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3075B1 -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075B1
KR100803075B1 KR1020070085688A KR20070085688A KR100803075B1 KR 100803075 B1 KR100803075 B1 KR 100803075B1 KR 1020070085688 A KR1020070085688 A KR 1020070085688A KR 20070085688 A KR20070085688 A KR 20070085688A KR 100803075 B1 KR100803075 B1 KR 100803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otating body
vehicle seat
rotating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장수
김욱
Original Assignee
에이치 제이 이엔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 제이 이엔지(주) filed Critical 에이치 제이 이엔지(주)
Priority to KR1020070085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0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07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시트의 조립라인에 설치되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상부에 장착하되 중앙에는 일정크기의 관통부가 형성되는 회동몸체와, 상기 회동몸체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시트트랙을 고정 및 분리시키기 위한 탈착수단과, 상기 회전몸체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몸체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수단으로 구성되는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립라인의 일측에 형성된 전원전달수단과 맞닿아 차량시트의 내부에 장착되는 전기부품들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을 상기 회동몸체의 일측에 설치하되,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회동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후방 브라켓과, 상기 후방 브라켓의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전방 브라켓과, 상기 후방 브라켓과 전방 브라켓을 통과하여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연동축과, 상기 연동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시트트랙을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라켓과, 상기 후방 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동축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시트트랙을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회동브라켓과, 상기 전방 브라켓과 연동축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브라켓과 회동브라켓을 동시에 내측으로 작동시켜 시트트랙을 고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압축공기가 필수적인 에어공급수단을 이용한 클램핑장치의 구조를 탈피하여 일측을 밀착시킴으로써 고정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일련적인 기계적인 구조에 의해서 시트트랙을 용이하게 탈착시켜 차량시트의 조립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에어공급수단의 설치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원공급수단이 구비하여 차량시트의 내부에 장착되는 발열체 또는 전기부품들에 대한 작동상태 및 불량유무를 효과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차량, 자동차, 시트, 시트트랙, 조립, 고정, 분리, 지그, 회전, 회동, 잠금, 장치

Description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Jig device for assembly of vehicles seat}
본 발명은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련적인 구조에 의해서 시트트랙을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공정에 따라서 작업자가 지그를 수평방향으로 회전 또는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 시트의 구성부품을 효율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시트는 다양한 구조와 형태를 갖는 수많은 구성부품이 순차적인 공정을 통해서 조립되어 생산되므로, 이러한 조립공정의 작업순서 및 배열에 따라서 차량시트의 생산성 및 작업효율을 결정하게 된다.
특히 차량시트는 구성부품의 조립위치에 따라서 시트트랙의 상부와 측면은 물론 하부에 대한 조립작업이 필요하게 되므로, 이를 위해서 차량시트의 조립위치에 관계없이 원활한 조립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 지그장치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시트를 효율적으로 조립하기 위한 방 안으로,
시트트랙을 고정하는 클램핑장치와, 외부에서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클램핑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 에어공급수단과, 컨베이어 상면에 안착 이동되면서 상기 클램핑장치에 고정된 시트트랙에 각 구성부품이 일련의 작업공정에 따라 순서대로 조립 완성되도록 하는 일정크기의 평판형 베이스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 중앙에는 충분한 강도와 원활한 회전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회전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수단의 상면으로 저면 중앙부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를 기준으로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일정크기로 구성되는 터닝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터닝부재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클램핑장치와 에어공급수단이 각각 구비되고 중앙부에 일정크기의 관통부가 형성된 틸팅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터닝부재의 상면에 대해 상기 틸팅부재가 들려져 직각에 가깝게 젖혀지도록 상기 터닝부재와 틸팅부재의 사이에 틸팅수단으로 구성되는 국내특허등록 제0552550호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가 안출된 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는 시트트랙을 고정하여 터닝 또는 틸팅하면서 시트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나, 시트트랙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압축공기가 필수적인 에어공급수단이 필요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차량시트의 조립라인을 따라서 지그의 설치개수와 대응되도록 에어공급호스 및 에어공급유닛을 각각 설치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짐은 물론 설치비용과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경제적인 부담이 이중으로 가중되는 단점 을 갖게 되었다.
특히 종래의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는 공압 구동방식이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차단되거나 에어공급수단의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는 시트트랙의 고정이 불가능하여 생산성 및 작업효율이 저하되므로 사용상의 한계를 갖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는 틸팅부재와 터닝부재의 사이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형성되어 있지 못하므로 차량시트의 조립작업중에 발생하는 흔들림 또는 충격으로 인해서 틸팅부재가 상부방향으로 쉽게 회동되어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게 되었다.
한편, 종래의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는 회전하는 터닝부재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형성되어 있지 못하므로 차량시트의 조립작업중에 터닝부재가 쉽게 회전되므로 작업효율이 극히 제한되는 단점을 갖게 되었다.
아울러 종래의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는 차량시트의 내부에 장착되는 전기부품들에 대한 작동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이 구비되지 못하므로 이로 인해 차량시트에 장착된 전기부품에 대한 작동상태 및 불량유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폐단을 갖게 되었다.
더구나 종래의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는 차량시트의 구성부품에 대한 조립작업만 진행할 수 있을 뿐 차량시트의 내부에 장착되는 전기부품들에 대해서는 별도의 점검공정을 통해서 진행해야 함으로써, 이로 인해 전체적인 차량시트의 조립공정에 대한 작업시간의 지연으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수평방향으로 회전 또는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 시트의 구성부품을 효율적으로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지금까지 시트트랙을 고정하기 위해서 에어공급수단을 이용한 클램핑장치의 구조를 탈피하여 일련적인 구조에 의해서 시트트랙을 용이하게 탈착시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동몸체의 상부 일측에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회전몸체에 고정함으로써 시트의 구성부품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 및 흔들림으로 상기 회동몸체가 상부방향으로 쉽게 회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공급수단이 구비하여 차량시트의 내부에 장착되는 전기부품들에 대한 작동상태 및 불량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차량시트의 조립라인(B)에 설치되는 지지몸체(110)와, 상기 지지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수단(120)과, 상기 회전수단(120)의 상부에 설치 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전몸체(130)와, 상기 회전몸체(130)의 상부에 장착하되 중앙에는 일정크기의 관통부(161)가 형성되는 회동몸체(160)와, 상기 회동몸체(16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시트트랙(A)을 고정 및 분리시키기 위한 탈착수단(170)과, 상기 회전몸체(13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몸체(16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수단(140)으로 구성되는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립라인(B)의 일측에 형성된 전원전달수단(C)과 맞닿아 차량시트의 내부에 장착되는 전기부품들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164)을 상기 회동몸체(160)의 일측에 설치하되, 상기 탈착수단(170)은 상기 회동몸체(16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후방 브라켓(171)과, 상기 후방 브라켓(171)의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전방 브라켓(172)과, 상기 후방 브라켓(171)과 전방 브라켓(172)을 통과하여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연동축(173)과, 상기 연동축(173)의 일단에 설치되어 시트트랙(A)을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라켓(174)과, 상기 후방 브라켓(171)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175b)을 매개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동축(173)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시트트랙(A)을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회동브라켓(175)과, 상기 전방 브라켓(172)과 연동축(173)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브라켓(174)과 회동브라켓(175)을 동시에 내측으로 작동시켜 시트트랙(A)을 고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176)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압축공기가 필수적인 에어공급수단을 이용한 클램핑장치의 구조를 탈피하여 일측을 밀착시킴으로써 고정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일련적인 기계적인 구조에 의해서 시트트랙을 용이하게 탈착시켜 차량시트의 조립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에어공급수단의 설치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몸체와 회동몸체의 사이에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차량시트의 구성부품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 및 흔들림으로 상기 회동몸체가 상부방향으로 쉽게 회동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원인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회전하는 회전몸체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수단을 형성하여 차량시트의 조립작업중에 회전몸체가 쉽게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원공급수단이 구비하여 차량시트의 내부에 장착되는 전기부품들에 대한 작동상태 및 불량유무를 효과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서 후방에서 바라본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몸체(110)는 조립라인(B)에 설치되어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몸체(110)의 상부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지지롤러(111)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몸체(130)의 하부를 지지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수단(120)은 시트트랙(A)의 조립위치에서 따라서 상기 회전몸체(13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때 상기 회전수단(120)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몸체(130)의 원활한 회전력 및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공지의 베어링이 형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몸체(130)의 양측에는 가이드레일(131)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31)의 내부에는 상기 회동몸체(16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롤러(163)가 삽입되는데, 이는 상기 회동수단(140)의 작동으로 상기 회동몸체(16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레일(131)을 따라서 상기 가이드롤러(163)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몸체(130)의 상부 선단에는 폭 방향으로 상기 회동몸체(160)와 맞닿게 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부재(132)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수단(140)은 상기 회동몸체(16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구성은 상기 회전몸체(13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141a)을 매개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타측은 상기 회동몸체(160)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축(162)에 장착되는 회동바(141)와, 상기 회전몸체(13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바(141)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쇽업쇼버(142)로 구성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회동몸체(160)를 잡고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회동바(141)가 상부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쇽업쇼버(142)의 작용으로 상기 회동몸체(160)를 손쉽게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회동몸체(160)를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킬 경우에도 작업자가 상기 회동몸체(160)를 잡고 하부방향으로 내리게 되면 상기 회동바(141)의 회동과 쇽업쇼버(142)의 작용(감쇠력)으로 자연스럽게 하강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몸체(130)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몸체(13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브라켓(151)과, 상기 브라켓(151)을 통과하여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152)와, 상기 손잡이(152)의 선단에 설치되는 승하강 유도바(153)와, 상기 회전몸체(130)의 일측에서 하부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설치하되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수직 통공(154a)이 구비되고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승하강 유도바(153)가 통과하도록 통공(154b)이 형성되는 지지브라켓(154)과, 상기 수직 통공(154a)에 삽 입하되 일측에는 상기 승하강 유도바(153)가 통과하면서 맞닿아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공(155a)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몸체(110)의 일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통공(112)에 삽입되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155)과, 상기 지지브라켓(154)과 고정핀(155)의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15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차량시트의 조립위치에 따라서 상기 회전몸체(13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152)를 잡고 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승하강 유도바(153)가 전진하면서 상기 고정핀(155)과 맞닿아 하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통공(112)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회전몸체(130)를 상기 지지몸체(11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통공(112)은 차량시트의 조립위치에 따라서 상기 회전몸체(130)의 회전시켜 고정하기 위해서 일정각도(90°)를 갖도록 방사상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152)를 잡고 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스프링(156)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고정핀(155)이 상부방향으로 쉽게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몸체(13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 유도바(153)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핀(155)을 밀착시켜 상하방향으로 효율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경사지는 경사부(153a)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승하강 유도바(153)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오목홈(153b)을 형성하 여 상기 삽입공(155a)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55b)와 맞닿아 걸리도록 하여 상기 고정핀(155)의 상승 또는 하강위치를 유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몸체(160)는 차량시트의 하부에 대한 조립작업을 위해서 상기 회동수단(140)의 작동과 함께 작업자가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린 후 상기 관통부(161)를 통해서 작업자가 조립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수단(164)은 본 발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구성으로써, 즉 차량시트의 내부에는 전기제품들이 장착된 상태이므로 이러한 전기제품들에 대한 점검 및 검사작업을 위해서 조립라인(B)을 따라서 일측에 설치된 전원전달수단(C)과 맞닿아 전원(DC 12V)을 공급받게 된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수단(164)은 자동화설비 및 컨베이어 등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도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공지의 콜렉팅슈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전원공급수단(164)에 차량시트의 내부에 장착되는 히터와 같은 전기부품들을 연결하여 작동상태를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탈착수단(170)은 도 8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와 같이 시트트랙(A)을 고정하기 위해서 압축공기가 필수적인 에어공급수단을 이용한 클램핑장치의 구조를 탈피하여 상기 연동축(173)의 일측을 밀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고정브라켓(174)과 회동브라켓(175)을 이동 및 회동시켜 시트트랙(A)을 용이하게 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연동축(173)은 조립라인(B)의 마지막 공정에 설치된 별도의 밀착 장치(미 도시됨)의 작동으로 밀착되어 일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시트트랙(A)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174)과 회동브라켓(175)의 상부에는 시트트랙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부방향으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174a,175a)이 각각 형성된다.
특히 상기 스프링(176)은 평소에는 상기 연동축(173)을 상기 후방 브라켓(171)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브라켓(174)과 회동브라켓(175)이 동시에 내측으로 이동 및 회동하여 시트트랙(A)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공지의 압축스프링을 사용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 차량시트의 구성부품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 및 흔들림으로 상기 회동몸체(160)가 상부방향으로 쉽게 회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잠금수단(180)이 구비되는데,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몸체(16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브라켓(181)과, 상기 브라켓(181)을 통과하여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축(182)과, 상기 축(182)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몸체(130)와 맞물려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브라켓(183)과, 상기 브라켓(181)과 축(182)의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18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에는 상기 잠금브라켓(183)이 상기 스프링(184)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몸체(130)의 일단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회동몸체(160)의 상부방향으로 회동을 방지하게 되며, 반대로 상기 회동몸체(160)를 상부방향으로 회동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기 잠금브라켓(183)을 잡고 당기게 되면 상기 회전몸체(130)에서 이탈되어 상부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 게 된다.
특히 상기 잠금브라켓(183)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몸체(130)와 맞물린 상태에서 상부방향으로 회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183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184)은 평소에 상기 축(182)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잠금브라켓(183)이 상기 회전몸체(130)와 맞물려 고정할 수 있도록 공지의 압축스프링을 사용하였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할 것이다.
도 1 - 본 발명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 - 본 발명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3 -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 - 본 발명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서 후방에서 바라본 결합 사시도.
도 5 - 본 발명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6 - 본 발명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7 - 본 발명에 있어서 위치유도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8 - 본 발명에 있어서 탈착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9 - 본 발명에 있어서 잠금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10 또는 도 11 - 본 발명에 있어서 시트트랙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 12 - 본 발명에 있어서 시트트랙을 회전시키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 13 - 본 발명에 있어서 시트트랙을 분리시키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110: 지지몸체 111: 지지롤러
112: 통공
120: 회전수단
130: 회전몸체 131: 가이드레일
132: 완충부재
140: 회동수단 141: 회동바
141a: 힌지축 142: 쇽업쇼버
150: 위치고정수단 151: 브라켓
152: 손잡이 153: 승하강 유도바
154: 지지브라켓 154a: 수직 통공
154b: 통공 155: 고정핀
155a: 삽입공 155b: 걸림돌기
156: 스프링
160: 회동몸체 161: 관통부
162: 회동축 163: 가이드롤러
164: 전원공급수단
170: 탈착수단 171: 후방 브라켓
172: 전방 브라켓 173: 연동축
174: 고정브라켓 174a: 걸림턱
175: 회동브라켓 175a: 걸림턱
175b: 힌지축 175c: 결합핀
176: 스프링
180: 잠금수단 181: 브라켓
182: 축 183: 잠금브라켓
183a: 걸림턱 184: 스프링
A: 시트트랙 B: 조립라인
C: 전원전달수단

Claims (9)

  1. 차량시트의 조립라인에 설치되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상부에 장착하되 중앙에는 일정크기의 관통부가 형성되는 회동몸체와, 상기 회동몸체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시트트랙을 고정 및 분리시키기 위한 탈착수단과, 상기 회전몸체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몸체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수단으로 구성되는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립라인의 일측에 형성된 전원전달수단과 맞닿아 차량시트의 내부에 장착되는 전기부품들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을 상기 회동몸체의 일측에 설치하되,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회동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후방 브라켓과, 상기 후방 브라켓의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전방 브라켓과, 상기 후방 브라켓과 전방 브라켓을 통과하여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연동축과, 상기 연동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시트트랙을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라켓과, 상기 후방 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동축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시트트랙을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회동브라켓과, 상기 전방 브라켓과 연동축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브라켓과 회동브라켓을 동시에 내측으로 작동시켜 시트트랙을 고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몸체의 하부를 지지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지지롤러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의 양측에는 가이드레일을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부에는 상기 회동몸체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롤러가 삽입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회전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타측은 상기 회동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축에 장착되는 회동바와, 상기 회전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바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쇽업쇼버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지지몸체의 지정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수단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회전몸체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통과하여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선단에 설치되는 승하강 유도바와, 상기 회전몸체의 일측에서 하부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설치하되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수직 통공이 구비되고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승하강 유도바가 통과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수직 통공에 삽입하되 일측에는 상기 승하강 유도바가 통과하면서 맞닿아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공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몸체의 일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통공에 삽입되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과, 상기 지지브라켓과 고정핀의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공지의 콜렉팅슈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몸체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회전몸체에 고정하기 위한 잠금수단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회동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통과하여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축과, 상기 축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몸체와 맞물려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축의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KR1020070085688A 2007-08-24 2007-08-24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Active KR100803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688A KR100803075B1 (ko) 2007-08-24 2007-08-24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688A KR100803075B1 (ko) 2007-08-24 2007-08-24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075B1 true KR100803075B1 (ko) 2008-02-18

Family

ID=39382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688A Active KR100803075B1 (ko) 2007-08-24 2007-08-24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075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808B1 (ko) * 2012-10-09 2013-06-25 전민주 시트 조립용 지그
KR101402319B1 (ko) * 2013-03-18 2014-06-02 김형록 자동차용 시트 장착 지그
CN104084912A (zh) * 2014-07-22 2014-10-08 鲁洪吉 座椅装配用夹具
CN104400716A (zh) * 2014-12-03 2015-03-11 重庆红亿机械有限公司 座椅装配用夹具的旋转锁紧装置
CN104476459A (zh) * 2014-12-03 2015-04-01 重庆红亿机械有限公司 座椅装配用夹具
CN104476460A (zh) * 2014-12-03 2015-04-01 重庆红亿机械有限公司 座椅装配用夹具的座椅滑轨锁紧装置
KR101575166B1 (ko) 2015-08-20 2015-12-08 (주)서브테크 시트백 조립용 지그장치
KR20150144493A (ko) 2014-06-17 2015-12-28 (주)한국모비스텍 차폐 기능을 갖는 차량 시트 지그용 태그 홀더
KR101584557B1 (ko) * 2014-05-21 2016-01-14 에이치제이이앤지 주식회사 작동효율을 향상한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KR20160059119A (ko) 2014-11-18 2016-05-26 (주)한진에프에이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KR101642835B1 (ko) 2015-04-10 2016-07-26 (주)한진에프에이 수동식 차량시트 고정장치
KR101642829B1 (ko) 2015-04-10 2016-07-26 (주)한진에프에이 수평각도 조절이 용이한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KR101651149B1 (ko) 2015-04-10 2016-08-26 (주)한진에프에이 각도 조절이 용이한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CN108687697A (zh) * 2018-08-10 2018-10-23 重庆格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夹具
KR102639943B1 (ko) * 2023-03-15 2024-02-22 김창환 2단 절첩 전개형 차량시트조립용 지그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9832A (en) * 1988-04-20 1990-07-10 Delta Kogyo Co., Ltd. Apparatus for assembling a seat for use in an automobile
JPH1120518A (ja) 1997-07-01 1999-01-26 Araco Corp 自動車シートの組付け治具
KR100552550B1 (ko) 2005-06-24 2006-02-14 엠시트 주식회사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9832A (en) * 1988-04-20 1990-07-10 Delta Kogyo Co., Ltd. Apparatus for assembling a seat for use in an automobile
JPH1120518A (ja) 1997-07-01 1999-01-26 Araco Corp 自動車シートの組付け治具
KR100552550B1 (ko) 2005-06-24 2006-02-14 엠시트 주식회사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808B1 (ko) * 2012-10-09 2013-06-25 전민주 시트 조립용 지그
KR101402319B1 (ko) * 2013-03-18 2014-06-02 김형록 자동차용 시트 장착 지그
KR101584557B1 (ko) * 2014-05-21 2016-01-14 에이치제이이앤지 주식회사 작동효율을 향상한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KR20150144493A (ko) 2014-06-17 2015-12-28 (주)한국모비스텍 차폐 기능을 갖는 차량 시트 지그용 태그 홀더
CN104084912A (zh) * 2014-07-22 2014-10-08 鲁洪吉 座椅装配用夹具
KR20160059119A (ko) 2014-11-18 2016-05-26 (주)한진에프에이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CN104476459A (zh) * 2014-12-03 2015-04-01 重庆红亿机械有限公司 座椅装配用夹具
CN104476460A (zh) * 2014-12-03 2015-04-01 重庆红亿机械有限公司 座椅装配用夹具的座椅滑轨锁紧装置
CN104400716A (zh) * 2014-12-03 2015-03-11 重庆红亿机械有限公司 座椅装配用夹具的旋转锁紧装置
CN104400716B (zh) * 2014-12-03 2016-06-01 重庆红亿机械有限公司 座椅装配用夹具的旋转锁紧装置
KR101642835B1 (ko) 2015-04-10 2016-07-26 (주)한진에프에이 수동식 차량시트 고정장치
KR101642829B1 (ko) 2015-04-10 2016-07-26 (주)한진에프에이 수평각도 조절이 용이한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KR101651149B1 (ko) 2015-04-10 2016-08-26 (주)한진에프에이 각도 조절이 용이한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KR101575166B1 (ko) 2015-08-20 2015-12-08 (주)서브테크 시트백 조립용 지그장치
CN108687697A (zh) * 2018-08-10 2018-10-23 重庆格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夹具
KR102639943B1 (ko) * 2023-03-15 2024-02-22 김창환 2단 절첩 전개형 차량시트조립용 지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3075B1 (ko)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KR101468728B1 (ko) 파이프 용접 자동화 장치
KR101278808B1 (ko) 시트 조립용 지그
CN110052823B (zh) 一种转轴卡簧自动装配设备
CN211071885U (zh) 一种便于更换钻头的立式钻床
CN108000031B (zh) 一种变位机
KR100976763B1 (ko) 자동차 시트의 높이조절장치 테스트장치
KR20130020387A (ko) 캐리지레일 설치용 지그가 구비되어 있는 정반
CN106990705B (zh) 一种手表柄头柄轴装配自动送料机构
KR101039179B1 (ko) 자동 용접 캐리지의 주행을 위한 클램핑 장치
KR20090006462A (ko) 파이프 홀 가공 장치
CN202410690U (zh) 一种易清洁的生物安全柜
RU2380309C1 (ru) Привод для вертикальных лифтов
CN105965494A (zh) 一种带对中功能的全景天窗安装机械手
KR101269066B1 (ko) 목재 절단기
CN110340433B (zh) 一种卧式斜切锯床
CN104455947B (zh) 升降式机架的升降机构
CN106181306B (zh) 压缩机曲轴与消音套头装配机的消音套头组装机构
KR20170082235A (ko) 패널 절단장치
CN115783950A (zh) 一种电梯轿底组装装置
CN213690677U (zh) 视觉扫码分析设备
CN206255613U (zh) 一种可自动防跌装置
KR101423468B1 (ko) 전동기 하우징과 브라켓 조립용 용접치구
CN213318554U (zh) 联动夹固装置
KR101565150B1 (ko) 스피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10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