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233B1 - 집적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집적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87233B1 KR100787233B1 KR1020060113303A KR20060113303A KR100787233B1 KR 100787233 B1 KR100787233 B1 KR 100787233B1 KR 1020060113303 A KR1020060113303 A KR 1020060113303A KR 20060113303 A KR20060113303 A KR 20060113303A KR 100787233 B1 KR100787233 B1 KR 1007872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layer
- substrate
- resonator
- region
- driv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temperature coefficient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element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or supports
- H03H9/0538—Constructional combinations of supports or holders with electromechanical or other electronic elements
- H03H9/0547—Constructional combinations of supports or holders with electromechanical or other electronic elements consisting of a vertical arrangement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element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element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17—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 H03H9/171—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implemented with thin-film techniques, i.e. of the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 type
- H03H9/172—Means for mounting on a substrate, i.e. means constituting the material interface confining the waves to a volume
- H03H9/174—Membran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2—Piezoelectric device ma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5)
- 기판;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공진부;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공진부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구동 전극층;상기 기판 상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공진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제1 전극층; 및상기 기판 상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구동전극층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전극층과 단차를 이루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소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극층은,상기 제2 전극층 및 상기 구동전극층 사이에 형성되는 전위차에 의해 상기 공진부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소자.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은 일체로 형성되며,상기 제1 전극층은, 상기 제2 전극층 및 상기 구동전극층 사이에 형성되는 전위차에 의해 상기 공진부 방향으로 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소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 전극층은,상기 기판 표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전극층이 배치되는 위치보다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층과의 단차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소자.
- 제1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지지하며, 상기 제2 전극층 및 상기 구동전극층 사이에 소정 크기 이상의 전위차가 형성되면 상기 제1 전극층을 상기 공진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부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소자.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기판은,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지지하는 지지부;상기 기판과 접하는 접합부; 및,상기 지지부가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접합부 및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소자.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는,상기 제1 전극층을 지지하는 제1 영역 및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제2 전극층을 지지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소자.
- 제5항에 있어서,상기 구동 전극층은,상기 공진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구동 전극층; 및,상기 공진부를 중심으로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구동 전극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소자.
- 제5항에 있어서,상기 공진부는,상기 기판에 마련된 캐비티;상기 캐비티 상측에 형성된 하부전극층;상기 하부전극층 상측에 형성된 압전막; 및상기 압전막 상측에 형성된 상부전극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소자.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기판 표면 사이의 이격거리 h는, 상기 제2 전극층 및 상기 기판 표면 사이의 이격 거리 h2의 1/3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소자.
- (a) 제1 기판 상에 공진부 및 구동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b) 제2 기판 상에 제1 전극 층 및 상기 제1 전극층과 단차가 지는 제2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c) 상기 제1 전극층이 상기 공진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층이 상기 구동전극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소자 제작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a)단계는,상기 제1 기판 상에 도전물질을 적층 및 패터닝하여 하부전극층, 상기 구동전극층 및 본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하부전극층 상에 압전층 및 상부 전극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상기 하부전극층 하측의 제1 기판영역을 식각하여 캐비티(cavity)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공진부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소자 제작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는,(b1) 상기 제2 기판의 일 표면을 소정 패턴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와 상기 제1 기판과 접합하기 위한 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b2) 상기 지지부 내에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b3)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접합부 사이의 영역을 소정 형태로 패터닝하여 상기 지지부를 요동 가능한 형태로 지지하는 힌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소자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b1)단계는,상기 제2 기판 표면을 1차 식각하는 단계; 및,상기 1차 식각된 영역을 포함하는 제2 기판 영역을 2차 식각하여, 서로 다른 깊이의 제1 함몰 영역 및 제2 함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소자 제조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b2)단계는,상기 제1 및 제2 함몰 영역을 포함하는 제2 기판 표면에 도전물질을 적층하고 패터닝하여, 상기 제1 및 제2 함몰 영역 중 상대적으로 큰 깊이를 가지는 제1 함몰 영역에 상기 제1 전극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함몰 영역에 상기 제2 전극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소자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3303A KR100787233B1 (ko) | 2006-11-16 | 2006-11-16 | 집적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US11/812,878 US7701312B2 (en) | 2006-11-16 | 2007-06-22 | Integrated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3303A KR100787233B1 (ko) | 2006-11-16 | 2006-11-16 | 집적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87233B1 true KR100787233B1 (ko) | 2007-12-21 |
Family
ID=39147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13303A Active KR100787233B1 (ko) | 2006-11-16 | 2006-11-16 | 집적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7701312B2 (ko) |
KR (1) | KR10078723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834524B2 (en) * | 2009-01-30 | 2010-11-16 |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 Micro-electromechanical devices having variable capacitors therein that compensate for temperature-induced frequency drift in acoustic resonators |
US8362853B2 (en) | 2009-06-19 | 2013-01-29 | Qualcomm Incorporated | Tunable MEMS resonators |
KR101853740B1 (ko) * | 2011-07-27 | 2018-06-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체적 음향 공진기 및 체적 음향 공진기를 이용한 듀플렉서 |
US9054671B2 (en) * | 2011-11-09 | 2015-06-09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Tunable filter structures and design structures |
US9178256B2 (en) | 2012-04-19 | 2015-11-03 |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 Isotropically-etched cavities for evanescent-mode electromagnetic-wave cavity resonators |
US8884725B2 (en) | 2012-04-19 | 2014-11-11 |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 In-plane resonator structures for evanescent-mode electromagnetic-wave cavity resonators |
US20130278359A1 (en) * | 2012-04-19 | 2013-10-24 |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 Two- and three-substrate level processes for producing evanescent mode electromagnetic wave cavity resonators |
JP2014076527A (ja) * | 2012-10-12 | 2014-05-01 | Seiko Epson Corp | Memsセンサー、および電子機器、ロボット、移動体 |
US10312882B2 (en) * | 2015-07-22 | 2019-06-04 | Cindy X. Qiu | Tunable film bulk acoustic resonators and filters |
KR101872599B1 (ko) * | 2016-08-26 | 2018-06-28 | 삼성전기주식회사 | 탄성파 필터 장치 |
FR3076126A1 (fr) * | 2017-12-26 | 2019-06-28 |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 Procede de realisation d'un resonateur acoustique a ondes de volume a capacite parasite reduite |
CN109831172B (zh) * | 2018-12-20 | 2022-03-01 | 苏州敏芯微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体声波谐振器的制备方法 |
US11870422B2 (en) | 2020-12-03 | 2024-01-09 | Akoustis, Inc. |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filters with integrated capacitor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7701A (ko) * | 2000-04-25 | 2001-11-08 | 구자홍 | 고주파용 fbar 공진기 및 그 제조방법 |
KR20040043483A (ko) * | 2002-11-18 | 2004-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Fbar을 이용한 듀플렉스필터 |
KR20050063701A (ko) * | 2003-12-22 | 2005-06-28 | 인피네온 테크놀로지스 아게 | 박막 공진기 사다리형 필터, 송수전환기 및 사다리형 필터접지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I108583B (fi) * | 1998-06-02 | 2002-02-15 | Nokia Corp | Resonaattorirakenteita |
-
2006
- 2006-11-16 KR KR1020060113303A patent/KR100787233B1/ko active Active
-
2007
- 2007-06-22 US US11/812,878 patent/US770131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7701A (ko) * | 2000-04-25 | 2001-11-08 | 구자홍 | 고주파용 fbar 공진기 및 그 제조방법 |
KR20040043483A (ko) * | 2002-11-18 | 2004-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Fbar을 이용한 듀플렉스필터 |
KR20050063701A (ko) * | 2003-12-22 | 2005-06-28 | 인피네온 테크놀로지스 아게 | 박막 공진기 사다리형 필터, 송수전환기 및 사다리형 필터접지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7701312B2 (en) | 2010-04-20 |
US20080116999A1 (en) | 2008-05-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87233B1 (ko) | 집적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
US7671427B2 (en) | Method of manufacturing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using internal stress of metallic film and resonator manufactured thereby | |
KR100506729B1 (ko) | 박막 벌크 어코스틱 공진기(FBARs)소자 및 그제조방법 | |
JP4590446B2 (ja) | 基板接合を利用して製造されたデュプレクサとその製造方法 | |
US7095298B2 (en) |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having suppor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e | |
US6909221B2 (en) | Piezoelectric on semiconductor-on-insulator micro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
US7224245B2 (en) | Duplexer fabricated with monolithic FBAR and isolation part and a method thereof | |
WO2011036995A1 (ja) | 弾性波デバイス | |
KR100631216B1 (ko) | 에어갭형 박막벌크음향공진기 및 그 제조방법 | |
CN101741343A (zh) | 谐振器、滤波器、以及电子装置 | |
WO2011036979A1 (ja) | 弾性波デバイス | |
JP2008117813A (ja) | 可変容量素子、共振器および変調器 | |
US7619492B2 (en) |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0348270B1 (ko) | 고주파용 fbar 공진기 및 그 제조방법 | |
Li | CMOS-MEMS resonators and their applications | |
JP5555466B2 (ja) | 弾性波デバイス | |
JP2008005443A (ja) | 音響波共振子およびフィルタならびに通信装置 | |
KR20040090891A (ko) | 기판 접합을 이용하여 제조된 단일칩 듀플렉서 및 그 제조방법 | |
KR100400741B1 (ko) | 가변 대역통과필터 및 그 제조방법 | |
US6965274B2 (en) | Thin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or controlling resonance frequency 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using the same | |
US20240322792A1 (en) | Piezoelectric thin film filter | |
KR20030069543A (ko) | 박막 용적 탄성파 공진기를 이용한 전압제어발진기 및 그박막 용적 탄성파 공진기 제조방법 | |
JP2005311568A (ja) | フィルタ装置及び送受信機 | |
KR20030073843A (ko) | 박막 용적 공진기 필터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1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