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460B1 -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및 이를적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및 이를적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5460B1 KR100795460B1 KR1020050112926A KR20050112926A KR100795460B1 KR 100795460 B1 KR100795460 B1 KR 100795460B1 KR 1020050112926 A KR1020050112926 A KR 1020050112926A KR 20050112926 A KR20050112926 A KR 20050112926A KR 100795460 B1 KR100795460 B1 KR 1007954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line
- current
- driving
- voltage
- dat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83—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current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28—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digital to analog [D/A] conversion circui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48—Precharge or discharge of column electrodes before or after applying exact column vol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는, 입력 디지털 데이터에 대응하는 구동전류를 생성하는 전류발생부와, 구동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마련된 화소열에 상기 구동전류를 전달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상기 각 데이터라인상에 마련되어 용량성 부하를 형성하는 정전용량부와, 상기 각 데이터라인을 연결하여 전류를 미러링하는 전류 미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정 구동신호에 의해 활성화되는 데이터 라인의 과도전류충전에 상기 활성화된 데이터라인의 바로 인접 데이터 라인인 더미 데이터 라인에 마련된 정전용량부에 유도되어 상기 전류미러부에 의해 미러링되는 과도전류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라인은 짝수 데이터라인 그룹과 홀수 데이터라인 그룹으로 나뉘어 구성되고, 상기 짝수 데이터 라인과 홀수 데이터 라인을 순차 연결하는 경로변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경로교환부는 각 그룹의 스캔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전류를 짝수 데이터 라인과 홀수 데이터 라인에 교번하여 전달한다.
상기 논리합(OR) 신호는 일반적인 논리합(OR) 게이트를 이용하여 수행되는데 상기 논리합(OR) 게이트는 데이터 라인(DL)의 스캔신호(OSCAN)와 더미 데이터 라인(DDL)의 스캔신호(ESCAN)를 입력받아 논리합(OR) 연산을 수행하고 그 연산결과에 해당하는 논리합 신호를 출력한다.
Claims (35)
- 입력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류를 생성하는 전류 DAC;상기 전류 DAC의 출력 노드에 드레인단이 연결된 데이터 라인의 구동 트랜지스터;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우스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정 전류원;상기 전류 DAC의 출력 노드 및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단과 전압원 사이에 연결된 가변 전류원;상기 전류 DAC의 출력 노드의 전압을 비반전 입력단의 전압으로 하고, 소정 정전압을 반전 입력단의 전압으로 하여 그 출력이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에 입력되도록 된 차동 증폭기; 및상기 차동 증폭기의 출력 노드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과 상기 가변 전류원에 연결되어 상기 전류 DAC의 출력 노드의 전압 변화에 따라 상기 가변 전류원의 바이어스 전류를 증감시키는 과도 충전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도 충전 전류 제어부는디스플레이 패널의 매트릭스 배열 상에서 데이터 기입이 필요한 화소가 연결된 데이터 라인의 인접 데이터 라인인 더미 데이터 라인;상기 더미 데이터 라인의 방전시 방전 전류원이 정 전류원;일측단이 상기 전압원에 연결되어 상기 가변 전류원과 함께 전류 미러를 형성하는 트랜지스터; 및상기 트랜지스터에 드레인단이 연결되고 상기 차동 증폭기에 게이트단이 연결된 더미 데이터 라인의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화소에의 데이터 기입이 완료되면 상기 데이터 기입을 완료한 데이터 라인은 더미 데이터 라인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더미 데이터 라인은 데이터 기입이 필요한 화소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데이터 라인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전류 DAC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가변 전류원과 트랜지스터에 의해 형성되는 전류 미러와 데이터 라인의 구동 트랜지스터 사이에 타측단이 연결되어 스캔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신호는상기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화소회로의 스캔신호인 제 1 스캔신호와 더미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회소회로의 스캔신호인 제 2 스캔신호의 논리합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라인의 구동 트랜지스터와 더미 데이터 라인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단과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과 더미 데이터 라인 형성을 위한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 변환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변환부는짝수 번째 데이터 라인 및 이에 대한 더미 데이터 라인과 홀수 번째 데이터 라인 및 이에 대한 더미 데이터 라인 형성을 위한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전류 DAC로부터의 더미 데이터 전류에 의해 데이터 라인의 프리 차지 전압을 생성하는 프리 차지 전압 생성용 트랜지스터;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과 상기 차동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의 프리 차지 구간 동안 온 되는 제1 프리차지 스위치;상기 차동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의 전압이 일측단에 걸리고 타측단은 상기 데이터 라인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단에 연결되어 데이터 라인의 프리 차지 구간 동안 온 되는 제2 프리차지 스위치;상기 데이터 라인과 상기 차동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 사이에 위치하여 데이터 라인의 프리 차지 구간 동안 온 되는 제3 프리차지 스위치;상기 차동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단에 타측단이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의 정상 데이터 구동 구간 동안 온되는 제1 정상 구동 구간 스위치; 및상기 차동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에는 상기 차동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의 전압이 걸려, 데이터 라인의 정상 데이터 구동 구간 동안 온 되는 제2 정상 구동 구간 스위치;가 더 포함되어 프리 차지 전압을 발생시켜 데이터 라인의 과도 전압 변화량을 줄여 데이터 구동 속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라인의 구동 트랜지스터와 더미 데이터 라인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단과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과 더미 데이터 라인 형성을 위한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 변환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변환부는짝수 번째 데이터 라인 및 이에 대한 더미 데이터 라인과 홀수 번째 데이터 라인 및 이에 대한 더미 데이터 라인 형성을 위한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전류 DAC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정 전류원과 상기 전류미러를 형성하는 트랜지스터의 각각에 대해 상보형의 구조가 채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입력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류를 생성하는 전류 DAC;디스플레이 패널의 매트릭스 배열 상에서 데이터 기입이 필요한 화소가 연결된 데이터 라인의 인접 데이터 라인인 더미 데이터 라인;상기 더미 데이터 라인의 기생 정전용량에 의해 발생하는 과도 충전 전류를 데이터 라인의 충전 전류로 귀환시키는 전류 미러;상기 데이터 라인과 더미 데이터 라인의 방전시 방전 전류원이 되는 제 1, 제 2 정 전류원;상기 전류 미러에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 라인 및 더미 데이터 라인의 구동을 위한 제 1, 제 2 구동 트랜지스터; 및상기 전류 DAC의 출력 노드 전압을 비반전 입력단의 전압으로 하고, 소정의 정전압을 반전 입력단의 전압으로 하여 그 출력이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에 입력되도록 된 차동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화소에의 데이터 기입이 완료되면 상기 데이터 기입을 완료한 데이터 라인은 더미 데이터 라인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더미 데이터 라인은 데이터 기입이 필요한 화소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데이터 라인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전류 DAC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전류 미러와 제 1 구동 트랜지스터 사이에 타측단이 연결되어 스캔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신호는상기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화소회로의 스캔신호인 제 1 스캔신호와 더미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회소회로의 스캔신호인 제 2 스캔신호의 논리합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제1 구동 트랜지스터와 제2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단과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과 더미 데이터 라인 형성을 위한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 변환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변환부는짝수 번째 데이터 라인 및 이에 대한 더미 데이터 라인과 홀수 번째 데이터 라인 및 이에 대한 더미 데이터 라인 형성을 위한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전류 DAC로부터의 더미 데이터 전류에 의해 데이터 라인의 프리 차지 전압을 생성하는 프리 차지 전압 생성용 트랜지스터;상기 프리 차지 전압 생성용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과 상기 차동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의 프리 차지 구간 동안 온 되는 제1 프리차지 스위치;상기 차동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의 전압이 일측단에 걸리고 타측단은 상기 제1 구동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단에 연결되어 데이터 라인의 프리 차지 구간 동안 온 되는 제2 프리차지 스위치;상기 데이터 라인과 상기 차동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 사이에 위치하여 데이터 라인의 프리 차지 구간 동안 온 되는 제3 프리차지 스위치;상기 차동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 구동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단에 타측단이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의 정상 데이터 구동 구간 동안 온 되는 제1 정상 구동 구간 스위치; 및상기 차동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에는 상기 차동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의 전압이 걸려, 데이터 라인의 정상 데이터 구동 구간 동안 온되는 제2 정상 구동 구간 스위치;가 더 포함되어 데이터 라인의 과도 전압 변화량을 줄여 데이터 구동 속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제1 구동 트랜지스터와 제2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단과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과 더미 데이터 라인 형성을 위한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 변환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변환부는짝수 번째 데이터 라인 및 이에 대한 더미 데이터 라인과 홀수 번째 데이터 라인 및 이에 대한 더미 데이터 라인 형성을 위한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전류 DAC와 상기 제 1, 제 2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정 전류원과 상기 전류미러 각각에 대해 상보형의 구조가 채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입력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류를 생성하는 전류 DAC;디스플레이 패널의 매트릭스 배열 상에서 데이터 기입이 필요한 화소가 연결된 데이터 라인의 인접 데이터 라인인 더미 데이터 라인;상기 더미 데이터 라인의 기생 정전용량에 의해 발생하는 과도 충전 전류를 데이터 기입이 필요한 화소가 연결된 데이터 라인의 충전 전류로 귀환시키는 전류 미러;상기 데이터 라인과 더미 데이터 라인의 방전시 방전 전류원이 되는 정 전류원;상기 전류 미러에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 라인 및 더미 데이터 라인의 구동을 위한 제 1, 제 2 구동 트랜지스터;상기 전류 DAC의 출력 노드 전압을 비반전 입력단의 전압으로 하고, 소정의 정전압을 반전 입력단의 전압으로 하여 그 출력이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에 입력되도록 된 차동 증폭기; 및상기 제 1 및 제 2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단과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과 더미 데이터 라인 형성을 위한 전류 경로를 형성 하는 경로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미러는전류 미러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스택 미러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변환부는짝수 번째 데이터 라인 및 이에 대한 더미 데이터 라인과 홀수 번째 데이터 라인 및 이에 대한 더미 데이터 라인 형성을 위한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변환부는상기 제 1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우스단과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스캔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짝수 번째 데이터 라인 형성을 위한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제 1 스위치;상기 제 2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우스단과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사이에 위치 하며, 상기 제 1 스캔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짝수 번째 데이터 라인에 대한 더미 데이터 라인 형성을 위한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제 2 스위치;상기 제 1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우스단과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2 스캔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홀수 번째 데이터 라인 형성을 위한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제 3 스위치; 및상기 제 2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우스단과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스캔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홀수 번째 데이터 라인에 대한 더미 데이터 라인 형성을 위한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제 4 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22 항에 있어서,상기 전류 DAC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전류 미러와 제 1 구동 트랜지스터 사이에 타측단이 연결되어 스캔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신호는상기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화소회로의 스캔신호인 제 1 스캔신호와 더미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회소회로의 스캔신호인 제 2 스캔신호의 논리합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22 항에 있어서,상기 전류 DAC로부터의 더미 데이터 전류에 의해 데이터 라인의 프리 차지 전압을 생성하는 프리 차지 전압 생성용 트랜지스터;상기 프리 차지 전압 생성용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과 상기 차동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의 프리 차지 구간 동안 온 되는 제1 프리차지 스위치;상기 차동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의 전압이 일측단에 걸리고 타측단은 상기 제1 구동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단에 연결되어 데이터 라인의 프리 차지 구간 동안 온 되는 제2 프리차지 스위치;상기 데이터 라인과 상기 차동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 사이에 위치하여 데이터 라인의 프리 차지 구간 동안 온 되는 제3 프리차지 스위치;상기 차동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 구동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단에 타측단이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의 정상 데이터 구동 구간 동안 온 되는 제1 정상 구동 구간 스위치; 및상기 차동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에는 상기 차동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의 전압이 걸려, 데이터 라인의 정상 데이터 구동 구간 동안 온 되는 제2 정상 구동 구간 스위치;가 더 포함되어 데이터 라인의 과도 전압 변화량을 줄여 데이터 구동 속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22 항에 있어서,상기 전류 DAC와 상기 제 1, 제 2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정 전류원과 상기 전류미러 각각에 대해 상보형의 구조가 채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22 항에 따른 AMOLED 구동회로를 적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형성 방법으로,M개의 행과 N개의 열로 구성된 화소들의 배열을 구성하는 모든 열들에 순차적으로 순서를 부여하고, 이 열들의 순서가 짝수인 열들과 홀수인 열들로 구분한 후, 상기 배열을 구성하는 모든 행들을 각각 제 1 종속행들과 제 2 종속행들의 두개의 종속행으로 나누고, 상기 짝수 번째인 열들을 공유하는 화소들은 제1 종속행들이 되게 하고, 상기 홀수 번째인 열들을 공유하는 화소들은 제2 종속행들이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형성 방법.
- 제 30 항에 있어서, 최외각 행들과 열들의 외각에 각각 더미 열들과 행들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더미 행들과 열들은 발광소자를 포함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형성 방법.
- 제 30 항에 따라 형성되는 액티브 매트릭스의 구동 방법으로,상기 짝수 번째인 열들을 공유하는 화소들을 순차적으로 모두 구동하고, 상기 홀수 번째인 열들을 공유하는 화소들을 순차적으로 모두 구동하여 한 개의 디스플레이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방법.
- 제 32 항에 있어서, 소정의 행의 데이터 구동을 마치고 다음 순서에 있는 행의 데이터 구동을 시작하기 전에 각 더미 데이터 라인 또는 데이터 라인을 소정의 전압으로 충전 또는 방전하여 데이터 구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방법.
- 입력 디지털 데이터에 대응하는 구동전류를 생성하는 전류발생부와,구동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마련된 화소열에 상기 구동전류를 전달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과,상기 각 데이터라인상에 마련되어 용량성 부하를 형성하는 정전용량부와,상기 각 데이터라인을 연결하여 전류를 미러링하는 전류 미러부를 포함하고,상기 일정 구동신호에 의해 활성화되는 데이터 라인의 과도전류충전에 상기 활성화된 데이터라인의 바로 인접 데이터 라인인 더미 데이터 라인에 마련된 정전용량부에 유도되어 상기 전류미러부에 의해 미러링되는 과도전류를 이용하는 것이 특징인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 제 34 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라인은 짝수 데이터라인 그룹과 홀수 데이터라인 그룹으로 나뉘어 구성되고,상기 짝수 데이터 라인과 홀수 데이터 라인을 순차 연결하는 경로변환부를 더 포함하되,상기 경로교환부는 각 그룹의 스캔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전류를 짝수 데이터 라인과 홀수 데이터 라인에 교번하여 전달하는 것이 특징인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2926A KR100795460B1 (ko) | 2005-11-24 | 2005-11-24 |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및 이를적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2926A KR100795460B1 (ko) | 2005-11-24 | 2005-11-24 |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및 이를적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54862A KR20070054862A (ko) | 2007-05-30 |
KR100795460B1 true KR100795460B1 (ko) | 2008-01-16 |
Family
ID=38276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12926A KR100795460B1 (ko) | 2005-11-24 | 2005-11-24 |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및 이를적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546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1630B1 (ko) * | 2007-06-13 | 2008-12-02 | 주식회사 티엘아이 | 시분할된 데이터 구간을 가지는 전류형 액티브 평판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
KR100968401B1 (ko) * | 2008-10-16 | 2010-07-07 | 한국과학기술원 | 디스플레이 구동장치 |
WO2016108122A1 (en) * | 2014-12-29 | 2016-07-07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Semiconductor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semiconductor device |
CN104966479B (zh) * | 2015-07-16 | 2017-06-09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阵列基板及显示装置 |
US11238792B2 (en) | 2018-07-10 | 2022-02-01 | Seeya Optronics Co., Ltd. |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
CN110706657B (zh) * | 2018-07-10 | 2021-03-09 | 合肥视涯技术有限公司 | 一种像素电路及显示装置 |
CN110136638A (zh) * | 2019-05-15 | 2019-08-16 | 中南大学 | 主动发光型显示器外部补偿电路、驱动系统和驱动信号优化方法 |
CN113552737B (zh) * | 2021-06-09 | 2024-09-13 | 信利(惠州)智能显示有限公司 | 一种适用于tft-lcd单屏幕测试光电参数的测试方法 |
CN114038392A (zh) * | 2021-07-13 | 2022-02-11 | 重庆康佳光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 驱动电路、像素电路、显示装置和亮度调节方法 |
CN118135947B (zh) * | 2024-05-10 | 2024-07-05 | 惠科股份有限公司 | 驱动电路、驱动方法和显示面板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18261A (ko) * | 2000-09-01 | 2002-03-08 | 김순택 | 액티브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
KR20040087692A (ko) * | 2003-04-07 | 2004-10-15 | 윈텍 코포레이숀 | 액티브 매트릭스 oled의 디지털 구동 방법 및 장치 |
-
2005
- 2005-11-24 KR KR1020050112926A patent/KR10079546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18261A (ko) * | 2000-09-01 | 2002-03-08 | 김순택 | 액티브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
KR20040087692A (ko) * | 2003-04-07 | 2004-10-15 | 윈텍 코포레이숀 | 액티브 매트릭스 oled의 디지털 구동 방법 및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54862A (ko) | 2007-05-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12749B2 (en) | AMOLED drive circuit using transient current feedback and active matrix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 | |
CN107103878B (zh) | 阵列基板、其驱动方法、有机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 |
JP6207472B2 (ja) | 発光デバイス・ディスプレイを駆動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TW201944385A (zh) | 顯示面板和畫素電路 | |
US11238811B2 (en) | Stage with multiple output buffers and scan driver having the same | |
US11263973B2 (en) | Shift register unit, gate drive circuit,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 |
CN110085161B (zh) | 显示面板和像素电路 | |
TW201525967A (zh) | 有機發光顯示器 | |
KR20080111233A (ko) |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 |
KR20040101936A (ko) | 전류생성공급회로 및 표시장치 | |
US20140132589A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WO2019053769A1 (ja) |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 |
US7046225B2 (en) | Light emitting device display circuit and drive method thereof | |
KR100795460B1 (ko) | 과도 전류 귀환을 이용한 amoled 구동회로 및 이를적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법 | |
US20190156764A1 (en) | Sourc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8552653B2 (en) |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electro-optical device | |
JP2009031789A (ja) |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 |
US7995047B2 (en) | Current driving device | |
JP4060236B2 (ja) | デジタル/アナログ変換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表示装置 | |
CN115662331B (zh) | 显示基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 |
TWI556217B (zh) | 電源管理電路及其閘極脈衝調變電路 | |
KR102727501B1 (ko)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
JP4889205B2 (ja) |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 |
JP2006017968A (ja) |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 |
JP2008304566A (ja) | プリチャージ回路、こ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