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2778B1 -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778B1
KR100792778B1 KR1020070068777A KR20070068777A KR100792778B1 KR 100792778 B1 KR100792778 B1 KR 100792778B1 KR 1020070068777 A KR1020070068777 A KR 1020070068777A KR 20070068777 A KR20070068777 A KR 20070068777A KR 100792778 B1 KR100792778 B1 KR 100792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ver
collecting cover
cap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영록
Original Assignee
(주)엠앤에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앤에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엠앤에스시스템
Priority to KR1020070068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77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24B55/10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 B24B55/102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with rota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1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7/18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floorings, walls, ceilin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06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e.g. segmental
    • B24D7/063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e.g. segmental with segments embedded in a matrix which is rubbed away during the grinding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집진커버; 상기 집진커버 내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서 바닥을 연마하며 상기 연마된 비산물을 상측의 상기 집진커버 내부로 흡입하도록 흡입수단이 형성된 글라인더; 상기 집진커버의 둘레에 설치되고 그 저면이 바닥면에 접촉되어서 상기 집진커버 내의 비산물이 그 외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며 바닥의 굴곡에 따라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비산방지캡; 상기 집진커버 및 비산방지캡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기 비산방지캡을 하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글라인더에 형성된 흡입구멍들에 의해 칼날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이 흡입되어서 집진커버 내부로 유도되므로 분진이 집진기 측으로 확실하게 흡입되고, 비산방지캡이 탄성지지수단에 의해 바닥면에 항상 탄성적으로 지지되므로 집진커버 내의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으며, 집진기에 의해 집진커버의 내부 공기가 흡입될 시 외부의 공기가 그 틈새를 통해 집진커버 내부로 유입되므로 집진커버 내부가 진공처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집진커버, 글라인더, 흡입구멍, 비산방지캡, 탄성지지수단, 코일스프링

Description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Floor grinder that equip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글라인더의 칼날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이 글라인더의 상부로 유도되고, 집진커버 내부의 흡입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타일이나 장판 등의 바닥재를 바닥면에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바닥면을 고르게 연마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바닥 연마 작업은 많은 노력이 요구될 뿐 아니라 연마 작업시 다량의 분진이 발생되어서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마스크를 쓰고 작업하거나 바닥에 물을 뿌리면서 작업하므로 분진가루가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한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에도 불구하고 분진이 호흡기로 유입되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는, 구동모터(미도시)가 내장된 본체(1)와, 이 본체(1)에 결합되는 집진커버(2)와, 집진커버(2)의 일측에 구비되는 흡입관(3)과, 이 흡입관(3)에 집진호스(5)로 연결되어서 집진커버(2) 내의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 기(4)와, 집진커버(2)의 하단 둘레에 구비되고 바닥면에 접촉되어서 집진커버(2)의 내부를 그 외부로부터 차단시키는 패킹(6)과, 집진커버(2)의 내부에 구비되고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며 바닥면을 연마하는 글라인더(7)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는, 구동모터가 구동되면 이에 연결된 글라인더(7)가 회전되면서 바닥면이 연마된다. 바닥면이 연마되면서 발생되는 분진은 집진기(4)로 흡입되는 바, 집진커버(2) 내부에 발생된 분진은 흡입관(3) 및 집진호스(5)를 통해 집진기(4)로 흡입된다.
한편, 집진커버(2)의 하단 둘레에 구비된 패킹(6)은 집진커버(2)의 내부를 그 외부로부터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여서 집진커버(2) 내의 분진이 그 외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런데 이러한 패킹(6)은 집진커버(2) 내부의 분진이 원활히 흡입되지 못하게 할 뿐 아니라 연마장치의 이송을 방해한다. 즉, 탄력이 뛰어난 고무재의 패킹(6)에 집진커버(2)의 내부와 그 외부가 확실하게 차단된다. 집진기(4) 내부의 공기는 집진기(4)에 의해 계속 흡입되는 반면에 패킹(6)에 의해 집진기(4) 외부의 공기가 그 내측으로 원활히 유입되지 못한다. 따라서 집진기(4)의 내부는 진공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집진기(4) 내부의 분진이 제대로 흡입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연마장치가 바닥면을 따라 원활히 이송되지도 못하므로 연마작업의 작업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패킹(6)은 재질의 특성상 연마작업시 비교적 신속하게 연마된다. 패킹(6)의 마모정도가 적정수준 이상 진행되면 상술한 반대로 패킹(6)이 바닥면으로 부터 비교적 많이 이격되므로 집진커버(2)의 내부를 그 외부로부터 제대로 차단시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패킹(6)의 마모 정도가 심하여서 패킹(6)과 바닥면 사이에 비교적 큰 틈이 발생되면 집진커버(2) 내부의 분진의 일부가 그 외부로 비산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특히, 연마 작업이 이루어지는 글라인더(7)의 칼날(8) 부분은 흡입력이 발생되는 흡입관(3)으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는 반면에 마모된 패킹(6)에 의해 발생된 틈새와는 근접거리에 위치되므로 연마된 분진이 그 틈새를 통해서 외부로 그대로 비산되었다.
그리고, 집진기(4)의 구동시 다량의 공기가 집진기(4) 내부로 유입되므로 집진커버(2) 내부의 흡입력이 급격하게 저하되며, 이에 따라 집진커버(2) 내부의 분진이 제대로 흡입되지 못하게 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글라인더의 칼날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이 글라인더의 상부로 유도되도록 한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진커버 내부의 흡입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는, 구동모터가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집진커버; 상기 집진커버에 연결되어서 그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집진기; 상기 집진커버 내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서 바닥을 연마하며 상기 연마된 비산물을 상측의 상기 집진커버 내부로 흡입하도록 흡입수단이 형성된 글라인더; 상기 집진커버의 둘레에 설치되고 그 저면이 바닥면에 접촉되어서 상기 집진커버 내의 비산물이 그 외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며 바닥의 굴곡에 따라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비산방지캡; 상기 집진커버 및 비산방지캡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기 비산방지캡을 하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의 다른 특징은, 상기 집진커버는, 둘레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원판과, 상기 원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둘레가 상기 비산방지캡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판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본 체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원판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집진기에 연결되어서, 상기 원통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집진기 측으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관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글라인더의 흡입수단은, 저면에 다수의 칼날들이 구비된 원판 중, 칼날 사이의 원판에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글라이더가 회전될 시 상기 칼날 주변의 공기를 상기 원판 상측으로 흡입하는 흡입구멍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흡입구멍은, 그 관통각도가 수직선에 대해 45°∼ 6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비산방지캡은, 스틸재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나사구멍이 형성되며, 저면은 평평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탄성지지수단은, 상부가 상기 집진커버의 관통구멍 내에 위치되고 하단이 상기 비산방지캡에 고정되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의 상단에 체결되는 너트와, 상기 결합축의 둘레에 구비되고 양단이 상기 집진커버 및 비산방지캡에 지지되어서 상기 비산방지캡을 그 하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글라인더가 고속으로 회전하면 흡입구멍 내의 공기는 회전되는 방향 의 경사면에 부딪히면서 그 경사면을 따라 상측으로 유도되어 배출되고, 공기가 배출되어서 순간 진공처리된 흡입구멍 내에는 그 하측의 공기가 신속하게 유입되며, 흡입구멍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글라인더의 고속 회전에 의해 다시 그 경사면을 따라 상측으로 배출된다. 글라인더가 회전되는 동안 흡입구멍에는 이와 같은 공기의 흐름이 반복되면서 칼날 주변의 분진을 흡입하여서 글라인더의 상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글라인더에 형성된 흡입구멍들에 의해 칼날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이 흡입되어서 집진커버 내부로 유도되므로 분진이 연마장치의 외부로 비산되지 않고 집진기로 확실하게 흡입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집진커버의 둘레에는 탄성지지수단에 의해 바닥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스틸재의 비산방지캡이 설치된다. 따라서 비산방지캡이 고무재에 비해 마모가 거의 없는 스틸재로 이루어지므로 부품의 수명이 극대화되고, 비산방지캡은 탄성지지수단에 의해 바닥면에 항상 탄성적으로 지지되므로 집진커버 내의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한다. 또한, 고무재와는 달리 평평하게 형성된 비산방지캡의 저면은 굴곡을 갖는 바닥면에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기 때문에 비산방지캡의 저면과 바닥면 사이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틈새가 확보된다. 그러므로 집진기에 의해 집진커버의 내부 공기가 흡입될 시 외부의 공기가 그 틈새를 통해 집진커버 내부로 유입되므로 집진커버 내부가 진공처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집진커버 내부의 분진이 집진기 측으로 원활히 흡입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특징을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는, 본체(10), 집진커버(20), 집진기(40), 글라인더(30), 비산방지캡(50), 탄성지지수단(60)으로 이루어진다.
본체(10)에는 구동모터(12)가 내장되며 이 구동모터(12)를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조작버튼들이 구비된 제어부가 설치된다.
집진커버(20)는, 도 2 내지 도 4,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집진커버(20)는, 둘레에 관통구멍(22)이 형성된 원판(21)과, 원판(21)의 하부에 형성되고 둘레가 비산방지캡(50)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원통부(23)와, 원판(21)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며 본체(10)에 결합되는 고정부(24)와, 원판(21)의 일측에 형성되고 집진기(40)에 연결되어서, 원통부(23) 내부의 공기가 집진기(40) 측으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관(25)으로 이루어진다.
집진기(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커버(20)에 연결되어서 그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다. 이러한 집진기(40)는 집진호스(41)에 의해 집진커버(20)의 흡입관(25)에 연결된다.
글라인더(30)는, 도 3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커버(20) 내에 구비되고 구동모터(12)에 연결되어서 바닥을 연마하며 연마된 비산물을 상측의 집진커버(20) 내부로 흡입하도록 흡입수단이 형성된다.
이러한 글라인더(30)는 후술할 흡입구멍(32)들이 형성된 원판(31)과, 원판(31)의 하부에 구비되는 칼날(33)과, 원판(31)의 상부에 구비되고 제1체결편(14) 및 제2체결편(15)에 의해 구동모터(12)의 회전축(13)에 고정되는 결합부(34)로 이루어진다. 이 결합부(34)는 중앙 상부에 회전축(13)에 삽입되도록 고정구멍(35)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34)의 둘레에는 다수의 관통구멍(36)들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흡입수단은, 저면에 다수의 칼날(33)들이 구비된 원판(31) 중, 칼날(33) 사이의 원판(31)에 각각 형성되어서 글라이더(30)가 회전될 시 칼날(33) 주변의 공기를 원판(31) 상측으로 흡입하는 흡입구멍(32)으로 이루어진다.
이 흡입구멍(32)은, 그 관통각도가 수직선에 대해 45°∼ 6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구멍(32)의 관통각도가 수직선에 대해 45°미만일 경우, 흡입구멍(32) 내부의 공기가 제대로 배출되지 못한다. 즉, 공기의 흐름과 흡입구멍(32) 내의 경사면의 각도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공기가 흡입구멍(32)의 경사면에 부딪히면서 와류가 발생된다. 이러한 현상은 흡입구멍의 관통각도가 수직선에 대해 0°에 가까울수록 더욱 심하다.
반대로 흡입구멍(32)의 관통각도가 수직선에 대해 60°를 초과할 경우, 흡입구멍(32) 내의 공기가 그 경사면과의 저항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원활히 배출되나, 그러한 관통각도를 갖는 흡입구멍(32)을 형성시키기가 사실상 곤란하다. 즉, 흡입구멍(32)은 인접한 두 개의 칼날(33) 사이에 형성되어야 하고 이러한 두 칼날(33) 사이의 폭을 감안할 때 흡입구멍(32)의 관통각도가 60°를 초과하면 할수록 흡입구멍(32)의 전체 폭은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이 흡입구멍(32)이 칼날(33)의 위치까지 침범할 수 있다.
따라서 원활한 흡입력과 글라인더(30)의 원판(31)의 강도, 칼날(33)의 위치 등의 제반 요소들을 감안한다면 흡입구멍(32)은 그 관통각도가 수직선에 대해 45°∼ 6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비산방지캡(5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커버(20)의 둘레에 설치되고 그 저면이 바닥면에 접촉되어서 집진커버(20) 내의 비산물이 그 외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며 바닥의 굴곡에 따라 승강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비산방지캡(50)은, 스틸재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후술할 결합축(61)의 제1수나사부(62)가 체결되도록 나사구멍(51)이 형성되며, 저면(52)은 평평하게 이루어진다.
탄성지지수단(60)은, 도 2, 도 4,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커버(20) 및 비산방지캡(50) 사이에 설치되어서 비산방지캡(50)을 하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러한 탄성지지수단(60)은, 상부가 집진커버(20)의 관통구멍(22) 내에 위치 되고 하단이 비산방지캡(50)에 고정되는 결합축(61)과, 결합축(61)의 상단에 체결되는 너트(64)와, 결합축(61)의 둘레에 구비되고 양단이 집진커버(20) 및 비산방지캡(50)에 지지되어서 비산방지캡(50)을 그 하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6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결합축(61)은 하부에 비산방지캡(50)의 나사구멍(51)에 체결되도록 제1수나사부(62)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너트(64)가 체결되도록 제2수나사부(63)가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1은 본체(10)의 손잡이이다.
이러한 본 발명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는, 본체(10)의 버튼들을 조작하여서 구동모터(12) 및 집진기(40)가 구동되면 그 회전축(13)에 연결된 글라인더(30)가 회전되면서 굴곡진 바닥면을 연마한다.
글라인더(30)의 칼날(33)에 의해 바닥면이 연마되면 분진이 발생되면서 비산되는 바, 비산되는 분진은 연마장치의 외부로 비산되지 않으며 집진커버(20)의 상부로 유도된 후 흡입관(25) 및 집진호스(41)를 통해 집진기(40)로 흡입된다.
그 이유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글라인더(30)가 고속으로 회전하면 흡입구멍(32) 내의 공기는 회전되는 방향의 경사면에 부딪히면서 그 경사면을 따라 상측으로 유도되어 배출된다. 공기가 배출되어서 순간 진공처리된 흡입구멍(32) 내에는 그 하측의 공기가 신속하게 유입되며, 흡입구멍(32)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글라인더(30)의 고속 회전에 의해 다시 그 경사면을 따라 상측으로 배출된다. 글라인더(30)가 회전되는 동안 흡입구멍(32)에는 이와 같은 공기의 흐름이 반복되면서 칼날(33) 주변의 분진을 흡입하여서 글라인더(30)의 상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칼날(33)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은 글라인더(30)에 형성된 흡입구멍(32)들에 흡입되어서 집진커버(20) 내부로 유도되므로 분진이 연마장치의 외부로 비산되지 않고 집진기(40)로 확실하게 흡입된다.
또한, 분진이 연마장치의 외부로 비산되지 않고 원활히 흡입되는 이유는, 비산방지캡(50) 및 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60)에 있는 바, 그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집진커버(20)의 둘레에는 탄성지지수단(60)에 의해 바닥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스틸재의 비산방지캡(50)이 설치된다. 따라서 비산방지캡(50)이 고무재에 비해 마모가 거의 없는 스틸재로 이루어지므로 부품의 수명이 극대화된다.
이러한 비산방지캡(50)은 탄성지지수단(60)에 의해 바닥면에 항상 탄성적으로 지지되므로 집진커버(20) 내의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한다.
또한, 고무재와는 달리 평평하게 형성된 비산방지캡(50)의 저면(52)은 굴곡을 갖는 바닥면에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기 때문에 비산방지캡(50)의 저면(52)과 바닥면 사이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틈새가 확보된다.
그러므로 집진기(40)에 의해 집진커버(20)의 내부 공기가 흡입될 시 외부의 공기가 그 틈새를 통해 집진커버(20) 내부로 유입되므로 집진커버(20) 내부가 진공처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집진커버(20) 내부의 분진이 집진기(40) 측으로 원활히 흡입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바닥 연마장치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특징을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체에 글라인더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글라인더를 보인 평면도 및 저면도
도 8은 도 6의 부분 확대도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
도 10은 도 4의 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손잡이
12 : 구동모터 13 : 회전축
14 : 제1체결편 15 : 제2체결편
20 : 집진커버 21,31 : 원판
22 : 관통구멍 23 : 원통부
24 : 고정부 25 : 흡입관
30 : 글라인더 32 : 흡입구멍
33 : 칼날 34 : 결합부
35 : 고정구멍 36 : 관통구멍
40 : 집진기 41 : 집진호스
50 : 비산방지캡 51 : 나사구멍
52 : 저면 60 : 탄성지지수단
61 : 결합축 62 : 제1수납부
63 : 제2수납부 64 : 너트
65 : 코일스프링

Claims (6)

  1. 구동모터(12)가 내장되는 본체(10);
    둘레에 관통구멍(22)이 형성된 원판(21)과, 상기 원판(21)의 하부에 형성되고 둘레가 상기 비산방지캡(50)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원통부(23)와, 상기 원판(21)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는 고정부(24)와, 상기 원판(21)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집진기(40)에 연결되어서 상기 원통부(23) 내부의 공기가 상기 집진기(40) 측으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관(2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집진커버(20);
    상기 집진커버(20)에 연결되어서 그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집진기(40);
    상기 집진커버(20) 내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12)에 연결되어서 바닥을 연마하는 글라인더(30);
    저면에 다수의 칼날(33)들이 구비된 글라인더(30)의 원판(31) 중, 칼날(33) 사이의 원판(31)에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글라이더(30)가 회전될 시 상기 칼날(33) 주변의 공기를 상기 원판(31) 상측으로 흡입하도록 그 관통각도가 수직선에 대해 45°∼ 6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흡입구멍(32)들로 이루어진 흡입수단;
    상기 집진커버(20)의 둘레에 설치되고 평평하게 이루어진 저면이 바닥면에 접촉되어서 상기 집진커버(20) 내의 비산물이 그 외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며 바닥의 굴곡에 따라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스틸재의 비산방지캡(50);
    상부가 상기 집진커버(20)의 관통구멍(22) 내에 위치되고 하단이 상기 비산방지캡(50)에 고정되는 결합축(61)과, 상기 결합축(61)의 상단에 체결되는 너트(64)와, 상기 결합축(61)의 둘레에 구비되고 양단이 상기 집진커버(20) 및 비산방지캡(50)에 지지되어서 상기 비산방지캡(50)을 그 하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65)으로 이루어진 탄성지지수단(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70068777A 2007-07-09 2007-07-09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 Active KR100792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777A KR100792778B1 (ko) 2007-07-09 2007-07-09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777A KR100792778B1 (ko) 2007-07-09 2007-07-09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2778B1 true KR100792778B1 (ko) 2008-01-11

Family

ID=39217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777A Active KR100792778B1 (ko) 2007-07-09 2007-07-09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277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0981A (zh) * 2011-12-09 2012-05-02 傅月华 自吸尘抛光机
CN103372814A (zh) * 2013-07-01 2013-10-30 安徽省旌德县云乐槽楔厂 一种槽楔磨头机
KR101429237B1 (ko) * 2014-02-04 2014-09-22 주식회사 씨앤에스테크 구조물의 나노큐브 도장 방법
CN106607728A (zh) * 2017-02-20 2017-05-03 李欣 一种建筑用墙面施工打磨机
CN109158982A (zh) * 2018-08-09 2019-01-08 柳州市钜嘉机械有限公司 一种方便使用的夹具生产用打磨装置
CN109465702A (zh) * 2018-10-30 2019-03-15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气动打磨机支撑装置
CN109551345A (zh) * 2018-12-29 2019-04-02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经济作物研究所 一种花生壳网纹去除装置
CN111761438A (zh) * 2020-07-13 2020-10-13 福州晋安区格撕图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浇筑后的水泥地面打磨车
CN116944969A (zh) * 2023-09-01 2023-10-27 常州富丽康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附带平面水平精度检测功能的直线滑轨制造装置
KR102820223B1 (ko) * 2024-05-31 2025-06-16 (주) 한국건설안전기술단 안전진단시 사용가능한 슈미트해머 타격면의 그라인딩 비산먼지방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4042A (ja) 1997-02-25 1998-10-06 Hilti Ag 研磨ディスク
KR200191385Y1 (ko) 2000-02-02 2000-08-16 주식회사화성산업 그라인더용 집진커버 구조
JP2006007403A (ja) * 2004-06-29 2006-01-12 Goei Seisakusho:Kk サンダ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4042A (ja) 1997-02-25 1998-10-06 Hilti Ag 研磨ディスク
KR200191385Y1 (ko) 2000-02-02 2000-08-16 주식회사화성산업 그라인더용 집진커버 구조
JP2006007403A (ja) * 2004-06-29 2006-01-12 Goei Seisakusho:Kk サンダー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0981A (zh) * 2011-12-09 2012-05-02 傅月华 自吸尘抛光机
CN103372814A (zh) * 2013-07-01 2013-10-30 安徽省旌德县云乐槽楔厂 一种槽楔磨头机
KR101429237B1 (ko) * 2014-02-04 2014-09-22 주식회사 씨앤에스테크 구조물의 나노큐브 도장 방법
CN106607728A (zh) * 2017-02-20 2017-05-03 李欣 一种建筑用墙面施工打磨机
CN106607728B (zh) * 2017-02-20 2018-11-16 骆伟秋 一种建筑用墙面施工打磨机
CN109158982A (zh) * 2018-08-09 2019-01-08 柳州市钜嘉机械有限公司 一种方便使用的夹具生产用打磨装置
CN109465702A (zh) * 2018-10-30 2019-03-15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气动打磨机支撑装置
CN109551345A (zh) * 2018-12-29 2019-04-02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经济作物研究所 一种花生壳网纹去除装置
CN111761438A (zh) * 2020-07-13 2020-10-13 福州晋安区格撕图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浇筑后的水泥地面打磨车
CN111761438B (zh) * 2020-07-13 2021-03-19 湖南教建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浇筑后的水泥地面打磨车
CN116944969A (zh) * 2023-09-01 2023-10-27 常州富丽康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附带平面水平精度检测功能的直线滑轨制造装置
KR102820223B1 (ko) * 2024-05-31 2025-06-16 (주) 한국건설안전기술단 안전진단시 사용가능한 슈미트해머 타격면의 그라인딩 비산먼지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2778B1 (ko)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
US5791979A (en) Grinding vacuum shroud
US8801506B2 (en) Dust collection hood for grinding machine tools
KR20200017723A (ko) 진공청소기
KR20100084590A (ko) 흡진후드를 장착한 연마기
KR20100098923A (ko) 비산물 포집 기능을 갖는 탁상용 그라인더
CN106491044A (zh) 抽吸机器人
CN105666351A (zh) 用于手动式抛光或砂磨工具的衬垫及具有这种衬垫的手动式抛光或砂磨工具
KR20100123073A (ko) 집진구조를 갖는 핸드 그라인더
KR102520331B1 (ko) 분진 비산방지 기능을 가진 벽면 면삭기
KR20110004186U (ko) 집진 효율을 높인 바닥 연삭기
US5388305A (en) Vacuum buffer
KR101902340B1 (ko) 그라인더 휠 커버
CN210024705U (zh) 角向磨光机的防尘装置
KR200442392Y1 (ko) 그라인더용 집진커버
TWI435774B (zh) Grinding machine tool dust cover
KR20060032063A (ko) 물걸레 청소기
KR101087751B1 (ko) 집진기능을 구비한 그라인더에 사용되는 연마 디스크
KR101114915B1 (ko)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
CN201776674U (zh) 磨砂机
KR101277135B1 (ko) 바닥 연삭기
CN102233532A (zh) 磨砂机
CN210435943U (zh) 气动研磨机的集尘罩
CN103331662B (zh) 磨砂机
CN108188854A (zh) 一种新型墙面打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