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1780B1 - 마이크로 전자 장치, 광전자 장치 또는 광학 장치용의, 이송층의 이동을 수반하는 기판상에 기판 또는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전자 장치, 광전자 장치 또는 광학 장치용의, 이송층의 이동을 수반하는 기판상에 기판 또는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780B1
KR100801780B1 KR1020057017220A KR20057017220A KR100801780B1 KR 100801780 B1 KR100801780 B1 KR 100801780B1 KR 1020057017220 A KR1020057017220 A KR 1020057017220A KR 20057017220 A KR20057017220 A KR 20057017220A KR 100801780 B1 KR100801780 B1 KR 100801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ayer
transport layer
interface
single crys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1358A (ko
Inventor
파브리스 르떼르뜨르
올리비에르 레이싸끄
Original Assignee
에스. 오. 이. 떼끄 씰리꽁 오 냉쉴라또흐 떼끄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 오. 이. 떼끄 씰리꽁 오 냉쉴라또흐 떼끄놀로지 filed Critical 에스. 오. 이. 떼끄 씰리꽁 오 냉쉴라또흐 떼끄놀로지
Publication of KR20050111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78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semiconductor on insulator [SOI] technology
    • H01L21/76251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semiconductor on insulator [SOI] technology using bonding techniques
    • H01L21/76259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semiconductor on insulator [SOI] technology using bonding techniques with separation/delamination along a porous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semiconductor on insulator [SOI] technology
    • H01L21/76251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semiconductor on insulator [SOI] technology using bonding techniques
    • H01L21/7625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semiconductor on insulator [SOI] technology using bonding techniques with separation/delamination along an ion implanted layer, e.g. Smart-cut, Unibo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04Chemical etching
    • H01L21/30612Etching of AIIIBV compounds
    • H01L21/30621Vapour phase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rystallisation Technique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Led Devices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제 1 지지체(10) 및 이송층(14,16)을 포함하는 제 1 기판에 그들 간의 분리 가능한 인터페이스(12)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이송층을 수반하는 처리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측면 방향으로 피복할 수 있는 재료(161)의 주변 구역의 형성을 포함하는 단계, 재료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그것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12)에 분리부가 도달하도록 하는 단계, 이송층(14,16)의 자유면을 제 2 지지체(20)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12)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분리 수단은 재료의 주변 구역의 부재 시에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 전자 장치, 광전자 장치 또는 광학 장치용의 기판 상에서 기판 또는 부품을 제조할 시에 응용된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전자 장치, 광전자 장치 또는 광학 장치용의, 이송층의 이동을 수반하는 기판상에 기판 또는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A METHOD OF PRODUCING SUBSTRATES OR COMPONENTS ON SUBSTRATES INVOLVING TRANSFER OF A TRANSFER LAYER, FOR MICROELECTRONICS, OPTOELECTRONICS, OR OPTIC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의 이송층의 이동을 수반하는 마이크로 전자 장치, 광전자 장치 또는 광학 장치용의 기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부품 제작 처리를 수용하거나 수용할 수 없는,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반도체 재료의 층을 기계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많은 기술이 개발되었다.
특히, 유럽 특허 EP-A-0 849 788에 기술된 바와 같이 화학적으로 부식될 수 있는 매몰된 다공성 층을 이용하는 기술이 언급될 수 있다.
가스종을 주입함으로써 약화되어, 엷은 이송층이 주입 구역에서 균열에 의해 나머지 재료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기판이 또한 언급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지지체에 일시 결합되어 있는 층이 기계적인 힘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 에너지를 제어하는 분자 결합 기술도 언급될 수 있다.
이송층이 상기 기술 중 하나를 이용하여 제 1 지지체에 접속되면, 층의 이동에 의해, 제 2 지지체가 적당한 결합력을 이용하여 이송층의 자유면(free face)과 접촉되며, 층 및 제 1 지지체를 포함하는 조립체의 자유면은 "프론트(front)"면으로 공지되어 있다.
균열을 전달하도록 약화된 인터페이스에서 측면 방향으로 도입되는 드로잉 리그(drawing rig) 또는 블레이드과 같은 하나 이상의 도구를 사용하여 이동될 층과 제 1 지지체 사이로 응력(통상적인 장력 및/또는 휨 및/또는 전단(shear))을 가하거나, 상기 약화된 인터페이스에 유체를 분출함으로써 이동이 완료된다(예컨대, 프랑스 특허 FR-A-2 796 491 참조).
이동될 이송층이 어떤 부품 제조 단계도 갖지 않으면, 상기 이동은 일반적으로 (특히, 분자 결합, 공정 결합, 중합체 또는 수지를 이용한 결합 등에 의해) 이송층을 제 2 지지체에 부착하는데 사용된 결합 기술과 무관하게 실행된다.
반면에, 이송층이 부품 제조 공정에서 다수의 단계를 가질 시에는 문제가 다르며, 이 경우에, 종종, 상이한 타입의 증착(반도체 산화물 또는 질화물, 다결정 반도체, 비정질 반도체, 호모에피택시 또는 헤테로에피택시에 의해 형성되는 단결정 반도체)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풀 웨이퍼(full wafer)" 방법이 특정 리액터로 실행될 시에, 상기 증착물은, 이송층의 자유면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피복하여, 제 1 지지체에 일시 고정되는 상기 이송층으로 구성된 기판의 측면 상으로 오버플로우(overflow)하는 경향을 가진다.
오버플로우된 피복은 어느 정도 캡슐화되는 이송층을 형성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이송층과 제 1 지지체 간의 결합의 주변을 강화시켜, 상기 이송층을 제 2 지지체로 이동하기 위해 후속 분리가 요구될 시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런 결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문에, 제 1 양태에서, 본 발명은 마이크로 전자 장치, 광전자 장치 또는 광학 장치용의 기판 또는 기판 상에 형성되는 부품을 제조할 시에 이용하기 위해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이동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상기 제 1 지지체 및 상기 이송층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제 1 지지체와 상기 이송층 사이에 분리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 1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이송층의 외부 에지는 상기 제 1 지지체의 외부 에지에서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이룬 단계,
상기 이송층에 재료의 피착된 층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피착된 층은 상기 분리 가능한 인터페이스의 측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복하는 단계,
상기 분리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노출시키도록 제1 지지체 재료 및/또는 피착된 재료를 국부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이송층의 노출면을 제 2 지지체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지지체와 상기 이송층 간의 상기 분리 가능한 인터페이스에서 분리를 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분리 가능한 인터페이스의 상기 노출된 영역에 의해 상기 분리가 촉진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의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방법의 특징을 제한하지 않는다:
- 재료 제거 단계는 인터페이스의 측면을 피복하는 피착 재료의 측면 영역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재료 제거 단계는 절단에 의해 실시된다.
- 재료 제거 단계는 에칭에 의해 실시된다.
- 에칭은 측면 영역 내의 이송층을 마스크함으로써 실행된다.
- 재료 제거 단계는 또한 피착된 재료의 측면 영역 아래의 제 1 지지체의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재료 제거 단계는 피착된 재료의 측면 영역이 형성되는 영역에서 제 1 지지체 재료의 측면 영역을 상기 증착 전에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제 1 지지체 재료의 측면 영역은, 상기 이송층의 측면에서 측면 및 정면 방향으로 개방된 측면 홈이다.
- 홈의 깊이는 피착된 재료의 측면 영역의 두께보다 크거나 동일하다.
- 홈의 폭은 제 1 지지체의 외부 에지와 이송층의 외부 에지 간의 간격을 실질적으로 피복하도록 한다.
- 제 1 지지체의 측면 영역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지지체 상에 상기 이송층을 형성한 후에 실시된다.
- 분리 단계는 분리 수단을 이용하여 분리 가능한 인터페이스에서 횡방향으로의 응력을 가함으로써 실시된다.
- 재료 제거 단계는, 이송층의 노출면을 제 2 지지체에 고정하는 단계 전에, 이송층의 노출면과 분리 가능한 인터페이스의 영역 간에 개별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채널은 개별 아일랜드(island)를 설정한다.
- 채널은, 톱 절단, 레이저 절단, 이온 빔 절단 및 마스크된 화학적 에칭에 의해 형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 분리 단계는, 제 1 및 2 지지체 사이에, 장력, 휨 및 전단 응력에 의해 형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응력을 가할 수 있는 분리 수단을 이용하여 실행된다.
- 피착된 재료 층은 "풀 웨이퍼" 에피택시에 의해 형성된다.
- 이송층은 에피택셜 성장을 위해 시드(seed)를 형성하는 층 및 하나 이상의 에피택셜 성장 층을 포함한다.
- 시드 층의 재료는 탄화 규소, 사파이어, 질화 갈륨, 질화 규소 및 질화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 에피틱셜 성장 층은 하나 이상의 질화 금속으로부터 형성된다.
- 제 1 지지체의 재료는 반도체, 반도체 탄화물 및 절연체에 의해 형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 분리 가능한 인터페이스는, 가스종을 주입하고, 화학적으로 부식될 수 있는 다공성 층을 형성하며, 분자 결합에 의해 결합력의 제어로 결합함으로써 형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이송층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고, 지지체와 이송층 간의 분리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가진, 마이크로 전자 장치, 광전자 장치 또는 광학 장치용의 기판 또는 기판 상에 형성되는 부품을 제작하는 지지체를 제공하는데, 여기서, 이송층 상의 재료 층 증착은 상기 인터페이스의 측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복하는 피착된 재료의 측면 영역을 형성할 수 있으면, 상기 지지체는 피착된 재료의 상기 측면 영역을 수용하여, 상기 인터페이스가 분리 목적을 위해 측면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측면 홈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목적 및 이점은 바람직한 구현의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며, 이는 비제한적인 예들에 의해 주어지고,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행해진다.
도 1은 제 1 지지체 및 이송층을 포함하는 제 1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이송층을 이동하기 위해 제 1 기판에 부착된 제 2 지지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분리 도구로부터 작업 구역의 분리를 설명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분리 도구의 제 1 지지체의 특정 배치를 설명한 제 1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이송층과 제 1 지지체 간의 인터페이스로 접근하기 위한 이송층의 특정 배치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지지체(10)는 반도체 재료, 예컨대, 탄화 규소 SiC, 단결정 또는 다결정 규소 등으로부터 형성되거나, 절연 재료, 예컨대 사파이어로부터 형성된다.
층(12)은 상기 제 1 지지체 상에 형성되거나 증착되고, 분리 가능한 결합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통상적으로, SiO2와 같은 반도체 산화물, 반도체 질화물 등의 층일 수 있다.
층(12)은, 층(16)이 형성되거나 피착된 기초(base) 층(14)에 의해 이 경우에 형성되는 이송층과 제 1 지지체(10) 간에 분리 가능한 결합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통상적으로, 기초 층(14)은 층(16)이 에피택시에 의해 형성되는 시드 층이다. 이 시드 층은, 예컨대, 탄화 규소, 사파이어, 질화 갈륨, 질화 규소 또는 질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다.
한 실시예에서, 기초 층(14)은 SiC로 형성되는 반면에, 에피택셜 성장 층은 질화 갈륨 GaN과 같은 질화 금속으로 형성되거나, 상이한 질화 금속의 스택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이송층 구조는 특히 발광 다이오드(LED)를 제조할 시에 유익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 1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 상에 형성되는 층(12, 14 및 16)의 조립체보다 약간 더 크다. 통상적으로 "풀 웨이퍼" 리액터로 실행되는 에피택시에 의한 층(16)의 증착은 시드 층(14) 위뿐만 아니라, 지지체(10)의 홈 주변을 피복하는 링(161) 주변으로도 연장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고, 제 1 기판이라 칭하는 조립체를 제 2 지지체(20)에 부착하는 것을 설명한 것이다. 이 경우에, 부착은 금속 결합 기술을 이용하여 실행되며, 결합 층은 (22)로 도시된다.
이송층(14, 16)은, 상술한 바와 같이, 특히 분리 도구를 이용하여 부착한 후에 제 1 지지체(10)에서 제 2 지지체(20)로 이동되며, 분리 도구는 이송층(14, 16)과 제 1 지지체(10) 간의 인터페이스 층(12)에 응력을 가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면 내에서 분리를 행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는 피착된 GaN 링(161)이 이와 같은 동작에 관한 2 개의 문제를 유발시킴을 나타낸 것이다. 첫째로, 그것은 제 1 기판의 주변에서 이송층(14, 16)과 제 1 지지체 간의 결합을 강화하며, 둘째로, 그것은 분리 도구에 필요한 분리 응력을 가하기 위해(도 3a의 화살표 F1) 분리 도구(엷은 블레이드, 유체의 분출 등)에 의해 결합 인터페이스(12)에 직접 접근할 수 없게 된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개의 해결책이 아래에 기술된다.
제 1 해결책은 도 3a에서 도식적으로 도시된다. 그것은 링(161)을 제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제거는 에칭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마스크가 이송층(14, 16)의 자유면 상에 형성되며, 이 마스크는 링(161)만을 분리할 것이다. 그 후, 링의 재료에 적절한 부식 매체는 분리 가능한 인터페이스 층(12)을 분리하기 위해 전체 두께에 걸쳐 있는 링을 부식시켜 제거하는데 이용된다. 본 예에서, 링이 GaN일 시에, 다음의 것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CL4, BCL3에 기초한 플라스마 에칭 또는 RIE (반응 이온 에칭)(논문 "GaN: Processing, Defects and Devices", S J Pearton et al,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 86, no 1, 1st July 1999 참조).
변형례에서는, 플라스마 에칭과 같은 다른 에칭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링은 절단 또는 트리밍 기술을 이용하여 제거된다. 기계적인 톱 절단 기술, 레이저 절단 기술 또는 이온 빔 절단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해되듯이, 링은, 링(161)과 제 1 지지체(10) 간의 전이면의 절단 및 리벌루션(revolution)의 원형 절단을 행함으로써 제거된다.
모든 경우에, 에칭 또는 절단이 분리 가능한 인터페이스 층(12)으로 만족스러운 접근을 제공하여 이송층을 이동시킴에 주의가 요구된다. 이 점에서, 링(161)의 단지 부분적 제거가 제 1 지지체(10)와 이송층(14) 간의 주변 결합을 약하게 하여, 분리 도구가 정확히 동작하도록 하는데 충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대로, 또한 지지체 자체로 통과할 동안에 링(161)을 제거할 수 있다.
변형례에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의 전체 두께를 통해 절단이 실행되어, 방해 링(161)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그것에 인접한 제 1 지지체의 부분(101)도 제거한다. 이런 변형은 절단 기술의 작업 폭이 제어하기가 곤란할 시에 더욱 적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링(161)은, 제 2 지지체(20)가 이송층(14, 16)에 부착되기 전에 제거된다. 그러나, 링(161)을 제거하는데 이용된 기술이 허용한다면, 고정 후에 제거가 실행될 수 있다.
주변 증착물(161)에 의해 유발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다른 접근법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그것은, 특히 측면 홈(102)을 포함하도록 제작된 제 1 지지체(10)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유리하게는, 상기 주변 홈은, 지지체(10)의 외부 에지와 인터페이스 층(12) 및 이송층(14, 16) 사이에서 방사 방향으로(도 4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한다. 축 방향 (도 4에서는 수직 방향)에서, 바람직하게는, 증착 동작의 끝에, 형성하는 주변 링(161)이 분리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된 증착물(16)의 두께와 적어도 동일한 깊이(d)를 통해 상기 홈(102)이 연장한다. 따라서, 링(161)은 제거될 필요가 없다.
상기 홈은, 바람직하게는 층(12 및 14)을 형성하기 전에, 어떤 경우에도 제 1 기판의 측면을 피복할 수 있는 이송층의 모두 또는 일부를 형성하기 전에 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은 레이저 빔에 따른 제거에 의해 또는 기계적 트리밍에 의해 제작된다.
다른 접근법은 도 5 및 6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절단부 또는 채널(18)을, 인터페이스 층(12)까지 이송층(14, 16)의 두께로 아래로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절단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1 × 1 제곱 마이크로미터 (μm²) 내지 300 × 300 μm²범위 내에 있는 사이즈를 가진, 예컨대, 정사각형 형상의 개별 아일릿(islet) 또는 타일(tile)(19)을 형성한다.
이들 절단부는, 기계적으로, 톱 절단 기술 또는 레이저 절단을 이용하거나 이온 빔 절단을 이용하며, 또는 화학적으로 에칭에 의해, 먼저 이송층(14, 16)의 자유면 상에 선택적인 기하학적 부식을 허용하는 에칭 마스크를 배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상기 부식에 의해 형성 동안에 채널의 벽이 너무 많이 굴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건식 또는 습식 에칭 기술이 이용된다.
이송층이 GaN 에피택시를 실행하는 SiC의 시드층(14)으로부터 형성되면, 아르곤계 이온 에칭이 실행된다(상술한 논문 "GaN: Processing, Defects and Devices" 참조).
이와 같은 접근법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타입의 조립체를 제작한 후에 지지체(10 및 20) 사이에 분리 응력이 가해질 시에, 링(161)로 인해 강화되지 않는 각 개별 타일은 상기 응력의 효과에 의해 지지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링(161)의 존재에 의해 유발된 이송층과 제 1 지지체 간의 인터페이스의 강화는 방지된다.
상기 응력은 장력, 휨 또는 전단 응력, 또는 상기 응력의 다양한 조합일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명백히, 본 발명은 매우 광범위한 반도체 재료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 카바이드 온 인슐레이터(SiCOI) 상에 형성된 질화물의 층의 예 이외에, 본 발명은, 예컨대, 제 2 절연 지지체(10) 상에 CMOS 기술을 이용하여 부품을 제작하는 어떤 방법이 실시되는 실리콘에 기초한 이송층을 이동할 시에, 채택될 수 있다. 많은 다른 응용이 또한 가능하다.
이 점에서, 당업자는 사용된 재료의 기능으로서 적절한 해결책(기술된 3개의 접근법 중 하나의 선택, 재료 제거 타입의 선택 등)을 쉽게 선택할 것이다.
최종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3개의 접근법이 서로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관측될 수 있다.

Claims (23)

  1. 마이크로 전자 장치, 광전자 장치 또는 광학 장치용으로 기판들 또는 기판 상에 형성되는 부품을 제조할 시에 이용하기 위해,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체와 상기 이송층 사이에 분리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갖도록, 상기 제 1 지지체 상에 상기 이송층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이송층의 외부 에지는 상기 제 1 지지체의 외부 에지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있는 단계;
    상기 이송층 상에 재료가 피착된 층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피착된 층은 상기 분리 가능한 인터페이스의 측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복하는 단계;
    상기 분리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1 지지체 재료 및 피착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국부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상기 피착된 층의 노출면을 제 2 지지체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지지체와 상기 이송층 간의 상기 분리 가능한 인터페이스에서 분리를 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분리 가능한 인터페이스의 상기 노출된 영역에 의해 상기 분리가 촉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제거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측면을 피복하는 피착 재료의 측면 영역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제거 단계는 절단에 의해 실시되는,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제거 단계는 에칭에 의해 실시되는,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은 상기 측면 영역 내의 이송층을 마스크함으로써 실행되는,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제거 단계는, 피착 재료의 상기 측면 영역 아래의 제 1 지지체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제거 단계는, 피착 재료의 상기 측면 영역이 형성되는 영역에서, 제 1 지지체 재료의 측면 영역을, 상기 피착 전에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체 재료의 측면 영역은, 상기 이송층의 측면에서 측면 및 정면 방향으로 개방된 측면 홈인,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깊이(d)는 피착 재료의 측면 영역의 두께보다 크거나 동일한,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폭은 제 1 지지체의 외부 에지와 이송층의 외부 에지 간의 간격을 실질적으로 피복하도록 하는,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
  11.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체의 측면 영역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지지체 상에 상기 이송층을 형성한 후에 실시되는,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
  12. 제 2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단계는 분리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 가능한 인터페이스에 측면 방향으로의 응력을 가함으로써 실시되는,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제거 단계는, 피착된 층의 노출면을 제 2 지지체에 고정하는 단계 전에, 피착된 층의 노출면과 상기 분리 가능한 인터페이스의 영역 간에 분리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개별 아일랜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톱 절단, 레이저 절단, 이온 빔 절단 및 마스크된 화학적 에칭에 의해 형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단계는 제 1 지지체와 제 2 지지체 사이에, 장력, 휨 및 전단 응력에 의해 형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응력을 가할 수 있는 분리 수단을 이용하여 실행되는,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착 재료층은 "풀 웨이퍼" 에피택시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층은 에피택셜 성장을 위해 시드를 형성하는 층 및 하나 이상의 에피택셜 성장층을 포함하는,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시드 층의 재료는 탄화 규소, 사파이어, 질화 갈륨, 실리콘 및 질화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틱셜 성장층은 하나 이상의 질화 금속으로부터 형성되는,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
  21.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체의 재료는 반도체, 반도체 탄화물 및 절연체에 의해 형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
  22.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가능한 인터페이스는, 가스종을 주입하는 것, 화학적으로 부식될 수 있는 다공성 층을 형성하는 것, 분자 결합력을 제어하면서 분자 결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제 1 지지체에서 제 2 지지체로 단결정 재료의 이송층을 이동하는 방법.
  23. 이송층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고, 지지체와 이송층 간의 분리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가진, 마이크로 전자 장치, 광전자 장치 또는 광학 장치용의 기판 또는 기판 상에 형성되는 부품을 제작하는 지지체로서, 상기 이송층 상의 재료층 피착은 상기 인터페이스의 측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복하는 피착 재료의 측면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지지체는 피착 재료의 상기 측면 영역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측면 홈 영역을 포함하여, 상기 인터페이스가 분리 목적으로 측면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체.
KR1020057017220A 2003-03-14 2004-03-12 마이크로 전자 장치, 광전자 장치 또는 광학 장치용의, 이송층의 이동을 수반하는 기판상에 기판 또는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801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303163 2003-03-14
FR0303163A FR2852445B1 (fr) 2003-03-14 2003-03-14 Procede de realisation de substrats ou composants sur substrats avec transfert de couche utile, pour la microelectronique, l'optoelectronique ou l'op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358A KR20050111358A (ko) 2005-11-24
KR100801780B1 true KR100801780B1 (ko) 2008-02-11

Family

ID=32893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220A Expired - Lifetime KR100801780B1 (ko) 2003-03-14 2004-03-12 마이크로 전자 장치, 광전자 장치 또는 광학 장치용의, 이송층의 이동을 수반하는 기판상에 기판 또는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606839A2 (ko)
JP (1) JP4672648B2 (ko)
KR (1) KR100801780B1 (ko)
FR (1) FR2852445B1 (ko)
TW (1) TWI295819B (ko)
WO (1) WO200408197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0842B1 (fr) * 2003-10-14 2007-11-02 Tracit Technologies Procede de preparation et d'assemblage de substrats
FR2888400B1 (fr) 2005-07-08 2007-10-19 Soitec Silicon On Insulator Procede de prelevement de couche
WO2007017763A2 (en) * 2005-07-08 2007-02-15 S.O.I. Tec Silicon On Insulator Technologies Method of production of a film
FR2899594A1 (fr) 2006-04-10 2007-10-1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assemblage de substrats avec traitements thermiques a basses temperatures
EP2015354A1 (en) * 2007-07-11 2009-01-14 S.O.I.Tec Silicon on Insulator Technologies Method for recycling a substrate, laminated wafer fabricating method and suitable recycled donor substrate
WO2009007003A1 (en) * 2007-07-11 2009-01-15 S.O.I. Tec Silicon On Insulator Technologies Method for recycling a substrate, laminated water fabricating method and suitable recycled donor substrate
DE102007025649B4 (de) * 2007-07-21 2011-03-03 X-Fab Semiconductor Foundries Ag Verfahren zum Übertragen einer Epitaxie-Schicht von einer Spender- auf eine Systemscheibe der Mikrosystemtechnik
EP2246882B1 (en) 2009-04-29 2015-03-04 Soitec Method for transferring a layer from a donor substrate onto a handle substrate
JP5859742B2 (ja) * 2011-04-28 2016-02-16 京セラ株式会社 複合基板
JP5976999B2 (ja) * 2011-05-30 2016-08-24 京セラ株式会社 複合基板
WO2012176728A1 (ja) * 2011-06-23 2012-12-27 旭化成株式会社 微細パタン形成用積層体及び微細パタン形成用積層体の製造方法
CN102231408B (zh) * 2011-07-04 2015-04-08 无锡成敏光伏技术咨询有限公司 层转移太阳能电池的制造方法
FR2995446A1 (fr) * 2012-09-07 2014-03-14 Soitec Silicon On Insulator Procede de fabrication d'une structure comprenant au moins deux interfac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9323A (en) 1997-12-02 2000-12-12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Process for selective transfer of a microstructure formed on an initial substrate to a final substrate
EP1059663A2 (en) * 1999-06-08 2000-12-13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producing a semiconductor thin film with a bonding and separating steps, solar cell fabrication and anodizing apparatus
WO2002084721A2 (fr) * 2001-04-13 2002-10-24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Substrat ou structure demontable et procede de realisa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35280B1 (en) * 1998-02-04 2004-06-09 Canon Kabushiki Kaisha SOI substrate
US6177359B1 (en) * 1999-06-07 2001-01-23 Agil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detaching an epitaxial layer from one substrate and transferring it to another substrate
JP3472197B2 (ja) * 1999-06-08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半導体基材及び太陽電池の製造方法
FR2796491B1 (fr) * 1999-07-12 2001-08-3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decollement de deux elements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oeuvre
JP2001284622A (ja) * 2000-03-31 2001-10-12 Canon Inc 半導体部材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の製造方法
JP4109823B2 (ja) * 2000-10-10 2008-07-0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9323A (en) 1997-12-02 2000-12-12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Process for selective transfer of a microstructure formed on an initial substrate to a final substrate
EP1059663A2 (en) * 1999-06-08 2000-12-13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producing a semiconductor thin film with a bonding and separating steps, solar cell fabrication and anodizing apparatus
WO2002084721A2 (fr) * 2001-04-13 2002-10-24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Substrat ou structure demontable et procede de reali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52445B1 (fr) 2005-05-20
TW200507086A (en) 2005-02-16
JP4672648B2 (ja) 2011-04-20
JP2006520539A (ja) 2006-09-07
EP1606839A2 (en) 2005-12-21
KR20050111358A (ko) 2005-11-24
FR2852445A1 (fr) 2004-09-17
WO2004081974A2 (en) 2004-09-23
WO2004081974A3 (en) 2004-11-25
TWI295819B (en) 2008-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4870B2 (en) Methods for forming an assembly for transfer of a useful layer
KR100801780B1 (ko) 마이크로 전자 장치, 광전자 장치 또는 광학 장치용의, 이송층의 이동을 수반하는 기판상에 기판 또는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US6805808B2 (en) Method for separating chips from diamond wafer
US6261929B1 (en) Methods of forming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layers using spaced trench arrays
KR100797208B1 (ko) 특히 전자 공학, 광전자 공학 및 광학용 기판을 형성하는분리 가능한 반도체 조립체의 제조 프로세스
EP2529419B1 (en)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5418190A (en) Method of fabrication for electro-optical devices
JP2004535664A (ja) 剥離可能な基板または剥離可能な構造、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TWI808316B (zh) 用以將塊體由供體基材移轉至受體基材的方法
JP2748355B2 (ja) 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チップの製造方法
JP7314269B2 (ja) 積層体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KR20040102197A (ko) 임시 지지부가 분리되는 기판의 제조 공정 및 관련 기판
JP2748354B2 (ja) 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チップの製造方法
KR20050104151A (ko)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51619B1 (ko) 화학적 처리에 대한 보호층을 포함하는 구조체 제조방법
US7179720B2 (en) Pre-fabrication scribing
KR101203692B1 (ko) 펜데오 에피탁시 성장용 기판 및 그 형성 방법
US20210358736A1 (en) Method of producing a substrate and system for producing a substrate
US20110057295A1 (en) Epitaxial substrate component made therewith and corresponding production method
TWI451480B (zh) 三族氮化物半導體之製造方法
WO2012138821A2 (en) Reusable substrates for electronic device fabrication and methods thereof
CN119141000A (zh) 用于在iii-v族多结太阳能电池中制造沟槽的方法
KR20250105155A (ko) 다중 에피탁시층의 분리방법 및 에피탁시층을 이용한 화합물 소자
JP2000031115A (ja) ウェハからチップを形成する方法
KR101118789B1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거울면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3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0912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