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10912B1 - 옹벽축조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옹벽축조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912B1
KR100810912B1 KR1020060131692A KR20060131692A KR100810912B1 KR 100810912 B1 KR100810912 B1 KR 100810912B1 KR 1020060131692 A KR1020060131692 A KR 1020060131692A KR 20060131692 A KR20060131692 A KR 20060131692A KR 100810912 B1 KR100810912 B1 KR 100810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lock
block
disposed
engaging ja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
Priority to KR1020060131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9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축조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서로 다른 크기의 4 종류 옹벽블록을 단독 또는 하나 이상 조합하여 일정높이로 축조가 가능한 다양한 패턴을 구비하는 하나의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머리부, 연결부 및 꼬리부로 이루어진 옹벽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가 연결부에 층을 이루고 형성되어, 상부에 돌출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고, 하부에 연결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한 맞물림턱을 구비하는 제 1 옹벽블록과, 상기 제 1 옹벽블록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제 1 옹벽블록과 동일한 높이 및 ½ 길이를 구비하는 제 2 옹벽블록과, 상기 제 1 옹벽블록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제 1 옹벽블록의 ½ 높이 및 동일한 길이를 구비하는 제 3 옹벽블록과, 상기 제 1 옹벽블록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제 1 옹벽블록의 ½ 높이 및 ½ 길이를 구비하는 제 4 옹벽블록을 이용하여, 보강그리드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높이가 일정하고 다양한 패턴을 구비하는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도록 되어 있다.
옹벽, 옹벽구조물, 옹벽용블록, 옹벽축조, 패턴

Description

옹벽축조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A block for revetment and assembly and revetment construction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축조용 블록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옹벽블록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옹벽블록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옹벽블록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옹벽블록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블록을 이용한 옹벽축조 블록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옹벽축조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한 옹벽 제 1 실시예도
도 9 는 본 발명의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한 옹벽 제 2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의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한 옹벽 제 3 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의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한 옹벽 제 4 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2,3,4 옹벽블록의 변형예시도
도 13은 도 12의 제 1,2,3,4 옹벽블록을 이용한 옹벽구조물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옹벽블록 (20) : 제 2 옹벽블록
(30) : 제 3 옹벽블록 (40) : 제 4 옹벽블록
(50) : 머리부 (51) : 걸림턱
(52) : 머리부 하부면 (53) : 맞물림턱
(54) : 노출면 (55) : 머리부 상부면
(60) : 연결부 (61) : 연결부 전면
(62) : 연결부 상부면 (63) : 연결부 하부면
(64) : 채움홀 (70) : 꼬리부
(71) : 양끝단 (80) : 잡석
(81) : 기초블록 (82) : 뒷채움
(83) : 보강그리드 (84) : 마감블록
(85) : 유공관 (100) : 옹벽구조물
본 발명은 옹벽축조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크기를 구비하는 4 종류의 옹벽블록을 이용하여 보강그리드의 설치 및 뒷채움이 용이한 하나의 옹벽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옹벽축조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구조물은 도로, 하천 등의 성토지 또는 절개지의 토사유출로 인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벽돌, 콘크리트, 콘크리트 패널, 콘크리트 블록 등으로 구축되며, 규모 및 시공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콘크리트 재질의 옹벽구조물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재질의 옹벽은 콘크리트 특유의 색상 및 획일적인 형태로 인하여 위화감을 주게 되고, 자연경관을 해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특히, 아파트 단지, 공원, 박물관 및 전시관 등과 같은 공동생활단지 및 공공시설 등의 경사면, 절개지 및 계단옹벽구조물에 콘크리트 재질의 옹벽을 설치할 경우, 자연친화적인 주거환경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취향에 반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옹벽구조물은 토사에 의한 옹벽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옹벽높이 및 경사를 고려하여 구조계산을 하고, 이에 따라 블록을 상단면이 평탄하도록 소정높이로 축조한 후, 상기 평탄하게 축조된 블록의 상부면에 연결하여 후부방향으로 보강그리드를 설치하고, 상기 보강그리드가 매설되도록 뒷채움 다짐한 다음, 다시 상단면이 평탄하게 되도록 블록을 축조하는 작업의 반복에 의해 옹벽구조물을 축조하였다.
즉, 종래의 옹벽구조물은 동일형상의 옹벽을 상하좌우로 축조하여 상단면을 평탄하게 한 후, 이를 이용하여 보강그리드를 설치하고, 이에 따른 뒷채움 작업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옹벽구조물은 평탄한 상부형성을 위하여 모두 단일 형상의 옹벽블록으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이로 인해 축조된 옹벽형상이 동일패턴을 구비하 여 매우 획일적이고, 변형에 따른 다양한 옹벽의 축조가 불가능하며, 어디서나 동일한 형상의 옹벽구조물을 발견할 수 있어 참신함 미적감각 및 시각적 아름다움을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옹벽블록은 상하블록을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연결핀 및 연결바 등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 그 조립 구성품의 갯수가 증가되고, 구성품의 보관 및 유지에 어려움이 있으며, 다양한 부품의 갯수 증가로 인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서로 다른 크기의 4 종류 옹벽블록을 단독 또는 하나 이상 조합하여 다양한 패턴을 구비하는 하나의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별도의 연결수단없이 블록간 접촉에 의해 상하블록을 연결하여 옹벽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는 옹벽축조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보강그리드 설치가 용이하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4종류 옹벽블록을 조합하여 소정높이를 구비하는 옹벽을 축조하고, 그 상단면을 평탄하게 조성할 수 있는 옹벽축조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축조용 블록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옹벽블록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옹벽블록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옹벽블록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옹벽블록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높이 및 길이를 구비하는 4 종류 옹벽블록을 맞물림에 의해 단독 또는 서로 조합하여, 다양한 패턴을 구비하고 상부면이 평탄하도록(높이가 일정한) 하나의 옹벽구조물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외부로 일측면이 노출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와 연결되어 머리부 후부방향으로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 돌출형성되는 꼬리부로 이루어진 옹벽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가 연결부에 층을 이루고 형성되어, 상부에 돌출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고, 하부에 연결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한 맞물림턱을 구비하는 제 1 옹벽블록(10)과, 상기 머리부가 연결부에 층을 이루고 형성되어, 상부에 돌출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고, 하부에 연결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한 맞물림턱을 구비하며, 제 1 옹벽블록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 및 ½ 길이를 구비하는 제 2 옹벽블록(20)과, 상기 머리부가 연결부에 층을 이루고 형성되어, 상부에 돌출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고, 하부에 연결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한 맞물림턱을 구비하며, 제 1 옹벽블록에 대하여 ½ 높이 및 동일한 길이를 구비하는 제 3 옹벽블록(30)과, 상기 머리부가 연결부에 층을 이루고 형성되어 상부에 돌출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고, 하부에 연결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한 맞물림턱을 구비하며, 제 1 옹벽블록에 대하여 ½ 높이 및 ½ 길이를 구 비하는 제 4 옹벽블록(40)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2,3,4 옹벽블록(10,20,30,40)은 머리부(50)가 연결부(60)와 층을 이루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결부(60) 상부로 돌출된 머리부(50)에 의해 걸림턱(51)이 형성되고, 층을 이루는 머리부 하부면(52)과 연결부 전면(61)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해 맞물림턱(53)이 형성되며, 그 길이(축조된 옹벽의 정면에서 바라볼 경우, 노출되는 블록 머리부의 폭)와 높이(블록의 높이)는 서로 상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2,3,4 옹벽블록 머리부(50)는 옹벽축조시 일측면(이하 '노출면'이라 칭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노출면(54)은 표면이 다수개의 요철을 포함하는 거친 표면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 1,2,3,4 옹벽블록(10,20,30,40)은 전체적으로 외곽라인이 마모처리되어 있어, 다수의 굴곡을 구비하며, 오래된 돌과 같은 느낌을 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2,3,4 옹벽블록(10,20,30,40)은 도 12 및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외곽라인 및 그 형상을 약간씩 변형하여 옹벽을 축조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2,3,4 옹벽블록(10,20,30,40)은 머리부(50)가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높이 또는 길이가 서로 상이하도록만 되어 있으므로, 이하 제 1 옹벽블록(10)을 기준으로 제 1,2,3,4 옹벽블록(10,20,30,40)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 1 옹벽블록(1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 상부면(55)이 연결부 상부면(62)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돌출되어 또한, 머리부 하부면(52)이 연결부 하부면(63)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연결부(60)와 층을 이루고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머리부(50)는 상부가 연결부(60)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걸림턱(51)을 구비하고, 하부가 연결부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층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맞물림턱(53)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걸림턱(51)은 연결부에서 돌출형성된 머리부의 상부에 의해 형성되고, 맞물림턱(53)은 층을 이루고 형성된 머리부 하부면(52)과 연결부의 전면(6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의 돌출높이(h5)와 맞물림턱의 높이(h6)는 서로 동일한 높이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 1 옹벽블록의 연결부(60)에는 상부면에서 하부면방향으로 관통되는 2개의 채움홀(64)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머리부(50)에서 꼬리부(70)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채움홀(64)은 평면에서 바라볼 경우, 머리부쪽의 폭이 꼬리부쪽의 폭보다 큰 등변사다리꼴 형상을 구비하고, 연결부(6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옹벽블록의 꼬리부(70)는 연결부(6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끝단(71)이 연결부의 양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돌출형성된 꼬리부의 양끝단(71)은 머리부의 길이(폭) 범위내에서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옹벽블록의 머리부(50)는 옹벽축조시 일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노출되는 노출면(54)은 그 표면이 거친표면 즉, 다수의 굴곡과 홈에 의해 올록볼록한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제 2 옹벽블록(20)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옹벽블록과 머리부(50)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나, 제 2 옹벽블록(20)의 길이(L2)는 제 1 옹벽블록 길이(L1)의 ½ 길이를 구비하고 높이(h2)는 제 1 옹벽블록 높이(h1)과 동일하도록 되어 있으며, 연결부에는 1개의 채움홀(64)만을 구비한다.
상기 제 3 옹벽블록(30)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옹벽블록(10)과 머리부(50)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나, 제 3 옹벽블록(30)의 높이(h3)는 제 1 옹벽블록 높이(h1)의 ½ 을 구비하고, 길이(L3)는 제 1 옹벽블록 길이(L1)과 동일하도록 되어 있으며, 연결부에 형성된 채움홈(64)은 원형의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제 4 옹벽블록(40)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옹벽(10)과 머리부(50)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나, 제 4 옹벽블록(40)의 높이(h4) 및 길이(L4)는 제 1 옹벽블록 높이(h1) 및 길이(L1)에 대하여 ½ 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제 4 옹벽블록(40)은 제 3 옹벽블록(30)에 대하여 그 길이(L4)가 제 3 옹벽블록 길이(L3)의 ½ 길이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으며, 연결부에 1개의 원형 채움홀(64)만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2,3,4 옹벽블록(10,20,30,40)은 걸림턱(51)과 맞물림턱(5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조합됨으로써, 다양한 패턴의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도록 되어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블록을 이용한 옹벽축조 블록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옹벽축조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반을 터파기한 후 잡석을 채우고, 이를 다짐하여 레벨을 잡는 기초단계(S100)와; 상기 다짐된 잡석위에 제 1 옹벽블록을 측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연속하여 배석하는 기초블록설치단계(S200)와; 상기 배석된 제 1 옹벽블록의 상부에 제 1,2,3,4 옹벽블록을 임의로 선택하여 다단으로 적층하되, 적층된 높이가 일정하도록 제 1,2,3,4 옹벽블록을 단독 또는 하나이상 선택 조합 축조하여 옹벽구조물을 형성하는 적층단계(S300)와; 상기 적층된 옹벽구조물의 상부면에 보강그리드(83)를 연결설치하는 보강그리드 설치단계(S400)와; 상기 보강그리드(83)가 연결된 옹벽구조물에 적층단계 및 보강그리드 설치단계를 반복하여 소정높이의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는 반복적층단계(S500)와; 상기 반복적층된 옹벽구조물의 최상단에 마감블록(84)을 설치하는 마감단계(S6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기초단계(S100)는 기초블록배석을 위한 것으로, 약 1∼3m 깊이의 골을 파고, 100∼150 ㎜ 두께로 잡석(80)을 깔고 다져주어 레벨을 잡는다.
상기 기초블록설치단계(S200)는 기초블록(81)으로 제 1 옹벽블록을 배석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옹벽블록(기초블록)이 약 60∼80㎜ 정도 묻히도록 배석한다.
상기 적층단계(S300)는 제 1,2,3,4 옹벽블록(10,20,30,40) 중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다단으로 적층하되, 매 적층되는 옹벽블록의 채움홀(64)과 옹벽블록 사이의 공간 및 옹벽블록 후부에는 잡석(80)을 채우고 그 후부에 뒷채움(82)을 병행한다.
이때, 상기 적층되는 옹벽블록(10,20,30,40)은 하부에 위치하는 옹벽블록의 걸림턱에 상부에 위치하는 옹벽블록의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맞물림 적층된다.
또한, 상기 적층단계는 처음에는 기초블록 상부에 적층하도록 되어 있으나, 반복적층단계시에는 보강그리드가 연결된 옹벽블록의 상부에 적층되게 된다.
또한, 상기 잡석이 채워지는 옹벽블록의 후부에 적당한 크기의 유공관(85)을 설치하여,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되는 옹벽구조물의 높이는 구조계산에 의해 산출되어 선택되는 것이며, 이러한 구조계산은 통상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보강그리드의 설치 및 뒷채움작업은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 역시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2,3,4 옹벽블록(10,20,30,40)을 이용하여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는 방법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8 은 본 발명의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한 옹벽 제 1 실시예도를 도시한 것으로, 가장 높은 높이를 구비하는 제 1,2 옹벽블록의 높이를 1단으로 하여, 2단패턴 옹벽구조물(200)을 축조한 것이다.
즉, 맨좌측 하단에 제 2 옹벽블록(220a)을 배석하고, 상기 제 2 옹벽블록(220a) 우측에 제 1 옹벽블록(210a)을, 상기 제 1 옹벽블록(210a) 우측에 제 4 옹벽블록(240a)을, 상기 제 4 옹벽블록(240a) 우측에 제 3 옹벽블록(230a)을, 상기 제 3 옹벽블록(230a) 우측에 제 4 옹벽블록(240b)을 측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순차적으로 배석하고,
상기 제 1 옹벽블록(210a) 우측에 또한 제 4 옹벽블록(240a) 및 제 3 옹벽블록(230a)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3 옹벽블록(230b)을 배석하고, 상기 제 3 옹벽블록(230b) 우측에 또한 제 3 옹벽블록(230a)과 제 4 옹벽블록(240b)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1 옹벽블록(210b)을 배석하며,
상기 제 2 옹벽블록(220a)과 제 1 옹벽블록(210a)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3 옹벽블록(230c)을 배석하고, 상기 제 3 옹벽블록(230c) 우측에 또한 제 1 옹벽블록(210a)과 제 3 옹벽블록(230b)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1 옹벽블록(210c)을 배석하고,
상기 제 1 옹벽블록(210c)과 제 1 옹벽블록(210b) 사이에 또한 제 3 옹벽블록(230b)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2 옹벽블록(220b)을 배석하며,
상기 제 2 옹벽블록(220b) 우측에 또한 제 1 옹벽블록(210b)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4 옹벽블록(240c)을, 상기 제 4 옹벽블록(240c) 우측에 또한 제 1 옹벽블록(210b)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3 옹벽블록(230d)을 배석하고,
상기 제 3 옹벽블록(230c)의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1 옹벽블록(210c) 좌측에 제 4 옹벽블록(240d)을 배석하여, 최종형성된 옹벽구조물의 높이 가 일정한 2단패턴 옹벽구조물(200)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2단패턴 옹벽구조물(200)은 우측상단이 제 3 옹벽블록(230d)에 의해 돌출되어 있고, 좌측 상단이 제 3 옹벽블록(230c)과 제 4 옹벽블록(240d)에 의해 제 3 옹벽블록(230d)의 돌출된 일측단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므로, 2단패턴을 연속하여 설치할 경우, 맞물림에 의해 서로 자연스럽게 연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2단패턴의 옹벽구조물 축조시, 450(길이)×200(높이)×267(후부길이)의 크기를 구비하는 제 1 옹벽블록을 사용할 경우, 3m 길이의 옹벽구조물 축조시에는 6개의 제 1 옹벽블록, 4개의 제 2 옹벽블록, 8개의 제 3 옹벽블록 및 8개의 제 4 옹벽블록이 소요된다.
실시예 2
도 9 는 본 발명의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한 옹벽 제 2 실시예도를 도시한 것으로, 가장 높은 높이를 구비하는 제 1,2 옹벽블록의 높이를 1단으로 하여, 3단패턴 옹벽구조물(300)을 축조한 것이다.
즉, 상기 3단패턴 옹벽구조물(300)은 맨 좌측 하단에 제 3 옹벽블록(330a)을, 상기 제 3 옹벽블록 우측에 제 1 옹벽블록(310a)을, 상기 제 1 옹벽블록(310a) 우측에 제 3 옹벽블록(330b)을, 제 3 옹벽블록(330b) 우측에 제 3 옹벽블록(330c)을 측면이 서로 접촉되게 순차적으로 배석하고,
상기 제 3 옹벽블록(330a)의 상부에 길이의 절반만 위치하도록 제 1 옹벽블록(310b)을 배석하고, 상기 제 1 옹벽블록(310b)과 제 1 옹벽블록(310a)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 3 옹벽블록(330a)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2 옹벽블록(320a)을 배석하며,
상기 제 2 옹벽블록(320a) 우측에 또한 제 1 옹벽블록(310a)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2 옹벽블록(320b)을, 상기 제 2 옹벽블록(320b) 우측에 또한 제 1 옹벽블록(310a)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4 옹벽블록(340a)을, 상기 제 1,4 옹벽블록(310a,340a) 우측에 또한 제 3 옹벽블록(330b)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하도록 제 2 옹벽블록(320c)을, 상기 제 2 옹벽블록(320c) 우측에 위치하도록 또한 제 3 옹벽블록(330b)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1 옹벽블록(310c)을 배석하고,
상기 제 1 옹벽블록(310b)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2 옹벽블록(320b) 좌측에 제 3 옹벽블록(330d)을, 제 2 옹벽블록(320b) 우측에 또한 제 4 옹벽블록(340a)과 제 2 옹벽블록(320c)의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1 옹벽블록(310d)을, 상기 제 1 옹벽블록(310d) 우측에 제 1 옹벽블록(310c)의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2 옹벽블록(320d)을, 상기 제 2 옹벽블록(320d) 우측에 제 1 옹벽블록의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또한 절반만 위치하도록 제 3 옹벽블록(330e)을 배석하며,
상기 제 3 옹벽블록(330d)과 제 2 옹벽블록(320b)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걸쳐서 접촉되도록 제 1 옹벽블록(310d) 좌측에 제 1 옹벽블록(310e)을, 상기 제 1 옹 벽블록(310e) 우측에 또한 제 1 옹벽블록(310d)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4 옹벽블록(340b)을, 상기 제 4 옹벽블록(340b) 우측에 제 1 옹벽블록(310d)과 제 2 옹벽블록(320d) 걸림턱에 걸쳐서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3 옹벽블록(330f)을, 상기 제 3 옹벽블록(330f)과 그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옹벽블록(320d)의 우측에 또한 제 3 옹벽블록(330e)의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2 옹벽블록(320e)을, 상기 제 2 옹벽블록(320e) 우측에 또한 제 3 옹벽블록(330e)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1 옹벽블록(310f)을 배석하여 최종형성된 옹벽구조물의 높이가 일정한 3단패턴 옹벽구조물(300)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3단패턴 옹벽구조물(300)은 좌측이 돌출되고, 우측이 이에 맞물림되는 공간을 구비하게 되므로, 3단패턴을 연속하여 설치할 경우, 맞물림에 의해 서로 자연스럽게 연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3단패턴의 옹벽구조물 축조시, 450(길이)×200(높이)×267(후부길이)의 크기를 구비하는 제 1 옹벽블록을 사용할 경우, 3m 길이의 옹벽구조물 축조시에는 10개의 제 1 옹벽블록, 10개의 제 2 옹벽블록, 10개의 제 3 옹벽블록 및 4개의 제 4 옹벽블록이 소요된다.
실시예 3
도 10 은 본 발명의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한 옹벽 제 3 실시예도를 도시한 것으로, 가장 높은 높이를 구비하는 제 1,2 옹벽블록의 높이를 1단으로 하여, 4단 패턴 옹벽구조물을 축조한 것이다.
즉, 상기 4단패턴 옹벽구조물은 맨좌측 하단에 제 2 옹벽블록(420a)을, 상기 제 2 옹벽블록(420a) 우측에 제 1 옹벽블록(410a)을, 상기 제 1 옹벽블록(410a) 우측에 제 3 옹벽블록(430a)을, 상기 제 3 옹벽블록(430a) 우측에 제 4 옹벽블록(440a)을 서로 측면이 접촉되도록 순차적으로 배석하고,
상기 제 1 옹벽블록(410a) 우측에 또한 제 3 옹벽블록(430a)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4 옹벽블록(440b)을, 상기 제 4 옹벽블록(440b) 우측에 또한 제 3 옹벽블록(430a)과 제 4 옹벽블록(440a)의 걸림턱에 걸쳐서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1 옹벽(410b)을 배석하며,
상기 제 2 옹벽블록(420a)와 제 1 옹벽블록(410a) 걸림턱에 걸치도록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3 옹벽블록(430b)을, 상기 제 3 옹벽블록(430b)과 제 1 옹벽블록(410b) 사이에 또한 제 1 옹벽블록(410a)과 제 4 옹벽블록(440b) 걸림턱에 걸쳐서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1 옹벽블록(410c)을 배석하고,
상기 제 1 옹벽블록(410c) 좌측에 위치하도록 제 3 옹벽블록(430b)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2 옹벽블록(420b)을, 상기 제 2 옹벽블록(420b)의 좌측에 또한 제 3 옹벽블록(430b)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1 옹벽블록(410d)을, 상기 제 2 옹벽블록(420b)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제 1 옹벽블록(410c)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2 옹벽블록(420c)을, 상기 제 2 옹벽블록(420c) 우측에 위치하도록 제 1 옹벽블록(410c)의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4 옹벽블록(40c)을, 상기 제 4 옹벽블록(40c) 및 그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옹벽블록(410c) 우측에 위치하도록 제 1 옹벽블록(410b)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2 옹벽블록(420d)을 배석하며,
상기 제 2 옹벽블록(420c) 좌측에 위치하도록 제 1 옹벽블록(410d)과 제 2 옹벽블록(420b)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3 옹벽블록(430c)을, 상기 제 3 옹벽블록(430c) 좌측에 위치하도록 제 1 옹벽블록(410d)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2 옹벽블록(420e)을, 상기 제 3 옹벽블록(430c)과 제 2 옹벽블록(420c)의 걸림턱에 걸쳐서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상부에 제 1 옹벽블록(410e)을, 상기 제 1 옹벽블록(410e)과 그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옹벽블록(420c)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제 4 옹벽블록(440c)과 제 2 옹벽블록(420d)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1 옹벽블록(410f)을, 상기 제 2 옹벽블록(420e)와 제 1 옹벽블록(410e)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 3 옹벽블록(430c)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2 옹벽블록(420f)을 배석하고,
상기 제 1 옹벽블록(410e)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제 1 옹벽블록(410f)의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4 옹벽블록(440d)을, 상기 제 4 옹벽블록(440d)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제 1 옹벽블록(410g)의 걸림턱에 걸쳐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3 옹벽블록(430d)을 배석하여 최종형성된 옹벽구조물의 높이가 일정한 4단패턴 옹벽구조물(400)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4단패턴 옹벽구조물(400)은 좌측이 돌출되고, 우측이 이에 맞물림되는 공간을 구비하게 되므로, 4단패턴을 연속하여 설치할 경우, 맞물림에 의해 서로 자연스럽게 연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4단패턴의 옹벽구조물 축조시, 450(길이)×200(높이)×267(후부길이)의 크기를 구비하는 제 1 옹벽블록을 사용할 경우, 3m 길이의 옹벽구조물 축조시에는 15개의 제 1 옹벽블록, 12개의 제 2 옹벽블록, 10개의 제 3 옹벽블록 및 8개의 제 4 옹벽블록이 소요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에서와 같이 축조되는 2,3,4 단패턴의 옹벽구조물은 그 하부에 제 1 옹벽으로 이루어진 기초블록을 포함하게 된다.
실시예 4
도 11 은 본 발명의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한 옹벽 제 4 실시예도를 도시한 것으로, 제 1 옹벽만을 단독으로 상하좌우 축조하여 단일형상 옹벽구조물(500)을 형성한 것이다.
즉, 제 1 옹벽블록을 측면이 접촉되도록 연속하여 배석하여 제 1 단(510)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단에 배석된 제 1 옹벽블록에 엇갈리도록 또한, 제 1 옹벽블록의 걸림턱에 하부에 위치하는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다수개의 제 1 옹벽블록을 연속 배석하여 제 2 단(520)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단에 배석된 제 1 옹벽블록에 엇갈리도록 또한 제 1 옹벽블록의 걸림턱에 하부에 위치하는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다수개의 제 1 옹벽블록을 연속배석하여 제 3 단(530) 또한 제 4 단(540)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옹벽구조물은 필요 및 구조계산에 따라 단수를 증가하여 옹벽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 의 축조방법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축조되는 패턴에 대한 하나의 예시이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크기를 구비하는 4개의 옹벽블록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다양한 패턴을 구비하는 옹벽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각적인 미감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림턱과 맞물림턱에 의해 상하에 위치한 옹벽블록을 맞물림 접촉에 의해 축조하도록 되어 있어, 별도의 연결수단이 필요없고, 이로 인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크기의 제 1,2,3,4 옹벽블록을 조합하여, 높이가 일정한 형태(상부면이 평탄한 형태)의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므로, 보강그리드의 설치 및 뒷채움을 용이하게 하여 옹벽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2,3,4 옹벽블록은 전체적으로 외곽라인이 다수의 굴곡 을 구비하도록 마모처리되어 있어, 오래된 돌과 같은 느낌을 주며, 이로 인해 옹벽축조시 자연친화적이고 고성과 같은 이미지를 주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외부로 일측면이 노출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와 연결되어 머리부 후부방향으로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 돌출형성되는 꼬리부로 이루어진 옹벽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가 연결부에 층을 이루고 형성되어, 상부에 돌출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고, 하부에 연결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한 맞물림턱을 구비하는 제 1 옹벽블록과,
    상기 머리부가 연결부에 층을 이루고 형성되어, 상부에 돌출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고, 하부에 연결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한 맞물림턱을 구비하며, 제 1 옹벽블록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 및 ½ 길이를 구비하는 제 2 옹벽블록과,
    상기 머리부가 연결부에 층을 이루고 형성되어, 상부에 돌출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고, 하부에 연결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한 맞물림턱을 구비하며, 제 1 옹벽블록에 대하여 ½ 높이 및 동일한 길이를 구비하는 제 3 옹벽블록과,
    상기 머리부가 연결부에 층을 이루고 형성되어 상부에 돌출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고, 하부에 연결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한 맞물림턱을 구비하며, 제 1 옹벽블록에 대하여 ½ 높이 및 ½ 길이를 구비하는 제 4 옹벽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3,4 옹벽블록은 연결부 상부로 돌출된 머리부에 의해 걸림턱이 형성되고, 층을 이루는 머리부의 하부면과 연결부 전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맞물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블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3,4 옹벽블록은 걸림턱 돌출높이와 맞물림턱 높이는 동일한 높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블록.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3,4 옹벽블록은 외곽라인이 다수의 굴곡을 구비하도록 마모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블록.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3,4 옹벽블록 머리부는 올록볼록한 거친 표면의 노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블록.
  6. 지반을 터파기한 후 잡석을 채우고, 이를 다짐하여 레벨을 잡는 기초단계;
    상기 다짐된 잡석위에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진 제 1 옹벽블록을 측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연속하여 배석하는 기초블록설치단계;
    상기 배석된 제 1 옹벽블록의 상부에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진 제 1,2,3,4 옹벽블록을 임의로 선택하여 다단으로 적층하되, 적층된 높이가 일정하도록 제 1,2,3,4 옹벽블록을 단독 또는 하나이상 선택 조합하고, 제 1,2,3,4 옹벽블록에 형성된 걸림턱과 맞물림턱의 접촉결합에 의해 상하블록을 축조하여 옹벽구조물을 형성하는 적층단계;
    상기 적층된 옹벽구조물의 상부면에 보강그리드를 연결설치하는 보강그리드 설치단계;
    상기 보강그리드가 연결된 옹벽구조물에 적층단계 및 보강그리드 설치단계를 반복하여 소정높이의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는 반복적층단계;
    상기 반복적층된 옹벽구조물의 최상단에 마감블록을 설치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블록을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단계는 제 1,2,3,4 옹벽블록 중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다단으로 적층하되, 매 적층되는 옹벽블록의 채움홀과 옹벽블록 사이의 공간 및 옹벽블록 후부 에는 잡석을 채우고 그 후부에 뒤채움작업을 병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블록을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단계는 맨좌측 하단에 제 2 옹벽블록(220a)을 배석하고, 상기 제 2 옹벽블록(220a) 우측에 제 1 옹벽블록(210a)을, 상기 제 1 옹벽블록(210a) 우측에 제 4 옹벽블록(240a)을, 상기 제 4 옹벽블록(240a) 우측에 제 3 옹벽블록(230a)을, 상기 제 3 옹벽블록(230a) 우측에 제 4 옹벽블록(240b)을 측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순차적으로 배석하고,
    상기 제 1 옹벽블록(210a) 우측에 또한 제 4 옹벽블록(240a) 및 제 3 옹벽블록(230a)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3 옹벽블록(230b)을 배석하고, 상기 제 3 옹벽블록(230b) 우측에 또한 제 3 옹벽블록(230a)과 제 4 옹벽블록(240b)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1 옹벽블록(210b)을 배석하며,
    상기 제 2 옹벽블록(220a)과 제 1 옹벽블록(210a)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3 옹벽블록(230c)을 배석하고, 상기 제 3 옹벽블록(230c) 우측에 또한 제 1 옹벽블록(210a)과 제 3 옹벽블록(230b)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1 옹벽블록(210c)을 배석하고,
    상기 제 1 옹벽블록(210c)과 제 1 옹벽블록(210b) 사이에 또한 제 3 옹벽블 록(230b)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2 옹벽블록(220b)을 배석하며,
    상기 제 2 옹벽블록(220b) 우측에 또한 제 1 옹벽블록(210b)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4 옹벽블록(240c)을, 상기 제 4 옹벽블록(240c) 우측에 또한 제 1 옹벽블록(210b)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3 옹벽블록(230d)을 배석하고,
    상기 제 3 옹벽블록(230c)의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1 옹벽블록(210c) 좌측에 제 4 옹벽블록(240d)을 배석하여, 최종형성된 옹벽구조물의 높이가 일정한 2단패턴 옹벽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블록을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단계는 맨 좌측 하단에 제 3 옹벽블록(330a)을, 상기 제 3 옹벽블록 우측에 제 1 옹벽블록(310a)을, 상기 제 1 옹벽블록(310a) 우측에 제 3 옹벽블록(330b)을, 제 3 옹벽블록(330b) 우측에 제 3 옹벽블록(330c)을 측면이 서로 접촉되게 순차적으로 배석하고,
    상기 제 3 옹벽블록(330a)의 상부에 길이의 절반만 위치하도록 제 1 옹벽블록(310b)을 배석하고, 상기 제 1 옹벽블록(310b)과 제 1 옹벽블록(310a)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 3 옹벽블록(330a)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2 옹벽블록(320a) 을 배석하며,
    상기 제 2 옹벽블록(320a) 우측에 또한 제 1 옹벽블록(310a)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2 옹벽블록(320b)을, 상기 제 2 옹벽블록(320b) 우측에 또한 제 1 옹벽블록(310a)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4 옹벽블록(340a)을, 상기 제 1,4 옹벽블록(310a,340a) 우측에 또한 제 3 옹벽블록(330b)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하도록 제 2 옹벽블록(320c)을, 상기 제 2 옹벽블록(320c) 우측에 위치하도록 또한 제 3 옹벽블록(330b)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1 옹벽블록(310c)을 배석하고,
    상기 제 1 옹벽블록(310b)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2 옹벽블록(320b) 좌측에 제 3 옹벽블록(330d)을, 제 2 옹벽블록(320b) 우측에 또한 제 4 옹벽블록(340a)과 제 2 옹벽블록(320c)의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1 옹벽블록(310d)을, 상기 제 1 옹벽블록(310d) 우측에 제 1 옹벽블록(310c)의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2 옹벽블록(320d)을, 상기 제 2 옹벽블록(320d) 우측에 제 1 옹벽블록의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또한 절반만 위치하도록 제 3 옹벽블록(330e)을 배석하며,
    상기 제 3 옹벽블록(330d)과 제 2 옹벽블록(320b)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걸쳐서 접촉되도록 제 1 옹벽블록(310d) 좌측에 제 1 옹벽블록(310e)을, 상기 제 1 옹벽블록(310e) 우측에 또한 제 1 옹벽블록(310d)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4 옹벽블록(340b)을, 상기 제 4 옹벽블록(340b) 우측에 제 1 옹벽블록(310d)과 제 2 옹벽블록(320d) 걸림턱에 걸쳐서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3 옹벽블록(330f) 을, 상기 제 3 옹벽블록(330f)과 그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옹벽블록(320d)의 우측에 또한 제 3 옹벽블록(330e)의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2 옹벽블록(320e)을, 상기 제 2 옹벽블록(320e) 우측에 또한 제 3 옹벽블록(330e)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1 옹벽블록(310f)을 배석하여 최종형성된 옹벽구조물의 높이가 일정한 3단패턴 옹벽구조물(3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블록을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단계는 맨좌측 하단에 제 2 옹벽블록(420a)을, 상기 제 2 옹벽블록(420a) 우측에 제 1 옹벽블록(410a)을, 상기 제 1 옹벽블록(410a) 우측에 제 3 옹벽블록(430a)을, 상기 제 3 옹벽블록(430a) 우측에 제 4 옹벽블록(440a)을 서로 측면이 접촉되도록 순차적으로 배석하고,
    상기 제 1 옹벽블록(410a) 우측에 또한 제 3 옹벽블록(430a)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4 옹벽블록(440b)을, 상기 제 4 옹벽블록(440b) 우측에 또한 제 3 옹벽블록(430a)과 제 4 옹벽블록(440a)의 걸림턱에 걸쳐서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1 옹벽(410b)을 배석하며,
    상기 제 2 옹벽블록(420a)와 제 1 옹벽블록(410a) 걸림턱에 걸치도록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3 옹벽블록(430b)을, 상기 제 3 옹벽블록(430b)과 제 1 옹벽블록(410b) 사이에 또한 제 1 옹벽블록(410a)과 제 4 옹벽블록(440b) 걸림턱에 걸쳐 서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1 옹벽블록(410c)을 배석하고,
    상기 제 1 옹벽블록(410c) 좌측에 위치하도록 제 3 옹벽블록(430b)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2 옹벽블록(420b)을, 상기 제 2 옹벽블록(420b)의 좌측에 또한 제 3 옹벽블록(430b)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도록 제 1 옹벽블록(410d)을, 상기 제 2 옹벽블록(420b)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제 1 옹벽블록(410c)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2 옹벽블록(420c)을, 상기 제 2 옹벽블록(420c) 우측에 위치하도록 제 1 옹벽블록(410c)의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4 옹벽블록(40c)을, 상기 제 4 옹벽블록(40c) 및 그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옹벽블록(410c) 우측에 위치하도록 제 1 옹벽블록(410b)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2 옹벽블록(420d)을 배석하며,
    상기 제 2 옹벽블록(420c) 좌측에 위치하도록 제 1 옹벽블록(410d)과 제 2 옹벽블록(420b)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3 옹벽블록(430c)을, 상기 제 3 옹벽블록(430c) 좌측에 위치하도록 제 1 옹벽블록(410d)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2 옹벽블록(420e)을, 상기 제 3 옹벽블록(430c)과 제 2 옹벽블록(420c)의 걸림턱에 걸쳐서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상부에 제 1 옹벽블록(410e)을, 상기 제 1 옹벽블록(410e)과 그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옹벽블록(420c)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제 4 옹벽블록(440c)과 제 2 옹벽블록(420d)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1 옹벽블록(410f)을, 상기 제 2 옹벽블록(420e)와 제 1 옹벽블록(410e)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 3 옹벽블록(430c)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2 옹벽블록(420f)을 배석하고,
    상기 제 1 옹벽블록(410e)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제 1 옹벽블록(410f)의 걸림턱에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4 옹벽블록(440d)을, 상기 제 4 옹벽블록(440d)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제 1 옹벽블록(410g)의 걸림턱에 걸쳐 맞물림턱이 접촉되는 제 3 옹벽블록(430d)을 배석하여 최종형성된 옹벽구조물의 높이가 일정한 4단패턴 옹벽구조물(4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블록을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KR1020060131692A 2006-12-21 2006-12-21 옹벽축조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Active KR100810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692A KR100810912B1 (ko) 2006-12-21 2006-12-21 옹벽축조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692A KR100810912B1 (ko) 2006-12-21 2006-12-21 옹벽축조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0912B1 true KR100810912B1 (ko) 2008-03-10

Family

ID=3939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692A Active KR100810912B1 (ko) 2006-12-21 2006-12-21 옹벽축조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91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570B1 (ko) * 2010-11-23 2013-01-08 문관회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
KR20180113106A (ko) * 2017-04-05 2018-10-15 공학봉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
CN108978706A (zh) * 2018-09-30 2018-12-11 铜陵陵阳矿业有限责任公司 一种自嵌式景观挡土墙砌块
KR102032656B1 (ko) 2018-11-22 2019-10-15 이희종 투수 기능을 갖는 옹벽 구조물
WO2021109144A1 (zh) * 2019-12-06 2021-06-10 邹胜斌 模块化智能护壁灌注桩及其施工工艺
KR20230021234A (ko) * 2021-08-05 2023-02-14 이양석 높이가 다른 블럭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KR102581114B1 (ko) * 2022-04-04 2023-09-20 이양석 다양한 형태의 축조가 가능한 성벽형 보강토 블럭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1798B1 (en) 2001-04-26 2002-08-13 Best Block Company Configurable block for retaining wall
US6443662B1 (en) 2000-10-25 2002-09-03 Geostar Corporation Connector for engaging soil-reinforcing grid to an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3662B1 (en) 2000-10-25 2002-09-03 Geostar Corporation Connector for engaging soil-reinforcing grid to an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same
US6431798B1 (en) 2001-04-26 2002-08-13 Best Block Company Configurable block for retaining wall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570B1 (ko) * 2010-11-23 2013-01-08 문관회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
KR20180113106A (ko) * 2017-04-05 2018-10-15 공학봉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
KR102088083B1 (ko) * 2017-04-05 2020-03-11 공학봉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진 보강토 옹벽
CN108978706A (zh) * 2018-09-30 2018-12-11 铜陵陵阳矿业有限责任公司 一种自嵌式景观挡土墙砌块
KR102032656B1 (ko) 2018-11-22 2019-10-15 이희종 투수 기능을 갖는 옹벽 구조물
WO2021109144A1 (zh) * 2019-12-06 2021-06-10 邹胜斌 模块化智能护壁灌注桩及其施工工艺
KR20230021234A (ko) * 2021-08-05 2023-02-14 이양석 높이가 다른 블럭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KR102558157B1 (ko) 2021-08-05 2023-07-20 이양석 높이가 다른 블럭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KR102581114B1 (ko) * 2022-04-04 2023-09-20 이양석 다양한 형태의 축조가 가능한 성벽형 보강토 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912B1 (ko) 옹벽축조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US10472821B2 (en) Wall with decorative facing
US10273647B2 (en) Retaining wall
US7743574B2 (en) System of blocks for use in forming a free standing wall
US7591447B2 (en) Wall block, system and mold for making the same
US8992131B2 (en) Retaining wall
US9670640B2 (en) Retaining wall
EP3347529B1 (en) Construction system having core supporting blocks and decorative fascia blocks
US7168218B2 (en) Mortarless fence block system
EP2758603B1 (en) Retaining wall block
KR20070084485A (ko) 면 연결부를 가진 옹벽 블럭
US20080053030A1 (en) Asymmetric retaining wall block
KR102263958B1 (ko) 옹벽용 조립식 블록 시공방법
KR101168859B1 (ko) 조형석 옹벽 및 그에 이용되는 조형석
US20060096180A1 (en) Retaining wall block and grid system
JP2001271360A (ja) 土留柵
KR200334296Y1 (ko) 옹벽 블록을 이용한 응벽구조
JP3780308B2 (ja) 擁壁用コンクリートパネル及び擁壁構造
JP2008214883A (ja) 自然石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自然石ブロック構造物の施工法
JP2005171478A (ja)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0054407A (ja) 擁壁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1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9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