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12646B1 -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방법 - Google Patents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646B1
KR100812646B1 KR1020070043159A KR20070043159A KR100812646B1 KR 100812646 B1 KR100812646 B1 KR 100812646B1 KR 1020070043159 A KR1020070043159 A KR 1020070043159A KR 20070043159 A KR20070043159 A KR 20070043159A KR 100812646 B1 KR100812646 B1 KR 100812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ractant
ants
oil
cockroaches
repell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하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43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6Rutaceae [Rue family], e.g. lime, orange, lemon, corktree or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a foodstuff as carrier or diluent, i.e. baits
    • A01N25/00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a foodstuff as carrier or diluent, i.e. baits insecticid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8Vapour or smoke emitting compositions with delayed or sustain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3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41,3-Diazines; Hydrogenated 1,3-diaz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61,2-Diazoles; Hydrogenated 1,2-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81,2-Diazines; Hydrogenated 1,2-diaz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4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s, e.g. biuret; Thio analogues thereof; Urea-aldehyde condensation produ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Zo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방법은, 지효성 살충성분, 부형제, 유인향을 혼합하여 유인 독이제를 제조하는 제1공정, 그레이프후르트 오일(grapefruit oil), 레몬 오일(lemon oil), 라임 오일(lime oil), 오렌지 오일(orange oil) 중 1 종 내지 4 종을 선택하여 방향 기피제를 준비하는 제2공정, 살충하려는 바퀴벌레 또는 개미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을 대상으로 하여, 실내의 한쪽에 제1공정에서 제조한 유인 독이제를 배치하고 다른 쪽에 제2공정에서 제조한 방향 기피제를 배치하여 동시에 처리하는 제3공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유인 독이제와 방향 기피제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바퀴벌레 및 개미에 대해 높은 살충력을 나타냄과 동시에 미관상으로도 사용자에게 사용 선호감을 높여주는 살충방법이 제공된다.
바퀴벌레, 개미, 살충제, 독이제, 기피제

Description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방법{THE INSECTICIDAL METHOD FOR COCKROACHES AND ANTS}
도 1은 식물정유의 기피력 테스트를 위한 실험장치.
도 2는 20 종의 식물정유에 대한 독일바퀴의 기피력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식물정유 중 시트러스 (Citrus spp.) 4 종에 대한 애집개미의 기피력을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퀴벌레는 기관지 천식,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알레르기 질환에 원인이 되는 해충으로서, 바퀴벌레의 배설물 및 탈피성분 등 미세한 입자가 알레르기 체질인 사람의 피부, 기관지 또는 비강점막에 접촉하여 질병을 유발시킨다.
간접적인 피해로는 세균, 바이러스, 각종 기생충 등 많은 병원체를 매개하여 전염병을 유발시키기도 하나 무엇보다도 사람에게 심한 혐오감을 주는 대표적인 위 생해충이다.
바퀴벌레는 집합페로몬을 이용하여 군서 생활을 하며, 야행성 해충으로 주거공간 내에서 한 마리를 발견할 경우 보이지 않는 곳에는 50 내지 100 마리 이상의 바퀴벌레가 숨어있다고 할 수 있다.
이들 바퀴벌레는 습기가 많고 먹이가 풍부한 주방 근처가 대표적인 서식 장소이며, 먹이를 먹은 바퀴벌레는 서식처로 돌아가 토한 먹이를 다른 바퀴에게 나누어주는 습성이 있다.
이때, 소화기관을 거쳐 변과 함께 배설될 때 병원체를 전파하게 된다.
즉, 바퀴벌레는 30 년 전만 해도 가정 내에서 흔히 볼 수 없었으나 생활양식이 달라지고, 특히 겨울동안의 난방장치가 잘 갖추어지면서 도시에서의 호텔, 여관, 음식점, 아파트 등에서 주로 서식하는 위생해충이 되었다.
국내에서 가장 일반적인 바퀴벌레는 독일바퀴(Blattella germanica)로 전국적으로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그 외에 먹바퀴(Periplanata fuliginosa), 일본바퀴(Blatta orientalis), 그리고 이질바퀴(Periplanata americana) 등이 분포되어 있다.
개미는 대표적인 사회성 곤충으로서 우리나라 위생해충으로 문제가 되는 개미로는 애집개미(Monomorium pharaonis), 곰개미(Formica japonica), 일본 왕개미(Camponotus Japonicus), 불개미(Formica Yessensis)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주거공간에 나타나는 개미는 일개미로서 경고페로몬(alarm pheromone), 길잡이 페로몬(trail pheromone) 등을 이용하여 동종 간에 화학적인 신호전달을 한다.
이들 개미는 잡식성으로 집안에 음식물 쓰레기나 부스러기 등을 찾아 건물 틈을 통해 침입을 하며, 사람이 취식하지 않는 음식물과 접촉을 통하여 음식물을 오염시킴으로서 병원균을 매개하기도 한다.
특히, 사람과 애완동물을 물어 통증을 유발시키기도 하는데, 개미의 독은 민감성이나 연약한 아기 피부의 경우에 발진이나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켜 심각한 문제가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주거공간 내에서 위생해충인 바퀴벌레와 개미를 방제하기 위하여 현재 에어로졸 살충제, 설치식 독이제, 연무식 훈연제, 분필형 접촉 살충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살충제는 눈에 보이는 해충만을 살충시킬 뿐이며, 연무식 훈연제는 일정 공간 내 해충을 한번에 살충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보이지 않는 곳이나 틈새의 바퀴벌레는 살충시키기 어려우며, 틈이나 구멍을 통하여 살포된 공간 깊숙한 곳으로부터 길잡이 페로몬을 통하여 이동하는 개미는 더욱 더 박멸하기 어렵다.
분필형 접촉 살충제는 라인을 그려줌으로서 단지 공간 내로 진입하는 바퀴벌레 또는 개미를 막을 뿐이며, 제형의 특징상 주거공간 내 적용시 깨끗하지 못하고 어린 아기가 접촉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바퀴벌레 및 개미를 방제하기 위한 시중 제품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맣이 쓰이는 제형은 설치식 독이제이며, 살충성분으로는 일반적으로 아미디노히드라존계(amidinohydrazone) 살충제인 히드라메칠논(hydramethylnon), 유기인 계(organophosphate) 살충제인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 카바마이트계(carbamate) 살충제인 프로폭설(propoxur), 페닐피라졸계(phenylpyrazole) 살충제인 피프로닐(fipronil), 그리고 붕산(boric acid)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여러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89952호(바퀴벌레 살충제 조성물)에는, 바퀴벌레 살충제 조성물로 히드라메칠논과 프로폴솔을 1:1.5 내지 1.5:1의 비율로 조성물 총 중량당 1 ~ 3 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살충력을 높이며 신속한 살충조성물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61086호(수소이온농도인지 분해성바퀴벌레 유인독이제용 살충성 마이크로캡슐제조조성물)에는, 바퀴벌레 유인 독이제를 마이크로캡슐의 소수성 심재료, 벽재료로 캡슐화하여 바퀴벌레의 소화기관 내 수소이온농도의 환경변화에 따라 분해되게 함으로서 독성 발현기간을 연장시켜서 토한 먹이를 재섭취 시 연쇄살충효과를 발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8139호(모기, 개미, 진드기, 바퀴벌레 및 저장물 해충에 대한 살충성 조성물)에는, 다양한 식물오일을 이용하여 모기, 개미, 진드기, 바퀴벌레에 대한 살충효과 나타내는 살충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08582호(바퀴벌레 및 개미용 살충제 조성물 및 살충제의 제조방법)에는, 붕산을 살충성분으로 감자 및 옻나무 성분을 이용한 살충제 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살충성분으로 제조되는 독이제형 살충제는 대부분 성분 내에 유인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얼마나 높은 유인력을 지닌 유인성분를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살충효과가 좌우된다.
특히, 이들 살충제는 속효성과 지효성 살충제로 나뉘어지는데, 속효성 살충제의 경우, 바퀴벌레나 개미가 독이제를 섭취했을 때 빠른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효과가 있으나 동종에게 신호를 보내어 섭식율이 떨어지게 단점이 있으며, 특히 사회성 곤충인 개미의 경우 속효성 살충성분을 이용하여 독이제를 만들 시 그 효과는 매우 미비하게 나타난다.
또한, 지효성 살충성분과 유인성분을 혼합하여 독이제을 만든다고 하여도 특정 공간내 많은 개수의 독이제를 처리하여야 유인제의 유인력이 발휘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와 같이 설치식 독이제를 주거공간 내 적당한 간격으로 처리 시 미관상좋지 않은 점과 함께 어린아이의 손에 닿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인 독이제와 방향 기피제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바퀴벌레 및 개미에 대해 높은 살충력을 나타내는 살충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전자전달계 작용을 억제시키는 지효성 살충성분을 이용하여 살충작용이 서서히 나타나는 유인 독이제와 해충이 싫어하는 기피성분으로 인해 곤충이 지니는 신호전달물질을 교란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방향 기피제를 동시에 사용하여 뛰어난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살충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강력한 살충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미관상으로도 사용자에게 사용 선호감을 높여주는 살충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방법은, 지효성 살충성분, 부형제, 유인향을 혼합하여 유인 독이제를 제조하는 제1공정, 그레이프후르트 오일(grapefruit oil), 레몬 오일(lemon oil), 라임 오일(lime oil), 오렌지 오일(orange oil) 중 1 종 내지 4 종을 선택하여 방향 기피제를 준비하는 제2공정, 살충하려는 바퀴벌레 또는 개미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을 대상으로 하여, 실내의 한쪽에 제1공정에서 제조한 유인 독이제를 배치하고 다른 쪽에 제2공정에서 제조한 방향 기피제를 배치하여 동시에 처리하는 제3공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한 유인 독이제는 바퀴나 개미를 먹이로 유인하여 살충하는 물질로서, 먹이내에 살충제가 함유되어 있어 바퀴나 개미가 먹이를 섭취함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살충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살충제로는 속효성과 지효성 살충제로 나뉘어지는데, 속효성 살충제의 경우, 바퀴벌레나 개미가 독이제를 섭취했을 때 빠른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효과가 있으나 동종에게 신호를 보내어 섭식율이 떨어지게 단점이 있으며, 특히 사회성 곤충인 개미의 경우 속효성 살충성분을 이용하여 독이제를 만들 시 그 효과는 매우 미비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지효성 살충성분과 유인성분을 혼합하여 독이제을 만든다고 하여도 특정 공간내 많은 개수의 독이제를 처리하여야 유인제의 유인력이 발휘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와 같이 설치식 독이제를 주거공간 내 적당한 간격으로 처리 시 미관상좋지 않은 점과 함께 어린아이의 손에 닿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살충효과가 높은 살충방법을 알아내기 위해, 수차례 연구한 결과, 지효성 살충성분, 부형제, 유인향을 혼합하여 유인 독이제를 제조하고, 방향 기피제로 그레이프후르트 오일(grapefruit oil), 레몬 오일(lemon oil), 라임 오일(lime oil), 오렌지 오일(orange oil) 중 1 종 내지 4 종을 선택한 후, 살충하려는 실내의 한쪽에 유인 독이제를 배치하고 다른 쪽에 방향 기피제를 배치하여 동시에 처리할 시, 바퀴나 개미에 대해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미관상으로도 사용자에게 사용 선호감을 높여주는 살충방법을 알아낸 것이다.
여기서, 방향 기피제는 해충이 싫어하는 기피성분의 작용을 나타냄과 동시에 곤충이 지니는 신호전달물질을 교란시키는 기능을 하는 물질로서, 이를 통해 바퀴나 개미에 대해 더욱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방법>
1. 1공정 : 유인 독이제 제조
지효성 살충성분, 부형제, 유인향을 혼합하여 유인 독이제를 제조한다.
이때, 지효성 살충성분은 유인 독이제 전체중량대비 1 ~ 5 중량 %, 부형제는 유인 독이제 전체 중량대비 90 ~ 97 중량 %, 유인향은 유인 독이제 전체 중량대비 1 ~ 4 중량 %로 혼합하여 유인 독이제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효성 살충성분으로는 클로르페나피르(chlorfenapyr), 펜피록시메이트(fenpyroximate), 피리다벤(pyridaben), 로테논(rotenone), 테부펜피래드(tebufenpyrad), 하이드라메칠논(hydramethylnon), 루펜누론(lufenuron)중 선택된 1 종을 사용한다.
부형제는 먹이를 먹기 쉽게 하거나 일정한 형태를 만들기 위하여 첨가하는 물질로서, 물엿, 옥수수가루, 보릿가루 등 바퀴벌레 및 개미가 섭취하는 먹이는 모두 사용가능하다.
2. 2공정 : 방향 기피제 선별
방향 기피제로 그레이프후르트 오일(grapefruit oil), 레몬 오일(lemon oil), 라임 오일(lime oil), 오렌지 오일(orange oil) 중 1 종 내지 4 종을 선택한다.
이때, 방향 기피제로 2 종이상을 선택할 시, 서로 같은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향 기피제의 제형은 젤형 또는 전기 발향기형으로 제조하여 사용한다.
젤형으로 제조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Carboxymethyl cellulose) 성분으로 만들어진 비드(bead) 4 g당 정제수를 120 g을 투입한 후, 비드가 정제수를 모두 흡수하게 하고, 등유 계열의 용제에 그레이프후르트 오일(grapefruit oil), 레몬 오일(lemon oil), 라임 오일(lime oil), 오렌지 오일(orange oil) 중 선택된 1 종 내지 4종을 용제 중량 대비 10 %로 처리한 후, 이 식물정유가 용해된 용제를 앞서 준비한 비드가 든 용기에 섞어서 젤형 방향 기피제를 제조한다.
이때, 식물정유의 사용범위는 0.5 ~ 80.0 중량 %가 가능하며, 0.5 중량 % 이하는 효과가 없고, 또한 80.0 중량% 이상은 젤형으로 제형화가 어렵기 때문이다.
전기 발향기형으로 제조시에는, 일반 전기방향제의 발향기를 이용하게 되며,이때, 액병의 내용물은 마찬가지로 그레이프후르트(grapefruit), 레몬(lemon), 라임(lime), 오렌지(orange) 중 선택된 1종 내지 4종을 등유 계열의 용제에 용제 대비 10 중량 %로 처리하여, 전기 발향기형 방향 기피제를 제조한다.
이때, 기피효과가 있는 오일의 휘산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발향기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초기끓는점의 온도가 다른 용제를 선정, 배합비율을 달리할 수 있으며, 발향기의 온도조절 장치를 이용해서도 가능하다.
식물정유의 함량은 0.5 ~ 100 중량%가 가능하며, 0.5 중량% 이하는 기피효과가 없으며, 100 중량%는 기타 성분 없이 식물정유만으로도 전기 발향제를 이용하여 휘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3. 3공정 :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방법
살충하려는 바퀴벌레 또는 개미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을 대상으로 하여, 실내의 한쪽에 제1공정에서 제조한 유인 독이제를 배치하고 다른 쪽에 제2공정에서 제조한 방향 기피제를 배치하여 동시에 처리하여 바퀴벌레 및 개미를 살충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방법에 대하여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바퀴벌레 및 개미 살충시 이용할 본 발명의 유인 독이제와 방향 기피제 제조 1
지효성 살충성분으로 아미디노히드라존계의 히드라메칠논(hydramethylnon)을 준비하였다.
부형제로는 물엿, 보릿가루, 옥수수전분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유인향은 Attractant AC-631 (Riken 향료)을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지효성 살충성분 1 g, 물엿 27 g, 보릿가루 35 g, 옥수수전분 35 g, 유인향 2 g을 용기에 넣고 혼합하여 유인 독이제 100 g을 제조하였다.
방향 기피제는 아래와 같이 젤형으로 제조하여 준비해두었다.
즉,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Carboxymethyl cellulose) 성분으로 만들어진 비드(bead) 4 g에 정제수를 120 g을 투입한 후, 비드가 정제수를 모두 흡수하게 하였다.
등유 계열의 아이소파 에이치(Isopar-H) 용제에 그레이프후르트 오일(grapefruit oil)을 용제 중량 대비 10 %로 녹였다.
식물정유인 그레이프후르트 오일이 용해된 용제를 비드가 든 용기에 섞어서 비드 형태의 젤형 방향 기피제를 제조하여 준비하였다.
<실시예 2> 바퀴벌레 및 개미 살충시 이용할 본 발명의 유인 독이제와 방향 기피제 제조 2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인 독이제와 젤형 방향 기피제를 제조하되, 유인 독이제 제조시 지효성 살충성분으로 아미디노히드라존계의 히드라메칠논(hydramethylnon) 대신 벤조일우리아계 루펜누론(lufenuron)을 사용하여 제조된 유인 독이제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3> 바퀴벌레 및 개미 살충시 이용할 본 발명의 유인 독이제와 방향 기피제 제조 3
지효성 살충성분으로 아미디노히드라존계의 히드라메칠논(hydramethylnon)을 준비하고, 부형제로 물엿, 보릿가루, 옥수수전분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유인향은 Attractant AC-631 (Riken 향료)을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지효성 살충성분 1 g, 물엿 27 g, 보릿가루 35 g, 옥수수전분 35 g, 유인향 2 g을 용기에 넣고 혼합하여 유인 독이제 100 g을 제조하였다.
방향 기피제는 전기 발향기형으로 아래와 같이 제조하여 준비해두었다.
즉, 전기 발향기형 방향 기피제의 휘산기는 일반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전기방향제의 발향기를 이용하였으며, 이때 발향기의 온도는 140 ℃였다.
기피제로서 그레이프푸르트 오일과 라임 오일을 이용하였으며, 휘산 용제는 Exxon사의 Isopar 계열의 등유를 사용하였으며, 초기끓는점(Initial boiling point)이 178 ℃인 Isopar H와 273℃인 Isopar V를 60:40으로 혼합한 후, 등유 용제 중량대비 10 중량%의 혼합오일(그레이프푸르트과 라임 오일이 1 : 1 비율로 혼합됨)을 등유 용제에 녹여 심지(wick)가 달린 액병에 담아 제조된 전기 발향기형 방향 기피제를 준비하였다.
<비교예 1> 유인 독이제만 제조 1
속효성 살충성분으로 유기인계의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을 준비하고, 부형제로 물엿, 보릿가루, 옥수수전분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유인향은 Attractant AC-631 (Riken 향료)을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속효성 살충성분 1 g, 물엿 27 g, 보릿가루 35 g, 옥수수전분 35 g, 유인향 2 g을 용기에 넣고 혼합하여 유인 독이제 100 g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유인 독이제만 제조 2
비교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인 독이제를 제조하되, 속효성 살충성분 대신 지효성 살충성분인 아미디노히드라존계의 히드라메칠논(hydramethylnon)을 사용하여 유인 독이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유인 독이제와 방향 기피제 제조 1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인 독이제와 방향 기피제 제조하되, 지효성 살충성분 대신, 속효성 살충성분인 유기인계의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유인 독이제와 방향 기피제 제조 2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인 독이제와 방향 기피제 제조하되, 지효성 살충성분 대신 속효성 살충성분인 카바메이트계의 프로폭설(propoxur)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유인 독이제와 방향 기피제 제조 3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유인 독이제와 방향 기피제 제조하되, 지효성 살충성분 대신, 속효성 살충성분인 유기인계의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바퀴벌레 및 개미에 대해 기피력이 우수한 식물정유의 선별
1. 실험재료
본 발명에서는 바퀴벌레 및 개미에 대하여 기피효과가 있으면서 주거공간 내 방향제와 같이 향 선호도가 높은 성분을 선별하기 위하여 아래의 <표 1>과 같이 20종의 식물정유에 대한 바퀴벌레 및 개미의 기피력을 평가하였다.
<표 1> 20 종의 식물정유
식물정유명 학명 과명 구입처
caraway seed Carum carvi Umbelliferae JinArome (USA)
chamomile Anthemis nobilis Compositae JinArome (USA)
clary sage Salvia sclarea Labiatae JinArome (USA)
clove leaf Eugenia caryophyllata Oleaceae JinArome (USA)
coriander Coriandrum sativum Umbelliferae JinArome (USA)
eucalyptus Eucalyptus globulus Myrtaceae JinArome (USA)
grapefruits Citrus paradisi Rutaceae JinArome (USA)
lemon Citrus limonum Rutaceae JinArome (USA)
lime Citrus aurantifolia Rutaceae JinArome (USA)
majoram Origanum vulgare Labiatae JinArome (USA)
mentha Mentha avensis Lamiaceae Charabot (France)
myrrh Commiphora myrrh Burseraceae Charabot (France)
orange Citrus sinensis Rutaceae JinArome (USA)
pettigrain Citrus aurantium Rutaceae JinArome (USA)
pine needle Pinus sylvestris Pinaceae Charabot (France)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Labiatae JinArome (USA)
sage Salvia officinalis Labiatae JinArome (USA)
spearmint Mentha spicata Labiatae JinArome (USA)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Rosaceae Charabot (France)
ylangylang Cananga odorata Annonaceae JinArome (USA)
본 실험에 사용된 바퀴벌레는 국내 가정에서 가장 일반적인 독일바퀴(Blattella germanica) 암 수 성충을 이용했으며, 개미도 마찬가지로 국내에서 일반적인 애집개미(Monomorium pharaonis)의 일개미 성충을 이용하였다.
2. 실험방법
상기 표 1에 제시된 식물정유 각각 10 ㎕를 필터페이퍼에 피펫팅(peppeting)하여 처리한 처리구(Treated side)와 처리하지 않은 비처리구(Untreated side) 중 어느 쪽을 선택하여 이동하는지를 40 회씩 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이때, 바퀴벌레 또는 개미의 식물정유에 대한 기피력 측정을 위하여, T-tube 후각계(olfactometer)를 이용하였다.
T-tube 후각계(olfactometer)는 직경 9 cm, T-type의 팔(arms)의 길이는 22 센티미터이고 기둥(stem)의 길이는 10 cm이며, 기둥을 사이로 양쪽 팔과 팔의 각도는 180 ℃였다(도 1).
또한, 식물정유의 T-tube 장치 내 오일성분이 포화되는 것을 막고 기둥(stem)으로 순환을 위하여 에어펌프를 이용하여 100 ㎖/분의 속도로 공기를 이동시켰으며, 주입되는 공기는 실리카겔과 활성탄 층을 통과시켜 정제되게 하였다.
바퀴벌레(German cockroach)의 경우 암(dark) 조건에서 5 분 동안, 그리고 개미(Pharaoh ant)는 형광등 불빛 조건에서 10 분 동안 진행하였다.
3. 실험결과
1) 독일바퀴에 대한 평가
상기 실험결과, 도 2와 같이 20 종의 식물정유에 대한 바퀴벌레의 기피효과가 나타났다.
즉, 처리된 20 종의 식물정유에서 그레이프후르트 오일(grapefruit oil), 레몬 오일(lemon oil), 라임 오일(lime oil), 오렌지 오일(orange oil), 클로브 리프 오일(clove leaf oil)이 각각 96.7 %, 92.9 %, 86.7 %, 71.4 %, 그리고 70.0 % 순으로 독일바퀴에 대한 기피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효과를 나타낸 식물정유 중 클로브 리프를 제외한 나머지 4 종은 모두 시트러스 종(Citrus spp .) 속의 식물정유였으며, 같은 시트러스 종(Citrus spp .) 중 페티그레인(Pettigrain)은 기피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그 원인 및 각 시트러스 종(Citrus spp .) 속 식물정유의 기피 주성분을 파악하기 위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 및 매스스펙트로미터(MS) 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래의 표 2와 같이 그레이프후르트 오일, 레몬 오일, 라임 오일, 오렌지 오일의 주성분은 리모넨(limonene)이었으며, 페티그레인의 경우 리모넨 함량은 2.50 %에 불과하였다.
<표 2> 시트러스 종(Citrus spp .) 속 식물정유의 주성분
Citrus oil α- pinene β- pinene β- myrcene limonene γ- terpinene benzene linalol linalyl acetate
grapefruit oil 0.69 0.27 2.32 92.35 0.19 0.22 - -
lemon oil 2.11 13.52 1.41 61.30 4.23 8.47 - -
lime oil 2.40 11.66 1.11 47.68 3.40 18.29 - -
orange oil 0.75 - 2.53 93.79 - - - -
pettigrain oil 0.20 2.50 - 2.50 2.00 - 23.00 50.00
즉, 바퀴에 대해 방향 기피제의 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물정유로는 그레이프후르트 오일(grapefruit oil), 레몬 오일(lemon oil), 라임 오일(lime oil), 오렌지 오일(orange oil)임을 알 수 있었다.
2) 애집개미에 대한 평가
상기와 같은 독일바퀴의 시트러스 종(Citrus spp .) 속에 4 가지 식물정유에 대한 기피효과가 애집개미에서도 나타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의 T-tube 후각계(olfactometer) 방법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도 3과 같이 나타났으며, 애집개미에서도 동일하게 기피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Mini-field에서의 실험
1. 실험재료
실시예 1, 실시예 2의 유인 독이제와 젤형 방향 기피제를 준비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의 유인 독이제를 준비하고, 비교예 3, 4의 유인독이제와 젤형 방향 기피제를 준비하였다.
2. 실험방법
Mini-field 실험을 위하여 20 cm(세로)×100 cm(가로)×30 cm(높이)의 상형장치를 준비한 후, 시험충(바퀴벌레 또는 개미)이 탈출하지 못하도록 상단을 부위를 5 cm 너비로 둘러가며 바셀린을 발라 준비해 두었다.
각 실험 내부에 준비해 둔 실시예 1, 실시예 2의 유인 독이제와 젤형 방항 기피제, 비교예 1, 비교예 2의 유인 독이제, 비교예 3, 비교예 4의 유인 독이제와 젤형 방항 기피제를 각각 놓아 두었다.
시험충은 독일바퀴의 경우 1 령 약충을 이용하였고, 애집개미의 경우 일개미를 이용하였으며, 각각 50 마리 씩 처리한 후 1 일, 2 일, 4 일, 8 일, 16 일, 30일, 그리고 60 일 경과에 따른 살충력을 평가하였다.
3.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아래의 표 3와 같이 나타났다.
<표 3> 살충력 실험
처리 처리 후 살충된 해충 수
1 일 2 일 4 일 8 일 16 일 30 일 60 일
독일바퀴 실시예 1 6 14 21 42 50 50 50
실시예 2 3 12 24 38 50 50 50
비교예 1 0 1 3 4 14 43 47
비교예 2 0 2 4 11 19 27 32
비교예 3 2 6 14 21 37 47 50
비교예 4 1 3 9 15 30 48 50
애집개미 실시예 1 1 3 7 16 32 47 50
실시예 2 1 3 4 12 29 37 48
비교예 1 0 1 1 3 7 11 19
비교예 2 0 0 2 9 19 26 32
비교예 3 1 1 4 11 17 26 33
비교예 4 1 2 4 9 14 23 37
상기 표 3에 나타나 있듯이, 독일바퀴는 본 발명인 지효성 살충성분이 포함된 유인 독이제와 함께 젤형 방향 기피제를 처리한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처리 16 일에 100 %의 살충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지효성 살충성분이 포함된 유인 독이제를 단독으로 처리한 비교예 2는 초기에도 낮은 살충력을 나타냈고, 처리 30 일이 경과되어서도 54 %의 살충력에 그쳤다.
속효성 살충성분이 포함된 유인 독이제를 단독으로 처리한 비교예 1에서는 60 일이 경과되었을 때 94 %의 살충율을 보였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하여 독일바퀴의 살충효과에 있어서 지효성 살충제가 포함된 유인 독이제와 기피 방향제를 동시에 처리했을 때 살충효과가 더 빠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히드라메칠논 유인 독이제의 처리에 있어서 기피 방향제와 처리 시 효과가 더욱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애집개미는 바퀴벌레에 비해 애집개미의 살충속도 및 살충력이 더욱 저조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개미가 사회성 곤충으로 동족 간에 페르몬을 통한 의사교환으 로 독이제에 대한 경계효과의 작용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지효성 살충성분을 포함한 유인 독이제만을 처리한 비교예 2에서 애집개미의 살충효과는 비교예 1에 비해 살충효과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히드라메칠논 성분이 속효성 살충성분에 비해 개미의 페로몬 영향을 적게 받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인 지효성 살충성분이 포함된 유인 독이제와 방향 기피제를 동시에 처리한 실시예 1에서는 30 일 경과 시 94 %의 살충력을, 그리고 60 일 경과 시 100 %의 살충력을 나타내었다.
이는 지효성 살충성분이 포함된 유인 독이제를 이용한 애집개미의 살충에 있어서 방향 기피제가 단순한 기피작용을 나타내는 이상으로 애집개미의 먹이탐색(forage) 활동에서 경고페로몬(alarm pheromone) 및 길잡이 페로몬(trail pheromone) 등의 작용을 교란시키는 부가기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이와 같은 페로몬 성분은 터펜류의 성분이며, 기피제로서 작용되는 성분도 마찬가지로 터펜류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바퀴벌레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히드라메칠논과 함께 지효성 살충제로 사용된 루펜누론은 1 령 약충을 공시충으로 사용한 바퀴벌레의 경우 살충력이 높았으나 애집개미의 일개미를 공시충으로 사용한 본 실험에서의 개미 살충력은 히드라메칠논 보다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실험예 3> Field 실험
1. 실험재료
실시예 3의 유인 독이제와 전기 발향기형 방향 기피제를 준비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의 유인 독이제와 비교예 5의 유인 독이제와 전기 발향기형 방향 기피제를 준비하였다.
2. 실험방법
실제 주거공간 내 거주하는 바퀴벌레 및 개미에 대한 살충력을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바퀴벌레 및 개미가 발생하는 소비자 가정을 중심으로 상기 준비한 실시예 3의 유인 독이제와 전기 발향기형 방향 기피제, 비교예 1, 비교예 2의 유인 독이제와 비교예 5의 유인 독이제와 전기 발향기형 방향 기피제를 각각 분배하여 실시하였다.
이때, 바퀴벌레가 나타나는 가정, 그리고 개미가 나타나는 가정을 각각 10 가정씩 선정하여 다음과 같이 90 일 동안 field 조건에서 살충효력을 실시하고 각 방법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용 만족도는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 소비자 만족도 기준
Figure 112007033298141-pat00001
3. 실험결과
그 결과, 아래의 표 4와 같이 나타났다.
<표 4> 살충력 조사 및 만족도 조사
처리 제품 처리 후 해충이 발생된 가정 수 만족도
10 일 30 일 60 일 90 일 제품
바퀴벌레 실시예 3 3 1 0 0 4.8 4.8
비교예 1 9 5 7 13 - 2.2
비교예 2 18 5 3 4 - 3.2
비교예 5 4 3 2 5 4.2 3.8
개미 실시예 3 2 2 1 0 4.8 5.0
비교예 1 14 11 15 16 - 1.6
비교예 2 15 8 2 2 - 3.4
비교예 5 3 2 4 4 4.4 3.6
상기 표 4에 나타나 있듯이, 바퀴벌레 및 개미로 인하여 문제가 되는 가정을 대상으로 90일의 장기 살충력 및 사용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 본 발명인 실시예 3을 처리할 시,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전기발향기형 방향 기피제는 바퀴벌레 및 개미에 대한 기피효과뿐만 아니라 리모넨 등의 주요 성분이 상쾌한 향을 발향하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여주는 방향제로서의 효과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기발향기형 방향 기피제는 젤형 기피제에 비해 넓은 공간으로 기피성분이 확산되므로 일반 가정의 넓은 공간에 적용 시 젤형 기피제와 함께 기피효율 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소비자 평가에서도 바퀴벌레 및 개미의 출현을 생활공간으로부터 막아주고, 독이제가 설치된 반대방향으로 해충 간의 신호전달물질(semiochemicals)을 교란시켜 쫏아줌으로서 살충효과를 높여주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해, 유인 독이제와 방향 기피제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바퀴벌레 및 개미에 대해 높은 살충력을 나타내는 살충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강력한 살충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미관상으로도 사용자에게 사용 선호감을 높여주는 살충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5)

  1. 살충방법에 있어서,
    지효성 살충성분, 부형제, 유인향을 혼합하여 유인 독이제를 제조하는 제1공정,
    그레이프후르트 오일(grapefruit oil), 레몬 오일(lemon oil), 라임 오일(lime oil), 오렌지 오일(orange oil) 중 1 종 내지 4 종을 선택하여 방향 기피제를 준비하는 제2공정,
    살충하려는 바퀴벌레 또는 개미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을 대상으로 하여, 실내의 한쪽에 제1공정에서 제조한 유인 독이제를 배치하고 다른 쪽에 제2공정에서 제조한 방향 기피제를 배치하여 동시에 처리하는 제3공정으로 구성된,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유인 독이제 제조시, 지효성 살충성분은 유인 독이제 전체중량대비 1 ~ 5 중량 %, 부형제는 유인 독이제 전체 중량대비 90 ~ 97 중량 %, 유인향은 유인 독이제 전체 중량대비 1 ~ 4 중량 %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특징인,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유인 독이제 제조시 사용되는 지효성 살충성분으로는,
    클로르페나피르(chlorfenapyr), 펜피록시메이트(fenpyroximate), 피리다벤(pyridaben), 로테논(rotenone), 테부펜피래드(tebufenpyrad), 하이드라메칠논(hydramethylnon), 루펜누론(lufenuron)중 선택된 1종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방향 기피제로 그레이프후르트 오일(grapefruit oil), 레몬 오일(lemon oil), 라임 오일(lime oil), 오렌지 오일(orange oil) 중에서 2 종이상을 선택할 시, 서로 같은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방향 기피제의 제형은 젤형 또는 전기 발향기형인 것이 특징인,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방법.
KR1020070043159A 2007-05-03 2007-05-03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방법 KR100812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159A KR100812646B1 (ko) 2007-05-03 2007-05-03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159A KR100812646B1 (ko) 2007-05-03 2007-05-03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646B1 true KR100812646B1 (ko) 2008-03-13

Family

ID=39398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159A KR100812646B1 (ko) 2007-05-03 2007-05-03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6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774A (ko) * 2001-06-05 2002-12-12 가부시키가이샤 닛뽄 에이세이 센터 방부 및 방충제 조성물
KR20030033722A (ko) * 2001-10-24 2003-05-01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살충성을 가지는 식물정유 및 화합물
KR20050082823A (ko) * 2004-02-20 2005-08-24 김길하 그레이프 푸루이트 오일 및 그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살충제
KR20060119911A (ko) * 2003-08-29 2006-11-24 레킷트 뱅키저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리미티드 스틱형 고체상 살충 조성물
KR20070036196A (ko) * 2003-01-28 2007-04-02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시아노 안트라닐아미드 살충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774A (ko) * 2001-06-05 2002-12-12 가부시키가이샤 닛뽄 에이세이 센터 방부 및 방충제 조성물
KR20030033722A (ko) * 2001-10-24 2003-05-01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살충성을 가지는 식물정유 및 화합물
KR20070036196A (ko) * 2003-01-28 2007-04-02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시아노 안트라닐아미드 살충제
KR20060119911A (ko) * 2003-08-29 2006-11-24 레킷트 뱅키저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리미티드 스틱형 고체상 살충 조성물
KR20050082823A (ko) * 2004-02-20 2005-08-24 김길하 그레이프 푸루이트 오일 및 그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살충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vela Insecticidal properties of several essential oils on the house fly (Musca domestica L.)
Moore et al. Plant-based insect repellents
Müller et al. Efficacy of the botanical repellents geraniol, linalool, and citronella against mosquitoes
Rajashekar et al. Botanicals as grain protectants
Moore et al. Laboratory evaluations of insecticide product efficacy for control of Cimex lectularius
Perrucci Acaricidal activity of some essential oils and their constituents against Tyrophagus longior, a mite of stored food
Trumble Caveat emptor: safety considerations for natural products used in arthropod control
Ahn et al. Naturally occurring house dust mites control agents: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Zibaee Synergistic effect of some essential oils on toxicity and knockdown effects, against mosquitos, cockroaches and housefly
KR20020087568A (ko)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 및 살충성 화합물
CN102308797A (zh) 液体蝇香
Parhomenko et al. Potential use of synthetic and natural aromatic mixtures in prevention from Shelfordella lateralis сockroaches
Mahmud et al. Biological & insecticidal effect of citronella oil: a short review
Moore et al. Plant-based insect repellents
Sittichok et al. Repellency activity of essential oil on Thai local plants against American cockroach (Periplaneta americana L.; Blattidae: Blattodea).
US10226050B2 (en) Synergistic composition of geranium oil with other essential oils for bedbug control
KR100812646B1 (ko)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방법
CN102308785A (zh) 液体蟑香
Badawy et al. Preparation of ecofriendly formulations containing biologically active monoterpenes with their fumigant and residual toxicities against adults of Culex pipiens
Nollet et al. Essential oil mixtures for pest control
KR100644283B1 (ko) 살충활성을 가지는 테르펜류의 혼합조성물
Kafle et al. Clove and its constituents against urban pests: Examples from ants and cockroaches
Oladipupo Toxicity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essential oil components against the German Cockroach, Blattella germanica (L.)(Ectobiidae)
Mohamed et al. Biocontrol efficacy of some essential oils as larvicides and inhibitors of the emergence of adult Musca domestica
KR100611206B1 (ko) 그레이프 푸루이트 오일 및 그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기피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