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86405B1 - 액체 토출 기록 헤드 및 이를 구비한 액체 토출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토출 기록 헤드 및 이를 구비한 액체 토출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405B1
KR100786405B1 KR1020060033491A KR20060033491A KR100786405B1 KR 100786405 B1 KR100786405 B1 KR 100786405B1 KR 1020060033491 A KR1020060033491 A KR 1020060033491A KR 20060033491 A KR20060033491 A KR 20060033491A KR 100786405 B1 KR100786405 B1 KR 100786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ad
liquid discharge
recording head
recording
liqu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8529A (ko
Inventor
요시유끼 도오게
요시유끼 이마나까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8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40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14016Structure of bubble jet print heads
    • B41J2/14072Electrical connections, e.g. details on electrodes, connecting the chip to the out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Production of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k Je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액체 토출 기록 헤드에는 외부 신호 입력 단자가 리세스된 제1 면 및 제1 면보다 더 높은 제2 면 상에 제공된다. 액체 토출 기록 헤드에 제공된 정보 기억 소자에 직접 접속된 ID 접촉 패드는 제2 면을 따라 제1 면 상에 열로 배열된다.
액체 토출 기록 헤드, 외부 신호 입력 단자, 접촉 패드, 전기 열 변환 소자

Description

액체 토출 기록 헤드 및 이를 구비한 액체 토출 기록 장치{LIQUID-DISCHARGING RECORDING HEAD AND LIQUID-DISCHARGING RECORDING APPARATUS HAVING THE HEAD}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외부 신호 입력 단자부가 제공된 잉크젯 기록 헤드 도면.
도2는 도1의 잉크젯 기록 헤드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3a 및 3b는 각각 잉크젯 기록 헤드 및 커버로부터 볼 때 잉크젯 기록 헤드의 사시도.
도4는 잉크젯 기록 헤드의 분해 사시도.
도5는 잉크젯 기록 헤드의 기록 소자 기판의 부분 절결 사시도.
도6은 도5에 도시된 기록 소자 기판 상에 제공된 회로의 모식도.
도7은 도1의 잉크젯 기록 헤드를 탑재 가능한 잉크젯 기록 장치의 모식도.
도8은 외부 신호 입력 단자부를 구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잉크젯 기록 헤드의 도면.
도9는 외부 신호 입력 단자부를 구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잉크젯 기록 헤드의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H1001 : 액체 토출 기록 헤드
H1101 : 기록 소자 기판
H1103 : 전기 열변환 소자
H1108 : 토출구
H1110 : Si 기판
H1117 : 퓨즈
H1113 : GNDH 배선
H1301 : 전기 배선 테이프
본 발명은 잉크 등의 액체(이하, 잉크)를 토출하여 기록 동작하는 액체 토출 기록 헤드(잉크젯 기록 헤드) 및 헤드를 구비한 액체 토출 기록 장치(잉크젯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잉크젯 기록 장치에서는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잉크젯 기록 헤드가 ID(Identity) 코드 및 잉크 토출 기구의 구동 특성과 같은 고유의 정보(개별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잉크젯 기록 장치 측에서 장착된 잉크젯 기록 헤드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여, 그 헤드로부터의 잉크 토출에 최적의 구동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잉크젯 기록 기판에 ROM(판독 전용 메모리, Read Only Memory)를 탑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개평3-126560호 공보(대응 미국 특허 제6,231,155호)에는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를 탑재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잉크젯 기록 헤드의 잉크젯 기록용 기판의 베이스 기판에 잉크 토출 기구 등을 구성하는 층막과 함께 기록 헤드 고유의 정보를 나타내는 저항이 제공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경우, 잉크젯 기록 장치는 베이스 기판에 제공된 저항의 값을 숙독함으로써 탑재된 잉크젯 기록 헤드에 관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정보량이 비교적 적은 경우 효과적이다.
또한, 특허 제3428683호 공보에는 잉크젯 기록용 기판의 베이스 기판에 잉크 토출 기구를 구성하는 층막을 형성할 때, ROM으로서 기능하는 퓨즈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퓨즈는 예를 들어 로직 회로 등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용단되고 이로써 이진 데이터(binary data)가 기입되고 저장된다.
기록 장치에 착탈 가능한 잉크젯 기록 헤드가 장착된 경우, 사용자의 손이 반드시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기록 장치와 헤드를 접속시키기 위한 전기 단자에 정전기에 의한 영향이 미치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정전기로부터 헤드를 보호하기 위해, 특개평07-060953호 공보(대응 미국 특허 제6 074,041호)에는 잉크젯 기록 장치의 본체와의 전기적 접속하는 접촉 패드의 주위에 방전 회로가 제공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개평3-126560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ROM이나 EEPROM 등의 정보 기억 소자를 탑재하는 잉크젯 기록 헤드에 있어서는, 장치 구성이 불가피하게 복잡하다. 따라서, 생산성 향상 및 헤드의 소형 경량화에 대한 요구가 있다. 기본적으로, ROM 칩은 기록 데이터가 대용량인 경우 유용하다. 그러나 기록 데이터가 대용량이 아닌 경우, ROM 칩은 비용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며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와 반대로, 층막 형성 공정에서 헤드 고유의 정보를 기억하는 소자를 형성하는 방법에서는 헤드의 고유 정보 기억을 위해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공정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별 정보를 갖는 소형 경량의 헤드가 생산성을 감소시키지 않고, 간소한 구조 및 저비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개별 정보를 기억할 수 있는 잉크젯 기록 헤드에서, 정전기에 대해 고려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즉, 잉크젯 기록용 기판 상에 제공된 헤드의 고유의 정보를 기억하는 미세한 정보 기억 소자는 특히 정전기에 대해 저항적이지 않다. 따라서, 정보 기억 소자는 파괴되거나 또는 정보 기억 소자에 기억된 정보는 정전기에 의해 재기입될 수 있다.
특개평07-060953호 공보에 기재된 잉크젯 기록 헤드에 있어서는, 정전기에 의한 악영향은 회피되지만, 기판 위에 방전회로를 별도로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공간 효율의 향상과, 헤드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위한 여러 가지의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헤드의 개별 정보를 기억할 수 있고 정전기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정보 기억 소자를 포함하여 간단한 구성을 갖는 액체 토출 기록 헤드에 관한 것이 며, 이는 헤드를 구비한 액체 토출 기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액체 토출 기록 헤드는 액체 토출 기록 헤드의 외부면을 한정하는 제2 몇 및 제1 면 상에 제공된 복수의 접촉 패드와, 외부로부터 판독 가능한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정보 기억 소자를 포함한다. 제1 면은 외부면에 대해 제2 면보다 낮도록 리세스된다. 접촉 패드는 정보 기억 소자에 직접 접속된 정보 출력 접촉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출력 접촉 패드는 제1 면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제1 실시예
도3a, 도3b 및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기록 헤드(액체 토출 기록 헤드)(H1001)를 도시한다.
기록 헤드(H1001)는 삼색의 잉크(사이언, 마젠타, 옐로우)를 토출하고,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의 수용부로써 탱크가 일체되어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기록 헤드(H1001)는 잉크젯 기록 장치 본체에 탑재되어 있는 캐리지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수용하고 있는 잉크가 소비되어 없어진 경우, 새로운 기록 헤드와 교환할 수 있다.
기록 헤드(H1001)는 도4의 분해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토출 기구 를 구성하는 기록 소자 기판(액체 토출 기구부)(H1101)을 포함하고 있다. 기록 소자 기판(H1101)은 잉크 수용부에서 기록 소자 기판(H1101)으로의 잉크 공급로를 형성하는 잉크 공급 및 수용 부재(H1501)에 장착된다. 또한, 잉크 공급 및 수용 부재(H1501)에는 기록 소자 기판(H1101)과 캐리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 배선 테이프(H1301)가 장착된다.
이하, 기록 헤드(H1001) 및 기록 헤드(H1001)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의 구성이 더 상세히 설명된다.
(1)기록 소자 기판(H1101)
도5는 기록 소자 기판(H1101)의 구성을 설명하는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이 기록 소자 기판(H1101)은 잉크에 막비등을 발생시키기 위한 열 에너지를 전기 신호에 따라 전기 열변환 소자(기록 소자)(H1103)가 생성되는 잉크젯 방식을 사용하는 잉크 토출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이 잉크 토출 구조는 전기 열변환 소자(H1103)와 토출구(H1108)가 각각 대향하고 있다.
기록 소자 기판(H1101)은 예를 들어, 0.5 mm 내지 1 mm 두께의 실리콘(Si) 기판(H1110)을 포함한다. Si 기판(H1110)에는 사이언, 마젠타, 옐로우의 3개의 잉크 공급구(H1102)가 병렬 연장되어 있다. 잉크 공급구(H1102)는 긴 관통구이며, Si의 결정방향을 이용한 이방성 에칭 또는 샌드 블라스트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Si 기판(H1110)상에는 각 잉크 공급구(H1102)의 양측에 전기 열 변환 소자(H1103)의 열이 배치되어 있다. Si 기판(H1110)상에는 전기 열 변환 소자(H1103) 에 전력을 공급하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전기 배선 등을 포함하는 전기 회로(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되어 있다. 전기 열 변환 소자(H1103) 및 전기 회로는 공지된 막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Si 기판(H1110)상에는 외부로부터 전기 회로로 전력을 공급하고, 전기 열 변환 소자(H1103)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신호를 외부로부터 인가하기 위한 전극부(H1104)가 제공되어 있다. 전극부(H1104)는 Si 기판(H1110)의 양측 에지 및 전기 열 변환 소자(H1103)의 열의 양단부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각 전극부(H1104)에는 예를 들어, 골드(Au)로 이루어지는 범프(H1105)를 가진다.
전기 열 변환 소자(H1103) 및 전기 회로가 제공된 Si 기판(H1110)의 일부에는 포토리소 기술에 의해 형성된 수지 구조체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구조체는 잉크 공급구(H1102)로부터 전기 열 변환 소자(H1103)로 연장되는 잉크 유로를 형성하는 잉크 유로벽(H1106)과 잉크 채널을 덮는 천장부를 포함하고 있다. 천장부에는 토출구(H1107)가 각 전기 열 변환 소자(H1103)에 대향하여 제공되어 있고, 이로써 각 색에 대응하는 토출구군(H1108)이 형성되어 있다. 각 잉크 공급구(H1102)로부터 공급된 잉크는 전기 열 변환 소자(H1103)의 발열에 의해 발생된 거품의 압력에 의해 각 전기 열 변환 소자(H1103)에 대향하는 토출구(1107)로부터 선택적으로 토출된다.
Si 기판(H1110) 상에 형성된 전기 회로는 도6의 개략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전기 열 변환 소자(H1103)의 일단부에는 VH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VH 패드 (H1104c)가 VH 배선(H1114)을 통해 접속되고, 타단부에는 제1 구동 소자(H1116)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1 구동 소자(H1116)에는 GNDH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GNDH 패드(H1104d)가 GNDH 배선(H1113)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제1 구동 소자(H1116)는 시프트 레지스터(S/R), 랫치 회로(LT), 디코더, 선택 회로(H1112)를 지나 신호선을 따라 기록 소자 기판(H1101)의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전기 열 변환 소자(H1103)를 구동한다.
Si 기판(H1110) 상의 회로에는 헤드 고유의 정보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 소자로서 기능하는 퓨즈(H1117)가 접속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각각 폴리실리콘 저항 소자로 구성된 네 개의 퓨즈(H1117)가 잉크 공급구(H1102)의 짧은 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각 퓨즈(H1117)의 일단부에는 ID 패드(H1104a)가 접속되고, 판독 저항체(H1111)를 통해 ID 전원 패드(H1104b)가 접속되어 있다. 각 퓨즈(H1117)의 타단부에는 각 퓨즈(H1117)를 선택적으로 용단하여, 용단의 유무에 의해서 표시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판독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2 구동 소자(H1118)가 접속되어 있다.
제2 구동 소자(H1118)는 전기 열 변환 소자(H1103)를 구동하는 제1 구동 소자(H1116)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제1 구동 소자(H1116)를 위한 선택 신호 생성 회로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선택 신호 생성 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구동 소자(H1116)와 제2 구동 소자(H1118)가 S/R, LT, 디코더를 공용하고 있다. 따라서, 두 구동 소자의 동작은 공통의 신호선의 외부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따라 유사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2 구동 소자(H1118)에도 제1 구동 소자(H1116)에 접속된 GNDH 배선(H1113)이 접속되어 있다. 즉, 제1 구동 소자(H1116)와 제2 구동 소자(H1118)는 GNDH 배선(H1113)도 공용하고 있다.
외부 신호가 각 패드(H1104a 내지 H1104d) 및 제1 및 제2 구동 소자(H1116, H1118)의 선택 신호 생성 회로가 입력되는 패드는 전극부(H1104)의 각 범프(H1105)(도5 참조)에 대응하고 있다.
퓨즈(H1117)의 용단 및 퓨즈(H1117)로부터의 정보의 판독이 이하에 설명된다.
퓨즈(H1117)의 용단을 위해, ID 패드(H1104a)에 퓨즈 절단 전원이 접속되고, 퓨즈(H1117)를 용단할 수 있는 전압(예를 들어, 전기 열 변환 소자(H1103)를 위한 구동 전압으로써 24V)이 인가된다. 선택 회로(H1112)를 통해 제2 구동 소자(H1118)를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퓨즈(H1117)가 지극히 단시간에(순간적으로) 용단된다. 이러한 경우, 퓨즈 판독용 전원 단자인 ID 전원 패드(H1104b)는 개방된다.
정보의 판독을 위해, ID 전원 패드(H1104b)에 판독용의 전원이 접속되고, 전압(예를 들어 로직회로의 전원전압으로써 3.3 V)이 인가된다. 이러한 경우, 해당하는 퓨즈(H1117)가 용단되어 있으면, 높은 레벨의 신호가 ID 패드(H1104a)에 출력된다. 반대로, 퓨즈(H1117)가 용단되어 있지 않으면, 퓨즈(H1117)의 저항치보다 현저히 높은 저항을 갖는 판독 저항(H1111)으로 인해, 낮은 레벨의 신호가 ID 패드(H1104a)에 출력된다.
헤드 고유의 정보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 소자로써, 상술된 퓨즈(H1117) 대신 에 단순한 배선을 Si 기판(H1110)상에 형성하여, 그 배선의 유무에 의해서 정보를 기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Si 기판(H1110) 상에 배선이 선택적으로 형성됨으로써 헤드 고유의 정보에 따라 정보가 기입된다. 따라서, 이후의 추가의 정보 기입이 불가능하다. 정보의 판독은 상술된 퓨즈(H1117)가 사용될 때 채용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르게는 Si 기판(H1110) 상에는 헤드 고유의 정보에 따른 저항치를 갖는 저항 소자가 제공되고, 상기 저항 소자의 일단부는 ID 패드(H1104a)에, 타단부는 GNDH 패드(H1104d)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잉크젯 기록 장치 본체는 ID 패드(H1104a)와 GNDH 패드(H1104d) 사이의 저항치를 판독함으로써 저항치에 해당하는 헤드 고유 정보를 얻을 수 있다.
(2) 전기 배선 테이프(H1301)
다시 도3a, 도3b 및 도4를 참조하면, 전기 배선 테이프(H1301)는 기록 소자 기판(H1101)의 전극부(H1104)의 각 범프(H1105)와 캐리지측의 전기 접속부를 접속하는 전기 신호 경로를 형성한다. 이 전기 신호 경로를 통해 기록 장치 본체와 기록 소자 기판(H1101) 사이에는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전기 신호 및 상술된 헤드 고유 정보의 판독을 위한 전기 신호가 교환된다. 예를 들어, 전기 배선 테이프(H1301)는 폴리이미드제의 동박(copper foil)의 배선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전기 배선 테이프(H1301)의 일단부에는 기록 소자 기판(H1101)의 잉크 토출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H1303)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H1303)의 에지 부근에는 기록 소자 기판(H1101)의 전극부(H1104)에 접속되도록 전극 단자(H1304)가 제공되 어 있다. 전기 배선 테이프(H1301) 및 기록 소자 기판(H1101)은 예를 들어, 기록 소자 기판(H1101)의 전극부(H1104)의 범프(H1105)와, 해당하는 전기 배선 테이프(H1301)의 전극 단자(H1304)와 열초음파 압착법에 의해 전기 접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기 배선 테이프(H1301)의 타단부에는 기록 장치 본체의 캐리지의 전기 접속부에 접속되는 복수의 외부 신호 입력 단자(접촉 패드)(H1302)가 제공되어 있다. 전기 배선 테이프(H1301)의 일부는 낮은 제1 몇(H1305) 및 제1 면(H1305)에 평행하며 더 높이 제공된 제2 면(H1306)을 포함한다. 외부 신호 입력 단자(H1302) 및 전극 단자(H1304)는 동박으로 구성된 연속 배선 패턴에 의해 접속된다.
(3) 잉크 공급 및 수용 부재(H1501)
잉크 공급 및 수용 부재(H1501)는 예를 들어, 수지 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잉크 공급 및 수용 부재(H1501) 내의 잉크 유로의 하류측에는 기록 소자 기판(H1101)에 사이언, 마젠타, 옐로우의 각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구(H1201)가 제공되어 있다. 기록 소자 기판(H1101)은 각 잉크 공급구(H1102)가 잉크 공급 및 수용 부재(H1501)의 각 잉크 공급구(H1201)와 연통하도록, 잉크 공급 및 수용 부재(H1501)에 대해 높은 위치 정밀도로 접착 고정되어 있다.
잉크 공급구(H1201) 주위의 잉크 공급 및 수용 부재(H1501)의 조금 높아진 평면에는 전기 배선 테이프(H1301)의 이면의 개구부(H1303)의 주위의 부분이 접착고정되어 있다. 개구부(H1303)의 측부로부터 연장된 전기 배선 테이프(H1301)의 일부분은 구부려지고, 잉크 공급 및 수용 부재(H1501)의 잉크 공급구(H1201)를 갖는 면에 거의 직교한 측면(H1502, H1503)으로 단차진 부분에 예를 들어 열 코오킹 또는 접착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술된 기록 헤드(H1001)의 잉크젯 기록 장치에의 장착에 관해 이하에 설명된다.
기록 헤드(H1001)는 장착 안내부(H1560)를 캐리지의 대응부에 접촉시켜, 캐리지의 소정의 장착 위치로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기록 헤드(H1001)가 캐리지의 장착 위치에 도달하면, 접촉부(H1570, H1580, H1590)는 캐리지의 해당하는 위치기준부와 접촉한다. 그 결과, 기록 헤드(H1001)는 소정의 장착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된다. 또한, 캐리지의 고정 레버를 기록 헤드(H1001)의 결합부(H1930)와 결합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기록 헤드(H1001)는 캐리지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기록 헤드(H1001)가 캐리지의 소정의 장착 위치에 정확히 고정되고, 전기 배선 테이프(H1301)의 외부 신호 입력 단자(H1302)와 캐리지의 전기 접속부의 전기 접점으로서의 접촉 핀과 정확하게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잉크젯 기록 장치로부터의 기록 신호 및 전원 전력이 전기 배선 테이프(H1301)를 통해 기록 헤드(H1001)에 공급된다.
(4) 잉크젯 기록 장치
상술된 기록 헤드(H1001)를 탑재 가능한 일례의 잉크젯 기록 장치에 관해서 도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기록 장치는 도3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두 개의 기록 헤드(H1001a, H1001b) 가 제 위치에 교환 가능하게 탑재되는 캐리지(102)를 갖는다. 기록 헤드(H1001a, H1001b) 중 하나가 예를 들어, 사이언, 마젠타, 옐로우의 3색의 잉크 토출용이면, 다른 하나는 블랙 잉크 토출용일 수 있다.
캐리지(102)는 장치 본체에서 주주사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부 샤프트(103)에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기록 장치는 인쇄 용지 또는 플라스틱 시트 등의 기록 매체(108)를 한 장씩 분리하여 급지하는 자동급지(ASF)를 갖고 있다. ASF는 급지 모터에 의해 기어를 통해 회전 구동되는 픽업 롤러를 갖고 있다.
프린트부에는 기록 매체(108)의 프린트면이 프린트부에서 평탄하게 위치되도록, 기록 매체(108)의 이면을 지지하는 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기록 헤드(H1001a, H1001b)는 그 토출구 면이 캐리지(102)로부터 아래 쪽으로 돌출하여, 판 상의 기록 매체(108)의 프린트면에 평행하게 되도록 캐리지(102)에 유지된다. 기록 헤드(H1001a, H1001b)의 각 토출구군(H1108)의 토출구(H1107)는 캐리지(102)의 주사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기록 장치에는 캐리지(102)가 왕복 이동되는 동안, 원하는 기록 화상에 따른 소정의 타이밍으로 각 기록 헤드(1001a, H1001b)가 구동됨으로써, 각 토출구(H1107)로부터 선택적으로 잉크가 토출되고, 이로써 기록 매체(108)의 소정의 영역에 화상이 기록된다.
(5) 정보 기억 소자를 정전기 상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성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기록 헤드(H1001)의 헤드 고유의 정보 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 소자의 정전기 대책에 관해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1은 외부 신호 입력 단자(H1302)가 제공되는 기록 헤드(H1001) 부분을 확대 도시하고 있다. 전기 배선 테이프(H1301)는 32개의 외부 신호 입력 단자(H1302)를 포함한다. 17개의 외부 신호 입력 단자(H1302)는 제1 면(H1305) 상에 제공되고, 남은 15개의 외부 신호 입력 단자(H1302)c는 제2 면(H1306) 상에 제공된다. 제1 면(H1305)은 도면에서 제2 면(H1306)에 대해 아래쪽의 낮은 위치에 있다.
외부 신호 입력 단자(H1302) 중 6개는 ID 접촉 패드(정보 출력 접촉 패드) (H1302a)로 사용된다. 이들 ID 접촉 패드(H1302a)는 제2 면(H1306)과의 경계에 따라 제1 면(H1305) 상에 제공되어 있다. ID 접촉 패드(H1302a)는 도6에 도시된 퓨즈(H1117)(또는 단순한 결선, 저항 소자)와 연결된 ID 패드(H1104a)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ID 접촉 패드(H1302a)는 정보 기억 소자에 다른 소자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신호 입력 단자(H1302) 중 다른 6개는 GNDH 접촉 패드(접지 접촉 패드)(H1302d)이며, 이들은 ID 접촉 패드(H1302a)의 열에 인접하는 열로 배열된다. 이들 GNDH 접촉 패드(H1302d)는 도6에 도시된 GNDH 패드(H1104d)에 접속되어 있다.
6개의 VH 접촉 패드(전원 접촉 패드)(H1302c)의 열이 ID 접촉 패드(H1302a)의 열에 인접하여, 제1 면(H1305)과의 경계에 따라서 제2 면(H1306)의 상에 열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 VH 접촉 패드(H1302c)는 도6에 도시된 VH 패드(H1104c)에 접속되어 있다.
ID 접촉 패드(H1302a), VH 접촉 패드(H1302c) 및 GNDH 접촉 패드(H1302d)를 제외한 나머지 외부 신호 입력 단자(H1302)는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 전원 공급용 및 제어 신호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된다.
보유하고 있는 잉크가 소모되어 기록 헤드를 기록 장치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및 일반 화질의 화상 기록용 기록 헤드 및 고세밀 포토 화상 기록용 기록 헤드를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교환하는 경우, 기록 헤드(H1101)는 사용자의 손에 (닿게 된다. 이러한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대전된 손가락(101)을 부주의하게 외부 입력 단자(H1302)의 부분에 가까이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정보 기억 소자(퓨즈(H1117), 전기 열 변환 소자(H1103) 등의 소자에 비교하여 비교적 정전기에 약한 정보 기억 소자)에 접속된 ID 접촉 패드(H1302a)는 리세스된 제1 면(H1305) 상에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가락(101)을 외부 입력 단자(H1302)의 부분에 가까이했다고 해도, 손가락(101)이 ID 접촉 패드(H1302a)에 직접 닿기 힘들다. 특히 ID 접촉 패드(H1302a)가 제1 면(H1305)상에 제2 면(H1306)과의 경계에 따라 제공되므로, 제1(H1305)과 제2 면(H1306) 사이의 단차에 의해 손가락(101)이 ID 접촉 패드(H1302a)에 닿은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가락(101)이 ID 접촉 패드(H1302a)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ID 접촉 패드(H1302a)를 통해 퓨즈(H1101)에 정전기의 영향이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ID 접촉 패드(H1302a)는 VH 접촉 패드(H1302c)와 GNDH 접촉 패드(H1302d) 사이에 인접하게 제공된다. 이를 위해, 대전한 손가락(101)이 ID 접촉 패드(H1302a)에 접근하여 방전이 발생하는 경우일지라도, 방전은 VH 접촉 패드 (H1302c) 및 GNDH 접촉 패드(H1302d)에서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퓨즈(H1101)에 정전기의 영향이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방전이 VH 접촉 패드(H1302c) 및 GNDH 접촉 패드(H1302d)에서 일어나기 쉬운 이유는 예를 들어 이들이 각 전기 열 변환 소자(H1103)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전기가 비교적 흐르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VH 접촉 패드(H1302c) 및 GNDH 접촉 패드(H1302d)가 패드의 배치 상, ID 접촉 패드(H1302a)보다도 손가락의 표면이 근접하기 어려운 위치 관계에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정전기의 영향이 헤드 고유 정보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 소자에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정전기에 의해 정보 기억 소자가 파괴되거나, 정보 기억 소자에 기억되어 있는 헤드 고유 정보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재기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특별한 회로를 형성하지 않고, 기록 헤드(H1001)가 복잡해지지 않고 고, 기록 헤드(H1101)의 제조 공정의 증가되지 않고, 정보 기억 소자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정보 기억 소자가 정전기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기록 헤드(H1001)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기록 헤드에 관해서 도8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8은 외부 신호 입력 단자부가 제공된 기록 헤드(H1001) 부분의 확대도이다. 제2 실시예의 기록 헤드(H1001)는 외부 신호 입력 단자부의 형상만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기록 소자 기판 등의 다른 구성이 제1 실시예에 채용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면, 전기 배선 테이프(H1301) 상에 제공된 32개의 외부 신호 입력 단자(H1302) 중 6개의 ID 접촉 패드(H1302a)가 제1 면(H1305)상에 배치되어 있다. 남은 26개의 외부 신호 입력 단자는 제2 면(H1306) 상에 배치되어 있다. 각각 6개의 GNDH 접촉 패드(H1302d) 및 6개의 VH 접촉 패드(H1302c)는 ID 접촉 패드(H1302a)의 상부 및 하부측에 인접하도록 제2 면(H1306) 상에 제공된다.
제2 실시예의 기록 헤드(H1001)에서는 비교적 정전기에 약한 정보 기억 소자를 구성하는 퓨즈(H1117)(또는 결선, 저항 소자)에 접속된 ID 접촉 패드(H1302a)가 리세스된 제1 면(H1305) 상에 배열되어 있다. 또한, ID 접촉 패드(H1302a)에 인접하는 접촉 패드열은 제1 면(H1305)보다 높은 제2 면(H1306)상에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패드 배열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이 기록 헤드(H1001)를 처리할 때, ID 접촉 패드(H1302a)에 닿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ID 접촉 패드(H1302a)에는 VH 접촉 패드(H1302c) 및 GNDH 접촉 패드(H1302d)가 인접하여 제공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대전된 손가락이 부주의하게 ID 접촉 패드(H1302a)에 접근해도, 방전은 VH 접촉 패드(H1302c) 및 GNDH 접촉 패드(H1302d)에서 일어나기 쉽고, ID 접촉 패드(H1302a)에서 일어나기 어렵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정전기의 영향이 정보 기억 소자에 미치는 것을 억제하여, 정전기에 의한 정보 기억 소자의 파괴나 정보 기억 소자에 기억된 헤드 고유 정보의 바람직하지 않은 재기입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록 헤드에 관해서 도9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9는 외부 신호 입력 단자부가 제공된 기록 헤드(H1001)를 확대한 것이다. 제3 실시예의 기록 헤드(H1001)는 외부 신호 입력 단자부의 형상만이 제1 및 제2 실시예와 다르고, 기록 소자 기판 등의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도9를 참조하면 전기 배선 테이프(H1301) 상의 32개의 외부 신호 입력 단자(H1302) 중 16개의 외부 신호 입력 단자(H1302)는 제1 면(H1305) 상에 배치되어 있다. 남은 16개의 외부 신호 입력 단자는 제2면(H1306)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면(H1305)은 도면에서 제2 면(H1306)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외부 신호 입력 단자(H1302) 중 6개의 ID 접촉 패드(H1302a)는 제1 면(H1305) 상의 도면 중 최하부의 열, 즉 제1 면(H1305)과 제2 면(H1306)과의 경계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ID 접촉 패드(H1302a)의 열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는 각각 6개의 VH 접촉 패드(H1302c)의 열 및 6개의 GNDH 접촉 패드(H1302d)의 열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GNDH 접촉 패드(H1302d)의 열은 제2 면(H1306) 상의 최상부에 제1 면(H1305)과의 경계를 따라 위치하고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비교적 정전기에 약한 정보 기억 소자(예를 들어, 퓨즈(H1117), 결선 또는 저항 소자)에 접속된 ID 접촉 패드(H1302a)가 제1 실시예에 채용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리세스된 제1 면(H1305)상에 제공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기록 헤드(H1001)를 처리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 ID 접촉 패드(H1302a)에 닿기가 쉽지 않다. 또한, ID 접촉 패드(H1302a)의 열이 VH 접촉 패드(H1302c)와 GNDH 접촉 패드(H1302d) 사이의 인접한 열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대전된 손가락이 부주의하게 ID 접촉 패드(H1302a)에 접근하여 방전이 발생한 경우에도, VH 접촉 패드(H1302c) 및 GNDH 접촉 패드(H1302d)에는 방전이 일어나기 쉽고, ID 접촉 패드(H1302a)에 방전이 일어나기 어렵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 따라 정전기에 의한 정보 기억 소자의 파괴 및 정보 기억 소자에 기억된 헤드 고유 정보의 바람직하지 않은 재기입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주는 모든 개조,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별한 회로를 마련하지 않고 헤드의 형상 또는 헤드를 보유하는 하우징을 개선함으로써 헤드의 착탈 시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정전기에 의해서 정보 기억 소자가 파괴되거나, 정보 기억 소자에 기억된 정보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다시 쓰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6)

  1. 액체 토출 기록 헤드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면 상에 제공된 복수의 접촉 패드와,
    외부로부터 판독 가능한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정보 기억 소자를 포함하는 액체 토출 기록 헤드이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외부면에 대해 상기 제2 면보다 낮도록 리세스되고,
    상기 접촉 패드는 정보 기억 소자에 직접 접속된 정보 출력 접촉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출력 접촉 패드는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액체 토출 기록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접촉 패드는 상기 제2 면과의 경계와 인접한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된 액체 토출 기록 헤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은 두 개의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두 개의 제2 면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정보 출력 접촉 패드는 상기 두 개의 제2 면과의 경계에 인접하는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액체 토출 기록 헤드.
  4. 제2항에 있어서, 액체를 토출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기록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 패드는 상기 기록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 성된 접지 접촉 패드 및 전원 공급 접촉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접촉 패드 및 접지 접촉 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정보 출력 접촉 패드에 인접하는 액체 토출 기록 헤드.
  5. 제3항에 있어서, 액체를 토출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기록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 패드는 상기 기록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접지 접촉 패드 및 전원 공급 접촉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접촉 패드 및 접지 접촉 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정보 출력 접촉 패드에 인접하는 액체 토출 기록 헤드.
  6. 제1항에 있어서, 액체를 토출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기록 소자와,
    상기 기록 소자가 제공되는 기록 소자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기억 소자는 상기 기록 소자 기판 상에 배치되는 액체 토출 기록 헤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억 소자는 상기 기록 소자 기판 상의 결선의 유무에 따른 정보를 기억하는 액체 토출 기록 헤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억 소자는 외부 전기 신호에 응답하여 절단되 는 액체 토출 기록 헤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억 소자는 저항 소자의 저항치에 따른 정보를 기억하는 액체 토출 기록 헤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소자 기판에 접속되고 그 위에 접촉 패드를 지지하는 전기 배선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액체 토출 기록 헤드.
  11. 제1항에 있어서, 액체를 토출시키도록 구성된 액체 토출 기구부와,
    상기 액체 토출 기구부에 공급될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액체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액체 토출 기록 헤드.
  12. 액체 토출 기록 장치이며,
    액체 토출 기록 헤드와,
    액체 토출 기록 헤드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전기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액체 토출 기록 헤드는
    액체 토출 기록 헤드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제1 면 및 제2 면 상에 제공되고 전기 접점과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 패드와,
    액체 토출 기록 장치로부터 판독 가능한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정보 기억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외부면에 대해 상기 제2 면보다 낮도록 리세스되고,
    상기 접촉 패드는 정보 기억 소자에 직접 접속된 정보 출력 접촉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출력 접촉 패드는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액체 토출 기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접촉 패드는 상기 제2 면과의 경계에 인접한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액체 토출 기록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은 두 개의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두 개의 제2면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정보 출력 접촉 패드는 상기 두 개의 제2 면과의 경계에 인접한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액체 토출 기록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액체를 토출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기록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 패드는 상기 기록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접지 접촉 패드 및 전력 공급 접촉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공급 접촉 패드 및 접지 접촉 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정보 출력 접촉 패드에 인접하는 액체 토출 기록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액체를 토출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기 록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 패드는 상기 기록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접지 접촉 패드 및 전원 공급 접촉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접촉 패드 및 접지 접촉 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정보 출력 접촉 패드에 인접하는 액체 토출 기록 장치.
KR1020060033491A 2005-04-14 2006-04-13 액체 토출 기록 헤드 및 이를 구비한 액체 토출 기록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86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16666 2005-04-14
JP2005116666A JP4726195B2 (ja) 2005-04-14 2005-04-14 液体吐出記録ヘッドおよびそれを備える液体吐出記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529A KR20060108529A (ko) 2006-10-18
KR100786405B1 true KR100786405B1 (ko) 2007-12-17

Family

ID=3707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491A Expired - Fee Related KR100786405B1 (ko) 2005-04-14 2006-04-13 액체 토출 기록 헤드 및 이를 구비한 액체 토출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65021B2 (ko)
JP (1) JP4726195B2 (ko)
KR (1) KR100786405B1 (ko)
CN (1) CN10045077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6195B2 (ja) * 2005-04-14 2011-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記録ヘッドおよびそれを備える液体吐出記録装置
DE102007048819A1 (de) * 2007-10-10 2009-04-16 Pelikan Hardcopy Production Ag Tintenpatrone
USD602076S1 (en) * 2008-03-05 2009-10-13 Canon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for printer
USD602521S1 (en) * 2008-03-05 2009-10-20 Canon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for printer
JP2012050208A (ja) * 2010-08-25 2012-03-08 Canon Inc 電力供給回路及び該回路を備えた機器
JP6198578B2 (ja) * 2013-11-13 2017-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D741403S1 (en) * 2014-01-31 2015-10-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en for a printer
USD741402S1 (en) * 2014-01-31 2015-10-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en for a printer
USD742962S1 (en) * 2014-01-31 2015-11-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en for a printer
USD727418S1 (en) * 2014-01-31 2015-04-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en for a printer
JP7118694B2 (ja) 2018-03-29 2022-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7427367B2 (ja) * 2019-04-26 2024-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ヘ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464B1 (ko) * 1995-10-31 2000-05-15 디. 크레이그 노룬드 Tab 회로의 전기도선을 전기적 접촉 범프에 무납땜 접합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해 제조된 열 잉크젯 프린트헤드
US6174046B1 (en) * 1994-10-06 2001-01-16 Hewlett-Packard Company Reliable contact pad arrangement on plastic print cartridge
JP2003118122A (ja) * 2001-10-17 2003-04-23 Canon Inc 液体吐出方法および液体吐出ヘッド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ヘッド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060232628A1 (en) * 2005-04-14 2006-10-19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discharging recording head and liquid-discharging recording apparatus having the head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7896A (ja) * 1985-10-24 1987-05-07 日本電気株式会社 Icカ−ド
JPH024594A (ja) * 1988-06-24 1990-01-09 Hitachi Ltd Icカード
SG54174A1 (en) 1989-08-05 1998-11-16 Canon Kk Ink jet recording and ink cartridge for the apparatus
JP2862287B2 (ja) 1989-10-12 1999-03-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DE69033001T2 (de) 1989-10-05 1999-09-09 Canon K.K. Bilderzeugungsgerät
JPH03159799A (ja) * 1989-11-17 1991-07-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担体
JP3067239B2 (ja) * 1991-04-10 2000-07-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US5363134A (en) * 1992-05-20 1994-11-08 Hewlett-Packard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printhead for an ink jet printer including an integrated identification circuit
JPH0760953A (ja) 1993-08-26 1995-03-07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および該記録ヘッドを搭載した記録装置
JPH07148916A (ja) * 1993-11-29 1995-06-13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及び該記録ヘッドを備えた記録装置
CA2130498C (en) * 1993-08-26 2000-02-22 Yoshiyuki Imanaka Ink jet recording head and recording apparatus using same
JP3126277B2 (ja) * 1993-09-08 2001-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H0839790A (ja) * 1994-07-28 1996-02-13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装置
AU3241795A (en) * 1994-08-09 1996-03-07 Encad, Inc. Printer ink cartridge
JPH08224938A (ja) * 1995-02-21 1996-09-03 Canon Inc 記録装置
RU2142367C1 (ru) * 1996-01-22 1999-12-10 Таунджет Корпорейшн ПТИ, Лтд Эже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несения материала из жидкости
JPH09284471A (ja) * 1996-04-18 1997-10-31 Canon Inc スキャナヘッドカートリッジとその使用方法、該スキャナヘッド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
US6227643B1 (en) * 1997-05-20 2001-05-08 Encad, Inc. Intelligent printer components and printing system
JP2003216901A (ja) * 1997-06-04 2003-07-31 Sony Corp 記録再生システム
US6536871B1 (en) * 1997-11-05 2003-03-25 Hewlett-Packard Company Reliable flex circuit interconnect on inkjet print cartridge
JP3438683B2 (ja) 1999-11-30 2003-08-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非可逆回路素子、通信装置および非可逆回路素子の製造方法
JP2002254673A (ja) * 2000-12-25 2002-09-11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3649123B2 (ja) * 2000-12-26 2005-05-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回路基板の端子
JP3666491B2 (ja) * 2002-03-29 2005-06-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記録装置
US6641254B1 (en) * 2002-04-12 2003-11-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s having an inorganic film
JP4039186B2 (ja) * 2002-09-05 2008-01-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37528A (ja) * 2003-02-05 2004-08-26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4046B1 (en) * 1994-10-06 2001-01-16 Hewlett-Packard Company Reliable contact pad arrangement on plastic print cartridge
KR100256464B1 (ko) * 1995-10-31 2000-05-15 디. 크레이그 노룬드 Tab 회로의 전기도선을 전기적 접촉 범프에 무납땜 접합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해 제조된 열 잉크젯 프린트헤드
JP2003118122A (ja) * 2001-10-17 2003-04-23 Canon Inc 液体吐出方法および液体吐出ヘッド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ヘッド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060232628A1 (en) * 2005-04-14 2006-10-19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discharging recording head and liquid-discharging recording apparatus having the 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32628A1 (en) 2006-10-19
JP2006289893A (ja) 2006-10-26
KR20060108529A (ko) 2006-10-18
US7465021B2 (en) 2008-12-16
CN1847005A (zh) 2006-10-18
CN100450777C (zh) 2009-01-14
JP4726195B2 (ja)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405B1 (ko) 액체 토출 기록 헤드 및 이를 구비한 액체 토출 기록 장치
KR100992208B1 (ko) 액체 토출 헤드 및 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액체 토출 장치
KR100786921B1 (ko) 헤드 기판, 기록 헤드, 헤드 카트리지 및 기록 장치
KR100824169B1 (ko) 헤드 기판, 기록 헤드, 헤드 카트리지, 기록 장치 및 정보입출력 방법
EP1719625B1 (en) Ink jet printing head and ink jet prin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EP1177903B1 (en) Liquid discharge recording head and liquid discharge recording apparatus
KR20080106866A (ko) 소자 기판, 기록 헤드, 헤드 카트리지, 기록 장치, 및 기록헤드와 기록 장치의 전기적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
JP4338202B2 (ja) 液体吐出ヘッドおよびそれを備える液体吐出装置
JP504356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用基板および該基板を具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
HK1077265B (en) Liquid ejecting head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usable therewith
HK1095792B (en) Ink jet printing head and ink jet prin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