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2477B1 - 연속주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주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477B1
KR100802477B1 KR1020060080681A KR20060080681A KR100802477B1 KR 100802477 B1 KR100802477 B1 KR 100802477B1 KR 1020060080681 A KR1020060080681 A KR 1020060080681A KR 20060080681 A KR20060080681 A KR 20060080681A KR 100802477 B1 KR100802477 B1 KR 100802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gas
continuous casting
molten
nozz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석
박중길
이상호
문기현
조중욱
김구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080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47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22D41/42Features relating to gas inj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주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형과, 상기 주형의 상부를 덮는 탕면 커버와, 상기 주형 내측면과 용강의 경계에 소정 온도의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서, 슬래그 필름과 응고쉘 사이로 몰드 플럭스가 적절히 유입되도록 슬래그 베어의 형성을 제어함으로써, 브레이크-아웃의 발생 빈도를 낮추고 주편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슬래그 베어, 용융 몰드 플럭스, 불활성 가스

Description

연속주조장치 및 방법{CONTINUOUS CASTING MACHINE AND METHOD}
도 1은 종래의 방법에 의한 연속 주조 조업 시 주형의 단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형의 내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형 11 : 응고쉘
12 : 용강 20 : 용융 몰드 플럭스
21 : 액상층 27 : 슬래그 필름
29 : 슬래그 베어 30 : 침지노즐
100 : 탕면 커버 110 : 도관
120 : 노즐 130 : 가스 공급원
140 : 흡입 펌프 142 : 배기구
150 : 열선 160 : 밸브
본 발명은 연속주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형 내측면과 용강의 경계에 가스를 분사시켜 슬래그 베어의 형성을 제어하는 연속주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장치에서 제조되는 주편은, 래들(ladle)로부터 용융된 용강을 공급받아 이를 턴디쉬(tundish)에 임시로 저장했다가 주형에 공급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주형의 벽면 내부에는 냉각수가 흘러 상기 주형 내측면과 맞닿는 용강의 열을 빼앗아 응고쉘을 형성시키고 상기 응고쉘이 형성된 상태로 주형의 하부로 인발시켜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냉각수에 상기 용강이 완전히 응고되면서 상기 주형의 크기 및 형상과 부합하는 주편이 제조된다.
이렇게, 주형에 용강이 공급될 때 상기 주형에는 용강뿐만 아니라 부자재인 몰드 플럭스도 공급되는데, 상기 몰드 플럭스는 주형으로부터 용강을 인발시킬 때 상기 용강이 주형에서 수월히 빠져나갈 수 있도록 윤활과, 용강의 열이 주형의 상방으로 방출되어 응고되지 않도록 단열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방법에 의한 연속 주조 조업 시 주형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주형(10) 내부에 공급되는 몰드 플럭스는 주로 분말 혹은 과립상으로 용강(12)에 비해 비중이 가볍고 용융점이 낮아 주형(10)에서 용강(12)과 혼합되지 않고 용강의 최상층에 해당하는 용탕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용탕면에 위치하는 몰드 플럭스는, 용강(12)에 의해 녹으면서 순차적으로 액상층(21), 소결층(반용융층)(23) 및 분말층(25)을 형성한다. 상기 액상층(21)은 거의 투명하기 때문에 용강(12)에서 발산되는 500 내지 4,000nm 사이의 파장을 갖는 복사선이 쉽게 투과되는 반면, 상기 소결층(23) 및 분말층(25)은 광학적으로 불투명하기 때문에 복사선을 차단시켜 용탕면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용강(12)에 의해 용해된 몰드 플럭스 일부가 주형(10)의 내측면에서 다시 응고되어 고상의 슬래그 필름(27)을 형성하고, 상기 슬래그 필름(27)과 응고쉘(11) 사이로 액상층(21)의 몰드 플럭스가 유입되면서 용강(12)과 주형(10) 사이의 열교환을 제어하고 윤활작용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액상의 몰드 플럭스가 유입되는 슬래그 필름(27)과 응고쉘(11) 사이로 주형(110)의 내측을 향하는 슬래그 베어(29)를 형성한다. 상기 슬래그 베어(29)는, 액상의 몰드 플럭스가 슬래그 필림(27)과 응고쉘(11) 사이로 유입될 때 상기 주형(10) 내지 슬래그 필림(27)에 열을 빼앗겨 응고되면서 성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슬래그 베어(29)의 형성은, 몰드 플럭스의 소모량과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되는데, 상기 슬래그 베어(29)의 형성을 적절히 제어하지 않으면, 주편 단위 면적당 플럭스 소모량이 불규칙해져 연속주조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상기 슬래그 베어(29)가 형성되지 않으면 상기 슬래그 필림(27)과 응고쉘(11) 사이의 틈새가 넓어져 몰드 플럭스 유입량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서 슬래그 필름(27)과 응고쉘(11)의 중간에 위치하는 액상층이 두꺼워져 응고쉘(11)의 형성을 지연시켜 주편 표면에 접힘흠을 만들거나 주형(10)에 응고쉘(11)을 구속시킨다.
반대로, 상기 슬래그 베어(29)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면 상기 슬래그 필림(27) 과 응고쉘(11) 사이의 틈새가 좁아져 몰드 플럭스 유입량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서, 주편과 주형(10) 사이의 윤활작용이 저하되어 브레이크-아웃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슬래그 베어의 형성을 제어하여 슬래그 필름과 응고쉘 사이로 몰드 플럭스가 적절히 유입되도록 하는 연속주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주형과, 상기 주형의 상부를 덮는 탕면 커버와, 상기 주형 내측면과 용강의 경계에 소정 온도의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 공급 유닛은 가스 공급원과, 상기 공급원으로부터 주형 내부로 가스를 안내하는 도관과, 상기 도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은 높이가 제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형의 용탕면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은 슬릿형 노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노즐은 복수개의 니들형 노즐이 일렬로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관에 설치되는 온도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관에 설치되는 유량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스는 불활성가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주형 내부의 불활성 가스를 배기시키도록 상기 탕면 커버에 주형 내부를 향하는 배기구가 구비된 배기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사상으로는, 탕면 커버에 의해 상부가 덮인 주형 내에 용융 몰드 플럭스를 주입하는 연속주조방법으로서, 상기 주형 내측면과 용강의 경계에 소정 온도의 가스를 분사하여 슬래그 베어의 형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탕면의 높이에 따라 불활성 가스의 분사 높이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형 내측면에 고착된 슬래그 베어의 성장에 따라 불활성 가스의 온도 및/또는 분사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형의 내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장치는 슬래그 베어(29)의 형성을 제어하여 슬래그 필름(27)과 응고쉘(11) 사이로 몰드 플럭스가 적절히 유입되도록 하는바, 이를 위해 상기 턴디쉬(미도시)에서 침지노즐(30)을 통해 주형(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용강(12)과 더불어 상기 용강(12)이 주형(10)으로부터 수월히 빠져나갈 수 있도록 윤활작용을 하는 몰드 플럭스를 용융된 상태로 공급하고, 상기 슬래그 베어(29)가 형성되는 위치 즉, 주형(10) 내측면과 용강(12)의 경계에 가스를 분사시켜 슬래그 베어(29)의 형성을 제어하도록 가스 공급 유닛이 설치된다.
상기 가스 공급 유닛은, 가스 공급원(130)과 도관(110) 및 노즐(120)로 구성되는데, 상기 가스 공급원(130)에는 다른 물질과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질소(N2) 또는 불활성 가스(예를 들어, Ar 등)와 같은 비반응 가스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가스 공급원(130)과 주형(10) 내부를 연결하는 도관(110)의 일단에는 노즐(120)이 구비되어 슬래그 베어(29)에 가스를 분사하게 될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스가 슬래그 베어(29)에 분사될 때 소정의 온도를 갖도록 조절할 수 있고, 분사되는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도관(110)에 온도 제어 수단과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온도 제어 수단은 도관(110)의 둘레로 열선(150)이 권선되고, 상기 열선(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슬래그 베어(27)에 분사될 가스의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는 유량 제어 수단과도 연결되는데, 상기 유량 제어 수단은 가스 공급원(130)과 열선(150) 사이의 도관(110)에 전자식 밸브(160)가 설치되어 노즐(120)을 통해 분사되는 가스의 분사량 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주형(10)의 상부에는 탕면 커버(100)가 설치되는데, 상기 탕면 커버(100)는 용탕면의 전체를 덮어 용강 및/또는 용탕면에서 방출되는 복사선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 주형(10) 내부를 보온시켜 용융 몰드 플럭스(20) 및 용탕면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가스 공급 유닛의 도관(110)이 지나가는 통로의 역할과 함께 상기 도관(110)이 안정적으로 주형(10)의 내부를 향하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도관(110)의 일단에 구비된 노즐(120)은 높이가 제어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특히, 상기 용탕면의 높이에 따라 노즐(12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노즐(120)을 통해 분사되는 가스가 항상 슬래그 베어(29)를 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주형(10) 내부의 용탕면 높이는 주조상태에 따라서 변동되는 것이고, 상기 용탕면 높이는 슬래그 베어(29)가 형성되는 높이에 해당되므로 상기 노즐(120)의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슬래그 베어(29)가 형성되는 위치로 가스를 분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120)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상기 도관(110)의 탕면커버 외측 일부가 가용성을 갖도록 구성하고, 상기 탕면 커버(100)를 관통하는 부분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주형(10) 내의 용탕면 높이를 측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주 형(10)에는 용탕면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노즐(120)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는 예를 들어, 주형의 벽면 일측에 감마선을 방출하는 통을 설치하고 상기 주형의 벽면 타측에 상기 감마선을 수신하는 계측기를 설치하여, 용탕면의 높이 변화에 따라 변하는 감마선의 강도를 측정하여 용탕면의 높이를 측정하는 감지센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감지센서 이외에 두개 이상의 코일 중 어느 하나를 통전시켜 용탕면에 와전류가 흐르도록 유도하여 다른 코일에서 상기 와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코일과 용탕면의 거리에 따라 용탕면에서 발생되는 와전류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으로 용탕면의 높이를 측정하는 감지센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 공급 유닛과 더불어 상기 슬래그 베어(29)로 분사된 가스를 주형(10)의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 유닛이 설치된다. 상기 배기 유닛은, 슬래그 베어(29)로 분사된 가스가 주형(10)의 내부에 체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만약, 상기 슬래그 베어(29)로 분사된 가스가 주형(10)의 외부로 배기되지 않으면, 용강(12) 및/또는 용탕면에서 방출된 복사선에 의해 가스가 가열되고, 상기 가열된 가스는 주형 내부에 체류하면서 주조상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류 가스를 흡입하도록 상기 탕면 커버(100)에 주형(10)의 내부를 향하는 배기구(142)가 구비되며, 상기 배기구(142)는 흡입 펌프(14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도관(110)의 일단에 구비된 노즐(120)은 주형(10) 내측면과 용 강(12)의 경계의 형상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데, 이를 도 4a와 도 4b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노즐(120)은 주형(10) 내측면과 용강(12)의 경계, 특히 슬래그 베어(27)에 집중적으로 가스를 분사시켜 상기 슬래그 베어(29)의 형성을 제어한다. 도 4a는 슬릿형 노즐(120a)을 나타내며, 도 4b는 니들형 노즐(120b)을 나타낸다.
상기 슬릿형 노즐(120a)은 슬래그 베어(29)에 분사되는 가스를 넓은 면적에 거쳐 균일하게 분사시키기 위해 가스가 토출되는 입구의 형상이 좁고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니들형 노즐(120b)은 슬래그 베어(29)에 분사되는 가스를 부분적(간헐적)으로 집중 분사하기 위해 복수개의 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입구 각각에 전자식 밸브(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연속주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주편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주형(10) 내부에 용강(12) 및/또는 용융 몰드 플럭스(20)를 주입한다. 상기 용강(12)은 턴디쉬와 연결된 침지노즐(30)을 통해 주형(10)에 공급된다.
이때, 용강(12)에 비해 비중이 가벼운 용융 몰드 플럭스(20)는 용강(12)과 혼합되지 않고 용강(12)의 상부에 위치되고, 이러한 상태로 지속적으로 용강(12) 및/또는 용융 몰드 플럭스(20)가 주형에 주입되면 용융 몰드 플럭스(20)가 주형(10)의 내측면으로 유입된다. 상기 주형(10) 내부에 주입된 용강(12)과 용융 몰 드 플럭스(20)는 주형(10)의 벽면 내부를 흐르는 냉각수에 열을 빼앗겨 주형(10)의 내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슬래그 필름(27), 액상층(21), 응고쉘(11)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용융 몰드 플럭스(20)가 주형(10)에 공급됨에 따라서, 상기 슬래그 필름(27)과 응고쉘(11)의 중간에 위치하는 액상층(21)이 두꺼워져 응고쉘(11)의 형성을 지연시켜 응고쉘(11)의 두께가 얇아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현상은 주형(10) 내측면과 용강(12)의 경계에 슬래그 베어(29)가 형성되지 않으므로써, 액상층(21)으로 유입되는 용융 몰드 플럭스(20)의 유입량이 많아져 슬래그 필름(27)과 용강(12)의 열교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슬래그 베어(29)가 인위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가스 공급 유닛이 가스를 분사하여 주형(10) 내측면과 용강(12)의 경계, 특히, 상기 슬래그 필름(27)과 응고쉘(11) 사이에 가스를 집중적으로 분사하여 용융 몰드 플럭스(20)를 응고시켜 슬래그 베어(29)를 형성한다. 상기 슬래그 베어(29)가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용융 몰드 플럭스(20)가 유입되는 액상층(21)의 입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결국, 가스의 분사 조건을 제어하면 상기 슬래그 베어(29)의 형성 및 성장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액상층(21)으로 유입되는 용융 몰드 플럭스(20) 유입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주형(10) 내의 용탕면 높이를 감지센서가 측정하고, 측정된 용탕면의 높이를 기초로 제어부가 승강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가스 공급 유닛의 노즐(120) 및/또는 도관(110)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조상태에 따라서, 노즐(120)을 통해 슬래그 베어(29)에 분사되는 가스의 온도 및/또는 분사량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만약 슬래그 베어(29)가 형성되지 않아 액상층(21)으로 용융 몰드 플럭스(20)가 유입하는 양이 증가하여 응고쉘(11)의 형성을 지연시키고 주편 표면의 접힘흠 내지 응고쉘을 주형(10)에 구속시키는 주조상태라면, 상기 가스 공급 유닛의 가스 공급원(130)에 저장된 불활성 가스가 통상적으로 용융 몰드 플럭스의 온도에 비해 낮은 온도를 갖고, 도관(110)에 안내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유량 제어 수단을 작동시키고, 상기 가스는 노즐(120)을 통해 슬래그 필름(27)과 응고쉘(11) 사이로 분사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된 가스가 상기 액상층(21)으로 유입되는 용융 몰드 플럭스(20)의 일부를 급속히 냉각해 응고시켜 슬래그 베어(29)를 형성하여 용융 몰드 플럭스 유입량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가스를 지속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주형(10)의 내측에 고착된 슬래그 베어(29)를 성장시켜 용융 몰드 플럭스(20)가 유입되는 슬래그 필름(27)과 응고쉘(11) 사이의 입구 크기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슬래그 베어(29)가 비대하게 성장해 용융 몰드 플럭스 유입량이 감소하여 주편과 주형(10) 사이의 윤활작용이 저하되고 브레이크-아웃을 발생시키는 주조상태라면, 상기 제어부가 유량 제어 수단을 작동시켜 가스 공급원(130)에 저장된 가스를 도관(110)으로 안내하고 더불어, 상기 제어부가 도관(110)에 설치된 열선(150)을 작동시켜 도관(110)을 지나는 가스가 가열되어 용융 몰드 플럭스의 온도에 비해 높은 온도로 노즐(120)을 통해 슬래그 베어(29)에 분사된다.
따라서, 상기 고온의 가스가 비대하게 성장한 슬래그 베어(29)를 용융시켜 용융 몰드 플럭스가 유입되는 입구를 확장하여 용융 몰드 플럭스 유입량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슬래그 베어(29)에 가스가 분사되어 열교환 된 가스는 주조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탕면 커버(100)에 구비된 배기구(142)를 통해 주형(10) 외부로 배기된다.
상기와 같이 용융 몰드 플럭스의 유입량을 제어하면, 주편 단위 면적당 소모되는 용융 몰드 플럭스의 양이 균일해져 브레이크-아웃의 발생 빈도를 낮추고 주편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에서는 주형에 몰드 플럭스가 용융된 상태로 공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때에 따라서 상기 몰드 플럭스가 분말 혹은 과립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 및 도면에서는 가스 공급 유닛의 도관이 탕면 커버를 관통설치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때에 따라서는 상기 도관이 주형의 내측면을 관통해 슬래그 베어가 형성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연속주조장치 및 방법은, 슬래그 필름과 응고쉘 사이로 몰드 플럭스가 적절히 유입되도록 슬래그 베어의 형성을 제어함으로써, 브레이크-아웃의 발생 빈도를 낮추고 주편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주형과,
    상기 주형의 상부를 덮는 탕면 커버와,
    상기 주형 내측면과 용강의 경계에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 공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공급 유닛에는 온도 제어 수단이 구비되어 분사되는 가스의 온도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 유닛은 가스 공급원과,
    상기 공급원으로부터 주형 내부로 가스를 안내하는 도관과,
    상기 도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높이가 제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주형의 용탕면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슬릿형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복수개의 니들형 노즐이 일렬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7. 삭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관에 설치되는 유량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는 비반응 가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 내부의 불활성 가스를 배기시키도록 상기 탕면 커버에 주형 내부를 향하는 배기구가 구비된 배기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11. 탕면 커버에 의해 상부가 덮인 주형 내에 용융 몰드 플럭스를 주입하는 연속주조방법으로서,
    상기 주형 내측면과 용강의 경계에 온도가 가변되는 가스를 분사하여 슬래그 베어의 형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용탕면의 높이에 따라 가스의 분사 높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방법.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주형 내측면에 고착된 슬래그 베어의 성장에 따라 가스의 온도 및 분사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방법.
KR1020060080681A 2006-08-24 2006-08-24 연속주조장치 및 방법 Active KR100802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681A KR100802477B1 (ko) 2006-08-24 2006-08-24 연속주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681A KR100802477B1 (ko) 2006-08-24 2006-08-24 연속주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2477B1 true KR100802477B1 (ko) 2008-02-12

Family

ID=39342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681A Active KR100802477B1 (ko) 2006-08-24 2006-08-24 연속주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47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608B1 (ko) * 2010-09-06 2013-01-08 주식회사 포스코 몰드 플럭스 온도 보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KR101349918B1 (ko) 2011-12-20 2014-01-14 주식회사 포스코 카본 파이버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KR20160025853A (ko) * 2014-08-28 2016-03-09 주식회사 포스코 노즐 예열장치 및 예열방법
KR101982215B1 (ko) * 2017-11-16 2019-05-24 동국제강주식회사 연속 주조용 스플래시 방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용 스플래시 방지 방법
KR20200061188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 몰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1944A (en) 1980-09-13 1982-05-22 Kawasaki Steel Corp Continuous casting device
JPH06292957A (ja) * 1993-04-12 1994-10-21 Nippon Steel Corp 連続鋳造方法
JPH0890178A (ja) * 1994-09-28 1996-04-09 Sumitomo Metal Ind Ltd 連鋳鋳片の表皮直下欠陥低減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0263201A (ja) 1999-03-17 2000-09-26 Kawasaki Steel Corp モールドパウダの供給方法
JP2005034886A (ja) 2003-07-16 2005-02-10 Sumitomo Metal Ind Ltd マグネシウム合金溶湯の連続鋳造方法
KR20060013411A (ko) * 2003-05-19 2006-02-09 뵈스트-알핀 인두스트리안라겐바우 게엠베하 앤드 컴퍼니 주조 금속 스트립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상응하는 이중 롤주조 설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1944A (en) 1980-09-13 1982-05-22 Kawasaki Steel Corp Continuous casting device
JPH06292957A (ja) * 1993-04-12 1994-10-21 Nippon Steel Corp 連続鋳造方法
JPH0890178A (ja) * 1994-09-28 1996-04-09 Sumitomo Metal Ind Ltd 連鋳鋳片の表皮直下欠陥低減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0263201A (ja) 1999-03-17 2000-09-26 Kawasaki Steel Corp モールドパウダの供給方法
KR20060013411A (ko) * 2003-05-19 2006-02-09 뵈스트-알핀 인두스트리안라겐바우 게엠베하 앤드 컴퍼니 주조 금속 스트립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상응하는 이중 롤주조 설비
JP2005034886A (ja) 2003-07-16 2005-02-10 Sumitomo Metal Ind Ltd マグネシウム合金溶湯の連続鋳造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608B1 (ko) * 2010-09-06 2013-01-08 주식회사 포스코 몰드 플럭스 온도 보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KR101349918B1 (ko) 2011-12-20 2014-01-14 주식회사 포스코 카본 파이버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KR20160025853A (ko) * 2014-08-28 2016-03-09 주식회사 포스코 노즐 예열장치 및 예열방법
KR101660771B1 (ko) * 2014-08-28 2016-09-28 주식회사 포스코 노즐 예열장치 및 예열방법
KR101982215B1 (ko) * 2017-11-16 2019-05-24 동국제강주식회사 연속 주조용 스플래시 방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용 스플래시 방지 방법
KR20200061188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 몰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KR102164125B1 (ko) 2018-11-23 2020-10-12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 몰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9027B1 (ko) 용융 몰드플럭스를 이용한 연속 주조 장치 및 방법
JP5755438B2 (ja) 金属の鋳造機の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方法
KR100802477B1 (ko) 연속주조장치 및 방법
KR101224955B1 (ko) 스트랜드 냉각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32917A (ko) 스트랜드 냉각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803733B1 (ko) 용융 몰드플럭스를 이용한 연속 주조에 사용하는 탕면 레벨측정 센서 유닛
KR101387329B1 (ko) 용강 레벨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방법
KR100793936B1 (ko) 용융 몰드플럭스 두께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30034167A (ko) 원심주조용 몰드의 냉각장치
KR101219608B1 (ko) 몰드 플럭스 온도 보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KR100829907B1 (ko) 연속주조시 초기응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277701B1 (ko) 몰드 내의 탕면 레벨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4034090A (ja) 鋼の連続鋳造方法
KR101797312B1 (ko) 연속주조기의 종료동작 처리장치 및 종료동작 처리방법
KR100822412B1 (ko) 연속 주조용 몰드 플럭스 투입장치
KR101545982B1 (ko) 연속주조장치
KR102257856B1 (ko) 연속주조공정의 용강유동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강유동 제어방법
KR101159604B1 (ko) 주형 내 비대칭 유동 판별 장치 및 비대칭 유동 제어 방법
JP5076693B2 (ja)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及び鋼の連続鋳造方法
KR20120079469A (ko) 연속 주조기에서 금속 용융물을 주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277984B1 (ko) 용강 배출 장치
KR101435117B1 (ko)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탕면 안정화 방법
US20090255642A1 (en) Stirrer
KR20120094261A (ko) 불활성 가스 퍼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KR20110120998A (ko) 주편 폭 방향 측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0804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20818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