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658B1 - Leach Container with Filter - Google Patents
Leach Container with Fil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10658B1 KR100810658B1 KR1020060122095A KR20060122095A KR100810658B1 KR 100810658 B1 KR100810658 B1 KR 100810658B1 KR 1020060122095 A KR1020060122095 A KR 1020060122095A KR 20060122095 A KR20060122095 A KR 20060122095A KR 100810658 B1 KR100810658 B1 KR 1008106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container
- contents
- lid
- leach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2386 leac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claims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9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2633 leachab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20094 lique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4101 w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4000018633 Prunus armeniac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827 Prunus armenia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670 Glycyrrhiza echina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453 Glycyrrhiza echin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200 Glycyrrhiza glab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382 Glycyrrhiza lepid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131316 Panax pseudo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468 Thea s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405 be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99 cor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40010454 licoric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083 shōchū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41001061264 Astraga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60011 Cocos nuc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162 Cocos nuc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135 Micromeria juli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114 Satureja hort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15 Satureja hort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079 Schisandra ch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22 Schisandra ch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533 astragal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279 black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06 bottled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65 calc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7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62 cook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96 gastr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2 herbal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0 matu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33 oolong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786 phosphor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553 photosynth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72 photo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098 plum w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33 tal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19 vine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34 white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flavouring 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이 저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용기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consisting of a lid, the contents are stored in the body, the li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망상체의 형태 또는 다수의 토출공이 천공된 형태의 필터가 상기 용기 내부에 상부필터 및 하부필터로 다중 반복되어 다수 개 구비되는데, 용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각 필터의 망상체 간격이 좁아지거나 토출공의 크기가 줄어들어 내용물이 다단계로 여과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주용 용기, 및,A plurality of filters in the form of reticular bodies or perforated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provided in the container by a plurality of repetitions of the upper filter and the lower filter, and the reticular spacing of each filter becomes narrower or the size of the discharge hole from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toward the upper part. Leak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o reduce the content is filtered in multiple stages, and
상기 침출주용 용기 내부에 침출 재료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주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It relates to a leaching liquor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aching material is contained in the leaching liquor container,
내용물을 단계별로 걸러낼 수 있으며, 필터 구멍이 잘 막히지 않아 내용물 토출이 용이하여 깔끔한 상태의 침출주를 음용할 수 있게 하며, 용기 내부에 침출 재료가 구비되어 있어서, 술만 부어 숙성시키면 간편하게 향미가 뛰어난 침출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ntents can be filtered step by step, and the filter hole is not clogged well, so the contents can be easily discharged, so that the drinking liquor in a clean state can be drunk, and the leaching material is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obtaine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침출주용 용기 내부에 침출 재료가 들어가고, 뚜껑이 닫힌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each material enters into the leachabl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id is closed.
도 2는 본 발명의 침출주용 용기 내부에 하부필터 및 상부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lower filter and the upper filter is mounted inside the leaching container for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침출주용 용기가 협구 용기일 경우, 용기 내부에 상부필터 및 하부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upper filter and the lower filter is mounted inside the container when the leaching container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narrow pin vessel.
도 4는 본 발명의 제1보조출구가 용기 뚜껑에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first auxiliary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container lid.
도 5는 본 발명의 제1보조출구 내부에 제1보조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first auxiliary filter is mounted inside the first auxiliary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2보조출구가 용기 뚜껑에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econd auxiliary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container lid.
도 7은 본 발명의 제2보조출구 내부에 제2보조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second auxiliary filter is mounted inside the second auxiliary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이탈방지링이 부착된 제1보조마개가 제1보조출구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first auxiliary stopper attached to the release preventing 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irst auxiliary outlet.
도 9는 본 발명의 침출주용 용기에 제1보조출구, 제2보조출구 및 손잡이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first auxiliary outlet, the second auxiliary outlet and the handle is installed in the leaching container for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침출주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에 내용물의 건더기를 거르기 위한 하부필터, 및 내용물의 부유물을 거르기 위한 상부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를 구비시켜 침출주를 깨끗하게 여과된 상태로 즐길 수 있게 하는 침출주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leaching liquor, and more particularly, a filter unit including a lower filter for filtering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and an upper filter for filtering the suspended matters in the container to enjoy the leaching liquor in a cleanly filtered state. It relates to a leach container for making it possible.
침출주는 몸에 좋은 과실이나 약재를 그 재료로 하여 담그는 술로써, 침출주를 담가 먹게 되면 과실이나 약재가 지니고 있는 유기산, 비타민, 칼슘, 인, 철 등과 같은 무기질, 각종 단백질, 당분을 손쉽게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침출주의 재료로는 주로 삼지구엽초, 오가피나무, 칡, 황기, 오미자, 구기자, 더덕, 인삼, 매실, 머루, 살구씨, 감초 등을 많이 이용한다. Leaching liquor is a liquor that is made with fruit or medicine that is good for the body. When you immerse the leaching liquor, you can easily consume minerals, proteins, sugars, and other organic acids, vitamins, calcium, phosphorus, iron, etc. There is an advantage. Leachate is mainly used trichophyte vinegar, Ogapi tree, 칡, Astragalus, Schisandra chinensis, gojija, deodeok, ginseng, plum, maroon, apricot seed, licorice.
일반적으로 침출주를 만들기 위한 침출주용 용기는 상부가 트인 몸체와 몸체의 개방부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데, 침출 재료를 이용하여 침출주를 만들게 되면 재료들이 술에 남아 있을 뿐 아니라, 숙성과정에서 생성된 부산물이나 찌꺼기들이 용기 내부에 떠다니게 되어, 침출주를 식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여과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Generally, a leachable container for making a leachable liquor consists of an open body and a lid covering the opening of the body. When the leachable liquor is made using the leachable material, the materials remain in liquor, as well as by-products generated during the aging process. Residues are floating inside the container, there was a problem that must be filtered separately in order to edible leach.
또한, 침출 재료를 삼베, 부직포 등의 필터백에 싼 후, 침출주를 만들기도 하는데, 이는 찌꺼기들이 걸러지는 효과는 있지만, 재료의 숙성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없고, 침출 재료 외에 필터백을 따로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leaching material is wrapped in a filter bag such as burlap and nonwoven fabric, and then leaching liquor is made, which has an effect of filtering out debris, but the maturation state of the material cannot be easily confirmed, and a filter bag must be prepared separately in addition to the leaching material. There was a hassle.
또한, 용기 입구에 스테인리스로 된 단일필터를 구비한 경우도 있었지만, 이는 침출 재료뿐만 아니라 숙성과정에서 생성된 부산물 및 찌꺼기 등의 부유물들이 한꺼번에 입구 쪽으로 몰려 나와 필터 구멍을 막게 되어 침출주를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없었다. In addition, there was a case in which a single filter made of stainless steel was provided at the inlet of the container, but not only the leach material but also the by-products and debris generated during the aging process came out at the inlet to block the filter hole, thereby effectively filtering the leach liquor. There was no.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침출주용 용기 내부에 용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망상체 간격이 좁아지거나 토출공의 크기가 줄어들도록 다수개의 필터를 구비시켜 내용물을 단계별로 효과적으로 걸러내어 간편하게 깔끔한 상태의 침출주를 음용할 수 있게 하는 침출주용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filters to reduce the size of the discharge hole or narrow the size of the discharge hole in the leachable contain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container to effectively filter the contents step by step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ntainer for leaching liquor that can be easily taken out and drink the leaching liquor in a clean sta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침출주용 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용기에 있어서, 망상체의 형태 또는 다수의 토출공이 천공된 형태의 필터가 상기 용기 내부에 상부필터 및 하부필터로 다중 반복되어 다수 개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각 필터의 망상체 간격이 좁아지거나 토출공의 크기가 줄어들어 내용물이 다단계로 여과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필터 또는 상기 하부필터의 외측면에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 걸리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필터와 하부필터 각각에는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되도록 걸림홈과 걸림돌기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침출주용 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용기에 있어서,
망상체의 형태 또는 다수의 토출공이 천공된 형태의 필터가 상기 용기 내부에 상부필터 및 하부필터로 다중 반복되어 다수 개 구비되며, 상기 몸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각 필터의 망상체 간격이 좁아지거나 토출공의 크기가 줄어들어 내용물이 다단계로 여과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필터와 상기 하부필터 각각에는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되도록 걸림홈과 걸림돌기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필터는 상기 하부필터의 내측에 압입되어 결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상부필터의 외측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하부필터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홈이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침출주용 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용기에 있어서,
망상체의 형태 또는 다수의 토출공이 천공된 형태의 필터가 상기 용기 내부에 상부필터 및 하부필터로 다중 반복되어 다수 개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각 필터의 망상체 간격이 좁아지거나 토출공의 크기가 줄어들어 내용물이 다단계로 여과되도록 하며, 상기 용기는 상기 뚜껑의 상면 일측에 용기 내부의 내용물 토출을 위해 뚜껑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1보조출구와, 이의 밀폐를 위한 제1보조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은, 뚜껑의 양측면에 용기운반을 위한 제1손잡이가 설치되고, 제1보조출구와 직선을 이루는 방향이 되도록 뚜껑의 상면 제1보조출구의 반대쪽 타측에 제2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침출주용 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용기에 있어서, 망상체의 형태 또는 다수의 토출공이 천공된 형태의 필터가 상기 용기 내부에 상부필터 및 하부필터로 다중 반복되어 다수 개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각 필터의 망상체 간격이 좁아지거나 토출공의 크기가 줄어들어 내용물이 다단계로 여과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필터 또는 상기 하부필터의 외측면에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 걸리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필터와 상기 하부필터는 서로 압입되어 억지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eaching liquor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in which contents are stored, and a lid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wherein a filter in the form of a reticular body or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is formed in the container.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petition of the upper filter and the lower filter inside the container, and the plurality of reticular gaps of each filter are narrowed or the size of the discharge hole is reduc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dy to the upper part so that the contents are filtered in multiple stages. Alternatively,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filter is formed with a locking step for catch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each of the upper filter and the lower filt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groove and the locking project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container for leaching liqu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ntainer consisting of a body, the li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the contents are stored,
A plurality of filters in the form of reticular bodies or perforated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provided in the container by a plurality of repetitions of the upper filter and the lower filter, and the reticular spacing of each filter becomes narrower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dy to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The size is reduced so that the contents are filtered in multiple stages, and each of the upper filter and the lower filter has a locking groove and a locking protrusion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Here, the upper filter is preferably pressed into the inside of the lower filter is coupl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filter, and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inside the lower filter.
In addition, the container for leaching liqu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ntainer consisting of a body, the li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the contents are stored,
A plurality of filters in the form of reticular bodies or perforated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provided in the container by being repeatedly repeated by the upper filter and the lower filter, and the reticular spacing of each filter is narrowed or discharg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dy to the upper part.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contents so that the contents are filtered in multiple stages, the container includes a first auxiliary outlet formed integrally with the lid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on one side of the top of the lid, and a first auxiliary stopper for sealing the lid. Characterized in that.
In addition, the lid, the first handle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id, the second handle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first auxiliary outle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so as to be in a straight line with the first auxiliary outlet. good.
In addition, the container for leaching liqu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ntainer consisting of the body is the contents are stored, the li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the form of the reticular body or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perforated filter The filt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petitions of the upper filter and the lower filter inside the container, and the reticular spacing of each filter is narrowed or the size of the discharge hole is reduc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dy to the upper part so that the contents are filtered in multiple stages.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filter or the lower filter is formed with a locking jaw to be caugh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the upper filter and the lower filt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ference fit coupled to each other.
삭제delete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첨부된 도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기술적 사상이 동일한 단순 변형 등의 경우까지를 포함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cludes the case of simple modifications and the like with the same technical spirit.
도 1은 본 발명의 침출주용 용기 내부에 침출 재료가 들어가고, 뚜껑이 닫힌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침출주용 용기 내부에 하부필터 및 상부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침출주용 용기가 협구 용기일 경우, 용기 내부에 상부필터 및 하부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보조출구가 용기 뚜껑에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보조출구 내부에 제1보조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보조출구가 용기 뚜껑에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보조출구 내부에 제2보조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탈방지링이 부착된 제1보조마개가 제1보조출구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침출주용 용기에 제1보조출구, 제2보조출구 및 손잡이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each material enters into the leachabl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id is close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lower filter and the upper filter is mounted inside the leachabl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the upper filter and the lower filter is mounted inside the container when the leachabl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arrow pin vessel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ed.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first auxiliary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container li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first auxiliary filter is mounted inside the first auxiliary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econd auxiliary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container lid,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second auxiliary filter is mounted inside the second auxiliary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first auxiliary stopper attached to the release preventing 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irst auxiliary outlet.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first auxiliary outlet, the second auxiliary outlet and the handle is installed in the leaching container for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침출주용 용기는 내용물 저장을 위한 용기 몸체(10), 몸체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뚜껑(20), 하부필터(12) 및 상부필터(14)로 구성된다(도 1, 도 2). The leaching liquor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침출주는 양조주나 증류주에 과일, 향료, 약초, 과즙, 당분 등을 첨가해서 만드는 술인 '리큐르(liqueur)'의 일종으로, 약재 및 과실로 만드는 술은 대부분 리큐르에 속한다.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식용이 가능한 재료는 모두 술의 재료가 될 수 있으며 자신만의 방법으로 개성이 강한 술을 만들 수도 있다. 국내의 대표적인 리큐르는 매실주, 인삼주, 오가피주, 복분자주, 머루주 등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오렌지를 주원료로 한 큐라소, 약초 및 향초를 이용한 캄파리, 커피를 이용한 칼루아, 코코넛을 이용한 말리브 등 많은 종류의 리큐르가 생산되고 있다. 리큐르는 칵테일의 맛과 향을 더해 주는 첨가제로도 널리 사랑받고 있다.Leaching liquor is a kind of liqueur, a liquor made by adding fruits, spices, herbs, juices, and sugars to brews or distilled liquors, and most liquor made of medicinal herbs and fruits belong to liqueurs. All edible ingredients that can be obtained in nature can be the ingredients of alcohol, or you can make a strong alcohol in your own way. Representative liqueurs in Korea include plum wine, ginseng wine, ogapi wine, bokbunja wine, and maroon wine, and the world's main ingredients include curacao, oranges, medicinal herbs and herbs, campari, coffee, kalua, and coconut. Liqueur is produced. Liqueur is also widely loved as an additive that adds to the taste and aroma of cocktails.
우리 주변에는 각종 유기산, 비타민, 칼슘·인·철 등과 같은 무기질, 각종 단백질, 당분 등이 포함된 약초나 과실이 많이 있는데, 이것들을 술에 녹여 몸에 좋은 성분을 약으로 섭취하면, 그것이 바로 약술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만든 약술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므로 적당량을 꾸준하게 섭취할 수 있다. 살구씨, 칡 등과 같이 간단하게 섭취하기 어려운 재료를 약술로 만들어 재료에 포함된 유용 성분들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도 있다. Around us, there are many herbs and fruits that contain various organic acids, vitamins, minerals such as calcium, phosphorus, iron, various proteins, and sugars.If you dissolve them in alcohol and consume healthy ingredients as medicine, it is the medicine It will be. This medicine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so you can continue to take the appropriate amount. You can make simple ingredients such as apricot seeds, 칡, etc. to easily consume the useful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ingredients.
적당하게 마시는 술은 혈액순환 개선, 신진대사 촉진, 신경안정, 그리고 위장에 적당한 자극을 주어 소화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질병의 원인이 되는 스트레스의 해소에도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Proper drinking can improve digestion by improving blood circulation, promoting metabolism, nerve stabilization, and gastrointestinal stimulation. It also acts as a positive factor in relieving stress that causes disease.
이러한 침출주는 일반적인 소주, 양주, 맥주 등에 비해 침출 재료로 쓰이는 약초나 과실 내에 포함된 영양성분들을 함께 섭취할 수 있어 건강에 이로우며, 최 근 급증하고 있는 수입 양주를 대체할 수 있는 우리 고유의 전통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se leaching liquors can be consumed with nutrients contained in herbs or fruits used as leaching ingredients, compared to general shochu, liquor, beer, etc., which is beneficial to health, and our own traditional liquor that can replace the recently increasing number of imported liquor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function as.
일반적으로 침출주를 담글 때, 용기 몸체(10) 내에 침출 재료를 넣고, 술을 부어 숙성시킨다. 이 과정에서 침출 재료들은 술에 잠긴 후, 재료가 함유하고 있는 유용 성분들이 술에 녹아나오며, 술이 접촉되는 재료들의 조직이 껍질부분에서 안쪽으로 서서히 연화되고, 물렁거리며 재료의 일부가 뜯어져 나와 부유물을 형성한다.In general, when immersing the leaching liquor, the leaching material is put into the
그러므로, 침출주가 완성된 후, 음용시 침출 재료들을 거르는 것 외에도 미세한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거르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이는 별도의 여과장치나 필터지를 이용하여 걸러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침출 재료를 삼베나 부직포 등의 필터백에 싸서 숙성시키는 경우에는 필터백이 술에 함께 잠기게 되어 위생상으로도 좋지 않으며, 재료들이 숙성되어 가는 과정을 쉽게 관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Therefore, after the leaching liquor is completed, in addition to filtering the leaching materials for drinking, there is a need for an apparatus for effectively filtering fine suspended matter. This is inconvenient to filter out using a separate filter or filter paper. When the leach material is wrapped in filter bags such as burlap or nonwoven fabric and aged, the filter bags are immersed together in alcohol, which is not good for hygiene, and it is difficult to easily observe the aging process.
또한, 용기가 광구(입구가 넓은) 용기일 경우, 용기를 들어 내용물을 따를 때, 침출 재료가 함께 나와버리거나, 가라앉아 있던 여러 가지 부유물들이 섞여 함께 따라지게 된다. 재료가 필터백에 싸여 있는 경우에도 필터백 자체가 입구쪽으로 쏠려 나올 수 있다. 용기가 협구 용기일 경우에는 재료나 재료를 싸고 있는 필터백이 입구로 쏠려 입구가 막히는 경우도 있다.In addition, if the container is a wide-mouth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lifted and the contents are poured out, the leaching material may come out together, or the various suspended substances may be mixed and poured together. Even if the material is wrapped in the filter bag, the filter bag itself may be directed toward the inlet. If the container is a narrowing container, the material or the filter bag enclosing the material may be directed to the inlet and block the inle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침출주 용기들 중에 입구에 단일필터를 구비시켜, 내용물 토출시 침출 재료가 쏟아지지 않도록 한 것이 있지만, 이는 침출재료와 부유물들이 한꺼번에 입구쪽으로 쏠리면서, 필터 구멍을 막게 되어, 침 출주의 원활한 토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ome of the conventional leachable containers are provided with a single filter at the inlet so that the leachable material does not spill whe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but the leachable material and the floating materials are swept toward the inlet at the same time, thereby blocking the filter hole. There was a problem that smooth discharge of leaching liquor was difficult.
이에, 본 발명자는 용기 내부에 종류가 다른 필터를 단계별로 구비시켜 침출 재료 및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거를 수 있도록 해주는 침출주용 용기를 개발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a leachable container for allowing filtration of leachable materials and suspended solids by providing different types of filters inside the container in stages.
한편, 본 발명의 용기 몸체(10)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모양이면 특정의 모양에 한정되지 않으나,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광구 용기와 협구 용기 모두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용기 몸체(10)나 뚜껑(20)의 재질로는 유리나 PET, PVC 같은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As a material of the
또한, 용기 몸체(10)는 침출주의 숙성 과정 관찰이 용이한 투명한 색상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며, 빛에 의한 광합성 및 산화작용으로 술맛이 변질되거나 숙성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색상을 띠거나. 투명용기 겉면에 유색필름을 코팅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발명의 각 필터는 망상체의 형태 또는 다수의 토출공이 천공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용기 내부에 상부필터 및 하부필터로 다중 반복되어 다수 개 구비되는 것이 좋은데, 이는 용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각 필터의 망상체 간격이 좁아지거나 토출공의 크기가 줄어들어 내용물이 다단계로 여과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ach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reticular body or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perforated,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petitions of the upper filter and the lower filter in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which is gradually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o the top Contents can be filtered in multiple stages by narrowing the reticular spacing of each filter or reducing the size of the discharge hole.
상기 하부필터(12) 및 상부필터(14)는 용기 내부에 다수개의 필터가 설치될 때, 상대적인 위치를 말하는 것으로, 다수개의 필터들 중 상부 쪽에 위치한 필터를 상부필터, 하부 쪽에 위치한 필터를 하부필터라 칭한 것이다. The
상기 하부필터(12)는 침출주를 따를 때, 몸체(10) 내부의 내용물의 주재료 및 건더기를 거르기 위한 것이며, 상부필터(14)는 건더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부유물들을 거르기 위한 것인데, 부유물로는 주로 침출주의 숙성과정에서 생성된 부산물 및 찌꺼기 등이 해당된다. The
하부필터(12)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 모양으로 상단과 하단이 동일한 폭을 가지거나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밑면과 측면이 망상체 형태 또는 다수의 토출공이 천공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망상체의 간격이나 토출공의 크기는 용기에 담기는 내용물에 따라 쓰임새에 맞게 다양한 종류로 제작될 수 있다. 가장 상부 쪽 필터 내부 밑면 및 측면에 여과지를 추가로 장착시켜, 높은 순도로 정제된 내용물을 얻을 수도 있다.The
또한, 하부필터(12)가 몸체(10)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데, 몸체(10) 입구와의 끼워맞춤 결합을 통해 몸체(10) 상부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필터(12) 외주면에 몸체(10) 상면에 걸리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끼워맞춤 방식이란 걸림홈이나 걸림돌기간 결합없이 필터 외측면과 몸체(10) 내측면이 맞닿는 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장착시키는 것을 의미하는데, 잘 빠지지 않도록 맞닿는 면이 이격공간 없이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In addition, the
한편, 상부필터(14)는 밑면과 측면이 하부필터(12)에 비해 간격이 좁은 망상체 형태 또는 크기가 작은 토출공이 다수 개 천공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필터(14)는 하부필터(12) 내부나 상부에 안착되는데, 하부필터(12) 내측면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부필터(14)의 외측면에 상기 걸림홈과 대응되는 걸림돌기를 형성 하여, 걸림돌기와 걸림홈의 결합을 통해 몸체(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도 2).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상부필터(14) 및 하부필터(12)는 일체로 성형되어 몸체(10) 내부에 장착되거나, 분리가능한 각각의 필터들이 결합되어 몸체 내부에 장착되거나, 각각의 필터들이 따로 몸체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용기 몸체의 입구 쪽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The
이렇게 단계별 여과가 가능한 필터가 구비된 침출주용 용기는 침출 재료뿐만 아니라 침출 재료가 숙성된 후 생성되는 여러 가지 부산물이나 찌꺼기들을 크기별로 여과할 수 있으므로, 재료들에 의해 필터 구멍이 막히는 빈도도 줄어들며, 모든 재료가 입구로 한꺼번에 몰리지 않으므로 토출량 조절도 용이해진다. The leaching liquor container equipped with a filter capable of filtering in stages can filter not only the leaching material but also various by-products or debris generated after the leaching material is aged, thereby reducing the frequency of clogging of the filter holes by the materials. It is easy to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because all the materials are not driven to the inlet at once.
한편, 본 발명의 용기가 협구 용기인 경우는 용기 몸체(50) 내부에 하부필터(52), 상부필터(54)를 도 3과 같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arrowing container, the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필터가 구비된 침출주용 용기 몸체(10) 내부에 과실이나 약재 등의 침출 재료를 구비시킬 수 있다(도 1).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with a leaching material such as fruit or medicine in the
침출 재료로는 술에 침출시켜 숙성시켜 먹을 수 있는 재료라면 특정의 재료에 한정하지는 않으나, 주로 삼지구엽초, 옻나무, 오가피나무, 엄나무, 칡, 황기, 당귀, 오미자, 구기자, 더덕, 인삼, 매실, 머루, 오디, 살구씨, 감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주가 되는 상기 재료 이외에도 침출주 맛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른 첨가물들을 함께 넣을 수 있는데, 설탕, 과당, 자일리톨, 꿀 등의 감미료, 전분, 효율적인 숙성을 돕는 발효균이나 효모를 첨가하는 것도 좋으며, 경우에 따라 술의 맛을 돋워주는 향료를 첨가할 수도 있다. The leaching material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material as long as it can be leached and eaten by alcohol. You can use maroon, audi, apricot seeds, licorice, etc. In addition to the above main ingredients, other additives may be added together to enhance the taste of the leach liquor, and sugar, fructose, xylitol, honey and other sweeteners, starch, and fermentation bacteria or yeasts for efficient ripening may be added. You can also add flavoring flavors.
상기 침출 재료 및 침출주 첨가물은 변질을 막기 위해 진공포장되어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출 재료나 첨가물들을 비닐팩에 진공 포장하여 용기 내에 넣을 수도 있으며, 재료가 완전 건조된 상태의 약초인 경우에는 멸균된 명주실이나 끈으로 묶어 보관시킬 수도 있다.The leaching material and the leaching liquor additive are preferably vacuum packed to prevent deterioration and provided inside the body. Leaching materials or additives may be vacuum packed in plastic packs and placed in containers. If the material is a fully dried herb, it may be stored in a sterile silk or string.
상기 여러 가지 포장법 모두에 있어서, 침출 재료가 내장된 용기 몸체(10)가 뚜껑(20)과 결합 후 밀폐되도록, 뚜껑(20) 내부에 패킹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의 재질은 코르크, PE시트, 실리콘시트, 합성수지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In all of the various packaging methods, it is preferable that a packing is formed inside the
상기에서 설명한 침출 재료가 담긴 침출주 용기는 용기 내부에 침출 재료 및 첨가물이 구비되어 있어 용기에 술만 부어 숙성시키면, 간편하게 침출주를 얻어낼 수 있으며, 침출 재료를 달리하는 침출주 용기를 선택하여 다양한 종류의 침출주를 손쉽게 담가 먹을 수 있다. 이는 일반가정에서 침출주를 만들기 위해 준비하는 시간과 노력을 대폭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출 재료의 양이나 첨가물을 최적조건으로 조절하여 침출주를 담글 수 있게 함으로써 맛의 풍미를 증대시킬 수 있다. The leaching liquor container containing the leaching material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leaching material and additives inside the container, so that only by pouring alcohol into the container, the leaching liquor can be easily obtained, and the leaching liquor having different leaching materials can be selected to select various leaching liquor. You can eat soak easily. This not only greatly saves the time and effort to prepare the leaching liquor in the home, but also enhances the flavor by allowing the leaching liquor to be immersed by optimally adjusting the amount or additives of the leaching material.
또한, 침출주는 일반적인 소주, 양주, 맥주 등에 비해 재료로 쓰이는 약초나 과실 내에 포함된 영양성분들을 함께 섭취할 수 있어서 건강에 좋다. In addition, leaching liquor is good for health because it can be consumed together with the nutrients contained in herbs or fruits used as ingredients compared to the general shochu, liquor, beer and the like.
상기 본 발명의 침출주용 용기 내에 구비되는 침출 재료 및 첨가물의 양이나 종류를 조절하여 최적의 맛을 내는 침출주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풍미가 뛰어난 침출주를 좀 더 손쉽게 담가 먹을 수 있게 되므로, 우리 고유의 전통주로서 자리매김하여 최근 급증하고 있는 수입 양주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amount or type of leaching material and additives provided in the leaching liquor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ke a leaching liquor having an optimal taste. This makes it easier to soak savory leached liquor, so it can have the effect of replacing the imported liquor, which has recently risen as our own traditional liquor.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뚜껑(20)의 상면 일측에 용기 내부의 내용물 토출을 위해 뚜껑(20)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1보조출구(30)와 이의 밀폐를 위한 제1보조마개(32)를 포함할 수 있다(도 4).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제1보조출구(30)는 필요에 따라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토출시키기 위해 뚜껑(20)에 설치된다. 뚜껑(20)을 열어 용기 몸체(10)의 개구부로 내용물을 토출시키면, 너무 많은 양이 한꺼번에 나올 수 있어서 토출량을 조절하기가 어렵고, 내용물이 액체인 경우 용기를 타고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다. The first
입구를 작게 성형한 제1보조출구(30)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따르면, 몸체(10)의 개구부로 따를 경우에 비해 내용물을 소량만 토출하기가 용이하고 위생적이며 작은 용기에 따를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contents using the first
또한, 상기 제1보조출구(30) 내부에 제1보조필터(34)를 구비시켜, 한번 더 정제된 상태의 내용물을 얻어낼 수 있다. 제1보조필터(34)는 제1보조출구(30) 내부에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구비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1보조출구(30)의 상면에 걸리도록, 제1보조필터(34) 상주면에 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용물 토출을 위해 용기를 기울일 때, 필터가 빠지지 않도록, 제1보조출구(30) 내부로 제1보조필터(34)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이 좋다(도 5).In addition, the first
한편, 상기 제1보조필터(34)는 단계별로 여과가 가능한 이중필터이거나 다중필터일 수 있다. 이는 망상체 간격이 넓거나 토출공 크기가 큰 것을 하부에 설치하고 상대적으로 망상체 간격이 좁거나 토출공 크기가 작은 것을 상부에 설치하여 내용물의 단계별 여과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용기 몸체(10)에 구비된 필터들에 의해 여과된 내용물을 좀 더 깔끔하게 정제할 수 있다. 이때, 제1보조필터(34)는 몸체(10)에 설치된 필터들보다 망상체 간격이 훨씬 좁고, 토출공 크기가 작은 것들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제1보조출구(30)에 제1보조필터(34)가 구비되면, 침출주용 용기 내부에 필터가 없더라도 내용물 토출시에 침출 재료가 제1보조필터(34)에 걸리게 되어 제1보조출구(30)를 직접적으로 막지 않으므로, 내용물 토출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the first
한편, 본 발명의 침출주용 용기는 상기 뚜껑(20)의 일측면에 뚜껑(20)과 일체로 성형되는 제2보조출구(40)와 이의 밀폐를 위한 제2보조마개(42)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보조출구(40) 내부에 제2보조필터(44)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도 6, 도 7).On the other hand, the leaching liquor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econd side of the
제2보조출구(40)는 제1보조출구(30)에 비해 크기를 작게 설치하는 것이 좋으며,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제2보조마개(42)를 열고 닫음으로써, 침출주용 용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제2보조출구(40) 내부에 구비되는 제2보조필터(44)는 상기 다른 필터들에 비해 간격이 아주 좁은 망상체나 토출공 크기가 미세 한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보조출구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이 좋다(도 7).The
제2보조출구는 공기 유입구로 사용될 수 있다. 침출주용 용기의 제1보조출구(30)로 내용물을 토출시킬 때, 많은 양이 한꺼번에 출구로 몰리면서 출구가 막혀 잘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다. 특히 내용물이 액체인 경우, 용기 내부의 공기 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액체가 쿨럭거리면서 나오게 되어 토출량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때, 제2보조출구(40)를 막고 있는 제2보조마개(42)를 풀어주면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므로 안전하고 쉽게 따를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내용물이 발효주인 경우, 제2보조출구(40)의 마개를 약간 열어두어 발효되면서 발생하는 가스를 빼낼 수 있다. The second auxiliary outlet may be used as the air inlet. When discharging the contents to the first
또한, 제2보조출구(40)는 토출구로 사용될 수 있다. 내용물을 작은 용기에 따를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제2보조필터(44)가 장착된 경우, 정제된 내용물을 바로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한편, 본 발명의 제1보조마개(32)는 제1보조출구(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한 이탈방지링(33)이 제1보조마개(32)의 일측면에 부착되고, 제1보조출구(30)는 상기 이탈방지링(33)이 걸리기 위한 걸림턱이 제1보조출구(3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도 8). On the other hand, the first
또한, 본 발명의 제2보조마개(42)도 제2보조출구(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한 이탈방지링(43)이 제2보조마개(42)의 일측면에 부착되고, 제2보조출구(40)는 상기 이탈방지링(43)이 걸리기 위한 걸림턱이 제2보조출구(40)의 외주면에 형성 되는 것이 좋다(도 6). In addition, the second
한편, 하부필터(12), 상부필터(14), 제1보조필터(34), 제2보조필터(44)의 재질은 스테인리스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에도 PET, PVC 등의 합성수지, 알루미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제1보조마개(32), 제2보조마개(42) 내측에 패킹을 성형시켜 제1보조출구(30), 제2보조출구(40)와 결합시 완전히 밀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의 재질은 코르크, PE시트, 실리콘시트, 합성수지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form a seal in the first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뚜껑(20)은 뚜껑의 양측면에 용기운반을 위한 제1손잡이(22)가 설치되고, 제1보조출구(30)와 직선을 이루는 방향이 되도록 뚜껑(20)의 상면 제1보조출구(30)의 반대쪽 타측에 제2손잡이(24)가 설치될 수 있다(도 9). On the other hand, the
제2손잡이(24)는 제1손잡이(22)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성형되어 뚜껑(20)에 일체형 또는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모든 경우에 있어서 용기 내용물 토출시 제2손잡이(24)는 뚜껑(20)에 고정되어 흔들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제1보조출구(30)로 내용물을 토출하는 경우, 반대쪽에 설치된 제2손잡이(24)를 이용하면 안정적으로 용기 몸체(10)를 잡을 수 있어서 작은 힘으로도 무거운 침출주용 용기를 다루기가 용이하며, 쉽게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In the case of discharging the contents to the first
한편, 본 발명의 침출주용 용기는 뚜껑(20)과 결합된 상태의 침출주용 용기 가 적재될 수 있도록 제1보조출구(30)와 결합된 상태의 제1보조마개(32), 제1손잡이(22), 및 제2손잡이(24)의 상면 높이가 수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 On the other hand, the leaching container for leach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한편, 제1보조출구(30)와 제1보조마개(32)는 시판되고 있는 페트병 상부의 음료수 토출구 및 마개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도록 형상하여, 범용용기인 페트병의 마개를 본 발명의 침출주용 용기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한편, 본 발명의 침출주용 용기에는 약재나 과실 등의 재료가 포함되는 침출주 외에도 간장류, 식용유, 생수 등의 액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분말상의 가루도 저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eaching liquor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liquids such as soy sauce, cooking oil, bottled water, as well as leaching liquor containing materials such as medicines and fruits, and can also store powdery powder.
또한, 본 발명의 필터부가 내장된 침출주용 용기에 백차, 녹차, 우롱차, 홍차, 가향차, 허브차 등의 차(茶) 원료를 일정량 넣고 여기에 끓는 물을 부어 침출차를 만든 후 토출시키면, 여과된 차를 간편하게 즐길 수 있으며, 일시에 많은 양의 침출차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 certain amount of tea raw materials, such as white tea, green tea, oolong tea, black tea, fragrance tea, herbal tea, etc. in a leachable container containing the filt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ured into boiling water to make a leaching tea and then discharged, You can enjoy the filtered tea easily, and you can make a large amount of leaching tea at one time.
본 발명에 따르면, 침출주용 용기에 다수개의 필터를 구비시킴으로써, 내용물을 단계별로 걸러낼 수 있으며, 필터 구멍이 잘 막히지 않아 내용물 토출이 용이하여 깔끔한 상태의 침출주를 음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lurality of filters in the container for leaching liquor, the contents can be filtered step by step, the filter hole is not clogged well,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drink the leaching liquor in a clean state.
용기 내부에 적정량의 침출 재료를 구비시켜, 술만 부어 숙성시키면 간편하게 풍미가 뛰어난 침출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f a suitable amount of leaching material is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and only alcohol is poured and matured, the leaching liquor excellent in flavor can be easily obtained.
침출주용 용기의 뚜껑에 보조출구를 설치하고, 보조출구 내부에 필터를 구비시킴으로써, 보조출구로 내용물 토출시 정제된 내용물을 간편하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By installing the auxiliary outlet on the lid of the leaching liquor container, and having a filter inside the auxiliary outle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obtain the purified contents when discharging the content to the auxiliary outlet.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2095A KR100810658B1 (en) | 2006-12-05 | 2006-12-05 | Leach Container with Fil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2095A KR100810658B1 (en) | 2006-12-05 | 2006-12-05 | Leach Container with Fil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10658B1 true KR100810658B1 (en) | 2008-03-06 |
Family
ID=3939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2209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0658B1 (en) | 2006-12-05 | 2006-12-05 | Leach Container with Fil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1065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4422B1 (en) | 2009-03-13 | 2011-10-17 | 김태선 | Alcohol tablets and ingredient adder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36066A (en) * | 1993-11-11 | 1995-05-30 | Asahi Chem Ind Co Ltd | Container-shaped multilayer filter |
KR960030342U (en) * | 1995-03-09 | 1996-10-22 | 정병선 | Multi pipe with double strain structure |
KR100650997B1 (en) | 2005-11-25 | 2006-11-30 | 한국농업전문학교산학협력단 | Fermentation vessel for casting with strainer and hollow filter |
-
2006
- 2006-12-05 KR KR1020060122095A patent/KR10081065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36066A (en) * | 1993-11-11 | 1995-05-30 | Asahi Chem Ind Co Ltd | Container-shaped multilayer filter |
KR960030342U (en) * | 1995-03-09 | 1996-10-22 | 정병선 | Multi pipe with double strain structure |
KR100650997B1 (en) | 2005-11-25 | 2006-11-30 | 한국농업전문학교산학협력단 | Fermentation vessel for casting with strainer and hollow filt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4422B1 (en) | 2009-03-13 | 2011-10-17 | 김태선 | Alcohol tablets and ingredient adder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1278538B2 (en) | Method for brewing beverage and cartridge containing infusible material | |
AU2004212687B9 (en) | Beverag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can, also usable for the extemporaneous preparation of beverages by extraction and/or infusion | |
US5906845A (en) | Flavoring devices | |
US20050263414A1 (en) | Dispensing capsule | |
US8309149B2 (en) | Packing method and corresponding covers for hydrogen-reduced water or food production | |
EP0424157B1 (en) | Container and method for preparing and using alcoholic extracts | |
KR100810658B1 (en) | Leach Container with Filter | |
CN110234256B (en) | Infusion device and method for brewing a beverage | |
KR101599443B1 (en) | Tea Bag storage is possible water bottles | |
KR101918468B1 (en) | Multi tea capsule | |
EP0716031B1 (en) | Flavouring devices and methods | |
WO2009062382A1 (en) | A minisize sipper | |
KR200261750Y1 (en) | Cap of a vessel | |
CN220077029U (en) | Beverage packaging device for bottled water mixing and drinking at present | |
CN103756840A (en) | Pink wine brewed by Catawba grapes and brewing method thereof | |
KR20130056794A (en) | Heterogeneous substance storage device with separated alcohol and flavor | |
JPH0420260A (en) | Stock ingredient-containing liquid stock pack | |
RU36654U1 (en) | DRINKING VESSEL | |
KR20040052628A (en) | Specializes in removing water, beverages, liquor, and milk, or other non-specific harmful liquids from milk, and using these methods to produce water, beverages, alcohol, or milk, and those made using them. How to | |
AU2015201017B2 (en) | Method for brewing beverage and cartridge containing infusible material | |
KR20040030771A (en) | Method for removing light weighted harmful fluid from water, beverage, wine or milk | |
KR200347772Y1 (en) | Bottles with lids on both sides | |
KR200312217Y1 (en) | An instrument and water drinking | |
KR200341752Y1 (en) | Tea cup | |
CN201325663Y (en) | Packaging device for assorted Chinese herbal te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2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