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957B1 - 호출 제어 유지 방법,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호출 제어 유지 방법,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08957B1 KR100808957B1 KR1020010022471A KR20010022471A KR100808957B1 KR 100808957 B1 KR100808957 B1 KR 100808957B1 KR 1020010022471 A KR1020010022471 A KR 1020010022471A KR 20010022471 A KR20010022471 A KR 20010022471A KR 100808957 B1 KR100808957 B1 KR 1008089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ing center
- mobile switching
- gateway
- packet
- base st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2—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location registers or mobility serv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70/00—Multiplex communications
- Y10S370/912—Packet commun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70/00—Multiplex communications
- Y10S370/912—Packet communications
- Y10S370/913—Wireless or rad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56)
- 베어러 트래픽 전송(bearer traffic transport)을 위해 패킷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a gateway mobile switching center)에서 로밍 이동 장치(a roaming mobile unit)에 대한 호출 제어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에서 상기 로밍 이동 장치에 관한 입력 호출 레그(an incoming call leg)를 수신하는 단계와,(b)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에서 음성용 프로토콜 처리기(a protocol handler for voice)에 관한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a data link connection identifier)를 결정하는 단계와,(c)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a serving mobile switching center)와 기지국에 제공하고, 상기 로밍 이동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기지국의 패킷 어드레스를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와 상기 기지국 사이에 패킷 링크를 생성하는 단계와,(d)상기 로밍 이동 장치에 경보(an alert)를 제공하는 단계와,(e)상기 로밍 이동 장치로부터 응답(an answer)이 수신되었을 때,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와 상기 기지국 사이의 상기 패킷 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로밍 이동 장치와 상기 입력 호출 레그 사이에 연결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호출 제어 유지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는 ANSI-41 호환 메시지내에 파라미터로서 포함되는 호출 제어 유지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c)는,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보유한 라우팅 요청 호출을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로부터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로 전송하고,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에서 상기 기지국 패킷 어드레스를 보유한 라우팅 요청 반송 결과를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호출 제어 유지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c)는,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보유한 위치 요청 호출을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로부터 독립형 홈 위치 레지스터(a stand-alone home location register)로 전송하고,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보유한 라우팅 요청 호출을 상기 독립형 홈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로 전송하며,상기 독립형 홈 위치 레지스터에서 상기 기지국 패킷 어드레스를 보유한 라우팅 요청 반송 결과와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 결과를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로부터 수신하고,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에서 상기 기지국 패킷 어드레스를 보유한 위치 요청 반송 결과와, 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 결과 및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 프로파일(a visitor location register profile)을 상기 독립형 홈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호출 제어 유지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c)는 상기 기지국 패킷 어드레스를 상기 음성용 프로토콜 처리기에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호출 제어 유지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패킷 링크는 비동기 전송 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 ATM) 프로토콜 링크인 호출 제어 유지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패킷 링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P) 링크인 호출 제어 유지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패킷 링크는 프레임 릴레이(a frame relay) 프로토콜 링크인 호출 제어 유지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패킷 링크는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와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 사이의 비동기 전송 모드(ATM) 프로토콜 링크이고 또한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와 상기 기지국 사이의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링크인 호출 제어 유지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a)에 앞서,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에서 상기 로밍 이동 장치에 관한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 기록을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호출 제어 유지 방법.
- 베어러 트래픽 전송을 위해 패킷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에서 로밍 이동 장치에 관한 호출 제어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에서 다이얼링된 숫자를 갖는 발신 정보(an origination having dialed digits)를 상기 로밍 이동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b)상기 로밍 이동 장치의 식별자, 상기 다이얼링된 숫자 및 기지국의 패킷 어드레스를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에 제공하는 단계와,(c)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에서 음성용 프로토콜 처리기에 관한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와,(d)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와 상기 기지국 사이에 패킷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와 상기 기지국에 제공하는 단계와,(e)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로부터 출력 호출 레그(an outgoing call leg)를 전송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와 상기 기지국 사이의 상기 패킷 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로밍 이동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출력 호출 레그와 상기 패킷 링크 사이에 연결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호출 제어 유지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는 ANSI-41 호환 메시지내에 파라미터로서 포함되는 호출 제어 유지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b)는 상기 기지국 패킷 어드레스, 상기 로밍 이동 장치의 식별자 및 상기 다이얼링된 숫자를 보유한 게이트웨이 발신지 요청 호출을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로부터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호출 제어 유지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d)는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에서 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보유한 게이트웨이 발신지 요청 반송 결과를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호출 제어 유지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b)는 상기 기지국 패킷 어드레스, 상기 로밍 이동 장치의 식별자 및 상기 다이얼링된 숫자를 보유한 게이트웨이 발신지 요청 호출을 독립형 홈 위치 레지스터를 통해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로부터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호출 제어 유지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d)는 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보유한 게이트웨이 발신지 요청 반송 결과를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로부터 독립형 홈 위치 레지스터를 통해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에서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호출 제어 유지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c)는 상기 기지국 패킷 어드레스를 상기 음성용 프로토콜 처리기에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호출 제어 유지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패킷 링크는 비동기 전송 모드(ATM) 프로토콜 링크인 호출 제어 유지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패킷 링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P) 링크인 호출 제어 유지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패킷 링크는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링크인 호출 제어 유지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패킷 링크는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와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 사이의 비동기 전송 모드(ATM) 프로토콜 링크이고 또한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와 상기 기지국 사이의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링크인 호출 제어 유지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a)에 앞서,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에서 상기 로밍 이동 장치에 관한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 기록을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호출 제어 유지 방법.
- 베어러 트래픽 전송을 위해 패킷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에서 로밍 이동 장치에 관한 호출 제어를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로밍 이동 장치에 경보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와,상기 로밍 이동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에 결합된 기지국 - 상기 기지국은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로부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동작함 - 과,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에 결합된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를 포함하되,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는 음성용 프로토콜 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는 상기 로밍 이동 장치에 관한 입력 호출 레그의 수신시 상기 음성용 프로토콜 처리기에 관한 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결정하며 상기 기지국으로의 전송을 위해 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에 제공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는 또한 상기 로밍 이동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패킷 어드레스를 획득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와 상기 기지국 사이에 패킷 링크를 생성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로밍 이동 장치로의 상기 경보에 이어서 상기 로밍 이동 장치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었을 때,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는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와 상기 기지국 사이의 상기 패킷 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로밍 이동 장치와 상기 입력 호출 레그 사이에 연결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는호출 제어 유지 시스템.
-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는 ANSI-41 호환 메시지내에 파라미터로서 포함되는 호출 제어 유지 시스템.
-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는 또한 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보유한 라우팅 요청 호출을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에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 패킷 어드레스를 보유한 라우팅 요청 반송 결과를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로부터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호출 제어 유지 시스템.
-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와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에 결합된 독립형 홈 위치 레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호출 제어 유지 시스템.
- 제 26 항에 있어서,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는 또한 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보유한 위치 요청 호출을 상기 독립형 홈 위치 레지스터 - 상기 독립형 홈 위치 레지스터는 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보유한 라우팅 요청 호출을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에 전송하도록 동작함 -에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 패킷 어드레스를 보유한 라우팅 요청 반송 결과 및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로부터의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 결과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되,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는 또한 상기 기지국 패킷 어드레스를 보유한 위치 요청 반송 결과와, 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 결과 및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 프로파일을 상기 독립형 홈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호출 제어 유지 시스템.
-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는 상기 기지국 패킷 어드레스를 상기 음성용 프로토콜 처리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호출 제어 유지 시스템.
-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패킷 링크는 비동기 전송 모드(ATM) 프로토콜 링크인 호출 제어 유지 시스템.
-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패킷 링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P) 링크인 호출 제어 유지 시스템.
-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패킷 링크는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링크인 호출 제어 유지 시스템.
-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패킷 링크는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와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 사이의 비동기 전송 모드(ATM) 프로토콜 링크이고 또한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와 상기 기지국 사이의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링크인 호출 제어 유지 시스템.
-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는 상기 로밍 이동 장치에 관한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 기록을 저장하는 호출 제어 유지 시스템.
- 베어러 트래픽 전송을 위해 패킷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에서 로밍 이동 장치에 관한 호출 제어를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다이얼링된 숫자를 갖는 발신 정보를 상기 로밍 이동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와,상기 로밍 이동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에 결합된 기지국 - 상기 기지국은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로부터 수신하도록 동작함 - 과,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에 결합된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를 포함하되,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는 음성용 프로토콜 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는 상기 로밍 이동 장치의 식별자, 상기 다이얼링된 숫자 및 상기 기지국의 패킷 어드레스를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로부터 수신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는 또한 상기 음성용 프로토콜 처리기에 관한 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와 상기 기지국 사이에 패킷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에 제공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는 또한 출력 호출 레그를 전송하고 상기 로밍 이동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출력 호출 레그와 상기 패킷 링크 사이에 연결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호출 제어 유지 시스템.
- 제 34 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는 ANSI-41 호환 메시지내에 파라미터로서 포함되는 호출 제어 유지 시스템.
- 제 34 항에 있어서,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는 또한 상기 기지국 패킷 어드레스, 상기 로밍 이동 장치의 식별자 및 상기 다이얼링된 숫자를 보유한 게이트웨이 발신지 요청 호출을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에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호출 제어 유지 시스템.
- 제 34 항에 있어서,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는 또한 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보유한 게이트웨이 발신지 요청 반송 결과를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에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호출 제어 유지 시스템.
- 제 34 항에 있어서,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와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에 결합된 독립형 홈 위치 레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호출 제어 유지 시스템.
- 제 38 항에 있어서,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는 또한 상기 독립형 홈 위치 레지스터를 통해 상기 기지국 패킷 어드레스, 상기 로밍 이동 장치의 식별자 및 상기 다이얼링된 숫자를 보유한 게이트웨이 발신지 요청 호출을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에 전송하도록 동작하고,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는 또한 상기 독립형 홈 위치 레지스터를 통해 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보유한 게이트웨이 발신지 요청 반송 결과를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에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호출 제어 유지 시스템.
- 제 34 항에 있어서,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는 상기 기지국 패킷 어드레스를 상기 음 성용 프로토콜 처리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호출 제어 유지 시스템.
- 제 34 항에 있어서,상기 패킷 링크는 비동기 전송 모드(ATM) 프로토콜 링크인 호출 제어 유지 시스템.
- 제 34 항에 있어서,상기 패킷 링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P) 링크인 호출 제어 유지 시스템.
- 제 34 항에 있어서,상기 패킷 링크는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링크인 호출 제어 유지 시스템.
- 제 34 항에 있어서,상기 패킷 링크는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와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 사이의 비동기 전송 모드(ATM) 프로토콜 링크이고 또한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와 상기 기지국 사이의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링크인 호출 제어 유지 시스템.
- 제 34 항에 있어서,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는 상기 로밍 이동 장치에 관한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 기록을 저장하는 호출 제어 유지 시스템.
- 베어러 트래픽 전송을 위해 패킷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에서 로밍 이동 장치에 관한 호출 제어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상기 로밍 이동 장치는 기지국으로의 무선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에 결합되며, 상기 장치는,입력 호출 레그의 수신과 출력 호출 레그의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음성용 프로토콜 처리기와,패킷 네트워크 프로토콜 처리기와,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음성용 프로토콜 처리기 및 상기 패킷 네트워크 프로토콜 처리기에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상기 프로세서는 동작시에 상기 음성용 프로토콜 처리기에 관한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에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로부터 기지국 패킷 어드레스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 패킷 어드레스를 상기 음성용 프로토콜 처리기에 제공하여 상기 패킷 네트워크 프로토콜 처리기와 상기 기지국 사이에 패킷 링크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로밍 이동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패킷 링크와 상기 입력 호출 레그 사이에 연결을 제공하고 상기 로밍 이동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패킷 링크와 상기 출력 호출 레그 사이에 연결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호출 제어 유지 장치.
- 제 46 항에 있어서,상기 프로세서는 ANSI-41 호환 메시지내에 파라미터로서 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호출 제어 유지 장치.
- 제 46 항에 있어서,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보유한 라우팅 요청 호출을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에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 패킷 어드레스를 보유한 라우팅 요청 반송 결과를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호출 제어 유지 장치.
- 제 46 항에 있어서,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보유한 위치 요청 호출을 독립형 홈 위치 레지스터에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 패킷 어드레스,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 결과 및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 프로파일을 보유한 위치 요청 반송 결과를 상기 독립형 홈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 프로파일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호출 제어 유지 장치.
- 제 46 항에 있어서,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출력 호출 레그에 관한 다이얼링된 숫자, 상기 기지국 패킷 어드레스 및 상기 로밍 이동 장치의 식별자를 보유한 게이트웨이 발신지 요청 호출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호출 제어 유지 장치.
- 제 46 항에 있어서,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를 보유한 게이트웨이 발신지 요청 반송 결과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호출 제어 유지 장치.
- 제 46 항에 있어서,상기 패킷 네트워크 프로토콜 처리기는 비동기 전송 모드(ATM)용 프로토콜 처리기이고, 상기 패킷 링크는 ATM 프로토콜 링크인 호출 제어 유지 장치.
- 제 46 항에 있어서,상기 패킷 네트워크 프로토콜 처리기는 인터넷 프로토콜(IP)용 프로토콜 처리기이고, 상기 패킷 링크는 IP 링크인 호출 제어 유지 장치.
- 제 46 항에 있어서,상기 패킷 네트워크 프로토콜 처리기는 프레임 릴레이용 프로토콜 처리기이고, 상기 패킷 링크는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링크인 호츨 제어 유지 장치.
- 제 46 항에 있어서,상기 패킷 네트워크 프로토콜 처리기는 비동기 전송 모드(ATM)용 프로토콜 처리기이고, 상기 패킷 링크의 제 1 부분은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스위칭 센터와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 사이의 비동기 전송 모드(ATM) 프로토콜 링크이며, 상기 패킷 링크의 제 2 부분은 상기 서빙 이동 스위칭 센터와 상기 기지국 사이의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링크인 호출 제어 유지 장치.
- 제 46 항에 있어서,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상기 로밍 이동 장치에 관한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 기록을 저장하는 호출 제어 유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09/558,613 | 2000-04-26 | ||
US09/558,613 US7142857B1 (en) | 2000-04-26 | 2000-04-26 |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call control at a gateway mobile switching center utilizing a packet networ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104628A KR20010104628A (ko) | 2001-11-26 |
KR100808957B1 true KR100808957B1 (ko) | 2008-03-07 |
Family
ID=24230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22471A Expired - Fee Related KR100808957B1 (ko) | 2000-04-26 | 2001-04-25 | 호출 제어 유지 방법, 시스템 및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7142857B1 (ko) |
EP (1) | EP1150522A3 (ko) |
JP (1) | JP3847574B2 (ko) |
KR (1) | KR100808957B1 (ko) |
CA (1) | CA2338963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24801B1 (en) * | 2000-04-05 | 2004-04-20 | Nortel Networks Limited | Method and system enabling communications between a switched telephone network and a wireless network |
US7127244B2 (en) | 2002-08-21 | 2006-10-24 | Lucent Technologi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incoming calls to mobile units in border cells using packet-based links |
US7983242B2 (en) * | 2003-08-18 | 2011-07-19 | Qualcomm, Incorporated | Packet data service with circuit-switched call notification |
EP1997343A4 (en) * | 2006-03-13 | 2009-11-04 | Telcordia Tech Inc | SUPPORT FOR A WIRELESS INTELLIGENT NETWORK (WIN) FOR CENTRALIZED SERVICE CONTROL IN AN IP MULTIMEDIA SUBSYSTEM (IMS) NETWORK |
KR101292880B1 (ko) * | 2006-10-16 | 2013-08-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인터넷 프로토콜을 기반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WO2015167348A1 (en) | 2014-04-29 | 2015-11-05 | Motorola Solutions, Inc. | Dynamic gateway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8948B1 (en) * | 1994-11-05 | 1997-06-03 | Korea Electronics Telecomm |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originating call of the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
WO1998036612A2 (en) | 1997-02-12 | 1998-08-20 | Nokia Telecommunications Oy | Mobility and call control in an atm environment |
KR19990028728A (ko) * | 1995-07-05 | 1999-04-15 | 얼링 블로메, 한스 흘름그렌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 전환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66098A (en) * | 1978-11-03 | 1981-05-05 | Novak Albert P | Device to automatically screen incoming telephone calls, determine the identity of the caller and process the call accordingly |
US5396543A (en) * | 1991-11-27 | 1995-03-07 | At&T Corp. | Signaling arrangements in a cellular mobile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system |
US5724411A (en) * | 1995-03-22 | 1998-03-03 | At&T Corp. | Method for selectively alerting multiple telephones of an incoming call |
ZA964331B (en) | 1995-06-08 | 1996-12-17 | Qualcomm Inc | Remote vocoding over long distance link |
EP0804850B1 (en) * | 1995-11-17 | 2005-08-03 | AT&T Corp. | Automatic vocabulary generation for telecommunications network-based voice-dialing |
US5764644A (en) | 1996-01-02 | 1998-06-09 | Lucent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 of communication signals over a public network |
US5999521A (en) | 1997-06-06 | 1999-12-07 | Lucent Technologi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l services to a wireless telephone served by another system |
US5953331A (en) | 1997-09-09 | 1999-09-14 | Lucent Technologies Inc. | Wireless packet system for efficient wide area bandwidth utilization |
US6310944B1 (en) * | 1997-12-17 | 2001-10-30 | Nortel Networks Limited | Method for adding context to communications |
US6222829B1 (en) | 1997-12-23 | 2001-04-24 | Telefonaktieblaget L M Ericsson | Internet protocol telephony for a mobile station on a packet data channel |
-
2000
- 2000-04-26 US US09/558,613 patent/US714285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
- 2001-02-28 CA CA002338963A patent/CA2338963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04-23 EP EP01303679A patent/EP1150522A3/en not_active Ceased
- 2001-04-25 KR KR1020010022471A patent/KR10080895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04-26 JP JP2001128685A patent/JP384757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8948B1 (en) * | 1994-11-05 | 1997-06-03 | Korea Electronics Telecomm |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originating call of the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
KR19990028728A (ko) * | 1995-07-05 | 1999-04-15 | 얼링 블로메, 한스 흘름그렌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 전환 |
WO1998036612A2 (en) | 1997-02-12 | 1998-08-20 | Nokia Telecommunications Oy | Mobility and call control in an atm environment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EP조사보고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7142857B1 (en) | 2006-11-28 |
EP1150522A3 (en) | 2003-01-15 |
CA2338963A1 (en) | 2001-10-26 |
EP1150522A2 (en) | 2001-10-31 |
JP2002010318A (ja) | 2002-01-11 |
KR20010104628A (ko) | 2001-11-26 |
JP3847574B2 (ja) | 2006-11-22 |
CA2338963C (en) | 2005-04-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061602B2 (ja) | セルラー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個々の加入者へのサービスの提供 | |
JP4202925B2 (ja) | Msc間パケットデータハンドオフに関連する回線呼び出しセットアップ及び配信の最適化 | |
US6070076A (en) | Identification of mobile calls within a mobile telephone system | |
EP0542963B1 (en) | Method for establishing an inbound call to the mobile telephone in a cellular mobile telephone network | |
CA2274528C (en) | System and method of forwarding data calls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 |
US7023855B2 (en) |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a packet data communication | |
AU672788B2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cessing short messages in a cellular network | |
JP4059348B2 (ja) | 話中の加入者に対するショートメッセージサービスを行うためのフロー制御方法 | |
US6615037B1 (en)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all forwarding when roaming from a first type network to a second type network in a communication system | |
US5987323A (en) | Starting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 |
EP1301056B1 (en) | A system for providing subscriber features with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 |
EP1123626B1 (en) | Ip roaming number gateway | |
US7031703B1 (en) |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operating capabilities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 |
US20030017836A1 (en) | System and method of group calling in mobile communications | |
JP2004320726A (ja) | 相互運用可能な音声・データ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 | |
JPH08205225A (ja) | 通信ネットワークの呼び出しシステム | |
US6628951B1 (en) | Procedure and system for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a telecommunication connection | |
CN100362895C (zh) | 向移动台传送数据的方法和分组无线网的支持节点 | |
US8600377B2 (en) | Distributed HLR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roaming number of callee | |
KR100808957B1 (ko) | 호출 제어 유지 방법, 시스템 및 장치 | |
JP2007267423A (ja) | アクセス技術を識別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 |
KR100827127B1 (ko) | 착신 통화 전환 제어 방법 | |
KR20040072388A (ko) |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통신 응용 부프로토콜을 이용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 |
RU2392771C2 (ru) | Услуги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й сети связи | |
KR20030046568A (ko) | 이동 통신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42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4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4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