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198B1 - Color filt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lor filt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81198B1 KR100781198B1 KR1019990055424A KR19990055424A KR100781198B1 KR 100781198 B1 KR100781198 B1 KR 100781198B1 KR 1019990055424 A KR1019990055424 A KR 1019990055424A KR 19990055424 A KR19990055424 A KR 19990055424A KR 100781198 B1 KR100781198 B1 KR 1007811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otocatalyst
- pixel portion
- pixel
- energy
- light shiel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23
- 239000011941 photo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6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1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0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5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1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0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Substances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9
- -1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group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125000003709 fluoro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13032 photocatalytic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150000003377 silico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UQSXHKLRYXJYBZ-UHFFFAOYSA-N Iron oxide Chemical compound [Fe]=O UQSXHKLRYXJYB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125000000217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8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8
- 125000001997 phen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C([H])=C1[H] 0.000 claims description 6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claims description 6
- 125000003545 alk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301 hydroly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25000003277 amino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4
- 125000003700 ep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15902 Bi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6404 SnO 2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VEALVRVVWBQVSL-UHFFFAOYSA-N strontium titanate Chemical compound [Sr+2].[O-][Ti]([O-])=O VEALVRVVWBQVS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XOLBLPGZBRYERU-UHFFFAOYSA-N tin dioxide Chemical compound O=[Sn]=O XOLBLPGZBRYERU-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1887 ti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ZNOKGRXACCSDPY-UHFFFAOYSA-N tungsten trioxide Chemical compound O=[W](=O)=O ZNOKGRXACCSDP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0416 bismuth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TYIXMATWDRGMPF-UHFFFAOYSA-N dibismuth;oxygen(2-) Chemical compound [O-2].[O-2].[O-2].[Bi+3].[Bi+3] TYIXMATWDRGMP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641 inkjet print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67
- 239000000976 i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8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699 photocata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555 catalytic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2222 fluorine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33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723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125000001424 substituent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MPIAGWXWVAHQBB-UHFFFAOYSA-N [3-prop-2-enoyloxy-2-[[3-prop-2-enoyloxy-2,2-bis(prop-2-enoyloxymethyl)propoxy]methyl]-2-(prop-2-enoyloxymethyl)prop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O)OCC(COC(=O)C=C)(COC(=O)C=C)COCC(COC(=O)C=C)(COC(=O)C=C)COC(=O)C=C MPIAGWXWVAHQB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618 dip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441 ethan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05 polymerization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28 spin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48 UV Light-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859 condensation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062 hydr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746 surface rough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LEJBBGNFPAFPKQ-UHFFFAOYSA-N 2-(2-prop-2-enoyloxyethoxy)eth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O)OCCOCCOC(=O)C=C LEJBBGNFPAFPK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KRFYHLGVUSROY-UHFFFAOYSA-N Argon Chemical compound [Ar] XKRFYHLGVUSR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AFNJMIOTHYJRJ-UHFFFAOYSA-N Diisopropyl ether Chemical group CC(C)OC(C)C ZAFNJMIOTHYJR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BOTDANWDWHJENH-UHFFFAOYSA-N Tetraethyl orthosilicate Chemical compound CCO[Si](OCC)(OCC)OCC BOTDANWDWHJEN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777 ace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O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80 amphoter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LFYJSSARVMHQJB-QIXNEVBVSA-N bakuchi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1=CC=C(O)C=C1 LFYJSSARVMHQJB-QIXNEVBV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18 case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ECPQYXYKAMYBN-UHFFFAOYSA-N casein, tech. Chemical compound NCCCCC(C(O)=O)N=C(O)C(CC(O)=O)N=C(O)C(CCC(O)=N)N=C(O)C(CC(C)C)N=C(O)C(CCC(O)=O)N=C(O)C(CC(O)=O)N=C(O)C(CCC(O)=O)N=C(O)C(C(C)O)N=C(O)C(CCC(O)=N)N=C(O)C(CCC(O)=N)N=C(O)C(CCC(O)=N)N=C(O)C(CCC(O)=O)N=C(O)C(CCC(O)=O)N=C(O)C(COP(O)(O)=O)N=C(O)C(CCC(O)=N)N=C(O)C(N)CC1=CC=CC=C1 BECPQYXYKAMYB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240 cas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93 cat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980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CJYREBRNVKWGJ-UHFFFAOYSA-N copper(II) phthalocyanine Chemical compound [Cu+2].C12=CC=CC=C2C(N=C2[N-]C(C3=CC=CC=C32)=N2)=NC1=NC([C]1C=CC=CC1=1)=NC=1N=C1[C]3C=CC=CC3=C2[N-]1 XCJYREBRNVKWG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828 e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153 fluoro group Chemical group F*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JMMWKPVZQRWMSS-UHFFFAOYSA-N isoprop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C)OC(C)=O JMMWKPVZQRWMS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507 metal hal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5309 metal hal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BFXIKLCIZHOAAZ-UHFFFAOYSA-N methyltrimethoxysilane Chemical compound CO[Si](C)(OC)OC BFXIKLCIZHOAA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36 no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TVMXDCGIABBOFY-UHFFFAOYSA-N oct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 TVMXDCGIABBOF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01 polyacryl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22 polyvinyl alcoh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61 region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2 resin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WEUBQNJHVBMUMD-UHFFFAOYSA-N trichloro(3,3,3-trifluoropropyl)silane Chemical compound FC(F)(F)CC[Si](Cl)(Cl)Cl WEUBQNJHVBMU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71 vacuum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4 xen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FHNFHKCVQCLJFQ-UHFFFAOYSA-N xenon atom Chemical compound [Xe] FHNFHKCVQCLJ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YTZZXDRDKSJID-UHFFFAOYSA-N (3-aminopropyl)triethoxysilane Chemical compound CCO[Si](OCC)(OCC)CCCN WYTZZXDRDKSJI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IZHFBODNLEQBL-UHFFFAOYSA-N 2,2-diethoxy-1-phen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COC(OCC)C(=O)C1=CC=CC=C1 PIZHFBODNLEQB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WVGIHKZDCUPEU-UHFFFAOYSA-N 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OC)C(=O)C1=CC=CC=C1 KWVGIHKZDCUPE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MNCBSZOIQAUFX-UHFFFAOYSA-N 2-ethoxy-1,2-diphen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C)C(=O)C1=CC=CC=C1 KMNCBSZOIQAUF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NQVEEAIQZEUHB-UHFFFAOYSA-N 2-ethoxyethanol Chemical compound CCOCCO ZNQVEEAIQZEUH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LGDWWCZQDIASO-UHFFFAOYSA-N 2-hydroxy-1-(7-oxabicyclo[4.1.0]hepta-1,3,5-trien-2-yl)-2-phenylethanone Chemical compound OC(C(=O)c1cccc2Oc12)c1ccccc1 NLGDWWCZQDIAS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VRHNZGZWMKMNE-UHFFFAOYSA-N 2-hydroxy-1-[2-(2-methylpropyl)phenyl]-2-phen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C(C)CC1=CC=CC=C1C(=O)C(O)C1=CC=CC=C1 WVRHNZGZWMKMN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MLYCEVDHLAQEL-UHFFFAOYSA-N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Chemical compound CC(C)(O)C(=O)C1=CC=CC=C1 XMLYCEVDHLAQ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QZJOQXSCSZQPS-UHFFFAOYSA-N 2-methoxy-1,2-diphen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C(=O)C1=CC=CC=C1 BQZJOQXSCSZQP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ZVINYQDSSQUKO-UHFFFAOYSA-N 2-phenoxyeth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O)OCCOC1=CC=CC=C1 RZVINYQDSSQUK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903 2-propenyl group Chemical group [H]C([*])([H])C([H])=C([H])[H] 0.000 description 1
- JRGQKLFZSNYTDX-UHFFFAOYSA-N 3-(oxiran-2-ylmethoxy)propyl-tri(propan-2-yloxy)silane Chemical compound CC(C)O[Si](OC(C)C)(OC(C)C)CCCOCC1CO1 JRGQKLFZSNYTD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UPHOULIZUERAE-UHFFFAOYSA-N 3-(oxolan-2-yl)propa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1CCCO1 WUPHOULIZUERA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XLAEGYMDGUSBD-UHFFFAOYSA-N 3-[diethoxy(methyl)silyl]propan-1-amine Chemical compound CCO[Si](C)(OCC)CCCN HXLAEGYMDGUSB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BNRBJNIYVXSQV-UHFFFAOYSA-N 3-[diethoxy(methyl)silyl]propane-1-thiol Chemical compound CCO[Si](C)(OCC)CCCS MBNRBJNIYVXSQ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OYKFSOCSXVQAN-UHFFFAOYSA-N 3-[diethoxy(methyl)silyl]propyl 2-methyl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O[Si](C)(OCC)CCCOC(=O)C(C)=C DOYKFSOCSXVQA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YAASQNKCWTPKI-UHFFFAOYSA-N 3-[dimethoxy(methyl)silyl]propan-1-amine Chemical compound CO[Si](C)(OC)CCCN ZYAASQNKCWTPK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KYAJDOSWUATPI-UHFFFAOYSA-N 3-[dimethoxy(methyl)silyl]propane-1-thiol Chemical compound CO[Si](C)(OC)CCCS IKYAJDOSWUAT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ZMNXXQIQIHFGC-UHFFFAOYSA-N 3-[dimethoxy(methyl)silyl]propyl 2-methyl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O[Si](C)(OC)CCCOC(=O)C(C)=C LZMNXXQIQIHFG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KQXZSHRPUFBSW-UHFFFAOYSA-N 3-[tris[(2-methylpropan-2-yl)oxy]silyl]propan-1-amine Chemical compound CC(C)(C)O[Si](OC(C)(C)C)(OC(C)(C)C)CCCN XKQXZSHRPUFBS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QMCVFDSKWCIGP-UHFFFAOYSA-N 3-[tris[(2-methylpropan-2-yl)oxy]silyl]propane-1-thiol Chemical compound CC(C)(C)O[Si](OC(C)(C)C)(OC(C)(C)C)CCCS LQMCVFDSKWCI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ALYBSCHCQWCPC-UHFFFAOYSA-N 3-[tris[(2-methylpropan-2-yl)oxy]silyl]propyl 2-methyl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C(=O)OCCC[Si](OC(C)(C)C)(OC(C)(C)C)OC(C)(C)C WALYBSCHCQWCP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XKAXHPVFLEQHV-UHFFFAOYSA-N 3-tri(propan-2-yloxy)silylpropan-1-amine Chemical compound CC(C)O[Si](OC(C)C)(OC(C)C)CCCN OXKAXHPVFLEQ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JUFQURUUZMUOG-UHFFFAOYSA-N 3-tri(propan-2-yloxy)silylpropane-1-thiol Chemical compound CC(C)O[Si](OC(C)C)(OC(C)C)CCCS CJUFQURUUZMUO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HPNMYQJQQGAJS-UHFFFAOYSA-N 3-tri(propan-2-yloxy)silylpropyl 2-methyl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O[Si](OC(C)C)(OC(C)C)CCCOC(=O)C(C)=C CHPNMYQJQQGAJ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CQBZYNUSLHVJC-UHFFFAOYSA-N 3-triethoxysilylpropane-1-thiol Chemical compound CCO[Si](OCC)(OCC)CCCS DCQBZYNUSLHV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RDOJQUSEUXVRP-UHFFFAOYSA-N 3-triethoxysilylpropyl 2-methyl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O[Si](OCC)(OCC)CCCOC(=O)C(C)=C URDOJQUSEUXV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JECZPVISLOESU-UHFFFAOYSA-N 3-trimethoxysilylpropan-1-amine Chemical compound CO[Si](OC)(OC)CCCN SJECZPVISLOES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UEWCQRISZBELL-UHFFFAOYSA-N 3-trimethoxysilylpropane-1-thiol Chemical compound CO[Si](OC)(OC)CCCS UUEWCQRISZBEL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DLMVUHYZWKMMD-UHFFFAOYSA-N 3-trimethoxysilylpropyl 2-methyl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O[Si](OC)(OC)CCCOC(=O)C(C)=C XDLMVUHYZWKM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IHBHSQYSYVZQE-UHFFFAOYSA-N 6-prop-2-enoyloxyhex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O)OCCCCCCOC(=O)C=C FIHBHSQYSYVZQ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ZVAJINKPMORJF-UHFFFAOYSA-N Acetaminophen Chemical compound CC(=O)NC1=CC=C(O)C=C1 RZVAJINKPMOR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46 Chlorosil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1 Diallyl-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43 EPDM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BRLQWZUYTZBJKN-UHFFFAOYSA-N Epichlorohydrin Chemical compound ClCC1CO1 BRLQWZUYTZB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397173 Kali <angiosper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0 Melamin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3 Polybenzimidazo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2 Polybu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21 Polyphenylene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1100258086 Postia placenta (strain ATCC 44394 / Madison 698-R) STS-0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87 Silane Coupl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DBYLPFSWZWCQE-UHFFFAOYSA-L Sod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Na+].[O-]C([O-])=O CDBYLPFSWZWCQ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413 T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DAKWPKUUDNSNPN-UHFFFAOYSA-N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O)OCC(CC)(COC(=O)C=C)COC(=O)C=C DAKWPKUUDNSNP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TXRWKRVRITETP-UHFFFAOYSA-N Vi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 XTXRWKRVRITE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41 X-ray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342 alke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80 alky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983 alkyl aryl ket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03 amino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JOSWYUNQBRPBDN-UHFFFAOYSA-P ammonium dichromate Chemical compound [NH4+].[NH4+].[O-][Cr](=O)(=O)O[Cr]([O-])(=O)=O JOSWYUNQBRPBDN-UHFFFAOYSA-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45 a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18 anti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29 antifung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1375 antifungal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6 arg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982 aromatic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05 background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RWCCWEUUXYIKHB-UHFFFAOYSA-N benzophe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1=CC=CC=C1 RWCCWEUUXYIKH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65 benzophen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797 benz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C([H])=C1[H])C([H])([H])* 0.000 description 1
- UWMGVIKSCFGFDR-UHFFFAOYSA-N benzyl(dibromo)silane Chemical compound Br[SiH](Br)CC1=CC=CC=C1 UWMGVIKSCFGFD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NAAXKXXDQLJIX-UHFFFAOYSA-N bis(2-cyclohexyl-3-hydroxyphenyl)m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1C(O)=CC=CC=1C(=O)C1=CC=CC(O)=C1C1CCCCC1 ZNAAXKXXDQLJI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UDWYFHPNIMBFC-UHFFFAOYSA-N bis(prop-2-enyl) benzene-1,2-di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C=CCOC(=O)C1=CC=CC=C1C(=O)OCC=C QUDWYFHPNIMBF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7 bismuth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JCXGWMGPZLAOME-UHFFFAOYSA-N bismuth atom Chemical compound [Bi] JCXGWMGPZLAOM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06 butoxy group Chemical group [*]OC([H])([H])C([H])([H])C(C([H])([H])[H])([H])[H]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80 cadmium sulf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309 chloro group Chemical group Cl* 0.000 description 1
- KOPOQZFJUQMUML-UHFFFAOYSA-N chlorosilane Chemical class Cl[SiH3] KOPOQZFJUQMUM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31 cross linking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BAAAEEDPKUHLID-UHFFFAOYSA-N decyl(triethoxy)sil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Si](OCC)(OCC)OCC BAAAEEDPKUHLI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QAHMVLQCSALSX-UHFFFAOYSA-N decyl(trimethoxy)sil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Si](OC)(OC)OC KQAHMVLQCSALS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ILGYOCNANBWTO-UHFFFAOYSA-N decyl-tri(propan-2-yloxy)sil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Si](OC(C)C)(OC(C)C)OC(C)C LILGYOCNANBWT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GUMJWWZSTXCAM-UHFFFAOYSA-N decyl-tris[(2-methylpropan-2-yl)oxy]sil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Si](OC(C)(C)C)(OC(C)(C)C)OC(C)(C)C AGUMJWWZSTXCA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IQOCGKQCFXKLF-UHFFFAOYSA-N dibromo(dimethyl)silane Chemical compound C[Si](C)(Br)Br LIQOCGKQCFXKL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BUGVTOEUNNUHR-UHFFFAOYSA-N dibromo(diphenyl)silane Chemical compound C=1C=CC=CC=1[Si](Br)(Br)C1=CC=CC=C1 DBUGVTOEUNNUH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SXYHAQZDCICNX-UHFFFAOYSA-N dichloro(diphenyl)silane Chemical compound C=1C=CC=CC=1[Si](Cl)(Cl)C1=CC=CC=C1 OSXYHAQZDCICN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NEPOXWQWFSSOU-UHFFFAOYSA-N dichloro-methyl-phenylsilane Chemical compound C[Si](Cl)(Cl)C1=CC=CC=C1 GNEPOXWQWFSSO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ZNQQQWFKKTOSD-UHFFFAOYSA-N diethoxy(diphenyl)silane Chemical compound C=1C=CC=CC=1[Si](OCC)(OCC)C1=CC=CC=C1 ZZNQQQWFKKTOS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TARVPUIYXHRRB-UHFFFAOYSA-N diethoxy-methyl-[3-(oxiran-2-ylmethoxy)propyl]silane Chemical compound CCO[Si](C)(OCC)CCCOCC1CO1 OTARVPUIYXHRR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NFGEHQPOWJJBH-UHFFFAOYSA-N diethoxy-methyl-phenylsilane Chemical compound CCO[Si](C)(OCC)C1=CC=CC=C1 MNFGEHQPOWJJB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GWJKDPTLUDSJT-UHFFFAOYSA-N diethyl dimethyl silicate Chemical compound CCO[Si](OC)(OC)OCC VGWJKDPTLUDS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JJQZDUKDJDQPMQ-UHFFFAOYSA-N dimethoxy(dimethyl)silane Chemical compound CO[Si](C)(C)OC JJQZDUKDJDQPM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HUXYBVKTIBBJW-UHFFFAOYSA-N dimethoxy(diphenyl)silane Chemical compound C=1C=CC=CC=1[Si](OC)(OC)C1=CC=CC=C1 AHUXYBVKTIBBJ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HGNXNCOTZPEEK-UHFFFAOYSA-N dimethoxy-methyl-[3-(oxiran-2-ylmethoxy)propyl]silane Chemical compound CO[Si](C)(OC)CCCOCC1CO1 WHGNXNCOTZPEE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VQVSVBUMVSJES-UHFFFAOYSA-N dimethoxy-methyl-phenylsilane Chemical compound CO[Si](C)(OC)C1=CC=CC=C1 CVQVSVBUMVSJ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05 dimethyl polysilox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70 dimethyl polysiloxa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IKFHECYJZWXFJ-UHFFFAOYSA-N dimethyldichlorosilane Chemical compound C[Si](C)(Cl)Cl LIKFHECYJZWXF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YLGKUPAFFKGRQ-UHFFFAOYSA-N dimethyldiethoxysilane Chemical compound CCO[Si](C)(C)OCC YYLGKUPAFFKGR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0 electro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1 element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FWDBOZPQNFPOLF-UHFFFAOYSA-N ethenyl(triethoxy)silane Chemical compound CCO[Si](OCC)(OCC)C=C FWDBOZPQNFPOL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KSJNEHGWDZZQF-UHFFFAOYSA-N ethenyl(trimethoxy)silane Chemical compound CO[Si](OC)(OC)C=C NKSJNEHGWDZZQ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ABAWBWRUSBLKQ-UHFFFAOYSA-N ethenyl-tri(propan-2-yloxy)silane Chemical compound CC(C)O[Si](OC(C)C)(OC(C)C)C=C MABAWBWRUSBLK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QRPSOKLSZSNAR-UHFFFAOYSA-N ethenyl-tris[(2-methylpropan-2-yl)oxy]silane Chemical compound CC(C)(C)O[Si](OC(C)(C)C)(OC(C)(C)C)C=C BQRPSOKLSZSNA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301 ethoxy group Chemical group [H]C([H])([H])C([H])([H])O* 0.000 description 1
- SBRXLTRZCJVAPH-UHFFFAOYSA-N ethyl(trimethoxy)silane Chemical compound CC[Si](OC)(OC)OC SBRXLTRZCJVAP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YEJNNDSIXAGNK-UHFFFAOYSA-N ethyl-tri(propan-2-yloxy)silane Chemical compound CC(C)O[Si](CC)(OC(C)C)OC(C)C MYEJNNDSIXAGN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VQNVYMTWXEMSF-UHFFFAOYSA-N ethyl-tris[(2-methylpropan-2-yl)oxy]silane Chemical compound CC(C)(C)O[Si](CC)(OC(C)(C)C)OC(C)(C)C ZVQNVYMTWXEMS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NMQRPPRQDGUDR-UHFFFAOYSA-N hex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CCCOC(=O)C=C LNMQRPPRQDGUD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ZWLNMOIEMTDJY-UHFFFAOYSA-N hexyl(trimethoxy)silane Chemical compound CCCCCC[Si](OC)(OC)OC CZWLNMOIEMTDJ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PTKSEHTOJHGOV-UHFFFAOYSA-N hexyl-tri(propan-2-yloxy)silane Chemical compound CCCCCC[Si](OC(C)C)(OC(C)C)OC(C)C DPTKSEHTOJHGO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ECCXOBPOBIUMS-UHFFFAOYSA-N hexyl-tris[(2-methylpropan-2-yl)oxy]silane Chemical compound CCCCCC[Si](OC(C)(C)C)(OC(C)(C)C)OC(C)(C)C QECCXOBPOBIUM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43 hot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23 inorganic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449 isoprop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C([H])([H])[H]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51 lymp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49 mass spectr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534 mechanism of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956 methoxy group Chemical group [H]C([H])([H])O*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55 methyl trichlorosil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LXDKGBELJJMHR-UHFFFAOYSA-N methyl-tri(propan-2-yloxy)silane Chemical compound CC(C)O[Si](C)(OC(C)C)OC(C)C HLXDKGBELJJMH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HQDZKRRVNGIQL-UHFFFAOYSA-N methyl-tris[(2-methylpropan-2-yl)oxy]silane Chemical compound CC(C)(C)O[Si](C)(OC(C)(C)C)OC(C)(C)C AHQDZKRRVNGIQ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LUFWMXJHAVVNN-UHFFFAOYSA-N methyltrichlorosilane Chemical compound C[Si](Cl)(Cl)Cl JLUFWMXJHAVV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59 micr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FSVEUJCJYGSKA-UHFFFAOYSA-N n-ethyl-1,1,2,2,3,3,4,4,5,5,6,6,7,7,8,8,8-heptadecafluoro-n-(3-trimethoxysilylpropyl)octane-1-sulfonamide Chemical compound CO[Si](OC)(OC)CCCN(CC)S(=O)(=O)C(F)(F)C(F)(F)C(F)(F)C(F)(F)C(F)(F)C(F)(F)C(F)(F)C(F)(F)F BFSVEUJCJYGSK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52 non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00 non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956 non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IHVVJLCVJNNCDK-UHFFFAOYSA-N octadecyl-tri(propan-2-yloxy)sil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Si](OC(C)C)(OC(C)C)OC(C)C IHVVJLCVJNNCD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LYCYWCVSGPDFR-UHFFFAOYSA-N octadecyltrimethoxysil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Si](OC)(OC)OC SLYCYWCVSGPD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60 organic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961 organosilico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PLNCHFJAOKWBT-UHFFFAOYSA-N phenyl-tri(propan-2-yloxy)silane Chemical compound CC(C)O[Si](OC(C)C)(OC(C)C)C1=CC=CC=C1 VPLNCHFJAOKWB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54 phenyltrichlorosil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43 photo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06 photo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4 photosensitiz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5559 piper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WVWHRXVVAYXKDE-UHFFFAOYSA-N piperine Natural products O=C(C=CC=Cc1ccc2OCOc2c1)C3CCCCN3 WVWHRXVVAYXKD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00 piper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2 plasma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84 poly(chlor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435 poly(dimethyl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39 polyacrylonitril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80 polybenzimidazol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57 polybutadi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48 polybut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68 polycondens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0 poly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9719 polyimid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5 polyis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862 poly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77 polysulf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21 polysulf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17 polysulfide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89 poly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8 poly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KCTAWXVAICEBSD-UHFFFAOYSA-N prop-2-enoyloxy prop-2-eneperoxoate Chemical compound C=CC(=O)OOOC(=O)C=C KCTAWXVAICEBS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572 propoxy group Chemical group [*]OC([H])([H])C(C([H])([H])[H])([H])[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297 pyr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32 reaction spe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046 sher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RMAQACBXLXPBSY-UHFFFAOYSA-N silicic acid Chemical compound O[Si](O)(O)O RMAQACBXLXPBS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AIFMYMZGQVTROK-UHFFFAOYSA-N silicon tetrabromide Chemical compound Br[Si](Br)(Br)Br AIFMYMZGQVTRO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DNAPBUWERUEDA-UHFFFAOYSA-N silicon tetrachloride Chemical compound Cl[Si](Cl)(Cl)Cl FDNAPBUWERUED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80 solge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86 standar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UQMOLLPKNHFRAC-UHFFFAOYSA-N tetrabutyl silicate Chemical compound CCCCO[Si](OCCCC)(OCCCC)OCCCC UQMOLLPKNHFRA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FQCEHFDDXELDD-UHFFFAOYSA-N tetramethyl orthosilicate Chemical compound CO[Si](OC)(OC)OC LFQCEHFDDXELD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RHRIQCWCFGUEQ-UHFFFAOYSA-N thioxanthen-9-one Chemical compound C1=CC=C2C(=O)C3=CC=CC=C3SC2=C1 YRHRIQCWCFGU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63 transdu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PCADGSDEFOMDNL-UHFFFAOYSA-N tri(propan-2-yloxy)-(3,3,3-trifluoropropyl)silane Chemical compound CC(C)O[Si](OC(C)C)(OC(C)C)CCC(F)(F)F PCADGSDEFOMDN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QVCTPXBBSKLFS-UHFFFAOYSA-N tri(propan-2-yloxy)-propylsilane Chemical compound CCC[Si](OC(C)C)(OC(C)C)OC(C)C MQVCTPXBBSKLF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YZDWEPTQWHDLZ-UHFFFAOYSA-N tribromo(decyl)sil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Si](Br)(Br)Br LYZDWEPTQWHDL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ZAROSBWJASVBU-UHFFFAOYSA-N tribromo(ethenyl)silane Chemical compound Br[Si](Br)(Br)C=C BZAROSBWJASVB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VENDAGPVNAYLY-UHFFFAOYSA-N tribromo(ethyl)silane Chemical compound CC[Si](Br)(Br)Br KVENDAGPVNAYL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RUFDMFAHKOFOT-UHFFFAOYSA-N tribromo(hexyl)silane Chemical compound CCCCCC[Si](Br)(Br)Br VRUFDMFAHKOFO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BSUPJLTDMARAI-UHFFFAOYSA-N tribromo(methyl)silane Chemical compound C[Si](Br)(Br)Br KBSUPJLTDMARA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CEOWKUMFSNHFM-UHFFFAOYSA-N tribromo(octadecyl)sil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Si](Br)(Br)Br RCEOWKUMFSNHF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PTIEXHGTPSFDC-UHFFFAOYSA-N tribromo(phenyl)silane Chemical compound Br[Si](Br)(Br)C1=CC=CC=C1 HPTIEXHGTPSFD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WRKNKVDHIEKHS-UHFFFAOYSA-N tribromo(propyl)silane Chemical compound CCC[Si](Br)(Br)Br RWRKNKVDHIEK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LWCOIUDOLYBGD-UHFFFAOYSA-N trichloro(decyl)sil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Si](Cl)(Cl)Cl HLWCOIUDOLYBG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QIUQDDJKHLHTB-UHFFFAOYSA-N trichloro(ethenyl)silane Chemical compound Cl[Si](Cl)(Cl)C=C GQIUQDDJKHLHT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OYFEXPFPVDYIS-UHFFFAOYSA-N trichloro(ethyl)silane Chemical compound CC[Si](Cl)(Cl)Cl ZOYFEXPFPVDYI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FXJGGDONSCPOF-UHFFFAOYSA-N trichloro(hexyl)silane Chemical compound CCCCCC[Si](Cl)(Cl)Cl LFXJGGDONSCPO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YJJCSYBSYXGQQ-UHFFFAOYSA-N trichloro(octadecyl)sil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Si](Cl)(Cl)Cl PYJJCSYBSYXG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RVMIVQULIKXCP-UHFFFAOYSA-N trichloro(phenyl)silane Chemical compound Cl[Si](Cl)(Cl)C1=CC=CC=C1 ORVMIVQULIKXC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OEHJNBEOVLHGL-UHFFFAOYSA-N trichloro(propyl)silane Chemical compound CCC[Si](Cl)(Cl)Cl DOEHJNBEOVLHG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LGWXNBXAXOQBG-UHFFFAOYSA-N triethoxy(3,3,3-trifluoropropyl)silane Chemical compound CCO[Si](OCC)(OCC)CCC(F)(F)F ZLGWXNBXAXOQ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ENFJSAFJTVPJR-UHFFFAOYSA-N triethoxy(ethyl)silane Chemical compound CCO[Si](CC)(OCC)OCC DENFJSAFJTVPJ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UMSTCDLAYQDNO-UHFFFAOYSA-N triethoxy(hexyl)silane Chemical compound CCCCCC[Si](OCC)(OCC)OCC WUMSTCDLAYQDN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PUDPFPXCZDNGI-UHFFFAOYSA-N triethoxy(methyl)silane Chemical compound CCO[Si](C)(OCC)OCC CPUDPFPXCZDNG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ZMJEGJVKFTGMU-UHFFFAOYSA-N triethoxy(octadecyl)sil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Si](OCC)(OCC)OCC FZMJEGJVKFTGM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CVQKRGIASEUKR-UHFFFAOYSA-N triethoxy(phenyl)silane Chemical compound CCO[Si](OCC)(OCC)C1=CC=CC=C1 JCVQKRGIASEUK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BXZNTLFQLUFES-UHFFFAOYSA-N triethoxy(propyl)silane Chemical compound CCC[Si](OCC)(OCC)OCC NBXZNTLFQLUF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DUKMRHNZZLJRB-UHFFFAOYSA-N triethoxy-[2-(7-oxabicyclo[4.1.0]heptan-4-yl)ethyl]silane Chemical compound C1C(CC[Si](OCC)(OCC)OCC)CCC2OC21 UDUKMRHNZZLJR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XUKBNICSRJFAP-UHFFFAOYSA-N triethoxy-[3-(oxiran-2-ylmethoxy)propyl]silane Chemical compound CCO[Si](OCC)(OCC)CCCOCC1CO1 JXUKBNICSRJFA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LGNHOJUQFHYEZ-UHFFFAOYSA-N trimethoxy(3,3,3-trifluoropropyl)silane Chemical compound CO[Si](OC)(OC)CCC(F)(F)F JLGNHOJUQFHY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NOCGWVLWPVKAO-UHFFFAOYSA-N trimethoxy(phenyl)silane Chemical compound CO[Si](OC)(OC)C1=CC=CC=C1 ZNOCGWVLWPVKA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QYALQRYBUJWDH-UHFFFAOYSA-N trimethoxy(propyl)silane Chemical compound CCC[Si](OC)(OC)OC HQYALQRYBUJWD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QZNLOXENNXVAD-UHFFFAOYSA-N trimethoxy-[2-(7-oxabicyclo[4.1.0]heptan-4-yl)ethyl]silane Chemical compound C1C(CC[Si](OC)(OC)OC)CCC2OC21 DQZNLOXENNXV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PSIOYPQMFLKFR-UHFFFAOYSA-N trimethoxy-[3-(oxiran-2-ylmethoxy)propyl]silane Chemical compound CO[Si](OC)(OC)CCCOCC1CO1 BPSIOYPQMFLK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IOBRIJHDZBWDE-UHFFFAOYSA-N tris[(2-methylpropan-2-yl)oxy]-(3,3,3-trifluoropropyl)silane Chemical compound CC(C)(C)O[Si](OC(C)(C)C)(OC(C)(C)C)CCC(F)(F)F JIOBRIJHDZBWD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USDGIZCXCUHAI-UHFFFAOYSA-N tris[(2-methylpropan-2-yl)oxy]-[3-(oxiran-2-ylmethoxy)propyl]silane Chemical compound CC(C)(C)O[Si](OC(C)(C)C)(OC(C)(C)C)CCCOCC1CO1 WUSDGIZCXCUHA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XKYGZRLZACSIK-UHFFFAOYSA-N tris[(2-methylpropan-2-yl)oxy]-octadecylsil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Si](OC(C)(C)C)(OC(C)(C)C)OC(C)(C)C RXKYGZRLZACSI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GOOITCIBGXHJO-UHFFFAOYSA-N tris[(2-methylpropan-2-yl)oxy]-phenylsilane Chemical compound CC(C)(C)O[Si](OC(C)(C)C)(OC(C)(C)C)C1=CC=CC=C1 KGOOITCIBGXH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IZPPYBTFPZSGK-UHFFFAOYSA-N tris[(2-methylpropan-2-yl)oxy]-propylsilane Chemical compound CCC[Si](OC(C)(C)C)(OC(C)(C)C)OC(C)(C)C DIZPPYBTFPZSG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81 ultraviolet germicidal irradi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05 unsaturated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0 vapo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50 vinyl trichlorosil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4 viscosity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69 water-solubl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02F1/133516—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e.g. printing, electro-deposition or photolith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기판, 이 투명기판 상에 잉크젯 방식에 의해 복수의 색을 소정의 패턴으로 배설한 화소부, 이 화소부의 경계부분에 배설된 차광부, 및 화소부 또는 화소부와 차광부를 형성하기 위해 배설되고 습윤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습윤성 가변층을 가지는 컬러필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parent substrate, a pixel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color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by an inkjet metho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 light shielding portion disposed at a boundary portion of the pixel portion, and a pixel portion or a pixel portion and a light shielding portion. To provide a color filter having a wettability variable layer that can be excreted in order to change the wettability.
컬러필터, 투명기판, 화소부, 차광부, 습윤성 가변층, 광촉매, 잉크젯, 잉크반발성Color filter, transparent substrate, pixel portion, light shielding portion, wettability variable layer, photocatalyst, inkjet, ink repellency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컬러필터의 제1 실시형태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a color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컬러필터의 제1 실시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lor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컬러필터의 제2 실시형태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olor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컬러필터의 제3 실시형태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olor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컬러필터의 제4 실시형태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color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컬러필터의 제5 실시형태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xample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color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의 제6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lor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화소부의 노광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8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exposure method of the pixel portion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lor filter shown in FIG.
도 9는 도 7에 나타낸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잉크반발성 철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FIG. 9 is a process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k repellent convex portion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lor filter shown in FIG. 7.
도 10은 도 7에 나타낸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화소부의 제조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FIG. 10 is a process 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ixel portion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lor filter shown in FIG.
도 11은 본 발명의 컬러필터 제조방법의 제7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It is process drawing for demonstrating 7th Embodiment of the color filter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컬러필터 제조방법의 제8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It is process drawing for demonstrating 8th embodiment of the color filter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컬러필터 제조방법의 제10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It is process drawing for demonstrating 10th Embodiment of the color filter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컬러필터, 2…투명기판, 3…차광부, 4…화소부 형성부, 5…습윤성 가변층(광촉매 함유층), 6…화소부, 7…잉크반발성 철부, 9…차광부 형성부, 10…에너지One… Color filter, 2... Transparent substrate, 3... Light shielding part;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5... Wettability variable layer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6...
본 발명은 화소부를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함으로써 얻어지는 컬러 액정디스플레이에 적합한 컬러필터 및 그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filter suitable for a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obtained by coloring a pixel portion by an inkjet method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최근에 퍼스널컴퓨터의 발달, 특히 휴대용 퍼스널컴퓨터의 발달에 수반하여 액정디스플레이, 특히 컬러 액정디스플레이의 수요가 증가하는 경향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컬러 액정디스플레이가 고가이므로, 코스트다운의 요구가 높아져 있고, 특히 코스트면에서 비중이 높은 컬러필터에 대한 코스트다운의 요구가 높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personal computers, especially with the development of portable personal computers, the demand for liquid crystal displays, especially color liquid crystal displays, tends to increase. However, since such color liquid crystal displays are expensive, the demand for cost down is high, and the demand for cost down for color filters having a high specific gravity in terms of cost is high.
이와 같은 컬러필터에 있어서는 통상 적(R), 녹(G), 및 청(B)의 3원색의 착색 패턴을 구비하고, R, G, 및 B 각각의 화소에 대응하는 전극을 ON, OFF시킴으로써 액정이 셔터로서 작동하고, R, G, 및 B 각각의 화소를 빛이 통과하여 컬러표시가 행해지는 것이다.In such a color filter, a color pattern of three primary colors of red (R), green (G), and blue (B) is usually provided, and the electrodes corresponding to the pixels of R, G, and B are turned ON and OFF. The liquid crystal works as a shutter, and light passes through the pixels of R, G, and B, and color display is performed.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는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색법이 포함된다. 이 염색법은 우선 컬러기판 상에 염색용 재료인 수용성 고분자재료를 형성하고, 이것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소망의 형상으로 패터닝한 후, 얻어진 패턴을 염색조(染色槽)에 침지하여 착색된 패턴을 얻는다. 이것을 3회 반복함으로써 R, G, 및 B의 컬러필터층을 형성한다.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lor filter conventionally performed, the dyeing method is included, for example. This dyeing method first forms a water-soluble polymer material, which is a material for dyeing, on a color substrate, patterning it into a desired shape by a photolithography process, and then immersing the obtained pattern in a dye bath to obtain a colored pattern. . By repeating this three times, the color filter layers R, G, and B are formed.
다른 방법으로서는 안료분산법이 있다. 이 방법은 우선 기판 상에 안료가 분산된 감광성수지층을 형성하고, 이것을 패터닝함으로써 단색의 패턴을 얻는다. 다시 이 공정을 3회 반복함으로써 R, G, 및 B의 컬러필터층을 형성한다.Another method is a pigment dispersion method. This method first forms a photosensitive resin layer in which pigments are dispersed on a substrate, and then patterns it to obtain a monochromatic pattern. This process is repeated three times again to form color filter layers R, G, and B.
또 다른 방법으로서는 전착법이나, 열경화수지에 안료를 분산시켜 R, G, 및 B의 3회 인쇄를 행한 후, 수지를 열경화시키는 방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방법도 R, G, 및 B의 3색을 착색하기 위해 동일한 공정을 3회 반복할 필요가 있어 코스트가 높아지는 문제와, 공정을 반복하기 위해 수율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 다.As another method, an electrodeposition method, the method of disperse | distributing a pigment to a thermosetting resin, performing 3 times of printing of R, G, and B, and then thermosetting resin, etc. may be included. However, in either method, the same process needs to be repeated three times in order to color the three colors of R, G, and B, resulting in a problem of high cost, and a problem of lowering the yield in order to repeat the process.
이들 문제를 해결한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으로서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 잉크를 뿜어서 착색층(화소부)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84-75205호). 여기서는 유리기판에 대해 습윤성(濕潤性; wattability)이 양호한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잉크에 대해 습윤성이 나쁜 물질로 미리 경계가 되는 철부(凸部)를 인쇄해 놓는 방법, 및 유리에 대해 습윤성이 나쁜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잉크와의 습윤성이 좋은 재료로 미리 패턴을 형성해 놓고 잉크가 정착하는 것을 보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서 습윤성이 좋은 재료 및 습윤성이 나쁜 재료를 구분하는가에 관해서는 일체 기재되어 있지 않다.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lor filter which solved these problems, the method of spraying a coloring ink by the inkjet method and forming a colored layer (pixel part) is propose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84-75205). Here, in the case of using an ink having good wattability with respect to a glass substrate, a method of printing a convex portion previously bounded by a material having poor wettability with respect to the ink, and poor wettability with respect to glass In the case of using the ink, a method is disclosed in which a pattern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good wettability with the ink in advance and assists the ink in fixing. However, specifically, no description is made as to how to distinguish between materials with good wettability and materials with poor wettability.
한편,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잉크를 뿜어서 착색층(화소부)을 형성하고, 컬러필터를 제조하는 별도의 방법으로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97-203803호에 요부(凹部)를 친잉크성(inkphilic) 처리제로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미리 기판 상에 철부를 형성하고, 이 철부를 잉크반발성(ink-repellent)으로 만든 후, 기판 전체를 친잉크성 처리제에 의해 표면처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친잉크성 처리를 행할 때 미리 철부를 잉크반발성으로 만들 필요가 있으므로, 잉크반발성 처리 및 친잉크성 처리라는 2회의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method of forming a colored layer (pixel portion) by spraying the colored ink by an inkjet method and manufacturing a color filter,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97-203803 has a recessed ink portion. A method of treating with an inkphilic treatment agent is disclosed. In this method, convex portions are formed on the substrate in advance, and the convex portions are made ink-repellent, and then the entire substrate is subjected to a surface treatment with an ink repellent treatment agent.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the convex portions ink repellent in advance when performing the ink repellent treatment,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perform two processes of ink repellent treatment and the ink repellent treatment.
또, 동일하게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층을 형성하고, 컬러필터를 제조하는 방 법으로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96-230314호, 및 제96-227012호에 기판 상에 잉크의 흡수층을 형성하고, 이 흡수층의 잉크흡수성을 노광부와 비노광부로 변화시킴으로써 착색층(화소부)을 형성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흡수층을 형성하여 잉크를 이 흡수층에 흡수시켜 착색층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잉크의 도트(dot)의 중심부와 주위부에서 착색에 차이가 있고, 색의 불균일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또, 이 흡수층은 잉크를 흡수한다고 하는 그것의 기능상, 반드시 소정의 두께가 필요하다는 문제점도 있다.Similarly, as a method of forming a colored layer by an inkjet method and manufacturing a color filter, an absorption layer of ink is formed on a substrate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s. 96-230314 and 96-227012. The method of forming a colored layer (pixel part) by changing the ink absorbency of this absorbing layer into an exposed part and a non-exposed part is described. However, in this method, since the absorbing layer is formed to absorb the ink into the absorbing layer to form a colored layer, there is a problem in coloration at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of the dot of the ink, resulting in color unevenness. Moreover, this absorbing layer also has a problem that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necessarily required in view of its function of absorbing ink.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잉크젯 방식으로 화소부를 형성하는 데 대한 문제가 되는 기판의 습윤성에 관하여, 단일층으로 습윤성이 좋은 부분과 나쁜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이 습윤성이 좋은 부분과 나쁜 부분과의 패턴을 적은 공정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잉크의 흡수층이 필요치 않으며, 품질이 양호할 뿐 아니라 낮은 코스트로 제조할 수 있는 컬러필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with regard to the wettability of the substrate, which is a problem for forming the pixel portion by the inkjet method, it is not only possible to form a good wettability part and a bad part in a single layer, but also this wettability is good.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or filt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hich can easily form a pattern between a portion and a bad portion in a small process, do not require an absorbing layer of ink, and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as well as of good quality. It is don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 상에 잉크젯 방식에 의해 복수의 색이 소정의 패턴으로 배설(配設)된 화소부(畵素部), 상기 화소부의 경계부분에 배설된 차광부(遮光部), 및 상기 화소부 또는 상기 화소부와 상기 차광부를 형성하기 위해 배설되고 습윤성(wettability)을 변화시킬 수 있는 습윤성 가변층(可變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parent substrate, a pixel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colors are dispos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by an inkjet metho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pixel. Having a light blocking portion disposed at a boundary of the negative portion, and a wettability variable layer disposed to form the pixel portion or the pixel portion and the light blocking portion and capable of changing wettability. It provides a color filter characterized by.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소부를 형성하기 위해, 또는 화소부와 차광부를 형성하기 위한 습윤성 가변층을 가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습윤성 가변층의 습윤성의 변화를 이용하여 화소부 또는 화소부와 차광부를 높은 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고, 탈색이나 색 불균일 등의 문제점이 없는 고품질의 컬러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wettability variable layer for forming the pixel portion or for forming the pixel portion and the light shielding portion. Therefore, by using the change in the wettability of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the pixel portion or the pixel portion and the light shielding portion can be formed with high precision, and a high quality color filter can be provided without problems such as discoloration and color unevenness.
이 경우,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적어도 상기 화소부가 상기 습윤성 가변층 상에 배설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화소부를 습윤성 가변층 상에 형성함으로써, 미리 습윤성 가변층 상의 화소부가 형성되는 부위의 습윤성 가변층을 액체와의 접촉각이 작은 친(親) 잉크성 영역으로 할 수 있다. 친잉크성 영역인 화소부 형성부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함으로써 액체와의 접촉각이 작은 친잉크성 영역인 화소부 형성부에만 잉크가 부착되고, 또한 이 친잉크성 영역인 화소부 형성부내에 균일하게 잉크가 도포된다. 따라서 색 불균일이나 탈색 등의 문제가 없는 컬러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described in
이와 같이, 적어도 상기 화소부가 습윤성 가변층 상에 배설되어 있으면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기판 상에 상기 차광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이 차광부 상 및 상기 투명기판 상의 상기 화소부가 형성되는 부위인 화소부 형성부에 상기 습윤성 가변층이 배설되고, 또한 이 습윤성 가변층 상에 상기 화소부가 형성되어 있어도(화소부가 습윤성 가변층 상에 형성되어 있고, 차광부 상에 습윤성 가변층이 배설되어 있는 컬러필터, 이하, 제1 실시형태라 함), 청구항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기판 상에 습윤성 가변층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습윤성 가변층 상의 소정의 부위에 화소부 및 차광부가 배설되어 있어도(화소부 및 차광부가 습윤성 가변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컬러필터, 이하, 제2 실시형태라 함), 나아가서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바와 샅이, 상기 투명기판 상에 상기 차광부가 배설되고 또한 상기 투명기판 상의 화소부가 형성되는 부위인 화소부 형성부에 습윤성 가변층이 배설되고, 이 습윤성 가변층 상에 화소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화소부가 습윤성 가변층 상에 형성되어 있고, 차광부 상에 습윤성 가변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컬러필터, 이하, 제3 실시형태라 함).As described above, if at least the pixel portion is disposed on the wettable variable layer, the light blocking portion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at least the pixel portion is formed on the light blocking portion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The wettable variable layer is disposed in the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and even if the pixel portion is formed on the wettable variable layer (the pixel portion is formed on the wettable variable layer, and the wettable variable layer is disposed on the light shielding portion). Fil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in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습윤성 가변층 상에 형성된 화소부의 폭이 상기 차광부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의 폭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차광부의 개구부의 폭보다 넓어지도록 화소부의 폭을 형성함으로써 화소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백라이트광이 통과하여 버리는 탈색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in
본 발명에 있어서는,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차광부 상에 배설된 습윤성 가변층의 표면에 발(撥) 잉크성 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차광부 상에 배설된 습윤성 가변층의 표면에 잉크반발성 철부를 형성함으로써 화소부 형성부의 습윤성 가변층을 친잉크성 영역으로 하여 화소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화소부 형성부간에 잉크반발성 철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착색시에 잉크가 섞이는 등의 문제점이 생기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In this invention, as described in
이 경우, 청구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잉크반발성 철부의 폭이 상기 차광부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차광부의 폭보다 잉크반발성 철부의 폭을 좁게 형성함으로써 잉크반발성 철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화소부의 폭이 차광부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In this case, as described in
한편, 본 발명의 컬러필터에 있어서는, 청구항 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화소부의 경계부분에 상기 습윤성 가변층이 배설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화소부의 경계부분의 습윤성 가변층 상의 습윤성을 액체와의 접촉각이 화소부가 형성되는 투명기판 상의 부분보다 큰 잉크반발성 영역으로 해 놓음으로써 화소부를 배설하는 부분(화소부 형성부)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하였을 때, 잉크반발성을 가지는 화소부의 경계부분을 넘어서 잉크가 이동하는 것은 곤란하므로, 잉크의 혼색 등의 문제점이 없는 컬러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그 후, 화소부의 경계부분의 습윤성 가변층을 액체와의 접촉각이 작은 친잉크성 영역으로 함으로써, 이 화소부 경계부분에 차광층을 배설하거나, 전체에 보호층을 피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고품질의 컬러필터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lor filter of this invention, as described in Claim 9, it can also be comprised so that the said wettability variable layer may be arrange | positioned at the boundary part of the said pixel part. In this way, the wettability on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at the boundary portion of the pixel portion is set to an ink repellent region where the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is larger than the portion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on which the pixel portion is formed, thereby forming the pixel portion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When it is colored by the ink, it is difficult for the ink to move beyond the boundary portion of the pixel portion having ink repellency, so that a color filter without problems such as mixing of the ink can be provided. After that, by setting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at the boundary portion of the pixel portion to be an inking region having a small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it is possible to easily provide a light shielding layer at the boundary portion of the pixel portion or to coat the protective layer over the whole. High quality color filters can be obtained.
이 경우, 청구항 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추명기판 상에 상기 차광부가 형성되고, 이 차광부 상에 습윤성 가변층이 형성되며, 이 습윤성 가변층 사이에 화소부가 형성되어 있어도(차광부 상에 습윤성 가변층이 배설되어 있는 컬러필터, 이하, 제4 실시형태라 함), 청구항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기판 상의 차광부가 형성되는 부위인 차광부 형성부에 상기 습윤성 가변층이 형성되고, 이 습윤성 가변층 상에 차광부가 형성되며, 이 차광부 사이에 화소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습윤성 가변층 상에 차광부가 형성되어 있는 컬러필터, 이하, 제5 실시형태라 함).In this case, as described in
상기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청구항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습윤성 가변층의 폭이 차광부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습윤성 가변층의 폭이 차광부의 폭보다 좁으므로 습윤성 가변층의 사이에 형성되는 화소부의 폭이 차광부의 개구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색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fourth embodiment, as described in
전술한 제3 실시형태 및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화소부의 경계부분에 상기 습윤성 가변층이 배설되어 있도록 한 컬러필터의 경우는, 청구항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상기 투명기판 상의 습윤성이 표면장력 40mN/m인 액체와의 접촉각으로서 10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광부용 잉크 등이 차광부 형성부내에 균일하게 퍼지고, 종밀도 좋게 균일한 차광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화소부의 경계부분에 습윤성 가변층이 배설되어 있도록 한 컬러필터의 경우는 화소부가 투명기판 상의 화소부 형성부내에 균일하게 퍼지므로, 색 불균일 등이 없는 양호한 품질의 컬러필터를 제공항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case of the color filter in which the said wettability variable layer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boundary part of the said pixel part mentioned above with the 3rd Embodiment mentioned above, as described in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습윤성 가변층이 적어도 광촉매와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광촉매 함유층일 뿐 아니라, 에너지의 조사에 의해 액체와의 접촉각이 저하되도록 습윤성이 변화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에너지의 조사에 의해 액체와의 접촉각이 저하되도록 습윤성이 변화하는 광촉매 함유층이 형성되면, 에너지의 패턴 조사 등을 행함으로써 용이하게 이 층의 습윤성을 변화시키고, 액체와의 접촉각이 작은 친잉크성 영역을 형성할 수 있어서, 예를 들면 화소부가 형성되는 부분에만 용이하게 친잉크성 영역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컬러필터가 제조될 수 있고, 코스트면에서 유리하게 되기 때문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상기 청구항 14에 기재된 컬러필터에 있어서는 청구항 15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광촉매 함유층이 불소를 포함하고, 상기 광촉매 함유층에 대해 에너지를 조사하였을 때 상기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상기 광촉매 함유층 표면의 불소함유량이 에너지 조사 전에 비교하여 저하되도록 상기 광촉매 함유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olor filter according to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컬러필터는 투명기판 상에 형성된 광촉매 함유층 상의 에너지 조사부분의 불소함유량이 저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에너지를 패턴 조사함으로써 불소함유량이 저하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불소함유량이 저하되면 그 부분은 다른 부분과 비료하여 친잉크성이 높은 영역으로 되므로, 화소부 등이 형성되는 부분만 용이하게 친잉크성 영역으로 할 수 있게 되어 용이하게 컬러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Thus, since the color filter of this invention is comprised so that the fluorine content of the energy irradiation part on the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may fall, the pattern which consists of the part from which the fluorine content was reduced by pattern irradiation of energy can be formed. When the fluorine content is lowered, the part is fertilized with other parts to become a high ink-friendly area, so that only the part where the pixel portion or the like is formed can be easily made into the ink-friendly area, thereby easily producing a color filter. .
또한, 청구항 15에 기재하는 컬러필터에 있어서는, 청구항 16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상기 광촉매 함유층 상으로의 에너지 조사를 행하고, 불소함유량을 저하시킨 부위에서의 불소함유량이 에너지가 조사되지 않은 부분의 불소함유량을 100으로 하였을 경우에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olor filter according to
이와 같이, 상기 광촉매 함유층 상으로의 에너지 조사에 의해 형성된 불소함유량이 낮은 부위에서의 불소함유량이 에너지가 조사되지 않은 부분의 불소함유량 을 100으로 하였을 경우, 중량기준으로 10 이하이면 에너지 조사부분과 미조사부분과의 친잉크성에 큰 차이를 생기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패턴이 형성된 광촉매 함유층에 화소부 등을 형성함으로써, 불소함유량이 저하된 친잉크성 영역에만 정확히 화소부 등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정밀도 좋게 컬러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luorine content at the portion of the low fluorine content formed by the energy irradiation onto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100 or less on the basis of the weight, the energy fluorescence portion and the It can make a big difference in the ink reactivity with the irradiation part. Therefore, by forming the pixel portion or the like o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having such a patter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form the pixel portion or the like only in the lipophilic region in which the fluorine content is reduced, and the color filter can be manufactured with high precis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촉매 함유층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광촉매와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 중에서 광촉매는 청구항 17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 산화주석(SnO2), 티탄산스트론튬(SrTiO3), 산화텅스텐(WO3), 산화비스무트(Bi2O3), 및 산화철(Fe2O3)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도 청구항 18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산화티탄(TiO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산화티탄의 밴드갭 에너지(band gap energy)가 높기 때문에 광촉매로서 효과적일 뿐 아니라 화학적으로도 안정하여 독성도 없고 입수도 용이하기 때문이다.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t least a photocatalyst and a binder as described above, among which the photocatalyst is titanium oxide (TiO 2 ), zinc oxide (ZnO), tin oxide (SnO 2 ), as described in
상기 청구항 18에 기재된 광촉매가 산화티탄인 컬러필터의 경우는 청구항 19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상기 광촉매 함유층 표면의 불소함유량을 X선 광전자분광법으로 분석하여 정량화하면, 티탄원소를 100으로 하였을 경우에 불소원소가 500 이상으로 되는 비율로 불소원소가 광촉매 함유층 표면에 포함되어 있는 광촉매 함유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he color filter in which the photocatalyst according to claim 18 is titanium oxide, as described in
이 정도 양의 불소(F)원소가 포함되어 있으면, 에너지 미조사부분의 잉크반 발성이 충분하고, 에너지를 조사하여 불소(F)원소 함유량이 저하된 부분의 패턴을 형성하고, 여기에 화소부 등을 형성하는 경우에 화소부가 형성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잉크 등이 밀려나오지 않고, 보다 정확히 컬러필터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If such an amount of fluorine (F) element is contained, the ink repellency of the unirradiated portion is sufficient, and a pattern of the portion where the fluorine (F) element content is reduced by irradiation with energy is formed, and the pixel portion is This is because the ink and the like are not pushed out to portions other than the portion where the pixel portion is formed when forming the etc., and the color filter can be manufactured more accurately.
한편,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컬러필터에 있어서, 광촉매 함유량을 구성하는 다른 성분인 바인더는 청구항 20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유기 폴리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lor filter of any one of Claims 14-19, it is preferable that the binder which is another component which comprises a photocatalyst content is organic polysiloxane which has a fluoroalkyl group as described in
본 발명의 컬러필터에 있어서, 광촉매 함유층 중에 불소원소를 함유시키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을 들 수 있으나, 바인더로서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유기 폴리실록산을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광촉매 함유층 중에 불소원소를 함유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에너지의 조사에 의해 그 함유량을 용이하게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color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ethods can be used for the method of containing the fluorine element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However, by using an organic polysiloxane having a fluoroalkyl group as the binder, the fluorine element can be easily contained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Not only that, but the content can be easily reduced by irradiation of energy.
또, 마찬가지로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컬러필터에 있어서, 광촉매 함유층을 구성하는 다른 성분인 바인더는 청구항 21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YnSiX(4-n)(여기서 Y는 알킬기, 플루오로알킬기, 비닐기, 아미노기, 페닐기, 또는 에폭시기를 나타내고, X는 알콕실기 또는 할로겐을 나타낸다. n은 0∼3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규소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수분해 축합물 또는 공가수분해(共加水分解) 축합물인 유기 폴리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다.Similarly, in the color filter according to any one of
상기 청구항 21에 기재된 컬러필터에 있어서는 청구항 22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상기 유기 폴리실록산을 구성하는 상기 규소화합물 중 플루오로알킬기를 포함하는 규소화합물이 0.01 몰%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olor filter of
이와 같이 플루오로알킬기를 포함하는 규소화합물이 0.01 몰% 이상 함유되어 있으면, 광촉매 함유층 표면에 충분해 불소원소가 함유됨으로써 에너지가 조사되어 불소원소의 함유량이 저하된 광촉매 함유층 상의 친잉크성 영역과 에너지가 조사되지 않은 광촉매 함유층 표면에서의 잉크반발성 영역과의 습윤성의 차이를 크게할 수 있으므로, 친잉크성 영역에 화소부 등을 형성할 때 잉크 등이 잉크반발성 영역으로 밀려나옴이 없이 정확히 부착시킬 수 있어 품질이 양호한 컬러필터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Thus, when 0.01 mol% or more of silicon compounds containing a fluoroalkyl group are contained, sufficient ink is contained on the surface of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fluorine element is contained, and energy is irradiated, and the ink-friendly region and energy o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on which the content of fluorine element is reduced are Since the difference in wettability with the ink repellent region on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that is not irradiated can be increased, ink or the like adheres accurately without being pushed out to the ink repellent region when forming the pixel portion or the like in the ink-repellent region. This is because a color filter having good quality can be manufactured.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광촉매 함유층 상에서의 표면장력 40mN/m인 액체와의 접촉각이 에너지가 조사되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 10도 이상이고, 에너지가 조사된 부분에 있어서는 10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23 및 청구항 40). 에너지가 조사되지 않은 부분은 잉크반발성이 요구되는 부분이므로, 표면장력 40mN/m인 액체와의 접촉각이 10도 미만인 경우는 잉크반발성이 충분하기 않고, 잉크나 차광부용 도료 등이 잔존할 가능성이 생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에너지가 조사된 부분의 표면장력 40mN/m인 액체와의 접촉각이 10도 이상인 경우는 이 부분에서의 잉크나 차광부용 도료의 퍼짐이 나쁠 가능성이 있어서, 화소부에서의 탈색 등이 생길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In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of surface tension 40mN / m on the said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is 10 degree or more in the part to which energy is not irradiated, and is less than 10 degree in the part to which energy is irradiated (claim 23 and 40. Since the portion where energy is not irradiated is required for ink repellency, when the contact angle with a liquid having a surface tension of 40 mN / m is less than 10 degrees, the ink repellency is not sufficient, and ink or light-shielding portion paint may remain. This is undesirable because it occurs. In addition, when the contact angle with a liquid having a surface tension of 40 mN / m is 10 degrees or more, the spread of ink or light-shielding material for this part may be bad, and discoloration may occur in the pixel part. Because of this.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잉크젯 방식에 의해 착색된 화소부가 UV 경화성 잉크를 사용한 잉크젯 방식에 의해 착색된 화소부인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24 및 청구항 41). UV 경화성 잉크를 사용함으로써, 잉크젯 방식에 의해 착색하여 화소부를 형성한 후, UV를 조사함으로써, 신속히 잉크를 경화시킬 수 있고, 곧 다음의 공정으로 보낼 수 있어 효율면에서 바람직하기 때문이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ixel part colored by the said inkjet system is a pixel part colored by the inkjet system using UV curable ink (claim 24 and Claim 41). This is because by using the UV curable ink, the pixel portion is formed by coloring by the inkjet method, and then irradiated with UV, the ink can be quickly cured and immediately sent to the next step, which is preferable in terms of efficiency.
전술한 바와 같은 컬러필터와, 이것에 대향하는 기판을 가지고, 양 기판간에 액정화합물을 봉입함으로써 얻어지는 액정패널은 전술한 바와 같은 컬러필터의 이점, 즉 화소부의 탈색이나 색 불균일이 없을 뿐 아니라 코스트면에서 유리하다고 하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청구항 42).The liquid crystal panel obtained by enclosing the liquid crystal compound between the two substrates with the color filter as described above and the substrate opposite thereto has the advantages of the color filter as described above, namely, no discoloration or color unevenness of the pixel por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dvantageous (claim 42).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25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1) 투명기판 상에 차광부를 형성하는 공정; (2) 상기 투명기판 상의 차광부가 형성된 측의 면 위에 에너지 조사부분의 습윤성이 액체의 접촉각이 저하하는 방향으로 변화되는 광촉매 함유층을 배설하는 공정; (3) 상기 광촉매 함유층 상의 화소부를 형성하는 부위인 화소부 형성부에 에너지를 조사하여 화소부용 노광부를 형성하는 공정; 및 (4) 상기 화소부용 노광부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하여 화소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이하, 제6 실시형태라 함)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s described in claim 25 (1) forming a light shielding portion on a transparent substrate; (2) disposing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n which the wettability of the energy irradiated portion is ch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angle of the liquid is lowered on the surface of the side on which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3) forming an exposure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by applying energy to a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which is a portion for forming the pixel portion o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4) forming a pixel portion by coloring the ink portion in the exposure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by an inkjet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ixth embodiment).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리 차광부가 형성된 투명기판 상에 광촉매 함유층을 배설하고, 이 광촉매 함유층 상의 화소부 형성부에 에너지를 패턴 조사함으로써 용이하게 화소부가 형성되는 부분만을 친잉크성으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이 화소부가 형성되는 화소부용 노광부에 잉크젯 방식으로 잉크를 부착함으로써 균일하게 잉크가 부착된 화소부를 얻을 수 있고 탈색이 없고 또한 색 불균일이 없는 컬러필터를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dispos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on which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s formed in advance, and by irradiating energy to the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o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only the portion where the pixel portion is easily formed can be made into an ink-repellent property. . Therefore, by attaching ink to the exposure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in which the pixel portion is formed in an inkjet method, a pixel portion to which ink is uniformly obtained can be obtained, and a color filter without discoloration and color unevenness can be formed.
상기 제6 실시형태의 경우, 청구항 26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상기 광촉매 함유층을 배설하는 공정의 후에 차광부 상의 광촉매 함유층에 에너지를 패턴 조사하여 잉크반발성 철부용 노광부를 형성하고, 여기에 잉크반발성 철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가지도록 해도 된다.In the sixth embodiment, as described in claim 26, after the step of disposing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energy is irradiated onto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on the light shielding portion to form an exposure portion for the ink-repellent iron portion, and ink repellent therein. You may have a process of forming a cast iron part.
이와 같이 차광부 상의 광촉매 함유층 상에도 에너지를 패턴 조사하여 잉크반발성 철부용 노광을 배설하는 것이므로, 소정의 폭으로 잉크반발성 철부용 노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영역에 잉크반발성 철부용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소정의 폭을 가지는 잉크반발성 철부를 균일한 높이로 얻을 수 있다.Thus, since the exposure for ink repellent iron parts is excreted also by pattern-irradiating energy on the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on a light shielding part, the exposure part for ink repellent iron parts can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width | variety. Therefore, by applying the ink repellent iron coating material to this region, an ink repellent iron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can be obtained at a uniform height.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청구항 27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상기 화소부용 노광부를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를 마스크로서 사용하여 투명기판 측에서 노광함으로써 화소부용 노광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투명기판측, 즉 차광부가 형성되지 않은 측에서 전면노광함으로써 차광부의 상면에 형성된 부분의 광촉매 함유층만 노광하지 않고, 다른 부분을 노광할 수 있다. 따라서 포토마스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에너지의 패턴 조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코스트면에서 유리하다.Further, i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claim 27, in the step of forming the exposed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the exposed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is formed by exposing the light shielding portion as a mask and exposing it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side. You may also By exposing to the front side from the transparent substrate side, that is, the side where the light shielding part is not formed, other part can be exposed without exposing only the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of the part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shielding part. Therefore, since the energy pattern irradi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using a photomask or the like,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또, 본 발명은 청구항 28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1) 투명기판 상에 에너지의 조사에 의해 에너지 조사부분의 습윤성이 액체와의 접촉각이 저하하는 방향으로 변화되는 광촉매 함유층을 배설하는 공정; (2) 상기 투명기판 상의 차광부가 형성되는 부위인 차광부 형성부에 에너지를 패턴 조사하여 차광부용 노광부를 형성하는 공정; (3) 상기 차광부용 노광부에 차광부를 배설하는 공정; (4) 상기 차광부가 배설된 투명기판에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화소부용 노광부를 형성하는 공정; 및 (5) 상기 화소부용 노광부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하여 화소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이하, 제7 실시형태라 함)을 제공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in claim 28,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isposing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n which wettability of an energy irradiated portion is ch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a contact angle with a liquid decreases by irradiation of energy on a transparent substrate; (2) forming a light exposing portion for the light shielding portion by patterning energy to a light shielding portion forming portion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3) arranging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n the exposure portion for the light shielding portion; (4) forming an exposure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by irradiating energy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on which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s disposed; And (5) forming a pixel portion by coloring the pixel portion exposed portion by an inkjet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venth embodiment).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투명기판 상에 광촉매 함유층을 배설하고, 이 광촉매 함유층에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노광부분의 액체와의 접촉각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우선 차광부를 형성할 때 단순히 광촉매 함유층에 에너지의 패턴 조사를 행하고 차광부를 형성하는 영역만 친잉크성 영역으로 하고, 다음에 이 부분에 차광부용 도료를 도표하여 차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차광부를 배설할 때 행하였던 패턴노광 후의 현상공정(現像工程)이나 에칭공정을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효율적으로 차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이 후에 예를 들면 전면에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용이하게 화소부를 형성하는 영역을 친잉크성 영역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부분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하면 균일하게 잉크가 부착한 화소부로 만들 수 있고, 탈색이나 색 불균일이 없는 컬러필터를 형성할 수 있다.Thus,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lor filter of this embodiment, the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of an exposure part can be reduced by arrange | positioning a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on a transparent substrate and irradiating an energy to this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Therefore, when forming the light shielding portion, only the region where the pattern of light shielding is formed by simply irradiating the pattern of energy o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can be made into the inking region, and the light shielding portion can then be charted to form the light shielding portion. Therefore,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the developing process or the etching process after pattern exposure which were performed when the conventional light shielding part was arrange | positioned, a light shielding part can be formed efficiently. In addition, the area | region which forms a pixel part easily can be made into an ink-friendly area | region by irradiating an energy to the whole surface after this, for example. Therefore, by coloring by this inkjet method, it can be made into the pixel part which ink adhered uniformly, and can form the color filter without discoloration or color nonuniformity.
또, 본 발명은 청구항 29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1) 투명기판 상에 에너지 조사부분의 습윤성이 액체의 접촉각이 저하하는 방향으로 변화되는 광촉매 함유층을 배설하는 공정; (2) 상기 투명기판 상의 화소부가 형성되는 부위인 화소부 형성부에 에너지를 패턴 조사하여 화소부용 노광부를 형성하는 공정; (3) 상기 화소부 용 노광부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하여 화소부를 형성하는 공정; (4) 적어도 상기 화소부의 경계부분의 광촉매 함유층에 에너지를 조사하는 공정; 및 (5) 상기 에너지가 조사된 화소부의 경계부분에 차광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이하, 제8 실시형태라 함)을 제공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in claim 29,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isposing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n which the wettability of the energy irradiated portion is ch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angle of the liquid decreases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2) forming an exposure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by patterning energy to a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pixel portion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3) forming a pixel portion by coloring the ink exposure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by an inkjet method; (4) irradiating energy to at least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t a boundary portion of the pixel portion; And (5) forming a light shielding portion at a boundary portion of the pixel portion irradiated with the energ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ighth embodiment).
이 경우는 투명기판 상의 적어도 화소부가 형성되는 부위인 화소부 형성부와, 차광부가 형성되는 부위인 차광부 형성부에 광촉매 함유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우선 상기 화소부 형성부에 대해 에너지를 패턴 조사함으로써 이 광촉매 함유층의 화소부 형성부를 친잉크성 영역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 잉크젯 방식으로 잉크를 부착시킴으로써 잉크가 균일하게 퍼지고 탈색 등이 생기지 않는다. 또, 화소부와의 경계부분인 차광부 형성부는 에너지가 조사되지 않으므로 잉크반발성 영역인 상태이다. 따라서, 친잉크성 영역인 화소부 형성부에 부착된 잉크가 이 잉크반발성 영역인 차광부 형성부를 넙어 이동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가 섞이는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화소부를 형성한 후, 화수보간의 차광부 형성부에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이 부분을 친잉크성 영역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부분에 예를 들면 차광부용 잉크를 도포함으로써 용이하게 차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formed on the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which is at least the portion where the pixel portion is formed, and the light blocking portion forming portion, which is the portion where the light blocking portion is formed. The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can be made into a lipophilic region by first irradiating energy to the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Therefore, by adhering the ink to the inkjet method, the ink spreads uniformly and no discoloration occurs. In addition, since the light shielding portion forming portion, which is the boundary portion with the pixel portion, is not irradiated with energy, it is in the ink repellent reg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ink adhering to the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which is the inks area, to move apart from the light shielding portion forming portion, which is the ink repellent region. Therefore, a problem such as ink mixing does not occur. After forming the pixel portion in this way, the energy can be irradiated to the light shielding portion forming portion of the interpolation interpolation, thereby making this portion an lipophilic region. Therefore, a light shielding part can be formed easily by apply | coating the light shielding part ink to this part, for example.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30에 기재한 바와 같이, (1) 투명기판 상에 에너지 조사부분의 습윤성이 액체와의 접촉각이 저하하는 방향으로 변화되는 광촉매 함유층을 상기 투명기판 상의 화소부가 형성되는 부위인 화소부 형성부에 배설하는 공정; (2) 상기 광촉매 함유층이 배설된 상기 화소부 형성부의 경계부분에 차광부를 배설하는 공정; (3) 상기 광촉매 함유층에 에너지를 조사하여 화소부용 노광부를 형성하는 공정; 및 (4) 상기 화소부용 노광부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하여 화소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이하, 제9 실시형태라 함)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claim 30, (1) a pixel on which the pixel portion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formed is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whose wettability of the energy irradiated portion is ch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is decreased. Excretion in the forming portion; (2) providing a light shielding portion at a boundary portion of the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in which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disposed; (3) irradiating energy to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to form an exposure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And (4) forming a pixel portion by coloring the ink portion in the exposure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by an inkjet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ninth embodiment).
이 경우는 투명기판 상의 화소부가 형성되는 부위인 화소부 형성부에 먼저 광촉매 함유층이 형성된다. 이 광촉매 함유층에 에너지를 조사하기 전의 상태에서 기판표면보다 액체와의 접촉각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 경우는 이 광촉매 함유층이 형성된 화소부 형성부보다, 화소부 형성부간의 기판 상의 차광부 형성부 쪽이 액체와의 접촉각이 작은 친잉크성 영역으로 된다. 이 친잉크성 영역에 예를 들면 차광부용 도료에 의해 차광부를 형성함으로써 먼저 차광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예를 들면 이 차광부가 형성된 면 전체에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화소부 형성부를 친잉크성 영역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영역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함으로써 잉크가 균일하게 부착한 화소부가 얻어지고, 탈색이 없을 뿐 아니라 색 불균일이 없는 컬러필터를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first formed in the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pixel portion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formed. When a material having a contact angle with a liquid higher than that of the substrate surface is used in the state before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irradiated with energy, the light shielding portion forming portion on the substrate between the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s is more liquid than the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on which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formed. The contact angle with the becomes a small ink-friendly region. The light shielding portion can be easily formed first by forming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n the lipophilic region by, for example, the light shielding portion paint. Next, for example, the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can be made into an ink-friendly region by irradiating energy to the entire surface on which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s formed. Therefore, by coloring by this inkjet method, the pixel part which ink adhered uniformly is obtained, and it is possible to form the color filter which does not have discoloration and color unevenness.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31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1) 투명기판 상에 차광부를 형성하는 공정; (2) 상기 차광부 상면에 에너지 조사부분의 습윤성이 액체의 접촉각이 저하하는 방향으로 변화되는 광촉매 함유층을 배설하는 공정; 및 (3) 상기 광촉매 함유층이 배설되어 있지 않은 투명기판 상의 화소부가 형성되는 부위인 화소부 형성부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하여 화소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이하, 제10 실시형태라 함)을 제공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claim 31, (1) forming a light shielding portion on a transparent substrate; (2) disposing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n which the wettability of the energy irradiating portion is ch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angle of the liquid is lowered on the light shielding portion; And (3) forming a pixel portion by coloring the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which is a portion in which the pixel portion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on which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not formed, by an inkjet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lor filter). , Referred to as a tenth embodiment).
이 경우는 먼저 투명기판 상에 차광부를 형성하고, 이 차광부 상에 광촉매 함유층을 형성하는 것인데, 이 광촉매 함유층에 에너지를 조사하기 전의 상태에서 투명기판 표면보다 액체와의 접촉각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 경우는 이 광촉매 함유층보다 그 사이의 화소부 형성부 쪽이 액체와의 접촉각이 작은 친잉크성 영역으로 된다. 따라서 잉크젯 방식으로 잉크를 친잉크성 영역인 화소부 형성부에 부착시킨 경우, 부착된 잉크가 잉크반발성 영역인 차광부 형성부를 넘어서 이동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로써 잉크의 혼색 등의 문제가 생기기 어렵다.In this case, first, a light shielding part is form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formed on the light shielding part. When a material having a higher contact angle with a liquid tha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used in the state before the energy is irradiated to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The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betwee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s becomes an ink-friendly region having a smaller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Therefore, when the ink is attached to the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that is the ink-inkable region by the inkjet method, it is difficult for the attached ink to move beyond the light shielding portion forming portion which is the ink repellent region. As a result, problems such as color mixing of the ink are less likely to occu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32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1) 투명기판 상에 에너지 조사부분의 습윤성이 액체의 접촉각이 저하하는 방향으로 변화되는 광촉매 함유층을 상기 투명기판 상의 차광부가 형성되는 부위인 차광부 형성부에 배설하는 공정; (2) 상기 투명기판 상의 광촉매 함유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하여 화소부를 형성하는 공정; (3) 적어도 상기 광촉매 함유층에 에너지를 조사하는 공정; 및 (4) 상기 에너지가 조사된 광촉매 함유층 상에 차광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이하, 제11 실시형태라 함)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claim 32, (1)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whose wettability of the energy irradiated portion is ch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angle of the liquid decreases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a portion where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Excretion in the miner forming portion; (2) forming a pixel portion by coloring by an inkjet method on a portion where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not formed; (3) irradiating energy to at least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4) forming a light shielding layer o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to which the energy is irradiat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leventh embodiment).
이 경우는 광촉매 함유층을 기판 상의 차광부가 형성되는 차광부 형성부에 배설한다. 이 광촉매 함유층에 에너지를 조사하기 전의 상태로 투명기판 표면보다 액체와의 접촉각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 경루는 이 광촉매 함유층이 형성된 차광부 형성부보다, 그 사이의 화소부 형성부 쪽이 액체와의 접촉각이 작은 친잉크성 영역 으로 되고, 화소부 형성부와의 경계부분인 차광부 형성부는 잉크반발성 영역으로 된다. 따라서, 잉크젯 방식으로 잉크를 친잉크성 영역인 화소부 형성부에 부착시킨 경우에 부착한 잉크가 잉크반발성 영역인 차광부 형성부를 넘어서 이동하지 않는다. 이로써 잉크의 혼색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화소부를 형성한 후, 화소부간의 차광부 형성부의 광촉매 함유층에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이 부분을 친잉크성 영역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부분에 예를 들면 차광부용 잉크를 도포함으로써 용이하게 차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a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light shielding part formation part in which the light shielding part on a board | substrate is formed. In case of using a material having a higher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tha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n the state before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irradiated with energy, the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betwee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the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has a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This small ink-free region is formed, and the light shielding portion forming portion, which is a boundary portion with the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becomes an ink repellent region. Therefore, when the ink is attached to the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which is the inking region, by the inkjet method, the attached ink does not move beyond the light shielding portion forming portion, which is the ink repellent region. As a result, problems such as mixing of the ink do not occur. After forming the pixel portion in this way, the portion can be made into an ink-friendly region by irradiating energy to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of the light shielding portion forming portion between the pixel portions. Therefore, a light shielding part can be formed easily by apply | coating the ink for light shielding parts to this part, for exampl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6 실시형태 및 제8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청구항 33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상기 화소부용 노광부를 형성한 후, 거기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하여 화소부를 형성하는 공정이 (a) 상기 광촉매 함유층 상의 화소부를 형성하는 부분의 일부에 에너지를 패턴 조사하여 제1 화소부용 노광부를 형성하는 공정; (b) 상기 제1 화소부용 노광부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하여 제1 화소부를 형성하는 공정; (c) 상기 광촉매 함유층 상에 나머지 화소부를 형성하는 부분에 노광하여 제2 화소부용 노광부를 형성하는 공정; 및 (d) 상기 제2 화소부용 노광부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하여 제2 화소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In the sixth and eigh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claim 33, the step of forming the pixel portion by forming the exposed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and then coloring the ink portion by using the inkjet method is performed (a). Forming a light exposure portion for the first pixel portion by pattern-irradiating energy to a portion of the portion forming the pixel portion o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b) forming a first pixel portion by coloring the first exposure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by an inkjet method; (c) forming an exposure portion for the second pixel portion by exposing to a portion forming the remaining pixel portion o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d) forming the second pixel portion by coloring the second exposure portion for the second pixel portion by an inkjet method.
즉, 어느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화소부용 노광부를 형성하고, 이 부분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함으로써 화소부를 형성하는 것이나, 그 화소부를 형성할 때, 화소부룰 제1 화소부 및 제2 화소부로 나누고 각각 에너지 조사 및 잉크젯 방식으로의 착색을 행하는 것이다.That is, in any of the embodiments, the pixel portion is formed by forming an exposure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and the pixel portion is formed by coloring the ink portion by the inkjet method. When the pixel portion is formed, the pixel portion is divided into a first pixel portion and a second pixel portion, respectively, and irradiated with energy. And coloring by the inkjet method.
에너지 조사에 의해 친잉크성 영역으로 한 화소부용 노광부를 잉크젯 방식으 로 착색하여 화소부를 형성하는 경우, 이 화소부용 노광부간의 간격이 좁은 경우는 화소부 형성시에 화소부간의 잉크반발성 영역 등을 넘어서 인접하는 화소부의 잉크가 혼합할 가능성이 생긴다. 따라서 화소부 형성시에 화소부끼리가 가능한 한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우선 제1 화소부를 형성한 후, 제2 화소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취하면, 예를 들면 제1 화소부를 형성할 때 화소부를 하나 걸러 형성하도록 패턴 노광을 행할 수 있고, 1회째의 화상부의 형성시에 인접하는 화소부끼리를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로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착색하는 영역의 사이에 비교적 넓은 잉크반발성 영역을 가지는 상태에서 제1 화소부용 노광부를 형성하고, 여기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함으로써 인접하는 화소부의 잉크가 혼합되는 문제점이 생길 가능성이 없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배설된 제1 화소부간에 다시 에너지를 조사하여 제2 화소부용 노광부를 형성하고, 여기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함으로써 잉크가 혼합하는 등의 문제점이 없는 컬러필터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case of forming the pixel portion by coloring the exposure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which has been made into the ink-friendly region by energy irradiation, by an inkjet method, when the interval between the exposure portions for the pixel portion is narrow, the ink repellent region between the pixel portions, etc. at the time of forming the pixel portion, etc.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k of the adjacent pixel portion is mixed beyond thi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ixel portions are formed in a spaced apart state as much as possible at the time of pixel portion formation. As described above, if the first pixel portion is formed first, and then the second pixel portion is formed, for example, when exposing the first pixel portion, pattern exposure can be performed so that every other pixel portion is formed. At the time of formation of the image portion, adjacent pixel portions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us, the exposure part for a 1st pixel part is formed in the state which has a comparatively large ink repellent area | region between the area | regions to color, and coloring by the inkjet method here,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problem which the ink of an adjacent pixel part mixes may not arise. Energy is again irradiated between the first pixel portions thus disposed to form an exposure portion for the second pixel portion, and by coloration by the inkjet method, color filters can be formed without problems such as mixing of the ink.
또,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 및 제10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청구항 34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상기 화소부의 폭이 상기 차광부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화소부의 폭을 차광부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보다 넓게 취함으로써 백라이트광이 화소부 이외의 부분을 통과할 가능성을 적게할 수 있고, 탈색 등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sixth and ten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pixel portion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opening formed by the light shielding portion, as described in claim 34. This is because by taking the width of the pixel portion wider than the opening formed by the light shielding portion, the possibility of the backlight light passing through portions other than the pixel portion can be reduced, and discoloration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 제10 실시형태, 및 제1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청구항 35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상기 투명기판 상의 습윤성이 표면장력 40mN/m인 액체와의 접촉각으로서 10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느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투명기판 상과 비교하여 잉크반발성을 가지는 광촉매 함유층이 형성된 후, 그것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화소부 또는 차광부를 배설하는 것이나, 표면기판 상의 습윤성이 표면장력 40mN/m인 액체와의 접촉각으로서 10도 미만이면 액이 퍼지기 쉽고, 예를 들면 화소부이면 균일하게 잉크젯용의 잉크가 퍼지기 때문에 색 불균일이 없는 화소부가 얻어지고 고품질의 컬러필터로 만들 수 있다.Further, in the ninth, tenth, and eleven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claim 35, the wettability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10 degrees as a contact angle with a liquid having a surface tension of 40 mN / m. It is preferable that it is less than. In any of the above embodiments, after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having ink repellency is formed as compared with that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the pixel portion or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s disposed on the portion where it is not formed, or the wettability on the surface substrate is 40 mN / m. If the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is less than 10 degrees, the liquid is easy to spread. For example, if the pixel portion is uniform, the ink for inkjet is spread evenly, so that the pixel portion without color unevenness can be obtained, and a high quality color filter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 있어서, 광촉매 함유층에 대조하여 노광시키기 위한 에너지로서는, 청구항 36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는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이지만, 광 묘화조사에 의한 패턴의 형성 등을 행할 경우는 청구항 37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이 에너지로서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 및 반응속도 증가에너지를 사용하고, 상기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를 조사한 부분에 상기 반응속도 증가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노광부분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energy for exposing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to be exposed in contrast to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s described in claim 36, the light usually contains ultraviolet rays. As described, the exposure portion may be formed by using the photocatalytic reaction starting energy and the reaction rate increasing energy as the energy and irradiating the reaction rate increasing energy to the portion irradiated with the photocatalytic reaction starting energy.
이것은 광촉매 함유층에 대해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를 가하고, 이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가 가해진 영역내에 반응속도 증가에너지를 패턴형으로 가함으로써 노광부분의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이제까지 발명자 등에 의해 제안되어 온 광 묘화조사에 의한 패턴의 형성은 상기 자외선 등의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이었으므로, 장치가 고가이고, 취급이 곤란하며 나아가서 연속출력이 불가능하다는 등의 문제를 가지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방법에 있어서는 자외선 등의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를 가하고, 이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가 가해진 영역에 대해 적외선 등의 반응속도 증가에너지를 사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도록 한 것 이므로, 패턴을 형성할 때 적외선레이저 등의 비교적 저렴한 값으로 취급이 용이한 반응속도 증가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This is to apply a photocatalytic reaction starting energy to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to form a pattern of the exposed portion by applying a reaction rate increasing energy in a pattern form in the region where the photocatalytic reaction starting energy is applied. That is, since the formation of the pattern by light drawing irradiation, which has been proposed by the inventors and the like so far, uses the photocatalytic reaction starting energy such as ultraviolet rays, the apparatus is expensive, difficult to handle, and further, continuous output is impossible. There was a problem. In this method, however, a photocatalytic initiation energy such as ultraviolet light is applied and a pattern is formed by using a reaction rate increasing energy such as infrared rays in the region to which the photocatalytic reaction initiation energy is applied. It is to have the advantage that the reaction rate increase energy that can be easily handled using a relatively low value, such as.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 및 반응속도 증가에너지라는 두 가지 에너지를 사용하는 경우는 청구항 38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상기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가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이고, 상기 반응속도 증가에너지가 열에너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산화티탄이 광촉매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이 이산화티탄의 밴드갭의 관계에서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로서는 자외선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 반응속도 증가에너지가 열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청구항 39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이 열에너지는 적외선레이저에 의해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외선레이저를 사용하는 방법은 비교적 저가일 뿐 아니라 취급이 용이하기 때문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using two types of energy such as a photocatalytic reaction start energy and a reaction rate increase energy, as described in claim 38, the photocatalytic reaction start energy is light including ultraviolet rays, and the reaction rate increase energy. It is preferable that it is heating energy. This is because titanium dioxide is preferably used as the photocatalyst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ultraviolet light is preferable as the photocatalytic reaction starting energy in relation to the band gap of the titanium dioxide. Moreover, although it is preferable that reaction rate increase energy is heat, it is preferable to apply this heat energy by an infrared laser as described in Claim 39. Infrared lasers are relatively inexpensive and easy to handle.
[발명의 실시형태]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컬러필터에 관하여 설명하고, 다음에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the color filter will be described, and th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lor filter will be described.
A. 컬러필터에 관하여A. About color filters
먼저, 본 발명의 컬러필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컬러필터는 투명기판, 이 투명기판 상에 잉크젯 방식에 의해 복수의 색을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한 화수부, 이 화소부의 경계부분에 형성된 차광부(遮光部), 상기 화소부 또는 화소부와 차광부를 형성하기 위해 배설되어 습윤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습윤성 가변층(可變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First, the color filter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The color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arent substrate, a number of portions in which a plurality of colors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by an inkjet metho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 light shielding portion formed at a boundary portion of the pixel portion, the pixel portion or a pixe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wettability variable layer which can be excised to form a part and a light shielding part, and can change wettability.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화소부를 형성하기 위해, 또는 화소부와 차광부를 형성하기 위해 배설된 습윤성 가변층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습윤성 가변층의 습윤성을 변화시킴으로써 화소부 또는 화소부와 차광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고품질의 컬러필터를 낮은 코스트로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화소부, 또는 화소부와 차광부를 형성하기 위한다는 것은 화소부, 또는 화소부와 차광부를 투명기판 상에서 위치결정한다는 의미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wettability variable layer disposed to form the pixel portion or to form the pixel portion and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n this way. Therefore, the pixel portion or the pixel portion and the light shielding portion can be easily formed by changing the wettability of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so that a high quality color filter can be obtained at a low cost. Here, to form the pixel portion, or the pixel portion and the light blocking portion, includes the meaning of positioning the pixel portion, or the pixel portion and the light blocking portion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이와 같은 컬러필터의 각 요소의 구체적인 위치관계로서는 예를 들면 적어도 상기 화소부가 상기 습윤성 가변층 상에 배설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As the specific positional relationship of each element of such a color filter, for example, at least the pixel portion may include the one disposed on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이와 같이 적어도 화소부가 습윤성 가변층 상에 배설되어 있으므로, 미리 화소부를 형성하는 부분의 습윤성을 액체와의 접촉각이 작은 친잉크성 영역으로 하고, 다른 부분을 액체와의 접촉각이 큰 잉크반발성 영역으로 할 수 있다. 이 화소부를 형성하는 부분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함으로써 액체의 접촉각이 작은 친잉크성 영역에만 잉크가 부착하기 때문에 화소부 전체에 잉크가 균일하게 퍼지고, 화소부에 있어서 잉크가 없는 영역과 색 불균일 등이 생기지 않고, 다른 잉크반발성 영역에 잉크가 부착하지 않는다.In this way, at least the pixel portion is disposed on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so that the wettability of the portion forming the pixel portion is made into an ink-repellent region having a small contact angle with liquid in advance, and the other portion as an ink repellent region having a large contact angle with liquid. can do. By ink-jet coloring to the part which forms this pixel part, ink adheres only to the lipophilic area | region where liquid contact angle is small, and the ink spreads uniformly throughout the pixel part, and the area | region where there is no ink in a pixel part, color unevenness, etc. It does not occur, and ink does not adhere to other ink repellent regions.
또, 본 발명의 컬러필터에서의 각 요소의 다른 구체적인 위치관계로서는, 예를 들면 화소부의 경계부분에 습윤성 가변층이 형성되어 있는 예를 들수 있다. 이 경우는 화소부의 경계부분의 습윤성을 화소부를 형성하는 부분의 습윤성보다 나쁜 잉크반발성 영역으로 해 놓음으로써 화소부를 형성하는 부분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하였을 때, 잉크반발성을 가지는 화소부의 경계부분을 넘어서 잉크가 이동하기 어려우므로 잉크의 혼합 등에서의 문제점이 없는 컬러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그 후, 자극 등을 가하여 화소부의 경계부분의 습윤성 가변층을 액체와의 접촉각이 작은 친잉크성 영역으로 함으로써, 이 화소부 경계부분에 차광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전체에 보호층을 피복하는 것을 쉽게 행할 수 있어서 고품질의 컬러필터를 얻을 수 있다.Moreover, as another specific positional relationship of each element in the color filter of this invention, the example in which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is formed in the boundary part of a pixel part is mentioned, for example. In this case, when the wettability of the boundary portion of the pixel portion is set to an ink repellent region that is worse than the wettability of the portion forming the pixel portion, the boundary portion of the pixel portion having ink repellency is colored when the portion forming the pixel portion is colored by the inkjet method. Since the ink is difficult to move ov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lor filter which is free from problems such as mixing of the ink. Thereafter, by applying a stimulus or the like to make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at the boundary portion of the pixel portion a lipophilic region having a small contact angle with liquid, forming a light shielding layer on the boundary portion of the pixel portion or covering the protective layer on the whole. It can be done easily, and a high quality color filter can be obtained.
이하에서 이와 같은 습윤성 가변층을 가지는 본 발명의 컬러필터에 관하여 몇 가지의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lor filter of this invention which has such a wettability variable layer i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some embodiment.
1. 제1 실시형태에 관하여1. About the 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는, 투명기판 상에 차광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이 차광부 상 및 상기 투명기판 상의 상기 화소부가 형성되는 부위인 화소부 형성부에 습윤성 가변층이 배설되고, 다시 이 습윤성 가변층 상의 습윤성의 변화에 의해 화소부를 양호한 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컬러필터이다. 이것은 습윤성 가변층이 화소부를 형성하기 위해 배설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술한 적어도 화소부가 습윤성 가변층 상에 형성된 컬러필터의 구체적 예의 하나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 shielding portion is form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t least a wettability variable layer is disposed on the light shielding portion and a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pixel portion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It is a color filter which can form a pixel part with good precision by the change of the wettability on a variable layer. This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is disposed to form the pixel portion, which is one of the specific examples of the color filter in which the at least pixel portion described above is formed on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컬러필터(1)는 투명기판(2) 상에 배설된 차광부(3), 또한 이 차광부(3) 상 및 상기 투명기판(2) 상의 화소부가 형성되는 부위인 화소부 형성부(4)에 배설된 습윤성 가변층(5), 및 이 습윤성 가변층(5) 상의 화소부 형성부(4)에 형성된 화소부(6)를 가지는 것이다. 여기서 화소부 형성부(4)라 함은 화소부(6)가 형성되는 투명기판(2)의 표면상의 수평방향의 위치를 나타내고, 투명기판(2) 상일 수도, 습윤성 가변층(5) 상일 수도 있다. 또 차광부(3)는 블랙마트릭스(black matrix)라고도 칭해지는 것으로, 화소부(6)의 경계부분에 통상 형성되는 것이다.1 shows an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이 제1 실시형태의 컬러필터에 있어서는 습윤성 가변층(5) 상의 화소부 형성부(4)의 부분에 에너지를 패턴 조사(照射)함으로써, 습윤성 가변층(5) 상의 화소부 형성부(4)를 친잉크성 영역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영역에 잉크젯 방식으로 잉크를 착색함으로써 균일하게 색 불균일이 없는 화소부를 가지는 고품질의 컬러필터로 할 수 있다.In the color filter of the first embodiment, the energy is irradiated to the portion of the pixel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광부(3)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의 폭보다 화소부(6)의 폭이 더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 컬러필터가 실장되어 백라이트가 닿았을 때 화소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백라이트가 투과하지 않고, 탈색이 없는 고품질의 컬러필터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에에 있어서는 차광부(3) 상의 습윤성 가변층(5) 상에 잉크반발성 철부(7)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예의 컬러필터(1)에는 잉크반발성 철부(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화소부 형성부(4)에 잉크젯 방식으로 잉크를 부착시킬 때, 이 발 잉크 철부를 넘어서 잉크가 흘러 나가지 않으므로, 다른 색의 잉크와의 혼색(混色)이 없는 화소부를 가지는 컬러필터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잉크반발성 철부(7)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없으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광부(3)의 폭보다 좁은 폭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화소부(6)를 형성한 경우에, 화소부(6)의 폭을 차광부(3)의 개구부의 폭보다 넓게 취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탈색이 없는 고품질의 컬러필터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2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is example, an ink repellent
이하, 이와 같은 컬러필터를 구성하는 각 부분에 관하여 각각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part which comprises such a color filter is demonstrated, respectively.
(습윤성 가변층)(Wetting variable layer)
상기 습윤성 가변층(5)은 그 표면의 습윤성을 외부에서의 자극, 예를 들면 물리적 자극, 화학적 자극 등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는 층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산 또는 알칼리 등에 의해 표면의 거칠기의 상태가 변화되고, 습윤성이 변화하는 층일 수도 있고, 또 자외선이나 가시광, 또는 열 등의 에너지의 조사에 의해 습윤성 가변층 내의 물질이 변화하여 습윤성이 변화하는 층일 수도 있다.The wettability
또 습윤성의 변화에 관해서는 자극이 가해지기 전에 액체와의 접촉각이 크고, 자극이 가해진 후에 액체와의 접촉각이 작아지도록 변화되는 습윤성 가변층일 수도 있고, 역으로 자극이 가해지기 전이 액체와의 접촉각이 작고, 자극이 가해진 후에 액체와의 접촉각이 크게 변화하는 습윤성 가변층일 수도 있다.As for the change in wettability,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may be changed so that the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is large before the stimulus is applied and the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is reduced after the stimulus is applied. It may be a small, wettable variable layer in which the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changes significantly after the stimulus is applied.
(광촉매 함유층)(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습윤성 가변층이 에너지의 조사에 의해 액체와의 접촉각이 저하하도록 습윤성이 변화하는 광촉매 함유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노광(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이 조사된 것 뿐 아니라, 에너지가 조사된 것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에 의해 액체와의 접촉각이 저하하도록 습윤성이 변화하는 광촉매 함유층을 배설함으로써, 에너지의 패턴 조사 등을 행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습윤성을 변화시키고, 액체와의 접촉각이 작은 친잉크성 영역으로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화소부가 형성되는 부분만 용이하게 친잉크성 영역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컬러필터가 제조될 수 있고, 코스트면에서 유리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 경우의 에너지로서는 통상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이 사용된다.In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is wettability variable layer is a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in which wettability changes so that the contact angle with a liquid may fall by irradiation of energy. Thus, by irradiating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whose wettability is changed so that the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is reduced by exposure (not only light is irradiated but also energy is irradi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pattern irradiation of energy, etc. The wettability can be easily changed by forming a lip ink region having a small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and for example, only the portion where the pixel portion is formed can be easily set as the lip ink region. This is because the color filter can be manufactured efficiently,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s energy in this case, light containing ultraviolet rays is usually used.
여기서, 친잉크성 영역이라 함은 액체와의 접촉각이 작은 영역으로, 잉크젯용 잉크나 차광부용 도료 등에 해한 습윤성이 양호한 영역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 잉크반발성 영역이라 함은 액체와의 접촉각이 큰 영역으로, 잉크젯용 잉크나 차광부용 도료에 대한 습윤성이 나쁜 영역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Here, the inking region refers to a region where the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is small, and the wettability of the inkjet ink, the light shielding portion paint, and the like is good. The ink repellent region is a region having a large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and refers to a region having poor wettability with respect to inkjet ink and light shielding portion paint.
상기 광촉매 함유층은 노광되지 않는 부분에 있어서는 표면장력 40mN/m인 액체와의 접촉각이 10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표면장력 30mN/m인 액체와의 접촉각이 10도 이상, 특히 표면장력 20mN/m인 액체와의 접촉각이 1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노광되지 않는 부분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잉크반발성이 요구되는 부분이므로, 액체와의 접촉각이 작은 경우는, 잉크반발성이 충분하지 않고, 잉크나 차광부용 도료가 잔존할 가능성이 생기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has a contact angle with a liquid having a surface tension of 40 mN / m of 10 degrees or more, and preferably a contact angle with a liquid having a surface tension of 30 mN / m of 10 degrees or more, in particular a surface tension of 20 mN / m in an unexposed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angle with a liquid is 10 degrees or more. This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portion that is not exposed is a portion where ink repellency is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the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is small, the ink repellency is not sufficient,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nk or light-shielding portion paint may remain. Because it does not.
상기 광촉매 함유층은 노광되면 액체와의 접촉각이 저하되고, 표면장력이 40mN/m인 액체와의 접촉각이 10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표면장력 50mN/m인 액체와의 접촉각이 10도 이하, 특히 표면장력 60mN/m인 액체와의 접촉각이 10도 이하로 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노광된 부분의 액체와의 접촉각이 높으면 이 부분에서의 잉크나 차광부용 도료의 확산이 나쁠 가능성이 있고, 화소부에서의 탈색 등이 생길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Whe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exposed, the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is lowered, and the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having the surface tension of 40 mN / m is less than 10 degrees, preferably the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having the surface tension of 50 mN / m is 10 degrees or less, in particular, the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layer whose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of 60 mN / m of tension becomes 10 degrees or less. This is because if the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in the exposed portion is high, diffusion of ink or light-shielding portion paint in this portion may be poor, and discoloration in the pixel portion may occur.
또한, 여기서 말하는 액체와의 접촉각은 여러 가지 표면장력을 가지는 액체와의 접촉각을 접촉각 측정기(協和界面科學(株) 제품 CA-Z형)를 사용하여 측정(마이크로 시린지로 액적을 적하하여 30초 후)하고, 그 결과로부터 또는 그 결과를 그래프로 하여 얻은 것이다. 이 측정시에 여러 가지의 표면장력을 가지는 액체로서는 쥰세이가가쿠(株)(純正化學株式會社) 제품인 습윤성 지수 표준액을 사용하였다.In addition, the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here is measured by using a contact angle measuring device (type CA-Z, a product manufactured by Kawasaki Chemical Co., Ltd.) having various surface tensions (after 30 seconds by dropping the droplets with a micro syringe). From the result or by graphing the result. As the liquid having various surface tensions in this measurement, a wettability index standard liquid manufactured by Seiga Gaku Co., Ltd. was used.
본 발명의 광촉매 함유층은 적어도 광촉매와 바인더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층으로 함으로써 광 조사에 의해 광촉매의 작용으로 임계 표면장력을 높일 수 있게 되고, 액체와의 접촉각을 낮게 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of this invention consists of at least a photocatalyst and a binder. By setting it as such a layer, the critical surface tension can be raised by the action of a photocatalyst by light irradiation, and the contact angle with a liquid can be made low.
이와 같은 광촉매 함유층에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은 산화티탄으로 대표되는 광촉매의 작용기구는 반드시 명확한 것은 아니지만 광의 조사에 의해 생성된 캐리어가 근방의 화합물과의 직접반응 또는 산소와 물의 존재하에서 생긴 활성산소류에 따라 유기물의 화학구조로 변화를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In such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the mechanism of action of the photocatalyst represented by titanium oxide as described below is not necessarily clear, but active oxygens generated by the carrier generated by irradiation of light in the direct reaction with a compound nearby or in the presence of oxygen and water It is thought to change according to the chemical structure of organic matter.
이와 같은 광촉매의 작용을 이용하여 유성(油性) 오염을 광 조사에 의해 분해하여 친수성으로 만들고 물에 의해 세정가능한 것으로 만들거나, 유리 등의 표면에 친수성막을 형성하여 김서림방지 특성을 부여하거나, 또는 타일 등의 표면에 광촉매의 함유층을 형성하여 공기중의 부유균의 수를 감소시키는 이른바 항균타일 등이 제안되고 있다.By using the action of such a photocatalyst, oily contamination is decomposed by light irradiation to make it hydrophilic and washable with water, or a hydrophilic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glass or the like to impart anti-fogging properties, or tiles So-called antimicrobial tiles and the like have been proposed which form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back to reduce the number of suspended bacteria in the air.
본 발명에 있어서 습윤성 가변층으로서 광촉매 함유층을 사용한 경우, 광촉매에 의해 바인더의 일부인 유기 작용기나 첨가제의 산화, 분해 등의 작용을 이용 하여 노광부의 습윤성을 변화시켜 친잉크성으로 만들어서 비노광부와의 습윤성에 큰 차이가 생기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차광부용 도료나 잉크젯 방식의 잉크와의 수용성(친잉크성) 및 반발성(잉크반발성)을 높임으로써 품질이 양호할 뿐 아니라 코스트면에서도 유리한 컬러필터를 얻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used as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the wettability of the exposed part is changed to make it ink-friendly by the action of oxidation or decomposition of organic functional groups or additives which are part of the binder by the photocatalyst, and the wettability with the non-exposed part. It can make a big difference. Therefore, by improving the water solubility (ink-resistance) and the repellency (ink repellency) with the light-shielding portion paint or the inkjet ink, it is possible to obtain a color filter that is not only satisfactory in quality but also in cost.
본 발명에 있어서 이와 같은 광촉매 함유층을 사용한 경우, 이 광촉매 함유층이 적어도 광촉매와 불소를 함유하고, 또한 이 광촉매 함유층 표면의 불소 함유량이 광촉매 함유층에 대해 에너지를 조사하였을 때 상기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에너지조사 전과 비교하여 저하하도록 상기 광촉매 함유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such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used,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contains at least a photocatalyst and fluorine, and when the fluorine content on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rradiates energy to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energy is irradiat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may be formed so as to decrease as compared with the former.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컬러필터에 있어서는 에너지를 패턴 조사함으로써 용이하게 불소 함유량이 적은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불소는 매우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는 것으로, 이 때문에 불소를 많이 함유하는 물질의 표면은 임계표면장력이 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불소 함유량이 많은 부분의 표면의 임계표면장력에 비교하여 불소 함유량이 적은 부분의 임계표면장력은 커진다. 이것은 즉, 불소 함유량이 적은 부분은 불소 함유량이 많은 부분에 비하여 친잉크성영역으로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위의 표면에 비하여 불소 함유량이 적은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잉크반발성 영역내에 친잉크성 영역의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된다.In the color filter which has such a characteristic, the pattern which consists of a part with little fluorine content can be formed easily by pattern irradiation of energy. Here, fluorine has a very low surface energy, which means that the surface of the fluorine-containing material has a smaller critical surface tension.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ritical surface tension of the surface of the part with a high fluorine content, the critical surface tension of the part with a low fluorine content becomes large. This means that the portion having a small amount of fluorine is a lipophilic region as compared with the portion having a large amount of fluorine. Therefore, forming the pattern which consists of the part with less fluorine content compared with the surrounding surface forms the pattern of an ink repellent area | region in an ink repellent area | region.
따라서 이와 같은 광촉매 함유층을 사용한 경우는 에너지를 패턴 조사함으로써 잉크반발성 영역내에 친잉크성 영역의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 친잉크성 영역에만 화소부 등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해지고, 품질이 양호 한 컬러필터로 만들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where such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used, the pattern of the ink-repellent region can be easily formed in the ink-repellent region by irradiating the pattern with energy,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form a pixel portion or the like only in the ink-repellent region. The color filter can be made with good quality.
전술한 바와 같은 불소를 함유하는 광촉매 함유층 중에 포함되는 불소의 함유량은 에너지가 조사되어 형성된 불소 함유량이 낮은 친잉크성 영역에서의 불소 함유량은 에너지 조사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불소 함유량을 100으로 하였을 경우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fluorine contained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containing fluorine as described above is fluorine content in the low fluorine ink region formed by the irradiation of energy when the fluorine content of the non-energy irradiated portion is 100. Hereinaft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ive or less, Especially preferably, it is one or less.
이와 같은 범위내로 함으로써, 에너지 조사부분과 미조사부분의 친잉크성에 큰 차이를 생기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광촉매 함유층에 화소부 등을 형성함으로써, 불소 함유량이 저하된 친잉크성 영역에만 정확히 화소부 등을 형성할 수 있게 되고, 높은 정밀도로 컬러필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저하율은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By setting it as such a range, a big difference can be made in the ink ink of the energy irradiation part and the unirradiated part. Therefore, by forming the pixel portion or the like on such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t is possible to form the pixel portion or the like precisely only in the lipophilic region in which the fluorine content is reduced, and a color filter can be obtained with high precision. In addition, a fall rate is based on weight.
이와 같은 광촉매 함유층 중의 불소 함유량의 측정은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X선 광전자분광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ESCA(Electron Spectroscopy for Chemical Analysis)라 칭하기도 함), 형광 X선 분석법, 질량분석법 등의 정량적으로 표면의 불소량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measurement of the fluorine content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can be carried out by various methods that are generally performed. For example,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lso referred to as ESCA (Electron Spectroscopy for Chemical Analysis)), It will not specifically limit, if it is a method which can measure the amount of fluorine on a surface quantitatively, such as a fluorescent X-ray spectroscopy and a mass spectrometry.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광촉매로서는, 광반도체로서 알려진 예를 들면 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 산화주석(SnO2), 티탄산 스트론튬(SrTiO3), 산화텅스텐(WO3), 산화비스무트(Bi2O3), 및 산화철(Fe2O3)을 들 수 있고, 이들중에서 선택하여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photocatalys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itanium oxide (TiO 2 ), zinc oxide (ZnO), tin oxide (SnO 2 ), strontium titanate (SrTiO 3 ), tungsten oxide (WO 3 ), and oxidation known as optical semiconductors. And bismuth (Bi 2 O 3 ) and iron oxide (Fe 2 O 3 ). One or two or more thereof may be selected from these.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산화티탄이 밴드갭 에너지가 높고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독성도 없고 입수도 용이하므로 적합하게 사용된다. 산화티탄에는 아나타제(anatase)형과 루타일(rutile)형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들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나 아나타제형 산화티탄이 바람직하다. 아나타제형 산화티탄은 여기파장(勵起波長)이 380nm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itanium oxide is particularly suitably used because of its high bandgap energy, chemical stability, no toxicity and easy availability. There are anatase type and rutile type in titanium oxide, but any of them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anatase type titanium oxide is preferable. The anatase titanium oxide has an excitation wavelength of 380 nm.
이와 같은 아나타제형 산화티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해교형(解膠型) 아나타제형 티타니아졸(石原産業(株) 제품 STS-20(평균입자경 7nm), 石原産業(株) 제품 TA-15(평균입자경 12nm))등을 열거할 수 있다.As such anatase type titanium oxide, for example, hydrochloric acid-linked anatase type titania sol (STS-20 (
광촉매의 입경은 작을수록 촉매반응이 효과적으로 일어나므로 바람직하고, 평균입자경이 50nm 이하가 바람직하고, 20nm 이하의 광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광촉매의 입경이 작을수록 형성된 광촉매 함유층의 표면 거칠기가 작아지므로 바람직하고, 광촉매의 입경이 100nm를 초과하면 광촉매 함유층의 중심선 평균 표면 거칠기가 커져서 광촉매 함유층의 비노광부의 잉크반발성이 저하하고, 또한 노광부의 친잉크성의 발현이 불충분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The smaller the particle size of the photocatalyst, the more effectively the catalytic reaction occur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preferably 50 nm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 photocatalyst of 20 nm or less. The smaller the particle size of the photocatalyst is, the smaller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formed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and the lower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Moreover, since the expression of the ink ink of an exposure part becomes insufficient, it is unpreferable.
본 발명의 컬러필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광촉매 함유층 표면에 불소를 함유시키고, 이 광촉매 함유층 표면에 에너지를 패턴 조사함으로써 광촉매 함유층 표면의 불소 함유량을 저하시키고, 이로써 잉크반발성 영역 중에 친잉크성 영역의 패턴을 형성하고, 여기에 화소부 등을 형성하여 얻어지는 컬러필터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광촉매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이산화티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와 같이 이산화티탄을 사용한 경우의 광촉매 함유층 중에 포함되는 불소의 함유량으로는 X선 광전자분광법으로 분석하여 정량화하면, 티타늄(Ti)원소를 100으로 하였을 경우에 불소(F)원소가 50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0 이상이 되는 비율로 불소(F)원소가 광촉매 함유층 표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olor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fluorine on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pattern-irradiates energy on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to lower the fluorine content on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thereby reducing the fluorine content in the ink repellent region. The color filter obtained by forming a pattern and forming a pixel part etc. here may be sufficient. Also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above-mentioned titanium dioxide as a photocatalyst. However, if the content of fluorine contained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n the case of using titanium dioxide is analyzed and quantified b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titanium (Ti) In the case where the element is 100, the fluorine (F) element is preferably contain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t a ratio such that the fluorine (F) element is 500 or more, preferably 800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200 or more.
불소(F)가 광촉매 함유층에 이 정도 포함됨으로써, 광촉매 함유층 상에서의 임계표면장력을 충분히 낮출 수 있게 되므로 표면에서의 잉크반발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로써 에너지를 패턴 조사하여 불소 함유량을 감소시킨 패턴부분에서의 표면의 친잉크성 영역과의 습윤성의 차이를 크게 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컬러필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Since fluorine (F) is included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to this extent, the critical surface tension o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can be sufficiently lowered, thereby securing ink repellency on the surface, thereby patterning energy to reduce the fluorine content by pattern irradiation. It is because the difference in wettability with the lip ink area | region of the surface in a part can be enlarged, and the quality of the color filter finally obtained can be improved.
또한, 이와 같은 컬러필터에 있어서는 에너지를 패턴 조사하여 형성되는 친잉크성 영역에서의 불소 함유량이 티타늄(Ti)원소를 100으로 하였을 경우에 불소(F)원소가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이하로 되는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such a color filter, when the fluorine content in the ink-friendly region formed by pattern irradiation of energy is titanium (Ti) element 100, the fluorine (F) element is 50 or less, preferably 20 or less, Especially preferably, it is contained in the ratio which becomes 10 or less.
광촉매 함유층 중의 불소 함유율을 이 정도 저감할 수 있으면 화소부 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친잉크성을 얻을 수 있고, 상기 에너지가 조사되지 않은 부분의 잉크반발성과의 습윤성의 차이에 의해 화소부 등을 높은 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게 되어 품질이 양호한 컬러필터를 얻을 수 있다.If the fluorine content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can be reduced to this extent, sufficient affinity for ink can be obtained in order to form the pixel portion and the like. It becomes possible to form with precision, and the color filter of favorable quality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 있어서, 광촉매 함유층에 사용하는 바인더는 주골격이 상기 광촉매의 광여기(光勵起)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높은 결합 에너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1) 졸겔(sol-gel) 반응 등에 의해 클로로실란 또는 알콕시실란 등을 가수분해, 중축합하여 큰 강도를 발휘하는 유기 폴리실록산, (2) 발수성(撥水性)이나 발유성(撥油性)이 우수한 반응성 실리콘을 가교시킨 유기 폴리실록산 등을 열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inder used for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preferably has a high binding energy such that the main skeleton is not decomposed by the photoexcitation of the photocatalyst, for example, (1) sol-gel ) An organic polysiloxane that exhibits high strength by hydrolyzing and polycondensing chlorosilanes or alkoxysilanes by reaction or the like, (2) organic polysiloxanes which are crosslinked with reactive silicones having excellent water and oil repellency. Can be enumerated.
상기 (1)의 경우에, 일반식:In the case of (1) above, the general formula:
YnSiX(4-n) Y n SiX (4-n)
(여기서, Y는 알킬기, 플루오로알킬기, 비닐기, 아미노기, 페닐기 또는 에폭시기를 나타내고, X는 알콕실기, 아세틸기 또는 할로겐을 나타낸다. n은 0∼3인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규소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수분해 축합물 또는 공가수분해(共加水分解) 축합물인 유기 폴리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Y로 표시되는 기의 탄소수는 1∼2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X로 표시되는 알콕실기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부톡시기인 것이 바람직하다.Of the silicon compound represented by (wherein Y represents an alkyl group, a fluoroalkyl group, a vinyl group, an amino group, a phenyl group or an epoxy group, and X represents an alkoxyl group, an acetyl group or a halogen. N is an integer of 0 to 3).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n organic polysiloxane which is 1 type, or 2 or more types of hydrolysis-condensation products or co-hydrolysis condensation products. The carbon number of the group represented by Y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20, and the alkoxyl group represented by X is preferably a methoxy group, an ethoxy group, a propoxy group or a butoxy group.
구체적으로는, 메틸트리클로로실란, 메틸트리브로모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메틸트리-t-부톡시실란;Specifically, methyltrichlorosilane, methyltribromosilane, methyltrimethoxysilane, methyltriethoxysilane, methyltriisopropoxysilane, methyltri-t-butoxysilane;
에틸트리클로로실란, 에틸트리브로모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에틸트리-t-부톡시실란;Ethyltrichlorosilane, ethyltribromosilane, ethyltrimethoxysilane, ethyltriethoxysilane, ethyltriisopropoxysilane, ethyltri-t-butoxysilane;
n-프로필트리클로로실란, n-프로필트리브로모실란, n-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프로필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n-프로필트리-t-브톡시실란;n-propyltrichlorosilane, n-propyltribromosilane, n-propyltrimethoxysilane, n-propyltriethoxysilane, n-propyltriisopropoxysilane, n-propyltri-t-butoxysilane;
n-헥실트리클로로실란, n-헥실트리브로모실란, n-헥실트리메톡시실란, n-헥 실트리에톡시실란, n-헥실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n-헥실트리-t-부톡시실란;n-hexyl trichlorosilane, n-hexyl tribromosilane, n-hexyl trimethoxysilane, n-hexyl triethoxysilane, n-hexyl triisopropoxysilane, n-hexyl tri-t-butoxysilane ;
n-데실트리클로로실란, n-데실트리브로모실란,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n-데실트리에톡시실란, n-데실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n-데실트리-t-부톡시실란;n-decyltrichlorosilane, n-decyltribromosilane, n-decyltrimethoxysilane, n-decyltriethoxysilane, n-decyltriisopropoxysilane, n-decyltri-t-butoxysilane;
n-옥타데실트리클로로실란, n-옥타데실트리브로모실란, n-옥타데실트리메톡시실란, n-옥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n-옥타데실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n-옥타데실트리-t-부톡시실란;n-octadecyltrichlorosilane, n-octadecyltribromosilane, n-octadecyltrimethoxysilane, n-octadecyltriethoxysilane, n-octadecyltriisopropoxysilane, n-octadecyltri- t-butoxysilane;
페닐트클로로실란, 페닐트리브로모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페닐트리-t-부톡시실란;Phenyltrichlorosilane, phenyltribromosilane, phenyltrimethoxysilane, phenyltriethoxysilane, phenyltriisopropoxysilane, phenyltri-t-butoxysilane;
테트라클로로실란, 테트라브로모실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부톡시실란, 디메톡시디에톡시실란;Tetrachlorosilane, tetrabromosilane, tetramethoxysilane, tetraethoxysilane, tetrabutoxysilane, dimethoxydiethoxysilane;
디메틸디클로로실란, 디메틸디브로모실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Dimethyldichlorosilane, dimethyldibromosilane, dimethyldimethoxysilane, dimethyldiethoxysilane;
디페닐디클로로실란, 디페닐디브로모실란, 디페닐디메톡시실란, 디페닐디에톡시실란;Diphenyldichlorosilane, diphenyldibromosilane, diphenyldimethoxysilane, diphenyldiethoxysilane;
페닐메틸디클로로실란, 페닐메틸디브로모실란, 페닐메틸디메톡시실란, 페닐메틸디에톡시실란;Phenylmethyldichlorosilane, phenylmethyldibromosilane, phenylmethyldimethoxysilane, phenylmethyldiethoxysilane;
트리클로로하이드로실란, 트리브로모하이드로실란, 트리메톡시하이드로실란, 트리에톡시하이드로실란, 트리이소프로폭시하이드로실란, 트리-t-부톡시하이드로실란;Trichlorohydrosilane, tribromohydrosilane, trimethoxyhydrosilane, triethoxyhydrosilane, triisopropoxyhydrosilane, tri-t-butoxyhydrosilane;
비닐트리클로로실란, 비닐트리브로모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 톡시실란, 비닐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비닐트리-t-부톡시실란;Vinyl trichlorosilane, vinyl tribromosilane, vinyl trimethoxysilane, vinyl triethoxysilane, vinyl triisopropoxy silane, vinyl tri-t-butoxy silane;
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클로로실란, 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클로로실란, 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t-부톡시실란;Trifluoropropyltrichlorosilane, trifluoropropyltrichlorosilane, trifluoropropyltrimethoxysilane, trifluoropropyltriethoxysilane, trifluoropropyltriisopropoxysilane, trifluoropropyltri- t-butoxysilane;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t-부톡시실란;γ-glycid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γ-glycid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γ-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γ-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γ-glycidoxypropyl Triisopropoxysilane, γ-glycidoxypropyltri-t-butoxysilane;
γ-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γ-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t-부톡시실란;γ-methacryl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γ-methacryl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γ-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γ-methacryloxypropyltriethoxysilane, γ-methacryloxypropyl Triisopropoxysilane, γ-methacryloxypropyltri-t-butoxysilane;
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t-부톡시실란;γ-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γ-aminopropylmethyldiethoxysilane, γ-aminopropyltrimethoxysilane, γ-aminopropyltriethoxysilane, γ-aminopropyltriisopropoxysilane, γ-aminopropyl Tri-t-butoxysilane;
γ-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t-부톡시실란;γ-mercaptopropylmethyldimethoxysilane, γ-mercaptopropylmethyldiethoxysilane, γ-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γ-mercaptopropyltriethoxysilane, γ-mercaptopropyltriisopropoxysilane , γ-mercaptopropyltri-t-butoxysilane;
β-(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β-(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및β- (3,4-epoxycyclohexyl) ethyltrimethoxysilane, β- (3,4-epoxycyclohexyl) ethyltriethoxysilane; And
이것들의 부분 가수분해물; 및Partial hydrolyzate thereof; And
이것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Mixtures of these can be used.
또, 바인더로서, 특히 플루오로알킬기를 함유하는 폴리실록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하기 플루오로알킬실란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수분해 축합물, 공가수분해 축합물이 포함되고, 일반적으로 불소계 실란 커플링제로서 알려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Moreover, as a binder, polysiloxane especially containing a fluoroalkyl group can be used preferably, Specifically, 1 type (s) or 2 or more types of hydrolysis condensates, cohydrolysis condensates of the following fluoroalkylsilanes are included, In addition, what is known as a fluorine-type silane coupling agent can be used.
CF3(CF2)3CH2CH2Si(OCH3)3;CF 3 (CF 2 ) 3 CH 2 CH 2 Si (OCH 3 ) 3 ;
CF3(CF2)5CH2CH2Si(OCH3)3;CF 3 (CF 2 ) 5 CH 2 CH 2 Si (OCH 3 ) 3 ;
CF3(CF2)7CH2CH2Si(OCH3)3;CF 3 (CF 2 ) 7 CH 2 CH 2 Si (OCH 3 ) 3 ;
CF3(CF3)9CH2CH2Si(OCH3)3;CF 3 (CF 3 ) 9 CH 2 CH 2 Si (OCH 3 ) 3 ;
(CF3)2CF(CF2)4CH2CH2Si(OCH3) 3;(CF 3 ) 2 CF (CF 2 ) 4 CH 2 CH 2 Si (OCH 3 ) 3 ;
(CF3)2CF(CF2)6CH2CH2Si(OCH3) 3;(CF 3 ) 2 CF (CF 2 ) 6 CH 2 CH 2 Si (OCH 3 ) 3 ;
(CF3)2CF(CF2)8CH2CH2Si(OCH3) 3;(CF 3 ) 2 CF (CF 2 ) 8 CH 2 CH 2 Si (OCH 3 ) 3 ;
CF3(C6H4)C2H4Si(OCH3)3;CF 3 (C 6 H 4 ) C 2 H 4 Si (OCH 3 ) 3 ;
CF3(CF2)3(C6H4)C2H4Si(OCH 3)3;CF 3 (CF 2 ) 3 (C 6 H 4 ) C 2 H 4 Si (OCH 3 ) 3 ;
CF3(CF2)5(C6H4)C2H4Si(OCH 3)3;CF 3 (CF 2 ) 5 (C 6 H 4 ) C 2 H 4 Si (OCH 3 ) 3 ;
CF3(CF2)7(C6H4)C2H4Si(OCH 3)3;CF 3 (CF 2 ) 7 (C 6 H 4 ) C 2 H 4 Si (OCH 3 ) 3 ;
CF3(CF2)3CH2CH2SiCH3(OCH3) 2;CF 3 (CF 2 ) 3 CH 2 CH 2 SiCH 3 (OCH 3 ) 2 ;
CF3(CF2)5CH2CH2SiCH3(OCH3) 2;CF 3 (CF 2 ) 5 CH 2 CH 2 SiCH 3 (OCH 3 ) 2 ;
CF3(CF2)7CH2CH2SiCH3(OCH3) 2;CF 3 (CF 2 ) 7 CH 2 CH 2 SiCH 3 (OCH 3 ) 2 ;
CF3(CF2)9CH2CH2SiCH3(OCH3) 2;CF 3 (CF 2 ) 9 CH 2 CH 2 SiCH 3 (OCH 3 ) 2 ;
(CF3)2CF(CF2)4CH2CH2SiCH3(OCH 3)2;(CF 3 ) 2 CF (CF 2 ) 4 CH 2 CH 2 SiCH 3 (OCH 3 ) 2 ;
(CF3)2CF(CF2)6CH2CH2SiCH3(OCH 3)2;(CF 3 ) 2 CF (CF 2 ) 6 CH 2 CH 2 SiCH 3 (OCH 3 ) 2 ;
(CF3)2CF(CF2)8CH2CH2SiCH3(OCH 3)2;(CF 3 ) 2 CF (CF 2 ) 8 CH 2 CH 2 SiCH 3 (OCH 3 ) 2 ;
CF3(C6H4)C2H4SiCH3(OCH3) 2;CF 3 (C 6 H 4 ) C 2 H 4 SiCH 3 (OCH 3 ) 2 ;
CF3(CF2)3(C6H4)C2H4SiCH 3(OCH3)2;CF 3 (CF 2 ) 3 (C 6 H 4 ) C 2 H 4 SiCH 3 (OCH 3 ) 2 ;
CF3(CF2)5(C6H4)C2H4SiCH 3(OCH3)2;CF 3 (CF 2 ) 5 (C 6 H 4 ) C 2 H 4 SiCH 3 (OCH 3 ) 2 ;
CF3(CF2)7(C6H4)C2H4SiCH 3(OCH3)2;CF 3 (CF 2 ) 7 (C 6 H 4 ) C 2 H 4 SiCH 3 (OCH 3 ) 2 ;
CF3(CF2)3CH2CH2Si(OCH2CH3) 3;CF 3 (CF 2 ) 3 CH 2 CH 2 Si (OCH 2 CH 3 ) 3 ;
CF3(CF2)5CH2CH2Si(OCH2CH3) 3;CF 3 (CF 2 ) 5 CH 2 CH 2 Si (OCH 2 CH 3 ) 3 ;
CF3(CF2)7CH2CH2Si(OCH2CH3) 3;CF 3 (CF 2 ) 7 CH 2 CH 2 Si (OCH 2 CH 3 ) 3 ;
CF3(CF2)9CH2CH2Si(OCH2CH3) 3;CF 3 (CF 2 ) 9 CH 2 CH 2 Si (OCH 2 CH 3 ) 3 ;
CF3(CF2)7SO2N(C2H5)C2H 4CH2Si(OCH3)3 CF 3 (CF 2 ) 7 SO 2 N (C 2 H 5 ) C 2 H 4 CH 2 Si (OCH 3 ) 3
상기와 같은 플로오로알킬기를 함유하는 폴리실록산을 바인더로 사용함으로써, 광촉매 함유층의 비노광부의 잉크반발성이 크게 향상되고, 차광부용 도료나 잉크젯 방식용 잉크의 부착을 막는 기능을 발현한다.By using the above-mentioned polysiloxane containing a fluoroalkyl group as a binder, the ink repellency of the non-exposed part of a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improves significantly, and the function which prevents adhesion of the light-shielding part coating material and inkjet type ink is expressed.
또, 상기 (2)의 반응성 실리콘으로는 하기 일반식으로 표현되는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을 열거할 수 있다.Moreover, as reactive silicone of said (2), the compound which has a skeleton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can be mentioned.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R1, R2는 각각 탄소수 1∼10인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 알켄일, 알릴 또는 아미노알킬기로서, 몰 비로 전체의 40% 이하가 비닐, 페닐, 할로겐화 페닐이다. R1, R2가 메틸기인 것이 표면 에너지가 가장 작아지므로 바람직하고, 몰 비로 메틸기가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체인 말단 또는 측쇄에는 분자 체인 중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산기 등의 반응성기를 가진다.Wherein n is an integer of 2 or more, and R 1 and R 2 each represent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alkenyl, allyl or amino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nd 40% or less of the total in molar ratio is vinyl, phenyl or halogenated phenyl. to be. It is preferable that R 1 and R 2 be a methyl group because the surface energy is the smallest, and the molar ratio is preferably 60% or more. Moreover, at the chain terminal or side chain, it has reactive groups, such as at least 1 or more hydroxyl group, in a molecular chain.
상기 유기 폴리실록산과 함께 디메틸폴리실록산과 같은 가교반응을 하지 않는 안정된 유기 실리콘화합물을 바인더에 혼합할 수도 있다.A stable organosilicon compound that does not undergo crosslinking reaction such as dimethylpolysiloxane may be mixed with the organic polysiloxane in the binder.
본 발명의 컬러필터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유기 폴리실록산 등의 여러 가지 바인더를 광촉매 함유층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바인더 및 광촉매를 포함하는 광촉매 함유층에 불소를 포함시키고, 에너 지를 패턴 조사함으로써 광촉매 함유층 표면의 불소를 저감시키고, 이에 따라 잉크반발성 영역내에 친잉크성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광촉매 함유층 중에 불소를 함유시키는 방법으로는 통상 높은 결합에너지를 가지는 바인더에 대해, 불소화합물을 비교적 약한 결합에너지로 결합시키는 방법, 비교적 약한 결합에너지로 결합된 불소화합물을 광촉매 함유층에 혼입시키는 방법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불소를 도입함으로써 에너지가 조사된 경우에 우선 결합에너지가 비교적 작은 불소결합부위가 분해되고, 이에 따라 불소를 광촉매 함유층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color filter of this invention, various binders, such as an organic polysiloxane, can be used for a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in this wa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luorine is included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ncluding the binder and the photocatalyst, and the pattern is irradiated with energy to reduce the fluorine on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t may be formed. In this case, a method of incorporating fluorine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a method of bonding a fluorine compound with a relatively weak binding energy to a binder having a high binding energy, and a method of incorporating a fluorine compound bonded with a relatively weak binding energy into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Etc. are included. This is because, when energy is irradiated by introducing fluorine in such a manner, first, a fluorine binding site having a relatively small binding energy is decomposed, and fluorine can be removed from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상기 제1의 방법, 즉 높은 결합에너지를 가지는 바인더에 대해 불소화합물을 비교적 약한 결합에너지로 결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유기 폴리실록산에 플루오로알킬기를 치환기로서 도입하는 방법 등을 열거할 수 있다.As said 1st method, ie, the method of combining a fluorine compound with a comparatively weak binding energy with respect to the binder which has a high binding energy, the method of introduce | transducing a fluoroalkyl group into the said organic polysiloxane as a substituent, etc. are mentioned.
예를 들면, 유기 폴리실록산을 얻는 방법으로서 상기 (1)로서 기재된 바와 같이, 졸겔반응 등에 의해 클로로 또는 알콕시실란 등을 가수분해, 중축합하여 큰 강도를 발휘하는 유기 폴리실록산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이 방법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반식For example, as a method for obtaining an organic polysiloxane, as described in the above (1), an organic polysiloxane that exhibits great strength can be obtained by hydrolyzing and polycondensing chloro or alkoxysilane or the like by a sol-gel reaction or the like. In this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general formula
YnSiX(4-n) Y n SiX (4-n)
(여기서 Y는 알킬기, 플루오로알킬기, 비닐기, 아미노기, 페닐기 또는 에폭시기를 나타내고, X는 알콕실기, 아세틸기 또는 할로겐을 나타내고, n은 0∼3인 정수임)(Where Y represents an alkyl group, a fluoroalkyl group, a vinyl group, an amino group, a phenyl group or an epoxy group, X represents an alkoxyl group, an acetyl group or a halogen, n is an integer of 0 to 3)
로 표시되는 규소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가수분해 축합물 또는 공가수분해 축합함으로써 유기 폴리실록산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일반식에 있어서, 치환기 Y로서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규소화합물을 사용하여 합성함으로써 플루오로알킬기를 치환기로 가지는 유기 폴리실록산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루오로알킬기를 치환기로서 가지는 유기 폴리실록산을 바인더로서 사용한 경우는 에너지가 조사되었을 때 광촉매 함유층 중의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플루오로알킬기의 탄소결합의 부분이 분해되기 때문에 광촉매 함유층 표면에 에너지가 조사된 부분의 불소함유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An organic polysiloxane can be obtained by hydrolyzing condensation product or cohydrolytic condensation of one or two or more kinds of the silicon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rmula, and in the above general formula, synthesized using a silicon compound having a fluoroalkyl group as substituent Y By this, an organic polysiloxane having a fluoroalkyl group as a substituent can be obtained. In the case where an organic polysiloxane having such a fluoroalkyl group as a substituent is used as the binder, when the energy is irradiated, the energy is irradiat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because the portion of the carbon bond of the fluoroalkyl group is decomposed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The fluorine content of the part can be reduced.
이 때 사용되는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규소화합물로서는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1개의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고 이 플루오로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6 내지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6인 규소화합물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규소화합물의 구체적 예는 전술한 바와 같으나, 그 중에도 탄소수가 6 내지 8인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상기 규소화합물, 즉 플루오로알킬실란이 바람직하다.The silicon compound having a fluoroalkyl group used at this tim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fluoroalkyl group, and has at least one fluoroalkyl group, and the carbon number of the fluoroalkyl group is 4 to 30, preferably 6 to 20, particularly Preferably a silicon compound of 6 to 16 is suitably used. Although the specific example of such a silicon compound is as above-mentioned, The said silicon compound which has a fluoroalkyl group of 6-8 carbon atoms, ie, a fluoroalkylsilane, is especially preferable.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규소화합물을 전술한 플루오로알킬기를 갖지 않은 규소화합물과 혼합하여 사용하고, 이것들의 공가수분해 축합물을 상기 유기 폴리실록산으로서 사용해도 되고, 이와 같은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규소화합물을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하고, 이것들의 가수분해 축합물, 공가수분해 축합물을 상기 유기 폴리실록산으로서 사용해도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ilicon compound having such a fluoroalkyl group may be mixed with a silicon compound having no fluoroalkyl group as described above, and these cohydrolytic condensates may be used as the organic polysiloxane. You may use 1 type (s) or 2 or more types of silicon compounds which have an alkyl group, and these hydrolysis condensates and cohydrolysis condensates may be used as said organic polysiloxane.
이렇게 해서 얻어지는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유기 폴리실록산으로는 이 유기 폴리실록산을 구성하는 규소화합물 가운데 상기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는 규소화합물이 0.01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organic polysiloxane having the fluoroalkyl group thus obtai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ilicon compound having the fluoroalkyl group is contained 0.01 mol% or more, preferably 0.1 mol% or more among the silicon compounds constituting the organic polysiloxane.
플루오로알킬기가 이 정도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광촉매 함유층 상의 잉크반발성을 높일 수 있고, 에너지를 조사하여 친잉크성 영역으로 한 부분과의 습윤성의 차이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ink repellency o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can be enhanced by the inclusion of such a fluoroalkyl group, and the difference in wettability with the portion made into the lip ink region can be increased.
상기 (2)에 나타낸 방법으로는 발수성이나 발유성이 우수한 반응성 실리콘을 가교함으로써 유기 폴리실록산을 얻는 것이며,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전술한 일반식 중의 R1, R2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가지 모두를 플루오로알킬기 등의 불소 함유 치환기로 함으로써 광촉매 함유층 중에 불소를 함유시킬 수 있으며, 또 에너지가 조사되었을 경우에 실록산결합보다 결합에너지가 작은 플루오로알킬기의 부분이 분해되므로 에너지 조사에 의해 광촉매 함유층 표면에서의 불소 함유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In the method shown in the above (2), an organic polysiloxane is obtained by crosslinking reactive silicones having excellent water and oil repellency, and in this case, any one or both of R 1 and R 2 in the aforementioned general formula is fluoro. By using fluorine-containing substituents such as alkyl groups, fluorine may be contained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when energy is irradiated, a portion of the fluoroalkyl group having a smaller binding energy than that of the siloxane bond is decomposed, thereby fluorine on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by energy irradiation. The content can be reduced.
한편, 후자의 예, 즉 바인더의 결합에너지보다 약한 에너지로 결합한 불소화합물을 도입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저분자량의 불소화합물을 도입시키는 경우, 예를 들면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혼입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고, 또 고분자량의 불소화합물을 도입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바인더수지와의 상용성이 높은 불소수지를 혼합하는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atter example, that is, a method of introducing a fluorine compound bonded with a weaker energy than the binding energy of the binder, for example, when a low molecular weight fluorine compound is introduced, for example, a method of incorporating a fluorine-based surfactant, etc. may be mentioned. Moreover, as a method of introducing a high molecular weight fluorine compound, the method of mixing a fluorine resin with high compatibility with binder resin, etc. is mentioned.
본 발명에 있어서 광촉매 함유층에는 상기 광촉매, 바인더 이외에 계면활성 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닛코케미칼(주) 제품인 NIKKOL BL, BC, BO, BB의 각 시리즈 등의 탄화수소계, 듀퐁사 제품인 ZONYL FSN 및 FSO, 아사히가라스(주) 제품인 Surfron S-141 및 145, 다이니폰잉크 가가쿠고교(주) 제품인 Megafack F-141 및 144, 네오스(주) 제품인 Ftagent F-200 및 F251, 다이킨고교(주) 제품인 Unidyne DS-401 및 402, 스리엠(주) 제품인 Florad FC-170 및 176 등의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고, 또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may contain a surfactant in addition to the photocatalyst and the binder. Specifically, hydrocarbons such as NIKKOL BL, BC, BO and BB series manufactured by Nikko Chemical Co., Ltd., ZONYL FSN and FSO manufactured by DuPont, Surfron S-141 and 145 manufactured by Asahi Glass, Dinipon Ink Megafack F-141 and 144 manufactured by Kagaku Kogyo Co., Ltd. Ftagent F-200 and F251 manufactured by Neos Co., Ltd. Unidyne DS-401 and 402 manufactured by Daikin Kogyo Co., Ltd. and Florad FC-170 manufactured by 3M Co., Ltd. And fluorine- or silicon-based nonionic surfactants such as 176, and cationic surfactants, anionic surfactants, and amphoteric surfactants can be used.
광촉매 함유층에는 상기 계면활성제 이외에도 폴리비닐알콜,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아크릴수지, 폴리에틸렌, 디알릴프탈레이트,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 에폭시수지, 페놀수지, 폴리우레탄, 멜라민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초산비닐, 폴리에스테르, 폴리부타디엔,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에피클로로히드린, 폴리설파이드, 폴리이소프렌 등의 올리고머, 폴리머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surfactants,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ncludes polyvinyl alcohol, unsaturated polyester, acrylic resin, polyethylene, diallyl phthalate,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epoxy resin, phenol resin, polyurethane, melamine resin, polycarbonate, polyvinyl chloride, and polyamide. , Polyimide, styrenebutadiene rubber, chloroprene rubber, polypropylene, polybutylene, polystyrene, polyvinyl acetate, polyester, polybutadiene, polybenzimidazole, polyacrylonitrile, epichlorohydrin, polysulfide, polyisoprene Oligomers, polymers, etc. can be contained.
광촉매 함유층 중의 광촉매의 함유량은 5∼6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40 중량%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 광촉매 함유층의 두께는 0.05∼10㎛의 범위 이내가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photocatalyst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may be set in the range of 5 to 60% by weight, preferably 20 to 40% by weight.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0.05 to 10 µm.
상기 광촉매 함유층은 광촉매와 바인더를 필요에 따라 다른 첨가제와 함께 용제 중에 분산하여 도포액을 조제하고, 이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사용되는 용제로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콜계 유기용제가 바람직하다. 도포는 스핀코팅(spin coating), 스프레이코팅(spary coating), 딥코팅(dip coating), 롤코팅(roll coating), 비드코팅(bead coating) 등의 공지의 도포방법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바인더로서 자외선경화형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처리를 행함으로써 광촉매 함유층을 형성할 수 있다.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may be formed by dispersing the photocatalyst and the binder in a solvent together with other additives as necessary to prepare a coating liquid, and coating the coating liquid. As the solvent used, alcohol-based organic solvents such as ethanol and isopropanol are preferable. Application can be carried out by known coating methods such as spin coating, spray coating, dip coating, roll coating, bead coating and the like. When the ultraviolet curable component is contained as the binder,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can be form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and performing curing treatment.
(화소부)(Pixel part)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습윤성 가변층(5) 중에서도 전술한 광촉매 함유층 상에 화소부(6)가 배설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광촉매 함유층에 대해 노광되고, 액체와의 접촉각이 낮은 친잉크성 영역에 잉크젯 방식에 의해 복수 색의 잉크에 의해 소정의 패턴으로 화소부가 형성된다. 통상 화소부는 적(R), 녹(G) 및 청(B)의 3색으로 형성된다. 이 화소부에서의 착색패턴, 착색면적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이와 같은 화소부를 형성하는 잉크젯 방식의 잉크로서는 크게 수성, 유성으로 분류되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어느 잉크라도 사용될 수 있으나 표면장력의 관계에서 물을 베이스로 한 수성 잉크가 바람직하다.As inkjet ink which forms such a pixel portion, it is largely classified into aqueous and oily, and although any ink can be used in this invention, water-based ink based on water tension is preferabl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성잉크는 용매로서 물 단독 또는 물과 수용성 유기용제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유성잉크에는 헤드의 막힘 등을 막기 위해 고비점 용매를 베이스로 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잉크젯 방식의 잉크에 사용되는 착색제는 공지의 안료, 염료가 널리 사용된다. 또 분산성, 정착성 향상을 위해 용매에 가용성 수지 및 불용성 수지류를 함유시킬 수 있다. 그 외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등의 계면활성 제; 방부제, 방미제(防黴劑; antifungal agent); pH 조정제; 소포제(消泡劑); 자외선흡수제; 점도조정제; 표면장력조정제 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The aqueous ink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water alone or a mixed solvent of water and a water-soluble organic solvent. On the other hand, the oil-based ink is preferably used based on a high boiling point solvent in order to prevent clogging of the head. As a coloring agent used for such an inkjet ink, well-known pigments and dyes are widely used. Moreover, soluble resin and insoluble resin can be contained in a solvent for the improvement of dispersibility and fixability. In addition, surfactant, such as a nonionic surfactant, a cationic surfactant, and an amphoteric surfactant; Preservatives and antifungal agents; pH adjusters; Antifoaming agents; UV absorbers; Viscosity modifiers; Surface tension regulators and the like may be added as necessary.
통상의 잉크젯 방식의 잉크는 적성(適性)점도가 낮으므로 바인더수지를 많이 함유할 수 없으나, 잉크 속의 착색제 입자를 수지로 싸는 방식으로 조립(造粒)시킴으로써 착색제 자체에 정착능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잉크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소위 핫멜트잉크나 UV경화성 잉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Conventional inkjet inks cannot contain a lot of binder resin because of low viscosity, but can be fixed to the colorant itself by granulating the colorant particles in the ink with a resin. . Such an ink can also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o-called hot melt inks or UV curable inks may also be used.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중에도 UV경화성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UV경화성 잉크를 사용함으로써 잉크젯 방식에 의해 착색하여 화소부를 형성한 후, UV를 조사함으로써 신속히 잉크를 경화시킬 수 있고, 곧 다음의 공정으로 보낼 수 있다. 따라서 좋은 효율로 컬러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In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UV curable ink especially. By using the UV-curable ink, the ink portion can be colored to form a pixel portion, and then, by irradiating UV, the ink can be cured quickly and can be immediately sent to the next step. Therefore, the color filter can be manufactured with good efficiency.
이와 같은 UV경화성 잉크는 프리폴리머(prepolymer), 모노머, 광개시제 및 착색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프리폴리머라 함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올리고아크릴레이트, 알키드아크릴레이트, 폴리올아크릴레이트,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등의 프리폴리머 중 어느 하나를 특별히 한정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Such UV curable inks are based on prepolymers, monomers, photoinitiators and colorants. The prepolymer may be any one of prepolymers such as polyester acrylate, polyurethane acrylate, epoxy acrylate, polyether acrylate, oligo acrylate, alkyd acrylate, polyol acrylate, silicone acrylate, etc.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Can be.
모노머로서는, 스티렌, 초산비닐 등의 비닐모노머; n-헥실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단일작용기 아크릴모노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페린산 에스테르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톨헥사아크릴레이트 등 의 다중작용기 아크릴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리폴리머 및 모노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혼합해도 된다.As a monomer, Vinyl monomers, such as styrene and vinyl acetate; monofunctional acryl monomers such as n-hexyl acrylate and phenoxyethyl acrylate; Multifunctional acryl monomers such as diethylene glycol diacrylate, 1,6-hexanediol diacrylate, hydroxy piperine acid ester neopentyl glycol di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dipentaerythrol hexaacrylate Can be used. The said prepolymer and a monomer may be used independently and may mix 2 or more types.
광중합개시제는, 이소부틸벤조인에테르, 이소프로필벤조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메틸에테르, 1-페닐-1,2-프로필디온-2-옥심,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벤질, 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벤조페논, 클로로티오키산톤, 2-클로로티오키산톤, 이소프로필티오키산톤, 2-메틸티오키산톤, 염소치환 벤조페논, 할로겐치환 알킬-아릴케톤 등에서 소망의 경화특성, 기록특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밖에 필요에 따라 지방족 아민, 방향족 아민 등의 광개시 조제; 티오키산톤 등의 광예감제(光銳感劑; photosensitizer)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Photoinitiator, isobutyl benzoin ether, isopropyl benzoin ether, benzoin ethyl ether, benzoin methyl ether, 1-phenyl-1,2-propyldione-2-oxime, 2,2-dimethoxy-2- Phenylacetophenone, benzyl, hydroxycyclohexylphenyl ketone, diethoxyacetophenone,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benzophenone, chlorothiokisanthone, 2-chlorothiokisanthone , Isopropyl thioxysanthone, 2-methylthio chixanthone, chlorine-substituted benzophenone, halogen-substituted alkyl-aryl ketone and the like can be selected and used. In addition, if necessary, photoinitiation aids such as aliphatic amines and aromatic amines; Photosensitizers, such as thioxanthone, etc. can also be added.
(차광부)(Shading part)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기판(2) 상에서 상기 화소부 형성부(4)의 경계부분에 차광부(3)가 형성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제1 실시형태에서의 차광부는 스퍼터링법, 진공증착법 등에 의해 두께가 약 1000∼2000Å인 크롬 등의 금속박막을 형성하고, 이 박막을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패터닝의 방법으로는 스퍼터링 등의 통상의 패터닝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The light shielding portion in the first embodiment is preferably formed by forming a metal thin film such as chromiu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00 to 2000 Pa by a sputtering method, a vacuum deposition method, or the like, and patterning the thin film. As a method of this patterning, normal patterning methods, such as sputtering, can be used.
상기 차광부로서는 수지 바인더 중에 카본 미립자, 금속산화물, 무기안료, 유기안료 등의 차광성 입자를 함유시킨 층일 수 있다. 사용되는 수지 바인더로는 폴리이미드수지, 아크릴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알콜, 젤라 틴, 카제인, 셀룰로스 등의 수지를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이나, 감광성 수지, 또는 O/W 에멀젼형의 수지조성물, 예를 들면 반응성실리콘을 에멀젼화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지로 만든 차광부의 두께는 0.5∼10㎛의 범위내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지제 차광부의 페터닝 방법은 포토리소그래피법, 인쇄법 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The light blocking portion may be a layer containing light blocking particles such as carbon fine particles, metal oxides, inorganic pigments, and organic pigments in the resin binder. As the resin binder used, one or two or more kinds of resins such as polyimide resin, acrylic resin, epoxy resin, polyacrylamide, polyvinyl alcohol, gelatin, casein and cellulose, or a photosensitive resin or O / A resin composition of W emulsion type, for example, emulsified reactive silicone can be used. The thickness of the light shielding part made of such a resin can be set in the range of 0.5-10 micrometers. The patterning method of such a resin light shielding part can use the method generally used, such as the photolithographic method and the printing method.
(투명기판)Transparent board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기판(2) 상에 상기 차광부(3) 및 습윤성 가변층(5), 그 중에도 전술한 광촉매 함유층이 배설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투명기판으로는 종래부터 컬러필터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석영유리, 파이렉스유리, 합성석영판, 등의 可とう성이 없는 투명한 딱딱한 재료, 또는 투명수지필름, 광학용 수지판 등의 可とう성을 가지는 투명한 플렉시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 특히 코닝사 제품인 7059유리는 열팽창율이 작은 소재로서 치수 안정성 및 고온가열처리에서의 작업성이 우수하고, 또 유리 중에 알칼리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무알칼리 유리이므로, 액티브매트릭스 방식에 의한 컬러액정 표시장치용 컬러필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기판은 통상 투명한 것을 사용하나 반사성인 기판이나 백색으로 착색된 기판도 사용할 수 있다. 또 투명기판은 필요에 따라 알칼리 용출방지용이나 가스 차단성부여, 기타 목적의 표면처리를 실시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transparent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in color filters, and for example, transparent hard materials without transparency such as quartz glass, pyrex glass, synthetic quartz plates, transparent resin films, optical resin plates, etc. The transparent flexible material which has the durability of can be used. Among them, Corning's 7059 glass is a material with a low thermal expansion and excellent in dimensional stability and high temperature heat treatment, and an alkali-free glass containing no alkali component in the glass. Therefore, the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active matrix method is used. It is suitable for color filt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parent substrate is generally used, but a transparent substrate or a substrate colored in white may be used. In addition, the transparent substrate may be one that has been subjected to alkali elution prevention, imparting gas barrier properties, or other surface treatment if necessary.
(잉크반발성 철부)(Ink repellent iron part)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광부(3) 상부를 덮는 습윤성 가변층(5) 상에 잉크반발성 철부(7)를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은 잉크반발성 철부의 조성은 잉크반발성을 가지는 수지조성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투명할 필요는 없고, 착색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블랙매트릭스(차광부)에 사용되는 재료로서, 흑색 재료를 혼입하지 않은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알콜, 젤라틴, 카제인, 셀룰로스 등의 수성수지를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조성물이나, O/W 에멀젼형의 수지조성물, 예를 들면 반응성 실리콘을 에멀젼화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취급성 및 경화가 용이한 점 등의 이유에서 광경화성 수지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 이 잉크반발성 철부는 잉크반발성이 강할수록 바람직하므로 그 표면을 실리콘화합물이나 불소함유 화합물 등의 발 잉크처리제로 처리한 것일 수도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ink repellent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의 잉크반발성 철부의 높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젯 방법에 의해 착색할 때 잉크가 혼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설되는 것이므로 어느 정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컬러필터인 경우의 전체의 평탄성을 고려하면 화소부의 두께에 가까운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분사되는 잉크의 퇴적량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통상은 0.1∼2㎛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height of the ink-repellent convex portion in the first embodiment is provided to prevent the ink from being mixed when colored by the inkjet method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y somewhat high, and the overall flatness of the color filter is preferable.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thickness is preferably close to the thickness of the pixel portion. Although it changes also depending on the deposition amount of the ink sprayed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exist in 0.1-2 micrometers normally.
(보호층)(Protective layer)
도 1 또는 도 2에 있어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소부(6) 상에 추가로 보호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보호층은 컬러필터를 평탄화하는 동시에 화소부 또는 화소부와 광촉매 함유층에 함유되는 성분의 액정층으로의 용출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or 2, in the first embodiment, a protective layer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보호층의 두께는 사용되는 재료의 광투과율, 컬러필터의 표면상태 등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0.1∼2.0㎛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보호층은 예를 들면 공지의 투명 감광성수지, 2액 경화형 투명수지 중에서 투명 보호층으로서 요구되는 광투과율 등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can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material used, the surface state of the color filter, and the like, and can be set in the range of 0.1 to 2.0 mu m, for example. A protective layer can be formed using what has a light transmittance etc. which are calculated | required as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among well-known transparent photosensitive resin and two-component hardening type transparent resin, for example.
2. 제2 실시형태에 관하여2. About 2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는 투명기판 상에 습윤성 가변층이 전면(全面)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이 습윤성 가변층 상의 소정의 부위에 화소부 및 차광부가 형성되어 있는 컬러필터이다. 이것은 습윤성 가변층이 화소부 및 차광부를 형성하기 위해 배설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술한 적어도 화소부가 습윤성 가변층 상에 배설된 컬러필터의 구체적 예의 하나이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lor filter in which a wettability variable layer is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on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 pixel portion and a light shielding portion are formed at predetermined portions on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This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is disposed to form the pixel portion and the light shielding portion, which is one specific example of the color filter in which at least the pixel portion described above is disposed on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도 3은 제2 실시형태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컬러필터(1)는 투명기판(2) 상에 배설된 습윤성 가변층(5), 이 습윤성 가변층(5) 상에 형성된 차광부(3) 및 화소부(6), 이 화소부(6) 및 차광부(3) 상에 형성된 보호층(8)으로 형성된다.3 shows an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상기 제2 실시형태의 컬러필터에 있어서는 습윤성 가변층(5) 상에 화소부(6) 및 차광부(3)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것은 후술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화소부(6)의 화소부 형성부를 먼저 에너지조사 등으로 하여 습윤성을 저하시키고, 이 부분에 화소부(6)를 형성한 후, 차광부(3)의 차광부 형성부의 습윤성 가변층(5)의 습윤성을 저하시키고, 여기에 차광부(3)를 형성하면 되고, 역 으로 먼저 차광부 형성부의 습윤성을 저하시키고, 차광부를 형성한 후, 화소부 형성부의 습윤성 가변층의 습윤성을 저하시키고, 화소부(6)를 형성해도 된다.In the color filter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어느 방법으로 제조하더라도 화소부(6)가 형성되는 경우는 습윤성 가변층의 습윤성이 저하된 상태의 친잉크성 영역으로 되어 있으므로, 잉크젯 방식으로 잉크를 부착시킨 경우, 이 화소부 형성부내에 잉크가 균일하게 퍼지고, 색 불균일이 없는 컬러필터로 만들 수 있다. 또 화소부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할 때에는 그 주위는 차광부(3)가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습윤성 가변층의 습윤성이 변화하지 않은 상태, 즉 잉크반발성 영역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을 초과하여 잉크가 혼합되지 않고, 혼색 등의 문제점이 없는 컬러필터로 만들 수 있다.In any case, when the
이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투명기판(2), 차광부(3), 습윤성 가변층(5), 화소부(6) 및 보호층(8)의 재료 등에 관해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습윤성 가변층 상에 차광부를 형성하므로, 습윤성 가변층에 미리 습윤성이 좋은 부분을 형성해 놓고, 차광부용 도료를 그 부분에 도포함으로써, 용이하게 차광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차광부는 용제 등에 상기 차광성 미립자와 수지를 용해시킨 차광부용 도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The materials of the
3. 제3 실시형태에 관하여3. Regarding 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는 투명기판 상에 상기 차광부가 배설되고, 또한 상기 투명기판 상의 화소부가 형성되는 부위인 화소부 형성부에 습윤성 가변층이 배설되고, 이 습윤성 가변층 상에 화소부가 형성된 컬러필터이다. 이것은 습윤성 가 변층이 화소부 및 차광부를 형성하기 위해 배설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술한 적어도 화소부가 습윤성 가변층 상에 배설된 컬러필터의 구체적 예의 하나이다.In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ttability variable layer is disposed in a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s dispos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 pixel portion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a pixel portion is formed on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It is a color filter. This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is disposed to form the pixel portion and the light shielding portion, which is one specific example of the color filter in which at least the pixel portion described above is disposed on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도 4는 제3 실시형태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컬러필터(1)는 투명기판(2) 상에 배설된 차광부(3), 투명기판(2) 상에 상기 차광부(3)의 사이의 영역인 화소부 형성부(4)에 패턴형으로 형성된 습윤성 가변층(5), 이 습윤성 가변층(5) 상에 형성된 화소부(6), 또한 이 화소부(6) 및 차광부(3) 상에 형성된 보호층(8)으로 형성된다.4 shows an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The
이 실시형태의 특징은 투명기판(2) 상의 화소부 형성부(4) 상에 습윤성 가변층이 형성되어 있고, 차광부(3)가 형성되는 차광부 형성부에는 습윤성 가변층(5)이 형성되지 않은 점에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화소부 형성부(4)에만 습윤성 가변층(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습윤성 가변층에 자극을 가하여 습윤성을 변화시킬 때, 그 자극을 전면에 걸쳐 습윤성 가변층 형성 후의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The characteristic of this embodiment is that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is formed on the pixel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투명기판(2) 상에 바로 차광부(3)를 형성하는 것이므로, 투명기판(2) 상은 친잉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습윤성 가변층(5)을 패턴형으로 형성한 후, 그 사이의 차광부 형성부에 차광부(3)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습윤성이 변화하기 전의 잉크반발성 영역인 습윤성 가변층에 대해 투명기판(2) 상은 친잉크성 영역으로 해 놓는 것이 차광부(3) 형성면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투명기판(2) 상의 습윤성이 표면장력 40mN/m인 액체와의 접촉각으로서 10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도 이하, 특히 바 람직하게는 1도 이하이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이와 같이 표면이 친잉크성 영역인 투명기판으로서는 친잉크성 재료로 형성한 것, 재료의 표면을 친잉크성으로 되도록 표면처리한 것, 투명기판 상에 친잉크성의 층을 형성한 것 등이 있으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As such, the transparent substrate having the surface of the ink-inkable region may be formed of an ink-philic material, the surface of the material may be surface-treated to become ink-friendly, or a layer of an ink-like layer may be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In this embodiment,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재료의 표면을 친잉크성이 되도록 표면처리한 예로서는 알곤이나 물 등을 이용한 플라즈마처리에 의한 친잉크성 표면처리가 포함되고, 투명기판 상에 배설되는 친잉크성의 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에톡시실란의 졸겔법에 의한 실리카막 등이 포함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surface treatment of the surface of the material to be incompatible with the ink include lipophilic surface treatment by plasma treatment using argon, water and the like, and tetraethoxysilane as the lipophilic layer dispos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for example. Silica film and the like by the sol-gel method may be included.
이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투명기판(2) 이외의 재료, 즉 차광부(3), 습윤성 가변층(5), 화소부(6) 및 보호층(8)의 재료 등에 관해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Materials other than the
4. 제4 실시형태에 관하여4. Regarding the four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는 투명기판 상에 차광부가 형성되고, 이 차광부 상에 습윤성 가변층이 형성되고 이 습윤성 가변층의 사이에 화소부가 형성된 컬러필터이다. 이것은 습윤성 가변층이 화소부를 형성하기 위해 배설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술한 화소부의 경계부분에 습윤성 가변층이 배설된 컬러필터의 구체적 예의 하나이다.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lor filter in which a light shielding portion is form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a wettability variable layer is formed on the light shielding portion, and a pixel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s. This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is disposed to form the pixel portion, which is one specific example of the color filter in which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is disposed at the boundary portion of the pixel portion described above.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컬러필터(1)에 있어서는 투명기판(2) 상에 차광부(3)가 형성되어 있고, 이 차광부(3) 상 에는 습윤성 가변층(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습윤성 가변층(5)의 사이의 부분에는 화소부(6)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화소부(6) 및 습윤성 가변층(5)의 상측을 덮도록 보호층(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습윤성 가변층을 패턴형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습윤성 가변층의 습윤성의 변화는 전면에 걸쳐 자극을 가하면 되므로, 예를 들면 화소부(6)의 형성 등을 할 경우 마스크 등을 이용한 에너지의 패턴 조사 등을 행할 필요가 없고, 공정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습윤성 가변층(5)이 화소부(6)의 경계부분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사용량이 매우 적다. 따라서 예를 들면 고가인 습윤성 변화층을 컬러필터 상에 다량 도포하는 것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 효과적이다.5 shows an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여기서, 이 습윤성 가변층(5)의 폭은 차광부(3)의 폭보다 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습윤성 가변층(5)의 폭이 차광부(3)의 폭보다 좁으므로, 습윤성 가변층(5)의 사이에 형성되는 화소부(6)의 폭이 차광부(3)의 개구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탈색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wettability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투명기판(2) 상에 바로 차광부(3) 및 화소부(6)가 형성되는 것이므로, 투명기판(2) 상은 친잉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화소부(6)를 습윤성 가변층(5)의 사이에 잉크젯 방식으로 부착시켜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 투명기판(2) 상의 습윤성이 친잉크성일수록 잉크가 균일하게 퍼지기 쉽고 색의 불균일 등의 문제점이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투명기판(2) 상의 습윤성이 표면장력 40mN/m인 액체와의 접촉각으로서 10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이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재료는 투명기판에 관해서는 상기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그 외의 재료에 관해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material used in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third embodiment for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for the other materials, and thus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5. 제5 실시형태에 관하여5. Regarding the fif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는 투명기판 상의 차광부가 형성되는 부위인 차광부 형성부에 습윤성 가변층이 형성되고, 이 습윤성 가변층 상에 차광부가 형성되며, 이 차광부의 사이에 화소부가 형성된 컬러필터이다. 이것은 습윤성 가변층이 화소부 및 차광부를 형성하기 위해 배설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술한 화소부의 경계부분에 습윤성 가변층이 배설된 컬러필터의 구체적 예의 하나이다.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ttability variable layer is formed on a light shielding portion forming portion, which is a portion where a light shielding portion is form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 light shielding portion is formed on the wettable variable layer, and a pixel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light shielding portions. Filter. This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is disposed to form the pixel portion and the light shielding portion, which is one specific example of the color filter in which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is disposed at the boundary portion of the pixel portion described above.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컬러필터(1)에 있어서는 투명기판(2) 상의 차광부가 형성되는 부위인 차광부 형성부(9)에 습윤성 가변층(5)이 패턴형으로 형성되고, 이 패턴형으로 형성된 습윤성 가변층(5)의 사이의 투명기판(2) 상에는 화소부(6)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습윤성 가변층(5) 상에는 차광부(3)가 형성되어 있다.6 shows an example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습윤성 가변층을 패턴형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습윤성 가변층의 습윤성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전면에 걸쳐 자극을 가하면 되므로, 예를 들면 화소부(6)의 형성 등을 할 때 마스크 등을 이용한 에너지의 패턴 조사 등을 행할 필요가 없고, 공정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4 실시형태와 같이 습윤성 가변층(5)이 화소부(6)의 경계부분, 본 실시형태의 경우는 차광부 형성부(9)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사용량이 적다. 따라서 습윤성 가변층을 컬러필 터 상에 다량 형성하는 것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 효과적이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is formed in a pattern form, in order to change the wettability of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a stimulus may be applied over the entire surface. For example, a mask or the like may be used when the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투명기판(2) 상에 바로 화소부(6)가 형성되는 것이므로, 투명기판(2) 상은 친잉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3 및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투명기판(2) 상의 습윤성이 표면장력 40mN/m인 액체와의 접촉각으로서 10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이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재료는 투명기판에 관해서는 상기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그 외의 재료에 관해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material used in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third embodiment for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for the other materials, and thus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B.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에 관하여B. Manufacturing Method of Color Filter
다음에 본 발명의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몇 가지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설명한다.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lor filter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using some embodiment.
1. 제6 실시형태에 관하여1. About 6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는 상기 본 발명에서의 제1 실시형태인 컬러필터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으로서6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lor filter which is 1st Embodiment in the said this invention.
(1) 투명기판 상에 차광부를 형성하는 공정;(1) forming a light shielding portion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2) 상기 투명기판 상의 차광부가 형성된 면에 에너지 조사부분의 습윤성이 액체의 접촉각이 저하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광촉매 함유층을 배설하는 공정;(2) disposing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n which the wettability of the energy irradiated portion is ch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angle of the liquid is lowered on a surface on which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3) 상기 광촉매 함유층 상의 화소부를 형성하는 부위인 화소부 형성부에 에너지를 조사하여 화소부용 노광부를 형성하는 공정; 및(3) forming an exposure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by applying energy to a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which is a portion for forming the pixel portion o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4) 상기 화소부용 노광부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하여 화소부를 형성하는 공정(4) forming a pixel portion by coloring the ink exposure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by an inkjet method;
을 포함하는 것이다.It will include.
(각 공정의 설명)(Explanation of each process)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각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 예에 있어서는, 우선 종래의 방법에 의해 투명기판(2) 상에 차광부(3)가 형성된다(도 7(A)). 이 차광부(3)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퍼터링법, 진공증착법 등에 의해 두께 약 1000∼2000Å의 크롬 등의 금속박막을 형성하고, 이 박막을 패터닝함으로써 형성하는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7 is for explaining each step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xample, first, the
다음에, 이 차광부(3)가 형성된 투명기판(2)에 광촉매 함유층(5)이 형성된다(도 7(B)). 이 광촉매 함유층(5)의 형성은 전술한 바와 같은 광촉매와 바인더를 필요에 따라 다른 첨가제와 함께 용제 중에 분산하여 도포액을 조제하고, 이 도포액을 도포한 후, 가수분해, 중축합반응을 진행시켜 바인더 중에 광촉매를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형성된다. 사용되는 용제로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콜계 유기용제가 바람직하고, 도포는 스핀코팅, 스프레이코팅, 딥코팅, 롤코팅, 비드코팅 등의 공지의 도포방법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Next, the photocatalyst-containing
이와 같이 하여 광촉매 함유층(5)이 형성된 투명기판(2)에 대해 자외선 등의 에너지(10)를 포토마스크(11)에 의해 패턴 조사한다. 이로써 광촉매 함유층(5) 상의 화소부가 형성되는 부위인 화소부 형성부를 광촉매 함유층(5) 내의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친잉크성 영역으로 만든 화소부용 노광부(12)가 형성된다(도 7(C)).In this way, the
이와 같이 화소부용 노광부(12)를 형성하기 위한 포토마스크(11)를 사용하여 노광을 행하는 경우는 에너지의 조사에 의해 형성되는 화소부용 노광부(12)의 폭, 즉 형성되는 화소부의 폭이 차광부(3)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의 폭보다 넓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액정패널로서 완성된 후, 백라이트가 조사된 경우에 화소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백라이트가 투과할 가능성이 없어지고, 탈색 등의 문제점이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When exposure is performed using the
상기 에너지의 조사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기판(2) 측에서 전면(全面) 노광함으로써 행할 수도 있다. 투명기판(2) 측에서 전면에 에너지를 조사하는 경우는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광부(3)가 마스크로서의 작용을 하고, 차광부(3)가 없는 부분에만 노광이 행해지게 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화소부 형성부의 포토마스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에너지의 조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코스트면에서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The energy can be irradiated by exposing the entire surface from the
또한 이와 같이 투명기판(2) 측에서 에너지를 조사하는 경우는 투명기판(2)에 에너지를 투과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에너지로서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을 사용한 경우는 석영 등의 자외선을 투과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energy is irradiated from the
이와 같이 형성된 화소부용 노광부(12) 내에 잉크젯장치(13)를 사용하여 에너지 조사에 의해 친잉크성 영역으로 된 화소부용 노광부(12) 내에 잉크(14)를 분사하고, 각각 적, 녹, 및 청으로 착색한다(도 7(D)). 이 경우, 화소부용 노광부(12) 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에너지의 조사에 의해 액체와의 접촉각이 작은 친잉크성 영역으로 되어 있으므로, 잉크젯장치(13)에서 분출된 잉크(14)는 화소부용 노광부(12) 내에 균일하게 확산된다. 또, 노광이 행해지지 않은 광촉매 함유층의 영역은 잉크반발성 영역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영역에서는 잉크가 겉돌아서 제거될 수 있게 된다.Th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잉크젯장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대전된 잉크를 연속적으로 분사하여 자장에 의해 제어하는 방법, 압전소자를 사용하여 간헐적으로 잉크를 분사하는 방법, 잉크를 가열하여 그 발포(發泡)를 이용하여 간헐적으로 분사하는 방법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한 잉크젯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The inkjet devi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 method of controlling by magnetic field by continuously spraying charged ink, intermittently injecting ink using a piezoelectric element, and heating the ink to foam the ink Ink jet device using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the method of intermittently jetting using a).
이와 같이 화소부용 노광부(12) 내에 부착된 잉크를 고화(固化)시킴으로써 화소부(6)가 형성된다(도 7(E)). 본 발명에 있어서, 잉크의 고화는 사용되는 잉크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수용성 잉크일 경우에는 가열하여 물을 제거하여 고화가 이루어진다.Thus, the
잉크의 고화공정을 고려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잉크의 종류로는 UV경화성 잉크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UV경화성 잉크일 경우는 UV를 조사함으로써 신속히 잉크를 고화시킬 수 있으므로 칼리필터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Considering the solidification step of the ink, UV-curable ink is preferable as the type of ink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UV-curable ink, the ink can be solidified quickly by irradiating UV,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time of the kali filter.
전술한 바와 같이 화소부용 노광부(12) 내의 잉크는 균일하게 퍼져 있으므로 이와 같이 잉크를 고화한 경우, 색 불균일이나 탈색이 없는 화소부(6)를 형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그 위에 보호층을 배설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k in the
이와 같은 각 공정을 행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컬러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By performing such each process, the color filter of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s shown in FIG. 1 can be manufactured.
(잉크반발성 철부에 관하여)(About ink repellent iron)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광촉매 함유층을 배설하는 공정 이후에 차광부 상의 광촉매 함유층에 에너지를 패턴 조사하여 잉크반발성 철부용 노광부를 형성하고, 이 잉크반발성 철부용 노광부에 잉크반발성 철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가지도록 해도 된다.I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ep of disposing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energy is irradiated to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on the light shielding portion to form an exposure portion for ink repellent iron portion, and the ink repellency portion for the ink repellent iron portion exposed portion. You may have a process of forming an iron part.
이 잉크반발성 철부를 형성하는 공정에 관하여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도 7에 나타낸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투명기판(2) 상에 차광부(3)가 형성되고, 이것들을 덮도록 광촉매 함유층(5)이 형성된 부재에 잉크반발성 철부용 마스크(15)를 거쳐 에너지를 조사한다(도 9(A)). 이와 같이 잉크반발성 철부용 마스크를 거쳐 에너지를 패턴 조사함으로써 차광부 상의 광촉매 함유층(5)에 잉크반발성 철부용 노광부(16)가 형성된다.The process of forming this ink-repellent iron part is demonstrated using FIG.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ixth embodiment shown in FIG. 7 described above, the
상기 잉크반발성 철부용 노광부(16)에 잉크젯장치(13)에 의해 UV경화성 수지 모노머 등의 잉크반발성 철부용 잉크(17)를 부착시킨다(도 9(B)). 또한 상기 잉크반발성 철부용 잉크의 도포방법은 잉크젯장치에 의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딥코팅과 같은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The ink repellent
UV조사 등에 의해 잉크반발성 철부용 잉크(17)를 경화시킴으로써 차광부(3) 상의 광촉매 함유층(5) 표면에 잉크반발성 철부(7)가 형성된다(도 9(C)). 이 잉크반발성 철부(7)의 폭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광부(3)의 폭보다 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색 불균일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By curing the ink repellent
상기와 같이 광촉매 함유층(5) 상에 잉크반발성 철부(7)가 형성된 부재에 광촉매 함유층(5) 측에서 에너지(10)를 전면에 조사, 또는 패턴 조사함으로써 잉크반발성 철부(7)가 형성된 부재 이외가 노광되어 화소부용 노광부로 되고, 그 후는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이 부분에 잉크젯장치(13)를 사용하여 잉크(14)를 부착시키고 경화시킴으로써 화소부(6)가 형성되고, 잉크반발성 철부(7)가 배설된 컬러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도 9(D), (E), (F)).The ink repellent
상기 방법으로는 차광부 상의 광촉매 함유층에 에너지를 패턴 조사하여 잉크반발성 철부용 노광을 제공하므로, 임의의 폭으로 잉크반발성 철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 잉크반발성 철부용 잉크를 도포함으로써 임의의 폭의 잉크반발성 철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잉크반발성 철부용 마스크(15)의 폭을 조정함으로써 전술한 차광부(3)보다 폭이 좁은 잉크반발성 철부(7)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광부(3)보다 폭이 좁은 잉크반발성 철부(7)를 형성함으로써 이 잉크반발성 철부(7) 사이에 형성되는 화소부(6)의 폭을 차광부(3)의 개구부의 폭보다 넓게 할 수 있으므로, 색 불균일 등의 문제점이 없는 컬러필터가 얻어지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In the above method,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on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s irradiated with energy to provide exposure for ink repellent iron portions, so that the ink repellent iron portions can be formed in any width. Therefore, the ink repellent convex portions of any width can be formed by applying the ink for ink repellent convex portions thereto. Thus,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잉크반발성 철부를 광촉매 함유층의 습윤성의 변화에 의해 형성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포토리소그래피법 등에 의해 잉크반발성 철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ink repellent iron part is formed by the change of the wettability of a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it is not limited to this in this invention, For example, an ink repellent iron part can also be formed by the photolithographic method. .
(화소부의 형성방법에 관하여)(How to form pixel part)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제6 실시형태와 같이, 화소부(6)를 1회의 에너지 조사와 노광부로의 잉크의 부착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상기 제6 실시형태에서는 잉크를 부착시킬 때 에너지가 조사된 친잉크성 영역인 화소부용 노광부 사이의 거리가 짧다. 따라서 화소부의 형성시에 잉크가 섞이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회피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너지 조사 및 화소부의 형성을 적어도 2회로 나누어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six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도 10은 에너지 조사 및 화소부의 형성을 2회로 나누어 행한 에를 나타내는 것이다. 전술한 도 7에 나타낸 예와 동일하게 하여 투명기판(2) 상에 차광부(3)를 형성하고, 이 차광부(3)를 덮도록 광촉매 함유층(5)을 투명기판(2) 상에 형성한 부재 상에 마스크(11')를 사용하여 화소부 형성부를 하나 걸러 화소부가 형성되도록 에너지(10)를 조사하여 화소부 형성용 노광부(12)로 만든다(도 10(A)). 이 화소부용 노광부(12)에 잉크젯장치(13)를 사용하여 잉크(14)를 부착시킴으로써(도 10(B)), 화소부 형성부의 하나 걸러의 부분에 화소부(6)를 형성한다(도 10(C)). 또한 여기서 형성된 화소부는 그 화소부 상에 2회째의 잉크젯장치에 의한 잉크의 착색을 방지하기 위해 화소부 자체가 잉크반발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표면을 실리콘화합물이나 불소함유 화합물 등의 발 잉크 처리제로 처리할 수도 있다.Fig. 10 shows an etch performed by dividing the energy irradiation and the pixel portion in two times. In the same manner as the example shown in FIG. 7 described above, the
화소부(6)가 하나 걸러 형성된 광촉매 함유층(5) 측에서 다시 에너지(10)를 조사함으로써 화소부(6)의 사이의 화소부 형성부를 노광하여 화소부 형성용 노광부(12)로 만들고, 여기에 잉크젯장치(15)를 사용하여 잉크(14)를 부착시킴으로써 컬러필터를 얻을 수 있다(도 10(D)).By irradiating the
이 방법에 의하면, 각 화소부간의 거리를 작게 하거나 또는 없애는 것도 가 능하며, 평활성이 우수한 착색층(화소부의 집합체)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제1회째의 화소부를 형성할 때 형성되는 화소부의 사이가 넓으므로 이 부분을 초과하여 잉크가 섞이는 일은 없다. 따라서 잉크의 혼색 등이 없는 고품질의 컬러필터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reduce or eliminate the distance between each pixel portion, and to form a colored layer (assembly of pixel portions) excellent in smoothness. In addition, since the pixel portion formed when forming the first pixel portion is wide, ink does not mix beyond this portion. Therefore, a high quality color filter can be obtained without mixing of ink or the like.
전술한 방법에서는 1회째의 화소부(6)는 하나 걸러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최초로 형성되는 화소부가 인접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면, 예를 들면 지그재그(zigzag)형 등, 컬러필터의 화소부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2회로 나누어 화소부를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3회 또는 그 이상의 횟수로 화소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method, every
(조사되는 에너지에 관하여)(About the energy investigated)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촉매 함유층에 조사되는 에너지로서는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원으로는 예를 들면 수은램프, 메탈할라이드램프, 크세논(xenon)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노광에 사용되는 광의 파장은 400nm 이하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80nm 이하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고, 노광시의 광의 조사량은 노광된 부위가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친잉크성을 발현하는 데 필요한 조사량으로 할 수 있다.In this invention, the light containing an ultraviolet-ray can be used as energy irradiated to a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Light sources including such ultraviolet rays may include, for example, mercury lamps, metal halide lamps, xenon lamps, and the like. The wavelength of the light used for such exposure can be set in the range of 400 nm or less, preferably in the range of 380 nm or less, and the irradiation amount of light at the time of exposure is the irradiation amount required for the exposed portion to express the ink ink by the action of the photocatalyst. You can do
에너지를 조사할 때 패턴 조사가 필요한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은 광원을 사용하고, 포토마스크를 거친 패턴 조사에 의해 행할 수 있으나, 다른 방법으로서, 엑시머(excimer), YAG 등의 레이저를 사용하여 패턴형으로 묘화조사(描畵照射)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장치가 비싸고 취급이 어려울 뿐 아니라 연속출력이 불가능한 등의 문제를 가지는 경우가 있다.When pattern irradiation is required when irradiating energy, the light source a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and the pattern irradiation may be performed by pattern irradiation through a photomask. As another method, a pattern type may be used by using an excimer, a YAG laser, or the like. The drawing irradiation method can also be used. However, such a method may be problematic in that the apparatus is expensive, difficult to handle, and continuous output is im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촉매 함유층에 대해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를 가하고, 이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가 가해진 영역내에 반응속도 증가 에너지를 패턴형으로 가함으로써 친잉크성 영역의 패턴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에너지의 조사방법을 사용하여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패턴 형성시에 적외선 레이저 등의 비교적 저가로 취급이 용이한 반응속도 증가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앞에서 언급한 문제가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hotocatalytic starting energy may be applied to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the reaction rate increasing energy may be applied in a pattern form in the region where the photocatalytic reaction starting energy is applied to form a pattern of the ink-like region. This is because by forming a pattern using such an energy irradia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use a reaction rate increasing energy which is relatively inexpensive and easy to handle, such as an infrared laser, at the time of pattern formation, and thus, the aforementioned problem does not occur.
이와 같은 에너지를 가함으로써 습윤성이 변화된 친잉크성 영역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은 다음의 이유에 따른다. 즉, 우선 패턴을 형성하는 영역에 대해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를 가함으로써 광촉매 함유층에 대한 광촉매의 촉매반응을 개시시킨다. 그리고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가 가해진 영역내에 반응속도 증가 에너지를 가한다. 이와 같이 반응속도 증가 에너지를 가함으로써 이미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가 가해져서 광촉매의 촉매작용에 의해 반응이 개시되고 있는 광촉매 함유층내의 반응이 급격히 촉진된다. 그래서 소정의 시간, 반응속도 증가에너지를 가함으로써 특성변화층내의 특성의 변화를 소망의 범위까지 변화시키고, 반응속도 증가에너지가 가해진 패턴을 습윤성이 변화된 친잉크성 영역의 패턴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It is for the following reason that a pattern of the lip ink region with changed wettability can be formed by applying such energy. That is, first, photocatalytic reaction energy is started to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by applying a photocatalytic reaction starting energy to a region forming the pattern. Then, the reaction rate increase energy is added in the region where the photocatalytic reaction start energy is applied. By adding the reaction rate increasing energy in this manner, the photocatalytic reaction starting energy is already applied, and the reaction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n which the reaction is initiated by the catalysis of the photocatalyst is rapidly promoted. Thus, by applying the energy for increasing the reaction 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hange of the properties in the property change layer can be changed to a desired range, and the pattern to which the reaction rate increase energy is applied can be made into the pattern of the inking region having changed wettability.
a.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에 관하여a. On photocatalytic initiation energy
이 에너지 조사방법에 사용되는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라 함은 광촉매가 광촉매 함유층 중의 화합물에 대해서 그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촉매반응을 개시시 키는 에너지를 말한다.The photocatalytic initiation energy used in this energy irradiation method refers to the energy at which the photocatalyst initiates a catalytic reaction for changing the properties of the compound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여기서 가하는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의 양은 광촉매 함유층 중의 습윤성의 변화를 급격히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이다. 가해지는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의 양이 적은 경우는 반응속도 증가에너지를 가하여 패턴을 형성할 때의 감도가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또 이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를 가한 광촉매 함유층의 특성의 변화의 정도가 지나치게 커져서 반응속도 증가에너지를 가한 영역과의 차이가 불명확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가하는 에너지의 양에 관해서는 미리 에너지를 가하는 양과 광촉매 함유층 중의 습윤성의 변화량을 예비실험 등을 행함으로써 결정된다.The amount of the photocatalytic initiation energy added here is such that it does not cause a sudden change in the wettability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f the amount of the photocatalytic initiation energy to be applied is small, the sensitivity at the time of forming the pattern by applying the reaction rate increase energy is deteriorated, and if the amount is too large, the chang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to which the photocatalytic initiation energy is applied is too large.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degree of becomes so large that the difference from the region to which the reaction rate increase energy is applied becomes unclear. Regarding the amount of energy to be applied, the amount of energy applied in advance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he wettability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re determined by performing a preliminary experiment or the like.
이 방법에서의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로서는 광촉매반응을 개시시킬 수 있는 에너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그 중에도 광(光)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hotocatalytic reaction initiation energy in this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 energy capable of initiating the photocatalytic reaction. Among them, light is preferabl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촉매는 그 밴드갭에 따라 촉매반응을 개시하는 광의 파장이 다르다. 예를 들면 황화카드늄의 경우는 496nm, 산화철인 경우는 539nm의 가시광이고, 이산화티탄이면 388nm의 자외선이다. 따라서 광일 경우는 가시광이건 자외선이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밴드갭 에너지가 높으므로 광촉매로서 효과적일 뿐 아니라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독성도 없고 입수도 용이하다는 이유 때문에 광촉매로서는 이산화티탄이 적합하게 사용되는 관계로, 이산화티탄의 촉매반응을 개시시키는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400nm 이하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80nm 이하의 범위의 자외선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hotocatalys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in the wavelength of light initiating the catalysis depending on the band gap. For example, cadmium sulfide is 496 nm, iron oxide is 539 nm visible light, and titanium dioxide is 388 nm ultraviolet light. Therefore, light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However, as described above, titanium dioxide is suitably used as a photocatalyst because of its high bandgap energy, which is not only effective as a photocatalyst, but also chemically stable, non-toxic, and easy to obtain, thus initiating the catalytic reaction of titanium dioxid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light containing the ultraviolet-ray to make. Specifically, ultraviolet rays in the range of 400 nm or less, preferably 380 nm or less, are preferably contained.
이와 같은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의 광원으로는 수은램프, 메탈할라이드램프, 크세논램프, 엑시머램프 등의 여러 가지 자외선광원이 포함될 수 있다.As the light source including the ultraviolet light, various ultraviolet light sources such as a mercury lamp, a metal halide lamp, a xenon lamp, and an excimer lamp may be included.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가 가해지는 범위는 광촉매 함유층의 일부분이라도 되고, 예를 들면 이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를 패턴형으로 가하고, 또한 후술하는 반응속도 증가에너지도 패턴형으로 가함으로써 습윤성이 변화된 친잉크성 영역의 패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한데, 공정의 간략화, 단순화 등의 이유 때문에 이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를 패턴이 형성되는 영역 전면에 걸쳐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전면에 걸쳐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가 가해진 영역에 반응속도 증가에너지를 패턴형으로 가함으로써, 광촉매 함유층 상에 친잉크성 영역의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 to which the photocatalytic reaction start energy is applied may be a part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For example, the photocatalytic reaction start energy may be added in a pattern form, and the reaction rate increase energ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also be added in a pattern form.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pattern of the changed lipophilic region, but for reasons such as simplification and simplification,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 photocatalytic initiation energy over the entire area where the pattern is formed, and thus initiate the photocatalytic reaction over the entire surface.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 reaction rate increasing energy in the pattern form to the region where the energy is applied to form a pattern of the lipophilic region o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b. 반응속도 증가에너지에 관하여b. Reaction speed increase energy
다음에, 이 방법에서 사용되는 반응속도 증가에너지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방법에서 사용되는 반응속도 증가에너지라 함은 상기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에 의해 개시된 광촉매 함유층의 습윤성을 변화시키는 반응의 반응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작용을 가지는 에너지이면 어떠한 에너지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도 열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reaction rate increasing energy used in this method will be described. The reaction rate increase energy used in this method refers to energy for increasing the reaction rate of the reaction that changes the wettability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nitiated by the photocatalytic reaction initiation energy. In the present invention, any energy can be used as long as it has such a function, and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o use thermal energy.
이와 같은 열에너지를 패턴형으로 광촉매 함유층에 가하는 방법으로는, 광촉매 함유층 상에 열에 의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외선레이저에 의한 방법이나, 감열헤드에 의한 방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외선레이저로서는 예를 들면 지향성(指向性)이 강하고 조사거리가 길다는 이점을 가지는 적외선 YAG 레이저(1064nm)나, 비교적 값이 저렴하다는 이점을 가지는 다이오드레이저(LED; 830nm, 1064nm, 1100nm) 등 이외에 반도체레이저, He-Ne 레이저, 탄산가스레이저 등을 열거할 수 있다.The method of applying such thermal energy to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n a pattern for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form a pattern by heat o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may include an infrared laser method or a thermal head method. have. Such an infrared laser is, for example, an infrared YAG laser (1064 nm) having an advantage of having a high directivity and a long irradiation distance, or a diode laser (LED; 830 nm, 1064 nm, 1100 nm) having an advantage of being relatively inexpensive. And the like, semiconductor lasers, He-Ne lasers, carbon dioxide lasers, and the like.
이 방법에 있어서는 전술한 광촉매반응 개시에너지를 가함으로써 광촉매를 활성화시켜 광촉매 함유층내의 촉매반응에 의한 습윤성의 변화를 개시시키고, 이 습윤성의 변화가 생긴 부분에 반응속도 증가에너지를 가하여 그 부분의 촉매반응을 촉진시킴으로써 반응속도 증가에너지가 가해진 영역과 가해지지 않은 영역의 반응속도의 차이에 의해 친잉크성 영역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In this method, the photocatalytic reaction starting energy is added to activate the photocatalyst to initiate the change of wettability due to the catalytic reaction i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the reaction rate increase energy is added to the portion where the change of the wettability has occurred, thereby catalyzing the reaction of the portion. By promoting the pattern, the pattern of the inking region can be formed by the difference in the reaction rate between the region where the reaction rate increase energy is applied and the region where the reaction rate is not applied.
2. 제7 실시형태에 관하여2. About the seven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는 상기 본 발명에서의 제2 실시형태인 컬러필터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의 하나로서,7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one of the manufacturing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color filter which is 2nd Embodiment in the said invention,
(1) 투명기판 상에 에너지 조사부분의 습윤성이 액체와의 접촉각이 저하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광촉매 함유층을 배설하는 공정,(1) disposing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n which the wettability of the energy irradiated portion is ch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is lower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2) 상기 투명기판 상의 차광부가 형성되는 부위인 차광부 형성부에 에너지를 패턴 조사하여 차광부용 노광부를 형성하는 공정,(2) forming a light exposing portion for the light shielding portion by patterning energy to a light shielding portion forming portion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3) 상기 차광부용 노광부에 차광부를 배설하는 공정,(3) disposing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n the exposure portion for the light shielding portion,
(4) 상기 차광부가 배설된 투명기판 상에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화소부용 노광부를 형성하는 공정, 및(4) forming an exposure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by irradiating energy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on which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s disposed; and
(5) 상기 화소부용 노광부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하여 화소부를 형성하는 공정(5) forming a pixel portion by coloring in the exposure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by an inkjet method;
을 포함한다.It includes.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의 각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투명기판(2) 상에 광촉매 함유층(5)을 형성한다. 이 광촉매 함유층(5)의 형성은 전술한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행할 수 있다.11 is for explaining each step of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A, first, the photocatalyst-containing
다음에, 광촉매 함유층(5)의 차광부 형성부에 차광부용 포토마스크(19)를 사용하여 에너지(10)를 패턴 조사하여 차광부용 노광부(20)를 형성한다. 이 차광부용 노광부(20)는 광촉매 함유층(5)내의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액체와의 접촉각을 낮춘 부위로서, 친잉크성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다(도 11(B)).Next, the light shielding portion forming portion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상기 에너지(10)에 관해서는 상기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자외선 뿐 아니라 다른 에너지도 포함하는 것이다.The
차광부용 도료(21)를 잉크젯장치(13)에 의해 차광부용 노광부(20)에 부착시킨 후, 경화시켜 차광부(3)를 형성한다(도 11(C)). 차광부용 노광부(20) 상으로의 차광부용 도료(21)의 도포는 상기 잉크젯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이외에 스프레이코팅, 딥코팅, 롤코팅, 비드코팅 등의 공지의 도포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도포된 차광부용 도료(10)는 액체와의 높은 접촉각을 가지는 차광부용 노광부(20) 이외의 광촉매 함유층(5)의 잉크반발성 영역에서 겉돌게 되어 제거되고, 액체와의 접촉각이 낮은 친잉크성 영역인 차광부용 노광부(20)에만 선택적으로 부착된다.The light
또한, 차광부(3)의 형성을 진공박막 형성방식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즉, 노 광 후의 광촉매 함유층(5) 상에 증착법 등에 의해 금속박막을 형성하고, 차광부용 노광부(20) 이외의 광촉매 함유층(5)과, 차광부용 노광부(20)와의 접착력의 차를 이용하여 점착테이프를 사용한 박리, 용제처리 등에 의해 패턴화하여 차광부(3)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다음에, 차광부(3)가 형성된 광촉매 함유층(5) 상을 전면 또는 패턴형으로 에너지(10)를 조사한다. 이에 의해 차광부(3)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광촉매 함유층(5) 중의 광촉매의 작용에 의해 친잉크성 영역의 화소부용 노광부로 된다(도 11(D)).Next, the
다음에, 잉크젯장치(13)에 의해 노광에 의해 친잉크성 영역으로 된 화소부용 노광부내에 잉크(14)를 분사하여 각각 적, 녹, 및 청으로 착색한다(도 11(E)). 이 경우, 화소부용 노광부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에너지의 조사에 의해 액체와의 접촉각이 작은 친잉크성 영역으로 되어 있으므로, 잉크젯장치(13)에서 분출된 잉크(14)는 화소부용 노광부내에 균일하게 확산된다.Next, the
이와 같이 하여 화소부용 노광부(11)내에 부착된 잉크를 고화시킴으로써 차광부(3)의 사이에 화소부(6)가 형성된다(도 11(F)). 또한 필요하다면 그 위에 보호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Thus, the
이와 같은 방법으로 컬러필터를 제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화소부용 노광부(11)내의 잉크는 균일하게 확산되므로 잉크(14)가 고화되었을 경우, 색 불균일이나 탈색이 없는 화소부(5)를 형성할 수 있고, 고품질의 컬러필터를 얻을 수 있다.When the color filter is manufactured in this manner, the ink in the
3. 제8 실시형태에 관하여3. Regarding the eigh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는 상기 본 발명에서의 제2 실시형태인 컬러필터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의 다른 방법으로서,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method of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producing the color filter which is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투명기판 상에 에너지 조사부분의 습윤성이 액체와의 접촉각이 저하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광촉매 함유층을 배설하는 공정,(1) disposing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n which the wettability of the energy irradiated portion is ch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is lower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2) 상기 투명기판 상의 화소부가 형성되는 부위인 화소부 형성부에 에너지를 패턴 조사하여 화소부용 노광부를 형성하는 공정,(2) forming an exposure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by patterning energy to a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pixel portion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3) 상기 화소부용 노광부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하여 화소부를 형성하는 공정,(3) forming a pixel portion by coloring the ink exposure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by an inkjet method;
(4) 적어도 상기 화소부의 경계부분의 광촉매 함유층에 에너지를 조사하는 공정, 및(4) irradiating energy to at least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t a boundary portion of the pixel portion, and
(5) 상기 에너지가 조사된 화소부의 경계부분에 차광부를 형성하는 공정(5) forming a light shielding portion at a boundary portion of the pixel portion irradiated with the energy
을 포함한다.It includes.
도 12는 제8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7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우선 광촉매 함유층(5)이 한쪽 면에 형성된 투명기판(2)을 형성한다(도 12(A)). 이 투명기판(2)의 광촉매 함유층(50이 형성된 측에서 마스크(11)를 거쳐 에너지(10)를 패턴 조사한다(도 12(B)). 에너지가 조사된 친잉크성 영역으로 이루어진 화소부용 노광부에 잉크젯장치(13)를 사용하여 잉크(14)를 부착시켜 화소부(6)를 형성한다(도 12(C)).FIG. 12 is for explaining the eighth embodiment, and similarly to the seventh embodiment, first, the
상기 화소부(6)를 형성할 때에는, 상기 제6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에너지의 조사 및 화소부의 형성을 2회 이상으로 나누어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화소부(6)를 형성할 때 화소부(6) 사이의 잉크반발성 영역이 좁으므로, 잉크가 섞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When forming the said
이와 같이 하여 화소부(6)가 형성된 면에 에너지(10)를 전면 또는 패턴 조사하여 화소부(6) 사이의 잉크반발성 영역을 친잉크성 영역으로 변화시킨다(도 12(D)). 이 화소부(6)의 경계부분에 예를 들면 잉크젯장치(13)에 의해 차광부용 도료(21)를 부착시키고(도 12(E)), 경화시킴으로써 차광부(3)를 형성할 수 있다(도 12(F)). 그리고 필요에 다라 표면에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컬러필터를 얻을 수 있다.In this way, the surface on which the
여기서 사용되는 에너지, 잉크젯방치, 나아가서 각종 잉크 등에 관해서는 전술한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The energy, the inkjet device, and also the various inks used here are the same as in the six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4. 제9 실시형태에 관하여4. About 9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는 상기 본 발명에서의 제3 실시형태인 컬러필터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으로서,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lor filter which is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투명기판 상에 에너지 조사부분의 습윤성이 액체와의 접촉각이 저하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광촉매 함유층을 상기 투명기판 상의 화소부가 형성되는 부위인 화소부 형성부에 배설하는 공정,(1) disposing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n which the wettability of the energy irradiated portion is ch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is lower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in the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pixel portion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formed;
(2) 상기 광촉매 함유층이 배설된 상기 화소부 형성부의 경계부분에 차광부를 배설하는 공정,(2) disposing a light shielding portion at a boundary portion of the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in which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disposed;
(3) 상기 광촉매 함유층에 에너지를 조사하여 화소부용 노광부를 형성하는 공정, 및(3) forming an exposure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by irradiating energy to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4) 상기 화소부용 노광부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하여 화소부를 형성하는 공정(4) forming a pixel portion by coloring the ink exposure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by an inkjet method;
을 포함한다.It includes.
이 방법에 관하여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투명기판(2) 상의 화소부가 형성되는 부위에 광촉매 함유층(5)이 형성된다. 즉, 이 방법에서는 우선 광촉매 함유층(5)이 투명기판 상에 패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광촉매 함유층을 패턴형으로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감광성 졸겔용액을 사용하여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이나, 인쇄에 의한 방법 등을 열거할 수 있다.This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First, the photocatalyst-containing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광촉매 함유층(5)이 형성된 투명기판(2)에서 광촉매 함유층(5)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차광부 형성부)에 예를 들면 잉크젯장치 등을 사용하여 차광부용 도료 등에 의해 차광부(3)를 형성한다. 이 때, 투명기판(2)의 표면의 습윤성은 광촉매 함유층(5) 표면의 습윤성에 비교하여 친잉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차광부(3)를 형성할 때, 잉크반발성을 나타내는 광촉매 함유층 상에 차광부용 도료 등은 부착되지 않고, 투명기판(2) 상의 차광부 형성부에만 부착되어 차광부가 형성된다.In th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투명기판(2) 상의 습윤성이 친잉크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표면장력이 40mN/m인 액체와의 접촉각으로서 10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표면장력이 40mN/m인 액체와의 접촉각으로서 5도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도 이하인 것이다.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wettability on the
이와 같이 하여 차광부(3)가 형성된 후, 광촉매 함유층(5)에 대해 에너지를 조사하고, 이 부분을 친잉크성 영역으로 만든다. 그리고, 친잉크성 영역으로 한 광촉매 함유층 상에 잉크젯장치 등을 사용하여 화소부(6)를 형성하고, 다시 필요에 따라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컬러필터를 형성할 수 있다.After the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조사되는 에너지나, 잉크젯장치, 각종 잉크에 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Also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irradiated energy, the inkjet apparatus, and the various inks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escription is omitted here.
5. 제10 실시형태에 관하여5. About the ten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는 상기 본 발명에서의 제4 실시형태인 컬러필터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으로서,10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lor filter which is 4th Embodiment of the said invention,
(1) 투명기판 상에 차광부를 형성하는 공정,(1) forming a light shielding portion on a transparent substrate;
(2) 상기 투명기판 상면에 에너지 조사부분의 습윤성이 액체의 접촉각이 저하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광촉매 함유층을 배설하는 공정, 및(2) disposing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n which the wettability of the energy irradiated portion is ch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angle of the liquid is lower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3) 상기 광촉매 함유층이 배설되어 있지 않은 투명기판 상에서 화소부가 형성되는 부위인 화소부 형성부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하여 화소부를 형성하는 공정(3) forming a pixel portion by coloring the pixel portion forming portion,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pixel portion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on which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not formed by an inkjet method;
을 포함한다.It includes.
이 방법에 관하여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투명기판(2) 상에 차광부(3)가 형성된다(도 13(A)). 다음에, 이 차광부(3) 상에 광촉매 함유층(5)이 패턴형으로 형성된다(도 13(B)). 여기서 차광부(3) 및 광촉매 함유층(5)을 패턴형으로 형성하는 방법은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This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rst, the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광촉매 함유층(5)의 폭이 차광층(3)의 폭보 다 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촉매 함유층(5)의 폭을 차광층(3)의 폭보다 좁게 형성함으로써 이 후의 공정에서 광촉매 함유층(5) 사이에 형성되는 화소부의 폭이 차광부(3)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의 폭보다 넓어지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색 불균일 등의 문제가 생기기 어렵기 때문이다.Here,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상기 광촉매 함유층간에 잉크젯장치(13)를 사용하여 잉크(14)를 부착시킴으로써 화소부(6)가 형성된다(도 13(C)). 이 때 잉크(14)는 직접 투명기판(2) 상에 부착되는 것이므로, 투명기판(2) 상은 친잉크성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표면장력이 40mN/m인 액체와의 접촉각으로서 10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표면장력이 40mN/m인 액체와의 접촉각으로서 5도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도 이하인 것이다. 이와 같이 투명기판(2) 상을 친잉크성 영역으로 함으로써 잉크(14)가 투명기판 상에 균일하게 퍼지고, 색 불균일 등의 문제점이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The
이와 같이, 화소부(6)가 형성된 후, 화소부(6)가 형성된 측에 에너지(10)를 조사함으로써(도 13(D)), 필요에 따라 배설되는 보호층(8)의 형성이 용이해진다(도 13(E)).Thus, after the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조사되는 에너지나 잉크젯장치, 각종 잉크에 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Also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energy to be irradiated, the inkjet apparatus, and the various inks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escription is omitted here.
6. 제11 실시형태에 관하여6. About Eleven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는 상기 본 발명에서의 제5 실시형태인 컬러필터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으로서,11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lor filter which is 5th Embodiment in the said invention,
(1) 투명기판 상에 에너지 조사부분의 습윤성이 액체의 접촉각이 저하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광촉매 함유층을 투명기판 상의 차광부가 형성되는 부위인 차광부 형성부에 배설하는 공정;(1) disposing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n which the wettability of the energy irradiated portion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ch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angle of the liquid is lowered to a light shielding portion forming portion, which is a portion where a light shielding portion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2) 상기 투명기판 상의 광촉매 함유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잉크젯 방식으로 착색하여 화소부를 형성하는 공정;(2) forming a pixel portion by coloring by an inkjet method on a portion where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not formed;
(3) 적어도 상기 광촉매 함유층에 에너지를 조사하는 공정; 및(3) irradiating energy to at least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nd
(4) 상기 에너지가 조사된 광촉매 함유층 상에 차광층을 형성하는 공정(4) forming a light shielding layer o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to which the energy is irradiated
을 포함하는 것이다.It will include.
이 방법에 관하여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우선 투명기판(2) 상에 광촉매 함유층(5)을 패턴형으로 형성한다. 이 광촉매 함유층(5)을 패턴형으로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제9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 광촉매 함유층(5)을 형성하는 위치는 차광부(3)가 형성되는 부위인 차광부 형성부(9)이다. 다음에, 이 광촉매 함유층(5)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 즉 화소부가 형성되는 화소부 형성부에 잉크젯장치 등을 사용하여 잉크를 부착시켜 화소부(6)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제10 실시형태와 같은 이유에서 투명기판 상의 습윤성은 친잉크성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표면장력이 40mN/m인 액체와의 접촉각으로서 10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표면장력이 40mN/m인 액체와의 접촉각으로서 5도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도 이하인 것이다.This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First, the photocatalyst-containing
광촉매 함유층(5)을 에너지 조사에 의해 친잉크성으로 만든 후, 이 광촉매 함유층(5) 상에 차광부(3)를 형성한다. 그리고 최후로 필요에 따라 보호층(8)이 형 성된다.After the photocatalyst-containing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사되는 에너지, 사용되는 잉크젯장치나 각종 잉크 등에 관해서는 전술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을 참조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bout the energy to be irradiated, the inkjet apparatus used, various inks, etc. can refer to what was demonstrated in other embodiment mentioned above.
C. 컬러 액정패널에 관하여C. Color LCD Panel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컬러필터와, 이 컬러필터에 대향하는 대향기판을 조합하고, 그 사이에 액정화합물을 봉입함으로써 컬러 액정패널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얻어지는 컬러 액정패널은 본 발명의 컬러필터가 가지는 이점, 즉, 색 불균일이나 탈색이 없고, 코스트면에서 유리하다는 이점을 가진다.A color liquid crystal panel is formed by combining the color filter obtained in this way and the opposing substrate which opposes this color filter, and sealing a liquid crystal compound therebetween. The color liquid crystal panel obtain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lor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advantages, namely, no color unevenness or discoloration, and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The said embodiment is an illustration, Any thing which has the structu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 of this invention, and shows the same effect is contain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is invention.
[실시예]EXAMPLE
이하에서 본 발명에 관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1. 광촉매 함유층의 형성1. Formation of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이소프로필알콜 30g, 플루오로알킬실란이 주성분인 MF-160E(Tokem Products사 제품) 0.4g, 트리메톡시메틸실란(도시바실리콘(주) 제품, TSL8113) 3g, 및 광촉매인 산화티탄 수분산체인 ST-K01(石原産業(株) 제품) 20g을 혼합하여 100℃에서 20분간 교반하였다. 이것을 이소프로필알콜에 의해 3배로 희석하여 광촉매 함유층 용 조성물로 만들었다.30 g of isopropyl alcohol, 0.4 g of MF-160E (manufactured by Tokem Products), the main component of which is fluoroalkylsilane, 3 g of trimethoxymethylsilane (manufactured by Toshiba Silicone Co., Ltd., TSL8113), and ST, a titanium oxide aqueous dispersion which is a photocatalyst 20 g of K01 (manufactured by 石 原 産業) was mixed and stirred at 100 ° C for 20 minutes. This was diluted three times with isopropyl alcohol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상기 조성물을 소다유리로 만든 투명기판 상에 스핀코팅에 의해 도포하고, 150℃에서 10분간 건조처리를 행함으로써 투명한 광촉매 함유층(두께 0.2㎛)를 형성하였다.The composition was applied by spin coating onto a transparent substrate made of soda glass, and dried at 150 ° C. for 10 minutes to form a transparent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thickness 0.2 μm).
2. 노광에 의한 친잉크성 영역의 형성의 확인2. Confirmation of Formation of Ink-Focus Area by Exposure
상기 광촉매 함유층에 마스크를 통해 수은림프(파장 365nm)에 의해 70mW/㎠의 조도로 50초간 패턴노광을 행하여 노광부를 형성하고, 비노광부 및 노광부의 액체와의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비노광부에 있어서는 표면장력이 30mN/m인 액체(純正化學株式會社 제품,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와의 접촉각을 접촉각 측정기(協和界面科學(株) 제품, CA-Z)를 사용하여 측정(마이크로시린지로 적하하여 30초 후)한 결과, 30도이었다. 또, 노광부에서는 표면장력이 50mN/m인 액체(純正化學株式會社 제품, 습윤성 지수 표준액 No.50)와의 접촉각을 동일하게 하여 측정한 결과 7도이었다. 이와 같이 노광부가 친잉크성 영역으로 되고, 노광부와 비노광부와의 습윤성의 상위에 의한 패턴형성이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was subjected to pattern exposure for 50 seconds with a mercury lymph (wavelength 365nm) through a mask at a light intensity of 70 mW /
3. 차광부의 형성3. Shading
다음에, 상기와 같이 하여 동일한 투명기판 상에 광촉매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이 광촉매 함유층을 매트릭스형의 개구패턴(개구선폭 30㎛)을 배설한 차광부용의 마스크를 통해 수은램프(파장 365nm)에 의해 노광(70mW/㎠의 조도에서 50초간)하여 차광부용 노광부를 친잉크성 영역(표면장력 50mN/m인 액체와의 접촉각으로 환산하여 7도 이하)으로 하였다.Next,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was formed on the same transparent substrate as described above.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was exposed to light by a mercury lamp (wavelength: 365 nm) (for 50 seconds at an illuminance of 70 mW / cm 2) through a mask for a light shielding portion having a matrix-type opening pattern (opening line width of 30 µm), and the ink for the light shielding portion was inked. It was set as the formation region (7 degrees or less in terms of the contact angle with the liquid having a surface tension of 50 mN / m).
한편, 하기 조성의 혼합물을 90℃로 가열하여 용해하고, 12000rpm으로 원심분리하고, 그 후 1㎛의 글라스필터로 여과하였다. 얻어진 수성 착색수지 용액에 가교제로서 중크롬산 암모늄을 1 중량% 첨가하고 차광부용 도료를 조제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mixture of the following composition was heated to 90 ° C. to dissolve, centrifuged at 12000 rpm, and then filtered through a 1 μm glass filter. 1 weight% of ammonium dichromate was added to the obtained aqueous coloring resin solution as a crosslinking agent, and the light-shielding part coating material was prepared.
· 카본블랙(三麥化學(株) 제품 #950): 4 중량부Carbon black (Product # 950): 4 parts by weight
· 폴리비닐알콜(日本合性化學(株) 제품: Gosenol AH-26): 0.7 중량부Polyvinyl alcohol (Gosenol AH-26): 0.7 parts by weight
· 이온교환수: 95.3 중량부Ion-exchanged water: 95.3 parts by weight
다음에, 상기 차광부용 도료를 블레이드코터(blade coater)에 의해 광촉매 함유층 상에 전면도포하였다. 이와 같이 도포된 차광부용 도료는 광촉매 함유층의 비노광부에서 반발되고, 차광부용 노광부에만 선택적으로 부착하였다. 그 후, 60℃에서 3분간 건조를 행하고, 수은램프로 노광함으로써 차광부용 도료를 경화시키고, 다시 150℃에서 30분간 가열처리를 실시하여 차광부를 형성하였다.Next, the light-shielding portion coating material was completely coated o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by a blade coater. The coating material for light shielding part coated in this way was repulsed at the non-exposed part of a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and was selectively attached only to the light exposure part for light shielding part. Thereafter, drying was performed at 60 ° C. for 3 minutes, and the coating material for light shielding part was cured by exposing with a mercury lamp, followed by heat treatment at 150 ° C. for 30 minutes to form a light shielding part.
4. 화소부의 형성4. Formation of pixel part
다음에, 차광부가 형성된 광촉매 함유층 상에 전면노광하고, 화소부용 노광부를 친잉크성으로 만들었다. 다음에 잉크젯장치를 사용하여 안료 5 중량부, 용제 20 중량부, 중합개시제 5 중량부, UV경화수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RGB 각 색의 UV경화형 다중작용기 아크릴레이트모노머 잉크를 친잉크성으로 변환된 화소부용 노광부에 부착시켜 착색하고, 이것에 UV처리를 행하여 경화시켰다. 여기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각 잉크에 관하여 용제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틸아세테이트, 중합개시제로서는 Ingacular 369(상품명: Chiba Specialty Chemicals사 제품), UV경화수지로서는 DPHA(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日本火藥(株) 제품)를 사용하였다. 또, 안료로서는 적색잉크에 관해서는 C.I. Pigment Red 177, 녹색잉크에 관해서는 C.I. Pigment Green 36, 청색잉크에 관해서는 C.I. Pigment Blue 15 + C.I. Pigment Violet 23을 각각 사용하였다.Next, the whole surface was exposed on the photocatalyst containing layer in which the light shielding part was formed, and the exposure part for pixel parts was made into an ink repellency. Next, using an inkjet device, the UV curable multifunctional acrylate monomer ink of each
5. 보호층의 형성5. Formation of protective layer
보호층으로서, 2액 혼합형 열경화제(日本合性고무(株) 제품 SS7265)를 스핀코터에 의해 도포하고, 200℃에서 30분간 경화처리를 실시하여 보호층을 형성하고, 컬러필터를 얻었다. 얻어진 컬러필터는 화소부의 색 불균일이나 탈색이 없는 고품질의 것이었다.As the protective layer, a two-liquid mixed thermosetting agent (SS7265 manufactured by Nippon Synthetic Rubber) was applied by a spin coater, and cured at 200 ° C. for 30 minutes to form a protective layer to obtain a color filter. The obtained color filter was of high quality without color unevenness or discoloration of the pixel portion.
[실시예 2]Example 2
1. 광촉매 함유층의 형성1. Formation of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스퍼터링법에 의해 크롬으로 차광층이 형성된 투명기판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한 광촉매 함유층을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하였다.The sam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as in Example 1 wa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on which the light shielding layer was formed of chromium by the sputtering method.
2. 화소부의 형성2. Formation of the pixel portion
다음에, 광촉매 함유층 측에서 화소부용 마스크를 통해 수은램프(파장 365nm, 70mW/㎠)에 의해 50초간 패턴노광을 행하고, 화소부용 노광부를 친잉크성 영역(표면장력 50mN/m인 액체와의 접촉각으로 환산하여 7도 이하)으로 만들었다.Next, on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side, a pattern exposure is performed for 50 seconds by means of a mercury lamp (wavelength 365 nm, 70 mW / cm 2) through the mask for the pixel portion, and the exposed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is a contact angle with a liquid having a lip ink region (surface tension of 50 mN / m). Converted to 7 degrees or less).
이 화소부용 노광부에 잉크젯장치를 사용하여 안료 5중량부, 용제 20 중량부, 중합개시제 5 중량부, UV경화수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RGB 각 색의 UV경화형 다중작용기 아크릴레이트모노머 잉크를 친잉크성으로 한 화소부용 노광부에 부착시켜 착색하고, 이것에 UV처리를 행하여 경화시켰다. 여기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각 잉크에 관하여 용제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틸아세테이트, 중합개시제로서는 Ingacular 369(상품명: Chiba Specialty Chemicals사 제품), UV경화수지로서는 DPHA(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日本火藥(株) 제품)를 사용하였다. 또, 안료로서는 적색잉크에 관해서는 C.I. Pigment Red 177, 녹색잉크에 관해서는 C.I. Pigment Green 36, 청색잉크에 관해서는 C.I. Pigment Blue 15 + C.I. Pigment Violet 23을 각각 사용하였다.Using the inkjet device on the exposed portion for the pixel portion, the ink is ink-filled with UV curable multifunctional acrylate monomer ink of each color including 5 parts by weight of pigment, 20 parts by weight of solvent, 5 parts by weight of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70 parts by weight of UV curing resin. It adhere | attached and colored it to the exposure part for pixel parts made into the castle, and UV-hardened to this and hardened | cured. Regarding the red, green and blue inks, polyethylene glycol monomethylethyl acetate as a solvent, Ingacular 369 (trade name: manufactured by Chiba Specialty Chemicals)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DPHA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as a UV curing resin (日本 火藥) (VIII) CI Pigment Red 177 for red ink, CI Pigment Green 36 for green ink and
3. 보호층의 형성3. Formation of protective layer
보호층으로서, 2액 혼합형 열경화제(日本合性고무(株) 제품 SS7265)를 스핀코터에 의해 도포하고, 200℃에서 30분간 경화처리를 실시하여 보호층을 형성하고, 컬러필터를 얻었다. 얻어진 컬러필터는 실시예 1의 것과 같이 화소부의 색 불균일이나 탈색이 없는 고품질의 것이었다.As the protective layer, a two-liquid mixed thermosetting agent (SS7265 manufactured by Nippon Synthetic Rubber) was applied by a spin coater, and cured at 200 ° C. for 30 minutes to form a protective layer to obtain a color filter. The obtained color filter was of high quality without color unevenness or discoloration of the pixel portion as in Example 1.
[실시예 3]Example 3
1. 광촉매 함유층의 형성1. Formation of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이소프로필알콜 3g, 플루오로알킬실란(Tokem Products사 제품; MF-160E(상품명), N-[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N-에틸퍼플루오로옥탄설폰아미드의 이소프로필에테르 50 중량% 용액) 0.014g, 산화티탄졸(石原産業(株) 제품; STS-01(상품명)) 2g, 실리카졸(日本合性고무(株) 제품; Glaska HPC7002(상품명)) 0.6g, 및 알킬알콕시실란(日本合性고무(株) 제품; HPC 402II(상품명)) 0.2g을 혼합하고, 100℃에서 20분간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두께 0.7mm의 무알칼리 유리기판 상에 스핀코팅법에 의해 코팅하고, 두께 0.15㎛의 광촉매 함유층을 얻었다.3 g isopropyl alcohol, fluoroalkylsilane (manufactured by Toke Products; MF-160E (trade name), isopropyl ether 50 of N- [3- (trimethoxysilyl) propyl] -N-ethylperfluorooctanesulfonamide) % By weight solution) 0.014 g, titanium oxide sol (STS-01 (trade name)) 2 g, silica sol (Japan rubber product; Glaska HPC7002 (trade name)) 0.6 g, and alkyl 0.2 g of alkoxysilanes (HP rubber 402II (brand name)) were mixed, and it stirred at 100 degreeC for 20 minutes. This solution was coated on an alkali free glass substrate having a thickness of 0.7 mm by spin coating to obtain a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15 탆.
2. 노광에 의한 친잉크성 영역의 형성 및 불소량 저감의 확인2. Confirmation of formation of lipophilic region by exposure and reduction of fluorine amount
상기 광촉매 함유층 표면에 격자상의 포토마스크를 통해 초고압 수은램프에 의해 70mW/㎠(365nm)의 조도로 2분간 자외선조사를 행하고, n-옥탄(표면장력 21mN/m)에 대한 접촉각을 접촉각 측정기(協和界面科學 제춤 CA-Z형)에 의해 측정한 결과, 미노광부는 52도이었고 노광부는 0도이었다.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wa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at 70 mW / cm 2 (365 nm) for 2 minutes with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through a lattice-shaped photomask, and the contact angle of n-octane (surface tension of 21 mN / m) was measured using a contact angle measuring instrument.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by a chemistry CA-Z type, the unexposed part was 52 degrees and the exposed part was 0 degrees.
미노광부 및 노광부를 X선 광전자분광장치(V.G. Scientific사 ESCALAB220-I-XL)에 의해 원소분석을 행하였다. Sherry의 백그라운드 보정, Scofield의 상대감도(相對感度) 계수보정에 의해 정량계산을 행하여 얻은 결과를 티탄(Ti)을 100으로 하였을 경우의 중량에 의한 상대치로 나타내면, 미노광부는 티탄(Ti) 100에 대해 불소(F) 1279임에 반해 노광부에서는 티탄(Ti) 100에 대해 불소(F) 6이었다.The unexposed part and the exposed part were subjected to elemental analysis by an X-ray photoelectron spectrometer (ESCALAB220-I-XL manufactured by V.G. Scientific). The results obtained by performing quantitative calculations based on Sherry's background correction and Scofield's relative sensitivity coefficient correction are expressed in terms of the relative values by weight when titanium (Ti) is 100. In contrast, the exposed portion was fluorine (F) 6 with respect to titanium (Ti) 100 in contrast to the fluorine (F) 1279.
이들 결과로부터 광촉매 함유층을 노광함으로써 광촉매 함유층 표면의 불소의 비율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표면이 잉크반발성에서 친잉크성으로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From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by exposing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the proportion of fluorine on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containing layer is reduced, thereby changing the surface from ink repellency to lip ink.
본 발명은 투명기판, 이 투명기판 상에 잉크젯 방식에 의해 복수의 색을 소정의 패턴으로 배설한 화소부, 이 화소부의 경계부분에 배설된 차광부, 상기 화소부 또는 화소부와 차광부를 형성하기 위해 배설된 습윤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습윤성 가변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이다. 따라서, 습윤성 가변층의 습윤성의 변화를 이용하여 화소부 또는 화소부와 차광부를 높은 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고, 색 불균일이나 탈색 등의 문제점이 없는 고품질의 컬러필터를 낮은 코스 트로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parent substrate, a pixel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color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by an inkjet metho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 light shielding portion disposed at a boundary portion of the pixel portion, and the pixel portion or the pixel portion and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t is a color filter characterized by having a wettability variable layer which can change the wettability excreted for. Therefore, by using the change in the wettability of the wettability variable layer, the pixel portion or the pixel portion and the light shielding portion can be formed with high precision, and a high quality color filter without problems such as color unevenness or discoloration can be provided at a low cost.
Claims (46)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35043198 | 1998-12-09 | ||
JP98-350431 | 1998-12-09 | ||
JP99-2167 | 1999-01-07 | ||
JP99-182297 | 1999-06-28 | ||
JP99-281519 | 1999-10-0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47958A KR20000047958A (en) | 2000-07-25 |
KR100781198B1 true KR100781198B1 (en) | 2007-11-30 |
Family
ID=18410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55424A Expired - Fee Related KR100781198B1 (en) | 1998-12-09 | 1999-12-07 | Color filt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8119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3145B1 (en) | 2007-02-02 | 2010-02-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Color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lor filter |
KR101037782B1 (en) | 2007-04-05 | 2011-05-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Manufacturing method of color filter and color filter manufactured thereby |
CN108061913B (en) * | 2018-01-31 | 2023-10-27 | 中国工程物理研究院激光聚变研究中心 | Mounting device and energy spectromet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79110A (en) * | 1994-12-21 | 1996-07-12 | Canon Inc | Color filter, its production and liquid crystal panel |
JPH09178929A (en) * | 1995-12-26 | 1997-07-11 | Canon Inc |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s well as their production |
-
1999
- 1999-12-07 KR KR1019990055424A patent/KR10078119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79110A (en) * | 1994-12-21 | 1996-07-12 | Canon Inc | Color filter, its production and liquid crystal panel |
JPH09178929A (en) * | 1995-12-26 | 1997-07-11 | Canon Inc |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s well as their production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8-179110호 |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9-178929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47958A (en) | 2000-07-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529306B2 (en) | Color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687835B1 (en) | Color filt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JP3343811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olor filter | |
JP4289924B2 (en) | Pattern forming body | |
JP3381146B2 (en) | Color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2001272529A5 (en) | ||
JP2002040231A (en) | Color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4365489B2 (en) | Color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4381129B2 (en) | Color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781198B1 (en) | Color filt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 |
JP2001272526A (en) | Color filt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JP3395841B2 (en) | Color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4353608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olor filter | |
JP2002107529A (en) | Method for producing member for color filter | |
JP4736181B2 (en) | Color filter manufacturing method and color filter | |
JP4188007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olor filter | |
JP2001242316A (en) | Color filt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JP4629370B2 (en) | Color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2002040230A (en) | Color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4834910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olor filter | |
JP2001242317A (en) | Color filt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JP4985829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olor filter | |
JP2004245972A (en) | Color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lor fil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2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12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