03)을 하부에서 감싸는 형식으로 흡입구(504)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504)를 통해 흡입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506)가 구비된 분진수거부재(502)로 구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100)의 상판(102)에 형성되는 관통공(103)은 상기 연마수 단(300)의 숫돌(306)이 구비된 위치에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분진수거부재(502)의 배출구(506)에는 외부로 연결되는 배출관(508)을 연결하여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마수단(300)의 숫돌(306)에서 가공물(W)을 연마할 때 발생하는 분진이 작업장 등 타지역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재(52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520)는 상기 지지수단(420)의 브라켓(421) 양측면에 각각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연마수단(300)의 숫돌(306)이 커버되게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커버부재(520)는 가공물(W)의 연마상태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동력발생부(4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마장치(10)의 모든 기능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벨트에 가공물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 및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연마장치(10)는 먼저, 상기 제어부(60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이동수단(200)의 제1모터(206)와 상기 동력발생부(400)의 제2모 터(406)로 각각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이동수단(200)의 제1모터(206)에 연결된 제1,2풀리(202)(202a)가 회전을 하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208)가 일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동력발생부(400)의 제2모터(406)와 벨트(416)로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풀리(412)가 회전을 하면서 상기 연마수단(300)의 피동풀리(304)에 연결되어 있는 벨트(414에 의하여 숫돌(306)이 각각 회전을 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프레스 금형 등에서 제작된 가공물(W)을 상기 컨베이어벨트(208)의 상부에 안착시키게 되는데, 즉 상기 컨베이어벨트(208)에 가공물(W)을 안착시킬 때 상기 가공물(W)은 상기 컨베이어벨트(208)에 형성된 돌기(210)에 걸리도록 하여 안착시킨다.
이렇게 상기 컨베이어벨트(208)에 안착된 가공물(W)은 컨베이어벨트(208)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안내부재(424)의 상부를 통과하면서 계속해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안내부재(424)의 상부로 진입한 가공물(W)의 상부는 상기 베어링(426)이 지지하게 되어 흔들림 또는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이동되게 된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벨트(208)의 상부에 안착된 가공물(W)은 상기 베어링(426)과 안내부재(424)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이동되는 가공물(W)이 상기 연마수단(300)의 연마부(301)를 통과하게 되고, 연마부(301)를 통과할 때 상기 컨베이어벨트(208)의 양측에 구비된 다수개의 숫돌(306)에 의해 상기 가공물(W)의 양측면이 연마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숫돌(306)에 의해 양측면이 연마된 가공물(W)은 계속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208)를 타고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가공물(W)의 양측면을 연마할 때 다수개의 숫돌(306)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마작업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가공물(W)의 양측면이 매끄럽고 정밀하게 연마되어 고품질의 가공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으로 하여 다수개의 가공물(W)을 컨베이어벨트(208)의 상부에 안착시키기만 하면 자동으로 가공물(W)의 이동시키면서 양측면을 연마할 수 있도록 자동화하여 단시간에 많은 양의 가공물(W)의 측면을 연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공물(W)이 숫돌(306)에 의해 연마작업을 수행할 때 발생되는 분진은 상기 베이스(100)의 상판(102)에 형성된 관통공(103)을 통하여 상기 분진수거부재(502)의 흡입구(504)로 흡입되어 배출구(506)에 연결된 배출관(50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520)에 의해 가공물(W)의 측면을 연마할 때 발생되는 분진이 작업장 등 타지역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연마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벨트(208)에 의해 이동되는 가공물(W)의 연마작업에 의해 숫돌(306)이 마모되는 경우에는 상기 간격조절수단(320)의 핸들(326)을 일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나사축(322)에 의해 슬라이드판(310)은 상기 고정판(314)의 제2레일(316)의 안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208)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어 작업자가 원하는 간격으로 조절한 후 연마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처음과 동일한 연마작업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숫돌(306)의 마모가 심하여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핸들(326)을 이용하여 슬라이드판(310)을 후진 시킨 후에 숫돌(306)을 교체하고 다시 핸들(326)을 이용하여 가공물(W)의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숫돌(306)을 전진시켜 가공물(W)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벨트(208)에 근접하게 조절을 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208)에 의해 이동되는 가공물(W)의 양측면을 연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마장치(10)는 가공물(W)을 이동하면서 연마하는 작업이 모두 자동으로 진행되므로, 단시간에 많은 양의 가공물(W)의 측면을 연마할 수 있으며, 다수에 걸쳐서 가공물(W)의 측면을 연마함으로써 고품질의 가공물(W)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에 안착된 가공물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숫돌을 이용하여 가공물의 양측면을 동시에 연마할 수 있도록 하여 가공물의 양측이 균일하게 연마되고, 이동되는 가공물의 유동을 방지하는 베 어링을 구비하여 가공물의 연마시 안전하고 정밀한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공물의 공급부터 연마작업을 수행하는 모든 공정이 자동화되어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가공물의 양측면 연마작업을 3차에 걸쳐서 수행하므로 더욱 정밀한 연마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연마작업시 발생되는 분진을 별도로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작업장 등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상판이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공물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으로 이동되는 가공물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가공물의 양측면을 연마하는 연마수단과,
    상기 연마수단을 동작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이동수단과 동력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서로 대향되도록 제1,2풀리가 구비되고, 상기 제1,2풀리 중 어느 하나에 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제1,2풀리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컨베이어벨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에는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돌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수단은 상기 이동수단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부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라켓의 외측으로 피동풀리가 구비되고 내측으로 상기 이동수단의 컨베이어벨트와 근접하는 숫돌이 마련된 연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가공물의 양측에 대향되게 다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숫돌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진행방향으로 하여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라켓이 안착되되 하부에는 제1레일이 구비된 슬라이드판이 구비 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판에 안착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드판의 제1레일이 결합되는 제2레일이 구비된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판을 이동시켜 서로 대향되게 구비된 숫돌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슬라이드판이 결합되는 나사축이 구비되고, 상기 나사축을 고정지지하는 고정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나사축의 외측 끝단부에 핸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에 결합되어 구비되되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슬라이드판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판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판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판이 구비되며, 상기 덮개판의 상부로 안착 고정되는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와 이격되게 구비되어 회전축에 의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한쌍의 풀리가 구비되되 한쌍의 풀리는 상기 연마수단의 피동풀리에 연결되고, 한쌍의 풀리중 어느 하나의 풀리에는 상기 모터와 벨트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동력발생부의 지지대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안착 결합되어 컨베이어벨트로 이동되는 가공물을 안내하는 안내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부재의 상부에 구비되어 가공물의 상부를 지지해주는 베어링이 구비되어 덮개판의 저면에 체결되는 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서로 대향되게 양측에 다수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제 13 항,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수단에 의해 가공물을 연마할 때 발생하는 분진을 처리하는 분진수거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 집진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상판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을 감싸도록 하부에 구비된 호퍼가 형성된 흡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수집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구비된 분진수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의 브라켓 양측면에 상기 연마수단의 숫돌을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KR1020060132732A 2006-12-22 2006-12-22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29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732A KR100829043B1 (ko) 2006-12-22 2006-12-22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732A KR100829043B1 (ko) 2006-12-22 2006-12-22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043B1 true KR100829043B1 (ko) 2008-05-19

Family

ID=3966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732A Expired - Fee Related KR100829043B1 (ko) 2006-12-22 2006-12-22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043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7403A (zh) * 2013-06-21 2013-09-25 来安县浦创轨道装备有限公司 一种双面自动打磨装置
CN105346927A (zh) * 2015-12-21 2016-02-24 苏州施莱医疗器械有限公司 分立手术刀片三带式连续传送机构
CN109759920A (zh) * 2019-03-07 2019-05-17 广州市加简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施工的安全性高的打磨设备
CN111216026A (zh) * 2020-01-19 2020-06-02 嘉兴辉宇传动技术有限公司 一种直线导轨用抛光机构
CN111300199A (zh) * 2020-02-28 2020-06-19 丽水学院 一种双面去毛刺装置
CN112123133A (zh) * 2019-06-25 2020-12-25 武汉科技大学 一种曲面抛光机的抛光装置
CN112222997A (zh) * 2020-10-16 2021-01-15 重庆交通职业学院 一种电气自动化加工设备
CN112496909A (zh) * 2020-10-30 2021-03-16 怀宁县三兴木业有限公司 一种木板表面加工处理装置
CN112720284A (zh) * 2019-10-14 2021-04-30 扬中市远东轴承专用油石厂 一种油石圆弧加工机
CN113118956A (zh) * 2021-05-12 2021-07-16 徐州华展门窗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隔热耐腐的铝合金门窗表面处理装置
CN113352169A (zh) * 2021-08-11 2021-09-07 徐州市瑞泰钢管有限公司 一种镀锌管件自动化裁切打磨一体化装置
CN113510547A (zh) * 2021-07-28 2021-10-19 李星锦 一种建筑装饰板用的机械打磨装置
KR20230120244A (ko) 2022-02-09 2023-08-17 (주)엠알인프라오토 양면 디버링 장치 및 그에 의해 가공되는 절삭가공물
CN117381572A (zh) * 2023-11-20 2024-01-12 东莞市黄江大顺电子有限公司 一种大尺寸led背光源线路板生产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8000A (ja) * 1993-03-30 1994-10-04 Fukuyama Tekkosho:Kk 板ガラスポリッシャ自動送り装置
KR960017050A (ko) * 1994-11-21 1996-06-17 정몽원 연마기
KR19980019433A (ko) * 1998-03-18 1998-06-05 이철훈 소형사각판 연마구조
KR20010049651A (ko) * 1999-06-29 2001-06-15 알프레드 엘. 미첼슨 판상 물질의 가장자리 가공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8000A (ja) * 1993-03-30 1994-10-04 Fukuyama Tekkosho:Kk 板ガラスポリッシャ自動送り装置
KR960017050A (ko) * 1994-11-21 1996-06-17 정몽원 연마기
KR19980019433A (ko) * 1998-03-18 1998-06-05 이철훈 소형사각판 연마구조
KR20010049651A (ko) * 1999-06-29 2001-06-15 알프레드 엘. 미첼슨 판상 물질의 가장자리 가공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7403A (zh) * 2013-06-21 2013-09-25 来安县浦创轨道装备有限公司 一种双面自动打磨装置
CN105346927A (zh) * 2015-12-21 2016-02-24 苏州施莱医疗器械有限公司 分立手术刀片三带式连续传送机构
CN109759920A (zh) * 2019-03-07 2019-05-17 广州市加简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施工的安全性高的打磨设备
CN112123133A (zh) * 2019-06-25 2020-12-25 武汉科技大学 一种曲面抛光机的抛光装置
CN112720284A (zh) * 2019-10-14 2021-04-30 扬中市远东轴承专用油石厂 一种油石圆弧加工机
CN111216026A (zh) * 2020-01-19 2020-06-02 嘉兴辉宇传动技术有限公司 一种直线导轨用抛光机构
CN111300199A (zh) * 2020-02-28 2020-06-19 丽水学院 一种双面去毛刺装置
CN112222997A (zh) * 2020-10-16 2021-01-15 重庆交通职业学院 一种电气自动化加工设备
CN112496909A (zh) * 2020-10-30 2021-03-16 怀宁县三兴木业有限公司 一种木板表面加工处理装置
CN113118956A (zh) * 2021-05-12 2021-07-16 徐州华展门窗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隔热耐腐的铝合金门窗表面处理装置
CN113118956B (zh) * 2021-05-12 2022-02-08 徐州华展门窗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隔热耐腐的铝合金门窗表面处理装置
CN113510547A (zh) * 2021-07-28 2021-10-19 李星锦 一种建筑装饰板用的机械打磨装置
CN113510547B (zh) * 2021-07-28 2024-03-22 李星锦 一种建筑装饰板用的机械打磨装置
CN113352169A (zh) * 2021-08-11 2021-09-07 徐州市瑞泰钢管有限公司 一种镀锌管件自动化裁切打磨一体化装置
CN113352169B (zh) * 2021-08-11 2022-06-24 徐州市瑞泰钢管有限公司 一种镀锌管件自动化裁切打磨一体化装置
KR20230120244A (ko) 2022-02-09 2023-08-17 (주)엠알인프라오토 양면 디버링 장치 및 그에 의해 가공되는 절삭가공물
CN117381572A (zh) * 2023-11-20 2024-01-12 东莞市黄江大顺电子有限公司 一种大尺寸led背光源线路板生产工艺
CN117381572B (zh) * 2023-11-20 2024-05-31 东莞市黄江大顺电子有限公司 一种大尺寸led背光源线路板生产打磨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043B1 (ko)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KR100829037B1 (ko)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EP0960691A2 (en) Glass product machining apparatus
KR101531623B1 (ko) 톱날 자동 연마가공장치
KR101574520B1 (ko) 톱날 자동 연마가공장치
KR101410144B1 (ko) 칼 연마장치
KR20130052990A (ko) 타일 표면 연마장치
KR20150130914A (ko) 연삭 장치
KR101206367B1 (ko) 윈도우 글래스 연마장치
CN110549217A (zh) 数控磨床
JP5898982B2 (ja) 研削装置
KR20140029932A (ko) 파이프 연마장치
CN112658834B (zh) 一种cbn气门精磨锥面磨床
KR101522008B1 (ko) 자동차 시동장치의 피니언기어유닛에 대한 자동 연마장치
CN217453392U (zh) 一种卡片加工使用的精密平面磨床
JPH06246627A (ja) 研削処理装置
CN212371770U (zh) 转盘式工作台砂带磨床
KR101619146B1 (ko) 금속패드의 2r3c엣지 가공용 모따기장치
JP7054226B2 (ja) 両頭平面研削盤および研削方法
FI102045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kappaleen reunan käsittelemiseen
CN209477901U (zh) 一种石墨球打磨机
JPH08276352A (ja) 板状ワーク端面研削装置
CN113319663A (zh) 一种自动上料的数控无心磨床
JP2001121392A (ja) ガラス物品の加工仕上げ装置
EP0673715B1 (en) Machine for processing glass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5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507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