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9387B1 - 증발기 유닛 - Google Patents

증발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387B1
KR100809387B1 KR1020010076970A KR20010076970A KR100809387B1 KR 100809387 B1 KR100809387 B1 KR 100809387B1 KR 1020010076970 A KR1020010076970 A KR 1020010076970A KR 20010076970 A KR20010076970 A KR 20010076970A KR 100809387 B1 KR100809387 B1 KR 100809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evaporator
case
air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6738A (ko
Inventor
김준경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6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387B1/ko
Publication of KR20030046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38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92Add-on devices, e.g. heat/cooling boxes, compartment dividers, upgrade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유닛은,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는 공간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공기가 상기 공간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상하부 케이스들과; 유입구 및 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유입구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켜 유출시키는 증발기; 및 증발기의 공기유로의 하류 방향에 증발기를 거쳐 냉각된 공기가 부딪히는 케이스의 위치에 내부벽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벽과 함께 이중벽을 이루어 상기 이중벽 내에 단열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케이스 내외부를 단열시키는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격벽과 함께 이중벽을 이루어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벽은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증발기 유닛{Evaporator unit}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유닛의 일부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Ⅲ-Ⅲ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일부단면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Ⅳ-Ⅳ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일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20..증발기 유닛 21..증발기
22..하부 케이스 23..유입구
24..유출구 25..격벽
26..응축수 배출구 27..배수로
28..배수 연결관
본 발명은 증발기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 실내에 응축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가 개선된 증발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차량의 외부 또는 차량의 실내에서 공기 를 흡입하여 흡입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냉난방 및 제습을 행하는 장치이다.
도 1에는 종래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공기조화장치(100)에 있어서, 송풍기 유닛(10)은 차량의 외기 또는 내기를 흡입하여, 상기 송풍기 유닛(11)과 연통된 증발기 유닛(12)으로 송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 유닛(12)은 송풍기 유닛(11)에 의하여 유입된 공기를 증발기 유닛(12)내에 설치된 증발기(13)의 열교환매체와 열교환을 행하여 냉각시킨다. 상기 증발기 유닛(12)을 거쳐 냉각된 공기는 차량 실내와 연통되는 덕트(미도시)를 통하여 공급되어 차량 실내의 냉방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증발기 유닛(12)은 상하로 분할되는 케이스(14)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4)에는 송풍기 유닛(11)과 연통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5)와, 증발기(13)를 거쳐 냉각된 공기를 유출하기 위한 유출구(16)가 마련된다.
통상적으로 케이스(14)에 마련된 유출구(16)의 통로가 작게 형성되는데, 증발기(13)를 거친 공기는 상기 유출구(16)로 유입되기 전에 케이스(14)의 양측 내부벽(14a)에 부딪히게 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14)의 양측 내부벽(14a)에 부딪힌 공기는 증발기(13)를 거쳐 냉각되었기 때문에 케이스(14) 외부의 온도보다 낮은 상태이다. 따라서, 이러한 온도 차이에 의하여 공기중의 수분이 응축됨으로써, 케이스(14)의 외부벽(14b)에는 응축수가 맺히게 된다. 즉, 상기 케이스(14)의 외부벽(14b)은 일반적으로 차량 실내를 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차량 실내에 응축수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냉각된 공기가 부딪히는 케이스(14)의 내부벽(14a)에 단열재(17)를 설치하였다.
그런데, 상기 단열재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케이스의 내부벽에 고정되므로, 차량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에 접착제 냄새가 편승되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었으며, 단열재를 케이스 내부벽에 부착하는 공정은, 생산성에 있어서도 불리한 점이 많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단열재를 케이스 내부벽에 설치하게 되면, 단열재가 케이스에 설치되는 영역이 한정되기 때문에, 케이스 외부벽에 응축수가 맺히는 것을 충분히 방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증발기를 거쳐 냉각된 공기가 부딪치는 케이스의 양측 부분을 이중벽으로 형성하여 케이스의 내외부 사이를 단열시킴으로써, 차량 실내에 응축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증발기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유닛은,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는 상기 공간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공기가 상기 공간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상하부 케이스들과;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유입구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켜 유출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의 공기유로의 하류 방향에 증발기를 거쳐 냉각된 공기가 부딪히는 케이스의 위치에 내부벽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벽과 함께 이중벽을 이루어 상기 이중벽 내에 단열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케이스 내외부를 단열시키는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격벽과 함께 이중벽을 이루어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벽은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중벽에 있어서, 그 내부벽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이중벽 사이의 단열공간 내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 배출구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유닛의 일부에 대한 분리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에 있어서, Ⅲ-Ⅲ선 및 Ⅳ-Ⅳ선을 따라 절단한 일부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증발기 유닛(20)은 증발기(21)와, 상기 증발기(21)가 수납되는 하부 케이스(22)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 케이스(22)는 미도시된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그 내부 공간에 공기의 유동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일측에는 송풍기 유닛(11, 도1참조)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23)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증발기(21)를 거쳐 냉각된 공기가 히터 유닛(미도시)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히터 유닛(미도시)과 연통되는 유출구(24)가 마련된다.
상기 증발기(21)는 상기 증발기(21) 내를 흐르는 열교환매체와 상기 하부 케이스(22) 내를 유동하는 공기 사이에 열교환을 행하여 공기를 냉각시키는 장치로 서, 상기 하부 케이스(22)의 유입구(23)와 유출구(24)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증발기(21)는 하부 케이스(22) 내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22)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21)를 거쳐 냉각된 공기가 부딪히는 양측 부분 즉, 증발기(21)의 공기유로의 하류방향에 각각 상하 길이방향으로 격벽(25)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25)은 냉각된 공기가 부딪히는 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이 형성될 때, 하부 케이스(22)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격벽(25)은 하부 케이스(22)의 양측벽(22a)에 이중벽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22)의 내측에 그 측면으로부터 유출구(24)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격벽(25)이 형성되면, 증발기(21)를 거친 공기를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어 유리하다.
상기 격벽(25)들이 각각 내부벽을 이루게 되면, 상기 하부 케이스(22)의 양측벽(22a)들은 각각 외부벽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격벽(25)은 하부 케이스(2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격벽(25)들과 하부 케이스의 양측벽(22b)들은 각각 그 사이에 단열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열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격벽(25)과 하부 케이스의 양측벽(22a)이 각각 이루는 이중벽의 단면형상은 대략 삼각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이중벽의 단면형상에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중벽의 단면형상은 하부 케이스(22)의 내부와 외부를 단열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유출구(24) 측의 하부 케이스(22)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냉각된 공기가 부딪히는 하부 케이스(22)의 양측 부분이 이중벽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하부 케이스(22)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단열시킴으로써, 하부 케이스(22)의 격벽(25)들 즉, 외부벽들 상에 응축수가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케이스(22)의 외부벽이 차량 실내로 향하는 경우 차량 실내에 응축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케이스(22)의 단열공간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22)의 양측벽(22a)의 내측에는 응축수가 생성되므로, 이와 같이 생성된 응축수를 배출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 케이스의 양측벽(22a)들 즉, 내부벽들에는 각각 응축수 배출구(2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배출구(26)는 하부 케이스(22)의 양측벽(22a)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22)의 저면에는 배수로(27)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22)의 저면에는 배수 연결관(28)이 연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배수 연결관(28)은 배수 호스(미도시)와 연결됨으로써,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응축수 배출구(26)를 통하여 배출된 응축수는 하부 케이스(22)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로(27)를 따라 모이게 되고, 이렇게 모여진 응축수는 하부 케이스(22)의 저면과 연통된 배수 연결관(28)을 통하여 하부 케이스(22)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벽으로 이루어진 상기 하부 케 이스(22)의 측면은 하측으로 내려갈수록 하부 케이스(22)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하부 케이스(22)의 양측벽(22a)의 내측에 생성된 응축수는 원활하게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증발기 유닛(20)은 다음과 같이 작동하게 된다.
송풍기 유닛(11)으로부터 송출된 공기는 증발기 유닛(20)의 유입구(23)로 유입이 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 유닛(20)의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22)가 이루는 유동로를 따라 증발기(21)의 입구측으로 유동한다. 계속하여 공기가 증발기(21)를 거치게 되면 냉각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증발기(21)의 출구측에 형성된 유출구(24)로 안내되어 증발기 유닛(20)을 빠져 나가게된다.
이 때, 상기 증발기(21)의 출구측의 냉각된 공기가 부딪히는 하부 케이스(22)의 양측 부분은 이중벽으로 이루어져 있어 하부 케이스(22)의 내외부가 단열될 수 있으므로, 냉각된 공기가 상기 하부 케이스(22)의 양측벽(22a)에 부딪히더라도 차량 실내로 향한 하부 케이스(22)의 외부벽 상에는 응축수가 맺히지 않게 된다.
한편, 단열공간의 상기 하부 케이스(22)의 양측벽(22a)의 내측에 발생된 응축수는 하부 케이스(22)의 양측벽(22a)에 형성된 응축수 배출구(26)를 통하여 하부 케이스(22)의 저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배수로(27)를 따라 하부 케이스(22)에 저면에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이 모여진 응축수는, 상기 하부 케이스(22)의 저면과 연통된 배수 연결관(28)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유닛은, 증발기를 거쳐 냉각된 공기가 부딪치는 케이스의 위치에 격벽을 형성하여 이중벽을 이룸으로써, 케이스의 내외부 사이를 단열시킬 수 있어, 차량 실내에 응축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는 상기 공간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공기가 상기 공간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상하부 케이스들과;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유입구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켜 유출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의 공기유로의 하류 방향에 증발기를 거쳐 냉각된 공기가 부딪히는 케이스의 위치에 내부벽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벽과 함께 이중벽을 이루어 상기 이중벽 내에 단열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케이스 내외부를 단열시키는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격벽과 함께 이중벽을 이루어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벽은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벽에 있어서, 그 내부벽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이중벽 사이의 단열공간 내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해 응축수 배출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유닛.
KR1020010076970A 2001-12-06 2001-12-06 증발기 유닛 Expired - Lifetime KR100809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970A KR100809387B1 (ko) 2001-12-06 2001-12-06 증발기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970A KR100809387B1 (ko) 2001-12-06 2001-12-06 증발기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738A KR20030046738A (ko) 2003-06-18
KR100809387B1 true KR100809387B1 (ko) 2008-03-05

Family

ID=2957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970A Expired - Lifetime KR100809387B1 (ko) 2001-12-06 2001-12-06 증발기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057B1 (ko) * 2006-10-31 2013-07-2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4833A (ja) * 1995-12-19 1997-06-24 Zexel Corp 空調用ケース
KR20020000703A (ko) 2000-06-28 2002-01-05 김철병 가스보일러의 콘덴싱 방식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4833A (ja) * 1995-12-19 1997-06-24 Zexel Corp 空調用ケース
KR20020000703A (ko) 2000-06-28 2002-01-05 김철병 가스보일러의 콘덴싱 방식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738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18481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735210B1 (ko) 공기 조화장치
KR100809387B1 (ko) 증발기 유닛
CN105316918A (zh) 一种衣物干燥装置及烘干系统
CN105133269A (zh) 一种衣物干燥装置及烘干系统
JP4033576B2 (ja) 低温ショーケース
KR1014673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배수구조
KR10210328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253938B2 (ja) 空調装置のドレン構造
CN115247923A (zh) 制冷器具
JP3831620B2 (ja) 冷蔵庫
CN111720896A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111820718B (zh) 烹饪设备的冷凝装置及烹饪设备
KR2010002339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40101042A (ko) 공기 조화기
JP2885598B2 (ja) 冷蔵庫
JP2007045326A (ja) 空気調和装置
KR10259244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4237870A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US20050103483A1 (en) Ventilation device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JPH09210392A (ja) ファンコイルユニット
JP4592175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82571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S5933964Y2 (ja) 積層型蒸発器
JPH11195878A (ja) 電子機器収納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12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12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2060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