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85381B1 - 유, 무선 발신전화 최적조건 착신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 무선 발신전화 최적조건 착신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381B1
KR100785381B1 KR1020010015571A KR20010015571A KR100785381B1 KR 100785381 B1 KR100785381 B1 KR 100785381B1 KR 1020010015571 A KR1020010015571 A KR 1020010015571A KR 20010015571 A KR20010015571 A KR 20010015571A KR 100785381 B1 KR100785381 B1 KR 100785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oming
call
information
condi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5534A (ko
Inventor
김형욱
이준성
윤두만
Original Assignee
한국인포비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인포비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인포비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5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381B1/ko
Publication of KR20020075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이동통신망 및 유선전화망에서 서비스 대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면 망으로부터 발신번호를 추출하여, 이를 키(Key)로 서비스 제공자가 설정한 가장 가까운 지점 또는 사람 등의 지리적 착신, 해당 발신위치를 관할하는 영업지점 등의 영업관할 구역 착신, 순차착신 등의 조건과 필요에 따라서 예상되는 착신 후보지점들에 대해 상태 조건을 고려한 최적의 착신 지점을 선택하여 자동으로 연결함으로써 최단 시간 내에 착신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 무선 발신전화 최적조건 착신장치 및 그 방법{The optimum a message received apparatus and method of wire and wireless telephon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접속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유, 무선 발신전화 최적조건 착신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3 및 도 4 는 발명에 따른 서비스 처리 흐름도,
도 5 는 착신번호 요청 메시지의 예시도,
도 6 은 착신번호 통보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신 이동전화기 20 : 이동 통신망
30 : 착신 이동전화기 40 : 착신번호 선택장치
50 : 유선 교환망 60 : 발신 유선전화기
70 : 착신 유선전화기 21, 23 : 기지국
22 : 이동통신 교환국 24, 52 : 지능망 교환부
25, 51 : 지능망 서비스 제어부 26, 27 : 현 위치정보 수집부
41 : 전화번호 및 지번 관리부 42 : 상태정보 관리부
43 : 공간정보 관리부 44 : 착신조건 설정부
45 : 착신조건 연산부 46 : 망 연동부
47 : 단문 메시지 전송부 53 : 유선전화 교환국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 및 유선전화망에서 서비스 대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서비스 요청시 발신자의 서비스 요청을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선택하여 연결해 주는 착신번호 선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서비스 대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면 망으로부터 발신번호를 추출하여, 이를 키(Key)로 서비스 제공자가 설정한 가장 가까운 지점 또는 사람 등의 지리적 착신, 해당 발신위치를 관할하는 영업지점 등의 영업관할 구역 착신, 순차착신 등의 조건과 필요에 따라서 예상되는 착신 후보지점들에 대해 상태 조건을 고려한 최적의 착신 지점을 선택함으로써 최단 시간 내에 착신 할 수 있도록 한, 유, 무선 발신전화 최적조건 착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공중망에서의 대표번호에 의한 착신 선택기능은 주로 지능망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이는 국번단위의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일방적으로 착신시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러한 방식은 발신지점과 착신 지점간의 공간상의 거리를 완전히 고려하지 못함으로써, 가장 가까운 지점에 착신시키지 못하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한 개의 국번 내에 여러 착신 지점이 있는 경우 반영하기 곤란하다.
또한, 이 방식은 착, 발신위치가 고정된 유선전화에 국한됨으로써 착신자 또는 발신자 중 어느 한쪽이 이동중인 경우는 매핑 테이블을 구성하는 것이 무의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발신 위치가 고정된 유선 전화로 지능망 서비스중 하나인 대표전화번호로 전화를 건 경우, 기존의 국번 매핑 테이블에 의한 일방적인 착신 방식에 비해 착/발신 전화기가 유선, 이동전화기를 구분하지 않고 서비스 이용자가 설정한 조건에 의한 다양한 조건에 의해 선택된 착신전화로 착신시킬 수 있도록 한, 유, 무선 발신전화 최적조건 착신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신전화기의 위치와 최단 직선거리에 놓여있는 서비스 지점을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지역 착신방식을 이용할 경우 각각의 서비스 지점 또는 사람별로 할당된 관할 영역을 정확하게 반영된 착신이 가능하고, 이동전화 발신인 경우에도 착신 전화가 유선일 경우와 무선일 경우를 모두 반영할 수 있는 실시간 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최적 착신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유, 무선 발신전화 최적조건 착신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타 서비스 이용자가 설정하는 착신 조건을 착신 후보지점의 현재 상태 정보에 세부적으로 반영함으로써 비 완료호의 비율을 최소화하여 교환망의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발신 전화가 이동 전화인 경우 메시지 전송장치와 연계하여 바로 서비스 처리 명령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한, 유, 무선 발신전화 최적조건 착신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 무선 발신전화 최적조건 착신장치는,
발신전화 및 착신전화에 대한 전화번호, 지번, 이름, 기타 정보를 저장하고 발신번호를 키로 지번 및 상세 정보를 추출하는 전화번호 및 지번 관리부와 ;
각각의 착신 후보 지점들에 대한 영업 휴무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상태정보 관리부와 ;
착신 후보지점 및 발신지점에 대한 위치정보, 주요 거점들에 대한 지리적인 정보를 관리하는 공간정보 관리부와 ;
순차적인 착신, 발신지점과 가장 가까운 지점에 대한 최근접 지점 착신, 발신 지점을 관할하는 지점에 대한 관할구역 착신, 국번단위 착신 등의 착신 조건을 설정하는 착신조건 설정부와 ;
상기 전화번호 및 지번 관리부, 상태정보 관리부, 공간정보 관리부 및 착신조건 설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의해 발신자의 서비스 요청을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지점 및 특정사람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는 착신조건 연산부와 ;
상기 착신조건 연산부에서 연산된 착신조건에 따라 이동 통신망 또는 유선 교환망으로 발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이동 통신망 또는 유선 교환망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착신조건 연산부로 송신하는 망 연동부 ; 및,
상기 착신조건 연산부에서 연산된 착신지점이 이동전화이고 작업지시가 필요한 경우 이동 통신망의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작업지시 명령을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전송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 무선 발신전화 최적조건 착신방법은,
발신 이동전화기 또는 발신 유선전화기로 전화를 걸어 이동 통신망의 지능망 서비스 제어부 또는 유선 교환국의 지능망 서비스 제어부에 대표 전화 서비스가 서비스 등록이 되어 있는 경우, 착신번호 선택장치의 망 연동부를 통하여 착신조건 연산부로 착신번호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1 단계와 ;
상기 제 1 단계에서 착신번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조건 연산부가 이 메시지로부터 발신번호를 추출하는 제 2 단계와 ;
상기 제 2 단계에서 추출된 발신번호가 이동전화기로부터 걸려온 전화인지 유선전화기로부터 걸려온 전화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와 ;
상기 제 3 단계에서 이동전화기로부터 걸려온 전화일 경우, 이동전화 사업자 번호(예: 011, 018, 019등)에 따른 현 위치 수집방식을 결정하는 제 4 단계와 ;
상기 제 4 단계에서 결정된 현 위치 수집방식이 주기적으로 위치정보를 통보 받는 사업자의 경우 공간정보 관리부로 현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반면에 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의해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방식인 경우 이동 통신망의 현 위치정보 수집부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5 단계와 ;
상기 제 5 단계에서 공간정보 관리부 또는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은 현 위치정보 수집부로부터 발신 이동전화기의 현 위치 정보를 응답 메세지로 받아 현 위치 좌표를 추출하는 제 6 단계와 ;
상기 제 3 단계에서 유선전화기로부터 걸려온 전화일 경우, 전화번호 및 지번 관리부로 바로 발신번호를 전송하여 지번을 요청하는 제 7 단계와 ;
상기 제 7 단계에서 요청한 발신전화 위치에 대한 지번을 얻게 되면, 지번에 대한 공간적인 위치 좌표정보를 추출하는 제 8 단계와 ;
상기 제 6 단계 또는 상기 제 8 단계에서 유/무선 발신전화의 공간적인 위치 좌표정보를 추출한 후, 착신조건 연산부가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조건에 따라 착신번호 후보를 추출하는 제 9 단계와 ;
상기 제 9 단계에서 추출된 착신 후보들에 대해 상태정보(예: 휴무, 착신 전환 등)를 반영하여 최종 착신번호를 결정하는 제 10 단계 ; 및,
상기 제 10 단계에서 결정된 최종 착신번호로 망 연동부를 통해 이동 통신망의 지능망 서비스 제어부 또는 유선 교환망의 지능망 서비스 제어부로 착신지시 메시지를 통보하는 제 11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 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 은 본 발명인 착신번호 자동 선택장치에 대한 이동 통신망 및 공중 유선 교환망과의 연결도로서, 발신 이동전화기(10) 또는 발신 유선전화기(60)에서 서비스 대표번호 입력에 의해 발신 전화번호를 이동 통신망(20) 또는 유선 교환망(50)으로 전송하면, 상기 이동 통신망(20) 또는 유선 교환망(50)은 서비스 대표번호 및 발신전화 번호를 착신번호 선택장치(40)로 전달한다.
착신번호 선택장치(40)는 업종 대표번호를 이용하는 서비스 가입자가 용청하여 설정된 조건에 의해 착신할 선택번호를 추출하여 이를 이동 통신망(20) 또는 유선 교환망(50)에 전송하여 착신 지시를 하고, 이에 따라 이동 통신망(20) 또는 유선 교환망(50)은 해당 착신 이동전화기(30) 또는 착신 유선전화기(70)로 착신시킨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유, 무선 발신전화 최적조건 착신장치의 상세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신전화 및 착신전화에 대한 전화번호, 지번, 이름, 기타 정보를 저장하고 발신번호를 키(Key)로 지번 및 상세 정보를 추출하는 전화번호 및 지번 관리부(41)와 ; 각각의 착신 후보 지점들에 대한 영업 휴무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상태정보 관리부(42)와 ; 착신 후보지점 및 발신지점에 대한 위치정보, 속성정보, 주요 거점들에 대한 지리적인 정보를 관리하는 공간정보 관리부(43)와 ; 순차적인 착신, 발신지점과 가장 가까운 지점에 대한 최근접 지점 착신, 발신 지점을 관할하는 지점에 대한 관할구역 착신, 국번단위 착신 등의 착신 조건을 설정하는 착신조건 설정부(44)와 ; 상기 전화번호 및 지번 관리부(41), 상 태정보 관리부(42), 공간정보 관리부(43) 및 착신조건 설정부(44)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의해 발신자의 서비스 요청을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지점 및 특정사람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는 착신조건 연산부(45)와 ; 상기 착신조건 연산부(45)에서 연산된 착신조건에 따라 이동 통신망(20) 또는 유선 교환망(50)으로 발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이동 통신망(20) 또는 유선 교환망(5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착신조건 연산부(45)로 송신하는 망 연동부(46) ; 및, 착신지점이 이동전화이고 작업지시가 필요한 경우 이동 통신망의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작업지시 명령을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전송부(47)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유, 무선 발신전화 최적조건 착신장치는, 먼저 발신 이동전화기(10) 또는 발신 유선전화기(60)로 서비스 대표번호 입력에 의해 전화를 걸면, 이동전화기일 경우 이동 통신망(20)의 기지국(21) 및 이동통신 교환국(22)을 통하게 되고, 지능망을 이용하는 서비스 대표번호라고 판단되면 지능망 교환부(24)를 거쳐 지능망 서비스 제어부(25)로 발신번호 정보가 전달되게 된다.
상기 이동 통신망(20)의 지능망 서비스 제어부(25)는 전달된 발신번호 정보가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는 서비스로 등록된 경우, 착신번호 선택장치(40)의 망 연동부(46)를 통하여 착신조건 연산부(45)로 도 5 와 같은 "메시지 유형, 메시지 구분번호, 서비스번호, 발신번호, 요구정보 종류" 등을 내용으로 하는 착신번호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S10).
여기서, 상기 착신번호 요청 메시지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1) 메시지 유형
QUERY_MSG ; SCP에서 HANMIR 서버로 착신번호를 문의하는 메시지
REPLY_MSG ; QUERY_MSG에 대한 HANMIR 서버의 응답 메시지
ACT_MSG ; SCP에서 HANMIR 서버의 정상동작 여부를 묻는 메시지
ACK_MSG ; ACT_MSG에 대한 HANMIR 서버의 응답 메시지
2) 메시지 구분번호 ; 요청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를 매칭시킬 때 필요한 메시지 일련번호
3) 서비스 번호 ; 서비스 코드번호(예를 들면 1588-XXXX)
4) 요구정보 종류 ; 어떠한 정보를 요구하는지 구분하는 것으로, 현재는 착신번호만 요구한다.
상기와 같이 착신번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조건 연산부(45)는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발신번호를 추출하여(S20), 이동전화기로부터 걸린 전화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만일 이동전화일 경우, 이동전화 사업자 번호(예: 011, 018, 019 등)에 의해 현 위치 수집방식을 결정하게 된다(S40).
왜냐하면, 011, 017, 018, 019 사업자의 경우에는 위치정보를 요청하지 않아도 이동 통신망(20)의 망 연동부(46)를 통하여 현 위치정보 수집부(26)로부터 주기적으로 위치정보를 통보 받는 반면에, 다른 사업자(016)의 경우에는 서비스 가입자의 요청에 의해 위치정보를 수신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위치정보를 통보 받는 사업자의 경우(예: 019) 현 위치정보 수집부(26)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망 연동부(46)에 저장한다.
반면에, 요청에 의해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방식인 경우, 상기 착신조건 연산부(45)는 망 연동부(46)를 통해 이동 통신망(20)의 현 위치정보 수집부(27)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50).
상기 현 위치정보 수집부(27)는 해당 발신 이동전화기(10)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망 연동부(46)로 전달하고, 상기 망 연동부(46)는 이를 다시 착신조건 연산부(45)로 전달하여 현 위치 정보를 응답 메세지로 받게 된다(S60).
한편, 상기 단계(S30)에서 유선전화기일 경우 전화번호 및 지번 관리부(41)로 바로 발신번호를 전송하여(S70) 발신전화 위치에 대한 지번을 얻게 되면, 유/무선 발신전화의 공간적인 위치 좌표정보를 얻게 된다(S80).
다음으로 착신조건 연산부(45)는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조건을 검사하여(S90)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조건이 최단거리 착신으로 설정된 경우(S91), 이미 등록된 착신 후보지점에 대한 좌표와 발신번호 위치좌표를 비교하여 최단 거리인 착신번호 후보를 추출하게 된다(S92).
한편,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조건이 구역착신인 경우(S93), 공간정보 관리부(43)로부터 해당 발신번호를 관할하는 착신번호를 요청하여 착신번호 후보를 수신한다(S94).
반면에,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조건이 순차착신인 경우(S95), 대상 착신 군에 대한 순차 연산 후 착신번호 후보를 추출한다(S96).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조건이 국번단위 착신인 경우(S97), 국번 매핑테이블 참조 후 착신번호 후보를 선택한다(S98).
만일,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조건이 동코드 단위 착신인 경우(S99), 동코드 매핑테이블 참조 후 착신번호를 추출한다(S100).
이렇게 추출된 착신 후보들에 대해 상태정보(예: 휴무, 착신 전환 등)를 반영하여 최종 착신번호를 결정함으로써(S110), 망 연동부(46)를 통해 이동 통신망(20)의 지능망 서비스 제어부(25) 또는 유선 교환망(50)의 지능망 서비스 제어부(51)로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메시지 유형, 메시지 구분번호, 응답 성공여부, 실패원인, 결과정보" 등을 내용으로 하는 착신지시 메시지를 통보한다.(S120)
여기서, 착신지시 메시지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1) 메시지 유형
QUERY_MSG ; SCP에서 HANMIR 서버로 착신번호를 문의하는 메시지
REPLY_MSG ; QUERY_MSG에 대한 HANMIR 서버의 응답 메시지
ACT_MSG ; SCP에서 HANMIR 서버의 정상동작 여부를 묻는 메시지
ACK_MSG ; ACT_MSG에 대한 HANMIR 서버의 응답 메시지
2) 메시지 구분번호 ; 요청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를 매칭시킬 때 필요한 메시지 일련번호
3) 응답 성공여부 ; 성공, 실패 구분
4) 실패원인 ; 없는 가입자(없는 SN 번호), 이용 정지된 가입자(정지된 SN 번호), 해당 착신번호 없음, 휴일 혹은 일과시간 종료로 영업 안함, 기타 오류
5) 결과 정보 ; QUERY_MSG에서 요구한 정보로, 현재는 지역번호를 포함한 착신번호
한편, 이동전화일 경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작업지시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전송부(47)를 통하여 단문 메시지로 해당 전화기에 착신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을 순서도로 도시하면 도 3 및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신 이동전화기 또는 발신 유선전화기로 전화를 걸어 발신번호가 이동 통신망의 지능망 서비스 제어부 또는 유선 교환국의 지능망 서비스 제어부에 대표 전화번호 서비스로 서비스 등록이 되어 있는 경우, 착신번호 선택장치의 망 연동부를 통하여 착신조건 연산부로 착신번호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1 단계(S10)와 ; 상기 제 1 단계(S10)에서 착신번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조건 연산부가 이 메시지로부터 발신번호를 추출하는 제 2 단계(S20)와 ; 상기 제 2 단계(S20)에서 추출된 발신번호가 이동전화기로부터 걸려온 전화인지 유선전화기로부터 걸려온 전화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S30)와 ; 상기 제 3 단계(S30)에서 이동전화로부터 걸려온 전화일 경우, 이동전화 사업자 번호(예: 011, 018, 019등)에 따른 현 위치 수집방식을 결정하는 제 4 단계(S40)와 ; 상기 제 4 단계(S40)에서 결정된 현 위치 수집방식이 주기적으로 위치정보를 통보 받는 사업자의 경우 공간정보 관리부로 현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반면에 서비스 이용자의 요청에 의해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방식인 경우 이동 통신망의 현 위치정보 수집부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5 단계(S50)와 ; 상기 제 5 단계(S50)에서 공간정보 관리부 또는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은 현 위치정보 수집부로부터 발신 이동전화기의 현 위치 정보를 응답 메세지로 받아 현 위치 좌표를 추출하는 제 6 단계(S60)와 ; 상기 제 3 단계(S30)에서 유선전화기로부터 걸려온 전화일 경우, 전화번호 및 지번 관리부로 바로 발신번호를 전송하여 지번을 요청하는 제 7 단계(S70)와 ; 상기 제 7 단계(S70)에서 요청한 발신전화 위치에 대한 지번을 얻게 되면, 지번에 대한 공간적인 위치 좌표정보를 추출하는 제 8 단계(S80)와 ; 상기 제 6 단계(S60) 또는 상기 제 8 단계(S80)에서 유/무선 발신전화의 공간적인 위치 좌표정보를 추출한 후, 착신조건 연산부가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조건에 따라 착신번호 후보를 추출하는 제 9 단계(S90)와 ; 상기 제 9 단계(S90)에서 추출된 착신 후보들에 대해 상태정보(예: 휴무, 착신 전환 등)를 반영하여 최종 착신번호를 결정하는 제 10 단계(S110) ; 및, 상기 제 10 단계(S110)에서 결정된 최종 착신번호로 망 연동부를 통해 이동 통신망의 지능망 서비스 제어단 또는 유선 교환망의 지능망 서비스 제어단으로 착신지시 메시지를 통보하는 제 11 단계(S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9 단계(S90)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조건이 최단 거리 착신인 경우(S91) 이미 등록된 착신 후보지점에 대한 좌표와 발신번호 위치좌표를 비교하여 최단 거리인 착신번호 후보를 추출하고(S92), 상기 제 9 단계(S90)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조건이 구역착신 조건인 경우(S93) 공간정보 관리부로부터 해당 발신번호를 관할하는 착신번호를 요청하여 착신번호 후보를 수신하여 추출하고(S94), 상기 제 9 단계(S90)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조건이 순차착신인 경우(S95) 대상 착신 군에 대한 순차 연산 후 착신번호 후보를 추출하고(S96), 상기 제 9 단계(S90)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조건이 국번단위 착신인 경우(S97) 국번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착신번호 후보를 선택하고(S98), 상기 제 9 단계(S90)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조건이 동코드 단위 착신인 경우(S99) 동코드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착신번호를 추출하여(S100)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 무선 발신전화의 최적조건 착신장치 및 그 방법은, 발신 위치가 고정된 유선 전화로 지능망 서비스중 하나인 대표전화번호로 전화를 건 경우, 기존의 국번 매핑 테이블에 의한 일방적인 착신 방식에 비해 착/발신 전화기가 유선, 이동전화기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에 의한 다양한 조건에 의해 선택된 착신전화로 착신시킬 수 있고, 발신전화기의 위치와 최단 직선거리에 놓여있는 서비스 지점을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지역 착신방식을 이용할 경우 각각의 서비스 지점 또는 사람별로 할당된 관할 영역을 정확하게 반영된 착신이 가능하고, 이동전화 발신인 경우에도 착신 전화가 유선일 경우와 무선일 경우를 모두 반영할 수 있는 실시간 현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최적 착신이 가능하며, 기타 서비스 이용자가 설정하는 착신 조건을 착신 후보지점의 현재 상태 정보에 세부적으로 반영함으로써 비 완료호의 비율을 최소화하여 교환망의 부하를 줄일 수 있고, 발신 전화가 이동 전화인 경우 메시지 전송장치와 연계하여 바로 서비스 처리 명령을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유, 무선 발신전화의 현위치를 기반으로 최적조건의 착신번호를 선택하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발신전화 및 착신전화에 대한 전화번호, 지번, 이름, 기타 정보를 저장하고 발신번호를 키로 지번 및 상세 정보를 추출하는 전화번호 및 지번 관리부와 ;
    이미 등록된 각각의 착신 후보지점들에 대한 영업 휴무 상태 등의 정보를 추출하는 상태정보 관리부와 ;
    발신지점에 대한 위치정보, 속성정보, 주요 거점들에 대한 지리적인 정보와 상기 착신 후보지점들에 대한 위치정보, 속성정보, 주요 거점들에 대한 지리적인 정보를 관리하는 공간정보 관리부와 ;
    순차적인 착신, 발신지점과 가장 가까운 지점에 대한 최근접 지점 착신, 발신 지점을 관할하는 지점에 대한 관할구역 착신, 국번단위 착신 등의 착신 조건을 설정하는 착신조건 설정부와 ;
    상기 전화번호 및 지번 관리부, 상태정보 관리부, 공간정보 관리부 및 착신조건 설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의해 발신자의 서비스 요청을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지점 및 특정사람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는 착신조건 연산부와 ;
    상기 착신조건 연산부에서 연산된 착신조건에 따라 이동 통신망 또는 유선 교환망으로 발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이동 통신망 또는 유선 교환망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착신조건 연산부로 송신하는 망 연동부 ; 및,
    상기 착신지점이 이동전화이고 작업지시가 필요한 경우 작업지시 명령을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전송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 무선 발신전화의 최적조건 착신장치.
  2. 발신 이동전화기 또는 발신 유선전화기로 전화를 걸어 이동 통신망의 지능망 서비스 제어부 또는 유선 교환국의 지능망 서비스 제어부에 대표 전화번호 서비스로 서비스 등록이 되어 있는 경우, 착신번호 선택장치의 망 연동부를 통하여 착신조건 연산부로 착신번호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1 단계와 ;
    상기 제 1 단계에서 착신번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조건 연산부가 이 메시지로부터 발신번호를 추출하는 제 2 단계와 ;
    상기 제 2 단계에서 추출된 발신번호가 이동전화기로부터 걸려온 전화인지 유선전화기로부터 걸려온 전화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와 ;
    상기 제 3 단계에서 이동전화로부터 걸려온 전화일 경우, 이동전화 사업자 번호(예: 011, 018, 019등)에 따른 현 위치 수집방식을 결정하는 제 4 단계와 ;
    상기 제 4 단계에서 결정된 현 위치 수집방식이 주기적으로 위치정보를 통보 받는 사업자의 경우 공간정보 관리부로 현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반면에 요청에 의해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방식인 경우 이동 통신망의 현 위치정보 수집부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5 단계와 ;
    상기 제 5 단계에서 공간정보 관리부 또는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은 현 위치정보 수집부로부터 발신 이동전화기의 현 위치 정보를 응답 메세지로 받아 현 위치 좌표를 추출하는 제 6 단계와 ;
    상기 제 3 단계에서 유선전화기일 경우, 전화번호 및 지번 관리부로 바로 발신번호를 전송하여 지번을 요청하는 제 7 단계와 ;
    상기 제 7 단계에서 요청한 발신전화 위치에 대한 지번을 얻게 되면, 지번에 대한 공간적인 위치 좌표정보를 추출하는 제 8 단계와 ;
    상기 제 6 단계 또는 상기 제 8 단계에서 유/무선 발신전화의 공간적인 위치 좌표정보를 추출한 후, 착신조건 연산부가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조건에 따라 착신번호 후보를 추출하는 제 9 단계와 ;
    상기 제 9 단계에서 추출된 착신 후보들에 대해 상태정보(예: 휴무, 착신 전환 등)를 반영하여 최종 착신번호를 결정하는 제 10 단계 ; 및,
    상기 제 10 단계에서 결정된 최종 착신번호로 망 연동부를 통해 이동 통신망의 지능망 서비스 제어부 또는 유선 교환망의 지능망 서비스 제어부로 착신지시 메시지를 통보하는 제 11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 무선 발신전화의 최적조건 착신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9 단계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조건이 최단 거리 착신인 경우, 이미 등록된 착신 후보지점에 대한 좌표와 발신번호 위치좌표를 비교하여 최단 거리인 착신번호 후보를 추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 무선 발신전화의 최적조건 착신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9 단계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조건이 구역착신 조건인 경우, 공간정보 관리부로부터 해당 발신번호를 관할하는 착신번호를 요청하여 착신번호 후보를 수신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 무선 발신전화의 최적조건 착신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9 단계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조건이 순차착신인 경우, 대상 착신 군에 대한 순차 연산 후 착신번호 후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 무선 발신전화의 최적조건 착신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9 단계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조건이 국번단위 착신인 경우, 국번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착신번호 후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 무선 발신전화의 최적조건 착신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9 단계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조건이 사용자 착신번호 지정인 경우, 사용자 설정조건에 따라 착신번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 무선 발신전화의 최적조건 착신방법.
KR1020010015571A 2001-03-26 2001-03-26 유, 무선 발신전화 최적조건 착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785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571A KR100785381B1 (ko) 2001-03-26 2001-03-26 유, 무선 발신전화 최적조건 착신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571A KR100785381B1 (ko) 2001-03-26 2001-03-26 유, 무선 발신전화 최적조건 착신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534A KR20020075534A (ko) 2002-10-05
KR100785381B1 true KR100785381B1 (ko) 2007-12-18

Family

ID=27698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571A KR100785381B1 (ko) 2001-03-26 2001-03-26 유, 무선 발신전화 최적조건 착신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3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535B1 (ko) * 2001-12-31 2008-07-15 주식회사 케이티 지능망 서비스에서 이동 단말의 근거리 라우팅 장치 및 그 방법
WO2006004234A1 (en) * 2004-07-07 2006-01-12 Jong-Sun Choi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telligent network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301465B1 (ko) * 2007-03-30 2013-08-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에서 망 연동시의 지역 콜 서비스 호 처리 장치 및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851A (ko) * 2000-07-03 2000-10-05 김용환 통신기기를 이용한 근접지역 정보 서비스방법
KR20000060522A (ko) * 1999-03-16 2000-10-16 서평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광역 근거리 착신 서비스 운용 방법
KR20000063939A (ko) * 2000-08-11 2000-11-06 박복수 업종별 대표전화번호를 이용한 소비자와 가맹점간의자동연결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16503A (ko) * 2000-12-15 2001-03-05 변승환 이동통신단말기의 근거리 사용자 통화연결방법
KR20010046982A (ko) * 1999-11-17 2001-06-15 이계철 지능망 착신형 서비스에서의 근거리 루팅장치 및 방법
KR20020022886A (ko) * 2000-09-21 2002-03-28 임과순 유선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전화번호 및 발신지위치 정보를 이용한 인접지역의 생활정보 서비스 연결제공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522A (ko) * 1999-03-16 2000-10-16 서평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광역 근거리 착신 서비스 운용 방법
KR20010046982A (ko) * 1999-11-17 2001-06-15 이계철 지능망 착신형 서비스에서의 근거리 루팅장치 및 방법
KR20000058851A (ko) * 2000-07-03 2000-10-05 김용환 통신기기를 이용한 근접지역 정보 서비스방법
KR20000063939A (ko) * 2000-08-11 2000-11-06 박복수 업종별 대표전화번호를 이용한 소비자와 가맹점간의자동연결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22886A (ko) * 2000-09-21 2002-03-28 임과순 유선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전화번호 및 발신지위치 정보를 이용한 인접지역의 생활정보 서비스 연결제공장치 및 방법
KR20010016503A (ko) * 2000-12-15 2001-03-05 변승환 이동통신단말기의 근거리 사용자 통화연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534A (ko) 200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4814B2 (en) Integrated wireless/wireline registration
JP2005160094A (ja) 企業私有通信ネットワークおよびセルラ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コール・ピックアップ・サービスの相互運用性を提供するシステム
NO314110B1 (no) Fremgangsmåte for viderebefordring av informasjon i et tjenesteintegrert nett
JPH11510991A (ja) リモート装置に特徴発信呼を通知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785381B1 (ko) 유, 무선 발신전화 최적조건 착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321722B1 (ko) 개인번호서비스2차착신연결방법
KR100408183B1 (ko) 자동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562849B1 (ko) 불완료호 발신번호 통보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7753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반복 착신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54669B1 (ko) 이동 전화망에서의 지능망 전화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717825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호 연결 방법
KR20030013669A (ko)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무선 이동 단말기를 통한위치정보 서비스 방법
KR100965091B1 (ko) 미착신 유선전화 호의 발신정보 제공 방법
KR100477151B1 (ko) 단문 전환 서비스 방법
KR100509155B1 (ko) Gsm/umts에서의 착신불가호에 대한 발신정보 제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820853B1 (ko)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77918B1 (ko) 자동 연결된 착신 불가 호에 대한 발신 정보 제공 방법
JP3272524B2 (ja) 着信先通知接続方式
KR20070023481A (ko) 메신저의 상태정보에 따른 인터넷 전화의 호 전환 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
KR100909824B1 (ko) 수신 가입자가 설정한 수신 단말기 위치기반 통화연결음 제공 방법
KR101510299B1 (ko) 착신대상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통화 그 방법
KR20040039546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완료호 자동 연결 서비스 방법
JP2002374556A (ja) 位置情報通知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50106379A (ko) 이동통신망에서 단문메시지전송서버를 이용한 불완료호정보의 수집과 선택적 통지 방식 변경에 대한 방법 및시스템
KR100613425B1 (ko) 전화 음성안내 방식에 의한 전화번호 위치정보 제공시스템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2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3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1092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