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443B1 - Tea Bag storage is possible water bottles - Google Patents
Tea Bag storage is possible water bott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9443B1 KR101599443B1 KR1020150155137A KR20150155137A KR101599443B1 KR 101599443 B1 KR101599443 B1 KR 101599443B1 KR 1020150155137 A KR1020150155137 A KR 1020150155137A KR 20150155137 A KR20150155137 A KR 20150155137A KR 101599443 B1 KR101599443 B1 KR 1015994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a bag
- bottled water
- lid
- water bottle
- te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백 보관이 가능한 생수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수병의 한 부분에 뚜껑부재가 결합된 티백 보관이 가능하도록 보관홈을 형성하며, 티백을 분리하여 생수병의 뚜껑을 제거한 후 뚜껑 대신 결합하여 티백에 보관된 내용물이 생수병에 우러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차 또는 음료로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하는 티백 보관이 가능한 생수병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티가 보관되며 필터부재로 이루어지는 본체의 상측에 날개가 형성되는 티백을 생수병의 주둥이에 결합하여 생수에 차를 우려낼 수 있도록 하는 생수병에 있어서,
상기 티백의 본체 상측에서 날개를 감싸며 고정되고 뚜껑나사에 결합하는 뚜껑을 제거한 후 상기 뚜껑나사와 결합하여 생수가 배출되지 않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뚜껑을 대신하는 뚜껑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생수병의 한 부분에 형성하며 본체가 보관되는 티백 보관홈이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티백 보관홈의 상측으로 뚜껑부재가 위치하는 뚜껑 보관홈을 형성하되;
상기 뚜껑 보관홈이 티백 보관홈의 상측에서 더 크게 단이지도록 형성되어 보관되는 티백이 뚜껑부재를 이용하여 생수병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ttled water bottle capable of storing a tea bag,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ttled water bottle capable of storing a tea bag in which a lid member is coupled to a part of a bottled water bott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ttled water bottle which can be stored in a teabag instead of a lid so that the contents stored in the teabag come into contact with the bottled water bottle so as to be made into various tea or drink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ttled water bottle in which tea is stored and a tea bag in which a wing is formed on an upper side of a body made of a filter member is joined to the mouth of a bottled water bottle to make tea bottles possible,
A lid member which is fix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of the tea bag and which is fixed to the lid and which is formed with threads to prevent the living water from being discharged after being removed from the lid screwed to the lid screw, And a lid storage groove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tea bag storage groove and having a lid member located above the tea bag storage groove;
And the tea bag is formed so that the lid storage groove is formed so as to be larger than the upper side of the tea bag storing groove, and is attached to the bottled water bottle by using the lid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티백 보관이 가능한 생수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수병의 한 부분에 뚜껑부재가 결합된 티백 보관이 가능하도록 보관홈을 형성하며, 티백을 분리하여 생수병의 뚜껑을 제거한 후 뚜껑 대신 결합하여 티백에 보관된 내용물이 생수병에 우러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차 또는 음료로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하는 티백 보관이 가능한 생수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ttled water bottle capable of storing a tea bag,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ttled water bottle capable of storing a tea bag in which a lid member is coupled to a part of a bottled water bott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ttled water bottle which can be stored in a teabag instead of a lid so that the contents stored in the teabag come into contact with the bottled water bottle so as to be made into various tea or drinks.
일반적으로 차(tea)라 함은 전 세계적으로 애용하는 기호 음료로써, 차 원료에 따라 무수히 많은 종류를 이루고 있다.Generally, tea is a favorite beverage used around the world. It is made up of many kinds according to tea ingredients.
일상생활에서 쉽게 취할 수 있는 것으로, 녹차, 홍차, 커피 등이 있으며, 이들은 분말상태로 포장(티백)되어 유통·판매되거나, 생산과정에서 생수와 혼합되어 액상으로 판매되고 있다.There are green tea, tea, coffee, etc. that can be easily taken in everyday life. They are packaged (tea bag), distributed or sold in powder form, or mixed with bottled water in the production process and sold in liquid form.
후자의 경우, 티를 액상으로 판매하기 위해서는 이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가 요구되는 바, 현재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는 페트병(PET BOTTLE)과 금속재질의 캔 형태로 이루어진 용기가 사용된다.In the latter case, in order to sell tea as a liquid, a container for storing it is required, and a container made of a PET bottle and a can made of a metal material is widely used at present.
지금까지는 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생수와 혼합하여 액상의 티를 가공한 후 이를 용기에 넣어 판매하고 있으므로 생산과정이나 유통·판매되는 과정에서 용기에 담긴 티의변질을 예방하고 유통기간을 최대한 길게 유지하기 위해 위생처리 및 진공포장이 이루어지게 된다.Until now,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eas, we have processed liquid teas by mixing them with bottled water and sold them in containers. Therefore, we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eas contained in containers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distribution, and sale, The sanitary treatment and the vacuum packaging are performed.
특히, 용기에 담긴 액상의 티는 생수와 혼합되는 혼합 비율에 따라, 그 맛과 향 및 농도 등이 다르게 이루어진다.Particularly, the liquid teas contained in the containers are different in flavor, aroma, and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to be mixed with the living wat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티, 즉 생산과정에서 액상으로 가공되어 용기에 담겨져 유통·판매되고 있는 티는 정량화된 제품으로서, 생수와 혼합비율에 따른 농도가 거의 일률적이므로, 동일한 맛과 향을 제공하게 된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tee, that is, the tee which is processed into a liquid form and then put into a container and distributed and sold in the production process is a quantified product, th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with the living water is almost uniform, .
따라서, 휴대가 간편하고 언제 어디서라도 쉽게 티를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사용자 개개인의 입맛과 취향에 적합한 티 본연의 맛을 즐길 수 있으며, 액상으로 티가 용기에 담겨진 상태로 유통·판매되어 사용자가 섭취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요구되므로, 티의 변질 우려가 높고, 신선도가 떨어지게 되어 고유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없는 결점이 있다.Therefore, it is easy to carry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ingest tea anytime and anywhere. However, it is possible to enjoy the taste of tea which is suitable for each taste and taste of each user, Therefore,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user tends to take a lot of time to ingest, so that there is a high risk of deterioration of the tee, a drop in freshness, and an inherent taste and flavor can not be felt.
그리고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공개번호 제2015-0074521호(2015. 07. 02. 공개)는 차가 담겨진 몸체의 상측으로 뚜껑부재를 결합한 티백을 독립되게 판매하여 구입한 소비자가 생수를 구입한 후 뚜껑을 제거한 후 티백의 상측에 결합한 뚜껑부재를 생수병에 결합하여 흔들어서 티백의 차가 우러나오도록 함으로써 차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Patent Publication No. 2015-0074521 (published on May 27, 2010) discloses a tea bag which is sold separately from a tea bag having a lid member coupled to an upper side of a body containing a car, and after purchasing bottled water, And the lid member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tea bag was joined to the bottled water bottle to shake the tea bag so that the tea bag could come out.
그러나 티백과 생수병을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동시에 구비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것이 불편하며, 티백의 대중화를 이끌어 가는데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of purchasing the tea bag and the bottled water bottle separately, and occupying a separate space, occupying a lot of space and inconvenient to move while being equipped, and it has been difficult to lead the popularization of the tea bag.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생수병의 한 부분에 뚜껑부재를 갖는 본체로 이루어진 티백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홈을 형성하여 생수병에 티백이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ottled water bottle,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 storage groove for storing a tea bag made of a body having a lid member on a part of the bottled water bottle, So as to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생수병에 결합된 티백을 분리하여 생수병의 뚜껑을 제거하여 티백의 뚜껑부재를 결합한 후 생수병에 있는 생수를 즉석에서 티로 만들어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parate the tea bags bound to the bottled water bottles and remove the lid of the bottled water bottles, thereby joining the lid member of the tea bag, and then making the bottled water in the bottled water bottles instantly.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생수병과 티백을 결합하여 생수 또는 티를 선택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하며, 티의 농도 조절과 외부에서 생수를 투입하여 여러 번 티를 우려내어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ixing and mixing bottled water with tea bags to selectively drink bottled water or tea and to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tea and to supply bottled water from outside to drink tea do.
본 발명은 티가 보관되며 필터부재로 이루어지는 본체의 상측에 날개가 형성되는 티백을 생수병의 주둥이에 결합하여 생수에 차를 우려낼 수 있도록 하는 생수병에 있어서,
상기 티백의 본체 상측에서 날개를 감싸며 고정되고 뚜껑나사에 결합하는 뚜껑을 제거한 후 상기 뚜껑나사와 결합하여 생수가 배출되지 않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뚜껑을 대신하는 뚜껑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생수병의 한 부분에 형성하며 본체가 보관되는 티백 보관홈이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티백 보관홈의 상측으로 뚜껑부재가 위치하는 뚜껑 보관홈을 형성하되;
상기 뚜껑 보관홈이 티백 보관홈의 상측에서 더 크게 단이지도록 형성되어 보관되는 티백이 뚜껑부재를 이용하여 생수병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ttled water bottle in which a tea bag in which a tea is stored and a wing is formed on an upper side of a body made of a filter member is joined to the mouth of a bottled water bottle,
A lid member which is fix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of the tea bag and which is fixed to the lid and which is formed with threads to prevent the living water from being discharged after being removed from the lid screwed to the lid screw, And a lid storage groove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tea bag storage groove and having a lid member located above the tea bag storage groove;
And the tea bag is formed so that the lid storage groove is formed so as to be larger than the upper side of the tea bag storing groove, and is attached to the bottled water bottle by using the lid member.
삭제delete
본 발명은 생수병의 한 부분에 뚜껑부재를 갖는 본체로 이루어진 티백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홈을 형성하여 생수병에 티백이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하며, 티백을 사용하기 위해서 간편하게 분리 및 결합 가능하여 포장 및 사용이 편리하므로 사용자가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orage groove capable of storing a tea bag made of a body having a lid member on a part of a bottled water bottle is formed so that the tea bag can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bottled water bottle and can be easily separated and combined to use a tea bag, It is convenient to use, so it offers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make various choices.
본 발명은 생수병에 결합된 티백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생수병의 뚜껑을 제거한 후 뚜껑을 제거한 위치에 티백의 뚜껑부재를 결합한 후 생수병에 있는 생수를 즉석에서 티로 만들어 마실 수 있도록 하며, 티의 농도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즉석에서 유기농 또는 자연 그대로의 티(차)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a bag bonded to the bottled water bottle is easily separated, the lid of the bottled water bottle is removed, the lid member of the tea bag is joined to the removed position of the lid, and the bottled water in the bottled water bottle is instantly made into tea, So that the user can drink instantly organic or natural tea (tea).
본 발명은 생수병과 티백을 결합하여 생수 또는 티를 선택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하며, 티의 다양한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한 번 마신 후 외부에서 새로운 생수를 투입하여 여러 번 티를 우려내어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뚜껑부재에 의해 생수 또는 차가 새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combine bottled water and tea bag to select bottled water or tea to be drunk, to select various types of tea, to drink fresh water from outside and to drink tea many times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ttled water or the tea from being leaked by the lid member.
도 1 은 본 발명의 티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티백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티백을 생수병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티백을 생수병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티백을 생수병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티백과 뚜껑을 생수병에서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티백을 생수병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티백을 생수병에 결합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티백을 생수병에 결합한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티백을 생수병에 결합한 다른 실시예의 평면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티백을 생수병에 결합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ea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a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nded to a bottled water bottle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tea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nded to a bottled water bottle
5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tea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nded to a bottled water bottle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tea bag and the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rom the bottled water bottle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where the tea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nded to a bottled water bottl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tea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nded to a bottled water bottle
9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tea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nded to a bottled water bottle
10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tea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nded to a bottled water bottl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tea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nded to a bottled water bottle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티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티백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ea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tea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installed state.
상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다양한 찻잎을 가공하여 보관하는 티를 제공하는 공간을 갖는 본체(11)의 외경을 따라서 다수 개의 관통공(12)을 형성한 후, 상기 관통공(12)을 차단하며 티의 농도를 결정하도록 하는 필터부재(13)와, 상측으로 외경이 돌출되는 날개(14)로 이루어지는 것이다.A plurality of through
상기 날개(14)가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며, 내경으로 본체(11)의 외경에 생수병(30)의 주둥이(35)에 형성한 병나사(34)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21)을 형성하는 뚜껑부재(20)을 갖는 티백(1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티백을 생수병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티백을 생수병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티백을 생수병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티백과 뚜껑을 생수병에서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티백을 생수병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3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tea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nded to a bottled water bottle,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tea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nded to a bottled water bottle,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a bag and the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from the living water bottle, and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tea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nded to the living water bottle.
상측이 개방된 주둥이(35)를 통하여 생수를 공급하며, 상기 주둥이(35)의 외경으로 병나사(34)가 형성되고, 한 부분에 외경에서 안으로 들어가 본체(11)가 위치하는 티백 보관홈(31)을 형성한 후 상기 티백 보관홈(31)의 상측으로 뚜껑부재(20)가 위치하는 뚜껑 보관홈(32)을 형성하는 생수병(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And a
상기 뚜껑 보관홈(32)의 양쪽에는 뚜껑부재(20)를 감싸 고정하기 위한 언더컷(33)이 형성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하는 것이다.On both sides of the
상기 뚜껑 보관홈(32)은 티백 보관홈(31)의 상측에서 더 크게 형성되어 단이 지도록 설치하는 것이다.The
상기 병나사(34)에 결합하는 뚜껑나사(41)가 형성되는 뚜껑(40)을 통하여 생수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And is installed to prevent the discharge of bottled water through a
도 8은 본 발명의 티백을 생수병에 결합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티백을 생수병에 결합한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티백을 생수병에 결합한 다른 실시예의 평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tea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nded to a bottled water bottle, Fig. 9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tea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nded to the bottled water bottle, Fig.
상기 티백(10)을 생수병(30)에 결합하기 위한 티백 보관홈(31)과 뚜껑 보관홈(32)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 보관홈(32)의 상측으로 형성되고 뚜껑부재(20)의 안쪽에서 하측으로 위치하는 상부 분리홈(50)을 더 형성하여 티백(10)의 분리가 편리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A tea
상기 상부 분리홈(50)은 반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손가락 하나가 쉽게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다.The upper separating
상기 티백(10)은 독립되게 비닐을 사용하여 진공 포장한 후 생수병(30)에 결합하거나, 생수병(30)에 결합한 후 티백 보관홈(31)과 뚜껑 보관홈(32)의 외측면을 따라 포장에 의해 노출을 방지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도 11은 본 발명의 티백을 생수병에 결합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티백(10)을 생수병(30)에 결합하기 위한 티백 보관홈(31)과 뚜껑 보관홈(32)이 형성되며, 상기 티백 보관홈(31)의 하측으로 형성되고 본체(11)의 하측 안쪽에서 상측으로 위치하는 하부 분리홈(60)을 더 형성하여 티백(10)의 분리가 편리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tea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nded to a bottled water bottle. The tea
상기 하부 분리홈(60)은 반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손가락 하나가 쉽게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다.The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티백 보관이 가능한 생수병은, 티백 보관홈(31)과 뚜껑 보관홈(32)에 티백(10)을 밀어 넣으면 하측의 본체(11)가 티백 보관홈(31)에 삽입되어 보관되고, 뚜껑 부재(20)가 뚜껑 보관홈(32)에 삽입되어 보관되며, 상기 뚜껑부재(20)는 평면에서 볼 때 중앙의 전방에 언더컷(33)이 위치하므로 뚜껑부재(20)의 중앙 전방을 감싸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In the bottled water bottle capable of storing the tea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상기 티백(10)은 생수병(3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결합하는 것이며, 독립되게 포장되거나, 생수병(30)에 함께 포장되는 것이다.The
생수병(30)을 구입하게 되면, 뚜껑(40)을 회전시켜 병나사(34)와 뚜껑나사(41)를 통해 분리되도록 한 후 주둥이(35)를 통하여 생수병(30)에 저장된 생수를 마실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bottled
생수병(30)을 구입한 후 티로 마시기 원하는 경우, 티백(10)을 생수병(30)에서 분리한 후 뚜껑(40)을 제거한 주둥이(35)를 통하여 본체(11)를 삽입하고 뚜껑부재(20)를 회전시키면 나사산(21)이 병나사(34)와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생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다.The
생수병(30)에 티백(10)을 결합한 상태에서 생수병(30)의 생수를 이용하여 티와 접촉시키면 필터부재(13)를 통하여 생수와 접촉되면서 티의 종류에 따라 생수가 원하는 농도와 맛의 티로 변환되는 것이다.When the
이와 같이 티백(10)을 사용하여 생수병(30)에 있는 생수를 티로 변환시켜 티로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this manner, the
상기 티백(10)을 이용한 티의 농도와 맛을 조절하여 마실 수 있는 것이며, 티백(10)은 뚜껑 보관홈(32)의 언더컷(33)에 결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생수병(30)에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것이고, 티백(10)이 생수병(30)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생수병(30)의 포장과 운반 및 판매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상기 티백(10)을 생수병(30)에서 분리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뚜껑 보관홈(32)의 상측으로 형성한 상부 분리홈(50)에 손가락을 넣어 뚜껑부재(20)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힘을 가하면 뚜껑부재(20)가 언더컷(33)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티백 보관홈(31)의 하측으로 형성한 하부 분리홈(60)에 손가락을 넣어 본체(11)의 하측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힘을 가하면 티백(10)이 생수병(3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티백(10)의 분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When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상기 티백(10)은 본체(11)의 내부에 녹차, 홍차, 레몬차, 국화차, 옥수수 수염차와 같은 다양한 차를 제공할 수 있도록 내장되는 것이며, 차 분말이나 커피 분말 또는 물에 녹여 먹는 발포정 타입의 약이나 비타민 중 어느 하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티백(10)을 이용함으로써 유기농 또는 자연 그대로의 티(차)를 즉석에서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By using the
상기 티백(10)은 생수병(30)에 필요한 경우 주둥이(35)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한번 우려내어 마신 후 생수를 다시 공급하여 우려내는 것이 가능하므로 여러 번 차를 우려내어 마실 수 있는 것이고, 뚜껑부재(20)의 나사산(21)이 병나사(34)와 결합되어 마시지 않는 경우 뚜껑부재(20)를 닫아 생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The
본 발명은 상기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티를 저장하는 본체의 상측으로 뚜껑부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티백을 생수병의 한 부분에 일체형을 결합하여 제공하는 것이어서 생수를 마시거나 티백을 주둥이에 결합하여 차로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a bag in which a lid member is integrally formed on an upper side of a body for storing tea, and a combined body is provided on a part of the bottled water bottle, so that it is very useful for drinking bottled water or for joining a tea bag to a snout, To provide an invention.
10 : 티백 11 : 본체
12 : 관통공 13 : 필터부재
14 : 날개 20 : 뚜껑부재
21 : 나사산 30 : 생수병
31 : 티백 보관홈 32 : 뚜껑 보관홈
33 : 언더컷 34 : 병나사
40 : 뚜껑 41 : 뚜껑나사
50 : 상부 분리홈 60 : 하부 분리홈10: tea bag 11: body
12: through hole 13: filter member
14: wing 20: lid member
21: thread 30: bottled water bottle
31: Tea bag storage groove 32: Lid storage groove
33: undercut 34: bottle screw
40: lid 41: lid screw
50: upper separation groove 60: lower separation groove
Claims (6)
상기 티백(10)의 본체(11) 상측에서 날개(14)를 감싸며 고정되고 뚜껑나사(41)에 결합하는 뚜껑(40)을 제거한 후 상기 뚜껑나사(41)와 결합하여 생수가 배출되지 않도록 나사산(21)이 형성되어 뚜껑(40)을 대신하는 뚜껑부재(20)가 설치되며, 상기 생수병(30)의 한 부분에 형성하며 본체(11)가 보관되는 티백 보관홈(31)이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티백 보관홈(31)의 상측으로 뚜껑부재(20)가 위치하는 뚜껑 보관홈(32)을 형성하되;
상기 뚜껑 보관홈(32)이 티백 보관홈(31)의 상측에서 더 크게 단이지도록 형성되어 보관되는 티백(10)이 뚜껑부재(20)를 이용하여 생수병(30)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 보관이 가능한 생수병.
The tea bag 10 in which the tea is stored and the wings 14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 made of the filter member 13 is joined to the spout 35 of the bottled water bottle 30, In the bottled water bottle,
The lid 40 is fix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1 of the tea bag 10 and fixed to the wing 14 and is coupled with the lid screw 41, A lid member 20 is provided in place of the lid 40. The lid member 20 is formed in a part of the bottled water bottle 30 and a tea bag storing groove 31 in which the main body 11 is stored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Forming a lid storage groove (32) in which the lid member (20) is located above the tea bag storage groove (31);
Characterized in that the tea bag (10) formed and stored such that the lid storage groove (32) is formed so as to be larger than the upper side of the tea bag storing groove (31) is joined to the bottled water bottle (30) by using the lid member Bottled water bottle that can keep tea bag.
상기 뚜껑 보관홈(32)의 상측으로 형성된 상부 분리홈(50)이 뚜껑부재(20)의 상측과 안쪽에서 하측으로 위치하며, 반원형과 사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분리홈(50)에 손가락을 넣어 후방에서 전방으로 힘을 가하여 티백(10)을 분리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 보관이 가능한 생수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upper separation groove 5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id storage groove 32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lid member 20 and is formed of either a semicircle or a quadrangle, So as to separate the tea bags (10) from each other by applying force from the back to the front.
상기 티백 보관홈(31)의 하측으로 형성된 하부 분리홈(60)이 본체(11)의 하측과 안쪽에서 상측으로 위치하며, 반원형과 사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분리홈(60)에 손가락을 넣어 후방에서 전방으로 힘을 가하여 티백(10)을 분리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 보관이 가능한 생수병.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ower separation groove 60 formed below the tea bag storing groove 31 is positioned upward from the lower side and the inside of the body 11 and is made of either semicircular or quadrangular shape, So that the tea bag (10) is separated by applying force from the back to the front.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5137A KR101599443B1 (en) | 2015-11-05 | 2015-11-05 | Tea Bag storage is possible water bottles |
CN201610960750.2A CN107054837A (en) | 2015-11-05 | 2016-11-04 | The water bottle of tea bag can be deposite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5137A KR101599443B1 (en) | 2015-11-05 | 2015-11-05 | Tea Bag storage is possible water bottl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99443B1 true KR101599443B1 (en) | 2016-03-03 |
Family
ID=5553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5137A Active KR101599443B1 (en) | 2015-11-05 | 2015-11-05 | Tea Bag storage is possible water bottle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9443B1 (en) |
CN (1) | CN107054837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88945A (en) * | 2018-07-18 | 2018-10-23 | 安顺市平坝区高山云雾茶有限公司 | A kind of tea packaging box of tealeaves easy to carry and wat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R202017013820Y1 (en) * | 2017-06-26 | 2022-09-06 | Bruno Gambarini Spagnolo | SUCTOR DEVICE WITH CONTAINER FOR MIXING HERB MATTE WITH WATER |
CN110937256A (en) * | 2018-09-21 | 2020-03-31 | 北京澜溪轩茶文化交流有限公司 | A cold bubble devic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65875A (en) * | 1989-09-11 | 1991-11-19 | Revlon, Inc. | Composite containers |
KR100340861B1 (en) | 1995-12-29 | 2002-11-07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Method for fabricating contact hole of semiconductor device |
KR20050010695A (en) | 2003-07-22 | 2005-01-28 | 김상훈 | Load Item Bottle and Protection Cover |
KR20090056153A (en) | 2007-11-30 | 2009-06-03 | 유효섭 | Beverage container with tea bag |
KR200458422Y1 (en) * | 2010-11-23 | 2012-02-13 | 시선플러스(주) | A portable infuser of water bottle for drinking tea |
KR20150074521A (en) | 2013-12-24 | 2015-07-02 | 주식회사 티업 | Receipt case of a tea bag for mineral water case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473151Y (en) * | 2001-02-15 | 2002-01-23 | 林华 | Bottled water capable of selecting drink additive |
EP1241108A1 (en) * | 2001-03-16 | 2002-09-18 | Karlén, Jan | Package |
CN2496802Y (en) * | 2001-08-31 | 2002-06-26 | 王宇 | Multi-purpose combined container |
JP2006001610A (en) * | 2004-06-18 | 2006-01-05 | Sumitomo Chemical Co Ltd | Pesticide container |
MX2008001044A (en) * | 2005-08-01 | 2008-03-19 | Cadbury Adams Usa Llc | Container combining beverage and secondary consumable product. |
CN201049752Y (en) * | 2007-05-28 | 2008-04-23 | 周华坤 | Bottle equipped with external storing cavity |
CN202186578U (en) * | 2011-07-25 | 2012-04-11 | 黄正华 | container |
CN202848209U (en) * | 2012-10-22 | 2013-04-03 | 罗旭光 | Multifunctional drink bottle capable of editing message |
PL68269Y1 (en) * | 2013-05-31 | 2016-03-31 | Zarębska Teresa Nata | Double chamber bottle |
-
2015
- 2015-11-05 KR KR1020150155137A patent/KR101599443B1/en active Active
-
2016
- 2016-11-04 CN CN201610960750.2A patent/CN107054837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65875A (en) * | 1989-09-11 | 1991-11-19 | Revlon, Inc. | Composite containers |
KR100340861B1 (en) | 1995-12-29 | 2002-11-07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Method for fabricating contact hole of semiconductor device |
KR20050010695A (en) | 2003-07-22 | 2005-01-28 | 김상훈 | Load Item Bottle and Protection Cover |
KR20090056153A (en) | 2007-11-30 | 2009-06-03 | 유효섭 | Beverage container with tea bag |
KR200458422Y1 (en) * | 2010-11-23 | 2012-02-13 | 시선플러스(주) | A portable infuser of water bottle for drinking tea |
KR20150074521A (en) | 2013-12-24 | 2015-07-02 | 주식회사 티업 | Receipt case of a tea bag for mineral water cas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88945A (en) * | 2018-07-18 | 2018-10-23 | 安顺市平坝区高山云雾茶有限公司 | A kind of tea packaging box of tealeaves easy to carry and wa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054837A (en) | 2017-08-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26731B2 (en) | Safety sealed reservoir cap | |
KR20150074521A (en) | Receipt case of a tea bag for mineral water case | |
KR101916400B1 (en) | Container for separated storing and drinking of liquid drink and solid assistant food | |
JP2004083022A (en) | Cap of drink bottle, such as pet bottle | |
KR101553337B1 (en) | Receipt case of a tea bag for mineral water case | |
KR101599443B1 (en) | Tea Bag storage is possible water bottles | |
US9902537B2 (en) | Multipurpose bottle cap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 |
US20060251771A1 (en) | Beverage container with a nutritional substance holder of green tea or other nutritional supplements and an opener attached to a container cap | |
KR101376289B1 (en) | Kit for making mixture berverage | |
KR20150045100A (en) | Receipt case of a tea bag for mineral water case | |
US20160083175A1 (en) | Mineral water bottle having receipt part of a tea bag | |
KR200476250Y1 (en) | bottle with keeping part | |
KR200480810Y1 (en) | Drip extract food and beverage containers | |
KR101391783B1 (en) | Double cup | |
KR200466851Y1 (en) | Container Having Plural Coataining Portions | |
KR20130038079A (en) | Vertically laminated liqued container | |
KR101391969B1 (en) | Powder mixing type bottle cover | |
KR200487454Y1 (en) | Instant food set | |
JP2005014919A (en) | Beverage vessel attached with separated raw material etc. | |
KR101795441B1 (en) | Portable container and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 |
KR20180001679U (en) | Disposable Portion Pack | |
KR200484583Y1 (en) | Health cork of bottle capable of reserving health food | |
KR200476132Y1 (en) | bottle with keeping part | |
JP3182170U (en) | PET bottles | |
TWM672455U (en) | Drink Contain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2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