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10641B1 -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641B1
KR100810641B1 KR1020070022555A KR20070022555A KR100810641B1 KR 100810641 B1 KR100810641 B1 KR 100810641B1 KR 1020070022555 A KR1020070022555 A KR 1020070022555A KR 20070022555 A KR20070022555 A KR 20070022555A KR 100810641 B1 KR100810641 B1 KR 100810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ource
layer
drain
semiconductor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배
고무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2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6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64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441Interconnections, e.g. scanning lin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441Interconnections, e.g. scanning lines
    • H10D86/443Interconnections, e.g. scanning lines adapted for preventing breakage, peeling or short circui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6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wherein the TFTs are in active matr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판상에 소스/드레인 영역 및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과 절연되며 상기 채널영역과 중첩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절연되면서,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스/드레인 전극;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과 동일층 상에 형성되며,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측면과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면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는 제1차단막;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 상에 형성되는 보호막; 상기 보호막에 형성된 비아 홀을 통해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면서,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측면과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면 사이의 영역을 포함하며 형성되는 제2차단막; 상기 화소 전극 상에 형성되는 유기막층; 및 상기 유기막층 상에 형성되는 대향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차단막과 제2차단막으로 상기 반도체층을 보호함으로써, 유기막층 형성 전에 실시되는 플라즈마(Plasma) 및 UV(Ultra Violet) 처리로 인해 발생하는 상기 반도체층과의 데미지를 차단하여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동 특성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22555
플라즈마, UV, 차단막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일부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의한 다른 형태의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일부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기판 110: 반도체층
111a, 111b: 소스/드레인 영역 120: 게이트 절연막
130: 게이트 전극 140: 층간 절연막
150: 소스/드레인 전극 155: 제1차단막
170a: 화소전극 170b: 제2차단막
200: 플라즈마, UV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층을 보호하는 차단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발광성 유기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하게 하는 자발광 표시장치로써,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화소들을 구동하는 방식에 따라서 수동 매트릭스 방식과 능동 매트릭스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능동 매트릭스 방식의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상기 수동 매트릭스 방식의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비해 전력소모가 적은 대면적 구현에 적합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일부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형성되는 반도체층(110), 상기 반도체층(110)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120), 상기 게이트 절연막(120)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반도체층(110)과 중첩하는 게이트 전극(130)과, 상기 게이트 전극(130) 상에 형성되는 층간 절연막(140), 상기 게이트 절연막(130) 및 층간 절연막(140)을 관통하는 콘택 홀(151)을 통하여 상기 반도체층(110)의 소스/드레인 영역(111a, 111b)과 연결되는 소스/드레인 전극(150)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형성되는 보호막(160)과, 상기 보호막(160)의 비아 홀(171)을 통 해 소스/드레인 전극(15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화소 전극(170a)이 형성되고, 상기 화소 전극(170a)이 형성되는 보호막(160) 상에 BCB (benzocyclobutene), 아크릴계 고분자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로 화소 정의막(175)을 증착 할 수 있는데, 상기 화소 정의막(175)은 유기막층(미도시)을 형성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다.
상기 화소 정의막(175)을 형성한 후, 유기막층(미도시)을 증착하기 전에 유기막층의 특성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데, 상기 전처리 공정은 먼저, UV(200)처리를 하여 상기 개구부 형성을 위한 식각공정 후 잔존하는 유기물을 제거하고, 이어서, 플라즈마(200) 처리를 진행하여 화소 전극의 일함수를 증가 시킴으로써, 후속 공정으로 형성되는 유기막층의 정공 주입을 원할하게 하여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동 특성을 개선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플라즈마 및 UV(200) 처리 시 상기 소스 전극(150) 과 드레인 전극(150) 중 어느 하나의 측면과 상기 게이트 전극(130)의 측면 사이의 영역을 통해 반도체층(110)이 손상을 입어 구동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도체층을 보호하는 차단막을 형성하여 유기막층 형성 전에 진행되는 플라즈마 및 UV처리에 의한 반도체층 데미지를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기판상에 소스/드레인 영역 및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과 절연되며 상기 채널영역과 중첩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절연되면서,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과 연결되는 소스/드레인 전극;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과 동일층 상에 형성되며,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측면과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면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는 제1차단막;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 상에 형성되는 보호막;
상기 보호막에 형성된 비아 홀을 통해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상에 형성되는 유기막층; 및
상기 유기막층 상에 형성되는 대향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기판상에 소스/드레인 영역 및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과 절연되며 상기 채널영역과 중첩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절연되면서,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과 연결되는 소스/드 레인 전극;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 상에 형성되는 보호막;
상기 보호막에 형성된 비아 홀을 통해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면서,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측면과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면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는 제2차단막;
상기 제2차단막 상에 형성되는 유기막층; 및
상기 유기막층 상에 형성되는 대향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실시 예1)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절연 기판(100) 상에 버퍼층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버퍼층 (미도시)은 상기 기판(100)에서 발생하는 수분 또는 불순물의 확산을 방지하거나 결정화 시 열전달을 조절함으로써 반도체층(110)의 결정화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버퍼층 (미도시) 상에 비정질 실리콘을 형성하는데, 상기 비정질 실리콘층은 결정화하여 다결정 실리콘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비정질 실리콘은 화학적 기상 증착법 또는 물리적 기상 증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비정질 실리콘을 형성할 때, 또는 형성한 후 탈수소화 처리를 하여 수소 농도를 낮추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반도체층(110)이 형성된 기판 상면에 게이트 절연막(120)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120) 상에 MoW, Al/Cu 등으로 일정패턴의 게이트 전극(13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130)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는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반도체층(110)에 소스/드레인(111a, 111b) 영역을 형성한 후, 상기 기판상 전면에 층간 절연막(140)을 형성하는데, 상기 층간 절연막(140)은 하부에 형성된 소자들을 보호하는 역할 또는 전기적인 절연을 목적으로 한다.
한 편, 상기 버퍼층(미도시), 게이트 절연막(120) 및 층간 절연막(140)은 SiO2 또는 SiNx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로 구성된 복수의 층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층간 절연막(140)과 게이트 절연막(120)을 관통하여 반도체층의 소스/드레인(111a, 111b) 영역이 노출되도록 콘택 홀(151)을 형성하고, 층간 절연막(120) 상에 상기 콘택 홀(151)과 연결되는 일정패턴의 소스/드레인 전극(150)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150)과 동일층 상에 소스/드레인 전극물질로 형성되는 일정패턴의 제1차단막(155)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1차단막(155)은 상기 소스 전극(150) 과 드레인 전극(150) 중 어느 하나의 측면과 상기 게이트 전극(130)의 측면 사이의 영역(a)을 포함하며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차단막(155)은 박막 트랜지스터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라인의 배선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판 상부 전면에 SiO2 또는 SiNx와 그들의 복수 층으로 형성되는 보호막(160)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기판 상의 단차를 완화하기 위하여 평탄화막(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는데, 상기 평탄화막(미도시)은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호막(160)을 관통하는 비아 홀(171)을 통해서,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150)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 전극(170a)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화소 전극(170a)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로 이루어진 투명전극 이거나, Pt, Au, Ir, Cr, Mg, Ag, Al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로 이루어진 반사전극일 수 있다. 상기 화소 전극(170a) 상에는 상기 화소 전극(170a)의 일부 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화소 정의막(175)이 형성되는데, 상기 화소 정의막(175)은 BCB (benzocyclobutene), 아크릴계 고분자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물질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로 노출된 화소 전극(170a) 상에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180)을 형성하고, 다음으로 상기 유기막층(180) 상부 전면에는 대향 전극(190)이 형성한다.
상기 화소 정의막(175)을 형성한 후, 유기막층(미도시)을 증착하기 전에 유기막층의 특성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데, 상기 전처리 공정은 먼저, UV(200)처리를 하여 상기 개구부 형성을 위한 식각공정 후 잔존하는 유기물을 제거하고, 이어서, 플라즈마(200) 처리를 진행하여 화소 전극(170a)의 일함수를 증가 시킴으로써, 후속 공정으로 형성되는 유기막층의 정공 주입을 원할하게 하여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동 특성을 개선 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플라즈마 및 UV(200)는 상기 제1차단막(155)에 의해 상기 반도체층(110)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실시 예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의한 다른 형태의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일부이다.
실시 예 2는 실시 예 1에서의 제1차단막(155)을 제외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3를 참조하면,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부 전면에 SiO2 또는 SiNx와 그들의 복수 층으로 형성되는 보호막(160)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기판 상의 단차를 완화하기 위하여 평탄화막(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는데, 상기 평탄화막(미도시)은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호막(160)을 관통하는 비아 홀(171)을 통해서,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15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며, 상기 소스 전극(150) 과 드레인 전극(150) 중 어느 하나의 측면과 상기 게이트 전극(130)의 측면 사이의 영역(a)을 포함하는 제2차단막(170b)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2차단막(170b)은 화소 전극으로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로 이루어진 투명전극 이거나, Pt, Au, Ir, Cr, Mg, Ag, Al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로 이루어진 반사전극일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막(170b) 상에는 상기 제2차단막(170b)의 일부 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화소 정의막(175)이 형성되는데, 상기 화소 정의막(175)은 BCB (benzocyclobutene), 아크릴계 고분자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물질일 수 있다. 제2차단막(170b) 상에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미도시)을 형성하고, 다음으로 상기 유기막층(미도시) 상부 전면에는 대향 전극(미도시)이 형성한다.
상기 화소 정의막(175)을 형성한 후, 유기막층(미도시)을 증착하기 전에 유기막층의 특성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데, 상기 전처리 공정은 먼저, UV(200)처리를 하여 상기 개구부 형성을 위한 식각공정 후 잔존하는 유기물을 제거하고, 이어서, 플라즈마(200) 처리를 진행하여 화소 전극의 일함수를 증가 시킴으로써, 후속 공정으로 형성되는 유기막층의 정공 주입을 원할하게 하여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동 특성을 개선 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플라즈마 및 UV(200)는 상기 제2차단막(170b)에 의해 상기 반도체층(110)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실시 예3)
상기의 실시 예1 및 실시 예2를 참조하여, 실시 예3에서는 제1차단막(155)과 제2차단막(170b)을 모두 구비하여 반도체층(110)으로 유입되는 플라즈마 및 UV(200)를 더욱 차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제1차단막과 제2차단막으로 반도체층을 보호함으로써, 유기막층 형성 전에 실시되는 플라즈마 및 UV처리공정에 의해 발생하는 반도체층의 데미지에 의한 특성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기판상에 소스/드레인 영역 및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과 절연되며 상기 채널영역과 중첩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절연되면서,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과 연결되는 소스/드레인 전극;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과 동일층 상에 형성되며,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측면과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면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는 제1차단막;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 상에 형성되는 보호막;
    상기 보호막에 형성된 비아 홀을 통해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상에 형성되는 유기막층; 및
    상기 유기막층 상에 형성되는 대향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막은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막은 데이터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4. 기판상에 소스/드레인 영역 및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과 절연되며 상기 채널영역과 중첩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절연되면서,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과 연결되는 소스/드레인 전극;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 상에 형성되는 보호막;
    상기 보호막에 형성된 비아 홀을 통해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면서,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측면과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면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는 제2차단막;
    상기 제2차단막 상에 형성되는 유기막층; 및
    상기 유기막층 상에 형성되는 대향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단막은 화소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20070022555A 2007-03-07 2007-03-07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10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555A KR100810641B1 (ko) 2007-03-07 2007-03-07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555A KR100810641B1 (ko) 2007-03-07 2007-03-07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0641B1 true KR100810641B1 (ko) 2008-03-07

Family

ID=39397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55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0641B1 (ko) 2007-03-07 2007-03-07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6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766A (ko) * 2015-02-26 2016-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9490311B2 (en) 2010-03-10 2016-11-0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715B1 (ko) 2005-09-12 2006-11-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715B1 (ko) 2005-09-12 2006-11-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0311B2 (en) 2010-03-10 2016-11-0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847486B2 (en) 2010-03-10 2017-12-19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RE49965E1 (en) 2010-03-10 2024-05-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RE50487E1 (en) 2010-03-10 2025-07-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104766A (ko) * 2015-02-26 2016-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485689B1 (ko) 2015-02-26 2023-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352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thin-film transistor, thin-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KR102180037B1 (ko)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2733763B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12406B1 (ko) 평판 표시 장치용 백플레인, 상기 백플레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백플레인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I531057B (zh) 有機發光顯示器
KR100626007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이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평판표시장치, 및 이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
EP193340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915370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thin-film transistor,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thin-film transistor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manufactured using the methods
KR102471021B1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2386204A (zh)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20131776A (ko) 평판 표시 장치용 백플레인, 이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117727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86294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07310A (ko) 유기 발광 소자,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3295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7093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055634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1000479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08158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47745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85841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810641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0848342B1 (ko)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0626008B1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를 구비한 평판표시장치
KR101616929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