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85363B1 - 인간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델타의 억제제 - Google Patents

인간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델타의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363B1
KR100785363B1 KR1020027014346A KR20027014346A KR100785363B1 KR 100785363 B1 KR100785363 B1 KR 100785363B1 KR 1020027014346 A KR1020027014346 A KR 1020027014346A KR 20027014346 A KR20027014346 A KR 20027014346A KR 100785363 B1 KR100785363 B1 KR 100785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nazolin
alkylene
purin
ylsulfanylmethyl
chloropheny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3077A (ko
Inventor
사두챈칼
트레이베르그제니퍼
딕켄
케식키에드워드에이.
소웰씨그레고리
올리버아미
Original Assignee
이코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코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코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20093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36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thyroid hormones, e.g. T3, T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07D47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s 2 and 6
    • C07D473/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s 2 and 6 two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07D47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s 2 and 6
    • C07D47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s 2 and 6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07D473/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an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or 6, but not in both
    • C07D473/28Oxygen atom
    • C07D473/30Oxygen atom attached in position 6, e.g. hypoxanth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07D473/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an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or 6, but not in both
    • C07D473/32Nitrogen atom
    • C07D473/34Nitrogen atom attached in position 6, e.g. aden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07D473/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an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or 6, but not in both
    • C07D473/36Sulfur atom
    • C07D473/38Sulfur atom attached in position 6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07D473/4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halogen atoms or perhalogeno-alkyl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or 6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nc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besit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델타 이성체(PI3Kδ)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 및 백혈구 기능에서 PI3Kδ가 일정 역할을 수행하는 질병, 예를 들어 면역 장애 및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PI3Kδ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나, 다른 PI3K 이성체의 활성을 현저하게 억제하지않는 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PI3Kδ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제공하는데, 여기에는 PI3Kδ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화합물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PI3Kδ억제성 화합물을 이용하여 암세포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PI3Kδ억제성 화합물을 이용하여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PI3Kδ-매개된 과정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간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델타의 억제제{INHIBITORS OF HUMAN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DELTA}
관련 출원에 대한 참고 문헌
본 출원은 2000년 4월 25일자 출원된 미국 가명세서 출원 제60/199,655호 및 2000년 10월 25일자 출원된 미국 가명세서 출원 제60/238,057호의 우선권 주장 출원이다.
본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PI3K) 효소, 더욱 구체적으로 PI3K 활성의 선택적 억제제 및 이러한 물질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3'-인산화 포스포이노시티드를 통한 세포 신호 전달은 다양한 세포내 과정 예컨데, 악성 세포변형, 생장 인자 신호 전달, 염증 및 면역성과 관련되어 있다[Rameh 외 다수, J.Biol.Chem., 274:8347-8350(1999) 참조]. 이와 같은 인산화 신호 전달 생성물의 생성을 담당하는 효소인,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PI 3-키나제; PI3K)는 원래 바이러스 종양 단백질 관련 활성 및 포스파티딜이노시톨(PI) 및 이노시톨 고리의 3'-히드록실에서 인산화된 이의 유도체를 인산화시키는 생장 인자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로서 동정되었다[Panayotou 외 다수, Trends Cell Biol. 2:358-60 (1992)].
포스파티딜이노시톨-3,4,5-트리포스페이트(PIP3), PI3-키나제 활성화의 주요 생성물의 수준은 세포를 다수의 작동물질으로 처리함에 따라서 증가한다. 따라서 PI3-키나제 활성화는 세포 성장, 세포 분화 및 세포 고사를 비롯한 일정 범위의 세포 반응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Parker외 다수, Current Biology, 5:577-99(1995); Yao외 다수, Science, 267:2003-05(1995)]. 비록 PI3-키나제 활성화 이후에 생성되는 인산화 지질의 하류 표적(downstream target)의 특성 규명은 잘 되어 있지만, 몇몇 증거를 통하여 플렉스트린 상동성 도메인-함유 단백질 및 FYVE-핑거 도메인-함유 단백질이 다양한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지질에 결합할때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Sternmark외 다수, J.Cell.Sci., 112:4175-83(1999); Lemmon외 다수, Trends Cell Biol., 7:237-42(1997)]. 시험관내에서, 단백질 키나제 C(PKC)의 일부 이성체는 직접적으로 PIP3에 의하여 활성화되며, PKC-관련 단백질 키나제, PKB는 PI3-키나제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것으로 보인다[Burgering외 다수 공저, Nature, 376:599-602(1995)].
현재, PI3-키나제 효소 군은 이의 기질 특이성을 기초로하여 3개의 부류로 나뉜다. 제 I 부류인 PI3Ks는 포스파티딜이노시톨(PI), 포스파티딜이노시톨-4-포스페이트 및 포스파티딜이노시톨-4,5-비포스페이트(PIP2)를 인산화시켜 각각 포스파티딜이노시톨-3-포스페이트(PIP), 포스파티딜이노시톨-3,4-비포스페이트, 및 포스파티딜이노시톨-3,4,5-트리포스페이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제II 부류인 PI3Ks는 PI 및 포스파티딜이노시톨-4-포스페이트를 인산화시키는 반면에, 제III 부류인 PI3Ks는 PI만을 인산화시킬 수 있다.
PI-키나제의 초기 정화 및 분자 클로닝을 수행한 결과, 이는 p85 및 p110 서브유닛으로 이루어진 이형 이량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Otsu외 다수, Cell, 65:91-104(1991); Hiles외 다수, Cell, 70:419-29(1992)]. 그 이후, PI3K α, β, δ 및 γ로 불리우는, 4개의 독특한 제Ⅰ부류의 PI3Ks가 동정되었는데, 이들은 각각 독특한 110 kDa의 촉매 서브유닛 및 조절 서브유닛으로 이루어져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촉매 서브유닛중 3개 즉, p110α, p110β및 p110δ는 각각 동일한 조절 서브유닛, p85와 상호 작용을 하는 반면에; p110γ는 독특한 조절 서브유닛, p101과 상호 작용을 한다. 다음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인간 세포 및 조직중에서 이들 PI3Ks 각각의 발현 방식은 또한 독특하다. 일반적으로 PI3-키나제의 세포 기능에 관하여 최근 몇년간 다량의 정보가 축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이성체에 의하여 수행되는 역할들은 거의 알려져있지 않다.
소의 p110α의 클로닝에 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이 단백질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단백질과 관련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Vps34p 단백질은 액포형성 단백질 가공에 관련되어 있다. 재조합 p110α생성물은 또한 p85α와 관련된 것으로서, 형질 감염된 COS-1 세포에서 PI3K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Hiles외 다수, Cell, 70, 419-29(1992) 참조하시오.
p110β라고 불리우는 제2의 인간 p110 이성체의 클로닝에 관하여는 Hu외 다수, Mol. Cell Biol. 13:7677-88 (1993)에 기술되어 있다. p110βmRNA가 다수의 인 간 및 마우스 조직과 인간의 태반 정맥 내피 세포, Jurkat 인간 백혈병성 T 세포, 293 인간 배아 신장 세포, 마우스 3T3 섬유아세포, HeLa 세포 및 NBT2 래트 방광 암종 세포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서, 상기 이성체는 세포내 p85와 결합되어 도처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광범위 발현은 상기 이성체가 신호 전달 경로에서 명백히 중요하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다.
PI3-키나제의 p110δ 이성체의 동정은 Chantry외 다수, J.Biol.Chem., 272:19236-41(1997)에 기술되어 있다. 인간 p110δ 이성체는 조직 제한 방식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림프구 및 림프 조직내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는데, 이는 곧 상기 단백질이 면역계의 PI3-키나제 매개성 신호 전달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하는 것이다. P110δ이성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미국 특허 제5,858,753호, 동 제5,822,910호 및 동 제5,985,589호에서 살펴볼 수 있다. 또한 Vanhaesebroeck외 다수, Proc. Natl. Acad. Sci. USA, 94:4330-5(1997) 및 국제 공개 공보 WO 97/46688에 개시되어 있다.
각각의 PI3Kα, β 및 δ 아형중, p85 서브유닛은 표적 단백질중에서 이의 SH2 도메인과 인산화된 티로신 잔기들(적당한 서열 내에 존재)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PI3-키나제를 원형질막에 국소화시키는 역할을 한다[Rameh외 다수, Cell, 83:821-30(1995)]. p85의 2개의 이성체들이 동정되었는데, p85α는 도처에서 발현되는 것이고, p85β는 주로 뇌와 림프 조직중에서 발견된다[Volinia외 다수, Oncogene, 7:789-93(1992)]. p85 서브유닛이 PI3-키나제에 결합되면, p110α, β 또는 δ촉매 서브유닛은 이들 효소의 촉매 활성 및 안정성에 요구되는 것으로 보인 다. 뿐만 아니라, Ras 단백질이 결합하면 PI3-키나제 활성도 또한 상향 조절된다.
p110γ의 클로닝에 의하여 효소의 PI3K 군중 이들의 복잡성을 추가로 밝혀냈다[Stoyanov외 다수, Science, 269:690-93(1995)]. p110γ이성체는 p110α 및 p110β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나(촉매 도메인내 45 ∼ 48% 동일성), 언급한 바와 같이, 표적화 서브유닛으로서 p85를 이용하지는 않는다. 대신에, p110γ는 그 아미노 말단 근처에 "플렉스트린 상동성 도메인(pleckstrin homology domain)"이라 불리우는 추가의 도메인을 함유한다. 이러한 도메인은 이종이량체 G 단백질의 p110γ서브유닛과 βγ 서브유닛의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상호 작용은 이의 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
PI3K 감마에 대한 p101 조절 서브유닛은 원래 돼지로 클로닝되며, 이후 인간의 오르톨로그(ortholog)는 동정된다[Krugmann외 다수, J.Biol.Chem., 274:17152-8(1999)]. p101의 N-말단 영역과 p110γ의 N-말단 영역 사이의 상호 작용은 전술한 Gβγ를 통한 PI3Kγ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구성적으로 활성인 PI3K 폴리펩티드에 관해서는 국제 공개공보 WO 96/25488에 기술되어 있다. 이 공보에는 내부-SH2(iSH2) 영역으로 알려진 p85의 102 잔기 단편이 링커 영역을 통하여 쥐과 동물 p110의 N-말단에 융합된 키메라 융합 단백질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p85 iSH2 도메인은 원형의 p85와 동등한 방식으로 PI3K 활성을 활성화시킬 수 있음이 분명하다[Klippel외 다수, Mol. Cell Biol, 14:2675-85].
그러므로, PI3-키나제는 이의 아미노산 동일성 또는 활성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와같이 증가하는 유전자 군의 부가 일원들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의 Vps34 TOR1 및 TOR2(및 이들의 포유 동물 상동체 예컨데, FRAP 및 mTOR), 아탁시아 텔란지엑타시아(ataxia telangiectasia) 유전자 생성물(ATR) 및 DNA-의존적 단백질 키나제(DNA-PK)의 촉매 서브유닛을 비롯한 단백질 키나제 및 유연관계가 보다 먼 지질 및 단백질 키나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Hunter, Cell, 83:1-4(1995)를 참조하시오.
PI3-키나제는 또한 백혈구 활성화에 관한 다수의 측면에 관련되어 있다. p85 관련 PI3-키나제 활성은 CD28의 세포질 도메인과 물리적으로 관련되어 있는데, 이는 항원에 반응하여 T-세포의 활성화에 관한 중요한 공동 지극성 분자이다[Pages외 다수, Nature, 369:327-29(1994); Rudd, Immunity, 4:527-34(1996)]. CD28을 통한 T 세포의 활성화는 항원에 의한 활성화의 역치값을 낮추고 증식 반응의 규모 및 지속기간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효과들은 인터루킨-2(IL2), 중요 T 세포 생장 인자를 비롯한 다수의 유전자의 전사와 관련되어 있다[Fraser 외 다수, Science, 251:313-16(1991)]. CD28의 돌연변이로 인하여 더이상 PI3-키나제와 상호 작용을 하지 않음으로써 IL2 생성을 개시할 수 없게 되는데, 이는 T 세포 활성화에 있어서 PI3-키나제에 대한 중요한 역할을 제시하는 것이다.
효소 군의 개개의 일원들에 대한 특이적 억제제들은 각각의 효소의 암호 해독 기능에 대한 무가치한 도구를 제공한다. 2개의 화합물, LY294002 및 맥아즙 만닌(wortmannin)은 PI3-키나제 억제제로서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 화합물은 비특이적 PI3K 억제제로서, 제Ⅰ부류 PI3-키나제의 4가지 일원들과 구별되지 않는 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제Ⅰ부류의 PI3-키나제의 각각에 대한 맥아즙 만닌의 IC50 값은 1 ∼ 10 nM의 범위내에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PI3-키나제 각각에 대한 LY294002의 IC50 값은 약 1μM이다[Fruman외 다수, Ann Rev Biochem, 67:481-507(1998)]. 그러므로, 제Ⅰ부류의 PI3-키나제 각각의 역할을 연구하는데에 있어서 이들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은 제한적이다.
맥아즙 만닌을 사용하는 연구에 기초하여, PI3-키나제의 기능도 또한 G 단백질 커플화된 수용체를 통한 백혈구 신호 전달의 몇몇 측면에서 요구된다는 증거가 있다[Thelen외 다수, Proc. Natl. Acad. Sci USA, 91:4960-64(1994)]. 더욱이, 맥아즙 만닌 및 LY294002가 호중구 이동 및 과산화물 방출을 차단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합물들이 PI3K의 다양한 이성체 사이에서 구별이 되지 않기 때문에, 어느 특정한 PI3K 이성체 또는 이성체들이 이러한 현상과 관련되는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Figure 112007033435717-pct00001
Figure 112007033435717-pct00002
맥아즙 만닌
상기의 관점에서, 현존하는 지식은 PI3-키나제 효소의 구조상 및 기능상 특징 예컨데, 준세포성 국소화, 활성화 상태, 기질 친화성 등에 관한 사항이 결여되어 있다. 더욱이, 이들 효소가 정상 조직 또는 발병 조직 모두에서 수행하는 기능들은 명백히 밝혀져 있다. 특히, 백혈구내 PI3Kδ의 기능은 미리 특성이 규명되어 있지는 않지만, 인간의 생리학에서의 이의 기능에 관한 지식은 제한되어 있다. 다른 PI3K 이성체의 조직들중에서의 공동 발현은 지금까지 각 효소의 활성을 분리시키려는 노력을 좌절시켰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PI3K 동질효소 활성의 분리는 선택적 억제 특성을 나타내는 억제제의 동정 없이는 불가능하다. 실재로, 본 출원인들은 이러한 선택적인, 또는 보다 양호한, 특이적, PI3K 동질효소 억제제가 입증되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PI3Kδ폴리펩티드의 추가의 구조적 특성 규명에 있어서의 당 업계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또한 PI3K δ의 기능적 특성 규명에 대한 필요성도 존재한다. 더욱이, PI3Kδ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세포내에 이의 조절 서브유닛 및 기타 단백질을 보유하는, p110δ의 구조적 상호 작용에 관한 설명이 추가로 필요하다. 또한 각 동질효소의 기능들이 보다 양호하게 특성 규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서, PI3K 동질효소의 선택적 또는 특이적 억제제도 필요하다. 특히, PI3Kδ의 선택적 또는 특이적 억제제는 이 동질효소의 역할을 탐구하고 상기 동질효소의 활성을 조절하는 약제를 개발하는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은 인간 PI3Kδ의 생물학적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기타 PI3K 이성체에 대한 억제력이 상대적으로 낮으면서 PI3Kδ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인간 PI3Kδ의 기능을 특성규명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인간 PI3Kδ 활성을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PI3Kδ의 기능장애에 의하여 매개되는 의학적 치료를 촉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측면 및 이점들은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숙련자에게 매우 명백하다.
발명의 개요
하나의 측면에서, 백혈구에서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델타(PI3Kδ)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화합물과 백혈구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백혈구 기능 파괴 방법인, 본 발명에 의하여 상기 측면들 및 기타 측면들이 성취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 방법에 의하면, 백혈구는 호중구, B 림프구, T 림프구 및 호염기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세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혈구에 호중구가 포함되는 경우에, 본 방법은 자극된 과산화물 방출, 자극된 세포외 배출작용 및 주화성 이동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 나 이상의 호중구의 기능을 파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실질적으로 호중구에 의한 세균성 식세포분해 또는 살균 작용을 파괴하지 않는다. 백혈구가 B 림프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방법은 B 림프구에 의한 B 림프구 증식 또는 항체 생성을 파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혈구가 T 림프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방법은 T 림프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림프구가 호염기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방법은 호염기구에 의한 히스타민 방출을 억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PI3Kδ억제제가 사용되는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세포계 분석에서 기타 제Ⅰ형 PI3K 이성체에 비하여 PI3Kδ의 억제에 있어서 약 10배 이상 선택적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은 세포계 분석에서 기타 제Ⅰ형 PI3K 이성체에 비하여 PI3Kδ의 억제에 있어서 약 20배 이상 선택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은 생화학적 분석에서 기타 제Ⅰ형 PI3K 이성체에 비하여 PI3Kδ억제에 있어서 약 50배 이상 선택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방법에 유용한 바람직한 선택적 화합물은 다음의 화학식 I을 갖는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예. 수화물)을 포함한다.
Figure 112007033435717-pct00003
상기 식에서,
A는 2 이상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치환될 수도 있는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고리계이고, 상기 계중 하나 이상은 방향족이며;
X는 CHRb, CH2CHRb 및 CH=C(R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Y는 존재하지 않거나, S, SO, SO2, NH, O, C(=O), OC(=O), C(=O)O 및 NHC(=O)CH2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1 및 R2는 수소, C1∼6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할로, NHC(=O)C1∼3알킬렌N(Ra)2, NO2, ORa, OCF3 , N(Ra)2, CN, OC(=O)Ra, C(=O)Ra, C(=O)ORa, 아릴ORb, Het, NRaC(=O)C1∼3알킬렌C(=O)ORa, 아릴OC1∼3 알킬렌N(Ra)2, 아릴OC(=O)Ra, C1∼4알킬렌C(=O)ORa, OC1∼4알킬렌C(=O)ORa, C1∼4알킬렌OC 1∼4알킬렌C(=O)ORa, C(=O)NRaSO2Ra, C1∼4알킬렌N(Ra)2, C2∼6알케닐렌N(Ra)2, C(=O)NRaC1∼4알킬렌ORa , C(=O)NRaC1∼4알킬렌Het, OC2∼4알킬렌N(Ra)2, OC 1∼4알킬렌CH(ORb)CH2N(Ra)2, OC1∼4알킬렌Het, OC2∼4알킬렌ORa, OC2∼4알킬렌NRaC(=O)OR a, NRaC1∼4알킬렌N(Ra)2, NRaC(=O)Ra, NRaC(=O)N(Ra)2, N(SO2C 1∼4알킬)2, NRa(SO2C1∼4알킬), SO2N(R a)2, OSO2CF3, C1∼3알킬렌아릴, C1∼4알킬렌Het, C1∼6알킬렌ORb, C1∼3 알킬렌N(Ra)2, C(=O)N(Ra)2, NHC(=O)C1∼C3알킬렌아릴, C3∼8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OC1∼3알킬렌N(Ra)2, 아릴OC(=O)Rb, NHC(=O)C1∼3 알킬렌C3∼8헤테로시클로알킬, NHC(=O)C1∼3알킬렌Het, OC1∼4알킬렌OC1∼4알킬렌C(=O)ORb, C(=O)C1∼4알킬렌Het 및 NHC(=O)할로C1∼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또는
R1 및 R2는 함께 임의로는 1종 이상의 이종 원자를 함유하는 5원 또는 6원 고리중의 3원 또는 4원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 사슬 성분을 형성하며;
R3는 임의 치환된 수소, C1∼6알킬, C3∼8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C1∼4알킬렌시클로알킬, C2∼6알케닐, C1∼3알킬렌아릴, 아릴C1∼3알킬, C(=O)Ra, 아릴, 헤테로아릴, C(=O)ORa, C(=O)N(Ra)2, C(=S)N(Ra)2, SO2Ra, SO2N(Ra)2, S(=O)Ra, S(=O)N(Ra)2, C(=O)NRaC1∼4알킬렌ORa, C(=O)NR aC1∼4알킬렌Het, C(=O)C1∼4알킬렌아릴, C(=O)C1∼4알킬렌헤테로아릴, 할로, SO2N(Ra)2, N(Ra) 2, C(=O)ORa, NRaSO2CF3, CN, NO2, C(=O)Ra, ORa, C1∼4알킬렌N(Ra)2 및 OC1∼4 알킬렌N(Ra)2중 1종 이상으로 임의 치환된 C1 ∼4알킬렌아릴, 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Het, C1∼4알킬렌C(=O)C 1∼4알킬렌아릴, C1∼4알킬렌C(=O)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C(=O)Het, C1∼4알킬렌C(=O)N(Ra)2, C1∼4알킬렌ORa, C1∼4 알킬렌NRaC(=O)Ra, C1∼4알킬렌OC1∼4알킬렌ORa, C1∼4알킬렌N(Ra) 2, C1∼4알킬렌C(=O)ORa 및 C1∼4알킬렌OC1∼4알킬렌C(=O)OR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a는 수소, C1∼6알킬, C3∼8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C1∼3알킬렌N(Ra)2, 아릴, 아릴C1∼3알킬, C1∼3알킬렌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C1∼3알킬 및 C1∼3알킬렌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또는
2개의 Ra기들은 함께 임의적으로 1종 이상의 이종 원자를 함유하는, 5원 고리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하고;
Rb는 수소, C1∼6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C1∼3알킬, 헤테로아릴C 1∼3알킬, C1∼3알킬렌아릴 및 C1∼3알킬렌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Het는 산소, 질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이종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된 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불포화된, 5원 또는 6원 헤 테로시클릭 고리로서, C1∼4알킬 또는 C(=O)ORa로 임의 치환될 수 있고,
세포계 분석에서 상기 화합물은 기타 제Ⅰ형 PI3K 이성체에 비하여 PI3Kδ에 대한 선택적 억제 활성이 약 10배 이상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호중구에 의하여 매개되는 의학적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이러한 치료가 필요한 동물에 호중구에서의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델타(PI3Kδ)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화합물을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치료될 수 있는 대표적인 의학적 질환은, 자극된 과산화물 방출, 자극된 세포외 배출작용 및 주화성 이동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호중구 기능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호중구에 의한 식세포 활성 또는 세균 사멸은 실질적으로 억제되지 않는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파골 세포에서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델타(PI3Kδ)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화합물과 파골 세포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파골 세포의 기능을 파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에 의하면, 화합물은 골에 바람직하게 결합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골 재흡수 질환을 완화시킬 필요가 있는 동물에서 상기 질환을 완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법은 동물의 파골 세포에서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델타(PI3Kδ)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상기 동 물에 유효량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에 의한 치료에 유효한 바람직한 골 재흡수 질환으로서는 골다공증이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조혈 근원의 암 세포의 생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방법은 암세포에서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델타(PI3Kδ)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화합물을 암 세포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및 백혈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암의 생장 및 증식을 억제하는데에 유용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델타(PI3Kδ) 폴리펩티드의 키나제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법은 PI3Kδ폴리펩티드와 상기 화학식 I을 갖는 화합물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에 의하여 유용한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112007033435717-pct00004
상기 식에서,
Y는 존재하지 않거나, S 및 N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는 H, 할로겐, NO2, OH, OCH3, CH3 및 CF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5는 H, OCH3 및 할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4 및 R5는 퀴나졸린 고리계중 C-6 및 C-7과 함께 하나 이상의 O, N 또는 S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고리를 한정하며;
R6은 C1∼C6알킬, 페닐, 할로페닐, 알콕시페닐, 알킬페닐, 비페닐, 벤질, 피리디닐, 4-메틸피페라지닐, C(=O)OC2H5 및 모르폴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d는 NH2, 할로, C1∼3알킬, S(C1∼3알킬), OH, NH(C1∼3알킬), N(C1∼3알킬)2, NH(C1∼3알킬렌페닐) 및
Figure 112007033435717-pct00005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q는 1 또는 2이고;
단, R4 및 R5중 하나 이상은, R6은 페닐 또는 2-클로로페닐인 경우, H 이외의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Figure 112007033435717-pct00006
상기 식에서,
Y는 존재하지 않거나, S 및 N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은 H, 할로, OH, OCH3, CH3 및 CF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8은 H, OCH3 및 할로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7 및 R8은 퀴나졸린 고리계중 C-6 및 C-7과 함께 하나 이상의 O, N 또는 S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고리를 한정하며;
R9는 C1∼C6알킬, 페닐, 할로페닐, 알킬페닐, 비페닐, 벤질, 피리디닐, 4-메틸피페라지닐, C(=O)-OC2H5 및 모르폴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d는 NH2, 할로, C1∼3알킬, S(C1∼3알킬), OH, NH(C1∼3 알킬), N(C1∼3알킬)2, NH(C1∼3알킬렌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및
q는 1 또는 2이고,
단, R7 및 R8중 하나 이상은 6-할로 또는 6,7-디메톡시 기와 상이하며, R9는 4-클로로페닐과 상이하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백혈구 기능을 파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법은 상기 화학식 Ⅰ의 화합물과 백혈구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생화학적 분석 및 세포계 분석에서 PI3Kδ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는 화합물의 부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부류는 PI3Kδ활성이 과도하거나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의학적 상태에서 치료학적 이점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부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 IV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7033435717-pct00007
상기 식에서,
Y는 존재하지 않거나, S 및 N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0은 H, 할로, OH, OCH3, CH3 및 CF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11은 H, OCH3 및 할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10 및 R11은 퀴나졸린 고리계중 C-6 및 C-7과 함께 하나 이상의 O, N 또는 S 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고리를 한정하며;
R12는 C1∼C6알킬, 페닐, 할로페닐, 알킬페닐, 비페닐, 벤질, 피리디닐, 4-메틸피페라지닐, C(=O)C2H5 및 모르폴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d는 NH2, 할로, C1∼3알킬, S(C1∼3알킬), OH, NH(C1∼3 알킬), N(C1∼3알킬)2, NH(C1∼3알킬렌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및
q는 1 또는 2이고,
단,
(a) R10 및 R11중 하나 이상은 6-할로 또는 6,7-디메톡시 기와 상이하고;
(b) R12는 4-클로로페닐과 상이하며;
(c) R12가 페닐이거나 또는 2-클로로페닐이고 X가 S인 경우, R10 및 R11중 하나 이상은 H와 상이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 및 다른 특징 그리고 이점은 본원에 제시된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제공된 것이되,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PI3Kδ의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PI3Kδ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세포, 구체적으로 백혈구, 파골 세포 및 암 세포에서 PI3Kδ동질효소의 활성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시험관내, 생체내 및 생체외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이점은 PI3Kδ활성에 의하여 매개되는 질병 또는 질환을 완화시키기 위한 임상학적 설정에서의 PI3Kδ활성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과도하거나 또는 부적당한 PI3Kδ 활성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는 본 발명에 의한 PI3Kδ의 선택적 매개제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동질 효소의 생리적 역할에 관하여 추가로 특성 규명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선택적 PI3Kδ억제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선택적 PI3Kδ 억제제 화합물(또는 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이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지시를 포함하는 제조용 제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러한 구체예 및 기타 유용한 구체예에 관하여 다음에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들은 시험관내, 생체내 또는 생체외 세포를 비롯한, 세포에서 PI3Kδ의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 바람직하게는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화합물 을 사용하는 것을 이점으로 한다. 본 방법에 유용한 세포들은 내인성 PI3Kδ를 발현하는 세포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내인성이란, 세포들이 PI3Kδ폴리펩티드 또는 이의 생물학적 활성 단편을 암호화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세포로 재조합적으로 도입되지 않은 PI3Kδ를 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방법은 또한 외인성 PI3Kδ를 발현하는 세포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PI3Kδ 또는 이의 생물학적 활성 단편을 암호화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재조합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로 도입된다.
특히 유리한 것은, 세포들이 생체내, 즉 살아있는 개체, 예를 들어 동물 또는 인간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인데, 여기서 PI3Kδ억제제는 개체에서 PI3Kδ활성을 억제하는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세포들은 생체외 또는 시험관내 방법을 위해서, 개별 세포로서 분리될 수 있거나 또는 조직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시험관내 방법은 또한 PI3Kδ효소 또는 이의 생물학적 활성 단편을 본 발명의 억제제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PI3Kδ효소는 정제 및 분리된 효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효소는 천연 공급원(예를 들어, 재조합 기술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은 PI3Kδ 폴리펩티드를 정상적으로 발현하는 세포 또는 조직)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외인성 효소를 발현하는 재조합 기술에 의하여 변형된 세포로부터 분리된다.
본원에 사용된 "선택적 PI3Kδ 억제제"라는 용어는 PI3K군의 기타 동질 효소보다 더욱 효과적인 PI3Kδ 동질 효소를 억제하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선택적 PI3Kδ 억제제"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그리고 총칭적으로 PI3Kδ억제제로 칭하 여지는 화합물 예컨데, 맥아즙 만닌 또는 LY294002보다 PI3Kδ에 대하여 더욱 선택적인 것으로 이해된다. 부수적으로. 맥아즙 만닌 및 LY294002는 "비선택적 PI3K 억제제"인 것으로 간주된다. PI3Kδ발현 또는 활성을 선택적으로 음성 조절하는 임의의 유형의 화합물은 본 발명의 방법에서 선택적 PI3Kδ억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PI3Kδ발현 또는 활성을 선택적으로 음성 조절하며 허용 가능한 약리학적 특성을 보유하는 임의의 유형의 화합물은 본 발명의 치료 방법에서 선택적 PI3Kδ 억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효소 활성(또는 기타 생물학적 활성)의 억제제로서 화합물의 상대적 효능은 각 화합물이 소정의 정도로 활성을 억제하는 농도를 측정한후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확정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바람직한 측정값은 생화학적 분석에서 활성을 50% 억제하는 농도 즉, 50% 억제 농도 또는 "IC50"이다. IC50 측정값은 당 업계에 공지된 종래의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IC50은 연구중인 억제제의 농도 범위에 존재하는 소정의 효소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이후 실험적으로 얻어진 효소 활성 값은 사용된 억제제의 농도에 대하여 도표화된다. 50%의 효소 활성을 나타내는 억제제의 농도(임의의 억제제의 부재하에서의 활성과 비교)를 IC50 값으로 취한다. 이와 유사하게, 기타 억제 농도는 활성의 적당한 측정을 통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설정에 있어서, 90% 억제 농도 즉, IC90을 확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적 PI3Kδ 억제제"는 임의적으로 기타 제Ⅰ부류의 PI3Kδ군 일 원중 임의의 것 또는 모든 것에 있어서의 IC50값보다, 10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20배 이상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배 이상 낮은, PI3Kδ에 있어서의 50% 억제 농도(IC50)를 나타내는 화합물에 관한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특이적 PI3Kδ억제제"라는 용어는 기타 제Ⅰ부류의 PI3K군 일원중 임의의 것 또는 모든 것에 있어서의 IC50보다, 50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배 이상 그리고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500배 이상 낮은, PI3Kδ에 있어서의 IC50를 나타내는 선택적 PI3Kδ억제제 화합물에 관한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백혈구 기능의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호중구 및 T 림프구 및 B 림프구의 기능을 억제하거나 또는 방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호중구에 있어서, 예상외로 PI3Kδ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호중구의 기능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자극된 과산화물 방출, 자극된 세포외배출 및 주화성 이동과 같은 호중구의 고전적 기능 억제를 추론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은 이러한 세포들의 기타 기능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호중구의 임의의 기능을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추가로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중구에 의한 세균의 식세포 작용은 본 발명의 선택적 PI3Kδ억제제 화합물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억제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세균의 식세포 작용을 억제하지 않고, 호중구 기능을 억제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방법에 의한 억제에 적합한 호중구 기능 은 PI3Kδ활성 또는 발현에 의하여 매개되는 임의의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들로서는 자극된 과산화물 방출, 자극된 세포외배출 또는 과립손실, 주화성 이동, 혈관 내피에의 부착(예를 들어, 호중구의 억압(tethering)/롤링(rolling), 호중구 활성의 자극 및/또는 호중구의 내피로의 걸림(latching)), 내피를 통하여 주변 조직으로의 경점막성 누출 또는 이동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능들은 총체적으로 "염증 기능"으로 칭하여지며, 이들은 통상적으로 염증에 관한 호중구 반응과 관련되어 있다. 호중구의 염증 기능은 예를 들어, 세균의 식세포 작용 및 살균과 같은, 이들 세포에 의하여 나타나는 살균 기능과는 구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호중구의 염증 기능중 하나 이상이 비정상적이거나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질병의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PI3Kδ는 B 세포 및 T 세포를 포함하는 림프구의 자극된 증식에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사실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이, PI3Kδ는 B 세포에 의한 항체의 자극된 분비에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의 선택적 PI3Kδ억제제 화합물들은 이러한 현상이 PI3Kδ를 억제함으로써 없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는데에 사용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림프구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 및 B 림프구에 의한 항체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수행 가능한 기타 방법들은 이들 림프구 기능중 하나 이상이 비정상적이거나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질병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기타 제Ⅰ부류 PI3-키나제의 활성의 부수적 억제와 통상적으로 관련된 합병 증을 감소 또는 제거함으로써, PI3Kδ활성을 선택적으로 또는 특이적으로 억제하여 PI3Kδ매개성 질병의 치료를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체예를 기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들은 기타 PI3K 이성체에 비하여 PI3Kδ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보여지는 화합물 부류중 일원들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구체예의 방법은 상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방법들은 기타 PI3K 이성체에 비하여 PI3Kδ를 10배 이상 선택적으로 억제한다는 사실이 실험적으로 발견된 화합물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본 방법은 다음의 화합물들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3-(2-이소프로필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클로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5-클로로-3-(2-플루오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플루오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메톡시페닐)-5-메틸-2-(9H-퓨린-이-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6-디클로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6-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3-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벤질-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부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7-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모르폴린-4-일-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아세테이트 염;
8-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6,7-디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6-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3-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9H-퓨린-6-일설파닐메틸)-3-피리딘-4-일-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트리플루오로메틸-3H-퀴나졸린-4-온;
3-벤질-5-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4-메틸피페라진-1-일)-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아세테이트 염;
3-(2-클로로페닐)-6-히드록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플루오로-4-옥소-2-(9H-퓨린-6-일설파닐메틸)-4H-퀴나졸린-3-일]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3-(2,4-디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비페닐-2-일-5-클로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이소프로필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비페닐-2-일-5-클로로-3H-퀴나졸린-4-온;
5-클로로-3-(2-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플루오로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플루오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8-클로로-3-(2-클로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클로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로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로페닐)-5-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벤질-5-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부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모르폴린-4-일-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7-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이소프로필페닐)-3H-퀴나졸린-4-온; 및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o-톨릴-3H-퀴나졸린-4-온.
본 발명의 방법은 PI3Kδ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부류의 일원을 사용하고, 이와같이 매개된 질병에 있어서의 PI3Kδ활성의 억제를 촉진함으로써 유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는 사실을 추가로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이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하기 화학식 Ⅰ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예. 수화물)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화학식 Ⅰ
Figure 112007033435717-pct00008
상기 식에서,
A는 2 이상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 치환된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고리계이고, 상기 계중 하나 이상은 방향족이며;
X는 CHRb, CH2CHRb 및 CH=C(R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Y는 존재하지 않거나, S, SO, SO2, NH, O, C(=O), OC(=O), C(=O)O 및 NHC(=O)CH2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1 및 R2는 수소, C1∼6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할로, NHC(=O)C1∼3알킬렌N(Ra)2, NO2, ORa, OCF3 , N(Ra)2, CN, OC(=O)Ra, C(=O)Ra, C(=O)ORa, 아릴ORb, Het, NRaC(=O)C1∼3알킬렌C(=O)ORa, 아릴OC1∼3 알킬렌N(Ra)2, 아릴OC(=O)Ra, C1∼4알킬렌C(=O)ORa, OC1∼4알킬렌C(=O)ORa, C1∼4알킬렌OC 1∼4알킬렌C(=O)ORa, C(=O)NRaSO2Ra, C1∼4알킬렌N(Ra)2, C2∼6알케닐렌N(Ra)2, C(=O)NRaC1∼4알킬렌ORa , C(=O)NRaC1∼4알킬렌Het, OC2∼4알킬렌N(Ra)2, OC 1∼4알킬렌CH(ORb)CH2N(Ra)2, OC1∼4알킬렌Het, OC2∼4알킬렌ORa, OC2∼4알킬렌NRaC(=O)OR a, NRaC1∼4알킬렌N(Ra)2, NRaC(=O)Ra, NRaC(=O)N(Ra)2, N(SO2C 1∼4알킬)2, NRa(SO2C1∼4알킬), SO2N(R a)2, OSO2CF3, C1∼3알킬렌아릴, C1∼4알킬렌Het, C1∼6알킬렌ORb, C1∼3 알킬렌N(Ra)2, C(=O)N(Ra)2, NHC(=O)C1∼C3알킬렌아릴, C3∼8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OC1∼3알킬렌N(Ra)2, 아릴OC(=O)Rb, NHC(=O)C1∼3 알킬렌C3∼8헤테로시클로알킬, NHC(=O)C1∼3알킬렌Het, OC1∼4알킬렌OC1∼4알킬렌C(=O)ORb, C(=O)C1∼4알킬렌Het 및 NHC(=O)할로C1∼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또는
R1 및 R2는 함께 임의로는 1종 이상의 이종 원자를 함유하는 5원 또는 6원 고리중의 3원 또는 4원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 사슬 성분을 형성하며;
R3는 임의 치환된 수소, C1∼6알킬, C3∼8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C1∼4알킬렌시클로알킬, C2∼6알케닐, C1∼3알킬렌아릴, 아릴C1∼3알킬, C(=O)Ra, 아릴, 헤테로아릴, C(=O)ORa, C(=O)N(Ra)2, C(=S)N(Ra)2, SO2Ra, SO2N(Ra)2, S(=O)Ra, S(=O)N(Ra)2, C(=O)NRaC1∼4알킬렌ORa, C(=O)NR aC1∼4알킬렌Het, C(=O)C1∼4알킬렌아릴, C(=O)C1∼4알킬렌헤테로아릴, 할로, SO2N(Ra)2, N(Ra) 2, C(=O)ORa, NRaSO2CF3, CN, NO2, C(=O)Ra, ORa, C1∼4알킬렌N(Ra)2 및 OC1∼4 알킬렌N(Ra)2중 1종 이상으로 임의 치환된 C1∼4알킬렌아릴, 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Het, C1∼4알킬렌C(=O)C 1∼4알킬렌아 릴, C1∼4알킬렌C(=O)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C(=O)Het, C1∼4알킬렌C(=O)N(Ra)2, C1∼4알킬렌ORa, C1∼4 알킬렌NRaC(=O)Ra, C1∼4알킬렌OC1∼4알킬렌ORa, C1∼4알킬렌N(Ra) 2, C1∼4알킬렌C(=O)ORa 및 C1∼4알킬렌OC1∼4알킬렌C(=O)OR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a는 수소, C1∼6알킬, C3∼8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C1∼3알킬렌N(Ra)2, 아릴, 아릴C1∼3알킬, C1∼3알킬렌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C1∼3알킬 및 C1∼3알킬렌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또는
2개의 Ra기들은 함께 임의적으로 1종 이상의 이종 원자를 함유하는, 5원 고리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하고;
Rb는 수소, C1∼6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C1∼3알킬, 헤테로아릴C 1∼3알킬, C1∼3알킬렌아릴 및 C1∼3알킬렌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Het는 산소, 질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이종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된 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불포화된, 5원 또는 6원 헤테로시클릭 고리로서, C1∼4알킬 또는 C(=O)ORa로 임의 치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PI3Kδ억제 활성을 보유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즉,
3-(2-이소프로필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클로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5-클로로-3-(2-플루오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플루오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메톡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6-디클로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6-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벤질-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부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7-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모르폴린-4-일-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아세테이트 염;
8-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6,7-디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3-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6-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3-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9H-퓨린-6-일설파닐메틸)-3-피리딘-4-일-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트리플루오로메틸-3H-퀴나졸린-4-온;
3-벤질-5-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4-메틸피페라진-1-일)-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아세테이트 염;
3-(2-클로로페닐)-6-히드록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플루오로-4-옥소-2-(9H-퓨린-6-일설파닐메틸)-4H-퀴나졸린-3-일]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3-비페닐-2-일-5-클로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클로로-3-(2-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이소프로필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비페닐-2-일-t-클로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플루오로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플루오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8-클로로-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벤질-5-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부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모르폴린-4-일-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7-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3-(4-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6,7-디메톡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7-니트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6-브로모-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6,7-디메톡시-3H-퀴나졸린-4-온;
6-브로모-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벤조[g]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o-톨릴-3H-퀴나졸린-4-온; 및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메톡시페닐)-3H-퀴나졸린-4-온.
본 발명은 PI3Kδ활성의 선택적 억제제인 화합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상기 화합물은 생화학적 분석에서 PI3Kδ를 억제하고, 세포계 분석에서 PI3Kδ-발현 세포들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파괴한다. 본원의 다른 부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호중구 및 기타 백혈구에서의 임의의 기능 뿐만 아니라, 파골 세포의 기능을 억제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된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예. 수화물)은 하기 화학식 Ⅰ,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을 갖는다.
화학식 Ⅰ
Figure 112007033435717-pct00009
상기 식에서,
A는 2 이상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 치환된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고리계이고, 상기 계중 하나 이상은 방향족이며;
X는 CHRb, CH2CHRb 및 CH=C(R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Y는 존재하지 않거나, S, SO, SO2, NH, O, C(=O), OC(=O), C(=O)O 및 NHC(=O)CH2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1 및 R2는 수소, C1∼6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할로, NHC(=O)C1∼3알킬렌N(Ra)2, NO2, ORa, OCF3 , N(Ra)2, CN, OC(=O)Ra, C(=O)Ra, C(=O)ORa, 아릴ORb, Het, NRaC(=O)C1∼3알킬렌C(=O)ORa, 아릴OC1∼3 알킬렌N(Ra)2, 아릴OC(=O)Ra, C1∼4알킬렌C(=O)ORa, OC1∼4알킬렌C(=O)ORa, C1∼4알킬렌OC 1∼4알킬렌C(=O)ORa, C(=O)NRaSO2Ra, C1∼4알킬렌N(Ra)2, C2∼6알케닐렌N(Ra)2, C(=O)NRaC1∼4알킬렌ORa , C(=O)NRaC1∼4알킬렌Het, OC2∼4알킬렌N(Ra)2, OC 1∼4알킬렌CH(ORb)CH2N(Ra)2, OC1∼4알킬렌Het, OC2∼4알킬렌ORa, OC2∼4알킬렌NRaC(=O)OR a, NRaC1∼4알킬렌N(Ra)2, NRaC(=O)Ra, NRaC(=O)N(Ra)2, N(SO2C 1∼4알킬)2, NRa(SO2C1∼4알킬), SO2N(R a)2, OSO2CF3, C1∼3알킬렌아릴, C1∼4알킬렌Het, C1∼6알킬렌ORb, C1∼3 알킬렌N(Ra)2, C(=O)N(Ra)2, NHC(=O)C1∼C3알킬렌아릴, C3∼8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OC1∼3알킬렌N(Ra)2, 아릴OC(=O)Rb, NHC(=O)C1∼3 알킬렌C3∼8헤테로시클로알킬, NHC(=O)C1∼3알킬렌Het, OC1∼4알킬렌OC1∼4알킬렌C(=O)ORb, C(=O)C1∼4알킬렌Het 및 NHC(=O)할로C1∼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또는
R1 및 R2는 함께 임의로는 1종 이상의 이종 원자를 함유하는 5원 또는 6원 고리중의 3원 또는 4원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 사슬 성분을 형성하며;
R3는 임의 치환된 수소, C1∼6알킬, C3∼9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C1∼4알킬렌시클로알킬, C2∼6알케닐, C1∼3알킬렌아릴, 아릴C1∼3알킬, C(=O)Ra, 아릴, 헤테로아릴, C(=O)ORa, C(=O)N(Ra)2, C(=S)N(Ra)2, SO2Ra, SO2N(Ra)2, S(=O)Ra, S(=O)N(Ra)2, C(=O)NRaC1∼4알킬렌ORa, C(=O)NR aC1∼4알킬렌Het, C(=O)C1∼4알킬렌아릴, C(=O)C1∼4알킬렌헤테로아릴, 할로, SO2N(Ra)2, N(Ra) 2, C(=O)ORa, NRaSO2CF3, CN, NO2, C(=O)Ra, ORa, C1∼4알킬렌N(Ra)2 및 OC1∼4 알킬렌N(Ra)2중 1종 이상으로 임의 치환된 C1∼4알킬렌아릴, 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Het, C1∼4알킬렌C(=O)C 1∼4알킬렌아릴, C1∼4알킬렌C(=O)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C(=O)Het, C1∼4알킬렌C(=O)N(Ra)2, C1∼4알킬렌ORa, C1∼4 알킬렌NRaC(=O)Ra, C1∼4알킬렌OC1∼4알킬렌ORa, C1∼4알킬렌N(Ra) 2, C1∼4알킬렌C(=O)ORa 및 C1∼4알킬렌OC1∼4알킬렌C(=O)OR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a는 수소, C1∼6알킬, C3∼8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C1∼3알킬렌N(Ra)2, 아릴, 아릴C1∼3알킬, C1∼3알킬렌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C1∼3알킬 및 C1∼3알킬렌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또는
2개의 Ra기들은 함께 임의적으로 1종 이상의 이종 원자를 함유하는, 5원 고리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하고;
Rb는 수소, C1∼6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C1∼3알킬, 헤테로아릴C 1∼3알킬, C1∼3알킬렌아릴 및 C1∼3알킬렌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Het는 산소, 질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이종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된 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불포화된, 5원 또는 6원 헤테로시클릭 고리로서, C1∼4알킬 또는 C(=O)ORa로 임의 치환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알킬"이란 용어는, 지정된 수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및 분지쇄 탄화수소기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는 메틸, 에틸, 및 직쇄 및 분지쇄의 프로필 및 부틸 기를 의미한다. 상기 탄화수소기는 16개 이하의 원자, 바람직하게는 1∼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알킬"이란 용어는 "가교된 알킬" 즉, C5∼C16비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 탄화수소기 예를 들어, 노르보닐, 아다만틸, 비시클로[2,2,2]옥틸, 비시클로[2,2,1]헵틸, 비시클로[3,2,1]옥틸 또는 데카하이드로나프틸을 포함한다. "시클로알킬"이란 용어는 시클릭 C3∼C8탄화수소기 예컨데,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헥실 및 시클로펜틸로서 정의된다.
"알케닐"이란 용어는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함유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알킬"과 동일하게 정의된다. "시클로알케닐"은 고리내에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 존재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시클로알킬과 유사하게 정의된다.
"알킬렌"이란 용어는 치환체를 보유하는 알킬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C1 ∼3알킬렌아릴"이란 용어는 1∼3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며, 아릴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의미한다.
"할로" 또는 "할로겐"이란 용어는 본원에서 플루오르, 브롬, 염소 및 요오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본원에서 "할로알킬"이란 용어는 하나 이상의 할로 치환체,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도 또는 이들의 조합체로 치환되는 알킬기로서 정의된다. 이와 유사하게, "할로시클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할로 치환체를 보유하는 시클로알킬기로서 정의된다.
본원에서 "아릴"이란 용어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모노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 방향족기, 바람직하게는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방향족기 예컨데, 페닐 또는 나프틸로서 정의된다. 다른 언급이 없으면, "아릴"기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구체적으로 1∼3개의, 할로, 알킬, 페닐, 히드록시알킬, 알콕시, 알콕시알킬, 할로알킬, 니트로, 아미노, 알킬아미노, 아실아미노, 알킬티오, 알킬설피닐 및 알킬설포닐로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을 수 있다. 대표적인 아릴기들로서는 페닐, 나프틸, 비페닐, 테트라하이드로나프틸, 클로로페닐, 플루오로페닐, 아미노페닐, 메틸페닐, 메톡시페닐,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니트로페닐, 카복시페닐 등을 포함한다. "아릴C1∼3알킬" 및 "헤테로아릴C1∼3알킬"이란 용어는 C1∼3알킬 치환체를 보유하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기로서 정의된다.
본원에서 "헤테로아릴"이란 용어는 1개 또는 2개의 방향족 고리를 함유하고 방향족 고리중에 하나 이상의 질소, 산소 또는 황 원자를 함유하는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고리계로서 정의되며, 이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구체적으로 1∼3개의, 할로, 알킬, 히드록시, 히드록시알킬, 알콕시, 알콕시알킬, 할로알킬, 니트로, 아미노, 알킬아미노, 아실아미노, 알킬티오, 알킬설피닐 및 알킬설포닐과 같은 치환체들로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을 수 있다. 헤테로아릴기의 예들로서는 티에닐, 푸릴, 피리딜, 옥사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인돌릴, 트리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이미디졸릴, 벤조티아졸릴,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티아졸릴 및 티아디아졸릴을 포함한다.
"Het"라는 용어는 산소, 질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이종 원자를 함유하는 모노시클릭, 비시클릭 및 트리시클릭 기로서 정의된다. "Het"기는 또한 이 고리에 부착된 옥소기(=O)를 함유할 수 있다.
Het기의 비제한적 예들로서는 1,3-디옥솔란, 2-피라졸린, 피라졸리딘, 피롤리딘, 피페라진, 피롤린, 2H-피란, 4H-피란, 모르폴린, 티오폴린, 피페리딘, 1,4-디티안 및 1,4-디옥산을 포함한다.
"히드록시"란 용어는 -OH로서 정의된다.
"알콕시"란 용어는 -OR(식에서, R은 알킬임)로서 정의된다.
"알콕시알킬"이란 용어는 수소가 알콕시기로 치환된 알킬기로서 정의된다. "(알킬티오)알킬"이란 용어는, 산소 원자보다는 황 원자가 존재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알콕시알킬과 유사하게 정의된다.
"히드록시알킬"이란 용어는 알킬기에부착된 히드록시기로서 정의된다.
"아미노"란 용어는 -NH2로서 정의되고, "알킬아미노"라는 용어는 -NR2 로서 정의되는데, 여기서 하나 이상의 R은 알킬이고 나머지 R은 알킬 또는 수소이다.
"아실아미노"란 용어는 RC(=O)N(식에서, R은 알킬 또는 아릴임)로 정의된다.
"알킬티오"란 용어는 -SR(식에서, R은 알킬임)로 정의된다.
"알킬설피닐"이란 용어는 R-SO2(식에서, R은 알킬임)로 정의된다.
"아미노"란 용어는 -NH2로 정의되고, "알킬아미노"란 용어는 -NR2로 정의되는데, 여기서 하나 이상의 R은 알킬이고 나머지 R은 알킬 또는 수소이다.
"아실아미노"란 용어는 RC(=O)N(식에서, R은 알킬 또는 아릴임)로 정의된다.
"알킬티오"란 용어는 -SR(식에서, R은 알킬임)로 정의된다.
"알킬설피닐"이란 용어는 R-SO2(식에서, R은 알킬임)로 정의된다.
"알킬설포닐"이란 용어는 R-SO3(식에서, R은 알킬임)으로 정의된다.
"니트로"라는 용어는 -NO2로 정의된다.
"트리플루오로메틸"이란 용어는 -CF3로 정의된다.
"트리플루오로메톡시"란 용어는 -OCF3로 정의된다.
"시아노"란 용어는 -CN으로 정의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X는 CH2, CH2CH2, CH=CH, CH(CH3), CH 2CH(CH3) 및 C(CH3)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Y는 존재하 지 않거나, S 및 N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A 고리는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일 수 있다. 모노시클릭 A 고리계는 방향족이다. 비시클릭 A 고리계는 하나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함유하나, 상기 두개의 고리들은 방향족일 수 있다. A 고리계의 예들로서는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1,2,3-트리아졸릴, 피리디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1,3,5-트리아지닐, 퓨리닐, 시놀리닐, 프탈라지닐,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1,8-나프티리디닐, 프테리디닐, 1H-인다졸릴 및 벤즈이미다졸릴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군에서, A는
Figure 112007033435717-pct00010
Figure 112007033435717-pct00011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 치환 고리계로 표시된다.
A 고리계는 임의적으로 1 ∼ 3개, 바람직하게는 1 ∼ 2개의, N(Ra)2, 할로, C1∼3알킬, S(C1∼3알킬), ORa
Figure 112007033435717-pct00012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체로 치환될 수 있다.
특정 치환체로서는 NH2, NH(CH3), N(CH3)2, NHCH2C6H5, NH(C2H5), Cl, F, CH3, SCH3, OH 및
Figure 112007033435717-pct00013
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군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ORa, 할로, C1∼6알킬, CF3, NO2, N(Ra)2, NRaC 1∼3알킬렌N(Ra)2 및 OC1∼3알킬렌ORa로 표시된 다.
특정 치환체로서는 H, OCH3, Cl, Br, F, CH3, CF3, NO2, OH, N(CH3)2,
Figure 112007033435717-pct00014
및 O(CH2)2OCH2C6H5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1 및 R2는 또한 함께 예를 들어, 페닐 고리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R3은 임의 치환된 C1∼6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3∼8 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C(=O)ORa, C1∼4알킬렌Het, C1∼4 알킬렌시클로알킬, C1∼4알킬렌아릴, C1∼4알킬렌C(=O)C1∼4알킬렌아릴, C1∼4알킬렌C(=O)OR a, C1∼4알킬렌C(=O)N(Ra)2, C1∼4알킬렌C(=O)Het, C1∼4 알킬렌N(Ra)2 및 C1∼4알킬렌NRaC(=O)R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R3 기로서는
Figure 112007033435717-pct00015
Figure 112007033435717-pct00016
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3기는 1 ∼ 3개의 치환체 예컨데, 할로, ORa, C1∼6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NO2, N(Ra)2, NRaSO2CF3, NRaC(=O)R a, C(=O)ORa, N(Ra)C1∼4알킬렌(Ra)2, SO2N(Ra)2, CN, C(=O)Ra, C1∼4알킬렌N(Ra)2 및 OC1∼4알킬렌N(R a)2로 치환될 수 있다. R3기에 대한 특정 치환체들로서는 Cl, F, CH3, CH(CH3)2, OCH3, C6H 5, NO2, NH2, NHC(=O)CH3, CO2H 및 N(CH3)CH2CH2N(CH3)2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사용된, 퀴나졸린 고리 구조 및 상기 고리 구조의 계수는 다음과 같 다.
Figure 112007033435717-pct00017
퓨린 고리 구조 및 이 고리 구조의 계수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33435717-pct00018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화합물의 예들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3-(2-이소프로필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클로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5-클로로-3-(2-플루오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플루오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메톡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6-디클로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6-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벤질-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부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7-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모르폴린-4-일-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아세테이트 염;
8-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6,7-디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3-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6-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3-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9H-퓨린-6-일설파닐메틸)-3-피리딘-4-일-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8-트리플루오로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벤질-5-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4-메틸피페라진-1-일)-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아세테이트 염;
3-(2-클로로페닐)-6-히드록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플루오로-4-옥소-2-(9H-퓨린-6-일설파닐메틸)-4H-퀴나졸린-3-일]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3-(2-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비페닐-2-일-5-클로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클로로-3-(2-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이소프로필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비페닐-2-일-5-클로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플루오로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플루오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8-클로로-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벤질-5-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부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모르폴린-4-일-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7-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6-클로로-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3-(4-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6,7-디메톡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7-니트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6-브로모-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6,7-디메톡시-3H-퀴나졸린-4-온;
6-브로모-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벤조[g]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o-톨릴-3H-퀴나졸린-4-온; 및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메톡시페닐)-3H-퀴나졸린-4-온.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비람직한 화합물은 화학식 Ⅳ을 가지며, 그 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3-(2-이소프로필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클로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5-클로로-3-(2-플루오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플루오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6-디클로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6-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벤질-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부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7-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모르폴린-4-일-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아세테이트 염;
8-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6,7-디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6-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3-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9H-퓨린-6-일설파닐메틸)-3-피리딘-4-일-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트리플루오로메틸-3H-퀴나졸린-4-온;
3-벤질-5-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4-메틸피페라진-1-일)-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아세테이트 염;
3-(2-클로로페닐)-6-히드록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플루오로-4-옥소-2-(9H-퓨린-6-일설파닐메틸)-4H-퀴나졸린-3-일]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3-비페닐-2-일-5-클로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이소프로필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비페닐-2-일-5-클로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플루오로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플루오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8-클로로-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벤질-5-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부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모르폴린-4-일-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7-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및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o-톨릴-3H-퀴나졸린-4-온.
본원에 사용된 "전구 약물"이란 용어는 생체내에서 예를 들어, 가수분해에 의하여 상기 화학식 Ⅰ의 화합물로 신속히 변형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전구 약물 디자인에 관하여는 Hardma외 다수(편),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제9판, pp11 ∼ 16(1996)에 기술되어 있다. 전반적인 논의는 Higuchi외 다수, Prodrugs as Novel Delivery Systems, Vol.14, ASCD Symposium Series 및 Roche(편), Bioreversible Carriers in Drug Design,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and Pergamon Press(1987)에 기술되어 있다. 간단히 말해서, 약물 투여 이후, 신체로부터 이를 제거하거나 또는 기타 생물학적 물질변환으로써 상기 약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소멸시키게 된다. 또는 생물학적 물질변환 과정은 금속성 부산물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는 그 자체로서 처음으로 투여된 약물에 비하여 활성이 더욱 크거나 또는 동일하다. 이러한 생물학적 물질변환 과정의 이해의 수준을 높임으로써 소위 "전구 약물"이라고 불리우는 것을 디자인할 수 있는데, 이는 생물학적 물질변환 이후 이의 변형된 상태로서 더욱 생리적으로 활성인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구약물은 생물학적 활성 대사 물질로 전환되는 약리학적 불활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예시의 목적으로, 전구 약물들은 예컨데,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 결합을 가수분해시킴으로써, 얻어진 생성물에 관능기를 도입하거나 또는 이에 노출시킴으로써 약리학적 활성형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전구 약물은 내인성 화합물과 반응하여, 화합물의 약리학적 특성 예컨데, 순환 반감기(circulatory half-life) 증가와 같은 특성을 추가로 강화하는, 수용성 컨쥬게이트를 형성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전구 약물은 관능기상에서 예컨데, 글루쿠론산, 설페이트, 글루타치온, 아미노산 또는 아세테이트로 공유성 변형을 수행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생성된 컨쥬게이트는 불활성화되어 요도로 배출되거나, 또는 효능이 모화합물보다 더욱 강력해질 수 있다, 고분자량의 컨쥬게이트는 또한 담즙으로 배출되어 효소적으로 절단시킬 수 있으며, 순환계로 다시 방출되어, 원래 투여되었던 화합물의 생물학적 반감기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PI3Kδ활성의 음성적 조절제를 동정하는 방법.
PI3Kδ단백질 및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하는 이의 단편들은 다수의 약물 스크린 기법중 임의의 기법에서 추정적 음성 조절제 화합물을 스크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PI3Kδ의 음성 조절제는 PI3Kδ가 생물학적 기능중 임의의 것을 수행하는 능력이 감소하거나 또는 소멸된 화합물이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로서는 PI3Kδ폴리펩티드를 포스파티딜이노시톨로 인산화시키는 능력 또는 세포내에서 적당한 구조를 표적화하는 능력을 감소시키는 제제가 있다. PI3Kδ활성을 음성적으로 조절하는 화합물의 선택성은 PI3Kδ에 대한 활성을 기타 단백질에 대한 활성과 비교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선택적 음성 조절제로서는 예를 들어, PI3Kδ폴리펩티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및 기타 단백질 또는 펩티드, PI3Kδ폴리펩티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PI3Kδ폴리펩티드와 특이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기타 비펩티드 화합물(예. 분리 또는 합성 유기 분자)을 포함한다. 음성 조절제는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은 화합물을 포함하지만, PI3Kδ폴리펩티드의 특이적 결합 파트너와 상호 작용을 하는 화합물들도 포함한다.
PI3Kδ의 선택적 음성 조절제의 개발을 위한 표적으로서 바람직한 것들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다른 단백질과 접촉하고/접촉하거나 세포내에서 PI3Kδ를 국소화시키는 PI3Kδ폴리펩티드의 세포질 영역;
(2) 특이적 결합 파트너와 결합하는 PI3Kδ폴리펩티드의 영역;
(3) 기질과 결합하는 PI3Kδ폴리펩티드의 영역;
(4) 조절 신호에 따라서 활성 위치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거나 또는 그럴수 없는 PI3Kδ폴리펩티드의 알로스테릭 조절 위치; 및
(5) 다합체화를 매개하는 PI3Kδ폴리펩티드의 영역.
예를 들어, 조절제 개발용 표적중 하나는 p110δ와 p85의 동정된 조절성 상호 작용으로서, 이는 p110δ부분의 활성화 및/또는 준세포 국소화에 연루될 수 있다. 또 다른 선택적 조절제로서는 특이적 조절 서열 또는 PI3Kδ-암호화 뉴클레오 티드 서열을 인지하는 것들을 포함한다. PI3Kδ활성 조절제는 변칙적 PI3Kδ활성이 관여하는 광범위한 질병 및 생리적 상태의 치료에 치료학적으로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PI3Kδ폴리펩티드의 억제제로서 시험 화합물의 효능에 관한 특성 규명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방법은 (a) 시험 화합물의 존재하에 PI3Kδ폴리펩티드의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 (b) 시험 화합물의 존재하에서의 PI3Kδ폴리펩티드의 활성을 동량의 참고 화합물(예.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PI3Kδ억제제 화합물)의 존재하에서의 PI3Kδ폴리펩티드 활성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참고 화합물의 존재하에서의 경우보다 시험 화합물의 존재하에서의 PI3Kδ폴리펩티드의 활성이 더욱 낮다는 사실은, 시험 화합물이 참고 화합물보다 더욱 강력한 억제제임을 나타내는 것이며, 참고 화합물의 존재하에서의 경우보다 시험 화합물의 존재하에서의 PI3Kδ폴리펩티드의 활성이 더욱 높은 사실은, 시험 화합물이 참고 화합물보다 더욱 약한 억제제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은 PI3Kδ폴리펩티드의 억제제로서의 시험 화합물의 효능의 특성을 규명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a) 참고 억제율로써 PI3Kδ폴리펩티드의 활성을 억제하는 대조군 화합물(예.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PI3Kδ억제제 화합물)의 양을 측정하고, 이로써 대조군 화합물에 대한 참고 억제량을 정의하는 단계; (b) 참고 억제율로써 PI3Kδ폴리펩티드의 활성을 억제하는 시험 화합물의 양을 측정하고, 이로써 시험 화합물에 대한 참고 억제량을 정의하는 단계; 및 (c) 시험 화합물에 대한 참고 억제량을 대조군 화합물에 대한 참고 억제량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대조군 화합물에 대한 참고 억제량보다 시험 화합물에 대한 참고 억제량이 더욱 낮은 사실은, 시험 화합물이 대조군 화합물보다 더욱 강력한 억제제라는 사실을 나타내는 것이며, 대조군 화합물에 대한 참고 억제량보다 시험 화합물에 대한 참고 억제량이 더욱 높은 사실은, 시험 화합물이 대조군 화합물보다 더욱 약한 억제제라는 사실을 나타내는 것이다.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방법은 PI3Kδ폴리펩티드의 활성을 50%, 60%, 70% 또는 80%로 억제하는 화합물의 양인 참고 억제량을 사용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방법은 PI3Kδ폴리펩티드의 활성을 90%, 95% 또는 99%로 억제하는 화합물의 양인 참고 억제량을 사용한다. 이들 방법은 시험관내 생화학적 분석, 시험관내 세포계 분석 또는 생체내 분석에서 화합물의 참고 억제량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PI3Kδ활성의 음성 조절제를 동정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ⅰ) 시험 화합물의 존재 및 부재하에서의 PI3Kδ폴리펩티드의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 및 (ⅱ) PI3Kδ활성을 감소시키고 PI3Kδ와의 결합에 대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과 경쟁하는 음성 조절제로서의 시험 화합물을 동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PI3Kδ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동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는 (ⅰ) 시험 화합물의 존재 및 부재하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과 PI3Kδ폴리펩티드를 접촉시키는 단계, 및 (ⅱ) PI3Kδ활성의 음성 조절제로서 시험 화합물을 동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화합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PI3Kδ에의 결합에 대하여 경쟁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PI3Kδ활성의 후보 음성 조절제에 대한 스크린 방법 및/또는 이러한 음성 조절제와 같은 후보 물질의 작용 방식을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들 방법은 다른 PI3K 이성체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는 동시에, 이성체간 및/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상대적인, 시험 화합물의 비교 활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PI3Kδ폴리펩티드는 키나제 활성을 나타내는 p110δ의 단편 즉, p110δ의 촉매 위치를 포함하는 단편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PI3Kδ폴리펩티드는 p85의 p110δ결합 도메인으로부터 유래한 단편일 수 있으며 PI3Kδ의 알로스테릭 변조제를 동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PI3Kδ또는 이의 서브유닛을 내인적으로 또는 외인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에 사용된 폴리펩티드는 용액중에 유리되어 있거나, 고형 지지체에 고정되거나, 세포 표면상에 제시되도록 변형되거나 또는 세포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후 PI3Kδ폴리펩티드와 시험될 제제 사이의 결합 복합체 형성 또는 활성 변조를 측정할 수 있다.
인간 PI3K 폴리펩티드는, 수용체-리간드 상호 작용을 조사하는 멜라닌 색소포 분석 시스템 , 효모계 분석 시스템 및 포유 동물 세포 발현 시스템을 비롯한, 당 업계에 공지되어 실시되는 방법에 따른 생화학적 또는 세포계 고처리량 스크린(HTS) 분석에 영향을 받는다. 검토용으로, Jayawickreme 및 Kost, Curr Opin Biotechnol, 8:629-34(1997)을 참고하시오. 자동화 및 소형화 HTS 분석은 또한 예를 들어, Houston 및 Banks의 Curr Opin Biotechnol, 8:734-40(1997)에 기술된 바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HTS 분석은 바람직한 특성을 나타내는 특정 화합물을 동정하는 화합물의 스크린용 라이브러리로서 사용된다. 화학적 라이브러리, 천연 생성물 라이브 러리 및 랜덤하거나 또는 디자인된 올리고펩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기타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합형 라이브러리를 비롯한 화합물의 임의의 라이브러리가 사용될 수 있다.
화학적 라이브러리는 공지의 화합물, 공지의 화합물의 특허된 구조 유사체, 또는 천연 생성물 스크린법으로 동정된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천연 생성물 라이브러리는 천연 공급원, 통상적으로는 미생물, 동물, 식물 또는 해양 유기체로부터 분리된 물질들의 집합체이다. 천연 생성물들은 미생물 발효후, 이 발효액을 분리 및 추출하거나 또는 이들의 미생물 또는 조직(식물 또는 동물)으로부터 직접 추출하여 이들의 공급원으로부터 분리된다. 천연 생성물 라이브러리로서는 폴리케타이드, 비리보좀성 펩티드 및 이들의 변이체(비자연발생적 변이체)를 포함한다. 검토용으로, Cane외 다수, Science, 282:63-68(1998)을 참조하시오.
조합형 라이브러리는 혼합물로서 다수의 관련 화합물들 예컨데, 펩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기타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화합물들은 비교적 디자인하기 간단한 것들로서 통상의 자동화 합성 방법, PCR, 클로닝 또는 특허된 합성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특히 흥미로운 것은 펩티드 및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조합형 라이브러리이다.
목적으로 하는 또 다른 라이브러리로서는 펩티드, 단백질, 펩티도 모의체, 다방면 합성 집합체, 재조합 라이브러리 및 폴리펩티드 라이브러리를 포함한다. 조합형 화학 물질 및 라이브러리는 Myers, Curr. Opin, Biotechnol, 8:701-07(1997) 를 참고로 하여 제조하였다.
일단 화합물들이 PI3Kδ기능의 음성 조절제로서의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동정되면, 이 활성의 효능 및/또는 선택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최적화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구조-활성 관계(SAR)의 분석법은 통상적으로 화합물 구조 및 생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활성과 화합물 구조의 상관성의 선택적 변형을 연속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관련 화합물들의 군들은 모두 바람직한 활성을 나타내도록, 상기 군 중 임의의 일원 즉, 잠재적으로 치료 후보 물질로서 정성된 적당한 약리학적 프로필을 보유하는 일원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PI3Kδ활성 억제제의 치료학적 용도
본 발명은 PI3Kδ활성을 선택적 또는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치료학적 또는 예방학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PI3Kδ활성의 선택적 또는 특이적 억제제를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징후 또는 병상이 PI3Kδ발현 또는 활성에 의하여 매개되는 임의의 상태에 있거나 또는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 또는 동물을 치료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치료"란 질환이 발병할 가능성은 있으나, 아직 발병된 것으로 진단되지 않은 동물에서 발생하는 질환을 예방하는 것; 이 질환을 억제하는 것 즉, 질환의 진행을 저해하는 것; 이 질환을 회복시키는 것 즉, 질환을 퇴행시키는 것; 또는 이 질환을 경감시키는 것 즉, 질환과 관련된 증상의 심각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질환"이란 의학적 질환, 질병, 상태, 증후군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법들은 동물 개체, 바람직하게는 포유 동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인원 및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치료하는 여러가지 방식을 포함한다. 치료될 수 있는 동물들로서는 예를 들어, 개와 고양이를 비롯한 동반자 동물(애완동물); 소, 말, 양, 돼지 및 염소를 비롯한 가축; 래트, 마우스, 토끼, 기니아 피그 및 인간 이외의 유인원을 비롯한 실험실용 동물 및 동물원의 동물 종들이 있다. 비포유동물로서는 예를 들어, 새, 물고기, 파충류 및 양서류를 포함한다.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염증 질환이 발병하였거나 또는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개체를 치료학적으로 또는 예방학적으로 치료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은 염증 과정의 측면들을 매개하는데에 PI3Kδ가 연루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염증은 통상적으로 백혈구(예. 호중구, 림프구 등)의 활성화 및 주화성 이동에 의하여 매개되는 과정과 관련되어 있고, PI3Kδ는 이러한 현상을 매개할 수 있고, PI3Kδ길항물질은 이 염증과 관련된 손상을 억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어떠한 이론에도 국한됨이 없이 자체적으로 이론화된다.
본원에 사용된 "염증성 질환"은 과도한 또는 비조절성 염증 반응이 과도한 염증성 반응, 숙주 조직 손상 또는 조직 기능 상실을 유발할 수 있는, 질병, 질환 또는 증후군을 의미할 수 있다. "염증성 질환"은 또한 백혈구 유입 및/또는 호중구의 주화성에 의하여 매개되는 병인론적 상태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염증"이란 조직의 손상 또는 파괴에 의하여 나타나는 국소화 된 보호 반응을 의미하는데, 이는 손상제 및 손상된 조직 모두를 파괴, 희석 또는 격리(격리제)시키는데에 사용된다. 염증은 특히 백혈구 유입 및/또는 호중구의 주화성과 관련되어 있다. 염증은 병원성 유기체 및 바이러스 감염 및 비감염성 수단 예컨데, 심근 경색 또는 졸중을 동반하는 외상 또는 재관류, 외래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 및 자가 면역 반응으로부터 기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염증 질환에는 특이적 방어계 및 비특이적 방어계의 반응과 관련된 질환들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특이적 방어계"란 특정 항원의 존재에 반응하는 면역계의 구성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특이적 방어계의 반응으로 기인한 염증의 예들로서는 외래 항원에 대한 고전적 반응, 자가면역성 질병 및 T 세포에 의하여 매개되는 지연형 과민성 반응을 포함한다. 만성 염증 질병, 고형의 이식된 조직 및 기관 예컨데, 신장 및 골수 이식체의 거부 및 이식편 대 숙주간 질병(GVHD)은 특이적 방어계의 염증 반응의 추가의 예들이다.
본원에 사용된 "비특이적 방어계"라는 용어는 면역학적 기억이 불가능한 백혈구(예. 과립구 및 대식 세포)에 의하여 매개되는 염증 질환을 의미한다. 비특이적 방어계의 반응에 기인한 (최소한 부분적으로나마 기인한) 염증의 예들로서는 성인성(급성) 호흡 곤란증후군(ARDS) 또는 다발성 기관 손상 증후군과 같은 상태와 관련된 염증; 재관류 손상; 급성 사구체신염; 과민성 관절염; 급성 염증 성분으로 인한 피부염; 급성 화농성 수막염 또는 기타 중추 신경계 염증성 질환 예컨데, 졸중; 열손상; 염증성 장질환; 과립구 수혈 관련 증후군; 및 시토킨 유도성 독성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자가면역성 질병"이란 조직 손상이 신체 자체의 구성 요소에 대한 체액성 반응 또는 세포 매개성 반응과 관련된 질환중 임의의 군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알레르기성 질병"은 알레르기에 기인한 임의의 증후군, 조직 손상 또는 조직 기능의 상실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관절염성 질병"은 다수의 병인에 기인한 관절의 염증성 병변으로 특징지워지는 임의의 질병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피부염"은 다수의 병인에 기인한 피부의 염증으로 특징지워지는 질병의 다수의 군중 임의의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이식 거부"란 이식된 조직 예컨데, 기관 또는 세포(예. 골수)에 대항하는 임의의 면역 반응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식된 조직 및 주변 조직의 기능 상실, 동통, 종창, 백혈구 증가증 및 혈소판 감소증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염증성 세포 활성화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 방법을 포함한다. "염증성 세포 활성화"란 증식성 세포 반응의 자극(시토킨, 항원 또는 자기 항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가용성 매개체(시토킨, 산소 라디칼, 효소, 프로스타노이드 또는 혈관 작용성 아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의 생성, 또는 염증 세포[단핵구, 대식세포, T 림프구, B 림프구, 과립 세포(즉, 다핵성 백혈구 예컨데, 호중구, 호염기구 및 호산구), 비만 세포, 수지상 세포, 랑게르한스 세포 및 내피 세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서의 매개체(주조직적합성 항원 또는 세포 부착 분자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의 신생된 또는 증가된 수의 매개체의 표면 발현을 의미한다. 이들 세포에서 의 표현형들중 하나 또는 여러가지가 활성화됨으로써 염증 질환을 개시, 지속 또는 악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호중구에 의한 과산화물의 방출을 억제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과산화물은 세포 사멸 기작으로서, 다수의 자극들중 감염 신호를 비롯한 임의의 자극에 반응하여 호중구에 의하여 방출된다. 예를 들어, 과산화물 방출은 종양 괴사 인자 알파(TNFα)에 의하여 유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대식 세포, 비만 세포 및 림프구가 지질다당질(LPS)과 같은 세균 세포벽 성분과 접촉할때 이들에 의하여 방출된다. TNFα는 염증 과정의 매우 강력하며 전능한 활성제로서, 호중구 및 다수의 기타 세포 유형의 활성화, 백혈구/내피 세포 부착의 유발, 열증, MHC 제Ⅰ군 생성의 증가 및 혈관생성의 자극과 관련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과산화물 방출은 포르밀-Met-Leu-Phe(fMLP) 또는 포르밀화된 메티오닌에 의하여 N-말단에서 차단된 기타 펩티드에 의하여 촉진될 수 있다. 이러한 펩티드는 진핵세포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것이 보통이지만, 세균의 기본적 특성을 이루며 면역계에 세균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표가 된다. fMLP 수용체를 발현하는 백혈구 예컨데, 호중구 및 대식 세포는 자극되어 감염 위치로 이들 펩티드의 구배(즉, 주화성)를 상승 이동시킨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TNFα또는 fMLP중 어느 하나에 반응하여 호중구에 의한 과산화물 방출의 자극을 억제한다. 자극성 세포외배출 및 유도성 주화 이동을 비롯한 호중구의 다른 기능은 또한 본 발명의 PI3Kδ억제제에 의하여 억제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질환 예컨데, 이들 호중구 기능중 임의의 것 또는 모두에 의하여 매개되는 염증성 질 환을 치료하는데에 유용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관절염성 질병 예컨데, 류마티스성 관절염, 단일 관절성 관절염, 골관절염, 통풍성 관절염, 척추염; 베셋병; 패혈증, 폐혈성 쇼크, 내독소성 쇼크, 그람 음성 패혈증, 그람 양성 패혈증 및 독소 쇼크 증후군; 패혈증, 외상 또는 출혈에 대하여 2차적인 다발성 기관 손상 증후군; 안질환 예컨데, 알레르기성 결막염, 춘계 결막염, 포도막염 및 티로이드 관련 안구병증; 호산구성 육아종; 폐질환 또는 호흡기 질환 예컨데, 천식, 만성 기관지염, 과민성 천식, ARDS, 만성 폐 염증성 질환(예. 만성 폐쇄성 폐질환), 규폐증, 폐형 사르코이드증, 흉막염, 폐포염, 혈관염, 기종, 폐렴, 기관지 확장증 및 폐 산소 독성; 심근층, 뇌 또는 말단부의 재관류성 손상; 섬유증 예컨데, 낭성섬유증; 켈로이드 형성 또는 상처 조직 형성; 죽상경화증; 자가면역성 질환 예컨데,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LE), 자가 면역성 갑상선염, 다발성 경화증, 당뇨병중 일부 유형 및 레이노드 증후군; 및 이식 거부 질환 예컨데, GVDH 및 동종 이식 거부; 민성 사구체신염; 염증성 장질환 예컨데, 만성 염증성 장 질환(CIBD), 크롬병, 궤양성 대장염 및 괴사성 전장염; 염증성 피부염 예컨데,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 또는 담마진; 감염으로 인한 발열 및 근육통; 중추 신경계 또는 말초 신경계 염증성 질환 예컨데, 수막염, 뇌염, 및 부(minor)외상으로 인한 뇌 또는 척추 손상; 셰그렌 증후군; 백혈구 누출 관련 질병; 알콜성 간염; 세균성 폐렴; 항원-항체 복합체 매개성 질병; 혈액량 감소성 쇼크; 제Ⅰ형 당뇨병; 급성 및 지연성 과민성; 백혈구 이온화증 및 전이로 인한 병상; 열 손상; 과립세포 수혈 관련 증후군; 및 시토킨 유도성 독성을 치료하는 방법 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재관류성 손상 즉, 조직 또는 기관이 재관류에 의한 허혈기를 경험한 상태로 인한 손상이 발생하였거나 또는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개체를 치료하는데에 이점이 있다. "허혈"이란 동맥혈 유입의 방해로 인한 국소 조직의 빈혈을 의미하는 것이다. 재관류 이후의 일시적 허혈은 호중구를 활성화시키고 이를 발병 부위의 혈관 내피를 통과하여 이동시키게 한다. 이후 활성화된 호중구의 축적으로 인하여 반응성 산소 대사 물질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는 관련 조직 또는 기관의 구성 성분들을 손상시킨다. 이러한 "재관류 손상"이란 현상은 일반적으로 예컨데, 혈관 타격(전신 허혈 및 국소 허혈), 출혈성 쇼크, 경색성 허혈 또는 심근 경색증, 기관 이식 및 뇌 혈관 경축과 같은 상태와 관련된다. 예시를 위하여, 심장 바이패스 과정의 최종 단계에 또는 심장로의 수혈이 일단 방해되는 경우의 심장 정지 동안 발생하는 재관류성 손상은 재관류를 시작하게 된다, PI3Kδ활성의 억제는 이러한 상태에 재관류성 손상의 발생량을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신경계에 관하여, 전신성 허혈은 일정 기간 동안 전체 뇌에 혈류가 중단될 때 발생한다. 전신성 허혈은 심장 정지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국소 허혈은 뇌의 일부가 그 정상적 혈액 공급을 받지 못할때에 발생한다. 국소 허혈은 뇌혈관의 혈색선 폐색증, 외상성 두부 손상, 부종, 또는 뇌종양에 기인할 수 있다. 일시적일 경우라도, 전신성 및 국소성 허혈은 광범위한 신경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신경 조직 손상이 허혈 발병 이후 수 시간 또는 수 일 경과시 발생하더라도, 몇몇 영구적 신경 조직 손상은 뇌에 혈류가 중단된 이후 처음 몇분간 진행된다.
허혈은 또한 관상 동맥이 죽상경화증, 혈전 또는 경련의 결과로 차단되는 심근 경색증 및 기타 심장 혈관 질환이 발생한 심장에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심장 조직 손상, 특히 심장 허혈로 인한 손상 또는 포유 동물에서의 재관류성 손상에 의하여 유발되는 심장 조직 손상의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파악된다.
다른 측면에서, PI3Kδ활성의 선택적 억제제 예컨데,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골 질병, 특히 파골 세포 기능이 비정상적이거나 또는 바람직하지 못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시험관내 파골 세포의 기능을 억제한다. 따라서, 이러한 화합물 및 기타 PI3Kδ선택적 억제제의 사용은 골다공증, 파겟병 및 관련 골 재흡수 질환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추가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조혈 세포 근원의 암 세포, 바람직하게는 림프양 근원의 암세포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B 림프구 또는 B 림프구 전구체로부터 유래한 또는 이와 관련된 암 세포의 생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 PI3Kδ억제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는 처리에 감수성인 암으로서는 림프종 예컨데, 림프양 조직 및 망내피 조직의 악성 신생물 예컨데, 버킷 림프종, 호지칸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림프구 림프종 등; 다발성 골수종; 및 백혈병 예컨데, 림프성 백혈병, 만성 골수양(골수성) 백혈병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PI3Kδ억제 화합물은 만성 골수양(골수성) 백혈병 세포의 생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거나 또는 제어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호염기구 및/또는 비만 세포의 기능을 억제하여, 호염기구 및/또는 비만 세포의 과도하거나 또는 바람직하지 못한 활성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또는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방법에 의하면, 호염기구 및/또는 비만 세포에서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델타(PI3Kδ)의 발현 또는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방법은 호염기구 및/또는 비만 세포에 의한 촉진된 히스타민 방출을 억제하는데에 충분한 양으로 PI3Kδ억제제를 사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화합물들 및 기타 PI3Kδ선택적 억제제의 사용은 히스타민 방출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즉, 만성 폐섹성 폐병(COPD), 천식, ARDS, 기종 및 관련 질환과 같은 질환을 비롯한 알레르기성 질환을 치료하는데에 유용할 수 있다.
PI3Kδ활성 억제제의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의 화합물은 순수한 화학 물질로서 투여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는 약학 조성물 또는 제형의 형태인 화합물로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PI3Kδ활성의 조절제로서 활성인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화합물("제제), 생체 적합성 약학 담체, 아쥬반트 또는 비히클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활성 부분으로서 제제만을 또는 다른 제제들 예컨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올리고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 약물, 또는 부형제(들) 또는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들과 혼합된 호르몬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담체들 및 다른 성분들은 제형의 다른 성분들과 혼화되되, 이들의 부형제에 해롭지 않은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약학 조성물의 제조 및 투여 기법은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제18판,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1990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종래의 임의의 방법 예컨데, 혼합, 용해, 과립화, 당의정 제조, 동질 혼합, 유화, 캡슐화, 포집법, 용융 방사법, 분무 건조법 또는 동결 건조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최적의 약학 제형은 당업자에 의하여 투여 경로 및 목적 투여량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들은 투여된 제제의 물리적 상태, 안정성, 생체내 방출 속도 및 생체내 소멸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치료되는 상태에 따라서, 이들 약학 조성물들은 제형화되어 전신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들은 적당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함유하도록 제형화되어, 활성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제로의 제조를 촉진시키는 부형제 및 보조제를 임의로 포함할 수도 있다. 투여 방식은 일반적으로 담체의 특성을 결정할 것이다. 예를 들어, 비경구적 투여를 위한 제형은 수용성 형태인 활성 화합물의 수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담체들은 염수, 완충 염수, 덱스트로즈, 물 및 기타 생리학적 적합 용액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에 바람직한 담체들로서는 생리학적 적합 용액 예컨데, 행크 용액, 링거 용액 또는 생리학적 완충 염수가 있다. 조직 투여 또는 세포 투여를 위하여, 투과될 특정 장벽에 적합한 투과제들이 제형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투과제들은 일반적으로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단백질을 포함하는 제제에 있어서, 제형은 안정화 물질 예컨데, 폴리올(예.수크로즈) 및/또는 계면활성제(예.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포 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비경구적 용도로서의 제형들은 적당한 유질 주입 현탁액으로서 제조된 활성 화합물의 분산액 또는 현탁액을 포함할 수 있다. 적당한 친지성 용매 또는 비히클로서는 지방질 오일 예컨데, 참깨 오일 및 합성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데, 에틸 올리에이트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리포좀을 포함한다. 수성 주입 현탁액은 현탁액의 점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물질들 예컨데,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소르비톨 또는 덱스트란을 함유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상기 현탁액은 또한 화합물의 용해도를 증가시켜 고농축 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적당한 안정화제 또는 제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활성화제의 pH 감수성 용해 및/또는 지연 방출을 제공하는 수성 중합체는 또한 코팅 또는 매트릭스 구조 예컨데, 메타크릴 중합체 예컨데, 룀 아메리카 인크.(미국 뉴저지 피스카타웨이 소재)에서 시판하는 EUDRAGIT(등록상표명) 시리즈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유화액 예컨데, 수중유 및 유중수 분산액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유화제 또는 분산제(표면 활성화 물질; 계면활성제)에 의하여 임의적으로 안정화될 수 있다. 현탁액은 현탁제 예컨데, 에톡실화된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및 소르비탄 에스테르, 미세 결정성 셀룰로즈,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니트, 아가-아가, 트라가칸트 고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활성화제를 함유하는 리포좀은 또한 비경구 투여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리포좀은 일반적으로 인지질 또는 기타 지질성 물질로부터 유래된다. 리포좀 형태의 조성물은 또한 기타 성분들 예컨데, 안정화제, 보존제, 부형제 등을 함유할 수 있 다. 바람직한 지질로서는 천연 및 합성 인지질 및 포스파티딜 콜린(레시틴)을 포함한다. 리포좀의 제조 방법은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Prescott(편저), Methods in Cell Biology, Vol. 14, p33, Academic Press, New York(1976)을 참조하시오.
경구 투여용으로 적합한 투여 형태중의 제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들은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으로 제형화된 제제는 정제, 환, 캡슐, 케셰이, 당의정, 로진즈, 액, 겔, 시럽, 슬러리, 엘릭시르, 현탁액 또는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예시를 위하여, 경구 투여용 약학 제제는 활성 화합물과 고형 부형제를 혼합, 임의로는 생성된 혼합물을 제분하고, 여기에 원하는 경우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후 과립 혼합물을 가공하여 정제 또는 당의정 코어를 제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경구용 제형은 비경구적 용도에 관하여 기술된 유형과 유사한 액상 담체 예컨데, 완충 수용액, 현탁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경구 제형으로서는 정제, 당의정 및 젤라틴 캡슐을 포함한다. 이들 제제는 다음과 같은 하나 이상의 부형제(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를 함유할 수 있다.
a) 희석제 예컨데,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을 비롯한 당;
b) 결합제 예컨데,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옥수수, 밀, 쌀, 감자 등의 전분.
c) 셀룰로즈 물질 예컨데, 메틸셀룰로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즈 및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고무 예컨데, 아라비아 고무 및 트라가칸트 고무, 및 단백질 예컨데, 젤라틴 및 콜라겐;
d) 파괴제 또는 용해제 예컨데, 가교 폴리비닐 피롤리돈, 녹말, 아가, 알긴산 또는 이들의 염 예컨데, 소듐 알기네이트, 또는 발포 조성물;
e) 윤활제 예컨데, 실리카, 활석, 스테아르산 또는 이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 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f) 풍미제 및 가당제;
g) 착색제 또는 안료 예컨데, 생성물을 동정하거나 또는 활성 화합물의 양(투여량)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착색제 또는 안료; 및
h) 기타 성분들 예컨데, 보존제, 안정화제, 팽윤제, 유화제, 촉진제 용액, 삼투압 조절용 염 및 완충액.
젤라틴 캡슐은 젤라틴으로 제조된 푸쉬-핏형(push-fit) 캡슐 및 연질의 밀봉 캡슐 및 코팅 예컨데, 글리세롤 또는 소르비톨을 포함한다. 푸쉬-핏형 캡슐은 충전제, 결합제, 윤활제 및/또는 안정화제 등과 혼합된 활성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연질 캡슐에서, 활성 화합물은 적당한 액체 예컨데, 지질성 오일, 액상 파라핀 또는 액상 폴리에틸렌 글리콜에 안정화제와 함께 또는 안정화제 없이 용해되거나 또는 현탁될 수 있다.
당의정 코어는 적당한 코팅 예컨데, 농축 당 용액이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당 용액은 아라비아 고무, 활석, 폴리비닐 피롤리돈, 카르보폴 겔, 폴리에틸렌 글 리콜 및/또는 이산화티타늄, 라커 용액 및 적당한 유기 용제 또는 용제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활성 제제의 염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염은 유리 산 또는 염기의 형태보다 수성 용매 또는 기타 양자성 용매에서 더욱 가용성인 성향이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산성부를 함유하는 화합물들은 적당한 양이온과 함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적당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양이온으로서는 예컨데, 알칼리 금속(예.나트륨 또는 칼륨) 및 알칼리토 금속(예. 칼슘 또는 마그네슘) 양이온을 포함한다.
염기성부를 함유하는 화학식Ⅰ의 화합물은 적당한 산을 보유하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부가염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erge외 다수는 J. Pharm. Sci. 66:1(1977)에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상기 염들은 유리 염기 관능기를 적당한 산과 반응시킴으로써 별도로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최종 분리 및 정제 동안 동일계내에서 제조될 수 있다.
대표적인 산부가염으로서는 아세트산염, 아디프산염, 알긴산염, 시트르산염, 아스파르트산염, 벤조산염, 벤젠설폰산염, 중황산염, 부티르산염, 캄포산염, 캄포롤설폰산염, 디글루콘산염, 글리세로포스페이트, 헤미설페이트, 헵타논산염, 헥사논산염, 푸마르산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다이드, 2-히드록시에탄설폰산염(이소티온산염), 락트산염, 말레산염, 메탄설폰산염 또는 황산염, 니코틴산염, 2-나프탈렌설폰산염, 옥살산염, 파모에이트, 펙틴산염, 과황산염, 3-페닐프로피온산염, 피크레이트, 피발산염, 프로피온산염, 숙신산염, 주 석산염, 티오시안산염, 인산염 또는 수소인산염, 글루탐산염, 중탄산염, p-톨루엔설폰산염 및 운데카논산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부가염을 제조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는 산의 예로서는 무기산 예컨데,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및 인산, 그리고 유기산 예컨데, 옥살산, 말레산, 숙신산 및 시트르산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한 참고 사항으로서는 화학식 Ⅰ ∼ Ⅴ의 화합물들,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및 전구약물을 포함한다.
염기 부가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최종 분리 또는 정제시에 동일계내에서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카복실산 함유 부분과 적당한 염기 예컨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 양이온의 수산화물,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을 반응시키거나, 또는 암모니아 또는 유기 1차 아민, 유기 2차 아민 또는 유기 3차 아민을 반응시켜 별도로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기 부가염으로서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 예컨데, 리튬,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및 알루미늄 염 등, 및 암모늄, 테트라메틸암모늄, 테트라에틸암모늄, 메틸암모늄, 디메틸암모늄, 트리메틸암모늄, 에틸암모늄, 디에틸암모늄, 트리에틸암모늄 등을 비롯한 비독성 4차 암모늄 및 아민 양이온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염기 부가염의 제조에 유용한 기타 대표적 유기 아민으로서는 에틸렌디아민,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피페리딘, 피페라진 등을 포함한다.
염기성 질소 함유 기들은 저급 알킬 할로겐화합물 예컨데, 메틸, 에틸, 프로 필 및 부틸의 염화물, 브롬화물 및 요오드화물; 디알킬 설페이트 예컨데, 디메틸, 디에틸, 디부틸 및 디아밀설페이트; 장쇄 알킬 할로겐화합물 예컨데, 데실, 라우릴, 미리스틸 및 스테아릴의 염화물, 브롬화물 및 요오드화물; 아릴알킬 할로겐화합물 예컨데, 벤질 및 펜에틸 브롬화물 등과 같은 제제로 4차화될 수 있다. 변형된 용해도 또는 분산도를 보유하는 생성물들은 이로써 얻을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에 제형화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들은 적당한 용기내에 배치되어 소정의 상태를 치료하기 위하여 표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제품 예컨데,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 형태 및 이 화합물의 사용을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표지를 포함하는 용기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트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트는 의학적 상태를 치료하는데에 있어서 조성물 사용 수단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의 투여 형태 및 패키지 삽입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 있어서, 표지상에 표시된 상태들로서는 염증성 질환, 암 등의 치료를 포함한다.
PI3Kδ활성 억제제의 투여 방법
PI3Kδ활성 억제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비경구 기법 및 장내 투여 기법을 비롯한 종래의 임의의 방법에 의하여 개체에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 방식은 조성물이 위장관을 통한 경로 이외의 경로 예컨데,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수질내, 근내, 관절내, 초내 및 심실내 주입 경로에 의하여 투여되는 방식들을 포함한다. 장내 투여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어, 경구(협측 및 설하) 및 직장 투여 방식을 포함한다. 경내피 투여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어, 경점막 투여 방식 및 경피 투여 방식을 포함한다. 경점막 투여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어, 장내 및 비강, 흡입 및 심폐 투여 방식; 질내 투여 방식; 및 직장 투여 방식을 포함한다. 경피 투여 방식으로서는 수동성 또는 능동성 경피 방식 또는 경피부 방식을 포함하는데, 이에는 예를 들어 패취 및 이온삼투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패이스트, 고약 또는 연고와 같은 국소 방식을 포함한다. 비경구 투여 방식은 또한 고압 기법 예를 들어, POWDERJECT(등록상표명)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수술 기법으로서는 저장(저장체) 조성물의 삽입법, 삼투압 펌프 등을 포함한다. 염증 치료의 바람직한 투여 경로는 관절염과 같은 국소 질환의 지역적 또는 국소 전달법, 또는 분포성 질환을 위한 전신 전달법 예를 들어, 재관류성 손상 또는 전신성 병상 예컨데, 패혈증을 위한 정맥내 전달법 일 수 있다. 기도와 관련된 질병 예컨데, 만성 폐색성 폐병, 천식 및 기종을 비롯한 다른 질병에 있어서, 투여 방법은 스프레이, 에어로졸, 분말 등의 흡입 또는 심폐 투여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신생물 종양성 질환 특히, 백혈병 및 기타 분포성 암의 치료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비경구 투여 방식이 바람직하다. 화합물을 생체내에 최적으로 분포시키는 화합물 제형화이후 비경구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I3Kδ억제제 화합물은 화학 요법, 방사능 요법 및/또는 수술 이전에, 그 동안에 또는 그 이후에 투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PI3Kδ억제제 화합물의 치료 지수는 세포들을 동정하는 마커를 발현하는 암 세포들로의 표적화된 전달용 화합물을 변형시키거나 또는 유도화시킴 으로써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합물들은 암 세포에 선택적이거나 또는 특이적인 마커를 인지하는 항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써 화합물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이 그 효과를 국소적으로 나타내는 세포의 근처로 이동된다[예를 들어, Pietersz외 다수, Immunol. Rev. 129:57(1992); Trail외 다수, Science, 261:212(1993); 및 Rowlinson-Busza외 다수, Curr. Opin. Oncol. 4:1142(1992) 참조]. 이들 화합물의 종양 유발성 전달은 무엇보다도, 방사선 치료 또는 화학 요법에 기인할 수 있는 잠재성 비특이적 독성을 최소화함으로써 치료학적 이점을 강화한다. 다른 측면에서, PI3Kδ억제제 화합물 및 방사성 동위원소 또는 화학 요법 제제는 동일한 항종양 항체에 접합될 수 있다.
골 재흡수 질환 또는 파골 세포 매개성 질환의 치료를 위하여, PI3Kδ억제제는 임의의 적당한 방법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컨데, 관절내 주입법과 같은 국소 투여가 바람직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는, 화합물을 골에 표적화시킬 수 있는 부분과 화합물을 커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I3Kδ억제제는 골의 주요 구성 성분인, 수산화인회석에 대하여 고친화도를 갖는 화합물과 커플화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에스트로겐의 골로의 표적화된 전달을 위하여 개발된 테트라사이클린 커플화 방법을 적용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Orme외 다수, Bioorg. Med. Chem. Lett, 4(11):1375-80(1994)].
중추 신경계 표적을 변조시키는데에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제제는 말초 혈액에 투여되었을 경우 혈액 뇌장벽을 용이하게 투과하여야 한다. 그러나, 혈액 뇌 장벽을 투과할 수 없는 화합물들은 정맥내 경로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제 자체의 특성 및 이 제제의 제형은 투여된 제제의 물리적 상태, 안정성, 생체내 방출 속도 및 생체내 소멸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약물 역학 및 약물 동력학 정보는 시험관내 및 생체내 예비 임상학적 연구를 통하여 수집할 수 있으며, 이후 임상학적 실험 과정을 통하여 인간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된 임의의 화합물에 있어서,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투여량은 생화학적 및/또는 세포계 분석으로부터 처음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후, 투여 제제는 동물 모델에서 제형화되어 PI3Kδ발현 또는 활성을 조절하는 바람직한 혈류내 농도 범위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인간 연구가 수행됨에 따라서, 다양한 질병 및 상태에 대한 적합한 투여 수준 및 치료 기간에 관한 추가의 정보가 얻어진다.
이러한 화합물들의 독성 및 치료학적 효능은 세포 배양물 또는 실험 동물에서 표준적 약학 방법 예를 들어, LD50(군집의 50%에 치사적인 투여량) 및 ED50(군집의 50%에서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투여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독성 효과 및 치료학적 효과 사이의 투여 비율은 "치료 지수"로서, 이는 통상적으로 LD50/ED50의 비율로서 표시된다. 치료 지수가 큰 화합물들 즉, 독성 투여량이 유효 투여량보다 더욱 많은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세포 배양 분석 및 추가의 동물 연구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는 인간에 사용되는 투여량 범위를 형성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들의 투여는 바람직하게는 독성이 미약하거나 또 는 전혀 없는 ED50을 포함하는 혈류내 농도 범위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투여 시간 및 순서를 조절하는 임의의 유효 투여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제제의 투여 방식은 제제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약학적 투여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된 "유효량"이란 용어는, 하나 이상의 약학 투여 단위를 투여함으로써, PI3Kδ발현 또는 활성을 조절하고/조절하거나 본 발명의 생리학적 변수에 있어서의 측정가능한 변화를 유도하는데에 효과적인 양을 의미하는 것이다.
인간 개체에 대한 대표적인 투여 수준은 체중 1㎏당 활성화 제제 약 0.001 ㎎(㎎/㎏)에서부터 약 100 ㎎/㎏까지이다. 통상적으로, 활성화 제제의 투여 단위는, 증상 및 투여 경로 등에 따라서 약 0.01 ∼ 약 10,000 ㎎, 바람직하게는 약 0.1 ∼ 약 1,000 ㎎ 포함한다. 투여 경로에 따라서, 체중, 체표면적 또는 기관 크기를 참고로 적당량을 투여할 수 있다. 최종 투여 방식은, 약물의 작용 예컨데, 제제의 특이적 활성, 병상의 동일성 및 심각성, 환자의 반응성, 연령, 상태, 체중, 성별 및 식습관, 그리고 임의의 감염의 심각성을 변형시키는 다수의 인자들을 고려하여 의학적 수행 능력이 뛰어난 기술자가 참여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고려될 수 있는 부가적인 인자들로서는 투여 시간 및 횟수, 약물의 배합, 반응 감수성 및 치료에 대한 내성/반응성을 포함한다. 본원에 언급된 임의의 제형과 관련된 치료에 적당한 추가적 투여 기술은 정확한 실험을 통하여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특히 인간의 임상학적 시험에서 관찰되는 투여량 정보 및 개시된 분석, 그리고 약물 역학 데이터를 참고로 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적당한 투여량은, 체 액 또는 기타 샘플중의 제제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확립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투여 반응 데이터와 함께 규명될 수 있다.
투여 횟수는 제제 및 투여 경로의 약물 역학적 변수에 따라서 달라진다. 투여량 및 투여 방법은 활성 부위의 충분한 수준을 제공하거나 또는 바람직한 효과를 유지하도록 맞추어 진다. 따라서, 제제의 바람직한 최소 수준 유지에 필요한 약학적 조성물들은 단일 투여 방식, 복수 개별 투여 방식, 연속 주입 방식, 지속 방출형 저장체를 통하여 투여되어나 또는 이들을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단기 활성형 약학 조성물(즉, 반감기가 짧은 조성물)은 1일 1회 또는 1회 이상(예를 들어, 1일 2회, 3회 또는 4회) 투여될 수 있다. 장기 활성형 약학 조성물은 3일 또는 4일마다, 매주 또는 2주에 한번씩 투여될 수 있다. 피하, 복강내 또는 경뇌막 아래의 펌프와 같은 펌프들이 연속 주입용으로서 바람직하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추가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당 업계의 통상적인 기술을 보유하는 기술자들에게 널리 공지된 종래의 방법 예를 들어, 벡터 및 플라스미드의 작제, 폴리펩티드 암호화 유전자의 상기와 같은 벡터 및 플라스미드로의 삽입, 또는 숙주 세포로의 벡터 및 플라스미드의 도입에 관한 예에 관한 이해를 위한 전제 조건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들은 예를 들어, Sambrook외 다수, Molecular Cloning :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1989), Ausubel외 다수(편저),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ey & Sons, Inc.(1994); 및 Ausubel외 다수(편저), Shor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제4판, John Wiley & Sons, Inc.(1999)를 포함하 는 다수의 문헌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이하에 기술되어 있는 특정 물질 및 조건들은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합리적인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추정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3가지 PI3K 이성체의 활성에 대한 본 발명의 선택적 PI3Kδ억제제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TNF 또는 IgG의 존재하에 인간 호중구에 의한 과산화물 생성에 대한 선택적 PI3Kδ억제제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TNF 또는 fMLP의 존재하에 인간 호중구에 의한 과산화물 생성에 대한 선택적 PI3Kδ억제제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fMLP의 존재하에 인간 호중구에 의한 엘라스타제 세포외배출에 대한 선택적 PI3Kδ억제제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5는 인간 호중구에 의한 fMLP 유도성 주화성에 대한 선택적 PI3Kδ억제제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은 선택적 PI3Kδ억제제가 호중구에 의한 S.아우레우스의 식세포 작용 및 사멸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인간 B 림프구에 의한 증식 및 항체 생성에 대한 선택적 PI3Kδ 억제제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8은 항-IgM 자극 마우스 비장 B 림프구 증식에 대한 선택적 PI3Kδ억제제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9는 동물 모델에서 엘라스타제 세포외배출에 대한 선택적 PI3Kδ억제제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1
재조합 PI3Kα, β 및 δ의 제조 및 정제
BAC-TO-BAC(등록상표명) HT 바큘로바이러스 발현계(GIBCO/-BRL)를 사용하여 p110 촉매 서브유닛 및 p85 조절 서브유닛으로 이루어진 재조합 PI3K 이형 이량체 복합체를 과발현시킨후, 생화학적 분석에 사용하기 위하여 정제하였다. 4개의 제Ⅰ부류 PI3-키나제를 다음과 같이 바큘로바이러스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p110δ : 표준적인 재조합 DNA 기법을 사용하여 FLAG(등록상표명)-태깅된 인간 p110δ(서열 번호 1)[Chantry외 다수, J. Biol. Chem, 272:19236-41(1997)]를 곤충 세포 발현 벡터 pFastbac HTb(미국 매릴랜드 게티스버그 소재, 라이프 테크놀로지스)의 BamH1-Xba1 위치에 서브클로닝하여, 클론이 상기 벡터의 His 태그를 보유하는 구조틀에 존재하도록 만들었다. 상기 FLAG(등록상표명)계는 미국 특허 제4,703,004호; 동 제4,782,137호; 동 제4,851,341호; 및 동 제5,011,912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시약들은 이스트만 코닥 코포레이숀으로부터 시판되고 있다.
p110α: 전술한 바와 같이, p110δ에 사용되는 방법과 유사하게, FLAG(등록상표명)-태깅된 p110α[Volinia외 다수, Genomics, 24(3):427-477(1994)]를 pFastbac HTb(라이프 테크놀로지스)의 BamH1-HindⅢ 위치에 서브클로닝하여, 상기 클론이 벡터의 His 태그를 보유하는 구조틀에 존재하도록 만들었다.
p110β:p110β[Hu외 다수, Mol. Cell. Biol. 13:7677-88(1993)] 클론을 다음의 프라이머들을 사용하는 제조자 지침서의 방법에 따라서, 인간 MARATHON(등록상표명) Ready 비장 cDNA 라이브러리로부터 증폭시켰다.
5'-프라이머 :
Figure 112007033435717-pct00019
(서열 번호 3)
3'-프라이머 :
Figure 112007033435717-pct00020
(서열 번호 4)
상기 5' 프라이머를 p110β서열을 보유하는 구조틀내 FLAG(등록상표명) 태그를 함유하도록 작제하였다. 이를 증폭시킨 이후, 표준적인 재조합 기법을 사용하여 FLAG(등록상표명)-p110β서열을 pFastbac HTa(라이프 테크놀로지스)의 EcoR1-Not1 위치에 서브클로닝하여, 상기 클론이 상기 벡터의 His 태그를 보유하는 구조틀내에 존재하도록 만들었다.
p110γ: p110γcDNA(Stoyanov외 다수, Science, 269:690-93(1995))를, 다음의 프라이머들을 사용하는 제조자 방법에 따라서 인간 Marathon Ready 비장 cDNA 라이브러리(클론테크)로부터 증폭시켰다.
5' 프라이머 :
Figure 112007033435717-pct00021
(서열 번호 5)
3' 프라이머 :
Figure 112007033435717-pct00022
(서열 번호 6)
표준적인 재조합 DNA 기법을 사용하여, 상기 벡터의 His 태그를 보유하는 구조틀내에 FLAG(등록상표명)-110γ서열로, FLAG(등록상표명) 태그를 추후에 p110γ서열의 5' 말단에 부착시키고 이를 pFastbac HTb(라이프 테크놀로지스)의 BamH1-Spe1 위치에 클로닝하였다.
p85α: FLAG(등록상표명)-태깅된 p85 cDNA의 BamH1-EcoR1 단편[Skolnik외 다수, Cell, 65:83-89(1991)]을 벡터 pFastbac 이중체(라이프 테크놀로지스)의 BamH1-EcoR1 위치에 서브 클로닝하였다.
상기 클론들을 함유하는 재조합 바큘로바이러스는 제조자가 추천하는 방법(라이프 태크놀로지스)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His-태깅된 p110α, p110β또는 p110δ촉매 서브유닛 및 p85 서브유닛을 발현하는 바큘로바이러스를 Sf21 곤충 세포에 동시감염시켰다. 이종 이량체 효소 복합체를 증폭시키기 위하여, p85 서브유닛을 발현하는 과량의 바큘로바이러스를 감염시키고, p85와 복합된 His-태깅된 p110 촉매 서브유닛을 니켈 친화성 컬럼상에서 정제하였다. p110γ는 p85와 결합하 지 않기 때문에, Sf21 세포들은 His-태깅된 p110γ를 발현하는 재조합 바큘로바이러스만으로 감염되었다. 다른 연구법에서, p101은 바큘로 바이러스에 클로닝되어 이의 바람직한 결합 파트너인 p110γ와 동시발현될 수 있다.
Sf21 세포(3 ℓ) 감염후 72 시간 경과시, 다운스 균질화기를 사용하여 수집한후 저장 완충액(20 mM HEPES-KOH, pH 7.8, 5mM KCl, 완전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미국 인디애나 인디애나폴리스 소재, 로슈 바이오케미컬스)중에서 균질화하였다. 균질화물을 1,000 ×g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10,000 ×g에서 20분 동안 추가로 원심 분리한후, 100,000 ×g에서 60분 동안 초원심분리하였다. 가용성 분획을 완충액 A(HEPES-KOH 50mM, pH 7.8, 0.5 M NaCl, 10 mM 이미다졸) 50 ㎖로 평형화된 10 ㎖들이 HITRAP(등록상표명) 니켈 친화 컬럼(뉴저지 피스카타웨이 소재, 파마시아)상에 즉시 로딩하였다. 상기 컬럼을 완충액 A로 격렬하게 세정하고, 10 ∼ 500 mM의 이미다졸의 선형 구배를 걸어 용리시켰다. 유리 p85 서브유닛을 세정 단계시 컬럼으로부터 제거하고 이종 이량체 효소 복합체만을 250 mM의 이미다졸에서 용리하였다. 니켈 분획의 분액을 SYPRO(등록상표명) Red(Molecular Probes, Inc., Eugene, OR)로 염색하여, 10%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SDS-PAGE)하여 분석하고, 이를 STORM(등록상표명) PhotoImager(미국 캘리포니아 서니베일 소재, Molecular Dynamics)로 정량하였다. 활성 분획물을 풀링(pooling)한후 이를 직접적으로 HEPES-KOH 50 mM, pH 7.5 및 NaCl 50 mM 및 디티오트레이톨(DTT) 2 mM을 함유하는 완충액 B로 예비 평형화시킨 5㎖ Hi-트랩 헤파린 컬럼에 직접 로딩하였다. 상기 컬럼을 완충액 B 50 ㎖로 세정하고 0.05 ∼ 2 M NaCl의 선형 구배를 걸어 용리시켰다. PI3K 효소 복합체를 함유하는 단일 피크를 0.8 M NaCl에서 용리시켰다.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분석법 결과, 정제된 PI3K 효소 분획은 p110 및 p85 서브 유닛의 화학양론적 1:1 복합체를 함유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 수행시 효소 복합체의 단백질 프로필은 지질 키나제 활성의 단백질 프로필과 대응하였다. 활성 분획들을 질소 대기하에서 풀링한후 동결시켰다.
실시예 2
PI3Kδ고처리량 스크린(HTS) 및 선택성 분석
특허 화학 물질 라이브러리의 고처리량 스크린을 수행하여 PI3Kδ활성의 후보 억제제를 동정하였다. PI3Kδ는 PIP2 지질 이노시톨 고리의 D3' 위치에서, γ-[32P]ATP로부터 PIP2/PS 리포좀으로의 인산 전달을 촉매화하였다. 이 반응은 MgCl2 의존성으로서 EDTA 30 mM을 함유하는 pH 8.0의 고몰농도의 인산칼륨 완충액중에서 급냉된다. 스크린에서, 이 반응은 라이브러리 화합물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수행된다. 반응 생성물(및 모든 비표지화된 생성물)을, 96-웰의 예비 습윤시킨 PVDF 필터 평판로 옮겨, 여과한후 고몰농도의 인산칼륨중에서 세정하였다. 섬광제(scintillant)를 건조된 웰에 가한후 혼입된 방사능량을 정량하였다.
분석 작동의 대부분은 BIOMEK(등록상표명) 1000 로봇공학적 워크스테이션(벡맨)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월락 액상 섬광 평판 계수 방법을 이용하여 모든 평판들을 판독하였다.
기질 및 효소의 3 ×분석 쇼크를 가한후 이를 완전(로봇공학적 분석) 또는 96-웰의 V 자형 바닥인 폴리프로필렌 평판(수동 분석용)에 저장하였다. 시약은 실온에서 3시간 이상동안 안정하였다.
HTS용 3 ×기질은 HEPES 20 mM, pH 7.4중에 Na2ATP 0.6 mM, 0.10 mCi/mL γ-[32P]ATP(미국 팬실바니아 피츠버그 소재, NEN), PIP2/PS 리포좀(미국 조지아 아틀란타 소재, 아반티 폴라 리피즈 인크.) 6μM을 함유하였다.
HTS용 3 ×효소는 HEPES 20 mM, pH 7.4중에 1.8 nM PI3Kδ, 150 ㎍/㎖ 말 IgG(안정화제로서만 사용됨), 15 mM MgCl2, 3 mM DTT를 함유하였다.
디메틸 설폭시드(DMSO)중의 화학적 고처리량 스크린(HTS) 라이브러리 샘플들(각각 22종의 화합물의 풀을 함유함)을 2개의 증류수중 18.75μM 또는 37.8μM로 희석시키고, 상기 희석액 20 ㎕를 검정을 위하여 96-웰의 폴리프로필렌 평판의 웰속에 넣었다. 음성 억제제 대조군(또는 양성 효소 대조군)은 물로 희석된 DMSO였으며, 양성 억제제 대조군은 50% 및 100% 억제시키는데에 충분한 LY294002의 농축물을 사용하였다.
풀링된 화학적 라이브러리 희석액 20 ㎕에 3 ×기질 20 ㎕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3 ×효소 20 ㎕로 개시한후, 실온에서 10분 동안 항온 처리하였다. 이 희석액의 최종 농도는 반응액 부피중 200 μM ATP였다. 급냉 완충액(인산 칼륨 1.0 M, pH 8.0, 30 mM EDTA) 150㎕로 이 반응을 정지시켰다. 이후 급냉된 용액의 일부(180 ㎕)를 PVDF 필터 평판(100% 메탄올, 물 그리고 최종적으로 1.0 M 인산칼 륨을 포함하는 pH 8.0 세정 완충액 200㎕로 연속적으로 세정하여 예비 습윤시킨 밀리포어 #MAIP NOB)에 옮겼다.
온건한 진공 상태(2∼5 ㎜ Hg)하에서, PVDF 필터 평판을 탈기하고, 5 ×200 ㎕의 완충수로 세정한후, 탈기하여 건조시켰다. 이후 상기 필터를 블로팅시킨후, 완전히 공기 건조시키고, 웰당 에코신트 섬광 칵테일 50 ㎕를 넣은 월랙 계수 카세트에 삽입하였다. 이후 효소 양성 대조군(100%로 설정)에 대해서 표준화한후 혼입된 방사능을 정량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억제제에 대한 IC50 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50% 억제값에서의 곡선 교점을 확인하였다.
57개의 풀링된 마스터 웰 전체를, 시험 농도에서 < 42%의 잔류 활성의 조합된 기준들과, 0.2% 이하인 총 수용 히트 속도(total accepted hit rate)를 기초로 하여, 풀어내기(deconvolution)에 대해서 선택하였다. 웰당 22개의 화합물에서, 총 1254개의 화합물들을 이러한 풀어내기를 통하여 동정하였으며, 각각 27.7 μM의 1×농도에서 검정하여 어느 화합물들이 바람직한 활성을 나타내는지를 동정하였다. 이 분석으로부터, 73개의 화합물들을 선택하였으며 이를 추가로 검정하여 IC50 곡선을 전개하였다. IC50 곡선 결과로부터, 34개의 화합물들을 PI3Kα및 PI3Kβ에 대한 선택성 분석용으로 선택하였다(실시예 11의 검정 방법 참조).
선택성 분석으로부터, 하나의 화합물, 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화합물 D-000)을 상대적으로 유력하고 선택적인 화합물로서 선택하였다. 상기 유력하고/유력하거나 선택적인 히트의 다수의 유사한 화 합물들의 카타로그 서치 및 선택성 분석의 결과 D-000의 활성이며 선택적인 유사체인 화합물 하나만을 얻었다. 이 화합물을 컨트랙트 서비시즈 코포레이숀(카타로그 #7232154)로부터 구입하였는데, 이는 D-000의 2-클로로페닐 기가 페닐기로 치환된 D-000과는 상이하였다.
Figure 112007033435717-pct00023
전술한 바와 같이, PI3-키나제 억제제 LY294002(미국 캘리포니아 라졸라 소재, 칼비오켐)는 시험된 상이한 PI3-키나제 이성체중 상당한 선택성을 보유하지는 않았다. 본원의 분석 조건하에서, LY294002는 IC50이 0.3 ∼ 1 μM인 3개의 PI3-키나제 이성체를 억제하였다. 그러나, 화합물 D-000이 동일한 PI3-키나제 이성체에 대해서 시험된 경우, 명백한 선택성이 관찰되었다. 특히,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D-000은 IC50이 약 0.3μM인 PI3K의 δ이형체 활성을 억제한 반면에, 유사한 조건하에서는 100 μM인 화합물의 한도에서 α및 β이성체의 활성을 억제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D-000이 PI3Kδ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실시예 3-7
PI3Kδ는 백혈구에서만 상당한 수준으로 발현되기 때문에, 백혈구 기능상에 서 PI3Kδ- 선택적 억제제의 효과를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몇몇 유형의 백혈구에서의 PI3Kδ억제 효과를 관찰하였다. 호중구를 관찰하여 PI3Kδ의 선택적 억제가 나타내는 효과를 측정하였다(이하 실시예 3). 놀랍게도, PI3Kδ활성의 선택적 억제는 일부 억제와 상당 부분 관련되었으나 활성화 호중구의 특징을 이루는 모든 기능 모두와는 관련되어 있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더욱이, B 세포 및 T 세포 기능에 대한 PI3Kδ억제 효과도 또한 시험하였다(이하, 실시예 4 ∼ 5). 뿐만 아니라, PI3Kδ는 또한 파골 세포에서도 발현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특정 세포상에서의 기능에 대한 PI3Kδ억제 효과에 관하여도 연구하였다(이하, 실시예 6).
실시예 3
호중구 기능에서의 PI3Kδ역할 특성 규명
본 발명의 PI3Kδ억제제 즉, D-000의 호중구 기능 예컨데, 과산화물 생성, 엘라스타제 세포외 배출작용, 주화성 및 살균 작용에 대한 효과에 관하여 시험하였다.
A. 인간 혈액으로부터의 호중구의 제조
건강한 지원자로부터 얻은 헤파린 처리된 혈액의 분액(8 ㎖)을 7.3% 피콜(등록상표명)(미국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 시그마) 및 15.4% 하이파크(등록상표명)(시그마)의 3 ㎖ 완충물상에 도포하고, 이를 실온하에 테이블 탑 원심분리기(벡맨)중에서 30분 동안 900 rpm으로 원심분리하였다. 상기 피콜(등록상표명)-하이파크(등록상표명) 완충물상의 호중구 부유 밴드를 수집하고, 이를 0.1% 젤라틴을 함유하는 행크 밸런스 염 용액(HBSS)로 세정하였다. 잔류하는 적혈구를 0.2% NaCl 로 저장성 용해에 의하여 제거하였다. 호중구 제조물을 0.1% 젤라틴을 함유하는 HBSS로 2회 세정한 직후 사용하였다.
B. 호중구로부터의 과산화물 셍성의 측정
과산화물 생성은 호중구 활성화의 표시중 하나이다. 다수의 활성화제가 호중구에 의한 과산화물 생성을 촉진한다. 3종류의 작동물질인, TNF1α, IgG 및 fMLP(각각 활성화제의 별개의 부류들을 나타냄)에 의한 과산화물 생성에 대한 PI3Kδ억제제 D-000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다음과 같이, Green외 다수에 의하여 기술된 방법(pp. 14.5.1 - 14.5.11, 제12증보판, Curr Protocols Immunol(Colligan외 다수 편저(1994))을 변형시켜 시토크롬 C의 감소에 따른 흡광도의 변화를 모니터하여 호중구에 의하여 생성된 과산화물을 측정하였다. 96 웰 평판의 각각의 웰을 4℃에서 인간 피브리노겐 또는 IgG의 2㎎/㎖ 용액 50㎕로 밤새도록 코팅하였다. 상기 웰들을 PBS로 세정한후 각 웰에 다음의 시약들을 첨가하였다. HBSS 또는 과산화물 디스뮤타제(1㎎/㎖) 50 ㎕,HBSS 또는 TNF1α(50ng/㎖) 50 ㎕, 시토크롬 C(2.7 ㎎/㎖) 50㎕ 및 정제된 인간 호중구 현탁액(2 ×106 세포/㎖) 100 ㎕. 상기 평판을 200 rpm에서 2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550 ㎚에서의 흡광도를 2 시간 동안 모니터하였다. 생성된 과산화물의 상대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과산화물 디스뮤타제 함유 웰로부터의 측정값을 전체에서 공제하고, 어떠한 억제제도 함유하지 않는 웰로부터 얻어진 값에 대하여 표준화하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3Kδ억제제 D-000은 농도 의존 방식으로 호중구에 의한 TNF 유도성 과산화물 생성을 억제하였다. TNF에 의하여 유발된 과산화물 생성을 약 3 μM 에서의 D-000 그 자체의 최대값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시켰다. 도 2는 또한 IgG에 의하여 유도된 과산화물 생성은 D-000에 의하여 상당 수준 억제되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규명하는 것이다. 사실, 10 μM에서 조차도 상기 PI3Kδ억제제는 IgG에 의하여 유도된 과산화물 생성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다음으로, 다른 유력 유도제, 세균성 펩티드, 포르밀화된 Met-Leu-Phe(fMLP)에 의하여 유도된 과산화물 생성에 대한 D-000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TNF-유도성 과산화물 생성과 같이, fMLP-유도성 과산화물 생성은 또한 D-000에 의하여 억제되었다(도 3). 이러한 결과는 PI3Kδ억제제 D-000는 호중구에 의한 과산화물 생성의 유도에 특이적인 자극을 방해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는 PI3Kδ가 이 과정에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C. 호중구로부터의 엘라스타제 세포외 배출작용의 측정
과산화물 생성에 더하여, 활성화된 호중구는 또한 염증 반응시 조직 및 연골을 파괴하는 역할을 하는 몇몇 프로테아제의 방출에 의해 반응하였다. 프로테아제 방출의 징표로서, 엘라스타제 세포외배출에 대한 D-000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엘라스타제 세포외 배출은 다음과 같이, Ossanna외 다수에 의하여 기술된 방법(J. Clin. Invest., 77:1939-1951(1986))을 변형시켜 정량하였다. 96-웰 평판내 37℃에서 90분 동안, 정제된 인간 호중구(0.2 ×106)(DMSO 또는 DMSO중 D-000의 일련의 희석액으로 처리됨)를 0.01 ㎎/㎖ 시토칼라신 B, 1.0 μM 소듐 아지드(NaN3), 5 ㎍/㎖ L-메티오닌 및 1 μM fMLP를 함유하는 PBS중의 fMLP로 자극시켰다. 항온 처리 기간 의 말미에, 상기 평판을 10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한후, 상청액 90 ㎕를 엘라스타제 기질 펩티드, MeO-suc-Ala-Ala-Pro-Val-pNA[여기서 MeO-suc는 메톡시-숙시닐; pNA는 p-니트로아닐리드(미국 캘리포니아 샌 디에고 소재, 칼비오켐)임]의 10 mM 용액 10 ㎕로 옮겼다. 96-웰 평판 판독기에서 2 시간 동안 410 ㎚에서의 흡광도를 모니터하였다. 세포외 배출된 엘라스타제의 상대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모든 흡광도 값을 어떠한 억제제도 존재하지 않은 값에 대하여 표준화하였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3Kδ억제제 D-000은 fMLP 유도성 엘라스타제 세포외배출을 상당 수준 억제하였으며, 이 또한 투여량 의존성 방식으로 억제하였다. D-000의 약 2 ∼ 3μM 농도에서 최대 억제량의 절반 수준으로 억제되었다.
D. fMLP-유도성 인간 호중구 이동의 측정
호중구는 조직을 통하여 이동하는 본질적 능력을 보유하는데, 상기 호중구는 염증 또는 조직 손상이 일어난 위치에 처음 도착하는 세포 유형중 하나이다. fMLP의 농도 구배에 대한 호중구 이동에 있어서의 D-000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동 분석을 수행하기 이전에, 6-웰 평판을 재조합 ICAM-1/Fc 융합 단백질(Van der Vieren외 다수, Immunity, 3:683 - 690(1995))(중탄산염 완충액 25 ㎍/㎖, pH 9.3)로 코팅하고, 이를 4℃에 밤새도록 방치하였다. 세정후, RPMI-1640중 1% 아가로즈 용액을 0.5% 소 혈청 알부민(BSA)과 함께 억제제가 들어있거나 또는 들어있지 않은 웰에 첨가하고, 겔화된 아가로즈중에 플라크를 생성시키기 위하여 구멍(웰당 6개의 주변 구멍과 이 구멍들로 둘러싸인 1개의 중앙 구멍)을 뚫기 이전에 평판들을 냉장실에 넣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간 호중구들을 얻었으며, 이를 0.5% BSA로 보충한 5 ×106 세포/㎖의 RPMI 배지에 재현탁하였다. 호중구 현탁액 및 배지(DMSO 또는 DMSO중 시험 화합물의 일련의 희석액을 보유하는)의 동일 부피를 혼합한후, 호중구를 주변 구멍에 분액시켰으며, 이때 중앙 구멍에는 fMLP(5 μM)를 넣었다. 평판을 5% CO2의 존재하에 4 시간 동안 37℃에서 항온 처리한후, D-PBS중 1% 글루타르알데히드 용액을 첨가하여 이동을 종결시켰다. 아가로즈 층을 제거한후, 웰들을 증류수로 세정하고 건조시켰다.
NIH 1.61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니콘 디아폿(등록상표명) 반전 현미경(대물랜즈 1개) 비디오 워크스테이션상에서 호중구 이동에 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이크로소프트 엑셀 및 테이블 커브 4(미국 일리노이 시카고 SSPS 인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조건의 각각에 대한 이동 지수를 얻었다. 이동 지수는 세포당 이동한 호중구 대 전체 이동 거리의 수를 나타내는 곡선밑의 영역으로서 정의하였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활성을 투여량 의존성 방식으로 억제하는 PI3Kδ억제제 D-000은 호중구 이동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 분석애서 호중구의 이동의 억제에 관한 화합물의 EC50은 약 1 μM이었다. 본 분석의 세포들의 기록된 이동 경로를 눈으로 관찰한 결과에 기초하여, 호중구에 대한 총 이동 길이는 시험 화합물에 의하여 거의 영향 받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차리리, 화합물은 호중구의 방향 또는 방향 감각에 영향을 주었으며, 주화성 구배의 축을 따라서 이동하는 대 신에, 세포들은 비배향성 방식 또는 배향성이 미약한 방식으로 이동하였다.
E. 호중구의 살균 능력 측정
전술한 바와 같이, PI3Kδ억제제 D-000가 임의의 호중구 기능에 영향을 준다고 가정하였을때, 상기 화합물이 호중구 매개성 살균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관찰하는 것은 매우 흥미로은 것이었다. 호중구 매개성 스타필로콕커스 아우레우스 서열에 대한 D-000의 효과는 Clark 및 Nauseef에 의하여 기술된 방법(pp.7.23.4-7.23.6. Vol 2, 제6증보판, Curr Protocols Immunol(Colligan외 다수 편저(1994)))에 따라서 연구하였다. 정제된 인간 호중구(5 ×106 세포/㎖)(DMSO 또는 DMSO중 일련의 D-000 희석액으로 처리된)를 자가 혈청과 혼합하였다. 밤새 생장한 S.아우레우스 세포들을 세정하고, 이를 HBSS중에 재현탁한후, 혈청 옵소닌화 호중구에 10:1의 비율로 첨가하였다. 20분 동안 37℃에서 항온 처리함으로써 식세포 작용으로 호중구를 세균에서 내부 작용화시켰다. 내부 작용화되지 않은 세균을 37℃에서 5분 동안 10 유니트/㎖의 리소스타핀으로 사멸시키고 전체 혼합물을 37℃에서 교체하였다. 다수의 시점에서 90분 이하의 기간 동안 샘플들을 채취한후 호중구를 수중의 희석액으로 용균하였다. 트립티카제-대두-아가 평판상에서 적당한 희석액을 도말하여 계수하였으며, S.아우레우스 콜로니들을 밤새도록 생장시킨후 이들을 계수하여 생존 세균들을 계수하였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S.아우레우스의 호중구 매개성 사멸은 DMSO로 처리된 샘플(대조군) 및 D-000으로 처리된 샘플에서와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PI3Kδ억제제가 S.아우레우스를 사멸시키는 호중구의 능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으로서, 이는 PI3K δ가 호중구 기능의 이러한 경로와 관련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실시예 4
B 림프구 기능에서의 PI3Kδ역할의 특성 규명
고전적 징후 예컨데, 항체 생성 및 특이적 자극 유도성 증식을 비롯한 B 세포 기능에 대한 PI3-키나제 억제제의 효과에 관하여도 연구하였다.
A. 인간 말초 혈액으로부터 얻은 B 세포의 생성 및 자극
건강한 지원자로부터 얻은 헤파린 처리 혈액(200 ㎖)을 동 부피의 D-PBS와 혼합하고, 이를 10 ×10 ㎖ 피콜-파크(등록상표명)(파마시아)상에 도말한후, 실온에서 30분 동안 1600 rpm으로 원심분리하였다. 말초 혈액 단핵구 세포(PBMC)를 피콜(등록상표명)/혈청 계면으로부터 수집하고, 10 ㎖ 소 태아 혈청(FBS)상에 결합시키고 이를 8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평판로부터 제거하였다. 세정후, 세포들을 4 ∼ 8℃에서 20분 동안 다이날(등록상표명) 항체 믹스(B 세포 키트)(미국 뉴욕 레이크 석세스 소재, 다이날 코포레이숀)와 함께 항온 처리하였다. 비결합 항체를 제거한후, PBL을 항마우스 IgG 코팅된 자성 비드(다이날)과 혼합하여 20분 동안 4 ∼8 ℃에서 천천히 진탕시킨후 자성 비드 분리기상의 표지된 비 B 세포를 제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1회 더 반복하였다. B 세포를 10% FBS로 RPMI-1640중에 재현탁시키고, 이를 이후 사용할때까지 얼음상에 방치하였다.
B. 인간 B 세포에 의한 항체 생성의 측정
항체 생성을 연구하기 위해, B 세포는 억제제 존재 또는 부재 하에서 50 내지 75 x 103 세포/웰로 96웰 평판 상에 분취하고, 여기에 IL-2(100 U/ml) 및 판소르 빈(등록상표명)(칼바이오켐) 스타필로콕커스 아우레우스(1:90,000)을 첨가하였다. 24 내지 36 시간후에 배지의 일부는 제거하였으며, 신선한 배지(억제제 존재 또는 부재) 및 IL-2를 첨가하였다. 배양물은 CO2가 존재하는 37℃의 항온처리기에서 추가로 7일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각각의 조건에서 샘플을 제거하고(3회), ELISA를 이용하여 IgG 및 IgM에 대해 분석하였다. 개략적으로, 이뮬론(등록상표명) 4 96웰 평판은 중탄산염 완충액 내의 나귀 항혈청 IgG(H+L)(펜실베니아주 웨스트 그로브 잭슨 이뮤노리서치) 150 ng/ml 또는 나귀 항혈청 IgG+IgM(H+L)(잭슨 이뮤노리서치) 2 ㎍/ml로 피복(50 ㎕/웰)하고, 4℃에서 하룻밤 방치하였다. 0.1% 트윈(등록상표명)-80(PBST)를 함유하는 인산염 완충 염수(350 ㎕/웰)로 세척하고, PBST(100 ㎕/웰) 중의 3% 염소 혈청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차단하고, PBSR 중에 희석된 배지를 소비한 B 세포 샘플(100 ㎕/웰)을 첨가하였다. IgG 평판에서 희석 범위는 1:500 내지 1:10000이였으며, IgM 평판에서의 희석 범위는 1:50 내지 1:1000이었다. 1 시간후, 평판은 비오틴-접합된 항혈청 IgG(100 ng/ml) 또는 항인간 IgM(200 ng/ml)(잭슨 이뮤노리서치)에 30분 동안 노출시키고, 이어서 스트렙타비딘-HRP(1:20000)에 30분 동안 노출시키고, 최종적으로 H2O2(1:10000)과 함께 TMB 용액(1:100)에 5분 동안 노출시켰는데, 각 노출 단계의 사이에서는 PBST를 이용하여 3회 세척하였다.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D-100은 항체 생성을 상당히 억제하였다. IgM 생성은 IgG 생성 보다 더 많은 영향을 받았는데, 즉 IgM 생성의 1/2 최대 억제는 약 1 μM에서 관찰된 반면, IgG 생성의 필적하는 억제는 약 7 μM에서 관찰되었다.
C. 세포 표면 IgM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B 세포 증식의 측정
상기 실험에서, B 세포는 판소르빈(등록상표명)을 이용하여 자극하였다. 이들이 항-IgM을이용하는 그들 세포 표면 IgM을 통해 자극되는 경우, B-세포 증식 반응에 대한 D-100의 효과도 측정하였다. 쥐과동물 비장세포(Balb/c)는 10% FBS/RPMI 내에서 1웰당 2 x 105 세포로 96웰 미량역가 평판에서 평판배양하였다. 완전 배지내 테스트 억제제의 대략적인 희석액을 상기 세포에 첨가하고, 평판은 30분 내지 60분 동안 항온처리한 후, 자극을 가하였다. 테스트 억제제와 함께 예비항온처리한 후, 마우스 IgM의 μ-사슬에 특이적인 염소 항체의 F(ab')2 제제를 상기 웰에 최종 농도 25 ㎍/ml로 첨가하였다. 평판은 37℃에서 3일 동안 항온처리하고, [3H]-티미딘 1 μCi를 각각의 웰에 배양의 최종 4 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평판은 세척된 섬유 필터 상에 수거하고, 방사능 표지의 혼입은 베타 계수기(매트릭스 96, 일리노이주 다우너스 그로브 소재의 팩커드 인스트루먼트 컴퍼니)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분당 계수(CPM)로서 나타냈다.
도 8은 B 세포의 항-IgM 자극된 증식에 대한 D-100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화합물은 투여량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항-IgM-자극된 B 세포 증식을 억제하였다. 약 1 μM에서, 증식은 그의 1/2 최대값까지 감소되었다.
화합물 D-100이 B 세포 증식을 억제하기 때문에, 이 화합물 및 다른 PI3Kδ 를 사용하여 임상적으로 B 세포의 바람직하지 않은 증식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어, B 세포 독성에서, 여러 분화 단계에서의 B 세포는 조절되지 않은 증식을 나타낸다. 상기 제시한 결과에 기초하면, 이러한 세포의 성장을 조절, 제한 또는 억제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PI3Kδ선택적 억제제를 추고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5
T 림프구 기능에서 PI3Kδ의 역할 특정화
CD3+CD28의 동시자극에 대한 T 세포 증식을 측정하였다. T 세포는 제조사의 프로토콜(Dynal)에 따라 항체 코팅된 자기 비드를 이용하는 네가티브 선택에 의해 건강한 인간 혈액으로부터 정제하고, RPMI 내에 재현탁시켰다. 상기 세포들은 DMSO 또는 DMSO 내 D-100의 일련의 희석액으로 처리하고, 염소 항마우스 IgG로 예비코팅된 96웰 평판에서 1 x 105 세포/웰로 평판 배양하였다. 이어서, 마우스 모노클로날 항-CD3 및 항-CD28 항체를 각각의 웰에 각각 0.2 ng/ml 및 0.2 ㎍로 첨가하였다. 평판은 37℃에서 24시간 동안 항온처리하고, [3H]-티미딘(1 μCi/웰)을 첨가하였다. 추가로 18 시간의 항온처리후, 세포는 자동 세포 수거기를 이용하여 수거하고, 세척하고, 혼입된 방사능을 정량하였다.
PI3Kδ억제제 D-100은 T 세포의 항-CD3- 및 항-CD28-유도된 증식을 억제함에도 불구하고, 그의 효과는 B 세포 또는 호중구 기능중 몇몇 기능에 대한 그의 효과 만큼 강력하지는 않았다. 티미딘 혼입의 1/2 최대 억제는 테스트한 가장 높은 농 도, 즉 10 μM D-100에서 얻어지지 않았다.
실시예 6
파골세포 기능에서 PI3Kδ의 역할 특정화
파골세포에 대한 PI3Kδ억제제 D-100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마우스 골수 세포를 분리하고, 혈청 함유 배지(10% 열불활성화된 FBS를 함유하는 αMEM; 시그마) 내에서 거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1(mCSF-1) 및 오스테오프로테게린 리간드(OPGL)와 함께 3일 동안 상기 세포를 처리하여 파골세포로 분화시켰다. 4일째에, 파골세포가 발생하는 경우, 배지는 제거하고, 세포는 수거하였다. 파골세포는 덴틴 슬라이스(dentine slice) 상에서 105 세포/웰로 성장 배지, 즉 1% 혈청 및 2% BSA와 함께 55 ㎍/ml의 OPGL 및 10 ng/ml의 mCSF-1을 함유하는 αMEM 내에서 평판배양하였다. 3시간 후, 배지는 1% 혈청 및 1% BSA(오스테오폰틴(25 ㎍/ml)을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음) 및 PI3K 억제제(nM)로 교환하였다. 배지는 24 시간 마다 신선한 오스테오폰틴 및 억제제로 교환하였다. 72시간에, 배지는 제거하고, 덴틴 표면은 물로 세척하여 세포 파편을 제거하고, 산 헤마톡실린으로 염색하였다. 과량의 염료는 세척하고, 구멍 깊이는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하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2번의 실험에서, PI3-키나제 억제제는 파골세포 기능에 대해 억제 효과를 보유하였다. 비특이적 억제제 LY294002 및 워트마닌 둘 다는 파골세포 활성을 억제하였다. 그러나, PI3Kδ억제제 D-100은 가장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100 nM에서 상기 화합물이 파골세포의 활성 을 거의 완전히 억제하였기 때문이다.
오스테오폰틴 (OPN) D-100 + OPN LY294002 + OPN 워트만닌 + OPN
10 ±0.5 1 4.6 ±0.22 5.7 ±0.6
9 ±0.4 1 5.8 ±0.5 5±0.5

실시예 7
호염기구 기능에서 PI3Kδ의 역할 특정화
호중구 기능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과에 대한 평가는 종래의 히스타민 방출 분석을 통해 시험하였는데, 이 분석 방법은 문헌[참조: Miura 등, J. Immunol, 162: 4198-206 (1999)]에 기술되어 있다. 개략적으로, 풍부한 호중구는 테스트 화합물과 함꼐 0.1 nM 내지 1,000 nM 범위의 몇가지 농도로 37℃에서 10분 동안 예비항온처리하였다. 이어서, 폴리클로날 염소 항인간 IgE(0.1 ㎍/ml) 또는 fMLO를 첨가하고, 추가로 30분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상청액 내로 방출된 히스타민은 자동화 형광계수법으로 측정하였다. 2개의 화합물을 테스트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33435717-pct00024
Figure 112007033435717-pct00025
히스타민 방출의 투여량에 의존하는 감소는, 호중구가 항-IgE로 자극되는 경우, 3-(2-클로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D-026)에 대해 관찰되었다. 이러한 히스타민 방출의 억제는 필요적으로 1,000 nM에서 100% 였으며, EC50은 약 25 nM이었다. 퓨린 고리 구조가 재배열된 다른 화합물 3-(2-클로로페닐)-2-(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999)은 덜 효과적인 히스타민 방출 억제 거동을 나타냈다. 호중구가 fMLP에 의해 자극되는 경우, 임의의 효과가 규명된 화합물은 없었다. 비교를 위해, 비선택적인 PI3K 억제제 LY294002를 0.1 nM 및 10,000 nM에서 테스트하였는데, 가장 높은 농도에서 100%에 가까운 히스타민 방출 억제를 나타냈다.
이들 자료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PI 3-키나제 델타 활성의 억제제를 이용하여 알레르기의 매개제인 히스타민 방출을 억제할 수 있다. 다수의 세포 유형에서 여러가지 PI 3-키나제의 활성은 단백질 트래픽킹, 분비 및 세포외 배출작용을 위해 필요하기 때문에, 비만 세포와 같은 다른 세포에 의한 히스타민 방출도 PI 3-키나제 델타-선택적 억제제에 의해 파괴될 수 있다.
화학 합성예
이하, 본 발명의 화합물의 비제한적인 예를 기술한다. 합성 화학의 일반 원칙에 따라 보호기를 사용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보호기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염기성, 산성 또는 수소분해성 조건 하에서 합성의 최종 단계에서 제거된다. 임의의 화학적 작용기의 적합한 조작 및 보호를 이용하여, 기술하지 않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합성은 후술하는 반응식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특별한 언급이 없으며, 모든 출발 물질은 시판되고 있는 것을 구입한 것이며,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한 것이다. 모든 반응 및 크로마토그래피 분획은 250 nm 실리카 겔 평판 상에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로 분석하였으며, 자외선 또는 요오드(I2) 염색으로 시각화하였다. 생성물 및 중간체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역상 HPLC로 정제하였다.
합성예에서는 하기 약어를 사용하였다: aq(수성), H2O(물), CHCl3(클로로포름), HCl(염산), MeOH(메탄올), NaOH(수산화나트륨), NaOMe(나트륨 메톡사이드), TFA(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K2CO3(탄산칼륨), SOCl2(티오닐 클로라이드), CH2Cl2(메티렌 클로라이드), EtOAc(에틸 아세테이트), DMF(디메틸포름아미드), EtOH(에탄올), DMSO(디메틸설폭사이드), NaHCO3(중탄산 나트륨), TLC(박층 크로마토그래피), HPLC(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BOBT(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EDC(에 틸디에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DIEA(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HOAc(아세트산).
I. 일반 과정
과정 A
티오닐 클로라이드는 벤젠 내의 안트라닐산 또는 벤조산의 급속 교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은 환류하에 5 내지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은 진공 하에서 농축하였으며, 벤젠을 이용하여 2회 스트립핑하였다. 생성된 오일은 CHCl3 내에 용해시키고, 그 용액은 적합한 아닐린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가열 환류하였으며, 완전히 교반하고, 반응물의 온도가 실온으로 냉각되는 때에 TLC로 측정하였다. 침전물은 여과로 제거하고, 여과물은 진공 하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크로마토그래피롤 정제하고/하거나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아미드 1a-1r을 얻었다.
과정 B
빙초산내 아미드의 급속 교반 현탁액에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120℃로 가열하고, TLC로 측정하여 완전하게 되는 온도까지 교반하였다. 약간 냉각한 후, 반응 혼합물은 진공 하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잔류물은 추출, 크로마토그래피 및/또는 재결정으로 정제하여 클로라이드 2a-2r을 얻었다.
과정 C
DMF중의 클로라이드, 질소 도는 황 친핵체, 예를 들어 머캅도퓨린 1수화물 또는 아데닌 및 K2CO3 혼합물을 실온에서 15 내지 7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은 물에 일제히 첨가하고, 4℃에서 수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미정제 고체는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재결정으로 정제하여 최종 생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8
중간체 화합물의 제법: 아미드
2-아미노-N-(2-클로로페닐)-4,5-디메톡시벤즈아미드(1a)
벤젠(100 ml), 이어서 2-클로로아닐린(6.7 ml, 63.5 mmol) 및 CHCl3(75 ml) 중의 4,5-디메톡시안트라닐산(5.0 g, 25.4 mmol) 및 SOCl2(5.5 ml, 76.1 mmol)을 이용하고, 과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수성 NaHCO3(2 x 25 ml) 및 HCl(0.5 M, 75 ml)로 세척하고, CH2Cl2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갈색의 포말상 물질 4.2 g(55%)을 얻었다.
1H NMR(CDCl3) δ: 8.42(dd, J=1.5, 8.3Hz, 1H); 8.32(br s, 1H); 7.40(dd, J=1.4, 8.0Hz, 1H); 7.31(dt, J=1.4, 7.9Hz, 1H); 7.05(dt, J=1.5, 7.7Hz, 1H); 7.03(s, 1H); 6.24(s, 1H); 3.88(s, 3H); 3.87(s, 3H). MS(ES): m/z 307.0(M+).
2-아미노-5-브로모-N-(2-클로로페닐)벤즈아미드(1b)
벤젠(50 ml), 이어서 2-클로로아닐린(7.3 ml, 69.3 mmol) 및 CHCl3(50 ml) 내에서 2-아미노-5-브로모벤조산(5.0 g, 23.1 mmol) 및 SOCl2(7.0 ml, 95.9 mmol)을 이용하고, 과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CH2Cl2 내에서 2개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황오렌지색 고체 1.48 g(20%)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8.36(dd, J=1.2, 8.2Hz, 1H); 8.20(br s, 1H); 7.62(d, J=2.1Hz, 1H); 7.42(d.d, J=1.3, 8.0Hz, 1H); 7.34(dd, J=2.2, 8.8Hz, 1H); 7.28-7.33(m, 1H); 7.09(dt, J=1.4, 7.7Hz, 1H); 6.62(d, J=8.7Hz, 1H); 5.57(br s, 2H).
2-아미노-N-(2-클로로페닐)-4-플루오로벤즈아미드(1c)
벤젠(25 ml), 이어서 2-클로로아닐린(1.6 ml, 14.8 mmol) 및 CHCl3(25 ml) 내에서 2-아미노-4-플루오로벤조산(1.15 g, 7.41 mmol) 및 SOCl2(1.4 ml, 18.5 mmol)을 이용하고, 과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CH2Cl2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이어서 헥산으로 분쇄하여 회색 고체 1.02 g(48%)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12.91(br s, 1H); 8.72(dd, J=2.7, 12Hz, 1H); 8.34(dd, J=6.4, 9.2Hz, 1H); 8.29(dd, J=5.9, 8.8Hz, 1H); 7.81(dd, J=6.2, 8.8Hz, 1H); 7.28(dt, J=2.4, 8.4Hz, 1H); 7.21(dd, J=2.4, 9.0Hz, 1H); 6.92(ddd, J=2.4, 7.3, 9.1Hz, 1H); 6.54(ddd, J=2.4, 7.8, 8.8Hz, 1H); 6.45(dd, J=2.4, 11Hz, 1H); 5.93(br s, 2H). MS(ES): m/z 265.0(M+).
2-아미노-5-클로로-N-(2-클로로페닐)벤즈아미드(1d)
벤젠( 50 ml), 이어서 2-클로로아닐린(2.5 ml, 23.3 mmol) 및 CHCl3(50 ml) 내에서 2-아미노-5-클로로벤조산(2.0 g, 11.7 mmol) 및 SOCl2(2.2 ml, 29.2 mmol)을 이용하고, 과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메탄올로 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암황색 고체 1.72 g(52%)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 8.37(dd, J=1.5, 8.3Hz, 1H); 8.22(br s, 1H); 7.48(d, J=2.3HHz, 1H); 7.42(dd, J=1.5, 8.1Hz, 1H); 7.31(dt, J=1.4, 7.8Hz, 1H); 7.22(dd, J=2.4, 8.8Hz, 1H); 7.09(dt, J=1.5, 7.7Hz, 1H); 6.67(d, J=8.8Hz, 1H); 5.56(br s, 2H).
2-아미노-N-(2-클로로페닐)-6-플루오로벤즈아미드(1e)
벤젠(50 ml), 이어서 2-클로로아닐린(2.7 ml, 25.8 mmol) 및 CHCl3(50 ml) 내에서 2-아미노-6-플로오로벤조산(2.0 g, 12.9 mmol) 및 SOCl2(2.3 ml, 32.2 mmol)을 이용하고, 과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EtOAc/헥산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연한 오렌지색 고체 2.06g(60%)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9.00(d, J=17Hz, 1H); 8.47(d, J=8.3Hz, 1H); 7.41(d, J=8.0Hz, 1H); 7.30(t, J=7.9Hz, 1H); 7.10-7.20(m, 1H); 7.07(t, J=7.7Hz, 1H); 6.49(d, J=8.3Hz, 1H); 6.03(br s, 2H). MS(ES): m/z 265.0(M+).
2-아미노-6-클로로-N-(2-클로로페닐)벤즈아미드(1f)
벤젠(75 ml), 이어서 2-클로로아닐린(3.1 ml, 29.1 mmol) 및 CHCl3(75 ml) 내에서 2-아미노-6-클로로벤조산(2.5 g, 14.6 mmol) 및 SOCl2(2.7 ml, 34.6 mmol)을 이용하고, 과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CH2Cl2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황오렌지색 고체 1.05 g(26%)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8.54(d, J=8.1Hz, 1H); 8.30(br s, 1H); 7.41(dd, J=1.5, 8.0Hz, 1H); 7.33(t, J=7.8Hz, 1H); 7.10(t, J=8.1Hz, 1H); 7.09(dt, J=1.6, 7.8Hz, 1H); 6.78(dd, J=0.4, 7.9Hz, 1H); 6.63(dd, J=0.9, 8.2Hz, 1H); 4.69(br s, 2H). MS(ES): m/z 303.0(M+22), 281.0(M+).
2-아미노-N-(2-클로로페닐)-6-메틸벤즈아미드(1g)
벤젠(75 ml), 이어서 2-클로로아닐린(3.5 ml, 33.0 mmol) 및 CHCl3(75 ml) 내에서 2-아미노-6-메틸벤조산(2.5 g, 16.5 mmol) 및 SOCl2(3.0 ml, 41.3 mmol)을 이용하고, 과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CH2Cl2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갈색 유상물질 2.19 g(51%)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8.58(d, J=8.1Hz, 1H); 7.99(br s, 1H); 7.40(dd, J=1.4, 8.0Hz, 1H); 7.34(t, J=7.7Hz, 1H); 7.11(t, J=7.8Hz, 1H); 7.09(dt, J=1.5, 7.7Hz, 1H); 6.64(d, J=7.5Hz, 1H); 6.59(d, J=8.1Hz, 1H); 4.29(br s, 2H); 2.45(s, 3H). MS(ES): m/z 283.0(M+22).
2-아미노-3-클로로-N-(2-클로로페닐)벤즈아미드(1h)
벤젠(25 ml), 이어서 2-클로로아닐린(1.2 ml, 11.7 mmol) 및 CHCl3(25 ml) 내에서 2-아미노-3-클로로벤조산(1.0 g, 5.82 mmol) 및 SOCl2(1.1 ml, 14.6 mmol)을 이용하고, 과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고체 1.29 g(78%)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 8.43(dd, J=1.4, 8.3Hz, 1H); 8.30(br s, 1H); 7.47(dd, J=1.1, 8.0Hz, 1H); 7.42(d, : J=8.0Hz, 2H); 7.33(dt, J=1.4, 7.9Hz, 1H); 7.09(dt, J=1.5, 7.7Hz, 1H); 6.68(t, J=7.9Hz, 1H); 6.13(br s, 2H). MS(ES): m/z 281.0(M+).
2-아미노-N-비페닐-2-일-6-클로로벤즈아미드(1i)
벤젠(60 ml), 이어서 2-아미노비페닐아민(4.15 ml, 24.5 mmol) 및 CHCl3(60 ml) 내에서 2-아미노-6-클로로벤조산(2.0 g, 11.7 mmol) 및 SOCl2(2.1 ml, 29.3 mmol)을 이용하고, 과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CH2Cl2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암호박색의 포말상 잔류물 2.16 g(57%)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8.48(d, J=8.2Hz, 1H); 7.79(br s, 1H); 7.34-7.46(m, 6H); 7.20-7.30(m, 2H); 7.00(t, J=8.1Hz, 1H); 6.63(dd, J=0.6, 7.9Hz, 1H); 6.54(d, J=8.3Hz, 1H); 4.58(br s, 2H). MS(ES): m/z 323.1(M+).
2-아미노-6-클로로-N-o-톨릴벤즈아미드(1j)
벤젠(30 ml), 이어서 o-톨루이딘(1.4 ml, 12.8 mmol) 및 CHCl3(30 ml) 내에서 2-아미노-6-클로로벤조산(1.0 g, 5.83 mmol) 및 SOCl2(1.1 ml, 14.6 mmol)을 이용하고, 과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CH2Cl2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유상의 황색 고체 840 mg(55%)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7.96(d, J=7.9Hz, 1H); 7.60(br s, 1H); 7.23-7.30(m, 2H); 7.14(t, J=7.5Hz, 1H); 7.11(t, J=8.3Hz, 1H); 6.78(d, J=7.9Hz, 1H); 6.64(d, J=8.2Hz, 1H); 4.73(br s, 2H); 2.35(s, 3H). MS(ES): m/z 261.0(M+).
2-아미노-6-클로로-N-(2-플루오로페닐)벤즈아미드(1k)
벤젠(60 ml), 이어서 2-플루오로아닐린(2.3 ml, 23.4 mmol) 및 CHCl3(60 ml) 내에서 2-아미노-6-클로로벤조산(2.0 g, 11.7 mmol) 및 SOCl2(2.1 ml, 29.1 mmol)을 이용하고, 과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CH2Cl2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고체 1.05 g(34%)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8.45(t, J=8.0Hz, 1H); 8.01(br s, 1H); 7.02-7.22(m, 4H); 6.78(dd, J=0.5, 7.9Hz, 1H); 6.64(dd, J=0.8, 8.2Hz, 1H); 4.73(br s, 2H).
MS(ES): m/z 265.0(M+).
2-아미노-6-클로로-N-(2-메톡시페닐)벤즈아미드(1l)
벤젠(60 ml), 이어서 o-아니시딘(2.6 ml, 23.4 mmol) 및 CHCl3(60 ml) 내에서 2-아미노-6-클로로벤조산(2.0 g, 11.7 mmol) 및 SOCl2(2.1 ml, 29.1 mmol)을 이용하고, 과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CH2Cl2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암황색 유상물질 2.61 g(81%)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8.53(dd, J=1.7, 7.9Hz, 1H); 8.39(br s, 1H); 7.11(dt, J=1.6, 7.8Hz, 1H); 7.09(t, J=8, 1Hz, 1H); 7.02(dt, J=1.4, 7.8Hz, 1H); 6.92(dd, J=1.4, 8.0Hz, 1H); 6.62(dd, J=0.9, 8.2Hz, 1H); 4.66(br s, 2H); 3.87(s, 3H). MS(ES): m/z 277.0(M+).
2-아미노-N-(2-클로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1m)
벤젠(50 ml), 이어서 2-클로로아닐린(2.1 ml, 19.5 mmol) 및 CHCl3(50 ml) 내에서 3-트리플루오로메틸안트라닐산(2.0 g, 9.75 mmol) 및 SOCl2(1.8 ml, 24.4 mmol)을 이용하고, 과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 2.38 g(78%)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8.40(dd, J=1.4, 8.3Hz, 1H); 8.25(br s, 1H); 7.71(d, J=7.8Hz, 1H); 7.60(d, J=7.8Hz, 1H); 7.43(dd, J=1.4, 8.0Hz, 1H); 7.34(dt, J=1.3, 7.9Hz, 1H); 7.11(dt, J=1.5, 7.7Hz, 1H); 6.77(t, J=7.8Hz, 1H); 6.24(br s, 2H). MS(ES): m/z 315.0(M+).
3-아미노나프탈렌-2-카르복실산(2-클로로페닐)아미드(1n)
벤젠(50 ml), 이어서 2-클로로아닐린(2.3 ml, 21.4 mmol) 및 CHCl3(50 ml) 내에서 3-아미노-2-나프토산(2.0 g, 10.7 mmol) 및 SOCl2(1.9 ml, 26.7 mmol)을 이용하고, 과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갈색 고체 1.71 g(54%)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10.88(br s, 1H); 9.21.(s, 1H); 8.91(s, 1H); 8.70(dd, J=1.0, 8.3Hz, 1H); 7.95-8.01(m, 1H); 7.87-7.94(m, 1H); 7.60-7.68(m, 2H).; 7.41(dd, J=1.3, 8.0Hz, 1H); 7.34(dt, J=1.2, 7.8Hz, 1H); 7.07(dt, J=1.4, 7.7Hz, 1H). MS(ES): m/z 297.1(M+).
2-아미노-N-(2-클로로페닐)-4-니트로벤젠아미드(1o)
벤젠(150 ml), 이어서 2-클로로아닐린(5.8 ml, 55.0 mmol) 및 CHCl3(150 ml) 내에서 4-니트로안트라닐산(5.0 g, 27.5 mmol) 및 SOCl2(5.0 ml, 68.6 mmol)을 이용하고, 과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CH2Cl2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이어서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오렌지-갈색 고체 2.20 g(31%)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8.41(dd, J=1.3, 8.3Hz, 1H); 8.31(br s, 1H); 7.67(d, J=8.6Hz, 1H); 7.57(d, J=2.1Hz, 1H); 7.52(dd, J=2.2, 8.5Hz, 1H); 7.44(dd, J=1.3, 8.1Hz, 1H); 7.35(dt, J=1.3, 7.9Hz, 1H); 7.13(dt, J=1.4, 7.8Hz, 1H); 5.88(br s, 2H). MS(ES): m/z 292.0(M+).
2-아미노-N-(2-클로로페닐)-5-히드록시벤즈아미드(1p)
벤젠(150 ml), 이어서 2-클로로아닐린(6.9 ml, 65.4 mmol) 및 CHCl3(150 ml) 내에서 2-아미노-5-히드록시벤조산(5.0 g, 32.7 mmol) 및 SOCl2(6.0 ml, 81.6 mmol)을 이용하고, 과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메탄올/CH2Cl2 내에서 2개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갈색 고체 990 mg(%)을 얻었다.
1H NMR (MeOH-d4) δ: 7.92(dd, J=1.6, 8.1Hz, 1H); 7.48(dd, J=1.5, 7.7Hz, 1H); 7.34(dt, J=1.5, 7.7Hz, 1H); 7.20(dt, J=1.7, 7.7Hz, 1H); 7.16(d, J=2.7Hz, 1H); 6.83(dd, J=2.7, 8.7Hz, 1H); 6.76(d, J=8.7Hz, 1H); [6.24(br s, 2H)). MS(ES): m/z 263.0(M+).
2-아미노-N-(2-클로로페닐)-4,5-디플루오로벤즈아미드(1q)
벤젠(60 ml), 이어서 2-클로로아닐린(2.4 ml, 23.2 mmol) 및 CHCl3(60 ml) 내에서 4,5-디플루오로안트라닐산(2.0 g, 11.6 mmol) 및 SOCl2(2.1 ml, 28.9 mmol)을 이용하고, 과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CH2Cl2 및 EtOAc/헥산 내에서 2개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 769 mg(23%)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8.69-8.82(m, 1H); 8.00(dd, J=8.4, 9.0Hz, 1H); 7.90(dd, J=8.9, 12Hz, 1H); 7.39(dd, J=6.8, 10Hz, 1H); 6.53(dd, J=6.6, 12Hz, 1H); 6.41(br s, 2H); 5.79(br s, 1H). MS(ES): m/z 283.1(M+).
2-아미노-N-(2-클로로페닐)-5-플루오로벤즈아미드(1r)
벤젠(30 ml), 이어서 2-클로로아닐린(1.4 ml, 12.9 mmol) 및 CHCl3(30 ml) 내에서 2-아미노-5-플루오로벤조산(1.0 g, 6.45 mmol) 및 SOCl2(1.2 ml, 16.1 mmol)을 이용하고, 과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CH2Cl2로부터 분쇄하여 겨자색-황색 고체 985 mg(58%)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7.66(dd, J=2.9, 8.7Hz, 1H); 7.52-7.55(m, 1H); 7.32-7.37(m, 3H); 7.09(dt, J=3.0, 8.5Hz, 1H); 6.71(dd, J=4.3, 8.7Hz, 1H). MS(ES): m/z 305.0(M+40).
실시예 9
중간체 화합물의 제조: 클로라이드
2-클로로메틸-3-(2-클로로페닐)-6,7-디메톡시-3H-퀴나졸린-4-온(2a)
아세트산(30 ml) 내의 1a(2.95 g, 9.63 mmol) 및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2.3 ml, 28.9 mmol)를 이용하여 과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수성 K2CO3 으로부터 추출 및 이소프로판올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갈색 결정성 고체 1.61 g(46%)를 얻었다.
1H NMR (CDCl3) δ: 7.59-7.66(m, 2H); 7.45-7.56(m, 3H); 7.20(s, 1H); 4.37(d, J=12Hz, 1H), 4.08(d, J=12Hz, 1H); 4.04(s, 3H); 4.00(s, 3H). MS(ES): m/z 365.0(M+).
6-브로모-2-클로로메틸-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2b)
아세트산(10 ml) 내의 1b(500 mg, 1.54 mmol) 및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0.37 ml, 4.61 mmol)를 이용하여 과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이소프로판올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회색 고체 490 mg(83%)를 얻었다.
1H NMR (CDCl3) δ: 8.43(d, J=2.3Hz, III'); 7.91(dd, J=2.3, 8.7Hz, 1H); 7.67(d, J=8.7Hz, 1H); 7.60-7.65(m, 1H); 7.47-7.56(m, 2H); 7.52(t, J=5.3Hz, 1H); 7.47-7.56(m, 1H); 4.37(d, J=12Hz, 1H), 4.06(d, J=12Hz, 1H). MS(ES): m/z 385.0(M+).
2-클로로메틸-3-(2-클로로페닐)-7-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2c)
아세트산(10 ml) 내의 1c(500 mg, 1.89 mmol) 및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0.45 ml, 5.67 mmol)를 이용하여 과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수성 K2CO3 으로부터 추출 및 이소프로판올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성 고체 501 mg(82%)를 얻었다.
1H NMR (CDCl) δ: 8.32(dd, J=6.0, 8.9Hz, 1H); 7.59-7.66(m, 1H); 7.50-7.55(m, 3H); 7.44(dd, J=2.4, 9.4Hz, 1H); 7.27(dt, J=2.5, 8.5Hz, 1H); 4.37(d, J=12Hz, 1H), 4.07(d, J=12Hz, 1H). MS(ES): m/z 323.0(M+).
6-클로로-2-클로로메틸-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2d)
아세트산(10 ml) 내의 1d(500 mg, 1.78 mmol) 및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0.42 ml, 5.33 mmol)을 이용하여 과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이소프로판올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고체 555 mg(92%)를 얻었다.
1H NMR (CDCl3) δ: 8.27(d, J=1.9Hz, 1H); 7.74-7.78(m, 2H); 7.60-7.66(m, 1H); 7.48-7.57(m, 3H); 4.37(d, J=12Hz, 1H), 4.07(d, J=12Hz, 1H). MS(ES): m/z 339.0(M+).
2-클로로메틸-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2a)
아세트산(10 ml) 내의 1e(500 mg, 1.89 mmol) 및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0.45 ml, 5.67 mmol)를 이용하여 과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수성 K2CO3 으로부터 추출 및 이소프로판올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회색 결정성 고체 430 mg(70%)를 얻었다.
1H NMR (CDCl3) δ: 7.76(dt, J=5.3, 8.2Hz, 1H); 7.56-7.65(m, 2H); 7.47-7.56(m, 3H); 7.16-7.25(m, 1H); 4.35(d, J=12Hz, 1H), 4.07(d, J=12Hz, 1H). MS(ES): m/z 323.0(M+).
5-클로로-2-클로로메틸-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2f)
아세트산(15 ml) 내의 1f(1.00 g, 3.56 mmol) 및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0.85 ml, 10.7 mmol)를 이용하여 과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이소프로판올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791 mg(65%)를 얻었다.
1H NMR (CDCl3) δ: 7.70(s, 1H); 7.68(d, J=3.8Hz, 1H); 7.61-7.65(m, 1H); 7.55(dd, J=2.7, 6.4Hz, 1H); 7.51(d, J=3.1Hz, 1H); 7.50(s, 2H); 4.35(d, J=12Hz, 1H), 4.05(d, J=12Hz, 1H). MS(ES): m/z 339.0(M+).
2-클로로메틸-3-(2-클로로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2g)
아세트산(40 ml) 내의 1g(2.18 g, 8.36 mmol) 및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2.0 ml, 25.1 mmol)를 이용하여 과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CH2Cl2 및 EtOAc/헥산 내에서 2개의 크로마토그래피, 이어서 이소프로판올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회색 결정성 고체 638 mg(24%)를 얻었다.
1H NMR (DMSO-d6) δ: 7.73-7.80(m, 3H); 7.58-7.64(m, 3H); 7.41(d, J=7.4Hz, 1H); 4.40(d, J=12Hz, 1H), 4.26(d, J=12Hz, 1H); 2.74(s, 3H). MS(ES): m/z 319.0(M+).
8-클로로-2-클로로메틸-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2h)
아세트산(10 ml) 내의 1h(500 mg, 1.78 mmol) 및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0.49 ml, 6.13 mmol)를 이용하여 과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수성 K2CO3 으로부터 추출 및 이소프로판올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고체 448 mg(74%)를 얻었다.
1H NMR (CDCl3) δ: 8.23(dd, J=1.4, 8.0Hz, 1H); 7.90(dd, J=1.4, 7.8Hz, 1H); 7.61-7.66(m, 1H); 7.51-7.55(m, 3H); 7.47(t, J=8.0Hz, 1H); 4.48(d, J=12Hz, 1H), 4.12(d, J=12Hz, 1H). MS(ES): m/z 339.0(M+).
3-비페닐-2-일-5-클로로-2-클로로메틸-3H-퀴나졸린-4-온(2i)
아세트산(30 ml) 내의 1i(2.0 g, 6.20 mmol) 및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1.5 ml, 18.6 mmol)를 이용하여 과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CH2Cl2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 이어서 이소프로판올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회색 고체 1.44 g(61%)를 얻었다.
1H NMR (CDCl3) δ: 7.61-7.64(m, 1H); 7.58-7.59(m, 1H); 7.54-7.57(m, 2H); 7.52-7.53(m, 1H); 7.45-7.52(m, 2H); 7.24(s, 5H); 3.92-4.03(m, 2H). MS(ES): m/z 381.0(M+).
5-클로로-2-클로로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2j)
아세트산(15 ml) 내의 1j(750 mg, 2.88 mmol) 및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0.69 ml, 8.63 mmol)를 이용하여 과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CH2Cl2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 이어서 이소프로판올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체 340 mg(37%)를 얻었다.
1H NMR (CDCl3) δ: 7.69(d, J=2.1Hz, 1H); 7.68(q, J=7.4Hz, 1H); 7.54(dd, J=2.2, 7.0Hz, 1H); 7.35-7.47(m, 3H) 7.21-7.25(m, 1H); 4.27(d, J=12Hz, 1H); 4.11(d, J=12Hz, 1H); 2.18(s, 3H). MS(ES): m/z 319.0(M+).
5-클로로-2-클로로메틸-3-(2-플루오로페닐)-3H-퀴나졸린-4-온(2k)
아세트산(20 ml) 내의 1k(1.0 g, 3.78 mmol) 및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1.0 ml, 3.78 mmol)를 이용하여 과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CH2Cl2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연분홍색 고체 484 mg(40%)를 얻었다.
1H NMR (CDCl3) δ: 7.69(s, 1H); 7.68(d, J=3.2Hz, 1H); 7.56(d, J=3.0Hz, 1H); 7.54(d, J=3.0Hz, 1H); 7.40-7.47(m, 1H); 7.35-7.38(m, 1H); 7.27-7.32(m, 1H); 4.35(d, J=12.Hz, 1H); 4.18(d, J=12Hz, 1H). MS(ES): m/z 323.0(M+).
5-클로로-2-클로로메틸-3-(2-메톡시페닐)-3H-퀴나졸린-4-온(2l)
아세트산(40 ml) 내의 1l(2.6 g, 9.41 mmol) 및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2.2 ml, 28.2 mmol)를 이용하여 과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CH2Cl2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 이어서 이소프로판올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담황색 고체 874 mg(28%)를 얻었다.
1H NMR (CDCl3) 5: 7.55-7.74(m, 2H); 7.47-7.54(m, 2H); 7.34(dd, J=1.7, 7.8Hz, 1H); 7.13(dt, J=1.2, 7.7Hz, 1H); 7.08(dd, J=1.0, 8.4Hz, 1H); 4.29(d, J=12Hz, 1H) 4.11(d, J=12Hz, 1H); 3.80(s, 3H). MS(ES): m/z 335.0(M+).
2-클로로메틸-3-(2-클로로페닐)-8-트리플루오로메틸-3H-퀴나졸린-4-온 (2m)
아세트산(10 ml) 내의 1m(500 mg, 1.59 mmol) 및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0.38 ml, 4.77 mmol)를 이용하여 과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이소프로판올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결정성 고체 359 mg(61%)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8.51(dd, J=1.0, 8.0Hz, 1H); 8.14(d, J=7.3Hz, 1H); 7.65(dd, J=2.5, 5.6Hz, 1H); 7.62(d, J=3.9Hz, 1H); 7.48-7.60(m, 3H); 4.44(d, J=12Hz, 1H), 4.12(d, J=12Hz, 1H). MS(ES): m/z 373.0(M+).
2-클로로메틸-3-(2-클로로페닐)-3H-벤조[g]퀴나졸린-4-온(2n)
아세트산(10 ml) 내의 1n(500 mg, 1.68 mmol) 및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0.40 ml, 5.05 mmol)를 이용하여 과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CH2Cl2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 이어서 이소프로판올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밝은 갈색 고체 232 mg(39%)를 얻었다.
1H NMR (CDCl3) δ: 8.92(s, 1H); 8.29(s, 1H); 8.81(d, J=8.3, 1H); 8.32(d, J=8.3Hz, 1H); 7.51-7.69(m, 4H); 7.55(d, J=5.2Hz, 1H); 7.53(d, J=3.8Hz, 1H); 4.43(d, J=12Hz, 1H), 4.12(d, J=12Hz, 1H). MS(ES): m/z 355.0(M+).
2-클로로메틸-3-(2-클로로페닐)-7-니트로-3H-퀴나졸린-4-온(2o)
아세트산(10 ml) 내의 1o(500 mg, 1.71 mmol) 및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0.41 ml, 5.14 mmol)를 이용하여 과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수성 K2CO3 으로부터 추출, 이어서 CH2Cl2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유상물질 338 mg(56%)를 얻었다.
1H NMR (CDCl3) δ: 8.64(d, J=2.2Hz, 1H); 8.48(d, J=8.8Hz, 1H); 8.32(dd, J=2.2, 8.7Hz, 1H); 7.66(dd, J=2.5, 6.0Hz, 1H); 7.52-7.59(m, 3H); 4.41(d, J=12Hz, 1H), 4.10(d, J=12Hz, 1H). MS(ES): m/z 350.0(M+).
아세트산 2-클로로메틸-3-(2-클로로페닐)-4-옥소-3,4-디히드로-퀴나졸린-6-일 에스테르(2p)
아세트산(10 ml) 내의 1p(670 mg, 2.55 mmol) 및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0.61 ml, 7.65 mmol)를 이용하여 과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0-3% 메탄올/CH2Cl2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 이어서 이소프로판올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연한 복숭아빛 결정으로 아세테이트 523 mg(57%)를 얻었다.
1H NMR (CDCl3) δ: 8.00(d, J=2.7Hz, 1H); 7.82(d, J=8.8Hz, 1H); 7.60-7.66(m, 1H); 7.56(dd, J=2.7, 8.8Hz, 1H); 7.51(t, J=4.7Hz, 2H); 7.50(s, 1H); 4.38(d, J=12Hz, 1H), 4.08(d, J=12Hz, 1H); 2.36(s, 3H).
2-클로로메틸-3-(2-클로로페닐)-6,7-디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2q)
아세트산(12 ml) 내의 1q(700 mg, 2.48 mmol) 및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0.60 ml, 7.43 mmol)를 이용하여 과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CH2Cl2 내 에서 크로마토그래피, 이어서 이소프로판올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결정성 고체 219 mg(26%)를 얻었다.
1H NMR (CDCl3) δ: 8.07(dd, J=8.5, 9.7Hz, 1H); 7.64(dd, J=2.5, 5.6Hz, 1H); 7.60(dd, J=3.5, 11Hz, 1H); 7.55(q, J=2.9Hz, 3H); 7.52(d, J=1.9Hz, 1H); 7.49-7.51(m, 1H); 4, 36(d, J=12Hz, 1H), 4.06(d, J=12Hz, 1H). MS(ES): m/z 341.0(M+).
2-클로로메틸-3-(2-클로로페닐)-6-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2r)
아세트산(15 ml) 내의 1r(850 mg, 3.21 mmol) 및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0.77 ml, 9.63 mmol)를 이용하여 과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수성 K2CO3 으로부터 추출, 이어서 EtOAc/헥산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아세톤/헥산 내에서 제2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체 125 mg(12%)를 얻었다.
1H NMR (CDCl3) δ: 7.95(dd, J=2.9, 8.2Hz, 1H); 7.81(dd, J=4.8, 9.0Hz, 1H); 7.61-7.66(m, 1H); 7.57(dd, J=2.7, 8.6Hz, 1H); 7.57(dd, J=2.7, 8.6Hz, 1H); 7.52(dd, J=3.2, 6.9Hz, 1H); 7.52(br s, 2H); 4.38(d, J=12Hz, 1H), 4.08(d, J=12Hz, 1H). MS(ES): m/z 323.0(M+).
실시예 10
PI3Kδ억제제 화합물의 제조
화합물 D-001
2--(6-아미노푸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6,7-디메톡시-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a(200 mg, 0.546 mmol), 아데닌(81 mg, 0.601 mmol), K2CO3(83 mg, 0.601 mmol) 및 DMF(4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베이지색 고체 164 mg(65%)을 얻었다. 융점: 281.5-282.7℃(분해).
1H NMR (DMSO-d6) 6: 8.06(s, 1H); 8.04(s, 1H); 7.76-7.81(m, 1H); 7.70-7.76(m, 1H); 7.60-7.67(m, 2H); 7.45(s, 1H); 7.22(s, 2H); 6.90(s, 1H); 5.08(d, J=17Hz, 1H); 4.91(d, J=17Hz, 1H); 3.87(s, 3H); 3.87(s, 3H). 13C NMR(DMSO-d6) ppm: 159.9, 156.2, 155.4, 152.9, 150.0, 149.7, 149.4, 143.0, 141.9, 133.7, 132.1, 131.9, 131.2, 130.8, 129.3, 118.4, 113.6, 108.4, 105.8, 56.5, 56.1, 44.7. MS(ES): m/z 464.1(M+).
C22H18ClN7O3·0.1C2H6O·0.05KCl의 분석
이론치 : C, 56.47; H, 3.97; Cl, 7.88; N, 20.76.
실측치 : C, 56.54; H, 4.05; Cl, 7.77; N, 20.55.
화합물 D-002
2-(6-아미노푸린-o-일메틸)-6-브로모-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 4-온
중간체 2b(100 mg, 0.260 mmol), 아데닌(39 mg, 0.286 mmol), K2CO3(40 mg, 0.286 mmol) 및 DMF(2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회색 고체 52 mg(41%)을 얻었다. 융점: 284.2-284.7℃(분해).
1H NMR(DMSO-d6) δ: 8.24(d, J=2.0Hz, 1H); 8.05(s, 1H); 8.03(s, 1H); 7.98(dd, J=1.9, 8.6Hz, 1H); 7.74-7.83(m, 2H); 7.59-7.68(m, 2H); 7.46(d, J=8.7Hz, 1H); 7.22(s, 2H); 5.12(d, J=17Hz, 1H); 4.94(d, J=17Hz, 1H). 13C NMR(DMSO-d6) ppm: 159.5, 156.2, 152.9, 152.0, 150.1, 145.8, 141.8, 134.8, 133.1, 132.2, 131.9, 131.1, 130.9, 130.1, 129.4, 128.9, 122.4, 120.4, 118.4, 45.0. MS(ES): m/z 482.0(M+).
C20H13ClBrN7O·0.1KCl의 분석
이론치: C, 49.01; H, 2.67; Cl, 7.96; N, 20.00.
실측지: C, 48.82; H, 2.82; Cl, 8.00; N, 19.79.
화합물 D-003
2-(6-아미노푸린-o-일메틸)-3-(2-클로로페닐)-7-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c(100 mg, 0.310 mmol), 아데닌(46 mg, 0.340 mmol), K2CO3(47 mg, 0.340 mmol) 및 DMF(1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베이지색 고체 57 mg(44%)을 얻었다. 융점: 216.8-217.2℃(분해).
1H NMR(DMSO-d6) δ: 8.22(dd, J=6.3, 8.7Hz, 1H); 8.05(s, 1H); 8.03(s, 1H); 7.78-7.80(m, 2H); 7.61-7.64(m, 2H); 7.46(dt, J=2.1, 8.6Hz, 1H); 7.32(d, J=9.8Hz, 1H); 7.22.(s, 2H); 5.13(d, J=17Hz, 1H); 4.95(d, J=17Hz, 1H). 13C NMR(DMSO-d6) ppm: 166.1(d, J=253Hz), 159.6, 155.8, 152.5, 149.7, 148.6(d, J=14Hz), 141.4, 132.8, 131.8, 131.6, 130.8, 130.5, 129.8(d, J=11Hz), 129.0, 118.1, 117.4, 116.2(d, J=24Hz), 112.7(d, J=22Hz), 44.6. MS(ES): m/z 422 0(M+).
C20H13ClFN7O·0.1H2O·0.15KCl의 분석
이론치; C, 55.25;'H, 3.06; Cl, 9.38; N, 22.55.
실측치 : C, 55.13; H, 2.92; Cl, 9.12; N, 22.30.
화합물 D-004
2-(6-아미노퓨린-9-일메틸)-6-클로로-3-(2-클로로페닐0-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d(100 mg, 0.294 mmol), 아데닌(44 mg, 0.323 mmol), K2CO3(45 mg, 0.323 mmol) 및 DMF(1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황색 고체 50 mg(39%)을 얻었다. 융점: -℃(분해).
1H NMR(DMSO-d6) 8.10(d, J=2.2Hz, 1H); 8.05(s, 1H); 8.03(s, 1H); 7.86(dd, J=2.4, 8.8Hz, 1H); 7.75-7.82(m, 2H); 7.59-7.67(m, 2H); 7.53(d, J=8.7Hz, 1H); 7.22(br s, 2H); 5.13(d, J=17Hz, 1H); 4.95(d, J=17Hz, 1H). 13C NMR(DMSO-d6) ppm : 159.7, 156.2, 152.9, 151.9, 150.1, 145.5, 141.8, 135.7, 133.1, 132.3, 132.2, 131.9, 131.1, 130.9, 130.0, 129.4, 125.9, 122.0, 118.4, 44.9. MS(ES): m/z 438.0(M+).
C20H13Cl2N7O의 분석
이론치 : C, 54.81; H, 2.99; N, 22.37.
실측치 : C, 54.72; H, 2.87; N, 22.18.
화합물 D-005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e(200 mg, 0.619 mmol), 아데닌(92 mg, 0.681 mmol), K2CO3(94 mg, 0.680 mmol) 및 DMF(4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메탄올/CH2Cl2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회색 고체 168 mg(64%)을 얻었다. 융점: 159-172℃(점진적으로 분해).
1H NMR(DMSO-d6) δ: 8.10(s, 1H); 8.08(s, 1H); 7.73-7.89(m, 3H); 7.57-7.71(m, 2H); 7.37-7.48(m, 2H); 7.34(d, J=11Hz, 1H); 7.30(d, J=8.3Hz, 1H); 5.14(d, J=17Hz, 1H); 4.94(d, J=17Hz, 1H). 13C NMR(DMSO-d6) ppm: 160.8(d, J=264Hz), 157.5(d, J=4.2Hz), 155.8, 152.4, 152.4, 150.0, 148.7, 142.1, 136.4(d, J=11Hz), 133.0, 132.2, 132.1, 131.2, 130.9, 129.4, 123.8(d, J=3.6Hz), 118.4, 114.5(d, J=20Hz), 110.2(d, J=6.0Hz), 44.9. MS(ES): m/z 422.0(M+).
C20H13ClFN7O의 분석
이론치 : C, 56.95; H, 3.11; Cl, 8.40; N, 23.24.
이론치 : C, 54.62; H, 3.32; Cl, 9.40; N, 21.29.
화합물 D-006
2-(6-아미노퓨린-o-일메틸)-5-클로로-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f(300 mg, 0.883 mmol), 아데닌(131 mg, 0.972 mmol), K2CO3(134 mg, 0.972 mmol) 및 DMF(4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메탄올/CH2Cl2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고,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연한 오렌지색 결성정 고체 188mg(49%)을 얻었다. 융점: 245.7-246.0℃(220℃에서 습기가 발생하기 시작함).
1H NMR(DMSO-d6) δ: 8.06(s, 1H); 8.04(s, 1H); 7.76-7.81(m, 2H); 7.72(d, J=8.0Hz, 1H); 7.59-7.66(m, 3H); 7.41(d, J=8.1Hz, 1H); 7.25(br s, 2H); 5.11(d,
J=17Hz, 1H); 4.93(d, J=17Hz, 1H). 13C NMR(DMSO-d6) ppm : 158.5, 156.2, 152.9, 152.2, 150.1, 149.2, 141.8, 135.4, 133.3, 133.2, 132.1, 132.0, 131.2, 130.9, 130.4, 129.4, 127.3, 118.4, 117.7, 44.9. MS(ES): m/z 438.0(M+).
C20H13Cl2N7·0.1C2H6O·0.05H2 O의 분석
이론치 : C, 54.67; H, 3.11; Cl, 15.98; N, 22.09.
실측치 : C, 54.35; H, 3.00; Cl, 15.82; N, 22.31.
화합물 D-007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g(250 mg, 0.783 mmol), 아데닌(116 mg, 0.862 mmol), K2CO3(119 mg, 0.862 mmol) 및 DMF(4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담황색 고체 93 mg(28%)을 얻었다. 융점: 190.7-190.9℃.
1H NMR(DMSO-d6) δ: 8.05(s, 1H); 8.03(s, 1H); 7.76-7.79(m, 1H); 7.71-7.74(m, 1H); 7.59-7.67(m, 1H); 7.34(d, J=7.4Hz, 1H); 7.28(d, J=8.2Hz, 1H); 7.24(br s, 2H); 5.07(d, J=17Hz, 1H); 4.92(d, J=17Hz, 1H); 2.73(s, 3H). 13C NMR(DMSO-d6) ppm : 161.1, 156.2, 152.8, 150.9, 150.1, 148.3, 141.9, 141.0, 134.6, 133.6, 132.2, 131.9, 131.3, 13C.8, 130.3, 129.3, 125.9, 119.1, 118.4, 44.8, 22.8. MS(ES): m/z 418.1(M+).
C21H16ClN7O·H20의 분석
이론치 : C, 57.87; H, 4.16; Cl, 8.13; N, 22.49.
실측치 : C, 57.78; H, 3.99; Cl, 8.38; N, 22.32.
화합물 D-008
2-(6-아미노퓨린-9-일메틸)-8-클로로-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h(100 mg, 0.294 mmol), 아데닌(44 mg, 0.324 mmol), K2CO3(45 mg, 0.324 mmol) 및 DMF(1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메탄올/CH2Cl2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담황색 고체 50 mg(39%)을 얻었다. 융점: 273.3-273.5℃(탈색).
1H NMR(DMSO-d6) δ: 8.11(dd, J=1.3, 8.0Hz, 1H); 8.08(s, 1H); 8.05(s, 1H); 8.00(dd, J=1.3, 7.8Hz, 1H); 7.79-7.83(m, 2H); 7.63-7.66(m, 2H); 7.56(t, J=7.9Hz, 1H); 7.21(br s, 2H); 5.17(d, J=17Hz, 1H); 4.97(d, J=17Hz, 1H). 13C NMR(DMSO-d6) ppm: 160.2, 156.1, 152.8, 152.2, 150.2, 143.3, 142.0, 135.6, 133.1, 132.3, 131.9, 131.1, 131.0, 130.9, 129.4, 128.4, 126.0, 122.5, 118.4, 45.0. MS(ES): m/z 438.0(M+).
C20H13Cl2N7O·0.1CH4O·0.6H2O·0.15KCl의 분석
이론치 : C, 52.09; H, 3.18; N, 21.15.
실측치 : C, 51.85; H, 2.93; N, 21.01.
화합물 D-009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비페닐-2-일-5-클로로-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i(400 mg, 1.05 mmol), 아데닌(155 mg, 1.15 mmol), K2CO3(159 mg, 1.15 mmol) 및 DMF(5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백색 고체 344 mg(68%)을 얻었다. 융점: 299.9-300.1℃(탈색).
1H NMR(DMSO-d6) δ: 8.08(s, 1H); 7.89(s, 1H); 7.58-7.73(m, SH); 7.51(d, J=7.9Hz, 1H); 7.46(d, J=7.5Hz, 2H); 7.27-7.41(m, 3H); 7.14-7.27(m, 3H); 5.14(d, J=17Hz, 1H); 4.82(d, J=17Hz, 1H). 13C NMR(DMSO-d6) ppm : 159.6, 156.2, 152.8, 152.5, 150.0, 149.0, 141.7, 140.2, 137.7, 135.0, 133.3, 133.2, 131.8, 130.7, 130.1, 129.8, 129.5, 128.8, 128.6, 328.4, 127.1, 118.4, 117.6; 45.3. MS(ES): m/z 480.1(M+).
C26H18ClN7O의 분석
이론치 : C, 65.07; H, 3.78; Cl, 7.39; N, 20.43.
실측치 : C, 64.77; H, 3.75; Cl, 7.43; N, 20.35.
화합물 D-010
5-클로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j(200 mg, 0.626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93 mg, 0.546 mmol), K2CO3(95 mg, 0.689 mmol) 및 DMF(4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회색 고체 125 mg(46%)을 얻었다. 융점: 213.9℃.
1H NMR(DMSO-d6) δ: 13.53(br s, 1H); 8.49(s, 1H); 8.44(s, 1H); 7.78(t, J=7.9Hz, 1H); 7.63(d, J=8.2Hz, 1H); 7.59(d, J=7.7Hz, 1H); 7.49(d, J=6.9Hz, 1H); 7.24-7.41(m, 3H); 4.32-4.45(m, 2H); 2.14(s, 3H). 13C NMR(DMSO-d6) ppm : 158.9, 157.2, 154.2, 151.5, 149.7, 149.6, 143.5, 136.1, 135.9, 135.1, 133.2, 131.3, 130.3, 130.0, 129.9, 129.1, 127.6, 127.1, 117.8, 32.4, 17.5. MS(ES): m/z 438.0(M+).
C21H15ClN6OS의 분석
이론치 : C, 58.00; H, 3.48; Cl, 8.15; N, 19.32; S, 7.37.
실측치 : C, 58.05; H, 3.38; Cl, 8.89; N, 18.38; S, 7.00.
화합물 D-011
5-클로로-3-(2-플루오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k(210 mg, 0.650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122 mg, 0.715 mmol), K2CO3(99 mg, 0.715 mmol) 및 DMF(4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회색 고체 240 mg(84%)을 얻었다. 융점: 244.0℃(분해).
1H NMR(DMSO-d6) δ: 13.56(br s, 1H); 8.50(s, 1H); 8.45(s, 1H); 7.81(t, J=8.0Hz, 1H); 7.74(t, J=7.7Hz, 1H); 7.67(d, J=8.1Hz, 1H); 7.62(d, J=7.7Hz, 1H); 7.46-7.55(m, 1H); 7.29-7.42(m, 2H); 4.47-4.59(m, 2H). 13C NMR(DMSO-d6) ppm : 158.4, 157.3(d, J=249Hz), 156.4, 153.8, 151.0, 149.1, 143.2, 35.0, 132.9, 131.8(d, J=8.0Hz), 130.8, 129.9, 126.7, 125.3(d, J=3.5Hz), 123.6(d, J=13Hz), 117.0, 116.2(d, J=19Hz), 31.7. MS(ES): m/z 439.0(M+).
C20H12ClFN6OS의 분석
이론치 : C, 54.74; H, 2.76; Cl, 8.08; N, 19.15; S, 7.31.
실측치 : C, 54.42; H, 2.88; Cl, 8.08; N, 18.87; S, 7.08.
화합물 D-012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플루오로페닐)-3H-퀴나졸린 -4-온
중간체 2k(210 mg, 0.650 mmol), 아데닌(97 mg, 0.715 mmol), K2CO3(99 mg, 0.715 mmol) 및 DMF(4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황갈색 고체 137 mg(50%)을 얻었다. 융점: 295.6-295.8℃(분해).
1H NMR(DMSO-d6) 8.05(s, 1H); 8.04(s, 1H); 7.75(t, J=7.6Hz, 1H); 7.74(t, J=7.9Hz, 1H); 7.62-7.69(m, 1H); 7.61(d, J=7.6Hz, 1H); 7.47-7.55(m, 1H); 7.48(d, J=7.8Hz, 1H); 7.41(d, J=8.0Hz, 1H); 7.24(br s, 2H); 5.19(d, J=17Hz, 1.H); 5.03(d, J=17Hz, 1H). 13C NMR(DMSO-d6) ppm: 158.7, 157.6(d, J=250Hz), 156.2, 152.8, 152.4, 150.0, 149.2, 141.8, 135.4, 133.3, 132.5(d, J=8.0Hz), 131.0, 130.4, 127.3 126.2(d, J=3.5Hz), 123.1(d, J=14Hz), 118.4, 117.6, 117.2(d, J=19Hz), 45.1. MS(ES): m/z 422.0(M+).
C20H13ClFN7Oδ·0.05C2H6O의 분석
이론치 : C, 56.92; H, 3.16; Cl, 8.36; N, 23.12.
실측치 : C, 56.79; H, 3.20; Cl, 8.46; N, 22.79.
화합물 D-013
3-비페닐-2-일-5-클로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i(400 mg, 1.05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196 mg, 1.15 mmol), K2CO3(159 mg, 1.15 mmol) 및 DMF(5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메탄올/CH2Cl2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고,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담황색 결정성 고체 439 mg(84%)을 얻었다. 융점: 222.0-222.5℃(분해).
1H NMR(DMSO-d6) δ: 13.56(br s, 1H); 8.55(s, 1H); 8.45(s, 1H); 7.73(t, J=8.0Hz, 1H); 7.64(d, J=7.7Hz, 1H); 7.50-7.59(m, 4H); 7.41-7.48(m, 1H); 7.25-7.38(m, 5H); 4.41(d, J=16Hz, 1H); 4.16(d, J=16Hz, 1H). 13C NMR(DMSO-d6) ppm : 160.2, 157.0, 153.7, 151.5, 149.7, 149.3, 143.5, 139.9, 137.8, 135.1, 134.1, 133.3, 131.5, 130.5, 130.3, 130.1, 129.1, 128.9, 128.4, 128.4, 126.9, 117.5, 32.3. MS(ES): m/z 497.0(M+).
C26H17ClN6OS의 분석
이론치 : C, 62.84; H, 3.45; Cl, 7.13; N, 16.91; S, 6.45.
실측치 : C, 62.60; H, 3.47; Cl, 7.15; N, 16.65; S, 6.41.
화합물 D-014
5-클로로-3-(2-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l(250 mg, 0.746 mmol), 6-머캅토에탄올(140 mg, 0.821 mmol), K2CO3(113 mg, 0.821 mmol) 및 DMF(4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 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회색 고체 254 mg(76%)을 얻었다. 융점: 237.0℃(분해; 154.6℃에서 탈색).
1H NMR(DMSO-d6) δ: 13.53(br s, 1H); 8.52(s, 1H); 8.45(s, 1H); 7.78(t, J=7.9Hz, 1H); 7.64(d, J=8.0Hz, 1H); 7.59(d, J=7.7Hz, 1H); 7.48(d, J=7.3Hz, 1H); 7.42(t, J=7.7Hz, 1H); 7.15(d, J=8.2Hz, 1H); 7.03(t, J=7.5Hz, 1H); 4.45(s, 2H); 3.76(s, 3H). 13C NMR(DMSO-d6) ppm: 158.9, 157.1, 154.8, 154.7, 151.5, 149.6, 143.6, 135.1, 133.2, 131.3, 130.4, 130.0, 127.0, 124.8, 121.2, 117.8, 112.7, 56.1, 32.0. MS(ES): m/z 451.0(M+).
C21H15ClN6O2S·0.15C2H6O·0.05KCl의 분석
이론치 : C, 55.43; H, 3.47; Cl, 8.07; N, 18.21; S, 6.95.
실측치 : C, 55.49; H, 3.68; Cl, 7.95; N, 17.82; S, 6.82.
화합물 D-015
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e(200 mg, 0.619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116 mg, 0.681 mmol), K2CO3(94 mg, 0.681 mmol) 및 DMF(5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백색 고체 152 mg(56%)을 얻었다. 융점: 222.7-223.8℃(탈색).
1H NMR(DMSO-d6) δ: 13.56(br s, 1H); 8.48(s, 1H); 8.44(s, 1H); 7.89(dt, J=5.6, 8.1Hz, 1H); 7.76(dd, J=1.6, 7.3Hz, 1H); 7.67(d, J=7.4Hz, 1H); 7.56(d, J=8.1.Hz, 1H); 7.47(t, J=7.1Hz, 1H), 7.41-7.53(m, 2H); 7.37(dd, J=8.7, 11Hz, 1H); 4.38-4.52(m, 2H). 13C NMR(DMSO-d6) ppm : 160.9(d, J=264Hz), 157.6, 156.8, 154.1, 151.5, 149.6, 149.0, 143.6, 136.4(d, J=11Hz), 133.9, 132.2, 131.7, 131.6, 130.5, 130.2, 128.8, 123.6, 114.4(d, J=20Hz), 110.2, 32.0. MS(ES): m/z 439.0(M+).
C20H12ClFN6OS·0.5C2H6O의 분석
이론치 : C, 54.61; H, 3.27; Cl, 7.68; N, 18.19; S, 6.94.
실측치 : C, 54.37; H, 3.26; Cl, 7.89; N, 18.26; S, 6.55.
화합물 D-016
3-(2-클로로페닐)-6,7-디메톡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a(20 mg, 0.546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102 mg, 0.601 mmol), K2CO3(83 mg, 0.601 mmol) 및 DMF(5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회색 고체 172 mg(65%)을 얻었다. 융점: 160-180℃(점진적으로 분해).
1H NMR(DMSO-d6) δ: 13.55(br s, 1H); 8.49(s, 1H); 8.44(s, 1H); 7.72(d, J=6.9Hz, 1H); 7.66(d, J=6.9Hz, 1H) 7.38-7.54(m, 3H); 7.22(s, 1H); 4.36-4.52(m, 2H); 3.94(s, 3H); 3.89(s, 3H). 13C NMR(DMSO-d6) ppm : 160.1, 155.4, 151.5, 151.1, 149.4, 143.2, 134.6, 132.3, 131.6, 131.5, 130.4, 128.7, 113.6, 108.4, 105.8, 56.5, 56.1, 32.0. MS(ES): m/z 481.1(M+).
C22H17ClN6O3S·0.5C2H6O·0.05KCl의 분석
이론치 : C, 54.41; H, 3.97; Cl, 7.33; N, 16.55; S, 6.32.
실측치 : C, 54.43; H, 3.94; Cl, 7.69; N, 16.69; S, 6.52.
화합물 D-017
6-브로모-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b(200 mg, 0.519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97 mg, 0.570 mmol), K2CO3(79 mg, 0.572 mmol) 및 DMF(5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회색 고체 123 mg(47%)을 얻었다. 융점: 212-242℃(점진적으로 분해).
1H NMR(DMSO-d6) δ: 13.07(br s, 1H); 8.48(s, 1H); 8.44(s, 1H); 8.24(d, J=2.3Hz, 1H); 8.06(dd, J=2.3, 8.7Hz, 1H); 7.76(dd, J=1.9, 7.4Hz, 1H); 7.70(d, J=8.7Hz, 1H); 7.66(d, J=8.1Hz, 1H); 7.51(dd, J=2.1, 7.9Hz, 1H); 7.46(dd, J=1.9, 7.9Hz, 1H); 4.47(s, 2H). 13C NMR(DMSO-d6) ppm : 159.7, 156.8, 153.6, 151.5, 146.1, 143.6, 138.5, 134.0, 132.1, 131.8, 131.5, 130.5, 130.2, 129.9, 128.9, 128.8, 122.2, 120.3, 32.0. MS(ES): m/z 499.0(M+).
C20H12ClBrN60·0.2C2H6·0.05KCl의 분석
이론치 : C, 47.79; H, 2.59; N, 16.39; S, 6.25.
실측치 : C, 47.56; H, 2.54; N, 16.25; S, 6.58.
화합물 D-018
3-(2-클로로페닐)-(9H-퓨린-6-일설파닐메틸)-트리플루오로메틸-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m(200 mg, 0.536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100 mg, 0.588 mmol), K2CO3(82 mg, 0.593 mmol) 및 DMF(4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백색 고체 148 mg(56%)을 얻었다. 융점: 218.5-219.4℃(분해).
1H NMR(DMSO-d6) δ: 13.52(br s, 1H); 8.48(s, 1H); 8.44(s, 1H); 8.43(d, J=6.0Hz, 1H); 8.26(d, J=7.5Hz, 1H); 7.84(dd, J=2.5, 6.7Hz, 1H); 7.70-7.75(m, 2H); 7.51-7.59(m, 2H); 4.40-4.55(m, 2H). 13C NMR(DMSO-d6) ppm : 160.0, 157.2, 154.2, 151.4, 149.6, 144.4, 143.4, 133.8, 133.0(q, J=5.1Hz), 132.0, 131.9, 131.6, 131.4, 130.6, 129.0, 127.3, 125.2(q, J=30Hz), 123.6(q, J=273Hz), 121.8, 32.6. MS(ES): m/z 489.0(M+).
C21H12ClF3N60S의 분석
이론치 : C, 51.59; H, 2.47; Cl, 7.25; N, 17.19; S, 6.56.
실측치 : C, 51.51; H, 2.55; Cl, 7.37; N, 17.05; S, 6.38.
화합물 D-019
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벤조[g]퀴나졸린-4-온
중간체 2n(200 mg, 0.563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105 mg, 0.619 mmol), K2CO3(86 mg, 0.619 mmol) 및 DMF(4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암황색 고체 128 mg(48%)을 얻었다. 융점: 247.8-254.4℃(분해).
1H NMR(DMSO-d6) δ: 13.56(br s, 1H); 8.90(s, 1H); 8.50(s, 1H); 8.46(s, 1H); 8.34(s, 1H); 8.27(d, J=8.2Hz, 1H); 8.16(d, J=8.2Hz, 1H); 7.81(dd, J=1.6, 7.3Hz, 1H); 7.70(t, J=7.5Hz, 1H); 7.61-7.74(m, 2H); 7.49(t, J=7.5Hz, 1H); 7.44-7.53(m, 1H); 4.44-4.56(m, 2H). 13C NMR(DMSO-d6) ppm: 161.3, 151.6, 151.5, 143.9, 142.2, 136.7, 134.4, 132.5, 131.8, 131.6, 130.5, 129.7, 129.3, 128.8, 128.6, 128.3, 128.3, 127.1, 125.2, 119.5, 32.4. MS(ES): m/z 471.0(M+).
C24H15ClN6OS·0.2C2H6O·0.05KCl의 분석
이론치 : C, 60.57; H, 3.37; Cl, 7.69; N, 17.37; S, 6.63.
실측치 : C, 60.24; H, 3.46; Cl, 7.50; N, 17.34; S, 6.69.
화합물 D-020
6-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d(200 mg, 0.587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110 mg, 0.646 mmol), K2CO3(90 mg, 0.651 mmol) 및 DMF(5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황색 결정성 고체 113 mg(42%)을 얻었다. 융점: 237.1-238.2℃(분해).
1H NMR(DMSO-d6) δ: 13.55(br s, 1H); 8.48(s, 1H); 8.44(s, 1H); 8.11(s, 1H); 7.94(d, J=8.3Hz, 1H); 7.78(d, J=8.1Hz, 2H); 7.66(d, J=6.7Hz, 1H); 7.48-7.56(m, 2H); 4.48(s, 2H). 13C NMR(DMSO-d6) ppm: 159.8, 156.8, 153.5, 151.5, 149.6, 145.8, 143.6, 135.7, 134.0, 132.2, 132.1, 131.7, 131.5, 130.5, 130.2, 129.8, 128.8, 125.8, 121.9, 32.0. MS(ES): m/z 455.0(M+).
C20H12Cl2N6OS·0.1C2H60·0.6H2 0δ0.15KCl의 분석
이론치 : C, 50.34; H, 2.89; Cl, 15.82; N, 17.44; S, 6.65.
실측치 : C, 50.02; H, 2.63;.C1, 15.51; N, 17.39; S, 6.81.
화합물 D-021
8-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h(200 mg, 0.589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124 mg, 0.726 mmol), K2CO3(100 mg, 0.726 mmol) 및 DMF(4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백색 고체 202 mg(75%)을 얻었다. 융점: 211.9-212.7℃(분해).
1H NMR(DMSO-d6) δ: 13.54(br s, 1H); 8.47(s, 1H); 8.44(s, 1H); 8.12(d, J=7.9Hz, 1H); 8.07(d, J=7.6Hz, 1H); 7.78(d, J=7.5Hz, 1H); 7.67(d, J=7.1Hz, 1H); 7.58(t, J=7.9Hz, 1H); 7.42-7.54(m, 2H); 4.52(s, 2H). 13C NMR(DMSO-d6) ppm : 160.3, 156.9, 153.9, 151.5, 149.7, 143.5, 135.7, 134.0, 132.1, 131.8, 131.4, 131.1, 130.5, 130.3, 128.9, 128.3, 126.1, 122.4, 32.5. MS(ES): m/z 455.0(M+).
C20H12Cl2N6OS의 분석
이론치 : C, 52.76; H, 2.66; Cl, 15.57; N, 18.46; S, 7.04.
실측치 : C, 52.65; H, 2.79; Cl, 15.32; N, 18.47; S, 7.18.
화합물 D-022
3-(2-클로로페닐)-7-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질메틸)-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c(200 mg, 0.619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116 mg, 0.681 mmol), K2CO3(95 mg, 0.687 mmol) 및 DMF(4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백색 결정성 고체 143mg(53%)을 얻었다. 융점: 151.4-154.2℃(탈색).
1H NMR(DMSO-d6) δ: 13.55(br s, 1H); 8.48(s, 1H); 8.44(s, 1H); 8.23(dd, J=6.3, 8.7Hz, 1H); 7.77(dd, J=1.7, 7.4Hz, 1H); 7.64(d, J=7.4Hz, 1H); 7.57(d, J=9.8Hz, 1H); 7.45-7.52(m, 3H); 4.48(s, 2H). 13C NMR(DMSO-d6) ppm : 169.0(d, J=253Hz), 162.6, 159.3, 157.0, 154.0, 152.2, 151.7(d, J=13Hz), 146.1, 136.5, 134.7, 134.2, 134.0, 133.0, 132.6(d, J=11Hz), 131.3, 120.2, 118.9(d, J=24Hz), 115.3(d, J=22Hz), 34.6. MS(ES): m/z 439.0(M+).
C20H12ClFN6OS·0.4C2H6O·0.4H2O·0.15KCl의 분석
이론치 : C, 52.52; H, 3.22; Cl, 8.57; N, 17.67.
실측치 : C, 52.25; H, 3.11; Cl, 8.20; N, 17.69.
화합물 D-023
3-(2-클로로페닐)-7-니트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o(216 mg, 0.617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116 mg, 0.681 mmol), K2CO3(94 mg, 0.680 mmol) 및 DMF(4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황색 결정성 고체 212 mg(74%)을 얻었다. 융점: 218.0-218.3℃(분해).
1H NMR(DMSO-d6) δ: 13.56(br s, 1H); 8.49(s, 1H); 8.42(s, 1H); 8.38-8.45(m, 2H); 8.31(d, J=8.4Hz, 1H); 7.81(d, J=6.5Hz, 1H); 7.68(d, J=6.7Hz, 1H); 7.43-7.58(m, 2H); 4.53(s, 2H). 13C NMR(DMSO-d6) ppm : 157.7, 154.4, 153.3, 149.8, 149.3, 147.6, 145.2, 141.4, 131.5, 129.8, 129.7, 129.2, 128.4, 127.1, 126.7, 122.7, 120.3, 119.4, 29.9. MS(ES): m/z 466.0(M+).
C20H12ClN0.3S·0.4C2H60·0.05KCl의 분석
이론치 : C, 51.19; H, 2.97; Cl, 7.63; N, 20.09; S, 6.57.
실측치 : C, 51.27; H, 2.88; Cl, 7.40; N, 20.04; S, 6.52.
화합물 D-024
3-(2-클로로페닐)-6-히드록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p(200 mg, 0.552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117 mg, 0.685 mmol), K2CO3(95 mg, 0.687 mmol) 및 DMF(4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백색 고체로 소정의 생성물 및 아 세틸 유도체의 혼합물 182mg을 얻었다. 이 물질의 일부분(120 mg)을 메탄올(2 ml) 및 수성 NaHCO3(포화, 1 ml)의 혼합물에 현탁하고, 4 시간 동안 급속 교반하였다. 혼합물은 진공 하에서 농축하고, H2O(10 ml)에 현탁하고, 4℃에서 하룻밤 저장하였다. 백색 고체는 수집하고, 건조하였다(103 mg, 66%). 융점: 186-214℃(점진적으로 분해).
1H NMR(DMSO-d6) δ: 8.48(s, 1H); 8.45(s, 1H); 7.71(d, J=6.8Hz, 1H); 7.62-7.64(m, 2H); 7.43-7.51(m, 2H); 7.40-7.43(m, 1H); 7.35(d, J=8.8Hz, 1H); 4.39-4.52(m, 2H). 13C NMR(DMSO-d6) ppm : 160.6, 157.1, 156.2, 151.4, 150.8, 149.3, 144.1, 140.2, 134.5, 132.2, 131.6, 131.4, 130.4, 129.3, 128.7, 124.8, 121.7, 109.8, 32.0. MS(ES): m/z 437.0(M+).
C20H13ClN602S·0.1C2H60.6H20의 분석
이론치 : c, 49.68; H, 3.88; Cl, 7.26; N, 17.21; S, 6.57.
실측치 : C, 49.43; H, 3.62; Cl, 7.32; N, 17.07; S, 6.58.
화합물 D-025
5-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f(300 mg, 0.883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165 mg, 0.972 mmol), K2CO3(134 mg, 0.972 mmol) 및 DMF(4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 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연한 오렌지색 결정성 고체 341 mg(85%)을 얻었다. 융점: 233.7-234.4℃(분해).
1H NMR(DMSO-d6) δ: 13.58(br s, 1H); 8.50(s, 1H); 8.47(s, 1H); 7.77-7.85(m, 2H); 7.68(d, J=8.1Hz, 2H); 7.65(d, J=7.7Hz, 1H); 7.41-7.56(m, 2H); 4.45(d, J=1.2Hz, 2H). 13C NMR(DMSO-d6) ppm : 158.7, 156.8, 153.8, 151.5, 149.6, 149.5, 143.5, 135.4, 134.1, 133.3, 132.2, 131.6, 131.6, 130.5, 130.2, 128.8, 127.1, 117.6, 32.0. MS(ES): m/z 455.0(M+).
C2OH12Cl2N6OS·C2H6O·0.3H2의 분석
이론치 : C, 52.14; H, 3.70; Cl, 13.99; N, 16.58; S, 6.33.
실측치 : C, 52.07; H, 3.37; Cl, 13.40; N, 16.65; S, 6.42.
화합물 D-026
3-(2-클로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g(300 mg, 0.940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176 mg, 1.03 mmol), K2CO3(142 mg, 1.03 mmol) 및 DMF(5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백색 결정성 고체 324 mg(79%)을 얻었다. 융점: 227.8-230.1℃(분해).
1H NMR(DMSO-d6) δ: 13.57(br s, 1H); 8.49(s, 1H); 8.47(s, 1H); 7.69-7.78(m, 2H); 7.66(d, J=7.3Hz, 1H); 7.55(d, J=7.9Hz, 1H); 7.39-7.52(m, 2H); 7.36(d, J=6.9Hz, 1H); 4.38-4.50(m, 2H); 2.74(s, 3H). 13C NMR(DMSO-d6) ppm : 161.2, 156.3, 152.4, 151.5, 148.6, 143.9, 141.0, 134.6, 134.5, 132.3, 131.7, 131.4, 130.4, 130.2, 128.7, 125.7, 119.0, 32.0, 22.8. MS(ES): m/z : 435.0(M+).
C21H18ClN6OS·0.65C2H60·0.1H0의 분석
이론치 : C, 57.40; H, 4.13; Cl, 7.60; N, 18.01; S, 6.87.
실측치 : C, 57.11; H, 3.96; Cl, 7.45; N, 17.79; S, 6.90.
화합물 D-027
3-(2-클로로페닐)-6,7-디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q(200 mg, 0.586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110 mg, 0.645 mmol), K2CO3(89 mg, 0.645 mmol) 및 DMF(4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담황색 결정성 고체 143 mg(53%)을 얻었다. 융점: 207.8℃(분해).
1H NMR(DMSO-d6) δ: 13.57(br s, 1H); 8.49(s, 1H); 8.46(s, 1H); 8.11(t, J=9.4Hz, 1H); 7.88(dd, J=7.3, 11Hz, 1H); 7.77(dd, J=1.7, 7.3Hz, 1H); 7.67(d, J=7.4Hz, 1H); 7.42-7.55(m, 2H); 4.48(s, 2H). 13C NMR(DMSO-d6) ppm : 159.5(d, J=2.5Hz), 154.6(dd, J=14, 255Hz), 154.0(d, J=1.5Hz), 151.5, 149.3(dd, J=14, 250Hz), 145.1(d, J=12Hz), 143.9, 133.9, 132.1, 131.8, 131.4, 130.5, 128.9, 118.0(d, J=4.9Hz), 115.8(d, J=18Hz), 114.6(d, J=20Hz), 32.0. MS(ES): m/z 457.0(M+).
C20H11ClF2N60S의 분석
이론치 : C, 52.58; H, 2.43; Cl, 7.76; N, 18.40; S, 7.02.
실측치 : C, 51.81; H, 2.37; Cl, 7.49; N, 18.04; S, 7.55.
화합물 D-028
3-(2-클로로페닐)-6-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r(118 mg, 0.365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68 mg, 0.402 mmol), K2CO3(56 mg, 0.402 mmol) 및 DMF(2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회색 결정성 고체 103 mg(64%)을 얻었다. 융점: 232.8-233.0℃(탈색).
1H NMR(DMSO-d6) δ: 13.56(br s, 1H); 8.48(s, 1H); 8.44(s, 1H); 7.81-7.86(m, 3H); 7.76(d, J=7.5Hz, 1H); 7.67(d, J=7.5Hz, 1H); 7.40-7.54(m, 2H); 4.48(br s, 2H). 13C NMR(DMSO-d6) ppm : 160.8(d, J=247Hz), 160.2(d, J=3.3Hz), 156.9, 152.3(d, J=1.9Hz), 151.5, 149.7, 144.0, 143.6, 134.1, 132.1, 131.7, 131.5, 130.5, 130.4, 130.2, 128.8, 124.0(d, J=24Hz), 122.0(d, J=8.7Hz), 111.7(d, J=24Hz), 32.0. MS(ES): m/z 439.0(M+).
C20H12ClFN6OS·0.2C2H6O·0.1H2O의 분석
이론치 : C, 54.46; H, 3.00; Cl, 7.88; N, 18.68.
실측치 : C, 54.09; H, 2.73; Cl, 7.80; N, 18.77.
화합물 D-029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이소프로필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벤젠(50 ml) 내의 2-아미노-6-메틸벤조산(1.51 g, 10 mmol)의 교반 용액에 티오닐 클로라이드(2.2 ml, 3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은 환류 하에서 18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일단 냉각하고, 용매는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벤젠(25 ml)으로 2회 스트립핑하였다. 잔류물은 CHCl3(50 ml) 내에 용해시키고, 2-이소프로필아닐린(2.83 ml, 20 mmol)으로 처리하였다. 이어서, 슬러리는 환류하에 3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그 때, TLC(50% EtOAc/헥산)는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냈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반응 혼합물은 실리카 겔의 4 cm 플러그 상부에 쏟아붓고 20% EtOAc/헥산으로 플러싱하였다. 분획을 함유하는 생성물은 연합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은 HOAc(50 ml) 내에 용해시키고, 클로로아세틸 클로 라이드(1.6 ml, 20 mmol)로 처리하고, 혼합물은 환류하에 18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 HOAc는 톨루엔(25 ml)과 함께 공비증류하여 제거하였다. 잔류물은 톨루엔(10 ml)에 용해시키고, 실리카 겔의 4 cm 플러그 상부에 쏟아 붓고, 20% EtOAc/헥산을 통해 플러싱하였다. 분획을 함유하는 생성물은 LCMS(MS(ES): m/z 327(M+))로 확인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백색 포말상 물질로 975 mg(30%)을 얻었다. 백색 포말상 클로라이드(450 mg, 1.36 mmol)은 DMF(10 ml) 내에 용해시키고, 아데닌(275 mg, 2.04 mmol) 및 K2CO3(281 mg, 2.04 mmol)로 처리하고, 혼합물은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이어서, 현탁액은 물 200 ml에 일제히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냉장고에서 30분 동안 냉각하였다. 생성된 고체는 진공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회색 고체 285 mg(49%)을 얻었다. 융점: 258.0-258.2℃.
1H NMR(DMSO-d6) δ: 8.19(s, 1H), 8.09(s, 1H), 7.60(m, 3H), 7.45(m, 2H), 7.23(m, 3H), 5.11(d, J=17.5Hz, 1H), 4.71(d, J=17.5Hz, 1H), 2.68(s, 3H), 2.73(q, J=6.9Hz, 1H), 1.34(d, J=6.8Hz, 3H), 1.13(d, J=6.8Hz, 3H). 13C NMR(DMSO-d6) ppm: 161.9, 156.2, 152.8, 151.6, 150.1, 148.4, 146.1, 142.2, 140.8, 134.3, 133.7, 130.6, 130.0, 129.0, 127.7, 127.6, 125.8, 119.2, 118.4, 44.8, 28.3, 24.4, 23.3, 22.9. MS(ES): m/z 426.4(M+).
C24H23N7O의 분석
이론치 : C, 67.75; H, 5.45; N, 23.04.
실측치 : C, 67.60; H, 5.45; N, 22.82.
화합물 D-030
2-(6-아미노퓨린-9-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벤젠(50 ml) 내의 2-아미노-6-메틸벤조산(1.51 g, 10 mmol)의 교반 용액에 티오닐 클로라이드(2.2 ml, 3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은 환류 하에서 18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일단 냉각하고, 용매는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벤젠(25 ml)으로 2회 스트립핑하였다. 잔류물은 CHCl3(50 ml) 내에 용해시키고, o-톨루이딘(2.13 ml, 20 mmol)으로 처리하였다. 이어서, 슬러리는 환류하에 3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그 때, TLC(50% EtOAc/헥산)는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냈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반응 혼합물은 실리카 겔의 4 cm 플러그 상부에 쏟아붓고 20% EtOAc/헥산으로 플러싱하였다. 분획을 함유하는 생성물은 연합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은 HOAc(50 ml) 내에 용해시키고,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1.6 ml, 20 mmol)로 처리하고, 혼합물은 환류하에 18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 HOAc는 톨루엔(25 ml)과 함께 공비증류하여 제거하였다. 잔류물은 톨루엔(10 ml)에 용해시키고, 실리카 겔의 4 cm 플러그 상부에 쏟아 붓고, 20% EtOAc/헥산을 통해 플러싱하였다. 분획을 함유하는 생성물은 LCMS(MS(ES): m/z 327(M+))로 확인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백색 포말상 물질로 476 mg(16%)을 얻었다. 백색 포말상 클로라이드(470 mg, 1.57 mmol)은 DMF(10 ml) 내에 용해시키고, 아데닌(423 mg, 3.14 mmol) 및 K2CO3(433 mg, 3.14 mmol)로 처리하고, 혼합물은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이어서, 현탁액은 물 200 ml에 일제히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냉장고에서 30분 동안 냉각하였다. 생성된 고체는 진공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회색 고체 123 mg(20%)을 얻었다. 융점: 281.5-282.7℃(분해).
1H NMR(DMSO-d6) δ: 8.07(s, 1H); 8.05(s, 1H); 7.61(t, J=7.8Hz, 1H), 7.48(m, 4H), 7.25(m, 3H), 5.09(d, J=17.4Hz, 1H), 4.76(d, J=17.4Hz, 1H) , 2.73(s, 3H), 2.18(s, 3H). 13C NMR(DMSO-d6) ppm: 161.3, 156.2, 152.8, 151.4, 150.0, 148.5, 142.2, 140.9, 136.1, 135.4, 134.3, 131.7, 130.1, 130.0, 129.0, 128.0, 125.8, 119.2, 118.5, 44.8, 22.9, 17.4. MS(ES): m/z 398.2(M+).
C22H18N7O의 분석
이론치 : C, 66.49; H, 4.82; N, 24.67.
실측치 : C, 66.29; H, 4.78; N, 24.72.
화합물 D-031
3-(2-플루오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벤젠(50 ml) 내의 2-아미노-6-메틸벤조산(1.51 g, 10 mmol)의 교반 용액에 티오닐 클로라이드(2.2 ml, 3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은 환류 하에서 18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일단 냉각하고, 용매는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벤젠(25 ml)으로 2회 스트립핑하였다. 잔류물은 CHCl3(50 ml) 내에 용해시키고, 2-플루오로아닐린(1.93 ml, 20 mmol)으로 처리하였다. 이어서, 슬러리는 환류하에 3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그 때, TLC(50% EtOAc/헥산)는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냈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반응 혼합물은 실리카 겔의 4 cm 플러그 상부에 쏟아붓고 20% EtOAc/헥산으로 플러싱하였다. 분획을 함유하는 생성물은 연합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은 HOAc(50 ml) 내에 용해시키고,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1.6 ml, 20 mmol)로 처리하고, 혼합물은 환류하에 18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 HOAc는 톨루엔(25 ml)과 함께 공비증류하여 제거하였다. 잔류물은 톨루엔(10 ml)에 용해시키고, 실리카 겔의 4 cm 플러그 상부에 쏟아 붓고, 20% EtOAc/헥산을 통해 플러싱하였다. 분획을 함유하는 생성물은 LCMS(MS(ES): m/z 327(M+))로 확인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백색 포말상 물질로 1.12 g(37%)을 얻었다. 백색 포말상 클로라이드(455 mg, 1.50 mmol)는 DMF(10 ml) 내에 용해시키고, 6-머캅토퓨린 1수화물(510 mg, 3.0 mmol) 및 K2CO3(414 mg, 3.0 mmol)로 처리하고, 혼합물은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이어서, 현탁액은 물 200 ml에 일제히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냉장고에서 30분 동안 냉각하였다. 생성된 고체는 진공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회색 고체 487 mg(77%)을 얻었다. 융점: 151.9-152.2℃.
1H NMR(DMSO-d6) δ: 8.48(s, 1H), 8.44(s, 1H), 7.70(m, 2H), 7.48(m, 2H), 7.33(m, 3H), 4.55(d, J=15.1Hz, 1H), 4.48(d, J=15.1Hz, 1H), 2.73(s, 3H). 13C NMR(DMSO-d6) ppm: 161.3, 157.8(d, J=249.1Hz), 156.9, 152.8, 151.5, 149.6, 148.6, 143.6, 140.9, 134.7, 131.9(d, J=8.0Hz), 131.4, 130.2,, 125.6(d, J=3.6Hz), 125.5, 124.4(d, J=13.5Hz), 118.8, 116.6(d, J=19.6Hz), 56.4, 22.9. MS(ES): m/z 419.5(M+).
C21H15FN60S·0.15C2H6O의 분석
이론치 : C, 60.14; H, 3.77; F, 4.47; N, 19.76; S, 7.54.
실측치 : C, 59.89; H, 3.88; F, 4.42; N, 19.42; S, 7.23.
화합물 D-032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o-톨릴-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j(200 mg, 0.626 mmol), 아데닌(93 mg, 0.689 mmol), K2CO3(95 mg, 0.689 mmol) 및 DMF(3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메탄올/CH2Cl2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회색 고체 101 mg(39%)을 얻었다. 융점: 262.0-266.5℃(탈색).
1H NMR(DMSO-d6) δ: 8.08(s, 1H); 8.07(s, 1H); 7.70(t, J=8.0Hz, 1H); 7.58(dd, J=0.6, 7.9Hz, 1H); 7.43-7.57(m, 4H); 7.36(dd, J=0.7, 8.0Hz, 1H); 7.26(br s, 2H); 5.12(d, J=18Hz, 1H); 4.78(d, J=18Hz, 1H); 2.20(s, 3H). 13C NMR(DMSO-d6) ppm : 158.7, 156.2, 152.9, 152.7, 150.0, 149.4, 142.1, 136.1, 135.1, 135.0, 133.2, 131.8, 130.3, 130.1, 128.9, 128.1, 127.2, 118.5, 117.9, 44.9, 17.4. MS(ES): m/z 418.1(M+).
C21H16ClN7O·0.1H2O·0.05KCl의 분석
이론치 : C, 59.57; H, 3.86; Cl, 8.79; N, 23.16.
실측치 : C, 59.65; H, 3.80; Cl, 8.70; N, 22.80.
화합물 D-033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메톡시페닐)-3H-퀴나졸린-4-온
중간체 2l(250 mg, 0.746 mmol), 아데닌(111 mg, 0.821 mmol), K2CO3(113 mg, 0.821 mmol) 및 DMF(4 ml)를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은 메탄올/CH2Cl2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고,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갈색 고체 124 mg(38%)을 얻었다. 융점: 257.0-257.1℃.
1H NMR(DMSO-d6) δ: 8.06(s, 1H); 8.01(s, 1H); 7.71(t, J=8.0Hz, 1H); 7.57(dd, J=0.9, 7.9Hz, 1H); 7.52-7.59(m, 1H); 7.50(dd, J=1.6, 7.8Hz, 1H); 7.38(dd, J=1.1, 8.2Hz, 1H); 7.27(dd, J=0.6, 8.3Hz, 1H); 7.24(br s, 2H); 7.17(dt, J=0.9, 7.6Hz, 1H); 5.07(d, J=17Hz, 1H); 4.97(d, J=17Hz, 1H); 3.79(s, 3H). 13C NMR(DMSO-d6) ppm: 158.8, 156.2, 154.7, 153.2, 152.8, 150.1, 149.3, 142.0, 135.1, 133.2, 131.8, 130.1, 130.1, 127.2, 123.8, 121.6, 118.4, 117.9, 113.1, 56.2, 44.8. MS(ES): m/z 434.0(M+).
C21H16ClN7O2·0.5H2O·0.04KCl의 분석
이론치 : C, 56.57; H, 3.84; Cl, 8.27; N, 21.99.
실측치 : C, 56.29; H, 3.75; C1, 8.21; N, 21.61.
하기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상기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으며, 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특정 구체예를 추가로 예시하는 것이다:
3-(2,6-디클로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034);
3-(2-이소프로필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035);
3-(2-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036);
3-벤질-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037);
3-부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038);
3-모르폴린-4-일-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아세트산 염(D-039);
3-(3-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040);
3-(3-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041);
2-(9H-퓨린-6-일설파닐메틸)-3-피리딘-4-일-3H-퀴나졸린-4-온(D-042);
3-벤질-5-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043);
3-(4-메틸피페라진-1-일)-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아세테이트 염(D-044);
[5-플루오로-4-옥소(9H-퓨린-6-일설파닐메틸)-4H-퀴나졸린-3-일]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D-045);
3-(2-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046);
3-(2-메톡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047);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플루오로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D-048);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벤질-5-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D-049);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부틸-3H-퀴나졸린-4-온(D-050);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모르폴린-4-일-3H-퀴나졸린-4-온, 아세테이트 염(D-051); 및
3-(4-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052).
본 발명의 추가의 화합물은 후술하는 합성 과정에 의해 제조하였다.
하기 중간체는 상기 과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33435717-pct00026
3a R=시클로프로필
3b R=시클로프로필메틸
3c R=페네틸
3d R=시클로펜틸
3e R=3-(2-클로로)피리딜
3f R=4-(2-메틸)벤조산
3g R=4-니트로벤질
3h R=시클로헥실
3i R=E-(페닐)시클로프로필
중심 구조가 하기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추가의 화합물(D-053 내지 D-070)은 후술하는 실험 섹션에서 논의한다. 모두는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중심 구조
Figure 112007033435717-pct00027
화합물 번호 R R'
D-053 시클로프로필 C
D-054 시클로프로필메틸 B
D-055 시클로프로필메틸 A
D-056 시클로프로필메틸 C
D-057 페네틸 B
D-058 페네틸 C
D-059 시클로펜틸 B
D-060 시클로펜틸 A
D-061 3-(2-클로로)피리딜 B
D-062 3-(2-클로로)피리딜 A
D-063 4-(2-메틸)벤조산 B
D-064 시클로프로필 B
D-065 시클로프로필 A
D-066 4-니트로벤질 B
D-067 시클로헥실 B
D-068 시클로헥실 A
D-069 시클로헥실 C
D-070 E-(2-페닐)시클로프로필 B
Figure 112007033435717-pct00028
Figure 112007033435717-pct00029
Figure 112007033435717-pct00030
2-(2-아미노-9h-퓨린-6-일설파닐메틸)-3-시클로프로필-5-메틸-3h-퀴나졸린-4-온(d-053)
3a(100 mg, 0.4 mmol), 2-아미노-6-머캅토퓨린(80 mg, 0.48 mmol) 및 K2CO3(77 mg, 0.56 mmol)을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H2 O로부터 분쇄하여 정제하였다.
1H NMR(DMSO-d6) δ: 7.89(d, J=0.9Hz, 1H); 7.54(t, J=7.4Hz, 1H); 7.34(d, J=8.1Hz, 1H); 7.19(d, J=7.2Hz, 1H); 6.28(s, 2H); 4.94(s, 2H); 2.70(s, 3H); 1.24(d, J=6.5Hz, 2H); 0.91(s, 2H). MS(ES): m/z 380(M+H), 190.
3-시클로프로필메틸-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054)
3b(300 mg, 1.14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214 mg, 1.26 mmol) 및 K2CO3(189 mg, 1.37 mmol)을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H2 O로부터 분쇄한 후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정제하였다.
1H NMR(DMSO-d6) δ: 13.60(br s, 1H); 8.72(s, 1H); 8.48(s, 1H); 7.63(t, J=7.8Hz, 1H); 7.42(d, J=8.0Hz, 1H); 7.28(d, J=7.3Hz, 1H); 5.01(s, 2H); 4.11(d, J=6.8Hz, 2H); 2.78(s, 3H); 1.35(quint, J=6.2Hz, 1H); 0.44-0.59(m, 4H). MS(ES): m/z 379(M+H), 325.
2-(6-아미노퓨린-9-일메틸)-3-시클로프로필메틸-5-메틸-3H-퀴나졸린-4-온(D-055)
3b(300 mg, 1.14 mmol), 아데닌(170 mg, 1.26 mmol) 및 K2CO3(189 mg, 1.37 mmol)을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H2O로부터 분쇄한 후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정제하였다.
1H NMR(DMSO-d6) δ: 8.21(s, 1H); 8.10(s, 1H); 7.52(t, J=7.7Hz, 1H); 7.18-7.31(m, 3H); 7.06(d, J=8.1Hz, 1H); 5.68(s, 2H); 4.14(d, J=6.8Hz, 2H); 2.77(s, 3H); 1.34(quint, J=6.4Hz, 1H); 0.45-0.60(m, 4H). MS(ES): m/z 362(M+H), 308.
2-(2-아미노-9H-퓨린-6-일설파닐메틸)-3-시클로프로필메틸-5-메틸-3H-퀴나졸린-4-온(D-056)
3b(280 mg, 1.1 mmol), 2-아미노-6-머캅토퓨린(200 mg, 1.2 mmol) 및 K2CO3(180 mg, 1.3 mmol)을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메탄올로부터 분쇄하여 정제하였다.
1H NMR(DMSO-d6) δ: 12.70(br s, 1H); 7.95(s, 1H); 7.64(t, J=7.8Hz, 1H); 7.44(d, J=7.9Hz, 1H); 7.28(d, J=7.4Hz, 1H); 6.41(s, 2H); 4.91(s, 2H); 4.05(d, J=6.8Hz, 2H); 2.78(s, 3H); 1.26-1.43(m, 1H); 0.36-0.56(m, 4H). MS(ES): m/z 394(M+H), 340.
5-메틸-3-페네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057)
3c(750 mg, 2.4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442 mg, 2.6 mmol) 및 K2CO3(398 mg, 2.9 mmol)을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H2 O로부터 분쇄하여 정제하였다.
1H NMR(DMSO-d6) δ: 13.61(s, 1H); 8.71(s, 1H); 8.48(s, 1H); 7.65(t, J=7.7Hz, 1H); 7.44(d, J=7.9Hz, 1H); 7.16-7.35(m, 6H); 4.89(s, 2H); 4.29(br t, J=7.9Hz, 2H); 3.08(br t, J=7.8Hz, 2H); 2.81(s, 3H). MS(ES): m/z 429(M+H), 105.
2-(2-아미노-9H-퓨린-6-일설파닐메틸)-5-메틸-3-페네틸-3H-퀴나졸린-4-온(D-058)
3c(750 mg, 2.4 mmol), 2-아미노-6-머캅토퓨린(435 mg, 2.6 mmol) 및 K2CO3(398 mg, 2.9 mmol)을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H2 O로부터 분쇄하여 정제하였다.
1H NMR(DMSO-d6) δ: 12.61(s, 1H); 7.95(s, 1H); 7.65(t, J=7.7Hz, 1H); 7.45(d, J=7.9Hz, 1H); 7.14-7.32(m, 6H); 6.44(s, 2H); 4.81(s, 2H); 4.24(br t, J=7.9Hz, 2H); 3.04(br t, J=7.8Hz, 2H); 2.81(s, 3H). MS(ES): m/z 444(M+H), 340.
3-시클로펜틸-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059)
3d(100 mg, 0.36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73 mg, 0.43 mmol) 및 K2CO3(100 mg, 0.72 mmol)을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정제하였다.
1H NMR(DMSO-d6) 13.62(br s, 1H); 8.77(s, 1H); 8.48(s, 1H); 7.62(t, J=7.7Hz, 1H); 7.42(d, J=7.8Hz, 2H); 7.26(d, J=7.4Hz, 1H); 5.03(s, 2H); 4.80(quint, J=8.0Hz, 1H); 2.76(s, 3H); 2.12-2.31(m, 2H); 1.79-2.04(m, 4H); 1.44-1.58(m, 2H). MS(ES): m/z 393(M+H), 325.
2-(6-아미노퓨린-9-일메틸)-3-시클로펜틸-5-메틸-3H-퀴나졸린-4-온(D-060)
3d(100 mg, 0.36 mmol), 아데닌(58 mg, 0.43 mmol) 및 K2CO3(100 mg, 0.72 mmol)을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정제하였다.
1H NMR(DMSO-d6) 8.15(s, 1H); 8.11(s, 1H); 7.52(t, J=7.7Hz, 1H); 7.16-7.31(m, 3H); 7.10(d, J=8.0Hz, 2H); 5.68(s, 2H); 4.78(quint, J=8.3Hz, 1H);.2.74(s, 3H); 2.09- 2.32(m, 2H); 1.86-2.04(m, 2H); 1.68-1.86(m, 2H); 1.43-1.67(m, 2H). MS(ES): m/z 376(M+H), 308, 154.
3-(2-클로로-피리딘-3-일)-5-메틸-2-(9H-퓨린-6-일설파닐)-3H-퀴나졸린-4-온(D-061)
3e(500 mg, 1.6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289 mg, 1.7 mmol) 및 K2CO3(262 mg, 1.9mmol)을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H2 O로부터 분쇄하여 정제하였다.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피리딘-3-일)-5-메틸-3H-퀴나졸린-4-온(D-062)
3e(500 mg, 1.6 mmol), 아데닌(230 mg, 1.7 mmol) 및 K2CO3(262 mg, 1.9 mmol)을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H2O로부터 분쇄하여 정제하였다.
1H NMR(DMSO-d6) δ: 8.59(dd, J=1.7, 4.8Hz, 1H); 8.22(dd, J=1.7, 7.8Hz, 1H): 8.025(s, 1H); 8.017(s, 1H); 7.60-7.72(m, 2H); 7.35(t, J=8.2Hz, 2H); 7.22(s, 2H); 5.12(d, J=17.0Hz, 1H); 5.02(d, J=17.0Hz, 1H); 2.72(s, 3H). MS(ES): m/z 419(M+H).
3-메틸-4-[5-메틸-4-옥소-2-(9H-퓨린-6-일설파닐메틸)-4H-퀴나졸린-3-일]-벤조산(D-063)
3f(400 mg, 1.17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219 mg, 1.29 mmol) 및 K2CO3(226 mg, 1.64 mmol)을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정제하였다.
1H NMR(DMSO-d6) δ: 13.54.(br s, 1H); 8.44(s, 1H); 8.42(s, 1H); 7.80(s, 2H); 7.71(t, J=7.7Hz, 1H); 7.59(d, J=8.6Hz, 1H); 7.52(d, J=7.9Hz, 1H); 7.34(d, J=7.4Hz, 1H); 4.46(d, J=15.4Hz, 1H); 4.34(d, J=15.7Hz, 1H); 3.17(d, J=4.4Hz, 1H); 2.73(s, 3H); 2.17(s, 3H). MS(ES): m/z 459(M+H).
3-시클로프로필-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064)
3a(100 mg, 0.40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90 mg, 0.53 mmol) 및 K2CO3(97 mg, 0.7 mmol)을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H2 O로부터 분쇄하여 정제하였다.
1H NMR(DMSO-d6) δ: 8.69(d, J=0.8Hz, 1H); 8.47(s, 1H); 7.57(d, J=7.9Hz, 1H); 7.37(d, J=8.1Hz, 1H); 7.23(d, J=7.3Hz, 1H); 5.08(s, 2H); 3.06-3.18(m, 1H); 2.74(s, 3H); 1.14-1.36(m, 2H); 0.92-1.06(m, 2H).
2-(6-아미노퓨린-9-일메틸)-3-시클로프로필-5-메틸-3H-퀴나졸린-4-온( D-065)
3a(100 mg, 0.40 mmol), 아데닌(94 mg, 0.7 mmol) 및 K2CO3(121 mg, 0.88 mmol)을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H2O로부터 분쇄하여 정제하였다.
1H NMR(DMSO-d6) δ: 8.19(d, J=0.9Hz, 1H); 8.09(d, J=1.0Hz, 1H); 7.48(t, J=7.8Hz, 1H); 7.13-7.29(m, 3H); 7.04.(d, J=8.1Hz, 1H); 5.74(s, 2H); 3.00-3.13(m, 1H); 2.73(s, 3H); 1.18-1.38(m, 2H); 0.94-1.09(m, 2H).
5-메틸-3-(4-니트로벤질)-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066)
3g(200 mg, 0.58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148 mg, 0.87 mmol) 및 K2CO3(160 mg, 1.16 mmol)을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메탄올로부터 분쇄하여 정제하였다.
1H NMR(DMSO-d6) δ: 13.44(br s, 1H); 8.50(s, 1H); 8.31(s, 1H); 8.03(d, J=8.6Hz, 2H); 7.58(t, J=7.9Hz, 1H); 7.37(d, J=8.3Hz, 3H); 7.22(d, J=7.5Hz, 1H); 5.44(s, 2H); 4.70(s, 2H); 2.66(s, 3H). MS(ES): m/z 460(M+H).
3-시클로헥실-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067)
3h(150 mg, 0.52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97 mg, 0.57 mmol) 및 K2CO3(86 mg, 0.62 mmol)을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메탄올로부터 분쇄하여 정제하였다.
1H NMR(DMSO-d6) δ: 13.66(br s, 1H); 8.82(s, 1H); 8.50(s, 1H); 7.62(t, J=7.7Hz, 1H); 7.42(d, J=8.0Hz, 1H); 7.26(d, J=7.3Hz, 1H); 5.01(s, 2H); 4.11(br s, 1H); 2.75(s, 3H); 2.38-2.65(m, 2H); 1.58-1.90(m, 4H); 1.37-1.57(m, 1H); 0.71-1.26(m, 3H). MS(ES): m/z 407(M+H), 325.
2-(6-아미노퓨린-9-일메틸)-3-시클로헥실-5-메틸-3H-퀴나졸린-4-온(D-068)
3h(150 mg, 0.52 mmol), 아데닌(77 mg, 0.57 mmol) 및 K2CO3(86 mg, 0.62 mmol)을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메탄올로부터 분쇄하여 정제하였다.
1H NMR(DMSO-d6) δ: 8.15(s, 2H); 7.54(t, J=7.9Hz, 1H); 7.06-7.35(m, 4H); 5.65(s, 2H); 4.09(br s, 1H); 2.73(s, 3H); 1.411.90(m, 6H); 0.99-1.34(m, 4H). MS(ES): m/z 390(M+H), 308.
2-(2-아미노-9H-퓨린-6-일설파닐메틸)-3-시클로헥실-5-메틸-3H-퀴나졸린-4-온(D-069)
3h(150 mg, 0.52 mmol), 2-아미노-6-머캅토퓨린(95 mg, 0.57 mmol) 및 K2CO3(86 mg, 0.62 mmol)을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역상 HPLC(C18 루나 컬럼, 4.6 x 250 mm, 4.7 ml/분, 15분에 걸쳐 10-75% 아세토니트릴/물, 18분에 100% 아세토니트릴, 220에서 검출기)로 정제하였다.
MS(ES): m/z 422(M+H).
5-메틸-3-(E-2-페닐-시클로프로필)-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070)
3i 및 6-머캅토퓨린 1수화물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역상 HPLC(C18 루나 컬럼, 4.6 x 250 mm, 4.7 ml/분, 15분에 걸쳐 10-75% 아세토니트릴/물, 18분에 100% 아세토니트릴, 220λ에서 검출기)로 정제하였다.
MS(ES): m/z 441
본 발명의 추가의 화합물 D-071 내지 D-118은 다음 합성 경로에 따라 합성하 였다:
Figure 112007033435717-pct00031
과정 D:
아미드 4a 및 4b, FMOC-글리실-클로라이드 및 빙초산의 혼합물은 120℃에서 1 내지 4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은 진공 하에서 농축하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보호되고, 고리화된 아민을 얻었다. 이 물질은 10 당량의 옥탄티올 및 촉매량의 THF중 DBU와 합하고, LCMS에 의해 출발 물질의 소비가 표시될 때까지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은 플래시 컬럼(CH2Cl2에서 평형처리함)에 직접 쏟아 붓고, 0-5% 메탄올/CH2Cl2로 용출하여 유리 아민 5a 또는 5b를 얻었다. 화합물 5c는 FMOC-글리실 클로라이드 대신에 (±) FMOC-알라닐-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과정 E:
동일한 몰량의 5a 또는 5b, 적합한 6-클로로퓨린 및 DIEA는 소량의 바이알에서 에탄올과 합하고, 80℃로 가열하였다. 반응은 LCMS로 규칙적으로 모니터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정제하였다.
과정 F:
아미드 4b, 아세톡시아세틸 클로라이드, 및 빙초산의 혼합물은 120℃까지 가열하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된 반응물은 여과하고, 고체는 CH2Cl2로 세척하여 고리화된 아세테이트를 백색 고체로 얻었다. 이 물질은 수성 메탄올 내에서 K2CO3와 합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진공 하에서 농축하였다. 생성된 고체는 H2O로부터 분쇄하여 백색 고체로 6a를 얻었다.
Figure 112007033435717-pct00032
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2-[(9H-퓨린-6-일아미노)메틸]-3H-퀴나졸린-4-온(D-072)
에탄올 1 ml 중에서 5b(50 mg, 0.165 mmol) 및 6-클로로퓨린(26 mg, 0.165 mmol)를 이용하고 과정 E에 따라 제조하였다. 5일 후, 반응물은 HPLC역상 HPLC(C18 루나 컬럼, 4.6 x 250 mm, 4.7 ml/분, 15분에 걸쳐 10-75% 아세토니트릴/물, 18분에 100% 아세토니트릴, 220λ에서 검출기)로 정제하였다.
1H NMR (DMSO-d6) δ: 12.99(br s, 1H); 8.14(br s, 1H); 8.12(s, 1H); 7.85(dt, J=5.7, 8.1Hz, 1H); 7.68-7.79(m, 3H); 7.57(t, J=6.2Hz, 1H); 7.57(d, J=7.7Hz, 1H); 7.50(d, J=8.1Hz, 1H); 7.35(dd, J=8.4, 10.7Hz, 1H); 4.15-4.55(m, 2H). MS(ES): m/z 422(M+H), 211.
Figure 112007033435717-pct00033
2-[(2-아미노-9H-퓨린-6-일아미노)메틸]-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D-074)
1 ml 에탄올 내에서 5b(50 mg, 0.165 mmol) 및 2-아미노-6-클로로퓨린(28 mg, 0.165 mmol)를 이용하고, 과정 E에 따라 제조하였다. 5일 후, 반은 혼합물은 HPLC(C18 루나 컬럼, 4.6 x 250 mm, 4.7 ml/분, 15분에 걸쳐 10-75% 아세토니트릴/물, 18분에 100% 아세토니트릴, 220λ에서 검출기)로 정제하였다.
1H NMR (DMSO-d6) δ: 12.13(br s, 1H); 7.86(dt, J=5.6, 8.2Hz, 1H); 7.76-7.83(m, 2H); 7.68(br s, 1H); 7.61(t, J=5.7Hz, 1H); 7.61(d, J=7.2Hz, 1H); 7.53(d, J=8.2Hz, 1H); 7.35(dd, J=8.2, 10.9Hz, 1H); 5.66(br s, 2H); 4.16-4.50(m, 1H); 4.09(q, J=5.3Hz, 2H). MS(ES): m/z 437(M+H), 219.
Figure 112007033435717-pct00034
5-메틸-2-[(9H-퓨린-6-일아미노)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071)
6-클로로퓨린(11 mg, 0.072 mmol) 및 5a(20 mg, 0.072 mmol)을 이용하고, 과정 E에 따라 제조하였다. 5일 후, 반응물은 물로 급랭하고, 생성된 현탁액은 여과하였다. 고체는 HPLC(C18 루나 컬럼, 4.6 x 250 mm, 4.7 ml/분, 15분에 걸쳐 10- 75% 아세토니트릴/물, 18분에 100% 아세토니트릴, 220λ에서 검출기)로 정제하였다.
1H NMR (DMSO-d6) δ: 12.98(br s, 1H); 8.14(br s, 1H); 8.10(s, 1H); 7.58-7.79(m, 2H); 7.37-7.48(m, 4H); 7.26-7.36(m, 2H); 3.93-4.39(m, 2H); 2.75(s, 3H); 2.18(s, 3H). MS(ES): m/z 398(M+H), 199.
Figure 112007033435717-pct00035
2-[(2-아미노-9H-퓨린-6-일아미노)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073)
3 ml 에탄올 내에서 5a(189 g, 0.677 mmol) 및 2-아미노-6-클로로퓨린(115 mg, 0.677 mmol)를 이용하고, 과정 E에 따라 제조하였다. 3일 후, 반응물을 여과하여 과량의 퓨린을 제거하고, 여과물은 HPLC(C18 루나 컬럼, 4.6 x 250 mm, 4.7 ml/분, 15분에 걸쳐 10-75% 아세토니트릴/물, 18분에 100% 아세토니트릴, 220λ에서 검출기)로 정제하여 TFA 염으로 생성물 7 mg을 얻었다.
1H NMR (DMSO-d6) δ: 8.88(br s, 1H); 8.21(s, 1H), 7.71(t, J=7.7Hz, 1H); 7.45-7.56(m, 2H); 7.38-7.44(m, 3H); 7.35(d, J=7.5Hz, 1H); 7.30(br s, 1H); 4.40(dd, J=4.5, 17.5Hz, 1H); 4.27(dd, J=5.3, 17.4Hz, 1H); 2.75(s, 3H); 2.09(s, 3H). MS(ES): m/z 413(M+H), 207, 163.
Figure 112007033435717-pct00036
2-[(2-플루오로-9H-퓨린-6-일아미노)메틸]-5-메틸-3-o-톨리-3H-퀴나졸린-4-온(D-076)
1 ml 에탄올 내에서 5a(20 mg, 0.072 mmol) 및 2-플루오로-6-클로로퓨린(16 mmol, 0.094 mmol)을 이용하고, 과정 E에 따라 제조하였다. 18시간 후, 반응물은 HPLC(C18 루나 컬럼, 4.6 x 250 mm, 4.7 ml/분, 15분에 걸쳐 10-75% 아세토니트릴/물, 18분에 100% 아세토니트릴, 220λ에서 검출기), 이어서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생성물 14 mg을 얻었다.
1H NMR (DMSO-d6) δ: 13.12(br s, 1H); 8.40(br s, 1H); 8.15(s, 1H); 7.66(t, J=7.7Hz, 1H); 7.35-7.49(m, 4H); 7.31(d, J=7.2Hz, 1H); 4.00-4.22(m, 2H); 3.17(s, 1H); 2.74(s, 3H); 2.18(s, 3H). MS(ES): m/z 416(M+H), 208.
Figure 112007033435717-pct00037
(2-클로로페닐)-디메틸아미노-(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조린-4-온(D-075)
DMF(2 ml) 내에서 D-015(100 mg, 0.228 mmol)과 수산화 암모늄(28-30%, 1 ml)를 연합하고, 80℃에서 가열하였다. 2일 후, 반응물은 HPLC(C18 루나 컬럼, 4.6 x 250 mm, 4.7 ml/분, 15분에 걸쳐 10-75% 아세토니트릴/물, 18분에 100% 아세토니트릴, 220λ에서 검출기)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 생성물(~2 mg)을 얻었다.
1H NMR (DMSO-d6) δ: 13.52(br s, 1H); 8.46(s, 1H); 8.42(s, 1H); 7.69(dd, J=2.1, 7.3Hz, 1H); 7.62(dd, J=1.6, 7.6Hz, 1H); 7.61(t, J=8.0Hz, 1H); 7.37-7.48(m, 2H); 7.05(d, J=7.9Hz, 1H); 6.96(d, J=7.8Hz, 1H); 4.32-4.45(m; 2H); 2.80(s, 6H). MS(ES): m/z 464(M+H), 232.
Figure 112007033435717-pct00038
5-(2-벤질옥시에톡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078)
DMF(1.0 ml) 내의 2-벤질옥시에탄올(0.3 ml) 용액에 NaH(50 mg, 2.08 mmol)를 첨가하였다. 5분 동안 교반한 후, 무수 DMF(0.75 ml) 중의 IC-87185(50 mg, 0.114 mmol) 용액에 0.5 m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은 50℃로 가열하고, 3일 동안 교반하였다. HPLC(C18 루나 컬럼, 4.6 x 250 mm, 4.7 ml/분, 15분에 걸쳐 10-75% 아세토니트릴/물, 18분에 100% 아세토니트릴, 220λ에서 검출기)로 정제하여 불균일 고체로서 생성물(150 ㎍)을 얻었다.
MS(ES): m/z 571(M+H), 481.
Figure 112007033435717-pct00039
6-아미노퓨린-9-카르복실산 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4-옥소-3,4-디히드로-퀴나졸린-2-일메틸 에스테르(D-079)
CH2Cl2(500 ㎕) 내의 3b(20 mg, 0.066 mmol) 용액에 포스겐(2M/톨루엔, 36 ㎕, 0.072 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아데닌(10 mg, 0.072 mmol) 및 DIEA(25 ㎕, 0.14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은 실온까지 가열하고, 8일 동안 교반하였다. HPLC(C18 루나 컬럼, 4.6 x 250 mm, 4.7 ml/분, 15분에 걸쳐 10-75% 아세토니트릴/물, 18분에 100% 아세토니트릴, 220λ에서 검출기)로 정제하여 혼합물로서 생성물을 얻었다.
1H NMR (DMSO-d6) δ: 11.04(br s, 1H); 8.61(s, 1H); 8.40(s, 1H); 7.85-7.95(m, 1H); 7.76(dd, J=5.4, 9.6Hz, 1H); 7.70-7.78(m, 1H); 7.52-7.63(m, 3H); 7.38(dt, J=8.3, 10.6Hz, 1H); 4.76-4.89(m, 2H). MS(ES): m/z 466(M+H), 331, 305.
Figure 112007033435717-pct00040
N-[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4-옥소-3,4-디히드로-퀴나졸린-2-일메틸]-2-(9H-퓨린-6-일설파닐)아세트아미드(D-077)
플라스크 내에서 (9H-퓨린-6-일설파닐)-아세트산(63 mg, 0.296 mmol), 5b(108 mg, 0.355 mmol), EDC(68 mg, 0.355 mmol), HOBT(48 mg, 0.355 mmol), DIEA(62 ㎕, 0.355 mmol) 및 DMF(1 ml)를 연합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룸은 EtOAc(20 ml)로 희석하고, 희석 염수(2 x 13 ml)로 세척하였다. 유 기 상은 진공 하에서 농축하고, 5% 메탄올/CH2Cl2 내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점성의, 복숭아색 포말상 물질로 생성물 91 mg을 얻었다.
1H NMR (DMSO-d6) δ: 12.88(br s, 1H); 8.72(s, 1H); 8.62(t, J=5.0Hz, 1H); 8.49(s, 1H); 7.88(dt, J=5.6, 8.2Hz, 1H); 7.73-7.78(m, 1H); 7.67-7.72(m, 1H); 7.57-7.65(m, 2H); 7.38(d, J=8.1Hz, 1H); 7.36(dd, J=8.3, 11.1Hz, 1H); 4.11-4.24(m, 2H); 3.96(dd, J=5.0, 17.4Hz, 1H); 3.78(dd, J=5.2, 17.4Hz, 1H). MS(ES): m/z 496(M+H), 248.
Figure 112007033435717-pct00041
2-[1-(2-플루오로-9H-퓨린-6-일아미노)에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080)
1.2 ml 에탄올 내에서 5c(50 mg, 0.17 mmol) 및 2-플루오로-6-클로로퓨린(35 mg, 0.204 mmol)을 이용하고, 과정 E에 따라 제조하였다. HPLC(C18 루나 컬럼, 4.6 x 250 mm, 4.7 ml/분, 15분에 걸쳐 10-75% 아세토니트릴/물, 18분에 100% 아세토니트릴, 220λ에서 검출기)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 2개의 아트로프이성질체를 얻었다. 이들중 하나의 데이타는 다음과 같다:
1H NMR (DMSO-d6) δ: 8.48(br d, J=6.4Hz, 1H); 8.17(s, 1H); 7.69(t, J=7.8Hz, 1H); 7.53(d, J=7.8Hz, 1H); 7.44(d, J=7.8Hz, 2H); 7.33(d, J=7.2Hz, 2H); 7.07(br t, J=7.2Hz, 1H); 4.80(br t, J=6.8Hz, 1H); 2.74(s, 3H); 2.09(s, 3H); 1.38(d, J=6.7Hz, 3H). MS(ES): m/z 430(M+H), 215.
Figure 112007033435717-pct00042
5-메틸-2-[1-(9H-퓨린-6-일아미노)에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081)
1.2 ml 에탄올 내에서 5c(50 mg, 0.17 mmol) 및 6-클로로퓨린(32 mg, 0.204 mmol)을 이용하고, 과정 E에 따라 제조하였다. HPLC(C18 루나 컬럼, 4.6 x 250 mm, 4.7 ml/분, 15분에 걸쳐 10-75% 아세토니트릴/물, 18분에 100% 아세토니트릴, 220λ에서 검출기)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 2개의 아트로프이성질체를 얻었다. 이들 중 하나의 자료는 다음과 같다:
1H NMR (DMSO-d6) δ: 8.39(br s, 1H); 8.34(s, 1H); 8.18(s, 1H); 7.71(t, J=7.7Hz, 1H); 7.56(d, J=7.9Hz, 1H); 7.49(d, J=6.9Hz, 1H); 7.28-7.43(m, 3H); 7.20(br s, 1H); 5.06(br s, 1H); 2.73(s, 3H); 2.04(s, 3H); 1.51(d, J=6.6Hz, 3H). MS(ES): m/z 412(M+H), 206.
Figure 112007033435717-pct00043
본 발명의 하기 화합물(D-082 내지 D-109)는 DMF(0.25 ml) 내에서 2-클로로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10 mg), 적합한 친핵체 XH(20 mg, 과량) 및 탄산 칼륨(10 mg)을 이용하고,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으며, 물로 급랭하고, 미정제 고체 생성물은 여과로 수집하고, 공기 건조하였다. 미정제 물질은 DMSO 0.5 ml 내에 용해시키고, 역상 HPLC(C18 루나 컬럼, 4.6 x 250 mm, 4.7 ml/분, 15분에 걸쳐 10-75% 아세토니트릴/물, 18분에 100% 아세토니트릴, 220λ에서 검출기)로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을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최종 생성물을 얻었다.
2-(6-디메틸아미노퓨린-9-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조린-4-온(D-082)
Figure 112007033435717-pct00044
수득량: 8.1 mg.
1H NMR (300MHz, d6-DMSO) δ: 8.13(s, 1H), 8.11(s, 1H), 7.60(t, J=7.8Hz, 1H), 7.54-7.38(m, 4H), 7.30(d, J=7.4Hz, 1H), 7.20(d, J=8.1Hz, 1H), 5.11(d, J=17.4Hz, 1H), 4.76(d, J=17.4Hz, 1H), 3.33(s, 6H), 2.73(s, 3H), 2.20(s, 3H). LRMS(ES+) m/z = 426(M+1).
5-메틸-2-(2-메틸-6-옥소-1,6-디히드로-퓨린-7-일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083)
Figure 112007033435717-pct00045
수득량: 3.3 mg.
1H NMR (300MHz, d6-DMSO) δ: 12.06(s, 1H), 8. 12(s, 1H), 7.60(t, J=7.8Hz, 1H), 7.55-7.38(m, 4H), 7.30(d, J=7.4Hz, 1H), 7.15(d, J=7.9Hz, 1H), 5.26(d, J=17.4Hz, 1H), 4.94(d, J=17.4Hz, 1H), 2.73(s, 3H), 2.32(s, 3H), 2.24(s, 3H). LRMB(ES+) m/z = 413(M+1).
5-메틸-2-(2-메틸-6-옥소-1,6-디히드로-퓨린-9-일메틸)-3-o-톨릴-3H- 퀴나졸린-4-온(D-084)
Figure 112007033435717-pct00046
동일한 반응 혼합물로부터 D-083으로 정제하였다.
1H NMR (300MHz, d6-DMSO) δ: 12.17(s, 1H), 7.96(s, 1H), 7.63(t, J=7.8Hz, 1H), 7.57-7.39(m, 4H), 7.32(d, J=7.4Hz, 1H), 7.26(d, J=8,1Hz, 1H), 5.08(d, J=17.2Hz, 1H), 4.70(d, J=17.2Hz, 1H), 2.73(5, 3H), 2.27(s, 3H), 2.17(s, 3H). LRMS(ES+) m/z = 413(M+1).
2-(아미노-디메틸아미노퓨린-9-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085)
Figure 112007033435717-pct00047
수득량: 6.7 mg.
1H NMR (300MHz, d6-DMSO) δ: 7.66(s, 1H), 7.61(d, J=7.8Hz, 1H), 7.55-7.40(m, 4H), 7.32-7.26(m, 2H), 6.74(s, 2H), 4.94(d, J=17.2Hz, 1H), 4.63(d, J=17.2Hz, 1H), 4.63(d, J=17.2Hz, 1H), 2.97(s, 6H), 2.73(s, 3H), 2.17(s, 3H), 2.08(s, 3H). LRMS(ES+) m/z = 441(M+1).
2-(2-아미노-9H-퓨린-6-일설파닐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086)
Figure 112007033435717-pct00048
수득량: 9.5 mg.
1H NMR (300MHz, d6-DMSO) δ: 12.54(s, 1H), 7.89(s, 1H), 7.69(t, J=7.8Hz, 1H), 7.51(d, J=8.0Hz, 1H), 7.51(d, J=8.0Hz, 1H), 7.43(t, J=3.9Hz, 1H), 7.34-7.26(m, 4H), 6.16(s, 2H), 4.32(AB quartet, JAB=14.8Hz, △n=23.7), 2.74(s, 3H), 2.09(s, 3H). LRMS(ES+) m/z = 430(M+1).
2-(4-아미노-1,3,5-트리아진-2-일설파닐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087)
Figure 112007033435717-pct00049
수득량: 5.8 mg.
1H NMR (300MHz, d6-DMSO) δ: 8.10(s, 1H), 7.70(t, J=7.8Hz, 1H), 7.58(s, 1H), 7.52(d, J=8.0Hz, 1H), 7.48-7.26(m, 6H), 4.08(s, 2H), 2.73(s, 3H), 2.09(s, 3H). LRMS(ES+) m/z = 391(M+1).
5-메틸-2-(7-메틸-7H-퓨린-6-일설파닐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088)
Figure 112007033435717-pct00050
수득량: 3.1 mg.
1H NMR (300MHz, d6-DMSO) δ: 8.52(s, 1H), 8.49(s, 1H), 7.70(t, J=7.8Hz, 1H), 7.5()(d, J=7.8Hz, 1H), 7.45(d, J=7.1Hz, 1H), 7.35-7.20(m, 4H), 4.41(AB quartet, JAB=15.3Hz, △ν=19.2Hz), 4.08(s, 3H), 2.73(s, 3H), 2.12(s, 3H). LRMS(ES+) m/z = 406(M+1).
5-메틸-2-(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설파닐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89)
Figure 112007033435717-pct00051
수득량: 2.4 mg.
1H NMR (300MHz, d6-DMSO) δ: 11.49(s, 1H), 7.70(t, J=7.8Hz, 1H), 7.60(br t, J=6.0Hz, 1H), 7.53-7.48(m, 2H), 7.46-7.28(m, 4H), 6.31(d, J=6.7Hz, 1H), 4.05(s, 2H), 2.73(s, 3H), 2.12(s, 3H). LRMS(ES+) m/z = 391(M+1).
5-메틸-2-퓨린-7-일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090)
Figure 112007033435717-pct00052
1H NMR (300MHz, d6-DMSO) δ: 9.04(s, 1H), 8.97(s, 1H), 8.48(s, 1H), 7.65-7.54(m, 2H), 7.53-7.39(m, 3H), 7.31(d, J=7.4Hz, 1H), 7.13(d, J=8.0Hz, 1H), 5.31(d, J=17.6Hz, 1H), 5.16(d, J=17.6Hz, 1H), 2.73(s, 3H), 2.09(s, 3H). 퓨린 N7에서의 알킬화는 퓨린 6-위치 양성자와 퓨린과 퀴나졸린 기 사이의 링커 상의 메틸렌 양성자 사이의 NOE 증강에 의해 결정하였다. LRMS(ES+) m/z=383(M+1)
5-메틸-2-퓨린-9-일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091)
Figure 112007033435717-pct00053
D-090을 생성하는 반응과 동일한 반응으로 제조하였다.
1H NMR (300MHz, d6-DMSO) δ: 9.17(s, 1H), 8.86(s, 1H), 8.55(s, 1H), 7.59(t, J=7.8Hz, 1H), 7.55-7.42(m, 4H), 7.30(d, J=7.4Hz, 1H), 7.13(d, J=8.0Hz, 1H), 5.26(d, J=17.5Hz, 1H), 4.92(d, J=17.5Hz, 1H), 2.73(s, 3H), 2.19(s, 3H). 퓨린 N9에서의 알킬화는 퓨린 6-위치와 링커 메틸렌 양성자 사이의 NOE 증강의 결핍에 의해 제안되었다. LRMS(ES+) m/z=383(M+1)
5-메틸-2-(9-메틸-9H-퓨린-6-일설파닐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092)
Figure 112007033435717-pct00054
1H NMR (300MHz, d6-DMSO) δ: 8.52(s, 1H), 7.69(t, J=7.7Hz, 1H), 7.50(d, J=8.0Hz, 1H), 7.44(d, J=7.6Hz, 1H), 7.36-7.27(m, 4H), 4.38(AB quartet, JAB=15.5Hz, △ν=21.0Hz), 3.80(s, 3H), 2.73(s, 3H), 2.12(s, 3H). LRMS(ES+) m/z = 429 (M+1).
2-(2,6-디아미노-피리미딘-4-일설파닐메틸)-5-메틸-3-o-톨릴-3H-퀴나 졸린-4-온(D-093)
Figure 112007033435717-pct00055
1H NMR (300MHz, d6-DMSO) δ: 7.70(t, J=7.7Hz, 1H), 7.54(d, J=8.0Hz, 1H), 7.45-7.27(m, 5H), 6.22(br s, 1H), 5.80(br s, 1H), 3.99(AB quartet, JAB=14.6Hz, △ν=26.9Hz, 2H), 2.73(s, 3H), 2.08(s, 3H). LRMS(ES+) m/z = 405 (M+1).
5-메틸-2-(5-메틸-[1,2,4]트리아졸로[1,5-a]피리미딘-7-일설파닐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094)
Figure 112007033435717-pct00056
1H NMR (300MHz, d6-DMSO) δ: 8.57(s, 1H), 7.73(t, J=7.8Hz, 1H), 7.55-7.35(m, 4H), 7.18(s, 2H), 4.27(s, 1H), 2.74(s, 3H), 2.55(s, 3H), 2.08(s, 3H). LRMS(ES+) m/z = 429 (M+1).
5-메틸-2-(2-메틸설파닐-9H-퓨린-6-일설파닐메틸)-3-o-톨릴-3H-퀴나졸 린-4-온(D-095)
Figure 112007033435717-pct00057
1H NMR (300MHz, d6-DMSO) δ: 13.30(s, 1H), 8.29(s, 1H), 7.72(t, J=7.8Hz, 1H), 7.54(d, J=7.8Hz, 1H), 7.47(d, J=6.3Hz, 1H), 7.38-7.26(m, 4H), 4.34(AB quartet, JAB=16.1Hz, △ν=23.6Hz, 2H), 2.74(s, 3H), 2.32(s, 3H), 2.10(s, 3H). LRMS(ES+) m/z = 461(M+1).
2-(2-히드록시-9H-퓨린-6-일설파닐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096)
Figure 112007033435717-pct00058
1H NMR (300MHz, d6-DMSO) δ: 8.08(s, 1H), 7.69(t, J=7.8Hz, 1H), 7.50(br d, J=t.8Hz, 2H), 7.33-7.50(m, 4H), 4.28(AB quartet, JAB=15.5Hz, △ν=21.3Hz, 2H), 2.74(s, 3H), 2.12(s, 3H). LRMS(ES+) m/z = 431(M+1).
5-메틸-2-(1-메틸-1H-이미다졸-2-일설파닐메틸)-3-o-톨릴-3H-퀴나졸린 -4-온(D-097)
Figure 112007033435717-pct00059
1H NMR (300MHz, d6-DMSO) δ: 7.69(t, J=7.8Hz, 1H), 7.46-7.37(m, 5H), 7.32(d, J=7.3Hz, 1H), 7.20(d, J=1.0Hz, 1H), 6.18(d, J=1.0Hz), 3.80(AB quartet, JAB=15.0Hz, △ν=18.8Hz, 1H), 3.55(s, 3H), 2.73(s, 3H), 2.09(s, 3H). LRMS(ES+) m/z = 364(M+1).
5-메틸-3-o-톨릴-2-(1H-[1,2,4]트리아졸-3-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098)
Figure 112007033435717-pct00060
1H NMR (300MHz, d6-DMSO) δ: 13.98(s, 1H), 8.47(s, 1H), 7.70(t, J=7.8Hz, 1H), 7.49(d, J=7.9Hz, 1H), 7.44-7.31(m, 5H), 4.04(AB quartet, JAB=15.5Hz, △ν=19.1Hz, 1H), 2.74(s, 3H), 2.10(s, 3H). LRMS(ES+) m/z = 364(M+1).
2-(2-아미노-6-클로로-퓨린-9-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 4-온(D-099)
Figure 112007033435717-pct00061
LRMS(ES+) 432(M+1).
2-(6-아미노퓨린-7-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100)
Figure 112007033435717-pct00062
1H NMR (300MHz, d6-DMSO) δ: 8.19(s, 3H), 7.66(t, J=7.8Hz, 1H), 7.59-7.43(m, 5H), 7.34(d, J=7.4Hz, 1H), 7.23(d, J=8.0Hz, 1H), 6.90(s, 2H), 5.21(AB quartet, JAB=17.4Hz, △ν=22.1Hz, 2H), 2.72(s, 3H), 1.93(s, 3H). 퓨린 N7에서의 알킬화는 하기 양성자들 사이의 NOE 증강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1) 에폭시클릭 아민과 메틸렌 양성자; 2) 엑소시클릭 아민과 톨루일 메틸 양성자. LRMS(ES+) m/z = 398 (M+1).
2-(7-아미노-1,2,3-트리아졸로[4,5-d]피리미딘-3-일-메틸)-5-메틸-3- o-톨릴-3H-퀴나졸린-4-온(D-101)
Figure 112007033435717-pct00063
1H NMR (300MHz, d6-DMSO) δ: 8.43(br s, 1H), 8.19(s, 1H), 8.10(br s, 1H), 7.62(t, J=7.8Hz, 1H), 7.49-7.28(m, 5H), 7.22(d, J=8.1Hz, 1H), 5.49(d, J=17.0Hz, 1H), 5.19(d, J=17.0Hz, 1H), 2.73(s, 3H), 2.11(s, 3H). 퓨린 N7에서의 알킬화는 D-030의 NMR 스펙트럼에 대한 유사성에 의해 결정하였다. LRMS(ES+) m/z = 399 (M+1).
2-(7-아미노-1,2,3-트리아졸로[4,5-d]피리미딘-1-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102)
Figure 112007033435717-pct00064
동일한 반응 혼합물로부터 D-101로서 정제하였다.
1H NMR (300MHz, d6-DMSO) δ: 8.27(s, 1H), 8.20(br s, 1H), 8.05(br s. 1H), 7.70(t, J=7.8Hz, 1H), 7.47-7.26(m, 6H), 5.61(AB quartet, JAB=16.0Hz, △ν=20.7Hz, 2H), 2.75(8, 3H), 1.98(s, 3H). LRMS(ES+) m/z = 399(M+1).
2-(6-아미노-9H-퓨린-2-일설파닐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103)
Figure 112007033435717-pct00065
1H NMR (300MHz, d6-DMSO) δ: 12.62(s, 1H), 7.93(s, 1H), 7.69(t, J=7.7Hz, 1H), 7.51(d, J=8.1Hz, 1H), 7.42(dd, J=7.6, 1.7Hz, 1H), 7.35-7.15(m, 6H), 4.12(AB quartet , JAB=14.5Hz, △ν=18.2Hz, 2H), 2.73(s, 3H), 2.10(s, 3H). LRMS(ES+) m/z = 430(M+1).
2-(2-아미노-6-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설파닐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104)
Figure 112007033435717-pct00066
1H NMR (300MHz, d6-DMSO) δ: 7.70(T, J=7.8Hz, 1H), 7.53(d, J=8.0Hz, 1H), 7.44-7.31(m, 5H), 6.69(br s, 1H), 5.83,(br s, 2H), 5.61(s, 1H), 4.03(d, J=14.6Hz, 1H), 3.95(d, J=14.6Hz, 1H), 3.22-3.11(m, 2H), 2.73(s, 3H), 2.08(s, 3H), 1.06(t, J=7.1Hz, 3H). LRMS(ES+) m/z = 433(M+1).
2-(3-아미노-5-메틸설파닐-1,2,4-트리아졸-1-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105)
Figure 112007033435717-pct00067
수득량: 5.0 mg.
1H NMR (300MHz, d4-MeOH) δ: 7.67(t, J=7.8Hz, 1H), 7.55-7.37(m, 4H), 7.35-7.27(m, 2H), 4.77(d, J=17.1Hz, 1H), 4.60(d, J=17.1Hz, 1H), 2.80(s, 3H), 2.43(s, 3H), 2.14(s, 3H). LRMS(ES+) m/z = 393(M+1).
2-(5-아미노-3-메틸설파닐-1,2,4-트리아졸-1-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106)
Figure 112007033435717-pct00068
수득량: 0.6 mg.
동일한 반응 혼합물로부터 D-105로서 정제하였다.
1H NMR (300MHz, d4-MeOH) δ: 7.67(t, J=7.8Hz, 1H), 7.50-7.24(m, 6H), 4.83(d, J=16.5Hz, 1H), 4.70(d, J=16.5Hz, 1H), 2.79(s, 3H), 2.47(s, 3H), 2.14(s, 3H). LRMS(ES+) m/z = 393(M+1).
5-메틸-2-(6-메틸아미노퓨린-9-일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107)
Figure 112007033435717-pct00069
수득량: 5.0 mg.
1H NMR (300MHz, d4-MeOH) δ: 8.17(s, 1H), 8.03(s, 1H), 7.54-7.43(m 4H), 7.31-7.23(m, 2H), 5.14(d, J=17.5Hz, 1H), 4.90(d, J=17.5Hz, 1H), 3.14(br s, 3H), 2.79(s, 3H), 2.22(s, 3H). LRMS(ES+) m/z = 412(M+1).
2-(6-벤질아미노퓨린-9-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108)
Figure 112007033435717-pct00070
수득량: 6.7 mg.
1H NMR (300MHz, d4-MeOH) δ: 8.13(s, 1H), 8.04(s, 1H), 7.58(t, J=7.8Hz, 1H), 7.51-7.21(m, 1H), 5.15(d, J=17.5Hz, 1H), 4.91(d, J=17.5Hz, 1H), 4.83(s, 2H, under H2O Peak), 2.79(s, 3H), 2.22(s, 3H). LRMS(ES+) m/z = 488(M+1).
2-(2,6-디아미노퓨린-9-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109)
Figure 112007033435717-pct00071
모든 반응물의 양은 2배로 하였다.
수득량: 14 mg.
1H NMR (300MHz, d6-DMSO) δ: 8.53(br s, 2H), 8.01(s, 1H), 7.64(t, J=7.8Hz, 1H), 7.53-7.40(m, 4H), 7.33(d, J=7.4Hz, 1H), 7.27(d, J=7.9Hz, 1H), 4.96(d, J=17.5Hz, 1H), 4.64(d, J=17.5Hz, 1H), 2.74(s, 3H), 2.17(s, 3H). LRMS(ES+) m/z = 413 (M+1).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 D-110 내지 D-115는 하기 중간체 E-1 내지 E-3으로부 터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33435717-pct00072
중간체 E-1
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1-벤족사진-4-온
Figure 112007033435717-pct00073
1 단계: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12 ml, 과량) 내의 6-메틸안트라닐산(2 g, 13.2 mmol) 현탁액은 밀봉 바이알 내의 11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용액은 실온으로 냉각하고, 에테르(~5 ml)로 처리하였다. 4℃에서 하룻밤 냉각한 후, 생성된 황갈색 침전은 여과로 수집하고, 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서 건조하여 클로로 중간체(1.39 g, 50%)를 얻었다.
124
1H NMR (300MHz, CDCl3) δ: 7.67(t, J=7.8 Hz, 1H), 7.46)d, J=7.9 Hz, 1H), 7.35(d, J=7.6 Hz, 1H), 4.39(s, 2H), 2.81(s, 3H).
LRMS(ES+) m/z=210(M+1).
2 단계:
무수 DMF(0.5 ml) 내에서 상기 클로로 중간체(50 mg, 0.25 mmol), 6-머캅토퓨린 1수화물(43 mg, 0.25 mmol) 및 탄산 칼륨(25 mg, 0.25 mmol)의 혼합물은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은 에틸 아세테이트(20 ml)에 쏟아 붓고, 모든 불용성 물질은 여과로 분리하여 폐기하였다. 여과물은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모든 에틸 아세테이트를 제거하고, 잔류물은 에테르로 처리하여 밝은 오렌지색 침전을 얻었다. 침전은 여과로 수집하고, 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서 건조하여 중간체 E-1(41 mg, 51%)을 얻었다.
1H NMR (300MHz, d6-DMSO) δ: 8.64)s, 1H), 8.39(s, 1H), 7.73(t, J=7.8 Hz, 1H), 7.44-7.37(m, 2H), 4.69(s, 2H), 2.69(s, 3H). LRMS(ES+) m/z = 326(M+1).
중간체 E-2
Figure 112007033435717-pct00074
에탄올 내의 2-니트로아세토니트아닐리드(1.0 g, 5.6 mmol) 용액은 Pd(OH)2(탄소를 기준으로 20 중량%, 200 mg, 촉매)로 처리하고, H2(20 psi) 하에서 2 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촉매는 0.22 ㎛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막(코닝)을 이용하여 여과하고, 여과물은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결정성 고체 생성물(800 mg, 96%)을 얻었다.
1H NMR (300MHz, d6-DMSO) δ: 9.12(s, 1H), 7.14(dd, J=7.8, 1.3Hz, 1H), 6.88(dt, J=7.6, 1.5Hz, 1H), 6.70(dd, J=8.0, 1.3Hz, 1H), 6.52(dt, J=7.5, 1.4Hz, 1H), 4.85(br s, 2H), 2.03(s, 3H). LRMS(ES+) m/z = 151(M+1).
중간체 E-3
Figure 112007033435717-pct00075
에탄올(20 ml) 내의 2-플루오로-니트로벤젠(1.41 g, 10 mmol) 및 NaFCO3의 혼합물은 (N,N,N'-트리메틸)-1,2-디아미노에탄(1.1 g, 11 mmol)로 처리하고, 80℃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는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은 0.1 M NaOH(120 ml)로 처리하고, 혼합물은 에틸 아세테이트(2 x 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은 연합하고, 물 20 ml로 1회 세척하고, 염수로 2회 세척하고,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오렌지색 액체를 얻었다(2.2 g, 100%; ESMS: m/z=224, M+1).
중간체는 에탄올 내에 용해시키고, 용액은 질소로 세정하고, Pd(OH)2(탄소를 기준으로 20 중량%, 200 mg, 촉매)로 처리하고, H2(50 psi) 하에서 2 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촉매는 0.22 ㎛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막(코닝)을 이용하여 여과하고, 여과물은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결정성 액체 생성물 E-3(1.8 g, 95%)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Cl3) δ: 8.64(s, 1H), 7.03(dd, J=8.3, 1.4 Hz, 1H), 6.91(ddd, J=7.6, 7.2, 1.4 Hz, 1H), 6.73-6.67(m, 2H), 4.20(br s, 2H), 2.95(t, J=6.7 Hz, 2H), 2.68)s, 3H), 2.41(t, J=6.7 Hz, 1H), 2.26(s, 6H). LRMS(ES+) m/z=194(M+1).
화합물 D-110 내지 D-115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D-110)
Figure 112007033435717-pct00076
중간체 E-1(40 mg) 및 o-톨루이딘(0.3 ml, 과량)의 혼합물은 밀봉된 바이알 내에서 16 시간 동안 100℃로 가온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냉각하고, 1N 염산(2 ml) 및 에테르(2 ml)로 처리하고, 생성된 회색 침전은 여과로 수집하고, 에테르로 세척하고, 공기 건조하였다(19 mg, 미정제). 미정제 고체는 0.5 ml DMSO에 용해시키고, HPLC(C18 루나 컬럼, 4.6 x 250 mm, 4.7 ml/분, 15분에 걸쳐 10-75% 아세토니트릴/ 물, 18분에 100% 아세토니트릴, 220λ에서 검출기)로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을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백색 고체로 최종 생성물(4 mg)을 얻었다.
1H NMR (300MHz, d6-DMSO) δ: 13.52(s, 1H), 8.47(s, 1H), 8.43(s, 1H), 7.69(t, J=7.8Hz, 1H), 7.50(d, J=7.9Hz, 1H), 7.46-7.43(m, 1H), 7.37-7.25(m, 4H), 4.37(AB quartet, JAB=15.4Hz, △ν=22.4Hz, 2H), 2.74(5, 3H), 2.12(5, 3H). LRMS(ES+) m/z = 415(M+1).
3-이소부틸-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111)
Figure 112007033435717-pct00077
중간체 E-1(40 mg) 및 o-톨루이딘(0.3 ml, 과량)의 혼합물은 밀봉된 바이알 내에서 16 시간 동안 100℃로 가온하였다. 과량의 이소부틸아민은 증발시키고, 잔류물은 1 ml DMSO에 용해시키고, HPLC(C18 루나 컬럼, 4.6 x 250 mm, 4.7 ml/분, 15분에 걸쳐 10-75% 아세토니트릴/물, 18분에 100% 아세토니트릴, 220λ에서 검출기)로 2개의 부분으로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을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백색 고체로 최종 생성물(4 mg)을 얻었다.
1H NMR (300MHz, d6-DMSO) δ: 13.75(br s, 1H), 8.73(s, 1H), 8.50(s, 1H), 7.63(t, J=7.7Hz, 1H), 7.42(d, J=8.0Hz, 1H), 7.28(d, J=7.3Hz, 1H), 4.96(s, 2H), 4.00(d, J=7.5Hz, 2H), 2.77(s, 3H), 2.30-2.15(m, 1H), 0.98(d, J=6.7Hz, 1H). LRMS(ES+) m/z = 381(M+1).
N-{2-[5-메틸-4-옥소-2-(9H-퓨린-6-일설파닐메틸)-4H-퀴나졸린-3-일]-페닐}아세트아미드(D-112)
Figure 112007033435717-pct00078
중간체 E-1(40 mg) 및 중간체 E-2(75 mg, 0.5 mmol, 2 당량)의 혼합물은 열총을 이용하여 밀봉된 바이알 내에서 가온하여 용융시켰다. 반응 혼합물은 에테르로 분쇄하고, 고체는 여과로 수집하였다. 미정제 물질은 1 ml DMSO에 용해시키고, HPLC(C18 루나 컬럼, 4.6 x 250 mm, 4.7 ml/분, 15분에 걸쳐 10-75% 아세토니트릴/물, 18분에 100% 아세토니트릴, 220λ에서 검출기)로 2개의 분획으로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을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백색 고체로 최종 생성물을 얻었다.
1H NMR (300MHz, d6-DMSO) δ: 13.52(s, 1H), 9.52(s, 1H), 8.48(s, 3H), 8.42(s, 3H), 8.02(d, J=8.0Hz, 1H), 7.69(t, J=7.8Hz, 1H), 7.51(d, J=7.9Hz, 1H), 7.45-7.37(m, 2H), 7.31(d, J=7.3Hz, 1H), 7.19(t, J=7.5Hz, 1H), 4.38(s, 2H), 2.74(s, 3H), 1.93(s, 3H). LRMS(ES+) m/z = 458(M+1).
5-메틸-3-(E-2-메틸-시클로헥실)-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 졸린-4-온(D-113)
Figure 112007033435717-pct00079
중간체 E-1(80 mg, 0.25 mmol) 및 트랜스-2-메틸-1-아미노시클로헥산(0.25 ml, 과량)의 혼합물은 밀봉된 바이알 내에서 16 시간 동안 100℃로 가온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에테르로 분쇄하고, 고체는 여과로 수집하였다. 미정제 고체는 0.5 ml DMSO에 용해시키고, HPLC(C18 루나 컬럼, 4.6 x 250 mm, 4.7 ml/분, 15분에 걸쳐 10-75% 아세토니트릴/물, 18분에 100% 아세토니트릴, 220λ에서 검출기)로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을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백색 고체로 최종 생성물(1.5 mg)을 얻었다.
1H NMR (300MHz, d6-DMSO) δ: 13.5(br t, 1H), 8.82(s, 1H), 8.51(s, 1H), 7.63(t, J=7.7Hz, 1H), 7.43(d, J=7.9Hz, 1H), 7.27(d, J=7.4Hz, 1H), 5.11(d, J=14.5Hz, 1H), 3.78-3.69(m, 1H), 2.73(s, 3H), 2.55-2.40(m, 3H), 1.88-1.46(m, 4H), 1.31-1.11(m, 1H), 0.90-0.65(m, 1H), 0.74(d, J=6.7Hz, 3H). LRMS(ES+) m/z = 421(M+1).
2-[5-메틸-4-옥소-2-(9H-퓨린-6-일설파닐메틸)-4H-퀴나졸린-3-일]-벤조산(D-114)
Figure 112007033435717-pct00080
중간체 E-1(80 mg, 0.25 mmol) 및 메틸 안트라닐레이트(0.25 ml, 과량)의 혼합물은 밀봉된 바이알 내에서 16 시간 동안 100℃로 가온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에테르로 분쇄하고, 고체는 여과로 수집하였다. 미정제 고체는 0.5 ml DMSO에 용해시키고, HPLC(C18 루나 컬럼, 4.6 x 250 mm, 4.7 ml/분, 15분에 걸쳐 10-75% 아세토니트릴/물, 18분에 100% 아세토니트릴, 220λ에서 검출기)로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을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백색 고체로 최종 생성물(8 mg)을 얻었다.
1H NMR (300MHz, d6-DMSO) δ: 13.51(s, 1H), 8.51(s, 1H), 8.42(s, 1H), 8.11(dd, J=7.4, 1.1Hz, 1H), 7.88(dt, J=7.7, 1.4Hz, 1H), 7.70(d, J=8.0Hz, 1H), 7.57(t, J=7.2Hz, 1H), 7.49-7.35(m, 3H), 4.58(d, J=15.5Hz, 1H), 4.35(d, J=15.5Hz, 1H), 2.44(s, 3H). LRMS(ES+) m/z = 445(M+1).
3-{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115)
Figure 112007033435717-pct00081
중간체 E-1(40 mg, 0.25 mmol) 및 중간체 E-3(0.2 ml, 과량)의 혼합물은 밀봉된 바이알 내에서 16 시간 동안 100℃로 가온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에테르로 분쇄하고, 고체는 여과로 수집하였다. 미정제 고체는 0.5 ml DMSO에 용해시키고, HPLC(C18 루나 컬럼, 4.6 x 250 mm, 4.7 ml/분, 15분에 걸쳐 10-75% 아세토니트릴/ 물, 18분에 100% 아세토니트릴, 220λ에서 검출기)로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을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백색 고체로 최종 생성물(11 mg)을 얻었다.
1H NMR (300MHz, d6-DMSO) δ: 13.4(br s, 1H), 9.27(s, 1H), 8.52(s, 1H), 8.44(s, 1H), 7.72(t, J=7.8Hz, 1H), 7.53(d, J=7.9Hz, 1H), 7.40-7.33(m, 4H), 7.10-7.04(m, 1H), 4.42(s, 3H), 3.5(m, 2H), 3.23-3.03(m, 3H), 2.75(s, 3H), 2.68-2.56(m, 8H). LRMS(ES+) m/z = 501(M+1).
화합물 D-116 내지 D-118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33435717-pct00082
3-(2-클로로페닐)-5-메톡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116)
(R=Me, X=O)
0.5 M NaOMe(메탄올내 2 ml; 과량) 내의 D-015(25 mg)의 혼합물은 밀봉 바이알에서 16시간 동안 5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실온으로 냉각하고, 물(5 ml)로 처리하고, 생성된 침전은 여과로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공기 건조하였다. 미정제 고체는 0.5 ml DMSO에 용해시키고, HPLC(C18 루나 컬럼, 4.6 x 250 mm, 4.7 ml/분, 15분에 걸쳐 10-75% 아세토니트릴/물, 18분에 100% 아세토니트릴, 220λ에서 검출기)로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을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백색 고체로 최종 생성물(5.3 mg)을 얻었다.
1H NMR (300MHz, d6-DMSO) δ: 13.52(s, 1H), 8 48(s, 1H), 8.44(br s, 1H), 7.77(t, J=8.2Hz, 1H), 7.71-7.60(m, 2H), 7.51-7.34(m, 2H), 7.23(d, J=8.2Hz, 1H), 7.10(d, J=8.4Hz, 1H), 4.39(AB quartet, JAB=5.2Hz, △ν=23.2Hz, 2H), 3.85(s, 3H). LRMS(ES+) m/ z = 451(M+1).
3-(2-클로로페닐)-5-(2-모르폴린-4-일-에틸아미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117)
Figure 112007033435717-pct00083
D-015(25 mg) 및 4-(아미노-2-일)모르폴린(650 mg, 과량)의 혼합물은 5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미정제 반응 혼합물은 HPLC(C18 루나 컬럼, 4.6 x 250 mm, 4.7 ml/분, 15분에 걸쳐 10-75% 아세토니트릴/물, 18분에 100% 아세토니트릴, 220λ에서 검출기)로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을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백색 고체로 최종 생성물을 얻었다.
1H NMR (300MHz, d6-아세톤) δ: 8.57(br s, 1H), 8.47(s, 1H), 8.37(s, 1H), 7.72(dd, J=7.7, 1.6Hz, 1H), 7.65(dd, J=8.0, 1.2Hz, 1H), 7.57(t, J=8.1Hz, 1H), 7.49(dt, J=7.7, 1.6Hz, 1H), 7.40(dt, J=7.7, 1.5Hz, 1H), 6.86(d, J=7.4Hz, 1H), 6.82(d, J=8.3Hz, 1H), 4.55(d, J=15.0Hz, 1H), 4.42(d, J=15.1Hz, 1H), 4.05-3.90(m, 4H), 3.90(t, J=6.9Hz, 2H), 3.75-3.4(m, 4H), 3.54(t, J=6.9Hz, 2H). LRMS(ES+) m/ z = 549(M+1).
3-벤질-5-메톡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D-118)
Figure 112007033435717-pct00084
0.5 M NaOMe(메탄올내 2 ml; 과량) 내의 D-043(25 mg)의 혼합물은 밀봉 바이알에서 16시간 동안 5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1N 염산(1 ml)으로 처리하고, 이 용액의 소량(각각 0.5 ml)은 HPLC(C18 루나 컬럼, 4.6 x 250 mm, 4.7 ml/분, 15분에 걸쳐 10-75% 아세토니트릴/물, 18분에 100% 아세토니트릴, 220λ에서 검출기)로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을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백색 고체로 최종 생성물(6.6 mg)을 얻었다.
1H NMR (300MHz, d6-DMSO) δ: 13.57(s, 1H), 8.60(s,1H), 8.45(s1 1H), 7.72(t, J=8.lHz, 1H), 7.42-7.30(m, 2H), 7.30-7.l9(m, 3H), 7.15(d, J=8.0Hz, 1H), 7.06(d, J=8.3Hz, 1H) 1 5.43(s, 2H), 4.80(s, 2H) 13.87(s, 3H). LRMS(ES+) m1 /z = 431(M+1).
화합물 D-999(비교용)
3-(2-클로로페닐)-2-(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유사한 화합물, 3-(2-클로로페닐)-2-(1H-피라조롤[3,4-d]피리미딘-4-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은 일반적으로 상기한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나, 4-머캅토-1H-피라졸로[3,4-d]피리미딘은 최종 단계에서 머캅토퓨린을 대체하였다.
실시예 11
PI3K 효능 및 선택성의 생화학적 분석
A. 20 μM ATP를 이용하는 생화학적 분석
실시예 2에 기술된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의 PI3Kδ에 대한 억제 활성 및 능력 및 PI3Kδ에 대한 선택도 대 다른 I류 PI3K 이성체에 대한 선택도에 대해 시험하였다. 표 2에서, IC50 값(μM)은 PI3Kα("알파"), PI3Kβ("베타"), PI3Kγ("감마") 및 PI3Kδ("델타")에 대해 나타냈다. 화합물의 선택도를 나타내기 위해, PI3Kδ에 대한 PI3Kα, PI3Kβ 및 PI3Kγ에 대한 화합물의 IC50 값의 비를 각각 "알파/델바 비", "베타/델타 비" 및 "감마/델타 비"로 나타냈다.
초기 선택도 분석은 실시예 2의 선택도 분석 프로토콜과 동일하게 수행하였 으나, 방사능 검출을 위해서 100 ㎕의 에코신트를 이용하였다. 후속적으로, 선택도 분석은 동일한 3X 기질 스톡용액을 이용하여 유사하게 수행하였으나, 이들은 0.05 mCi/ml의 γ[32P]ATP 및 3 mM PIP2를 함유하였다. 또한, 후속 선택도 분석은 동일한 3X 효소 스톡용액을 이용하였으나, 이들은 임의의 주어진 PI3K 이성체 3 nM를 포함하였다.
모든 선택도 분석에서, 테스트 화합물은 평량하였으며, 100% DMSO중의 10-50 mM 스톡 용액(그들 각각의 용해도에 의존함)에 용해시키고, -20℃로 저장하였다. 화합물은 해동(실온 또는 37℃)하고, 수중 3배 희석을 수행하여 물에서 300 μM로 희석하였다. 이들 희석액으로부터, 20 ㎕를 분석 웰에 첨가하고, 물 블랭크는 효소(양성) 대조군 및 무효소(백그라운드)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분석의 나머지는 본질적으로 실시예 2의 선택도 분석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최대 농도, 즉 100 μM의 경우에서, 50% 이상으로 효소의 활성이 억제되지 않았는데, 하기 표는 그 농도(즉, 100 μM)에서 잔류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들 경우에서, 화합물에 대한 진정한 활성 비(들)는 계산할 수 없었는데, 그 이유는 필요한 IC50 값중 하나가 누락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 화합물의 몇몇 특징을 제공하기 위해, 누락된 값을 대체하는 100 μM을 이용하여 가설적인 활성 비를 계산하였다. 이러한 경우, 선택도 비는 실제로 가설적인 값보다는 크며, 이는 기호 (>)를 사용하여 나타냈다.
Figure 112007033435717-pct00085
[표 2-1]
Figure 112007033435717-pct00086
[표 2-2]
Figure 112007033435717-pct00087
[표 2-3]
Figure 112007033435717-pct00088
1) 화합물 D-121은 3-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이다.
Figure 112007033435717-pct00089
B. 200 μM ATP를 이용하는 생화학적 분석
상기 A 파트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20 μM ATP를 이용하여 테스트하여 PI3K 의 알파, 베타, 감마 및 델타 이성체의 억제에 대한 IC50을 확인하였다. 추가의 분석을 수행하여 10배 더 큰 농도 및 세포 내에서 ATP의 정상적인 생리학적 농도에 실질적으로 더 근접한 농도인 최종 농도 200 μM에서 4가지 PI3K 이성체의 억제에 대한 IC50을 확인하였다. 이 선택도 프로토콜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나, 3X 스톡용액 ATP 농도는 600 μM 이었다. 이들 분석으로 얻은 데이타는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ATP 농도에 대해 관찰된 선택도는 이들 PI3Kδ 억제제 화합물이 ATP 경쟁자로서 작용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Figure 112007033435717-pct00090
[표 3-1]
Figure 112007033435717-pct00091
실시예 12
PI3Kδ활성의 억제제에 대한 세포계 분석 자료
실시예 3 내지 5에 기술된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의 자극된 B 세포 및 T 세포 증식, 호중구(PMN) 이동, 및 호중구(PMN) 엘라스타제 방출에 대한 억제 활성 및 능력을 측정하였다. 이들 분석 결과 자료는 하기 표 4에 나타냈다. 표 4에서, 제시된 값들은 상기 화합물의 유효 농도(EC50; μM)이다. 제시된 값이 없는 경우는 분석을 수행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Figure 112007033435717-pct00092
[표 4-1]
Figure 112007033435717-pct00093
실시예 13
암세포에서 PI3Kδ의 억제 분석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암세포 증식에 대한 효과는 KU812, RWLeu4, K562 및 MEG-01을 포함하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 세포주의 패널에 대한 상기 화합물중 하나를 테스트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상기 화합물(DMSO중의 용해된 D-000)의 억제 활성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테스트한 화합물은 일련의 농도(0.001 μM 내지 20 μM)로 세포(1000 내지 5000 세포/웰)가 들어있는 96웰 평판에 첨가하였다. 평판은 37℃에서 5일 동안 항온처리하였는데, 테스트 화합물이 없어 2회 이상의 세포 분열 주기를 수행할 수 있는 배양물을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세포 성장은 3일, 4일 및 5일째에 18 시간 동안 첨가된 [3H]-티미딘의 혼입에 의해 측정하였다. 세포는 필터로 이전하고, 세척하 고, 매트릭스 96 베타 계수기(팩커드)를 이용하여 방사능을 계수하였다. 세포 성장율(%)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세포 성장율(%) = (주어진 억제제 농도에서 항온처리한 평균 세포수)x100/(억제제 부재하의 평균 세포수)
이들 실험에서 EC50 값은 억제제 없는 대조군을 이용하여 얻은 값에 비해 방사능 계수가 50% 이하로 되는 테스트 화합물의 농도로서 계산하였다. D-000 화합물은 EC50이 KU812 및 RWLeu4 세포주에 대해 약 2 μM인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상기 화합물은 K562 및 MEG-01 세포주에서 효과는 나타내지 않았다.
본 발명의 PI3Kδ억제제는 CML 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양성 및 악성 종양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PI3Kδ발현은 지금까지 대개 조혈원 세포에서 입증되었다. 그러나, 이는 여러가지 광범위한 증식 세포에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종양 퇴화를 유도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백혈병 및 고형 종양 또는 비종양원의 증식에서 종양 변이의 형성을 예방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기타 약리학적으로 활성을 갖고 있는 화합물 또는 감작제로서의 방사능과 병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14
마우스 에어 파우치 세척에서 엘라스타제 세포외배출작용의 측정
동물 모델에서 백혈구 유입 및 호중구 엘라스타제 세포외 배출작용에 대한 D-030의 효과를 테스트하였다. 6일 에어 파우치 모델은 관절 활막과 조직학적으로 유사한 생체내 염증 모델이다. 구성된 단핵 세포 및 섬유아세포의 라이닝은 매우 유사한 활막 공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모델은 만성 질병(예를 들어,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급성" 모델이다. 이 모델은 염증성 자극의 영향 하에서 공기 파우치내로 세포 유입을 차단하는 제제의 생체내에서의 평가를 가능하게 해준다.
Figure 112007033435717-pct00094
상기 테스트는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0일에, 일군의 래트의 털을 깍고, 공기 10 ml를 각각의 등에 피하 주사하여 파우치를 형성하였다. 3일째에, 공기 10 ml를 재주사하였다. 6일째에 TNF 챌린지(항원 재투여)를 시행하기 6시간 전에, 일군의 래트(n=6)에게 D-030(PEG 400 비히클내의 100 mg/kg)을 경구 투여하고, 다른 군(n-12)에게는 비히클 만을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하고 6시간이 경과한 후, 두개의 군의 공기 파우치에 TNF 2.5 ng을 투여하였다. 투여하고 12시간이 경과한 후, 파우치는 염수로 세척하고, 생성된 세척액은 백혈구 수치 및 호중구 엘라스타제 활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채혈하여 순환에서의 D-030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결가는 다음과 같다: 12시간 동안 D-030을 투여받은 래트는 순환에서 평균 8.7 μM의 D-030을 보유하였으며, 비히클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척액 내의 총 백혈구 수는 85% 감소하였다. 특정 백혈구 수의 감소는 다음과 같다: 호중구(90%), 호산구(66%), 및 림프구(70%). 호중구 엘라스타제의 정량화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D-030-처리한 래트는 비히클 대조군에 비해 다소 감소한(15%) 엘라스타제 수준을 보유하였다.
다른 테스트에서, 마우스 등의 일부분의 털을 클리퍼스로 깍고, 공기 3 ml를 피하 주사하여 공기 파우치를 형성하였다. 3일째에, 공기 주사를 반복하였다. 6일째에, 상기 동물에게 D-030(32 mg/kg, 라브라필(등록상표명)) 또는 라브라필 만을 TNF-α(PBS 1 ml 내의 0.5 ng)으로 챌린지하기 1시간 전 및 챌린지하고 2시간 후에 투여하거나 PBS 만을 투여하였다. PBS는 인산염 완충 염수를 의미한다. TNF 챌린지하고 4시간이 경과된 후, 동물을 마취시키고, 파우치는 2 mM EDTA와 함께 0.9% 염수 2 ml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세척액은 원심분리기에서 14,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 50 ㎕를 이용하고 상기 과정에 따라 엘라스타제 세포외 배출작용을 측정하였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TNF 챌린지는 PBS로 챌린지한 동물에 비해 높은 수준의 엘라스타제 세포외 배출작용을 유도하였다. 그러나, TNF로 챌린지한 동물을 D-030으로 처리하는 경우, 공기 파우치 세척액 내에서 엘라스타제 활성의 현저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문헌 및 특허는 전적으로 참고 인용된 것이다.
본 발명은 명료함과 이해를 목적으로 특정 구체예를 들어 기술하였지만, 당업자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추가의 변경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것 이외의 범위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Claims (44)

  1.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과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백혈구를 접촉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백혈구 기능을 파괴시키는 방법.
    화학식 III
    Figure 112007033435717-pct00140
    상기 식에서,
    Y는 존재하지 않거나(null), S 및 N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은 H, 할로, OH, OCH3, CH3 및 CF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8은 H, OCH3 및 할로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7 및 R8은 퀴나졸린 고리계중 C-6 및 C-7과 함께 티에닐, 푸릴, 피리딜, 옥사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인돌릴, 트리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이미디졸릴, 벤조티아졸릴,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티아졸릴 및 티아디아졸릴이며;
    R9는 C1∼C6알킬, 페닐, 할로페닐, 알킬페닐, 비페닐, 벤질, 피리디닐, 4-메틸피페라지닐, C(=O)-OC2H5 및 모르폴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d는 NH2, 할로, C1∼3알킬, S(C1∼3알킬), OH, NH(C1∼3알킬), N(C1∼3알킬)2, NH(C1∼3알킬렌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및
    q는 1 또는 2이고,
    단, R7 및 R8중 하나 이상은 6-할로 또는 6,7-디메톡시 기와 상이하며, R9는 4-클로로페닐과 상이하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혈구는 호중구, B 림프구, T 림프구 및 호염기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백혈구 기능을 파괴시키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혈구는 호중구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자극된 초과산화물 방출, 자극된 세포외 배출작용 및 주화성 이동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호중구 기능을 파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백혈구 기능을 파괴시키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중구에 의한 박테리아 식균작용 또는 박테리아 사멸은 파괴되지 않는 것인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백혈구 기능을 파괴시키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혈구는 B 림프구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B 림프구의 증식 또는 상기 B 림프구에 의한 항체 생성을 파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백혈구 기능을 파괴시키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T 림프구의 증식을 파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백혈구 기능을 파괴시키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혈구는 호염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호염기구에 의한 히스타민 방출을 파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백혈구 기능을 파괴시키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세포계 분석에서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알파(PI3Kα),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베타(PI3Kβ) 및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감마(PI3Kγ)에 비해 PI3Kδ의 억제에서 각각 10 내지 2000배; 10 내지 1250 배; 10 내지 100배의 선택도를 나타내는 것인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백혈구 기능을 파괴시키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세포계 분석에서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알파(PI3Kα),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베타(PI3Kβ) 및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감마(PI3Kγ)에 비해 PI3Kδ의 억제에서 각각 20 내지 2000배; 20 내지 1250 배; 20 내지 100배의 선택도를 나타내는 것인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백혈구 기능을 파괴시키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세포계 분석에서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알파(PI3Kα),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베타(PI3Kβ) 및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감마(PI3Kγ)에 비해 PI3Kδ의 억제에서 각각 50 내지 2000배; 50 내지 1250 배; 50 내지 100배의 선택도를 나타내는 것인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백혈구 기능을 파괴시키는 방법.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 화합물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백혈구 기능을 파괴시키는 방법:
    3-(2-이소프로필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클로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5-클로로-3-(2-플루오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플루오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메톡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6-디클로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6-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3-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벤질-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부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7-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모르폴린-4-일-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아세트산 염;
    8-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6,7-디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6-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3-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9H-퓨린-6-일설파닐메틸)-3-피리딘-4-일-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트리플루오로메틸-3H-퀴나졸린-4-온;
    3-벤질-5-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4-메틸피페라진-1-일)-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아세트산 염;
    3-(2-클로로페닐)-6-히드록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플루오로-4-옥소-2-(9H-퓨린-6-일설파닐메틸)-4H-퀴나졸린-3-일]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3-(2,4-디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비페닐-2-일-5-클로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이소프로필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비페닐-2-일-5-클로로-3H-퀴나졸린-4-온;
    5-클로로-3-(2-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플루오로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플루오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8-클로로-3-(2-클로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클로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로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로페닐)-5-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벤질-5-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부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모르폴린-4-일-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7-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이소프로필페닐)-3H-퀴나졸린-4-온; 및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o-톨릴-3H-퀴나졸린-4-온.
  13.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백혈구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을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백혈구 기능을 파괴시키는 방법:
    화학식 I
    Figure 112007033435717-pct00122
    상기 식에서,
    A는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1,2,3-트리아졸릴, 피리디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1,3,5-트리아지닐, 퓨리닐, 신놀리닐, 프탈라지닐,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1,8-나프티리디닐, 프테리디닐, 1H-인다졸릴 또는 벤즈이미다졸릴이거나; 또는 N(Ra)2, 할로, C1-3알킬, S(C1-3알킬), ORa, 할로, 및
    Figure 112007033435717-pct00123
    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치환된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1,2,3-트리아졸릴, 피리디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1,3,5-트리아지닐, 퓨리닐, 신놀리닐, 프탈라지닐,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1,8-나프티리디닐, 프테리디닐, 1H-인다졸릴 또는 벤즈이미다졸릴이며;
    X는 CHRb, CH2CHRb 및 CH=C(R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Y는 존재하지 않거나, S, SO, SO2, NH, O, C(=O), OC(=O), C(=O)O 및 NHC(=O)CH2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1 및 R2는 수소, C1∼6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할로, NHC(=O)C1∼3알킬렌N(Ra)2, NO2, ORa, OCF3, N(Ra)2, CN, OC(=O)Ra, C(=O)Ra, C(=O)ORa, 아릴ORb, Het, NRaC(=O)C1∼3알킬렌C(=O)ORa, 아릴OC1∼3알킬렌N(Ra)2, 아릴OC(=O)Ra, C1∼4알킬렌C(=O)ORa, OC1∼4알킬렌C(=O)ORa, C1∼4알킬렌OC1∼4알킬렌C(=O)ORa, C(=O)NRaSO2Ra, C1∼4알킬렌N(Ra)2, C2∼6알케닐렌N(Ra)2, C(=O)NRaC1∼4알킬렌ORa, C(=O)NRaC1∼4알킬렌Het, OC2∼4알킬렌N(Ra)2, OC1∼4알킬렌CH(ORb)CH2N(Ra)2, OC1∼4알킬렌Het, OC2∼4알킬렌ORa, OC2∼4알킬렌NRaC(=O)ORa, NRaC1∼4알킬렌N(Ra)2, NRaC(=O)Ra, NRaC(=O)N(Ra)2, N(SO2C1∼4알킬)2, NRa(SO2C1∼4알킬), SO2N(Ra)2, OSO2CF3, C1∼3알킬렌아릴, C1∼4알킬렌Het, C1∼6알킬렌ORb, C1∼3알킬렌N(Ra)2, C(=O)N(Ra)2, NHC(=O)C1∼C3알킬렌아릴, C3∼8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OC1∼3알킬렌N(Ra)2, 아릴OC(=O)Rb, NHC(=O)C1∼3알킬렌C3∼8헤테로시클로알킬, NHC(=O)C1∼3알킬렌Het, OC1∼4알킬렌OC1∼4알킬렌C(=O)ORb, C(=O)C1∼4알킬렌Het 및 NHC(=O)할로C1∼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3은 수소, C1∼6알킬, C3∼8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C1∼4알킬렌시클로알킬, C2∼6알케닐, C1∼3알킬렌아릴, 아릴C1∼3알킬, C(=O)Ra, 아릴, 헤테로아릴, C(=O)ORa, C(=O)N(Ra)2, C(=S)N(Ra)2, SO2Ra, SO2N(Ra)2, S(=O)Ra, S(=O)N(Ra)2, C(=O)NRaC1∼4알킬렌ORa, C(=O)NRaC1∼4알킬렌Het, C(=O)C1∼4알킬렌아릴, C(=O)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아릴; 할로, SO2N(Ra)2, N(Ra)2, C(=O)ORa, NRaSO2CF3, CN, NO2, C(=O)Ra, ORa, C1∼4알킬렌N(Ra)2 및 OC1∼4알킬렌N(Ra)2으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3개의 기로 치환된 C1∼4알킬렌아릴; 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Het, C1∼4알킬렌C(=O)C1∼4알킬렌아릴, C1∼4알킬렌C(=O)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C(=O)Het, C1∼4알킬렌C(=O)N(Ra)2, C1∼4알킬렌ORa, C1∼4알킬렌NRaC(=O)Ra, C1∼4알킬렌OC1∼4알킬렌ORa, C1∼4알킬렌N(Ra)2, C1∼4알킬렌C(=O)ORa 및 C1∼4알킬렌OC1∼4알킬렌C(=O)ORa; 또는 할로, ORa, C1∼6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NO2, N(Ra)2, NRaSO2CF3, NRaC(=O)Ra, C(=O)ORa, N(Ra)C1∼4알킬렌(Ra)2, SO2N(Ra)2, CN, C(=O)Ra, C1∼4알킬렌N(Ra)2 및 OC1∼4알킬렌N(Ra)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개 ∼ 3개의 치환체로 치환된 C1∼6알킬, C3∼8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C1∼4알킬렌시클로알킬, C2∼6알케닐, C1∼3알킬렌아릴, 아릴C1∼3알킬, C(=O)Ra, 아릴, 헤테로아릴, C(=O)ORa, C(=O)N(Ra)2, C(=S)N(Ra)2, SO2Ra, SO2N(Ra)2, S(=O)Ra, S(=O)N(Ra)2, C(=O)NRaC1∼4알킬렌ORa, C(=O)NRaC1∼4알킬렌Het, C(=O)C1∼4알킬렌아릴, C(=O)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아릴; 할로, SO2N(Ra)2, N(Ra)2, C(=O)ORa, NRaSO2CF3, CN, NO2, C(=O)Ra, ORa, C1∼4알킬렌N(Ra)2 및 OC1∼4알킬렌N(Ra)2으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3개의 기로 치환된 C1∼4알킬렌아릴; 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Het, C1∼4알킬렌C(=O)C1∼4알킬렌아릴, C1∼4알킬렌C(=O)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C(=O)Het, C1∼4알킬렌C(=O)N(Ra)2, C1∼4알킬렌ORa, C1∼4알킬렌NRaC(=O)Ra, C1∼4알킬렌OC1∼4알킬렌ORa, C1∼4알킬렌N(Ra)2, C1∼4알킬렌C(=O)ORa 및 C1∼4알킬렌OC1∼4알킬렌C(=O)OR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a는 수소, C1∼6알킬, C3∼8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C1∼3알킬렌N(Ra)2, 아릴, 아릴C1∼3알킬, C1∼3알킬렌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C1∼3알킬 및 C1∼3알킬렌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2개의 Ra기들은 함께 페닐, 클로로페닐, 플루오로페닐, 아미노페닐, 메틸페닐, 메톡시페닐,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니트로페닐, 카복시페닐; 또는 1,3-디옥솔란, 2-피라졸린, 피라졸리딘, 피롤리딘, 피페라진, 피롤린, 2H-피란, 4H-피란, 모르폴린, 티오폴린, 피페리딘, 1,4-디티안 또는 1,4-디옥산을 형성하고;
    Rb는 수소, C1∼6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C1∼3알킬, 헤테로아릴C1∼3알킬, C1∼3알킬렌아릴 및 C1∼3알킬렌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Het는 1,3-디옥솔란, 2-피라졸린, 피라졸리딘, 피롤리딘, 피페라진, 피롤린, 2H-피란, 4H-피란, 모르폴린, 티오폴린, 피페리딘, 1,4-디티안 또는 1,4-디옥산이거나; 또는 C1∼4알킬 또는 C(=O)ORa로 치환된 1,3-디옥솔란, 2-피라졸린, 피라졸리딘, 피롤리딘, 피페라진, 피롤린, 2H-피란, 4H-피란, 모르폴린, 티오폴린, 피페리딘, 1,4-디티안 또는 1,4-디옥산이고;
    상기 정의에서 아릴은 페닐, 나프틸, 비페닐, 테트라하이드로나프틸, 클로로페닐, 플루오로페닐, 아미노페닐, 메틸페닐, 메톡시페닐,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니트로페닐, 카복시페닐이거나; 또는 할로, 알킬, 페닐, 히드록시알킬, 알콕시, 알콕시알킬, 할로알킬, 니트로, 아미노, 알킬아미노, 아실아미노, 알킬티오, 알킬설피닐 및 알킬설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3개의 기로 치환된 페닐, 나프틸, 비페닐, 테트라하이드로나프틸, 클로로페닐, 플루오로페닐, 아미노페닐, 메틸페닐, 메톡시페닐,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니트로페닐, 카복시페닐이고;
    헤테로아릴은 티에닐, 푸릴, 피리딜, 옥사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인돌릴, 트리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이미디졸릴, 벤조티아졸릴,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티아졸릴 또는 티아디아졸릴이거나; 또는 할로, 알킬, 히드록시, 히드록시알킬, 알콕시, 알콕시알킬, 할로알킬, 니트로, 아미노, 알킬아미노, 아실아미노, 알킬티오, 알킬설피닐 및 알킬설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3개의 기로치환된 티에닐, 푸릴, 피리딜, 옥사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인돌릴, 트리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이미디졸릴, 벤조티아졸릴,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티아졸릴 또는 티아디아졸릴이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 화합물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백혈구 기능을 파괴시키는 방법: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6,7-디메톡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o-일메틸)-6-브로모-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o-일메틸)-3-(2-클로로페닐)-7-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6-클로로-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o-일메틸)-5-클로로-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8-클로로-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비페닐-2-일-5-클로로-3H-퀴나졸린-4-온;
    5-클로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5-클로로-3-(2-플루오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플루오로페닐)-3H-퀴나졸린-4-온;
    3-비페닐-2-일-5-클로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클로로-3-(2-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6,7-디메톡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6-브로모-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8-트리플루오로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벤조[g]퀴나졸린-4-온;
    6-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8-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7-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7-니트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6-히드록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6,7-디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6-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이소프로필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3-(2-플루오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o-톨릴-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메톡시페닐)-3H-퀴나졸린-4-온;
    2-(2-아미노-9H-퓨린-6-일설파닐메틸)-3-시클로프로필-5-메틸-3H-퀴나졸린-4-온;
    3-시클로프로필메틸-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시클로프로필메틸-5-메틸-3H-퀴나졸린-4-온;
    2-(2-아미노-9H-퓨린-6-일설파닐메틸)-3-시클로프로필메틸-5-메틸-3H-퀴나졸린-4-온;
    5-메틸-3-페네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2-아미노-9H-퓨린-6-일설파닐메틸)-5-메틸-3-페네틸-3H-퀴나졸린-4-온;
    3-시클로펜틸-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시클로펜틸-5-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피리딘-3-일)-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피리딘-3-일)-5-메틸-3H-퀴나졸린-4-온;
    3-메틸-4-[5-메틸-4-옥소-2-(9H-퓨린-6-일설파닐메틸)-4H-퀴나졸린-3-일]-벤조산;
    3-시클로프로필-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시클로프로필-5-메틸-3H-퀴나졸린-4-온;
    5-메틸-3-(4-니트로벤질)-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시클로헥실-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시클로헥실-5-메틸-3H-퀴나졸린-4-온;
    2-(2-아미노-9H-퓨린-6-일설파닐메틸)-3-시클로헥실-5-메틸-3H-퀴나졸린-4-온;
    5-메틸-3-(E-2-페닐시클로프로필)-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2-[(9H-퓨린-6-일아미노)메틸]-3H-퀴나졸린-4-온;
    2-[(2-아미노-9H-퓨린-6-일아미노)메틸]-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5-메틸-2-[(9H-퓨린-6-일아미노)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2-아미노-9H-퓨린-6-일아미노)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2-플루오로-9H-퓨린-6-일아미노)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클로로페닐)-디메틸아미노-(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2-벤질옥시에톡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6-아미노퓨린-9-카르복실산 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4-옥소-3,4-디히드로-퀴나졸린-2-일메틸 에스테르;
    N-[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4-옥소-3,4-디히드로퀴나졸린-2-일메틸]-2-(9H-퓨린-6-일설파닐)아세트아미드;
    2-[1-(2-플루오로-9H-퓨린-6-일아미노)에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5-메틸-2-[1-(9H-퓨린-6-일아미노)에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6-디메틸아미노퓨린-9-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5-메틸-2-(2-메틸-6-옥소-1,6-디히드로-퓨린-7-일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5-메틸-2-(2-메틸-6-옥소-1,6-디히드로-퓨린-9-일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아미노-디메틸아미노퓨린-9-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2-아미노-9H-퓨린-6-일설파닐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4-아미노-1,3,5-트리아진-2-일설파닐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5-메틸-2-(7-메틸-7H-퓨린-6-일설파닐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5-메틸-2-(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설파닐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5-메틸-2-퓨린-7-일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5-메틸-2-퓨린-9-일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5-메틸-2-(9-메틸-9H-퓨린-6-일설파닐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2,6-디아미노-피리미딘-4-일설파닐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5-메틸-2-(5-메틸-[1,2,4]트리아졸로[1,5-a]피리미딘-7-일설파닐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5-메틸-2-(2-메틸설파닐-9H-퓨린-6-일설파닐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2-히드록시-9H-퓨린-6-일설파닐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5-메틸-2-(1-메틸-1H-이미다졸-2-일설파닐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5-메틸-3-o-톨릴-2-(1H-[1,2,4]트리아졸-3-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2-아미노-6-클로로-퓨린-9-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7-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7-아미노-1,2,3-트리아졸로[4,5-d]피리미딘-3-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7-아미노-1,2,3-트리아졸로[4,5-d]피리미딘-1-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9H-퓨린-2-일설파닐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2-아미노-6-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설파닐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3-아미노-5-메틸설파닐-1,2,4-트리아졸-1-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5-아미노-3-메틸설파닐-1,2,4-트리아졸-1-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5-메틸-2-(6-메틸아미노퓨린-9-일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6-벤질아미노퓨린-9-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2,6-디아미노퓨린-9-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3-이소부틸-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N-{2-[5-메틸-4-옥소-2-(9H-퓨린-6-일설파닐메틸)-4H-퀴나졸린-3-일]-페닐}아세트아미드;
    5-메틸-3-(E-2-메틸-시클로헥실)-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5-메틸-4-옥소-2-(9H-퓨린-6-일설파닐메틸)-4H-퀴나졸린-3-일]벤조산;
    3-{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5-메톡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5-(2-모르폴린-4-일-에틸아미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및
    3-벤질-5-메톡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15.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을 사람을 제외한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i) 내지 (xxxiv)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의학적 질환을 완화시키는 방법.
    (i) 허혈, 바람직하게는 심장 정지, 경색성 심근경색증, 관상동맥의 차단, 뇌혈관의 혈색선 폐색증, 외상성 두부 손상, 부종, 또는 뇌종양으로부터 유래하는 허혈;
    (ii) 재관류 손상, 바람직하게는 혈관 타격, 출혈성 쇼크, 경색성 허혈 또는 심근 경색증, 기관 이식 또는 뇌 혈관 경축과 관련된 재관류 손상;
    (iii) 골 질환, 바람직하게는 골다공증, 파겟병 및 관련 골 제흡수 질환으로부터 선택되는 골 질환;
    (iv) 조혈 세포 근원의 암, 바람직하게는
    (a) 림프종, 바람직하게는 버킷 림프종, 호지킨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림프구 림프종으로부터 선택된 림프종,
    (b) 다발성 골수종,
    (c) 백혈병, 바람직하게는 림프성 백혈병, 만성 골수양(골수성) 백혈병으로부터 선택된 백혈병;
    (v) 히스타민 방출 관련 질병, 바람직하게는 만성 폐섹성 폐병(COPD), 천식, ARDS 및 기종으로부터 선택되는 히스타민 방출 관련 질병;
    (vi) 관절염성 질병, 바람직하게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단일 관절성 관절염, 골관절염, 통풍성 관절염, 척추염으로부터 선택된 관절염성 질병;
    (vii) 베셋병;
    (viii) 패혈증, 폐혈성 쇼크, 내독소성 쇼크, 그람 음성 패혈증, 그람 양성 패혈증 및 독소 쇼크 증후군;
    (ix) 패혈증, 외상 또는 출혈에 대하여 2차적인 다발성 기관 손상 증후군;
    (x) 안질환, 바람직하게는 알레르기성 결막염, 춘계 결막염, 포도막염 및 티로이드 관련 안구병증으로부터 선택되는 안질환;
    (xi) 호산구성 육아종;
    (xii) 폐질환 또는 호흡기 질환, 바람직하게는 천식, 만성 기관지염, 과민성 비염, ARDS, 만성 폐 염증성 질환, 만성 폐쇄성 폐질환, 규폐증, 폐형 사르코이드증, 흉막염, 폐포염, 혈관염, 기종, 폐렴, 기관지 확장증 및 폐 산소 독성으로부터 선택되는 폐질환 또는 호흡기 질환;
    (xiii) 섬유증, 바람직하게는 낭성섬유증;
    (xiv) 켈로이드 형성 또는 상처 조직 형성;
    (xv) 죽상경화증;
    (xvi) 자가면역성 질환, 바람직하게는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LE), 자가 면역성 갑상선염, 다발성 경화증, 당뇨병중 일부 유형 및 레이노드 증후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자가면역성 질환;
    (xvii) 이식 거부 질환, 바람직하게는 GVDH 및 동종 이식 거부로부터 선택되는 이식 거부 질환;
    (xviii) 만성 사구체신염;
    (xix) 염증성 장질환, 바람직하게는 만성 염증성 장 질환(CIBD), 크롬병, 궤양성 대장염 및 괴사성 전장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성 장질환;
    (xx) 염증성 피부염, 바람직하게는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 또는 담마진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성 피부염;
    (xxi) 감염으로 인한 발열 및 근육통;
    (xxii) 중추 신경계 또는 말초 신경계 염증성 질환, 바람직하게는 수막염, 뇌염, 및 부(minor)외상으로 인한 뇌 또는 척추 손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중추 신경계 또는 말초 신경계 염증성 질환;
    (xxiii) 셰그렌 질환;
    (xxiv) 백혈구 누출 관련 질병;
    (xxv) 알콜성 간염;
    (xxvi) 세균성 폐렴;
    (xxvii) 항원-항체 복합체 매개성 질병;
    (xxviii) 혈액량 감소성 쇼크;
    (xxix) 제Ⅰ형 당뇨병;
    (xxx) 급성 및 지연성 과민;
    (xxxi) 백혈구 이온화증 및 전이로 인한 병상;
    (xxxii) 열 손상;
    (xxxiii) 과립세포 수혈 관련 증후군; 및
    (xxxiv) 시토킨 유도성 독성.
    화학식 III
    Figure 112007033435717-pct00141
    상기 식에서,
    Y는 존재하지 않거나(null), S 및 N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은 H, 할로, OH, OCH3, CH3 및 CF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8은 H, OCH3 및 할로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7 및 R8은 퀴나졸린 고리계중 C-6 및 C-7과 함께 티에닐, 푸릴, 피리딜, 옥사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인돌릴, 트리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이미디졸릴, 벤조티아졸릴,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티아졸릴 및 티아디아졸릴이며;
    R9는 C1∼C6알킬, 페닐, 할로페닐, 알킬페닐, 비페닐, 벤질, 피리디닐, 4-메틸피페라지닐, C(=O)-OC2H5 및 모르폴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d는 NH2, 할로, C1∼3알킬, S(C1∼3알킬), OH, NH(C1∼3알킬), N(C1∼3알킬)2, NH(C1∼3알킬렌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및
    q는 1 또는 2이고,
    단, R7 및 R8중 하나 이상은 6-할로 또는 6,7-디메톡시 기와 상이하며, R9는 4-클로로페닐과 상이하다.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호중구에 의한 식세포 활성 또는 박테리아 사멸은 영향받지 않는 것인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의학적 질환을 완화시키는 방법.
  18.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용매화물과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파골세포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골세포의 기능을 파괴시키는 방법.
    화학식 III
    Figure 112007033435717-pct00124
    상기 식에서,
    Y는 존재하지 않거나, S 및 N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은 H, 할로, OH, OCH3, CH3 및 CF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8은 H, OCH3 및 할로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7 및 R8은 퀴나졸린 고리계중 C-6 및 C-7과 함께 티에닐, 푸릴, 피리딜, 옥사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인돌릴, 트리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이미디졸릴, 벤조티아졸릴,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티아졸릴 및 티아디아졸릴이며;
    R9는 C1∼C6알킬, 페닐, 할로페닐, 알킬페닐, 비페닐, 벤질, 피리디닐, 4-메틸피페라지닐, C(=O)-OC2H5 및 모르폴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d는 NH2, 할로, C1∼3알킬, S(C1∼3알킬), OH, NH(C1∼3알킬), N(C1∼3알킬)2, NH(C1∼3알킬렌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q는 1 또는 2이고,
    단, R7 및 R8중 하나 이상은 6-할로 또는 6,7-디메톡시 기와 상이하며, R9는 4-클로로페닐과 상이하다.
  19. 삭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뼈에 결합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파골세포의 기능을 파괴시키는 방법.
  21.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용매화물을사람을 제외한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흡수 장애를 완화시키는 방법.
    화학식 III
    Figure 112007033435717-pct00142
    상기 식에서,
    Y는 존재하지 않거나(null), S 및 N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은 H, 할로, OH, OCH3, CH3 및 CF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8은 H, OCH3 및 할로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7 및 R8은 퀴나졸린 고리계중 C-6 및 C-7과 함께 티에닐, 푸릴, 피리딜, 옥사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인돌릴, 트리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이미디졸릴, 벤조티아졸릴,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티아졸릴 및 티아디아졸릴이며;
    R9는 C1∼C6알킬, 페닐, 할로페닐, 알킬페닐, 비페닐, 벤질, 피리디닐, 4-메틸피페라지닐, C(=O)-OC2H5 및 모르폴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d는 NH2, 할로, C1∼3알킬, S(C1∼3알킬), OH, NH(C1∼3알킬), N(C1∼3알킬)2, NH(C1∼3알킬렌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및
    q는 1 또는 2이고,
    단, R7 및 R8중 하나 이상은 6-할로 또는 6,7-디메톡시 기와 상이하며, R9는 4-클로로페닐과 상이하다.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흡수 장애가 골다공증인 것인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골재흡수 장애를 완화시키는 방법.
  23. 하기 화학식 V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용매화물과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만성 골수성 백혈병 세포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시키는 방법.
    화학식 V
    Figure 112007033435717-pct00125
    상기 식에서,
    R7은 H, 할로겐, OH, OCH3, CH3 및 CF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8은 H, OCH3 및 할로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7 및 R8은 퀴나졸린 고리계중 C-6 및 C-7과 함께 티에닐, 푸릴, 피리딜, 옥사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인돌릴, 트리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이미디졸릴, 벤조티아졸릴,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티아졸릴 및 티아디아졸릴이며;
    R9는 C1∼C6알킬, 페닐, 할로페닐, 알킬페닐, 비페닐, 벤질, 피리디닐, 4-메틸피페라지닐, 아세트산 에틸에스테르 및 모르폴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NH 또는 S이고;
    단, R7 및 R8중 하나 이상은 6-할로 또는 6,7-디메톡시기와 상이하며, R9는 4-클로로페닐과 상이하다.
  24. 삭제
  25.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델타 폴리펩티드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을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델타 폴리펩티드의 키나제 활성을 억제시키는 방법:
    화학식 I
    Figure 112007033435717-pct00126
    상기 식에서,
    A는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1,2,3-트리아졸릴, 피리디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1,3,5-트리아지닐, 퓨리닐, 신놀리닐, 프탈라지닐,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1,8-나프티리디닐, 프테리디닐, 1H-인다졸릴 또는 벤즈이미다졸릴이거나; 또는 N(Ra)2, 할로, C1-3알킬, S(C1-3알킬), ORa, 할로, 및
    Figure 112007033435717-pct00127
    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치환된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1,2,3-트리아졸릴, 피리디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1,3,5-트리아지닐, 퓨리닐, 신놀리닐, 프탈라지닐,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1,8-나프티리디닐, 프테리디닐, 1H-인다졸릴 또는 벤즈이미다졸릴이며;
    X는 CHRb, CH2CHRb 및 CH=C(R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Y는 존재하지 않거나, S, SO, SO2, NH, O, C(=O), OC(=O), C(=O)O 및 NHC(=O)CH2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1 및 R2는 수소, C1∼6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할로, NHC(=O)C1∼3알킬렌N(Ra)2, NO2, ORa, OCF3, N(Ra)2, CN, OC(=O)Ra, C(=O)Ra, C(=O)ORa, 아릴ORb, Het, NRaC(=O)C1∼3알킬렌C(=O)ORa, 아릴OC1∼3알킬렌N(Ra)2, 아릴OC(=O)Ra, C1∼4알킬렌C(=O)ORa, OC1∼4알킬렌C(=O)ORa, C1∼4알킬렌OC1∼4알킬렌C(=O)ORa, C(=O)NRaSO2Ra, C1∼4알킬렌N(Ra)2, C2∼6알케닐렌N(Ra)2, C(=O)NRaC1∼4알킬렌ORa, C(=O)NRaC1∼4알킬렌Het, OC2∼4알킬렌N(Ra)2, OC1∼4알킬렌CH(ORb)CH2N(Ra)2, OC1∼4알킬렌Het, OC2∼4알킬렌ORa, OC2∼4알킬렌NRaC(=O)ORa, NRaC1∼4알킬렌N(Ra)2, NRaC(=O)Ra, NRaC(=O)N(Ra)2, N(SO2C1∼4알킬)2, NRa(SO2C1∼4알킬), SO2N(Ra)2, OSO2CF3, C1∼3알킬렌아릴, C1∼4알킬렌Het, C1∼6알킬렌ORb, C1∼3알킬렌N(Ra)2, C(=O)N(Ra)2, NHC(=O)C1∼C3알킬렌아릴, C3∼8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OC1∼3알킬렌N(Ra)2, 아릴OC(=O)Rb, NHC(=O)C1∼3알킬렌C3∼8헤테로시클로알킬, NHC(=O)C1∼3알킬렌Het, OC1∼4알킬렌OC1∼4알킬렌C(=O)ORb, C(=O)C1∼4알킬렌Het 및 NHC(=O)할로C1∼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3은 수소, C1∼6알킬, C3∼8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C1∼4알킬렌시클로알킬, C2∼6알케닐, C1∼3알킬렌아릴, 아릴C1∼3알킬, C(=O)Ra, 아릴, 헤테로아릴, C(=O)ORa, C(=O)N(Ra)2, C(=S)N(Ra)2, SO2Ra, SO2N(Ra)2, S(=O)Ra, S(=O)N(Ra)2, C(=O)NRaC1∼4알킬렌ORa, C(=O)NRaC1∼4알킬렌Het, C(=O)C1∼4알킬렌아릴, C(=O)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아릴; 할로, SO2N(Ra)2, N(Ra)2, C(=O)ORa, NRaSO2CF3, CN, NO2, C(=O)Ra, ORa, C1∼4알킬렌N(Ra)2 및 OC1∼4알킬렌N(Ra)2으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3개의 기로 치환된 C1∼4알킬렌아릴; 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Het, C1∼4알킬렌C(=O)C1∼4알킬렌아릴, C1∼4알킬렌C(=O)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C(=O)Het, C1∼4알킬렌C(=O)N(Ra)2, C1∼4알킬렌ORa, C1∼4알킬렌NRaC(=O)Ra, C1∼4알킬렌OC1∼4알킬렌ORa, C1∼4알킬렌N(Ra)2, C1∼4알킬렌C(=O)ORa 및 C1∼4알킬렌OC1∼4알킬렌C(=O)ORa; 또는 할로, ORa, C1∼6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NO2, N(Ra)2, NRaSO2CF3, NRaC(=O)Ra, C(=O)ORa, N(Ra)C1∼4알킬렌(Ra)2, SO2N(Ra)2, CN, C(=O)Ra, C1∼4알킬렌N(Ra)2 및 OC1∼4알킬렌N(Ra)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개 ∼ 3개의 치환체로 치환된 C1∼6알킬, C3∼8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C1∼4알킬렌시클로알킬, C2∼6알케닐, C1∼3알킬렌아릴, 아릴C1∼3알킬, C(=O)Ra, 아릴, 헤테로아릴, C(=O)ORa, C(=O)N(Ra)2, C(=S)N(Ra)2, SO2Ra, SO2N(Ra)2, S(=O)Ra, S(=O)N(Ra)2, C(=O)NRaC1∼4알킬렌ORa, C(=O)NRaC1∼4알킬렌Het, C(=O)C1∼4알킬렌아릴, C(=O)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아릴; 할로, SO2N(Ra)2, N(Ra)2, C(=O)ORa, NRaSO2CF3, CN, NO2, C(=O)Ra, ORa, C1∼4알킬렌N(Ra)2 및 OC1∼4알킬렌N(Ra)2으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3개의 기로 치환된 C1∼4알킬렌아릴; 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Het, C1∼4알킬렌C(=O)C1∼4알킬렌아릴, C1∼4알킬렌C(=O)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C(=O)Het, C1∼4알킬렌C(=O)N(Ra)2, C1∼4알킬렌ORa, C1∼4알킬렌NRaC(=O)Ra, C1∼4알킬렌OC1∼4알킬렌ORa, C1∼4알킬렌N(Ra)2, C1∼4알킬렌C(=O)ORa 및 C1∼4알킬렌OC1∼4알킬렌C(=O)OR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a는 수소, C1∼6알킬, C3∼8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C1∼3알킬렌N(Ra)2, 아릴, 아릴C1∼3알킬, C1∼3알킬렌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C1∼3알킬 및 C1∼3알킬렌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2개의 Ra기들은 함께 페닐, 클로로페닐, 플루오로페닐, 아미노페닐, 메틸페닐, 메톡시페닐,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니트로페닐, 카복시페닐; 또는 1,3-디옥솔란, 2-피라졸린, 피라졸리딘, 피롤리딘, 피페라진, 피롤린, 2H-피란, 4H-피란, 모르폴린, 티오폴린, 피페리딘, 1,4-디티안 또는 1,4-디옥산을 형성하고;
    Rb는 수소, C1∼6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C1∼3알킬, 헤테로아릴C1∼3알킬, C1∼3알킬렌아릴 및 C1∼3알킬렌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Het는 1,3-디옥솔란, 2-피라졸린, 피라졸리딘, 피롤리딘, 피페라진, 피롤린, 2H-피란, 4H-피란, 모르폴린, 티오폴린, 피페리딘, 1,4-디티안 또는 1,4-디옥산이거나; 또는 C1∼4알킬 또는 C(=O)ORa로 치환된 1,3-디옥솔란, 2-피라졸린, 피라졸리딘, 피롤리딘, 피페라진, 피롤린, 2H-피란, 4H-피란, 모르폴린, 티오폴린, 피페리딘, 1,4-디티안 또는 1,4-디옥산이고;
    상기 정의에서 아릴은 페닐, 나프틸, 비페닐, 테트라하이드로나프틸, 클로로페닐, 플루오로페닐, 아미노페닐, 메틸페닐, 메톡시페닐,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니트로페닐, 카복시페닐이거나; 또는 할로, 알킬, 페닐, 히드록시알킬, 알콕시, 알콕시알킬, 할로알킬, 니트로, 아미노, 알킬아미노, 아실아미노, 알킬티오, 알킬설피닐 및 알킬설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3개의 기로 치환된 페닐, 나프틸, 비페닐, 테트라하이드로나프틸, 클로로페닐, 플루오로페닐, 아미노페닐, 메틸페닐, 메톡시페닐,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니트로페닐, 카복시페닐이고;
    헤테로아릴은 티에닐, 푸릴, 피리딜, 옥사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인돌릴, 트리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이미디졸릴, 벤조티아졸릴,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티아졸릴 또는 티아디아졸릴이거나; 또는 할로, 알킬, 히드록시, 히드록시알킬, 알콕시, 알콕시알킬, 할로알킬, 니트로, 아미노, 알킬아미노, 아실아미노, 알킬티오, 알킬설피닐 및 알킬설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3개의 기로치환된 티에닐, 푸릴, 피리딜, 옥사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인돌릴, 트리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이미디졸릴, 벤조티아졸릴,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티아졸릴 또는 티아디아졸릴이다.
  26. 제25항에 있어서,
    R1은 H, 할로, OH, OCH3, CH3, 및 CF3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3은 C1-6알킬, 페닐, 할로페닐, 알킬페닐, 비페닐, 벤질, 피리디닐, 4-메틸피페라지닐, C(=O)C2H5, 및 모르폴리닐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R1 및 R2중 하나 이상은 6-할로 또는 6,7-디메톡시와는 상이하며, R3은 4-클로로페닐과는 상이한 것인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델타 폴리펩티드의 키나제 활성을 억제시키는 방법:
  27.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
    화학식 II
    Figure 112007033435717-pct00128
    상기 식에서,
    Y는 존재하지 않거나, S 및 N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는 H, 할로겐, NO2, OH, OCH3, CH3 및 CF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5는 H, OCH3 및 할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4 및 R5는 퀴나졸린 고리계중 C-6 및 C-7과 함께 티에닐, 푸릴, 피리딜, 옥사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인돌릴, 트리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이미디졸릴, 벤조티아졸릴,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티아졸릴 및 티아디아졸릴이며;
    R6은 C1∼C6알킬, 페닐, 할로페닐, 알콕시페닐, 알킬페닐, 비페닐, 벤질, 피리디닐, 4-메틸피페라지닐, C(=O)OC2H5 및 모르폴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d는 NH2, 할로, C1∼3알킬, S(C1∼3알킬), OH, NH(C1∼3알킬), N(C1∼3알킬)2, NH(C1∼3알킬렌페닐) 및
    Figure 112007033435717-pct00129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q는 1 또는 2이고;
    단, R6이 페닐 또는 2-클로로페닐인 경우, R4 및 R5중 하나 이상은 H 이외의 것이다.
  28. 제27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하기 화합물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3-(2-이소프로필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클로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5-클로로-3-(2-플루오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플루오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메톡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6-디클로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6-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벤질-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부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7-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모르폴린-4-일-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아세트산 염;
    8-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6,7-디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3-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6-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3-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9H-퓨린-6-일설파닐메틸)-3-피리딘-4-일-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8-트리플루오로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벤질-5-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4-메틸피페라진-1-일)-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아세트산 염;
    3-(2-클로로페닐)-6-히드록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플루오로-4-옥소-2-(9H-퓨린-6-일설파닐메틸)-4H-퀴나졸린-3-일]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3-(2-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비페닐-2-일-5-클로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클로로-3-(2-메톡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이소프로필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비페닐-2-일-5-클로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플루오로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플루오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8-클로로-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벤질-5-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부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모르폴린-4-일-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7-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6-클로로-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3-(4-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6,7-디메톡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7-니트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6-브로모-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6,7-디메톡시-3H-퀴나졸린-4-온;
    6-브로모-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벤조[g]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o-톨릴-3H-퀴나졸린-4-온; 및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메톡시페닐)-3H-퀴나졸린-4-온.
  29. 제27항에 있어서,
    R4는 H, 할로, OH, OCH3, CH3 및 CF3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6은 C1-6알킬, 페닐, 할로페닐, 알킬페닐, 비페닐, 벤질, 피리디닐, 4-메틸피페라지닐, C(=O)-OC2H5 및 모르폴리닐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a) R4 및 R5는 독립적으로 6-할로 또는 6,7-디메톡시기와는 상이하며; (b) R6은 4-클로로페닐과는 상이하며; (c) R6이 페닐 또는 2-클로로페닐이고 X가 S인 경우, R4 및 R5중 하나 이상은 H와는 상이한 것인 화합물.
  30. 제28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하기 화합물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3-(2-이소프로필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클로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5-클로로-3-(2-플루오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플루오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6-디클로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6-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5-메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벤질-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부틸-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7-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모르폴린-4-일-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아세테이트 염;
    8-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6,7-디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6-클로로-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3-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9H-퓨린-6-일설파닐메틸)-3-피리딘-4-일-3H-퀴나졸린-4-온;
    3-(2-클로로페닐)-2-(9H-퓨린-6-일설파닐메틸)-트리플루오로메틸-3H-퀴나졸린-4-온;
    3-벤질-5-플루오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3-(4-메틸피페라진-1-일)-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아세트산 염;
    3-(2-클로로페닐)-6-히드록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5-플루오로-4-옥소-2-(9H-퓨린-6-일설파닐메틸)-4H-퀴나졸린-3-일]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3-비페닐-2-일-5-클로로-2-(9H-퓨린-6-일설파닐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이소프로필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메틸-3-o-톨릴-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비페닐-2-일-5-클로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플루오로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플루오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8-클로로-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2-클로로페닐)-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5-메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5-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벤질-5-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부틸-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모르폴린-4-일-3H-퀴나졸린-4-온;
    2-(6-아미노퓨린-9-일메틸)-3-(2-클로로페닐)-7-플루오로-3H-퀴나졸린-4-온; 및
    2-(6-아미노퓨린-9-일메틸)-5-클로로-3-o-톨릴-3H-퀴나졸린-4-온.
  3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
    화학식 I
    Figure 112007033435717-pct00130
    상기 식에서,
    A는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1,2,3-트리아졸릴, 피리디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1,3,5-트리아지닐, 퓨리닐, 신놀리닐, 프탈라지닐,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1,8-나프티리디닐, 프테리디닐, 1H-인다졸릴 또는 벤즈이미다졸릴이거나; 또는 N(Ra)2, 할로, C1-3알킬, S(C1-3알킬), ORa, 할로, 및
    Figure 112007033435717-pct00131
    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치환된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1,2,3-트리아졸릴, 피리디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1,3,5-트리아지닐, 퓨리닐, 신놀리닐, 프탈라지닐,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1,8-나프티리디닐, 프테리디닐, 1H-인다졸릴 또는 벤즈이미다졸릴이며;
    X는 CHRb, CH2CHRb 및 CH=C(R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Y는 존재하지 않거나, S, SO, SO2, NH, O, C(=O), OC(=O), C(=O)O 및 NHC(=O)CH2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1 및 R2는 수소, C1∼6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할로, NHC(=O)C1∼3알킬렌N(Ra)2, NO2, ORa, OCF3, N(Ra)2, CN, OC(=O)Ra, C(=O)Ra, C(=O)ORa, 아릴ORb, Het, NRaC(=O)C1∼3알킬렌C(=O)ORa, 아릴OC1∼3알킬렌N(Ra)2, 아릴OC(=O)Ra, C1∼4알킬렌C(=O)ORa, OC1∼4알킬렌C(=O)ORa, C1∼4알킬렌OC1∼4알킬렌C(=O)ORa, C(=O)NRaSO2Ra, C1∼4알킬렌N(Ra)2, C2∼6알케닐렌N(Ra)2, C(=O)NRaC1∼4알킬렌ORa, C(=O)NRaC1∼4알킬렌Het, OC2∼4알킬렌N(Ra)2, OC1∼4알킬렌CH(ORb)CH2N(Ra)2, OC1∼4알킬렌Het, OC2∼4알킬렌ORa, OC2∼4알킬렌NRaC(=O)ORa, NRaC1∼4알킬렌N(Ra)2, NRaC(=O)Ra, NRaC(=O)N(Ra)2, N(SO2C1∼4알킬)2, NRa(SO2C1∼4알킬), SO2N(Ra)2, OSO2CF3, C1∼3알킬렌아릴, C1∼4알킬렌Het, C1∼6알킬렌ORb, C1∼3알킬렌N(Ra)2, C(=O)N(Ra)2, NHC(=O)C1∼C3알킬렌아릴, C3∼8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OC1∼3알킬렌N(Ra)2, 아릴OC(=O)Rb, NHC(=O)C1∼3알킬렌C3∼8헤테로시클로알킬, NHC(=O)C1∼3알킬렌Het, OC1∼4알킬렌OC1∼4알킬렌C(=O)ORb, C(=O)C1∼4알킬렌Het 및 NHC(=O)할로C1∼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3은 수소, C1∼6알킬, C3∼8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C1∼4알킬렌시클로알킬, C2∼6알케닐, C1∼3알킬렌아릴, 아릴C1∼3알킬, C(=O)Ra, 아릴, 헤테로아릴, C(=O)ORa, C(=O)N(Ra)2, C(=S)N(Ra)2, SO2Ra, SO2N(Ra)2, S(=O)Ra, S(=O)N(Ra)2, C(=O)NRaC1∼4알킬렌ORa, C(=O)NRaC1∼4알킬렌Het, C(=O)C1∼4알킬렌아릴, C(=O)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아릴; 할로, SO2N(Ra)2, N(Ra)2, C(=O)ORa, NRaSO2CF3, CN, NO2, C(=O)Ra, ORa, C1∼4알킬렌N(Ra)2 및 OC1∼4알킬렌N(Ra)2으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3개의 기로 치환된 C1∼4알킬렌아릴; 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Het, C1∼4알킬렌C(=O)C1∼4알킬렌아릴, C1∼4알킬렌C(=O)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C(=O)Het, C1∼4알킬렌C(=O)N(Ra)2, C1∼4알킬렌ORa, C1∼4알킬렌NRaC(=O)Ra, C1∼4알킬렌OC1∼4알킬렌ORa, C1∼4알킬렌N(Ra)2, C1∼4알킬렌C(=O)ORa 및 C1∼4알킬렌OC1∼4알킬렌C(=O)ORa; 또는 할로, ORa, C1∼6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NO2, N(Ra)2, NRaSO2CF3, NRaC(=O)Ra, C(=O)ORa, N(Ra)C1∼4알킬렌(Ra)2, SO2N(Ra)2, CN, C(=O)Ra, C1∼4알킬렌N(Ra)2 및 OC1∼4알킬렌N(Ra)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개 ∼ 3개의 치환체로 치환된 C1∼6알킬, C3∼8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C1∼4알킬렌시클로알킬, C2∼6알케닐, C1∼3알킬렌아릴, 아릴C1∼3알킬, C(=O)Ra, 아릴, 헤테로아릴, C(=O)ORa, C(=O)N(Ra)2, C(=S)N(Ra)2, SO2Ra, SO2N(Ra)2, S(=O)Ra, S(=O)N(Ra)2, C(=O)NRaC1∼4알킬렌ORa, C(=O)NRaC1∼4알킬렌Het, C(=O)C1∼4알킬렌아릴, C(=O)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아릴; 할로, SO2N(Ra)2, N(Ra)2, C(=O)ORa, NRaSO2CF3, CN, NO2, C(=O)Ra, ORa, C1∼4알킬렌N(Ra)2 및 OC1∼4알킬렌N(Ra)2으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3개의 기로 치환된 C1∼4알킬렌아릴; 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Het, C1∼4알킬렌C(=O)C1∼4알킬렌아릴, C1∼4알킬렌C(=O)C1∼4알킬렌헤테로아릴, C1∼4알킬렌C(=O)Het, C1∼4알킬렌C(=O)N(Ra)2, C1∼4알킬렌ORa, C1∼4알킬렌NRaC(=O)Ra, C1∼4알킬렌OC1∼4알킬렌ORa, C1∼4알킬렌N(Ra)2, C1∼4알킬렌C(=O)ORa 및 C1∼4알킬렌OC1∼4알킬렌C(=O)OR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a는 수소, C1∼6알킬, C3∼8시클로알킬, C3∼8헤테로시클로알킬, C1∼3알킬렌N(Ra)2, 아릴, 아릴C1∼3알킬, C1∼3알킬렌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C1∼3알킬 및 C1∼3알킬렌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2개의 Ra기들은 함께 페닐, 클로로페닐, 플루오로페닐, 아미노페닐, 메틸페닐, 메톡시페닐,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니트로페닐, 카복시페닐; 또는 1,3-디옥솔란, 2-피라졸린, 피라졸리딘, 피롤리딘, 피페라진, 피롤린, 2H-피란, 4H-피란, 모르폴린, 티오폴린, 피페리딘, 1,4-디티안 또는 1,4-디옥산을 형성하고;
    Rb는 수소, C1∼6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C1∼3알킬, 헤테로아릴C1∼3알킬, C1∼3알킬렌아릴 및 C1∼3알킬렌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Het는 1,3-디옥솔란, 2-피라졸린, 피라졸리딘, 피롤리딘, 피페라진, 피롤린, 2H-피란, 4H-피란, 모르폴린, 티오폴린, 피페리딘, 1,4-디티안 또는 1,4-디옥산이거나; 또는 C1∼4알킬 또는 C(=O)ORa로 치환된 1,3-디옥솔란, 2-피라졸린, 피라졸리딘, 피롤리딘, 피페라진, 피롤린, 2H-피란, 4H-피란, 모르폴린, 티오폴린, 피페리딘, 1,4-디티안 또는 1,4-디옥산이고;
    단, X-Y가 CH2S인 경우, R3
    Figure 112007033435717-pct00132
    Figure 112007033435717-pct00133
    와는 상이하며, X-Y가 CH2S인 경우, R3은 -CH2CH(OH)CH2OH 치환된 페닐과는 상이하다.
    상기 정의에서 아릴은 페닐, 나프틸, 비페닐, 테트라하이드로나프틸, 클로로페닐, 플루오로페닐, 아미노페닐, 메틸페닐, 메톡시페닐,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니트로페닐, 카복시페닐이거나; 또는 할로, 알킬, 페닐, 히드록시알킬, 알콕시, 알콕시알킬, 할로알킬, 니트로, 아미노, 알킬아미노, 아실아미노, 알킬티오, 알킬설피닐 및 알킬설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3개의 기로 치환된 페닐, 나프틸, 비페닐, 테트라하이드로나프틸, 클로로페닐, 플루오로페닐, 아미노페닐, 메틸페닐, 메톡시페닐,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니트로페닐, 카복시페닐이고;
    헤테로아릴은 티에닐, 푸릴, 피리딜, 옥사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인돌릴, 트리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이미디졸릴, 벤조티아졸릴,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티아졸릴 또는 티아디아졸릴이거나; 또는 할로, 알킬, 히드록시, 히드록시알킬, 알콕시, 알콕시알킬, 할로알킬, 니트로, 아미노, 알킬아미노, 아실아미노, 알킬티오, 알킬설피닐 및 알킬설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3개의 기로치환된 티에닐, 푸릴, 피리딜, 옥사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인돌릴, 트리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이미디졸릴, 벤조티아졸릴,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티아졸릴 또는 티아디아졸릴이다.
  32. 제31항에 있어서, X는 CH2, CH2CH2, CH=CH, CH(CH3), CH2 CH(CH3), 및 C(CH3)2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33. 제31항에 있어서, Y는 존재하지 않거나, S 및 NH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34. 삭제
  35. 제31항에 있어서, A 고리가
    Figure 112007033435717-pct00134
    Figure 112007033435717-pct00135
    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36. 삭제
  37. 제31항에 있어서, A 고리가 NH2, NH(CH3), N(CH3)2, NHCH2C6H5, NH(C2H5), Cl, F, CH3, SCH3, OH, 및
    Figure 112007033435717-pct00136
    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는 것인 화합물.
  38. 제31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ORa, 할로, C1-6알킬, CF3, NO2, N(Ra)2, NRaC1-3알킬렌N(Ra)2, 및 OC1-3알킬렌ORa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39. 삭제
  40. 제31항에 있어서, R3이 C1-6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3-8시클로알킬, C 3-8헤테로시클로알킬, C(=O)ORa, C1-4알킬렌Het, C1-4알킬렌시클로알킬, C1-4 알킬렌아릴, C1-4알킬렌C(=O)C1-4알킬렌아릴, C1-4알킬렌C(=O)ORa, C1-4알킬렌C(=O)N(R a)2, C1-4알킬렌C(=O)Het, C1-4알킬렌N(Ra)2, 및 C1-4알킬렌NR aC(=O)Ra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41. 제31항에 있어서, R3은 ORa, C1-6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NO2, N(Ra)2, NRaC(=O)Ra, C(=O)OC2H5, CH2CH(CH3)2,
    Figure 112007033435717-pct00137
    Figure 112007033435717-pct00138
    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42. 제31항에 있어서, R3이 할로, ORa, C1-6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NO2, N(Ra)2, NRaSO2CF3, NRaC(=O)Ra, C(=O)ORa, SO2N(Ra)2, CN, C(=O)Ra, C1-4알킬렌N(Ra)2, OC1-4알킬렌N(Ra)2, 및 N(Ra)C1-4알킬렌N(Ra)2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는 것인 화합물.
  43. 제31항에 있어서, R3이 Cl, F, CH3, CH(CH3)2, OCH3, C6H5, NO2, NH2, NHC(=O)CH3, CO2H, 및 N(CH3)CH2CH2N(CH3)2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는 것인 화합물.
  44. 제38항에 있어서, 정의된 R1 및 R2는 H, OCH3, Cl, Br, F, CH3, CF3, NO2, OH, N(CH3)2,
    Figure 112007033435717-pct00139
    및 O(CH2)2OCH2C6H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를 포함하는 것인 화합물.
KR1020027014346A 2000-04-25 2001-04-24 인간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델타의 억제제 Expired - Lifetime KR100785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9965500P 2000-04-25 2000-04-25
US60/199,655 2000-04-25
US23805700P 2000-10-05 2000-10-05
US60/238,057 2000-10-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077A KR20020093077A (ko) 2002-12-12
KR100785363B1 true KR100785363B1 (ko) 2007-12-18

Family

ID=26894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346A Expired - Lifetime KR100785363B1 (ko) 2000-04-25 2001-04-24 인간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델타의 억제제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2) US6518277B1 (ko)
EP (3) EP1278748B1 (ko)
JP (1) JP4642309B2 (ko)
KR (1) KR100785363B1 (ko)
CN (1) CN1440408B (ko)
AT (1) ATE502941T1 (ko)
AU (2) AU5566701A (ko)
BR (1) BRPI0110371B8 (ko)
CA (1) CA2406278C (ko)
CY (1) CY1117672T1 (ko)
DE (1) DE60144277D1 (ko)
DK (3) DK1939203T3 (ko)
EA (1) EA008241B1 (ko)
ES (3) ES2788383T3 (ko)
GE (1) GEP20084317B (ko)
HR (1) HRP20020838A2 (ko)
HU (1) HU230554B1 (ko)
IL (3) IL152275A0 (ko)
IS (1) IS2822B (ko)
MX (1) MXPA02010618A (ko)
NO (2) NO329136B1 (ko)
NZ (1) NZ522076A (ko)
PT (3) PT3029041T (ko)
RS (1) RS51458B (ko)
SI (2) SI3029041T1 (ko)
WO (1) WO200108134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0000B1 (en) * 1999-10-27 2007-06-12 Cytokinetics, Incorporated Methods and compositions utilizing quinazolinones
US6545004B1 (en) 1999-10-27 2003-04-08 Cytokinetic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utilizing quinazolinones
US7671200B2 (en) 1999-10-27 2010-03-02 Cytokinetics, Inc. Quinazolinone KSP inhibitors
US6667300B2 (en) * 2000-04-25 2003-12-23 Icos Corporation Inhibitors of human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delta
US6403588B1 (en) 2000-04-27 2002-06-11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Imidazopyridine derivatives
US6608053B2 (en) 2000-04-27 2003-08-19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Fused heteroaryl derivatives
US7754208B2 (en) 2001-01-17 2010-07-13 Trubion Pharmaceuticals, Inc. Binding domain-immunoglobulin fusion proteins
US7829084B2 (en) * 2001-01-17 2010-11-09 Trubion Pharmaceuticals, Inc. Binding construct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US20030133939A1 (en) 2001-01-17 2003-07-17 Genecraft, Inc. Binding domain-immunoglobulin fusion proteins
NZ518726A (en) * 2001-05-09 2004-06-25 Warner Lambert Co Method of treating or inhibiting neutrophil chemotaxis by administering a mek inhibitor
US6689782B2 (en) 2001-07-16 2004-02-10 Essential Therapeutics, Inc. Fungal efflux pump inhibitors
WO2003027321A2 (en) * 2001-09-24 2003-04-03 University Of Aarhus Method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eases associated with altered expression of neurogranin
EP1442132A2 (en) * 2001-10-26 2004-08-04 Novartis AG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osteoarthritis and compositions thereof
JP2005511581A (ja) * 2001-11-07 2005-04-28 メルク エンド カム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有糸分裂キネシン阻害剤
AU2003213092A1 (en) * 2002-02-15 2003-09-09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Syntheses of quinazolinones
PE20030968A1 (es) 2002-02-28 2004-01-12 Novartis Ag Derivados de 5-feniltiazol como inhibidores de cinasas
US7381730B2 (en) * 2002-03-15 2008-06-03 Bristol-Myers Squibb Company 3-arylquinazoline derivatives as selective estrogen receptor beta modulators
AU2003226252A1 (en) * 2002-04-04 2003-10-20 Cv Therapeutics, Inc. Compounds dor increasing abca-1 expression useful for treating coronary artery disease and atherosclerosis
MXPA04011074A (es) * 2002-05-09 2005-06-08 Cytokinetics Inc Compuestos de pirimidinona, composiciones y metodos.
WO2003097053A1 (en) * 2002-05-09 2003-11-27 Cytokinetics, Inc.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JP2005536475A (ja) 2002-05-23 2005-12-02 サイトキネ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化合物、組成物、および方法
AU2003236527A1 (en) * 2002-06-14 2003-12-31 Cytokinetics, Inc.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CA2491555C (en) * 2002-07-10 2012-09-1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olid-phase and solution-phase synthesis of glycosylphosphatidylinositol glycans
EP1537089A4 (en) * 2002-07-23 2008-04-16 Cytokinetics Inc CONNECTIONS, COMPOSITIONS AND PROCEDURES
JP2005536553A (ja) * 2002-08-21 2005-12-02 サイトキネ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化合物、組成物および方法
AU2003277079A1 (en) * 2002-09-30 2004-05-04 Cytokinetics, Inc.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ATE411996T1 (de) 2002-09-30 2008-11-15 Bayer Healthcare Ag Kondensierte azolpyrimidinderivate
AU2003301662A1 (en) * 2002-10-21 2004-05-13 Bristol-Myers Squibb Company Quinazolinones and derivatives thereof as factor xa inhibitors
CA2508601A1 (en) 2002-12-06 2004-06-24 Warner-Lambert Company Llc Benzoxazin-3-ones and derivatives thereof as inhibitors of pi3k
CA2510851A1 (en) * 2002-12-20 2004-07-08 Warner-Lambert Company Llc Benzoxazines and derivatives thereof as inhibitors of pi3ks
US7550590B2 (en) 2003-03-25 2009-06-23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Dipeptidyl peptidase inhibitors
US7429596B2 (en) * 2003-06-20 2008-09-3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1H-pyrrolo [2,3-D] pyrimidine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MXPA06001552A (es) 2003-08-08 2006-09-04 Ulysses Pharmaceutical Product Quinazolinil nitrofuranos halogenados como agentes antibacterianos.
WO2005016911A1 (en) 2003-08-13 2005-02-24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4-pyrimido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peptidyl peptidase inhibitors
WO2005016349A1 (en) * 2003-08-14 2005-02-24 Icos Corporation Methods of inhibiting leukocyte accumulation
US20050043239A1 (en) * 2003-08-14 2005-02-24 Jason Douangpanya Methods of inhibiting immune responses stimulated by an endogenous factor
EP1697342A2 (en) * 2003-09-08 2006-09-06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Dipeptidyl peptidase inhibitors
EP1699777B1 (en) * 2003-09-08 2012-12-12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Dipeptidyl peptidase inhibitors
CA2539548A1 (en) 2003-09-18 2005-03-31 Conforma Therapeutics Corporation Novel heterocyclic compounds as hsp90-inhibitors
US20050197327A1 (en) * 2003-11-03 2005-09-08 Gustave Bergnes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JP2007513154A (ja) 2003-12-08 2007-05-24 サイトキネ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化合物、組成物及び方法
US20050239809A1 (en) * 2004-01-08 2005-10-27 Watts Stephanie W Method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hypertension and hypertension-related disorders
JP4102939B2 (ja) * 2004-02-13 2008-06-18 萬有製薬株式会社 縮環4−オキソ−ピリミジン誘導体
EP1724271A4 (en) * 2004-02-26 2013-01-23 Kyowa Hakko Kirin Co Ltd PREVENTIVE AND / OR THERAPEUTIC AGENT AGAINST NEUTROPHIC INFLAMMATORY DISEASE
UA85871C2 (uk) * 2004-03-15 2009-03-10 Такеда Фармасьютікал Компані Лімітед Інгібітори дипептидилпептидази
DK1737831T3 (da) 2004-04-02 2013-08-19 Prana Biotechnology Ltd Neurologisk aktive forbindelser
CA2565218A1 (en) * 2004-05-06 2005-11-17 Cancer Research Technology Limited Compoun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cancer
ME02688B (me) * 2004-05-13 2017-10-20 Icos Corp Hinazolinoni kao inhibitori humane fosfatidilinozitol 3 - kinaze delta
CA2566436C (en) * 2004-05-13 2011-05-10 Vanderbilt University Phosphoinositide 3-kinase delta selective inhibitors for inhibiting angiogenesis
WO2005117889A1 (en) * 2004-05-25 2005-12-15 Icos Corporation Methods for treating and/or preventing aberrant proliferation of hematopoietic
EP1750715A1 (en) * 2004-06-04 2007-02-14 Icos Corporation Methods for treating mast cell disorders
KR20130103580A (ko) * 2004-08-24 2013-09-23 추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항 글리피칸 3 항체를 이용한 어쥬번트 요법
US20060079573A1 (en) * 2004-10-10 2006-04-13 Jakob Vinten-Johans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vasospasm
EP1831225A2 (en) * 2004-11-19 2007-09-1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nti-inflammatory pyrazolopyrimidines
EP2805953B1 (en) 2004-12-21 2016-03-09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Dipeptidyl peptidase inhibitors
EP1885356A2 (en) * 2005-02-17 2008-02-13 Icos Corporation Phosphoinositide 3-kinase inhibitors for inhibiting leukocyte accumulation
EA013522B1 (ru) 2005-03-30 2010-06-30 Конформа Терапьютикс Корпорейшн Алкинилпирролопиримидины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hsp90
JP4240146B2 (ja) * 2005-07-05 2009-03-18 萬有製薬株式会社 4(3h)−キナゾリノン誘導体の製造方法
PT1912675E (pt) * 2005-07-25 2014-05-09 Emergent Product Dev Seattle Moléculas de ligaçao especificas para cd37 e especificas para cd20
AU2006283846B2 (en) * 2005-08-26 2012-04-05 Merck Serono Sa Pyrazine derivatives and use as PI3K inhibitors
EP1942898B2 (en) 2005-09-14 2014-05-14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Dipeptidyl peptidase inhibitors for treating diabetes
US20070060529A1 (en) * 2005-09-14 2007-03-15 Christopher Ronald J Administration of dipeptidyl peptidase inhibitors
WO2007035629A2 (en) * 2005-09-16 2007-03-29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yrimidinedione derivatives
US20070087005A1 (en) 2005-10-14 2007-04-19 Lazar Gregory A Anti-glypican-3 antibody
WO2007054556A1 (de) 2005-11-11 2007-05-18 Æterna Zentaris Gmbh Neue pyridopyrazine und deren verwendung als modulatoren von kinasen
US8217042B2 (en) 2005-11-11 2012-07-10 Zentaris Gmbh Pyridopyrazines and their use as modulators of kinases
EP1790342A1 (de) 2005-11-11 2007-05-30 Zentaris GmbH Pyridopyrazin-Derivate und deren Verwendung als Modulatoren der Signaltransduktionswege
WO2007070514A1 (en) 2005-12-13 2007-06-21 Incyte Corporation Heteroaryl substituted pyrrolo[2,3-b]pyridines and pyrrolo[2,3-b]pyrimidines as janus kinase inhibitors
JP2009531456A (ja) * 2006-03-28 2009-09-03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r)−3−アミノピペリジン二塩酸塩の調製
AU2007347115A1 (en) * 2006-04-04 2008-10-2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I3 kinase antagonists
GB0610242D0 (en) * 2006-05-23 2006-07-05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CA3149553C (en) * 2006-06-12 2023-11-21 Aptevo Research And Development Llc Single-chain multivalent binding proteins with effector function
KR101419075B1 (ko) * 2006-08-08 2014-07-11 아스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퀴나졸린 유도체
US8324383B2 (en) 2006-09-13 2012-12-04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Methods of making polymorphs of benzoate salt of 2-[[6-[(3R)-3-amino-1-piperidinyl]-3,4-dihydro-3-methyl-2,4-dioxo-1(2H)-pyrimidinyl]methyl]-benzonitrile
HRP20110800T1 (hr) * 2006-09-13 2011-12-31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UPORABA 2-6-(3-AMINO-PIPERIDIN-1-IL)-3-METIL-2,4-DIOKSO-3,4-DIHIDRO-2H-PIRIMIDIN-1-ILMETIL-4-FLUORO-BENZONITRILA ZA LIJEČENJE DIJABETESA, RAKA, AUTOIMUNIH POREMEĆAJA I ZARAZE HIV-om
CN101547922B (zh) * 2006-10-04 2012-06-20 辉瑞产品公司 作为钙受体拮抗剂的吡啶并[4,3-d]嘧啶-4(3H)-酮衍生物
CA2667962A1 (en) 2006-10-30 2008-05-08 Novartis Ag Heterocyclic compounds as antiinflammatory agents
SG178786A1 (en) * 2006-11-13 2012-03-29 Lilly Co Eli Thienopyrimidinones f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orders and cancers
TW200838536A (en) * 2006-11-29 2008-10-01 Takeda Pharmaceutical Polymorphs of succinate salt of 2-[6-(3-amino-piperidin-1-yl)-3-methyl-2,4-dioxo-3,4-dihydro-2H-pyrimidin-1-ylmethy]-4-fluor-benzonitrile and methods of use therefor
US8093236B2 (en) 2007-03-13 2012-01-10 Takeda Pharmaceuticals Company Limited Weekly administration of dipeptidyl peptidase inhibitors
SI3070090T1 (sl) 2007-06-13 2019-04-30 Incyte Holdings Corporation Uporaba soli zaviralca Janus kinaze (R)-3-(4-(7H-pirolo (2,3-D)pirimidin-4-il)-1H-pirazol-1-il)-3-ciklopentilpropannitrila
UY31137A1 (es) * 2007-06-14 2009-01-05 Smithkline Beecham Corp Derivados de quinazolina como inhibidores de la pi3 quinasa
US20110160232A1 (en) * 2007-10-04 2011-06-30 Pingda Ren Certain chemical entitie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WO2009058361A1 (en) * 2007-10-31 2009-05-07 Dynavax Technologies Corp. Inhibition of type i ifn production
AU2008321099A1 (en) * 2007-11-13 2009-05-22 Icos Corporation Inhibitors of human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delta
BRPI0906474A2 (pt) 2008-01-04 2015-07-14 Intellikine Inc Certas entidades químicas, composições e métodos
RU2537549C2 (ru) * 2008-01-04 2015-01-10 Интелликайн ЭлЭлСи Некоторые химические структуры,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US8193182B2 (en) 2008-01-04 2012-06-05 Intellikine, Inc. Substituted isoquinolin-1(2H)-on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09114874A2 (en) 2008-03-14 2009-09-17 Intellikine, Inc. Benzothiazole kin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JP5547099B2 (ja) 2008-03-14 2014-07-09 インテリカイン, エルエルシー キナーゼ阻害剤および使用方法
MX2010011057A (es) 2008-04-11 2010-11-12 Trubion Pharmaceuticals Inc Inmunoterapeutico de cd37 y combinacion con quimioterapeutico bifuncional del mismo.
US10517839B2 (en) * 2008-06-09 2019-12-31 Cornell University Mast cell inhibition in diseases of the retina and vitreous
WO2010006072A2 (en) * 2008-07-08 2010-01-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tor modulators and uses thereof
AU2009268611B2 (en) 2008-07-08 2015-04-09 Intellikine, Llc Kin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WO2010036380A1 (en) * 2008-09-26 2010-04-01 Intellikine, Inc. Heterocyclic kinase inhibitors
EP2358720B1 (en) 2008-10-16 2016-03-0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Fused ring heteroaryl kinase inhibitors
US8476282B2 (en) 2008-11-03 2013-07-02 Intellikine Llc Benzoxazole kin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NZ620326A (en) * 2008-11-13 2015-07-31 Emergent Product Dev Seattle Cd37 immunotherapeutic combination therapies and uses thereof
KR101664511B1 (ko) 2008-11-13 2016-10-11 길리아드 칼리스토가 엘엘씨 혈액 종양에 대한 요법
US9492449B2 (en) 2008-11-13 2016-11-15 Gilead Calistoga Llc Therapies for hematologic malignancies
AU2009322187B2 (en) * 2008-12-04 2015-02-1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hosphatidylinositol-3-kinase p110 delta-targeted drugs in the treatment of CNS disorders
AU2010214440A1 (en) 2009-02-12 2011-09-01 Astellas Pharma Inc. Hetero ring derivative
CN102439012A (zh) * 2009-03-24 2012-05-02 吉里德卡利斯托加公司 2-嘌呤基-3-甲苯基-喹唑啉酮衍生物的阻转异构体和使用方法
AR075974A1 (es) 2009-03-27 2011-05-11 Pathway Therapeutics Ltd Pirimidinil y 1,3,5-triazinilbencimidazolsulfonamidas y su uso en terapia del cancer
WO2010110686A1 (en) 2009-03-27 2010-09-30 Pathway Therapeutics Limited Pyrimidinyl and 1,3,5 triazinyl benzimidazoles and their use in cancer therapy
KR20120005523A (ko) * 2009-04-20 2012-01-16 길리아드 칼리스토가 엘엘씨 고형 종양의 치료 방법
WO2010129816A2 (en) 2009-05-07 2010-11-11 Intellikine, Inc. Hetero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MX2011013901A (es) * 2009-06-25 2012-05-08 Amgen Inc Derivados de 4h-pirido [1,2-a] pirimidin-4-ona como inhibidores de pi3k.
AR080945A1 (es) 2009-07-07 2012-05-23 Pathway Therapeutics Inc Pirimidinil y 1,3,5-triazinil benzimidazoles y su uso en la terapia contra el cancer
US8691829B2 (en) 2009-07-21 2014-04-08 Gilead Calistoga Llc Treatment of liver disorders with PI3K inhibitors
PE20170003A1 (es) 2009-08-17 2017-03-15 Intellikine Llc Compuestos heterociclicos y usos de los mismos
US8980899B2 (en) 2009-10-16 2015-03-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of inhibiting Ire1
GB0918249D0 (en) 2009-10-19 2009-12-02 Respivert Ltd Compounds
WO2011049625A1 (en) 2009-10-20 2011-04-28 Mansour Samadpour Method for aflatoxin screening of products
PL2496567T3 (pl) 2009-11-05 2018-01-31 Rhizen Pharmaceuticals S A Nowe benzopiranowe modulatory kinazy
AU2011224484A1 (en) 2010-03-10 2012-09-27 Incyte Holdings Corporation Piperidin-4-yl azetidine derivatives as JAK1 inhibitors
MY161078A (en) 2010-05-21 2017-04-14 Incyte Holdings Corp Topical formulation for a jak inhibitor
JP5951600B2 (ja) 2010-05-21 2016-07-13 インフィニティー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キナーゼ調節のための、化合物、組成物および方法
WO2011159726A2 (en) 2010-06-14 2011-12-22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Reprogramming of cells to a new fate
EA023931B1 (ru) 2010-08-10 2016-07-29 Астеллас Фарма Инк. Гетероциклическое соединение
AU2011298423B2 (en) 2010-09-03 2015-11-05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Substituted fused pyrimidinones and dihydropyrimidinones
CA2812467A1 (en) 2010-09-24 2012-03-29 Gilead Calistoga Llc Atropisomers of pi3k-inhibiting compounds
WO2012044641A1 (en) 2010-09-29 2012-04-05 Pathway Therapeutics Inc. 1,3,5-triazinyl benzimidazole sulfonamides and their use in cancer therapy
UY33337A (es) 2010-10-18 2011-10-31 Respivert Ltd DERIVADOS SUSTITUIDOS DE 1H-PIRAZOL[ 3,4-d]PIRIMIDINA COMO INHIBIDORES DE LAS FOSFOINOSITIDA 3-QUINASAS
AU2011326427B2 (en) 2010-11-10 2016-01-07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Hetero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PE20140146A1 (es) 2010-11-19 2014-02-06 Incyte Corp Derivados de pirrolopiridina y pirrolopirimidina sustituidos con ciclobutilo como inhibidores de jak
CN103648499B (zh) 2011-01-10 2017-02-15 无限药品股份有限公司 用于制备异喹啉酮的方法及异喹啉酮的固体形式
EP2678018A4 (en) 2011-02-23 2015-09-30 Intellikine Llc COMBINATION OF CHINESE HEMMER AND USES THEREOF
EP2678016B1 (en) 2011-02-23 2016-08-10 Intellikine, LLC Hetero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WO2012121953A1 (en) 2011-03-08 2012-09-13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etho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reating lymphoid malignancy
US9056852B2 (en) 2011-03-28 2015-06-16 Mei Pharma, Inc. (Alpha-substituted aralkylamino and heteroarylalkylamino) pyrimidinyl and 1,3,5-triazinyl benzimidazole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and their use in treating proliferative diseases
CN102731525A (zh) * 2011-04-08 2012-10-17 上海艾力斯医药科技有限公司 苯并吗啉衍生物
EP2518070A1 (en) 2011-04-29 2012-10-31 Almirall, S.A. Pyrrolotriazinone derivatives as PI3K inhibitors
AP4075A (en) 2011-05-04 2017-03-23 Rhizen Pharmaceuticals S A Novel compounds as modulators of protein kinases
WO2012177606A1 (en) 2011-06-20 2012-12-27 Incyte Corporation Azetidinyl phenyl, pyridyl or pyrazinyl carboxamide derivatives as jak inhibitors
WO2013012918A1 (en) 2011-07-19 2013-01-24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Hetero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US8969363B2 (en) 2011-07-19 2015-03-03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Hetero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TW201311663A (zh) 2011-08-29 2013-03-16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雜環化合物及其用途
CA2846496C (en) 2011-09-02 2020-07-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ubstituted pyrazolo[3,4-d]pyrimidines and uses thereof
CN106146506A (zh) 2012-03-05 2016-11-23 吉利德卡利斯托加公司 (s)‑2‑(1‑(9h‑嘌呤‑6‑基氨基)丙基)‑5‑氟‑3‑苯基喹唑啉‑4(3h)‑酮的多晶型物
US8940742B2 (en) 2012-04-10 2015-01-27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Hetero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US8828998B2 (en) 2012-06-25 2014-09-09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Treatment of lupus, fibrotic conditions, and inflammatory myopathies and other disorders using PI3 kinase inhibitors
HUE034591T2 (en) 2012-07-04 2018-02-28 Rhizen Pharmaceuticals S A Selective pi3k delta inhibitors
UY34893A (es) 2012-07-10 2014-02-28 Takeda Pharmaceutical Derivados de azaindol
SG10202003090VA (en) * 2012-08-08 2020-05-28 Kbp Biosciences Co Ltd PI3K δ INHIBITOR
BR112015006828A8 (pt) 2012-09-26 2019-09-17 Univ California composto, ou um sal farmaceuticamente aceitável do mesmo; composição farmacêutica; uso do composto; e método para modular a atividade de uma proteína ire1
MX2015004327A (es) 2012-10-16 2015-06-10 Almirall Sa Derivados de pirrolotriazinona como inhibidores de pi3k.
EP2914296B2 (en) 2012-11-01 2021-09-29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Treatment of cancers using pi3 kinase isoform modulators
WO2014072937A1 (en) 2012-11-08 2014-05-15 Rhizen Pharmaceuticals Sa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a pde4 inhibitor and a pi3 delta or dual pi3 delta-gamma kinase inhibitor
SMT202100436T1 (it) 2012-11-15 2021-09-14 Incyte Holdings Corp Forme di dosaggio a rilascio prolungato di ruxolitinib
US9730940B2 (en) 2012-11-16 2017-08-15 Merck Sharp & Dohme Purine inhibitors of human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delta
CA2895782C (en) 2012-12-21 2017-08-22 Gilead Calistoga Llc Substituted pyrimidine aminoalkyl-quinazolones as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inhibitors
WO2014100767A1 (en) 2012-12-21 2014-06-26 Gilead Calistoga Llc Isoquinolinone or quinazolinone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inhibitors
UA121532C2 (uk) 2013-03-06 2020-06-10 Інсайт Холдінгс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и і проміжні сполуки при отриманні інгібітора jak
US9481667B2 (en) 2013-03-15 2016-11-01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Salts and solid forms of isoquinolinon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TW201522341A (zh) 2013-03-15 2015-06-16 Respivert Ltd 化合物
AR095353A1 (es) 2013-03-15 2015-10-07 Respivert Ltd Compuesto
WO2014151386A1 (en) 2013-03-15 2014-09-25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Salts and solid forms of isoquinolinon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PL3008053T3 (pl) 2013-06-14 2018-08-31 Gilead Calistoga Llc Inhibitory 3-kinazy fosfatydyloinozytolu
EP3016955B1 (en) 2013-07-02 2018-03-07 Rhizen Pharmaceuticals S.A. Pi3k protein kinase inhibitors, particularly delta and/or gamma inhibitors
UY35675A (es) 2013-07-24 2015-02-27 Novartis Ag Derivados sustituidos de quinazolin-4-ona
SG10201912203XA (en) 2013-08-07 2020-02-27 Incyte Corp Sustained release dosage forms for a jak1 inhibitor
AU2014321419B2 (en) 2013-09-22 2017-06-15 Sunshine Lake Pharma Co., Ltd. Substituted aminopyrimidine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WO2015051241A1 (en) 2013-10-04 2015-04-09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Hetero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EP3964507A1 (en) 2013-10-04 2022-03-09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Hetero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JP6584391B2 (ja) 2013-10-10 2019-10-02 アセチロン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cetylon Pharmaceuticals,Inc. 非ホジキンリンパ腫を治療するための、hdac阻害剤単独またはpi3k阻害剤との組み合わせ
US20160244452A1 (en) 2013-10-21 2016-08-25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Hetero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EP3083623A1 (en) 2013-12-20 2016-10-26 Gilead Calistoga LLC Polymorphic forms of a hydrochloride salt of (s) -2-(9h-purin-6-ylamino) propyl) -5-fluoro-3-phenylquinazolin-4 (3h) -one
NZ720867A (en) 2013-12-20 2018-01-26 Gilead Calistoga Llc Process methods for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inhibitors
WO2015106014A1 (en) 2014-01-09 2015-07-16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Azaindole derivatives
AR099052A1 (es) 2014-01-09 2016-06-29 Takeda Pharmaceuticals Co Derivados de azaindol
US9775844B2 (en) 2014-03-19 2017-10-03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Hetero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US20150320755A1 (en) 2014-04-16 2015-11-12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Combination therapies
WO2015168079A1 (en) 2014-04-29 2015-11-05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Pyrimidine or pyridine derivatives useful as pi3k inhibitors
PL3149000T3 (pl) * 2014-05-27 2021-11-02 Rhizen Pharmaceuticals S.A. Krystaliczna sól tosylanowa selektywnego inhibitora PI3K delta do stosowania w preparatach farmaceutycznych
AU2015274628B2 (en) 2014-06-13 2018-03-15 Gilead Sciences, Inc.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inhibitors
EA201692265A1 (ru) 2014-06-13 2017-05-31 Джилид Сайэнс, Инк. Ингибиторы фосфатидилинозитол-3-киназы
JP6383810B2 (ja) * 2014-06-13 2018-08-29 ギリアード サイエン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ホスファチジルイノシトール3−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のキナゾリノン誘導体
NZ726608A (en) 2014-06-13 2018-04-27 Gilead Sciences Inc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inhibitors
JP6455995B2 (ja) * 2014-06-13 2019-01-23 ギリアード サイエン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ホスファチジルイノシトール3−キナーゼ阻害剤
WO2015200352A1 (en) 2014-06-24 2015-12-30 Gilead Sciences, Inc.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inhibitors
GEP20186934B (en) 2014-07-04 2018-12-10 Limited Lupin Quinolizinone derivatives as pi3k inhibitors
US9708348B2 (en) 2014-10-03 2017-07-18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Trisubstituted bicyclic heterocyclic compounds with kinase activities and uses thereof
US11376326B2 (en) 2015-07-01 2022-07-05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GPC3-targeting therapeutic agent which is administered to patient for whom the GPC3-targeting therapeutic agent is effective
WO2017003723A1 (en) 2015-07-01 2017-01-05 Crinetics Pharmaceuticals, Inc. Somatostatin modulators and uses thereof
CN111848643A (zh) 2015-07-02 2020-10-30 豪夫迈·罗氏有限公司 苯并氧氮杂*噁唑烷酮化合物及其使用方法
CR20170563A (es) 2015-07-02 2018-02-20 Hoffmann La Roche Compuestos de benzoxacepina oxazolidinona y métodos de uso.
EP3954388A1 (en) 2015-08-21 2022-02-16 MorphoSys AG Combinations and uses thereof
HK1261923A1 (zh) 2015-09-14 2020-01-10 Twelve Therapeutics, Inc. 异喹啉酮衍生物的固体形式、其制备方法、包含其的组合物及其使用方法
WO2017053469A2 (en) 2015-09-21 2017-03-30 Aptevo Research And Development Llc Cd3 binding polypeptides
WO2017103825A1 (en) 2015-12-18 2017-06-22 Lupin Limited Quinolizinone derivatives as pi3k inhibitors
US10759806B2 (en) 2016-03-17 2020-09-01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Isotopologues of isoquinolinone and quinazolinone compounds and uses thereof as PI3K kinase inhibitors
US10919914B2 (en) 2016-06-08 2021-02-16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Hetero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RU2754507C2 (ru) 2016-06-24 2021-09-02 Инфинити Фармасьютикалз, Инк.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терапия
EP3272348A1 (en) 2016-07-21 2018-01-24 LEK Pharmaceuticals d.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idelalisib
WO2018057808A1 (en) 2016-09-23 2018-03-29 Gilead Sciences, Inc. Benzimidazol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inhibitors
TW201813963A (zh) 2016-09-23 2018-04-16 美商基利科學股份有限公司 磷脂醯肌醇3-激酶抑制劑
TW201815787A (zh) 2016-09-23 2018-05-01 美商基利科學股份有限公司 磷脂醯肌醇3-激酶抑制劑
TW201825465A (zh) 2016-09-23 2018-07-16 美商基利科學股份有限公司 磷脂醯肌醇3-激酶抑制劑
JP7077323B2 (ja) * 2016-12-26 2022-05-30 中国医学科学院薬物研究所 キナゾリン化合物並びにその調製方法、使用及び医薬組成物
CN108239074B (zh) * 2016-12-26 2021-07-06 中国医学科学院药物研究所 喹唑啉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用途和药物组合物
WO2019023278A1 (en) 2017-07-25 2019-01-31 Crinetics Pharmaceuticals, Inc. MODULATORS OF SOMATOSTATIN AND USES THEREOF
SG11202000523PA (en) * 2017-07-31 2020-02-27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isty In The City Of New York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t-cell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MA49921A (fr) 2017-08-14 2021-05-12 Mei Pharma Inc Polythérapie
AR113922A1 (es) 2017-12-08 2020-07-01 Incyte Corp Terapia de combinación de dosis baja para el tratamiento de neoplasias mieloproliferativas
PL3746429T3 (pl) 2018-01-30 2022-06-20 Incyte Corporation Procesy do otrzymywania (1-(3-fluoro-2-(trifluorometylo)izonikotynoilo)piperydyn-4-onu)
WO2019178596A1 (en) 2018-03-16 2019-09-19 Johnson Matthey Public Limited Company Pyridine or n,n-dimethyl acetamide solvated solid state forms of solvated idelalisib, their use and preparation
PE20210402A1 (es) 2018-03-30 2021-03-02 Incyte Corp Tratamiento de la hidradenitis supurativa mediante el uso de inhibidores de jak
JP2021535907A (ja) * 2018-08-21 2021-12-23 南京明徳新薬研発有限公司 ピラゾロピリミジン誘導体及びそのpi3k抑制剤とする適用
WO2020086857A1 (en) 2018-10-24 2020-04-30 Vanderbilt University Wdr5 inhibitors and modulators
US12343380B2 (en) 2018-11-05 2025-07-01 Iovance Biotherapeutics, Inc. Expansion of TILs utilizing AKT pathways inhibitors
CN111269231B (zh) * 2018-12-04 2023-06-09 安徽中科拓苒药物科学研究有限公司 一种选择性PI3Kδ抑制剂及其用途
EP3946330A1 (en) * 2019-03-29 2022-02-09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INSERM)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keloid, hypertrophic scars and/or hyperpigmentation disorders
US20220242849A1 (en) * 2019-06-04 2022-08-04 Vanderbilt University Wdr5 inhibitors and modulators
US11833155B2 (en) 2020-06-03 2023-12-05 Incyte Corporation Combination therapy for treatment of myeloproliferative neoplasms
CN112830927A (zh) * 2021-03-04 2021-05-25 山西科灜科技有限公司 一种嘌呤喹唑啉酮衍生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17090A1 (en) * 1993-01-20 1994-08-04 Glaxo Group Limited 2,6-diaminopurine derivatives
WO1997046688A1 (en) * 1996-06-01 1997-12-11 Ludwi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Lipid kinas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49281B (ko) 1963-05-18
DE2027645A1 (de) * 1970-06-05 1971-12-09 Byk Gulden Lomberg Chemische Fa bnk GmbH, 7750 Konstanz Piperazinylalkyl chinazolon (4) den 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sie enthaltende Arzneimittel
DE2644265C2 (de) * 1976-09-30 1983-02-10 Bayer Ag, 5090 Leverkusen Chinazoline
US4183931A (en) * 1977-09-08 1980-01-15 Research Corporation 2-Ketoalkyl-4(3H)-quinazolinones
JPS55118917A (en) * 1979-03-06 1980-09-12 Mitsubishi Electric Corp Production of quinazolone ring-containing epoxy resin
JPS55118918A (en) * 1979-03-06 1980-09-12 Mitsubishi Electric Corp Production of quinazolone ring-containing epoxy resin
JPS6017375B2 (ja) * 1979-06-20 1985-05-02 三菱電機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の製造方法
US4782137A (en) 1984-01-24 1988-11-01 Immunex Corporation Synthesis of protein with an identification peptide, and hybrid polypeptide incorporating same
US4703004A (en) 1984-01-24 1987-10-27 Immunex Corporation Synthesis of protein with an identification peptide
US4851341A (en) 1986-12-19 1989-07-25 Immunex Corporation Immunoaffinity purification system
US5011912A (en) 1986-12-19 1991-04-30 Immunex Corporation Hybridoma and monoclonal antibody for use in an immunoaffinity purification system
GB9404485D0 (en) * 1994-03-09 1994-04-20 Cancer Res Campaign Tech Benzamide analogues
FI951367A7 (fi) * 1994-03-28 1995-09-29 Japan Energy Corp Puriinijohdannaiset ja tulehdustautien tukahduttajat (suppressantit)
US5480906A (en) 1994-07-01 1996-01-02 Eli Lilly And Company Stereochemical Wortmannin derivatives
FI970588L (fi) * 1994-08-12 1997-04-11 Pro Neuron Inc Menetelmät verenmyrkytyksen tai tulehdussairauksien hoitamiseksi oksipuriininukleosideillä
US6043062A (en) 1995-02-17 2000-03-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nstitutively active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and uses thereof
US5858753A (en) 1996-11-25 1999-01-12 Icos Corporation Lipid kinase
UA64713C2 (uk) 1996-12-31 2004-03-15 Reddys Lab Ltd Dr Похідні азолідиндіону, спосіб їх одержання (варіанти), фармацевтичні композиції на їх основі, спосіб попередження або лікування, спосіб зниження рівня глюкози і проміжна сполука
GB9702701D0 (en) * 1997-02-01 1997-04-02 Univ Newcastle Ventures Ltd Quinazolinone compounds
ATE267817T1 (de) * 1997-02-28 2004-06-15 Pfizer Prod Inc Atropisomere von 3-aryl-4(3h)-chinazolinonen und ihre verwendung als ampa-rezeptor
IL125950A0 (en) * 1997-09-05 1999-04-11 Pfizer Prod Inc Methods of administering ampa receptor antagonists to treat dyskinesias associated with dopamine agonist therapy
US5822910A (en) 1997-10-02 1998-10-20 Shewmake; I. W. Fishing line tensioning device
CA2317093A1 (en) * 1998-01-08 1999-07-15 Joel M. Linden A2a adenosine receptor agonists
WO1999008501A2 (en) * 1998-04-23 1999-02-25 Dr. Reddy's Research Foundation New heterocyclic compounds and their use in medicine,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6100090A (en) 1999-06-25 2000-08-08 Isis Pharmaceuticals Inc. Antisense inhibition of PI3K p85 expression
US6046049A (en) 1999-07-19 2000-04-04 Isis Pharmaceuticals Inc. Antisense modulation of PI3 kinase p110 delta expression
AU2001230426C1 (en) 2000-01-24 2006-06-22 Astrazeneca Ab Therapeutic morpholino-substituted compounds
DE60106409T2 (de) 2000-02-07 2006-02-02 Bristol-Myers Squibb Co. 3-aminopyrazole als inhibitoren von cyclinabhängigen kinas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17090A1 (en) * 1993-01-20 1994-08-04 Glaxo Group Limited 2,6-diaminopurine derivatives
WO1997046688A1 (en) * 1996-06-01 1997-12-11 Ludwi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Lipid kin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40408A (zh) 2003-09-03
ES2788383T3 (es) 2020-10-21
KR20020093077A (ko) 2002-12-12
CA2406278C (en) 2012-06-05
BRPI0110371B8 (pt) 2021-05-25
NO329136B1 (no) 2010-08-30
EP3029041B1 (en) 2020-03-04
ES2567260T3 (es) 2016-04-21
IL231360A (en) 2016-04-21
HUP0300497A3 (en) 2004-10-28
IL231360A0 (en) 2014-04-30
NO20100777L (no) 2002-12-10
ATE502941T1 (de) 2011-04-15
JP4642309B2 (ja) 2011-03-02
MXPA02010618A (es) 2004-05-05
EP2223922A3 (en) 2011-04-27
NZ522076A (en) 2005-08-26
US6518277B1 (en) 2003-02-11
WO2001081346A3 (en) 2002-03-21
IS6585A (is) 2002-10-21
DK2223922T3 (en) 2016-06-06
PT1939203E (pt) 2015-02-04
WO2001081346A2 (en) 2001-11-01
US20030195211A1 (en) 2003-10-16
RS51458B (sr) 2011-04-30
GEP20084317B (en) 2008-02-25
CN1440408B (zh) 2012-07-18
EP2223922A2 (en) 2010-09-01
HRP20020838B1 (ko) 2012-12-31
US6800620B2 (en) 2004-10-05
DK1278748T3 (da) 2011-04-18
HU230554B1 (hu) 2016-12-28
EA008241B1 (ru) 2007-04-27
HK1053308A1 (en) 2003-10-17
EP2223922B1 (en) 2016-03-02
NO20025104L (no) 2002-12-10
IS2822B (is) 2013-02-15
EP1278748B1 (en) 2011-03-23
BR0110371A (pt) 2003-06-17
NO20025104D0 (no) 2002-10-24
SI2223922T1 (sl) 2016-04-29
EP3029041A1 (en) 2016-06-08
PT3029041T (pt) 2020-05-13
AU5566701A (en) 2001-11-07
IL152275A0 (en) 2003-05-29
HRP20020838A2 (en) 2004-12-31
EP1278748A2 (en) 2003-01-29
EA200200990A1 (ru) 2003-06-26
YU80402A (sh) 2005-09-19
ES2527754T3 (es) 2015-01-29
AU2001255667C1 (en) 2016-06-09
DK1939203T3 (en) 2015-02-23
BRPI0110371B1 (pt) 2016-09-27
CY1117672T1 (el) 2017-05-17
PT1278748E (pt) 2011-03-31
DE60144277D1 (de) 2011-05-05
AU2001255667B2 (en) 2006-03-02
CA2406278A1 (en) 2001-11-01
SI3029041T1 (sl) 2020-08-31
HUP0300497A2 (hu) 2003-06-28
IL245146A0 (en) 2016-06-30
JP2003531209A (ja) 2003-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363B1 (ko) 인간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제 델타의 억제제
US10695349B2 (en) Inhibitors of human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delta
AU2001255667A1 (en) Inhibitors of human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delta
AU2002323426A1 (en) Inhibitors of human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delta
EP1939203B1 (en) Inhibitors of human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delta isoform
HK1224674A1 (en) Inhibitors of human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delta
HK1224674B (en) Inhibitors of human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delta
HK1053308B (en) Inhibitors of human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delta
PL213200B1 (pl) Selektywne inhibitory PI3Kδ, kompozycje je zawierajace oraz ich zastosowania medycz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7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A101 Application to extend term of patent right by permit
PA0101 Application to register extension of term of patent right by permit, etc.

Patent event date: 20160203

Patent event code: PA01011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to Register Extension of Term of Patent Right by Permit, etc.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2011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