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8743B1 - 내시경용 결찰구 및 내시경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결찰구 및 내시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743B1
KR100808743B1 KR1020067009462A KR20067009462A KR100808743B1 KR 100808743 B1 KR100808743 B1 KR 100808743B1 KR 1020067009462 A KR1020067009462 A KR 1020067009462A KR 20067009462 A KR20067009462 A KR 20067009462A KR 100808743 B1 KR100808743 B1 KR 100808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member
endoscope
inner cylinder
outer cylinder
lig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2584A (ko
Inventor
기요따까 마쯔노
다까유끼 스즈끼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2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74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 A61B17/12009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 A61B17/12013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89Ho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10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the distal tip features being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5Control of fluid supply or evac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87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2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mounted on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 A61B17/12009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 A61B2017/12018Elastic band lig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0Surgical pincettes, i.e. surgical tweezers without pivotal connections
    • A61B2017/306Surgical pincettes, i.e. surgical tweezers without pivotal connections holding by means of s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식도 정맥류 등의 체내 조직을 결찰하는 내시경용 결찰구이며, 통형으로 형성된 외부 통 부재(3)와, 통형으로 형성되어 외부 통 부재(3)의 내부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내부 통 부재(5)와, 환형으로 신축 가능한 O링(결찰 밴드 부재)(6)을 구비하고 있다.
내시경용 결찰구, 겸자 채널, 흡인 장치, O링, 외부 통 부재, 내부 통 부재

Description

내시경용 결찰구 및 내시경 {CLIPPER FOR ENDOSCOPE AND ENDOSCOPE}
본 발명은 식도나 위 등의 체내 조직에 형성된 정맥류를 결찰하는 내시경용 결찰구 및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3년 11월 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03-375526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식도나 위에 형성된 정맥류에 대한 치료법으로서, 식도 정맥류 결찰술이 경화제를 주입하는 내시경적 경화 요법과 함께 병용되거나, 혹은 단독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식도 정맥류 결찰술은 내시경의 선단부에 장착된 통형의 내시경용 결찰구에 정맥류를 흡인한 후, 미리 장착된 O링을 제거하여 정맥류의 근원 부분에 걸쳐 O링의 고무력에 의해 기계적으로 정맥류를 결찰하여 이것을 황폐시키는 것이다. 이 내시경용 결찰구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2958219호 공보의 도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 통과 외부 통 사이에 유체를 주입하여 내부 통의 선단부에 배치된 O링을 탈락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735194호 명세서의 도1이나, 일본 특허 공표 2002-526194호 공보의 도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시경의 겸자 채널 내에 삽입 관통된 와이어에 O링을 걸치는 동시에 이 와이어를 인발함으로써 O링을 통형 부재의 선단부로부터 탈락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 1(일본 특허 제2958219호)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는 내시경의 삽입부를 따라 내시경용 결찰구에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 장치나 튜브를 장착해야만 해, 이들의 준비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문헌 2(미국 특허 제4735194호), 문헌 3(일본 특허 공표 2002-526194호 공보)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는 모두 겸자 채널 내에 와이어를 통과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내시경적 경화 요법을 병용하여 행할 때에 필요한 주사 바늘 등을 겸자 채널에 삽입 관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문헌 2, 문헌 3에 기재된 것은 조립 작업이 복잡해진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문헌 1, 문헌 2에 기재된 내시경용 결찰구는 사용 후에 내시경을 체강 내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있지만, O링만 혹은 O링을 장착한 내부 통만을 교환하면 좋고 대규모의 준비는 불필요하지만, 상기 문헌 3에 기재된 내시경용 결찰구는, O링을 전부 사용한 후에는 모든 준비 작업을 처음부터 다시 해야만 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와이어나 유체를 공급하는 장치를 불필요로 하는 간이한 구성으로 생체 조직을 결찰할 수 있어 수술의 간이화 및 단시간화를 도모할 수 있는 내시경용 결찰구 및 내시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는 체내 조직을 결찰하는 내시경용 결찰구이며, 통형으로 형성되고 겸자 채널이 형성된 내시경의 삽입부 선단부에 기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된 외부 통 부재와, 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통 부재의 선단부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외부 통 부재의 내부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된 내부 통 부재와, 환형이고 신축 가능하게 되어 상기 외부 통 부재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된 상기 내부 통 부재의 외주면에 장착된 결찰 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통 부재의 선단부를 상기 체내 조직에 맞닿게 하였을 때, 상기 내부 통 부재는 상기 겸자 채널을 거쳐서 상기 체내 조직을 흡인할 때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외부 통 부재의 기단부측에 상기 외부 통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고, 상기 외부 통 부재의 선단부에서 상기 결찰 밴드 부재를 압출하여 탈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내시경용 결찰구는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내부 통 부재를 외부 통 부재 내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외부 통 부재를 내시경 삽입부 선단부에 장착하여 체내 조직을 흡인하였을 때, 이 흡인력에 의해 내부 통 부재 선단부를 체내 조직으로 폐색할 수 있다. 그 결과, 체내 조직을 내부 통 부재 내로 인입할 수 있다. 이때, 체내 조직을 흡인하는 압력에 의해서는 내부 통 부재 내로 인입된 체내 조직이 내부 통 부재를 외부 통 부재 내로 압입하기 때문에 내부 통 부재 자체를 외부 통 부재 내로 인입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외부 통 부재의 선단부가 결찰 밴드 부재를 선단부측으로 압출하게 되어 내부 통 부재의 선단부로부터 결찰 밴드 부재를 탈락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정맥류 등의 체내 조직을 결찰 밴드 부재로 결찰할 수 있다.
또한, 흡인에 의해 내부 통 부재 선단부를 체내 조직으로 폐색한 후에도 계속 흡인하면 흡인압이 높아져 내부 통 부재 자체를 외부 통 부재 내로 인입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결찰 밴드 부재를 탈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맥류 등의 체내 조직을 내부 통 부재 내로 취입하는 조작과, 결찰 밴드 부재를 탈락시켜 결찰하는 조작을 겸자 채널을 거쳐서 행하는 흡인 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때, 내시경의 삽입부로의 장착도 외부 통 부재를 끼워 넣을 뿐이므로 매우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겸자 채널 내에 와이어 부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결찰 조작시라도 주사 바늘 등의 다른 처치구를 겸자 채널에 삽입 관통해 둘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는 체내 조직을 결찰하는 내시경용 결찰구이며,
통형으로 형성되고 겸자 채널이 형성된 내시경의 삽입부 선단부에 기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된 외부 통 부재와, 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통 부재의 선단부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외부 통 부재의 내부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된 내부 통 부재와, 환형이고 신축 가능하게 되어 상기 외부 통 부재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된 상기 내부 통 부재의 외주면에 장착된 결찰 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통 부재의 선단부를 상기 체내 조직에 맞닿게 하였을 때, 상기 내부 통 부재는 상기 삽입부의 상기 체내 조직으로의 압박력에 의해 상기 외부 통 부재의 기단부측에 상기 외부 통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고, 상기 외부 통 부재의 선단부에서 상기 결찰 밴드 부재를 압출하여 탈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내시경용 결찰구는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내시경 삽입부 선단부에 장착하여 체내 조직을 흡인한 상태에서 내부 통 부재를 체내 조직으로 압박함으로써 내부 통 부재를 외부 통 부재 내로 인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외부 통 부재의 선단부가 결찰 밴드 부재를 선단부측으로 압출하여 이것을 내부 통 부재의 선단부로부터 탈락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정맥류 등의 체내 조직을 결찰 밴드 부재로 결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맥류 등의 체내 조직을 내부 통 부재 내로 취입하는 조작과, 결찰 밴드 부재를 탈락시켜 결찰하는 조작을 계속해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와이어 부재나 유체 공급 장치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결찰 조작시라도 주사 바늘 등의 다른 처치구를 겸자 채널에 삽입 관통해 둘 수 있다.
또한, 체내 조직의 흡인을 결찰 밴드 부재의 탈락과는 다른 조작으로 할 수 있어 의도하지 않은 결찰 밴드 부재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는 상기한 내시경용 결찰구이며, 상기 내부 통 부재의 기단부측 내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볼록형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내시경용 결찰구는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체내 조직을 내부 통 부재 내로 흡인하였을 때, 체내 조직의 표면이 볼록형부에 접촉되면 체내 조직의 표면이 볼록형부를 압박하여 내부 통 부재를 외부 통 부재 내로 압입하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고, 내부 통 부재를 외부 통 부재 내에 의해 용이하게 인입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통 부재의 선단부에서 결찰 밴드 부재를 압출하고, 내부 통 부재 선단부로부터 압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는 상기한 내시경용 결찰구이며,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이 형성된 바닥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내시경용 결찰구는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체내 조직을 내부 통 부재 내로 흡인하였을 때, 체내 조직의 표면이 바닥부에 접촉되면 체내 조직의 표면이 바닥부를 압박하여 내부 통 부재를 외부 통 부재 내로 압입하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고, 내부 통 부재를 외부 통 부재 내에 의해 용이하게 인입할 수 있다. 또한, 체내 조직 표면이 바닥부에 달라붙는 상태까지 흡인하였을 때, 체내 조직이 연통 구멍을 폐색하기 때문에 바닥부와 체내 조직과 삽입부 선단부와 외부 통 부재 내면 사이에서 밀폐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흡인을 더 계속함으로써, 이 영역이 부압으로 되어 내부 통 부재를 외부 통 부재 내에 의해 인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외부 통 부재의 선단부로부터 결찰 밴드 부재를 압출하고, 내부 통 부재 선단부로부터 압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는 상기한 내시경용 결찰구이며, 상기 내부 통 부재가 상기 외부 통 부재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내시경용 결찰구는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외부 통 부재로부터 내부 통 부재가 누락되어 흩어져 없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는 상기한 내시경용 결찰구이며, 상기 내부 통 부재와 상기 외부 통 부재의 간극에 미끄럼 이동 마찰을 조정하는 밀봉제가 배치되어 있다.
이 내시경용 결찰구는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내부 통 부재와 외부 통 부재의 마찰 저항을 줄여 체내 조직을 내부 통 부재로 인입할 정도의 흡인압으로 결찰 밴드 부재의 탈락을 행할 수 있고, 반대로 마찰 저항을 높이는 밀봉제를 사용함으로써 내부 통 부재의 외부 통 부재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 통 부재와 외부 통 부재 사이의 간극을 메워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는 상기한 내시경용 결찰구이며, 상기 외부 통 부재와 상기 내부 통 부재가 모두 투명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 내시경용 결찰구는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병변부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확실한 결찰 처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는 상기한 내시경용 결찰구이며, 상기 결찰 밴드 부재가 결합 가능한 결합 홈이 상기 내부 통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내시경용 결찰구는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결찰 조작시 이외일 때에 결찰 밴드 부재가 내부 통 부재로부터 용이하게 탈락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은 가요성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내를 관통하는 겸자 채널과,
상기 겸자 채널의 기단부측에 접속되어 상기 삽입부의 선단부 외측의 영역을 흡인 가능한 흡인원과, 상기 삽입부의 선단부에 상기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내시경은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흡인원에 의해 겸자 채널을 거쳐서 흡인할 수 있고, 내부 통 부재를 외부 통 부재의 기단부측으로 인입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외부 통 부재의 선단부에서 결찰 밴드 부재를 압출하고, 결찰 밴드 부재에 의한 결찰 처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은 상기한 내시경이며, 상기 흡인원이 상기 내부 통 부재의 선단부와 상기 체내 조직을 밀착시켰을 때 상기 체내 조직을 상기 내부 통 부재 내로 인입하고, 또한 상기 외부 통 부재에 대해 상기 내부 통 부재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하는 흡인압을 형성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내시경은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흡인원의 흡인압 공급 조작에 의해 내부 통 부재로의 정맥류 등의 생체 조직의 인입 조작과, 외부 통 부재에 대해 내부 통 부재의 이동 조작을 행할 수 있고, 정맥류 등을 결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이한 구성이나 방법으로 생체 조직을 결찰할 수 있어 수술의 간이화 및 단시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와 이것을 구비하는 내시경을 도시하는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에 의한 체내 조직의 결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에 의한 체내 조직의 결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에 의한 체내 조직의 결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에 의한 체내 조직의 결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와 이것을 구비하는 내시경을 도시하는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이들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끼리를 적절하게 조합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1)는 식도 정맥류 등의 체내 조직(2)(도3 참조)을 결찰하는 내시경용 결찰구이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으로 형성된 외부 통 부재(3)와, 통형으로 형성되어 외부 통 부재(3)의 내부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내부 통 부재(5)와, 환형이고 신축 가능하게 되어 외부 통 부재(3)의 선단부(3a)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내부 통 부재(5)의 외주면에 장착된 O링(결찰 밴드 부재)(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내시경(7)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의 삽입부(8)와, 삽입부(8)의 기단부에 접속된 내시경 조작부(10)와, 삽입부(8) 내를 관통하는 겸자 채널(11)과, 겸자 채널(11)의 기단부측에 접속되어 삽입부(8)의 선단부 외측의 영역을 흡인 가능한 흡인 장치(흡인원)(12)를 구비하고 있다. 겸자 채널(11)의 기단부에는 처치구를 겸자 채널(11) 내에 삽입하기 위한 겸자구(13)가 마련되어 있다.
외부 통 부재(3)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한 경성 수지로 구성된 외부 통 본체(3A)와, 외부 통 본체(3A)의 기단부에 접속되는 동시에, 도2에 도시하는 겸자 채널(11)이 형성된 내시경(7)의 삽입부(8)의 선단부(8a)에 착탈 가능한 연성의 수지로 구성된 장착부(3B)를 구비하고 있다.
내부 통 부재(5)는 선단부(5a)가 외부 통 부재(3)로부터 선단부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고, 기단부측에 바닥부(5b)가 설치되고, 바닥부(5b)에는 내부 통 부재(5)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5c)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 통 부재(5)는 바닥부(5b)와 삽입부(8)의 선단부(8a)의 거리가 내부 통 부재(5)의 선단부(5a)와 외부 통 부재(3)의 선단부(3a)의 거리보다도 크게 되어 외부 통 부재(3)에 설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내부 통 부재(5)의 선단부(5a)는 체내 조직(2)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라운딩형으로 깍여 있다.
외부 통 부재(3)의 내주면에는 외부 통 본체(3A)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3a)측을 향해 축방향에 오목부(탈락 방지 기구)(3C)가 형성되고, 내부 통 부재(5)의 바닥부(5b)의 외측 모서리에 이 오목부(3C)와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록부(탈락 방지 기구)(5d)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오목부(3C)의 길이는 O링(6)의 탈락을 가능하게 하는 데 필요한 내부 통 부재(5)와 외부 통 부재(3)의 상대 이동 거리를 확보하여 그 이상의 이동을 제한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
내부 통 부재(5)와 외부 통 부재(3) 사이에는 내부 통 부재(5)가 외부 통 부재(5) 내를 이동하기 쉽게 미끄럼 이동 마찰을 줄이고, 체내 조직(2)을 내부 통 부재(5) 내로 인입할 정도의 흡인압으로 O링(6)의 탈락을 행하기 위한 실리콘 등의 밀봉제가 도포되어 있다.
흡인 장치(12)는 흡인원으로서 진공 펌프를 구비하고, 내부 통 부재(5)의 선단부와 체내 조직(2)을 밀착시켜 흡인 버튼(10A)을 압입하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체내 조직(2)을 내부 통 부재(5) 내로 인입하고, 또한 외부 통 부재(3)에 대해 내부 통 부재(5)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하는 흡인압을 형성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흡인 버튼(10A)은 2단계의 압입을 가능하게 하고, 1단째의 압입에서 제1 흡인압으로 흡인하여 체내 조직(2)을 내부 통 부재(5) 내로 인입하고, 또한 1단 더 압입함으로써 제2 흡인압으로 흡인하고, 내부 통 부재(5)를 외부 통 부재(3)에 대해 상대 이동시켜 O링(6)을 탈락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1) 및 내시경(7)의 조작 방법 및 작용ㆍ효과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우선, 바닥부(5b)가 외부 통 부재(3)의 기단부측이 되도록 내부 통 부재(5)를 외부 통 본체(3A) 내부에 삽입하는 동시에 오목부(3C)와 볼록부(5d)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내부 통 부재(5)의 선단부(5a)를 외부 통 부재(3)의 선단부(3a)로부터 돌출시키고, 돌출된 내부 통 부재(5)의 외주면에 O링(6)을 장착한다. 이에 의해, 내부 통 부재(5)의 외부 통 부재(3)에 대한 이동 거리가 제한되어 내부 통 부재(5)가 외부 통 부재(3)에 위치 결정된다.
계속해서, 장착부(3B)를 내시경(7)의 삽입부(8)의 선단부(8a)의 외주면에 씌워 내시경용 결찰구(1)를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내시경(7)의 삽입부(8)를 식도 내에 삽입하여 정맥류 등의 체내 조직(2)까지 이동하고, 내부 통 부재(5)의 선단부(5a)를 체내 조직(2)의 표면에 맞닿게 한다.
이때,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내 조직(2)과 내부 통 부재(5)로 둘러싸여 밀폐 상태가 된 제1 영역(15)과, 바닥부(5b)와 삽입부(8)의 선단부(8a)와 외부 통 부재(3)로 둘러싸인 제2 영역(16)이 형성된다.
그리고, 흡인 버튼(10A)을 압입한다. 이때,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흡인 장치(12)의 진공 펌프를 작동시키고, 겸자 채널(11)을 거쳐서 제1 영역(15) 내를 부 압으로 한다.
이때, 내부 통 부재(5)의 선단부(5a)를 체내 조직(2)으로 폐색하고, 체내 조직(2)을 내부 통 부재(5) 내로 더 흡입한다. 계속해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내 조직(2)에 의해 연통 구멍(5c)이 폐색되어 제2 영역(16)이 밀폐 상태가 되고, 또한 제2 영역(16) 내를 부압으로 한다. 이때,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통 부재(5)가 외부 통 부재(3)의 기단부측으로 상대 이동하는 데 수반하여, 내부 통 부재(5)의 선단부(5a)에 장착된 O링(6)이 외부 통 부재(3)의 선단부(3a)에 의해 선단부측으로 압박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O링(6)이 내부 통 부재(5)로부터 탈락되는 동시에 정맥류 등의 체내 조직(2)을 결찰한다.
흡인 버튼(10A)을 해제하면, 체내 조직(2)은 내부 통 부재(5) 내로부터 이격되지만, 내부 통 부재(5)는 오목부(3C) 및 볼록부(5d)에 의해 이동 거리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내부 통 부재(5)는 외부 통 부재(3) 내에 수납 상태로 되어 있다.
다른 체내 조직을 다시 결찰하는 경우에는 일단 삽입부(8)를 체외로 취출하고, 내부 통 부재(5)를 외부 통 부재(3) 내로부터 돌출시켜 내부 통 부재(5)의 선단부(5a)에 다시 O링(6)을 장착하거나, 내부 통 부재(5)를 외부 통 부재(3)로부터 취출하여 O링(6)이 장착된 새로운 내부 통 부재(5)를 외부 통 부재(3)의 선단부로부터 압입하여 교체하거나, 혹은 새로운 내시경용 결찰구(1)로 교체하여 다시 상술한 바와 같은 조작을 행한다.
이 내시경용 결찰구(1) 및 내시경(7)에 따르면, 정맥류 등의 체내 조직(2)을 내부 통 부재(5) 내로 취입하는 조작과 O링(6)에 의한 결찰 조작을 흡인 장치(12)의 흡인력에 의해 계속해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겸자 채널(11) 내에 와이어 부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주사 바늘 등의 다른 처치구를 겸자 채널(11)에 삽입 관통해 둘 수 있고, 내시경적 경화 요법을 계속해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3C)와 볼록부(5d)에 의해, O링(6)에 의한 결찰 후 외부 통 부재(3)로부터 내부 통 부재(5)가 누락되어 흩어져 없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통 부재(3) 및 내부 통 부재(5)가 모두 투명하므로 넓은 시야를 확보하여 병변부를 포함하는 체내 조직(2)으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확실한 결찰 처치를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는 동시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와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점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1)의 내부 통 부재(5)에는 기단부에 삽입 통과 구멍(5c)이 형성된 바닥부(5b)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용 결찰구(17)의 내부 통 부재(18) 내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볼록형부(18b)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한 점이다.
다음에, 내시경용 결찰구(17) 및 내시경(7)의 조작 방법 및 작용ㆍ효과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이 내시경용 결찰구(17)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내시경용 결찰구(17) 를 삽입부(8)의 선단부에 장착하여 체강 내에 삽입한 후, 흡인 장치(12)에서 체내 조직(2)을 흡인한다. 이때, 흡인 장치(12)의 흡인력에 의해, 흡인한 체내 조직(2)의 표면이 볼록형부(18b)에 접촉될 때까지 내부 통 부재(18) 내로 인입된다. 이때, 체내 조직(2)의 표면이 볼록형부(18b)를 거쳐서 내부 통 부재(18)를 외부 통 부재(3) 내로 압입하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힘에 의해 내부 통 부재(18)를 외부 통 부재(3) 내에 의해 용이하게 인입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통 부재(3)의 선단부에서 O링(6)을 압출하고, 내부 통 부재(18)의 선단부(18a)로부터 압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O링(6)이 결합 가능한 결합 홈(20)이 내부 통 부재(5)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결찰 조작시 이외일 때, O링(6)이 내부 통 부재(5)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결찰 조작을 안정된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3C) 및 볼록부(5d)에 의해 내부 통 부재(5)와 외부 통 부재(3)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뿐만 아니라, 내부 통 부재(5)와 외부 통 부재(3) 사이에 미끄럼 이동 마찰을 높이기 위한 밀봉제를 배치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내부 통 부재(5)와 외부 통 부재(3)의 미끄럼 이동 마찰 저항이 높아져 내부 통 부재(5)가 외부 통 부재(3)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5b)나 볼록형부(18b)가 없는 내부 통 부재(21)라도 상관없다.
이 경우, 내부 통 부재(21)의 선단부(21a)를 체내 조직에 맞닿게 하여 흡인하고, 체내 조직을 내부 통 부재(21) 내로 인입하였을 때, 흡인을 더 계속하면 흡인압이 높아져 내부 통 부재(21) 자체를 외부 통 부재(3) 내로 인입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외부 통 부재(3)의 선단부가 O링(6)을 내부 통 부재(21)의 선단부(21a)측으로 압출하여 내부 통 부재(21)의 선단부(21a)로부터 O링(6)을 탈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흡인원으로서 내시경(7)의 흡인 장치(12)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에 겸자 채널(11) 내에 삽입 가능한 튜브(22)가 접속된 주사기(23)를 흡인원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겸자 채널(11)과 흡인 장치(12)에 연통되는 분기관(25)과의 분기 위치로부터 겸자 채널(11)의 선단부측까지 튜브(22)의 선단부를 연장시킴으로써, 결찰 조작시에 공기가 분기관(25)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주사기(23)에 의한 조작을 양호한 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내시경(7)의 삽입부(8)의 선단부에 내시경용 결찰구를 장착하여 체내 조직(2)을 흡인한 상태에서 내부 통 부재를 체내 조직(2)으로 압박함으로써, 내부 통 부재를 외부 통 부재 내로 인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 통 부재의 선단부가 상대적으로 O링(6)을 선단부측으로 압출하는 상태가 되므로 O링(6)을 내부 통 부재의 선단부로부터 탈락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정맥류 등의 체내 조직을 O링(6)으로 결찰할 수 있다.
이 경우, O링(6)의 탈락과는 다른 조작으로 체내 조직(2)을 흡인할 수 있어 의도하지 않은 O링(6)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도나 위 등의 체내 조직에 형성된 정맥류를 결찰하는 내시경용 결찰구 및 내시경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이한 구성이나 방법으로 생체 조직을 결찰할 수 있어 수술의 간이화 및 단시간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0)

  1. 체내 조직을 결찰하는 내시경용 결찰구이며,
    통형으로 형성되고 겸자 채널이 형성된 내시경의 삽입부 선단부에 기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된 외부 통 부재와,
    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통 부재의 선단부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외부 통 부재의 내부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된 내부 통 부재와,
    환형이고 신축 가능하게 되어 상기 외부 통 부재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된 상기 내부 통 부재의 외주면에 장착된 결찰 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통 부재의 선단부를 상기 체내 조직에 맞닿게 하였을 때, 상기 내부 통 부재가 상기 겸자 채널을 거쳐서 상기 체내 조직을 흡인할 때의 흡인력, 또는 삽입부의 상기 체내 조직으로의 압박력에 의해 상기 외부 통 부재의 기단부측에 상기 외부 통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고, 상기 외부 통 부재의 선단부에서 상기 결찰 밴드 부재를 압출하여 탈락 가능하게 되어 있는 내시경용 결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통 부재의 기단부측 내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볼록형부가 마련되어 있는 내시경용 결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통 부재의 기단부에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이 형성된 바닥부가 형성되어 있는 내시경용 결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통 부재가 상기 외부 통 부재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내시경용 결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통 부재와 상기 외부 통 부재의 간극에 미끄럼 이동 마찰을 조정하는 밀봉제가 배치되어 있는 내시경용 결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통 부재와 상기 내부 통 부재가 모두 투명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내시경용 결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찰 밴드 부재가 결합 가능한 결합 홈이 상기 내부 통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내시경용 결찰구.
  9. 가요성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내를 관통하는 겸자 채널과,
    상기 겸자 채널의 기단부측에 접속되어 상기 삽입부의 선단부 외측의 영역을 흡인 가능한 흡인원과,
    상기 삽입부의 선단부에 제1항에 기재된 내시경용 결찰구를 구비하고 있는 내시경.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원은 상기 내부 통 부재의 선단부와 상기 체내 조직을 밀착시켰을 때 상기 체내 조직을 상기 내부 통 부재 내로 인입하고, 또한 상기 외부 통 부재에 대해 상기 내부 통 부재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하는 흡인압을 형성 가능하게 되어 있는 내시경.
KR1020067009462A 2003-11-05 2004-11-04 내시경용 결찰구 및 내시경 Expired - Fee Related KR100808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75526 2003-11-05
JP2003375526A JP4373186B2 (ja) 2003-11-05 2003-11-05 内視鏡用結紮具及び内視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584A KR20060132584A (ko) 2006-12-21
KR100808743B1 true KR100808743B1 (ko) 2008-02-29

Family

ID=3456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462A Expired - Fee Related KR100808743B1 (ko) 2003-11-05 2004-11-04 내시경용 결찰구 및 내시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60200176A1 (ko)
EP (1) EP1683493B1 (ko)
JP (1) JP4373186B2 (ko)
KR (1) KR100808743B1 (ko)
CN (1) CN1874730B (ko)
WO (1) WO20050441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2690B2 (ja) * 2006-07-24 2012-04-25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用流体供給装置及び内視鏡
CN100525732C (zh) * 2006-11-03 2009-08-12 山东大学齐鲁医院 一种可视取环钳
US20110077666A1 (en) * 2009-09-30 2011-03-3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Ligating band dispenser device
KR102812116B1 (ko) * 2011-02-16 2025-05-22 더 제너럴 하스피탈 코포레이션 내시경용 광 결합기
CN102755181A (zh) * 2011-04-26 2012-10-31 桦莱高分子工业股份有限公司 内视镜用食道静脉瘤结扎具
EP2797518B1 (en) * 2011-12-27 2021-03-2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Adjustable resection device
CN102961170B (zh) * 2012-09-24 2015-03-18 杭州市余杭区第一人民医院 食管静脉曲张单线结扎系统
US20150105614A1 (en) * 2013-10-15 2015-04-16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Method for endoscopic treatment
US10743745B2 (en) * 2014-01-28 2020-08-18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Endoscope
US9459442B2 (en) 2014-09-23 2016-10-04 Scott Miller Optical coupler for optical imaging visualization device
WO2016134368A2 (en) 2015-02-20 2016-08-25 Spacebander Corporation Improved banding device for treating hemmorrhoids and reloading device
US10548467B2 (en) 2015-06-02 2020-02-04 GI Scientific, LLC Conductive optical element
AU2016297077B2 (en) 2015-07-21 2020-10-22 GI Scientific, LLC Endoscope accessory with angularly adjustable exit portal
US10660644B2 (en) * 2016-10-14 2020-05-26 Logan Medical Devices, Inc. Rectal band lig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7234608B2 (ja) * 2017-12-28 2023-03-08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大腸憩室結紮術用器具及び大腸憩室結紮システム
JP2021526868A (ja) * 2018-06-05 2021-10-11 シャーレ ゼデック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内視鏡付属装置
CN111989024B (zh) * 2018-07-06 2023-12-15 Hoya株式会社 内窥镜
CN110584584B (zh) * 2019-10-12 2021-08-27 内蒙古医科大学附属医院 一种泌尿科检查用便携式膀胱镜
CN115135286A (zh) * 2020-02-20 2022-09-30 奥林巴斯株式会社 支架输送系统、内窥镜系统及支架留置方法
CN111466989A (zh) * 2020-04-28 2020-07-31 张强 一种套扎器装置
JP7630393B2 (ja) 2021-09-08 2025-02-17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結紮用デバイス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5194A (en) 1987-01-13 1988-04-05 University Patents, Inc. Flexible endoscopic ligating instrument
US5741273A (en) 1996-03-08 1998-04-21 O'regan; Patrick J. Elastic band ligation device for treatment of hemorrhoid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47468B (it) * 1991-03-06 1994-12-17 Gianfranco Bidoia Strumento per la legatura di emorroidi o simili
US5356416A (en) * 1992-10-09 1994-10-18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Combined multiple ligating band dispenser and sclerotherapy needle instrument
US5833692A (en) * 1993-01-29 1998-11-10 Smith & Nephew, Inc. Surgical instrument
JP2958219B2 (ja) 1993-08-20 1999-10-06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内視鏡的結紮用キット
TW288967B (ko) * 1994-04-26 1996-10-21 Top Kk
US5788715A (en) * 1995-02-07 1998-08-04 C.R. Bard, Inc. Telescoping serial elastic band ligator
JP3902290B2 (ja) * 1997-06-19 2007-04-04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内視鏡用結紮具
US6042591A (en) * 1998-04-17 2000-03-28 Ensurg, Inc. Movable ligating band dispenser and method
US6235040B1 (en) 1998-09-21 2001-05-22 Scimed Life Systems, Inc. Single pull wire multiple band ligator
US7063709B2 (en) * 2002-06-11 2006-06-2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Ligating band dispenser with transverse ridge profile
JP3723164B2 (ja) * 2002-08-26 2005-12-07 株式会社トップ 結紮治療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5194A (en) 1987-01-13 1988-04-05 University Patents, Inc. Flexible endoscopic ligating instrument
US4735194C1 (en) 1987-01-13 2001-05-08 Dept Of Veterans Affairs The U Flexile endoscopic ligating instrument
US5741273A (en) 1996-03-08 1998-04-21 O'regan; Patrick J. Elastic band ligation device for treatment of hemorrho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584A (ko) 2006-12-21
CN1874730A (zh) 2006-12-06
WO2005044112A1 (ja) 2005-05-19
CN1874730B (zh) 2011-10-19
US8992548B2 (en) 2015-03-31
US20060200176A1 (en) 2006-09-07
US20140088615A1 (en) 2014-03-27
EP1683493A4 (en) 2010-05-26
EP1683493B1 (en) 2013-05-22
EP1683493A1 (en) 2006-07-26
JP4373186B2 (ja) 2009-11-25
JP2005137477A (ja) 200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743B1 (ko) 내시경용 결찰구 및 내시경
JP5273980B2 (ja) 内視鏡用結紮具及び内視鏡結紮システム
EP1902668B1 (en)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JP3902290B2 (ja) 内視鏡用結紮具
JP5109694B2 (ja) 痔核結紮具およびこれを含む結紮用キット
JP2008023187A (ja) 内視鏡用流体供給装置及び内視鏡
EP0893096B1 (en) Endoscopic kit for ligation
EP1535577B1 (en) Ligation treating apparatus
JP2005110905A (ja) 穿刺吸引装置ハンドル
EP4480432A2 (en) Systems for a dissection tool
KR102610195B1 (ko) 내시경의 오버튜브 결찰 장치
JP3934209B2 (ja) 内視鏡用先端フード装置
JP3765730B2 (ja) 連発式結紮用デバイス
JP3587706B2 (ja) 連発式結紮用デバイス
JP3645736B2 (ja) 内痔核結紮具
JP2005261735A (ja) 内視鏡用注射針及び内視鏡処置システム
JPH1156861A (ja) 内視鏡的結紮用具
JP2019118805A (ja) 大腸憩室結紮術用器具及び大腸憩室結紮システム
JPH11169335A (ja) 連発式結紮具
JPH10179595A (ja) 内視鏡的結紮用キット
JPS60234650A (ja) 拡張針
JP2006271717A (ja) 生体組織結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7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