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6217B1 - 지폐수납기구 - Google Patents

지폐수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217B1
KR100796217B1 KR1020060040430A KR20060040430A KR100796217B1 KR 100796217 B1 KR100796217 B1 KR 100796217B1 KR 1020060040430 A KR1020060040430 A KR 1020060040430A KR 20060040430 A KR20060040430 A KR 20060040430A KR 100796217 B1 KR100796217 B1 KR 100796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ill
shutter
storage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0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4951A (ko
Inventor
아츠시 이시카와
쿠니유키 타나카
신이치 마츠야마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4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4Pile receivers multiple or compartmented, e.d. for alternate, programmed, or selective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2Pile receivers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09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dropping, e.g. removing the pile support from under the pi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009Deposit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6Delivering, advancing piles
    • B65H2301/42261Delivering, advancing piles by dr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5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3Compartmented support
    • B65H2405/332Superpose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7/00Mea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220/00 – B65H2406/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65H2407/30Means for preventing damage of handled material, e.g. by controlling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수납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지폐 수납 기구는 계수 처리를 실시하는 상부 유니트와 지폐를 보관하는 하부 유니트로 구성하고 상부 유니트에 입금하는 지폐를 일시 집적하는 일시 보유부에 설치된 개폐 가능한 일시 보유 트레이와 하부 유니트에 있어서는 금고 형상의 피복 부재로 덮음과 동시에 개폐 가능한 세큐리티용의 셔터를 설치하고 또한 입금하는 지폐를 접수하는 지폐 보관고에 설치된 자동 혹은 수동으로 개폐 가능한 지폐 보관고셔터를 배치하여 이용자의 금액 승인의 상황에 따라 셔터의 개폐를 실시해 방범성을 유지해 현금의 관리를 엄밀하게 실시할 수가 있는 현금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폐수납기구{BANK BILL STORING MACHINE}
도 1은 지폐 입금기(지폐 수납 기구)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지폐 수납 기구를 탑재하는 입금기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지폐 수납 기구의 일시 보유부 ·지폐 카셋트 상부의 상세 측면도이다.
도 4는 지폐 카셋트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지폐 수납 기구의 입금 수납 처리의 개략의 흐름을 나타내는 동작 플로우 챠트이다.
본 발명은 투입된 지폐를 1매씩 반출 해 판별 결과에 의해 일시 보유부 리젝트 수납부에 반송한 후 일시 보유한 지폐를 지폐 보관고로 수납 및 이용자에게 반환하는 지폐 반송/수납 기술에 관한다.
소매점등의 점포내에 설치해 그 점포의 매상을 입금하는 입금기 등에 탑재되 고 있는 지폐 수납 기구는 통상 지폐 투입부에 투입되는 지폐를 1매씩 반출해 식별 결과에 의해 일시 보유부· 리젝트 수납부에 반송한 후 일시 보유한 지폐를 지폐 보관고에 수납 및 이용자에게 반환하는 기구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은 일시 보유한 지폐를 지폐 보관고에 수납하는 구성을 개시하지만 입금하는 지폐를 일시 집적하는 일시 보유부와 입금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보관부를 전면에 배치하고 있게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2001-67526호 공보
종래는 지정된 금액만을 입금 처리하는 구성이지만 장치를 구성하는 부위에 관해서는 입금하는 지폐를 집적하는 일시 보유부를 상부 유니트에 입금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보관부를 하부 유니트에 배치해 일시 보유부에 설치된 보유 트레이를 여는 것으로 상부 유니트와 하부 유니트를 연결하는 구성이 되어 있다. 그러나 본구성에 의하면 일시 보유부에 집적된 지폐를 수납부에 보내기 위해서는 수납부 상부는 항상 오픈 상태로 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방범상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의 금액 승인의 상황에 따라 셔터의 개폐를 실시하고 방범성을 유지해 현금 관리를 엄밀하게 실시할 수가 있는 현금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지폐 수납 기구는 계수 처리를 실시하는 상부 유니트와 지폐를 보관하는 하부 유니트로 구성해 상부 유니트에 입금하는 지폐를 일시 집적하는 일시 보유부에 설치된 개폐 가능한 일시 보유 트레이와 하부 유니트에 있어서 는 금고 형상의 피복 부재로 덮음과 동시에 개폐 가능한 세큐리티용의 셔터를 설치하고 또한 입금하는 지폐를 접수하는 지폐 보관고에 설치된 자동 혹은 수동으로 개폐 가능한 지폐 보관고 셔터를 배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일시 보유부에 설치된 보유 트레이와 세큐리티용의 셔터 및 지폐 보관고 셔터를 다른 구동원으로 함으로써 방범성을 높인 구성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지폐 수납 기구를 탑재하는 입금기 (1)을 나타낸다. 이 입금기 (1)은 소매점이나 음식점 등의 점포내에 설치되어 매상금 등 지폐 또는 경화를 입금 보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수납 장치이기도 하다. 입금기 (1)은 주로 지폐·경화의 계수 처리를 실시하는 현금 처리 기구부 (2, 단지 반송 유니트 (11)이라고도 말한다)와 계수가 종료한 지폐·경화를 수납하는 보관부 (3)으로 구성된다. 보관부 (3)은 예를 들면 금고이고 시정 가능한 문을 개폐해 그 중에 지폐 카셋트 (61)나 경화 카셋트 (61')를 수용하는 구성이고 현금을 수납한 카셋트 (61·61')의 방범을 확보하고 있다. 본체 제어부(단지 제어부,7)는 CPU 메모리 등의 하드 구성으로부터 이루어지고 후술의 반송 유니트 (11)내에서의 지폐 반송 지폐 카셋트 (61)의 셔터 등을 제어한다. 또한 각 입구 (22),32,42는 도 1에서 설명한다.
또 보관부 (3)에 금고와 동등의 방범성을 갖게 하고 있다. 즉 지폐나 경화를 수납한 지폐 카셋트 (61)이나 경화 카셋트 (61')를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문을 구비한 금고 형상의 보관부 (3)내에 수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본 실시예에 관련하는 입금기의 운용 형태에 의한다. 이하에 그 이유를 설명한다.
통상 금융기관 등에 설치된 자동 거래 장치(ATM)를 조작하는 사람에게는 입출금을 실시하는 이용자 금고내에 지폐를 모으고 또는 취출하는 관계자 및 보수를 실시하는 보수원과 같이 각각 ATM을 취급하는 권한이 나눠져 있다. 이용자는 입출 금구에 입금 지폐를 투입하고 또는 출금되는 지폐를 수취하는 것만이고 ATM내에 발생한 잼 상태의 지폐를 취급할 수가 없다. 이것에 대해서 관계자는 ATM내에 있는 지폐 전체를 취급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지폐의 잼이 발생한 ATM에서는 잼이 된 지폐는 거래의 진행 상태(금액의 승인 유무등)에 따라 관계자가 이용자의 소유물인가 장치의 소유물인가의 판별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이용자는 ATM의 외부로부터 밖에 조작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잼 등의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서도 ATM내의 지폐에는 손대지 못하고 ATM 내부의 지폐의 취급은 관리 책임이 있는 관계자에만 한정되어 이와 같이 하여 지폐의 세큐리티가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입금기(장치)의 경우에는 장치의 설치 조건 예를 들면 편의점의 점포내에 설치되는 등의 조건으로부터 금융기관의 관계자는 장치의 가까운 곳에는 없다. 이 때문에 입금 금액의 승인이 끝나기 전에 잼등의 장해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이용자가 잼으로 멈춘 장치 내부의 지폐를 취급하기 때문에 장치 내부에 있어서 이용자의 소유물과 장치의 소유물을 구조적으로 확실히 구별할 필요가 있다.
거기서 이용자의 승인이 완료한 지폐가 수납되고 있는 지폐 카셋트 (61)을 엄밀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지폐 카셋트 (61)을 금고인 보관부 (3)내에 수납해 자물쇠를 채운다. 이 결과 이용자는 금액의 승인전의 지폐에 대해서는 잼 등으로 장치 내부에서 멈춘 지폐는 반송 유니트 (11)으로부터 간단하게 취출할 수가 있다. 그러나 승인이 완료해 지폐 카셋트 (61)에 수납한 지폐에 손대는 것은 할 수 없다. 승인이 완료한 지폐를 손댈 수가 있는 것은 지폐 카셋트를 꺼내기 위한 열쇠를 가진 금융기관의 관계자만으로 이루어져 장치의 소유물인 지폐 카셋트 (61)내의 지폐의 방범성이 유지된다.
다음에 도 1; 도 3; 도 4를 참조해 입금기 (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도 2의 현금 처리 기구부 (2)와 지폐 카셋트 (61)의 내부 구성을 도시해 경화 카셋트 (61')를 생략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유니트 (11)의 전면에는 입금하는 지폐를 삽입하는 지폐 투입구 (22)와 리젝트된 지폐를 취출하는 리젝트 취출구 (32); 반환된 지폐를 취출하는 반환구 (42)를 배치한다. 지폐 투입구 (22); 리젝트 취출구 (32) 및 반환구 (42)의 안쪽에는 상면·하면·좌면·우면·내면을 도시하지 않는 규제판에 의해 지폐 사이즈에 맞춘 치수로 형성하는 지폐 접수부 (21)·리젝트 수납부 (31) 및 일시 보유부 (41)을 배치하고 있다. 또 리젝트 취출구 (32)와 반환구 (42)는 각각 도어 (33)과 반환도어 (43)을 갖고 도어 (33)은 수동으로 개폐를 실시하고 반환도어 (43)은 도시하지 않는 전자 잠금에 의해 임의로 타이밍 이외는 열 수 없게 잠금을 거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반환구 (42)에 배치한 반환도어 (43)은 외면을 금속성의 피복 부재로 완전하게 덮는 반환도어 (43)을 자동으로 열리는 것으로 일시 보유부 (41)에 집적한 지폐의 취득이 가능해진다.
지폐 투입구 (22)로부터 투입된 지폐는 지폐 접수부 (21)으로부터 계속 내보내 롤러에서 계속 반출되고 추출 반송로 (51)을 반송시켜 지폐 판별부 (5)에서 지 폐의 금종 진위가 판별된다. 이 판별에서 리젝트 지폐는 리젝트 수납부 (31)에 올바른 지폐는 일시 보유부 (41)에 각각 반송된다. 즉 판별 반송로 (52)상의 전환 게이트 (55)에서 교체되어 각각 리젝트 반송로 (53) ·보유 반송로 (54)를 통하여 각각 수납된다.
도 3은 일시 보유부 (41)과 지폐 카셋트 (61)의 상부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 중 일시 보유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일시 보유부 (41)은 일시 보유부 (41)의 입구에 하부 이송 롤러 (48)과 상부 이송 롤러 (49)를 배치해 지폐를 일시 보유부 (41)내에 이송한다. 상하 이송 롤러에 의해 일시 보유부 (41)에 이송된 지폐 (S1)의 선단이 스토퍼 (44)에 충돌하면 지폐 후단을 탄성체의 시트를 방사 형상으로 배치한 보유 수납 롤러 (46)으로 아래쪽으로 눌러 지폐를 보유 트레이 (45) 위에 집적한다. 또 복수매의 지폐를 수납할 때에는 보유 트레이 (45) 위에 집적한 집적이 끝난 지폐 (S) 위에 차례차례 집적해 나간다. 집적이 완료한 후 집적이 끝난 지폐 (S)를 수납하는 경우에는 수납 동작 동안 일시 보유부 (41)의 상부에 퇴피 위치 (47a)에 퇴피하고 있던 수납 레버 (47)을 집적이 끝난 지폐 (S)위에 강하 하고(47b) 자중 혹은 탄성력에 의해 집적이 끝난 지폐 (S)를 위로부터 누른 상태인 채 보유 트레이 (45)가 지폐를 집적하는 위치 (45a)로부터 도시하지 않는 보유 트레이의 구동 모터에 의해 퇴피 위치 (45b)의 위치로 이동한다.
지폐 판별부 (5)에 의한 지폐 계수가 완료해 그것을 이용자가 승인하면 집적이 끝난 지폐 (S)를 수납 레버 (47)의 압박력에 의해 하부의 (47c)의 위치까지 하 강해 지폐를 지폐 카셋트 (61)의 내부까지 낙하시킨다. 이 지폐 낙하 동작에 있어서 수납 레버 (47)을 지폐의 낙하에 대해서 추종시키는 것으로 지폐의 낙하시 수납 레버 (47)의 힘이 항상 지폐에 걸리기 때문에 지폐의 걸림이나 경사지게 낙하하는 것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낙하 불량을 방지해 안정된 지폐 낙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지폐의 계수가 완료한 후 이용자가 반환을 선택하면 반환도어 (43)의 잠금 기구를 해제하여 탄성력등에 의해 반환도어 (43)을 자동으로 오픈함과 동시에 스토퍼 (44)도 반환도어 (43)와 연동하여 넘어뜨리는 것으로 일시 보유부 (41)내의 집적이 끝난 지폐 (S)를 이용자가 취출 가능한 상태로 하여 집적이 끝난 지폐 (S)의 반환을 실시한다.
다음에 지폐 카셋트 (61)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 3에 도시하는 바와 가지폐 카셋트 (61)을 반송 유니트 (11)의 아래쪽 전면에 배치하고 있다. 또 지폐 카셋트 (11)은 장치측의 장전부 (64)에 세트 하면 잠금 기구 (63)에 의해 고정되지만 잠금 기구 (63)의 잠금 해제에 의해 분리가 가능한 탈착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지폐 카셋트 (61)은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면에 자동 내지 수동으로 개폐 가능한 지폐 보관고 셔터 (65)를 가지고 있다. 지폐 보관고셔터 (65)는 지폐 카셋트 (61)을 분리한 상태에서는 카셋트내의 잠금에 의해 열리지 않지만 지폐 카셋트 (61)을 장전부 (64)에 세트 하면 상기 잠금이 해제되고 자동 내지 수동으로 여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지폐 카셋트 (61)은 장전부 (64)에 세트하고 지폐 보관고셔터 (65)를 여는 것으로 상면으로부터 보관부 (66)에 지폐를 수납한다. 도 1, 3 의 도시와 같이 보관부 (66)에 설치한 상하 방향으로 가동하는 지폐 수납대 (62) 위에 지폐를 세로로 쌓아올려 수납한다. 또 지폐 카셋트 (61)은 지폐 보관고셔터 (65)를 닫고 보관부 (64)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는 상하면·좌우면·전후면이 닫힌 상태가 되어 금고성을 확보할 수 있고 손잡이 (67)을 가지는 것으로 운반이 용이하게 된다. 지폐 카셋트 (61)은 분리 상태일 때 전면 도어 (68)을 여는 것으로 보관부 (66)이 크게 열리고 보관부 (66)에 수납한 지폐의 취득이 용이하고 지폐의 회수 작업을 신속히 실시할 수 있다.
또 도 1, 3에 있는 바와 같이 반송 유니트 (11)과 지폐 카셋트의 사이에는 세큐리티 셔터 (71)을 배치하고 있다. 세큐리티 셔터 (71)은 전후방향에 슬라이드로 개폐 동작을 실시해 열린 상태에서는 반송 유니트 (11)의 일시 보유부 (41)에서 일시 보유한 지폐를 지폐 카셋트 (61)로 전달할 수가 있다. 반대로 세큐리티 셔터 (71)이 닫힌 상태시에는 지폐 카셋트 (61)의 상부를 덮고 지폐 카셋트 (61)은 세큐리티 셔터 (71)과 입금기 (1)의 현금처리기구부 (2)에 덮혀 세큐리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세큐리티 셔터 (71)은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동작해 자동으로 개폐 동작을 실시해 반송 유니트 (11)으로부터 지폐 카셋트 (61)에 지폐를 전달할 때만 열린 상태로 한다는 임의의 타이밍에서의 개폐 관리가 가능하다.
지폐 입금기(지폐 수납 기구)는 이용자에 의해 지폐 접수부 (21)에 세트된 지폐를 계수하는 계수 처리 기능과 계수 한 결과 이용자의 승인의 바탕으로 지폐 카셋트 (61)에 수납하는 입금 수납 처리를 가진다. 이 수납 처리의 동작을 도 8의 플로우도를 이용해 도 1, 3에 의해 설명한다.
입금 수납 처리는 이용자가 입금하는 지폐를 지폐 투입구 (22)로부터 지폐를 투입해 지폐를 계수 후 일단 보유부 (41)에 집적해 이용자는 표시부의 계수 결과를 확인해 계수 한 지폐의 입금을 실시할지 취소를 할지의 선택을 실시한다(스텝 S111). 계수 한 지폐의 입금을 실시하는 경우(스텝 S11la) 승인 키를 누르는 것으로써(스텝 S112) 본체 제어부 (7)로부터의 수납 처리 지시에 의해 수납 동작을 시작한다(스텝 S113~S126).
지폐 수납 기구 (10)은 지폐 보관고셔터 (65)를 자동 또는 수동에서 (65b)의 위치에서 열린 상태로 두고(스텝 S113) 지폐 수납대 (62)를 세큐리티 셔터 (71)의 바로 아래까지 상승 대기시켜 두고(스텝 S114) 세큐리티 셔터 (71)을 (71a)의 위치로부터 (71b)의 위치에 이동시킨다(스텝 S115). 이 때 지폐보관고셔터 (65) 및 세큐리티 셔터 (71)에 연동하는 지폐 수납부 (61)에 설치된 지폐 수납 가이드 (69)가 기립한다(스텝 S116).
다음에 수납 레버 (47)을 일시 보유부 (41)에 집적한 지폐 (S)위에 강하시킨 후(스텝 S117) 지폐 수납대 (62)를 보유 트레이 (45) 바로 아래까지 상승시키고(스텝 S118) 보유 트레이 (45)를 (45a)위치로부터 (45b)위치에 이동시킨다(스텝 S119). 이것에 의해 지폐를 지폐 수납대 (62)에 전달한다(스텝 S120). 수납 레버 (47)이 지폐를 누른 채로(47b·47c) 지폐 수납대 (62)를 세큐리티 셔터 (71) 바로 아래까지 강하시키고(스텝 S121) 지폐 카셋트 (61)내에 수납한다. 지폐 카셋트 (61)로의 수납 동작이 종료하면 수납 레버 (47)을 (47a)에 퇴피한 후(스텝 S122) 세큐리티 셔터 (71)을 (71b)위치로부터 (71a)위치까지 이동시킨다(스텝 S123). 이 때 세큐리티 셔터 (71)에 연동하는 지폐 수납 가이드 (69)가 점선에 있는 바와 같이 넘어지고 지폐 (S)를 상부로부터 누른다(스텝 S124). 또한 지폐 보관고셔터 (65)를 폐동작시키고(스텝 S125) 일시 보유부의 보유 트레이 (45)가 (45b)에서 (45a)위치까지 이동한다(스텝 S126). 그리고 수납 금액을 표시부에 표시해(스텝 S127) 입금 수납 처리를 종료한다.
또 계수 한 지폐의 반환을 선택하는 경우(스텝 S11lb) 이용자는 조작부의 취소 키를 누른다(스텝 S131). 본체 제어부 (7)의 지시에 의해 반환도어 (43)을 자동으로 열려 이용자가 일시 보유부 (41)에 집적한 지폐를 취출 가능한 상태로 해(스텝 S132) 이용자가 지폐를 꺼내 반환도어 (43)을 수동으로 닫으면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133).
이와 같게 본 발명의 지폐 수납 기구는 견고한 방범성을 고려한 다음 확실한 입금 수납 동작을 실현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의 설명이기도 하지만 세큐리티 셔터 (71)의 개폐 동작에 따라 지폐 수납 가이드 (69)가 연동해 실선 점선과 같이 기립 넘어지는것도 특징의 1개이다. 또 보유 트레이 (45) ·세큐리티 셔터 (71) ·지폐 보관고 셔터 (65)의 각각 독립에 구동하는 것도 특징의 하나이다.
이상의 설명에 의하면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카셋트 (61)을 보관부 (3)내에 장전 해 또한 지폐를 카셋트에 수납할 때 이외는 세큐리티 셔터 (71)를 닫은 상태로 하고 있다. 또 지폐 보관고셔터 (65)에 자동 개폐 기구를 설치하는 것으로 현금 관리의 방범성이 확보된다. 지폐의 수납 동작시 이외의 대기 상태에서는 금고로서의 보관부 (3)의 기능과 세큐리티 셔터 (71)가 닫힌 상태에 의해 지폐를 엄밀하게 보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보관부 (3)의 시정권한을 가지는 상위 관리자나 경비 보장 회사 이외의 이용자(예를 들면 점원)가 보관부 (3) 및 지폐 카셋트 (61)내의 지폐를 취출하는 것이 불가능이 된다. 이것에 의해 현금의 방범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세큐리티 셔터 (71) 및 지폐보관고셔터 (65)에 연동하는 지폐수납 가이드 (69)를 설치하는 것으로 확실한 수납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폐 수납부상부에 세큐리티 셔터를 설치하는 것으로 지폐를 수납하는 하부 유니트를 금고 형상으로 피복 부재로 덮어 개폐 기구를 지폐 수납 동작 이외는 닫은 상태로 할 수가 있다.
또 이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피복 부재로 덮힌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용자가 승인한 것과 수납되어 관리 책임을 가지게 된 지폐를 엄밀하게 보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시정권리를 가지는 상위 관리직자나 경비보장 회사 이외의 이용자가 보관 창고내의 지폐를 취출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할 수 있는 방범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2)

  1. 지폐 투입구에 투입된 지폐를 지폐 보관부에 수납하는 지폐 수납 기구에 있어서,
    입금된 지폐를 보유 트레이상에 일시 집적하는 일시 보유부와,
    상기 일시 보유부에 집적된 지폐를 개구부로부터 수납하고 해당 개구부에 설치된 지폐 보관고셔터를 구비하는 지폐 보관고와,
    상기 일시 보유부와 상기 지폐 보관고를 구분짓는 세큐리티 셔터와 제어부를 갖고,
    상기 일시 보유부에 집적된 지폐를 상기 지폐 보관고에 수납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유 트레이 및 상기 지폐 보관고셔터 및 상기 세큐리티 셔터를 오픈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납 기구.
  2. 청구항 1 기재의 지폐 수납 기구에 있어서,
    상기 일시 보유부는 일시 보유부의 입구에 하부 이송 롤러와 상부 이송 롤러 를 배치하고 지폐를 일시 보유부내에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납 기구.
  3. 청구항 2 기재의 지폐 수납 기구에 있어서,
    상기 일시 보유부는 상부 이송 롤러 및 하부 이송 롤러에 의해 일시 보유부 에 이송된 지폐의 선단이 스토퍼에 충돌하면 지폐 후단을 탄성체의 시트를 방사 형상에 배치한 보유 수납 롤러로 아래쪽으로 눌러 지폐를 보유 트레이 위에 집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납 기구.
  4. 청구항 1 기재의 지폐 수납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유 트레이와 상기 세큐리티 셔터의 개폐를 별도로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납 기구.
  5. 청구항 2 기재의 지폐 수납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유 트레이와 상기 세큐리티 셔터의 개폐를 별도로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납 기구.
  6. 청구항 3 기재의 지폐 수납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유 트레이와 상기 세큐리티 셔터의 개폐를 별도로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납 기구.
  7. 청구항 1 기재의 지폐 수납 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폐 보관고는 지폐 수납 가이드와 상하로 이동하고 지폐를 집적하는 지폐 수납대를 갖고,
    상기 세큐리티 셔터가 열린 상태에 연동하여 상기 지폐 수납 가이드는 기립 하고,
    상기 세큐리티 셔터가 닫힌 상태에 연동하여 상기 지폐 수납대에 집적된 지폐의 상단을 누르도록 쓰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납 기구.
  8. 청구항 2 기재의 지폐 수납 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폐 보관고는 지폐 수납 가이드와 상하로 이동하고 지폐를 집적하는 지폐 수납대를 갖고,
    상기 세큐리티 셔터가 열린 상태에 연동하여 상기 지폐 수납 가이드는 기립하고,
    상기 세큐리티 셔터가 닫힌 상태에 연동하여 상기 지폐 수납대에 집적된 지폐의 상단을 누르도록 쓰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납 기구.
  9. 청구항 3 기재의 지폐 수납 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폐 보관고는 지폐 수납 가이드와 상하로 이동해 지폐를 집적하는 지폐 수납대를 갖고,
    상기 세큐리티 셔터가 열린 상태에 연동하여 상기 지폐 수납 가이드는 기립하고,
    상기 세큐리티 셔터가 닫힌 상태에 연동해 상기 지폐 수납대에 집적된 지폐의 상단을 누르도록 쓰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납 기구.
  10. 청구항 1 기재의 지폐 수납 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폐 보관고는 상하로 이동해 지폐를 집적하는 지폐 수납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지폐 보관고셔터를 열린 상태로 하고,
    상기 지폐 수납대를 상기 세큐리티 셔터 아래로 상승시켜 상기 세큐리티 셔터를 열린 상태로 하고 그 후 상기 보유 트레이를 열린 상태로 하여 해당 보유 트레이에 집적된 지폐를 상기 지폐 수납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납 기구.
  11. 청구항 2 기재의 지폐 수납 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폐 보관고는 상하로 이동해 지폐를 집적하는 지폐 수납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지폐 보관고 셔터를 열린 상태로 하고,
    상기 지폐 수납대를 상기 세큐리티 셔터 아래로 상승시켜 상기 세큐리티 셔터를 열린 상태로 하고 그 후 상기 보유 트레이를 열린 상태로 하여 해당 보유 트레이에 집적된 지폐를 상기 지폐 수납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납 기구.
  12. 청구항 3 기재의 지폐 수납 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폐 보관고는 상하로 이동해 지폐를 집적하는 지폐 수납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지폐 보관고 셔터를 열린 상태로 하고,
    상기 지폐 수납대를 상기 세큐리티 셔터 아래로 상승시켜 상기 세큐리티 셔터를 열린 상태로 하고 그 후 상기 보유 트레이를 열린 상태로 하여 해당 보유 트레이에 집적된 지폐를 상기 지폐 수납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납 기구.
KR1020060040430A 2005-07-29 2006-05-04 지폐수납기구 KR1007962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19897 2005-07-29
JP2005219897A JP2007034869A (ja) 2005-07-29 2005-07-29 紙幣収納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951A KR20070014951A (ko) 2007-02-01
KR100796217B1 true KR100796217B1 (ko) 2008-01-21

Family

ID=37674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430A KR100796217B1 (ko) 2005-07-29 2006-05-04 지폐수납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061497A1 (ko)
JP (1) JP2007034869A (ko)
KR (1) KR100796217B1 (ko)
CN (1) CN100589130C (ko)
TW (1) TW2007053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382B1 (ko) * 2009-11-05 2014-05-19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입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9583B2 (ja) * 2007-02-02 2012-09-05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カード処理装置
KR101428063B1 (ko) * 2008-01-30 2014-08-0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자동화기기의 용지집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화기기
JP5169474B2 (ja) * 2008-05-19 2013-03-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JP5277879B2 (ja) * 2008-11-07 2013-08-2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現金処理装置
DE102011055992A1 (de) * 2011-12-02 2013-06-06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füllen eines dünnwandigen Transportbehälters
CN102622809A (zh) * 2012-03-27 2012-08-01 江苏白雪电器股份有限公司 纸币集钞装置
CN103247106B (zh) * 2013-05-20 2015-09-16 广州御融通电子设备开发有限公司 一种纸币处理装置
CN103914910A (zh) * 2014-03-31 2014-07-09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纸币收纳机构
JP6492907B2 (ja) * 2015-04-10 2019-04-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JP6623546B2 (ja) * 2015-04-30 2019-12-2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JP6743832B2 (ja) * 2015-12-22 2020-08-1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EP3486880B1 (en) * 2016-07-14 2021-10-20 Glory Ltd. Paper sheet storage device
CN108428280B (zh) * 2017-02-14 2020-07-24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纸币暂存机构及纸币处理装置
JP6981044B2 (ja) * 2017-05-22 2021-12-1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7200699B2 (ja) * 2019-01-28 2023-01-10 株式会社リコー 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22070069A (ja) * 2020-10-26 2022-05-12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装置及び貨幣処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7689A (ja) * 1989-04-28 1990-11-27 Oki Electric Ind Co Ltd 現金処理装置
JPH0358297A (ja) * 1989-07-27 1991-03-13 Glory Ltd 有価証券類精算システム
JPH06266963A (ja) * 1993-03-12 1994-09-22 Glory Ltd 売上金入金機
JP2004139189A (ja) 2002-10-15 2004-05-13 Nippon Conlux Co Ltd 紙幣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1687B1 (en) * 2000-02-11 2003-08-05 Cummins-Allison Corp. Currency handling system having multiple output receptacles
US6398000B1 (en) * 2000-02-11 2002-06-04 Cummins-Allison Corp. Currency handling system having multiple output receptacles
JP4351797B2 (ja) * 2000-09-29 2009-10-28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収納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7689A (ja) * 1989-04-28 1990-11-27 Oki Electric Ind Co Ltd 現金処理装置
JPH0358297A (ja) * 1989-07-27 1991-03-13 Glory Ltd 有価証券類精算システム
JPH06266963A (ja) * 1993-03-12 1994-09-22 Glory Ltd 売上金入金機
JP2004139189A (ja) 2002-10-15 2004-05-13 Nippon Conlux Co Ltd 紙幣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382B1 (ko) * 2009-11-05 2014-05-19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입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04952A (zh) 2007-01-31
US20080061497A1 (en) 2008-03-13
TW200705320A (en) 2007-02-01
KR20070014951A (ko) 2007-02-01
CN100589130C (zh) 2010-02-10
JP2007034869A (ja)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217B1 (ko) 지폐수납기구
KR101066750B1 (ko) 지폐처리기
JP4654268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5642281B2 (ja) 紙葉類処理装置
CN103635942B (zh) 纸币收纳库及纸币处理装置
WO2013172083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H0532368A (ja) 紙葉類の集積装置
JP3600762B2 (ja) 循環式貨幣処理装置
JP6726002B2 (ja) 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処理方法
JP2006350415A (ja) 現金取扱装置
JP6874354B2 (ja) 媒体収納庫及び媒体取引装置
JP5487278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5674987B2 (ja) 紙幣取扱装置
JP6858815B2 (ja) 貨幣処理システム、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処理方法
JP4311309B2 (ja) 金銭処理装置、紙幣処理装置および硬貨処理装置
JP6866118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4838998B2 (ja) 紙幣入出金機
JP6538387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処理システム
JP3215373B2 (ja) 自動取引システム
JP3664949B2 (ja) 硬貨処理機
JP3195292B2 (ja) 金庫用ロッカー
JP7457326B2 (ja) 貨幣処理機および貨幣処理方法
JPH03265993A (ja) 紙幣処理装置
JP3929221B2 (ja) 硬貨リフトアップ装置及び硬貨入出金機
JP3877938B2 (ja) 硬貨処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5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