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52550B1 -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 - Google Patents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2550B1
KR100552550B1 KR1020050054877A KR20050054877A KR100552550B1 KR 100552550 B1 KR100552550 B1 KR 100552550B1 KR 1020050054877 A KR1020050054877 A KR 1020050054877A KR 20050054877 A KR20050054877 A KR 20050054877A KR 100552550 B1 KR100552550 B1 KR 100552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jig
turning member
turning
vehicle se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규
Original Assignee
엠시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시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시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4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2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55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2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drums or rotating tables or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2Vices with slid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1/18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motor driven, e.g. with fluid drive, with or without provision for manual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에 관한 것으로, 시트트랙을 고정하는 클램핑장치(36)와, 상기 클램핑장치(36)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 에어공급수단(40)과, 컨베이어 상면에 안착 이동되면서 상기 클램핑장치(36)에 고정된 시트트랙에 각 구성부품이 일련의 작업공정에 따라 순서대로 조립되도록 하는 일정크기의 평판형 베이스부재(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특히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 중앙에는 충분한 강도와 원활한 회전력을 유지하는 회전수단(12)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수단(12)의 상면으로 저면 중앙부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를 기준으로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일정크기로 구성되는 터닝부재(20)가 설치되며, 상기 터닝부재(20)의 상부에는 상면 양측에 상기 클램핑장치(36)와 에어공급수단(40)이 구비되고 중앙부에 일정크기의 관통부(34)가 형성된 틸팅부재(30)가 설치되고, 상기 터닝부재(20)의 상면에 대해 상기 틸팅부재(30)의 저면이 직각에 가깝게 젖혀지도록 상기 터닝부재(20)와 틸팅부재(30)의 사이에 틸팅수단(T)이 구성되어 이루어짐으로써, 하나의 지그가 터닝 및 틸팅동작이 자유자재로 이루어져 시트 조립작업이 한층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시트조립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시트, 지그, 터닝부재, 틸팅부재

Description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 {Assembly Jig for vehicle sea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에 대한 외관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의 정면도와 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의 외관사시도,
도 5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의 터닝(Turning)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의 틸팅(Tilting)동작 상태도,
도 8은 차량 시트 조립라인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지그를 이용하여 시트를 조립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A : 다기능지그
10 : 베이스부재 12 : 회전수단
14 : 회전지지롤러 16 : 고정볼
20 : 터닝부재 T : 틸팅수단
22 : 틸팅레바 24 : 고정홈
25 : 틸팅스프링 21,26 : 고정브라켓트
27 : 가이드레일 28 : 완충부재
30 : 틸팅부재 32 : 가이드롤러
34 : 관통부 36 : 클램핑장치
37 : 클램프 40 : 에어공급수단
45 : 에어실린더 46 : 에어공급호스
48 : 에어분배밸브
본 발명은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트를 조립하는 라인에서 시트트랙을 고정한 상태로 조립라인을 따라 이동되는 지그를 작업자가 다양한 위치로 변경하면서 시트의 구성부품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의 터닝(Turning)동작과 수직방향의 틸팅(Tilting)동작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구성된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 지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기술의 발달과 대량생산에 따라 이와 관련된 부품의 생산기술도 더욱 대량화와 첨단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본 발명은 자동차의 많은 부품들중 승객의 편의와 안전성에 가장 중요한 구성품의 하나인 차량용시트를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지그에 관한 것이다.
통상 차량의 시트를 생산하는 공장에는 시트조립의 대량생산을 위해 자동화라인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자동화 라인이 운용되기 위해서는 숙련된 작업자는 물론 규격화된 설비들이 다수 구비되어져야 일련의 작업공정이 순서대로 이루어져 원활한 시트조립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면서 조립이 완성되는 시트의 경우 고급화와 다기능화에 힘입어 다양한 부품들이 정해진 공간 및 위치에 장착되어 조립되어야 하므로, 시트 조립작업이 일방향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좌·우측 및 저면까지 부품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면서 특정구조의 지그상에서 조립이 이루어지는 차량시트는 조립될 부품의 위치에 따라 컨베이어상에서 방향전환이 자유자재로이루어져야 그 조립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고, 대량생산과 품질의 향상을 기할 수 있으며,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차량시트의 고품질화 및 대량생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차량시트를 조립하는 라인에 작업자가 중량의 시트를 들어올리거나 방향전환이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컨베이어가 설치된 조립라인의 특정 위치에 별도의 기계장치로 구성된 시트 리프팅장치나 틸팅장치 등을 설치하여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된 차량시트가 고정설치된 지그를 별도의 작업자와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으로 위치이동시킨 후에 필요한 부품조립이 이루어졌으며, 부품의 조립 후에는 다시 본래의 컨베이어의 위치로 이동시킨후 에 후공정의 연속적인 조립작업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시트조립작업시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부품조립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이러한 작업패턴은 작업자의 작업반경(동선)을 벗어난 위치에서 조립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작업의 능률이 떨어지고 작업자의 자세가 불편한 단점이 있었으며, 별도의 부수적인 작업설비가 자동화라인에 추가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시트의 설계변경및 모델변경시에 설비의 투자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시트가 장착될 차량의 모델이나 선택사양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시트가 생산되기 마련이기 때문에 특정차량의 시트에 알맞은 규격으로 제작된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나 조립라인에 별도로 구비되는 리프팅 및 틸팅장치는 시트규격의 변경에 따라 교체하거나 일부 기구를 변경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비의 교체나 설계변경에 많은 기일이 소요되어 시트 개발일정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초래했었다.
이와 같이, 차종에 따라 장착될 시트의 구성품이 상이하고 그 규격이나 안전 및 편의장치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특정 규격으로 이루어져 컨베이어상에서 조립될 시트가 장착되어 이동되는 시트 조립용 지그나 조립라인상에 별도로 설치된 상기 리프팅장치나 틸팅장치 등도 시트규격의 변경시마다 설비 변경이나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설비에 대한 과다한 비용의 투자와 개발기간의 장기화에 따른 양산일정의 차질,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의 저하, 작업성 불편 등이 초래되는 고질적인 문제점이 반복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차량시트 조립용 설비 및 지그가 갖는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시트 조립을 위해 조립라인상에 구비되었던 다수 설비의 기능을 하나의 지그로 수행 가능하도록 하여 차종 변경시마다 반복되는 설비의 과다한 투자비용을 줄이고, 차량시트 개발기간을 단축시켜 양산품의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며, 조립라인의 가동률과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 지그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차량시트 조립용지그를 작업자의 간단한 동작으로 작업위치에 알맞게 능동적으로 위치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편의성 향상으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 지그는 시트트랙을 고정하는 클램핑장치와, 외부에서 공급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클램핑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 에어공급수단과, 컨베이어 상면에 안착 이동되면서 상기 클램핑장치에 고정된 시트트랙에 각 구성부품이 일련의 작업공정에 따라 순서대로 조립 완성되도록 하는 평판형 베이스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 중앙에는 충분한 강도와 원활한 회전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회전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수단의 상면으로 저면 중앙부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를 기준으로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터닝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터닝부재의 상부에는 상면 양측에 상기 클램핑장치와 에어공급수단이 각각 구비되고 중앙부에 일정크기의 관통부가 형성된 틸팅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터닝부재의 상면에 대해 상기 틸팅부재가 들려져 직각에 가깝게 젖혀지도록 상기 터닝부재와 틸팅부재의 사이에 틸팅수단이 설치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틸팅수단은 터닝부재의 상면 중앙부 양측에서 후단에 이르는 거리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틸팅부재의 후단 양측이 결합되어 틸팅부재의 상승 젖힘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터닝부재의 상면 중앙부까지 틸팅부재의 후단이 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측에서 전·후 이동가능하게 구속 설치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틸팅부재의 양측면과 상기 터닝부재의 전방 상면 양측 사이에 양단이 힌지결합되는 일정길이의 틸팅레바와, 상기 틸팅레바의 하단부 근처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터닝부재의 상면 중앙부 양측에 구비된 고정브라켓트에 힌지결합되어 틸팅부재의 상승시 틸팅레바를 자체의 반발력으로 밀어주는 틸팅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 지그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 지그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 지그는 자동제어되는 조립라인의 이송컨베이어상에 안착되어 일정 규격의 차량시트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는 규격, 즉 1인석 차량시트의 쿠션을 받쳐줄 수 있는 크기의 복수의 동일한 육면체 판상부재가 상하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맨 하단에 구비되어 조립라인의 컨베이어상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10)와,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베이스부재(10)와 별개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터닝부재(Turning Base;20)와, 상기 터닝부재(Turning Base;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터닝부재(20)에 대해 그 저면이 직각으로 젖혀지는 틸팅부재(Tilting Base;30)와, 상기 틸팅부재(30)에 구비되어 조립될 차량시트용 시트트랙을 고정하는 클램핑장치(60)와, 상기 클램핑장치(60)를 외부에서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제어하는 에어공급수단(64)을 주요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10)와 터닝부재(20) 및 틸팅부재(30)가 상하 일체로 조립 구성되어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컨베이어상에서 시트 조립에 필요한 방향으로 베이스부재(10)를 기준으로 터닝부재(20)가 수평회전을 하게되고, 터닝부재(20)상에서 틸팅부재(30)가 틸팅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하나의 지그상에서 조립되는 시트를 다양한 위치로 변경하면서 부품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특징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지그의 기본이 되는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중앙부에 충분한 강도와 원활한 회전력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트러스트 앤드 레디알볼베어링 구조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회전수단(12)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수단(12)의 상면에는 터닝부재(20)의 저면 중앙부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를 기준으로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서 터닝부재(20)의 원활한 수평회전이 가능하도록 터닝부재(20)의 저면과 베이스부재(10) 상면 사이의 어느 일측에는 복수개의 회전지지롤러(14)가 터닝부재(20)가 회전되는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 유지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에서는 베이스부재(10) 상면에 상기 회전지지롤러(14)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터닝부재(20)의 저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회전지지롤러(14)와 다른 회전반경을 갖는 위치에는 상기 터닝부재(20)가 90도 각도로 회전시마다 일시 멈춤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베이스부재(10) 상면에는 고정볼(16)이 수직 설치되고, 상기 터닝부재(20)의 저면에는 터닝부재(20)의 회전시 터닝부재(20)의 저면과 구름접촉하다가 터닝부재(20)가 90도 회전시에 상기 고정볼(16)이 일부 끼워져 터닝부재(20)의 멈춤을 유도하도록 하는 고정홈(24; 도 5참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볼(16)과 고정홈(24)의 설치 위치나 구조도 동일한 기능이 수행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닝부재(20)의 상면에는 그 전단부가 상방으로 들려져 터닝부재(20)에 대해 직각에 가깝도록 틸팅동작이 이루어지는 틸팅부재(30)가 설치되는데, 상기 틸팅부재(30)는 상면 양측의 전·후방에 조립될 차량시트의 프레임인 시트트랙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핑장치(36)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클램핑장치(36)는 시트트랙 하단의 전·후방을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37)와, 상기 클램프(37)의 물림과 해제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40)이 클램프(37)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틸팅부재(30)는 시트 쿠션부 저면에 시트구성부품의 원활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일정 크기의 관통부(34)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공급수단(40)은 외부에서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클램프(37)의 물림과 해제를 제어하는 에어실린더(45)와, 상기 에어실린더(45)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호스(46)와, 틸팅부재(30)의 전면 중앙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의 분배역활을 하는 에어분배밸브(48)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분배밸브(48)는 조립라인을 따라 이동되는 지그가 작업자의 작업위치에 정지된 경우 조립라인의 일측에 구비된 외부에어공급장치(도시안됨)에 자동 접속된 후에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에어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터닝부재(20)의 상면과 틸팅부재(30)의 사이에는 틸팅부재(30)의 원활한 틸팅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틸팅수단(T)이 설치된다.
상기 틸팅수단(T)은 터닝부재(20)의 상면 중앙부 양측에서 후단에 이르는 거리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7)과, 상기 틸팅부재(30)의 후단 양측이 결합되어 틸팅부재(30)의 상승 젖힘시 상기 가이드레일(27)을 따라 터닝부재(20)의 상면 중앙부까지 틸팅부재(30)의 후단이 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27)의 내측에서 전·후 이동가능하게 구속 설치되는 가이드롤러(32)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틸팅부재(30)의 양측면과 상기 터닝부재(20)의 전방 상면 양측 사이에 양단이 고정브라켓트(21)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일정길이의 틸팅레바(22)와, 상기 틸팅레바(22)의 하단부 근처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터닝부재(20)의 상면 중앙부에 각각 구비된 고정브라켓트(26)에 힌지 결합되어 틸팅부재(20)의 상승시 상기 틸팅레바(22)를 자체 내재된 반발력으로 밀어주는 틸팅스프링(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틸팅스프링(40)은 장착 조립되는 시트의 중량을 감안하여 다양한 형태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가스식 쇽압쇼바타입이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그 설치각도는 무부하시 틸팅부재(30)가 들리지 않은 정도의 각도가 유지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지그의 구성을 더욱 알아보기 쉽도록 각 주요부 구성별로 분리된 분해상태가 도 4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에 대한 결합상태의 일부 절단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가이드레일(27)의 내측에 구비된 가이드롤러(32)가 틸팅부재(30)의 상승시 가이드레일(27)의 내부 통로를 따라 자유자재로 왕복운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틸팅시 틸팅부재(30)의 후단이 결합된 상기 가이드롤러(32)가 터닝부재(20)의 상면 중앙까지 이동하여 틸팅부재(30)가 거의 수직에 가깝게 세워져 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베이스부재(10)의 상면과 터닝부재(20) 저면 사이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터닝부재(20)가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서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때, 터닝부재(20)의 회전이동을 안정되게 지지하고 90도 각도로 좌·우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때 터닝부재(20)의 회전을 멈출 수 있도록 회전지지롤러(14)와 고정볼(16) 및 고정홈(24)이 구비된 구조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 지그(A)의 터닝(Turning)상태와 틸팅(Tilting)동작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지그(A)는 상기 터닝부재(20)가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서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90도 각도로 좌·우 방향전환이 이루어져 부품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며, 90도 방향전환시마다 터닝부재(20)의 저면에 구비된 상기 고정볼(16)이 고정홈(24)에 구속되어 터닝부재(20)의 일시 정지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작업자가 흔들림이 없어 조립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작업후 다시 방향전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다시 터닝부재(20)를 약간의 가압력을 주어 밀게 되면 터닝부재(20)의 저면에 구비된 고정홈(24)이 고정볼(16)에서 이탈되어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회전지지롤러(14)와 고정홈(24)은 상호 직각방향에서 서로 다른 회전반경상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틸팅부재(30)는 틸팅동작 후 시트저면에 부품장착이 가능하도록 그 중앙부에 일정 크기의 관통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닝부재(20)의 상면에서 90도 각도로 들려진 후에 다시 하강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이나 충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터닝부재(20)의 상면 전방에는 완충부재(28)가 부착되고, 상기 틸팅부재(30)나 터닝부재(20) 및 베이스부재(10)의 전면에는 시트의 조립작업시 작업자의 지그 조작편의를 위해 손잡이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각 부재의 표면에는 각 부재의 위치셋팅용 홀이나 자동화장비 및 검사설비를 위한 핀홀 등이 다수 가공되어 있으며, 기타 본 발명의 구성에 상세히 기술되지 않은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에 적용되는 통상의 기술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서 생략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 지그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도 8의 사용상태도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지그(A)는 시트 조립라인의 컨베이어(C)에 자동으로 투입되어지며, 투입된 지그(A) 상단에 시트의 골격을 이루는 시트트랙(도시생략)이 안착되면 틸팅부재(30)에 구비된 클램핑장치(36)의 클램프(37)가 작업자의 에어공급조작으로 시트트랙 하단 양측 전·후방을 물려 고정한다.
시트트랙이 틸팅부재(30)의 상단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로 지그는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게 되며, 쿠션재와 쿠션카바, 승객의 편의를 위한 전장(電裝) 및 안전장치 등이 순서대로 장착되며, 컨베이어(C)를 따라 이동되는 지그에 대하여 작업자는 조립 작업위치에 따라 베이스부재(10) 상단의 터닝부재(20)를 회전시키면 (가)방향에서 (나)방향으로 시트 위치가 변경되어 시트 양측과 전면 등에 필요한 부품을 조립하고, 시트 저면에 부품조립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다)와 같이 터닝부재(20) 상단의 틸팅부재(30)만을 들어올리면 틸팅부재(30)의 양측에 구비된 틸팅수단(T)에 의해 중량물의 시트가 큰힘을 들이지 않고 틸팅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며, 틸팅부재(30)의 틸팅동작으로 작업자는 틸팅부재(30)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부(34)를 통해 시트저면의 부품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터닝부재(20)에 대하여 수직으로 들려지는 틸팅부재(30)는 틸팅시 틸팅부재(30)의 후단이 터닝부재(20)의 후단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레일(50)을 따라 작업자가 위치한 전방으로 수평이동되면서 터닝부재(20)의 중앙부까지 위치 이동되어 틸팅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가 시트 저면의 부품을 조립하기 위해 컨베이어(C) 상단으로 무리하게 몸을 굽히지 않고도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조립작업의 편의성을 한층 향상시킴은 물론 안전한 조립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컨베이어(C)를 따라 이동되는 시트 조립용 지그(A) 자체가 조립이 이루어지는 시트가 장착된 상태에서 좌·우 터닝동작과 틸팅동작이 자유자재로 이루어지게 되어 작업자가 작업위치를 바꾸지 않은 상태에서 편리한 조립작업이 가능하여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고 작업의 신속성과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품 및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지그를 통해 시트 조립작업이 완료되므로 차종변경에 따른 설비의 변경시에도 종래와 같이 별도로 구비된 리프팅장치나 틸팅장치의 새로운 개발과 시험운행에 소요되는 개발기간의 장기화와 과다한 설비비용 등이 소요되지 않고 단지 시트조립용 지그만 변경하거나 교체하면 되므로 부품개발기간의 단축과 다양한 차종 개발 및 모델 변경에 신속하게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고, 조기에 품질을 안정화시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는 시트조립라인의 설비를 줄여 설비투자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동선 범위 이내에서 지그의 다양한 위치변경으로 시트의 조립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편의성과 신속성을 향상시켜 대량생산과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모델의 개발시에나 차종변경시 설비의 셜계변경의 폭을 최소화하여 개발일정을 단축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4)

  1. 시트트랙을 고정하는 클램핑장치와, 외부에서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클램핑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 에어공급수단과, 컨베이어 상면에 안착 이동되면서 상기 클램핑장치에 고정된 시트트랙에 각 구성부품이 일련의 작업공정에 따라 순서대로 조립 완성되도록 하는 일정크기의 평판형 베이스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 중앙에는 충분한 강도와 원활한 회전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회전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수단의 상면으로 저면 중앙부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를 기준으로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일정크기로 구성되는 터닝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터닝부재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클램핑장치와 에어공급수단이 각각 구비되고 중앙부에 일정크기의 관통부가 형성된 틸팅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터닝부재의 상면에 대해 상기 틸팅부재가 들려져 직각에 가깝게 젖혀지도록 상기 터닝부재와 틸팅부재의 사이에 틸팅수단이 설치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수단은 터닝부재의 상면 중앙부 양측에서 후단에 이르는 거리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틸팅부재의 후단 양측에 결합되어 틸팅부재의 상승 젖힘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터닝부재의 중앙부까지 틸팅부재의 후단이 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측에서 전·후 이동가능하게 구속 설치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틸팅부재의 양측면과 상기 터닝부재의 상면 양측 사이에 양단이 힌지결합되는 일정길이의 틸팅레바와, 상기 양측 틸팅레바의 하단부 근처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터닝부재의 상면 중앙부에 구비된 고정브라켓트에 힌지결합되어 틸팅부재의 상승시 자체 구비된 반발력으로 상기 틸팅레바를 밀어주는 틸팅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 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부재가 베이스부재 상면에서 안정된 수평회전이 가능하도록 터닝부재의 저면에 구름접촉하는 복수개의 회전지지롤러가 베이스부재 상면에서 터닝부재가 회전하는 원주방향으로 상호 일정각도 유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회전지지롤러와 다른 회전반경 위치의 베이스부재 상면에는 터닝부재의 직각 회전시마다 터닝부재의 일시 멈춤을 위한 고정볼이 설치되고, 직각 회전된 터닝부재가 상기 고정볼에 의해 원활하게 멈출 수 있도록 터닝부재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홈이 상호 직각을 이루는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 지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부재의 전방 상면에는 틸팅부재의 하강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틸팅스프링은 쇽압쇼바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 지그.
KR1020050054877A 2005-06-24 2005-06-24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 Expired - Lifetime KR100552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877A KR100552550B1 (ko) 2005-06-24 2005-06-24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877A KR100552550B1 (ko) 2005-06-24 2005-06-24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2550B1 true KR100552550B1 (ko) 2006-02-14

Family

ID=37178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877A Expired - Lifetime KR100552550B1 (ko) 2005-06-24 2005-06-24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2550B1 (ko)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075B1 (ko) 2007-08-24 2008-02-18 에이치 제이 이엔지(주)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CN102528699A (zh) * 2011-12-08 2012-07-04 苏州工业园区高登威科技有限公司 具有位置判断功能的汽车滑轨安装夹具
KR101278808B1 (ko) * 2012-10-09 2013-06-25 전민주 시트 조립용 지그
CN103240691A (zh) * 2013-04-19 2013-08-1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模组测试用夹具组件
CN103586808A (zh) * 2013-11-14 2014-02-19 重庆延锋江森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座框定位机构及其控制方法
KR101451505B1 (ko) 2013-04-10 2014-10-16 (주) 신형엔지니어링 자동차의 시트트랙 작업용 회전식 지그
CN104400716A (zh) * 2014-12-03 2015-03-11 重庆红亿机械有限公司 座椅装配用夹具的旋转锁紧装置
CN104476460A (zh) * 2014-12-03 2015-04-01 重庆红亿机械有限公司 座椅装配用夹具的座椅滑轨锁紧装置
KR101575166B1 (ko) 2015-08-20 2015-12-08 (주)서브테크 시트백 조립용 지그장치
KR101613143B1 (ko) 2015-02-17 2016-04-18 (주)한진에프에이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KR20160059119A (ko) 2014-11-18 2016-05-26 (주)한진에프에이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KR101642835B1 (ko) 2015-04-10 2016-07-26 (주)한진에프에이 수동식 차량시트 고정장치
KR101642829B1 (ko) 2015-04-10 2016-07-26 (주)한진에프에이 수평각도 조절이 용이한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KR101651149B1 (ko) 2015-04-10 2016-08-26 (주)한진에프에이 각도 조절이 용이한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CN106272184A (zh) * 2016-09-26 2017-01-04 伟创力电子技术(苏州)有限公司 一种组装螺丝夹具
KR101729272B1 (ko) * 2016-04-20 2017-04-21 (주)세종이엠시 자동차 시트 조립라인용 지그
CN106624763A (zh) * 2017-03-20 2017-05-10 挪度医疗器械(苏州)有限公司 一种用于组装模拟人背部配件的工装
CN107263095A (zh) * 2017-07-11 2017-10-20 重庆延锋安道拓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自动化汽车座椅装配流水线
CN108145630A (zh) * 2017-12-29 2018-06-12 东风安道拓汽车座椅有限公司 汽车座椅工装
CN108687697A (zh) * 2018-08-10 2018-10-23 重庆格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夹具
CN110883724A (zh) * 2019-11-25 2020-03-17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应用于后排座椅坐垫和靠背的在线可折叠装配夹具
CN111408880A (zh) * 2020-04-17 2020-07-14 安吉县盛信办公家具有限公司 一种座椅骨架焊接夹具
KR102221281B1 (ko) * 2019-10-08 2021-03-03 현대엠시트(주) 차량 시트의 조립라인에서 시트지그의 자동터닝장치
KR20210035539A (ko) * 2019-09-24 2021-04-01 에스엘 주식회사 램프의 체결장치 및 이의 체결 구동방법
CN113681488A (zh) * 2021-08-16 2021-11-23 江苏鑫丰源机电有限公司 一种机电设备安装专用的翻转装置

Cited B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075B1 (ko) 2007-08-24 2008-02-18 에이치 제이 이엔지(주)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CN102528699A (zh) * 2011-12-08 2012-07-04 苏州工业园区高登威科技有限公司 具有位置判断功能的汽车滑轨安装夹具
KR101278808B1 (ko) * 2012-10-09 2013-06-25 전민주 시트 조립용 지그
KR101451505B1 (ko) 2013-04-10 2014-10-16 (주) 신형엔지니어링 자동차의 시트트랙 작업용 회전식 지그
CN103240691A (zh) * 2013-04-19 2013-08-1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模组测试用夹具组件
CN103586808A (zh) * 2013-11-14 2014-02-19 重庆延锋江森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座框定位机构及其控制方法
KR101642824B1 (ko) 2014-11-18 2016-07-26 (주)한진에프에이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KR20160059119A (ko) 2014-11-18 2016-05-26 (주)한진에프에이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CN104400716A (zh) * 2014-12-03 2015-03-11 重庆红亿机械有限公司 座椅装配用夹具的旋转锁紧装置
CN104476460A (zh) * 2014-12-03 2015-04-01 重庆红亿机械有限公司 座椅装配用夹具的座椅滑轨锁紧装置
CN104400716B (zh) * 2014-12-03 2016-06-01 重庆红亿机械有限公司 座椅装配用夹具的旋转锁紧装置
KR101613143B1 (ko) 2015-02-17 2016-04-18 (주)한진에프에이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KR101642829B1 (ko) 2015-04-10 2016-07-26 (주)한진에프에이 수평각도 조절이 용이한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KR101651149B1 (ko) 2015-04-10 2016-08-26 (주)한진에프에이 각도 조절이 용이한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KR101642835B1 (ko) 2015-04-10 2016-07-26 (주)한진에프에이 수동식 차량시트 고정장치
KR101575166B1 (ko) 2015-08-20 2015-12-08 (주)서브테크 시트백 조립용 지그장치
KR101729272B1 (ko) * 2016-04-20 2017-04-21 (주)세종이엠시 자동차 시트 조립라인용 지그
CN106272184A (zh) * 2016-09-26 2017-01-04 伟创力电子技术(苏州)有限公司 一种组装螺丝夹具
CN106624763A (zh) * 2017-03-20 2017-05-10 挪度医疗器械(苏州)有限公司 一种用于组装模拟人背部配件的工装
CN107263095A (zh) * 2017-07-11 2017-10-20 重庆延锋安道拓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自动化汽车座椅装配流水线
CN108145630B (zh) * 2017-12-29 2023-12-12 东风安道拓汽车座椅有限公司 汽车座椅工装
CN108145630A (zh) * 2017-12-29 2018-06-12 东风安道拓汽车座椅有限公司 汽车座椅工装
CN108687697A (zh) * 2018-08-10 2018-10-23 重庆格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夹具
KR20210035539A (ko) * 2019-09-24 2021-04-01 에스엘 주식회사 램프의 체결장치 및 이의 체결 구동방법
KR102739059B1 (ko) * 2019-09-24 2024-12-05 에스엘 주식회사 램프의 체결장치 및 이의 체결 구동방법
KR102221281B1 (ko) * 2019-10-08 2021-03-03 현대엠시트(주) 차량 시트의 조립라인에서 시트지그의 자동터닝장치
CN110883724B (zh) * 2019-11-25 2021-09-07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应用于后排座椅坐垫和靠背的在线可折叠装配夹具
CN110883724A (zh) * 2019-11-25 2020-03-17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应用于后排座椅坐垫和靠背的在线可折叠装配夹具
CN111408880A (zh) * 2020-04-17 2020-07-14 安吉县盛信办公家具有限公司 一种座椅骨架焊接夹具
CN113681488A (zh) * 2021-08-16 2021-11-23 江苏鑫丰源机电有限公司 一种机电设备安装专用的翻转装置
CN113681488B (zh) * 2021-08-16 2022-06-07 江苏鑫丰源机电有限公司 一种机电设备安装专用的翻转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550B1 (ko) 차량시트 조립용 다기능지그
KR101198662B1 (ko) 자동차용 사이드패널 생산시스템
JP4367666B2 (ja) ねじ締付装置
JP2012056004A (ja) 作業台装置
CN210549233U (zh) 一种夹具位置灵活可调的箱体焊接变位机
JPH06156336A (ja) 自動車部品の組付作業用シート
JP6075183B2 (ja) 組付用台車
CN209407673U (zh) 一种热成型轮毂激光焊接变位机
CN108942070B (zh) 焊缝位置调整工装及具有该工装的筒体环缝焊转动装置
CN106744481B (zh) 一种建筑施工用物料提升机大型设备
CN104544952B (zh) 毛刷工作台以及平毛开花一体机
CN220659791U (zh) 一种汽车焊装生产线用工件翻转焊接平台
CN113894755A (zh) 加工角度可调的工作台以及路由器激光打标机
CN115958366B (zh) 一种标准节组装焊接工装
CN107265071A (zh) 一种物料搬运流水线
KR101054471B1 (ko) 벨트 콘베이어의 캐리어 롤러 교환장치
CN108972442B (zh) 一种用于装配箱体类产品的手工翻转装配台
JP6287735B2 (ja) 搬送設備
CN212217544U (zh) 一种中控箱外纵缝焊接设备
JPH02231280A (ja) ドア位置決め搬送台車
WO2021057615A1 (en) Tooling change-over apparatus
CN207016045U (zh) 一种物料搬运流水线
KR101300476B1 (ko)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
KR20220055685A (ko) 벽면패널 부착장치
CN106736207B (zh) 焊接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