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17525B1 - 밀착감이 우수한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밀착감이 우수한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525B1
KR100817525B1 KR1020060116751A KR20060116751A KR100817525B1 KR 100817525 B1 KR100817525 B1 KR 100817525B1 KR 1020060116751 A KR1020060116751 A KR 1020060116751A KR 20060116751 A KR20060116751 A KR 20060116751A KR 100817525 B1 KR100817525 B1 KR 100817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pigment
water
makeup
sol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호
양정훈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60116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52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의 구성 성분인 유상성분, 안료성분, 수상성분 및 향료 중에서 안료성분과 수상성분의 조성과 특성을 변화시켜 퍼짐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밀착감이 우수한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안료성분은 판상의 안료 중 최적의 크기를 갖는 안료를 도입하고, 수상성분인 정제수, 보습제, 이온봉쇄제, 양이온성분 및 방부제 중에서 보습제는 고상 혹은 페이스트상의 폴리올을 도입하여, 최적 크기의 판상안료와 수상성분 중 고상 혹은 반고상의 폴리올의 조합으로 밀착감은 향상시키나, 퍼짐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판상안료, 밀착감, 유중수, 메이크업, 폴리올

Description

밀착감이 우수한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Make-up cosmetic composition of w/o emulsification type with great adhesion}
도 1은 판상안료의 크기에 따른 밀착감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수상에 포함된 폴리머의 엉김현상을 보이는 것이다.
도 3은 폴리머의 종류에 따른 유화입자 사진이다.
도 4는 폴리올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9중량% 함유 시, 폴리올의 종류별 밀착감을 비교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장료의 구성 성분인 유상성분, 안료성분, 수상성분 및 향료 중에서 안료성분과 수상성분의 조성과 특성을 변화시켜 퍼짐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밀착감이 우수한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화장료는 화장 시에 얼굴의 가장 바깥면에 도포하는 것으로 화장 시 일정 수준 이상의 밀착감이 요구되고 있다.
밀착감을 높이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유상성분 중에 경도가 높은 오조케라이트, 카나우바왁스, 비즈왁스 등의 왁스의 함량을 증가시키거나, 점증제 역할을 하는 유기 폴리머나 무기점증제 혹은 유무기 하이브리드 점증제의 함량을 증가시켜 화장 시 밀착감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유상성분 중에 왁스의 함량을 높이게 되면, 전체 부피에 대하여 유상성분 중 결정을 형성한 왁스 제형의 밀도가 높아져 유동성이 떨어지게 되고, 이는 메이크업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 시 퍼짐성이 떨어지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어, 화장 시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고 사용감이 무거워지며 흐름성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점증제의 경우도 위와 비슷한 작용으로 퍼짐성을 떨어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사용감적 여러 요소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안료 중 안료의 종류(sort), 형상(morphology), 크기(size)와 함량(%)이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의 밀착감에 매우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발견하게 되었으며,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의 구성 성분 중에서 안료성분 중 판상안료와 수상 성분 중 보습제의 조성 및 종류와 특성 등을 조정함으로써 메이크업 화장료의 사용성 중에서 밀착감이 좋아지면 퍼짐성이 나빠지고 퍼짐성이 좋아지면 밀착감이 나빠지는 상호모순 관계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함량이 증가하여도 유동도에 영향은 미약하게 미치면서 밀 착감에는 효과가 탁월한 판상 모양의 안료를 도입하였으며, 제형의 내상(inner phase)인 수상성분은 외상(out phase)인 유상 속에 구형으로 분산되어 있으면 동일 조건 하에서 유동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 및 피부에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바를 시에 유화막이 터지지 않은 시점까지는 유동도 즉, 피부에 도포 시의 퍼짐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물과 같은 휘발성 성분이 피부에 흡수되거나 공기 중에 휘발 된 후 밀착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고상 혹은 반고상의 폴리올을 수상에 도입함으로써 위의 언급한 기술적 난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를 피부에 일정 압력과 쉐어(shear)를 가해 도포 시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의 구성성분이 작용하는 거동을 이해함으로써, 밀착감과 퍼짐성의 상호 모순관계를 극복한 대안을 제시한 새로운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료성분으로서 판상안료를 사용하고, 수상성분에 고상 또는 페이스트상(이하, ‘페이스트상’은 ‘반고상’으로 칭한다)의 폴리올 성분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판상안료는 탈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바륨셀페이트(BaSO4), 알루미 나(Al2O3), 보론나이트라이드(boron nitride) 및 비스무스옥시클로라이드(BiO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상 또는 반고상의 폴리올 성분은 자이리톨(Xylitol), 에리트리톨(Erythritol), 수크로오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말토오스(Maltose), 소르비톨(Sorbitol) 및 매넌(Manna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성분, 안료성분, 수상성분 및 향료로 이루어져 있다. 유상성분은 기존의 메이크업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로서 에스터계 오일, 왁스, 방부제, 실리콘오일, 점증제,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안료성분은 판상의 안료, 산화철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상성분은 정제수, 보습제, 이온봉쇄제, 양이온성분, 방부제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안료성분은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중에 대략 5~20중량% 사이를 차지하는 것으로 메이크업 화장료의 밀착감, 퍼짐성, 무게감, 커버력 등의 사용감에 매우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안료성분으로 쓰이는 이산화티탄, 징크옥사이드 등은 커버력이나 자외선 차단력을 높이고, PMMA(폴리메타크릴산 메틸, polymethyl methacrylate)는 다른 안료의 분산을 도와주고 오일성분을 일정부분 잡아주며 사용감을 개선하는 기능이 있고, 산화철은 메이크업 화장료에서 색 상을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여러 실험을 통하여 안료의 종류(sort), 형상(morphology), 크기(size) 및 함량(%)이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의 밀착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중 형상(morphology)에 있어서 조건이 동일할 경우, 피부와의 접촉면적에 따라 밀착감의 차이가 나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즉, 구상의 안료보다는 판상의 안료가 밀착감을 더 높일 수 있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판상안료의 종류와 크기별 차이점을 실험해 본 결과 다른 조건이 동일할 경우 같은 판상안료의 경우 안료의 종류에 상관없이 밀착감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크기 별로는 현격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같은 종류의 동일 %의 판상안료라 할지라도 크기(size, 구상당 평균입도를 의미한다. 이하 평균입도, 크기, 사이즈 등은 구상당 평균입도를 의미한다.)가 작은 판상안료가 밀착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도 1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판상안료는 탈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바륨셀페이트(BaSO4), 알루미나(Al203), 보론나이트라이드(BORON NITRIDE) 및 비스무스옥시클로라이드(BiO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화장료에 사용되는 안료는 표면처리를 하지 않거나 디메치콘, 알킬메톡시카프릴릴실란, 스테아르산 등등의 다양한 기재로 표면을 코팅처리하여 사용하는데, 판상안료의 경우에는 표면 코팅 여부에 관계없이 밀착감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 표면특성에 따라서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에서 유화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예를 들어, 마이카의 경우에는 다른 판상안료와 달리 표면의 친수성(hydrophilic)이 강해 유화막을 파괴시켜 제형의 안정성에 악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우에는 표면을 소수성(hydrophobic)으로 만들어주는 코팅처리를 한 것이 상대적으로 유화막의 파괴를 막아주어 제형 안정화에 도움이 됨을 발견할 수 있었다. 판상안료의 표면처리는 메티콘(methicone), 디메티콘(dimethicone), 이소프로필 티타늄 트리이소테아레이트(isopropyl titanum triisostearate), 알킬 플루오로알코올 포스페이트(alkyl fluoroalcohol phosphate), 라우로일산 라이신(N-lauroyl-L-lysine), 키토산(chitosan),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공중합체(acrylate silicone copolymer), 레시틴(lecithin), 카나우바왁스(carnauba wax), 오조케라이트(ozokerite), 비즈왁스(bees wax), 멀티왁스(multi wax) 및 트리에톡시카프릴리실란(triethoxycaprylysil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판상안료의 크기에 있어서 밀착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판상안료의 크기가 평균입도 기준 0.1~5㎛ 범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함을 발견하게 되었다. 처방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판상안료의 크기의 변화에 비해 밀착력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 크기가 대략 5㎛ 이다. 이는 판상안료가 단위 무게당 표면적이 커지게 되어 5㎛를 경계로 하여 급격하게 밀착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0.1㎛ 미만이 되면 안료 모양이 판상이 되지 않고 조립상의 모양으로 되어 거친 사용감이 나타난다.
또한, 판상안료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5 ~ 5.0중량% 함유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함량이 0.5중량%가 되면 대부분의 사람이 판상안료가 들어간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차이를 확실하게 분별하게 된다. 또한, 함량이 5.0중량% 초과가 되면 점도 상승이 지나치게 많아져 용기에 담는 충진에 어려움이 있으며, 제형에서도 유화 안정도에 악영향을 끼치고, 화장막의 두께감이 급격히 증가하여 화장이 답답해 지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수상성분 중 하나인 보습제는 피부에 막을 형성하거나 대기 중의 수분을 잡아주어 피부각질층의 수분함량을 일정 수준 유지시켜 줌으로써 건조함을 방지하고 촉촉한 사용성을 부여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여러 실험을 통해 물에 용해가 되는 수용성 보습제 중에서 종류에 따라서는 상기의 목적 외에도 밀착감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물에 용해되는 특징으로 수상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 보습제나 필름형성제에 대하여 연구를 한 결과, 폴리비닐피롤리돈(poly vinyl pyrrolidone)과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VP/VA Copolymer)는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와 비닐피로리돈 모노머(vinylpyrrolidone monomers),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에스터-5(디글리콜(DIGLYCOL), 시클로헥산디메탄올(Cyclohexane Dimethanol), 이소프탈레이트(ISOPHTHALATES), SIPCOPOLYMER), 폴리우레탄-1/에탄올(Polyurethan-1/Ethanol),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 copolymer), 잔탄검(Xantan Gum)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CMC-NA)의 공중합체(copolymer)이며, 상기 물질들은 수상중의 NACL과 같은 양이온 성분이나 페녹시 에탄올(phenoxy ethanol) 같은 방부제 성분과 엉기어 균일하게 용해가 되지 않거나(도 2 참조), 수상 중에 균일하게 용해되어 유화입자를 형성하더라도 유화입자의 크기가 커지거나 입자 크기가 불균일하게 되는 현상을 유발하여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의 분리현상을 가속화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참조).
또한 일부의 수용성 폴리머에서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 시 필름막이 때처럼 밀리는 현상이 발생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발명자는 위에서 언급한 여러가지 문제점이 나타나지 않으면서도 밀착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수용성 물질을 연구한 결과, 고상 혹은 반고상의 폴리올이 밀착감을 높이면서도 수상의 다른 물질과 엉김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며 유화안정도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올 성분은 피부에 보습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출원번호 (Application Number) : 2004-0105555 (2004.12.14) 자일리톨 및 베타 - 1, 3 - 글루칸을 함유한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참조), 실온에서 고상 혹은 반고상의 폴리올이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퍼짐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밀착감을 향상 시킴을 발견하게 되었다(도 4 참조).
이는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서 수상성분에 포함된 고상 혹은 반고상의 폴리올 성분이 오일로 감싸진 형태로 수상 중에 액체로 존재하였다가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면, 유화막이 깨지면서 액상의 폴리올과 수용성 성분이 피부에 도포되고 물 등의 휘발성 성분은 비교적 빨리 피부 각질층에 흡수되거나 대기 중으로 휘발되며, 액상의 폴리올 성분은 원래의 형태인 고상 혹은 반고상의 형태로 돌아오는 과정에서 액상이 얇은 고상으로 변화되면서 밀착감을 부여한다. 밀착감을 나타내는 고상 혹은 반고상의 폴리올의 양은 그 함량이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제형에서 사용하는 고상 혹은 반고상의 폴리올은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0.1% ~1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중량%는 고상 혹은 반고상 폴리올이 밀착감을 일으키는 최소한의 함량이고, 10중량% 초과에서는 유화제형에서 내상의 폴리올양이 많아져 유화안정도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어 유화입자가 쉽게 합일되며, 사용감에 있어서도 10중량% 초과에서는 도포 후에 양초를 바른 듯한 부드럽지 않은 사용감을 느끼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컨실러 등의 화장료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및 비교예는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조성 실시예 비교예
A1 A2 A3
(1) 물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부틸렌글라이콜 9.00 0.00 0.00 9.00
(3)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4) 자일리톨(xylitol) 0.00 9.00 0.00 0.00
(5) 에리쓰리톨(erythritol) 0.00 0.00 9.00 0.00
(6) 소금 1.00 1.00 1.00 1.00
(7) 페녹시에탄올 0.10 0.10 0.10 0.10
(8) 오조케라이트 1.00 1.00 1.00 1.00
(9)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13.00 13.00 13.00 13.00
(10)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2.00 2.00 2.00 2.00
(11) 세틸 디메치콘 코폴리올 1.50 1.50 1.50 1.50
(12)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0 3.00 3.00 3.00
(13) 산화철 1.50 1.50 1.50 1.50
(14) 티타늄옥사이드 7.00 7.00 7.00 7.00
(15)탈크(크기:3.06마이크로) 0.00 4.50 4.50 4.50
(16) 탈크(크기:9.56마이크로) 4.50 0.00 0.00 0.00
(17) 메틸파라벤 0.50 0.50 0.50 0.50
<제조방법>
1) 먼저 비이커나 플라스크에 성분(1)~(7)을 담고 70℃에서 용해시킨다.
2) 다른 비이커나 플라스크에 성분(8)~(17)을 담고 80℃에서 용해시킨다.
3) 상기 2)에 1)을 첨가하여 6000rpm으로 충분히 섞는다.
4) 탈기 후 30℃로 냉각한다.
[ 시험예 1] 기기적 측정에 의한 밀착감 및 퍼짐성 증진에 대한 효과 검증시험
TA INSTRUMENTS 사의 유량계(rheometer, model: AR 2000)를 이용하여 쉐어레이트(shear rate)에 대한 쉐어스트레스(shear stress)를 측정하여 감성 적 수치인 밀착감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수치는 높을수록 밀착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시료 밀착감 수치(유량계)
실시예A1 92
실시예A2 232
실시예A3 220
비교예 147
[ 시험예 2] 품평단에 의한 관능평가
메이크업 화장을 일주일에 5일 이상 실시하는 20~30 대 사이의 사용자(heavy user)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파운데이션을 이용하여 피실험자의 팔을 4부위로 나누어 동일 면적에 동량(파운데이션 0.1g)을 가로*세로 각각 4.5cm 안에 도포하고 밀착감과 퍼짐성 정도를 평가하였다. 9점 평가를 하였으며, 퍼짐성이 좋을수록 높을 점수를 부여하였고, 비교예를 5점으로 설정하여 이를 기준점수로 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만족도(평균 점수)
밀착감(품평단) 퍼짐성(품평단)
실시예A1 3.4 5.1
실시예A2 8.2 4.9
실시예A3 7.5 5.2
비교예 5.0 5.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크기가 작은 판상의 안료와 수상 성분 중의 고상 혹은 반고상의 폴리올을 이용하여 제공한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 물은 밀착감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기존의 화장료에서 외상의 왁스나 점증제의 함량을 변화시킴으로써 화장료의 밀착감은 높였으나, 퍼짐성은 악화되었던 단점을 극복하여, 메이크업 화장료의 중요 속성인 퍼짐성은 악화시키지 않으면서도 밀착감은 향상 시킬 수 있고, 동시에 화장의 무게감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새로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안료성분으로서 탈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바륨셀페이트(BaSO4), 알루미나(Al203), 보론나이트라이드(BORON NITRIDE) 및 비스무스옥시클로라이드(BiO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크기가 0.1~5㎛인 판상안료; 및 수상성분에 자이리톨(Xylitol), 에리트리톨(Erythritol), 수크로오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말토오스(Maltose), 소르비톨(Sorbitol) 및 매넌(Manna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상 또는 반고상의 폴리올 성분을 사용하는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안료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5 ~ 5.0 중량%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안료는 표면처리가 되지 않은 안료이거나 메티콘(methicone), 디메티콘(dimethicone), 이소프로필 티타늄 트리이소테아레이트(isopropyl titanum triisostearate), 알킬 플루오로알코올 포스페이트(alkyl fluoroalcohol phosphate), 라우로일산 라이신(N-lauroyl-L-lysine), 키토산(chitosan),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공중합체(acrylate silicone copolymer), 레시틴(lecithin), 카나우바왁스(carnauba wax), 오조케라이트(ozokerite), 비즈왁스(bees wax), 멀티왁스(multi wax) 및 트리에톡시카프릴리실란(triethoxycaprylysil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표면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고상 혹은 반고상의 폴리올 성분은 0.1 ~ 10.0중량%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컨실러 또는 스킨커버의 제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116751A 2006-11-24 2006-11-24 밀착감이 우수한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817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751A KR100817525B1 (ko) 2006-11-24 2006-11-24 밀착감이 우수한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751A KR100817525B1 (ko) 2006-11-24 2006-11-24 밀착감이 우수한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7525B1 true KR100817525B1 (ko) 2008-03-27

Family

ID=39411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751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7525B1 (ko) 2006-11-24 2006-11-24 밀착감이 우수한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5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353B1 (ko) * 2008-04-30 2010-09-10 (주)아모레퍼시픽 피그먼트가 내상 분산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13138312A1 (en) * 2012-03-12 2013-09-19 Basf Corporation Treated platy substrates
US9839587B2 (en) 2012-03-12 2017-12-12 Basf Corporation Treated platy substrates
KR20200048881A (ko) * 2018-10-31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필름형성제 및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617559B1 (ko) * 2023-03-21 2023-12-28 한국콜마주식회사 안료에 대한 우수한 분산성을 갖는 분산제 및 이의 합성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1754A (en) * 1993-08-06 1999-0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KR20000035111A (ko) 1998-11-03 2000-06-26 조지안느 플로 묻어나지 않는 메이크업 방법 및 이 방법의 수행을 위한 조성물 및 키트
KR20030011844A (ko) 2000-05-16 2003-02-11 펜타팜아게 화장용 활성 조성물
KR20030045011A (ko) 2000-07-10 2003-06-09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화장용 조성물
KR20040047945A (ko) 2001-10-26 2004-06-05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착색제를 포함하는 내부상을 포함하는 실리콘 탄성중합체유제 화장품 조성물
KR20060022572A (ko) 2004-09-07 2006-03-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분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컵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1754A (en) * 1993-08-06 1999-0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KR20000035111A (ko) 1998-11-03 2000-06-26 조지안느 플로 묻어나지 않는 메이크업 방법 및 이 방법의 수행을 위한 조성물 및 키트
KR20030011844A (ko) 2000-05-16 2003-02-11 펜타팜아게 화장용 활성 조성물
KR20030045011A (ko) 2000-07-10 2003-06-09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화장용 조성물
KR20040047945A (ko) 2001-10-26 2004-06-05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착색제를 포함하는 내부상을 포함하는 실리콘 탄성중합체유제 화장품 조성물
KR20060022572A (ko) 2004-09-07 2006-03-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분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컵화장품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353B1 (ko) * 2008-04-30 2010-09-10 (주)아모레퍼시픽 피그먼트가 내상 분산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13138312A1 (en) * 2012-03-12 2013-09-19 Basf Corporation Treated platy substrates
US9839587B2 (en) 2012-03-12 2017-12-12 Basf Corporation Treated platy substrates
KR20200048881A (ko) * 2018-10-31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필름형성제 및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575780B1 (ko) * 2018-10-31 2023-09-11 (주)아모레퍼시픽 필름형성제 및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617559B1 (ko) * 2023-03-21 2023-12-28 한국콜마주식회사 안료에 대한 우수한 분산성을 갖는 분산제 및 이의 합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05994T2 (de) Verflüssigbare pulverzusammensetzungen
DE69930632T2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für natürliches aussehen
DE60028468T2 (de) Mikrokapsel und Verfahren zu derer Herstellung
DE69900362T2 (de) Zusammensetzung zur Behandlung von Keratinfasern
DE60314963T2 (de) Verfahren zur dekorativen Behandlung der Wimpern mit einem Überzugsmittel, das ein klebriges Wachs enthält
DE60024529T2 (de) Mascara, die eine Dispersion von Polymerteilchen in einer flüssigen Fettphase enthält
KR100817525B1 (ko) 밀착감이 우수한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EP0978271B1 (de) Aerosolschaumzusammensetzung
WO2005053633A1 (en) Water in oil form cosmetic composition
EP1753389B1 (de) Zubereitung in form einer emulsion mit einer filmbildenden polymerkombination
KR102336132B1 (ko) 흡유능,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30047456A1 (en) Oil-in-water-type emulsified cosmetic
KR102286653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EP2520336A2 (de) Kosmetisches Puderprodukt
KR102262308B1 (ko)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1630825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86315B1 (ko) 왁스-프리 아이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JP4907071B2 (ja) 睫用化粧料
EP3864998B1 (en) Mesh-type moisture-release cushion cosmetic product
KR0185818B1 (ko) 보습효과를 갖는 화장료용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고형분말 색조화장료
KR20060130656A (ko) 속눈썹용 화장료
KR101978370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4221273B2 (ja) 乳化型化粧料
KR100823077B1 (ko) 수중실리콘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6772A (ko) 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703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322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