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8136B1 - 출생용품 보관전시용 액자 - Google Patents

출생용품 보관전시용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136B1
KR100808136B1 KR1020070034883A KR20070034883A KR100808136B1 KR 100808136 B1 KR100808136 B1 KR 100808136B1 KR 1020070034883 A KR1020070034883 A KR 1020070034883A KR 20070034883 A KR20070034883 A KR 20070034883A KR 100808136 B1 KR100808136 B1 KR 100808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nel
birth
space
pic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1808A (ko
Inventor
남기열
장수희
이정득
김양진
Original Assignee
장수희
김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수희, 김양진 filed Critical 장수희
Priority to KR1020070034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136B1/ko
Publication of KR20070051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13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2Frames or housings for storing medals, bad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essential features of rigid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2Picture members for connection to a conventional wall hook or nail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생과 관련된 용품 등을 예쁘게 보관전시하는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어린아이의 탄생과 관련한 사진(임산부모습, 태아의 초음파사진, 탄생당시의 모습, 백일, 돌사진 등)이나 태어난 후 처음 입게 되는 배냇저고리와 탯줄도장과 아기의 손도장, 발도장 및 출생증명서 등등을 아기엄마의 손으로 직접 예쁘게 전시용 액자내에서 디스플레이(dis-play)할 수 있도록 액자 내부에는 입체적 안착형태의 공간부 기능을 제공하는 수용성 안착부가 다양하게 구성되고, 액자의 내부공간 좌우의 양 측면부인 테두리 부분에는 디스플레이 된 전시물을 오래도록 보관하는 것이 가능토록 항온,항습 기능의 숯덩어리 등을 수용할 수 있는 통기공 형태의 공간부가 액자의 프레임 구조로서 구성되며, 또한 액자의 내부를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투명 유리판 구조로 구성되는 전면부의 프레임은 개폐방식의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 가능토록 제작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자, 사진, 판넬, 블록, 배넷저고리, 손도장, 출생증명서

Description

출생용품 보관전시용 액자{Birth article custody decoration frame}
도 1은 본 발명의 출생용품 보관전시용 액자에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액자에 출생용품 등을 디스플레이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출생용품 보관전시용 액자를 분해한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액자의 사용방법을 순서대로 표현한 상태도
도 5a는 디스플레이용 캔버스판넬의 전면구조를 부분확대한 도면
도 5b는 디스플레이용 캔버스판넬의 후면구조를 부분확대한 도면
도 5c는 디스플레이용 블럭판넬의 구성도를 표현한 사시도
도 5d는 디스플레이용 블럭판넬에 사진을 안착시킨 상태도
도 6은 캔버스판넬에 블럭판넬과 걸이용 나사를 부착시켜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액자의 전면부프레임을 다르게 구성제작한 정면도
도 8은 도7의 액자에 구성된 전면의 투시문을 개방표시한 상태도
도 9는 도7의 액자에 구성된 테두리의 양쪽문을 개방표시한 상태도
도 10은 디스플레이용 캔버스에 블럭판넬을 다르게 조합한 예시도
도 11은 디스플레이용 캔버스에 고정으로 부착된 사진공간부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액자 2. 걸이용 쇠고리
3. 액자의 장식용테 4. 손잡이 5. 경첩
A: 배면부 프레임 B : 디스플레이용 판넬 C: 전면부 프레임
101. 액자의 배면부 102. 배면부의 나사구멍
103. 장식용테의 공간부 104. 통기부
105. 자석 106. 캔버스판넬의 고정용 나사
201. 캔버스판넬 202. 캔버스판넬의 돌기부
203. 캔버스판넬의 나사삽입용 천공부
204. 블록판넬 205. 블록판넬의 사진 삽입구
206. 블럭판넬의 사진안착 공간부
207. 캔버스판넬의 돌기들 사이에 끼워지는 블록판넬의 모서리부.
301. 장식물 결착용 나사못
302. 장식물 결착용 나사못에 걸리는 옷걸이
303. 배넷저고리 304. 사진
305. 출생증명서 306. 손도장,발도장의 각인판
307. 투명유리판 308. 유리문을 액자테에 결착시킨 경첩
본 발명은 출생용품 등을 예쁘게 보관 및 전시하는 디스플레이용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어린아이의 탄생과 관련한 여러종류와 사진들과 태 어난 후 처음 입게 되는 배냇저고리와 탯줄도장 및 아기의 손도장, 발도장 그리고 출생증명서 등등을 아기엄마의 손으로 직접 예쁘게 전시용 액자내에서 다양하게 디스플레이(dis-play)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사진이나 그림만을 단순히 고정식으로 수납하여 장식 및 기념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주로 대형액자사진 등은 벽걸이용이 많이 사용되지만 대부분 액자의 틀 형태로 프레임을 이루고 있는 내측 수납부에 단지 고정식의 전시물(사진,그림)만이 대부분 1개정도 디스플레이 되어 있도록 기능을 제공할 뿐, 그 외에는 별도로 액자의 공간내부에서의 다양성을 요구하는 다종류의 전시물품을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는 기능적 구조의 액자는 현재 없는 것이 아기엄마들과 같은 소비자들의 입장에서는 참으로 아쉬운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아쉬움을 감안하여 제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기엄마가 아기의 탄생과 더불어 계속 진행되는 아기의 프로필과 관련된 다종류의 전시물(사진, 배넷저고리, 탯줄, 출생증명서, 손도장 등)을 직접 아기엄마의 미적감각을 담아서 표현하는 수단적 역할을 수용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개방형태의 구조적인 액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출생용품 보관 전시용 액자는, 액자의 내부를 투명하게 들여다 볼 수 있는 유리구조의 전면부가 필요에 따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개폐형으로 구성되고, 디스플레이용 전시물이 다양하게 안 착될 수 있도록 투명재질이면서 입체형으로 구성되는 조합적 판넬은 액자의 배면부와 나사고정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다종류의 전시물을 수용 가능토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출생용품 보관전시용 액자에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액자에 출생용품 등을 디스플레이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출생용품 보관전시용 액자를 분해시켜 본 분리도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액자(1) 구성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장식용테(3)와 일체로 붙어서 고정화 되어 있는 배면부 프레임(A)과 전면부 프레임(C)을 경첩(5)으로 연결하여, 전면부 프레임(C)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개폐기능을 주는 특징과 더불어, 배면부 프레임(A)의 내측전면에 고정식으로 부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용 판넬(B)은 직접 사람이 손으로 만지면서 여러종류와 전시물을 다양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액자(1)의 배면부 프레임(A)의 좌,우 양쪽에 위치한 테두리(3) 부분에는 일정한 공간부(103)를 구성하여, 아기와 관련된 전시물 이외의 소소한 용품들을 보관 가능토록 내부에 장식용테의 공간부(103)를 형성하고, 전시물들이 안착되는 디스플레이용 판넬(B)이 위치한 액자(1)의 공간 내부와는 공기가 서로 통하도록 통기부(104)를 구성시킨다. 이렇게 구성된 액자(1)의 장식용 테(3)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03)에는 주로 아기의 건강을 기원하는 부적이나, 젓병, 딸랑이, 반지, 팔찌등을 별도로 보관 할 수 도 있고, 특히 참숯과 같은 방습제나 방향제를 두어 액자(1) 내부에 전시되는 아기와 관련된 소중한 전시물들을 오 래도록 보관하는 것이 가능토록 기능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액자(1)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밖으로 보여지는 전시물들을 안착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판넬(B)은 캔버스판넬(201)과 블록판넬(204)과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바, 먼저 캔버스판넬(201)은 아주 가볍고도 투명한 아크릴 종류의 재질로서 도 5a와 같이 다수개의 돌기부(202)를 갖는 전면부와, 도 5b와 같이 나사삽입용 천공부(203)만을 다수개로 구성된 매끄러운 배면부로 구성되는데, 캔버스판넬(201)의 전면부에 구성된 다수개의 돌기부(202) 중앙은 모두 나사와 핀 등을 박을 수 있도록 구멍이 모두 뚫려 있는 천공된 상태로 구성제작하며, 아울러 이렇게 구성된 캔버스판넬(201)은 캔버스판넬의 고정용 나사(106) 서너개를 이용하여 캔버스판넬의 돌기부(202) 중앙에 천공되어 있는 천공부(203)에 삽입해서 액자(1)의 배면부 프레임(A)에 나사삽입식으로 튼튼하게 삽입(102)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블록판넬(204)은 도 5c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사진안착형 공간부(206)가 구성된 사각의 블록구조로서 사진안착형 공간부(206)의 반대편은 아무것도 없는 텅빈 구조로 구성되어, 도 6a와 같이 캔버스판넬(201)의 돌기부(202) 사이에 블록판넬(204)의 모서리부(207)가 상호 끼워져서 캔버스판넬(201)과 블록판넬(204)을 상호 탈,부착 가능한 형태의 조합형으로 구성제작함과 동시에 재질등은 플라스틱 종류의 투명한 아크릴로 제작함이 적절하다. 이렇게 구성된 블록판넬(204)은 도 5d와 같이 블록판넬의 사진 삽입구(205)를 통하여 사진을 안착시킬 수 있는바, 사진이 안착되는 공간부(206)는 둥근모양의 라운드형태를 구성시켜서 시각적 입체감이 돋보이도록 형성제작하고, 블록판넬(204)의 사진안착 공간부(206)의 규격 또한 일반적인 사진의 크기가 작게는 "3cmX4cm"부터 "11inchX14inch까지 그 크기가 다양함을 감안하여 여러종류의 블록판넬(204)을 다양하게 만들어서 캔버스판넬에 장식가능토록 구성제작한다. 이렇게 다양하게 갖추어진 블록판넬(204)들은 아기엄마들이 직접 디자이너의 감각으로 캔버스판넬(201) 안에서 적당부분에는 사진이 안착배열될 블록판넬(204)들을 조합시켜 놓고, 나머지 부분에는 배넷저고리(303)나 손도장 발도장 등의 각인판 등을 걸어 놓을수 있는 공간부를 마련하여, 이것들을 다양하고도 시각적으로 예쁘게 디스플레이 시키는 것이 가능토록 장식물 결착용 나사못(301)을 적당한 캔버스판넬(201)의 나사삽입용 천공부(203)에 박아 놓고, 옷걸이(302)를 이용하여 배넷저고리(303)를 장식하거나 또는, 나사못 걸림방식으로 다양하게 캔버스판넬(201)내에서 출생용품 등을 디스플레이 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액자(1) 내부에 전시물들이 안착되는 디스플레이용 판넬(B)은 출생용품들을 직접 장식하는 엄마들의 손으로 다양하게 꾸며지는 자유로운 공간으로서 사진이나 출생증명서와 같은 얇은 종이 종류는 그 크기와 규격에 맞는 블록판넬(204)을 이용하여 캔버스판넬(201)에 배치할 수 있으며, 아기가 세상에 태어나서 처음 입게 되는 배넷저고리(303)같은 아기 의류는 옷걸이(302)를 이용하여 캔버스판넬의 천공부(203)에 탈,부착으로 삽입가능한 나사못(301)이나 핀 등에 결착하여 장식하고, 아기들의 손도장,발도장과 같은 각인판(306)도 또한 각인판의 뒷부분에 나사못(301)과 결착가능토록 홈이나 걸이를 구성하여 장식(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디스플레이용 판넬(B)에 전시될 수 있는 물품들은 도 7의 액자에 전시된 장식모양과는 다르게 도 10과 같이 새롭게 조합장식하는 변화를 줄 수도 있고, 또 다른 디스플레이도 계속해서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서, 마치 하얀도화지에 물감을 가지고 여러가지 그림을 그렸다가 지원다가를 반복하는 듯한 기능의 디자인공간을 지원하는 것으로서, 아기를 사랑하는 엄마들의 마음을 본 발명의 액자(1)에서 시각적으로 정감있게 표현하는 기능적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액자의 전면부프레임을 다르게 구성제작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액자에 구성된 전면의 투시문을 개방표시한 상태도이며, 도 9는 도7의 액자에 구성된 테두리의 양쪽문을 개방표시한 상태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액자구조를 다르게 구성제작한 도 7은 전면의 투시성 유리판(307)만을 별도로 개폐하는 것이 가능토록 유리문을 액자테두리와 상호 안쪽에서 결착시킨 구조로서, 디스플레이용 판넬(B)의 물품들을 만질때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시킨 것이고, 좌우의 양쪽에 위치한 액자의 프레임 구조인 장식용테(3)에는 개별적인 개폐 방식의 문(4)을 구성시킨 이유는, 자주 꺼내보지 않는 아기와 관련된 용품들, 예를들어 아기의 안녕과 건강을 기원하는 부적이나 방향제, 방습제, 탯줄, 아기이빨, 손톱, 발톱, 열쇠고리, 우유병꼭지, 딸랑이 같은 놀이개 등등을 넣어 두는 공간(103)으로서 별개의 공간으로 분리가 가능토록 도 9와 같이 구성제작한 것이다. 참고로 도 4는 본 발명액자의 사용방법을 순서대로 표현한 상태도인바, 디스플레이용 판넬(B)에 일정형식의 블록판넬(204)이 캔버스판넬(201)과 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단지 사용자가 액자의 손잡이(4)를 이용하여 전면부 프레임(C)을 열고, 디스플레이용 판넬(B)에 출생용품등을 간단하게 안착형태로 장식한 후 다시 전면부 프레임(C)을 닫은 순서를 차례대로 보여 주는 도면인 바, 액자의 테두리 프레임에 구성된 자석(105)들은 개폐방식의 문이 자석의 힘으로 말리암아 서로 끌어당기는 밀착형태의 닫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구성시킨 구조이다. 그리고 도 11은 디스플레이용 캔버스에 블록판넬이 아닌 일반적인 소형액자들을 강력접착제등으로 부착시킨 도면을 표현한 것으로서 정형화 되어 있는 디자인의 틀 안에서 단지 사진과 출생용품등을 안착시키고자하는 아기엄마들의 수요를 예측하여 제작한 도면이다.
따라서 이렇게 구성제작된 본 발명의 출생용품 보관전시용 액자는 한 가정에 있어서 아기생명의 탄생과 더불어 가족간의 사랑을 시각적으로 서로 공유하면서 부모와 자녀간에 사랑과 정이 넘치는 일상의 의미 있는 전시물들을 엄마의 손으로 직접 다채롭게 매일매일 그리고 수시로 전시 및 꾸며나가는 기능적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는 특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생용품 보관전시용 액자는 아기를 사랑하는 엄마가 새롭게 준비된 캔버스에 아기와 관련된 시간차적인 이미지와 사랑을 그리는 듯한 마음으로 다양하게 아기와 관련된 출생용품 등을 엄마의 미적 감각으로 연출 및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다 고급스럽고 소중한 명품 액자의 느낌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부모의 사랑을 자녀에게 전달하는 매개체로 작용하게 됨과 동시에, 또한 자녀의 경우에는 자신의 탄생과정과 커가는 여러 사진과 더불어 태어나서 처음 입은 배냇저고리와 탯줄과 기타 용품 등을 보면서 자신이 얼마나 소중한 존재이고 자신을 낳아 길러주신 부모가 얼마나 고마우신 분이신지 생각해 볼 수 있고, 그로 인해 전달되는 부모의 참된사랑을 통해 자신들의 인성을 곧고 바르게 함양시킬 수 있는 바른 인성교육의 특장점이 있다.

Claims (6)

  1. 소정의 두께를 포함하는 외형의 테두리와 배면부가 유리같은 투시기능을 갖는 전면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사진과 그림같은 장식물을 배면부 프레임의 내부에 안착해서 벽면에 게시하는 것이 가능토록 걸이용 쇠고리(2)가 부착된 전시용 액자(1)에 있어서,
    액자(1)의 내부에 입체적으로 다양하게 안착 가능토록 다종류의 출생용품들을 수용하는 디스플레이용 판넬(B)이 배면부 프레임(A)의 전면측에 나사삽입식으로 고정부착되고, 테두리 프레임(3)의 내부에도 물건수납이 가능토록 일정한 공간부(103)를 구성하며, 손잡이(4)가 달려 있는 투시가능한 절첩형의 전면부 프레임(C)은 장식용 테두리(3) 프레임과 경첩(5)방식으로 연결구성되어 액자의 전면부가 쉽고 편하게 개폐가능한 도어처럼 개방형태로 구성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생용품 보관전시용 액자(1).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달려있는 개폐가능한 도어기능의 전면부는 투명한 유리판만 열고 닫는 것도 가능토록 유리판의 일측부가 장식용테(3)와 경첩(5) 방식으로 열결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생용품 보관전시용 액자(1).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3)의 내부에 물건수납이 가능토록 구성된 장식용테의 공간부(103)는 디스플레이용 판넬(B)이 안착되는 액자(1)의 내부공간과 공기가 서로 상통하도록 통기부(104)가 뚫려 있으며, 장식용테의 공간부(103)에 수납된 물건들만을 개별적으로 꺼내는 것이 가능토록 개별적인 개폐기능의 도어가 경첩(5) 방식으로 부착되고 가구용 문고리가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생용품 보관전시용 액자(1).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판넬(B)은 캔버스판넬(201)과 블록판넬(204)과의 상호 탈,부착 기능을 갖는 삽입방식으로 구성되며, 캔버스판넬(201)은 아주 가볍고도 투명한 아크릴 종류의 재질로서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돌기부(202)를 갖는 전면부가 투명한 블록판넬(204)의 모서리부(207)와 상호 끼워져서 여러 규격의 블록판넬(204)들을 다양하게 캔버스판넬(201)위에 고정 배치하는 것이 가능토록 제작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생용품 보관전시용 액자(1).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캔버스판넬(201)은 전면부가 나사와 핀,자석,못과 같은 금속물질 등을 고정으로 박을 수 있도록 일정한 비율과 간격으로 구멍이 천공(203)된 상태로 구성되어져 있거나, 천공(203)되어진 공간부에 나사와 핀,자석,못과 같은 금속물질 등이 고정으로 박혀져 있는 상태로 제작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생용품 보관전시용 액자(1).
  6.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판넬(B)은 캔버스판넬(201)과 블록판넬(204)과의 탈,부착형 끼움방식의 조합형태 이외에, 단지 사진안착형 공간부(206)를 갖는 작은 투명액자들을 캔버스판넬(201)에서 분리가 불가능 하도록 강력접착제나 나사삽입방식으로 부착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생용품 보관전시용 액자(1).
KR1020070034883A 2007-04-10 2007-04-10 출생용품 보관전시용 액자 Expired - Fee Related KR100808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883A KR100808136B1 (ko) 2007-04-10 2007-04-10 출생용품 보관전시용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883A KR100808136B1 (ko) 2007-04-10 2007-04-10 출생용품 보관전시용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808A KR20070051808A (ko) 2007-05-18
KR100808136B1 true KR100808136B1 (ko) 2008-02-29

Family

ID=38274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883A Expired - Fee Related KR100808136B1 (ko) 2007-04-10 2007-04-10 출생용품 보관전시용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1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699B1 (ko) 2021-03-29 2022-02-15 주식회사 베이비파스텔 별자리를 이용한 태아 초음파 사진 액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9036A (ja) 2001-01-29 2002-08-06 Ottoo Into:Kk 額 縁
JP3090183U (ja) * 2002-05-22 2002-11-29 佳子 大沢 飾り額縁
KR20030021420A (ko) * 2001-09-06 2003-03-15 이정국 손 및 발도장이 포함된 액자
JP3106451U (ja) * 2004-07-08 2005-01-06 関西工機整備株式会社 記念表示額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9036A (ja) 2001-01-29 2002-08-06 Ottoo Into:Kk 額 縁
KR20030021420A (ko) * 2001-09-06 2003-03-15 이정국 손 및 발도장이 포함된 액자
JP3090183U (ja) * 2002-05-22 2002-11-29 佳子 大沢 飾り額縁
JP3106451U (ja) * 2004-07-08 2005-01-06 関西工機整備株式会社 記念表示額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699B1 (ko) 2021-03-29 2022-02-15 주식회사 베이비파스텔 별자리를 이용한 태아 초음파 사진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808A (ko) 200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14611A1 (en) Decorative wall hanging, dropdown shelf storage system for accent bedding and pillows
KR200471986Y1 (ko) 인형의 다양한 패션을 코디하는 수납케이스
KR100808136B1 (ko) 출생용품 보관전시용 액자
US20130216735A1 (en) Interchangeable decoration system
US11910944B2 (en) Decorative mezuzah casing
US8875430B2 (en) Display frame
JP3135606U (ja) 収納フレーム
JP3656753B2 (ja) 装飾品ホルダー
KR950001915Y1 (ko) 액 자
JP7157442B2 (ja) 叙勲用額縁
KR20180007484A (ko) 벽장식용 조형물
CN201617537U (zh) 具有印泥盒的相架
JP2012240502A (ja) 加飾
KR100622072B1 (ko) 장식물 케이스
JP3224182U (ja)
JP3109943U (ja) 額型防災グッズ収納箱
KR100620127B1 (ko) 장식물 케이스
JP3203537U (ja) 壁掛け式洋風神棚
JP3091687U (ja) 展示用組合せ容器
KR200374797Y1 (ko) 액자
JP3174988U (ja) ハンガー及びハンガー装飾品
GB2353470A (en) Display device with removable fascia
JP3090183U (ja) 飾り額縁
JP3117745U (ja) 額縁
KR200263970Y1 (ko) 장식용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