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23779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779B1
KR100823779B1 KR1020067020776A KR20067020776A KR100823779B1 KR 100823779 B1 KR100823779 B1 KR 100823779B1 KR 1020067020776 A KR1020067020776 A KR 1020067020776A KR 20067020776 A KR20067020776 A KR 20067020776A KR 100823779 B1 KR100823779 B1 KR 100823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frequencies
minimum
maximum
modul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8016A (ko
Inventor
애이만 파우지 나귀브
아브니쉬 아그라월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18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77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04L27/2623Reduction thereof by clipping
    • H04L27/2624Reduction thereof by clipping by soft cli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 및 방법은 송신 주파수 대역 내에서 송신될 신호들의 주파수 또는 주파수들의 위치, 송신 주파수 대역 내의 홉 영역의 위치, 송신될 신호들의 대역폭, 또는 상기 접근 방식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에 제공된 신호의 전력을 변화시킨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참조 -
본 출원은 2004년 5월 5일에 제출된 "무선 OFDMA 역방향 링크들"이라는 명칭의 임시 출원 번호 60/550,616으로부터 우선권을 청구하며,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수된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그 중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된 신호들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대 통신 시스템들은 공통의 통신 매체에 다수의 사용자가 접속하도록 설계된다. 통신 매체로의 다중 사용자의 접속을 허용하는 다중 접속 기술들의 예는 시간 분할 다중 접속(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공간 분할 다중 접속(CDMA), 직교 주파수 다중 접속(OFDMA) 및 다른 유사한 다중 접속 기술들을 포함한다. 다중 접속 개념은 다수의 사용자의 공통 통신 링크로의 접속을 허용하는 채널 할당 방법이다. 채널 할당은 특정 다중 액세스 기술에 따라 결정되는 다양한 형태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FDMA 시스템들에서, 전체 주파수 스펙트럼은 더 적은 개수의 서브 대역들로 분할되고, 각각의 사용자에게는 통신 링크에 접속하기 위해 자신의 서브 대역이 할당된다. 선택적으로, TDMA 시스템들에서, 각각의 사용자에게 주기적으로 순환하는 타임 슬롯들 동안 전체 주파수 스펙트럼이 제공된다. CDMA 시스템에서, 각각의 사용자에게는 전체 시간에 대한 전체 주파수 스펙트럼이 제공되지만, 코드를 사용하여 송신을 구별한다. OFDMA 시스템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각각의 송신 프레임 또는 버스트 기간 동안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브 대역들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타임 슬롯들이 할당된다.
송신된 신호들은 무선으로 전송되기 전에 무선 채널을 통한 송신에 충분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전력 증폭기를 통과한다. 전력 증폭기는 일반적으로, 변조된 주파수 대역 이외의 잡음이 되는 변조된 주파수 대역 및 신호들에서 신호들을 발생하는 비선형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든 전송들은 임의의 송신기가 발생할 수 있는 허용가능한 대역 외 간섭의 최대 양을 제한하는 특정 방출 마스크를 만족해야 한다.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성으로 인한 대역 외 간섭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입력 신호의 평균 전력은 전력 증폭기가 제공할 수 있는 최대 가능 전력으로부터 감소되거나 "백 오프(back-off)" 된다. 백 오프에 부가하거나, 그 대신으로, 신호는 변조 이후, 그러나 전력 증폭기에 의한 증폭 이전에 최대 레벨로 클리핑될(clipped) 수 있다.
전력 증폭기에 의해 소비되는 평균 전력이 일반적으로 동작 동안 일정하기 때문에, 방출 마스크를 만족하기 위해 백 오프를 증가시키는 것 및/또는 클리핑 레벨을 감소시키는 것은 전력증폭기의 효율을 감소시키며, 즉 송신된 신호의 전력은 전력 증폭기에서 사용가능한 것 미만이 된다. 전력 증폭기의 효율을 최대화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들 중 하나는 공급된 전력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 수명이 감소되는 것이다.
따라서, 효율을 유지하면서 방출 마스크를 만족할 만큼 백 오프를 감소시키고 클리핑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일 양상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는 안테나; 적어도 2개의 신호 심볼들에 대한 다수의 캐리어 주파수들 중 서로 다른 캐리어 주파수들을 포함하는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기; 상기 변조기 및 상기 안테나 사이에 결합된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전력 증폭기에 결합되어, 상기 변조기에게 상기 서로 다른 캐리어 주파수들과 상기 다수의 캐리어 주파수들 사이의 상관관계에 따라 상기 변조기에 의해 제공된 상기 신호의 전력을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다른 양상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는 안테나;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들의 그룹을 사용하여 신호의 다수의 심볼들을 변조하는 변조기; 상기 안테나에 결합된 전력 증폭기; 상기 전력 증폭기 및 상기 변조기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변조기에 의해 제공된 신호의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는 비선형 프로세서; 및 상기 비선형 프로세서에 상기 주파수 범위 내의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 레벨의 감소를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다른 양상에서, 무선 통신 장치의 전력 레벨을 변경시키는 방법은 일정 시간 주기 동안 송신기로부터 전송될 주파수들의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 주파수 대역 내에서 전송될 적어도 몇몇 주파수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몇몇 주파수들의 상기 위치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에 제공된 신호의 전력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로 도시되고 설명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을 수용할 수 있고, 몇몇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들 및 설명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징, 속성 및 장점들은 하기의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MIMO 시스템에서 송신기 시스템 및 수신기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블럭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는 주파수에 기초하여 백 오프 및/또는 클리핑 제어를 제공하는 송신기의 일 실시예의 블럭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A-3C는 개별 주파수 위치들에 기초하여 전력 감소의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방출 마스크 내의 신호들의 스펙트럼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4는 백 오프 및/또는 클리핑 제어 알고리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백 오프 및/또는 클리핑 제어 알고리즘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홉 기간 내의 홉 영역 위치에 기초하여 백 오프 및/또는 클리핑 제어의 애플리케이션의 블럭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7은 백 오프 및/또는 클리핑 제어 알고리즘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신호 대역폭에 기초하여 전력 감소의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방출 마스크내의 신호들의 스펙트럼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9는 백 오프 및/또는 클리핑 제어 알고리즘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하기에서 설명되는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설명으로 지정된 것이지, 본 발명이 실행될 수 있는 실시예들을 나타내도록 지정된 것은 아니다. 상기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시적인"은 "일 예, 경우, 또는 설명으로 제공되는"을 의미하며, 다른 실시예들에서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간주될 필요는 없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현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정 설명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기 특정 설명들 없이 실행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몇몇 경우들에서, 공지된 구조들 및 장치들은 본 발명의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럭 다이어그램으로 도시된다.
다중 채널 통신 시스템들은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통신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통신 시스템, OFDM을 사용하는 MIMO 시스템들(즉, MIMO-OFDM 시스템들) 및 다른 전송 형태들을 포함한다. 명확함을 위해, 다양한 양상들 및 실시예들은 MIMO 시스템에 특정하여 설명된다.
MIMO 시스템은 송신을 위해 다수의(NT) 송신 안테나들 및 다수의(NR) 수신 안테나들을 사용한다. NT 송신 및 NR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형성된 MIMO 채널은 NS의 독립적인 채널들로 분해되며, Ns≤min{NT,NR}이다. NS 독립 채널들의 각각은 MIMO 채널의 공간 서브채널(또는 전송 채널)로 지칭될 수 있다. 공간 서브채널들의 개수는 NT 송신 및 NR 수신 안테나들 사이의 응답을 설명하는 채널 응답 행렬
Figure 112006072469446-pct00001
에 따라 결정되는 MIMO 채널에 대한 고유 모드들의 개수에 의해 결정된다. 채널 응답 행렬
Figure 112006072469446-pct00002
의 엘리먼트들은 i=1,2,...NR 및 j=1,2,...NT 에 대하여 독립적인 가우시안 랜덤 변수들 {hi ,j}로 구성되며, 상기 hi ,j는 j번째 송신 안테나와 i번째 수신 안테나 사이의 결합(즉, 복소 이득)이다. 명확함을 위해, 채널 응답 행렬
Figure 112006072469446-pct00003
은 완전한 열(full-rank, 즉 NS=NT≤NR)로 가정되며, 하나의 독립적인 데이터 스트림은 NT 송신 안테나들의 각각으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도 1은 MIMO 시스템(100)에서 송신기 시스템(110) 및 수신기 시스템(150)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송신기 시스템(1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는 데이터 소스(112)로부터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114)로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개별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114)는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선택된 특정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화하고, 코딩하고, 인터리빙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코딩된 데이터는 예를 들면,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TDM) 또는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CDM)을 사용하여 파일럿 데이터로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모든 경우에) 공지된 방식으로 추리되는 공지된 데이터 패턴이며,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 수신기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멀티플렉싱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는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선택된 특정 변조 방식(예를 들면, BPSK, QPSK, M-PSK, 또는 M-QAM)에 기초하여 변조(즉, 심볼 맵핑)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제공된 제어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은 변조 심볼들(예를 들면, OFDM에 대한)을 추가로 처리할 수 있는 TX MIMO 프로세서(120)에 제공된다. TX MIMO 프로세서(120)는 NT 송신기들(TMTR;122a 내지122t)에 NT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각각의 송신기(12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해 개별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여 처리하고, MIMO 채널을 통한 전송에 적합한 변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 처리(예를 들면, 증폭, 필터링, 상향 변환)한다. 송신기들(122a 내지 122t)로부터의 NT 변조 신호들은 NT 안테나들(124a 내지 124t)로부터 각각 전송된다.
수신기 시스템(150)에서, 송신된 변조 신호는 NR 안테나들(152a 내지 152r)에 의해 수신되며, 각각의 안테나(152)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개별 수신기(RCVR;154)에 제공된다. 각각의 수신기(154)는 개별 수신 신호를 처리(예를 들면, 필터링, 증폭 및 하향 변환)하고, 처리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제공하며, 상기 샘플들을 추가 처리하여 상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RX MIMO/데이터 프로세서(160)는 특정 수신기 프로세싱 기술에 기초하여 NR 수신기들(154)로부터 NR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을 처리하여 NT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RX MIMO/데이터 프로세서(160)에 의한 프로세싱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은 상응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전송된 변조 심볼들의 추정치들이 되는 심볼들을 포함한다. RX MIMO/데이터 프로세서(160)는 그 후에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여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한다. RX MIMO/데이터 프로세서(160)에 의한 프로세싱은 송신기 시스템(110)에서 TX MIMO 프로세서(1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114)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싱과 상호 보완적이다.
RX MIMO 프로세서(160)는 예를 들면, 트래픽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된 파일럿에 기초하여 NT 송신 및 NR 수신 안테나들 사이에서 채널 응답의 추정치를 유도할 수 있다. 채널 응답 추정치는 수신기에서 공간 또는 공간/시간 프로세싱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RX MIMO 프로세서(160)는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의 신호 대 잡음 및 간섭비(SNR)들, 및 가능하면 다른 채널 특성들을 추정할 수 있고, 상기 양들을 프로세서(170)에 제공한다. RX MIMO/데이터 프로세서(160) 또는 프로세서(170)는 통신 링크의 상황들을 표시하는 시스템에 대한 "동작" SNR의 추정치를 유도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과 관련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는 채널 상태 정보(CSI)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CSI는 단지 동작 SNR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어 TX 데이터 프로세서(178)에 의해 처리되고, 변조기(180)에 의해 변조되고, 송신기들(154a 내지 154r)에 의해 처리되며, 다시 송신기 시스템(110)으로 전송된다.
송신기 시스템(110)에서, 수신기 시스템(150)으로부터 변조된 신호들은 안테나(1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들(122)에 의해 처리되고, 복조기(140)에 의해 복조되고, RX 데이터프로세서(142)에 의해 처리되어 수신기 시스템에 의해 보고되는 CSI를 복원한다. 보고된 CSI는 프로세서(130)에 제공되고, (1) 데이터를 위해 사용될 데이터 레이트들 및 코딩 및 변조 방식들을 결정하고, (2) TX 데이터 프로세서(114) 및 TX MIMO 프로세서(120)를 위한 다양한 제어들을 발생하기 위해 사용된다.
프로세서들(130, 170)은 각각 송신기 및 수신기 시스템에서 동작을 감독한다. 메모리들(132, 172)은 각각 프로세서들(130, 170)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위한 저장을 제공한다.
OFDM MIMO 시스템에 대한 모델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6072469446-pct00004
식(1)
상기
Figure 112006072469446-pct00005
는 수신된 벡터이며, 즉
Figure 112006072469446-pct00006
이고, 상기 {yi}는 i번째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입력이며, i∈{1,...,NR};
Figure 112006072469446-pct00007
는 송신기 벡터이며, 즉
Figure 112006072469446-pct00008
이고, 상기 {xj}는 j번째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된 입력이며, j∈{1, ..,NT};
Figure 112006072469446-pct00009
는 MIMO 채널에 대한 채널 응답 행렬이며;
Figure 112006072469446-pct00010
Figure 112006072469446-pct00011
의 평균 벡터 및
Figure 112006072469446-pct00012
의 분산 행렬을 가지는 부가 백색 가우시안 잡음(AWGN)이며, 상기
Figure 112006072469446-pct00013
는 0의 벡터이고,
Figure 112006072469446-pct00014
는 대각선을 따라 1 및 그 이외에서 0을 가지는 항등 행렬이며, σ2는 잡음의 분산이며;
Figure 112006072469446-pct00015
는 [.]의 전치 행렬을 표시한다.
전파 환경에서의 산란으로 인해, NT 송신 안테나들로부터의 NT 심볼 스트림들은 수신기에서 서로 간섭한다. 특히, 하나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임의의 심볼 스트림은 서로 다른 진폭 및 위상에서 모두 NR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각각의 수신된 신호는 NT 송신 심볼 스트림들의 각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NR 수신 신호들은 모두 NT 송신 심볼들을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NT 심볼 스트림들은 NR 수신 신호들 사이에 분산된다.
수신기에서, NT 송신 심볼 스트림들을 검출하기 위해 NR 수신 신호들을 추리하는데 다양한 프로세싱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신기 프로세싱 기술들은 2개의 중요한 카테고리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
ㆍ공간 및 공간-시간 수신기 프로세싱 기술들(등화 기술들이라 참조됨)
ㆍ "연속하는 널/등화 및 간섭 제거" 수신기 프로세싱 기술("연속하는 간섭 제거" 또는 "연속하는 제거" 수신기 처리 기술이라 참조됨)
도 2는 도 1의 송신기 시스템(110)과 같은 송신기 시스템의 송신기 부분의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는 송신기 유니트(200)의 일 부분의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일 실시예에서, 개별 데이터 레이트 및 코딩 및 변조 방식은 NT 송신 안테나들(즉, 안테나 기준의 개별 코딩 및 변조)을 통해 전송될 NT 데이터 스트림들의 각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송신 안테나를 위해 사용될 특정 데이터 레이트 및 코딩 몇 변조 방식들은 프로세서(130)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데이터 레이트들은 전술된 것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송신기 유니트(200)는 일 실시예에서, 개별 코딩 및 변조 방식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코딩하고, 변조하여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는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02)를 포함하며, 송신 MIMO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02) 및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04)는 각각 도 1의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114) 및 송신 MIMO 프로세서(120)의 일 실시예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02)는 디멀티플렉서(210), NT 인코더들(212a 내지 212t), NT 채널 인터리버들(214a 내지 214t) 및 NT 심볼 맵핑 엘리먼트들(216a 내지 216t) (즉, 각각의 송신 안테나에 대한 인코더, 채널 인터리버, 및 심볼 맵핑 엘리먼트의 세트)을 포함한다. 디멀티플렉서(210)는 데이터(즉, 변조 비트들)를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NT 송신 안테나들에 대한 NT 데이터 스트림들로 디멀티플렉싱한다. NT 데이터 스트림들은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0 또는 170; 도 1)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레이트 제어 기능에 의해 결정된 것과 같이 서로 다른 데이터 레이트들과 연관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개별 인코더(212a 내지 212t)에 제공된다.
각각의 인코더(212a 내지 212t)는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한 후 코딩된 비트들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선택된 특정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코딩한다. 일 실시예에서, 코딩은 데이터 전송의 실현 가능성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코딩 방식은 주기적 덧붙임 검사(CRC) 코딩, 컨벌루션 코딩, 터보 코딩, 블록 코딩 등의 임의의 조함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인코더(212a 내지 212t)로부터 코딩된 비트들은 개별 채널 인터리버(214a 내지 214t)에 제공되며, 특정 인터리빙 방식에 기초하여 코딩된 비트들을 인터리빙한다. 인터리빙은 코딩된 비트들에 대한 시간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고, 데이터 스트림을 위해 사용된 송신 채널들에 대한 평균 SNR에 기초하여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하며, 페이딩을 제거하고, 추가로 각각의 변조 심볼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코딩된 비트들 사이의 상관을 제거한다.
각각의 채널 인터리버(214a 내지 214t)로부터 코딩 및 인터리빙된 비트들은 개별 심볼 맵핑 블럭(222a 내지 222t)에 제공되며, 변조 심볼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비트들을 맵핑한다. 각각의 심볼 맵핑 블럭(222a 내지 222t)에 의해 구현될 특정 변조 방식은 프로세서(130)에 의해 제공된 변조 제어에 의해 결정된다. 각각의 심볼 맵핑 블럭(222a 내지 222t)은 qj 코딩 및 인터리빙된 비트들의 세트를 그룹화하여 비-이진 심볼들을 형성하며, 각각의 비-이진 심볼을 선택된 변조 방식(예를 들면, QPSK, M-PSK, M-QAM, 또는 몇몇 다른 변조 방식)에 상응하는 신호 배열에서 특정 포인트로 맵핑한다. 각각의 맵핑된 신호 포인트는 Mj-어레이 변조 심볼에 해당하며, 상기 Mj는 j번째 송신 안테나에 대하여 선택된 특정 변조 방식에 대응되고,
Figure 112007083747516-pct00016
이다. 심볼 맵핑 블럭들(222a 내지 222t)은 변조 심볼들의 NT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송신 MIMO 프로세서(204)는 변조기 및 푸리에 역변환(IFFT) 블럭(226a 내지 226t)을 포함한다. 변조기(224)는 적절한 서브 대역들 및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NT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을 형성하기 위해 샘플들을 변조한다. 부가적으로 변조기(224)는 금지된 제어 레벨에서 NT 심볼 스트림들의 각각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변조기(224)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 또는 170)와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홉핑 시퀀스에 따라 심볼들을 변조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NT 심볼 스트림들이 변조되는 주파수들은 송신 사이클의 일 프레임의 심볼들, 프레임 또는 부분의 각각의 그룹 또는 블럭을 변화시킨다.
연관된 사이클릭 프리픽스 발생기(비도시)와 함께 각각의 IFFT 블럭(226a 내지 226t)은 OFDM 변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IFFT 블럭(226a 내지 226t)은 변조기(224)로부터 각각의 변조 심볼 스트림을 수신한다. 각각의 IFFT 블럭(226a 내지 226t)은 상응하는 변조 심볼 벡터들을 형성하기 위해 NF 변조 심볼들을 그룹화하고, 각각의 변조 심볼 벡터를 고속 푸리에 역변환을 사용하여 시간 영역 표현(OFDM 심볼로 지칭됨)으로 변환한다. IFFT(222)는 임의의 개수의 주파수 서브채널들(예를 들면, 8, 16, 32, ..., NF)에서 역변환을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IFFT 블럭들(226a 내지 226t)에 의해 발생된 변조 심볼 벡터의 각각의 시간 영역 표현은 비선형 프로세싱 블럭들(228 내지228t)에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비선형 프로세싱 블럭들(228a 내지 228t)은 높은 진폭, 즉 심볼내의 변조 심볼 벡터 신호들의 각각의 시간 영역 표현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레벨보다 높은 송신 전력을 발생하는 진폭을 고정한다. 비선형 프로세싱 블럭들(228a 내지 228t)로부터 고정된 신호는 저역 통과 필터들(230a 내지 230t)에 제공되며, 변조 심볼 벡터 신호들의 시간 영역 표현을 클리핑하는 클리핑된 신호의 대역 외 성분들을 제거하도록 설계된다. 이는 일 실시예에서 변조 심볼 벡터 신호들의 시간 영역 표현이 통과되는 전력 증폭기(232a 내지 232t)에 의해 발생된 대역 외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행된다. 전력 증폭기들(232a 내지 232t)은 전송을 위한 적절한 전력 레벨들을 제공하기 위해 신호들을 증폭한다.
전력 증폭기들(232a 내지 232t)이 비선형 장치들이기 때문에, 이들에 의해 제공된 신호들은 대역 외 성분들을 포함할 것이다. 비선형 프로세싱 블럭들(228a 내지 228t)에 의한 클리핑으로 인해 발생된 것과 매우 유사한 상기 성분들은 인접한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하는 다른 장치들 또는 인접 송신기들에 의한 송신들에 간섭을 발생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방출 마스크는 무선 장치가 발생하는 대역 외 전력으로의 특정 제한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변조기가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는 최대 전력으로부터 대역 외 방출들을 감소시킬 클리핑 및/또는 백 오프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백 오프 및 클리핑 기능 모두는 백 오프 및/또는 클리핑으로 인해 전력 증폭기들(232a 내지 232t)에 제공되는 것보다 높은 전력 레벨들로 실제 선형이 대역폭을 허용하는 포인트로 바이어싱되기 때문에 효율을 감소시키는 전력 증폭기들(232a 내지 232t)에 제공된 신호들의 전력을 감소한다.
상기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 또는 170)는 관련된 전력 증폭기들(232a 내지 232t)이 결합되는 특정 안테나(208a 내지 208t)를 통해 전송되도록 변조기(224)에 의해 발생된 주파수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비선형 프로세싱 블럭들(228a 내지 228t)이 클립핑하는 레벨 및/또는 변조기 신호들에 의한 백 오프 양을 변화시킨다. 상기 방식에서, 전력 증폭기의 효율은 가능한 경우에 최대화되고, 동시에 방출 마스크는 요구되는 것과 같이 유지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전력 증폭기들(232a 내지 232t)은 클래스-A, 클래스-AB, 클래스-B, 및 클래스-C 증폭기들이 될 수 있다. 클래스-A 증폭기들은 더 높은 선형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클래스-A 증폭기들은 또한 다른 선형 증폭기 종류들보다 비효율적이다. 다른 종류의 전력 증폭기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개별 주파수 위치들에 기초하는 전력 감소 실시예를 사용하는 방출 마스크내에서 신호들의 공간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방출 마스크(300)는 최소 주파수 Fmin와 연관된 에지 영역 전력 레벨들(302) 및 최대 주파수 Fmax와 연관된 레벨들(304)을 포함하며, 상기 Fmin 및 Fmax는 송신기(200)와 같은 송신기가 동작하는 통신 프로토콜(들)과 연관된 주파수 대역을 정의한다.
하나의 심볼 또는 하나의 심볼의 일 부분 동안, 신호(312)는 주파수 F1을 사용하여 전송되고, 신호(310)는 주파수 F2를 사용하여 전송되고, 신호(308)는 안테나(208a)와 같은 안테나로부터 주파수 F3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도 3A에 도시된 심볼 또는 심볼 부분 동안, 주파수들 F1, F2, F3 은 각각 주파수들 Fmin 및 Fmax 사이의 대역 중심 또는 근처에 위치하기 때문에 클리핑 및/또는 백오프는 거의 필요하지 않다. 이는 신호들(308, 310, 312)의 전력 레벨(314)이 방출 마스크(300)에 의해 허용된 대역 내 신호들에 대한 최대 전력 레벨(306) 근처임을 보여준다. 상기 방식에서, 신호들이 주파수 범위의 중심 또는 근처의 주파수들을 사용하여 전송될 때, 심볼 또는 하나의 심볼의 일부분을 전송하는 안테나는 최대 효율에 인접하여 사용된다.
도 3B를 참조로 하면, 주파수 F6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신호(320), 주파수 F5를 사용하여 전송된 신호(322) 및 안테나(208a)와 같은 안테나로부터 주파수 F4를 사용하여 전송된 신호(324)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동안, 주파수 F6는 주파수의 최대 주파수 Fmax 근처 및 방출 마스크(300)의 인접 에지 영역(304)이 된다. 따라서, 신호(320, 322, 324)의 최대 전력 레벨(326)은 방출 마스크(300)의 에지 영역(304)의 전력 레벨을 초과하지 않도록 감소된다. 감소는 클리핑 및/또는 백 오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3B의 송신 프레임 동안, 대역 외 신호 전력은 방출 마스크 내에서 유지되며, 따라서 대역 외 간섭은 수용가능한 파라미터들 내에 있다.
도 3C를 참조로 하여, 주파수 F9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신호(330), 주파수 F8를 사용하여 전송된 신호(332) 및 안테나(208a)와 같은 안테나로부터 주파수 F7를 사용하여 전송된 신호(334)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동안, 주파수 F7는 주파수 대역의 최소 주파수 Fmin 근처 및 결국 방출 마스크(300)의 인접 에지 영역(302)이 된다. 따라서, 신호(334, 330, 332)의 최대 전력 레벨(336)은 방출 마스크(300)의 에지 영역(302)의 전력 레벨을 초과하지 않도록 감소된다. 감소는 클리핑 및/또는 백 오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송신 프레임 동안, 대역 외 신호 전력은 방출 마스크내에서 유지되며, 따라서 대역 외 간섭은 수용가능한 파라미터들 내에 있다.
도 3B 및 3C에서 전력 레벨(336)이 전력 레벨(336) 이상인 것이 보여진다. 이는 상기 실시예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신호들의 Fmin 또는 Fmax 로의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클리핑 레벨 및/또는 백 오프를 변경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Fmin으로부터의 F7 은 Fmax로부터의 F6 보다 빠르기 때문에, 적절한 클리핑 레벨 및/또는 백 오프는 신호(320) 대해서 보다 신호(334)에 대해 부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력 증폭기의 효율은 특정 송신 심볼, 심볼의 일부분, 심볼들의 그룹, 프레임 또는 프레임의 일부분에 대하여 안테나에 의해 전송될 주파수들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가능하면 최적 레벨에 인접하도록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심볼, 심볼의 일부분, 심볼들의 그룹, 프레임 또는 프레임의 일부분에 대하여 각각의 안테나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각각의 심볼, 심볼의 일부분, 심볼들의 그룹, 프레임, 또는 프레임의 부분들에 대하여 효율을 최적화하는 동시에 대역 외 간섭을 유지한다.
도 3A-3C는 단일 안테나로부터의 전송에 사용되는 3개의 주파수들 상의 3개의 신호들을 도시하며, 백 오프 및/또는 클리핑 제어를 위해 사용된 심볼들의 개수 또는 심볼의 부분들은 송신 프레임의 길이 및/또는 심볼 길이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로 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백 오프 및 클리핑 제어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흐름도가 도시된다. 임의의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신호들에 대한 주파수들의 시퀀스는 블럭(400)에서 결정된다. 상기 시퀀스는 심볼, 심볼의 일부분, 심볼들의 그룹, 프레임 또는 프레임의 일부분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정보는 무선 통신 장치를 동작시키는 프로세서에 접속가능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의 에지들에 최인접하는 시퀀스의 주파수 또는 주파수들은 블럭(402)에서 결정된다. 근사 주파수는 예를 들어, (i) 최소 주파수 또는 최대 주파수로의 최인접 주파수; (ii) 최소 주파수로의 최인접 주파수 및 최대 주파수로의 최인접 주파수; (iii) 최소 주파수 및 최대 주파수 모두 또는 하나로의 고정된 간격 내의 주파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와 연관된 전력 증폭기에 제공된 신호들의 출력 전력은 블럭(404)에서 시퀀스의 주파수들 및 에지들로의 근사 정도, 즉 무선 통신 장치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의 최소 및 최대 주파수들에 기초하여 감소된다. 클리핑 및/또는 백 오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전력 감소는 방사 마스크의 허용된 대역 외 간섭 이내가 될 방출 마스크의 에지들에 최인접한 주파수를 사용하여 복조된 신호들의 최대 전력을 유지하도록 수행된다.
도 5를 참조로 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백 오프 및 클리핑 제어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흐름도가 도시된다. 임의의 안테나로부터 전송될 신호들을 사용하는 주파수들의 시퀀스는 블럭(500)에서 결정된다. 상기 시퀀스는 심볼, 심볼의 일부분, 심볼들의 그룹, 프레임, 또는 프레임의 일부분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정보는 무선 통신 장치를 동작하는 프로세서에 접속가능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의 에지들로부터 시퀀스의 주파수들의 평균 간격은 블럭(502)에서 결정된다. 안테나와 결합하여 전력 증폭기에 제공된 신호들의 출력 전력은 평균 간격, 즉 무선 통신 장치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의 최소 및/또는 최대 주파수들에 대한 각각의 주파수의 간격의 평균에 기초하여 감소된다. 더 낮은 평균이 제공되는 경우에, 더 큰 백 오프 및/또는 더 낮은 클리핑 레벨이 사용된다. 평균의 사용은 유리하다; 각각의 주파수는 주파수 대역 내의 위치와 관계없이 대역 외 성분들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평균을 사용하는 것은 전송될 신호의 대역 외 간섭의 각 성분으로부터 입력을 제공한다.
상기 방식은 또한 주파수 홉핑이 발생하는 단일 주파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단일 송신 주파수의 위치는 주파수 대역의 에지들과 관련하여 결정되며, 클리핑 및/또는 백 오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적절하게 제공된다.
도 6을 참조로 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홉 기간 내의 홉 영역 위치에 기초하여 백 오프 및/또는 클리핑 제어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블럭 다이어그램이 도시된다. 홉 영역(600)은 캐리어 주파수들의 연속 범위 내의 특정 캐리어 주파수 및 심볼 주기들의 연속 그룹에 따라 변조된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는 다수의 심볼 주기들(602)을 포함한다. 홉 영역(600)은 더 큰 주파수 연속 그룹 및 송신기에 의한 송신에 사용가능한 프레임 또는 버스트 전송을 포함하는 심볼 주기들이 되는 홉 주기(602)의 특정 부분에 할당된다.
홉 영역(600) 내에서 전송되는 임의의 심볼은 주파수 대역의 최대 캐리어 주파수 S로부터의 간격 △1가 되는 M의 최대 캐리어 주파수 및 주파수 대역의 최대 캐리어 주파수 1로부터의 간격 △2가 되는 i의 최대 캐리어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백 오프 및/또는 클리핑 레벨은 △1 및 △2에 기초하거나 임의의 경우에 △1 2 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접근 방식은 변조기의 전력 레벨 출력으로의 약간의 변경들 및/또는 심볼들 또는 샘플들을 포함하는 개별 신호들의 개별 캐리어 주파수들에 기초하여 클리핑 레벨을 변경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도 6의 접근 방식은 홉 영역에 기초하여 최대 및/또는 최소 클리핑 및/또는 백 오프 양들을 세팅하고, 홉 영역들이 홉핑 방식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최대 및/또는 최소 클리핑 또는 백 오프 양들에 의해 세팅된 범위 내의 개별 캐리어 주파수들에 대한 클리핑 또는 백 오프 양들을 변경시킴으로써 도 3A-C의 접근 방식과 결합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백 오프 및 클리핑 제어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흐름도가 도시된다. 홉 주기 내의 홉 영역의 위치는 블럭(700)에서 결정된다. 상기 정보는 무선 통신 장치를 동작하는 프로세서에 접속할 수 있다. 홉 영역의 최대 주파수 및 송신기 또는 홉 주기에 할당된 최대 주파수 및/또는 홉 영역의 최대 주파수 및 송신기 또는 홉 주기에 할당된 최대 주파수 및/또는 홉 영역의 최대 주파수 및 송신기 또는 홉 주기에 할당된 최대 주파수에 대한 근사 정도는 블럭(702)에서 수행된다. 안테나와 결합하여 전력 증폭기에 제공된 신호들의 출력은 블럭(704)에서 홉 영역 내에 전송된 모든 심볼들에 대한 근사 정도 결정 중 하나 또는 모두에 기초하여 감소된다. 전력의 감소는 방출 마스크의 허용된 대역 외 간섭 내에 존재할 방출 마스크의 에지들에 최인접한 주파수를 사용하여 변조된 신호의 최대 전력을 유지하도록 수행된다.
도 8을 참조로 하여, 신호 대역폭에 기초하여 전력 감소의 실시예들을 사용하는 방출 마스크 내의 신호들의 스펙트럼 다이어그램이 도시된다. 방출 마스크는 최소 주파수 Fmin 와 관련된 에지 영역 전력 레벨들(802), 최대 주파수 Fmax와 관련된 레벨들(804)을 포함하며, 상기 Fmin 및 Fmax 는 송신기(200)와 같은 송신기가 동작하는 통신 프로토콜(들)과 결합된 주파수 대역을 정의한다. 하나의 심볼 또는 심볼의 일부분 동안, 신호(808)는 주파수 F1를 사용하여 전송되고, 신호(810)는 주파수 F2를 사용하여 전송되고, 신호(812)는 안테나(808a)와 같은 안테나로부터 주파수 F3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주파수들 F1, 즉 전송된 신호들의 최대 주파수와 F3, 즉 전송된 신호들의 최소 주파수 사이의 간격은 전송된 신호들의 대역폭이다. 클립핑 레벨은 및/또는 백오프는 대역폭에 기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역폭 B이 커지면, 클리핑 레벨 및/또는 백오프 또한 커진다. 상기 접근 방식은 변조기의 전력 레벨 출력에 적은 변경 및/또는 심볼들 또는 샘플들을 포함하는 개별 신호들의 개별 캐리어 주파수들에 기초하여 둘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선택하는 클리핑 레벨의 변경들을 필요로 한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도 8의 접근 방식은 대역폭 B에 기초하여 최대 및/또는 최소 클리핑 또는 백 오프 양들을 세팅하고, 대역폭 B에 기초하여 최대 및/또는 최소 클리핑 또는 백 오프 양들에 의해 세팅된 범위 내의 개별 캐리어 주파수들에 대하여 클리핑 또는 백 오프 양들을 변화시킨다.
도 9를 참조로 하여, 백 오프 및/또는 클리핑 제어 알고리즘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가 도시된다. 어떤 신호들이 임의의 안테나로부터 전송되기 위해 사용하는 주파수들의 시퀀스는 블럭(900)에서 결정된다. 상기 정보는 무선 통신 장치를 동작시키는 프로세서에 접속할 수 있다. 전송될 신호들의 주파수들의 대역폭은 블럭(902)에서 결정된다. 안테나와 결합된 전력 증폭기에 제공된 신호들의 출력 전력은 블럭(904)에 기초하여 감소된다. 전력의 감소는 방출 마스크의 에지들에 최인접하는 주파수들을 사용하여 변조된 신호들의 최대 전력 레벨이 방출 마스크의 허용된 대역 외 간섭 내에 있도록 유지된다.
당업자는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논리적인 블럭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서 실행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상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교환가능성을 명백히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요소들, 블럭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성에 관련하여 전술되었다. 상기 기능성이 하드웨어로 실행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실행되는지의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에 따라 결정한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성을 실행할 수 있지만, 상기 실행 결정들은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다양하게 설명되는 논리 블럭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응용 집적 회로(ASIC), 현장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로직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요소들,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행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될 수 있지만, 선택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기계가 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과 같은 컴퓨팅 장치들의 조합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하드웨어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또는 그들의 조합에서 즉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제거가능한 디스크, CD-ROM 또는 임의의 다른 저장 매체 형태로 당업자에게 공지된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저장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프로세서에 접속된다. 선택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의 필수 구성요소이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상주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 터미널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장치내에서 이산요소들로서 상주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의 전술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이용하기에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었다. 이들 실시예에 대한 여러 가지 변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여기서 한정된 포괄적인 원리는 본 발명의 사용 없이도 다른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여기에 개시된 원리 및 신규한 특징에 나타낸 가장 넓은 범위에 따른다.

Claims (50)

  1. 안테나;
    적어도 2개의 신호 심볼들에 대한 다수의 캐리어 주파수들 중 서로 다른 캐리어 주파수들을 포함하는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기;
    상기 변조기 및 상기 안테나 사이에 결합된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전력 증폭기에 결합되며 상기 변조기에게 상기 서로 다른 캐리어 주파수들과 상기 다수의 캐리어 주파수들 사이의 상관관계에 따라 상기 변조기에 의해 제공된 상기 신호의 전력을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들은 최소 주파수로부터 최대 주파수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조기에게 상기 최소 및 최대 주파수들에 대한 상기 서로 다른 캐리어 주파수들의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을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들은 최소 주파수로부터 최대 주파수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조기에게 상기 서로 다른 캐리어 주파수들 중 상기 최소 주파수에 최인접하는 주파수 및 상기 서로 다른 캐리어 주파수들 중 상기 최대 주파수에 최인접하는 주파수의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을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들은 최소 주파수로부터 최대 주파수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조기에 상기 최소 주파수 및 최대 주파수에 대한 상기 서로 다른 캐리어 주파수들의 평균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을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들은 최소 주파수로부터 최대 주파수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조기에게 상기 서로 다른 캐리어 주파수들이 상기 최소 및 최대 주파수까지 미리 결정된 간격 내에 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을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조기에게 상기 서로 다른 캐리어 주파수들 중 상기 최소 주파수에 최인접하는 주파수 또는 상기 서로 다른 캐리어 주파수들 중 상기 최대 주파수에 인접하는 주파수의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을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기 및 상기 전력 증폭기 사이에 결합된 비선형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로 다른 캐리어 주파수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비선형 프로세서의 클리핑 레벨을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 프로세서 및 상기 전력 증폭기 사이에 결합된 저역 통과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9. 제 1항에 있어서, 또다른 안테나, 및 상기 또다른 안테나와 상기 변조기 사이에 결합된 또다른 전력 증폭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또다른 안테나로부터 전송될 캐리어 주파수들과 상기 다수의 캐리어 주파수들 사이의 관계에 따라 상기 변조기에 의해 상기 또다른 전력 증폭기로 제공된 신호들의 전력 레벨을 독립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조기에 상기 서로 다른 캐리어 주파수들의 대역폭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을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들은 최소 주파수로부터 최대 주파수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서로 다른 캐리어 주파수들은 홉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조기에 상기 최소 및 최대 주파수들에 대한 상기 홉 영역의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을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들은 최소 주파수로부터 최대 주파수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서로 다른 캐리어 주파수들은 홉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조기에게 상기 최소 주파수 또는 최대 주파수에 대한 상기 홉 영역의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을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13.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들의 그룹을 사용하여 다수의 심볼들을 변조하는 변조기;
    상기 변조기 및 안테나 사이에 결합된 전력 증폭기; 및
    상기 변조기에게 상기 주파수 범위 내의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신호의 전력을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송신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기의 출력 전력을 클리핑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명령 수단은 상기 클리핑 수단에 상기 주파수 범위 내의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클리핑 레벨을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명령 수단은 상기 변조기에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의 주파수들이 상기 최소 및 최대 주파수로의 미리 결정된 간격 내에 있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을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명령 수단은 상기 변조기에 상기 최소 및 최대 주파수에 대한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의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을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명령 수단은 상기 변조기에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 중 최소 주파수에 최인접하는 주파수 및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 중 최대 주파수에 최인접하는 주파수의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을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명령 수단은 상기 변조기에 상기 최소 주파수 및 최대 주파수에 대한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의 평균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을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명령 수단은 상기 변조기에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 중 상기 최소 주파수에 최인접하는 주파수 또는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 중 상기 최대 주파수에 최인접하는 주파수의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을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은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명령 수단은 상기 변조기에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의 대역폭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을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은 홉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 수단은 상기 변조기에 상기 홉 영역의 상기 최소 및 최대 주파수에 대한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을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은 홉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 수단은 상기 변조기에 상기 홉 영역의 상기 최소 주파수 또는 최대 주파수에 대한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을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23. 안테나;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들의 그룹을 사용하여 신호의 다수의 심볼들을 변조하는 변조기;
    상기 안테나에 결합된 전력 증폭기;
    상기 전력 증폭기 및 상기 변조기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변조기에 의해 제공된 신호의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는 비선형 프로세서; 및
    상기 비선형 프로세서에 상기 주파수 범위 내의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 레벨의 감소를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24. 제 23항에 있어서, 또다른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결합된 또다른 전력 증폭기, 및 상기 또다른 전력 증폭기와 상기 변조기 사이에 결합된 또다른 비선형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선형 프로세서에게 또다른 주파수들의 그룹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범위 내에서 하나의 프레임 동안 상기 또다른 안테나로부터 전송될 상기 신호의 전력 레벨의 감소를 변경하도록 독립적으로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조기에게 상기 주파수 범위 내의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레벨의 감소를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 프로세서 및 상기 전력 증폭기 사이에 결합된 저역 통과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선형 프로세서에 상기 최소 및 최대 주파수에 대한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의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레벨의 감소를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28.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선형 프로세서에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 중 상기 최소 주파수에 최인접한 주파수 및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들 중 상기 최대 주파수에 최인접한 주파수의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레벨의 감소를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29.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선형 프로세서에 상기 최소 및 최대 주파수에 대한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의 평균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레벨의 감소를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30.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선형 프로세서에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의 주파수들이 상기 최소 및 최대 주파수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간격 내에 있는 지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레벨의 감소를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31.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선형 프로세서에 상기 최소 주파수에 대한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 중 최인접 주파수 또는 상기 최대 주파수에 대한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 중 최인접 주파수의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레벨의 감소를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32.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은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선형 프로세서에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의 대역폭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레벨의 감소를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33.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은 홉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선형 프로세서에 상기 최소 및 최대 주파수에 대한 상기 홉 영역의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레벨의 감소를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3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은 홉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선형 프로세서에 상기 최소 주파수 또는 최대 주파수에 대한 상기 홉 영역의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레벨의 감소를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35. 안테나;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들의 그룹을 사용하여 신호의 다수의 심볼들을 변조하는 변조기;
    상기 안테나에 결합된 전력 증폭기;
    상기 전력 증폭기와 상기 변조기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변조기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신호의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는 수단;
    상기 감소 수단에 상기 주파수 범위 내의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 레벨의 감소를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36. 제 35항에 있어서, 또다른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결합된 또다른 전력 증폭기, 및 상기 또다른 전력 증폭기와 상기 변조기 사이에 결합되며 하나의 프레임 동안 상기 또다른 안테나로부터 전송될 신호의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는 또다른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 수단은 주파수들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상기 또다른 수단에게 상기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상기 또다른 안테나로부터 전송될 상기 신호의 전력 레벨의 감소를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37.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명령 수단은 상기 감소 수단에게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의 주파수들이 상기 최소 및 최대 주파수에 대한 미리 결정된 간격 내에 있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 레벨에서의 감소를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38.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명령 수단은 상기 감소 수단에게 상기 최소 및 최대 주파수에 대한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의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 레벨에서의 감소를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39.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명령 수단은 상기 감소 수단에게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 중 상기 최소 주파수에 최인접하는 주파수 및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 중 상기 최대 주파수에 최인접하는 주파수의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 레벨에서의 감소를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40.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명령 수단은 상기 감소 수단에게 상기 최소 주파수 및 최대 주파수에 대한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의 평균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 레벨에서의 감소를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41.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명령 수단은 상기 감소 수단에게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 중 상기 최소 주파수에 최인접하는 주파수 또는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 중 상기 최대 주파수에 최인접하는 주파수의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 레벨에서의 감소를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42.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 프로세서와 상기 전력 증폭기 사이에 결합된 저역 통과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43.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은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명령 수단은 상기 감소 수단에게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의 대역폭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 레벨에서의 감소를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44.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은 홉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 수단은 상기 변조기에게 상기 최소 및 최대 주파수에 대한 상기 홉 영역의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 레벨을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45.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사이이며, 상기 주파수들의 그룹은 홉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 수단은 상기 변조기에게 상기 최소 주파수 또는 최대 주파수에 대한 상기 홉 영역의 근사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전력 레벨을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신기.
  46. 무선 통신 장치의 전력 레벨을 변경시키는 방법으로서,
    일정 시간 주기 동안 송신기로부터 전송될 주파수들의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
    주파수 대역 내에서 전송될 적어도 몇몇 주파수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몇몇 주파수들의 상기 위치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에 제공된 신호의 전력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레벨 변경 방법.
  47.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단계는 상기 주파수 대역의 에지들 중 하나에 최인접하는 주파수의 주파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레벨 변경 방법.
  48.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단계는 상기 주파수 대역의 에지들까지의 상기 주파수들의 시퀀스의 각각의 간격의 평균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레벨 변경 방법.
  49.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경 단계는 변조기에 의해 상기 전력 증폭기에 제공된 신호들의 전력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레벨 변경 방법.
  50.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경 단계는 상기 전력 증폭기에 제공된 신호들의 최대 레벨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레벨 변경 방법.
KR1020067020776A 2004-03-05 2005-03-0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8237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5061604P 2004-03-05 2004-03-05
US60/550,616 2004-03-05
US11/072,743 US20050201180A1 (en) 2004-03-05 2005-03-03 System and methods for back-off and clipping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1/072,743 2005-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016A KR20060118016A (ko) 2006-11-17
KR100823779B1 true KR100823779B1 (ko) 2008-04-21

Family

ID=34922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776A Expired - Lifetime KR100823779B1 (ko) 2004-03-05 2005-03-0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20050201180A1 (ko)
EP (3) EP2104296B1 (ko)
JP (2) JP4938644B2 (ko)
KR (1) KR100823779B1 (ko)
CN (2) CN1951080B (ko)
AT (3) ATE436140T1 (ko)
CA (2) CA2558544C (ko)
DE (2) DE602005015301D1 (ko)
ES (2) ES2330020T3 (ko)
PL (1) PL1730916T3 (ko)
WO (1) WO20050889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1180A1 (en) * 2004-03-05 2005-09-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for back-off and clipping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520972B2 (en) * 2005-03-17 2016-12-13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61859B2 (en) 2005-03-17 2016-10-04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733523B2 (ja) * 2006-01-13 2011-07-27 株式会社トヨタIt開発センター 路車間情報伝送システム、通信装置、路車間情報伝送方法および車車間情報伝送システム
US8145251B2 (en) 2006-01-23 2012-03-27 Motorola Mobility, Inc. Power control in schedul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20070173260A1 (en) * 2006-01-23 2007-07-26 Love Robert 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cheduling
US20080025254A1 (en) * 2006-07-25 2008-01-31 Motorola Inc Spectrum emission level variation in schedul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9622190B2 (en) 2006-07-25 2017-04-1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pectrum emission level variation in schedul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JP5339433B2 (ja) * 2009-03-02 2013-11-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機、受信機、電力増幅方法及び信号復調方法
US8717992B2 (en) * 2009-03-10 2014-05-06 Sharp Kabushiki Kaish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and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WO2011125319A1 (ja) * 2010-04-05 2011-10-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送信判定方法
JP5676153B2 (ja) * 2010-06-16 2015-02-25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無線送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9565655B2 (en) 2011-04-13 2017-02-0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to detect the 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 of a channel in connection with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548085B2 (en) 2011-06-17 2013-10-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carrier peak power reduction in frequency hopping systems
KR101862171B1 (ko) * 2011-07-28 2018-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에너지 효율을 향상하기 위한 방법 및 통신 장치
JP5969109B2 (ja) 2012-03-29 2016-08-10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磁気状態素子及び回路
JP2017011390A (ja) * 2015-06-18 2017-01-12 富士通株式会社 無線装置及び無線送信方法
EP3334221B1 (en) * 2016-12-07 2020-09-16 Alcatel Lucent Device for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01084A1 (en) * 1998-06-29 2000-01-06 Nokia Networks Oy Power control in a multi-carrier radio transmitter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3266A (en) * 1968-04-12 1997-04-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Contiguous subcarrier barrage jamming method and apparatus
US4593402A (en) * 1984-09-21 1986-06-03 Motorola, Inc. AM stereo transmitter
JP2887987B2 (ja) * 1991-10-23 1999-05-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ジタル変調回路
JPH07283743A (ja) * 1994-04-12 1995-10-27 Fujitsu Ltd マルチキャリア無線送信装置
US6061568A (en) * 1996-10-01 2000-05-09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ntermodulation effects in multiple-signal transmission systems
JP3462388B2 (ja) * 1998-04-28 2003-1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US6252865B1 (en) * 1998-10-02 2001-06-26 Qualcomm,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st power control of signals transmitted on a multiple access channel
JP2000115834A (ja) * 1998-10-05 2000-04-21 Sony Corp 通信方法、基地局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
US6252910B1 (en) * 1998-11-11 2001-06-26 Comspace Corporation Bandwidth efficient QAM on a TDM-FDM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6256502B1 (en) * 1998-12-23 2001-07-03 Nortel Networks Limited Wideband multicarrier power control for a cellular PCS basestation tranmitter
US7110772B1 (en) * 1999-06-25 2006-09-19 Avaya Technology Corp.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dependent uniform service access for communication subscribers
US6570929B1 (en) * 1999-07-08 2003-05-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control scheme for maximizing carrier signal-to-noise ratio in multicarrier transmitters
US6426971B1 (en) * 1999-09-13 2002-07-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ccurately predicting 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to improve communications system performance
JP2001186102A (ja) * 1999-12-24 2001-07-06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2001309422A (ja) * 2000-04-20 2001-11-02 Sony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並びに、周波数配置方法
JP2002044054A (ja) * 2000-07-25 2002-02-0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リミッタ回路付きキャリア合成送信回路
US6982593B2 (en) * 2003-10-23 2006-01-03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Switching amplifier architecture
US7062289B2 (en) * 2001-02-27 2006-06-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multi-carrier power control of base station in broad-band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10112025A1 (de) * 2001-03-06 2002-09-19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zur Verringerung der Außenbandstrahlung bei AM-Sendern für digitale Übertragung
ATE321391T1 (de) * 2001-04-17 2006-04-15 Nokia Corp Verfahren zur feststelluntg der verstärkung von verschiedenen trägern, funkübertragungseinheit und für solche einheit bestimmtes modul
JP3643795B2 (ja) * 2001-07-30 2005-04-27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ピークリミッタ及びマルチキャリア増幅装置
EP1422841A1 (en) * 2001-09-17 2004-05-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trol st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optical transmission method
JP2003101499A (ja) * 2001-09-25 2003-04-04 Victor Co Of Japan Ltd マルチキャリア信号の生成方法、マルチキャリア信号の復号方法、マルチキャリア信号生成装置、及びマルチキャリア信号復号装置
JP2003163607A (ja) * 2001-11-28 2003-06-06 Fujitsu Ltd 無線装置
JP3875086B2 (ja) * 2001-11-30 2007-01-31 ソフトバンクテレコム株式会社 直交周波数分割多重システムおよび送受信装置
US7154936B2 (en) * 2001-12-03 2006-12-26 Qualcomm, Incorporated Iterative detection and decoding for a MIMO-OFDM system
US6636568B2 (en) * 2002-03-01 2003-10-21 Qualcomm Data transmission with non-uniform distribution of data rates for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
US7012970B2 (en) * 2002-03-19 2006-03-1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ransmitter peak power requirements
US7013161B2 (en) * 2002-09-24 2006-03-14 Nortel Networks Limited Peak power reduction using windowing and filtering
US8422434B2 (en) * 2003-02-18 2013-04-16 Qualcomm Incorporated Peak-to-average power ratio management for multi-carrier modul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6822595B1 (en) * 2003-06-18 2004-11-23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Extended range digital-to-analog conversion
US7043213B2 (en) * 2003-06-24 2006-05-09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Multi-mode amplifier system
US20050009476A1 (en) * 2003-07-07 2005-01-13 Shiquan Wu Virtual MIMO transmitters, receivers, systems and methods
US7026868B2 (en) * 2003-11-20 2006-04-11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Variable supply amplifier system
US7430248B2 (en) * 2004-01-27 2008-09-30 Crestcom, Inc. Predistortion circuit and method for compensating nonlinear distortion in a digital RF communications transmitter
US7542517B2 (en) * 2004-02-02 2009-06-02 Ibiquity Digital Corporation Peak-to-average power reduction for FM OFDM transmission
US20050201180A1 (en) * 2004-03-05 2005-09-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for back-off and clipping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01084A1 (en) * 1998-06-29 2000-01-06 Nokia Networks Oy Power control in a multi-carrier radio transmi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1730916T3 (pl) 2009-12-31
CN102655674A (zh) 2012-09-05
JP5356453B2 (ja) 2013-12-04
ATE507645T1 (de) 2011-05-15
JP2007527677A (ja) 2007-09-27
CA2691163A1 (en) 2005-09-22
EP1730916B1 (en) 2009-07-08
EP2247059A1 (en) 2010-11-03
CN102655674B (zh) 2016-05-11
CN1951080B (zh) 2012-07-11
EP2247059B1 (en) 2012-02-08
JP2011188529A (ja) 2011-09-22
JP4938644B2 (ja) 2012-05-23
US20080200204A1 (en) 2008-08-21
EP1730916A1 (en) 2006-12-13
CN1951080A (zh) 2007-04-18
ATE436140T1 (de) 2009-07-15
ES2330020T3 (es) 2009-12-03
ES2379226T3 (es) 2012-04-24
KR20060118016A (ko) 2006-11-17
ATE545259T1 (de) 2012-02-15
US20050201180A1 (en) 2005-09-15
CA2558544A1 (en) 2005-09-22
DE602005027761D1 (de) 2011-06-09
WO2005088926A1 (en) 2005-09-22
EP2104296A1 (en) 2009-09-23
EP2104296B1 (en) 2011-04-27
DE602005015301D1 (de) 2009-08-20
CA2558544C (en) 201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6453B2 (ja) ワイアレス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パワー制御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7236747B1 (en) Increasing OFDM transmit power via reduction in pilot tone
US68919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power level of a transmission signal
CN101765197B (zh) 无线通信系统中用于多载波调制的峰均功率比管理
EP1652362B1 (en) Adaptive bit loading with low density parity check forward error correction
US71587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a transmitted signal
WO2006105522A2 (en) Subcarrier adaptive thresholding for adaptive bit loading
Wiegandt et al. Peak-to-average power reduction in high-performance, high-throughput OFDM via pseudo-orthogonal carrier-interferometry coding
EP2163019B1 (en) Adaptive modulation scheme for multipath wireless channels
Lei et al. A minimum clipping power loss scheme for mitigating the clipping noise in OFDM
US20070242762A1 (en) Power control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s system
KR100683168B1 (ko) Uwb 송신장치 및 그 송신 방법
HK1102343A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Lei et al. OFDM clipping noise mitigation by a novel minimum clipping power loss scheme
HK1144639A (en) Peak-to-average power ratio management for multi-carrier modul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4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4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