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0332B1 - 전기 자동차의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의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332B1
KR100790332B1 KR1020060062485A KR20060062485A KR100790332B1 KR 100790332 B1 KR100790332 B1 KR 100790332B1 KR 1020060062485 A KR1020060062485 A KR 1020060062485A KR 20060062485 A KR20060062485 A KR 20060062485A KR 100790332 B1 KR100790332 B1 KR 100790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arm
lever
guide groove
protr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정혁
정용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2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0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33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1) 차폐 전선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면과 하면에 제1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커넥터와, (2) 상기 제1 커넥터에 접속되며 상면과 하면에 제2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상기 차폐 전선과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소정의 장치 또는 차폐 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2 커넥터와, (3) 제1 암과, 제1 암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제2 암와, 제1 암과 제2 암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넥터를 제1 커넥터에 접속시킬 때에 상기 제1 돌기가 안내되는 제1 안내 홈과 상기 제2 돌기가 안내되는 제2 안내 홈이 제1 암과 제2 암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돌기는 제1 안내 홈에 구속되어 상기 레버가 암형 커넥터에 장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는 제1 커넥터의 측부에 배치된다.
전기 자동차, 커넥터, 레버, 측면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의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of Electric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암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수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암형 커넥터와 수형 커넥터의 접속 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 과정의 각 단계에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레버의 내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레버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수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수형 커넥터를 암형 커넥터에 접속하였을 때의 일부 단면도.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암형 커넥터에 수형 커넥터가 접속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에는 고전압, 고전류가 흐르는데 이러한 고전압 커넥터에서는 고전압을 외부에서 감싸는 쉴드가 필요하는 등 통상의 전기 커넥터와는 상이한 점이 많이 있다.
종래에 암형 커넥터에 수형 커넥터를 체결하기 위해서 레버 구조가 채용된 제품이 있었지만 레버로 인해 전체 커넥터 조립체의 크기가 증대되고, 레버의 작동 반경 또한 크기 때문에 실제 장착할 때에 그 크기로 인해 장착 공간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 등이 대두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그 크기를 소형화시킴은 물론 적은 작동 반경으로 장착 공간 확보 등에 있어서 종래 기술보다 진일보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1) 차폐 전선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면과 하면에 제1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커넥 터와, (2) 상기 제1 커넥터에 접속되며 상면과 하면에 제2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상기 차폐 전선과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소정의 장치 또는 차폐 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2 커넥터와, (3) 제1 암과, 제1 암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제2 암와, 제1 암과 제2 암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넥터를 제1 커넥터에 접속시킬 때에 상기 제1 돌기가 안내되는 제1 안내 홈과 상기 제2 돌기가 안내되는 제2 안내 홈이 제1 암과 제2 암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돌기는 제1 안내 홈에 구속되어 상기 레버가 제1 커넥터에 장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는 제1 커넥터의 측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대략 "ㄷ"자형 레버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측부 즉 커넥터 조립체의 측부에 제공되므로, 커넥터 조립체의 전체적인 크기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암형 커넥터와 수형 커넥터를 구분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접속 구조에 따른 구분에 불과하며 암형 커넥터의 구성이 수형 커넥터에도 적용 가능하며, 수형 커넥터의 구성이 암형 커넥터에도 적용 가능함이 명백하며, 권리범위도 암형 또는 수형의 용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300)의 암형 커넥터(100)의 분해 사 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암형 커넥터(100)는 와이어(1)와, 후방 홀더(2)와, 와이어 밀봉부재(3)와, 접촉 칼라(4)와, 클림프 링(5)과, 암형 단자(6)와, 상기 암형 단자(6)와 차폐 전선(1)을 수용하는 내측 공간을 가지며, 암형 단자(6)의 진입이 안내되는 제1 진입 안내부(15)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측에서 차폐 전선(1)을 차폐하는 차폐 쉘(9)을 포함한다.
제1 진입 안내부(15)가 형성된 쪽의 반대쪽에는 후술하는 수형 커넥터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는데, 수형 커넥터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는 쪽에는 하우징(10)을 밀봉하는 하우징 밀봉 부재(7)가 제공된다. 하우징 밀봉 부재(7)는 하우징 전체를 밀봉하는 단일 밀봉 부재로 구성된다. 단일의 밀봉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조립공수와 조립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암형 하우징(100)에는 암형 커넥터(100)에 후술하는 수형 커넥터(200)가 정상적으로 접속하였음을 표시할 수 있는 인터록 단자(8)가 결합하는데, 이 인터록 단자(8)는 후술하는 수형 커넥터(200)가 암형 커넥터(100)에 정상적으로 접속된 경우에 통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터록 단자(8)에는 두 개의 연장부(81, 82)가 제공되는데, 암형 커넥터(100)에 수형 커넥터(200)가 접속하였을 때에 연장부(81, 82)가 수형 커넥터(200)의 스위치 접속부(204; 도 2 참조)의 통로에 진입한다. 스위치 접속부(204)에는 외측에서 연결되는 스위치가 접속하게 되는데, 암형 커넥터(100)에 수형 커넥터(200)가 접속하면, 스위치 단자와 인터록 단자(8)의 연장부(81, 82)가 접속하여 통전되게 됨으로써 정상 접속 상태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인터록 단자(8)는, 암형 단자(6)에 수형 단자(27)가 정상적으로 접속된 경우에 스위치 단자와 통전 가능하게 접속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암형 커넥터(100)에는 레버(50)가 장착되는데, 도 9에 레버(50)의 내측면도가, 도 10에 레버(5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레버(50)는 "ㄷ"자형으로 되어 있는데 제1 암(61a)과, 제2 암(61b)과, 제1 암과 제2 암을 연결하는 연결부(65)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암(61a)과 제2 암(61b)은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이다.
제1 암(61a)과 제2 암(61b)의 내측벽에는 도 9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안내 홈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안내 홈은 암형 커넥터(100)의 제1 돌기(11)를 안내하는데, 제1 안내부(64)와, 제2 안내부(63)와, 제3 안내부(62)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안내부(64)는 레버(50)를 암형 커넥터(100)에 장착할 때에 제1 돌기(11)가 진입하여 안내되는 부분이다.
제1 안내 홈은 제1 암(61a)과 제2 암(61b)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안내 홈은 수형 커넥터(200)의 돌기(201)가 안내되는데, 제4 안내부(51)와, 제5 안내부(52)와, 제6 안내부(53)로 구성되어 있다. 레버(50)를 암형 커넥터(100)에 장착할 때에는 레버(50)의 제1 안내부(64)에 암형 커넥터(100)의 제1 돌기(11)를 밀어 넣어서 제1 안내 홈의 제2 안내부(63)에 걸리도록 하여 결합시킨다.
제1 안내 홈의 제3 안내부(63)와 제2 안내 홈의 제6 안내부(53)는 서로에 대 해 실질적으로 평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50)가 암형 커넥터(100)에 장착되면, 제1 암(61a)과 제2 암(61b)은 암형 커넥터(100)의 상면과 하면에 배치되며, 연결부(65)는 암형 커넥터(100)의 측면에 배치된다.
도 2에는 전술한 암형 커넥터(100)에 접속하도록 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수형 커넥터(20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형 커넥터(200)는 암형 커넥터(100)에 접속하는 쪽의 반대쪽에 전벽(前壁)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 수용 공간이 제공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 내에 수용되고 암형 단자(6)에 접속하도록 되어 있는 수형 단자(27)와, 수형 단자(27)의 일부분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되어 있는 차폐 쉘(25)과, 차폐 쉘(25)의 내측벽에 닿도록 배치되는 차폐 스프링(21)과, 차폐 쉘(25)이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차폐판(26)과, 인서트 부시(22; insert bush)와, 인터록 밀봉 부재(24)와, 하우징 밀봉 부재(23)와, 수형 단자 밀봉 부재(28)와, 후방 홀더(29)를 포함한다.
전벽에는 고정 프레임에 수형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가 관통하는 제1 관통공(207)이 형성되어 있다. 인서트 부시(22)는 제1 관통공(207)에 결합한다. 그리고 전벽에는 스위치 접속부(204)가 제공되며, 차폐판(26)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암형 커넥터(100)와 수형 커넥터(200)의 결합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수형 커넥터(200)의 제2 돌기(201)가 제2 안내 홈의 제4 안내부(51)와 정렬되어 진입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한다. 계속하여 돌기(201)가 제4 안내부(51)의 끝에 도달할 때까지 수형 커넥터(200)를 밀어 넣은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5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렇게 하면, 제1 돌기(11)는 제1 안내 홈의 제2 안내부(63)에서 레버(50)의 회전축이 되어 회전하게 되고, 수형 커넥터(200)의 제2 돌기(201)는 제5 안내부(52)를 따라서 안내됨으로써 수형 커넥터(200)를 암형 커넥터(100)쪽을 향해 더욱 이동시킨다. 레버(50)가 완전히 회전하여 도 7에 도시된 상태가 되면 비로소 수형 단자(27)가 암형 단자(6)에 접속된 상태가 된다. 암형 커넥터(100)에 수형 커넥터(200)가 접속된 상태의 일부 단면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어서 레버(50)를 하우징측을 향해 밀면, 제1 돌기(11)는 제3 안내부(62)를 따라 안내되고, 제2 돌기(201)는 제6 안내부(53)를 따라서 안내되어 각 안내부의 끝단까지 안내된다. 그리하여 접속이 완료된 상태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에 레버를 제공하고, 접속 완료 후, 레버(50)를 하우징측을 향해 이동시켜 접속 공정을 마무리함으로써 외관이 깔끔해지는 장점이 제공된다.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의 수형 커넥터(20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도 11에 도시된 수형 커넥터(200)가 암형 커넥터(100)에 접속한 상태의 일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수형 커넥터(200)는 와이어(1')가 연결되어 와이어(1')를 암형 커넥 터(100)의 와이어(1)에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라는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수형 커넥터와 상이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200)에는 제2 와이어(1')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제2 와이어(1')를 암형 커넥터(100)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1)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암형 커넥터(100)에 수형 커넥터(200)가 접속된다.
수형 커넥터(200)는, 제2 와이어(1')와, 후방 홀더(2')와, 제2 와이어 밀봉 부재(3')와, 접촉 칼라(4')와, 클림프 링(5')과, 수형 단자(27)와, 내부 하우징(40)과, 하우징 밀봉 부재(28)와, 차폐 쉘(25)과, 차폐 스프링(21)과, 하우징(20)과, 브라켓(60)을 포함한다. 암형 하우징(100)의 인터록 단자(8)를 밀봉하는 인터록 단자 밀봉 부재(24)도 제공된다. 하우징(20)의 상면에는 돌기(201)가 제공되는데, 이 돌기(201)는 수형 커넥터(200)를 암형 커넥터(100)에 접속할 때에 레버(50)의 제2 안내 홈을 따라서 안내된다.
도 11에 도시된 수형 커넥터(200)를 암형 커넥터(100)에 접속시키는 과정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과정과 대동소이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의 측면에 레버가 배치되므로 전기 자동차 등에 사용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크기를 크게 감소시켜 소형화가 가능하고, 커넥터 조립체의 장착 공간의 확보도 매우 유리해지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나아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및/또는 수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이 명백하게 이해된다.

Claims (5)

  1.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차폐 전선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면과 하면에 제1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에 접속되며 상면과 하면에 제2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2 커넥터와,
    제1 암과, 제1 암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제2 암과, 제1 암과 제2 암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넥터를 제1 커넥터에 접속시킬 때에 상기 제1 돌기가 안내되는 제1 안내 홈과 상기 제2 돌기가 안내되는 제2 안내 홈이 제1 암과 제2 암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돌기는 제1 안내 홈에 구속되어 상기 레버가 제1 커넥터에 장착된 상태가 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부는 제1 커넥터의 측부에 배치되는,
    커넥터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안내 홈은 제1 커넥터에 장착할 때에 제1 돌기가 진입하는 제1 안내부와, 제2 커넥터를 제1 커넥터에 접속시키기 위해 레버를 회전시킬 때에 상기 제1 돌기가 회전하는 제2 안내부와, 상기 레버를 제1 커넥터측을 향해 밀어 넣을 때 상기 제1 돌기가 안내되는 제3 안내부를 포함하며,
    제2 안내 홈은 제2 커넥터의 제2 돌기의 진입을 안내하는 제4 안내부와, 레버가 회전할 때에 제2 돌기가 안내되는 제5 안내부와, 레버를 제1 커넥터측을 향해 밀어 넣을 때 상기 제2 돌기가 안내되는 제6 안내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 홈은 제1 암과 제2 암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안내 홈은 제1 암과 제2 암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레버의 회전축이 상기 제1 돌기가 되는,
    커넥터 조립체.
  5. 청구항 2에 있어서,
    제3 안내부와 제6 안내부는 실질적으로 평행인,
    커넥터 조립체.
KR1020060062485A 2006-07-04 2006-07-04 전기 자동차의 커넥터 조립체 Expired - Fee Related KR100790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485A KR100790332B1 (ko) 2006-07-04 2006-07-04 전기 자동차의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485A KR100790332B1 (ko) 2006-07-04 2006-07-04 전기 자동차의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0332B1 true KR100790332B1 (ko) 2008-01-02

Family

ID=39216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48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90332B1 (ko) 2006-07-04 2006-07-04 전기 자동차의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03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0793A3 (ko) * 2009-07-20 2011-03-24 케이유엠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3854A (ja) * 1993-02-18 1994-09-02 Yazaki Corp バッテリ間接続用コネクタ装置
JPH06267615A (ja) * 1993-03-12 1994-09-22 Yazaki Corp 電磁シールドコネクタ
JPH07153529A (ja) * 1993-11-26 1995-06-16 Yazaki Corp 防水型シールドコネクタ
JPH10233262A (ja) 1998-03-27 1998-09-02 Yazaki Corp パネルに対するコネクタの取付構造
JP2004103365A (ja) * 2002-09-09 2004-04-02 Hitachi Cable Ltd ケーブルコネクタ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3854A (ja) * 1993-02-18 1994-09-02 Yazaki Corp バッテリ間接続用コネクタ装置
JPH06267615A (ja) * 1993-03-12 1994-09-22 Yazaki Corp 電磁シールドコネクタ
JPH07153529A (ja) * 1993-11-26 1995-06-16 Yazaki Corp 防水型シールドコネクタ
JPH10233262A (ja) 1998-03-27 1998-09-02 Yazaki Corp パネルに対するコネクタの取付構造
JP2004103365A (ja) * 2002-09-09 2004-04-02 Hitachi Cable Ltd ケーブルコネクタ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0793A3 (ko) * 2009-07-20 2011-03-24 케이유엠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KR101068316B1 (ko) * 2009-07-20 2011-09-28 케이유엠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9582B2 (en) Connector
JP5797283B2 (ja) 高電圧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4895213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9124024B2 (en) Connector having inner conductive member
JP5534350B2 (ja) コネクタ装置
EP2515386A1 (en) Insulating structure of l-shaped terminal
KR101916327B1 (ko) 일체형 접지단자를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JPH0226348B2 (ko)
WO2013047178A1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WO2017154553A1 (ja) 蓄電モジュールと制御機器との接続構造
KR100790339B1 (ko)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암형 커넥터 및 그 암형 커넥터에접속되는 수형 커넥터
CN107431313B (zh) 连接器及屏蔽罩
CN107819251A (zh) 连接器
US5564953A (en) Divided-type multi-pole connector
JP5961493B2 (ja) コネクタ装置
JP2011009108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100790332B1 (ko) 전기 자동차의 커넥터 조립체
WO2015012065A1 (ja) コネクタ
CN206574978U (zh) 对接连接器装置
KR101110426B1 (ko) 암커넥터 조립체
KR100743401B1 (ko)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와이어 대 와이어형 수형 커넥터
JP2011014498A (ja) コネクタ
JP2019079621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EP4117123A1 (en) Connector fitt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