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273B1 - Seedling ma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edling apparatus using the seedling mat - Google Patents
Seedling ma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edling apparatus using the seedling ma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04273B1 KR100804273B1 KR1020070001688A KR20070001688A KR100804273B1 KR 100804273 B1 KR100804273 B1 KR 100804273B1 KR 1020070001688 A KR1020070001688 A KR 1020070001688A KR 20070001688 A KR20070001688 A KR 20070001688A KR 100804273 B1 KR100804273 B1 KR 1008042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eedling
- seedling mat
- water supply
- ma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디의 발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탈지면을 사용한 육묘 매트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 육묘 매트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분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육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edling mat using cotton wool formed so that the germination of grass,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seedling apparatus formed to automatically supply water using the seedling mat.
본 발명에 따른 육묘장치는 설치공간을 갖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설치공간 설치되는 육묘 매트와, 상기 육묘 매트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육묘 매트는 흡습력을 가지는 탈지면을 이용하여 형성된 부직포를 포함한다.The seed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having a case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a seedling mat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a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seedling mat, wherein the seedling mat has a cotton wool having a hygroscopicity. And non-woven fabrics formed by use.
상기 부직포는 천연솜을 준비하는 원료 준비단계와, 1 ~ 5%의 가성소다가 혼합된 수용액을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에서 형성된 수용액에 상기 천연솜을 침수시키는 침수단계와, 상기 천연솜이 침수된 수용액을 가열하는 가열단계를 거처 형성된 탈지면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onwoven fabric is a raw material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 natural cotton, a mixing step of mixing an aqueous solution mixed with caustic soda of 1 to 5%, an immersion step of immersing the natural cotton in the aqueous solution formed in the mixing step, and the natural The cotton is preferably made of cotton wool formed through a heating step of heating the submerged aqueous solution.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육묘장치는 병충해의 발생 위험이 적으며, 원활한 물 공급이 이루어지는 이점을 제공한다. The seed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a low risk of occurrence of pests and provides an advantage of smooth water supply.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ed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육묘장치의 육묘 매트 및 물공급수단을 도시한 부분 절단 사시도,Figure 2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edling mat and water supply means of the seedl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Figure 1,
도 3은 프레임 및 물공급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절단 사시도,Figure 3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rame and the water supply mean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육묘 매트에 사용되는 탈지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블럭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cotton wool used in the seedling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1의 실시예의 육묘장치를 나타낸 개념도,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eedl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6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ed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육묘장치 10; 프레임 20; 육묘 매트100;
30; 물 공급수단 31; 저수탱크 30; Water supply means 31; Water tank
32; 물 공급관 35; 공급부재32; Water supply pipe 35; Supply member
본 발명은 육묘 매트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 육묘 매트를 이용한 육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잔디의 발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탈지면을 사용한 육묘 매트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 육묘 매트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분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육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edling mat,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seedling apparatus using the seedling mat, more specifically, a seedling mat using a cotton wool formed so that the germination of gras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n automatic using the seedling mat It relates to a seedling apparatus formed so that the water supply is made.
잔디는 각종 스포츠 경기장 또는 골프장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골프장과 경기장에서는 사시사철 푸른 잔디를 가꾸기 위해서 난지형 잔디와 한지형 잔디를 복합적으로 재배하는 경우가 많다.Grass is used a lot in various sports fields or golf courses. In these golf courses and stadiums, in order to cultivate green grass in all seasons, a combination of cultivated warm grass and cold grass is often used.
일반적인 잔디 육묘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한국형 잔디의 경우에는 파종 대상지 전면에 살충제를 골고루 뿌린 후 20㎝ 이상 갈아 엎은 후, 살충제 및 복합비료를 뿌린 뒤 흙을 곱게 부수면서 고른 다음 롤러로 가볍게 다진다. 파종량의 반은 모래와 섞어 세로로 파종하고, 나머지 반을 모래와 섞어 가로로 파종하고 롤러로 가볍게 눌러서 종자가 흙속에 박히도록 하여 최소 25㎜ 깊이의 토사까지 축축하도록 물을 뿌려주되 흘러 넘쳐나지 않게 한다.The general grass seedling method is as follows. In the case of Korean grass, spray the pesticide evenly over the front of the seeding ground, pour it over 20cm, sprinkle the insecticide and compound fertilizer, crush the soil finely, and then chop it lightly with a roller. Half of the seeding is mixed with the sand so that it is vertically sown, and the other half is mixed with the sand so that it is sown horizontally. do.
파종 직후 일정량의 제초제를 골고루 뿌린 후, 피복용 폴리에틸렌 필름(두께0.03㎜)을 전면에 덮고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누른다. 이상과 같이 종자가 발아하여 새싹이 0.5∼1㎝ 정도 자랐을 때 폴리에틸렌 필름을 제거하며 파종지가 건조할 경우에는 관수하여야 한다. 발아한 뒤 3월 이내에 제초를 4회 실시하고 발아한 뒤 2월 및 3월 경과하였을 때 각각 100㎡당 5㎏의 복합비료를 뿌려 준다.After spraying a certain amount of herbicide evenly after sowing, cover the whole polyethylene film (thickness 0.03 mm) and press it so that it does not blow in the wind. As mentioned above, when the seed germinates and the shoots grow about 0.5 ~ 1㎝, the polyethylene film is removed, and when the seeding paper is dried, it should be watered. After germination, weed four times within three months, and after germination, sprinkle 5kg of fertilizer per 100㎡ after February and March.
서양잔디의 경우에는 파종지의 잡석을 제거하고 소정의 기울기로 평활하게 정지하고, 건조하지 않게 물을 살포한 뒤에 서양잔디 종자와 비료, 펄프(제지용), 전착제, 색소, 양생제를 물과 혼합하여 살포기계를 이용하여 분사파종한다.In the case of Western grass, remove rubble from the planting ground, stop it smoothly with a predetermined slope, and spray water not to dry, and then mix western grass seed, fertilizer, pulp (papermaking), electrodeposition agent, pigment and curing agent with water. Spray the seeds using a spraying machine.
이렇게 잔디를 재배하는 재배지에 직접 파종을 하고 잔디를 재배하는 경우에는 잔디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으며, 잡초발생 및 병해 방지를 위한 제초제 및 살충제를 사용하기는 하였지만 여전히 잡초와 병해의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수분과 영양분의 공급도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웠다.When planting grass and planting grass in this way, the grass is exposed to the outside environment, so it may be affected by the climate, and herbicides and pesticides are used to prevent weeds and diseases. Weeds and pests are still more likely to occur, and water and nutrients are difficult to provid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잔디의 육묘시 잡초 및 병충해의 발생이 방지되고, 수분 및 영양분의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육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seedl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weeds and pests during seedling of grass and automatically supplying moisture and nutrien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육묘장치는 설치공간을 갖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설치공간 설치되는 육묘 매트와, 상기 육묘 매트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육묘 매트는 흡습력을 가지는 탈지면을 이용하여 형성된 부직포를 포함한다.The seed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frame having a case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the seedling mat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seedling mat, the seedling mat Includes a nonwoven fabric formed using cotton wool having hygroscopicity.
상기 물 공급수단은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로부터 상기 육묘 매트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일측이 상기 물공급부를 통과하는 물과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육묘 매트와 접촉하는 흡수부재 및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되는 물을 상기 물공급부로 펌핑하는 펌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supply means includes a water storage tank,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tank to the seedling mat, an absorbent member having one side contact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other side contacting the seedling mat and the water storage tank. It is preferable to have a pump for pump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상기 육묘 매트는 부직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데, 상기 부직포는 천연솜을 준비하는 원료 준비단계와, 1 ~ 5%의 가성소다가 혼합된 수용액을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에서 형성된 수용액에 상기 천연솜을 침수시키는 침수단계와, 상기 천연솜이 침수된 수용액을 가열하여 유지성분을 제거하는 가열단계를 거처 형성된 탈지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edling mat is formed using a non-woven fabric, the non-woven fabric is a raw material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 natural cotton, a mixing step of mixing an aqueous solution mixed with 1 ~ 5% caustic soda, and the aqueous solution formed in the mixing step It is preferable to form a cotton wool formed through the immersion step of immersing the natural cotton and the heating step of removing the oil and fat component by heating the aqueous solution immersed in the natural cott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육묘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seed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육묘장치(100)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육묘 매트(20)와, 육묘 매트(20)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수단(30)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the
프레임(10)은 상기 육묘 매트(20)가 적층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육묘 매트(20)를 고정 및 지지하는 것으로서,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부재(11)와, 서포트 부재(11)에 지면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수평부재(12) 및 상기 수평부재(12)에 지지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을 갖는 케이스(13)를 구비한다. The
상기 수평부재(12)는 단면이 'ㄴ'자 형상이며, 상기 케이스(13)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갖도록 서로 마주 보게 설치된 한 쌍의 로드를 구비하는데, 수평부재(12)는 지면으로부터 이격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설치된다. 또한 수평부재(12)는 케이스(13)의 하면이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양 로드의 위치가 상호 다르게 설치된다. 하나의 프레임(10)에 복수개의 수평부재(12)가 포함되기 때문에 다수개의 육묘 매트(20)를 하나의 프레임(10)에 설치함으로써 재배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The
케이스(13)는 상기 수평부재(12)에 지지되며, 육묘 매트(20)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제공한다. 케이스(13)는 상호 높이가 다른 수평부재(12)에 의해 3~5°정도 기울어지게 설치되며,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측에는 케이스(13)의 하부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는 물빠짐홀(14)이 형성되어 있다. 만약 육묘 매트(20)에 물이 과잉공급되면 잉여 수분이 케이스(13)의 기울어짐에 의해 물빠짐홀(14)이 형성된 측으로 모이게 되고, 이렇게 모인 물이 상기 물빠짐홀(14)을 통해 케이스(13) 외부로 배출된다..The
상기 육묘 매트(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디가 자랄 수 있는 재배공간을 형성하여 육묘되는 잔디에 물과 영양분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육묘 매트(20)로 흡습력을 갖는 탈지면으로 형성된 부직포가 적용되었다. 육묘 매트(20)로서 일반적인 토양을 적용할 때에는 병충해를 유발하는 병균, 또는 해충들이 토양에 잔류하여 육묘되는 잔디에 유해한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소독된 탈지면을 이용하여 형성된 부직포를 육묘 매트(20)로 사용함으로써, 잔디에 병충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탈지면은 흡습력이 있기 때문에 상기 물 공급수단(30)을 통해 공급된 물을 장시간 함유하여 잔디에 지속적인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른 육묘 매트(20)에 사용되는 부직포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형성된 탈지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탈지면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the nonwoven fabric used for the
제 1단계 - 원료 준비단계Stage 1-Raw Material Preparation
원료 준비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탈지면의 제조에 사용되는 천연솜 즉 원면을 준비한다. 원면은 늦여름부터 가을에 개서한 실면을 손이나 기계를 이용해서 딴 다음, 공장에서 조면기로 목화씨를 빼내어 얻을 수 있다. In the raw material preparation step, natural cotton, which is generally used for the production of cotton wool, is prepared. Cotton can be harvested from late summer by hand or by machine, and then cotton can be removed from the factory with a cotton gin.
제 2단계 - 혼합단계Stage 2-Mixing Stage
일반적으로 탈지면을 생산할 때는 원면에 포함된 지방을 제거하기 위해 1% 안팎의 수산화나트륨이 혼합된 수용액인 양잿물을 사용하지만, 잔디의 발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육묘 매트(20)에 사용되는 탈지면은 1 ~ 5 % 의 가성소다 수용액이 사용된다. 본 단계에서는 물에 1 ~ 5 %의 농도가 되도록 가성소다를 첨가한 가성소다 수용액을 혼합한다.Generally, when producing cotton wool, sheep lye, which is an aqueous solution mixed with about 1% of sodium hydroxide, is used to remove fat contained in the cotton, but the seedling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is made to facilitate the germination of grass. The cotton wool used in) is used with 1 ~ 5% of caustic soda solution. In this step, an aqueous solution of caustic soda added with caustic soda is mixed in water so as to have a concentration of 1 to 5%.
또한 상기 가성소다 수용액 외에도 차염소가 혼합된 차염소 수용액이 지방제거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차염소 수용액은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물질이기 때문에 탈지면의 제조 과정에서 작업자 및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탈지면의 제작 과정에서는 가성소다 수용액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n addition to the aqueous solution of caustic soda, an aqueous solution of hypochlorite mixed with hypochlorite may be used for fat removal, but since the solution of hypochlorite is a harmful substance to human body and environment, it may adversely affect workers and the environment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cotton wool.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 caustic soda aqueous solution is us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tton wool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제 3단계 - 침수단계Stage 3-Flooding
원료 준비단계에서 준비한 원면을 혼합단계에서 혼합한 가성소다 수용액에 침수시킨다. 원면에 포함된 지방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전체 원면이 가성소다 수용액에 모두 침수될 수 있도록 한다.The raw material prepared in the raw material preparation step is immersed in the aqueous solution of caustic soda mixed in the mixing step. Make sure the entire cotton is submerged in the aqueous solution of caustic so that the fat contained in the cotton can be easily removed.
제 4단계 - 가열단계4th stage-heating stage
본 단계에서는 상기 침수단계에서 가성소다 수용액에 침수된 원면을 90~97℃ 로 25 ~ 35분간 가열한다. 이렇게 가열하는 과정에서 원면에 함유되어있던 유지성분이 원면으로부터 제거된다.In this step, the cotton immersed in the aqueous solution of caustic soda in the immersion step is heated to 90 ~ 97 ℃ 25 ~ 35 minutes. In this heating process, the oil or fat contained in the raw material is removed from the raw material.
제 5단계 - 세척 및 건조단계Step 5-Cleaning and Drying Steps
가열단계를 거치면서 유지성분이 제거된 원면에 잔류하는 가성소다 수용액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을 하고, 세척된 원면을 건조시켜 탈지면을 만든다. 일반적인 탈지면의 제작과정에는 지방이 제거된 원면을 표백처리하는 표백처리단계가 포함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육묘 매트(20)에 사용되는 탈지면은 표백처리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표백과정은 생략한다.During the heating step, washing is performed to remove the caustic soda solution remaining on the surface from which the oil is removed, and the washed surface is dried to form cotton wool. A general process of making cotton wool includes a bleaching step of bleaching the cotton from which fat has been removed, but the bleaching process is omitted since the cotton wool used in the
도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물 공급수단(30)은 저수탱크(31)와, 상기 저수탱크(31)로부터 상기 육묘 매트(2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32), 일측이 상기 물공급부(32)를 통과하는 물과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육묘 매트와 접촉하는 흡수부재(33) 및 상기 저수탱크(31)에 저장되는 물을 상기 물공급부(32)로 펌핑하는 펌프(38)를 구비한다.1, 2 and 5, the water supply means 30 includes a
저수탱크(31)는 육묘되는 잔디에 공급될 물이 저장될 수 있는 저수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저수탱크(31) 내에서 잔디에 공급할 각종 영양분이 물에 첨가 및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육묘 매트(20)에서 육묘되는 잔디에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일정량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 저수공간의 크기는 일 회 공급되는 물의 양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물공급부(32)는 상기 저수탱크(31)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이동하는 이동경로 를 제공하며 프레임에 지지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가 개구된 찬넬이 적용되었다. 저수탱크(31)에 저장되어있던 물은 상기 케이스(13)의 일측에 설치된 물공급부(32)를 통과하면서 흡수부재(33)에 의해 육묘 매트(20)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The
흡수부재(33)는 물의 흡수성이 좋은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이 물공급부(32)를 통해 흐르는 물에 접촉되고, 타측이 육묘 매트(20)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흡수부재(33)의 물에 대한 흡수성에 의해 육묘 매트(20)는 물공급부(32)로부터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흡수부재(33)는 육묘 매트(20)에 충분한 수분이 공급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한다.Absorbing member 33 is made of a good water absorbent material,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펌프(38)는 상기 저수탱크(31)와 물공급부(32) 사이에 설치되어 저수탱크(31)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는 것이다. 펌프(38)에는 타이머가 설치될 수 있는데, 타이머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또는 정해진 시간에 펌프(38)를 작동시켜 육묘 매트(20)에 물공급이 세팅된 시간 또는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른 육묘 장치(200)의 케이스(113) 및 물 공급수단(13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케이스(113)는 상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하면에는 육묘 매트(20)에 공급된 물이 과다할 때, 물이 케이스(113)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물빠짐홀(114)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재(112)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길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는 다르게 일정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케이스(113)가 수평부재(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케이스(113)의 하면 전체에 걸쳐 물빠짐홀(11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부재(112)가 상호 같은 높이로 설치된다. The
물 공급수단(130)은 저수탱크(31)와, 상기 육묘 매트(2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132), 물공급관(132)과 연결되고 상기 육묘 매트(20)의 하부에 위치하는 공급부재(135) 및 상기 저수탱크(31)의 물을 상기 물공급관(132)으로 펌핑하는 펌프(38)를 구비한다.The water supply means 130 is connected to the
물공급관(132)은 상기 저수탱크(31)와 연결되어 저수탱크(31)에 저장되어 있던 물을 육묘 매트(20)로 공급한다. 물공급관(132)은 저수탱크(31)로부터 상기 프레임(10)을 통과하도록 연장되는데, 상기 수평부재(112)와 인접한 지점에서 수평부재(112)와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수평부재(112)를 지나는 물공급관(132)의 일측에는 물공급관(132)의 중공과 연통되며, 단부에 공급부재(135)가 끼워질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토출관(133)이 물공급관(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어 있다. 물공급관(132)을 통해 이동되는 물은 상기 토출관(133)을 통해 육묘 매트(20)로 공급되는데, 토출관(133)에는 각 토출관(133)의 물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별도의 밸브(134)가 설치된다.The
공급부재(135)는 토출관(133)의 단부에 결합되어 토출관(133)으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육묘 매트(20)에 공급한다. 공급부재(135)는 상기 토출관(133)의 단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136)와 결합부(136)로부터 연장되며 흡습력을 가지는 함수재(137)를 구비한다. 함수재(137)는 케이스(113)의 하부 내면과 육묘 매트(20)의 사이에 위치하여, 토출관(133)에서 배출되는 물이 육묘 매 트(20)를 통해 잔디의 뿌리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물이 일시에 공급되면 육묘 매트(20)에 저장되지 못하고 케이스(113)의 물빠짐홀(1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유실되는 물의 양이 많아지게 되므로, 육묘 매트(20)에 물이 흡수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토출관(133)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육묘 매트(20)로 서서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함수재(137)로서 상기 육묘 부재로 사용된 탈지면을 이용한 부직포가 적용되었으나, 공급부재(135)에는 이 외에도 흡습력을 갖는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The
저수탱크(31)로부터 연장되는 물공급관(132)은 육묘 매트(20)에 공급되지 못한 물이 다시 저수탱크(31)로 회수될 수 있도록 단부가 저수탱크(31)와 연결된다.The
또한 물공급관(32)의 일 지점에는 보조공급부(140)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보조공급부(140)는 물공급관(132)과 연결되고 개폐밸브(142)가 설치된 배출관(141)과, 배출관(141)으로부터 연장되며 유동성이 있는 호스(143), 호스(143)의 단부에 설치된 샤워기(144)를 구비한다.
상기 공급부재(135)는 육묘 매트(20)에 물을 공급하여 잔디의 뿌리에 물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일정 영역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양의 물을 공급하거나, 잔디의 잎에 물을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기 개폐밸브(142)를 열고, 원하는 영역에 물을 선택적으로 더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보조공급부(140)는 샤워기(144)를 통해 물이 공급되기 때문에 비가 내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The
또한 물공급관(132)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최 상측 수평부재(112)로부터 출발하여 하측에 위치한 수평부재(112)들을 차례로 지나도록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는 다르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관(210)이 저수탱크(3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분기되는 분기관(211)과, 이 분기관(211)으로부터 각 수평부재(12)로 연장되어 각 육묘 매트(20)에 물을 공급하는 수평관(212)을 구비하도록 육묘장치(3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물공급관(210)이 각 수평부재(12)로 분기되는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각 분기관(211)에 밸브(213)를 설치하여, 물 공급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육묘장치(200,3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육묘장치(100)와 그 형태와 기능이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4, 5 and 6 other components of the seedling device (200,300) shown in Fig. 1 and 2 are the same as the shape and function of the
이렇게 형성된 육묘장치(100)에서 잔디가 완전히 자라면 육묘 매트(20)를 케이스(13)로부터 분리시킨 뒤, 잔디를 이식할 장소에 육묘 매트(20)를 설치함으로써 잔디의 식재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grass grows completely in the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육묘장치는 병충해의 발생 위험이 적으며, 원활한 물 공급이 이루어지는 이점을 제공한다. The seed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a low risk of occurrence of pests and provides an advantage of smooth water suppl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 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1688A KR100804273B1 (en) | 2007-01-05 | 2007-01-05 | Seedling ma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edling apparatus using the seedling ma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1688A KR100804273B1 (en) | 2007-01-05 | 2007-01-05 | Seedling ma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edling apparatus using the seedling ma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04273B1 true KR100804273B1 (en) | 2008-02-18 |
Family
ID=39382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1688A KR100804273B1 (en) | 2007-01-05 | 2007-01-05 | Seedling ma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edling apparatus using the seedling ma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04273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8204B1 (en) | 2008-10-31 | 2012-11-09 | 안승한 | Outer wall planting structure of constructs |
KR20170049386A (en) * | 2015-10-28 | 2017-05-10 | 이일성 | Urban agriculture type three-dimensional kitchen garden |
KR102068086B1 (en) | 2019-09-06 | 2020-01-20 | (주)지금강이엔지 | Cutting apparatus for automatic bed-soil mat |
KR102071694B1 (en) | 2019-08-29 | 2020-01-30 | (주)지금강이엔지 | Bed-soil mat automatic feeding apparatus with prevention of cutting failure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298272A (en) * | 1988-05-24 | 1989-12-01 | Sando Iron Works Co Ltd | Method for scouring and bleaching cotton knit fabric |
JPH09187165A (en) * | 1996-01-09 | 1997-07-22 | Kakui Kk | Mat material for greening |
KR19980063774U (en) * | 1997-04-21 | 1998-11-25 | 심재문 | Sheet of seedling box |
KR100263355B1 (en) | 1995-03-27 | 2000-12-01 | 데이비드 엠 모이어 | Method of producing a sheet of cotton |
KR200214109Y1 (en) | 2000-08-23 | 2001-02-15 | 박형익 | Tray for lawn germination |
KR100426637B1 (en) | 2002-03-07 | 2004-04-14 | 한국섬유기술연구소 | paper mulberry fiber to be used as raw material for textile produc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
KR200367521Y1 (en) | 2004-08-11 | 2004-11-12 | 주식회사 남진농기 | Raising seedings apparatus, which is successively capable of supplying water |
KR20040100165A (en) * | 2003-05-21 | 2004-12-02 | 인화이버텍(주) | mat which has been prepared by the woods removed for prevention of mountain-fire,and the methods for its use |
KR100574618B1 (en) | 2004-05-03 | 2006-04-27 | 구정필 | Sprout vegetable cultivation ma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20060036513A (en) * | 2004-10-25 | 2006-05-02 | 최영순 | Lawn cultivation method using silver plated grass seedling box |
-
2007
- 2007-01-05 KR KR1020070001688A patent/KR10080427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298272A (en) * | 1988-05-24 | 1989-12-01 | Sando Iron Works Co Ltd | Method for scouring and bleaching cotton knit fabric |
KR100263355B1 (en) | 1995-03-27 | 2000-12-01 | 데이비드 엠 모이어 | Method of producing a sheet of cotton |
JPH09187165A (en) * | 1996-01-09 | 1997-07-22 | Kakui Kk | Mat material for greening |
KR19980063774U (en) * | 1997-04-21 | 1998-11-25 | 심재문 | Sheet of seedling box |
KR200214109Y1 (en) | 2000-08-23 | 2001-02-15 | 박형익 | Tray for lawn germination |
KR100426637B1 (en) | 2002-03-07 | 2004-04-14 | 한국섬유기술연구소 | paper mulberry fiber to be used as raw material for textile produc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
KR20040100165A (en) * | 2003-05-21 | 2004-12-02 | 인화이버텍(주) | mat which has been prepared by the woods removed for prevention of mountain-fire,and the methods for its use |
KR100574618B1 (en) | 2004-05-03 | 2006-04-27 | 구정필 | Sprout vegetable cultivation ma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200367521Y1 (en) | 2004-08-11 | 2004-11-12 | 주식회사 남진농기 | Raising seedings apparatus, which is successively capable of supplying water |
KR20060036513A (en) * | 2004-10-25 | 2006-05-02 | 최영순 | Lawn cultivation method using silver plated grass seedling box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8204B1 (en) | 2008-10-31 | 2012-11-09 | 안승한 | Outer wall planting structure of constructs |
KR20170049386A (en) * | 2015-10-28 | 2017-05-10 | 이일성 | Urban agriculture type three-dimensional kitchen garden |
KR102017685B1 (en) * | 2015-10-28 | 2019-10-21 | 이일성 | Urban agricultural three-dimensional garden |
KR102071694B1 (en) | 2019-08-29 | 2020-01-30 | (주)지금강이엔지 | Bed-soil mat automatic feeding apparatus with prevention of cutting failure |
KR102068086B1 (en) | 2019-09-06 | 2020-01-20 | (주)지금강이엔지 | Cutting apparatus for automatic bed-soil ma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3557886B (en) | Seedling raising device and seedling raising method for tabebuia odorata container | |
TW201442617A (en) | Plant cultivation system,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lant cultivation system | |
KR100804273B1 (en) | Seedling ma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edling apparatus using the seedling mat | |
JP3768489B2 (en)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plant cultivation method | |
DE69823884T2 (en) |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GREEN SURFACES | |
US20040249505A1 (en) | Method and system for water management | |
CN111406585B (en) | A kind of fine cultivation method of medicinal perilla | |
KR101195301B1 (en) | the apparatus for water culture and the system for water culture thereof | |
KR20220094635A (en) | Culture medium for plant and ultivation apparatus therefor | |
JPH0662688A (en) | Structure for cultivating plant its apparatus | |
KR100189114B1 (en) | Plant cultivation bed and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101759179B1 (en) | Removable growth bed system for cultivating ginseng | |
JP6006182B2 (en) | Water supply device for cultivation tank | |
KR102396567B1 (en) | Seedling and cultivating device using LED lighting and seedling and cultivation method using thereof | |
WO2022024206A1 (en) | Method for cultivating plant, and device for cultivating plant | |
JP2004154031A (en) | Device and method for cultivating plant using pot | |
JPH1024841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till water neutriculture | |
CN104782344A (en) | Chinese yam and bitter gourd interplanting method | |
CN213127354U (en) | Ecological culture medium for preventing and treating sweet potato nematode disease | |
CN208144017U (en) | The non-woven fabrics of cross sowing of vegetable covering | |
JP3034243U (en) | Vertical hydroponics device | |
KR102506275B1 (en) | flowerpot having water supply device | |
CN208609518U (en) | Tea Clone Improved Varieties pest repellant diseases prevention nursery bed apparatus | |
CN106035032B (en) | High-yield planting method for anoectochilus roxburghii | |
JP2007116968A (en) | Plant cultivation method and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6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