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87191B1 - 각형비가 큰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각형비가 큰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191B1
KR100787191B1 KR1020060081601A KR20060081601A KR100787191B1 KR 100787191 B1 KR100787191 B1 KR 100787191B1 KR 1020060081601 A KR1020060081601 A KR 1020060081601A KR 20060081601 A KR20060081601 A KR 20060081601A KR 100787191 B1 KR100787191 B1 KR 100787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ursor
plate
alpha
alumina
t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박병기
서정권
최동욱
장길완
임광수
조성윤
강광중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씨큐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씨큐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81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191B1/ko
Priority to EP07793710.0A priority patent/EP2057096B1/en
Priority to PCT/KR2007/004114 priority patent/WO2008026860A1/en
Priority to JP2009526532A priority patent/JP5141920B2/ja
Priority to US12/439,165 priority patent/US7993746B2/en
Priority to CN2007800319443A priority patent/CN101541681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1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7/00Compounds of aluminium
    • C01F7/02Aluminium oxide; Aluminium hydroxide; Alumi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7/00Compounds of aluminium
    • C01F7/02Aluminium oxide; Aluminium hydroxide; Aluminates
    • C01F7/44Dehydration of aluminium oxide or hydroxide, i.e. all conversions of one form into another involving a loss of water
    • C01F7/441Dehydration of aluminium oxide or hydroxide, i.e. all conversions of one form into another involving a loss of water by calc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7/00Compounds of aluminium
    • C01F7/02Aluminium oxide; Aluminium hydroxide; Aluminates
    • C01F7/34Preparation of aluminium hydroxide by precipitation from solutions containing aluminium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alumin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0Compounds of aluminium
    • C09C1/407Aluminium oxides or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d-values or two theta-values, e.g. as X-ray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2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wo dimensions, e.g. plate-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4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aspect ratio, i.e. the ratio of sizes in the longest to the shortest dimen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형비가 큰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성 융제가 함유된 알루미늄 전구체 수용액과, 아연 전구체 수용액 및 주석 전구체 수용액을 가수분해하여 혼합 겔을 제조하고, 이를 특정의 반응조건에서 숙성, 건조 및 결정화하는 일련의 공정에 의해 제조된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및 산화주석을 함유한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결정체는 평균입자두께가 0.5 ㎛ 이하, 평균입자직경이 30 ㎛ 이상이며, 특히 각형비가 100 이상이 유지되어, 고급 진주안료기질, 연마제, 세라믹재료 및 충진제로 유용한 각형비가 큰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산화주석,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 각형비

Description

각형비가 큰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 및 이의 제조방법{Flaky α-Alumina crystals with large aspect ratio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X-선 회절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각형비가 큰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성 융제가 함유된 알루미늄 전구체 수용액과, 아연 전구체 수용액 및 주석 전구체 수용액을 가수분해하여 혼합 겔을 제조하고, 이를 특정의 반응조건에서 숙성, 건조 및 결정화하는 일련의 공정에 의해 제조된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및 산화주석을 함유한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결정체는 평균입자두께가 0.5 ㎛ 이하, 평균입자직경이 30 ㎛ 이상이며, 특히 각형비가 100 이상이 유지되어, 고급 진주안료기질, 연마제, 세라믹재료 및 충진제로 유용한 각형비가 큰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라믹이란 고온으로 열처리하여 만든 비금속의 무기질 고체 재료를 통틀어 이르는 것으로, 이러한 세라믹은 내화성, 내산성, 내알칼리성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이중 세라믹재료, 연마제, 충진제 및 진주안료 기질은 판상의 형태를 가지면서 그 크기와 두께가 일정해야 하며, 입자간 응집이 적고 표면이 평탄해야 한다.
세라믹재료 및 충진제로서 우선 시 되는 요구사항은 열전도도와 기계적 강도의 향상이며, 이러한 효과 발현을 위해 두께가 얇아야 하고, 고른 분산 및 분포에 필수적인 입자의 응집이 없어야 하며, 입자의 크기가 균일하여야 한다.
또한, 진주안료 기질로서의 중요 시 되는 것은 입자크기, 형상, 표면성질 및 굴절률 등이다. 즉, 큰 입자와 작은 입자는 입자표면에 있어서의 반사광과 입자를 투과하는 투과광의 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선명한 색을 얻기 위해서는 입자의 크기가 균일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입자크기는 빛의 파장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어 진주안료의 착색력에 많은 영향을 주는 바, 입자가 작을수록 표면적이 증가하여 착색력이 증대되고 반사율이 높아져 색은 선명해진다.
그러나, 금속이나 금속산화물 코팅 시 균일한 코팅 층을 형성하기가 곤란하고 각형비가 감소하게 되어, 결국에는 빛의 간섭효과가 저하되고 진주 광택성이 나쁘게 되므로 빛의 간섭에 의한 다양한 진주색상을 구현하기에 충분한 균일한 입자 크기를 가져야할 필요가 있다. 이외에도 진주안료 기질은 균일한 두께와 평탄한 면을 갖는 투명한 입자이어야 하는 데, 이는 착색력 및 은폐력 등 가시광선에 의한 진주색상의 구현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된다. 입자의 두께가 두껍거나 면이 평탄하지 못할 경우, 표면에서 대부분 반사나 산란이 발생하여 진주색을 나타내기가 곤란하다. 또한, 입자가 응집되어 있거나 두께가 균일하지 못하면 금속이나 금속산화물 입자를 코팅하였을 때 다양한 진주색을 구현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진주안료로 사용 가능한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는 평균입자두께가 0.5 ㎛ 이하이고, 평균입자크기가 15 ㎛ 이상이며, 응집이 없고 표면이 매우 평탄한 투명한 판상입자 이어야 한다.
현재 진주안료 기질로는 탄산연(lead carbonate), 옥시염화비스무트(BiOCl), 천연운모, 합성운모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중, 운모는 세라믹 재료의 연성 및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제와, 열전도도 향상을 위한 첨가제 등의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진주안료의 기질로서 최근에는 수열법에 의하거나, 이산화티탄 또는 이산화주석을 첨가제로 사용한 판상 알루미나 기질의 제조방법이 보고되고 있다.
수열법에 의한 방법은 입자크기가 작고 각형비가 낮은 문제가 있으며, 이산화티탄을 첨가제로 사용한 방법은 진주안료 기질로서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가수분해 후 숙성 공정이 없어 균일한 입도와 분산성이 우수한 판상 알루미나 결정체를 얻기가 곤란하고, 이산화주석을 첨가제로 사용한 방법은 입자의 크기는 크나 이에 비해 두께가 두꺼운 문제가 있다.
이에, 판상 알파알루미나는 통상적으로 용액화학법에 의해 알루미늄염 용액이 가수분해되어 형성하는 유사베마이트가 약 400 ℃ 이상에서 감마알루미나(??-Al2O3)로 상전이 되고, 용융염 용액에서 1,200 ℃로 가열하면 알파알루미나가 되어 육각형의 판상 결정체를 형성하게 된다.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는 금속이나 금속산화물을 코팅하였을 때 다양한 색상의 진주광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얇고 균일한 평면을 가져야 하며, 50 이상의 각형비(aspect ratio=diameter/thickness)와 무색으로 광 투과성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판상 결정체는 두께가 두꺼워 각형비가 감소함으로서 진주안료 기질로는 우수한 물성을 가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각형비가 큰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 제조를 위해 연구하던 중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아연이 필수성분으로 포함된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한국특허출원 제2005-25126호]. 이로부터 제조된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는 두께가 0.1 ∼ 0.5 ㎛이고, 직경이 15 ∼ 25 ㎛이며, 각형비(aspect-ratio)가 50 ∼ 250를 유지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진주안료 기질로 널리 사용되는 판상 알루미나 결정체의 형태상 문제점을 개선하고, 특히 본 발명자에 의한 한국특허출원 제2005-25126호의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각형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연 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필수성분으로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및 산화주석을 일정성분비로 함유하고, 평균입자두께는 0.5 ㎛ 이하이고, 평균입자직경은 30 ㎛ 이상이며, 특히 각형비가 100 이상으로 큰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가 형성된다는 것과, 상기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는 수용성 융제가 함유된 알루미늄 전구체 수용액과, 아연 전구체 수용액 및 주석 전구체 수용액을 가수분해하여 혼합 겔을 제조하고, 특정의 반응조건에서 숙성, 건조 및 결정화하는 일련의 공정으로 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및 산화주석이 필수성분으로 포함되어 이루어진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및 산화주석이 주성분으로 포함된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성 융제가 함유된 알루미늄 전구체 수용액에,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연 전구체가 0.05 ∼ 5 중량부와 주석 전구체 0.01 ∼ 0.5 중량부가 포함된 전구체 수용액을 혼합하여 금속 전구체 수용액을 제조하는 1단계;
상기 금속 전구체 수용액을 나트륨염 수용액으로 pH 6.0 ∼ 7.5 범위로 적정한 후, 가수분해하여 혼합 겔을 제조하는 2단계;
상기 제조된 혼합 겔을 60 ∼ 100 ℃ 온도, 5 ∼ 30 시간 동안 숙성하는 3단계;
상기 숙성한 혼합 겔을 60 ∼ 200 ℃ 온도, 5 ∼ 30 시간 동안 건조하는 4단계;
상기 건조된 혼합 겔을 850 ∼ 1,300 ℃ 온도, 1 ∼ 8 시간 동안 결정화하여 결정화된 케이크를 제조하는 5단계; 및
상기 결정화된 케이크를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20 ∼ 90 ℃ 물에 용해 및 여과하여 융제를 제거시킨 다음, 20 ∼ 90 ℃ 온도, 0.1 ∼ 30% 황산용액으로 분산시키고, 여과, 수세 및 건조하여 알파알루미나 결정체를 제조하는 6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제조방법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필수성분으로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아연 및 산화주석이 일정성분비로 함유되어 이루어진 신규의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산화아연과 산화주석이 알루미늄의 결정표면에 분포하게 되어 두께의 감소와 입자의 성장을 촉진시키며, 응집을 방지하여 평균입자두께 0.5 ㎛ 이하 바람직하기로는 0.1 ∼ 0.3 ㎛ 범위이고, 평균입자직경이 30 ㎛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30 ∼ 70 ㎛ 범위이며, 특히 각형비가 100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100 ∼ 500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50 ∼ 300 범위 등의 물성을 가져 진주안료의 기질로 우수한 특성을 갖는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판상 알루미나 결정체는 본 출원인에 의해 기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2005-25126호를 개선한 발명으로, 입자의 광학적 특성 및 물성을 결정하는 각형비의 범위를 보다 향상시킨 것이다. 이를 위하여 주성분으로 산화주석을 일정량 도입 사용하는 바, 상기 산화주석은 산화아연과 함께 알루미나의 표면에 분포하게 되며, 종래 산화아연 단독인 경우에 비해 결정의 직경방향인
Figure 112006061616606-pat00001
면의 성장에너지를 높게 하여 결정성장 단위인 알루미늄원자 및 산소원자가 결정의 길이방향으로의 배열이 용이하게 되어 판상입자의 직경방향 성장 촉진에 보다 효과적이다.
다음 도 1의 공정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용성 융제가 함유된 알루미늄 전구체 수용액과, 아연 전구체 수용액및 주석 전구체 수용액을 혼합하여 금속 전구체 수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 아연 전구체 및 주석 전구체는 각각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각 금속의 산염, 할로겐화물 및 산화물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전구체는 황산알루미늄, 질산알루미늄 및 염화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아연 전구체는 황산아연, 질산아연 및 염화아연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석 전구체는 황산주석, 질산주석 및 염화주석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전구체 중 본 발명에서는 가수분해 특성, 융제와의 화학적 친화 력 및 결정화 후 물 속에서 판상 결정체와의 분리가 쉽도록 수용성염의 형성이 보다 용이한 황산알루미늄을 사용하며, 상기 황산알루미늄과의 화학적 친화력, 판상 결정체의 두께 감소 및 응집방지 효과가 보다 우수한 황산아연과 황산주석을 선택 사용한다. 상기 황산아연 및 황산주석은 300 ℃ 이상에서 산화아연 및 산화주석으로 산화가 일어나는 데, 이러한 산화아연 및 산화주석은 결정화 과정에서 판상 알파알루미나의 결정면에 부착되게 되며, 이로 인해 (0001)면의 성장에너지를 낮추고, 상대적으로
Figure 112006061616606-pat00002
면의 성장에너지를 높여 직경방향으로의 성장이 촉진되는 에피택시 성장을 일으킨다. 따라서, 두께방향의 성장이 억제되고 직경방향의 성장이 촉진되어 산화아연을 단독으로 첨가하여 제조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두께는 유사하지만, 직경이 월등히 큰 판상알루미나 결정체를 형성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산화아연과 산화주석은 사용되는 양에 따라 두께와 크기가 변하므로 다양한 각형비를 갖는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한 알루미늄 전구체, 아연 전구체 및 주석 전구체는 수용액 상태로 사용하는 바, 각각 15 ∼ 35 중량%, 20 ∼ 50 중량% 및 10 ∼ 18 중량% 농도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가수분해와 건조가 어려우며,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응집방지, 크기 및 각형비의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연 전구체는 알루미늄 전구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 5 중량부 사용하며, 상기 사용량이 0.05 중량부 미만이면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응집을 방지하기 곤란하며, 두께의 증가로 인해 각형비가 감소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결정화 과정에서 산화아연이 불순물로 작용하여 불균일핵생성을 촉진시킴으로서, 크기가 작은 결정체가 생성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주석 전구체는 알루미늄 전구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0.5 중량부 사용하며, 상기 사용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어려우며, 0.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두께가 증가하여 각형비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수용성 융제는 핵생성과 핵성장이 어려운 고체 상태를 핵생성과 핵성장이 용이한 액체 상태로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용융염 속에서 핵생성과 핵성장 기구는 용질분자나 원자가 서로 응집함으로써 응집체를 만들어 배아를 형성하고, 표면자유에너지(surface free energy)와 체적자유에너지(volume free energy)의 지배를 받으면서 핵생성과 확산에 의한 핵성장이 뒤따르는 기구를 나타낸다.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핵생성은 용융염 용액 내에서 용액의 과포화도에 의존하면서 원자의 확산에 의한 전형적인 핵생성이 이루어지는 균일핵생성(homogeneous nucleation)과, 용액을 포함하고 있는 용기 또는 용액 내의 다른 고체 표면이나 불순물 표면에서 핵생성이 이루어지는 불균일핵생성(heterogeneous nucleation)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핵생성과 같이 판상 알파알루미 나 결정체의 핵생성은 불균일핵생성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핵생성이 도가니 표면이나 이물질 입자표면 등 고체표면에서 생성하므로, 계면에너지 값이 균일핵생성 때보다 훨씬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활성화에너지(activation energy)가 낮아져 핵생성이 매우 용이하다. 불균일핵생성은 용액이 고체표면과 이루는 접촉각(wetting angle)의 크기에 따라 활성화에너지 값이 크게 변하며, 접촉각이 작을수록 핵생성에 필요한 구동력이 작아 핵생성이 쉽다. 그러나, 접촉각이 작은 경우라 할지라도 핵생성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도 있는데, 이는 접촉각보다는 표면에서의 화학적 친화력이나 물리적 특성이 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체표면에서의 미세한 기공, 홈, 핵생성물질과 고체표면이 서로 화학적 활성을 나타낸다면 매끄러운 평면보다 핵생성이 용이하게 된다.
이때, 불균일핵생성은 다음 두 가지로 형태로 발생하게 되는 데, 첫째는 도가니 표면과 불순물 입자 표면에서의 핵생성과 성장이고, 다른 하나는 에피택시라 불리는 특정 방위로 성장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수용성 융제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알루미늄 전구체와 화학적 친화력이 우수하고 낮은 온도에서도 용융염의 형성이 용이하며, 결정화 후 물에 잘 용해되는 특징을 갖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황산나트륨, 황산칼륨, 황산수소칼륨, 붕산나트륨, 질산칼륨 및 수산화칼륨 중에서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수용성 융제는 알루미늄 전구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 ∼ 120 중량부 사용하며, 상기 사용량이 80 중량부 미만이면 용융염의 형성이 곤란하여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성장이 어렵고, 120 중 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크기와 각형비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다음으로, 상기 금속 전구체 수용액을 나트륨염 수용액으로 pH 6.0 ∼ 7.5 범위로 적정한 후, 가수분해하여 혼합 겔을 제조한다.
상기 나트륨염 수용액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탄산나트륨, 탄산일수소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및 인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혼합 겔을 숙성한 후, 건조시킨다. 이때, 숙성은 60 ∼ 100 ℃ 온도, 5 ∼ 30 시간 동안 수행하는 바, 상기 온도가 60 ℃ 미만이면 혼합 겔에 포함된 유사베마이트(pseudo-boehmite) 결정의 성장이 어렵고, 100 ℃ 이상은 수열반응에 의한 유사베마이트의 형태 변화가 발생하여 판상 결정체의 형성이 곤란하다. 또한, 숙성시간이 5 시간 미만이면 균일한 혼합 겔을 얻을 수 없고 유사베마이트의 성장이 어려워 응집이 심한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가 제조되며, 30시간을 초과하면 유사베마이트의 과도한 성장으로 두께가 두꺼운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가 제조된다.
상기한, 혼합, 가수분해 및 숙성 과정을 통하여 유사베마이트의 생성과 성장 및 혼합 겔의 고른 분산을 도모하며, 결정화과정에서 침상 감마알루미나의 응집에 의한 판상체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표면에 산화아연과 산화주석이 분포되게 함으로서, 두께의 감소와 입자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응집을 방지한다.
상기 건조는 60 ∼ 200 ℃ 온도, 5 ∼ 30 시간 동안 수행하는 데, 온도가 60 ℃ 미만이면 건조가 불가능하고, 2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혼합 겔의 과도한 건조수축에 의해 단단한 건조겔이 형성되어 유사베마이트의 응집에 의한 판상체의 형성과정이 중복되어 불균일한 판상체가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혼합 겔을 결정화한다. 이때, 결정화는 850 ∼ 1,300 ℃ 온도, 1 ∼ 8 시간 동안 수행하며, 상기 결정화 온도가 850 ℃ 미만이면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제조가 불가능하고, 1,3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융제를 구성하고 있는 황(S)이 이탈되어 용융염의 유지가 곤란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판상 결정체의 응집을 초래하는 한편, 에너지 소비가 커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결정화 과정에서는 온도구배가 없는 균일한 농도의 용융염이 형성되도록 하여, 알파알루미나로 상전이 되기 전에 침상입자의 응집에 의한 충분한 크기의 판상체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결정화된 케이크를 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냉각, 수세 및 건조 과정을 수행하는 바, 본 발명은 상온으로 냉각하고, 20 ∼ 90 ℃ 온도의 0.1 ∼ 30% 황산용액으로 분산시켜 이를 여과, 수세 및 건조하여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를 얻는다. 상기 황산용액의 농도가 0.1% 미만이면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분산이 곤란하고, 3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분산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한편 폐액의 처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공정에 의해, 주성분이 산화알루미늄이고 보조성분이 산화아연과 산화주석이 일정성분비로 포함된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는 두께 0.5 ㎛ 이하, 입자의 평균 직경이 30 ㎛ 이상이며, 각형비가 100 이상 등의 물성을 가져 진주안료 기질, 연마제 및 세라믹재료로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5 L 반응기에 순수 1,900 mL를 넣고 황산알루미늄(Al2(SO4)3·18H2O) 670 g, 황산나트륨(Na2SO4) 345 g, 황산칼륨(K2SO4) 280 g, 34% 황산아연(ZnSO4·7H2O) 수용액 4.8 g 및 17% 황산주석(SnSO4) 수용액 1.0 g을 넣은 후 65 ℃ 온도로 혼합하여 균일한 혼합용액을 제조하였다. 알칼리용액은 탄산나트륨(Na2CO3) 325 g과 인산나트륨((NaPO3)6) 2.7 g을 증류수 900 mL에 65 ℃ 온도로 용해시켜 제조하였다. 65 ℃ 황산알루미늄 혼합용액에 교반하면서 알칼리용액을 25 mL/min 속도로 적정하고 최종 pH가 6.8이 되도록 조절하여 유사베마이트와 융제의 혼합 겔을 제조하였다. 이후, 혼합 겔을 90 ℃온도로 20시간 숙성시킨 다음, 60 ℃ 온도로 진공증류 시키고 110 ℃ 온도로 24시간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혼합 겔을 약 5 ㎜ 이하로 분쇄한 다음 2 L 크기의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고 1,200 ℃에서 7시간 결정화반응을 실시하여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를 제조하였다. 도가니를 상온으로 냉각하여 60 ℃의 온수로 융제를 용해시킨 다음, 여과하여 융제와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는 5 L 반응기에 10% 황산용액 3 L와 함께 넣고 60 ℃ 온도로 48시간 교반하여 입자의 완전한 분산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를 다시 여과하고 수세하여 100 ℃로 건조함으로서, 평균입자두께 0.22 ㎛, 평균입자크기 35.8 ㎛인 투명한 입자를 얻었으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X-선 회절분석을 통해 알파알루미나 결정이 생성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원소분석을 통하여 0.4 중량부의 산화아연과 0.09 중량부의 산화주석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17% 황산주석을 0.5 g 사용하여 투명한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를 얻었다.
상기 제조된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평균입자두께는 0.2 ㎛이고, 평균입자크기 32.8 ㎛이었으며, 원소분석 결과 0.4 중량부의 산화아연과 0.04 중량부의 산화주석을 포함하고 있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35% 황산아연을 6 g 사용하여 투명한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를 얻었다.
상기 제조된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평균입자두께는 0.18 ㎛이고, 평균입자크기 32.1 ㎛이었으며, 원소분석 결과 1.0 중량부의 산화아연과 0.09 중량부의 산화주석을 포함하고 있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17% 황산주석을 1.0 g 사용하여 투명한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를 얻었다.
상기 제조된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평균입자두께는 0.17 ㎛이고, 평균입자크기 31.5 ㎛이었으며, 원소분석 결과 1.0 중량부의 산화아연과 0.09 중량부의 산화주석을 포함하고 있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황산아연을 첨가하지 않고 17% 황산주석 3 g 사용하여 투명한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를 얻었다.
상기 제조된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평균입자두께는 1.0 ㎛이고, 평균입자크기 36.4 ㎛이었으며, 원소분석 결과 0.27 중량부의 산화주석을 포함하고 있었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17% 황산주석 6.0 g을 사용하여 투명한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를 얻었다.
상기 제조된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평균입자두께는 1.5 ㎛이고, 평균입자크기 42.6 ㎛이었으며, 원소분석 결과 0.55 중량부의 산화주석을 포함하고 있었다.
비교예 3 : 한국특허출원 제 2005-25126호의 실시예 1
5 L 반응기에 순수 1,900 mL를 넣고 황산알루미늄(Al2(SO4)3·18H2O) 670 g, 황산나트륨(Na2SO4) 345 g, 황산칼륨(K2SO4) 280 g 그리고 35% 황산아연(ZnSO4·7H2O) 수용액 6 g을 넣은 후 65 ℃ 온도로 혼합하여 균일한 혼합용액을 제조하였다. 알칼리용액은 탄산나트륨(Na2CO3) 327 g과 인산나트륨((NaPO3)6) 2.7 g을 증류수 900 mL에 65 ℃ 온도로 용해시켜 제조하였다. 65 ℃ 황산알루미늄 혼합용액에 교반과 함께 알칼리용액을 20 mL/min 속도로 적정하고 최종 pH가 6.8이 되도록 조절하여 유사베마이트와 융제의 혼합 겔을 제조하였다. 이후, 혼합 겔을 90 ℃온도로 20시간 숙성시킨 다음, 60 ℃ 온도로 진공증류 시키고 110 ℃ 온도로 20시간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혼합 겔을 약 5 ㎜ 이하로 분쇄한 다음 2 L 크기의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고 500 ℃에서 1시간 하소하여 결정수로 이탈되는 수분을 충분히 제거하 였다. 그 다음 930 ℃로 승온하여 30분 유지함으로써 균일한 용융염의 생성과 침상 감마알루미나 입자의 응집에 의한 판상체의 생성이 원활하도록 하였다. 이후 1,150 ℃에서 5시간 30분 결정화반응을 실시하여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를 제조하였다. 도가니를 상온으로 냉각하여 60 ℃의 온수로 융제를 용해시킨 다음, 여과하여 융제와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는 5 L 반응기에 0.5% 황산용액 3,000 L와 함께 넣고 60 ℃ 온도로 48시간 교반하여 입자의 완전한 분산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를 다시 여과하고 수세한 다음, 100 ℃로 건조하여 평균입자두께 0.25 ㎛, 평균입자크기 15.6 ㎛인 투명한 판상 알파알루미나 입자를 얻었으며, 원소분석을 통하여 0.5 중량부의 산화아연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1 ∼ 4과 비교예 1 ∼ 3에서 제조된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두께 및 평균입자의 크기를 정리하면,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구 분 평균입자두께 (㎛) 평균입자크기 (㎛) 각형비 (평균크기/평균두께)
실시예 1 0.22 35.8 162
실시예 2 0.20 32.8 164
실시예 3 0.18 32.1 178
실시예 4 0.17 31.5 185
비교예 1 1.0 36.4 36
비교예 2 1.5 42.6 28
비교예 3 0.25 15.6 62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 4에서 제조된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는 입자두께가 0.1 ∼ 0.3 ㎛ 범위이고, 입자크기는 31.5 ∼ 35.8 ㎛ 범위이며, 각형비가 160 이상임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황산아연을 배제한 비교예 1과 황산주석을 과다 사용한 비교예 2는 본 발명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각형비를 나타내었으며, 황산주석의 사용을 배제한 비교예 3은 입자의 크기가 작고, 각형비가 62 정도로 본 발명에 비해 현저히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수성분으로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및 산화주석이 일정성분비로 함유되어 두께와 크기의 조절이 용이하며, 상기 필수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결정체는 평균입자두께가 0.5 ㎛ 이하이고, 평균입자크기가 30 ㎛ 이상 되어, 각형비가 100 이상을 유지하여 고급 진주안료기질, 세라믹재료 및 충진제로서 적합하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수용성 융제가 함유된 알루미늄 전구체 수용액에,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연 전구체가 0.05 ∼ 5 중량부와 주석 전구체 0.01 ∼ 0.5 중량부가 포함된 전구체 수용액을 혼합하여 금속 전구체 수용액을 제조하는 1단계;
    상기 금속 전구체 수용액을 나트륨염 수용액으로 pH 6.0 ∼ 7.5 범위로 적정한 후, 가수분해하여 혼합 겔을 제조하는 2단계;
    상기 제조된 혼합 겔을 60 ∼ 100 ℃ 온도, 5 ∼ 30 시간 동안 숙성한 후, 건조시켜 혼합 겔을 전처리하는 3단계;
    상기 전처리 된 혼합 겔을 60 ∼ 200 ℃ 온도, 5 ∼ 30 시간 동안 건조하는 4단계;
    상기 건조된 혼합 겔을 850 ∼ 1,300 ℃ 온도, 1 ∼ 8 시간 동안 결정화하여 결정화된 케이크를 제조하는 5단계; 및
    상기 결정화된 케이크를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20 ∼ 90 ℃ 물에 용해 및 여과하여 융제를 제거시킨 다음, 20 ∼ 90 ℃ 온도, 0.1 ∼ 30% 황산용액으로 분산시키고, 여과, 수세 및 건조하여 알파알루미나 결정체를 제조하는 6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는 알루미늄의 산염, 할로겐화물 및 산화물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제조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 전구체는 아연의 산염, 할로겐화물 및 산화물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제조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 전구체는 주석의 산염, 할로겐화물 및 산화물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제조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융제는 황산나트륨, 황산칼륨, 황산수소칼륨, 붕산나트륨, 질산칼륨 및 수산화칼륨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제조방법.
  9. 제 4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융제는 알루미늄 전구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80 ∼ 120 중량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제조방법.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나트륨염은 탄산나트륨, 탄산일수소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및 인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의 제조방법.
KR1020060081601A 2006-08-28 2006-08-28 각형비가 큰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0787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601A KR100787191B1 (ko) 2006-08-28 2006-08-28 각형비가 큰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 및 이의 제조방법
EP07793710.0A EP2057096B1 (en) 2006-08-28 2007-08-27 Flaky alpha-alumina crystals with large aspect ratio and a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PCT/KR2007/004114 WO2008026860A1 (en) 2006-08-28 2007-08-27 Flaky alpha-alumina crystals with large aspect ratio and a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JP2009526532A JP5141920B2 (ja) 2006-08-28 2007-08-27 アスペクト比が大きい薄片状アルファーアルミナ結晶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12/439,165 US7993746B2 (en) 2006-08-28 2007-08-27 Flaky alpha-alumina crystals with large aspect ratio and a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CN2007800319443A CN101541681B (zh) 2006-08-28 2007-08-27 大纵横比的片状α-氧化铝晶体及其制备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601A KR100787191B1 (ko) 2006-08-28 2006-08-28 각형비가 큰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7191B1 true KR100787191B1 (ko) 2007-12-21

Family

ID=39136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601A Active KR100787191B1 (ko) 2006-08-28 2006-08-28 각형비가 큰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93746B2 (ko)
EP (1) EP2057096B1 (ko)
JP (1) JP5141920B2 (ko)
KR (1) KR100787191B1 (ko)
CN (1) CN101541681B (ko)
WO (1) WO2008026860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843B1 (ko) 2013-03-29 2014-05-20 씨큐브 주식회사 각형비가 큰 판상 알파알루미나 및 나노 금속 코팅 진주광택 안료 제조방법
KR101497561B1 (ko) * 2013-07-22 2015-03-0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α-알루미나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지는 α-알루미나
WO2015142035A1 (ko) * 2014-03-17 2015-09-24 씨큐브 주식회사 판상 산화 알루미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37102A (ko) * 2019-05-29 2020-12-09 한국세라믹기술원 육각 판상 알루미나 단결정 입자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73726A (ko) * 2019-12-11 2021-06-21 한국세라믹기술원 판상 단결정 보석 분말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36689A (ko) * 2021-04-01 2022-10-11 포세라 (주) 어스펙트비가 우수하고 중금속이 프리한 알파알루미나와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5322B2 (en) * 2009-03-25 2013-08-13 Pax Scientific, Inc. Battery cooling
DE102011012214A1 (de) 2011-02-23 2012-08-23 Eckart Gmbh Plättchenförmiges metalloxidhaltiges Pigment,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sselben als Effektpigment und/oder als Substrat für Effektpigmente
CN102220038A (zh) * 2011-04-19 2011-10-19 河北欧克精细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α-氧化铝单晶片及其制备方法
US8518135B1 (en) * 2012-08-27 2013-08-27 Cabot Microelectronics Corporation Polishing composition containing hybrid abrasive for nickel-phosphorous coated memory disks
DE102013017173A1 (de) 2012-10-18 2014-04-24 Merck Patent Gmbh Flüssigkristallines Medium, Methode zu seiner Stabilisierung und Flüssigkristallanzeige
US9056791B2 (en) * 2013-02-14 2015-06-16 Sasol North America, Inc. Cement compositions containing nano sized boehmite crystallites
EP2799397B1 (en) 2013-04-30 2018-06-20 Merck Patent GmbH alpha-Alumina flakes
EP2799398B1 (en) * 2013-04-30 2018-05-23 Merck Patent GmbH alpha-Alumina flakes
EP3145867B1 (en) * 2014-05-20 2020-07-15 Merck Patent GmbH Alpha-al2o3 flakes
KR20210093309A (ko) * 2018-12-27 2021-07-27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외용제
WO2020150985A1 (en) * 2019-01-25 2020-07-30 Dic Corporation Tabular alumina p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abular alumina particle
CN110182834B (zh) * 2019-05-30 2021-09-21 浙江瑞成新材料股份有限公司 片状α-氧化铝的制备方法和片状α-氧化铝
CN110407238A (zh) * 2019-08-23 2019-11-05 济南大学 一种晶种法制备片状氧化铝晶体的方法
CN113173590B (zh) * 2021-05-01 2022-05-24 百色学院 一种基于液态金属制备片状氧化铝的方法
CN116041984B (zh) * 2022-12-30 2024-08-27 江苏贝丽得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自耐候功能的片状氧化铝及其制备方法
CN116573657A (zh) * 2023-03-30 2023-08-11 雅安百图高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超薄片状勃姆石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250188293A1 (en) 2023-12-12 2025-06-12 Merck Patent Gmbh Al2o3 flak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1110A (ja) * 1994-06-10 1995-12-19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板状アルミナ顔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82441A (ja) * 2003-09-08 2005-03-31 Sakai Chem Ind Co Ltd 薄片状酸化アルミニウム、その製造方法、化粧料、塗料、インク及びプラスチック組成物
KR20050082441A (ko) * 2005-08-08 2005-08-23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광장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구조
KR100619248B1 (ko) 2005-03-25 2006-09-01 한국화학연구원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4058B2 (ja) * 1989-11-13 1998-05-20 花王株式会社 薄片状活性アルミナ担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複合顔料
JP2654276B2 (ja) * 1991-07-09 1997-09-17 工業技術院長 微細板状アルミナ粒子の製造方法
JPH0935535A (ja) * 1995-07-25 1997-02-07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ZnO−SnO2 系透明導電性膜
JP3242561B2 (ja) * 1995-09-14 2001-12-25 メルク・ジヤパン株式会社 薄片状酸化アルミニウム、真珠光沢顔料及びその製造方法
DE19905427A1 (de) 1999-02-10 2000-08-17 Merck Patent Gmbh Farbiges Interferenzpigment
US6287353B1 (en) * 1999-09-28 2001-09-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rasive grain, abrasive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03064315A (ja) * 2001-08-24 2003-03-05 Kansai Paint Co Ltd メタリック塗料組成物
JP2004043291A (ja) * 2002-05-24 2004-02-12 Nippon Sheet Glass Co Ltd 鱗片状粒子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塗料組成物、樹脂組成物およびインキ組成物
US20040005471A1 (en) * 2002-06-27 2004-01-08 Shuichi Sugita Color clear coated metal sheet
EP2347883B1 (en) 2002-07-31 2015-07-08 Yoshino Kogyosho Co., Ltd. Synthetic resin bottle with a hand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1110A (ja) * 1994-06-10 1995-12-19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板状アルミナ顔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82441A (ja) * 2003-09-08 2005-03-31 Sakai Chem Ind Co Ltd 薄片状酸化アルミニウム、その製造方法、化粧料、塗料、インク及びプラスチック組成物
KR100619248B1 (ko) 2005-03-25 2006-09-01 한국화학연구원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82441A (ko) * 2005-08-08 2005-08-23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광장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구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843B1 (ko) 2013-03-29 2014-05-20 씨큐브 주식회사 각형비가 큰 판상 알파알루미나 및 나노 금속 코팅 진주광택 안료 제조방법
WO2014157832A1 (ko) * 2013-03-29 2014-10-02 씨큐브 주식회사 각형비가 큰 판상 알파알루미나 진주광택 안료 및 나노 금속 코팅 진주광택 안료 제조방법
US10259943B2 (en) 2013-03-29 2019-04-16 Cqv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late alpha-alumina pearlescent pigments and nano-metal coating pearlescent pigments with large aspect ratio
KR101497561B1 (ko) * 2013-07-22 2015-03-0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α-알루미나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지는 α-알루미나
WO2015142035A1 (ko) * 2014-03-17 2015-09-24 씨큐브 주식회사 판상 산화 알루미늄 및 이의 제조방법
US9758677B2 (en) 2014-03-17 2017-09-12 Cqv Co., Ltd. Plate-like aluminum oxid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20200137102A (ko) * 2019-05-29 2020-12-09 한국세라믹기술원 육각 판상 알루미나 단결정 입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257545B1 (ko) * 2019-05-29 2021-05-27 한국세라믹기술원 육각 판상 알루미나 단결정 입자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73726A (ko) * 2019-12-11 2021-06-21 한국세라믹기술원 판상 단결정 보석 분말 및 그 제조방법
KR102343000B1 (ko) 2019-12-11 2021-12-23 한국세라믹기술원 판상 단결정 보석 분말의 제조방법
KR20220136689A (ko) * 2021-04-01 2022-10-11 포세라 (주) 어스펙트비가 우수하고 중금속이 프리한 알파알루미나와 그 제조방법
KR102599442B1 (ko) 2021-04-01 2023-11-07 포세라주식회사 어스펙트비가 우수하고 중금속이 프리한 알파알루미나와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41920B2 (ja) 2013-02-13
WO2008026860A1 (en) 2008-03-06
US20100015445A1 (en) 2010-01-21
EP2057096B1 (en) 2017-11-15
US7993746B2 (en) 2011-08-09
EP2057096A4 (en) 2013-04-24
CN101541681B (zh) 2011-11-16
CN101541681A (zh) 2009-09-23
EP2057096A1 (en) 2009-05-13
JP2010502539A (ja) 201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191B1 (ko) 각형비가 큰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19248B1 (ko) 판상 알파알루미나 결정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43674B1 (ko) 각형비가 큰 진주안료 및 이의 제조방법
EP0229657B1 (en) High-dispersion sol or gel of monoclinic zirconia supermicrocrystals and a process for its production
CN106132875B (zh) 板状氧化铝及其的制备方法
CN110407238A (zh) 一种晶种法制备片状氧化铝晶体的方法
KR101782861B1 (ko) 판상 산화 알루미늄 및 이의 제조방법
JP6249313B2 (ja) アスペクト比が大きい板状αアルミナ真珠光沢顔料およびナノ金属コーティング真珠光沢顔料の製造方法
KR100679611B1 (ko) 판상 알파알루미나의 제조방법
CN102220038A (zh) 一种α-氧化铝单晶片及其制备方法
WO2025142499A1 (ja) 板状アルミナ粒子、及び板状アルミナ粒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1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