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636B1 - Device for clamping a die - Google Patents
Device for clamping a di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13636B1 KR100813636B1 KR1020020039697A KR20020039697A KR100813636B1 KR 100813636 B1 KR100813636 B1 KR 100813636B1 KR 1020020039697 A KR1020020039697 A KR 1020020039697A KR 20020039697 A KR20020039697 A KR 20020039697A KR 100813636 B1 KR100813636 B1 KR 1008136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d
- movable
- die plate
- mold opening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2 die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8 mo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3 responsive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02—Clamping means operating on closed or nearly closed mould parts, the clamping means being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opening or clos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2—Opening, closing or clamping by rectilinear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품의 압출동작을 개시하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형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형체장치는 이동금형에 대해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압출핀과 연결되고 형 개폐방향(A1 및 A2)으로 이동할 수 있게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보유지지된 가동판(53)과,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설치되고 가동판(53)을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해제가능하게 구속하는 에어 실린더(210), 링크 하우징(21)에 설치되고 이동 다이 플레이트(51)가 소정의 형의 개방위치(PD)로 이동했을 때 가동판(53)의 형 개폐방향(A1 및 A2)의 이동을 구속하며, 형의 개방위치(PD)로부터 더욱 형 개방방향으로 향하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대해 에어 실린더(21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된 가동판(53)의 이동만을 규제하는 에어 실린더(53), 에어 실린더(210)의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대한 위치를 형 개폐방향을 따라 변경할 수 있는 위치조정기구(250,251,252,253)를 갖추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clamp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die plate to initiate the extrusion operation of the molded article, the mold clamp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extrusion pin installed so as to be projected to the movable mold and the mold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A1 and A2) The movable plate 53 held by the movable die plate 51 so as to be movable, and the movable plate 53 is installed on the movable die plate 51 and the movable plate 53 can be relea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ovable die plate 51. Mold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s A1 and A2 of the movable plate 53 when the movable die plate 51 is moved to the open position PD of a predetermined type and is installed in the air cylinder 210 and the link housing 21 which are constrained. ) Restrains the movement of the mold and restricts only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late 53 from which the restraint by the air cylinder 210 is released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e plate 51 which is further directed from the mold opening position PD to the mold opening direction. Air cylinder (53), air cylinder (210 Position adjustment mechanisms 250, 251, 252 and 253 that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moving die plate 51 in the direction of the mold opening and clos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형체장치의 1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old clamp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도 1의 형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old clamping apparatus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형체장치의 링크 하우징 및 이동 다이 플레이트 주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round a link housing and a moving die plate of a mold clamp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링크 하우징(21)의 배면도,4 is a rear view of the
도 5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도 3의 화살표(D)방향에서 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ving
도 6은, 링크 하우징(21)을 도 3의 화살표(E)방향에서 본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 7은,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형 개방한계위치(PA)까지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도 8은,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형 개방한계위치(PA)에서 압출위치(PB)까지 더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도 9는, 가동판(53)이 링크 하우징(21)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9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형체장치의 링크 하우징 및 이동 다이 플레이트 주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round the link housing and the moving die plate of the mold clam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형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old clam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11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in FIG. 11;
도 13은, 도 12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in FIG. 12;
도 14는, 도 13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in FIG. 13;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형체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of the mold clam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형체장치의 링크 하우징 및 이동 다이 플레이트 주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Fig. 16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round the link housing and the moving die plate of the mold clam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형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old clam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도 17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in FIG. 17;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형체장치의 링크 하우징 및 이동 다이 플레이트 주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19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round a link housing and a moving die plate of the mold clam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형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2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old clam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도 20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2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in FIG. 20;
도 22는, 종래의 형체장치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2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mold clamping device.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1 - - - 형체장치, 21 - - - 링크 하우징,1---clamping device, 21---link housing,
24 - - - 고정용 부재, 25 - - - 에어 실린더,24---fixing member, 25---air cylinder,
51 - - - 이동 다이 플레이트, 52 - - - 이동금형,51---moving die plate, 52---moving mold,
53 - - - 가동판, 91 - - - 고정 다이 플레이트,53---movable plate, 91---fixed die plate,
92 - - - 고정금형, 95 - - - 타이바아,92---Fixed mold, 95---Tie bar,
100 - - - 기저부, 110 - - - 토글 형체장치,100---base, 110---toggle clamping device,
210 - - - 에어 실린더, 211 - - - 피스톤 로드.210---Air cylinder, 211---Piston rod.
본 발명은, 예컨대 다이캐스트장치나 플라스틱 사출성형기에 적용되는 금형으로부터 성형품을 압출하는 압출기구를 구비한 형체장치(型締裝置)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clamping apparatus provided with an extrusion mechanism for extruding a molded article from a mold applied to a die casting apparatus or a plastic injection molding machine, for example.
플라스틱 등의 수지를 성형하기 위한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금형으로부터 성형품을 분리하기 위해 형체장치에는 압출기구(押出機構)가 구비되어 있다. 형체장치는, 금형의 개폐를 실행하여 금형을 폐쇄한 상태에서 소정의 형체력(型締力)으로 금형을 조여주는 장치이다. 상기 형체장치의 압출기구에서는, 예컨대 금형의 형(mold) 내부에 압출핀을 출몰될 수 있게 설치하여, 제품이 성형된 후에 금형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압출 핀을 돌출시켜 제품을 꺼낸다.In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for molding a resin such as plastic, an extrusion mechanism is provided in the mold clamping device to separate the molded product from the mold. A mold clamping device is a device which tightens a metal mold | die by a predetermined clamping force in the state which closed and closed a metal mold | die by opening and closing of a metal mold | die. In the extrusion mechanism of the mold clamping device, for example, the extrusion pin is installed in the mold of the mold so that the extrusion pin can be projected, and after the product is molded, the extrusion pin is protruded while the mold is opened to take out the product.
그런데, 종래에는 압출기구의 압출핀이, 금형을 개폐시키는 액츄에이터(actuator)와는 독립된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하도록 되어 있어서, 형체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게 되어, 제작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불이익이 있었다.By the way, in the related art, the extrusion pin of the extrusion mechanism is driven by an actuator independent of an actuat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old, which results in a complicated structure of the mold clamping device, resulting in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금형의 개폐동작과 압출기구의 동작을 같은 액츄에이터로 실행하는 기술은, 예컨대 일본국 특허공개 평4-241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Techniques for perform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mold and the operation of the extrusion mechanism are disclosed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4-2416.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일본국 특허공개 평4-2416호의 공보에 개시된 형체장치는, 고정금형(174)과 이동금형(175)을 형체하여, 사출성형 및 냉각 후에 이동금형(175)을 이동 다이 플레이트(110)에 의해 고정금형(174)으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압출 핀(117)에 의해 성형품을 압출하는 압출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110)를 전후로 진행시키는 크랭크아암(115)과, 이 크랭크아암(115)을 구동시키는 형 개폐용 모터(107), 이동 다이 플레이트(110)의 안쪽에 배치되어 스프링(112)에 의해 후퇴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어붙여져 있는 압출 플레이트(111) 및, 이 압출 플레이트(111)가 소정의 위치까지 후퇴했을 때 압출 플레이트(111)에 선단이 닿아 압출 플레이트(111)가 더 이상 후퇴하는 것을 저지하는 압출 바아(103)를 구비하고 있다.
이 형체장치에서는, 크랭크아암(115)을 구동해서 이동 다이 플레이트(110)의 이동에 의해 이동금형(175)을 개방시키면, 압출 플레이트(111)가 압출바아(103)에 닿아 압출 플레이트(111)의 후퇴가 규제되게 된다. 압출 플레이트(111)가 정지한 상태에서 이동 다이 플레이트(110)가 더 후퇴하면, 스프링(112)이 압축되면서 압출핀(117)이 이동금형(175)에 대해 돌출하게 된다. 이에 의해, 성형품이 이동금형(175)으로부터 압출된다. 크랭크아암(115)을 이동시켜 이동 다이 플레이트(110)를 전진시키면, 압출 플레이트(111)가 압출바아(103)로부터 떨어지고, 압출핀(117)은 스프링(112)의 탄발력에 의해 이동금형(175)에 대해 몰입(沒入)되어 정위치로 복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2, the mold clamping apparatu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4-2416 discloses a
In this mold clamping device, when the moving
삭제delete
그런데, 상기 구성과 같이 압출핀(117)을 금형의 개폐동작과 연계해서 동작시키는 압출기구를 구비한 형체장치를 플라스틱 사출성형기로 대체해서 다이캐스트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By the way, a molding apparatus having an extrusion mechanism for operating the
그러나, 다이캐스트장치에서는 성형재료로서 알루미늄합금 등의 금속 용탕을 이용하게 된다. 그 때문에, 금형 내로 사출된 금속 용탕의 일부가 이동 다이 플레이트(110)까지 비산되어, 이동 다이 플레이트(110) 내에 설치된 스프링(112)에 부착될 가능성이 있다. 스프링(112)에 금속 용탕이 부착되어 응고하면, 스프링(112)이 정상적으로 신축하지 못할 수가 있다.However, in the die cast apparatus, molten metal such as aluminum alloy is used as the molding material. For this reason, a part of the molten metal injected into the mold may be scattered to the moving
상기한 압출기구에서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110)에 대해 이동을 한 압출핀(117)이, 스프링(112)이 정상적으로 신축을 하지 않으면, 예컨대 제품의 압출동작이 완료된 후 이동금형(175)과 고정금형(174)을 폐쇄한 상태에서 압출핀(117)이 정위치로 복귀하지 않고 이동금형(175) 내로 돌출한 상태로 될 가능성이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xtrusion mechanism, the
압출핀(117)이 이동금형(175)에 대해 돌출한 상태에서 성형을 실행하면, 성형불량이 될 우려가 있고, 특히 금형에 심을 삽입해서 성형하는 경우에 압출핀(117)이 돌출되어 있으면 금형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If molding is performed while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금형의 개폐동작에 연계해서 압출핀을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는 형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ld clamping apparatus capable of reliably operating an extrusion pin in connection with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a mold.
본 발명의 제1특징과 관련된 형체장치는, 고정금형을 보유지지하는 고정다이 플레이트와, 이동금형을 상기 고정금형에 대향해서 보유지지하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다이 플레이트를 형 개폐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형체력을 공급하는 구동기구가 설치된 링크 하우징을 구비하여, 상기 금형의 개폐 및 조임을 실행하는 형체장치로서, 상기 이동금형에 대해 출몰할 수 있게 설치된 압출핀과 연결되어, 형 개폐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이동 다이 플레이트에 보유지지된 가동부재와, 상기 이동 다이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이동 다이 플레이트에 대해 소정 위치에서 해제될 수 있도록 구속하는 제1구속수단과, 상기 링크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다이 플레이트가 소정의 형의 개방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 가동부재의 형 개폐방향의 이동을 구속하고, 형의 개방위치로부터 다시 형 개방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이동 다이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제1구속수단에 의한 구속이 해제된 상기 가동부재의 이동만을 규제하는 제2구속수단 및, 상기 제2구속수단에 의해 상기 가동부재의 구속이 개시될 때의 이동 다이 플레이트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속위치 조정수단을 갖추고 있다.A mold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die plate for holding a fixed mold, a moving die plate for holding a moving mold against the fixed mold, and moving the moving die plate in a mold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It is a clamping device which has a link housing provided with a driving mechanism for supplying a clamping force, and performs opening and closing of the mold, and is connected to an extrusion pin installed to be projected to the movable mold, and can move in the mold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A movable member held on the movable die plate so as to be provided on the movable die plate, the first restraining means restraining the movable member to be released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ovable die plate, and on the link housing. The movable die plate when the movable die plate is moved to an open position of a predetermined type. Second restraining means for restraining the movement of the ash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and restricting only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whose restraint by the first restraining means is released to the movable die plate from the open position of the mold to the mold opening direction again; And restraint position adjusting means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die plate when restraint of the movable member is started by the second restraining means.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속위치 조정수단이, 상기 제1구속수단의 상기 이동 다이 플레이트에 대한 위치를 형 개폐방향을 따라 변경할 수 있는 위치조정기구를 갖추고 있다.Preferably, the restraint position adjusting means includes a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restraining means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e plate along the mold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본 발명의 제2특징과 관련된 형체장치는, 고정금형을 보유지지하는 고정다이 플레이트와, 이동금형을 상기 고정금형에 대향해서 보유지지하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다이 플레이트를 형 개폐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형체력을 공급하는 구동기구가 설치된 링크 하우징을 구비하여, 상기 금형의 개폐 및 조임을 실행하는 형체장치로서, 상기 이동금형에 대해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압출핀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 다이 플레이트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소정의 위치에 보유지지된 가동부재와, 상기 링크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다이 플레이트가 소정의 형의 개방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 가동부재의 형 개폐방향의 이동을 구속하고, 형의 개방위치로부터 다시 형 개방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이동 다이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가동부재의 이동만을 규제하는 구속수단 및, 상기 구속수단에 의해 상기 가동부재의 구속이 개시될 때의 이동 다이 플레이트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속위치 조정수단을 갖추고 있다.A mold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die plate for holding a fixed mold, a moving die plate for holding a moving mold against the fixed mold, and a movement of the moving die plate in a mold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A mold clamping device having a link housing provided with a driving mechanism for supplying a clamping force, and configured to perform opening and closing of the mold, the mold clamping device being connected to an extrusion pin installed to be protruding with respect to the movable mold to move relative to the movable die plate. A movable member hel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so that the movable die plate is moved to an open position of a predetermined mold to restrain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in a mold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and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relative to the moving die plate from the open position back towards the mold opening direction Restraining means for restricting the bay and restraining position adjusting means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die plate when restraint of the movable member is started by the restraining means.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속위치 조정수단이, 상기 구속수단의 상기 링크 하우징에 대한 위치를 형 개폐방향을 따라 변경할 수 있는 위치조정기구를 갖추고 있다.Preferably, the restraint position adjusting means has a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restraining means with respect to the link housing along the mold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구속수단에 의해 구속되는 피구속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속위치 조정수단이 상기 피구속부재의 상기 가동부재에 대한 위치를 형 개폐방향을 따라 변경할 수 있는 위치조정기구를 갖춘 구조로 할 수도 있다.The movable member includes a member to be restrained by the restraining means, and the restraining position adjusting means includes a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restraint member with respect to the movable member in a mold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It may be a structure.
본 발명의 제1특징에 관련된 형체장치에서, 압출핀과 연결된 가동부재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가 소정의 형의 개방위치로 이동할 때까지는 제1구속수단에 의해 구속되기 때문에, 가동부재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에 대해 확실하게 정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가동부재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가 소정의 형의 개방위치로 이동하면, 제2구속수단에 의해 형 개폐방향 이동이 구속된다. 가동부재와 이동 다이 플레이트의 상대이동 직전에 제1구속수단에 의한 구속이 해방되어, 가동부재와 이동 다이 플레이트 사이에 발생하는 상대이동에 의해 압출핀이 이동금형에 대해 돌출하게 되어 성형품이 압출된다.In the mold clam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vable member connected with the extrusion pin is constrained by the first restraining means until the movable die plate moves to the open position of the predetermined mold, the movable member is attached to the movable die plate. The position is firmly in place. When the movable die plate moves to the open position of the predetermined mold, the movable member is restricted in the mold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by the second restricting means. Just before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and the movable die plate, the restraint by the first restricting means is released, and the extrusion pin protrudes from the movable mold by the relative movement occurring between the movable member and the movable die plate, thereby extruding the molded article. .
상기 성형품의 압출동작이 완료되어 이동 다이 플레이트가 다시 소정의 형 개방위치로 복귀하면, 가동부재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에 대해 확실하게 정위치로 복귀한다. 이 상태의 가동부재는 제1구속수단에 의해 다시 구속된다.When the extrusion operation of the molded article is completed and the moving die plate returns to the predetermined mold opening position again, the movable member returns to the fix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e plate. The movable member in this state is restrained again by the first restricting means.
따라서, 가동부재가 정위치에서 벗어나 압출핀이 이동금형에 대해 돌출한 상태에서는 형체동작이 실행되지 않게 된다.Therefore, the clamp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in the state where the movable member is out of position and the extrusion pin protrudes with respect to the moving mold.
또, 본 발명의 형체장치에서는, 구속위치 조정수단에 의해 가동부재의 구속이 개시될 때의 이동 다이 플레이트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성형품의 압출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Further, in the clam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usion position of the molded article can be arbitrarily chang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die plate when the restraint of the movable member is started by the restraint position adjusting means.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른 형체장치에서, 압출핀과 연결된 가동부재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가 소정의 형의 개방위치로 이동하면 구속수단에 의해 형 개폐방향 이동이 구속된다.In the mold clam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member connected to the extrusion pin is restricted in the mold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by the restraining means when the movable die plate moves to the opening position of the predetermined mold.
이동 다이 플레이트가 형의 소정의 개방위치로부터 형 개방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가동부재는 정지한 채 이동 다이 플레이트만 이동한다. 이에 따라, 가동부재와 이동 다이 플레이트 사이에 발생하는 상대이동에 의해 압출핀이 이동금형에 대해 돌출하게 되어 성형품이 압출되게 된다.When the moving die plate further moves in the mold opening direction from the predetermined opening position of the mold, only the moving die plate moves while the movable member is stopped. As a result, the extrusion pin protrudes with respect to the moving mold by the relative movement occurring between the movable member and the moving die plate, thereby extruding the molded article.
또, 본 발명의 형체장치에서는 구속위치 조정수단에 의해 가동부재의 구속이 개시될 때의 이동 다이 플레이트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성형품의 압출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Further, in the clam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usion position of the molded article can be arbitrarily chang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die plate when the restraint of the movable member is started by the restraint position adjusting mean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형체장치의 1예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 1의 형체장치(1)는 예컨대 다이캐스트장치의 형체에 적용된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old clamp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도 1에서, 형체장치(1)는, 기저부(100)와, 기저부(100) 상에 고정된 고정다이 플레이트(91)와, 고정다이 플레이트(91)에 부착된 고정금형(92)과, 고정다이 플레이트(91)에 대향해서 기저부(100) 상을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와, 고정금형(92)에 대향하도록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부착된 이동금형(52)과,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사이에 두고 고정다이 플레이트(91)와 타이바아(95)에 의해 연결된 링크 하우징(21) 및, 링크 하우징(21)과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연결하는 토글형체기구(109)를 구비하고 있다.In FIG. 1, the
고정다이 플레이트(91)는 기저부(100)에 고정되어 있다. 링크 하우징(21)은 통상적으로 타이바아(95)에 고정되어 있으나, 금형교환에 수반해서 다이의 높이를 조정할 때 타이바아(95)에 대해 이동을 한다.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는 기저부 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fixed
링크 하우징(21)과 고정다이 플레이트(91)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관통하는 타이바아(95)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바, 타이바아(95)는 통상 4개가 설치된다.The
링크 하우징(21)과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연결하는 토글형체기구(109)는, 도 1에서는 상하 2조의 링크계(110)를 구비하지만, 한쪽의 구성만을 상세히 도시하였다. 각 링크계는 복수의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각 링크계는 앵글형상의 제1링크(110-1)와 직선형상의 링크(110-2)를 구비하고 있다. 제1링크(110-1)는 한쪽 단부(端部)가 링크 하우징(21)에, 타단부가 크로스헤드(crosshead; 105)에 추착(樞着)되게 된다. 제2링크(110-2)는 일단이 링크 하우징(21) 및 크로스헤드(105)에 대한 추착점 사이의 위치에서 제1링크(110-1)에 추착되고, 타단은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추착되어 있다.The
이 토글기구(109)의 제1링크에 추착된 크로스헤드(105)는 나사축(106)을 따라 화살표(A1 또는 A2)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토글기구(109)가 동작하여, 링크 하우징(21)과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접근 또는 이격시킨다.The
나사축(106)은 뒤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링크 하우징(21)에 설치된 서보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나사축(106)의 회전에 의해 이에 나사결합하는 크로스헤드(105)가 화살표(A1 또는 A2)방향으로 이동한다.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헤드(105)의 화살표(A2)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토글기구(109)가 작동하고,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는 링크 하우징(21)에 대해 이격하는 방향(형 폐쇄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금형(92)과 이동금형(52)의 형 폐쇄가 이루어지고, 더구나 크로스헤드(105)를 화살표(A2)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타이바아(95)에 장력이 작용해서 고정금형(92)과 이동금형(52)의 조임이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이동금형(52)과 고정금형(92)을 형체한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사출장치로 이동금형(52)과 고정금형(92)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부(空洞部)에 알루미늄합금 등의 금속 용탕을 사출로 충전하여 다이캐스트제품을 성형한다.In the state where the
한편, 다이캐스트제품을 성형하고 이동금형(52)을 개방해서 이 다이캐스트제품을 꺼내는 데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크로스헤드(105)의 화살표(A1)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이동 다이 플레이트(51)가 토글기구(109)의 링크(110)를 매개로 링크 하우징(21)에 대해 접근하는 방향(형 개방방향)으로 이동을 해서, 이동금형(52)이 고정금형(92)에 대해 개방이 된다. 이때, 뒤에 설명되는 압출기구에 의해 이동금형(52)에 있는 다이캐스트제품을 압출한다.On the other hand, in forming the die cast product and opening the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형체장치의 링크 하우징(21) 및 이동 다이 플레이트 주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링크 하우징(21)을 도 3에 도시된 화살표(C)방향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5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도 3의 화살표(D)방향에서 본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6은, 링크 하우징(21)을 도 3의 화살표(E)방향에서 본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round the
도 3에서, 링크 하우징(21)의 양쪽에는 형체용 서보모터(30)와, 다이 높이 조정용 모터(41)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또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형체용 서보모터(30)의 출력축에는 풀리(30a)가 고정되어 있으며, 다이 높이 조정용 모터(41)의 출력축에는 치차(42)가 고정되어 있다.In Fig. 3, a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링크 하우징(21)의 중심부에는 나사축(106)이 형 개폐방향(A1 및 A2)을 따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바, 이 나사축(106)의 후단부에는 풀리(106a)가 고정되어 있다. 이 풀리(106a)와 앞에서 설명된 형체용 서보모터(30)의 출력축에 고정된 풀리(30a)에는 치차가 형성된 벨트(31)가 감겨져 있어서, 형체용 서보모터(30)의 회전력이 나사축(106)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링크 하우징(21)의 배면쪽에는 나사축(106)과 동심으로 배치된 링 기어(43)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는바, 이 링 기어(43)는 상기 다이의 높이 조정용 모터(41)의 출력축에 고정된 치차(42)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On the rear side of the
링크 하우징(21)의 4개의 코너에는 외주에 치차가 형성되어, 타이바아(95)의 외주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타이바아 너트(46)가 회전이 자유롭게 보유지지되어 있고, 이들 타이바아 너트(46)는 각각 링 기어(43)에 맞물려져 있다.Gears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our corners of the
다이 높이 조정용 모터(41)의 회전력은, 치차(42) 및 링 기어(43)가 만나 타이바아 너트(46)에 전달됨으로써 링크 하우징(21)이 타이바아(95)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The rotational force of the die
한편, 이동금형(52)과 고정금형(92)이 접촉하고서, 이들 사이에 형체력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와 고정 다이 플레이트(91)와의 거리를 다이 높이라 부르는바, 이동금형(52) 및 고정금형(92)의 높이에 대응해서 링크 하우징(21)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이 다이 높이를 조정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between the
도 3에서, 나사축(106)에는 크로스헤드(105)가 나사결합되어 있는바, 이 크로스헤드(105)는 나사축(106)의 구동에 의해 형 개폐방향(A1 또는 A2)으로 이동한다.In FIG. 3, the
크로스헤드(105)의 양 측부(105a)에는, 링크 하우징(21)에 설치된 형 개폐방향(A1 또는 A2)을 따라 설치된 2개의 안내바아(23)가 끼워져 삽입되어 있다.Two guide bars 23 provided along the mold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A1 or A2 provided in the
이 안내바아(23)의 후단부는 링크 하우징(21)에 고정되어 있고, 선단부는 링크 하우징(21)에 형성된 형 개폐방향(A1 또는 A2)을 따라 연장된 지지부(2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The rear end of the
크로스헤드(105)의 상부 및 하부에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앞에서 설명된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와 링크 하우징(21)을 연결하는 토글기구(109)의 링크(110-1;도 1 및 도 2참조)와 연결되는 연결부(105b)가 형성되어 있다.At the top and bottom of the
나사축(106)의 선단과 크로스헤드(105) 사이에는 나사축(106)을 에워싸는 자유로이 신축되는 커버(26)가 설치되어 있어서, 나사축(106)에 금속 용탕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Between the tip of the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링크 하우징(21)의 지지부(22)의 선단 쪽에는 각각 고정용 부재(24)가 설치되어 있는바, 이들 고정용 부재(24)에는 형 개폐방향(A1 또는 A2)을 따라 삽입구멍(24a)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6, fixing
이들 고정용 부재(24)의 상부에는 에어 실린더(25)가 설치되어 있는바, 에어 실린더(25)는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의 1실시예이다.The
이들 에어 실린더(25)는, 내장된 피스톤 로드가 상기 고정용 부재(24)의 삽입구멍(24a)에 출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에어 실린더(25)는 피스톤 로드가 삽입구멍(24a)의 중심축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In these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는 이동금형(52)을 보유지지한 쪽의 반대쪽에 가동판(53)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가동판(53)은 본 발명의 가동부재의 1실시예이다.The
가동판(53)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본체부(51a)의 측면에 세워져 설치된 안내 로드(55)에 의해 형 개폐방향(A1 및 A2)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보유지지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5, the
가동판(53)의 한쪽 면에는 안내 로드(55)에 끼워지는 끼움부(53a)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끼움부(53a)가 안내 로드(55)에 끼워맞춰진다.A
안내 로드(55)의 선단부에는 2중너트로 이루어진 스토퍼(56)가 각각 고정되어 있어서, 이 스토퍼(56)에 의해 가동판(53)이 이탈하지 않게 된다.The
안내 로드(55)에는 가동판(53)과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대향면과의 사이에 코일스프링(60)이 삽입되어 있는바, 이 코일스프링(60)은 본 발명의 가압수단의 1실시예이다.The
코일스프링(60)은 가동판(53)을 형 개방방향(A1)을 향해 탄성적으로 밀어붙여, 가동판(53)이 이 가압력에 의해 형 개방방향(A1)의 이동한계위치인 스토퍼(56)에 닿는 위치로 유지된다. 즉, 이 스토퍼(56)에 닿는 위치가 가동판(53)의 정위치(定位置)이다.The
가동판(53)이 링크 하우징(21)에 대향하는 면에는 링크 하우징(21)의 지지부(22) 선단에 설치된 고정용 부재(24)의 삽입구멍(24a)에 삽입되는 훅(hook) 부재(58)가 고정용 부재(24)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다.On the surface where the
훅 부재(58)는 선단부에 상기 에어 실린더(25)의 피스톤 로드 선단부가 걸려지는 걸림용 오목부(59)가 형성되어 있다.The
또, 훅 부재(58)의 축부(軸部)에 형성된 플랜지 형상의 스토퍼부(58a)는, 훅 부재(58)의 선단부가 고정용 부재(24)의 삽입구멍(24a)에 삽입되었을 때 고정용 부재(24)에 대한 훅 부재(58)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flange-shaped
이동금형(52)에는 복수의 압출핀(63)이 이동금형(52)의 형의 내면에 대해 출몰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moving
그리고, 이들 압출핀(63)은 이동금형(52)의 배후에 배치된 압출판(68)에 연결되어 있다.These extruded pins 63 are connected to an extruded
압출판(68)은, 이동금형(52)의 배후에 고정된 안내핀(65)에 의해 형 개폐방향(A1 및 A2)으로 이동할 수 있게 보유지지되어 있다.The extruded
또, 압출판(68)과 이동금형(52) 사이에는 복수의 코일스프링(64)이 설치되어 있어서, 압출판(68)과 이동금형(52)을 이격시키는 방향의 힘을 작용시키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압출판(68)은,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내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연결로드(54)에 의해 가동판(53)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결로드(54)에 의해 가동판(53)과 압출판(68)이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가동판(53)과 압출핀(63)이 연결되어, 가동판(53)의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대한 상대이동에 연동해서 압출핀(63)이 이동금형(52)의 형의 내면에 대해 출몰하게 된다.The extruded
다음에는, 상기 구성의 형체장치(1)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도 1에 도시된 상태의 형체장치(1)는, 고정금형(92)과 이동금형(52)이 형체상태로 되어 있다.In the
이 상태에서, 형체용 서보모터(30)를 구동해서 나사축(106)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크로스헤드(105)를 형 개방방향(A1)으로 이동시킨다.In this state, the clamping
크로스헤드(105)를 형 개방방향(A1)으로 이동시키면, 앞에서 설명한 토글기구(109)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다이 플레이트(51)가 링크 하우징(21)을 향해 이동해서 고정금형(92)이 이동금형(52)에 대해 개방된다.When the
이때, 고정금형(92)과 이동금형(52)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부에서 성형된 다이캐스트제품(W)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금형(52)과 함께 이동한다.At this time, the die cast product W formed in the cavity formed by the
이동 다이 플레이트(51)가 소정의 형 개방위치인 형 개방한계위치(PA)까지 이동하면, 가동판(53)에 설치된 훅 부재(58)가 링크 하우징(21)에 설치된 고정용 부재(24)의 삽입구멍(24a)에 삽입된다. 따라서, 가동판(53)은 고정용 부재(24) 및 훅 부재(58)를 매개로 링크 하우징(21)과 연결되게 된다.When the moving
여기서, 도 9는, 가동판(53)이 링크 하우징(21)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도 9의 아래쪽 절반은 이동 다이 플레이트(51)가 형 개방한계위치(PA)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Here, FIG. 9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동판(53)에 설치된 훅 부재(58)가 고정용 부재(24)의 삽입구멍(24a)에 삽입되면, 에어 실린더(25)를 구동해서, 에어 실린더(25)의 피스톤 로드(25a)를 돌출시켜 훅 부재(58)의 걸림 오목부(59)에 걸려지도록 한다.As shown in FIG. 9, when the
이에 의해, 가동판(53)이 링크 하우징(21)에 잡혀 고정되어, 가동판(53)의 형 개폐방향(A1 및 A2)의 이동이 구속된다.Thereby, the
다음, 상기 상태로부터 크로스헤드(105)를 형 개방방향(A1)으로 더 이동시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형 개방한계위치(PA)로부터 형 개방방향(A1)의 압출위치(PB)까지 더 이동시킨다.Then, from the above state, the
도 9의 위쪽 절반은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형 개방한계위치(PA)로부터 형 개방방향(A1)의 압출위치(PB)까지 더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The upper half of FIG. 9 has shown the state which moved the moving
가동판(53)은 링크 하우징(21)에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 다이 플레이트(51)가 형 개방방향(A1)으로 더 이동하더라도 가동판(53)의 이동은 저지된다. 따라서,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와 가동판(53) 사이에는 형 개폐방향(A1 및 A2)에 대해 상대이동이 생기게 된다.Since the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와 가동판(53) 사이에 상대이동이 생겨나면 코일스프링(60)이 압축된다.As can be seen in FIG. 9, when relative movement occurs between the moving
또,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동판(53)의 형 개방방향(A1)의 이동만 저지되면, 이동금형(52)의 배후에 설치된 압출판(68)이 코일스프링(64)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이동금형(52)에 접근한다. 이렇게 압출판(68)이 이동금형(52)에 접근하면, 압출핀(63)이 이동금형(52)으로부터 돌출해서, 이동금형(52) 내의 다이캐스트제품(W)을 밀어내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when only the movement of the mold opening direction A1 of the
이에 따라, 다이캐스트제품(W)의 금형으로부터의 분리가 완료된다.As a result, separation of the die cast product W from the mold is completed.
이어, 앞에서 설명한 상태로부터 형체용 서보모터(30)의 회전방향을 역전시켜,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압출위치(PB)로부터 형 개방한계위치(PA)를 향해 이동시킨다. 이때, 가동판(53)은 링크 하우징(21)에 대해 구속된 채의 상태이다.Subsequently,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이동 다이 플레이트(51)가 형 개방한계위치(PA)로 이동하면,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되어, 가동판(53)이 안내 로드(55) 선단의 스토퍼(56)에 닿아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대한 정위치로 복귀한다. 또, 압출핀(63)은 이동금형(52)의 형 내면으로부터 확실하게 몰입(沒入)되고, 압축되어 있는 코일스프링(60)도 복원된다.When the moving
이 상태에서는, 가동판(53)이 링크 하우징(21)에 대해 구속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대해 정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는 형 폐쇄방향(A2)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In this state, since the
즉, 형 개방상태에서,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는 에어 실린더(25)에 의한 고정이 해제될 때까지 형 폐쇄방향(A2)으로 이동하지 않아, 형체용 서보모터(30)가 오작동을 하더라도 이동 다이 플레이트(51)가 형 폐쇄방향(A2)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at is, in the mold opening state, the moving
이 상태로부터 형체를 다시 실행하는 경우에는, 형체장치(1)의 제어장치에 대한 형체신호를 검지한 후에, 에어 실린더(25)를 구동해서 피스톤 로드(25a)를 훅 부재(59)에 대해 몰입시켜 가동판(53)의 고정동작을 해제한다.When the mold is re-executed from this state, after detecting the mold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형체장치(1)에 의하면, 압출용 액츄에이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형의 개방동작에 연계해서 이동금형(52)으로부터 다이캐스트제품의 압출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또, 본 실시예의 형체장치(1)에서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형 개방한계위치(PA)로 이동시키고, 다시 압출위치(PB)까지 이동시켜 이동금형(52)으로부터 다이캐스트제품의 압출을 실행한 후에, 다시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형 개방한계위치(PA)로 복귀시킬 때까지 가동판(53)의 구속을 유지하기 위해,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형 개방한계위치(PA)로 이동시켰을 때, 이동금형(52)의 형 내면으로부터 압출핀(63)을 확실하게 몰입시킬 수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압출동작을 실행한 압출핀(63)을 코일스프링(60)의 탄발력 의해 이동금형(52)에 몰입시키지 않고,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이동에 의해 실행하기 때문에, 코일스프링(60)에 금속 용탕이 고착된다거나 하는 등의 원인으로 코일스프링(60)이 적절하게 신축하지 않는 경우에도 확실하게 압출핀(63)을 정위치로 복귀시킬 수가 있다.In addition, in the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판(53)을 링크 하우징(21)에 구속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형 개방한계위치(PA)에 있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51)가 잘못해서 형 폐쇄방향(A2)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안전기구의 기능을 할 수가 있어서, 형 개방상태에 있는 이동금형(52) 및 고정금형(92)의 청소 등을 안전하고 확실하게 실행할 수가 있어, 이동금형(52) 및 고정금형(92)의 손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안전기구와 압출기구를 겸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을 더 간소화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is embodiment, the
한편,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앞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가동판(53)을 구속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로서 에어 실린더(25)를 이용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예컨대 유압실린더, 모터, 강력한 전자석과 같은 가동판(53)을 링크 하우징에 응답성이 좋게 구속할 수 있는 수단이면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또, 앞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가압수단의 1실시예로서 코일스프링의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 외에도, 예컨대 자석의 흡착력 또는 반발력을 이용하여 가동판(53)을 정위치를 향해 밀어붙이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또는 가동판(53)에 압축공기를 불어 정위치를 향해 밀어붙이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of the coil spring has been described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suriz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또,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클램프 고정력과 균형 등의 관점에서, 에어 실린더(25), 고정용 부재(24) 및 훅 부재(58)를 복수 개소에 설치하였으나, 단일로 하여도 된다. 그리고, 에어 실린더(25) 및 고정용 부재(24)를 링크 하우징(21)에 설치하고 가동판(53)에는 훅 부재(58)를 설치하였으나, 에어 실린더(25) 및 고정용 부재(24)를 가동판(53)에 설치하고 링크 하우징(21)에다 훅 부재(58)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형체장치의 링크 하우징 및 이동 다이 플레이트 주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round the link housing and the moving die plate of the mold clam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형체장치와 상기 설명된 제1실시예에 따른 형체장치가 다른 점은,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서의 일부 구성만이고, 다른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하게 되어 있는바,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mold clam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mold clam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only a part of the configuration in the moving
도 10에서, 링크 하우징(21)의 지지부(22)의 선단부에는, 앞에서 설명한 고정용 부재(24) 및 에어 실린더(25)가 설치되어 있는바, 이들이 본 발명의 제2구속수단을 구성하고 있다.In FIG. 10, the fixing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는 안내 로드(55)를 따라 가동판(53)이 형 개폐방향(A1 및 A2)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바, 도 10에서 가동판(53)은 스토퍼(56)에 닿은 정위치에 위치해 있다.The
이 가동판(53)의 링크 하우징(21) 쪽 면에는 복수의 훅 부재(20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훅 부재(201)의 선단부에는 에어 실린더(25)의 피스톤 로드(25a)가 걸려지는 걸림 오목부(20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훅 부재(201)는 제1실시예에서의 훅 부재(58)와 형상은 약간 다르지만 훅 부재(58)와 같은 기능을 한다.A plurality of
그리고, 가동판(53)의 양 측부에는 걸림부재(203)가 설치되어 있고, 이 걸림부재(203)의 외측면에는 걸림 오목부(203a)가 형성되어 있다.A locking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양 측부에는 정위치인 가동판(53)의 걸림부재(203)에 대향하는 위치에 에어 실린더(21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The
이 에어 실린더(210)에 내장된 피스톤 로드(211)의 선단부(211a)는 피스톤 로드(211)가 에어 실린더(210)로부터 신장됨으로써, 걸림부재(203)의 걸림 오목부(203a)에 끼워맞춰질 수 있게 되어 있다.The
이 피스톤 로드(211)의 선단부(211a)가 걸림부재(203)의 걸림 오목부(203a)에 걸려지면, 가동판(53)은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정위치로부터의 이동이 구속된다. 즉,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대해 형 개폐방향(A1 및 A2)의 이동이 될 수 없게 된다.When the
다음에는, 상기 구성의 형체장치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clamping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10에 도시된 상태의 형체장치는, 고정금형(92)과 이동금형(52)이 형체상태에 있고(도 1 및 도 8 참조, 도 10에는 도시하지 않음),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는 정위치에 있다.In the mold clamping device in the state shown in FIG. 10, the
이 상태에서는 에어 실린더(210)를 구동해서 피스톤 로드(211)를 돌출시켜,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대해 가동판(53)을 구속하도록 되어 있다.In this state, the
이 상태로부터,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형 개방방향(A1)으로 이동시키면,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다이 플레이트(51)가 형 개방한계위치(PA)까지 이동하게 되어 훅 부재(201)의 선단부가 클램핑 고정용 부재(24)의 삽입구멍(24a)에 삽입된다.From this state, 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moving
이 상태에서, 에어 실린더(25)를 동작시켜, 에어 실린더(25)의 피스톤 로드를 훅 부재(201)의 걸림 오목부(202)에 걸리게 해서 고정한다. 이에 따라, 가동판(53)은 링크 하우징(21)에 대해 구속된다.In this state, the
가동판(53)이 에어 실린더(25)에 의해 링크 하우징(21)에 구속된 다음,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에어 실린더(210)의 피스톤 로드(211)를 몰입시켜, 가동판(53)의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대한 구속을 해제한다. 이에 의해, 가동판(53)이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대해 상대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The
다음,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형 개방한계위치(PA)로부터 형 개방방향(A1)을 향해 더 이동시켜 압출위치(PB)까지 이동시킨다.Next, as shown in Fig. 13, the moving
이에 의해, 가동판(53)이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대해 형 폐쇄방향(A2)으로 상대이동해서, 압출핀에 의한 다이캐스트제품의 압출이 실행된다. 이 상태에서는, 가동판(53)은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정위치로부터 벗어난다.As a result, the
다이캐스트제품의 압출이 완료되면,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다시 형 개방한계위치(PA)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가동판(53)은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정위치로 복귀하고, 압출핀(63)은 이동금형(52)의 형의 내면으로부터 확실하게 몰입하게 된다(도 7 및 도 8 참조, 도 10에는 도시하지 않음). 그리하여, 에어 실린더(210)의 피스톤 로드(211)를 신장시켜 가동판(53)의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대한 구속을 재개한다.When the extrusion of the die cast product is completed, the moving
이 상태에서는, 가동판(53)은 링크 하우징(21)에 대해 구속되어 있으면서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대해 정위치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는 형 폐쇄방향(A2)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즉, 형체가 이루어지지 않은 형의 개방상태에서,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는 에어 실린더(25)에 의한 고정이 해제될 때까지 형 폐쇄방향(A2)으로 이동하지 않아, 형체용 서보모터(30)가 오작동하더라도 이동 다이 플레이트(51)가 형 폐쇄방향(A2)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since the
이 상태로부터 다시 형체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형체장치(1)의 제어장치에 대한 형체신호를 검지한 후에, 에어 실린더(25)를 구동해서 피스톤 로드(25a)를 훅 부재(58)에 대해 몰입시켜 고정을 해제한다.In the case of performing mold clamping again from this state, after detecting the mold clamping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이때, 에어 실린더(210)에 의한 가동판(53)의 고정은 해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동판(53)은 다음번의 압출동작 때까지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정위치에 확실하게 위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xing of the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동판(53)과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상대이동시 이외에는 에어 실린더(210)에 의해 가동판(53)을 항상 클램핑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압출핀(63)을 이동금형(52)의 형의 내면으로부터 확실하게 몰입시킬 수 있어(도 7 및 도 8 참조), 압출핀(63)의 위치를 정확히 관리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앞에서 설명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안전기구와 압출기구를 겸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afety mechanism and the extrusion mechanism can be us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can be simplified.
앞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액츄에이터로서 에어 실린더(25,210)를 이용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예컨대 유압실린더, 모터, 강력한 전자석 등 응답성이 비교적 우수한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또, 앞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에어 실린더(25,210)를 복수의 개소에 설치하였으나, 단일 개소에 설치하여도 된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더욱이, 앞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에어 실린더(25,210)를 별도로 설치하였으나,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들을 일체화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m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도 15a에서, 가동판(53)에는 양단으로부터 피스톤 로드(302)가 돌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에어 실린더(301)가 설치되어 있다.In Fig. 15A, the
또,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일부에는 에어 실린더(301)의 피스톤 로드(302)가 걸릴 수 있는 걸림 오목부(304)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art of the moving
한편, 링크 하우징(21)에는 에어 실린더(301)의 피스톤 로드(302)가 걸릴 수 있는 걸림 오목부(305a)가 형성된 걸림부재(305)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도 15a에 도시된 상태가 형체상태로 되도록 하면, 에어 실린더(301)에 의해 가동판(53)을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정위치에 고정할 수가 있다.If the state shown in FIG. 15A is made into a clamped state, the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도 1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형 개방한계위치까지 이동시키면, 에어 실린더(301)의 피스톤 로드(302)를 역방향으로 돌출시켜, 걸림부재(305)에 걸려지게 한다. 그에 의해, 가동판(53)이 링크 하우징(21)에 구속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가동판(53)의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대한 구속상태는 해제된다.When the moving
이와 같이, 가동판(53)의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정위치로부터의 이동의 구속과, 형 개방한계위치로 이동한 가동판(53)의 형 개폐방향의 이동의 구속을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되는 에어 실린더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생산비용의 절감을 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restraint of the movement from the fixed position of the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형체장치의 링크 하우징 및 이동 다이 플레이트 주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16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round the link housing and the moving die plate of the mold clam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에서 설명된 제1 및 제2실시예에서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형 개방한계위치(PA)까지 이동시키지 않으면 성형품의 압출동작을 실행할 수 없다. 예컨대 성형품이 얇은 경우 등에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형 개방한계위치(PA)까지 이동시키지 않아도 압출할 수가 있다. 또,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항상 형 개방한계위치(PA)까지 이동시키면, 싸이클 타임이 길어진다고 하는 불이익도 있게 된다.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xtrusion operation of the molded article cannot be performed unless the moving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항상 형 개방한계위치(PA)까지 이동시키지 않아도 압출동작이 가능한, 즉 가동판의 구속이 개시될 때의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In this embodiment, the extrusion operation is possible even when the moving
본 실시예에 따른 형체장치와 앞에서 설명된 제2실시예에 따른 형체장치는,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이고, 다른 점은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서의 일부 구성만으로서,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부분 및 기본적인 기능이 같은 구성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써서 설명한다.The mold clam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mold clam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have basically the same configuration, and the difference is only a part of the configuration in the moving
도 16에서, 링크 하우징(21)의 지지부(22) 선단부에는 앞에서 설명된 에어 실린더(25)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가동판(53)에는 복수의 훅 부재(201)가 형 개폐방향(A1 및 A2)으로 뻗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훅 부재(201)의 선단부에는 에어 실린더(25)의 피스톤 로드(25a)가 걸려지는 걸림 오목부(202)가 형성되어 있다. 훅 부재(201)는 제2실시예의 훅 부재(201)와 형상은 다르지만 같은 기능을 한다.In FIG. 16, the
복수의 에어 실린더(210)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슬라이더(250)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이 슬라이더(250)의 한쪽 단부에는 볼 나사(251)가 끼워져 있다. 이 볼 나사(251)는 일단부가 해제상태에 있고 타단부가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고정된 서보모터(252)의 회전축(252a)에 연결되어 있다. 볼 나사(251)는 형 개폐방향(A1 및 A2)을 따라 배치되고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A
슬라이더(250)의 타단 측에는 안내 로드(253)가 삽입되어 있다. 이 안내 로드(253)는 일단부가 해제상태에 있고, 타단부가 고정부재(254)에 의해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고정되어 있다. 안내 로드(253)는 형 개폐방향(A1 및 A2)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250)는 안내 로드(253)에 의해 형 개폐방향(A1 및 A2)을 따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The
슬라이더(250)는 상기 볼 나사(251) 및 안내 로드(253)를 따라 형 개폐방향(A1 및 A2)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서보모터(252)를 회전시키면, 서보모터(252)의 회전력이 직동력(直動力)으로 전환되어, 슬라이더(250)가 형 개폐방향(A1 및 A2)으로 이동한다. 서보모터(252)의 회전위치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슬라이더(250)의 형 개폐방향(A1 및 A2)의 위치를 정할 수 있다.The
도 16에서, 가동판(53)은 안내 로드(55)를 따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바, 이 가동판(53)에는 에어 실린더(210)의 피스톤 로드(211)의 선단부(211a)가 끼워맞춰지는 걸림 오목부(5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오목부(53a)는 제2실시예에서 설명된 걸림부재(203)의 걸림 오목부(203a)와 마찬가지 기능을 하게 된다.In FIG. 16, the
피스톤 로드(211)가 신장함으로써 가동판(53)의 걸림 오목부(53a)에 끼워맞춰지면, 가동판(53)은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정위치로부터의 이동이 구속된다. 즉,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대해 형 개폐방향(A1 및 A2)의 이동이 불가능해지게 된다.When the
가동판(53)의 구속위치는, 에어 실린더(210)의 형 개폐방향(A1 및 A2)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즉, 슬라이더(250)를 형 개폐방향(A1 및 A2)의 소정의 위치로 위치결정을 함으로써, 가동판(53)의 구속위치를 소정의 위치로 조정할 수가 있다.The restraint position of the
한편, 상기 슬라이더(250), 볼 나사(251), 서보모터(252) 및 안내 로드(253)는 본 발명의 위치조정기구를 구성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형체장치의 동작의 1예에 대해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Next,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mold clamp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and 18.
성형품의 압출동작을 개시하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위치를 앞에서 설명한 형 개방한계위치(PA)로부터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는,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로부터 형 개방방향(A1)을 향해 슬라이더(250)를 소정의 거리(La)만큼 이동시킨다. 한편, 가동판(53)은 에어 실린더(210)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 있다. 상기 거리(La)는 성형품의 압출동작이 개시되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위치의 변경량이다.When the position of the moving
슬라이더(250)를 소정 거리(La)만큼 이동시키면, 가동판(53)의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대한 위치가 변경된다.When the
도 17에서, 이동금형(52)과 고정금형(92)이 형이 폐쇄된 상태(도1 및 도 8 참조, 도 17에는 도시하지 않음)에서의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위치를 형 폐쇄위치(PC)로 하면, 성형품의 성형이 완료되면,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는 형의 폐쇄위치(PC)로부터 형 개방방향(A1)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In Fig. 17, the
다음,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는 형 개방한계위치(PA) 바로 앞의 압출동작 개시위치(PD)로 위치결정이 된다. 이 압출동작 개시위치(PD)는,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형 개방한계위치(PA)로부터 형 폐쇄방향(A2)쪽으로 거리(La)만큼 떨어진 위치이다.Next, as shown in FIG. 18, the moving
이동 다이 플레이트(51)가 압출동작 개시위치(PD)로 위치결정된 후, 에어 실린더(25)의 피스톤 로드(25a)가 신장되어, 피스톤 로드(25a)가 훅 부재(201)의 걸림 오목부(202)에 끼워맞춰진다.After the moving
피스톤 로드(25a)가 훅 부재(201)의 걸림 오목부(202)에 끼워맞춰진 후, 에어 실린더(210)의 피스톤 로드(211)가 짧아져, 가동판(53)의 에어 실린더(21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된다.After the
이 후의 동작은 상기 설명된 제2실시예와 완전히 같은바,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는 압출동작 개시위치(PD)로부터 형 개방방향(A1)으로 더 이동하게 되어 성형품의 압출이 실행된다.The subsequent operation is exactly the sam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moving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성형품의 압출동작을 개시하는 압출동작의 개시위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성형품의 압출동작마다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형의 폐쇄위치(PC)로부터 형 개방한계위치(PA)까지 이동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extrusion operation for starting the extrusion operation of the molded article can be changed, the mold opening is carried out from the closed position PC of the die by the moving
그 결과, 다이캐스트장치의 싸이클 타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cycle time of the die cast apparatus can be shortened.
또, 서보모터 등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제1구속수단으로서의 에어 실린더(21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제어장치에 금형의 규격을 입력하고 이 금형의 규격에 대응해서 압출동작의 개시위치를 자동조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한편, 본 실시예서는 제1구속수단으로서의 에어 실린더(210)의 위치를 액츄에이터에 의해 조정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예컨대 수동으로 에어 실린더(21)의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대한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기구를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형체장치의 링크 하우징 및 이동 다이 플레이트 주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19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round the link housing and the moving die plate of the mold clam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에서 설명된 제1 및 제2실시예에서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형 개방한계위치(PA)까지 이동시키지 않으면 성형품의 압출동작을 실행할 수 없다. 예컨대 성형품이 얇은 경우 등에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형 개방한계위치(PA)까지 이동시키지 않아도 압출할 수가 있다. 또,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항상 형 개방한계위치(PA)까지 이동시키면 싸이클 타임이 길어진다고 하는 불이익도 있게 된다.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xtrusion operation of the molded article cannot be performed unless the moving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항상 형 개방한계위치(PA)까지 이동시키지 않아도 압출동작이 가능한, 즉 가동판의 구속이 개시될 때의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In this embodiment, the extrusion operation is possible even when the moving
본 실시예에 따른 형체장치와 앞에서 설명된 제1실시예에 따른 형체장치는,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이고, 다른 점은 링크 하우징(21) 및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서의 일부의 구성만이고, 다른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부분 및 기본적인 기능이 같은 구성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The mold clam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mold clam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have basically the sam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a part of the
도 19에서, 링크 하우징(21) 쪽의 복수의 에어 실린더(25)는 링크 하우징(21)의 지지부(22)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슬라이더(250)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In FIG. 19, the plurality of
이 슬라이더(250)의 한쪽 단부 측에는 볼 나사(251)가 끼워져 있다. 이 볼 나사(251)는 일단부가 해제상태에 있고 타단부는 링크 하우징(21)에 고정된 서보모터(252)의 회전축(252a)에 연결되어 있다. 볼 나사(251)는 형 개폐방향(A1 및 A2)을 따라 배치되고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A
슬라이더(250)의 타단 측에는 안내 로드(253)가 삽입되어 있다. 이 안내 로드(253)는 일단부가 해제상태에 있고, 타단부는 고정부재(254)에 의해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고정되어 있다. 안내 로드(253)는 형 개폐방향(A1 및 A2)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250)가 안내 로드(253)에 의해 형 개폐방향(A1 및 A2)을 따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The
슬라이더(250)는 상기 볼 나사(251) 및 안내 로드(253)를 따라 형 개폐방향(A1 및 A2)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서보모터(252)를 회전시키면, 서보모터(252)의 회전력이 직동력으로 변환되어, 슬라이더(250)가 형 개폐방향(A1 및 A2)으로 이동하게 된다. 서보모터(252)의 회전위치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슬라이더(250)의 형 개폐방향(A1 및 A2)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도 19에서, 가동판(53)은 안내 로드(55)를 따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안내 로드(55)에는 가동판(53)과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대향면 사이에 코일스프링(60)이 삽입되어 있다.In FIG. 19, the
코일스프링(60)은 가동판(53)을 형 개방방향(A1)을 향해 탄성적으로 밀어붙이도록 되어 있는바, 가동판(53)이 이 가압력에 의해 형 개방방향(A1)의 이동한계위치인 스토퍼(56)에 닿는 위치에 보유지지된다. 즉, 이 스토퍼(56)에 닿은 위치가 가동판(53)의 정위치가 된다.The
가동판(53)에는 복수의 훅 부재(58)가 형 개폐방향(A1 및 A2)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 훅 부재(58)의 선단부에는 에어 실린더(25)의 피스톤 로드(25a)가 걸려지는 걸림 오목부(59)가 형성되어 있다. 훅 부재(58)는 제1실시예의 훅 부재(58)와 형상은 다르지만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A plurality of
또, 훅 부재(58)는 축부(軸部)에 나사부(58a)를 구비하고 있어서, 이 나사부(58a)가 가동판(53)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됨으로써 가동판(53)에 고정되게 된다.Moreover, the
따라서, 훅 부재(58)를 회전시킴으로써 훅 부재(58)가 가동판(53)에 대해 위치조정이 가능해지도록 되어 있다. 즉, 훅 부재(58)를 회전시킴으로써 걸림 오목부(59)의 가동판(53)에 대한 형 개폐방향(A1 및 A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refore, the rotation of the
한편, 상기 슬라이더(250), 볼 나사(251), 서보모터(252) 및 안내 로드(253)는 본 발명의 위치조정기구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훅 부재(58)에 형성된 나사부(58a) 및 가동판(53)에 형성된 나사부(58a)가 나사결합하게 되는 나사구멍이 본 발명의 위치조정기구를 구성하고 있다.The screw hole in which the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형체장치의 동작의 1예에 관해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Next,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mold clamp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 and 21.
성형품의 압출동작이 개시되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위치를 앞에서 설명한 형 개방한계위치(PA)로부터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는,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라이더(250)를 링크 하우징(21)으로부터 형 폐쇄방향(A2)을 향해 소정 거리(La)만큼 이동시킨다. 이 거리(La)는 성형품의 압출동작을 개시토록 하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위치의 변경량이다.In the case where it is desir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moving
슬라이더(250)를 거리(La)만큼 이동시키면, 에어 실린더(53)의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대한 위치가 변경된다.When the
도 20에서, 이동금형(52)과 고정금형(92)이 형 폐쇄상태(도 1 및 도 8 참조, 도 20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에서의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의 위치를 형의 폐쇄위치(PC)로 하면, 성형품의 성형이 완료되면,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는 형의 폐쇄위치(PC)로부터 형 개방방향(A1)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In Fig. 20, the
이어,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는 형 개방한계위치(PA) 바로 앞의 압출동작 개시위치(PD)로 위치결정된다. 이 압출동작 개시위치(PD)는,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형 개방한계위치(PA)로부터 거리(La)만큼 형 폐쇄방향(A2) 쪽으로 나아간 위치이다.Then, as shown in FIG. 21, the moving
이동 다이 플레이트(51)가 압출동작 개시위치(PD)에 위치결정된 후, 에어 실린더(25)의 피스톤 로드(25a)가 신장되어, 피스톤 로드(25a)가 훅 부재(58)의 걸림 오목부(59)에 끼워맞춰지게 된다. 이에 의해, 가동판(53)의 이동이 구속되게 된다.After the moving
이 후의 동작은 앞에서 설명된 제1실시예와 완전히 마찬가지로서, 이동 다이 플레이트(51)가 압출동작 개시위치(PD)로부터 형 개방방향(A1)으로 더 이동하게 되어, 성형품의 압출이 실행될 수 있게 된다.The subsequent operation is completely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hereby the moving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성형품의 압출동작을 개시하는 압출동작의 개시위치를 변경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이동 다이 플레이트(51)를 성형품의 압출동작마다 형의 폐쇄위치(PC)로부터 형 개방한계위치(PA)까지 이동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extrusion operation for starting the extrusion operation of the molded article can be changed, the
그 결과, 다이캐스트장치의 싸이클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cycle time of the die cast apparatus can be shortened.
또, 서보모터 등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속수단으로서의 에어 실린더(25)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제어장치에 금형의 규격을 입력하고 이 금형의 규격에 대응해서 압출동작의 개시위치를 자동조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또, 본 실시예에서는 링크 하우징(21) 쪽의 에어 실린더(25)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만의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훅 부재(58)를 회전시켜 가동판(53)에 대한 위치조정을 실행함으로써 압출동작 개시위치(PD)를 조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only the case where the position of the
또, 훅 부재(58) 및 에어 실린더(25) 양쪽의 위치조정을 실행함으로써 압출동작 개시위치(PD)의 조정범위를 확대할 수가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both the
그리고, 에어 실린더(25)의 위치조정을 실행하지 않고, 훅 부재(58)만 위치조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에어 실린더(25)는 제1 또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링크 하우징 측에 고정되게 되어, 상기 슬라이더(250), 볼 나사(251), 서보모터(252) 및 안내 로드(253)는 생략할 수 있다.And it is also possible to set it as the structure which only adjusts the
한편, 본 실시예서는 구속수단으로서의 에어 실린더(25)의 위치를 액츄에이터에 의해 조정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예컨대 수동으로 에어 실린더(25)의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대한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기구를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또,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스프링(60)에 의해 가동판(53)을 형 개방방향(A1)을 향해 탄성적으로 밀어붙임으로써 소정의 위치에 가동판(53)을 보유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구속수단으로서 에어 실린더(210)를 설치해서, 가동판(53)을 이동 다이 플레이트(51)에 대해 소정의 위치로 구속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또, 앞에서 설명된 각 실시예의 형체장치는, 다이캐스트장치의 형체에 적용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형체장치는 다이캐스트장치만이 아니라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등의 다른 성형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mold clamping apparatus of each embodiment described above was applied to the mold of the die cast apparatus, the mold clamp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die cast apparatus but also to other molding apparatus such as a plastic injection molding machine. have.
또, 상기 설명된 형체장치는 이동 다이 플레이트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로서 토글기구를 이용한 것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직압식의 형체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Moreover, although the above-mentioned clamping apparatus demonstrated using a toggle mechanism as a drive mechanism which drives a moving die plate,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also to a clamping apparatus of a direct pressure type | mold.
본 발명의 형체장치에 의하면, 금형의 개폐동작에 연계해서 압출핀을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ld clamp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usion pin can be reliably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mold.
또, 본 발명의 형체장치에 의하면, 형체장치의 구성을 보다 더 간소화할 수 있어 제작비용을 줄일 수가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e mold clamping apparatus of this invention, the structure of a mold clamping apparatus can be further simplified,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Claims (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1-00209749 | 2001-07-10 | ||
JPJP-P-2001-00209750 | 2001-07-10 | ||
JP2001209750A JP4808339B2 (en) | 2001-07-10 | 2001-07-10 | Clamping device |
JP2001209749A JP3771818B2 (en) | 2001-07-10 | 2001-07-10 | Clamp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07082A KR20030007082A (en) | 2003-01-23 |
KR100813636B1 true KR100813636B1 (en) | 2008-03-14 |
Family
ID=32314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39697A KR100813636B1 (en) | 2001-07-10 | 2002-07-09 | Device for clamping a die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2) | JP3771818B2 (en) |
KR (1) | KR100813636B1 (en) |
TW (1) | TW558491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134776B1 (en) * | 2015-12-23 | 2017-05-24 | 美濃工業栃木株式会社 | Die casting mold |
WO2018181353A1 (en) * | 2017-03-27 | 2018-10-04 |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 Injection molding machine |
KR101946240B1 (en) * | 2017-12-05 | 2019-05-20 | (주)은광기전 | Common use for refrigerator case |
JP6709875B1 (en) | 2019-06-28 | 2020-06-17 | 芝浦機械株式会社 | Molding machine |
JP7480034B2 (en) * | 2020-12-28 | 2024-05-09 |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 Injection molding machine |
JP7490552B2 (en) * | 2020-12-28 | 2024-05-27 |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 Injection molding machine |
CN114054726A (en) * | 2021-11-04 | 2022-02-18 | 孙家瑞 | Mechanical die-closing casting machine |
CN115107233B (en) * | 2022-08-06 | 2023-10-10 | 江苏索亚建筑装饰新材料有限公司 | Fast-assembling working of plastics injection mol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6559U (en) * | 1979-06-29 | 1981-01-21 | ||
JPH0496320U (en) * | 1991-01-25 | 1992-08-20 | ||
JPH08258092A (en) * | 1995-03-22 | 1996-10-08 | Mazda Motor Corp | Injection molding apparatus |
JP4002416B2 (en) * | 2001-10-04 | 2007-10-31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Elevator safety driv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248615A (en) * | 1986-04-22 | 1987-10-29 | Toyo Mach & Metal Co Ltd | Injection molding machine |
JPH06104330B2 (en) * | 1986-11-05 | 1994-12-21 | フアナツク株式会社 | Product ejection device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
JP2001001122A (en) * | 1999-04-21 | 2001-01-09 | Kobe Steel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on-forming light alloy |
-
2001
- 2001-07-10 JP JP2001209749A patent/JP3771818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07-10 JP JP2001209750A patent/JP4808339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
- 2002-07-02 TW TW091114591A patent/TW558491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7-09 KR KR1020020039697A patent/KR10081363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6559U (en) * | 1979-06-29 | 1981-01-21 | ||
JPH0496320U (en) * | 1991-01-25 | 1992-08-20 | ||
JPH08258092A (en) * | 1995-03-22 | 1996-10-08 | Mazda Motor Corp | Injection molding apparatus |
JP4002416B2 (en) * | 2001-10-04 | 2007-10-31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Elevator safety driv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3025056A (en) | 2003-01-28 |
TW558491B (en) | 2003-10-21 |
KR20030007082A (en) | 2003-01-23 |
JP2003025057A (en) | 2003-01-28 |
JP4808339B2 (en) | 2011-11-02 |
JP3771818B2 (en) | 2006-04-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598259B2 (en) | Mold clamping device | |
KR100813636B1 (en) | Device for clamping a die | |
KR101147954B1 (en) | A mold clamping device | |
KR100712751B1 (en) | Clamping machine | |
EP3192638B1 (en) | Device for demoulding parts and mould comprising said device | |
US6062843A (en) | Motor control apparatus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 |
CN112277246A (en) | Insert injection mold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thereof | |
JP4273401B2 (en) | Injection mold | |
JP2001260188A (en) | Product ejecting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 |
US20250001490A1 (en) | Die locking system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 |
JP2006027229A (en) | Shaping apparatus | |
CN114801028B (en) | Injection molding machine | |
JP3354701B2 (en) | Injection mold equipment | |
JPH081740A (en) | Toggle type mold clamping device and mold clamping method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 |
JP3945207B2 (en) | Injection molding equipment | |
JP2596262B2 (en) | Push-up mechanism of molding die | |
EP0896872A1 (en) | Electric vertical injection molding machine provided with product extruding means | |
JP3697546B2 (en) | Link-type oblique punching slide structure in injection mold | |
JP4866744B2 (en) | Injection molding machine | |
JP2010052322A (en) | Injection molding machine | |
JPH09314616A (en) | Molded article ejecting device and molded article | |
JPH09193173A (en) | Mold assembly | |
JPH09109198A (en) | Mold for injection molding | |
JP3352351B2 (en) | Injection molding machine | |
JPH07214567A (en) | Molds clamp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7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07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