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0435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435B1
KR100800435B1 KR1020040100093A KR20040100093A KR100800435B1 KR 100800435 B1 KR100800435 B1 KR 100800435B1 KR 1020040100093 A KR1020040100093 A KR 1020040100093A KR 20040100093 A KR20040100093 A KR 20040100093A KR 100800435 B1 KR100800435 B1 KR 100800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scan
electrode
pulse
appl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1189A (ko
Inventor
정윤권
양희찬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0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435B1/ko
Priority to EP05025984A priority patent/EP1667097A3/en
Priority to JP2005344357A priority patent/JP2006154828A/ja
Priority to US11/289,606 priority patent/US7649508B2/en
Publication of KR20060061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43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address discharge
    • G09G3/2932Addressed by writing selected cells that are in an OFF st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18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with collection of electrodes in groups for n-dimensional addres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드레스 기간(Address Period)에서 인가되는 펄스의 인가시점을 개선하도록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캔 전극 또는 서스테인 전극에 인가되는 파형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저감하여 어드레스 방전을 안정시켜 구동안정성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리셋 기간, 어드레스 기간 및 서스테인 기간에 어드레스 전극(X1~Xn)(n은 양의 정수),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에 소정의 펄스가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필드의 조합에 의하여 소정의 개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화상을 표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어드레스 전극을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군으로 나누고, 어드레스 기간에서 스캔 전극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전과 이후 각각에서 데이터 펄스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드레스 전극군에 각각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노이즈, 전극군, 데이터 펄스, 스캔 펄스, 인가시점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Driving Method for 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도.
도 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동모듈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
도 3은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 계조를 구현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
도 4는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에 따른 구동파형을 나타낸 도.
도 5는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에서 어드레스 기간에 인가되는 펄스의 인가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6은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에서 어드레스 기간에 인가되는 펄스에 의한 노이즈의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동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동파형에 의해 감소되는 노이즈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9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 따른 제 2 실시예 를 설명하기 위해 어드레스 전극(X1~Xn)들을 4개의 어드레스 전극군으로 나눈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10은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동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11은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동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11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동파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데이터 드라이버 IC 21 : 스캔 드라이버 IC
23 : 서스테인 보드 90 : 패널
91 : Xa 전극군 92 : Xb 전극군
93 : Xc 전극군 94 : Xd 전극군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드레스 기간(Address Period)에서 인가되는 펄스의 인가시점을 개선함으로써, 스캔 전극 또는 서스테인 전극에 인가되는 파형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저감하여 어드레스 방전을 안정시켜 패널의 구동안정성 저하를 억제하는 플라즈 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기판과 후면기판 사이에 형성된 격벽이 하나의 단위 셀을 이루는 것으로, 각 셀 내에는 네온(Ne), 헬륨(He) 또는 네온 및 헬륨의 혼합기체(Ne+He)와 같은 주 방전 기체와 소량의 크세논을 함유하는 불활성 가스가 충진되어 있다. 고주파 전압에 의해 방전이 될 때, 불활성 가스는 진공자외선(Vacuum Ultraviolet rays)을 발생하고 격벽 사이에 형성된 형광체를 발광시켜 화상이 구현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얇고 가벼운 구성이 가능하므로 차세대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표시면인 전면 글라스(101)에 스캔 전극(102)과 서스테인 전극(103)이 쌍을 이뤄 형성된 복수의 유지전극쌍이 배열된 전면기판(100) 및 배면을 이루는 후면 글라스(111) 상에 전술한 복수의 유지전극쌍과 교차되도록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113)이 배열된 후면기판(110)이 일정거리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결합된다.
전면기판(100)은 하나의 방전셀에서 상호 방전시키고 셀의 발광을 유지하기 위한 스캔 전극(102) 및 서스테인 전극(103), 즉 투명한 ITO 물질로 형성된 투명 전극(a)과 금속재질로 제작된 버스 전극(b)으로 구비된 스캔 전극(102) 및 서스테인 전극(103)이 쌍을 이뤄 포함된다. 스캔 전극(102) 및 서스테인 전극(103)은 방전 전류를 제한하며 전극 쌍 간을 절연시켜주는 하나 이상의 상부 유전체층(104)에 의해 덮혀지고, 상부 유전체층(104) 상면에는 방전 조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산화마그네슘(MgO)을 증착한 보호층(105)이 형성된다.
후면기판(110)은 복수개의 방전 공간 즉, 방전셀을 형성시키기 위한 스트라이프 타입(또는 웰 타입)의 격벽(112)이 평행을 유지하여 배열된다. 또한, 어드레스 방전을 수행하여 진공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어드레스 전극(113)이 격벽(112)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후면기판(110)의 상측면에는 어드레스 방전시 화상표시를 위한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R, G, B 형광체(114)가 도포된다. 어드레스 전극(113)과 형광체(114) 사이에는 어드레스 전극(113)을 보호하기 위한 하부 유전체층(115)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방전셀이 매트릭스(Matrix) 구조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방전셀에 소정의 펄스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구동모듈이 부착되어 구동된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동모듈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도 2와 같다.
도 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동모듈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듈은 예컨대, 데이터 드라이버 IC(Integrated Circuit)(20), 스캔 드라이버 IC(21), 서스테인 보드(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2)은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신호 처리 과정을 거쳐 데이터 드라이버 IC(2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펄스를 입력받고, 스캔 드라이버 IC(21)로부터 출력된 스캔 펄스 및 서스테인 펄스를 입력받고, 서스테인 보드(23)로부터 출력된 서스테인 펄스를 입력받는다. 데이터 펄스, 스캔 펄스, 서스테인 펄스 등을 입력받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2)에 포함된 다수의 셀 중에서 스캔 펄스에 의해 선택된 셀에 방전이 발생하고, 방전이 발생한 셀은 소정의 휘도로 발광한다. 여기서 데이터 드라이버 IC(20)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미도시)와 같은 연결체를 통해 각 어드레스 전극(X1~Xn)에 소정의 데이터 펄스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화상 계조를 구현하는 방법은 다음 도 3과 같다.
도 3은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 계조를 구현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 계조(Gray Level) 표현 방법은 한 프레임을 발광횟수가 다른 여러 서브필드로 나누고, 각 서브필드는 다시 모든 셀들을 초기화시키기 위한 리셋 기간(RPD), 방전될 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간(APD) 및 방전횟수에 따라 계조를 구현하는 서스테인 기간(SPD)으로 나뉘어진다. 예를 들어, 256 계조로 화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1/60 초에 해당하는 프레임기간(16.67ms)은 도 3과 같이 8개의 서브필드들(SF1 내지 SF8)로 나누어지고, 8개의 서브 필드들(SF1 내지 SF8) 각각은 리셋 기간, 어드레스 기간 및 서스테인 기간으로 다시 나누어지게 된다.
각 서브필드의 리셋 기간 및 어드레스 기간은 각 서브필드마다 동일하다. 방전될 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방전은 어드레스 전극과 스캔 전극인 투명전극 사이의 전압차에 의해 일어난다. 서스테인 기간은 각 서브필드에서 2n(단, n = 0, 1, 2, 3, 4, 5, 6, 7)의 비율로 증가된다. 이와 같이 각 서브필드에서 서스테인 기간이 달라지게 되므로 각 서브필드의 서스테인 기간 즉, 서스테인 방전 횟수를 조절하여 화상의 계조를 표현하게 된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에 따른 구동파형을 살펴보면 다음 도 4와 같다.
도 4는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에 따른 구동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모든 셀들을 초기화시키기 위한 리셋 기간, 방전할 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간, 선택된 셀의 방전을 유지시키기 위한 서스테인 기간 및 방전된 셀 내의 벽전하를 소거하기 위한 소거 기간으로 나뉘어 구동된다.
리셋 기간에 있어서, 셋업 기간에는 모든 스캔 전극들에 상승 램프파형(Ramp-up)이 동시에 인가된다. 이 상승 램프파형에 의해 전화면의 방전셀들 내에는 약한 암방전(Dark Discharge)이 일어난다. 이 셋업 방전에 의해 어드레스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상에는 정극성 벽전하가 쌓이게 되며, 스캔 전극 상에는 부극성의 벽전하가 쌓이게 된다.
셋다운 기간에는 상승 램프파형이 공급된 후, 상승 램프파형의 피크전압보다 낮은 정극성 전압에서 떨어지기 시작하여 그라운드(GND)레벨 전압 이하의 특정 전압레벨까지 떨어지는 하강 램프파형(Ramp-down)이 셀들 내에 미약한 소거방전을 일 으킴으로써 스캔 전극에 과도하게 형성된 벽 전하를 충분히 소거시키게 된다. 이 셋다운 방전에 의해 어드레스 방전이 안정되게 일어날 수 있을 정도의 벽전하가 셀들 내에 균일하게 잔류된다.
어드레스 기간에는 부극성 스캔 펄스가 스캔 전극들에 순차적으로 인가됨과 동시에 스캔 펄스에 동기되어 어드레스 전극에 정극성의 데이터 펄스가 인가된다. 이 스캔 펄스와 데이터 펄스의 전압 차와 리셋 기간에 생성된 벽 전압이 더해지면서 데이터 펄스가 인가되는 방전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된다. 어드레스 방전에 의해 선택된 셀들 내에는 서스테인 전압(Vs)이 인가될 때 방전이 일어날 수 있게 하는 정도의 벽전하가 형성된다. 서스테인 전극에는 셋다운 기간과 어드레스 기간 동안에 스캔 전극과의 전압차를 줄여 스캔 전극과의 오방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정극성 전압(Vz)이 공급된다.
서스테인 기간에는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들에 교번적으로 서스테인 펄스(Sus)가 인가된다. 어드레스 방전에 의해 선택된 셀은 셀 내의 벽 전압과 서스테인 펄스가 더해지면서 매 서스테인 펄스가 인가될 때 마다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사이에 서스테인 방전 즉, 표시방전이 일어나게 된다.
서스테인 방전이 완료된 후, 소거 기간에서는 펄스폭과 전압레벨이 작은 소거 램프파형(Ramp-ers)의 전압이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어 전화면의 셀들 내에 잔류하는 벽 전하를 소거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동파형으로 구동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어드레스 기간에 서 스캔 전극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와 어드레스 전극(X1~Xn)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은 동일하다. 이러한 종래 어드레스 기간에서의 스캔 펄스와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을 살펴보면 다음 도 5와 같다.
도 5는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에서 어드레스 기간에 인가되는 펄스의 인가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서는 어드레스 기간에서 어드레스 전극(X1~Xn)에 인가되는 모든 데이터 펄스는 스캔 전극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와 동시(ts)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시점에서 데이터 펄스와 스캔 펄스가 각각 어드레스 전극(X1~Xn)과 스캔 전극에 인가되면 스캔 전극에 인가되는 파형과 서스테인 전극에 인가되는 파형에 노이즈(Noise)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동일한 시점에서 데이터 펄스와 스캔 펄스가 각각 어드레스 전극(X1~Xn)과 스캔 전극에 인가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노이즈가 발생되는 일예를 살펴보면 다음 도 6과 같다.
도 6은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에서 어드레스 기간에 인가되는 펄스에 의한 노이즈의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서 어드레스 기간에 데이터 펄스와 스캔 펄스가 각각 어드레스 전극(X1~Xn)과 스캔 전극에 인가되면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에 인가되는 파형에 노이즈가 발생한다. 이러한 노이즈는 패널의 정전용량(Capacitance)을 통한 커플링(Coupling)으로 인해 발생되는 것으로, 데이터 펄스가 급상승하는 시점에서는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에 인가되는 파형에 상승노이즈가 발생되고, 데이터 펄스가 급하강하는 시점에서는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에 인가되는 파형에 하강노이즈가 발생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스캔 전극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와 동시에 어드레스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에 의해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에 인가되는 파형에 발생하는 노이즈는 어드레스 기간에서 일어나는 어드레스 방전을 불안정하게 하여 패널의 구동안정성을 저하시킴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효율을 저감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어드레스 기간에서 어드레스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을 스캔 전극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전과 이후로 설정하여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과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을 서로 상이하게 하도록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리셋 기간, 어드레스 기간 및 서스테인 기간에 어드레스 전극(X1~Xn)(n은 양의 정수),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에 소정의 펄스가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필드의 조합에 의하여 소정의 개수 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화상을 표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전극을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군으로 나누고, 상기 어드레스 기간에서 상기 스캔 전극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전과 이후 각각에서 데이터 펄스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어드레스 전극군에 각각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드레스 기간에서 상기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전에 데이터 펄스가 인가되는 상기 어드레스 전극의 개수와 상기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후에 데이터 펄스가 인가되는 어드레스 전극의 개수는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드레스 전극군의 개수는 2개 이상이고, 상기 어드레스 전극의 총 개수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드레스 전극군은 1개 이상의 상기 어드레스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드레스 전극군은 모두 동일한 개수의 상기 어드레스 전극을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에서 상이한 개수의 상기 어드레스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드레스 전극군에 포함된 모든 어드레스 전극에는 상기 데이터 펄스를 동일한 시점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필드 내에서 상기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상기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가장 근접한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 간의 차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필드 내에서 상기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상기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가장 근접한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 간의 차이는 10ns 이상 1000n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필드 내에서 상기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상기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가장 근접한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 간의 차이는 소정 스캔 펄스폭의 1/100배 이상 1배 이하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이한 두 개 이상의 상기 전극군 중 상이한 시점에 인가되는 두 개의 상기 데이터 펄스의 인가 시점 간의 차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이한 두 개 이상의 전극군 중 상이한 시점에 인가되는 두 개의 상기 데이터 펄스 간의 인가 시점의 차이는 10ns 이상 1000n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이한 두 개 이상의 전극군 중 상이한 시점에 인가되는 두 개의 상기 데이터 펄스 간의 인가 시점의 차이는 소정 스캔 펄스폭의 1/100배 이상 1배 이하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동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7a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동파형은 한 서브 필드의 어드레스 기간에서 어드레스 전극(X1~Xn)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은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각각 서로 다르되, 한 서브필드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어드레스 기간에서 어드레스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는 스캔 전극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전에 인가되고, 나머지 어드레스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후에 인가된다. 예컨대, 도 7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동방법에 따른 구동파형은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을 ts라 가정할 때 어드레스 전극(X1~Xn)의 배치 순서에 맞추어 어드레스 전극 X1에는 스캔 전극(Y)에 스캔 펄스가 인가되는 시점 보다 2Δt만큼 앞선 시점 즉, 시점 ts-2Δt에서 데이터 펄스가 인가된다. 또한, 어드레스 전극 X2에는 스캔 전극(Y)에 스캔 펄스가 인가되는 시점 보다 Δt만큼 앞선 시점 즉, 시점 ts-Δt에서 데이터 펄스가 인가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X(n-1)전극에는 시점 ts+Δt에서 데이터 펄스가 인가되고, Xn전극에는 시점 ts+2Δt에서 데이터 펄스가 인가된다. 즉, 도 7a와 같이 어드레스 전극(X1~Xn)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는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전 또는 이후 각각에서 인가된다.
이 때,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전에 데이터 펄스가 인가되는 어드레스 전극의 개수와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후에 데이터 펄스가 인가되는 어드레스 전극의 개수는 서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어드레스 전극(X1~Xn)에 인가 되는 데이터 펄스간의 인가시점간의 차이는 모두 Δt로 동일하고,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 이전에 데이터 펄스가 인가되는 어드레스 전극의 개수는 1개이고, 나머지 (n-1)개의 어드레스 전극에는 모두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 이후에 데이터 펄스가 인가된다고 가정하면,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 이후에 마지막 (n-1)번째의 데이터 펄스가 인가되는 어드레스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와 스캔 펄스의 Duration Time은 총 Duration Time Dt에서 (n-1)Δt이상 감소할 것이다. 즉, 마지막 (n-1)번째의 어드레스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와 스캔 펄스와의 Duration Time은 (Dt-(n-1)Δt)이다. 이에 반해, 절반의 어드레스 전극에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전에 데이터 펄스가 인가되고, 나머지 절반의 어드레스 전극에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후에 데이터 펄스가 인가된다고 가정하면, 가장 나중에 또는 가장 먼저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과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의 시간차이는 (n/2)Δt가 된다. 따라서 가장 작은 Duration Time은 (Dt-(n/2)Δt)이 된다. 여기서, 어드레스 전극의 개수가 수백에서 수천인 것을 고려하여 어드레스 전극의 개수가 1000라고 가정하면 전술한 (Dt-(n-1)Δt)는 (Dt-999Δt)이고, (Dt-(n/2)Δt)는 (Dt-500Δt)이다. 결국, 어드레스 전극을 절반씩 나누어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전과 이후에 절반의 어드레스 전극에 각각 데이터 펄스를 인가하는 것이 Duration Time 확보에 유리하다.
여기서, 이러한 도 7a의 구동파형에서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전에 데이터 펄스가 인가되는 어드레스 전극 X1과 스캔 전극간의 어드레스 방전을 살펴보면 도 7b와 같다. 예를 들어 어드레스 방전 개시 전압(Firing Voltage)이 170V이고, 스캔 펄스의 전압은 100V이고, 데이터 펄스의 전압은 70V라고 가정할 때 먼저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에 의해 스캔 전극(Y)과 어드레스 전극 X1 사이의 전압차이가 100V가 되고, 전술한 스캔 펄스의 인가 이후 Δt만큼의 시간이 흐른 후에 어드레스 전극 X1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에 의해 스캔 전극(Y)과 어드레스 전극 X1 사이의 전압차이가 170V로 상승한다. 이에 따라, 스캔 전극(Y)과 어드레스 전극 X1 사이의 전압차이가 어드레스 방전 개시 전압이 되어 스캔 전극(Y)과 어드레스 전극 X1 사이에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한다.
여기 도 7b의 경우와는 다르게,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후에 데이터 펄스가 인가되는 어드레스 전극 Xn-1과 스캔 전극간의 어드레스 방전을 살펴보면 다음 도 7c와 같다. 예를 들어 어드레스 방전 개시 전압이 도 7c에서와 같이 170V이고, 스캔 펄스의 전압은 100V이고, 데이터 펄스의 전압은 70V라고 가정할 때 B 영역에서는 먼저 어드레스 전극 X1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에 의해 스캔 전극(Y)과 어드레스 전극 X1 사이의 전압차이가 70V가 되고, 전술한 데이터 펄스의 인가 이후 Δt만큼의 시간이 흐른 후에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에 의해 스캔 전극(Y)과 어드레스 전극(X1~Xn) 사이의 전압차이가 170V로 상승한다. 이에 따라, 스캔 전극(Y)과 어드레스 전극 X1 사이의 전압차이가 어드레스 방전 개시 전압이 되어 스캔 전극(Y)과 어드레스 전극 X1 사이에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한다.
여기 도 7a 내지 도 7c에서는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어드레스 전극(X1~Xn)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간의 시간 차이 또는 이 때 어드레스 전극(X1~Xn)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 간의 인가시점의 차이를 Δt의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전술한 Δt에 대해 살펴보면, 예를 들어,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을 ts라하고,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 ts와 가장 근접한 데이터 펄스 간의 인가시점간의 시간차를 Δt라 하고,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 ts와 그 다음 근접한 데이터 펄스 간의 인가시점의 차이를 2배의 Δt, 즉 2Δt라 한다. 이러한 Δt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어드레스 전극(X1~Xn)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을 각각 서로 다르게 하면서 각각의 어드레스 전극(X1~Xn)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간의 인가시점간의 차이는 각각 서로 동일하다. 여기서는, 하나의 서브필드 내에서 각각의 어드레스 전극(X1~Xn)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간의 인가시점간의 차이는 각각 서로 동일하게 하면서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가장 근접한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 간의 차이를 동일하게 할 수도 있고, 아니면 서로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서브필드에서 각각의 어드레스 전극(X1~Xn)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간의 인가시점간의 차이는 각각 서로 동일하게 하면서 어느 하나의 어드레스 기간에서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 ts와 가장 근접한 데이터 펄스 간의 인 가시점간의 시간차를 Δt라 하면, 동일한 서브필드에서 다른 어드레스 기간에서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 ts와 가장 근접한 데이터 펄스 간의 인가시점간의 시간차를 2Δt로 한다. 여기서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 ts와 가장 근접한 데이터 펄스 간의 인가시점간의 시간차는 한정된 어드레스 기간의 시간을 고려할 때 10나노초(ns)이상이고 1000나노초(ns)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에 따른 어느 하나의 스캔 펄스폭의 관점에서 고려하면 Δt는 소정의 스캔 펄스폭의 1/100배 이상 1배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스캔 펄스의 폭이 1㎲(마이크로초)라고 가정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인가시점간의 시간차이는 1㎲(마이크로초)의 1/100배, 즉 10나노초(ns) 이상 1㎲(마이크로초)의 1배, 즉 1000나노초(ns)이하의 범위를 갖는다.
또한, 이렇게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을 서로 다르게 하면서, 데이터 펄스 간의 인가시점 간의 시간차를 각각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즉, 어드레스 전극(X1~Xn)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을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다르게 하면서, 어드레스 전극(X1~Xn)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 간의 인가시점을 각각 서로 다르게 설정한다. 예를 들어,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을 ts라하고,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 ts와 가장 근접한 데이터 펄스 간의 인가시점간의 시간차를 Δt라 하면,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 ts와 그 다음 근접한 데이터 펄스 간의 인가시점의 차이를 3Δt로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스캔 전극(Y)에 스캔 펄스가 인가되는 시점이 0나노초라고 하면, 어드 레스 전극 X1에 10나노초(ns)의 시점에서 데이터 펄스가 인가된다. 이에 따라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어드레스 전극 X1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간의 시간차는 10나노초(ns)이다. 그리고 그 다음 어드레스 전극인 X2에는 20나노초(ns)의 시점에서 데이터 펄스가 인가되어, 전술한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어드레스 전극 X2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간의 시간차는 20나노초(ns)이고 이에 따라, 어드레스 전극 X1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과 어드레스 전극 X2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간의 시간차는 10나노초(ns)이다. 그리고 그 다음 어드레스 전극인 X3에는 40나노초(ns)의 시점에서 데이터 펄스가 인가되어 전술한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어드레스 전극 X3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간의 시간차는 40나노초(ns)이고, 이에 따라 어드레스 전극 X2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과 어드레스 전극 X3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간의 시간차는 20나노초(ns)이다. 즉,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어드레스 전극(X1~Xn)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을 서로 다르게 하면서 각각의 어드레스 전극(X1~Xn)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간의 인가시점간의 차이를 각각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각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어드레스 전극(X1~Xn)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간의 시간차 Δt는 10나노초(ns)이상이고 1000나노초(ns)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에 따른 어느 하나의 스캔 펄스폭의 관점에서 고려하면 Δt는 소정의 스캔 펄스폭의 1/100배 이상 1배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어드레스 기간에서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전과 이후 각각으로 어드레스 전극(X1~Xn)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을 설정하면 어드레스 전극(X1~Xn)으로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각 인가시점에서 패널의 정전용량을 통한 커플링을 감소시켜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으로 인가되는 파형의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노이즈 감소를 살펴보면 다음 도 8a 내지 도 8b와 같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동파형에 의해 감소되는 노이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를 살펴보면, 도 6에 비해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에 인가되는 파형의 노이즈가 상당부분 감소되었다. 이러한 노이즈를 도 8b에 보다 상세히 나타내었다. 이러한 노이즈가 감소된 이유는 모든 어드레스 전극(X1~Xn)에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동일한 시점에서 데이터 펄스를 인가하지 않고, 각각의 어드레스 전극(X1~Xn)에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각각 다른 시점에서 데이터 펄스를 인가하여 각 시점에서 패널의 정전용량(Capacitance)을 통한 커플링(Coupling)을 감소시킴으로써, 데이터 펄스가 급상승하는 시점에서는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에 인가되는 파형에 발생되는 상승노이즈를 감소시키고, 데이터 펄스가 급하강하는 시점에서는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에 인가되는 파형에 발생되는 하강노이즈를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스캔 펄스와 데이터 펄스가 오버랩핑(Overlapping)되는 기간인 Duration Time의 감소를 억제하여 어드레스 방전을 안정시킨다.
이에 따라 어드레스 기간에서 일어나는 어드레스 방전을 안정하게 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안정성 저하를 억제한다. 결국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 방전을 안정시킴으로써, 하나의 구동부로 패널 전체를 스캐닝(Scanning)하는 싱글 스캔(Single Scan) 방식을 적용 가능케 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모든 어드레스 전극(X1~Xn)에는 스캔 전극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서로 다른 시점에서 데이터 펄스가 인가되는 것이지만, 이와는 다르게 어드레스 전극(X1~Xn)들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어드레스 전극(X1~Xn) 중에서 적어도 둘 이상 (n-1)개 이하의 어드레스 전극과 동일한 시점에 인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제 2 실시예와 같다.
<제 2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어드레스 전극(X1~Xn)들을 4개의 어드레스 전극군으로 나눈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90)의 어드레스(X1~Xn)전극들을, 예컨대 Xa전극군(Xa1 ~ Xa(n)/4)(91), Xb전극군(Xb(n+1)/4 ~ Xb(2n)/4)(92), Xc전극군(Xc(2n+1)/4 ~ Xc(3n)/4)(93) 및 Xd전극군(Xd(3n+1)/4 ~ Xd(n))(97)으로 구분하고, 이렇게 어드레스 전극을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군으로 나눈 상태에서, 어드레스 기간에서 스캔 전극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전과 이후 각각에서 데이터 펄스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드레스 전극군에 각각 인가되도록 한다. 즉, 이렇게 구분한 각 어드레스 전극군 중 절반은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전에 데이터 펄스를 인가하고, 나머지의 어드레스 전극군에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후에 데이터 펄스를 인가한다. 또한, Xa전극군(91)에 속한 전극들(Xa1 ~ Xa(n)/4) 모두에는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서로 다른 시점에서 데이터 펄스를 인가하되, 전술한 Xa전극군(91)에 속한 전극들(Xa1 ~ Xa(n)/4)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은 모두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나머지 다른 전극군들(92, 93, 94)에 속한 전극들에는 Xa전극군(91)에 속한 전극들(Xa1 ~ Xa(n)/4)의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과 다른 시점에서 데이터 펄스를 인가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각 어드레스 전극군(91, 92, 93, 94)에 포함된 어드레스 전극의 개수를 동일하게 하였지만, 각 어드레스 전극군(91, 92, 93, 94)에 포함되는 어드레스 전극의 개수를 서로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어드레스 전극군의 개수도 조절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드레스 전극군의 개수는 최소 2개 이상부터 최대 어드레스 전극의 총 개수보다 작은 범위, 즉 2≤N≤(n-1)개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도 9에는 도면작성과 설명의 편의상 데이터 드라이버IC, 스캔 드라이버 IC 및 서스테인 보드가 각각 패널(90)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패널(90)의 어드레스 전극, 스캔 전극, 서스테인 전극들과 연결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지만, 데이터 드라이버IC, 스캔 드라이버 IC 및 서스테인 보드는 패널(90)과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4개의 어드레스 전극군으로 나누어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을 살펴보면 다음 도 10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동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동파형은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X1~Xn)을 도 9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군(Xa전극군, Xb전극군, Xc전극군 및 Xd전극군)으로 나누고, 이렇게 어드레스 전극을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군으로 나눈 상태에서, 어드레스 기간에서 스캔 전극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전과 이후 각각에서 데이터 펄스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드 레스 전극군에 각각 인가되도록 한다.
예컨대,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동방법에 따른 구동파형은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을 ts라 가정할 때 어드레스 전극(X1~Xn)을 포함하는 어드레스 전극군들의 배치 순서에 맞추어 Xa전극군에 포함된 어드레스 전극들((Xa1 ~ Xa(n)/4)에는 스캔 전극(Y)에 스캔 펄스가 인가되는 시점 보다 2Δt만큼 앞선 시점 즉, 시점 ts-2Δt에서 데이터 펄스가 인가된다. 또한, Xb전극군에 포함된 어드레스 전극들(Xb(n+1)/4 ~ Xb(2n)/4)에는 스캔 전극(Y)에 스캔 펄스가 인가되는 시점 보다 Δt만큼 앞선 시점 즉, 시점 ts-Δt에서 데이터 펄스가 인가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Xc전극군에 포함된 어드레스 전극들(Xc(2n+1)/4 ~ Xc(3n)/4)에는 시점 ts+Δt에서 데이터 펄스가 인가되고, Xd전극군에 포함된 어드레스 전극들(Xd(3n+1)/4 ~ Xd(n))에는 시점 ts+2Δt에서 데이터 펄스가 인가된다. 즉, 도 10a와 같이 어드레스 전극(X1~Xn)을 포함하는 각각의 Xa, Xb, Xc, Xd전극군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는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전 또는 이후에 인가된다.
여기 도 10에서는 예를 들어,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을 ts라하고,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 ts와 가장 근접한 데이터 펄스 간의 인가시점간의 시간차를 Δt라 하고,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 ts와 그 다음 근접한 데이터 펄스 간의 인가시점의 차이를 2Δt라 한다. 이러한 Δt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드레스 전극군에서는 어드레스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을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서로 다르게 하면서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군에 포함된 각각의 어드레스 전극(X1~Xn)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간의 인가시점간의 차이는 각각 서로 동일하게 한다. 이와는 다르게,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군에서 어드레스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을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서로 다르게 하면서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군별로 각각의 어드레스 전극군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간의 인가시점간의 차이는 각각 서로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즉,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 ts와 가장 근접한 데이터 펄스 간의 인가시점간의 시간차를 Δt라 하면,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 ts와 그 다음 근접한 데이터 펄스 간의 인가시점의 차이를 3Δt로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스캔 전극(Y)에 스캔 펄스가 인가되는 시점이 0나노초라고 하면, Xa전극군에 포함된 어드레스 전극들에 10나노초(ns)의 시점에서 데이터 펄스가 인가된다. 이에 따라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Xa전극군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간의 시간차는 10나노초(ns)이다. 그리고 그 다음 어드레스 전극군인 Xb전극군에 포함된 어드레스 전극들에는 20나노초(ns)의 시점에서 데이터 펄스가 인가되어, 전술한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Xb전극군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간의 시간차는 20나노초(ns)이고 이에 따라, Xa전극군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과 Xb전극군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간의 시간차는 10나노초(ns)이다. 그리고 그 다음 어드레스 전극군인 Xc전극군에 포함된 어드레스 전극들에는 40나노초(ns)의 시점에서 데이터 펄스가 인가되어 전술한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Xc전극군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간의 시간차는 40나노초(ns)이고, 이에 따라 Xb전극군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과 Xc전극군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간의 시간차는 20나노초(ns)이다. 즉,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각 어드레스 전극군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을 서로 다르게 하면서 각각의 어드레스 전극군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간의 인가시점간의 차이를 각각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한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군에 따른 데이터 펄스간의 인가시점의 차이는 한정된 어드레스 기간의 시간을 고려할 때 10나노초(ns)이상이고 1000나노초(ns)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에 따른 어느 하나의 스캔 펄스폭의 관점에서 고려하면 Δt는 소정의 스캔 펄스폭의 1/100배 이상 1배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을 ts라할 때,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군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간의 관계와는 상관없이,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 ts와 그 ts에 가장 근접한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 간의 차이는 하나의 서브필드 내에서 각각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러한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가장 근접한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 간의 차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한정된 어드레스 기간의 시간을 고려할 때 10나노초(ns)이상이고 1000나노초(ns)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즈 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에 따른 어느 하나의 스캔 펄스폭의 관점에서 고려하면 Δt는 소정의 스캔 펄스폭의 1/100배 이상 1배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어드레스 기간에서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전과 이후로 각 어드레스 전극군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을 설정하면 도 8과 같이 어드레스 전극(X1~Xn)을 포함하는 각 어드레스 전극군으로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각 인가시점에서 패널의 정전용량을 통한 커플링을 감소시켜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으로 인가되는 파형의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또한, 스캔 펄스와 데이터 펄스가 오버랩핑(Overlapping)되는 기간인 Duration Time의 감소를 억제하여 어드레스 방전을 안정시킨다.
이에 따라 어드레스 기간에서 일어나는 어드레스 방전을 안정하게 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안정성의 효율의 감소를 억제한다. 결국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 방전을 안정시킴으로써, 하나의 구동부로 패널 전체를 스캐닝(Scanning)하는 싱글 스캔(Single Scan) 방식을 적용 가능케 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하나의 서브필드 내에서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간의 시간차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다르게 하나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어드레스 전극(X1~Xn) 또는 어드레스 전극군(Xa, Xb, Xc, Xd)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을 서로 다르게 하면서 각각의 서브필드별로 어드 레스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 간의 인가시점의 차이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동파형을 살펴보면 다음 제 3 실시예와 같다.
<제 3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동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동파형은 동일한 서브필드에서는 어드레스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 간의 시간차이는 모두 동일하고 또한, 어드레스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은 스캔 전극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전과 이후로 서로 다르고, 한 프레임 내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브필드에서는 어드레스 기간에서 어드레스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 간의 인가시점간의 시간차이는 다른 서브필드에서의 상기 어드레스 기간에서 어드레스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 간의 인가시점 간의 시간차이와 서로 다르다. 예를 들면, 하나의 프레임에서 제 1 서브필드에서는 어드레스 전극(X1~Xn)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을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서로 다르게 하면서, 어드레스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 간의 인가시점 간의 시간차이는 Δt로 설정한다. 또한, 제 2 서브필드에서는 제 1 서브필드와 마찬가지로 어드레스 전극(X1~Xn)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을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 스의 인가시점과 서로 다르게 하면서, 어드레스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 간의 인가시점 간의 시간차이는 2Δt로 설정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어드레스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 간의 인가시점 간의 시간차이를 3Δt, 4Δt 등으로 하나의 프레임에 포함된 각각의 서브필드별로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동파형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에서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과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을 서로 다르게 하면서 각각의 서브필드별로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을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전후로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 1 서브필드에서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을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전과 후로 설정하고, 제 2 서브필드에서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을 모두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전으로 설정하고, 제 3 서브필드에서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을 모두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동파형을 도 11의 D, E, F 영역을 이용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 도 12a 내지 도 12c와 같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11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동파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12a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구동방법에 따른 구동파형은 예를 들어, 제 1 서브필드에서는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을 ts라 가정할 때 도 11의 D영역에서는 어드레스 전극(X1~Xn)의 배치 순서에 맞추어 어드레스 전극 X1에는 스캔 전극(Y)에 스캔 펄스가 인가되는 시점 보다 2Δt만큼 앞선 시점 즉, 시점 ts-2Δt에서 데이터 펄스가 인가된다. 또한, 어드레스 전극 X2에는 스캔 전극(Y)에 스캔 펄스가 인가되는 시점 보다 Δt만큼 앞선 시점 즉, 시점 ts-Δt에서 데이터 펄스가 인가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X(n-1)전극에는 시점 ts+Δt에서 데이터 펄스가 인가되고, Xn전극에는 시점 ts+2Δt에서 데이터 펄스가 인가된다. 즉, 제 1 서브필드에서, 즉 도 11의 D영역에서는 데이터 펄스간의 인가시점간의 차이는 제 1 서브필드 내에서 Δt로 동일하다.
도 12b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구동파형은 도 11의 E영역에서는 어드레스 전극(X1~Xn)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이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다르고, 또한 데이터 펄스간의 인가시점간의 차이는 2Δt이다. 즉, 제 4 서브필드, 즉 도 11의 E영역에서는 데이터 펄스간의 인가시점간의 차이는 제 1 서브필드에서의 데이터 펄스간의 인가시점간의 차이와 서로 다르고, 또한 제 4 서브필드 내에서는 데이터 펄스간의 인가시점간의 차이는 2Δt로 동일하다.
도 12c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구동파형은 도 11의 F영역에서는 어드레스 전극(X1~Xn)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이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다르고, 또한 데이터 펄스간의 인가시점간의 차이는 3Δt이다. 즉, 제 6 서브필드, 즉 도 11의 F영역에서는 데이터 펄스간의 인가시점간의 차이는 제 1 서브필드 또는 제 4 서브필드에서의 데이터 펄스간의 인가시점간의 차이와 서로 다르고, 또한 제 6 서브필드 내에서는 데이터 펄스간의 인가시점간의 차이는 3 Δt로 동일하다.
이와 같이 각 서브필드별로 어드레스 기간에서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어드레스 전극(X1~Xn)에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을 상이하게 하면 어드레스 전극(X1~Xn)으로 인가되는 데이터 펄스의 각 인가시점에서 패널의 정전용량을 통한 커플링을 감소시켜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으로 인가되는 파형의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또한, 스캔 펄스와 데이터 펄스가 오버랩핑(Overlapping)되는 기간인 Duration Time의 감소를 억제하여 어드레스 방전을 안정시킨다.
이에 따라 어드레스 기간에서 일어나는 어드레스 방전을 안정하게 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안정성 저하를 억제한다. 결국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 방전을 안정시킴으로써, 하나의 구동부로 패널 전체를 스캐닝(Scanning)하는 싱글 스캔(Single Scan) 방식을 적용 가능케 한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이상에서는 모든 어드레스 전극(X1~Xn)에 스캔 펄스가 인가되는 시점과 다른 시점에서 데이터 펄스를 인가하거나, 모든 어드레스 전극을 배치 순서에 따라 동일한 어드레스 전극의 개수를 가지는 4개의 전극군으로 나누고 각 전극군 별로 스캔 펄스가 인가되는 시점과 서로 다른 시점에서 데이터 펄스를 인가하는 방법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다 르게 모든 어드레스 전극(X1~Xn) 중에서 홀수번째 어드레스 전극들을 하나의 전극군으로 설정하고, 짝수번째 어드레스 전극들을 다른 하나의 전극군으로 설정하여 동일한 전극군내의 모든 어드레스 전극에는 동일한 시점에서 데이터 펄스를 인가하고, 각각의 전극군의 데이터 펄스 인가시점을 스캔 펄스가 인가되는 시점과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어드레스 전극의 개수를 가지는 복수의 전극군으로 어드레스 전극들(X1~Xn)을 구분하여 각 전극군별로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서로 다른 시점에서 데이터 펄스가 인가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을 ts라고 가정할 때 어드레스 X1전극에는 시점 ts+Δt에서 데이터 펄스를 인가하고, 어드레스 전극 X2~X10 전극에는 ts+3Δt에서 데이터 펄스를 인가하고, 어드레스 전극 X11~Xn전극에는 ts+4Δt에서 데이터 펄스를 인가하는 등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드레스 기간에서 스캔 전극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전과 이후 각각에 어드레스 전극에 데이터 펄스가 인가되도록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을 조절하여,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에 인가되는 파형의 노이즈를 감소시켜 어드레스 방전을 안정시킴으로써, 패널의 구동을 안정시켜 구동안정성 저하를 억제함으로써 구동효율을 높인다.

Claims (12)

  1. 리셋 기간, 어드레스 기간 및 서스테인 기간에 어드레스 전극(X1~Xn)(n은 양의 정수),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에 소정의 펄스가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필드의 조합에 의하여 소정의 개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화상을 표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전극을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군으로 나누고, 상기 어드레스 기간에서 상기 스캔 전극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전과 이후 각각에서 데이터 펄스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어드레스 전극에 각각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전에 데이터 펄스가 인가되는 어드레스 전극의 개수와 상기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의 이후에 데이터 펄스가 인가되는 어드레스 전극의 개수는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전극군의 개수는 2개 이상이고, 상기 어드레스 전극의 총 개 수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전극군은 1개 이상의 상기 어드레스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전극군은 모두 동일한 개수의 상기 어드레스 전극을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에서 상이한 개수의 상기 어드레스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전극군에 포함된 모든 어드레스 전극에는 상기 데이터 펄스를 동일한 시점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필드 내에서 상기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상기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가장 근접한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 간의 차이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필드 내에서 상기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상기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가장 근접한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 간의 차이는 10ns 이상 1000n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필드 내에서 상기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상기 스캔 펄스의 인가시점과 가장 근접한 데이터 펄스의 인가시점 간의 차이는 소정 스캔 펄스폭의 1/100배 이상 1배 이하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펄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펄스는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데이터 펄스들과 인가시점이 다르고, 상이한 시점에 인가되는 두 개의 상기 데이터 펄스의 인가 시점 간의 차이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이한 시점에 인가되는 두 개의 상기 데이터 펄스 간의 인가 시점의 차이는 10ns 이상 1000n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이한 시점에 인가되는 두 개의 상기 데이터 펄스 간의 인가 시점의 차이는 소정 스캔 펄스폭의 1/100배 이상 1배 이하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1020040100093A 2004-12-01 2004-12-0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00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093A KR100800435B1 (ko) 2004-12-01 2004-12-0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EP05025984A EP1667097A3 (en) 2004-12-01 2005-11-29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5344357A JP2006154828A (ja) 2004-12-01 2005-11-29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11/289,606 US7649508B2 (en) 2004-12-01 2005-11-30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093A KR100800435B1 (ko) 2004-12-01 2004-12-0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189A KR20060061189A (ko) 2006-06-07
KR100800435B1 true KR100800435B1 (ko) 2008-02-04

Family

ID=37157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0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800435B1 (ko) 2004-12-01 2004-12-0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4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2948A (ja) 2000-03-23 2001-10-05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3122295A (ja) 2001-10-17 2003-04-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2948A (ja) 2000-03-23 2001-10-05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3122295A (ja) 2001-10-17 2003-04-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189A (ko)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553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JP4443998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10077490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82063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방법
KR10077487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77490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US20060256042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72664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73822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60366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방법
KR10080043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77487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72695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60227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방법
KR10070528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57993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57932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74727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7008770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 패널의 구동 장치 및구동 방법
KR10072729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06008677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2006008161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방법
KR2006006538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JP200713329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200704147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PJ1301 Trial decis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5-crt-PJ1301

Decision date: 20071129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 Appeal Kind Category :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Ground Text : 2004 0100093

Appeal request date: 20070102

Appellate body name: Patent Examination Board

Decision authority category: Office appeal board

Decision identifier: 2007101000050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S090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S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012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129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