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7613B1 - 다방향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다방향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613B1
KR100807613B1 KR1020060043372A KR20060043372A KR100807613B1 KR 100807613 B1 KR100807613 B1 KR 100807613B1 KR 1020060043372 A KR1020060043372 A KR 1020060043372A KR 20060043372 A KR20060043372 A KR 20060043372A KR 100807613 B1 KR100807613 B1 KR 100807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electrode
circumferential edge
center
casing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8347A (ko
Inventor
모토나리 사사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8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5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with means to ensure stopping at intermediate operative posi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 방향에서의 조작력의 편차를 저감하여 양호한 조작 감촉을 얻는 것이 가능해지는 다방향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 (1) 는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3) 과, 소정의 폭을 가지고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그 둘레의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볼록상의 피유지부 (4a) 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고, 당해 둘레 위에 생긴 가압력에 대하여 반력을 발생시키는 평판상의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과, 환상으로 배치된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3) 과 대향시키면서,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3) 과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을 소정의 틈을 가지고 유지하는 케이싱 (2) 과,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을 가압하는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부 (12a) 를 갖는 조작 부재 (9)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기술한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은 피유지부 (4a) 근방 (4e) 에 생기는 반력을 피유지부 (4a) 근방 이외의 부분 (4f) 에 생기는 반력과 동일한 정도로 하는 반력 조정부 (4c, 4d) 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다방향 입력 장치{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도 1 은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 는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에 배치된 케이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 은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이 배치된 케이싱의 평면도.
도 4 는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 는 도 4 의 A-A 단면도.
도 6 은 도 4 에 나타낸 것과는 다른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 은 도 6 의 B-B 단면도.
도 8 은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의 사시도.
도 9 는 도 8 의 C-C 단면도.
도 10 은 도 8 의 D-D 단면도.
도 11 은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의 둘레 방향으로의 입력 조작시에 있어서의 도 8 의 C-C 단면도.
도 12 는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의 둘레 방향으로의 입력 조작 시에 있어서의 도 8 의 D-D 단면도.
도 13 은 제 2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이 배치된 케이싱의 평면도.
도 14 는 제 3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도 8 의 D-D 단면도.
도 15 는 제 3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에 배치된 케이싱의 평면도.
도 16 은 제 3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및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이 배치된 케이싱의 평면도.
도 17 은 제 4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도 8 의 C-C 단면도.
도 18 은 제 5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9 는 제 5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케이싱의 평면도.
도 20 은 도 19 의 E-E 단면에서의 제 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입력 장치의 단면도.
도 21 은 도 19 의 F-F 단면에서의 제 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입력 장치의 단면도.
도 22 는 제 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입력 장치의 유닛화된 덮개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3 은 제 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입력 장치의 유닛화된 덮개 부재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4 는 종래의 다방향 입력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5 는 종래의 다방향 입력 장치에 배치된 케이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6 은 종래의 다방향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으로의 입력 조작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방향 입력 장치
2 : 케이싱
2a : 공동부
2b : 가이드벽
2c : 가이드벽 외측의 저면
2d : 가이드벽 내측의 저면
2e : 유지부
2f : 유지면
2g : 지지부
2h : 지지면
2i : 걸림부
3 :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3a : 인출 단자
3b : 인출 단자의 선단부
4 :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a : 피유지부
4b : 피지지부
4c, 4d : 반력 조정부
4e : 피유지부 근방의 부분
4f : 피유지부 근방 이외의 부분
5 :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5a : 인출 단자
5b : 인출 단자의 선단부
6 : 중앙용 고정 접점
6a : 인출 단자
6b : 인출 단자의 선단부
7 : 중앙용 가동 전극
7a : 만곡부
7b : 대좌부
8 : 중앙용 공통 전극
8a : 인출 단자
8b : 인출 단자의 선단부
9 : 조작 부재
10 : 조작체
10a : 조작부
10b : 볼록부
11 : 중앙용 가압 부재
11a : 삽입 장착부
11b : 억지부
11c : 오목부
11d : 중앙용 가압부
12 :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a :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부
12b : 중앙 구멍
12c : 볼록벽
13 : 덮개체
13a : 중앙 구멍
13b : 삽입 통과 구멍
13c : 중앙 구멍의 하부
14 : 복귀 부재
14a : 탄성 다이어프램부
14b : 중앙 구멍
14c : 돌출부
15 : 구속 부재
15a : 아암부
15b : 중앙 구멍
16 :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16a : 만곡부
16b : 대좌부
17 :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17a : 인출 단자
17b : 인출 단자의 선단부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제3183776호
본 발명은 다방향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 전화기, 휴대용 음악 재생 기기, 게임기용 컨트롤러 등에 사용되고 있는 방향 키로서 각종 전자 기기의 방위 입력 조작용으로 사용되는 다방향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방향 입력 장치는 방향 키나 스틱상 입력 키를 가압 조작이나 경도 조작함으로써, 상하 좌우 등의 다방향으로의 키 입력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종래의 다방향 입력 장치의 일례는 도 24 내지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이 종래의 다방향 입력 장치 (100) 는 직사각형 상자상으로 형 성된 케이싱 (101) 의 내부에 구성 각부를 배치하고, 케이싱 (101) 의 최정상부의 개구부를 덮개체 (112) 에 의해 막고 있다.
구성 각부를 하측으로부터 위로 순서대로, 즉 케이싱 (101), 중앙용 고정 접점 (102),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103), 가동 전극판 (105), 반전 부재 (106), 조작 부재 (107) 의 순서로 설명한다.
케이싱 (101) 의 대략 직사각형의 오목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4 분할되어 형성된 원환상의 가이드벽 (101b) 이 세워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 (101) 의 가이드벽 (101b) 내측의 원형의 저면 중심 위치에는 원형의 중앙용 고정 접점 (102) 이 표면을 노출하도록 하여 케이싱 (101) 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 (101) 의 가이드벽 (101b) 으로부터 외측의 오목부의 저면에는 4개의 직사각형의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103) 이 표면을 노출하도록 하여 케이싱 (101) 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들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103) 은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 (101) 의 내부 저면의 4 변을 각각 따라 둘레 방향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전극판 (105) 은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용 고정 접점 (102) 및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103) 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평판상의 전극으로서, 스프링 인청동 등의 금속 평판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전극판 (105) 의 형상은 중앙용 고정 접점 (102) 과 대향하는 중심부의 원형의 중앙용 가동 전극부 (105a) 와,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103) 과 대향하는 최외측의 환상의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부 (105b) 와, 내외의 중앙용 가동 전극부 (105a) 및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부 (105b) 와 연결부 (105d) 를 통해 연속되어 있는 원환부 (105c) 와, 가이드벽 (101b) 를 삽입 통과시키는 원호상의 2개의 개구부 (105e) 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동 전극판 (105) 은 그 개구부 (105e) 를 가이드벽 (101b) 에 삽입 통과시키면서,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103) 및 중앙용 고정 접점 (102) 과 소정의 틈을 개재시켜 장착된다.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부 (105b) 와 원환부 (105c) 를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각 연결부 (105d) 는 원환상의 가이드벽 (102b) 에 형성된 슬릿부 (101a) 에 삽입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반전 부재 (106) 는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환부 (105c) 의 상측에 메탈 돔 등의 돔상으로 형성되어 배치되어 있는데, 생략할 수도 있다.
조작 부재 (107) 는 가동 전극판 (105) 을 가압하는 것이고,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전극부 (105) 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조작 부재 (107) 는 입력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조작부 (108), 칼라부 (109), 중앙용 가압부 (110) 및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부 (111) 를 갖고 있다. 칼라부 (109) 는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부 (105b) 와 대향하는 위치에 차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용 가압부 (110) 는 칼라부 (109) 내측의 중앙 부근에서, 중앙용 가동 전극부 (105a) 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부 (111) 는 칼라부 (109) 의 외주 하측에 있어서,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부 (105b) 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칼라부 (109) 에는 가이드벽 (101b) 에 삽입 통과 가능한 원호상의 개구부 (109c) 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 (101) 을 덮는 덮개체 (112) 는 그 중앙에 조작 부재 (107) 의 직사각형의 스틱상의 조작부 (108) 가 삽입 통과하는 직사각형의 중앙 구멍 (112a) 을 가지고 직사각형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덮개체 (112) 는 조작 부재 (107) 를 경도 조작할 때, 조작 부재 (107) 의 일부분 (109a) 이 맞닿아 당해 경도 조작의 회전 지지점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방향 입력 장치 (100) 는,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 (107) 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경도시킴으로써, 직경 방향 외측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도 조작된 조작 부재 (107) 의 칼라부 (109) 가 가동 전극판 (105) 의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부 (105b) 를 가압함으로써, 그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부 (105b) 가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103) 에 접촉하여 도통한다. 또한, 가동 전극판 (105) 은 탄성력을 갖는 금속 평판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작 부재 (107) 의 경도 조작시에 있어서 그 조작 부재 (107) 에 적당한 반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부 (105b) 와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103) 을 접촉시킬 때 적당한 조작감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을 참조).
그러나, 가동 전극판 (105) 에 형성된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부 (105b) 는 연결부 (105d) 근방 이외에 형성된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부 (105b) 와 비교하여, 연결부 (105d) 근방에 형성된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부 (105b) 의 반력이 커지고,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입력 조작감에 둘레 방향에서 편차가 생긴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케이싱 (101) 이 가동 전극판 (105) 및 조작 부재 (107) 를 삽입 통과하여 그 배치 위치를 구속하는 가이드벽 (101b) 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가이드벽 (101b) 을 세워 형성하는 방향으로의 박형화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동 전극판 (105) 은 중앙용 가동 전극부 (105a), 원환부 (105c), 연결부 (105d) 및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부 (105b) 를 갖고 있으므로, 그 구조가 복잡해지기 쉬워 다방향 입력 장치 (100) 의 제조 비용을 낮추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둘레 방향에서의 직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의 조작력 편차를 저감시켜 양호한 조작 감촉을 얻는 것이 가능해지는 다방향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방향 입력 장치의 소형화 및 그 제조 비용의 저렴화가 가능해지는 다방향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상기 기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케이싱내에 복수개의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을 환상으로 배치하고, 환상으로 배치된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과 대향하는 환상의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을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의 상측에 소정의 틈을 통해 상기 케이싱내에 유지하고,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의 둘레 방향 의 일부분을 반력에 저항하여 위로부터 가압하여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에 접속시키는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부를 갖는 조작 부재를 상기 케이싱내에 배치하고,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부가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과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을 도통시켜 당해 가압에 의한 입력 조작을 검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이 상기 케이싱에 유지되어 있는 당해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의 피유지부 근방에 생기는 반력을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의 피유지부 근방 이외의 부분에 생기는 반력과 동일한 정도로 하는 반력 조정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의 둘레 방향에서의 반력이 어느 부분에서도 일정해져 둘레 방향에서의 직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의 조작력의 편차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반력 조정부가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의 피유지부 근방의 직경 방향의 폭 치수를 피유지부 근방 이외의 부분의 폭 치수보다 작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프레스 가공 등의 간단한 가공에 의해서만 둘레 방향에서의 직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조작력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반력 조정부가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의 피유지부 근방의 두께를 피유지부 근방 이외의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함으 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폭방향의 길이를 변화시키지 않고 둘레 방향에서의 직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의 조작력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반력 조정부가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에 있어서의 피유지부 근방 이외의 부분에 대하여, 그 둘레 방향을 따라 오목상 또는 볼록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프레스 가공 등의 간단한 가공에 의해서만 둘레 방향에서의 직경 방향 외측 방향의 조작력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이 케이싱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갖고 있고, 반력 조정부는 피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둘레 방향에서 직경 방향 외측 방향의 조작력을 그다지 변화시키지 않고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당해 피지지부를 반력 조정부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반력 조정부의 형성 공정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이 금속 판재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에 높은 반발력을 발휘시키면서, 당해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을 박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케이싱이 그 외주가 다각 형상이 되는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그 외주의 모서리부의 내측에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을 소정의 틈을 가지고 배치시키기 위해 피유지부를 유지하는 필요한 높이의 유지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데드 스페이스가 되기 쉬운 케이싱의 모서리부를 바람직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케이싱내의 환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및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의 내주측 부분에 중앙용 고정 접점과, 소정의 틈을 가지고 중앙용 고정 접점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중앙용 가동 전극과, 중앙용 가동 전극의 상측에 중앙용 가동 전극을 가압하는 중앙용 가압부를 갖는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의 입력 조작뿐만 아니라, 중앙 압하 방향으로의 입력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중앙용 가동 전극이 지지부를 통해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과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다방향 입력 장치의 부품 점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중앙용 가동 전극이 중앙용 가압부의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돔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오입력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중앙 압하 방향 으로 조작했을 때 양호한 클릭감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유지부가 피유지부와 항상 접촉하는 부분에 공통 전극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공통 전극을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에 접촉시키기 위해서만 형성된 스페이스와 유지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공통 전극 또는 중앙용 가동 전극의 적어도 하나가 케이싱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부품 점수를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립 공정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공통 전극 또는 중앙용 가동 전극의 적어도 하나가 케이싱외로 인출되는 인출 단자를 갖고 있고, 케이싱외로 인출된 인출 단자는 당해 각 부재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다방향 입력 장치를 다른 장치에 장착할 때 잘못 조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과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의 사이에,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및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에 절연되면서 배치되어 있는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의 입력 조작에 있어서 가압 방향으로 2 단계의 입력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이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을 덮으면서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의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돔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의 2 단계 입력에 대하여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직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의 2 단계째의 입력 조작을 실시할 때 양호한 클릭감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조작 부재가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부를 갖는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와, 중앙용 가압부를 갖는 중앙용 가압 부재와, 조작 주체로부터 직접적으로 입력되는 조작체를 갖고 있고,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가 그 중앙 부근에 형성된 중앙 구멍에 중앙용 가압 부재를 삽입 통과하여 배치되어 있고, 중앙용 가압 부재가 가압 방향의 전방이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의 중앙 구멍의 외형보다 커지고, 가압 방향의 후방이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의 중앙 구멍의 외형과 동등 또는 그 중앙 구멍의 외형보다 작아지는 가압 방향에 대하여 외형이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중앙용 가압 부재가 중앙용 가동 전극을 가압할 때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가 케이싱과 맞닿아 당해 중앙용 가압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조작 부재가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 극 또는 중앙용 가동 전극을 가압했을 때 조작 부재의 초기 위치로 당해 조작 부재를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복귀 부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입력 조작을 실시할 때 항상 초기 위치로부터 입력 조작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복귀 부재가 케이싱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도록 덮개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케이싱내에 먼지나 수분 등의 오동작 요인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케이싱이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를 직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량을 구속하는 덮개체와, 덮개체의 반대 방향으로부터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부를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가이드벽을 갖고 있고,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가 중앙용 가압부와 중앙용 가동 전극이 접하고 있는 부분을 슬라이딩시키면서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을 가압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조작 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직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입력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케이싱이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를 직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량을 구속하는 덮개체를 갖고 있고,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가 중앙용 가압부와 중앙용 가동 전극의 접점을 회전 지지점 으로 하여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을 가압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조작 부재를 경도시키면서 직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입력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17 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제 1 내지 제 4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 은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케이싱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이 배치된 케이싱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도 4 의 A-A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은 도 4 에 나타낸 것과는 다른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은 도 6 의 B-B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은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 는 도 8 의 C-C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 은 도 8 의 D-D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 은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의 둘레 방향으로의 입력 조작시에 있어서의 도 8 의 C-C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 는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의 둘레 방향으로의 입력 조작시에 있어서의 도 8 의 D-D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3 은 제 2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이 배치된 케이싱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4 는 제 3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도 8 의 D-D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 는 제 3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케이싱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 은 제 3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및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이 배치된 케이싱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17 은 제 4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도 8 의 C-C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8 은 제 5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 는 제 5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케이싱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 은 도 19 의 E-E 단면에서의 제 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1 은 도 19 의 F-F 단면에서의 제 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2 는 제 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입력 장치의 유닛화된 덮개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 은 제 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입력 장치의 유닛화된 덮개 부재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제 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해되어 있는 구성 각 부를,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립하 여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 의 구성 각 부를 하측으로부터 위로 순서대로, 케이싱 (2),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3) 및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그리고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5) 등의 둘레 방향으로의 입력에 사용되는 각 부재, 중앙용 고정 접점 (6) 및 중앙용 가동 전극 (7) 및 중앙용 공통 전극 (8) 등의 중앙에서의 압하 방향으로의 입력에 사용되는 각 부재, 조작 부재 (9), 덮개체 (13), 복귀 부재 (14) 및 구속 부재 (15) 를 순서대로 설명한다.
다방향 입력 장치 (1) 의 케이싱 (2)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성의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대략 직사각형상의 얇은 상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싱 (2) 의 중앙부에는 대략 원주상의 공동부 (2a) 가 형성되어 있다. 공동부 (2a) 의 내주 직경의 약 2/3 위치에는 저부로부터 원환상의 가이드벽 (2b) 이 세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동부 (2a) 의 케이싱 (2) 의 대각선 위치에는 방사상으로 각각 오목홈상의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을 둘레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유지부 (2e)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 (2) 의 공동부 (2a) 의 내부이고 또한 가이드벽 (2b) 의 외측인 저면 (이하, 「가이드벽 외측 저면」 이라고 함) (2c) 보다 상측 위치에 있어서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을 유지하는 상기 유지부 (2e) 와, 가이드벽 (2b) 의 외주로서 각 유지부 (2e) 의 중간이 되는 위치에서 돌출하여 당해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을 지지하는 지지부 (2g)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부 (2e) 의 유지면 (2f) 및 지지부 (2g) 의 지지면 (2h) 은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을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해, 각각의 면 (2f, 2h) 이 동일 평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3) 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케이싱 (2) 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이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3)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 (2) 의 가이드벽 외측의 저면 (2c) 에서 노출되어 있고,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하 좌우의 4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3) 은 케이싱 (2) 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 단자 (3a) 를 갖고 있다. 이 인출 단자 (3a) 의 케이싱 (2) 외로 인출된 부분 (이하, 「인출 단자의 선단부」 라고 함) (3b) 은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5), 중앙용 고정 접점 (6) 및 중앙용 공통 전극 (8) 의 각 인출 단자 (5a, 6a, 8a) 의 선단부 (5b, 6b, 8b) 와 각각 구별하기 위해, 당해 각 인출 단자 (3a, 5a, 6a, 8a) 를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각 인출 단자 (3a, 5a, 6a, 8a) 의 길이나 폭 등이 각각 다르도록 형성되거나, 각 인출 단자 (3a, 5a, 6a, 8a) 의 선단부 (3b, 5b, 6b, 8b) 가 각각 다른 형상 또는 모양을 갖도록, 각 인출 단자 (3a, 5a, 6a, 8a) 가 각각 독특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은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큰 반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 인청동 등의 금속 평판재를 사용하여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싱 (2) 의 가이드벽 외측의 저면 (2c) 과 중복되는 환상 형상으로서, 4개의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3) 에 의해 형성된 고리와 동등한 크기가 되도 록 소정의 직경 방향의 폭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이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에는 그 외주로부터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피유지부 (4a) 가 유지부 (2e) 와 대응하여 그 외주의 4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그 내주 또한 각 피유지부 (4a) 의 둘레 방향 중간 위치에 내주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볼록상의 피지지부 (4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피유지부 (4a) 의 돌출 길이는 유지면 (2f) 에 의해 일측이 유지되면서도 그 유지부 (2e) 가 외측으로 넘어서지 않는 길이로 되어 있다. 또한, 피지지부 (4b) 의 돌출 길이는 지지면 (2h) 에 지지되면서도 그 내측에 있는 가이드벽 (2b) 과 접촉하지 않는 길이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은 피유지부 (4a) 근방 (4e) 에 생기는 반력과 피유지부 (4a) 근방 이외의 부분 (4f) 에 생기는 반력을 동일한 정도로 하는 반력 조정부 (4c, 4d) 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반력 조정부 (4c, 4d) 는 피유지부 (4a) 근방 (4e) 의 직경 방향의 폭 치수가 피유지부 (4a) 근방 이외의 부분 (4f) 의 직경 방향의 폭 치수보다 작아지도록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반력 조정부 (4c, 4d) 는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의 형성이 용이해지므로, 피지지부 (4b) 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반력 조정부 (4c, 4d) 는 상기 기술한 폭 치수의 변화에 따라 형성되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그 반력 조정부 (4c, 4d) 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유지부 (4a) 근방 (4e) 의 두께를 피유지부 (4a) 근방 이외의 부분 (4f) 의 두께보다 얇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에 있어서의 피유지부 근방 이외의 부분 (4f) 에 그 고리를 따라 두께 방향으로 오목상 또는 볼록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반력 조정부 (4c, 4d) 의 형성 위치 및 개수는 상기 기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의 고리 위의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형상의 반력 조정부 (4c, 4d) 를 복수개 형성함으로써,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의 반력이 각 피유지부 (4a) 사이에서 무단계 변화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5)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케이싱 (2) 의 4 모서리의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을 유지하는 유지부 (2e) 중의 몇 개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음과 함께,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5) 에 형성된 볼록부 (5c) 만이 몇 개의 유지부 (2e) 의 유지면 (2f) 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또한, 각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5) 은 케이싱 (2) 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 단자 (5a) 를 갖고 있다. 이 인출 단자 (5a) 의 선단부 (5b) 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전극 (3), 중앙용 고정 접점 (6) 및 중앙용 공통 전극 (8) 의 각 인출 단자 (3a, 6a, 8a) 의 선단부 (3b, 6b, 8b) 와 각각 구별하기 위해, 당해 각 인출 단자 (3a, 5a, 6a, 8a) 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용 고정 접점 (6)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케이싱 (2) 의 공동부 (2a) 의 내부 또한 가이드벽 (2b) 내측의 저면 (이하, 「가이드벽 내측의 저면」 이라고 함) (2d) 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이 중 앙용 고정 접점 (6) 은 그 중앙용 고정 접점 (6) 에 형성된 볼록부 (6c) 만이 상기 저면 (2d) 으로부터 돌출하여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앙용 고정 접점 (6) 은 케이싱 (2) 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 단자 (6a) 를 갖고 있음과 함께,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그 선단부 (6b) 가 당해 각 인출 단자 (3a, 5a, 8a) 의 선단부 (3b, 5b, 8b) 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용 공통 전극 (8)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가이드벽 내측의 저면 (2d) 에 있어서, 중앙용 고정 접점 (6) 의 외주를 접촉하지 않고 둘러싸는 평면 U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중앙용 공통 전극 (8) 은 U 자 형상의 중앙용 공통 전극 (8) 에 형성된 볼록부 (8c) 만이 상기 저면 (2d) 으로부터 돌출하여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앙용 공통 전극 (8) 은 케이싱 (2) 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 단자 (8a) 를 갖고 있음과 함께, 이 인출 단자 (8a) 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그 선단부 (8b) 가 당해 각 인출 단자 (3a, 5a, 6a) 의 선단부 (3b, 5b, 6b) 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용 가동 전극 (7) 은 도 1,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을 향해 돌출하는 돔상으로 형성된 만곡부 (7a) 와, 중앙용 공통 전극 (8) 의 볼록부 (8c) 와 접촉하는 대좌부 (7b) 를 갖고 있다. 이 중앙용 가동 전극 (7) 은 소정의 틈을 가지고 중앙용 고정 접점 (6) 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대좌부 (7b) 의 직경은 중앙용 공통 전극 (8) 의 대향하는 각 볼록부 (8c) 간의 거리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앙용 가동 전극 (7) 은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측으로부터 중앙용 가동 전극 (8) 을 덮는 고착용 수지 시트 (7c) 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조작 부재 (9) 는 도 1, 도 8,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체 (10), 중앙용 가압 부재 (11) 및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 를 갖고 있다.
조작체 (10) 는 도 1,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반상으로 형성된 조작부 (10a) 의 하측에 중앙용 가압 부재 (11) 와 걸어 맞추는 원주상의 볼록부 (10b) 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 는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의 내경과 동일한 정도의 직경을 가지고 원형 칼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 는 그 외주 하측에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을 가압하는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부 (12a) 를 갖고 있음과 함께, 그 중심 부분에 중앙 구멍 (12b) 을 갖고 있다. 또한, 그 중앙 구멍 (12b) 으로부터 외측 상면 부분에는 원형 볼록상의 볼록벽 (12c) 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용 가압 부재 (11) 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의 순서 (조작 부재 (9) 의 압하 방향 (PD) 을 향하는 순서) 로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 의 중앙 구멍 (12b) 에 여유있게 끼워지는 직경을 가지고 원주상으로 형성된 삽입 장착부 (11a) 와, 삽입 장착부 (11a) 및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 의 중앙 구멍 (12b) 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원형상으로 형성된 억지부 (11b) 를 갖고 있다. 또한, 삽입 장착부 (11a) 는 조작체 (10) 의 원주상의 볼록부 (10b) 와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 (11c) 를 갖고 있고, 억지부 (11b) 는 그 하면에 중앙용 가동 전극 (7) 을 가압하는 볼록상의 중앙용 가압부 (11d) 를 갖고 있다. 그리고, 중앙용 가압 부재 (11) 는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 의 중앙 구멍 (12b) 에 삽입 장착부 (11a) 를 삽입 통과시키면서, 조작체 (10) 의 볼록부 (10b) 와 중앙용 가압 부재의 오목부 (11c) 를 끼워 맞춰 케이싱 (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덮개체 (13) 는 금속판을 사용하여 케이싱 (2) 의 외주와 동일한 정도의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덮개체 (13) 의 중앙 부근에는 볼록벽 (12c) 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의 중앙 구멍 (13a) 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이 덮개체 (13) 의 4 모서리에 삽입 통과 구멍 (13b) 이 각각 천공 형성되어 있다. 이 덮개체 (13) 는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 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조작체 (10) 를 임의의 둘레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 가 그 하면을 케이싱 (2) 의 가이드벽 (2a) 의 상면 (2j) 에 슬라이딩시킴과 동시에 그 상면을 덮개체 (13) 의 중앙 구멍 (13a) 의 하부 (13c) 에 슬라이딩시키면서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져 유지되어 있다. 또한,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 가 크게 슬라이드하면, 그 볼록벽 (12c) 의 외주부가 덮개체 (13) 의 중앙 구멍 (13c) 의 내주면과 맞닿아 스토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복귀 부재 (14) 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 (13) 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복귀 부재 (14) 는 덮개체 (13) 의 외형과 동일한 정도의 크기의 외형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조작체 (10) 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에 대하여 당해 조작체 (10) 의 배 치 초기 위치 (중심 위치) 로의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지그재그 단면을 갖는 환상의 탄성 다이어프램부 (14a) 를 갖고 있다. 이 탄성 다이어프램부 (14a) 의 중심부에는 중앙용 가압 부재 (11) 의 오목부 (11c) 의 외주를 덮는 크기의 중앙 구멍 (14b) 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덮개체 (13) 의 삽입 통과 구멍 (13b) 에 삽입 통과시키면서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의 피유지부 (4a) 를 유지부 (2e) 의 유지면 (2f) 및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5) 에 가압하여 유지하는 4개의 돌출부 (14c)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복귀 부재 (14) 는 중앙 구멍 (14b) 을 제외하고, 외부로부터 케이싱 (2) 의 내부에 수분이나 먼지 등이 침입할 우려가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케이싱 (2) 에 형성된 개구부를 밀폐하여 덮는 덮개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속 부재 (15) 는 복귀 부재 (14) 의 탄성 다이어프램부 (14a) 의 외측 상면에 덮이는 환상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싱 (2) 의 각 변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 (2i) 와 걸어 맞추는 4개의 아암부 (15a) 가 하방향으로 돌출 접촉되어 있고, 탄성 다이어프램부 (14a) 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내주부를 통상으로 세워 올려 중앙 구멍 (15b)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속 부재 (15) 는 덮개체 (13) 및 복귀 부재 (14) 를 구속하도록 그들의 상측으로부터 각 아암부 (15a) 를 각 걸림부 (2i) 와 걸어 맞춰 조립된다.
다음으로,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 의 작용을 설명한다.
다방향 입력 장치 (1) 의 조작 부재 (9) 의 조작체 (10) 를 임의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입력 조작하면, 도 11 또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 와 같이,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 가 케이싱 (2) 의 가이드벽 (2b) 의 상면 (2j) 과 덮개체 (13) 의 중앙 구멍 (13a) 의 하부 (13c) 와 슬라이딩하면서 당해 슬라이드 조작된 방향으로 이동하고,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 의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부 (12a) 가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과 맞닿는다. 그 조작체 (10) 를 추가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부 (12a) 가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을 변형시켜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과 그 하측에 있는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3) 이 접촉하여 도통한다. 이에 의해, 다방향 입력 장치 (1) 는 조작체 (10) 를 임의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입력 조작한 것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입력 조작은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을 두께 방향으로 변형시키게 되고, 이에 의해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에 높은 반발력을 생기게 한다. 여기에서,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 의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은 반력 조정부 (4c, 4d) 를 갖고 있으므로,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의 둘레 방향에서의 반력이 어느 부분에서도 일정해져 직경 방향 외측의 조작력의 편차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반력 조정부 (4c, 4d) 는 피유지부 (4a) 근방 (4e) 의 폭 치수를 피유지부 (4a) 근방 이외의 부분 (4f) 의 폭 치수보다 작게 형성하고 있으므로, 피유지부 (4a) 근방 (4e) 에서는 그 반력을 작게 하고, 피유지부 (4a) 근방 이외의 부분 (4f) 에서는 그 반력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조작력의 편차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다방향 입력 장치 (1) 의 조작 감촉이 양호해진다.
또,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반력 조정부 (4c, 4d) 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유지부 (4a) 근방 (4e) 의 두께를 피유지부 (4a) 근방 이외의 부분 (4f) 의 두께보다 얇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거나,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에 있어서의 피유지부 (4a) 근방 이외의 부분 (4f) 에 그 둘레를 따라 오목상 또는 볼록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폭 치수를 변화시킨 경우와 마찬가지로, 피유지부 (4a) 근방 (4e) 에서는 그 반력을 작게 하고, 피유지부 (4a) 근방 이외의 부분 (4f) 에서는 그 반력을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은 케이싱 (2) 의 지지부 (2g) 에 있어서 전혀 구속되지 않고 지지되는 피지지부 (4b) 를 갖고 있으므로, 피지지부 (4b) 근방에 생기는 반력을 그다지 상승시키지 않고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피지지부 (4b) 를 반력 조정부 (4d) 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반력 조정부 (4d) 의 형성 공정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져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의 제조 비용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의 피유지부 (4a) 를 유지하는 케이싱 (2) 의 유지부 (2e)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 (2) 의 4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케이싱 (2) 의 외형을 크게 하지 않고, 또한 케이싱 (2) 내의 데드 스페이스가 되기 쉬운 케이싱 (2) 의 모서리부를 바람직하게 이 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다방향 입력 장치 (1) 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유지부 (2e) 의 유지면 (2f) 에는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과 도통시키는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5) 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5) 을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에 접촉시키기 위해서만 형성된 스페이스와 유지부 (2e) 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다방향 입력 장치 (1) 의 소형화를 더욱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 는 조작 부재 (9) 의 압하 방향 (PD) 에 대하여 중앙용 고정 접점 (6), 중앙용 공통 전극 (8) 에 접촉한 중앙용 가동 전극 (7) 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조작 부재 (9) 의 조작체 (10) 를 압하함으로써, 중앙용 가압 부재 (11) 의 중앙용 가압부 (11d) 가 중앙용 가동 전극 (7) 을 가압하면서 변형시키고, 중앙용 가동 전극 (7) 과 중앙용 고정 접점 (6) 의 접촉에 의해 압하 방향 (PD) 으로의 입력 조작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때, 조작 부재 (9) 에 배치된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 는 가이드벽 (2b) 의 상면 (2j) 에 의해 압하 방향 (PD) 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지만, 중앙용 가압 부재 (11) 의 삽입 통과부 (11a) 는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 의 중앙 구멍 (12b) 에 여유있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당해 중앙 구멍 (12b) 을 슬라이딩하면서 압하 방향 (PD) 의 전방 (도면의 하측) 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벽 (2b) 의 상면 (2j) 과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 가 접촉하고 있어도, 조작 부재 (9) 는 압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입력 조작 뿐만 아니라, 압하 방향 (PD) 으로의 입력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압하 방향 (PD) 으로의 입력 조작은 중앙용 가동 전극 (7) 이 돔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압하 방향 (PD) 과 반대 방향으로 반력을 발생시키고, 오입력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압하 방향 (PD) 으로 의도하여 조작했을 때 양호한 클릭감을 얻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술한 둘레 방향 및 압하 방향 (PD) 으로의 입력 조작을 종료하면, 다음에 입력 조작을 실시하기 쉽게 하기 위해, 조작 부재 (9) 의 조작체 (10) 를 배치되어 있던 초기 위치로 되돌릴 필요가 있다. 이 때, 다방향 입력 장치 (1) 는 조작 부재 (9) 를 당해 초기 위치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복귀 부재 (14) 를 갖고 있으므로, 입력 조작을 실시할 때, 자동적으로 초기 위치로부터 입력 조작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복귀 부재 (14) 가 케이싱 (2) 의 내부를 밀폐하는 덮개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싱 (2) 내에 먼지나 수분 등의 오동작 요인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케이싱 (2) 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케이싱 (2) 의 외부 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필요가 있는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3),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5), 중앙용 고정 접점 (6) 및 중앙용 공통 전극 (8) 은 모두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방향 입력 장치 (1) 의 부품 점수를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그 조립 공정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그들 각 인출 단자 (3a, 5a, 6a, 8a) 의 선단부 (3b, 5b, 6b, 8b) 가 각각 다른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에 잘못 조립하는 경우도 적어져 다방향 입력 장치 (1) 의 수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 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 방향 및 압하 방향 (PD) 으로의 입력 조작시에 쾌적한 조작감을 얻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저비용화, 신뢰성 및 수율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2) 제 2 실시 형태
제 2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a) 에서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 (2) 의 가이드벽 (2b),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중앙용 가동 전극 (7) 및 중앙용 공통 전극 (8) 이외의 다방향 입력 장치 (1a) 에 배치된 각 부재는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 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제 2 실시 형태에 사용된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및 중앙용 가동 전극 (7) 은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 (4g) 를 통해 연통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중앙용 공통 전극 (8) 이 배치되지 않고 배제되어 있다. 또한, 환상의 가이드벽 (2b) 의 일부분에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및 중앙용 가동 전극 (7) 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부 (4g) 를 통과시키는 슬릿 (2k) 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 2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a) 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 2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a) 는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 와 마찬가지로, 직경 방향 외측 방향 및 압하 방향 (PD) 으로의 입력 조작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제 2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a) 는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및 중앙용 가동 전극 (7) 이 일체 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및 중앙용 가동 전극 (7) 을 통해 중앙용 고정 접점 (6) 과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5) 을 도통시킴으로써, 중앙용 고정 접점 (6) 과 중앙용 가동 전극 (7) 의 접촉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중앙용 공통 전극 (8) 을 배치시킬 필요가 없어지고,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 의 구성 부품보다 부품 점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다방향 입력 장치 (1a) 의 조립이 용이해지고, 또한 당해 다방향 입력 장치 (1a) 의 잘못된 조립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방향 입력 장치 (1a) 의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3) 제 3 실시 형태
제 3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b) 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의 입력 조작에 2 단계의 입력을 부여하므로,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 에 이하와 같은 각 부재를 부여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제 3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b) 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케이싱 (2) 에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3) 및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및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5) 등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입력에 사용되는 각 부재, 중앙용 고정 접점 (6) 및 중앙용 가동 전극 (7) 및 중앙용 공통 전극 (8) 등의 중앙에서의 압하 방향으로의 입력에 사용되는 각 부재, 조작 부재 (9), 덮개체 (13), 복귀 부재 (14) 및 구속 부재 (15) 를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2 단계 입력 조작을 실시하기 위해,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3) 의 부근에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16) 및 제 2 둘레 가장 자리용 공통 전극 (17) 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16) 및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17) 은 이하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 와 동일한 부재를 사용하고 있는 것은 그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17) 은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케이싱 (2) 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케이싱 (2) 의 가이드벽 외측의 저면 (2c) 으로부터 노출하는 부분이 4 방향에 있는 각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3) 에 절연되면서 그 각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3) 을 덮는 대략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17) 은 케이싱 (2) 의 내부에 인서트 성형된 그 밖의 접점 또는 전극 (3, 5, 6, 8) 과 마찬가지로, 케이싱 (2) 의 외부로 인출되는 각 인출 단자 (17a) 를 갖고 있고, 그 인출 단자의 선단부 (17b) 는 다른 인출 단자 (3a, 5a, 6a, 8a) 와 구별될 수 있는 특별한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16) 은 도 14 내지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는 타원 돔상의 만곡부 (16a) 와, 만곡부 (16a) 의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17) 과 접촉하는 대좌부 (16b) 를 갖고 있고, 초기 상태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입력 조작을 실시하지 않은 상태) 에서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3) 및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에 절연되면서 4 방향에 있는 각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3) 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16) 의 대좌부 (16b) 는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17) 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 3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b) 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 3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b) 는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 에 의해 실시되는 입력 외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2 단계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4 에 나타나 있는 조작 부재 (9) 의 조작체 (10) 를 임의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 가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을 가압하여 변형시킨다. 그러면,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이 4 방향에 배치된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16) 의 어느 하나와 접촉하고, 당해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16) 에 접촉한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17) 과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5) 이 도통한다. 이에 의해, 다방향 입력 장치 (1b) 는 임의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입력 조작을 적절히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이 제 1 단계째의 둘레 방향으로의 입력 조작이 된다.
그리고,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이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16) 과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조작 부재 (9) 의 조작체 (10) 를 당해 임의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추가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 가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및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과 접촉한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16) 을 더욱 가압한다. 그러면, 가압된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16) 은 하측에 배치된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3) 과 접촉한다. 이에 의해,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에 접속된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5) 이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17) 및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3) 과 도통하므로, 다방향 입력 장치 (1b) 가 제 1 단계째의 둘레 방향으로의 입력 조작으로부터 더욱 가압되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입력 조작된 것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이 제 2 단계째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입력 조작이 된다. 이 제 2 단계째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입력 조작은 제 1 단계째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입력 조작과는 달리, 돔상으로 형성된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16) 을 가압함으로써 클릭감을 구비하여 실시하므로,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2 단계 입력에 대하여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2 단계째의 입력 조작을 실시할 때 양호하고 또한 경쾌한 클릭감을 수반하여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제 3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b) 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입력 조작에 있어서 가압 방향으로 2 단계의 입력이 가능해지고, 다방향 입력 장치 (1b) 의 편리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4) 제 4 실시 형태
제 4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c) 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케이싱 (2) 에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3) 및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및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5) 등의 둘레 방향으로의 입력에 사용되는 각 부재, 중앙용 고정 접점 (6) 및 중앙용 가동 전극 (7) 및 중앙용 공통 전극 (8) 등의 중앙에서의 압하 방향으로의 입력에 사용되는 각 부 재, 조작 부재 (9), 덮개체 (13), 복귀 부재 (14) 및 구속 부재 (15) 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 와 다른 것은 케이싱 (2) 의 가이드벽 (2b) 이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 에 접촉하지 않는 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중앙용 가동 전극 (7) 이 중앙용 가압부 (11d) 와 접촉하는 부분에 오목부 (7c) 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기술한 가이드벽 (2b) 및 중앙용 가동 전극 (7) 을 갖는 제 4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c) 는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 와는 달리, 둘레 방향으로의 입력 조작시에 있어서 슬라이드 이동이 아니라 경도 이동에 의해 그 입력 조작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부재 (9) 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경도 조작하면, 조작 부재 (9) 가 중앙용 가압부 (11d) 와 중앙용 가동 전극 (7) 의 오목부 (7c) 의 접점을 회전 지지점으로 함과 함께, 덮개체 (13) 가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 를 둘레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자유롭게 구속하므로,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 가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을 가압하면서 경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제 4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c) 는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 와 같은 조작체 (10) 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둘레 방향으로의 입력 조작뿐만 아니라, 제 4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c) 와 같은 조작체 (10) 의 경도에 의한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입력 조작이 가능해진다.
(5) 제 5 실시 형태
제 5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케이싱 (2) 에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3) 그리고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및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5) 등의 둘레 방향으로의 입력에 사용되는 각 부재, 중앙용 고정 접점 (6) 및 중앙용 가동 전극 (7) 및 중앙용 공통 전극 (8) 등의 중앙에서의 압하 방향으로의 입력에 사용되는 각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 1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 와 다른 것은 하부 부재로서의 덮개체 (113), 복귀 부재 (114), 상부 부재로서의 구속 부재 (115) 가 미리 일체화되어 하나의 덮개 부재로서 유닛화되어 있는 점이다.
복귀 부재 (114) 는 구속 부재 (115) 의 외형과 동일한 정도의 크기의 외형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고, 4개의 모서리부에는 구속 부재 (115) 의 위치 결정 변을 끼워 맞추는 위치 결정부로서의 위치 결정 돌기 (114e) 가 상면을 향해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하면을 향해 덮개체 (113) 의 삽입 통과 구멍 (113b) 에 끼워 넣어지는 위치 결정부로서의 위치 결정 돌기 (114f)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위치 결정 돌기 (114f) 는 유닛화된 덮개 부재를 케이싱 (2) 에 장착했을 때, 상기 유지부 (2e) 에 수납된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의 피유지부 (4a) 를 유지면 (2f) 및 둘레 가장자리용 공통 전극 (5) 에 가압하도록 작용한다 (도 20 참조).
하부 부재로서의 덮개체 (113) 는 상기 복귀 부재 (114) 의 하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귀 부재 (114) 를 지지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상의 부재이고, 상기 케이싱 (2) 의 외주와 동일한 정도의 크기를 갖는 외형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덮개체 (113) 의 중앙 부근에는 조작 부재 (9) 를 슬 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여유있게 끼워지는 중앙 구멍 (113a) 이 형성되어 있고,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 의 외연부의 상측을 항상 덮도록 하여 배치된 커버체 (113c) 와, 상기 커버체 (113c) 의 외주에 배치되고, 상기 복귀 부재 (114) 의 플랜지부 (114d) 와 대략 동일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 (113d)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플랜지부 (113d) 에서의 측변에는 임시 고정용 걸림 수단을 구성하는 임시 고정용 돌기 (113e) 가 상기 플랜지부 (113d) 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체 (113) 의 4개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복귀 부재 (114) 의 저면의 4개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위치 결정 돌기 (114f) 와 대응하는 위치 결정부로서 삽입 통과 구멍 (113b) 이 각각 천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체 (113) 는 유닛화된 덮개 부재를 케이싱 (2) 에 장착했을 때,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 의 상측에 배치되고, 조작 부재 (9) 를 임의의 직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 가 볼록상 벽 (2b) 의 상면 및 덮개체 (113) 의 중앙 구멍 (113a) 의 하부에 슬라이딩하면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 유지되어 있다.
상부 부재로서의 구속 부재 (115) 는 상기 복귀 부재 (114) 의 상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귀 부재 (114) 의 외주부를 유지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상의 부재이고, 상기 케이싱 (2) 의 외주와 동일한 정도의 크기를 갖는 외형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속 부재 (115) 는 중앙에 탄성 다이어프램부 (114a) 를 배치시키는 중앙 구멍 (115a) 이 형성되고, 상기 복귀 부재 (114) 의 플랜지부 (114d) 와 대략 동일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상판부 (115b) 와, 상기 상판부 (115b) 의 측변에 연속하여 접하고, 상기 상판부 (115b) 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판부 (115c)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판부 (115a) 와 측판부 (115c) 에 둘러싸인 공간부는 상기 복귀 부재 (114) 및 덮개 부재 (113) 의 측면 위치를 규제하면서 상기 케이싱 (2) 의 적어도 상측의 일부를 끼워 맞춰 수납하는 공간부가 된다.
또한, 상기 각 측판부 (115c) 에서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임시 고정용 걸림 수단으로서 형성된 상기 덮개 부재 (113) 의 임시 고정용 돌기 (113e) 를 걸어 맞추는 임시 고정용 구멍 (115e)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임시 고정용 구멍 (115e) 의 상기 복귀 부재 (114) 의 두께 방향 치수, 즉 높이 치수는 상기 임시 고정용 돌기 (113e) 의 복귀 부재의 두께 방향 치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판부 (115c) 의 하단변 부분에서의 상기 임시 고정용 구멍 (115e) 의 중앙 가상선 상에는 상기 케이싱 (2) 으로의 장착 수단으로서의 장착용 설편 (舌片 ; 115f)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용 설편 (115f) 의 선단부를 소정의 치수 위치에서 코킹하여 상기 케이싱 (2) 의 장착용 오목부 (2k) 에 끼워 맞춤으로써 유닛화된 덮개 부재를 케이싱 (2) 에 대하여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속 부재 (115) 의 4개의 모서리부는 모따기되고, 그 끝변 부분은 상기 복귀 부재 (114) 의 위치 결정 돌기 (114e) 에 대응하는 위치 결정부 (위 치 결정용 끝변) (115g) 로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d) 에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덮개 부재가 유닛화되어 조립된다.
즉, 복귀 부재 (114) 를 하측에 배치하는 덮개체 (113) 와, 상측에 배치하는 구속 부재 (115) 로 끼워 넣고, 상기 구속 부재 (115) 에 형성된 임시 고정용 구멍 (115e) 에 상기 덮개체 (113) 에 형성된 임시 고정용 돌기 (113e) 를 걸어 맞춰 임시로 고정시키고, 각 부재 (114, 115, 116) 를 일체로 하여 유닛화된 덮개 부재로 한다.
이어서, 임시 고정되어 유닛화된 덮개 부재를 케이싱 (2) 에 상측으로부터 끼워 맞추고, 상기 구속 부재 (115) 를 케이싱 (2) 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복귀 부재 (114) 를 압축시키면서 장착용 설편 (115f) 을 케이싱 (2) 의 저부에 형성된 장착용 오목부 (2k) 내로 접어 구부려 장착하여 다방향 입력 장치 (1d) 가 조립된다.
이 때, 덮개 부재의 장착 높이는 상기 장착용 설편 (115f) 의 길이 치수로 규제되어 조정되는데, 상기 복귀 부재 (114) 의 플랜지부 (114d) 를 두께 방향에서 압축시킨 상태에서 장착하고, 그 후 압축 상태를 해방하면, 상기 장착 높이의 범위내에서 복귀 부재 (114) 는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덮개체 (113) 를 케이싱 (2) 측에 밀접시키도록 작용한다. 그 때, 상기 임시 고정용 돌기 (113e) 는 상기 구속 부재 (115) 와 덮개체 (113) 사이에 끼워 유지된 상기 복귀 부재 (114) 가 압축된 상태에 있어서는, 임시 고정용 구멍 (115e) 내에서의 상측에 위치하고, 그 후, 압축이 해방되면 상기 복귀 부재 (114) 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덮개체 (113) 가 케이싱 (2) 측으로 눌려짐에 따라, 임시 고정용 구멍 (115e) 내에서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싱 (2) 으로의 장착 수단으로서의 장착용 설편 (115f) 을 상기 임시 고정용 구멍 (115e) 의 중앙 가상선 상에 형성함으로써, 압축된 복귀 부재의 탄성 복원력으로 덮개 부재를 케이싱 (2) 에 밀착시킬 때, 상기 복귀 부재의 압축과 압축의 해방을 가장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5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d) 에서는 상기 임시 고정용 걸림 수단을 상기 복귀 부재 고정판의 상기 플랜지부의 측변에 형성된 외측으로 돌출하는 임시 고정용 돌기와, 상기 케이싱 장착판 (16) 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임시 고정용 돌기를 걸어 맞추는 임시 고정용 구멍으로 함으로써, 임시 고정용 걸림 수단을 간단하고 또한 저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동작으로 상기 복귀 부재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임시 고정할 수 있어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술한 제 1 내지 제 5 실시 형태의 다방향 입력 장치 (1, 1a, 1b, 1c, 1d) 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 방향의 조작력의 편차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다방향 입력 장치 (1, 1a, 1b, 1c, 1d) 의 조작 감촉이 양호해진다. 또한, 반력 조정부 (4c, 4d) 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거나, 케이싱 (2) 의 내부의 가이드벽 (2b) 을 종래보다 낮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다방향 입력 장치 (1, 1a, 1b, 1c, 1d) 의 형상이 컴팩트해지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4) 이나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 (12) 의 형상이 비교적 간단 한 것이라는 점에서, 다방향 입력 장치 (1, 1a, 1b, 1c, 1d) 의 제조 비용이 저렴해진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가이드벽 (2b) 등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2 단계 입력을 가능하게 하거나, 슬라이드 이동 및 경도에 의한 입력 조작의 선택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실시 형태 등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에 의해,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의 둘레 방향에서의 직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의 조작력의 편차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다방향 입력 장치의 조작 감촉이 양호해지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반력 조정부의 형성이 용이해지거나, 다방향 입력 장치에 실장되는 부품 점수가 감소되기 때문에, 다방향 입력 장치의 제조 비용이 저렴해지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20)

  1. 케이싱내에 복수개의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을 환상으로 배치하고, 환상으로 배치된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과 대향하는 환상의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을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의 상측에 소정의 틈을 통해 상기 케이싱내에 유지하고,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을 반력에 저항하여 위로부터 가압하여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에 접속시키는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부를 갖는 조작 부재를 상기 케이싱내에 배치하고,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부가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과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을 도통시켜 당해 가압에 의한 입력 조작을 검출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로서,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은 상기 케이싱에 유지되어 있는 당해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의 피유지부 근방에 생기는 반력을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의 피유지부 근방 이외의 부분에 생기는 반력과 동일한 정도로 하는 반력 조정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반력 조정부는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 조정부는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의 상기 피유지부 근방의 직경 방향의 폭 치수를 상기 피유지부 근방 이외의 부분의 폭 치수보다 작게 형 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 조정부는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의 상기 피유지부 근방의 두께를 상기 피유지부 근방 이외의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 조정부는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피유지부 근방 이외의 부분에 대하여, 그 둘레 방향을 따라 오목상 또는 볼록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은 상기 케이싱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반력 조정부는 상기 피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은 금속 판재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그 외주가 다각 형상이 되는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그 외주의 모서리부의 내측에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을 소정의 틈을 가지고 배치시키기 위해 상기 피유지부를 유지하는 필요한 높이의 유지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내의 환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및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의 내주측 부분에 중앙용 고정 접점과, 소정의 틈을 가지고 상기 중앙용 고정 접점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중앙용 가동 전극과, 상기 중앙용 가동 전극의 상측에 상기 중앙용 가동 전극을 가압하는 중앙용 가압부를 갖는 상기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용 가동 전극은 지지부를 통해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과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용 가동 전극은 상기 중앙용 가압부의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돔 (dome) 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피유지부와 항상 접촉하는 부분에 공통 전극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8 항 또는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상기 공통 전극 또는 상기 중앙용 가동 전극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케이싱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8 항 또는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상기 공통 전극 또는 상기 중앙용 가동 전극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케이싱외로 인출되는 인출 단자를 갖고 있고, 상기 케이싱외로 인출된 당해 인출 단자는 당해 각 부재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과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 사이에,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및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에 절연되면서 배치되어 있는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은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고정 접점을 덮으면서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의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돔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부를 갖는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와, 상기 중앙용 가압부를 갖는 중앙용 가압 부재와, 조작 주체로부터 직접적으로 입력되는 조작체를 갖고 있고,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는 그 중앙 부근에 형성된 중앙 구멍에 상기 중앙용 가압 부재를 삽입 통과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중앙용 가압 부재는 가압 방향의 전방이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의 중앙 구멍의 외형보다 커지고, 가압 방향의 후방이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의 중앙 구멍의 외형과 동등 또는 그 외형보다 작아지는 가압 방향에 대하여 외형이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 또는 상기 중앙용 가동 전극을 가압했을 때 상기 조작 부재의 초기 위치로 당해 조작 부재를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복귀 부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부재는 상기 케이싱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도록 덮개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슬라이딩 이동량을 구속하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의 반대 방향으로부터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부를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가이드벽을 갖고 있고,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는 상기 중앙용 가압부와 상기 중앙용 가동 전극이 접하고 있는 부분을 슬라이딩시키면서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을 가압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슬라이딩 이동량을 구속하는 덮개체를 갖고 있고,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압 부재는 상기 중앙용 가압부와 상기 중앙용 가동 전극의 접점을 회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둘레 가장자리용 가동 전극을 가압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KR1020060043372A 2005-05-16 2006-05-15 다방향 입력 장치 KR100807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42749 2005-05-16
JP2005142749A JP4551274B2 (ja) 2005-05-16 2005-05-16 多方向入力装置
JP2005145130A JP2006324083A (ja) 2005-05-16 2005-05-18 多方向入力装置
JPJP-P-2005-00145130 2005-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347A KR20060118347A (ko) 2006-11-23
KR100807613B1 true KR100807613B1 (ko) 2008-02-28

Family

ID=37705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372A KR100807613B1 (ko) 2005-05-16 2006-05-15 다방향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4551274B2 (ko)
KR (1) KR100807613B1 (ko)
CN (1) CN10047705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9347B2 (ja) * 2007-01-18 2011-08-17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電磁変換器
JP4695620B2 (ja) * 2007-04-18 2011-06-08 ホシデン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4920527B2 (ja) * 2007-08-24 2012-04-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JP5018647B2 (ja) * 2008-05-29 2012-09-0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操作装置
JP4943412B2 (ja) * 2008-12-24 2012-05-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多方向スライドスイッチ
JP5255521B2 (ja) * 2009-05-29 2013-08-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WO2017044385A1 (en) 2015-09-08 2017-03-16 Apple Inc. Stand alone input device
KR102764294B1 (ko) * 2019-12-19 2025-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방향 스위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5241A (ja) * 1993-12-27 1995-09-05 Alps Electric Co Ltd 操縦杆式スイッチ
JPH10125180A (ja) 1996-10-17 1998-05-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操作装置
JPH11111119A (ja) 1997-09-30 1999-04-23 Hosiden Corp 多接点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098A (ja) * 1996-06-26 1998-0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操作装置
JP3816664B2 (ja) * 1998-04-28 2006-08-3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スイッチおよびこの多方向スイッチを用いた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5241A (ja) * 1993-12-27 1995-09-05 Alps Electric Co Ltd 操縦杆式スイッチ
JPH10125180A (ja) 1996-10-17 1998-05-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操作装置
JPH11111119A (ja) 1997-09-30 1999-04-23 Hosiden Corp 多接点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81503A (zh) 2006-12-20
JP2006318859A (ja) 2006-11-24
KR20060118347A (ko) 2006-11-23
JP4551274B2 (ja) 2010-09-22
CN100477051C (zh) 2009-04-08
JP2006324083A (ja)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613B1 (ko) 다방향 입력 장치
EP2259277B1 (en) Key structure with scissors-type connecting member
US7687734B2 (en) Dome switch with integral actuator
JP3359891B2 (ja) スイッチ付きタブレット入力装置
US6229104B1 (en) Composite switch for electronic apparatus
JP2002343195A (ja) 多方向入力装置
CN103824720B (zh) 键开关装置、键盘以及键开关装置的制造方法
JP2003084916A (ja) 座標入力装置
US7067757B1 (en) Multi-tier keypad assembly
US7447008B2 (e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conveniently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a key module
TWI756626B (zh) 按鍵結構及鍵盤
US8445795B2 (en) Multi function navigational switch
US20120160652A1 (en) Keyboard with plate-type keycap assembly
KR10109903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US7102088B2 (en) Multi-direction switch
US20220399171A1 (en) Keyboard device and key structure thereof
CN114388292B (zh) 一种电子设备的按键结构及电子设备
JP2001350581A (ja) 入力装置
CN101923982B (zh) 多方向输入装置
JP5281538B2 (ja)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WO2003012918A1 (fr) Commutateur d'antennes et appareil portable
JPH0615374Y2 (ja) 一体型押釦スイツチ
JP3021339B2 (ja) マウス
KR10110676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JP3086183U (ja) カーソルスイッチ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